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89345B1 - Iontophoresis mask pack apparatus having patterned conducting carbon film using smart phone - Google Patents

Iontophoresis mask pack apparatus having patterned conducting carbon film using smart pho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9345B1
KR101689345B1 KR1020150044274A KR20150044274A KR101689345B1 KR 101689345 B1 KR101689345 B1 KR 101689345B1 KR 1020150044274 A KR1020150044274 A KR 1020150044274A KR 20150044274 A KR20150044274 A KR 20150044274A KR 101689345 B1 KR101689345 B1 KR 101689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film
mask pack
terminal
smartphone
sk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42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16491A (en
Inventor
조정호
Original Assignee
조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호 filed Critical 조정호
Priority to KR1020150044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9345B1/en
Publication of KR201601164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649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9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9345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20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continuous direct currents
    • A61N1/30Apparatus for iontophoresis, i.e. transfer of media in ionic state by an electromotoric force into the body, or cataphoresi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물망으로 형성한 탄소필름를 지지체로 하여 마스크팩을 형성하고, 스마트폰에서 오디오 전류 신호를 출력하는 이어폰잭에 마스크팩의 탄소필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이온토포레시스(Iontophoresis)의 원리에 의해 마스크팩의 약물 피부 투과를 촉진하며, 스마트폰에서 오디오 파일의 선택으로 피부 맞춤형 전류 신호 파형을 인가할 수 있고, 탄소필름의 구멍 형상을 하트모양, 원, 다각형 등으로 다양화하여 심미적 요소를 부가함으로써 취향 또는 선호하는 바에 따라 심미적 디자인을 갖춘 마스크팩을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패턴화된 전도성 탄소필름 지지체를 구비한 전류마스크팩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mask pack using a carbon film formed as a mesh as a support, electrically connecting a carbon film of a mask pack to an earphone jack for outputting an audio current signal from a smartphone, It can stimulate drug skin penetration by mask pack and can apply skin customized current signal waveform by selecting audio file in smartphone and diversify hole shape of carbon film into heart shape, circle, polygon etc. To a current mask pack device with a patterned conductive carbon film support using a smartphone that can use a mask pack with an aesthetic design as desired or preferred by addition.

Description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패턴화된 전도성 탄소필름 지지체를 구비한 전류마스크팩 장치{IONTOPHORESIS MASK PACK APPARATUS HAVING PATTERNED CONDUCTING CARBON FILM USING SMART PHONE}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rrent mask pack device having a patterned conductive carbon film support using a smart phone,

본 발명은 그물망으로 형성한 탄소필름를 지지체로 하여 마스크팩을 형성하고, 스마트폰에서 오디오 전류 신호를 출력하는 이어폰잭에 마스크팩의 탄소필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이온토포레시스(Iontophoresis)의 원리에 의해 마스크팩의 약물 피부 투과를 촉진하며, 스마트폰에서 오디오 파일의 선택으로 피부 맞춤형 전류 신호 파형을 인가할 수 있고, 탄소필름의 구멍 형상을 하트모양, 원, 다각형 등으로 다양화하여 심미적 요소를 부가함으로써 취향 또는 선호하는 바에 따라 심미적 디자인을 갖춘 마스크팩을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패턴화된 전도성 탄소필름 지지체를 구비한 전류마스크팩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mask pack using a carbon film formed as a mesh as a support, electrically connecting a carbon film of a mask pack to an earphone jack for outputting an audio current signal from a smartphone, It can stimulate drug skin penetration by mask pack and can apply skin customized current signal waveform by selecting audio file in smartphone and diversify hole shape of carbon film into heart shape, circle, polygon etc. To a current mask pack device with a patterned conductive carbon film support using a smartphone that can use a mask pack with an aesthetic design as desired or preferred by addition.

일반적으로 마스크팩은 부직포를 지지체로 하여 기능성 화장액을 부직포에 흡수시키거나 아니면 하이드로겔을 부직포에 도포시켜 제조하며, 최근에는 지지체 없이 하이드로겔만으로 외형을 갖추게 성형한 마스크팩도 사용되고 있으며, 이 경우에는 외형의 유지를 위해서 예를 들면 천연 단백질인 콜라겐을 사용한 하이드로겔 마스크 팩으로 제조한다.In general, a mask pack is manufactured by absorbing a functional cosmetic liquid into a nonwoven fabric using a nonwoven fabric as a support, or by applying a hydrogel to a nonwoven fabric. Recently, a mask pack which is formed so as to have an outer shape with only a hydrogel without a support is used. For example, a hydrogel mask pack using collagen as a natural protein.

하지만, 기존의 마스크팩은 외형적으로 제품마다 특이성을 강조하기 어렵고, 기능적으로도 차이가 크지 아니하며, 이에, 상품성에 차별화를 주기 어려움에 따라 마케팅을 통해 판매를 촉진하여 왔다. 예를 들면, 마스크팩을 사용중인 사람은 맨 얼굴을 보여줄 때보다 타인에게 거부감을 줄 수 있으며, 마스크팩의 제조사 및 종류가 다르더라도 외관으로 그 차이를 보여줄 수 없었다.However, existing mask packs have not been able to emphasize the specificity of each product externally, and are not so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terms of functionality, and have promoted sales through marketing through difficulty in differentiating the product characteristics. For example, a person using a mask pack can give a sense of rejection to a person other than a man showing a face, and even if the maker and kind of the mask pack are different, the difference in appearance can not be shown.

한편, 하이드로겔(hydrogel)은 물을 분산매체로 하는 삼차원 친수성 고분자 망상구조를 가진 물질로서, 우수한 수분 흡수력과 천연 조직과 같은 유연성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함유된 물질의 전달을 제어할 수 있는 지능형 방출특성(controlled release)과 ph, 온도, 전기장 및 빛에 자극되어 팽창하거나 오그라드는 감응성도 갖고 있다.On the other hand, hydrogel is a material having a three-dimensional hydrophilic polymer network structure in which water is used as a dispersion medium. It has excellent water absorption ability and flexibility as natural tissue, and also has an intelligent It is also susceptible to controlled release and pH, temperature, electric field and light stimuli that swell or shrink.

