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4408B1 -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Google Patents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94408B1 KR101694408B1 KR1020100083632A KR20100083632A KR101694408B1 KR 101694408 B1 KR101694408 B1 KR 101694408B1 KR 1020100083632 A KR1020100083632 A KR 1020100083632A KR 20100083632 A KR20100083632 A KR 20100083632A KR 101694408 B1 KR101694408 B1 KR 10169440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m
- display region
- insulating material
- thickness
- light emit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영역과, 상기 표시영역 주변의 비표시영역이 정의된 기판과; 상기 표시영역 전체 및 상기 비표시영역 일 부분에 대하여 제 1 두께를 갖는 제 1 부분과, 상기 비표시영역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 상기 제 1 두께보다 작은 제 2 두께를 갖는 제 2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베리어층과; 상기 베리어층 상에 위치하며 상기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와; 상기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베리어층을 덮고, 상기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와 접촉하며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1 필름과, 상기 제 1 필름 상에 위치하며 유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2 필름과, 상기 제 2 필름 상에 위치하며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3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인캡슐레이션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3 필름은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의 경계에서 불연속적인 부분을 갖는 것이 특징인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substrate on which a display area and a non-display area around the display area are defined; And a second portion having a second thickness smaller than the first thickness with respect to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non-display region, wherein the first portion has a first thickness with respect to the entire display region and the non- A barrier layer disposed on the substrat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osed on the barrier layer and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region; A first film cover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barrier layer and contact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made of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a second film disposed on the first film and made of an organic insulating material; 2 film and an encapsulation film comprising a third film made of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wherein the first and third films have discontinuous portions at the boundaries of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is provid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기전계발광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작은 베젤(bezel) 면적을 갖는 유기전계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a small bezel area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최근까지, CRT(cathode ray tube)가 표시장치로서 주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최근에 CRT를 대신할 수 있는,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 PDP),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 유기전계발광소자(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 OELD)와 같은 평판표시장치가 널리 연구되며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Until recently, CRT (cathode ray tube) was mainly used as a display device. However, in recent years, flat panel display devices such as a plasma display panel (PDP),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and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OELD) Have been widely studied and used.
위와 같은 평판표시장치 중에서, 유기전계발광소자는 자발광소자로서, 비발광소자인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백라이트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경량 박형이 가능하다. Of the flat panel display devices as described above,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is a self-luminous device and can be lightweight and thin because it does not require a backlight used 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hich is a non-light emitting device.
그리고, 액정표시장치에 비해 시야각 및 대비비가 우수하며, 소비전력 측면에서도 유리하며, 직류 저전압 구동이 가능하고, 응답속도가 빠르며, 내부 구성요소가 고체이기 때문에 외부충격에 강하고, 사용 온도범위도 넓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In addition, it has a better viewing angle and contrast ratio tha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is advantageous in terms of power consumption, can be driven by DC low voltage, has a fast response speed, is resistant to external impacts due to its solid internal components, It has advantages.
특히, 제조공정이 단순하기 때문에 생산원가를 기존의 액정표시장치 보다 많이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Particularly, since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e, it is advantageous in that the production cost can be saved more than the conventional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이러한 특성을 갖는 유기전계발광소자는 크게 패시브 매트릭스 타입(passive matrix type)과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active matrix type)으로 나뉘어 지는데, 고해상도나 대화면을 구현할 수 있는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having such characteristics are classified into a passive matrix type and an active matrix type. Active matrix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capable of realizing a high resolution and a large screen are actively studied .
도 1은 종래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 유기전계발광소자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active matrix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도시한 바와 같이, 유기전계발광소자(10)는 제 1 기판(1)과, 제 1 기판(1)과 마주하는 제 2 기판(2)으로 구성되며, 제 1 및 제 2 기판(1, 2)은 서로 이격되어 이의 가장자리부를 실패턴(seal pattern : 20)을 통해 봉지되어 합착된다. 1, the organic
이를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제 1 기판(1)의 상부에는 각 화소영역 별로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가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연결되는 제 1 전극(3)과 제 1 전극(3)의 상부에 특정한 색의 빛을 발광하는 유기발광층(5)과, 유기발광층(5)의 상부에는 제 2 전극(7)이 구성된다. 이들 제 1 및 제 2 전극(3, 7)과 그 사이에 형성된 유기발광층(5)은 유기전계 발광다이오드를 이루게 된다.In more detail, a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and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are formed in each pixel region on the
유기발광층(5)은 적, 녹, 청의 색을 표현하게 되는데,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각 화소마다 적, 녹, 청색을 발광하는 별도의 유기물질(5a, 5b, 5c)을 패턴하여 사용한다. The organic
이때, 상기 제 1 전극(3)이 투명하고 상기 제 2 전극(7)이 불투명한 경우, 상기 유기발광층(5)으로부터 방출된 빛은 상기 제 1 전극(3)을 통해 상기 제 1 기판(1)을 통과하게 되며, 이를 하부발광형이라 한다. 이와 달리, 상기 제 1 전극(3)이 불투명하고 상기 제 2 전극(7)이 투명한 경우, 상기 유기발광층(5)으로부터 방출된 빛은 상기 제 2 전극(7)을 통해 상기 제 2 기판(2)을 통과하게 되며, 이를 상부발광형이라 한다.In this case, when the
한편, 제 2 기판(2)의 내부면에는 외부의 수분을 차단하는 흡습제(13)가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이와 같은 일반적인 유기전계발광소자(10)는 유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 2 기판(2)을 이용하여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하기 때문에, 전체적은 두께가 증가하게 된다. 또한, 제 1 기판(1)과 제 2 기판(2)이 실패턴(20)에 의해 합착되어 있어 외부수분 또는 가스의 침투가 용이한 단점이 있다. Since the general organic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필름(film) 타입의 인캡슐레이션이 적용된 유기전계발광소자가 제안되었다.In order to prevent such a problem,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to which a film type of encapsulation is applied has been proposed.
