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87154B1 - 전도성 실을 이용한 생체신호 감지용 센서모듈 - Google Patents

전도성 실을 이용한 생체신호 감지용 센서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7154B1
KR101687154B1 KR1020140175327A KR20140175327A KR101687154B1 KR 101687154 B1 KR101687154 B1 KR 101687154B1 KR 1020140175327 A KR1020140175327 A KR 1020140175327A KR 20140175327 A KR20140175327 A KR 20140175327A KR 101687154 B1 KR101687154 B1 KR 1016871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ubstrate
contact
array
pattern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5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9623A (ko
Inventor
이재선
남정영
이현주
김기현
Original Assignee
(주)이미지스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미지스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이미지스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40175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7154B1/ko
Publication of KR20160069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9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7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715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5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for diagnosis by means of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Measuring using microwaves or radio waves
    • A61B5/053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or conductance of a portion of the bod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09Medical use or attached to human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easurement And Recording Of Electrical Phenomena And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Bod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도성 실을 전극으로 이용하는 생체신호 감지용 센서모듈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체신호 감지용 센서모듈은, 전도성 실을 이용하여 비전도성 모재의 양면에 걸쳐 형성된 다수의 전극패턴을 포함하는 어레이 전극; 상기 다수의 전극패턴에 각각 대응하는 다수의 접촉단자와 상기 다수의 접촉단자와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배선패턴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다수의 전극패턴이 상기 다수의 접촉단자에 항상 접촉되도록 상기 기판을 상기 어레이 전극에 대해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도성 실을 생체신호 감지용 전극으로 활용하므로 사용자에게 부드럽고 편안한 착용감을 줄 수 있고 피부접촉면에 굴곡이 있는 경우에도 충분한 접촉면을 확보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생체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비전도성 모재에 전도성 실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어레이 전극을 구성할 수 있고, 전기적 연결 구성이 매우 간단하므로 어레이 전극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도성 실로 이루어진 전극패턴은 유연한 피부접촉면을 제공하고 전극패턴의 소형화가 가능하므로 센서모듈을 컴팩트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전도성 실을 이용한 생체신호 감지용 센서모듈{Sensor module for biological signal detection using conductive wire}
본 발명은 생체신호 감지장치에 사용되는 센서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전도성 실을 전극으로 활용하여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센서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체신호(biological signal)는 심전도(ECG), 근전도(EMG), 안전도(EOG), 피부 전도도(GSR), 체온, 신체 임피던스 등과 같이 생물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전기적 신호를 의미한다.
이러한 생체신호를 감지하는 장치는, 피부에 접촉하는 전도성 전극과, 전도성 전극에서 검출된 전기적 신호를 증폭하고 노이즈를 제거하는 신호처리수단을 포함한다.
그런데 종래의 전도성 전극은 금속재질인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피부에 부착하면 차가운 느낌 때문에 사용자가 불쾌감을 느끼는 경우가 많고, 유연성이 없기 때문에 굴곡이 있는 부분에서는 피부에 접촉되는 면적이 작아서 생체신호를 정확하게 검출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생체신호 감지장치를 사용할 때는 전극을 피부에 부착하고 사용 후에는 전극을 다시 떼내어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이로 인해 사용자가 일상 생활을 하면서 수시로 또는 실시간으로 자신의 생체신호를 검출하는 것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비금속제의 유연성 전극을 사용하여 사용자의 의복, 벨트 등에 부착할 수 있는 센서모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일 예로서, 특허문헌 1은 전도성 실을 생체신호 감지용 전극으로 사용한 센서모듈을 제안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신축성소재와 비신축성소재의 사이에 실리콘수지를 삽입한 상태에서 신축성소재와 비신축성소재의 외측을 전도성 실로 자수를 놓아 전극을 형성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그런데 특허문헌 1에 따른 센서모듈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첫째, 신축성 소재와 비신축성 모재의 사이에 실리콘수지를 삽입한 상태에서 전도성 실로 자수를 놓아 개별 전극을 형성하므로 개별 전극의 크기와 두께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다.
