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9581B1 - Bumper stay unit for vehicles - Google Patents
Bumper stay unit for vehicl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89581B1 KR101689581B1 KR1020150169833A KR20150169833A KR101689581B1 KR 101689581 B1 KR101689581 B1 KR 101689581B1 KR 1020150169833 A KR1020150169833 A KR 1020150169833A KR 20150169833 A KR20150169833 A KR 20150169833A KR 101689581 B1 KR101689581 B1 KR 1016895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im line
- panel
- stance
- bumper
- shap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2019/1806—Structural beams therefor, e.g. shock-absorb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은 범퍼빔과 프론트 사이드 멤버를 상호 연결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에 있어서, 절곡 성형된 'ㄷ'자형 판재의 형상으로 내측 상단 트림라인과 내측 하단 트림라인이 상호 대각방향으로 형성되는 내측 스태이 패널; 절곡 성형된 'ㄷ'자형 판재의 형상으로 상기 내측 상단 트림라인 및 내측 하단 트림라인에 대응하도록 외측 상단 트림라인 및 외측 하단 트림라인이 상호 대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측 스태이 패널의 내측 상단 트림라인 및 내측 하단 트림라인에 상기 외측 상단 트림라인 및 외측 하단 트림라인을 상호 겹쳐진 상태로 접합되어 상기 내측 스태이 패널과 함께 박스형상을 이루는 외측 스태이 패널; 상기 내측 및 외측 스태이 패널의 전,후단에 각각 접합되는 장착 플레이트를 포함한다.A bumper staircase unit for a vehicle is disclosed. The bumper sta- tion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bumper sta- tion unit for a vehicle that interconnects a bumper beam and a front side member, An inner stance panel in which trim lines are formed in mutually diagonal directions; The upper upper trim line and the lower lower trim line are formed in a mutually diagonal direc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inner upper trim line and the lower inner trim line in the shape of the bent upper part of the inner upper trim line, And an outer side stance panel joined to the inner lower side trim line in a state where the outer upper and lower outer side trim lines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to form a box shape together with the inner side stance panel; And a mounting plate joined to front and rear ends of the inner and outer stance panels, respectively.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외측 스태이 패널을 상호 엇갈린 대각방향으로 접합하여 충돌 흡수 성능을 향상시키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일반적으로 차량에서의 범퍼는 자동차가 다른 자동차나 고정체와 충돌 시, 그 충격을 흡수하여 승차자의 안전을 도모하며, 동시에 차체의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자동차의 전, 후 단부의 소정 부위에 배치되는 완충유닛이다.Generally, a bumper in a vehicle is arrang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of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vehicle so as to minimize the deformation of the vehicle body while assuring the safety of the rider by absorbing the impact when the vehicle collides with another automobile or a fixed body .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범퍼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general automotive bumper unit.
도 1을 참조하면, 상기한 범퍼유닛(100)은 범퍼빔(101)이 차체 양측 사이드 멤버(111)에 범퍼 스태이 유닛(103)을 통하여 차폭 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범퍼빔(101)의 전방에 에너지 업소버(107)가 배치되어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며, 범퍼 커버(109)가 상기 범퍼빔(101)과 에너지 업소버(107)를 감싸도록 설치된다. Referring to FIG. 1, the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의 조립 사시도이다.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bumper staunch unit.