도 2는 종래 필름 타입 인캡슐레이션 구조를 갖는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일부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a conventional film-type encapsulation structure.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필름 타입 인캡슐레이션 구조를 갖는 유기전계발광소자(30)은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인 표시영역(display area, DA)과, 상기 표시영역 주변의 비표시영역(non-display region, NDA)이 정의되어 있는 기판(31)과, 상기 표시영역(DA)에 위치하는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E)와, 상기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E)의 인캡슐레이션을 위한 인캡슐레이션 필름(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인캡슐레이션 필름(40)은 상기 표시영역(DA)으로의 수분 침투 등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표시영역(DA) 뿐만 아니라 상기 비표시영역(NDA)의 일부 역시 덮게 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상기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E)는, 도 1을 참조하면, 제 1 전극(3)과 제 1 전극(3)의 상부에 특정한 색의 빛을 발광하는 유기발광층(5)과, 유기발광층(5)의 상부에는 제 2 전극(7)으로 구성되며, 상기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E)를 제어하기 위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미도시)가 위치하고 있다.1,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E includes an organic
한편, 상기 인캡슐레이션 필름(40)은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1 필름(41), 제 3 필름(43) 및 제 5 필름(45)과, 유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2 필름(42) 및 제 4 필름(44)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필름(41)은 상기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E)와 접촉하며, 상기 제 2 필름(42)은 상기 제 1 필름(41)과 상기 제 3 필름(43) 사이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제 4 필름(44)은 상기 제 3 필름(43) 상에 위치하며 상기 제 3 필름(43) 및 상기 제 5 필름(45) 사이에 위치한다.The
즉, 상기 인캡슐레이션 필름(40)은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 1 필름(41) 및 상기 제 5 필름(45)을 각각 최하층 및 최상층으로 하고, 상기 제 2 필름(42) 내지 제 4 필름(44)이 상기 제 1 필름(41)과 상기 제 5 필름(45) 사이에서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 2 필름(42) 및 상기 제 4 필름(44)은 유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3 필름(43)은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며 상기 제 2 필름(42) 및 상기 제 4 필름(44) 사이에 위치한다. 다시 말해, 상기 인캡슐레이션 필름(40)은 무기절연물질막과 유기절연물질막이 교대로 적층되고, 최하층과 최상층은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진다.That is, the
무기절연물질막은 습기 등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유기절연물질막은 습기 등의 차단 기능은 없으나 무기절연물질막에 대한 충격 완화의 기능을 하게 된다. 따라서,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5 필름(45)이 인캡슐레이션 필름(40)의 최상층에 위치하여 외부의 습기를 차단하고, 또한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1 필름(41)이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E)와 접촉하여 습기에 의한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E)의 손상을 최소화하게 된다. 또한, 유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2 및 제 4 필름(42, 44)의 끝은 상기 제 1 필름(41), 제 3 필름(43) 및 제 5 필름(45)에 의해 덮여지게 된다.The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film serves to shield moisture and the like, and the organic insulating material film does not have a function of blocking moisture, but functions as an impact mitigation for the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film. Therefore, the
이러한 유기전계발광소자(3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판(31)을 절단(scribing)함으로써 얻어지게 된다.The organic
이때, 도 3a를 참조하면,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1 필름(41), 제 3 필름(43) 및 제 5 필름(45)에 스크라이빙이 이루어질 경우, 스크라이빙 공정에서 발생하는 크랙이 무기절연물질막을 타고 진행함으로써, 무기절연물질막에 의한 습기 차단에 문제가 발생한다. 즉, 외부의 습기가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E)에 손상을 발생시켜, 유기전계발광소자(30)의 수명 감소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3A, when scribing is performed on the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1 필름(41), 제 3 필름(43) 및 제 5 필름(45)의 끝 바깥 지점에서 스크라이빙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 경우 베젤(bezel, BZ)의 크기가 증가하게 된다. In order to prevent such a problem, as shown in Fig. 3B, scribing is performed at the outsides of the ends of the
특히, 무기절연물질막의 형성 얼라인 오차가 발생하는 경우, 베젤(BZ)의 크기가 더욱 증가하게 된다. 즉, 스크라이빙 이후 유기전계발광소자의 개략적인 평면도인 도 4를 참조하면,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E)를 유기절연물질막(47) 및 무기절연물질막(49)이 덮게 되는데, 얼라인 오차에 의해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E)가 무기절연물질막(49)의 중앙에 위치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무기절연물질막(49)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하여 스크라이빙이 이루어지면, 베젤(BZ)의 크기가 더욱 증가하게 된다. 즉,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E)의 끝으로부터 스크라이빙 라인(SL)까지로 정의되는 베젤(BZ)의 면적이 증가함으로써, 전체적인 소자의 크기가 증가하게 된다.Particularly, when the forming error of the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film is generated, the size of the bezel BZ is further increased. 4, which is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fter scribing,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ode E is covered with the organic
자세히 설명하면, 최외측의 무기절연물질막(49)이 표시영역(DA)으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를 가지며 형성되는 경우(a≠b≠c≠d), 스크라이빙 라인(SL)은 무기절연물질막(49)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를 갖기 때문에, 베젤(BZ)의 크기가 증가하게 된다.More specifically, when the outermost inorganic
결과적으로 볼 때, 종래 필름 타입 인캡슐레이션 구조의 유기전계발광소자에 있어서, 무기절연물질막에 대하여 스크라이빙이 이루어지는 경우 습기 차단 능력에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이와 달리 무기절연물질막 외측에서 스크라이빙이 이루어지는 경우 베젤 크기가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As a result, in the organic EL device of the conventional film type encapsulation structure, when the scribing is performed on the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film, there arises a problem in the moisture blocking ability. On the other hand, When the scribing is performed, the bezel increases in size.
