[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73788B1 - Apparatus for perceiving user input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perceiving user inpu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3788B1
KR101673788B1 KR1020150095274A KR20150095274A KR101673788B1 KR 101673788 B1 KR101673788 B1 KR 101673788B1 KR 1020150095274 A KR1020150095274 A KR 1020150095274A KR 20150095274 A KR20150095274 A KR 20150095274A KR 101673788 B1 KR101673788 B1 KR 1016737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unit
user input
pad portion
us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52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사성진
오광명
박성민
이희승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5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378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3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3788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입력 장치는, 제1 패드부, 및 제1 패드부와 이격되어 인접하며 일 방향을 따라 제1 패드부와 교번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제2 패드부를 구비하는 패드, 제1 패드부에 부착되어 상기 제1 패드부와 제2 패드부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제1 패드부와 제2 패드부를 따라 생성된 사용자 입력을 분석하는 분석부를 포함한다.A user inpu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d having a first pad portion and a second pad portion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ad portion and is arranged alternately with the first pad portion along one direction, A sensing unit attached to the pad unit to sense user input through the first pad unit and the second pad unit, and an analyzer for analyzing the user input generated along the first pad unit and the second pad unit.

Description

사용자 입력 인식 장치{Apparatus for perceiving user input}[0001] Apparatus for perceiving user input [

본 발명은 사용자 입력 인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센서를 부착한 패드와 복수의 패드들을 다양한 방식으로 배치하여 센서를 부착한 패드를 문지르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복수의 패드들을 문지르는 경우에 센서를 통한 입력 신호의 발생과 단절이 일정한 패턴 형태로 감지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 신호의 패턴을 감지함으로써 사용자의 문지름 입력을 인식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ser input recogniz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user input recogniz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user input recognizing apparatus, The generation and the disconnection of the input signal can be detected in a certain pattern form. And a device for recognizing a user's rubbing input by detecting a pattern of the input signal.

센서로부터 측정된 음파 혹은 가속도 신호를 이용한 제스쳐 인식 방법은 실제 제스쳐 해상도가 높지 않아, 두드림 인식으로만 UI(user interface)가 구성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The gesture recognition method using the sound wave or the acceleration signal measured from the sensor is not so high as the actual gesture resolution, and the UI (user interface) is constituted only by the tap recognition.

이에, 제스쳐의 해상도를 높이기 위해 문지름 인식이 연구되고 있다. 그런데 문지름 입력은 화이트 노이즈(white noise) 특성을 보이며, 온도나 습도와 같은 입력 환경, 사용자의 입력 방식(예를 들어, 문지르는 속도, 문지르는 강도)에 따라서 편차가 크다. Therefore, rubbing recognition is being studied to increase the resolution of the gesture. However, the input of the rubbing shows a white noise characteristic and varies greatly depending on the input environment such as temperature and humidity, the input method of the user (for example, rubbing speed, rubbing strength).

따라서 입력을 받는 패드의 표면 처리만으로는 주파수 및 시간 도메인(domain)에서 일반적인 특징을 추출하기 어렵다.Therefore, it is difficult to extract general features in the frequency and time domain only by surface treatment of the pad receiving the input.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제스쳐를 입력하는 패드에 신호 단절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문지름 신호 내에 신호 단절 패턴이 나타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문지름 입력 방향을 인식하는 하도록 하는 것이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gnal disconnection structure is applied to a pad for inputting a user's gesture, so that a signal disconnection pattern is displayed in a rubbing signal, thereby recognizing a user's rubbing direction.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s,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 장치는 제1 패드부, 및 상기 제1 패드부와 이격되어 인접하며 일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패드부와 교번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제2 패드부를 구비하는 패드, 상기 제1 패드부에 부착되어 상기 제1 패드부와 상기 제2 패드부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제1 패드부와 상기 제2 패드부를 따라 생성된 상기 사용자 입력을 분석하는 분석부를 포함한다.The user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pad unit and a second pad unit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ad unit and is arranged alternately with the first pad unit along one direction A sensing unit attached to the first pad unit to sense a user input through the first pad unit and the second pad unit and a sensing unit sensing the user input generated along the first pad unit and the second pad unit, And an analyzing unit for analyzing.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드부는 상기 제2 패드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패드부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패드부 내에 아일랜드(island)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패드부는 상부 패드에 상응하고, 상기 제2 패드부는 베이스에 마운트 패드를 결합하여 상기 제1 패드부 내에 아일랜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pad portion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second pad portion, and the second pad portion may be arranged in an island shape in the first pad portion along the one direction. For example, the first pad portion corresponds to the upper pad, and the second pad portion may be disposed in the island shape in the first pad portion by coupling the mount pad to the base.