이러한, 하이드로겔은 수세성이 양호하고, 끈적임이 없는 특성과, 물 또는 다른 액체에 의해 팽윤하여 어느 정도의 조도를 형성하는 특성과 하이드로겔의 탄성, 피부밀착성 및 부드러운 촉감을 갖는 특성을 십분 이용하여 마스크팩으로 사용되고 있다.Such a hydrogel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excellent in water washability, has no stickiness, and has characteristics of swelling by water or other liquid to form a degree of roughness, and properties of elasticity, skin adhesion and soft touch of hydrogel And is used as a mask pack.

또한, 최근에는 등록특허 제10-0628946호에 개시한 바와 같이 마스크팩에 전기 전도층을 형성하여 전기 전도층을 통해 전기를 흘려줌으로서 이온토포레시스(Iontophoresis)의 원리에 의해 마스크팩의 약물 피부 투과를 촉진하는 마스크팩 세트도 개발되었다.Recently, a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No. 10-0628946, an electric conductive layer is formed on a mask pack to allow electricity to flow through the electric conductive layer, whereby the drug of the mask pack A mask pack set was also developed to facilitate skin penetration.

이온토포레시스(Iontophoresis)는 생리적으로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작은 전류를 피부에 가함으로써 약물의 경피 흡수를 촉진하는 방법으로서, 이를 마스크팩에 적용함으로써 마스크팩에 함유된 화장액의 피부 흡수를 촉진할 수 있다.Iontophoresis is a method for promoting transdermal absorption of a drug by applying a small amount of physiologically acceptable current to the skin. By applying this to the mask pack, the skin absorption of the cosmetic liquid contained in the mask pack .

그런데, 이온토포레시스 방법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전류를 흘려주기 위한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게 되므로, 그 장치를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기기를 이용하여 구현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However, in order to use the iontophoresis method, a separate device for flowing electric current is needed. Therefore, it is preferable to implement the device using a device that uses everyday use.

KR 10-0628946 B1 2006.09.20.KR 10-0628946 B1 2006.09.20.

따라서, 본 발명은 이온토포레시스(Iontophoresis)의 원리를 적용하기 위해 전기 전도층을 지지체로 한 하이드로겔 마스크팩을 구성함에 있어서, 전기 전도층의 형상으로 미용적 요소를 갖출 수 있고, 마스크팩이 부착된 피부 전면에 균일한 전류를 흘려주어 이온토포레시스의 효과를 증대하며,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기기를 이용하여 이온토포레시스 시술을 받음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도모한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패턴화된 전도성 탄소필름 지지체를 구비한 전류마스크팩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Therefore, in constructing a hydrogel mask pack having an electrically conductive layer as a support for applying the principle of iontophoresis,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cosmetic element in the form of an electrically conductive layer,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effect of iontophoresis by applying a uniform current to the entire surface of the skin to which it is attached, and to perform iontophoresis using a device that is used in everyday use, thereby patterning using a smartphone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urrent mask pack device having a conductive carbon film suppor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패턴화된 전도성 탄소필름 지지체를 구비한 전류마스크팩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구멍(21a)을 전면에 걸쳐 균일하게 형성하여 그물망으로 이루어진 전도성 탄소필름(21)을 지지체로 하는 마스크팩(20); 마스크팩(20)을 부착한 피부 부위와 이격된 위치의 피부에 부착되며 피부에 부착되는 면에 전극을 구비한 패치(30); 상기 탄소필름(21)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라인과 패치(30)의 전극에 연결되는 라인의 단부가 형성된 커넥터(41)를 구비하는 케이블(40); 상기 커넥터(41)가 삽입되는 이어폰잭(11)을 통해 출력하는 오디오 전류 신호를 마스크팩(20)의 탄소필름(21)과 패치(30)의 전극 사이에 흘려주어서 이온토포레시스(Iontophoresis)의 원리에 의해 마스크팩의 약물 피부 투과를 촉진하며, 오디오 전류 신호의 패턴을 오디오 파일의 선택으로 조절하는 스마트폰(1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urrent mask pack device having a patterned conductive carbon film support using a smartphone, wherein a plurality of holes 21a are uniformly formed over the entire surface, A mask pack 20 having a support 21 as a support; A patch (30) attached to the skin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kin part to which the mask pack (20) is attached and having electrodes on the surface to be attached to the skin; (40) having a connector (41) formed with a lin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arbon film (21) and an end of a line connected to an electrode of the patch (30); An audio current signal output through the earphone jack 11 into which the connector 41 is inserted is caused to flow between the carbon film 21 of the mask pack 20 and the electrode of the patch 30 to perform iontophoresis, And a smartphone 10 for facilitating medicinal skin permeation of the mask pack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djusting the pattern of the audio current signal by selection of an audio file.

상기 구멍(21a)은 원, 다각형 및 하트모양 중에 어느 하나로 형성되며, 상기 마스크팩(20)은 탄소필름(21)의 양면을 하이드로겔로 도포 성형함으로써 각각의 구멍(21a)에 하이드로겔이 채워지게 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The hole 21a is formed in one of circular, polygonal, and heart shapes. The mask pack 20 is formed by coating both surfaces of a carbon film 21 with a hydrogel to fill each hole 21a with a hydrogel .

상기 이어폰잭(11)은 음향 출력단자와, 마이크 단자와 접지용 공통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41)는 패치(30)를 접지용 공통단자에 연결하고, 탄소필름(21)을 음향 출력단자 및 마이크 단자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치를 구비하며, 스마트폰(10)은 탄소필름(21)을 마이크 단자에 연결할 시에 저항을 검출하고, 탄소필름(21)을 음향 출력단자에 연결할 시에 검출 저항에 근거한 오디오 볼륨 조절로 미리 설정한 전류를 탄소필름(21)에 흐르게 함을 특징으로 한다.The earphone jack 11 has an acoustic output terminal and a microphone terminal and a common terminal for grounding. The connector 41 connects the patch 30 to a common terminal for grounding, The smartphone 10 detects a resistance when the carbon film 21 is connected to the microphone terminal and detects a resistance when the carbon film 21 is connected to the acoustic output terminal And a predetermined current is caused to flow through the carbon film (21) by adjusting the audio volume based on the detection resistanc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구멍(21a)의 형상에 의해 패턴화된 무늬를 마스크팩(20)에 표출하므로, 구멍(21a)의 형상으로 심미적 요소를 부가할 수 있으며, 별도의 전류 공급 장치를 이용하지 아니하고 대신에 스마트폰을 이용함으로써 언제 어디서든 마스크팩(20)를 바꿔가며 사용할 수 있고, 스마트폰에서 오디오 파일의 선택으로 각자 피부에 맞는 적정의 전류를 피부에 흐르게 함으로써 이온토포레시스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attern patterned by the shape of the hole 21a is displayed on the mask pack 20, an aesthetic element can be added to the shape of the hole 21a, Instead, the mask pack 20 can be used by changing the mask pack 20 anytime and anywhere by using a smart phone. By selecting an audio file from a smart phone, an appropriate electric current corresponding to the skin flows to the skin, Can be increased.