본 발명은 필름 타입 유기전계발광소자에 있어 습기 차단 능력과 베젤 크기 중 어느 하나에서 발생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at solving the problem that the film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an only be generated at any one of the moisture barrier capability and the bezel size.
즉, 효율적으로 습기를 차단하면서 동시에 베젤 크기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 필름 타입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That i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ilm-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capable of efficiently blocking moisture while at the same time preventing an increase in size of a bezel.
위와 같은 과제의 해결을 위해, 본 발명은 표시영역과, 상기 표시영역 주변의 비표시영역이 정의된 기판과; 상기 표시영역 전체 및 상기 비표시영역 일 부분에 대하여 제 1 두께를 갖는 제 1 부분과, 상기 비표시영역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 상기 제 1 두께보다 작은 제 2 두께를 갖는 제 2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베리어층과; 상기 베리어층 상에 위치하며 상기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와; 상기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베리어층을 덮고, 상기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와 접촉하며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1 필름과, 상기 제 1 필름 상에 위치하며 유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2 필름과, 상기 제 2 필름 상에 위치하며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3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인캡슐레이션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3 필름은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의 경계에서 불연속적인 부분을 갖는 것이 특징인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substrate on which a display area and a non-display area around the display area are defined; And a second portion having a second thickness smaller than the first thickness with respect to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non-display region, wherein the first portion has a first thickness with respect to the entire display region and the non- A barrier layer disposed on the substrat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osed on the barrier layer and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region; A first film cover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barrier layer and contact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made of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a second film disposed on the first film and made of an organic insulating material; 2 film and an encapsulation film comprising a third film made of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wherein the first and third films have discontinuous portions at the boundaries of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is provided.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표시영역과 상기 표시영역 주변의 비표시영역이 정의되며, 상기 표시영역 전체 및 상기 비표시영역 일 부분에 대하여 제 1 두께를 갖는 제 1 부분과, 상기 비표시영역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 상기 제 1 두께보다 작은 제 2 두께를 갖는 제 2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며 상기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와; 상기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기판을 덮고, 상기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와 접촉하며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1 필름과, 상기 제 1 필름 상에 위치하며 유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2 필름과, 상기 제 2 필름 상에 위치하며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3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인캡슐레이션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3 필름은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의 경계에서 불연속적인 부분을 갖는 것이 특징인 유기전계발광소자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first portion having a display region and a non-display region defined around the display region, the first portion having a first thickness with respect to the entire display region and a non- A second portion having a second thickness that is less than the first thickness with respect to the first portio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osed on the substrate and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region; A first film cover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substrate and contact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made of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a second film disposed on the first film and made of an organic insulating material;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encapsulation film consisting of a third film which is located on the film and which is made of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and in which the first and third films have discontinuous portions at the boundaries of the first and second parts An electroluminescent device is provided.
상기 인캡슐레이션 필름은 상기 제 2 및 제 3 필름 사이에 위치하며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4 필름과, 상기 제 4 및 제 3 필름 사이에 위치하며 유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5 필름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Wherein the encapsulation film comprises a fourth film made of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and disposed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films and a fifth film disposed between the fourth and third films and made of an organic insulating material Feature.
상기 제 2 필름의 끝은 상기 제 3 필름에 의해 덮여지는 것이 특징이다.And the end of the second film is covered with the third film.
상기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는 서로 마주보는 제 1 및 제 2 전극과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유기발광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ode includes first and second electrodes facing each other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상기 베리어층은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The barrier layer is formed of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상기 제 1 두께와 상기 제 2 두께의 차이는 상기 제 1 필름 및 상기 제 2 필름 각각의 두께보다 큰 것이 특징이다.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hickness and the second thickness is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each of the first film and the second film.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표시영역과 상기 표시영역 주변의 비표시영역이 정의된 기판 상에 상기 표시영역 전체 및 상기 비표시영역 일 부분에 대하여 제 1 두께를 갖는 제 1 부분과, 상기 비표시영역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 상기 제 1 두께보다 작은 제 2 두께를 갖는 제 2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베리어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베리어층 상에, 상기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베리어층을 덮고, 상기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와 접촉하며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1 필름과, 상기 제 1 필름 상에 위치하며 유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2 필름과, 상기 제 2 필름 상에 위치하며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3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인캡슐레이션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부분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및 제 3 필름에 대응하여 스크라이빙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3 필름은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의 경계에서 불연속적인 부분을 갖는 것이 특징인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a first portion having a display region and a non-display region around the display region, the first portion having a first thickness with respect to the entire display region and a non- Forming a barrier layer having a second portion having a second thickness smaller than the first thickness with respect to the remainder of the display region; Form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region on the barrier layer; A first film cover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barrier layer and contact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made of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a second film disposed on the first film and made of an organic insulating material; Forming an encapsulation film on the second film, the encapsulation film being made of a third film made of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And scribing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third films located in the second portion, wherein the first and third films have discontinuous portions at the boundaries of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is provided.
또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표시영역과 상기 표시영역 주변의 비표시영역이 정의되며, 상기 표시영역 전체 및 상기 비표시영역 일 부분에 대하여 제 1 두께를 갖는 제 1 부분과, 상기 비표시영역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 상기 제 1 두께보다 작은 제 2 두께를 갖는 제 2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기판 상에, 상기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기판을 덮고, 상기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와 접촉하며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1 필름과, 상기 제 1 필름 상에 위치하며 유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2 필름과, 상기 제 2 필름 상에 위치하며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3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인캡슐레이션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3 필름은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의 경계에서 불연속적인 부분을 갖는 것이 특징인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a first portion having a display region and a non-display region defined around the display region, the first portion having a first thickness with respect to the entire display region and a non- Forming a second portion of the substrate having a second thickness smaller than the first thickness with respect to the remaining portion; Form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region on the substrate; A first film cover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substrate and contact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made of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a second film disposed on the first film and made of an organic insulating material; Forming an encapsulation film of a third film, which is located on the film and made of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wherein the first and third films have a discontinuous portion at the boundary of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상기 인캡슐레이션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및 제 3 필름 사이에 위치하며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4 필름과, 상기 제 4 및 제 3 필름 사이에 위치하며 유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5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Wherein the step of forming the encapsulation film comprises the steps of: forming a fourth film made of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and located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films; and a fifth film disposed between the fourth film and the third film, And forming the second electrode layer.