도 2를 참조하면, 상기한 종래의 범퍼 스태이 유닛(103)는 별도의 전방 플레이트(113)를 통하여 범퍼빔(101)에 용접되고, 후방 플래이트(115)를 통하여 상기 사이드 멤버(111)에 조립된다.2, the conventional
이러한 종래의 범퍼 스태이 유닛(103)은 상기 전방 및 후방 플래이트(113,115) 사이에 "ㄷ"자 형상으로 프레스 성형된 내측 스태이 패널(117)과 외측 스태이 패널(119)이 상호 겹치기 용접되어 박스형으로 구성된다.In this conventional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범퍼 스태이 유닛(103)은 차량의 저속 정면 충돌 시, 차체 구조의 손상을 최소화하도록 충돌에너지를 흡수하는 측면에서는 양호하나, 내,외측 스태이 패널이 상호 겹치기 접합되는 2겹의 트림라인이 차체 길이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형성되어 충격력에 의한 응력을 효과적으로 분산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내,외측 스태이 패널이 상호 겹치기 접합되는 상하 양측 트림라인을 상호 엇갈린 "X"자 모양의 대각방향으로 배치하여 접합함으로써 충격력에 의한 응력을 고르게 분산하여 충돌 흡수 성능을 향상시키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collision absorption performance by evenly distributing the stress due to the impact force by arranging the upper and lower trim lines in which the inner and outer stance panels are overlapped and bonded to each other in the diagonal direction of the staggered & To provide a bumper sta- tion unit for a vehicle.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범퍼빔과 프론트 사이드 멤버를 상호 연결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에 있어서, 절곡 성형된 'ㄷ'자형 판재의 형상으로 내측 상단 트림라인과 내측 하단 트림라인이 상호 대각방향으로 형성되는 내측 스태이 패널; 절곡 성형된 'ㄷ'자형 판재의 형상으로 상기 내측 상단 트림라인 및 내측 하단 트림라인에 대응하도록 외측 상단 트림라인 및 외측 하단 트림라인이 상호 대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측 스태이 패널의 내측 상단 트림라인 및 내측 하단 트림라인에 상기 외측 상단 트림라인 및 외측 하단 트림라인을 상호 겹쳐진 상태로 접합되어 상기 내측 스태이 패널과 함께 박스형상을 이루는 외측 스태이 패널; 상기 내측 및 외측 스태이 패널의 전,후단에 각각 접합되는 장착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In one or mor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umper beam and the front side member of the vehicle are interconnected by a bumper beam unit, wherein the inner upper trim line and the lower inner trim line form a shape of a bent " An inner side panel formed in a diagonal direction; The upper upper trim line and the lower lower trim line are formed in mutually diagonal directions so as to correspond to the inner upper trim line and the lower inner trim line in the shape of the bent upper plate and the upper upper trim line of the inner stud panel, And an outer side stance panel joined to the inner lower side trim line in a state where the outer upper and lower outer side trim lines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to form a box shape together with the inner side stance panel; And a mounting plate joined to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inner and outer stance panels, respectively,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내측 스태이 패널은 내측면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비드가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inner stance panel may have bead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side in a vertical direction.
또한, 상기 외측 스태이 패널은 외측면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비드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stance panel may be formed with a bead in a vertic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또한, 상기 비드는 상기 외측면에 대하여 'V'자 형상으로 오목한 요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Further, the beads may be formed as concave grooves having a 'V' shape with respect to the outer surface.
또한, 상기 내측 상단 트림라인과 내측 하단 트림라인은 평면방향으로 'X'자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inner upper trim line and the inner lower trim line may be arranged in an 'X' shape in the planar direction.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내,외측 스태이 패널이 상호 겹치기 접합되는 상하 양측 트림라인을 상호 엇갈린 "X"자 모양의 대각방향으로 배치하여 용접 접합함으로써, 2겹의 양측 트림라인이 충격력에 의한 응력을 차체 전방에서 후방으로 고르게 분산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차량의 전방 충돌에 대한 충돌 흡수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pper and lower two side trim lines, in which the inner and outer side panels are overlapped and joined to each other, are welded and arranged in a staggered "X" -shaped diagonal direction so that the two- To be evenly dispersed from the front to the back of the vehicle body, thereby improving collision absorbing performance against frontal collision of the vehicle.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용 범퍼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의 조립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이 적용된 범퍼빔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의 저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의 투영 평면도이다.
도 7은 종래 기술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의 정면 충돌 시험에 따른 응력 분포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general automotive bumper unit.
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bumper staunch unit.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mper beam unit to which a bumper sta- tion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4 is a plan view of a bumper sta- tus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bottom view of the bumper sta- tus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rojected plan view of a bumper sta- tion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tress distribution diagram according to a frontal crash test of a bumper sta- tion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단,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이 적용된 범퍼빔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의 저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의 투영 평면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bumper beam unit to which a bumper sta- tion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4 is a plan view of a bumper sta- tion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rojected plan view of a bumper sta- tion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1)은 범퍼빔(3)의 후방 양측과 양측 프론트 사이드 멤버(미도시)를 상호 연결하는 것으로, 내측 스태이 패널(11)과 외측 스태이 패널(13) 및 전방과 후방의 장착 플레이트(15,17)로 구성된다.3 to 6, a bumper sta-
상기 내측 스태이 패널(11)은 절곡 성형되어 'ㄷ'자형 판재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단과 하단에 각각 내측 상단 트림라인(TL1)과 내측 하단 트림라인(TL2)이 형성되는데, 상기 내측 상단 트림라인(TL1)과 내측 하단 트림라인(TL2)은 상호 대각방향으로 엇갈리게 형성된다.The
즉,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내측 상단 트림라인(TL1)과 내측 하단 트림라인(TL2)은 평면방향으로 'X'자 형상으로 배치된다. That is, as shown in FIG. 6, the inner upper trim line TL1 and the inner lower trim line TL2 are arranged in an 'X' shape in the planar direction.
