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3817B1 - The Frame of prefab building - Google Patents
The Frame of prefab build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83817B1 KR101683817B1 KR1020160022112A KR20160022112A KR101683817B1 KR 101683817 B1 KR101683817 B1 KR 101683817B1 KR 1020160022112 A KR1020160022112 A KR 1020160022112A KR 20160022112 A KR20160022112 A KR 20160022112A KR 101683817 B1 KR101683817 B1 KR 1016838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bracket
- fixing member
- unit
- vertic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9432 fram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12 assembl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29 assembl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0391 vinyl group Chemical group [H]C([*])=C([H])[H]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26—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longitudinal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 E04B1/40—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5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bar-shaped building elements
-
- E04B2001/405—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택, 창고, 건조장, 온실 등 다양한 용도의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건축물 골조를 시공할 때에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또 각 프레임들을 흔들림없이 보다 견고하고 안전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조립식 건축물의 기초바닥에 종·횡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바닥프레임(110)과, 상기 바닥프레임(110)이 만나는 각 단부 및 바닥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수직프레임(120)과, 상기 수직프레임(120)의 상단부에 상향 기울기를 갖도록 경사지게 고정 설치되는 지붕프레임(130)과, 상기 수직프레임 및 지붕프레임 각각을 가로지도록 종·횡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지지프레임(140)으로 구성된 조립프레임(100); 상기 종·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바닥프레임(110)과 수직프레임(120)이 만나는 모서리에 설치되어 바닥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을 고정하는 모서리 고정부재(200); 상기 모서리 고정부재(200)가 설치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바닥프레임(110)과 수직프레임(120)의 고정부위, 상기 수직프레임(120)과 지붕프레임(130)의 고정부위, 상기 수직프레임(120)과 지지프레임(140)의 고정부위, 상기 지붕프레임(130)과 지지프레임(140)의 고정부위와 각각 준하는 형상 및 각도를 가지면서 그 각 고정부위를 감싼 채로 결합부재(410)를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각 프레임들을 서로 고정하는 프레임 고정부재(300);로 이루어진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고정부재(200)는, 상기 종·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바닥프레임(110)과 수직프레임(120)의 하면 및 외측면에 각각 바닥판의 상면과 양측벽의 내측면이 면 접촉된 상태로 상기 바닥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을 바깥쪽에서 고정 지지하도록 바닥판과 그 바닥판의 인접되는 양 변에 수직방향으로 측벽을 형성시켜 된 외측고정부재(210)와, 상기 외측고정부재(210)의 내측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외측고정부재(210)의 바닥면에 적층되어 그 외측고정부재와 중첩되게 위치된 상태에서 양측벽 외측면이 상기 외측고정부재(210)에 지지된 종·횡방향 바닥프레임(110)의 내측면에 면 접촉되면서 상기 바닥프레임을 안쪽에서 고정 지지하도록 바닥판과 그 바닥판의 인접되는 양 변에 수직방향으로 측벽을 형성시켜 된 내측고정부재(220)로 구성되고, 상기 모서리 고정부재(200)가 설치되는 기초바닥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고정수단(400)이 설치되며, 상기 외측고정부재(210)와 내측고정부재(220)의 중첩부분에는 상기 고정수단(400)이 관통되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서로 연통되게 각각 관통홀(230)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고정부재(210)와 내측고정부재(220)는 상기 고정수단(400)에 너트결합되는 고정너트(401)에 의해 중첩된 상태로 상호 결합됨과 동시에 기초바닥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 고정부재(300)는 짝을 이루는 2개의 단위브라켓으로 이루어져 각 단위브라켓이 해당 프레임들의 고정부위를 양측면에서 감싸 서로 마주보게 결합되어 지되, 각 단위브라켓은 그 사이에 간극(380)이 형성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me structure of a building which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when constructing a building frame for use in various purposes such as a house, a warehouse, a drying place, a greenhouse, and the lik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 structure for a building, which comprises a floor frame (110) fixedly installed longitudinally and transversely to a foundation floor of a prefabricated building, a vertical frame (110) fixedly install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floor frame A roof frame 130 slantingly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120 so as to have an upward slope and a support frame 130 fixedly installed longitudinally and laterally across the vertical frame and the roof frame, (140); A corner fixing member 200 installed at a corner where the vertical frame 120 meets the vertical frame 120 and the vertical frame 120 install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to fix the bottom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The fixed portion of the vertical frame 120 and the fixing portions of the vertical frame 120 and the fixed frame of the roof frame 130 except for the portion where the corner fixing member 200 is installed, And the support frame 140 and the fixation parts of the roof frame 130 and the support frame 140 with the respective fixation parts being wrapped around the joint parts 410 And a frame fixing member (300) for fixing the frames to each other, wherein the corner fixing member (200) comprises a bottom frame (110)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vertical frame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ottom plate and the outer side surfaces of the bottom plate 120 and the side walls of the bottom plate are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so as to fix the bottom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on the outside, Vertical room An outer fixing member 210 detachably mounted on the inner side of the outer fixing member 210 and stack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outer fixing member 210 so as to be overlapped with the outer fixing member 210, The outer side surfaces of the side walls ar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longitudinal and transverse floor frames 110 supported by the outer side fixing members 210 to fix the bottom frame to the inside, And an inner fixing member 220 having side walls vertically formed on adjacent sides of the corner fixing member 200. Fixing means 400 protruding upward is provided on a foundation floor on which the corner fixing member 200 is installed, A through hole 230 is formed in the overlapping portion of the outer fixing member 210 and the inner fixing member 220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so that the fixing means 400 penetrates and protrudes upward, And the inner fixing member 22 0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 superimposed state by a fixing nut 401 which is nut-coupled to the fixing means 400 and are fixed to the floor of the foundation, and the frame fixing member 300 has two mating units And the unit brackets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as to face each other at opposite sides of the fixed portions of the frames, and each unit bracket is coupled to form a gap 380 therebetween.
Description
본 발명은 주택, 창고, 건조장, 온실 등 다양한 용도의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건축물 골조를 시공할 때에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또 각 프레임들을 흔들림없이 보다 견고하고 안전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ame structure of a building which is easy to assemble and disassemble when constructing a building frame for use in various purposes such as a house, a warehouse, a drying place, a greenhouse, and the like, .
일반적으로, 조립식 시설구조물의 뼈대(골조)는 복수개의 조립프레임과 각각의 조립프레임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조합하여 구조물을 이루게 되는데, 이러한 구조물의 뼈대를 이루기 위해 종래에는 소정의 지름을 갖는 파이프나 목재 등을 필요한 길이로 절단해 이를 조합하여 용접이나 못박음으로 고정하여 구조물을 이루었다.In general, a frame (frame) of a prefabricated facility structure is formed by combining a plurality of frame assemblies and a connecting member connecting the respective frame frames. In order to form the frame of such a structure, conventionally, Wood, etc., are cut to the required length, combined and welded or nailed to form a structure.
종래의 일 예로 각종 구조물을 제작하기 위하여 뼈대(골조)로 사용되는 프레임은 대부분 직각으로 조립되고, 이러한 프레임은 대체적으로 사각기둥이나 원형의 프레임 형태이며, 각각의 프레임과 조립블록의 대응면에 각각 결합구멍과 가이드편을 형성하여 맞물리도록 한 후, 볼트 또는 피스를 체결시켜 프레임과 조립블록이 결합되는 방식으로, 다수개의 프레임을 조립하여 각종 구조물의 뼈대(골조)로 사용하게 한다.For example, a frame used as a skeleton (frame) for assembling various structures is assembled at a right angle, and the frame is generally a square column or a circular frame, A plurality of frames are assembled in such a manner that the frame and the assembly block are assembled by engaging the bolts or pieces after the engagement holes and the guide pieces are formed and engaged with each other to be used as a skeleton (frame) of various structures.
따라서 상기와 같은 조립부재는 볼트 및 피스를 체결하기 위하여 볼트 및 피스가 삽입된 위치로 어림짐작으로 이동시킨 후, 볼트와 결합시켜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불편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the assembling member as described above must be moved to a position where the bolt and the piece are inserted in order to tighten the bolt and the piece, and then must be coupled with the bolt. Therefore, the assembly is inconvenient and takes a long time.
종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서, 특허공개 제10-2008-0096085호(조립식 주택의 골조), 특허공개 제10-2011-0013731호(조립식 건축물의 조립구조)가 개시되어 있다.As a technique for solving such a problem in the related art, 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2008-0096085 (frame of a prefabricated house) an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1-0013731 (an assembly structure of a prefabricated building) are disclosed.
상기 특허공개 제10-2008-0096085호는 바닥판, 측벽판, 천정판 및 지붕판을 지지하기 위하여, 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서로 연결된 바닥골조와, 상기 바닥골조가 연결된 모서리 위치 각각에서 연직으로 세워져 하단이 상기 바닥골조에 연결된 기둥골조와, 상기 바닥골조가 형성하는 사각형에 대응되는 사각형을 이루도록 배열되어 서로 연결되며 그 연결된 모서리 위치 각각이 상기 기둥골조 각각에 연결되는 천정골조, 및 상기 천정골조에 연결되어 그 상부에 설치되는 지붕골조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In order to support the bottom plate, the side wall plate, the ceiling plate and the roof plate, the above-mentione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08-0096085 discloses a floor structure comprising a bottom frame connected to be arranged in a square shape and connected to each other, A bottom frame connected to the bottom frame, a ceiling frame connected to the square frame corresponding to a square formed by the bottom frame and connected to each of the column frames, And a roof frame to be connected to the upper part thereof.