둘째, 하나의 센서모듈이 하나의 전극을 구성하므로 다수의 전극을 포함하는 어레이 전극을 제작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특히, 개별 전극마다 해당 위치에 실리콘수지를 삽입하고 그 주위를 둘러싸도록 전도성 실로 자수를 놓는 공정을 반복해야 하기 때문에 공정시간이 길어지고 전극 어레이를 컴팩트하게 구성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한편, 최근 들어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활용하여 운동강도나 건강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거나, 애플리케이션과 연동하여 다양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착용형 장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향후에는 착용형 장치에 더 많은 생체신호 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사용자 경험을 보다 다양화시키고 강화시키는 방향으로 진화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를 감안하면 생체신호 감지장치에 다수의 전극이 2차원으로 배열된 어레이 전극이 많이 사용될 것으로 예상되는데, 특허문헌 1과 같은 센서모듈의 구조는 소형 착용형 장치에 적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09541호(2011.01.18 공고)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도성 실을 생체신호 감지장치의 전극으로 활용하면서도, 전극의 구성과 전기적 연결구조를 단순화시킴으로써 제작공정을 줄이고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소형 착용형 장치에도 활용할 수 있는 컴팩트한 구성의 어레이 전극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상은. 전도성 실을 이용하여 비전도성 모재의 양면에 걸쳐 형성된 다수의 전극패턴을 포함하는 어레이 전극; 상기 다수의 전극패턴에 각각 대응하는 다수의 접촉단자와 상기 다수의 접촉단자와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배선패턴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다수의 전극패턴이 상기 다수의 접촉단자에 항상 접촉하도록 상기 기판을 상기 어레이 전극에 대해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생체신호 감지용 센서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생체신호 감지용 센서모듈에서, 상기 다수의 전극패턴은 각각 상기 전도성 실로 자수를 놓음으로써 상기 비전도성 모재의 양면에 걸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생체신호 감지용 센서모듈에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기판을 둘러싼 상태에서 주변부가 상기 비전도성 모재에 결합하는 커버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생체신호 감지용 센서모듈에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다수의 전극패턴에 각각 대응하는 다수의 관통부를 구비하는 양면접착시트이고, 상기 양면접착시트는 상기 다수의 전극패턴이 각각 상기 다수의 관통부를 통과하여 상기 다수의 접촉패턴에 접촉하도록 상기 기판과 상기 비전도성 모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생체신호 감지용 센서모듈에서, 상기 기판의 일측에는 상기 다수의 배선패턴과 외부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양상은, 비전도성 재질의 의복소재; 전도성 실을 이용하여 상기 의복소재의 양면에 걸쳐 형성된 다수의 전극패턴으로 이루어진 어레이 전극; 상기 다수의 전극패턴에 각각 대응하는 다수의 접촉단자와 상기 다수의 접촉단자와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배선패턴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다수의 전극패턴이 상기 다수의 접촉단자에 항상 접촉하도록 상기 기판을 상기 어레이 전극에 대해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생체신호 감지용 센서모듈이 일체화된 의복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은, 비전도성 재질의 착용소재; 전도성 실을 이용하여 상기 착용소재의 양면에 걸쳐 형성된 다수의 전극패턴으로 이루어진 어레이 전극; 상기 다수의 전극패턴에 각각 대응하는 다수의 접촉단자와 상기 다수의 접촉단자와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배선패턴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다수의 전극패턴이 상기 다수의 접촉단자에 항상 접촉하도록 상기 기판을 상기 어레이 전극에 대해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생체신호 감지용 센서모듈이 일체화된 착용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도성 실을 생체신호 감지용 전극으로 활용하므로 사용자에게 부드럽고 편안한 착용감을 줄 수 있고 피부접촉면에 굴곡이 있는 경우에도 충분한 접촉면을 확보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생체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비전도성 모재에 전도성 실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어레이 전극을 구성할 수 있고, 전기적 연결 구성이 매우 간단하므로 어레이 전극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도성 실로 이루어진 전극패턴은 유연한 피부접촉면을 제공하고 전극패턴의 소형화가 가능하므로 센서모듈을 컴팩트하게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모듈의 단면도
도 3은 기판에 부착할 양면접착시트를 예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모듈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모듈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모듈이 의복과 일체로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모듈이 착용형 장치와 일체로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모듈이 장착된 착용형 장치의 사용상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신호 감지장치용 센서모듈(100)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와 도 2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전도성 모재(10)의 양면에 걸쳐 2차원으로 배열된 다수의 전극패턴(112)을 포함하는 어레이 전극(110)과, 어레이 전극(110)을 커버하도록 비전도성 모재(10)의 일면에 결합된 기판(120)과, 기판(120)을 비전도성 모재(10)의 일면에 고정시키는 커버부재(130)를 포함한다.