또한, 본 발명은 저항 측정 후 전류를 조절하게 함으로써 마스크팩 및 패치를 피부에 부착 사용할 때마다 피부와 접촉 저항 또는 마스크팩의 저항 오차에 의해 저항 변화가 발생하더라도 적정 전류로 맞춰 흘려줄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djusting the current after resistance measurement, whenever the mask pack and the patch are attached to the skin, even if a resistance change occurs due to the skin contact resistance or the resistance error of the mask pack,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패턴화된 전도성 탄소필름 지지체를 구비한 전류마스크팩 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2는 마스크팩(20)을 펼친 상태의 외형도 및 부분 확대도.
도 3은 탄소필름(21)의 다른 실시예 패턴을 보여주는 마스크팩(20)의 부분 확대도.
도 4는 탄소필름(21)의 또다른 실시예 패턴을 보여주는 마스크팩(20)의 부분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패턴화된 전도성 탄소필름 지지체를 구비한 전류마스크팩 장치에 대해 커넥터(41) 및 이어폰잭(11)을 전기 회로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1 is a use state view of a current mask pack device with a patterned conductive carbon film support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ternal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in a state in which the mask pack 20 is opened.
3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mask pack 20 showing another embodiment pattern of carbon film 21. Fig.
4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mask pack 20 showing another embodiment pattern of carbon film 21. Fig.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lectric circuit of a connector 41 and an earphone jack 11 with respect to a current mask pack device having a patterned conductive carbon film support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패턴화된 전도성 탄소필름 지지체를 구비한 전류마스크팩 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다.1 is a use state diagram of a current mask pack device having a patterned conductive carbon film support using a smartpho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마스크팩(20)을 펼친 상태의 외형도 및 부분 확대도이고, 도 3은 탄소필름(21)의 다른 실시예 패턴을 보여주는 마스크팩(20)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4는 탄소필름(21)의 또다른 실시예 패턴을 보여주는 마스크팩(20)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면을 도시할 때에는 탄소필름(21)이 하이드로겔에 매립되지만 외부로 비치되므로, 시각적으로 보이는 것으로 도시하였다.FIG. 2 is an external view and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mask pack 20 shown in FIG. 1 in an expanded state, and FIG. 3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a mask pack 20 showing another embodiment pattern of the carbon film 21 , Fig. 4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mask pack 20 showing another embodiment pattern of carbon film 21. Fig. In the drawing, the carbon film 21 is buried in the hydrogel but is provided outside, so that the carbon film 21 is shown as being visually seen.

먼저,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류마스크팩 장치는 마스크팩(20)과, 마스크팩(20)을 부착하지 아니한 피부에 부착되어 마스크팩(20)과 이격된 위치의 피부에 부착되며 부착되는 면에 전극을 구비한 패치(30)와, 스마트폰(10)과, 스마트폰(10)을 마스크팩(20) 및 패치(30)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1 and 2, a current mask pack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sk pack 20, a mask 20 attached to the skin to which the mask pack 20 is not attached, And a cable 40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martphone 10 to the mask pack 20 and the patch 30. The patch 30 includes an electrode on the surface to which the mask pack 20 and the patch 30 are attached, .

마스크팩(20)은 마스크팩의 외형을 유지하기 위한 지지체로서 전도성 탄소필름(21)을 사용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탄소필름(21)의 양면을 하이드로겔로 도포 성형하되 하이드로겔이 탄소필름(21)에 안정적으로 부착 고정되게 한다.The mask pack 20 uses the conductive carbon film 21 as a support for holding the outer shape of the mask pack.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oth sides of the carbon film 21 are coated with a hydrogel, So that the carbon film 21 is stably adhered and fixed.

이를 위해서, 상기 탄소필름(21)은 복수의 구멍(21a)을 전면에 걸쳐 균일하게 형성하여 그물망의 구조를 이루며, 하이드로겔에 도포되지 아니하는 단자(22)를 일측에 돌출되게 구비한다. 하이드로겔은 그물망 형상으로 이루어진 탄소필름(21)의 양면에 도포 성형되므로, 각각의 구멍(21a)에도 채워진다. 이에, 탄소필름(21)의 양면에 도포된 하이드로겔이 구멍(21a)에 채워진 하이드로겔에 의해 이어져 일체형을 이루므로, 탄소필름(21)이 매립된 상태의 외형을 안정적으로 유지한다.To this end, the carbon film 21 has a plurality of holes 21a uniformly formed over the entire surface to form a net structure, and has a terminal 22 which is not coated on the hydrogel, protruding on one side. Since the hydrogel is applied and formed on both surfaces of the carbon film 21 formed in a net shape, the hydrogel is also filled in each hole 21a. Thus, the hydrogel applied to both surfaces of the carbon film 21 is connected by the hydrogel filled in the holes 21a to form an integral body, thereby stably maintaining the outer shape of the carbon film 21 in a state of being embedded.

여기서, 상기 구멍(21a)의 형태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원, 다각형 및 하트모양 중에 어느 하나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실시예 도면으로 보여준 상기한 형태에만 한정하지 아니하여도 된다. 예를 들면, 하나의 마스크팩(20)에 구비되는 탄소필름(21)에는 원, 다각형 및 하트모양 중에 2개 이상이 혼재되게 할 수도 있고, 아니면, 상기 구멍(21a)을 스마트폰의 문자 메시지로 보내는 다양한 형상의 이모티콘으로 형성하여도 된다. 탄소필름(21)은 단자(22)를 통해 흐르는 전류를 접촉 부위 전면에 고르게 흘려주는 것이 좋으므로, 가능하면 균일하게 한다. 즉, 탄소필름(21)의 전면에 걸쳐서 균일한 전위를 인가하게 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피부 접촉 부위별로 구멍(21a)의 크기를 상이하게 하여도 된다.Here, the shape of the hole 21a may be any one of circular, polygonal, and heart shapes as shown in FIGS. 2 to 4. However, the shape of the hole 21a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o. For example, two or more of the circular, polygonal, and heart shapes may be mixed in the carbon film 21 provided in one mask pack 20, or the hole 21a may be formed as a text message The emoticon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It is preferable that the carbon film 21 uniformly flows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terminal 22 evenly over the entire contact area. That is, it is preferable to apply a uniform electric potential across the entire surface of the carbon film 21.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size of the hole 21a may be different for each skin contact site.