그러나 특허는 상기 바닥골조와 기둥골조와 천정골조 및 지붕골조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의 구조가 복잡하고 그에 따라 시공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patent has a problem in that the structure of the connecting member for connecting the bottom frame, the column frame, the ceiling frame and the roof frame is complicated and the construction time is increased accordingly.
그리고 상기 특허공개 제10-2011-0013731호는 건축물을 형성하기 위해 결합되는 수평 및 수직골조와; 상기 수평 및 수직골조를 연결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 및 수직골조는 각각 사각파이프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는 측벽들에 의해 상부가 개방된 상태를 이루고, 상기 수평 및 수직골조가 상하방향으로 각각 끼움고정되는 상부 및 하부연결부재로 이루어져 있다.And,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2011-0013731 discloses a floor structure comprising horizontal and vertical frames joined to form a building; Where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frames are each formed of a square pipe and the connection portion is opened by the side walls so that the horizontal and vertical frames ar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oriented, And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members, respectively.
그러나 상기 특허는 중공관으로 된 연결부를 제작하는 경우, 수평 및 수직골조의 크기보다는 더 큰 내부공간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연결부의 내부로 수평 및 수직골조를 끼워 결합하여 고정하더라도, 연결부 내주면과 수평 및 수직골조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됨에 따라 결합 고정 후에도 수평 및 수직골조가 쉽게 흔들리게 되는 등 견고하게 결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a connection part made of a hollow tube, the above-mentioned patent has a larger inner space tha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frame sizes, so that even if horizontal and vertical frames are fitted and fixed to the inside of the connection part, A gap is formed between the frame and the frame, so that the horizontal and vertical frames are easily shaken even after the coupling and fixing.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주택, 창고, 건조장, 온실 등 다양한 용도의 목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건축물 골조를 시공할 때에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특히 모서리 고정부재의 구조를 개선하여 바닥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을 효과적으로 고정 지지할 수 있고, 또 바닥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을 고정 지지하면서 모서리 고정부재를 기초바닥에 고정 설치할 수 있으며, 각 프레임들의 고정부위마다 그에 맞는 프레임 고정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숙련공이 아니더라도 각 프레임들의 조립이 용이함은 물론 신속하게 조립작업을 할 수 있는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ucture frame for use in a variety of uses such as houses, warehouses,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fix and support the bottom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fixing member and to fix the corner fixing member to the bottom floor while fixing the bottom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rame of a prefabricated building which is easy to assemble each frame, and can assemble quickly even if it is not an artisan.
또한, 본 발명에서는 프레임 고정부재를 짝을 이루도록 서로 대응된 2개의 단위브라켓으로 각각 제작하여 각 프레임들의 양측면에서 감싸 지지한 채로 상호 결합 고정함으로써, 각 프레임들과의 결합력을 강화하여 흔들림없이 견고하고 안전하게 조립할 수 있음은 물론, 골조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fixing members are respectively made of two unit bracket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so as to be paired, and are fastened to each other while being wrapped around both sides of each frame, thereby strengthening the coupling force with each frame,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frame structure of a prefabricated building that can be safely assembled and can increase the durability of the frame.
또한, 본 발명은 골조를 이중으로 시공할 수 있음으로써 내구성 및 단열성능을 높일 수 있는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rame of a prefabricated building which can increase the durability and the heat insulation performance by being able to construct the frame twic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는, 조립식 건축물의 기초바닥에 종·횡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바닥프레임(110)과, 상기 바닥프레임(110)이 만나는 각 단부 및 바닥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고정 설치되는 수직프레임(120)과, 상기 수직프레임(120)의 상단부에 상향 기울기를 갖도록 경사지게 고정 설치되는 지붕프레임(130)과, 상기 수직프레임 및 지붕프레임 각각을 가로지도록 종·횡 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지지프레임(140)으로 구성된 조립프레임(100); 상기 종·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바닥프레임(110)과 수직프레임(120)이 만나는 모서리에 설치되어 바닥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을 고정하는 모서리 고정부재(200); 상기 모서리 고정부재(200)가 설치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바닥프레임(110)과 수직프레임(120)의 고정부위, 상기 수직프레임(120)과 지붕프레임(130)의 고정부위, 상기 수직프레임(120)과 지지프레임(140)의 고정부위, 상기 지붕프레임(130)과 지지프레임(140)의 고정부위와 각각 준하는 형상 및 각도를 가지면서 그 각 고정부위를 감싼 채로 결합부재(410)를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각 프레임들을 서로 고정하는 프레임 고정부재(300);로 이루어진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에 있어서, 상기 모서리 고정부재(200)는, 상기 종·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바닥프레임(110)과 수직프레임(120)의 하면 및 외측면에 각각 바닥판의 상면과 양측벽의 내측면이 면 접촉된 상태로 상기 바닥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을 바깥쪽에서 고정 지지하도록 바닥판과 그 바닥판의 인접되는 양 변에 수직방향으로 측벽을 형성시켜 된 외측고정부재(210)와, 상기 외측고정부재(210)의 내측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외측고정부재(210)의 바닥면에 적층되어 그 외측고정부재와 중첩되게 위치된 상태에서 양측벽 외측면이 상기 외측고정부재(210)에 지지된 종·횡방향 바닥프레임(110)의 내측면에 면 접촉되면서 상기 바닥프레임을 안쪽에서 고정 지지하도록 바닥판과 그 바닥판의 인접되는 양 변에 수직방향으로 측벽을 형성시켜 된 내측고정부재(220)로 구성되고, 상기 모서리 고정부재(200)가 설치되는 기초바닥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고정수단(400)이 설치되며, 상기 외측고정부재(210)와 내측고정부재(220)의 중첩부분에는 상기 고정수단(400)이 관통되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서로 연통되게 각각 관통홀(230)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고정부재(210)와 내측고정부재(220)는 상기 고정수단(400)에 너트결합되는 고정너트(401)에 의해 중첩된 상태로 상호 결합됨과 동시에 기초바닥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 고정부재(300)는 짝을 이루는 2개의 단위브라켓으로 이루어져 각 단위브라켓이 해당 프레임들의 고정부위를 양측면에서 감싸 서로 마주보게 결합되어 지되, 각 단위브라켓은 그 사이에 간극(380)이 형성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 frame of a prefabricated building includes a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에 따르면, 모서리 고정부재의 구조 개선으로 각 프레임들을 효과적으로 고정 지지하면서 기초바닥에 고정할 수 있고, 각 프레임들의 고정부위마다 그에 맞는 프레임 고정부재로 연결하여 고정함으로써 각 프레임들을 단시간내에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음은 물론 그에 따라 작업능률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프레임 고정부재를 짝을 이루는 2개의 단위브라켓으로 제작하여 각 프레임들의 양측면에서 각각 감싸 지지한 채로 상호 결합되게 시공함으로써 각 프레임들과의 결합력을 강화하고 골조의 내구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frame of the prefabricated building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frames can be fixed to the bottom of the foundation while effectively fixing and supporting the frames by the structure improvement of the corner fixing members. It is possible to easily assemble each frame with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thereby to improve the work efficiency. The frame fixing member is made of two unit brackets which are mated with each other, Thereby enhancing the bonding force with each frame and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the frame.
또한, 이중구조로 골조를 시공할 수 있음으로써 내구성 향상은 물론, 단열성능을 대폭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rame structure can be constructed with a double structure, the durability can be improved as well as the heat insulation performance can be greatly enhanc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를 보인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에서 모서리 고정부재의 발췌도,
도 2b는 도 2a의 분리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에서 제1브라켓의 발췌도,
도 3b는 도 3a의 분리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에서 제2브라켓의 발췌도,
도 4b는 도 4a의 분리도,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에서 'T'형으로 된 제3브라켓의 발췌도,
도 5b는 도 5a의 분리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에서 '╋'으로 된 제3브라켓의 발췌도,
도 6b는 도 6a의 분리도,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에서 제4브라켓의 발췌도,
도 7b는 도 7a의 분리도,
도 8a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에서 제5브라켓의 발췌도,
도 8b는 도 8a의 분리도,
도 9a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에서 제6브라켓의 발췌도,
도 9b은 도 9a의 분리도,
도 10a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에서 제7브라켓의 발췌도,
도 10b는 도 10a의 분리도,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에서 제8브라켓의 발췌도,
도 11b는 도 11a의 분리도,
도 12a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에서 제9브라켓의 발췌도,
도 12b는 도 12a의 분리도,
도 13a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에서 제10브라켓의 발췌도,
도 13b는 도 13a의 분리도,
도 14a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에서 도어골조의 모서리 골조브라켓의 발췌도,
도 14b는 도 14a의 분리도,
도 15a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에서 선반용 지지브라켓을 보인 발췌도,
도 15b는 도 15a의 분리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반용 지지브라켓에 선반을 설치한 상태도,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식 구조물을 이중구조로 설치한 상태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rame of a composite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A is an excerpt of an edge fixing member in a frame of a composite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shows the separation diagram of FIG. 2A,
FIG. 3A is an excerpt of a first bracket in a frame of a composite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B shows the separation diagram of FIG. 3A,
4A is an excerpt of a second bracket in a frame of a prefabricated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b shows the separation diagram of Figure 4a,
5A is an excerpt of a third bracket in the form of a 'T' in the frame of the prefabricated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B shows the separation diagram of FIG. 5A,
6A is an excerpt of a third bracket made of '╋' in the frame of the assembled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B shows the separation diagram of FIG. 6A,
7A is an excerpt of a fourth bracket in a frame of a composite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B is a sectional view of FIG. 7A,
8A is an excerpt of a fifth bracket in a frame of a prefabricated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B shows the separation diagram of FIG. 8A,
FIG. 9A is an excerpt of a sixth bracket in a frame of a prefabricated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B is a sectional view of FIG. 9A,
FIG. 10A is an excerpt of a seventh bracket in a frame of a prefabricated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B is a view showing the separation diagram of Fig.