실시 예에 따라, 상기 제2 패드부는 상기 감지부가 부착된 일 측에 대하여 상이한 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econd pad portion may be disposed at a different interval with respect to the one side to which the sensing portion is attached.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감지된 사용자 입력을 신호 단절 패턴으로 분석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analyzer may analyze the sensed user input into a signal disconnection pattern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는 상기 분석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user input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s based on the analyzed user input.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사용자 입력 인식 장치는 센서가 부착된 패드부와 그렇지 않은 패드부를 번갈아 가며 배치하여 신호 단절 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패드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서 사용자가 패드부로 구성된 패드를 문지르는 경우에 신호 단절 패턴을 인식하게 되어 보다 정확하게 사용자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The user input recogniz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d capable of forming a signal disconnection pattern by alternately arranging a pad unit with a sensor and a pad unit not including the sensor unit. Accordingly, when the user rubs the pad constituted by the pad portion, the user can recognize the user disconnection pattern more accurately.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사용자 입력 인식 장치는 주변 환경이나 사용자 별 입력 특징에 무관하게 사용자 입력을 인식할 수 있다. The user input recogniz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cognize the user input regardless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r the input characteristics of each user.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예시를 위한 것으로,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를 통해 다양한 수정, 변경, 대체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 장치에 포함된 패드의 평면도와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패드의 단면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user input devic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top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pad included in a user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a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in the drawings and redundant explanations for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omitted.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Fo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isclosed herein, specific structural and functional descriptions are set forth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only, and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In describi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and B can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user input device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입력 장치(10)는 패드(100), 감지부(200) 및 분석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user input device 10 may include a pad 100, a sensing unit 200, and an analysis unit 300.

패드(100)는 제1 패드부와 제2 패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고, 패드(100)는 사용자의 문지름 입력의 방향을 구분하거나 또는 문지름 입력 특성을 나타내기 위하여 추가적인 패드부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The pad 100 may include a first pad portion and a second pad portion. However, this is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 pad 100 may further include an additional pad portion to divide the direction of the user's rubbing input or to express the rubbing input characteristic.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할 것이지만 제1 패드부에 감지부(200)가 부착되어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2 패드부는 제1 패드부와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제2 패드부를 지나는 사용자 입력은 감지부(200)에서 감지되지 않는다. A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the sensing unit 200 is attached to the first pad unit to detect user input. The second pad portion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ad portion so that the user input passing through the second pad portion is not sensed by the sensing portion 200.

패드(100)는 제1 패드부와 제2 패드부를 일 방향으로 교번적으로 배치되는 형태를 갖는다. 사용자가 일 방향으로 패드(100)를 문지르는 경우, 제1 패드 위를 문지를 때에는 입력 신호가 감지되나, 제2 패드부 위를 문지를 때에는 입력 신호가 감지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문지름 입력은 신호 단절 패턴으로 감지될 수 있다. The pad 100 has a shape in which the first pad portion and the second pad portion are alternately arranged in one direction. When the user rubs the pad 100 in one direction, an input signal is sensed when rubbing over the first pad, but no input signal is sensed when rubbing over the second pad. Accordingly, the user's rubbing input can be detected as a signal disconnection pattern.

감지부(200)는 제1 감지부의 내부 또는 외부에 접착제, 하우징 또는 특수 구조를 통해 부착될 수 있다. 감지부(200)는 마이크와 같은 음파 측정 센서 또는 진동 측정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sensing unit 200 may be attached to the inside or the outside of the first sensing unit through an adhesive, a housing, or a special structure. The sensing unit 200 may include a sound wave measuring sensor such as a microphone or a vibration measuring sensor.