상기 제 2 필름의 끝은 상기 제 3 필름에 의해 덮여지는 것이 특징이다.And the end of the second film is covered with the third film.
상기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는 서로 마주보는 제 1 및 제 2 전극과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유기발광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ode includes first and second electrodes facing each other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상기 베리어층은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The barrier layer is formed of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상기 제 1 두께와 상기 제 2 두께의 차이는 상기 제 1 필름 및 상기 제 2 필름 각각의 두께보다 큰 것이 특징이다.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hickness and the second thickness is larger than the thickness of each of the first film and the second film.
본 발명의 유기전계발광소자는 필름 타입 인캡슐레이션 구조를 갖기 때문에, 두께가 감소하게 된다.Since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ilm-type encapsulation structure, the thickness thereof is reduced.
또한, 무기절연물질막에 대하여 스크라이빙 이루어지더라도 크랙이 배리어 패턴에 의해 차단되어 습기 차단 능력이 떨어지지 않게 된다.Further, even if the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film is scribed, the cracks are blocked by the barrier pattern, so that the moisture blocking ability is not deteriorated.
또한, 무기절연물질막에 대하여 스크라이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베젤 크기의 증가를 방지할 수 있다.
Further, since the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film is scribed, an increase in the size of the bezel can be prevented.
도 1은 종래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 유기전계발광소자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필름 타입 인캡슐레이션 구조를 갖는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일부에 대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 각각은 종래 스크라이빙 공정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스크라이빙 이후 유기전계발광소자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각각 스크라이빙 이후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와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active matrix typ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having a conventional film-type encapsulation structure.
3A and 3B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conventional scribing process.
4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fter scribing.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nlarged view of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f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A and 7B are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scribing, respectively.
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에 대한 확대도이다.FIG.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of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100)는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인 표시영역(display area, DA)과, 상기 표시영역 주변의 비표시영역(non-display region, NDA)이 정의되어 있는 기판(101)과, 상기 기판(101) 상에 위치하며 두께 차이를 갖는 베리어층(110)과, 상기 표시영역(DA)에 대응하여 상기 베리어층(110) 상에 위치하는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E)와, 상기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E)의 인캡슐레이션을 위한 인캡슐레이션 필름(1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인캡슐레이션 필름(140)은 상기 표시영역(DA)으로의 수분 침투 등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표시영역(DA) 뿐만 아니라 상기 비표시영역(NDA)의 일부 역시 덮게 된다.As shown, the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베리어층(110) 상에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가 형성되며, 상기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E)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에 연결된다. 상기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E)는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에 연결된 제 1 전극(132)과 제 1 전극(132)의 상부에 위치하며 특정한 색의 빛을 발광하는 유기발광층(134)과, 유기발광층(134)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 2 전극(136)으로 구성된다. 상기 유기발광층(134)은 적, 녹, 청(R, G, B)의 색을 표현하게 되는데,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각 화소마다 적, 녹, 청색을 발광하는 별도의 유기물질(134a, 134b, 134c)을 패턴하여 사용한다. 상기 제 1 전극(132) 및 상기 제 2 전극(136) 중 하나는 투명하며, 상기 유기발광층(134)으로부터 발생한 빛이 투명한 전극을 통해 외부로 표시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베리어층(110) 상에는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에 연결되는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6,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is formed on the
예를 들어,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 및 상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는 게이트 전극, 반도체층,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은 게이트 배선에 연결되고, 상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은 데이터 배선에 연결되며, 상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은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된다. 상기 게이트 배선을 통해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가 제어되며, 상기 데이터 배선을 통해 인가되는 신호가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의 게이트 전극에 전달되어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가 제어된다. For example,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and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may include a gate electrode, a semiconductor layer, a source electrode, and a drain electrode. The gate electrode of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is connected to the gate wiring, the source electrode of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is connected to the data line, and the drain electrode of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is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is controlled by a signal applied through the gate line, and a signal applied through the data line is transmitted to a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to control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의 소스 전극은 전원 배선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의 드레인 전극은 상기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E)의 제 1 전극(132)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의 제어에 의해 상기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E)가 동작하게 된다.The source electrode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is connected to the power supply wiring and the drain electrode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DTr is connected to the