11A is an excerpt of an eighth bracket in a frame of a prefabricated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1B shows the separation diagram of Fig. 11A,
12A is an excerpt of a ninth bracket in a frame of a composite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2B is a sectional view of Fig. 12A,
13A is an excerpt of a tenth bracket in a frame of a composite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3B shows the separation diagram of FIG. 13A,
14A is an excerpt of an edge frame bracket of a door frame in a frame of a prefabricated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4B shows the separation diagram of Fig. 14A,
FIG. 15A is an exploded view showing a support bracket for a shelf in a frame of a prefabricated build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15B shows the separation diagram of FIG. 15A,
16 is a state in which a shelf is installed in a support bracket for a shel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state in which the prefabricated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double structur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는 주택, 창고, 건조장, 온실 등과 같은 건축물의 골조로 사용되는 것으로, 조립식 건축물의 기초바닥에 종·횡방향으로 고정 설치되는 바닥프레임(110)과 수직프레임(120)과 지붕프레임(130) 및 지지프레임(140)을 포함하는 조립프레임(100)과, 모서리 고정부재(200), 프레임 고정부재(300)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1, the frame of the prefabricated buildin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framework of a building such as a house, a warehouse, a dry place, a greenhouse, and the like. An assembling
상기 조립프레임(100)을 구성하는 복수개의 바닥프레임과 수직프레임과 지붕프레임 및 지지프레임을 상기 모서리 고정부재(200)와 프레임 고정부재(300)로 연결 고정하여 본 발명의 건축물 골조를 형성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모서리 고정부재(200)는 고정수단(400)에 의해 기초바닥에 고정되어 설치되는 것이다.A plurality of floor frames constituting the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400)은 기초바닥의 콘크리트층에 설치되는 앵커볼트 등의 고정볼트이고, 상기 모서리 고정부재(200)의 고정을 위해 고정볼트에 모서리 고정부재(200)를 관통되게 하여 상기 고정볼트가 모서리 고정부재의 내측 상방으로 돌출되게 한 상태에서 고정너트(401)로 너트결합하여 고정하는 것이다.Here, the fixing means 400 is a fixing bolt such as an anchor bolt installed on the concrete floor of the foundation floor. In order to fix the
상기 조립프레임(100)을 이루는 각 프레임들은 상기 모서리 고정부재(200)와 프레임 고정부재(300)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연결하여 고정하기 위해 사각기둥으로 된 것을 사용하도록 한다.Each of the frames constituting the
상기 바닥프레임(110)은 종·횡방향으로 설치되어 다각형으로 된 바닥골조를 형성하기 위한 프레임으로서, 첨부 도면에서는 종·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바닥프레임이 서로 만나는 부위를 모서리 고정부재(200)로 결합하여 장방형으로 된 바닥골조를 형성하였다.The
상기 수직프레임(120)은 상기 바닥프레임(110)이 만나는 각 단부 및 바닥프레임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 간격으로 직교되게 고정 설치되는 프레임으로서, 바닥프레임에 등 간격으로 설치하는 경우는 건축물의 크기나 프레임의 강도 등의 조건에 따라 그 설치 개수를 달리할 수 있다.The
상기 지붕프레임(130)은 상기 수직프레임(120)의 상단부에 지붕골조를 이루도록 연결되어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상향 기울기를 갖도록 경사지게 설치된다. 첨부 도면에서는 지붕프레임에 대해, 수직프레임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경사지게 설치되는 경사프레임(131)과, 그 경사프레임(131)을 서로 연결하여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프레임(132)으로 구성되게 도시하였다.The
상기 지지프레임(140)은 건축물의 골조를 보강하기 위한 프레임으로서, 상기 지붕프레임(130) 각각을 서로 연결하거나 상기 수직프레임(120) 각각을 서로 연결하기 위한 것이며, 이러한 지지프레임(140)은 건축물의 크기나 강도 및 각 프레임들 간의 간격에 따라 그 설치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The supporting
상기 모서리 고정부재(200)는 종·횡방향으로 설치된 바닥프레임(110)과 수직프레임(120)이 만나는 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고정부재(210)와 내측고정부재(220)로 구성되어 상기 바닥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을 효과적으로 고정 지지하게 된다.The
상기 외측고정부재(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과 그 바닥판의 인접되는 양 변에 수직방향으로 측벽을 형성시켜 구성된다.
이러한 외측고정부재(210)는 상기 종·횡방향으로 설치된 바닥프레임(110)과 수직프레임(120)의 하면 및 외측면에 각각 바닥판의 상면과 양측벽의 내측면이 면 접촉된 상태로 상기 바닥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을 바깥쪽에서 고정 지지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내측고정부재(220)는 상기 외측고정부재(210)의 내측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외측고정부재(210)의 바닥면에 적층되어 그 외측고정부재와 중첩되게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외측고정부재(210)에 지지된 종·횡방향 바닥프레임(110)의 내측면에 면 접촉되면서 상기 바닥프레임을 안쪽에서 고정 지지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기 내측고정부재(220)는 상기 외측고정부재와 대비하여 부피가 작게 형성되어 지나, 외측고정부재와 같이 바닥판과 그 바닥판의 인접되는 양 변에 수직방향으로 측벽을 형성시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양측벽의 외측면이 상기 외측고정부재(210)에 지지된 바닥프레임(110)의 내측면에 면 접촉되어 바닥프레임을 지지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2, the outer fixing
The
The
The
이때, 상기 내측고정부재(220)는 바닥면이 상기 외측고정부재(210)에 중첩되게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바닥프레임의 내측면을 지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내측고정부재(220)는 외측고정부재(210)와 분리가능하게 구비하여 고정수단(400)에 고정너트(401)를 매개로 하여 중첩된 상태로 상호 결합됨은 물론, 기초바닥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이다.In this case, the
상기 바닥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은 외측고정부재(210)와 내측고정부재(220)에 지지된 상태에서 피스 등의 수단으로 고정 설치된다.The bottom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are fixed by means such as a piece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outer fixing
상기 모서리 고정부재(200)가 외측고정부재와 내측고정부재로 구성됨에 따라, 바닥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외측면과 내측면이 각각 효과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는 것이며, 외측고정부재와 내측고정부재에 바닥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외측면과 내측면이 밀착됨으로써 흔들림이 방지 또는 최소화되어 안정적으로 골조를 시공할 수 있게 된다.Since th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모서리 고정부재(200)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고정수단(400)에 고정너트(401)로 결합하여 기초바닥에 고정시킬 수 있음으로써 손쉬운 설치는 물론, 별도의 브라켓 없이도 모서리 고정부재만으로 고정할 수 있어 비용절감효과를 갖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상기 고정수단(400)에 고정너트(401)로 결합 고정하기 위해, 상기 외측고정부재(210)와 내측고정부재(220)의 중첩부분에는 각각 관통홀(230)이 상하방향으로 연통되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홀(230)을 관통하여 상방으로 돌출되는 고정수단(400)에 상기 고정너트(401)가 너트결합되어져 분리된 상기 외측고정부재와 내측고정부재를 중첩된 상태로 서로 결합시킬 수 있음은 물론, 기초바닥에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A through
상기 프레임 고정부재(300)는 상기 모서리 고정부재(200)가 설치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바닥프레임(110)과 수직프레임(120)의 고정부위, 상기 수직프레임(120)과 지붕프레임(130)의 고정부위, 상기 수직프레임(120)과 지지프레임(140)의 고정부위, 상기 지붕프레임(130)과 지지프레임(140)의 고정부위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각각 해당 프레임들의 고정부위와 준하는 형상 및 각도로 형성되어 진다.The
이러한 프레임 고정부재(300)는 해당 프레임들의 고정부위를 감싼 채로 결합부재(410)로 결합되어져 해당 프레임들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하게 된다.The