분석부(300)는 감지부(200)에서 감지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신호 단절 패턴을 분석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 분석부(300)는 패드(100)의 구성에 따라서 특정한 신호 단절 패턴의 방향을 매칭하는 테이블을 저장하고, 이에 따라서 감지된 신호 단절 패턴의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The analysis unit 300 may analyze the signal disconnection pattern by converting the analog signal detected by the sensing unit 200 into a digital signal.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analyzing unit 300 stores a table for matching the direction of a specific signal disconnection patter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ad 100, and thereby can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detected signal disconnection pattern.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입력 장치(10)는 제어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분석부(300)에서 분석된 사용자 입력을 토대로 다른 전자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user input device 10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400. The control unit 400 can control other electronic devices based on the user input analyzed by the analysis unit 300.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 장치(10)는 차량 내부에 장착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어부(400)는 차량 내부의 다른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user input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unted inside a vehicle, and thus the control unit 400 can control other devices in the vehicle.

도 1을 참조하여, 제1 패드부에 감지부(200)가 부착되고 제2 패드부를 지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제2 패드부에 감지부(200)가 부착되고 제1 패드부를 지나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지 않는 등으로 구현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Referring to FIG. 1, the sensing unit 200 is attached to the first pad unit, and the user input through the second pad unit is not sensed. However, the sensing unit 200 may be attached to the second pad unit And the user input passing through the first pad unit is not sensed.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 장치에 포함된 패드의 평면도와 단면도이다.2 is a top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pad included in a user input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패드(100)는 제1 패드부(110)와 제2 패드부(120)를 구비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패드부(110)와 제2 패드부(120)는 제1 방향으로 교번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pad 100 may include a first pad portion 110 and a second pad portion 120. As described above, the first pad portion 110 and the second pad portion 120 may be alternately arranged in the first direction.

제1 패드부(110)에는 감지부(200)가 부착되어 제1 패드부(110) 위의 사용자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패드부(120)는 제1 패드부(110)와 이격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 입력이 제2 패드부(120)를 지나는 경우에는 감지부(200)에 입력되는 신호가 단절된다.
The sensing unit 200 may be attached to the first pad unit 110 to sense a user input on the first pad unit 110. However, since the second pad unit 120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ad unit 110, the signal input to the sensing unit 200 is cut off when the user's input passes the second pad unit 120.

*실시 예에 따라, 제1 패드부(110)는 제2 패드부(120)를 둘러싸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서 사용자가 길이 방향으로 패드(100)를 문지르는 경우에는 처음과 끝의 입력 신호는 형성될 수 있으나, 그 사이의 입력들이 단절되는 형태로 신호 단절 패턴이 생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first pad portion 110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second pad portion 120, so that when the user rubs the pad 1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owever, a signal disconnection pattern can be generated in such a manner that the inputs therebetween are disconnected.

따라서 제2 패드부(120)는 제1 패드부(110) 내에 아일랜드(island)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econd pad portion 120 may be arranged in the form of an island in the first pad portion 110.

도 2의 단면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제1 패드부(110)는 상부 패드에 상응할 수 있으며, 제2 패드부(120)는 베이스에 마운트 패드를 결합하여 제1 패드부(110) 내에 아일랜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2, the first pad portion 110 may correspond to the upper pad, and the second pad portion 120 may be formed in an island shape in the first pad portion 110 by coupling the mount pad to the base. .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 장치(10)에 포함된 패드(100)는 일 방향으로 제2 패드부(120)의 배치를 달리하면서 다양한 신호 단절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신호 단절 패턴을 가지게 되면, 주변 환경이나 사용자의 입력 특성에 관계 없이 신호 단절 패턴을 인식함으로써 사용자가 문지르는 방향을 명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The pad 100 included in the user input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orm various signal disconnection patterns while differently arranging the second pad portion 120 in one direction. By having the signal disconnection pattern,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 rubs can be clearly determined by recognizing the signal disconnection pattern irrespective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r the input characteristics of the user.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패드의 단면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a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감지부(200)가 부착된 제1 패드부(110a)와 제2 패드부(120a)가 도시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3, a first pad portion 110a and a second pad portion 120a to which the sensing portion 200 is attached are shown.

