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94020B1 - Seat for vehicle having improved passenger' neck injury reduction performance - Google Patents

Seat for vehicle having improved passenger' neck injury reduction performan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4020B1
KR101694020B1 KR1020150091783A KR20150091783A KR101694020B1 KR 101694020 B1 KR101694020 B1 KR 101694020B1 KR 1020150091783 A KR1020150091783 A KR 1020150091783A KR 20150091783 A KR20150091783 A KR 20150091783A KR 101694020 B1 KR101694020 B1 KR 101694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lock
passenger
seat
wire
hi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17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찬호
유정상
나선채
유상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91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4020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4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4020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0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 B60N2/421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longitudinal
    • B60N2/422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longitudinal due to impact coming from the r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7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 B60N2/42709Seats or parts thereof displaced during a crash involving residual deformation or fracture of the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43Back-rests or cushions shape of the back-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후방 추돌시 승객의 목 상해치를 저감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를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시트백 내부의 백 프레임 하단부에 승객의 엉덩이 부분을 지지하도록 된 지지블록이 설치되어, 차량의 후방 추돌시, 상기 지지블록이 승객의 엉덩이 부분을 지지하여 엉덩이 부분의 후방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엉덩이 부분을 중심으로 승객 몸체가 회전되는 회전량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승객 상체를 기준으로 한 상대적인 머리 꺾임 각도를 축소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상해 저감 성능이 향상되는 차량용 시트가 개시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seat, and its main object is to provide a vehicle seat capable of reducing a neck injury of a passenger in a rear-end collision of the vehicle.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upport block for supporting a hip portion of a passenger is provided at a lower end portion of a back frame in a seatback, and when the rearward collision of the vehicle, the support block supports the hip portion of the passenger, The passenger's body is rotated about the hip portion by increasing the rotation amount and the relative head bending angle based on the passenger's body is reduced. .

Description

목 상해 저감 성능이 향상되는 차량용 시트{Seat for vehicle having improved passenger' neck injury reduction performance}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at for vehicle improved passenger's neck injury reduction performance,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후방 추돌시 승객의 목 상해치를 저감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seat, and more particularly, to a vehicle seat capable of reducing a neck injury of a passenger in a rearward collision of a vehicle.

일반적으로 차량에 구비된 시트는 착좌시 안락감을 줄 수 있어야 할 뿐만 아니라, 후방 추돌 사고와 같은 응급 상황 발생시에 승객을 충분히 보호해주는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Generally, a seat provided in a vehicle should not only provide a comfortable feeling when sitting on a seat, but also protect a passenger sufficiently in the event of an emergency such as a rear-end collision accident.

이러한 차량용 시트는 승객의 하체를 지지하는 시트쿠션(seat cushion), 승객의 상체를 지지하는 시트백(seat back), 시트백 상단에 높이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어 승객의 머리와 목 부위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headrest)를 포함한다.Such a vehicle seat includes a seat cushion for supporting a passenger's lower body, a seat back for supporting a passenger's upper body, a headrest (not shown) for height- headrest.

한편, 정차 중인 차량이 후방 추돌을 당하는 사고에서는 시트 승객의 목 부위가 상해를 입는 경우가 매우 빈번한데, 이를 휘프래쉬 상해(whiplash injury)라 부른다.On the other hand, in the accident in which the vehicle being stopped is rearward collided, the neck portion of the seat passenger is frequently injured, which is called whiplash injury.

이러한 휘프래쉬 상해, 즉 목 부위의 상해는 승객의 머리와 몸체 사이의 상대속도 차이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후방 추돌시에 시트백의 충격으로 승객의 상체가 전방으로 이동하는 반면 머리는 그 자리에 있으려 하여, 목 부위에 전단력이 작용하게 되고, 이러한 전단력은 목의 관절 및 근육에 급격한 충격을 미침은 물론 목 부위 관절의 상해까지 초래하게 된다.Such a whiplash injury, or neck injury, is known to be caused by a relative speed difference between the head and the body of the passenger. In the rear-end collision, the passenger's upper body moves forward due to the impact of the seat back, The shear force acts on the neck region, and this shearing force not only causes a sudden impact on the joints and muscles of the neck, but also causes injuries to the neck joints.

이를 예방하기 위해, 승객의 안전을 보다 강화한 헤드레스트 장치로서, 추돌 사고시 헤드레스트가 승객의 머리와 인접한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액티브 헤드레스트(active headrest)가 개발되었으며, 이러한 액티브 헤드레스트를 이용하여 승객의 목 부상을 최대한 경감시키도록 하고 있는 추세이다.In order to prevent this, an active headrest has been developed in which the headrest is moved to a position adjacent to the head of a passenger in the event of a collision, Of the neck of the neck.

액티브 헤드레스트는 기본적으로 추돌 사고시 헤드레스트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승객의 머리를 받쳐줌으로써 목 상해를 방지하는 것으로, 센서부가 후방 추돌을 감지하여 헤드레스트 측의 액츄에이터에 충돌신호를 전달하면 상기 충돌신호에 따라 액츄에이터가 작동하여 헤드레스트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전자식 시스템과, 후방 추돌시 승객의 등이나 엉덩이 부분이 시트를 누르는 힘을 이용하여 헤드레스트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기계식 장치가 있다.The active headrest basically prevents the neck injury by moving the headrest forward by supporting the head of the passenger in the event of a collision. When the sensor unit detects the rear collision and transmits the collision signal to the actuator on the headrest side, There is an electronic system in which an actuator is operated to move the headrest forward, and a mechanical device that moves the headrest forward by using the force of the passenger's back or hips pressing the seat backward.