상기 프레임 고정부재(300)는 각 프레임들의 고정부위마다 그 형태가 상이하게 형성된 것으로, 각 실시예가 도 3a 내지 도 9b에 도시되어 있다.The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 고정부재(300)는 부메랑형, T형, 십자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각 프레임들의 고정부위와 준하는 형상과 각도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고, 각각의 프레임 고정부재(300)는 모두 2개의 단위브라켓으로 이루어져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아래에서는 프레임 고정부재(300)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120)과 지붕프레임(130)의 고정부위를 고정하는 프레임 고정부재(300)는 제1a단위브라켓(310a)과 제1b단위브라켓(310b)으로 된 제1브라켓(310)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1브라켓은 수직프레임과 지붕프레임의 양측면에 서로 마주보게 위치한 상태에서 결합부재(410)로 각각 수직프레임과 지붕프레임에 결합 고정된다.3A and 3B, a
상기 제1a단위브라켓(310a)과 제1b단위브라켓(310b)은 상호 대응되게 형성된 것으로, 일측은 상기 지붕프레임(130)의 경사각도만큼 절곡 형성되어 있고, 내측에는 상기 수직프레임과 지붕프레임의 일측면 및 그 일측면과 인접된 인접면의 일부분을 감싸 지지하도록 제1수용홈(311)이 형성되어 있다.The first
상기 제1브라켓(310)은 일측이 절곡되어 형성됨에 따라 전체적으로 부메랑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그리고 도 4a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붕프레임(130)과 지지프레임(140)의 고정부위를 고정하는 프레임 고정부재(300)는, 지붕프레임(130)의 경사프레임(131)과 지지프레임(140)의 고정부위에 설치되는 제2브라켓(320)과, 경사프레임(131)과 수평프레임(132) 및 지지프레임(140)의 고정부위에 설치되는 제3브라켓(325)으로 이루어진다.4A to 6B, the
상기 제2브라켓(320)은 제2a단위브라켓(320a)과 제2b단위브라켓(320b)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경사프레임(131)과 지지프레임(140)의 고정부위 양측면에 서로 마주보게 위치한 상태에서 결합부재(410)로 각각 결합되도록 상호 대응되게 'T'형 및 '╋'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a단위브라켓(320a)과 제2b단위브라켓(320b)의 내측에는 각각 경사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일측면 및 그 일측면과 인접된 인접면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제2수용홈(321)이 형성된다.The
그리고 상기 제3브라켓(325)은 제3a단위브라켓(325a)과 제3b단위브라켓(325b)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경사프레임(131)과 수평프레임(132) 및 지지프레임(140)의 고정부위 양측면에 서로 마주보게 위치한 상태에서 결합부재(410)로 각각 결합되도록 상호 대응되게 'T'형 및 '╋'으로 형성되는 것이다.The
이때, 상기 제3a단위브라켓(325a)과 제3b단위브라켓(325b)의 일측 날개부분은 상기 경사프레임의 경사각도와 동일각도로 절곡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3a단위브라켓(325a)과 제3b단위브라켓(325b)의 내측에는 각각 경사프레임과 수평프레임 및 지지프레임의 일측면 및 그 일측면과 인접된 인접면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제3수용홈(326)이 형성된다.In this case, one wing portion of the
여기서, 상기 제2브라켓(320)과 제3브라켓(325)의 형상을 'T'형으로 형성한 경우는 최외측의 지붕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을 연결하여 고정하는데 사용하는 형태이고, 상기 제2브라켓(320)과 제3브라켓(325)의 형상을 '╋'형으로 형성한 경우는 최외측의 지붕프레임을 제외한 나머지 지붕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을 연결하여 고정하는데 사용하는 형태이다.In the case where the
한편, 상기 지지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을 고정하는 프레임 고정부재에 대한 설명에 앞서, 상기 지지프레임(140) 중 조립식 건축물의 길이방향인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종방향 지지프레임(140a)은 외측면이 상기 수직프레임(120)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것이고, 상기 조립식 건축물의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횡방향 지지프레임(140b)은 양단부가 상기 수직프레임(120)의 서로 마주보는 일측면에 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In the meantime, before describing the frame fixing member for fixing the support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the
도 7a 내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120)과 지지프레임(140)의 고정부위를 고정하는 프레임 고정부재(300)는 수직프레임(120)과 종방향 지지프레임(140a)의 고정부위를 고정하는 제4브라켓(330)과, 수직프레임(120)과 횡방향 지지프레임(140b)의 고정부위를 고정하는 제5브라켓(330)으로 구성된다.7A and 8B, the
상기 제4브라켓(330)은 조립식 건축물의 내부에서 상기 종방향 지지프레임(140a)을 감싼 채 수직프레임(120)의 일측면에 결합되도록 측면 형상이 ''형으로 형성된 것이고, 상기 제5브라켓(335)은 상호 대응되게 형성된 제5a단위브라켓(335a)과 제5b단위브라켓(335b)으로 이루어져 상기 수직프레임과 횡방향 지지프레임의 고정부위 양측면에서 서로 마주보게 위치한 상태에서 결합부재(410)로 각각 결합되어 진다.The
여기서, 상기 제5브라켓(335)의 제5a단위브라켓(335a)과 제5b단위브라켓(335b)의 내측에는 각각 상기 수직프레임과 횡방향 지지프레임의 일측면 및 그 일측면과 인접된 인접면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제5수용홈(336)이 형성된다.Inside the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서리 고정부재(200)가 설치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바닥프레임(110)과 수직프레임(120)의 고정부위를 고정하는 프레임 고정부재(300)는 제6a단위브라켓(340a)과 제6b단위브라켓(340b)로 구성된 제6브라켓(340)으로 이루어진다.9A and 9B, the
상기 제6브라켓(340)은 상기 바닥프레임(110)과 수직프레임(120)을 연결하도록 'T'형으로 형성되는 것이고, 제6a단위브라켓(340a)과 제6b단위브라켓(340b)이 상기 바닥프레임(110)과 수직프레임(120)의 양측면에서 서로 마주보게 위치한 상태에서 결합부재(410)로 각각 결합되어 진다.The
이때, 상기 제6a단위브라켓(340a)과 제6b단위브라켓(340b)의 내측에는 상기 바닥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일측면 및 그 일측면과 인접된 인접면의 일부분을 감싸 지지하도록 제6수용홈(341)이 형성된다.The 6a-
한편,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립프레임(100)에는 수직프레임(120)의 상단부에 상향 경사지게 설치된 지붕프레임의 경사프레임(131)에 수평으로 연결 고정되어 경사프레임을 지지하도록 제7브라켓(350)을 매개로 지붕프레임보강대(135)이 설치될 수 있다.10A and 10B, the
상기 제7브라켓(350)은 상기 지붕프레임(130)의 경사프레임과 지붕프레임보강대(135)의 양측면 서로 마주보게 위치한 상태에서 결합부재(410)로 각각 결합되도록 ''형으로 된 제7a단위브라켓(350a) 및 제7b단위브라켓(350b)으로 구성되는 것이고, 상기 제7a단위브라켓(350a) 및 제7b단위브라켓(350b)의 내측에는 각각 상기 지붕프레임(130)과 지붕프레임보강대(135)의 일측면 및 그 일측면과 인접된 인접면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제7수용홈(351)이 형성된다.The
또한, 도 11a 내지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붕프레임보강대(135)의 중간부분에는 상기 지붕프레임을 지지하도록 일단이 지붕프레임보강대에 제8브라켓(360)으로 고정되고 타단이 지붕프레임에 제9브라켓(365)으로 고정되는 지붕프레임지지대(136)가 설치될 수 있다.11A to 12B,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상기 제8브라켓(360)은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 제8a단위브라켓(360a) 및 제8b단위브라켓(360b)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지붕프레임(130)과 지붕프레임지지대(136)의 고정부위와 각각 준하는 형상 및 각도를 가지면서 그 고정부위를 양측면에서 감싼 채로 각각 결합부재(410)로 결합되어 진다.The
상기 제8a단위브라켓(360a) 및 제8b단위브라켓(360b)의 내측에는 각각 상기 지붕프레임과 지붕프레임지지대의 일측면 및 그 일측면과 인접되는 인접면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제8수용홈(361)이 형성되어 있다.The 8a-
그리고, 상기 제9브라켓(365)도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 2개의 단위브라켓 즉, 제9a단위브라켓(365a)과 제9b단위브라켓(365b)으로 구성되는 것이고, 상기 지붕프레임보강대와 지붕프레임지지대의 고정부위와 각각 준하는 형상 및 각도를 가지면서 그 고정부위를 양측면에서 감싼 채로 결합부재(410)로 결합되어 진다.The
상기 제9a단위브라켓(365a) 및 제9b단위브라켓(365b)의 내측에는 각각 지붕프레임보강대와 지붕프레임지지대의 일측면 및 그 일측면과 인접되는 인접면을 일부분을 감싸도록 제9수용홈(366)이 형성된다.The 9a-
여기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프레임들의 고정부위에 설치되는 제1브라켓 내지 제3브라켓, 제5브라켓 내지 제9브라켓은 모두 상호 대응되는 2개의 단위브라켓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러한 2개의 단위브라켓은 그 사이에 간극(380)이 형성되게 상호 이격되도록 구비되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상기 간극(380)의 형성으로 인해 각 단위브라켓의 내주면이 각 프레임들의 외면에 밀착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견고한 결합력을 유도하기 위함이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bracket to the third bracket, and the fifth bracket to the ninth bracket, which are provided at the fixed portions of the respective frames, are composed of two unit brackets that correspond to each other. So that the
따라서, 각각의 해당 프레임들 간의 고정부위가 흔들림없이 견고하게 결합됨으로써 전체적인 골조의 결합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the fixed portions between the respective frames are firmly coupled without shaking, thereby maximizing the bonding force of the entire frame.