비전도성 모재(10)는 직물, 편물, 가죽 등과 같이 사용자가 착용하는 의복을 구성하는 소재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신체에 착용하는 벨트, 패드, 머리띠, 안경 등의 착용수단에 구비된 비전도성 착용소재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어레이 전극(110)을 구성하는 다수의 전극패턴(112)이 각각 개별 전극의 역할을 하며, 각 전극패턴(112)은 전도성 실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각 전극패턴(112)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전도성 모재(10)의 양면에 걸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것은 전도성 실로 비전도성 모재(10)에 자수를 놓은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비전도성 모재(10)의 양면에 걸쳐 다수의 전극패턴(112)을 형성하면, 비전도성 모재(10)에서 기판(120)이 결합되는 면의 반대쪽에는 다수의 전극패턴(112)이 그대로 노출되며, 이렇게 노출된 부분이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생체신호를 검출하게 된다.
기판(120)은 절연재질의 모재와, 모재의 일면에 형성된 다수의 접촉단자(122)와, 모재의 일측에 구비된 커넥터(126)와, 커넥터(136)와 다수의 접촉단자(122)를 각각 연결하는 다수의 배선패턴(124)을 포함한다.
다수의 접촉단자(122)는 어레이 전극(110)을 구성하는 다수의 전극패턴(112)과 각각 접촉하며, 다수의 배선패턴(124)은 각 전극패턴(112)에서 검출된 전기적 신호를 커넥터(126)를 통해 신호처리모듈(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음)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기판(120)의 모재는 그 재질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경성기판에 사용되는 에폭시 수지일 수도 있고, 연성기판(FPCB)에 사용되는 폴리이미드 수지일 수도 있다. 그밖에 절연성을 갖는 다른 종류의 합성수지, 직물, 편물, 가죽, 종이, 펄프 등이 기판(120)의 모재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비전도성 모재(10)가 직물과 같이 연성재질인 경우에는 연성재질의 기판(120)을 사용하고, 비전도성 모재(10)가 상대적으로 딱딱한 재질인 경우에는 경성재질의 기판(120)을 사용하는 등 필요에 따라 기판(120)의 모재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커버부재(130)는 기판(120)의 각 접촉단자(122)와 어레이 전극(110)의 각 전극패턴(112)이 항상 접촉상태를 유지하도록 기판(120)을 비전도성 모재(10)쪽으로 눌러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커버부재(130)의 저면에 기판(120)이 삽입되는 수용홈을 형성하고 수용홈의 하단에서 바깥쪽으로 플랜지 형태의 접착부(132)를 형성하고, 상기 접착부(132)를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비전도성 모재(10)에 고정할 수 있다.
한편, 기판(120)을 직접 비전도성 모재(10)에 결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극패턴(112)에 대응하는 다수의 관통부(142)가 형성된 양면접착시트(140)를 사용하여 기판(120)을 비전도성 모재(10)에 접착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양면접착시트(140)를 사용하면, 센서모듈(100)의 가장자리뿐만 아니라 중앙부에서도 비전도성 모재(10)와 기판(120)이 서로 견고히 결합되므로 어레이 전극(110)을 구성하는 모든 전극패턴(112)이 대응하는 각 접촉단자(122)와 안정적으로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어레이 전극(120)이 형성된 비전도성 모재(10)에 양면접착시트(140)를 사용하여 기판(120)을 접착시키는 경우에는 전술한 커버부재(130)를 생략할 수도 있다. 다만, 기판(120)에 형성된 배선패턴 등에 이물질이 침투하여 제품불량이 초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커버부재(130)를 사용하여 기판(120)을 둘러싸는 것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커버부재(13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비전도성 모재(10)가 직물과 같이 연성재질인 경우에는 실리콘, 고무, 연질 합성수지 등과 같은 연성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커버부재(130)가 연성재질인 경우에는 도 1과 같이 그 하단에 플랜지 형상의 접촉부(132)를 형성하지 않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부재(130)가 일정한 압력으로 기판(120)을 누르도록 커버부재(130)의 가장자리를 당긴 상태에서 그 가장자리를 비전도성 모재(10)에 직접 결합시킬 수도 있다.
커버부재(130)를 비전도성 모재(10)에 결합하는 방식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접착제 또는 양면접착시트를 이용할 수도 있고 바느질 등의 방법으로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재질에 따라서는 커버부재(130)를 비전도성 모재(10)에 융착시킬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모듈(100)의 다양한 사용예를 설명한다.