이와 같이, 마스크팩(20)은 탄소필름(21)을 지지체로 하여 하이드로겔 성형체 속에 매립한 형태를 갖추더라도, 구멍(21a)의 형상을 외측에서 인지할 수 있게 되므로, 구멍(21a)의 형상 및 분포 상태에 따라 다양한 이미지가 인쇄된 것으로 보이게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이 구성한 마스크팩(20)을 얼굴에 부착하더라도 타인에게 거부감을 주지 아니하고, 취향 또는 선호하는 구멍(21a) 형상 및 분포를 갖는 마스크팩(20)을 사용함으로써 개성을 나타내고, 나아가, 예쁘거나 귀엽거나 아니면 아름다운 가면을 쓴 것처럼 보이게 할 수도 있다.Since the shape of the hole 21a can be recognized from the outside even if the mask pack 20 has a shape embedded in the hydrogel formed body using the carbon film 21 as a support, And various images are printed depending on the distribution state. Thus, even if the mask pack 20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s attached to the face, the mask pack 20 having the shape or distribution of the holes 21a or the like or the like, It can be pretty or cute, or it can look like a beautiful mask.

또한, 탄소필름(21)이 매립된 마스크팩(20)이므로 외형 유지력도 좋으므로, 얼굴에 부착하기에도 용이하다.Further, since the mask pack 20 in which the carbon film 21 is buried is excellent in outline resilience, it is easy to adhere to the face.

또한, 하기와 같이 케이블(40)을 통해 스마트폰(10)의 이어폰잭(11)에 연결함으로써, 마스크팩(20)의 전면에 걸쳐 등전위의 전압을 인가하게 되면 하이드로겔은 수분을 머금고 있는 상태이므로 안면 전체에 균일한 등전위 전압을 인가하는 작용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이온토포레시스(Iontophoresis)의 원리에 의해 안면 전체에 약물의 피부 투과를 촉진하여서 피부 상처 치유 및 피부상태 개선 등의 미용 효과를 내며, 미세전류에 의한 성장호르몬 분비 증진, 뼈 재생, 세포 재생, 통증 감소 등의 효과(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제18권 제4호 2008년 10월 : 18(4):121-133)도 얻을 수 있다.When the voltage of the equal potential is applied across the entire surface of the mask pack 20 by connecting to the earphone jack 11 of the smartphone 10 through the cable 40 as described below, The action of applying a uniform equipotential voltage across the entire face occurs. Accordingly, by the principle of iontophoresis, skin permeation of the drug is promoted to the entire face to provide a cosmetic effect such as skin wound healing and skin condition improvement, improvement of secretion of growth hormone by microcurrent, Cell regeneration, and pain relief (Journal of Oriental Rehabilitation Medicine, Volume 18, Issue 4 October 2008: 18 (4): 121-133).

상기 단자(22)는 후술하는 단자접속부(42)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자접속부(42)을 탈착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일회용의 마스크팩(20)을 바꿔가며 사용하게 하며, 단자접속부(42)에 대한 하기의 실시예 설명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 가능하다.The terminal 22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terminal connection portion 42 to be described later. The terminal connection portion 42 is detachably connected so that the disposable mask pack 20 can be used interchangeably. The terminal connection portion 42 42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embodiments.

한편, 상기 탄소필름(21)의 재질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의료용 저주파자극기(TENS)에서 신체에 부착하는 패치의 전극으로 사용되는 것을 채용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하이드로겔의 성형 방법은 예를 들면 등록특허 제10-0841742호에 상세하게 기술된 바와 같이 공지의 성형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As the material of the carbon film 21, for example, a material used as an electrode of a patch attached to a body by a medical low-frequency stimulator (TENS) can be employed, and thus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s a method for forming the hydrogel, for example, a known molding method can be used as described in detail in the Japanese Patent Registration No. 10-0841742,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패치(30)는 상기 마스크팩(20)을 부착한 피부와는 이격된 피부에 부착되며 피부에 부착되는 면에 전극을 구비한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패치(30)는 의료용 저주파자극기에서 사용되는 패치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The patch 30 is attached to the skin that is separated from the skin on which the mask pack 20 is attached, and has electrodes on its surface to be attached to the skin. For example, the patch 30 can use a patch used in the medical low-frequency stimulator, so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이와 같이 마스크팩(20) 및 패치(30)을 피부에 부착함으로써, 마스크팩(20)의 탄소필름(21)과 패치(30)의 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면 피부를 통해 전류가 흐르므로, 이온토포레시스(Iontophoresis)의 원리에 의해 마스크팩(20)의 약물 피부 투과를 촉진한다.When a voltage is applied between the carbon film 21 of the mask pack 20 and the electrode of the patch 30 by attaching the mask pack 20 and the patch 30 to the skin as described above, The drug skin permeation of the mask pack 20 is promoted by the principle of iontophoresis.

여기서, 상기 패치(30)는 하기의 케이블(40)에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여, 반복 사용하게 할 수 있다.Here, the patch 30 may be connected to the cable 40 to be used repeatedly.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마스크팩(20)은 얼굴에 부착하는 것이므로, 상기 패치(30)는 예를 들면 귀의 뒤편, 어깨 아니면 등에 부착할 수 있다.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ask pack 20 is attached to the face, the patch 30 can be attached to, for example, the back of the ear, the shoulder or the like.