제2 패드부(120a)는 제1 패드부(110a) 내에 아일랜드 형태로 배치되어 있는데, 배치 형태를 달리함으로써 감지부(200)가 사용자가 패드를 문지르는 방향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제2 패드부(120a)는 감지부(200)가 부착된 일 측에 대하여 상이한 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pad portion 120a is disposed in the first pad portion 110a in an island shape. By differently arranging the second pad portion 120a, the sensing portion 200 can recognize the direction in which the user rubs the pad. In other words, the second pad portion 120a may be disposed at a different interval with respect to one side to which the sensing portion 200 is attached.

예를 들어, 사용자가 감지부(200)에 다가가는 방향으로 패드를 문지르는 경우, 감지부(200)가 감지하는 사용자 입력은 신호가 단절되는 주기가 점점 줄어드는 패턴을 갖는다. For example, when the user rubs the pad in a direction approaching the sensing unit 200, the user input sensed by the sensing unit 200 has a pattern in which the period in which the signal is disconnected gradually decreases.

사용자가 감지부(200)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패드를 문지르는 경우, 감지부(200)가 감지하는 사용자 입력은 신호가 단절되는 주기가 점점 길어지는 패턴을 갖는다.When the user rubs the pa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ensing unit 200, the user input sensed by the sensing unit 200 has a pattern in which the period in which the signal is disconnected becomes longer.

이러한 신호 단절 패턴은 주변 환경에 따라서도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와 단절되는 경우는 파악이 용이하며, 사용자가 패드를 빨리 문지르는 경우나 느리게 문지르는 경우에도 입력 신호의 단절 주기의 상대적인 길이만을 파악하면 되므로, 사용자 입력을 인식하는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Such a signal disconnection pattern is easy to grasp when a signal is input or disconnected depending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Even if the user rubs the pad quickly or rubs slowly, only the relative length of the disconnection period of the input signal can be grasped, The accuracy of recognizing the user input can be improved.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입력 장치(10)는 감지부(200)가 부착된 패드부와 감지부(200)에 신호를 전달할 수 없는 적어도 하나의 다른 패드부를 구비하며, 특히 감지부(200)에 신호 단절을 줄 수 있는 다른 패드부와 감지부(200)가 부착된 패드와 교번적으로 배치하는 패드(100)를 포함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user input devic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d unit to which the sensing unit 200 is attached and at least one other pad unit that can not transmit a signal to the sensing unit 200, And a pad 100 for alternately arranging the pad with the sensing unit 200 and another pad unit capable of giving a signal interruption to the sensing unit 200.

이와 같은 패드(100)를 포함하기 때문에 사용자 입력 장치(10)는 사용자의 문지름 입력을 신호 단절 패턴을 통하여 분석하고, 주변 환경이나 사용자 별 특성에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사용자 입력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Because the pad 100 includes the user input device 10, the user can analyze the user's rubbing input through the signal disconnection pattern and accurately recognize the user input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user .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s.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knowledge of.

10 : 사용자 입력 장치
100 : 패드
110, 110a : 제1 패드부
120, 120a : 제2 패드부
10: User input device
100: Pad
110, 110a: first pad portion
120, 120a: a second pad portion

Claims (6)