도 1은 종래의 기계식 액티브 헤드레스트를 도시한 개략 구성도로서, 후방 추돌시 승객이 뒤로 밀리면서 승객의 등 부분이 시트백 내 가압판(12)을 밀게 되고, 이에 가압판(12) 뒤에 위치한 링크(14)가 후방으로 밀리는 동시에 지렛대 원리에 의해 상측의 지지프레임(16)이 전방을 향해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FIG.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mechanical active headrest. In a rear-end collision, a passenger is pushed back so that a back portion of a passenger pushes the in-seat back pressure plate 12, Is pushed rearward and the upper support frame 16 is moved forward by the lever principle.

이로써, 지지프레임(16)에 끼워진 헤드레스트 스테이(14) 및 헤드레스트 몸체(15)가 전방으로 함께 이동되어 승객의 머리를 받쳐주게 되고, 결국 목이 뒤로 젖혀져 발생하는 목 상해를 방지하게 된다.Thereby, the headrest stay 14 and the headrest body 15 fitted to the support frame 16 are moved forward together to support the head of the passenger, thereby preventing the neck injury caused by the neck being turned backward.

기계식 액티브 헤드레스트와 관련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0551844호(2006.2.6), 한국공개특허 제10-2005-0115108호(2005.12.7)를 들 수 있고, 전자식 액티브 헤드레스트와 관련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068660호(2014.6.9)를 들 수 있다.Prior art documents relating to a mechanical active headrest include Korean Patent No. 10-0551844 (2006.2.6) and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5-0115108 (2005.12.7), and an electronic active headrest A related art document i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68660 (June 9, 2014).

그 밖의 차량용 시트의 목 상해 저감을 위한 기술로, 사용자가 헤드레스트의 전후 위치를 조절하여 사용하도록 하는 슬라이딩 헤드레스트가 제시된바 있으며, 이러한 슬라이딩 헤드레스트와 관련한 선행기술문헌으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033881호(2011.5.2), 한국등록특허 제10-1054755호(2011.8.1)를 들 수 있다. A sliding headrest is disclosed in which a user adjusts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of a headrest by using a technique for reducing neck injuries of other vehicle seats. Prior art documents relating to such a sliding headrest include Korean Patent No. 10 -1033881 (Feb. 2011) and Korean Patent No. 10-1054755 (Aug. 1, 2011).

한편, 차량 혹은 차량용 시트의 개발 단계에서는 후방 추돌시 발생하는 머리와 몸체의 상대 운동에 따른 경추 및 근육 부상을 측정하는 목 상해 시험을 거치게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development stage of a vehicle or a vehicle seat, a neck injury test is performed to measure the cervical spine and muscle injuries caused by the relative motion of the head and the body generated in the rear collision.

목 상해 시험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더미(dummy)를 시트에 앉혀놓고 후방 추돌 상황을 부여하여 더미의 목이 전후로 젖혀질 때 목에 가해지는 충격이나 목 꺾임 정도, 상해 정도와 관련된 항목들을 평가하게 된다.In the neck injury test, as shown in FIG. 2, a dummy is placed on the seat and a rearward collision situation is given to evaluate the items related to the degree of impact, necking, and injury to the neck when the neck of the dummy is turned back and forth do.

시트 설계시 목 상해 저감을 위한 고려 사항으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백셋(backset), 하이트(height)와 같은 정적 성능 인자를 들 수 있는데, 백셋은 머리와 헤드레스트 간의 거리를 의미하고, 하이트는 머리와 헤드레스트 몸체 간의 높이 차를 의미한다.Considerations for reducing neck injuries when designing a seat include static performance factors such as backset and height as shown in FIG. 3, where the backset means the distance between the head and the headrest, Refers to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head and the headrest body.

그 밖에 시트 프레임의 폭과 높이를 들 수 있는데, 더미의 후방 밀림성 개선을 위해서는 폭과 높이를 가능한 한 증대시키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In addition, the width and height of the seat frame can be exemplified. In order to improve the backward pivotability of the dummy, it is required to increase the width and height as much as possible.

백셋과 하이트는 목 상해 저감을 위한 가장 중요한 요소인 헤드레스트의 형상과 위치를 나타내는 것으로, 목 상해 저감 측면에서는 백셋 값이 작을수록 유리하나, 작은 백셋 값은 승객의 머리와 헤드레스트 간의 간섭 발생을 유발하므로 승객이 느끼게 되는 컴포트(comfort, 편안함) 측면에 있어서 불만을 초래할 수 있다. The backset and hight indicate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headrest, which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neck injury reduction. In terms of neck injury reduction, the smaller the backset value is, the more favorable. Which can cause complaints in terms of the comfort that passengers feel.

승객의 편안함을 고려하였을 때 승객의 머리와 헤드레스트 간의 적정 백셋 값 유지가 필요하고, 승객의 안전을 고려하였을 때 헤드레스트와 승객의 머리가 최대한 가깝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It is necessary to maintain a proper backset value between the head and the headrest of the passenger when considering the comfort of the passenger and to keep the headrest and the head of the passenger as close to each other as possible when considering the safety of the passenger.

따라서, 목 상해 저감 성능만을 고려하여 시트를 설계한 경우에는 승객의 컴포트 측면이 나빠지는 문제가 있다.Therefore, when the seat is designed in consideration of only the neck injury reduction performan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mfort side of the passenger deteriorates.

전술한 액티브 헤드레스트나 슬라이딩 헤드레스트와 같은 목 상해 저감 기술은 목 상해 저감 성능에 주로 초점을 둔 것이므로 컴포트 측면에서 승객의 불만이 다수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The above-mentioned neck injury reduction techniques such as active headrests and sliding head restraints are mainly focused on neck injury reduction performance, and many complaints of passengers are raised in terms of comfort.