케이블(40)은 스마트폰(10)의 이어폰잭(11)에 연결하는 커넥터(41)을 구비하고, 타단을 분기하여 마스크팩(20)의 단자(22) 및 패치(30)의 전극에 연결하게 구성된다. 즉, 상기 탄소필름(21)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라인의 단부와 패치(30)의 전극에 연결되는 라인의 단부가 형성된 커넥터(41)를 구비하는 케이블이어서, 이어폰잭(11)을 통해 스피커로 출력할 오디오 전압 파형을 마스크팩(20)의 탄소필름(21)과 패치(30)의 전극 사이에 인가할 수 있다. 이에, 스마트폰(10)에서 재생되는 오디오 파일에 따라 이어폰잭(11)으로 출력되는 오디오 전류 신호를 마스크팩(20)의 탄소필름(21)과 패치(30) 전극 사이에 흐르게 한다. The cable 40 has a connector 41 connected to the earphone jack 11 of the smartphone 10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22 of the mask pack 20 and the electrode of the patch 30 . That is, the cable includes a connector 41 formed with an end portion of a lin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arbon film 21 and an end portion of a line connected to the electrode of the patch 30, Can be applied between the carbon film 21 of the mask pack 20 and the electrode of the patch 30. [ The audio current signal output to the earphone jack 11 is caused to flow between the carbon film 21 and the patch 30 electrode of the mask pack 20 according to the audio file reproduced in the smartphone 10.

여기서, 상기 단자접속부(42)와 상기 단자(22)는 전기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다양한 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단자(22)는 마스크팩(20)을 피부에 부착할 시에 피부를 향하는 면을 절연한 판으로 구성하고, 상기 단자접속부(42)는 단자(22)에 물리는 부분에 도체를 구비한 집게로 구성할 수 있다. 아니면, 단자접속부(42)와 단자(22)는 전도성 벨크로로 구성하여서 벨크로 결합에 의해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하는 방식, 전도성 재질의 똑딱이 단추로 구성하여 단추의 채움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하는 방식, 양자를 점착성이 있는 전도성 겔로 구성하여 점착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하는 방식 등을 채용할 수 있다.Here, the terminal connection portion 42 and the terminal 22 may be connected in a detachable manner, and various methods may be employed. For example, the terminal 22 is constituted by a plate insulated from the face facing the skin when the mask pack 20 is attached to the skin, and the terminal connection portion 42 is provided with a conductor And can be constituted by the provided tongs. Alternatively, the terminal connecting portion 42 and the terminal 22 may be made of conductive velcro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Velcro coupling, a method of electrically connecting the terminal connecting portion 42 and the terminal 22 by filling the button with a conductive knot,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both of them as conductive conductive gel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by adhesion.

이와 같이 상기 단자접속부(42)와 상기 단자(22)를 구성함으로써, 상호 탈착 가능하게 되므로, 마스크팩(20)을 바꿔가며 사용하되, 케이블(40)은 반복 사용할 수 있다.Since the terminal connecting portion 42 and the terminal 22 ar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mask pack 20 can be used interchangeably, and the cable 40 can be used repeatedly.

한편, 스마트폰(10)의 이어폰잭(11)에 연결되는 커넥터(41)는 도 5에 도시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구성되어 추가 기능을 갖게 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connector 41 connected to the earphone jack 11 of the smartphone 10 may be configured as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5 to have additional functions.

스마트폰(10)은 통신기기이면서 이어폰을 연결하기 위한 이어폰잭(11)을 구비하므로, 자체에서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여 이어폰잭(11)에 연결한 이어폰에게 오디오 전압 신호를 인가함으로써 소리로 출력되게 할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동작시켜 애플리케이션의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통상의 스마트폰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이라고 하였으나 스마트 패드, 컴퓨터처럼 애플리케이션을 설치 및 실행할 수 있고,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여 이어폰잭(11)으로 출력할 수 있는 기기를 통칭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Since the smartphone 10 is a communication device and has an earphone jack 11 for connecting the earphone, the audio file is reproduced by itself and the audio voltage signal is applied to the earphone connected to the earphone jack 11, And is configured to operate according to a program of an application.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application is installed and executed as a smart pad and a computer, Reproduced and outputted to the earphone jack 11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스마트폰(10)은 마스크팩(20) 및 패치(30)에 연결된 케이블(40)의 커넥터(41)을 이어폰잭(11)에 삽입함으로써 자체에서 재생하는 오디오 파일에 대응되는 전압 신호를 이어폰 스피커로 출력하는 것처럼 이어폰잭(11)을 통해 출력하므로, 오디오 전압 신호가 마스크팩(20)의 탄소필름(21)과 패치(30)의 전극 사이에 인가된다. 이에, 오디오 전압 신호에 따른 전류가 피부를 통해 흐르게 되므로, 이온토포레시스(Iontophoresis)의 원리에 의해 마스크팩의 약물 피부 투과를 촉진하게 되며, 이때, 인가하는 전압 및 흐르는 전류의 파형은 스마트폰(10)에서 재생되는 오디오 파일에 따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오디오 파일을 스마트폰(10)에 저장한 후, 원하는 오디오 파일을 선택 재생함으로써 피부에 가해지는 전압 및 전류의 파형을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phone 10 corresponds to an audio file reproduced by itself by inserting the connector 41 of the cable 40 connected to the mask pack 20 and the patch 30 into the earphone jack 11 An audio voltage signal is applied between the carbon film 21 of the mask pack 20 and the electrode of the patch 30. The audio signal is applied to the earphone jack 11 through the earphone jack 11, Since the electric current according to the audio voltage signal flows through the skin, the drug skin permeation of the mask pack is promoted by the principle of iontophoresis.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waveform of voltage and current applied to the skin by storing various audio files in the smartphone 10 and then selectively reproducing the desired audio file.

즉, 본 발명에 따르면 피부에 전압 및 전류를 인가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스마트폰(10)을 사용함으로써 저비용으로 구성 가능하고, 별도의 전원 없이도 언제 어디서든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device at low cost by using the smartphone 10 without using a separate device for applying voltage and current to the skin, and it is advantageous that the device can be used anytime and anywhere without a separate power source .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스마트폰(10)에서 볼륨 조절하여 피부에 인가되는 전압 및 전류의 크기를 변경할 수 있는 장점도 갖게 되며, 마스크팩(20)을 위한 전용 오디오 파일의 저장 및 재생을 위한 별도의 애플리케이션을 탑재하여서 사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도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size of voltage and current applied to the skin by adjusting the volume in the smartphone 10, It is also possible to increase the convenience of use by mounting a separate application,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해 커넥터(41) 및 이어폰잭(11)을 전기 회로적으로 도시한 구성도로서, 탄소필름(21)과 패치(30) 간의 저항을 측정함으로써 측정한 저항에 기초하여 적절한 미소 전류를 흘려주기 위한 볼륨을 자동 조절하도록 구성됨을 보여주며, 이에 따르면, 커넥터(41)의 내부 회로와 스마트폰(10)에 탑재되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있어 상술한 실시예와 차이가 나며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5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electric circuit of the connector 41 and the earphone jack 11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istance measured by measuring the resistance between the carbon film 21 and the patch 30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adjust the volume for flowing an appropriate minute current based on the internal circuit of the connector 41 and the application executed on the smartphone 10, The following is a detailed explanation.