상기 인캡슐레이션 필름(140)은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 1 필름(141) 및 상기 제 5 필름(145)을 각각 최하층 및 최상층으로 하고, 상기 제 2 필름(142) 내지 제 4 필름(144)이 상기 제 1 필름(141)과 상기 제 5 필름(145) 사이에서 적층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 2 필름(142) 및 상기 제 4 필름(144)은 유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3 필름(143)은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며 상기 제 2 필름(142) 및 상기 제 4 필름(144) 사이에 위치한다. 다시 말해, 상기 인캡슐레이션 필름(140)은 무기절연물질막과 유기절연물질막이 교대로 적층되고, 최하층과 최상층은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진다. 최하층인 상기 제 1 필름(141)은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E)의 제 2 전극(136)과 접촉하게 된다.The
상기 제 1 필름(141), 제 3 필름(143) 및 제 5 필름(145)은 약 1000의 두께를 갖고, 상기 제 2 필름(142) 및 상기 제 4 필름(144)은 약 5000의 두께를 갖는다.The
무기절연물질막은 습기 등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유기절연물질막은 습기 등의 차단 기능은 없으나 무기절연물질막에 대한 충격 완화의 기능을 하게 된다. 따라서,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5 필름(145)이 인캡슐레이션 필름(140)의 최상층에 위치하여 외부의 습기를 차단하고, 또한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1 필름(141)이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E)와 접촉하여 습기에 의한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E)의 손상을 최소화하게 된다. 또한, 유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2 및 제 4 필름(142, 144)의 끝은 상기 제 1 필름(141), 제 3 필름(143) 및 제 5 필름(145)에 의해 덮여지게 된다.The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film serves to shield moisture and the like, and the organic insulating material film does not have a function of blocking moisture, but functions as an impact mitigation for the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film. Therefore, the
상기 베리어층(110)은 모자 형태를 갖는다. 즉, 상기 베리어층(110)은 표시영역(DA) 전체 및 상기 비표시영역(NDA) 일부에 대응하여 제 1 두께(t1)를 갖는 제 1 부분(110a)과, 상기 제 1 부분(110a)의 주변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두께(t1)보다 작은 제 2 두께(t2)를 갖는 제 2 부분(110b)로 이루어진다. The
상기 제 1 부분(110a)과 상기 제 2 부분(110b)의 두께 차이(t1-t2)는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 1 필름(141), 제 3 필름(143) 및 제 5 필름(145) 각각의 두께보다 크다. 예를 들어, 상기 상기 제 1 필름(141), 제 3 필름(143) 및 제 5 필름(145) 각각이 1000의 두께를 가지는 경우, 상기 제 1 부분(110a)과 상기 제 2 부분(110b)의 두께 차이(t1-t2)는 약 1㎛이상일 수 있다.The difference (t1-t2) between the thicknesses of the
도면에서, 상기 제 1 부분(110a)의 측면과 상기 제 2 부분(110b)의 상부면이 수직하게 만나고 있으나, 상기 제 1 부분(110a)과 상기 제 2 부분(110b)이 테이퍼(taper)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부분(110a)과 상기 제 2 부분(110b)이 약 45°의 테이퍼(taper) 형상을 가지고 상기 상기 제 1 필름(141), 제 3 필름(143) 및 제 5 필름(145) 각각이 1000의 두께를 가지는 경우, 상기 제 1 부분(110a)과 상기 제 2 부분(110b)이 약 3㎛이상의 두께 차이를 가질 수 있다.Although the side surface of the
상기 베리어층(110)은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E)로 외부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1)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데, 특히 플렉서블한 특성을 얻기 위해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수분이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기판(101)을 통해 침투되어 상기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E)에 손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상기 베리어층(110)을 상기 기판(101)과 상기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E) 사이에 형성함으로써, 위와 같은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베리어층(110)은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제 1 및 제 2 부분(110a, 110b)으로 이루어지는데, 이에 의해 크랙의 발생 없이 베젤 크기를 줄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즉, 무기절연물질은 스퍼터에 의해 증착될 수 있는데, 하부 단차에 영향을 받게 된다. 이때, 상기 베리어층(110)은 상기 비표시영역(NDA)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110a, 110b)에 의해 두께 차이가 발생하게 되며,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1 필름(141), 제 3 필름(143) 및 제 5 필름(145)은 상기 제 1 부분(110a) 및 제 2 부분(110b)의 경계에서 불연속적인 부분이 발생하게 된다.That is, the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can be deposited by sputtering, which is affected by the lower step. In this case, the thickness of the
따라서, 상기 제 1 필름(141), 제 3 필름(143) 및 제 5 필름(145)이 위치하는 상기 베리어층(110)의 제 2 부분(110b)에 대하여 스크라이빙이 이루어지더라도, 불연속적인 부분에 의해 크랙이 표시영역(DA)으로 전이되지 않게 된다.Therefore, even if scribing is performed on the
스크라이빙 이후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와 평면도인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기전계발광소자(100)는 기판(101)과, 상기 기판(101) 상에 위치하며 표시영역(DA) 전체와 비표시영역(NDA)인 베젤(BZ) 일 부분에 대하여 제 1 두께(t1)를 갖는 제 1 부분(110a)과 베젤(BZ)의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 상기 제 1 두께(t1)보다 작은 제 2 두께(t2)를 갖는 제 2 부분(110b)로 이루어지는 베리어층(110)과, 상기 베리어층(110) 상에 상기 표시영역(DA)에 위치하는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E)와, 상기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E)를 덮는 인캡슐레이션 필름(140)을 포함하며, 상기 인캡슐레이션 필름(140)의 끝은 상기 베리어층(110)의 제 2 부분(110b) 끝과 일치하게 된다.7A and 7B, which are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scribing, the
즉, 도 5에서와 같이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1 필름(141), 제 3 필름(143) 및 제 5 필름(145)이 위치하는 상기 베리어층(110)의 제 2 부분(110b)에 대하여 스크라이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베젤(BZ)의 크기가 줄어들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5, the
또한, 상기 베리어층(110)이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제 1 및 제 2 부분(100a, 110b)으로 이루어져 모자 형태를 갖기 때문에, 제 1 및 제 2 부분(100a, 110b)의 경계에서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1 필름(141), 제 3 필름(143) 및 제 5 필름(145)에 불연속적인 부분이 발생하게 되고, 상기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1 필름(141), 제 3 필름(143) 및 제 5 필름(145)에 대하여 스크라이빙이 이루어지더라도 크랙이 표시영역(DA)으로 전이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인캡슐레이션 필름(140)의 수분 차단 능력이 저하되지 않는다.In addition, since the
또한, 무기절연물질막의 형성 얼라인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베젤(BZ)의 크기가 증가하지 않는다. 즉,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E)를 유기절연물질막(147) 및 무기절연물질막(149)이 덮게 되는데, 얼라인 오차에 의해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E)가 무기절연물질막(149)의 중앙에 위치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스크라이빙 라인(SL)이 무기절연막(149)에 위치하기 때문에, 스크라이빙 라인(SL)은 표시영역(DA)으로부터 동일한 거리를 갖게 된다. (a=b=c=d) 따라서, 베젤(BZ)의 크기는 증가하지 않는다.