그리고 상기 외측 스태이 패널(13)은 역시 절곡 성형되어 'ㄷ'자형 판재의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이때, 상단과 하단은 상기 내측 상단 트림라인(TL1) 및 내측 하단 트림라인(TL2)에 각각 대응하도록 외측 상단 트림라인(TL3) 및 외측 하단 트림라인(TL4)이 상호 대각방향으로 엇갈리게 형성된다.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이러한 내측 스태이 패널(11)과 외측 스태이 패널(13)은 상호 대응하는 트림라인(TL1,TL2,TL3,TL4)을 겹친 상태로 겹치기 용접에 의해 접합되는데, 상기 내측 스태이 패널(11)의 내측 상단 트림라인(TL1) 및 내측 하단 트림라인(TL2)에 상기 외측 스태이 패널(13)의 외측 상단 트림라인(TL3) 및 외측 하단 트림라인(TL4)을 각각 겹쳐진 상태로 스폿 용접(W) 또는 CO2 용접 등에 의해 접합되어 박스형상을 이룬다. The
여기서, 상기 내측 스태이 패널(11)은 내측면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비드(B)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 스태이 패널(13)은 외측면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비드(B)가 형성된다.The bead B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즉, 상기 비드(B)는 상기 내측면과 외측면에 대하여 각각 'V'자 형상으로 오목한 요홈으로 형성된다. That is, the bead B is formed as a concave groove having a 'V' shape with respect to the inner side surface and the outer side surface.
그리고 상기 장착 플레이트(15,17)는 상기 내측 스태이 패널(11)과 외측 스태이 패널(13)의 상호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박스 모양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하나씩 접합되어 각각 범퍼빔(3)의 후면과 프론트 사이드 멤버(미도시)에 조립된다. The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1)은 스태이 자체를 내측 스태이 패널(11)과 외측 스태이 패널(13)로 이원화하여 구성하되, 내측 스태이 패널(11)과 외측 스태이 패널(13)이 상호 겹치기 접합되는 상하 양측 트림라인(TL1,TL2,TL3,TL4)을 평면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호 엇갈린 "X"자 모양의 대각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여 용접 접합된다.Therefore, the bumper sta-
이로써, 2겹의 상하 양측 트림라인(TL1,TL2,TL3,TL4)이 충격력에 의한 응력을 차체 전방에서 후방으로 고르게 분산할 수 있도록 하며, 이에 따라 차량의 전방 충돌에 대한 충돌 흡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us, the two-ply upper and lower trim lines TL1, TL2, TL3 and TL4 can evenly distribute the stress caused by the impact force from the front of the vehicle to the rear, thereby improving the collision absorption performance against the frontal impact of the vehicle .
도 7은 종래 기술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의 정면 충돌 시험에 따른 응력 분포도이다.7 is a stress distribution diagram according to a frontal crash test of a bumper sta- tion unit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ior art and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상기 내측 및 외측 스태이 패널(11,13)이 박스 형상으로 조립된 단품 상태의 범퍼 스태이 유닛(1)의 충돌 시험 결과로, 종래 기술에 따른 범퍼 스태이 유닛(103)과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퍼 스태이 유닛(1)의 전방 저속 충돌에 의한 응력 분포와 변위량 및 전달하중을 비교하였다. 7 is a result of a collision test of the
즉, 충돌 해석의 시험조건으로 충돌속도는 10 Kph로 하였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퍼 스태이 유닛(1)은 저속 충돌 시험에서 다음과 같은 충돌 해석 결과를 가지며, 종래 기술의 범퍼 스태이 유닛(103)의 충돌 해석 결과치와 비교를 통하여 그 성능면에서 우수함을 알 수 있다.That is, the collision speed was set to 10 Kph as a test condition for the crash analysis, and the
이때, 종래 기술과 본 발명의 범퍼 스태이 유닛(103,1)의 충격력에 대한 응력 분포는 종래 기술에 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퍼 스태이 유닛(1)이 더 고르게 분산되어 흡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In this case, the stress distribution of the
또한, 변위량 비교에서, 인트루젼(Intrusion) 변위량은 종래 기술에 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범퍼 스태이 유닛(1)이 약 3.4mm 작게 나타났으며, 충격력이 범퍼 스태이 유닛을 통하여 프론트 사이드 멤버로 전달되는 전달 하중값 역시 종래 기술에 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범퍼 스태이 유닛(1)이 약 41 KN 작게 나타나는 결과를 얻을 수 있다. In comparison of displacement amounts, the amount of displacement of the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범퍼 스태이 유닛(1)가 종래 기술의 범퍼 스태이 유닛(103)에 비하여 응력 분포, 인트루젼 변위량, 전달 하중의 측면에서 양호하게 나타났으며, 충돌 성능이 더 우수함을 짐작할 수 있다. That is, the
이상으로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all changes to the scope that are deemed to be valid.