일 예로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의복(20)과 센서모듈(100)을 일체로 제작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의복(20)의 소재가 되는 비전도성의 직물, 편물, 가죽 등이 센서모듈(100)을 구성하는 비전도성 모재(10)가 된다. 즉, 의복(20)을 재단할 때 또는 의복(20)을 제작한 후에 전도성 실로 자수를 놓는 등의 방법으로 해당 의복(20)의 양면에 걸쳐 다수의 전극패턴(112)으로 이루어진 어레이 전극(110)을 형성하고, 의복(20)의 바깥쪽에 기판(120)과 커버부재(130)를 결합하면, 의복(20)의 내측으로 노출된 어레이 전극(110)이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생체신호를 검출하는 센서모듈 일체형 의복을 제작할 수 있다.
이렇게 제작된 센서모듈 일체형 의복을 착용한 상태에서, 센서모듈(100)의 일측에 구비된 커넥터(126)와 신호처리모듈(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음)을 케이블(200)로 연결하면 언제 어디서든 간편하게 사용자의 생체신호(예, 심전도, 근전도, 체온, 맥박 등)를 검출할 수 있다.
그리고 신호처리모듈은 검출된 생체신호를 통신수단을 통해 사용자가 착용 또는 휴대하는 전자기기로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도 있고, 외부 컴퓨터나 타인의 휴대용 단말로 검출된 생체신호를 실시간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착용형 장치를 구성하는 착용소재(30)와 센서모듈(100)을 일체로 제작할 수도 있다. 착용소재(30) 중에서 센서모듈(100)이 형성되는 부분은 비전도성 재질이어야 하며, 비전도성을 갖는 가죽, 직물, 편물, 합성수지, 실리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착용소재(30)에 전도성 실로 자수를 놓는 등의 방법으로 착용소재(30)의 양면에 걸쳐 다수의 전극패턴(112)으로 이루어진 어레이 전극(110)을 형성하고, 착용소재(30)의 바깥쪽에 기판(120)과 커버부재(130)를 결합하면, 착용소재(30)의 내측으로 노출된 어레이 전극(110)이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생체신호를 검출하는 센서모듈 일체형 착용형 장치를 제작할 수 있다.
도 7은 손목(50)에 착용하는 벨트 형태의 착용소재(30)에 센서모듈(100)이 일체로 형성된 것으로서, 착용소재(30)의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팔뚝, 상박부, 대퇴부, 허리, 발목, 무릎, 머리 등 다양한 신체부위에 착용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어레이 전극(110)을 사용하면, 다양한 위치에서 사용자의 생체신호를 검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상태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사용자의 움직임을 기반으로 외부 전자기기를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8은 센서모듈 일체형 착용형 장치(300)의 사용상태를 예시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신체에 착용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발생하는 생체신호(예, 근전도)를 이용하여 다양한 전자기기(310,320,330)의 동작을 제어하는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는 착용형 장치(300)가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되는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신체의 상지, 하지, 머리, 목 등 다른 부위에 착용될 수도 있다.
제어대상 전자기기의 종류는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컴퓨터 및 그 주변기기, 휴대폰, 태블릿PC, MP3플레이어, 전자수첩, PDA 등의 개인용 기기, TV, 에어컨, 오디오, 비디오, 냉장고, 세탁기, 청소기 등의 가전기기, 난방기기, 조명기기, 통신기기, 홈네트워크 기기, 전자식 도어락(door lock)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제어대상 전자기기에는 차량에 탑재되는 각종 장치나 편의설비, 재활치료용 의료기기 등이 포함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수정되어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양면접착시트(140)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접착제를 도포하여 비전도성 모재(10)와 기판(120)을 접합할 수도 있다.