In addition, even if an alignment error of the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film is generated, the size of the bezel BZ does not increase. That is,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ode E is covered with the organic insulating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전계발광소자(200)는 영상을 표시하는 영역인 표시영역(display area, DA)과, 상기 표시영역 주변의 비표시영역(non-display region, NDA)이 정의되어 있는 기판(201)과, 상기 표시영역(DA)에 대응하여 상기 기판(201) 상에 위치하는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E)와, 상기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E)의 인캡슐레이션을 위한 인캡슐레이션 필름(24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인캡슐레이션 필름(240)은 상기 표시영역(DA)으로의 수분 침투 등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표시영역(DA) 뿐만 아니라 상기 비표시영역(NDA)의 일부 역시 덮게 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기판(201) 상에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며, 상기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E)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에 연결된다. 상기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E)는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에 연결된 제 1 전극과 제 1 전극의 상부에 위치하며 특정한 색의 빛을 발광하는 유기발광층과, 유기발광층의 상부에 위치하는 제 2 전극으로 구성된다. 상기 유기발광층은 적, 녹, 청의 색을 표현하게 되는데,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각 화소마다 적, 녹, 청색을 발광하는 별도의 유기물질을 패턴하여 사용한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기판(201) 상에는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에 연결되는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된다.Although not shown,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is formed on the
예를 들어,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및 상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는 게이트 전극, 반도체층,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은 게이트 배선에 연결되고, 상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은 데이터 배선에 연결되며, 상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은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된다. 상기 게이트 배선을 통해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스위칭 박막트랜지스터가 제어되며, 상기 데이터 배선을 통해 인가되는 신호가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전달되어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가 제어된다. For example,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and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may include a gate electrode, a semiconductor layer, a source electrode, and a drain electrode. The gate electrode of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is connected to the gate wiring, the source electrode of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is connected to the data line, and the drain electrode of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is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he switching thin film transistor is controlled by a signal applied through the gate wiring, and a signal applied through the data wiring is transferred to a gate electrode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to control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은 전원 배선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은 상기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E)의 제 1 전극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의 제어에 의해 상기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E)가 동작하게 된다.A source electrode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is connected to a power supply line, and a drain electrode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is connected to a first electrode of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E). Accordingly,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E operates under the control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상기 인캡슐레이션 필름(240)은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 1 필름(241) 및 상기 제 3 필름(243)을 각각 최하층 및 최상층으로 하고, 상기 제 2 필름(242)이 상기 제 1 필름(241)과 상기 제 3 필름(243) 사이에서 위치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 2 필름(242)은 유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상기 인캡슐레이션 필름(240)은 무기절연물질막과 유기절연물질막이 교대로 적층되고, 최하층과 최상층은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진다. 최하층인 상기 제 1 필름(241)은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E)의 제 2 전극과 접촉하게 된다.The
상기 제 1 필름(241) 및 상기 제 3 필름(243)은 약 1000의 두께를 갖고, 상기 제 2 필름(242)은 약 5000의 두께를 갖는다.The
무기절연물질막은 습기 등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며, 유기절연물질막은 습기 등의 차단 기능은 없으나 무기절연물질막에 대한 충격 완화의 기능을 하게 된다. 따라서,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3 필름(243)이 인캡슐레이션 필름(240)의 최상층에 위치하여 외부의 습기를 차단하고, 또한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1 필름(241)이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E)와 접촉하여 습기에 의한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E)의 손상을 최소화하게 된다. 또한, 유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2 필름(242)의 끝은 상기 제 1 필름(241) 및 제 3 필름(243)에 의해 덮여지게 된다.The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film serves to shield moisture and the like, and the organic insulating material film does not have a function of blocking moisture, but functions as an impact mitigation for the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film. Accordingly, the
상기 기판(201)은 모자 형태를 갖는다. 즉, 상기 기판(201)은 표시영역(DA) 전체 및 상기 비표시영역(NDA) 일부에 대응하여 제 1 두께(t1)를 갖는 제 1 부분(201a)과, 상기 제 1 부분(201a)의 주변에 위치하며 상기 제 1 두께(t1)보다 작은 제 2 두께(t2)를 갖는 제 2 부분(201b)로 이루어진다. 상기 기판(201)은 가장자리부를 에칭함으로써, 서로 다른 두께를 갖도록 할 수 있다.The
상기 제 1 부분(201a)과 상기 제 2 부분(201b)의 두께 차이(t1-t2)는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상기 제 1 필름(141) 및 제 2 필름(142) 각각의 두께보다 크다. 예를 들어, 상기 상기 제 1 필름(141) 및 제 2 필름(142) 각각이 1000의 두께를 가지는 경우, 상기 제 1 부분(201a)과 상기 제 2 부분(201b)의 두께 차이(t1-t2)는 약 1㎛이상일 수 있다.The thickness difference t1-t2 between the
도면에서, 상기 제 1 부분(201a)의 측면과 상기 제 2 부분(201b)의 상부면이 수직하게 만나고 있으나, 상기 제 1 부분(201a)과 상기 제 2 부분(201b)이 테이퍼(taper)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부분(201a)과 상기 제 2 부분(201b)이 약 45°의 테이퍼(taper) 형상을 가지고 상기 상기 제 1 필름(141) 및 제 2 필름(142) 각각이 1000의 두께를 가지는 경우, 상기 제 1 부분(201a)과 상기 제 2 부분(201b)이 약 3㎛이상의 두께 차이를 가질 수 있다.Although the side surface of the
상기 기판(201)은 유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기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E)로 외부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기판(201)은 서로 다른 두께를 갖는 제 1 및 제 2 부분(201a, 201b)으로 이루어지는데, 이에 의해 크랙의 발생 없이 베젤 크기를 줄일 수 있다.Since the
즉, 무기절연물질은 스퍼터에 의해 증착될 수 있는데, 하부 단차에 영향을 받게 된다. 이때, 상기 기판(201)은 상기 비표시영역(NDA)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201a, 201b)에 의해 두께 차이가 발생하게 되며,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1 필름(241) 및 제 3 필름(243)은 상기 제 1 부분(201a) 및 제 2 부분(201b)의 경계에서 불연속적인 부분이 발생하게 된다.That is, the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can be deposited by sputtering, which is affected by the lower step. At this time, the thickness of the
따라서, 상기 제 1 필름(241) 및 제 3 필름(243)이 위치하는 상기 기판(201)의 제 2 부분(201b)에 대하여 스크라이빙이 이루어지더라도, 불연속적인 부분에 의해 크랙이 표시영역(DA)으로 전이되지 않게 된다.Therefore, even if scribing is performed on the
또한, 스크라이빙이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1 및 제 3 필름(241, 243)에 대하여 이루어지기 때문에,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베젤 크기가 증가하지 않는다.Further, since the scribing is performed on the first and
제 2 실시예에서 3중층의 인캡슐레이션 필름(240)이 보여지고 있으나,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5중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예에서도 인캡슐레이션 필름(140)은 3중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Although a tripl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101, 201: 기판
110: 베리어층