1: 범퍼 스태이 유닛
3: 범퍼빔
11: 내측 스태이 패널
13: 외측 스태이 패널
15,17: 장착 플레이트
B: 비드
TL1,TL2,TL3,TL4: 트림라인1: Bumpers unit
3: Bumper beam
11: Inner status panel
13: Outside stadium panel
15, 17: mounting plate
B: Bead
TL1, TL2, TL3, TL4: Trim line
Claims (8)
절곡 성형된 'ㄷ'자형 판재의 형상으로 내측 상단 트림라인과 내측 하단 트림라인이 상호 대각방향으로 형성되는 내측 스태이 패널;
절곡 성형된 'ㄷ'자형 판재의 형상으로 상기 내측 상단 트림라인 및 내측 하단 트림라인에 대응하도록 외측 상단 트림라인 및 외측 하단 트림라인이 상호 대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측 스태이 패널의 내측 상단 트림라인 및 내측 하단 트림라인에 상기 외측 상단 트림라인 및 외측 하단 트림라인을 상호 겹쳐진 상태로 접합되어 상기 내측 스태이 패널과 함께 박스형상을 이루는 외측 스태이 패널;
상기 내측 및 외측 스태이 패널의 전,후단에 각각 접합되는 장착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A bumper unit for a vehicle interconnecting a bumper beam and a front side member,
An inner side stance panel in which an inner upper trim line and an inner lower side trim line are formed in a diagonal direction in a shape of a bent 'C' shaped plate material;
The upper upper trim line and the lower lower trim line are formed in a mutually diagonal direction so as to correspond to the inner upper trim line and the lower inner trim line in the shape of the bent upper part of the inner upper trim line, And an outer side stance panel joined to the inner lower side trim line in a state where the outer upper and lower outer side trim lines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to form a box shape together with the inner side stance panel;
A mounting plate joined to front and rear ends of the inner and outer stance panels, respectively;
And a bumper unit for a vehicle.
상기 내측 스태이 패널은
내측면 양측에 상하방향으로 비드가 형성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inner stance panel
And a bead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side in a vertical direction.
상기 비드는
상기 내측면에 대하여 'V'자 형상으로 오목한 요홈으로 형성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3. The method of claim 2,
The bead
And is formed as a concave groove having a 'V' shape with respect to the inner side surface.
상기 외측 스태이 패널은
외측면 일측에 상하방향으로 비드가 형성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outer side panel
And a bead i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outer side surface.
상기 비드는
상기 외측면에 대하여 'V'자 형상으로 오목한 요홈으로 형성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5. The method of claim 4,
The bead
And is formed as a concave groove having a 'V' shape with respect to the outer side surface.
상기 내측 상단 트림라인과 내측 하단 트림라인은 평면방향으로 'X'자 형상으로 배치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ner upper trim line and the inner lower trim line are arranged in an " X " shape in a planar direction.
절곡 성형된 'ㄷ'자형 판재의 형상으로 내측 상단 트림라인과 내측 하단 트림라인이 상호 대각방향으로 형성되며, 내측면에 양측에 'V'자 형상으로 오목한 요홈의 비드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내측 스태이 패널;
절곡 성형된 'ㄷ'자형 판재의 형상으로, 외측면에 'V'자 형상으로 오목한 요홈의 비드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내측 상단 트림라인 및 내측 하단 트림라인에 대응하도록 외측 상단 트림라인 및 외측 하단 트림라인이 상호 대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내측 스태이 패널의 내측 상단 트림라인 및 내측 하단 트림라인에 상기 외측 상단 트림라인 및 외측 하단 트림라인을 상호 겹쳐진 상태로 접합되어 상기 내측 스태이 패널과 함께 박스형상을 이루는 외측 스태이 패널;
상기 내측 및 외측 스태이 패널의 전,후단에 각각 접합되는 장착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A bumper unit for a vehicle interconnecting a bumper beam and a front side member,
The inner upper trim line and the lower inner trim line are formed in a diagonal direction in a shape of a bent 'C' shaped plate material, and a bead of concave groov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inner side in a shape of 'V' The status panel;
A bead of concave grooves formed in a shape of a letter 'V' on the outer side i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n outer upper trim line and a lower upper trim line are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inner upper trim line and the inner lower end trim line, The outer lower trim line is formed in a mutually diagonal direction so that the inner upper trim line and the lower inner trim line of the inner stance panel are joined to each other so that the outer upper trim line and the outer lower trim line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n outer stance panel together with a box shape;
A mounting plate joined to front and rear ends of the inner and outer stance panels, respectively;
And a bumper unit for a vehicle.