도 5를 참조하면, 스마트폰(10)의 이어폰잭(11)은 4극 단자로 구성되므로, 스테레오 음향 출력단자(11-L, 11-R)는 좌음향 단자(11-L) 및 우음향 단자(11-R)으로 구성되고, 마이크로폰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 단자(11-MIC)와, 공통 접지를 위한 공통 단자(11-GND)도 구비된다.5, since the earphone jack 11 of the smartphone 10 is composed of four-pole terminals, the stereo sound output terminals 11-L and 11-R are connected to the left sound terminal 11-L and the right sound terminal 11- A microphone terminal 11-MIC for receiving the acoustic signal of the microphone, and a common terminal 11-GND for common groun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블(40)의 커넥터(41)는 이어폰잭(11)에 삽입할 시에 좌음향 단자(11-L) 및 우음향 단자(11-R) 중에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출력단자(41a)와, 마이크 단자(11-MIC)에 연결되는 입력단자(41b)와, 공통 단자(11-GND)에 연결되는 접지 단자(41c)를 구비한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or 41 of the cable 40 is connected to either the left sound terminal 11-L or the right sound terminal 11-R when the earphone jack 11 is inserted into the earphone jack 11 An input terminal 41b connected to the microphone terminal 11-MIC and a ground terminal 41c connected to the common terminal 11-GND.

아울러, 커넥터(41)의 내부에는 마스크팩(20)의 탄소필름(21)에 이어진 단자(22)에 연결되는 케이블(40)의 라인을 출력단자(41a) 및 입력단자(41b) 중에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3로 스위치로 구성되는 스위치(41d)를 구비한다.A line of the cable 40 connected to the terminal 22 connected to the carbon film 21 of the mask pack 20 is connected to either one of the output terminal 41a and the input terminal 41b And a switch 41d composed of three switches for selectively connecting the switches 41a to 41d.

접지 단자(41c)는 케이블(40)을 통해서 패치(30)에 연결된다.The ground terminal 41c is connected to the patch 30 through the cable 40. [

이에 따라, 커넥터(41)를 이어폰잭(11)에 삽입하면, 패치(30)는 이어폰잭(11)의 공통 단자(11-GND)에 연결된다.Thus, when the connector 41 is inserted into the earphone jack 11, the patch 30 is connected to the common terminal 11-GND of the earphone jack 11.

그리고, 마스크팩(20)의 탄소필름(21)은 스위치(41d)의 조작에 따라 음향 출력단자(11-R, 11-L)에 연결될 경우에 스마프폰(10)의 애플리케이션(12)에 의해 재생되는 오디오의 전기 신호를 음향 출력단자(11-R, 11-L)와 공통 단자(11-GND)를 통해 출력하고, 마이크 단자(11-MIC)에 연결될 경우에 마이크 단자(11-MIC)와 공통 단자(11-GND) 사이의 전기적 변화를 애플리케이션(12)에서 감지하게 한다.When the carbon film 21 of the mask pack 20 is connected to the sound output terminals 11-R and 11-L in accordance with the operation of the switch 41d, (11-MIC) when it is connected to the microphone terminal 11-MIC, and outputs the audio signal of the reproduced audio through the sound output terminals 11-R and 11-L and the common terminal 11- And the common terminal (11-GND) in the application (12).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마이크 단자(11-MIC)에 의해 마이크로폰의 음향 전기신호를 입력받는 기능을 이용하여 탄소필름(21)과 패치(30) 사이의 전기 저항을 검출할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electric resistance between the carbon film 21 and the patch 30 can be detected by using the function of receiving the acoustic electric signal of the microphone by the microphone terminal 11-MIC .

상기 애플리케이션(12)은 저장된 오디오 파일의 재생신호인 오디오 전기 신호를 음향 출력단자와 공통단자 사이에 인가하는 출력기능과, 마이크 단자(11-MIC)와 공통 단자(11-GND) 사이의 전기적 신호를 전달받아 저항값을 얻는 측정기능을 구비하고, 탄소필름(21)과 패치(30)에 흘려줄 미세전류에 대해 미리 설정한 전류값이 설정되어 있다.The application 12 has an output function for applying an audio electrical signal, which is a reproduction signal of the stored audio file, between the audio output terminal and the common terminal, and an output function for outputting an electrical signal between the microphone terminal 11-MIC and the common terminal 11- And a current value set in advance for the fine current to be fed to the carbon film 21 and the patch 30 is set.

사용 순서에 대해 설명하면, 마스크팩(20) 및 패치(30)를 피부에 부착한 상태에서 스위치(41d)를 조작하여 탄소필름(21)을 마이크 단자(11-MIC)에 연결한 후, 애플리케이션(12)의 측정기능을 실행시킨다. 이때, 애플리케이션(12)은 탄소필름(21)과 패치(30) 전극 간의 저항을 검출하여서, 상기 미리 설정한 전류값을 흘려주기 위한 볼름을 획득한다. 예를 들면 마이크 단자(11-MIC)와 공통 단자(11-GND) 간에 전압을 인가하여 전류 변화의 검출에 의해 마이크로폰으로 입력되는 음향 신호를 검출한다면, 상기한 저항은 인가 전압과 검출 전류로부터 검출할 수 있고, 이 저항으로부터 볼륨을 조절하여 상기 미리 설정된 전류값을 흘려줄 수 있는 것이다.The switch 41d is operated to connect the carbon film 21 to the microphone terminal 11-MIC while the mask pack 20 and the patch 30 are attached to the skin, (12). At this time, the application 12 detects the resistance between the carbon film 21 and the patch electrode 30, and acquires a volume for flowing the preset current value. For example, if a voltage is applied between the microphone terminal 11-MIC and the common terminal 11-GND to detect an acoustic signal input to the microphone by detection of a current change, the above-mentioned resistance is detected from the applied voltage and the detected current And it is possible to flow the preset current value by adjusting the volume from the resistor.