특히, 액티브 헤드레스트는 다수의 추가적인 부품을 필요로 하므로 원가 및 중량 상승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음은 물론, 가압판이 위치한 시트백 상단 부분의 이물감 발생으로 인하여 컴포트 저하의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Particularly, since the active headrest requires a large number of additional parts, it has a problem of cost and weight increase, as well as a problem of a decrease in comfort due to a foreign body feeling at the upper part of the seatback where the pressure plate is located.

또한, 전자식이든 기계식이든 종래의 액티브 헤드레스트에서 승객의 머리와 헤드레스트 간에 공간이 존재하므로 후방 추돌시에 헤드레스트가 앞으로 이동하면서 머리를 받쳐줄 수 있을 때까지 구속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re is a space between the headrest and the head of the passenger in a conventional active headrest, whether electronic or mechanical, restraint is not performed until the headrest moves forward and can support the head at the rear collision.

따라서, 헤드레스트가 승객 머리를 받쳐줄 때까지 걸리는 시간이 길어질 경우 그 시간 내에 승객의 목 부위가 상해를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Accordingly, if the time taken for the headrest to support the passenger's head is prolong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neck of the passenger may be injured within that time.

또한, 후석 승객의 전방 시야 확보와 시트의 슬림화 개선을 위해 시트백 높이를 축소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법규 만족 및 목 상해 저감을 위해 헤드레스트 높이를 낮추지 않고 유지하고 있지만, 시트백 높이의 축소로 인해 기존 시트에 비해 목 상해치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 height of the seat back can be reduced in order to secure the front view of passengers and improve the slimness of the seat. In this case, the height of the headrest is not lowered to satisfy the regulations and to reduce the neck injury. Howev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neck injury value becomes larger than that of the seat.

그 이유로는, 시트백 높이를 낮추더라도 헤드레스트 높이를 기존 시트와 같이 높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헤드레스트 스테이의 길이를 증대시켜야 하는데, 헤드레스트 스테이의 길이 증대와 함께, 헤드레스트 스테이를 고정하는 어퍼 크로스 멤버(upper cross member)(도 5 및 도 6에서 도면부호 16임)의 폭이 기존 시트에 비해 축소되어, 차량의 후방 추돌시 더미의 머리에 의해 충격이 가해지는 헤드레스트의 모멘트 증대로 인해 헤드레스트의 회전량, 그리고 더미 머리가 뒤로 젖혀지는 회전량이 더욱 커지기 때문이다.The reason for this is that even if the seat back height is reduced, the length of the headrest stay must be increased in order to maintain the headrest height as high as that of the existing seat. In addition to the increase in the length of the headrest stay, the width of the upper cross member (reference numeral 16 in Figs. 5 and 6) is reduced as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ventional seat, and the moment of the headrest, which is impacted by the head of the dummy in the rear collision of the vehicle, The amount of rotation, and the amount of rotation at which the dummy head is tilted backward.

이와 같이 후방 추돌시 승객의 몸체, 특히 가슴 등의 상체에 비해 머리의 회전량이 더욱 커질 경우 법규 만족이 어려운 것은 물론 승객의 목 상해치가 더욱 커질 수 있으므로,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실정이다.Thus, when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head is larger than that of the body of the passenger in the rear-end collision, particularly the upper body such as the chest, it is difficult to satisfy the regulations and the passenger's neck injury value may become larger.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후방 추돌시 승객 머리와 승객 몸체가 후방으로 함께 회전되었다 리턴되도록 하고, 승객 몸체의 회전량이 증대되도록 하여 승객 상체를 기준으로 승객 머리의 후방 꺾임 각도가 축소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승객의 목 상해치를 저감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assenger's head and passenger body that are rotated together in a rearward direction, So that the neck angle of the passenger can be reduce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시트백 내부의 백 프레임 하단부에 승객의 엉덩이 부분을 지지하도록 된 지지블록이 설치되어, 차량의 후방 추돌시, 상기 지지블록이 승객의 엉덩이 부분을 지지하여 엉덩이 부분의 후방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엉덩이 부분을 중심으로 승객 몸체가 회전되는 회전량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승객 상체를 기준으로 한 상대적인 머리 꺾임 각도를 축소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상해 저감 성능이 향상되는 차량용 시트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upport block for supporting a hip portion of a passenger is provided at a lower end portion of a back frame inside a seatback, Thereby restricting rearward movement of the buttocks to increase the amount of rotation in which the passenger's body is rotated around the hips and to reduce the relative angle of head tilt relative to the passenger's upper body. A vehicle seat having improved abatement performance is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에서, 상기 지지블록은, 백 프레임 하단부의 로워 프레임에 설치되고, 시트백 내부에서 승객 상체를 지지하는 서스펜션 어셈블리의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시트백 두께방향에 있어서 서스펜션 어셈블리와 로워 프레임 사이에 위치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In the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block is installed on the lower frame at the lower end of the back frame, and in the seat back, in the seatback thickness direction so as not to protrude forward of the suspension assembly for supporting the passenger upper body, It is preferable to be provided so as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frames.

또한, 상기 지지블록은 시트백 상하방향에 있어서 시트에 착좌한 승객 또는 더미의 힙-포인트(Hip-point)를 기준으로 상측으로 10mm, 하측으로 30mm 사이의 구간 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block is installed so as to be positioned within a section between the upper side by 10 mm and the lower side by 30 mm based on the hip-point of the passenger or the dummy seated on the sea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eatback.

또한, 상기 지지블록은 발포형인 폼 재질로 제작되거나 플라스틱 수지 또는 고무로 제작될 수 있다.Further, the support block may be made of foamed foam or made of plastic resin or rubber.