한편, 상기 제1브라켓 내지 제9브라켓을 각 프레임들에 결합 고정하기 위한 결합부재(410)로서 나사못이나 피스 등을 사용한다. 그 이유는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여 각 프레임들을 관통하여 상호 나선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결합력이 약함은 물론 흔들림이 발생될 수 있음에 따라 흔들림없는 견고하게 결합하기 위함이다.A screw or a piece is used as a
상기 결합부재(410)는 후술되는 제10브라켓과 도어골조의 모서리 골조브라켓 및 프레임 골조브라켓을 결합하는 경우에도 사용된다.The
이때, 상기 제1브라켓 내지 제10브라켓과 도어골조의 모서리 골조브라켓 및 프레임 골조브라켓에는 상기 결합부재(410)의 결합위치는 물론 용이한 결합을 위해 결합홀이 복수개 형성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to tenth brackets, the corner framing brackets of the door frame, and the frame frame bracket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for easy coupling as well as the coupling positions of the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프레임을 이루는 각 프레임(바닥프레임, 수직프레임, 지붕프레임, 지지프레임)의 길이를 연장하는 경우, 해당 프레임의 서로 맞대어진 단부를 연결하기 위해 제10브라켓(370)이 설치된다.As shown in FIGS. 13A and 13B, when the length of each frame (bottom frame, vertical frame, roof frame, supporting frame) constituting the assembling frame is extended, A
상기 제10브라켓(370)은 상호 대응되게 형성된 한 쌍의 제10a단위브라켓(370a) 및 제10b단위브라켓(370b)으로 구성되는 것이고, 해당 프레임의 양측면에 서로 마주보게 위치한 상태에서 결합부재(410)로 각각 결합되어 진다.The
이러한 상기 제10a단위브라켓(370a) 및 제10b단위브라켓(370b)의 내측에는 각각 해당 프레임의 일측면 및 그 일측면과 인접되는 인접면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제10수용홈(371)이 형성되어 있다.A
그리고, 도 15a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프레임(120)에는 일측이 힌지축(155)으로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게 선반용 지지브라켓(150)이 설치될 수 있다.15A to 16, a
상기 선반용 지지브라켓(150)은 하방으로 회동된 경우에 상기 수직프레임(120)에 지지되어 그 수직프레임에 대해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것이며, 이 선반용 지지브라켓(150)에 선반(151)이 선반프레임(152)을 매개로 하여 연결 설치되는 것이다.The
상기 선반용 지지브라켓(150)이 상하방향으로 회동됨에 따라 상기 선반(151)을 설치한 상태에서도 선반(151)의 사용시에는 펼쳐 사용하는 것이며, 미사용시에는 상방으로 회동시켜 접어놓도록 하여 구조물의 내부공간을 더 넓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As the
본 발명의 상기 조립프레임(100)에는 내부 출입을 위해 일측이 상기 수직프레임(120)에 힌지결합되는 사각틀로 된 도어골조(160)가 설치될 수 있는 것이고, 이러한 도어골조(160)는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도어프레임(161)과, 그 도어프레임(161)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L'형으로 된 모서리 골조브라켓(162) 및 'T'형으로 된 프레임 골조브라켓(163)으로 구성된다.The
이때, 상기 모서리 골조브라켓(162)과 프레임 골조브라켓(163)은 도어프레임의 연결부위 양측면에 서로 마주보게 위치한 상태에서 결합부재(410)로 결합되게 짝을 이루도록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 2개의 단위브라켓으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호 결합시 그 사이에 간극(380)이 형성된다.At this time, the
상기 도어골조(160)는 첨부 도면에서는 조립식 건축물의 전면에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조립식 건축물의 후면이나 측면에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Although the
한편, 본 발명의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는 도 1과 같이 단일구조로 형성되거나,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중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frame of the prefabricated buil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formed as a single structure as shown in FIG. 1, or may be formed as a double structure as shown in FIG.
이중구조로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가 형성된 경우에는 내부골조(500)와, 그 내부골조(500)의 외부에 골조지지부재(520)를 매개로 일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되는 외부골조(510)로 구성된다.An
상기 내부골조(500)와 외부골조(510)는 각각 단일구조의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조립프레임과 모서리연결부재 및 프레임연결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외부골조(510)의 부피가 내부골조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The
상기 골조지지부재(520)는 내부골조와 외부골조의 사이에 설정된 간격 또는 선택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내부골조와 외부골조를 지지함과 아울러 상호 연결해주는 구성으로서, 내부골조(500)와 외부골조(510)의 프레임에 각각 설치되는 연결브라켓(521)과, 그 연결브라켓(521) 각각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프레임(522)으로 구성된다.The
상기 연결브라켓(521)은 내부골조와 외부골조의 프레임에 설치되면서 일측으로 연결프레임(522)이 끼워져 결합됨에 따라 'T'자형의 브라켓이 사용될 수 있다.The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를 이중구조로 형성한 경우는 내부골조와 외부골조의 사이에 단열공간이 형성됨으로써 단열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When the frame of the prefabricated building is formed as a double structure, an insulation space is formed between the inner frame and the outer frame, thereby improving the heat insulation efficiency.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 시공과정을 보면, 기초바닥에 고정된 고정수단(400)에 외부고정부재(210)를 관통되게 설치한다. 나머지 외부고정부재(210)도 이와 같은 방법으로 설치한다.In the fram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assembled buil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이후, 외측고정부재(210)에 2개의 바닥프레임(110)과 1개의 수직프레임(120)의 하면 및 외측면을 지지시킨 상태에서 피스 등으로 결합 고정하고, 내측고정부재(210)를 고정수단(400)에 관통시켜 외측고정부재(210)에 중첩시키면서 바닥프레임(110)의 내측면에 지지되게 하고, 그 상태에서 상부로 노출된 고정수단(400)에 고정너트(401)로 나선결합시켜 내측고정부재를 외측고정부재와 함께 고정수단(400)에 고정시킨다.The
바닥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을 모서리 고정부재에 설치한 후에는 수직프레임의 상측에 지붕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을 프레임 고정부재(300)로 연결 고정하여 설치한다. 이때 바닥프레임의 중간부위에 수직프레임을 더 설치할 수도 있고, 여러개의 바닥프레임을 연결하면서 각 바닥프레임의 연결과 함께 수직프레임을 설치할 수 있다.After the bottom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are installed on the corner fixing member, the roof frame and the support frame are fixed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프레임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조립프레임의 각 프레임(바닥프레임, 수직프레임, 지붕프레임, 지지프레임)을 연결 고정하여 기본 골조를 형성한 후에는 건축물의 길이방향 일측에 도어골조(160)를 힌지결합되게 설치한다.After the basic frames are formed by connecting and fixing the frames (the bottom frame, the vertical frame, the roof frame, and the support frame) of the assembly frame using the frame fixing members having various shapes, the
골조의 완성 후에는 건축물의 사용용도에 따라 패널을 결합하거나 비닐을 씌워 건축물을 시공하면 된다.After the frame is completed, you can join the panel or cover the building with the vinyl depending on the use of the building.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에 따르면, 조립프레임(바닥프레임, 수직프레임, 지붕프레임, 지지프레임)과 모서리 고정부재(200)와 프레임 고정부재(300)로 쉽게 조립하여 시공할 수 있고, 특히 건축물의 철거시에도 용이하게 분해할 수 있음으로써 작업성이 좋으며, 특히 모서리 고정부재로 바닥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고정할 수 있고, 또한 프레임 고정부재를 2개의 단위브라켓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각 프레임들의 흔들림없이 견고하게 연결하여 고정할 수 있어 건축물의 골조를 보다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fram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assemble the frame with the assembly frame (the bottom frame, the vertical frame, the roof frame, the support frame), the
100: 조립프레임 110: 바닥프레임
120: 수직프레임 130: 지붕프레임
131: 경사프레임 132: 수평프레임
135: 지붕프레임보강대 136: 지붕프레임지지대
140: 지지프레임 140a: 종방향 지지프레임
140b: 횡방향 지지프레임 150: 선반용 지지브라켓
151: 선반 152: 선반프레임
155: 힌지축 160: 도어골조
161: 모서리 골조브라켓 162: 프레임 골조브라켓
200: 모서리 고정부재 210: 외측고정부재
220: 내측고정부재 230: 관통홀
300: 프레임 고정부재 310: 제1브라켓
310a: 제1a단위브라켓 310b: 제1b단위브라켓
311: 제1수용홈 320: 제2브라켓
320a: 제2a단위브라켓 320b: 제2b단위브라켓
321: 제2수용홈 325: 제3브라켓
325a: 제3a단위브라켓 325b: 제3b단위브라켓
326: 제3수용홈 330: 제4브라켓
335: 제5브라켓 335a: 제5a단위브라켓
335b: 제5b단위브라켓 336: 제5수용홈
340: 제6브라켓 340a: 제6a단위브라켓
340b: 제6b단위브라켓 341: 제6수용홈
350: 제7브라켓 350a: 제7a단위브라켓
350b: 제7b단위브라켓 351: 제7수용홈
360: 제8브라켓 360a: 제8a단위브라켓
360b: 제8b단위브라켓 361: 제8수용홈
365: 제9브라켓 365a: 제9a단위브라켓
365b: 제9b단위브라켓 366: 제9수용홈
370: 제10브라켓 370a: 제10a단위브라켓
370b: 제10b단위브라켓 370: 제10수용홈
380: 간극 400: 고정수단
401: 고정너트 410: 결합부재
500: 내부골조 510: 외부골조
520: 이격부재 521: 연결브라켓
522: 연결프레임100: Assembly frame 110: Floor frame
120: vertical frame 130: roof frame
131: warp frame 132: horizontal frame
135: roof frame ribs 136: roof frame supports
140:
140b: transverse support frame 150: support bracket for lathe
151: shelf 152: shelf frame
155: Hinge shaft 160: Door frame
161: corner frame bracket 162: frame frame bracket
200: corner fixing member 210: outer fixing member
220: inner fixing member 230: through hole
300: frame fixing member 310: first bracket
310a: the
311: first receiving groove 320: second bracket
320a: the
321: second receiving groove 325: third bracket
325a: third
326: third receiving groove 330: fourth bracket
335:
335b: 5b-th unit bracket 336: fifth receiving groove
340:
340b: 6b unit bracket 341: sixth receiving groove
350:
350b: seventh unit bracket 351: seventh housing groove