상기 내측 상단 트림라인과 내측 하단 트림라인은 평면방향으로 'X'자 형상으로 배치되는 차량용 범퍼 스태이 유닛.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inner upper trim line and the inner lower trim line are arranged in an " X " shape in a planar direction.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69833A KR101689581B1 (en) | 2015-12-01 | 2015-12-01 | Bumper stay unit for vehicl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69833A KR101689581B1 (en) | 2015-12-01 | 2015-12-01 | Bumper stay unit for vehicles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689581B1 true KR101689581B1 (en) | 2016-12-26 |
Family
ID=5773373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169833A Expired - Fee Related KR101689581B1 (en) | 2015-12-01 | 2015-12-01 | Bumper stay unit for vehicle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689581B1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823428B1 (en) * | 2017-02-28 | 2018-01-30 | 강영도 | Apparatus for inspecting the assembling state of sealer for vehicle |
| KR102701585B1 (en) * | 2024-05-23 | 2024-09-02 | 주식회사 엘리트산업 | Forming method of shock absorption grooves for vehicle bumper stay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7360811B2 (en) * | 2005-06-24 | 2008-04-22 |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 Bumper for a motor vehicle |
| JP2008120324A (en) * | 2006-11-15 | 2008-05-29 | Toyotomi Kiko Co Ltd | Energy absorption member for vehicles |
| JP2012162108A (en) * | 2011-02-03 | 2012-08-30 | Toyota Motor Corp | Vehicle front structure |
| KR20140127812A (en) * | 2012-02-03 | 2014-11-04 | 마그나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 Crash box for a bumper assembly |
-
2015
- 2015-12-01 KR KR1020150169833A patent/KR10168958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7360811B2 (en) * | 2005-06-24 | 2008-04-22 |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 Bumper for a motor vehicle |
| JP2008120324A (en) * | 2006-11-15 | 2008-05-29 | Toyotomi Kiko Co Ltd | Energy absorption member for vehicles |
| JP2012162108A (en) * | 2011-02-03 | 2012-08-30 | Toyota Motor Corp | Vehicle front structure |
| KR20140127812A (en) * | 2012-02-03 | 2014-11-04 | 마그나 인터내셔널 인코포레이티드 | Crash box for a bumper assembly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823428B1 (en) * | 2017-02-28 | 2018-01-30 | 강영도 | Apparatus for inspecting the assembling state of sealer for vehicle |
| KR102701585B1 (en) * | 2024-05-23 | 2024-09-02 | 주식회사 엘리트산업 | Forming method of shock absorption grooves for vehicle bumper stay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316876B1 (en) | Bumper assembly for vehicle | |
| US9327665B2 (en) | Energy absorbing apparatus for a bumper rail | |
| US9187053B2 (en) | Advanced engagement small overlap deflector | |
| US8919835B1 (en) | Structure for absorbing frontal collision energy of vehicle | |
| KR101689581B1 (en) | Bumper stay unit for vehicles | |
| KR100932672B1 (en) | Bumper Beam Unit for Vehicle | |
| US20170073014A1 (en) | Energy Transferring Apparatus of a Vehicle | |
| KR20130136302A (en) | Bumper assembly for vehicle | |
| KR101359966B1 (en) | Bumper beam unit for vehicles | |
| KR102002308B1 (en) | Bumper beam for vehicles | |
| KR101034790B1 (en) | Car Crash Box | |
| KR101826541B1 (en) | Bumper assembly for vehicle | |
| KR101118954B1 (en) | Crash box in automotive bumper system | |
| CN106275087B (en) | An automobile cabin assembly | |
| KR20130070358A (en) | Bumper beam unit for vehicle | |
| KR101609325B1 (en) | Crash box in vehicle bumper system | |
| KR20120075026A (en) | A bumper beam unit for vehicles | |
| KR101270938B1 (en) | Bumper stay unit for vehicle | |
| KR20120129331A (en) | Beam bracket for mounting impact beam in door | |
| KR101057986B1 (en) | Bumper Unit for Vehicle | |
| KR102456470B1 (en) | Bumper stay unit for vehicles | |
| KR20090064056A (en) | Bumper Beam Unit for Vehicle | |
| KR101594489B1 (en) | Bumper stay unit for vehicles | |
| KR101523851B1 (en) | Front side member with collision avoidance structure for vehicle | |
| KR20190029960A (en) | Bumper beam unit for vehicle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3122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31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