여기서, 상기 지지블록은 상기 발포형인 폼 재질로서 발포폴리프로필렌(Expanded Polypropylene) 폼으로 제작될 수 있다.Here, the support block may be made of foamed expanded polypropylene foam.

또한, 상기 지지블록은 후면이 백 프레임 하단부의 로워 프레임 전면에 면 부착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 block is installed such that the rear surface thereof is surface-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frame at the lower end of the back frame.

또한, 상기 지지블록은 시트백 내부에서 승객 상체를 지지하는 서스펜션 어셈블의 하단부에 끼움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block may be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suspension assembly that supports the passenger inside the seatback.

또한, 상기 지지블록은, 하면부에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서스펜션 어셈블리의 하단부에 횡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와이어가 상기 홈부를 통해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The support block may have a groove form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and a wire extending laterally to a lower end of the suspension assembly may be fixed by being inserted through the groove.

또한, 상기 지지블록에서 홈부 양 측면 하부에 와이어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블록의 홈부 양 측면에서 돌출부 상측으로 와이어를 상측에서 지지하는 걸림턱부가 형성되어, 후방으로 벤딩된 와이어의 벤딩 부위가 하측의 돌출부와 상측의 걸림턱부 사이에 끼워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Further, in the support block, protruding portions for supporting the wires from the lower side are formed below both side surfaces of the groove portion, a latching tuck portion for supporting the wires from the upper side of the protruding portion on both sides of the groove portion of the support block, So that the bending portion of the lower protruding portion is sandwiched between the lower protruding portion and the upper stopping portion.

여기서, 상기 와이어의 좌우 양측 부위가 후방으로 벤딩 가공되어 벤딩 가공에 의해 후측으로 위치되는 와이어의 중앙부위가 지지블록의 홈부 내측에서 백 프레임 하단부의 로워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중앙부위의 양 측방으로 위치되는 와이어의 벤딩된 부위가 상기 돌출부와 걸림턱부 사이에 끼워지도록 할 수 있다.
Here,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of the wire are bent backward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wire positioned rearward by the bending process is coupled to the lower fram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ack frame at the inner side of the groove portion of the support block, The bent portion of the wire to be positioned can be sandwiched between the protrusion and the engaging jaw.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에서는 백 프레임의 하단부에 별도의 추가적인 지지블록을 설치함으로써, 충돌시 상기 지지블록이 후방으로 밀리는 승객의 엉덩이 부분을 받쳐주게 되면서 종래의 시트에 비해 승객 몸체가 엉덩이 부분을 중심으로 좀더 회전되도록 하는바, 이러한 승객 몸체의 회전량 증대를 통하여 뒤로 젖혀지는 승객 머리의 꺾임 각도가 축소될 수 있고, 결국 승객의 목 상해치가 저감될 수 있게 된다.
As a result, in the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additional support block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back frame to support the hip portion of the passenger who is pushed backward by the support block in the event of a collision, The angle of bend of the backwardly folded passenger head can be reduced through the increase in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passenger body and the neck injury value of the passenger can be reduced.

도 1은 종래의 기계식 액티브 헤드레스트를 도시한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목 상해 시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시트 설계시 목 상해 저감을 위한 정적 성능 인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에 더미를 착좌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시트백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서 화살표 'B' 방향으로 본 지지블록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5에서 'C' 방향으로 본 지지블록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로워 프레임에 지지블록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화살표 'D' 방향으로 본 지지블록 및 로워 프레임의 조립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에서 도 10의 화살표 'D' 방향으로 본 시트백 내부 구성의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에 적용되는 지지블록에 의한 작용효과를 종래의 시트와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structur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mechanical active headrest.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neck injury test.
Fig. 3 is a diagram showing a static performance factor for reducing neck injuries when designing a seat. Fig.
4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ummy is seated on a vehicle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at back internal configuration of a vehicle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FIG. 8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support block viewed in the direction of arrow 'B' in FIG.
FIG. 9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support block viewed in the 'C' direction i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upport block is installed in a lower fram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n assembly side view of the support block and lower frame viewed in the direction of arrow 'D' in FIG.
12 is a side view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eat back viewed in the direction of arrow 'D' in FIG. 10 in the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3 is a view showing an action effect of a support block applied to a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comparison with a conventional seat.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에 더미를 착좌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4 is a sid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dummy is seated on a vehicle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시트백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seat back of a vehicle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cross-sectional perspective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5, A-A '.

도 6에는 헤드레스트(미도시)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는 헤드레스트 스테이(14)를 함께 도시하였으며, 헤드레스트 스테이(14)는 백 프레임(10)의 상단부를 형성하는 어퍼 크로스 멤버(upper cross member)(16)에 조립된다.6 shows a headrest stay 14 integrally fixed to a headrest (not shown). The headrest stay 14 includes an upper cross member (not shown) forming an upper end of the back frame 10, (16).

상기 백 프레임(10)에는 시트에 착좌한 승객의 상체를 지지하는 서스펜션 어셈블리(20)가 장착되어 있으며, 서스펜션 어셈블리(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와이어(21,22,23)로 구성될 수 있다.A suspension assembly 20 supporting an upper body of a passenger seated on the seat is mounted on the back frame 10 and the suspension assembly 20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wires 21, .

예시한 바와 같은 서스펜션 어셈블리(20)는, 백 프레임(10)과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24)을 통해 승객의 상체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면서, 구조적으로 플렉시블(flexible)한 특성을 가지므로 승객의 상체를 지지할 때 뒤로 밀려 있게 된다.The suspension assembly 20 as illustrated can elastically support the upper body of a passenger through a spring 24 provided between the suspension assembly 20 and the back frame 10 and is structurally flexible It is pushed back when supporting the passenger's upper body.