360:
360b: 8b unit bracket 361: 8th receiving groove
365:
36b: 9b unit bracket 366: 9th receiving groove
370:
370b: 10b unit bracket 370: 10th receiving groove
380: Clearance 400: Securing means
401: fixing nut 410: coupling member
500: inner frame 510: outer frame
520: spacing member 521: connection bracket
522: Connection frame
Claims (14)
상기 모서리 고정부재(200)는, 상기 종·횡방향으로 설치되는 바닥프레임(110)과 수직프레임(120)의 하면 및 외측면에 각각 바닥판의 상면과 양측벽의 내측면이 면 접촉된 상태로 상기 바닥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을 바깥쪽에서 고정 지지하도록 바닥판과 그 바닥판의 인접되는 양 변에 수직방향으로 측벽을 형성시켜 된 외측고정부재(210)와, 상기 외측고정부재(210)의 내측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외측고정부재(210)의 바닥면에 적층되어 그 외측고정부재와 중첩되게 위치된 상태에서 양측벽 외측면이 상기 외측고정부재(210)에 지지된 종·횡방향 바닥프레임(110)의 내측면에 면 접촉되면서 상기 바닥프레임을 안쪽에서 고정 지지하도록 바닥판과 그 바닥판의 인접되는 양 변에 수직방향으로 측벽을 형성시켜 된 내측고정부재(220)로 구성되고,
상기 모서리 고정부재(200)가 설치되는 기초바닥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고정수단(400)이 설치되며,
상기 외측고정부재(210)와 내측고정부재(220)의 중첩부분에는 상기 고정수단(400)이 관통되어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서로 연통되게 각각 관통홀(230)이 형성되고, 상기 외측고정부재(210)와 내측고정부재(220)는 상기 고정수단(400)에 너트결합되는 고정너트(401)에 의해 중첩된 상태로 상호 결합됨과 동시에 기초바닥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프레임 고정부재(300)는 짝을 이루는 2개의 단위브라켓으로 이루어져 각 단위브라켓이 해당 프레임들의 고정부위를 양측면에서 감싸 서로 마주보게 결합되어 지되, 각 단위브라켓은 그 사이에 간극(380)이 형성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
A vertical frame 120 fixedly installed at equal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each of the ends of the bottom frame 110 and the bottom frame 110, A roof frame 130 fixedly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120 so as to have an upward slope and a support frame 140 fixedly installed longitudinally and laterally across the vertical frame and the roof frame, An assembled frame (100); A corner fixing member 200 installed at a corner where the vertical frame 120 meets the vertical frame 120 and the vertical frame 120 installed vertically and horizontally to fix the bottom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The fixed portion of the vertical frame 120 and the fixing portions of the vertical frame 120 and the fixed frame of the roof frame 130 except for the portion where the corner fixing member 200 is installed, And the support frame 140 and the fixation parts of the roof frame 130 and the support frame 140 with the respective fixation parts being wrapped around the joint parts 410 And a frame fixing member (300) for fixing the frames to each other,
The corner fixing member 200 is formed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and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side walls ar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120, An outer fixing member 210 having a bottom plate and side walls vertically formed on adjacent sides of the bottom plate so as to fixly support the bottom frame and the vertical frame from the outside, And the outer side surfaces of the side walls are supported by the outer side fixing member 210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stack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outer side fixing member 210 and overlapped with the outer side fixing member, And an inner fixing member 220 having a bottom plate and side walls vertically formed on adjacent sides of the bottom plate so as to fixedly support the bottom frame while being in surfac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frame 110,
A fixing means 400 protruding upward is provided on a base floor on which the corner fixing member 200 is installed,
A through hole 230 is formed in the overlapping portion of the outer fixing member 210 and the inner fixing member 220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so that the fixing means 400 penetrates and protrudes upward, And the inner fixing member 220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a superimposed state by a fixing nut 401 that is nut-coupled to the fixing means 400,
The frame fixing member 300 is composed of two unit brackets which are mated with each other, and the unit brackets wrap the fixing parts of the frames on both sides and are coupled to each other so as to face each other. Each unit bracket has a gap 380 formed therebetween Wherein the frame is joined to the frame.
상기 수직프레임(120)과 지붕프레임(130)의 고정부위를 고정하는 프레임 고정부재(300)는, 상기 수직프레임(120)과 지붕프레임(130)의 고정부위 양측면에 서로 마주보게 위치한 상태에서 결합부재(410)로 각각 결합되도록 상호 대응되게 형성된 제1a단위브라켓(310a)과 제1b단위브라켓(310b)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a단위브라켓(310a)과 제1b단위브라켓(310b)의 일측은 상기 지붕프레임(130)의 경사각도만큼 절곡되게 형성되며, 상기 제1a단위브라켓(310a)과 제1b단위브라켓(310b)의 내측에는 각각 상기 수직프레임과 지붕프레임의 일측면 및 그 일측면과 인접된 인접면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제1수용홈(311)이 형성시켜 된 제1브라켓(3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rame fixing member 300 fixing the fixing parts of the vertical frame 120 and the roof frame 130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fixed part of the vertical frame 120 and the roof frame 130 in a state of being opposed to each other. The first unit unit bracket 310a and the first unit unit bracket 310b are formed of a first unit unit bracket 310a and a first unit unit bracket 310b, The first unit unit bracket 310a and the first unit unit bracket 310b are respectively formed at one side of the vertical frame and the roof frame and adjacent to one side of the vertical frame and the roof frame, Is a first bracket (310) formed with a first receiving groove (311) so as to surround a part of an adjacent surface.
상기 지붕프레임(130)은 상기 수직프레임(120)의 상단부에 상향 기울기를 갖도록 경사지게 고정 설치된 2개의 경사프레임(131)과, 그 2개의 경사프레임(131) 를 서로 연결하도록 수평으로 고정 설치되는 수평프레임(132)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붕프레임(130)과 지지프레임(140)의 고정부위를 고정하는 프레임 고정부재(300)는, 상기 경사프레임(131)과 지지프레임(140)의 고정부위 양측면에 서로 마주보게 위치한 상태에서 결합부재(410)로 각각 결합되도록 상호 대응되게 형성된 'T'형 및 '╋'형의 제2a단위브라켓(320a)과 제2b단위브라켓(320b)으로 구성되고, 그 제2a단위브라켓(320a)과 제2b단위브라켓(320b)의 내측에는 각각 상기 경사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일측면 및 그 일측면과 인접된 인접면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제2수용홈(321)을 형성시켜 된 제2브라켓(320);
상기 경사프레임(131)과 수평프레임(132) 및 지지프레임(140)의 고정부위 양측면에 서로 마주보게 위치한 상태에서 결합부재(410)로 각각 결합되도록 일측 날개부분이 상기 경사프레임(131)의 경사각도와 동일각도로 절곡됨과 아울러 상호 대응되게 형성된 'T'형 및 '╋'형의 제3a단위브라켓(325a)과 제3b단위브라켓(325b)으로 구성되고, 그 제3a단위브라켓(325a) 및 제3b단위브라켓(325b)의 내측에는 각각 상기 경사프레임과 수평프레임과 지지프레임의 일측면 및 그 일측면과 인접되는 인접면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제3수용홈(326)을 형성시켜 된 제3브라켓(325);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oof frame 130 includes two inclined frames 131 fixed at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120 so as to have an upward inclination and inclined and horizontally fixed Frame 132,
The frame fixing member 300 for fixing the fixing parts of the roof frame 130 and the support frame 140 is fixed to both sides of the fixed part of the inclined frame 131 and the support frame 140, Unit bracket 320a and a 2b-unit bracket 320b form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so as to b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first unit bracket 320 and the second unit bracket 320, The second bracket 320b has a second receiving groove 321 formed at an inner side of the second bracket 320b to enclose a portion of one side of the oblique frame and the supporting frame, );
One w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inclined frame 131 and the horizontal frame 132 and the support frame 140 in such a manner that the wing portion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fixed portion of the horizontal frame 132 and the support frame 140, A third unit bracket 325a and a third unit bracket 325b which are bent at the same angle as the first unit bracket 325a, The third bracket 325b is provided at its inner side with a third receiving groove 326 formed so as to surround one side of the inclined frame,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supporting frame, (325);
Of the building structure.