E: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
140, 240: 인캡슐레이션 필름101, 201: substrate
110: barrier layer
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140, 240: encapsulation film
Claims (16)
상기 표시영역 전체 및 상기 비표시영역 일 부분에 대하여 제 1 두께를 갖는 제 1 부분과, 상기 비표시영역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 상기 제 1 두께보다 작은 제 2 두께를 갖는 제 2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베리어층과;
상기 베리어층 상에 위치하며 상기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와;
상기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베리어층을 덮고, 상기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와 접촉하며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1 필름과, 상기 제 1 필름 상에 위치하며 유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2 필름과, 상기 제 2 필름 상에 위치하며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3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인캡슐레이션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3 필름은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의 경계에서 불연속적인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 2 필름은 상기 제 1 부분보다 작은 평면적을 가져 상기 제 1 부분내측에 위치하는 것이 특징인 유기전계발광소자.
A substrate having a display region and a non-display region around the display region;
And a second portion having a second thickness smaller than the first thickness with respect to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non-display region, wherein the first portion has a first thickness with respect to the entire display region and the non- A barrier layer disposed on the substrat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osed on the barrier layer and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region;
A first film cover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barrier layer and contact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made of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a second film disposed on the first film and made of an organic insulating material; 2 film, and an encapsulation film made of a third film made of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The first and third films having discontinuous portions at the boundaries of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Wherein the second film has a planar area smaller than the first portion and is located inside the first portion.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며 상기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와;
상기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기판을 덮고, 상기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와 접촉하며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1 필름과, 상기 제 1 필름 상에 위치하며 유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2 필름과, 상기 제 2 필름 상에 위치하며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3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인캡슐레이션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3 필름은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의 경계에서 불연속적인 부분을 갖는 것이 특징인 유기전계발광소자.
A first portion having a display region and a non-display region around the display region, the first portion having a first thickness with respect to the entire display region and a portion of the non-display region; A second portion having a second thickness smaller than the first portio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osed on the substrate and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region;
A first film cover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substrate and contact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made of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a second film disposed on the first film and made of an organic insulating material; And an encapsulation film formed on the film and made of a third film made of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Wherein the first and third films have discontinuous portions at the boundaries of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상기 인캡슐레이션 필름은 상기 제 2 및 제 3 필름 사이에 위치하며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4 필름과, 상기 제 4 및 제 3 필름 사이에 위치하며 유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5 필름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유기전계발광소자.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encapsulation film comprises a fourth film made of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and disposed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films and a fifth film disposed between the fourth and third films and made of an organic insulating material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상기 제 2 필름의 끝은 상기 제 3 필름에 의해 덮여지는 것이 특징인 유기전계발광소자.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nd an end of the second film is covered with the third film.
상기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는 서로 마주보는 제 1 및 제 2 전극과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유기발광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인 유기전계발광소자.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ode comprises first and second electrodes facing each other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상기 베리어층은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인 유기전계발광소자.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rrier layer is made of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상기 제 1 두께와 상기 제 2 두께의 차이는 상기 제 1 필름 및 상기 제 2 필름 각각의 두께보다 큰 것이 특징인 유기전계발광소자.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hickness and the second thickness is larger than a thickness of each of the first film and the second film.
상기 베리어층 상에, 상기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베리어층을 덮고, 상기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와 접촉하며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1 필름과, 상기 제 1 필름 상에 위치하며 유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2 필름과, 상기 제 2 필름 상에 위치하며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3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인캡슐레이션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부분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및 제 3 필름에 대응하여 스크라이빙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3 필름은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의 경계에서 불연속적인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 2 필름은 상기 제 1 부분보다 작은 평면적을 가져 상기 제 1 부분내측에 위치하는 것이 특징인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A first portion having a first thickness with respect to the entire display region and a portion of the non-display region on a substrate on which a display region and a non-display region around the display region are defined; Forming a barrier layer comprising a second portion having a second thickness less than the first thickness;
Form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region on the barrier layer;
A first film cover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barrier layer and contact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made of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a second film disposed on the first film and made of an organic insulating material; Forming an encapsulation film on the second film, the encapsulation film being made of a third film made of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And scribing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third films located in the second portion,
The first and third films having discontinuous portions at the boundaries of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Wherein the second film has a planar area smaller than the first portion and is located inside the first portion.