즉, 스위치(41d)를 조작하여 탄소필름(21)을 음향 출력단자(11-R, 11-L)에 연결한 후, 애플리케이션(12)의 출력기능을 실행시키면, 애플리케이션(12)은 측정기능의 실행 하에 얻은 저항에 상기 미리 설정된 전류값을 흘려주기 위한 볼륨을 산출하고, 이후, 산출한 볼륨으로 오디오 전기 신호를 음향 출력단자(11-R, 11-L)와 공통 단자(11-GND) 간에 흘려준다.That is, when the switch 41d is operated to connect the carbon film 21 to the sound output terminals 11-R and 11-L, and then the output function of the application 12 is executed, (11-R, 11-L) and the common terminal (11-GND) with the calculated volume, and then outputs the audio electric signal to the audio output terminal Shed.

이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함으로써 마스크팩(20) 및 패치(30)를 피부에 부착한 상황에 따라 가변하는 저항에 맞춰 적절한 미세전류를 피부로 흐르게 함으로써, 최적의 이온토포레시스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optimal iontophoresis effect can be obtained by flowing an appropriate microcurrent to the skin in accordance with a variable resistance according to a state where the mask pack 20 and the patch 30 are attached to the skin have.

물론, 상기 미리 설정된 전류값을 소정의 범위로 설정한 후 그 범위 내에서 사용자가 임의로 조절하게 하되,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아니하게 하여도 된다.Of course, the preset current value may be set to a predetermined range, and the user may arbitrarily adjust the current value within the range, but the range may not be deviated.

한편, 상기 커넥터(41)에는 이온토포레시스를 위한 특정 전압 파형을 단자접속부(42)에 인가하는 전압 인가부, 인가 전압의 파워를 조절하는 볼류 조절부, 전압 인가를 위해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 및 과전류가 발생할 시에 이를 차단하는 차단부를 포함하여서, 커넥터(41)를 스마트폰(10)의 이어폰잭(11)에 연결하지 않는 경우라도 자체 전원 및 인가 전압 파형으로 이온토포레시스 효과를 얻게 하여도 된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or 41 is provided with a voltage applying unit for applying a specific voltage waveform for the iontophoresis to the terminal connection unit 42, a ball current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the power of the applied voltage, Even when the connector 41 is not connected to the earphone jack 11 of the smartphone 10, the power supply unit and the cutoff unit for blocking the overcurrent when the overcurrent is generated, May be obtained.

또한, 상기 스마트폰(10)은 본 발명의 사용자별로 데이터 관리하는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와 같이 측정한 저항값을 서버에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저항값 또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자신의 피부 상태 등에 따라 적합한 오디오 파일을 서버로부터 다운받아 사용하게 하여도 된다.
In addition, the smartphone 10 is connected to a server for managing data on a user-by-user basi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istance value measured as described above is transmitted to a server and converted into a database. The resistance value or the skin condition of the user An appropriate audio file may be downloaded from the server and us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 ≪ / RTI >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are deemed to b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0 : 스마트폰 11 : 이어폰잭 12 : 애플리케이션
20 : 마스크팩 21 : 탄소필름 21a : 구멍 22 : 단자
30 : 패치
40 : 케이블 41 : 커넥터 42 : 단자접속부
10: smartphone 11: earphone jack 12: application
20: mask pack 21: carbon film 21a: hole 22: terminal
30: Patch
40: cable 41: connector 42: terminal connection portion

Claims (3)

복수의 구멍(21a)을 전면에 걸쳐 균일하게 형성하여 그물망으로 이루어진 전도성 탄소필름(21)을 지지체로 하는 마스크팩(20);
마스크팩(20)을 부착한 피부 부위와 이격된 위치의 피부에 부착되며 피부에 부착되는 면에 전극을 구비한 패치(30);
상기 탄소필름(21)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라인과 패치(30)의 전극에 연결되는 라인의 단부가 형성된 커넥터(41)를 구비하는 케이블(40);
상기 커넥터(41)가 삽입되는 이어폰잭(11)을 통해 출력하는 오디오 전류 신호를 마스크팩(20)의 탄소필름(21)과 패치(30)의 전극 사이에 흘려주어서 이온토포레시스(Iontophoresis)의 원리에 의해 마스크팩의 약물 피부 투과를 촉진하며, 오디오 전류 신호의 패턴을 오디오 파일의 선택으로 조절하는 스마트폰(10);
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이어폰잭(11)은 음향 출력단자와, 마이크 단자와 접지용 공통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커넥터(41)는 패치(30)를 접지용 공통단자에 연결하고, 탄소필름(21)을 음향 출력단자 및 마이크 단자에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스위치를 구비하며,
스마트폰(10)은 탄소필름(21)을 마이크 단자에 연결할 시에 저항을 검출하고, 탄소필름(21)을 음향 출력단자에 연결할 시에 검출 저항에 근거한 오디오 볼륨 조절로 미리 설정한 전류를 탄소필름(21)에 흐르게 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패턴화된 전도성 탄소필름 지지체를 구비한 전류마스크팩 장치.
A mask pack (20) uniformly forming a plurality of holes (21a) over the entire surface and using the conductive carbon film (21) as a support;
A patch (30) attached to the skin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kin part to which the mask pack (20) is attached and having electrodes on the surface to be attached to the skin;
(40) having a connector (41) formed with a lin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arbon film (21) and an end of a line connected to an electrode of the patch (30);
An audio current signal output through the earphone jack 11 into which the connector 41 is inserted is caused to flow between the carbon film 21 of the mask pack 20 and the electrode of the patch 30 to perform iontophoresis, A smartphone 10 for facilitating medicament skin permeation of the mask pack by the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djusting the pattern of the audio current signal by selection of an audio file;
, ≪ / RTI >
The earphone jack 11 has an acoustic output terminal, a microphone terminal and a common terminal for grounding,
The connector 41 has a switch for connecting the patch 30 to a common terminal for grounding and selectively connecting the carbon film 21 to the audio output terminal and the microphone terminal,
The smartphone 10 detects a resistance when the carbon film 21 is connected to the microphone terminal, and when the carbon film 21 is connected to the sound output terminal, Film 21 with a patterned conductive carbon film support using a smartphon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21a)은 원, 다각형 및 하트모양 중에 어느 하나로 형성되며,
상기 마스크팩(20)은 탄소필름(21)의 양면을 하이드로겔로 도포 성형함으로써 각각의 구멍(21a)에 하이드로겔이 채워지게 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을 이용하는 패턴화된 전도성 탄소필름 지지체를 구비한 전류마스크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le 21a is formed in one of a circle, a polygon and a heart shape,
Wherein the mask pack (20) is formed by coating both surfaces of the carbon film (21) with a hydrogel to fill each hole (21a) with a hydrogel. The patterned conductive carbon film support And the current mask pack device.
삭제delete
KR1020150044274A 2015-03-30 2015-03-30 Iontophoresis mask pack apparatus having patterned conducting carbon film using smart phone Active KR10168934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274A KR101689345B1 (en) 2015-03-30 2015-03-30 Iontophoresis mask pack apparatus having patterned conducting carbon film using smart pho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4274A KR101689345B1 (en) 2015-03-30 2015-03-30 Iontophoresis mask pack apparatus having patterned conducting carbon film using smart pho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491A KR20160116491A (en) 2016-10-10
KR101689345B1 true KR101689345B1 (en) 2016-12-26