상기 조립식 건축물의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종방향 지지프레임(140a)은 외측면이 상기 수직프레임(120)의 내측면에 접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조립식 건축물의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횡방향 지지프레임(140b)은 양단부가 상기 수직프레임(120)의 서로 마주보는 일측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수직프레임(120)과 지지프레임(140)의 고정부위를 고정하는 프레임 고정부재(300)는, 상기 수직프레임(120)과 종방향 지지프레임(140a)의 고정부위에 상기 종방향 지지프레임(140a)을 감싼 상태에서 상기 수직프레임(120)의 일측면 및 그 일측면과 인접되는 인접면의 일부분을 감싸 결합부재(410)로 결합되도록 측면 형상이 ''으로 형성된 제4브라켓(330);
상기 수직프레임(120)과 횡방향 지지프레임(140b)의 고정부위 양측면에 서로 마주보게 위치한 상태에서 결합부재(410)로 각각 결합되도록 상호 대응되게 형성된 'T'형의 제5a단위브라켓(335a) 및 제5b단위브라켓(336b)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5a단위브라켓(335a)과 제5b단위브라켓(335b)의 내측에는 각각 상기 수직프레임(120)과 횡방향 지지프레임(140b)의 일측면 및 그 일측면과 인접된 인접면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제5수용홈(336)을 형성시켜 된 제5브라켓(335)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ongitudinal support frame 140a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ssembled building is installed such that its outer side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120 and the transverse support frame 140b Are installed such that both ends of the vertical frame 120 are in contact with opposite sides of the vertical frame 120,
A frame fixing member 300 for fixing the fixing parts of the vertical frame 120 and the support frame 140 is fixed to the fixed part of the vertical frame 120 and the vertical support frame 140a, 140a is wrapped around the vertical frame 120 and a side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120 and a portion of the adjacent surface adjacent to the side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120, A fourth bracket 330 formed of 'a';
A 'T' type fifth a unit bracket 335a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members 410 in a state of being opposed to each other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fixed part of the vertical frame 120 and the transverse support frame 140b, And the 5b unit brackets 335b and the 5b unit brackets 335b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vertical frame 120 and the lateral support frame 140b, And a fifth bracket (335) having a fifth receiving groove (336) formed to surround a part of an adjacent surface adjacent to the one side surface.
상기 모서리 고정부재(200)가 설치되는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바닥프레임(110)과 수직프레임(120)의 고정부위를 고정하는 프레임 고정부재(300)는,
상기 바닥프레임(110)과 수직프레임(120)의 고정부위 양측면에 서로 마주보게 위치한 상태에서 결합부재(410)로 각각 결합되도록 상호 대응되게 형성된 'T'형의 제6a단위브라켓(340a) 및 제6b단위브라켓(340b)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6a단위브라켓(340a) 및 제6b단위브라켓(340b)의 내측에는 상기 바닥프레임(110)과 수직프레임(120)의 일측면 및 그 일측면과 인접된 인접면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제6수용홈(341)을 형성시켜 된 제6브라켓(34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rame fixing member 300 for fixing the fixed portions of the bottom frame 110 and the vertical frame 120 except for the portion where the corner fixing member 200 is installed,
A 'T' type 6a unit bracket 340a and a 'T' type unit bracket 340a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xing frame of the bottom frame 110 and the vertical frame 120, respectively, 6b unit brackets 340b and the 6a unit brackets 340a and the 6b unit brackets 340b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bottom frame 110 and one side of the vertical frame 120 And a sixth bracket (340) having a sixth receiving groove (341) formed to surround a part of the adjacent surface.
상기 조립프레임(100)에는 상기 수직프레임(120)의 상단부에 상향 경사지게 설치된 각 지붕프레임(130)에 양단이 제7브라켓(350)을 매개로 연결 고정되어 그 지붕프레임을 지지하는 지붕프레임보강대(135)가 수평 설치되고,
상기 제7브라켓(350)은, 상기 지붕프레임과 지붕프레임보강대의 양측면에 서로 마주보게 위치한 상태에서 결합부재(410)로 각각 결합되도록 상호 대응되게 형성된 ''형의 제7a단위브라켓(350a) 및 제7b단위브라켓(350b)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7a단위브라켓(350a) 및 제7b단위브라켓(350b)의 내측에는 각각 상기 지붕프레임과 지붕프레임보강대의 일측면 및 그 일측면과 인접되는 인접면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제7수용홈(35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ssembly frame 100 is connected to a roof frame 130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vertical frame 120 by sloping upward and connected to the roof frame through a seventh bracket 350 to support the roof frame 135 are horizontally installed,
The seventh brackets 350 are form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roof frame and the roof frame reinforcement bar so as to be coupled to the joint members 410 in a state of being opposed to each other, Shaped unit bracket 350a and a 7b-unit bracket 350b and the 7a-th unit bracket 350a and the 7b-unit bracket 350b are respectively provided with the roof frame and the roof frame reinforcement And a seventh receiving groove (351) is formed to surround a side surface and a part of the adjacent surface adjacent to the one side surface.
상기 지붕프레임보강대(135)의 중간부분에는 상기 지붕프레임을 지지하도록 일단이 지붕프레임보강대(135)에 제8브라켓(360)으로 고정되고 타단이 지붕프레임에 제9브라켓(365)으로 고정되는 지붕프레임지지대(136)가 설치되고,
상기 제8브라켓(360)은, 상기 지붕프레임(130)과 지붕프레임지지대(136)의 고정부위와 각각 준하는 형상 및 각도를 가지면서 그 고정부위를 양측면에서 감싼 채로 각각 결합부재(410)로 결합되도록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 제8a단위브라켓(360a) 및 제8b단위브라켓(360b)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8a단위브라켓(360a) 및 제8b단위브라켓(360b)의 내측에는 각각 상기 지붕프레임과 지붕프레임지지대의 일측면 및 그 일측면과 인접되는 인접면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제8수용홈(361)이 형성되며,
상기 제9브라켓(365)은, 상기 지붕프레임보강대와 지붕프레임지지대의 고정부위와 각각 준하는 형상 및 각도를 가지면서 그 고정부위를 양측면에서 감싼 채로 결합부재(410)로 결합되도록 서로 대응되게 형성된 제9a단위브라켓(365a) 및 제9b단위브라켓(365b)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9a단위브라켓(365a) 및 제9b단위브라켓(365b)의 내측에는 각각 지붕프레임보강대와 지붕프레임지지대의 일측면 및 그 일측면과 인접되는 인접면을 일부분을 감싸도록 제9수용홈(366)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
9. The method of claim 8,
The roof frame resisting frame 135 has a roof having one end fixed to the roof frame reinforcement 135 by an eighth bracket 360 and the other end fixed to the roof frame by a ninth bracket 365 so as to support the roof frame. A frame support 136 is provided,
The eighth bracket 360 has a shape and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fixed portions of the roof frame 130 and the roof frame support 136, The 8a unit bracket 360a and the 8b unit bracket 360b are formed in correspondence with each other so that the roof frame and the roof frame 360b are formed inside the 8a unit bracket 360a and the 8b unit bracket 360b, An eighth receiving groove (361) is formed to surround one side of the support and a part of the adjacent surface adjacent to the one side of the support,
The ninth bracket 365 has a shape and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fixed portions of the roof frame reinforcement member and the roof frame support member and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joint members 410 9a unit bracket 365a and a 9b unit bracket 365b and on the inside of the 9a unit bracket 365a and the 9b unit bracket 365b are formed respective side surfaces of a roof frame reinforcement and a roof frame support, And a ninth receiving groove (366) is formed to surround a part of the adjacent surface adjacent to the one side surface.
상기 제7브라켓과 제8브라켓 및 제9브라켓은 각 프레임들의 양측면에 서로 마주보게 결합된 경우 그 사이에 간극(38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seventh bracket, the eighth bracket, and the ninth bracket are formed with gaps (380) therebetween when both sides of the frames are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바닥프레임(110)과 수직프레임(120)과 지붕프레임(130) 또는 지지프레임(140)의 길이를 연장하는 경우, 해당 프레임의 서로 맞대어진 단부를 연결하기 위해 제10브라켓(370)이 설치되고,
상기 제10브라켓(370)은, 해당 프레임의 양측면에 서로 마주보게 위치한 상태에서 결합부재(410)로 각각 결합되도록 상호 대응되게 형성된 한 쌍의 제10a단위브라켓(370a) 및 제10b단위브라켓(370b)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0a단위브라켓(370a) 및 제10b단위브라켓(370b)의 내측에는 각각 해당 프레임의 일측면 및 그 일측면과 인접되는 인접면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제10수용홈(37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lengths of the bottom frame 110, the vertical frame 120 and the roof frame 130 or the support frame 140 are extended, a tenth bracket 370 is installed to connect the ends of the frames, And,
The tenth bracket 370 includes a pair of a 10a unit brackets 370a and a pair of 10b unit brackets 370a and 370b that are formed so as to b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engaging members 410 in a state of being opposed to each other on opposite sides of the frame, The 10th unit bracket 370a and the 10b unit bracket 370b are respectively provided with a tenth receiving groove 371a for enclosing a part of one side of the frame and the adjacent side adjacent to the one side of the frame, ) Is formed on the side wall of the frame.
상기 수직프레임(120)에는 일측이 힌지축(155)으로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게 구비되어 지되, 하방으로 회동된 경우에 상기 수직프레임(120)에 지지되어 그 수직프레임에 대해 직각을 이루도록 선반용 지지브라켓(15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ertical frame 120 is coupled to the vertical frame 120 by a hinge shaft 155 and rotates in a vertical direction. When the vertical frame 120 is rotated downward, And a support bracket (150) for supporting the support bracket (150).