제1 패드부, 및 상기 제1 패드부와 이격되어 인접하며 일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패드부와 교번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제2 패드부를 구비하는 패드;
상기 제1 패드부에 부착되어 상기 제1 패드부와 상기 제2 패드부를 통한 사용자 입력을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제1 패드부와 상기 제2 패드부를 따라 생성된 상기 사용자 입력을 분석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패드부는 상기 제2 패드부를 둘러싸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패드부는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패드부 내에 아일랜드(island)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감지부가 부착된 일측에 대하여 상이한 간격을 가지면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입력 인식 장치.
A pad having a first pad portion and a second pad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pad portion and configured to be alternately arranged with the first pad portion along one direction;
A sensing unit attached to the first pad unit and sensing user input through the first pad unit and the second pad unit; And
And an analysis unit for analyzing the user input generated along the first pad unit and the second pad unit, wherein the first pad unit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second pad unit, Wherein the first pad portion is disposed in an island shape within the first pad portion and is disposed at a different interval with respect to a side to which the sensing portion is attached.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드부는 상부 패드에 상응하고, 상기 제2 패드부는 베이스에 마운트 패드를 결합하여 상기 제1 패드부 내에 아일랜드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입력 인식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pad portion corresponds to the upper pad and the second pad portion is disposed in an island shape in the first pad portion by coupling the mount pad to the bas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석부는 상기 감지된 사용자 입력을 신호 단절 패턴으로 분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입력 인식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nalysis unit analyzes the sensed user input into a signal disconnection patter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석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입력 인식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operations based on the analyzed user input.
KR1020150095274A 2015-07-03 2015-07-03 Apparatus for perceiving user input Active KR1016737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274A KR101673788B1 (en) 2015-07-03 2015-07-03 Apparatus for perceiving user inpu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274A KR101673788B1 (en) 2015-07-03 2015-07-03 Apparatus for perceiving user inpu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3788B1 true KR101673788B1 (en) 2016-11-07

Family

ID=57529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5274A Active KR101673788B1 (en) 2015-07-03 2015-07-03 Apparatus for perceiving user inpu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3788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0169A (en) * 2006-12-01 2008-06-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Gesture based user input method and device
KR20110139504A (en) * 2010-06-23 2011-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Sensing method using complex sensing device and complex sensor, and touch pad device using same
KR20150028888A (en) * 2013-09-02 2015-03-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for Providing of Customized Input-Ser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0169A (en) * 2006-12-01 2008-06-0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Gesture based user input method and device
KR20110139504A (en) * 2010-06-23 2011-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Sensing method using complex sensing device and complex sensor, and touch pad device using same
KR20150028888A (en) * 2013-09-02 2015-03-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Apparatus for Providing of Customized Input-Ser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3294B1 (en) Active button actuator, active button actuator feedback system comprising thereof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ATE471501T1 (en) TOUCH DETECTION FOR A DIGITIZER
CN101110009A (en) Touch detection method and system for touch sensor
GB2466605B (en) Method for identifying changes in signal frequencies emitted by a stylus interacting with a digitizer sensor
RU2016108800A (en) CONTACTLESS SWITCH ASSEMBLY HAVING A TACTICAL FEEDBACK AND METHOD
EP3640771A3 (en) Sensor device and method
RU2016142447A (en) Device and method for fingerprint identification
JP2015015027A5 (en)
WO2005116813A3 (en) Multiple region vibration-sensing touch sensor
WO2014018732A3 (en) Gesture and touch input detection through force sensing
US20180263314A1 (en)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An Assembly Of Two Components To Be Connected By Means of A Clip Fastening
ATE503417T1 (en) DEVICE AND COMPUTER-READABLE DATA CARRIER FOR SVT AND VT CLASSIFICATION
CN110162193A (en) A kind of touching positioning device and method
US8754849B2 (en) Information input device and information input method
CN105637372B (en) Vibrating sensor
JP2018005781A (en) Manipulation device
JP6300027B2 (en) Input device
KR20110022520A (en) Finger motion detection device and method
KR101673788B1 (en) Apparatus for perceiving user input
EP3798599A1 (en) Measurement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measurement device
US20170308183A1 (en) Vibration-based trajectory calculation of a freely-guided device
ATE521899T1 (en) DETERMINATION OF REDUCED INSULATION CAPACITY IN INSULATION BETWEEN TWO OBJECTS OF AN INDUCTIVELY OPERATED ELEMENT
TR201908489T4 (en) Device for measuring the degree of moisture of pulp on a screen belt.
US20160357341A1 (en) Touch command device
KR101755945B1 (en) Pressure sensitive point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ing frequency filte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0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3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2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1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1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0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02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2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