즉, 서스펜션 어셈블리(20) 자체가 충돌시 승객(또는 더미)을 뒤로 밀리지 않게 지지하는 구성요소는 아니다.That is, the suspension assembly 20 itself is not a component that pushes back the passenger (or dummy) in the event of a collision.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에서는 차량의 후방 추돌시 승객 머리와 승객 몸체가 후방으로 동시에 함께 회전되었다 리턴되도록 해주는 별도의 구조물, 즉 지지블록(30)이 백 프레임(10)의 하단부에 추가로 설치된다.In the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eparate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passenger's head and the passenger body at the same time when the rearward collision of the vehicle is rotated together, that is, the supporting block 30, .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블록(30)은 승객(또는 더미)의 엉덩이 부분을 지지하는 블록 형태의 구조물로서, 충돌 순간 승객 몸체가 후방으로 밀릴 때 승객의 엉덩이(hip) 부분(또는 요추부)을 뒤에서 받쳐주면서 전체적으로 승객 몸체가 엉덩이 부분을 중심으로 좀더 많이 회전되도록 유도하게 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pport block 30 is a block-like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hip portion of a passenger (or dummy), which is designed to allow the passenger's hip portion (or lumbar portion) And the passenger body is guided to rotate more and more around the hips as a whole.

즉, 지지블록(30)이 충돌시 엉덩이 부분을 지지하게 되므로 승객 하체가 위로 들리고 승객 상체가 뒤로 젖혀질 때 승객 몸체의 회전량을 전체적으로 증대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That is, since the support block 30 supports the hips at the time of the collision, the lower portion of the passenger is lifted up and the passenger body is turned back, thereby increasing the overall amount of rotation of the passenger body.

이때, 지지블록(30)이 엉덩이 부분이 뒤로 밀리지 않도록 받쳐주므로, 지지블록이 설치되지 않은 종래의 시트에 비해, 승객 상체의 회전량(상체가 뒤로 밀려 젖혀지는 양)이 승객 하체의 회전량(하체가 상측으로 들리는 량)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대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support block 30 supports the hip portion so as not to be pushed back,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passenger upper body (the amount of the upper body being pushed back) is larger than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passenger lower body The amount that the lower body is heard at the upper side) can be increased relatively.

결과적으로 충돌 순간 엉덩이 부분을 중심으로 하는 승객 몸체의 회전에 의해 가슴 부위를 포함한 승객 상체가 시트백 상단부를 좀더 밀면서 상체와 머리가 뒤로 함께 회전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결국 승객 상체 대비 뒤로 젖혀지는 승객 머리의 꺾임 각도가 축소될 수 있는바, 승객의 목 상해치가 저감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As a result, due to the rotation of the passenger body around the hip portion of the collision, the upper body of the passenger including the bust portion pushes the upper portion of the seat back more and the upper body and the head are rotated together. As the angle of bend can be reduced, the effect of reducing the injuries of passengers is displayed.

또한, 추돌시 승객 머리와 승객 몸체가 후방으로 동시에 함께 회전될 때 승객 상체가 시트백 상단부에 부딪히면서 나타나는 반력에 의해 승객 상체와 승객 머리는 전방으로 약간 리턴될 수 있게 된다. Further, when the passenger's head and the passenger's body are simultaneously rotated together backward at the time of the collision, the passenger's upper body and the passenger's head can be slightly returned forward by the reaction force appearing when the passenger's upper body hits the upper end of the seatback.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승객의 후방 밀림시 엉덩이 부분(또는 요추부)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블록(30)이 백 프레임(10)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있음을 볼 수 있으며, 지지블록(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승객 몸체가 추가로 더 회전될 수 있도록 해주는 구조물이다.5 to 7, it can be seen that the support block 30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back frame 10 so as to support the hip portion (or the lumbar portion) when the passenger pushes back, 30 is a structure that allows the passenger body to be further rotated as described above.

상기 지지블록(30)은 백 프레임(10)의 하단부에서 시트백 두께방향에 있어 서스펜션 어셈블리(20)와 그 후방의 로워 프레임(lower frame)(17)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이때 지지블록(30)이 서스펜션 어셈블리(20)보다 전방으로 위치되거나 돌출될 경우 승객 착좌시 이물감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support block 30 is installed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suspension assembly 20 and the lower frame 17 at the back of the back frame 10 in the seatback thickness direction at the lower end of the back frame 10, Is positioned forward or protruded from the suspension assembly 20, a foreign object may be generated when the passenger is seated.

또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블록(30)은 시트백 상하방향(도 4 참조)에 있어서 승객 힙-포인트(Hip-point)(또는 더미 힙-포인트)를 기준으로 상측으로 10mm, 하측으로 30mm 사이의 구간 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Further,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support block 30 is 10 mm above the passenger heap-point (or dummy heap-poin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eat back As shown in Fig.

즉, 상기 지지블록(30)이 힙-포인트를 기준으로 상하방향 +10mm ~ -30mm의 구간 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며, 만약 이 위치를 벗어나면 승객의 엉덩이 부분을 제대로 받쳐주지 못하게 되므로 효과가 없거나 미흡해질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support block 30 is installed to be positioned within the interval of +10 mm to -30 mm in the up-and-dow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ip-point. If the support block 30 is out of this position, the hip portion of the passenger can not be properly supported, It can become insufficient.

또한, 상기 지지블록(30)은 발포형인 폼 재질로 제작되거나 플라스틱 수지 또는 고무 등의 재질로 제작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The support block 30 may be made of a foamed foam material, or made of plastic resin, rubber, or the like.

상기 폼 재질로는 발포폴리프로필렌(Expanded Polypropylene, EPP) 폼의 적용이 가능하다. As the foam material, expanded polypropylene (EPP) foam can be applied.