Family

ID=57145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4274A Active KR101689345B1 (en) 2015-03-30 2015-03-30 Iontophoresis mask pack apparatus having patterned conducting carbon film using smart pho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9345B1 (en)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24651A1 (en) 2017-12-22 2019-06-27 (주)엘에스케이화인텍스 Thin film mask pack having excellent wear sensation, electrical conductivity and antibacterial proper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200051345A (en) * 2018-11-05 2020-05-13 김민호 Therapy apparatus for body
KR102209780B1 (en) 2019-09-11 2021-01-29 주식회사 에이씨티인터내셔널 Skin buauty divice
KR20210037780A (en) * 2019-09-27 2021-04-07 주식회사 케이 Device for electric stimulation mask sheet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nd multi mask sheet used to the same
KR20210061026A (en) 2019-11-19 2021-05-27 주식회사 셀바이오휴먼텍 Sheet with conductive pattern using potential difference materia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210072284A (en) 2019-12-09 2021-06-17 주식회사 셀바이오휴먼텍 Patterned conductive detachable mask pack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o orient current using potential difference material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88545A1 (en) * 2017-10-31 2019-05-09 주식회사 엑소코바이오 Exosome kit and method for enhancing transdermal permeation of exosomes by using same
CN110893046A (en) * 2018-09-13 2020-03-20 团火科技(北京)有限公司 Intelligent facial mask method, server, data conversion device and facial mask
KR102140651B1 (en) * 2019-02-11 2020-08-03 조이웰 주식회사 Facial functionality device with iontophoresis using mesh carbon patch
KR102288234B1 (en) * 2019-08-02 2021-08-10 (주)플렉스파워 Micro current patch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73332A (en) 2012-10-05 2014-04-24 Shiseido Co Ltd Beauty treatment apparatus, energiz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2014176556A (en) * 2013-03-15 2014-09-25 Shiseido Co Ltd Beauty device and beauty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8946B1 (en) 2005-04-04 2006-09-2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Mask pack set using micro current
KR101186510B1 (en) * 2010-05-19 2012-10-08 주식회사 케이피엠테크 electrical mask having carbon-sheet
KR20140148013A (en) * 2013-06-21 2014-12-31 김대환 Iontophoresis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73332A (en) 2012-10-05 2014-04-24 Shiseido Co Ltd Beauty treatment apparatus, energiz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2014176556A (en) * 2013-03-15 2014-09-25 Shiseido Co Ltd Beauty device and beauty method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24651A1 (en) 2017-12-22 2019-06-27 (주)엘에스케이화인텍스 Thin film mask pack having excellent wear sensation, electrical conductivity and antibacterial proper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20200051345A (en) * 2018-11-05 2020-05-13 김민호 Therapy apparatus for body
KR102151072B1 (en) 2018-11-05 2020-09-02 김민호 Therapy apparatus for body
KR102209780B1 (en) 2019-09-11 2021-01-29 주식회사 에이씨티인터내셔널 Skin buauty divice
KR20210037780A (en) * 2019-09-27 2021-04-07 주식회사 케이 Device for electric stimulation mask sheet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nd multi mask sheet used to the same
KR102283882B1 (en) * 2019-09-27 2021-08-03 주식회사 케이 Device for electric stimulation mask sheet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and multi mask sheet used to the same
KR20210061026A (en) 2019-11-19 2021-05-27 주식회사 셀바이오휴먼텍 Sheet with conductive pattern using potential difference materia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KR20210072284A (en) 2019-12-09 2021-06-17 주식회사 셀바이오휴먼텍 Patterned conductive detachable mask pack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o orient current using potential difference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6491A (en) 2016-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9345B1 (en) Iontophoresis mask pack apparatus having patterned conducting carbon film using smart phone
US12144987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ransdermal stimulation of the outer ear
US10426945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ransdermal stimulation of the outer ear
US20250010019A1 (en) Multimodal, modular, magnetically coupled transcutaneous auricular stimulation system includ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the optimization of stimulation and therapeutic interventions
US10828461B2 (en) Transcutaneous electrostimulator and methods for electric stimulation
US11033731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ransdermal electrical stimulation
KR101840781B1 (en) Mask pack type skin care apparatus having pattern type electrode
US20210069490A1 (en) Electrically conductive ear tips
CN111182831B (en) Systems and methods for meditation enhancement
CA2939401A1 (en) Healing disc, a pain management assembly incorporating the disc,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KR101826733B1 (en) A Device for Massage Having a Structure of Generating Micro Current
KR200485010Y1 (en) Necklace for bio-electricity generation
CN109843370A (en) Electropor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poration device
KR101512555B1 (en) Connector device being connected to earphone connecting port of mobile terminal for providing electrical stimulus through electrical pad attached to skin surface
US8160712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ing sleep apnea
CN113116298A (en) Weight-losing and health-managing device using smart garment and body fat managing method thereof
CN208865038U (en) Portable transcranial direct current stimulation system for pain treatment
WO1992008516A1 (en) Earpiece for electrical stimulation of acupuncture point
AU2016277603B2 (en) Transcutaneous electrostimulator and methods for electric stimulation
KR20150142385A (en) System and controling method for electrode patch device using earphone output signal
JP3068274U (en) Low frequency treatment device
CN215741377U (en) Eye therapeutic instrument
KR20140148013A (en) Iontophoresis device
CN120361422A (en) Diagnostic and therapeutic headphones, head-mounted brain-computer interface system, and brain activity monitoring intervention method
Duggal et al. Skin-conforming Embedded GJS Device for Taste Modul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3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3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1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2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2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1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2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