또한 전극패턴(112)과 접촉단자(122)의 보다 안정적인 전기적 접촉을 위하여 접착제를 이용하여 각 전극패턴(112)을 접촉단자(122)에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는 전도성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각 전극패턴(112)에서 검출된 생체신호를 증폭하고 노이즈를 제거하는 신호처리모듈이 센서모듈(100)과 별도로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센서모듈(100)을 구성하는 기판(120)이나 커넥터(126)의 내부에 신호처리모듈에 해당하는 반도체 칩을 탑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 또는 수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변형 또는 수정된 실시예라 하더라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포함한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10: 비전도성 모재 100: 센서모듈
110: 어레이 전극 112: 전극패턴
120: 기판 122: 접촉단자
124: 배선패턴 126: 커넥터
130: 커버부재 132: 접착부
140: 양면접착시트 142: 관통부
200: 케이블 300: 착용형 장치

Claims (7)

  1. 비전도성 모재의 양면에 걸쳐 형성되는 것으로서, 전도성 실을 이용하여 자수를 놓음으로써 형성된 다수의 전극패턴을 포함하는 어레이 전극;
    상기 비전도성 모재와 다른 레이어에서 상기 어레이 전극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비전도성 모재를 향하는 면에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전극패턴에 각각 접촉하는 다수의 접촉단자와 상기 다수의 접촉단자와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배선패턴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다수의 전극패턴이 상기 다수의 접촉단자에 항상 접촉하도록 상기 기판을 상기 어레이 전극에 대해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다수의 전극패턴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부를 구비하며 상기 기판과 상기 비전도성 모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양면접착시트와 상기 기판을 둘러싼 상태에서 주변부가 상기 비전도성 모재에 결합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어레이 전극의 상기 다수의 전극패턴은 각각 상기 양면접착시트에 구비된 상기 다수의 관통부를 통과하여 상기 기판에 구비된 상기 다수의 접촉패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감지용 센서모듈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일측에는 상기 다수의 배선패턴과 외부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감지용 센서모듈
  6. 비전도성 재질의 의복소재;
    상기 의복소재의 양면에 걸쳐 형성되는 것으로서, 전도성 실을 이용하여 자수를 놓음으로써 형성된 다수의 전극패턴으로 이루어진 어레이 전극;
    상기 의복소재와 다른 레이어에서 상기 어레이 전극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의복소재를 향하는 면에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전극패턴에 각각 접촉하는 다수의 접촉단자와 상기 다수의 접촉단자와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배선패턴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다수의 전극패턴이 상기 다수의 접촉단자에 항상 접촉하도록 상기 기판을 상기 어레이 전극에 대해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다수의 전극패턴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부를 구비하며 상기 기판과 상기 의복소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양면접착시트와 상기 기판을 둘러싼 상태에서 주변부가 상기 의복소재에 결합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어레이 전극의 상기 다수의 전극패턴은 각각 상기 양면접착시트에 구비된 상기 다수의 관통부를 통과하여 상기 기판에 구비된 상기 다수의 접촉패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감지용 센서모듈이 일체화된 의복
  7. 비전도성 재질의 착용소재;
    상기 착용소재의 양면에 걸쳐 형성되는 것으로서, 전도성 실을 이용하여 자수를 놓음으로써 형성된 다수의 전극패턴으로 이루어진 어레이 전극;
    상기 착용소재와 다른 레이어에서 상기 어레이 전극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착용소재를 향하는 면에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전극패턴에 각각 접촉하는 다수의 접촉단자와 상기 다수의 접촉단자와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배선패턴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다수의 전극패턴이 상기 다수의 접촉단자에 항상 접촉하도록 상기 기판을 상기 어레이 전극에 대해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다수의 전극패턴에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부를 구비하며 상기 기판과 상기 착용소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양면접착시트와 상기 기판을 둘러싼 상태에서 주변부가 상기 착용소재에 결합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어레이 전극의 상기 다수의 전극패턴은 각각 상기 양면접착시트에 구비된 상기 다수의 관통부를 통과하여 상기 기판에 구비된 상기 다수의 접촉패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체신호 감지용 센서모듈이 일체화된 착용장치
KR1020140175327A 2014-12-08 2014-12-08 전도성 실을 이용한 생체신호 감지용 센서모듈 Active KR101687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327A KR101687154B1 (ko) 2014-12-08 2014-12-08 전도성 실을 이용한 생체신호 감지용 센서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5327A KR101687154B1 (ko) 2014-12-08 2014-12-08 전도성 실을 이용한 생체신호 감지용 센서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623A KR20160069623A (ko) 2016-06-17
KR101687154B1 true KR101687154B1 (ko) 2016-12-19

Family

ID=56343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5327A Active KR101687154B1 (ko) 2014-12-08 2014-12-08 전도성 실을 이용한 생체신호 감지용 센서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715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2508A (ko) 2021-10-13 2023-04-2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섬유형 전극 및 이를 이용한 생체 신호 모니터링 의류
KR20230139035A (ko) * 2022-03-25 2023-10-05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탈착 가능하고,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한 복수의 초음파 센서를 구비한 패치
KR20240069040A (ko) 2022-11-11 2024-05-2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돌출형 자수 전극 및 이를 이용한 생체 신호 모니터링 의류