도 8은 도 5에서 화살표 'B' 방향으로 본 지지블록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5에서 'C' 방향으로 본 지지블록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FIG. 8 is a plan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the support block viewed in the direction of arrow 'B' in FIG. 5, and FIG. 9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support block viewed in the 'C' direction in FIG.

도 8에서 서스펜션 어셈블리(20)의 하단부 와이어(도 9에서 도면부호 23임)는 도시를 생략하였다.In FIG. 8, the lower end wire of the suspension assembly 20 (denoted by reference numeral 23 in FIG. 9) is not shown.

도 11은 도 10의 화살표 'D' 방향으로 본 지지블록 및 로워 프레임의 조립 측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에서 도 10의 화살표 'D' 방향으로 본 시트백 내부 구성의 측면도이다. FIG. 11 is a side view of assembling the support block and the lower frame viewed in the direction of arrow 'D' in FIG. 10, and FIG. 12 is a side view of the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de view.

도 10과 도 11에는 로워 프레임(17)과 지지블록(30)만을 도시하였으며, 도 12에는 백 프레임(10)과 서스펜션 어셈블리(20), 로워 프레임(17), 지지블록(30)을 조립된 상태로 도시하였다.10 and 11 show only the lower frame 17 and the support block 30 and the back frame 10 and the suspension assembly 20, the lower frame 17 and the support block 30 are assembled Respectively.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블록(30)은 그 후면이 로워 프레임(17)의 후측부 전면에 면착(面着) 상태가 되도록 부착되어 설치되고, 이때 지지블록(30)의 전면과 로워 프레임(17)의 후측부 전면 사이의 고정 접합을 위해 접착제와 같은 접착수단이나 볼트, 체결핀, 스크류, 패스너 등의 체결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support block 30 is mounted and attach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rear side of the lower frame 17 so that the rear surface of the support block 30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block 30 and the lower frame 17 A fastening means such as an adhesive or bolts, a fastening pin, a screw, a fastener, or the like may be used for the fixed joint between the rear side front surface of the rear side portion

또는 상기의 접착수단이나 체결수단 대신 서스펜션 어셈블리(20)의 하단부와 로워 프레임(17) 사이에 끼움방식으로 위치를 고정하는 방법이 적용 가능하다.Alternatively, a method of fixing the position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suspension assembly 20 and the lower frame 17 in a fitting manner instead of the above-mentioned bonding means or fastening means is applicable.

즉,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블록(30)의 하면부에 홈부(31)를 형성하고, 서스펜션 어셈블리(20)의 하단부에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 설치된 와이어(23)의 좌우 양측 부위를 후방으로 벤딩 가공하여, 벤딩 가공에 의해 후측으로 위치되는 와이어(23)의 중앙부위(23a)가 지지블록(30)의 홈부(31) 내측에서 로워 프레임(17)에 고정클립(25) 등의 고정수단을 통해 결합되도록 한다. 9 and 10, the groove 31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block 30 and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wire 23 extended laterally in the lower end of the suspension assembly 20 The central portion 23a of the wire 23 located at the rear side by the bending process is fixed to the lower frame 17 inside the groove portion 31 of the support block 30 by the fixing clip 25, Or the like.

또한, 상기 홈부(31)의 양 측면 하부에 와이어(23)를 하측에서 밀착 지지하게 되는 돌출부(32)를 형성하고, 홈부(31)의 양 측면에서 상기 돌출부(32)의 상측에는 와이어(23)를 상측에서 지지하게 되는 걸림턱부(33)를 형성한다. A protruding portion 32 for supporting the wire 23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f the groove portion 31 is formed below both side surfaces of the groove portion 31. On both sides of the groove portion 31, ) Is supported on the upper side.

이때, 와이어(23)에서 중앙부위(23a)의 양 측방 쪽으로 위치되는 벤딩 부위(23b)는 하측의 돌출부(32)와 상측의 걸림턱부(33)에 의해 상, 하 양측에서 밀착 지지되는 형태가 되는바, 이에 의해 지지블록(30)과 와이어(23)는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이러한 결합구조에 의해 지지블록(30)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the bending portion 23b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portion 23a of the wire 23 is supported by the lower protruding portion 32 and the upper stopping portion 33 so as to be supported on both the upper and lower sides Whereby the support block 30 and the wire 23 can maintain a stable engagement state, and the position of the support block 30 can be stably fixed by this engagement structure.

그리고, 지지블록(30)의 위치가 좀더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벤딩 부위(23b)의 바깥쪽의 측방 와이어 부위(23c)가 지지블록(30)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It is also possible that the side wire portion 23c outside the bending portion 23b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entire surface of the support block 30 so that the position of the support block 30 can be more stably fixed.

아울러, 상기 측방 와이어 부위(23c)가 지지블록(30)의 전면 위를 단순히 밀착하도록 한 방식 대신, 도면상에 예시하지는 않았으나 측방 와이어 부위(23c)가 지지블록(30)의 전면에 형성된 홈(미도시)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구조 또한 적용 가능하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side wire portion 23c may be formed in a groove (not shown)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block 30, instead of the side wire portion 23c simply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support block 30. [ (Not shown) is also applicable.

한편,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에 적용되는 지지블록(30)에 의한 작용효과를 종래의 시트와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13 is a view showing the effect of the support block 30 applied to the vehicl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comparison with the conventional seat.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시트와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시트에서는 후방 추돌시 더미의 엉덩이 부분이 지지블록(30)에 의해 지지되면서 힙-포인트를 중심으로 더미 몸체가 좀더 회전됨을 알 수 있다.As can be seen, in th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seat, the rear portion of the rear collision dummy is supported by the support block 30, and the dummy body is further rotated around the hip-point.