상기 조립프레임(100)에는 내부 출입을 위해 일측이 상기 수직프레임(120)에 힌지결합되는 사각틀로 된 도어골조(160)가 설치되고,
상기 도어골조(160)는,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도어프레임(161)과, 그 도어프레임(161)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L'형으로 된 모서리 골조브라켓(162) 및 'T'형으로 된 프레임 골조브라켓(163)으로 구성되며,
상기 모서리 골조브라켓(162)과 프레임 골조브라켓(163)은 각각 도어프레임(161)의 양측면에 서로 마주보게 위치한 상태에서 결합부재(410)로 결합되도록 상호 대응되는 2개의 브라켓으로 이루어지고, 상호 결합시 그 사이에 간극(38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ssembly frame 100 is provided with a rectangular frame 160 which is hinged to one side of the vertical frame 120 for entrance and exit,
The door frame 160 includes a door frame 161 installed horizontally and vertically and a corner framing bracket 162 and an 'L' -shaped frame bracket 162 installed at a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door frame 161 and the 'T' Shaped frame frame bracket 163,
The corner frame brackets 162 and the frame frame brackets 163 are formed of two brackets which are mutually corresponding to each other so as to be coupled to the door frame 161 on both sides of the door frame 161, And a gap (380) is formed therebetween.
상기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는, 상기 조립프레임과 모서리 고정부재 및 프레임 고정부재로 이루어진 내부골조(500)와, 그 내부골조(500)의 외부에 이격 설치되어 그 사이에 단열공간이 형성되고 내부골조와 동일한 구조로 된 외부골조(510)와, 상기 외부골조(510)와 내부골조(500)를 상호 연결 고정하여 지지하는 골조지지부재(520)로 구성된 이중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건축물의 골조.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3, 4, 6, and 8 to 11,
The frame of the prefabricated building includes an inner frame 500 composed of the frame, an edge fixing member, and a frame fixing member, and a heat insulating space formed between the outer frame 500 and the inner frame 500, And a frame structure 520 composed of an outer frame 510 having the same structure and a frame supporting member 520 for fixing and supporting the outer frame 510 and the inner frame 500. [ .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022112A KR101683817B1 (en) | 2016-02-24 | 2016-02-24 | The Frame of prefab build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022112A KR101683817B1 (en) | 2016-02-24 | 2016-02-24 | The Frame of prefab building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683817B1 true KR101683817B1 (en) | 2016-12-08 |
Family
ID=5757680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60022112A Active KR101683817B1 (en) | 2016-02-24 | 2016-02-24 | The Frame of prefab building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683817B1 (en) |
Cited By (10)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869535B1 (en) * | 2018-02-05 | 2018-06-20 | 주식회사 주영에스앤티 | Awning Channel Assembly Easy to Assemble and Maintain |
| KR101884571B1 (en) * | 2017-09-07 | 2018-08-01 | 김둘례 | Structure for Outer Wall of Building |
| KR101896278B1 (en) * | 2017-10-24 | 2018-09-07 | 신영기술개발(주) | Light weight type truss sound absorption tunnel |
| KR101896287B1 (en) * | 2017-10-24 | 2018-09-07 | 신영기술개발(주) | Sound absorption tunnel with panel fixing device |
| KR101900701B1 (en) * | 2018-01-03 | 2018-11-02 | 신영기술개발(주) | Long width type truss sound absorption tunnel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2144880B1 (en) * | 2019-09-24 | 2020-08-14 | 국립생태원 | Insect Complex Trap Device Having a Malaise Trap, Flight Interference Trap and Pit Fall Trap |
| CN111851749A (en) * | 2020-08-18 | 2020-10-30 | 段宏海 | High-stability temporary building convenient to disassemble |
| KR102360313B1 (en) * | 2021-10-29 | 2022-02-09 | 주식회사 순수테크 | Canopy for prefabricated structures |
| KR102580685B1 (en) * | 2023-04-04 | 2023-09-19 | 우성일 | air conditioner construction structure |
| KR20230166700A (en) * | 2022-05-31 | 2023-12-07 | 이혁진 | Prefabricated structures and exhibition hall structures using them |
Citations (8)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9294629A (en) * | 1996-04-30 | 1997-11-18 | Sanwa Bosai Setsubi Kk | Shoulder carrier for preventing disaster |
| KR19980067003A (en) * | 1997-01-30 | 1998-10-15 | 이종철 | Construction method of prefabricated structure and structure |
| KR20030016400A (en) * | 2001-05-15 | 2003-02-26 | 세키수이주시 가부시키가이샤 | Pipe joint, and assembly using the pipe joint |
| KR20090041191A (en) | 2007-10-23 | 2009-04-28 | 김기웅 | Framed connection structure of prefabricated house |
| KR20110013731A (en) | 2009-08-03 | 2011-02-10 | 주식회사 미래이엔지 | Assembly structure of prefabricated building |
| KR20130104864A (en) | 2012-03-15 | 2013-09-25 | 김정현 | Frame structrue of bulit-up type house |
| KR101404420B1 (en) | 2013-12-06 | 2014-06-27 | 안기풍 | DIY modular storage system |
| KR20160009470A (en) * | 2014-11-21 | 2016-01-26 | 안기풍 | Prefabricated structures |
-
2016
- 2016-02-24 KR KR1020160022112A patent/KR10168381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8)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9294629A (en) * | 1996-04-30 | 1997-11-18 | Sanwa Bosai Setsubi Kk | Shoulder carrier for preventing disaster |
| KR19980067003A (en) * | 1997-01-30 | 1998-10-15 | 이종철 | Construction method of prefabricated structure and structure |
| KR20030016400A (en) * | 2001-05-15 | 2003-02-26 | 세키수이주시 가부시키가이샤 | Pipe joint, and assembly using the pipe joint |
| KR20090041191A (en) | 2007-10-23 | 2009-04-28 | 김기웅 | Framed connection structure of prefabricated house |
| KR20110013731A (en) | 2009-08-03 | 2011-02-10 | 주식회사 미래이엔지 | Assembly structure of prefabricated building |
| KR20130104864A (en) | 2012-03-15 | 2013-09-25 | 김정현 | Frame structrue of bulit-up type house |
| KR101404420B1 (en) | 2013-12-06 | 2014-06-27 | 안기풍 | DIY modular storage system |
| KR20160009470A (en) * | 2014-11-21 | 2016-01-26 | 안기풍 | Prefabricated structures |
Cited By (1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884571B1 (en) * | 2017-09-07 | 2018-08-01 | 김둘례 | Structure for Outer Wall of Building |
| KR101896278B1 (en) * | 2017-10-24 | 2018-09-07 | 신영기술개발(주) | Light weight type truss sound absorption tunnel |
| KR101896287B1 (en) * | 2017-10-24 | 2018-09-07 | 신영기술개발(주) | Sound absorption tunnel with panel fixing device |
| KR101900701B1 (en) * | 2018-01-03 | 2018-11-02 | 신영기술개발(주) | Long width type truss sound absorption tunnel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1869535B1 (en) * | 2018-02-05 | 2018-06-20 | 주식회사 주영에스앤티 | Awning Channel Assembly Easy to Assemble and Maintain |
| KR102144880B1 (en) * | 2019-09-24 | 2020-08-14 | 국립생태원 | Insect Complex Trap Device Having a Malaise Trap, Flight Interference Trap and Pit Fall Trap |
| CN111851749A (en) * | 2020-08-18 | 2020-10-30 | 段宏海 | High-stability temporary building convenient to disassemble |
| KR102360313B1 (en) * | 2021-10-29 | 2022-02-09 | 주식회사 순수테크 | Canopy for prefabricated structures |
| KR20230166700A (en) * | 2022-05-31 | 2023-12-07 | 이혁진 | Prefabricated structures and exhibition hall structures using them |
| KR102694902B1 (en) * | 2022-05-31 | 2024-08-12 | 이혁진 | Prefabricated structures and exhibition hall structures using them |
| KR102580685B1 (en) * | 2023-04-04 | 2023-09-19 | 우성일 | air conditioner construction structure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683817B1 (en) | The Frame of prefab building | |
| JP3175275U (en) | Assembly type building structure | |
| JP2006152557A (en) | Structural type and construction method of steel house | |
| CN102333924B (en) | A unit structural member of a building and a floor structure using the unit structural member | |
| JP3940994B2 (en) | Wooden building wall structure | |
| CN210562626U (en) | Hexagonal assembly type steel structure module | |
| US20070119111A1 (en) | Panel structure of steel house and panel contructing method | |
| US20200232203A1 (en) | Structural assembly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 |
| JP3269936B2 (en) | Unit building | |
| JP5749663B2 (en) | Column structure | |
| JP4386885B2 (en) | Wooden building | |
| JPH03132536A (en) | Construction of unit housing | |
| JP2003049484A (en) | Construction method for wooden house | |
| KR20210068834A (en) | Rectangular pipe connector for lightweight steel structure and rectangular pipe connection method | |
| KR102702347B1 (en) | Prefab Building DIY Set | |
| GB2429217A (en) | Modular shell housing system | |
| US4157098A (en) | Portable shelter | |
| JP2004076336A (en) | PC column and beam-column joint structure and method of joining the same | |
| KR102795607B1 (en) | Combination structure of panel assembly for manufacturing a prefabricated booth | |
| JP7703465B2 (en) | Unit joint hardware | |
| JP7482512B2 (en) | Temporary fencing corner components | |
| JP5629195B2 (en) | building | |
| JPH0729122Y2 (en) | Unit house | |
| JP2001262701A (en) | Joint hardware and wooden frame | |
| WO2022029989A1 (en) | Building and method for constructing building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24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2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2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29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2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12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3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