KR20240068995A (ko) 2022-11-11 2024-05-2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니팅된 섬유형 전극을 포함하는 전도성 텍스타일,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생체 신호 모니터링 의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77431B2 (en) 2008-07-03 2013-11-05 Cercacor Laboratories, Inc. Noise shielding for a noninvasive device
CN206177474U (zh) * 2016-08-12 2017-05-17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测温组件及电器设备
EP3342338A1 (en) * 2016-12-29 2018-07-04 Nokia Technologies Oy Electrode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KR102848437B1 (ko) 2019-07-31 2025-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신호를 측정하는 전극을 갖는 전자 장치
KR102309216B1 (ko) * 2019-12-12 2021-10-0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직물기반 웨어러블 센서,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의류
CN113116347A (zh) * 2019-12-30 2021-07-16 智准生医科技股份有限公司 生物信息感测贴片
AU2021207471A1 (en) 2020-01-13 2022-09-01 Masimo Corporation Wearable device with physiological parameters monitoring
KR102810398B1 (ko) 2021-02-25 2025-05-21 한국과학기술원 근전도 센서 시스템
KR20240032835A (ko) 2021-07-13 2024-03-12 마시모 코오퍼레이션 생리학적 지표들을 감시하는 웨어러블 기기
KR20240024481A (ko) * 2022-08-17 2024-02-26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신체 부착형 근전도 센서
CN119212621A (zh) * 2022-11-28 2024-12-27 深圳市韶音科技有限公司 一种电极结构及可穿戴设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312517D0 (en) * 2003-05-31 2003-07-09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Embroidered electrode
KR100759948B1 (ko) * 2005-12-08 2007-09-1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생체신호의 측정을 위한 스마트 의복
KR100949179B1 (ko) * 2008-04-30 2010-03-23 (주)맨 텍 전도성 섬유를 이용한 의복형 무선 엠엠아이 장치
KR101009541B1 (ko) 2008-11-26 2011-01-18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생체 신호 측정모듈용 센서 및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생체신호 측정모듈용 센서를 부착한 의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2508A (ko) 2021-10-13 2023-04-2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섬유형 전극 및 이를 이용한 생체 신호 모니터링 의류
KR20230139035A (ko) * 2022-03-25 2023-10-05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탈착 가능하고,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한 복수의 초음파 센서를 구비한 패치
KR102732534B1 (ko) 2022-03-25 2024-11-19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탈착 가능하고, 개별적으로 제어 가능한 복수의 초음파 센서를 구비한 패치
KR20240069040A (ko) 2022-11-11 2024-05-2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돌출형 자수 전극 및 이를 이용한 생체 신호 모니터링 의류
KR20240068995A (ko) 2022-11-11 2024-05-2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니팅된 섬유형 전극을 포함하는 전도성 텍스타일,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생체 신호 모니터링 의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9623A (ko) 201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7154B1 (ko) 전도성 실을 이용한 생체신호 감지용 센서모듈
JP7429553B2 (ja) 生体情報取得用衣服
US10921886B2 (en) Circumferential array of electromyographic (EMG) sensors
KR100863064B1 (ko) 생체 신호 측정용 의복 및 그 제조 방법
US8886281B2 (en) Snap and electrode assembly for a heart rate monitor belt
CN106413547B (zh) 生理监控衣服
KR101938215B1 (ko) 스마트 인터렉션 장치
US8331097B2 (en) Cloth comprising separable sensitive areas
US20180184735A1 (en) Physiological monitoring garments with enhanced sensor stabilization
EP2865287B1 (en) Wearable electronic device
US20130019383A1 (en) Exercise Apparel
US20100317954A1 (en) Conductive elastic band
KR101745760B1 (ko) 생체 정보를 감지하는 디지털 의류 및 이를 이용한 건강 관리 추적 시스템
CN105377122B (zh) 织物传感器和数字线的连接结构及方法
WO2016009277A1 (en) Garments having stretchable and conductive ink
US11262797B1 (en) Computer systems with wearable force sensing devices
Cheng et al. Textile building blocks: Toward simple, modularized, and standardized smart textile
KR20150052607A (ko) 자수형센서층부를 갖는 복합생체신호측정의류
WO2021260384A1 (en) Wearable article, assembly and method
KR101471271B1 (ko) 온도감응형 섬유구조체
US20090076362A1 (en) Electrode Structure
WO2021165677A1 (en) Electronics module for a wearable article
US20160278702A1 (en) Physiological signal monitoring belt
JP6713921B2 (ja) ウェアラブルデバイス
US20110213258A1 (en) Strap based reliable heart rate or electro cardiogram monitor with wireless data transmis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2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10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2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10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5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0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6111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10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530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2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2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