이때, 종래의 시트와 본 발명의 시트에서 더미의 머리 부분이 헤드레스트 쪽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더미 상체(dummy back)의 하단부, 즉 더미의 엉덩이 부분의 후방 이동량은 지지블록(30)에 의해 종래의 시트에 비해 적어지도록 제한되지만, 더미 상체의 상단부는 종래의 시트에 비해 후방으로 더 많이 이동하면서 더미 상체의 후방 회전량이 증대됨을 알 수 있다.At this time, the head portion of the dummy moves to the headrest in the conventional seat and the sea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ckward movement amount of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dummy back, that is, the hip portion of the dummy, It is understood that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dummy body is more moved rearward than the conventional sheet, and the amount of rearward rotation of the dummy body is increased.

이와 같이 더미(또는 승객) 상체의 후방 회전량이 증대될 경우 상체(가슴)와 머리가 후방으로 함께 이동하는 양상을 나타내므로 충돌시 가슴 대비 머리 각도(꺾임 각도)가 종래에 비해 축소될 수 있다.When the amount of rearward rotation of the dummy (or passenger) upper body is increased, the upper body (chest) and the head move together backward, so that the head angle (bending angle) with respect to the chest at the time of collision can be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prior art.

본 발명자는 상술한 바의 지지블록(30)을 설치한 실시예의 시트에 대해 FMVSS 202a 법규(미국 연방 자동차 안전기준 머리지지대(헤드레스트) 법규) 관련 시험 평가를 실시한 후, 하기 표 1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The present inventor conducted a test evaluation on the FMVSS 202a regulation (US Federal Automobile Safety Standard Headrest Restriction) on the seat of the embodiment provided with the support block 30 as described above, .

시험 평가 결과로부터 가슴과 머리가 함께 이동하면서 뒤로 젖혀지는 머리 자체의 각도 또한 축소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는바, 표 1에서 머리 각도와 가슴 각도는 충돌 전 대비 충돌 후의 각도 변화량을 나타낸다.From the results of the test evalu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angle of the head itself, which is tilted backward as the chest and head move together, is also reduced. In Table 1, the head angle and the chest angle indicate the angular variation after the collision.

Figure 112015062468714-pat00001
Figure 112015062468714-pat00001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더미 시험 평가 결과 가슴 각도가 종래의 경우 충돌 전후 4.5°만큼 변경되었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좀더 많은 회전량을 나타내는 6.0°만큼 변경되었고, 따라서 가슴 대비 머리 각도(가슴을 기준으로 한 꺾임 각도)는 법규 기준인 12°이하인 8.61°로 축소됨을 확인하였다.As can be seen from Table 1, if the chest angle was changed by 4.5 degrees before and after the collision in the conventional cas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hanged by 6.0 degrees which represents a larger amount of rotation, The angle of bending based on the chest) was reduced to 8.61 °, which is below the regulatory standard of 12 °.

또한, 충돌 전후 머리 각도의 변화량 역시 본 발명에서 종래에 비해 더욱 축소됨을 알 수 있었다. In additio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head angle before and after the collision is further reduc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 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Forms are also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백 프레임
14 : 헤드레스트 스테이
16 : 어퍼 크로스 멤버
17 : 로워 프레임
20 : 서스펜션 어셈블리
21, 22, 23 : 와이어
30 : 지지블록
31 : 홈부
32 : 돌출부
33 : 걸림턱부
10: Back frame
14: Head rest stays
16: Upper cross member
17: Lower frame
20: Suspension assembly
21, 22, 23: wire
30: Support block
31: Groove
32:
33:

Claims (10)

시트백 내부의 백 프레임 하단부에 승객의 엉덩이 부분을 지지하도록 된 지지블록이 설치되어,
차량의 후방 추돌시, 상기 지지블록이 승객의 엉덩이 부분을 지지하여 엉덩이 부분의 후방 이동을 제한함으로써 엉덩이 부분을 중심으로 승객 몸체가 회전되는 회전량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승객 상체를 기준으로 한 상대적인 머리 꺾임 각도를 축소시키도록 하되,
상기 지지블록은 시트백 상하방향에 있어서 시트에 착좌한 승객 또는 더미의 힙-포인트(Hip-point)를 기준으로 상측으로 10mm, 하측으로 30mm 사이의 구간 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상해 저감 성능이 향상되는 차량용 시트.
A support block for supporting the hip portion of the passenger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back frame inside the seat back,
When the rearward collision of the vehicle, the support block supports the hip portion of the passenger so as to restrict the rearward movement of the hip portion, thereby increasing the amount of rotation in which the passenger body rotates about the hip portion, To reduce the angle of bend,
Wherein the support block is installed so as to be positioned within a section between the upper side by 10 mm and the lower side by 30 mm with respect to the hip-point of the passenger or the dummy seated on the seat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seatback. Car seats with improved performan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은,
백 프레임 하단부의 로워 프레임에 설치되고,
시트백 내부에서 승객 상체를 지지하는 서스펜션 어셈블리의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시트백 두께방향에 있어서 서스펜션 어셈블리와 로워 프레임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상해 저감 성능이 향상되는 차량용 시트.
.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pport block includes:
A lower frame provided at a lower frame of the back frame,
Wherein the seat is positioned between the suspension assembly and the lower frame in the seatback thickness direction so as not to protrude forward of the suspension assembly supporting the passenger upper body within the seatback.
.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은 발포형인 폼 재질로 제작되거나 플라스틱 수지 또는 고무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상해 저감 성능이 향상되는 차량용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block is made of a foamed foam material or made of plastic resin or rubber.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은 상기 발포형인 폼 재질로서 발포폴리프로필렌(Expanded Polypropylene) 폼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상해 저감 성능이 향상되는 차량용 시트.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upport block is made of foamed polypropylene foam as a foamed foamed materi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은 후면이 백 프레임 하단부의 로워 프레임 전면에 면 부착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상해 저감 성능이 향상되는 차량용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upport block is installed such that a rear surface of the support block faces the front surface of the lower frame at the lower end of the back frame.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은 시트백 내부에서 승객 상체를 지지하는 서스펜션 어셈블리의 하단부에 끼움식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상해 저감 성능이 향상되는 차량용 시트.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6,
Wherein the support block is fixed to a lower end portion of a suspension assembly that supports a passenger upper body within the seat back.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은,
하면부에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서스펜션 어셈블리의 하단부에 횡방향으로 연장 설치된 와이어가 상기 홈부를 통해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상해 저감 성능이 향상되는 차량용 시트.
The method of claim 7,
The support block includes:
A groove portion is formed in the lower surface portion,
And a wire extending transversely to a lower end of the suspension assembly is inserted and fixed through the groove to thereby improve the neck injury reduction performanc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지지블록에서 홈부 양 측면 하부에 와이어를 하측에서 지지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블록의 홈부 양 측면에서 돌출부 상측으로 와이어를 상측에서 지지하는 걸림턱부가 형성되어, 후방으로 벤딩된 와이어의 벤딩 부위가 하측의 돌출부와 상측의 걸림턱부 사이에 끼워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상해 저감 성능이 향상되는 차량용 시트.
The method of claim 8,
A protruding portion for supporting the wire from the lower side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groove in the support block and a retaining portion for supporting the wire from the upper side of the protruding portion on both sides of the groove of the support block is formed, And the neck portion is fitted between the protruding portion on the lower side and the engaging jaw portion on the upper side.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의 좌우 양측 부위가 후방으로 벤딩 가공되어 벤딩 가공에 의해 후측으로 위치되는 와이어의 중앙부위가 지지블록의 홈부 내측에서 백 프레임 하단부의 로워 프레임에 결합되고,
상기 중앙부위의 양 측방으로 위치되는 와이어의 벤딩된 부위가 상기 돌출부와 걸림턱부 사이에 끼워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 상해 저감 성능이 향상되는 차량용 시트.
The method of claim 9,
The left and right side portions of the wire are bent backward and the central portion of the wire positioned rearwardly by bending is engaged with the lower fram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back frame at the inside of the groove portion of the support block,
And a bent portion of a wire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central portion is sandwiched between the protruding portion and the engaging jaw portion.
KR1020150091783A 2015-06-29 2015-06-29 Seat for vehicle having improved passenger' neck injury reduction performance Active KR1016940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1783A KR101694020B1 (en) 2015-06-29 2015-06-29 Seat for vehicle having improved passenger' neck injury reduction performan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1783A KR101694020B1 (en) 2015-06-29 2015-06-29 Seat for vehicle having improved passenger' neck injury reduction performa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4020B1 true KR101694020B1 (en) 2017-01-17

Family

ID=57990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1783A Active KR101694020B1 (en) 2015-06-29 2015-06-29 Seat for vehicle having improved passenger' neck injury reduction performan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402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14477B2 (en) 2019-04-22 2021-05-25 Hyundai Motor Company Lumbar support device for vehicle sea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9422A (en) * 2005-07-14 2007-01-18 가부시키가이샤 데루타 쓰-링 Sheet
KR20090002115U (en) * 2007-08-30 2009-03-04 (주)디에스시 Lumber support structure
KR100991659B1 (en) * 2008-04-08 2010-11-04 한일이화주식회사 Car seat
JP2012025240A (en) * 2010-07-21 2012-02-09 Ts Tech Co Ltd Vehicle sea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09422A (en) * 2005-07-14 2007-01-18 가부시키가이샤 데루타 쓰-링 Sheet
KR20090002115U (en) * 2007-08-30 2009-03-04 (주)디에스시 Lumber support structure
KR100991659B1 (en) * 2008-04-08 2010-11-04 한일이화주식회사 Car seat
JP2012025240A (en) * 2010-07-21 2012-02-09 Ts Tech Co Ltd Vehicle sea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14477B2 (en) 2019-04-22 2021-05-25 Hyundai Motor Company Lumbar support device for vehicle sea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59225B2 (en) Moveable back panel for a vehicle seat
US10011201B2 (en) Vehicle seat
JP6475278B2 (en) Vehicle seat
EP2983945B1 (en) Headrest structure, headrest cushion and passenger seat
US8172320B2 (en) Impact absorption block for vehicle seatback assembly
CN101107150B (en) car seat
CN102009608A (en) Vehicle seat
EP2030835B1 (en) Vehicle seat
JP7381945B2 (en) vehicle seat
EP0407361B1 (en) A seat backrest with a layered structure
JP2024045684A (en) vehicle seat
CN105711451B (en) Safety device for child seats in vehicles
EP2921341B1 (en) Adjustable side support
US9845028B2 (en) Vehicle seat having improved performance of reducing whiplash injury
JP7239801B2 (en) vehicle seat
KR101694020B1 (en) Seat for vehicle having improved passenger' neck injury reduction performance
JP2010208589A (en) Vehicle seat
KR20150061309A (en) The head rest for automobile to be attached the head supporter
CN114248669A (en) car seat
JP5229524B2 (en) Vehicle seat structure
US11117496B2 (en) Backrest part of a vehicle seat having an upper seatback adjustment device
JP7323814B2 (en) vehicle seat
JP2022187384A (en) vehicle seat
JP3595767B2 (en) Car seat back
JP2001310695A (en) Car neck pro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6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1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