상기 기판 상에, 상기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기판을 덮고, 상기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와 접촉하며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1 필름과, 상기 제 1 필름 상에 위치하며 유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2 필름과, 상기 제 2 필름 상에 위치하며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3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인캡슐레이션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3 필름은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의 경계에서 불연속적인 부분을 갖는 것이 특징인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A first portion having a display region and a non-display region around the display region, the first portion having a first thickness with respect to the entire display region and a portion of the non-display region; Forming a substrate comprising a second portion having a second thickness less than the first portion;
Form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region on the substrate;
A first film cover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substrate and contact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made of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a second film disposed on the first film and made of an organic insulating material; Forming an encapsulation film of a third film, which is located on the film and is made of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Wherein the first and third films have discontinuous portions at the boundaries of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상기 인캡슐레이션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및 제 3 필름 사이에 위치하며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4 필름과, 상기 제 4 및 제 3 필름 사이에 위치하며 유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5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1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9,
Wherein the step of forming the encapsulation film comprises the steps of: forming a fourth film made of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and located between the second and third films; and a fifth film disposed between the fourth film and the third film, And forming a second electrode on the second electrode.
상기 제 2 필름의 끝은 상기 제 3 필름에 의해 덮여지는 것이 특징인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1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9,
And the end of the second film is covered with the third film.
상기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는 서로 마주보는 제 1 및 제 2 전극과 상기 제 1 및 제 2 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유기발광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인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1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9,
Wherein th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ode comprises first and second electrodes facing each other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상기 베리어층은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인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
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barrier layer is made of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상기 제 1 두께와 상기 제 2 두께의 차이는 상기 제 1 필름 및 상기 제 2 필름 각각의 두께보다 큰 것이 특징인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10.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8 or 9,
Wherei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hickness and the second thickness is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each of the first film and the second film.
상기 표시영역 전체 및 상기 비표시영역 일 부분에 대하여 제 1 두께를 갖는 제 1 부분과, 상기 비표시영역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 상기 제 1 두께보다 작은 제 2 두께를 갖는 제 2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판 상에 위치하는 베리어층과;
상기 베리어층 상에 위치하며 상기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와;
상기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베리어층을 덮고, 상기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와 접촉하며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1 필름과, 상기 제 1 필름 상에 위치하며 유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2 필름과, 상기 제 2 필름 상에 위치하며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3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인캡슐레이션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3 필름은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의 경계에서 불연속적인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 1 두께와 상기 제 2 두께의 차이는 상기 제 1 필름 및 상기 제 2 필름 각각의 두께보다 큰 유기전계발광소자.
A substrate having a display region and a non-display region around the display region;
And a second portion having a second thickness smaller than the first thickness with respect to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non-display region, wherein the first portion has a first thickness with respect to the entire display region and the non- A barrier layer disposed on the substrat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disposed on the barrier layer and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region;
A first film cover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barrier layer and contact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made of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a second film disposed on the first film and made of an organic insulating material; 2 film, and an encapsulation film made of a third film made of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The first and third films having discontinuous portions at the boundaries of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Wherein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hickness and the second thickness is larger than a thickness of each of the first film and the second film.
상기 베리어층 상에, 상기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 및 상기 베리어층을 덮고, 상기 유기전계발광다이오드와 접촉하며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1 필름과, 상기 제 1 필름 상에 위치하며 유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2 필름과, 상기 제 2 필름 상에 위치하며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제 3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인캡슐레이션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부분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및 제 3 필름에 대응하여 스크라이빙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3 필름은 상기 제 1 및 제 2 부분의 경계에서 불연속적인 부분을 가지며,
상기 제 1 두께와 상기 제 2 두께의 차이는 상기 제 1 필름 및 상기 제 2 필름 각각의 두께보다 큰 유기전계발광소자의 제조방법.A first portion having a first thickness with respect to the entire display region and a portion of the non-display region on a substrate on which a display region and a non-display region around the display region are defined; Forming a barrier layer comprising a second portion having a second thickness less than the first thickness;
Form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corresponding to the display region on the barrier layer;
A first film cover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the barrier layer and contacting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made of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a second film disposed on the first film and made of an organic insulating material; Forming an encapsulation film on the second film, the encapsulation film being made of a third film made of an inorganic insulating material;
And scribing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third films located in the second portion,
The first and third films having discontinuous portions at the boundaries of the first and second portions,
Wherein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hickness and the second thickness is greater than a thickness of each of the first film and the second film.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00083632A KR101694408B1 (en) | 2010-08-27 | 2010-08-27 |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00083632A KR101694408B1 (en) | 2010-08-27 | 2010-08-27 |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20019973A KR20120019973A (en) | 2012-03-07 |
| KR101694408B1 true KR101694408B1 (en) | 2017-01-09 |
Family
ID=4612875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00083632A Active KR101694408B1 (en) | 2010-08-27 | 2010-08-27 |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69440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978783B1 (en) * | 2012-11-09 | 2019-05-15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Flexible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 KR102122528B1 (en) * | 2013-08-06 | 2020-06-12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KR102602191B1 (en) * | 2018-08-24 | 2023-11-15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3017251A (en) | 2001-06-28 | 2003-01-17 | Canon Electronics Inc | Manufacturing method of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
| JP2007157374A (en) * | 2005-12-01 | 2007-06-21 | Seiko Epson Corp | LIGHT 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415794B1 (en) * | 2008-06-12 | 2014-07-11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2010
- 2010-08-27 KR KR1020100083632A patent/KR10169440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3017251A (en) | 2001-06-28 | 2003-01-17 | Canon Electronics Inc | Manufacturing method of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
| JP2007157374A (en) * | 2005-12-01 | 2007-06-21 | Seiko Epson Corp | LIGHT EMITT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20019973A (en) | 2012-03-07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9741775B2 (en) | Display device | |
| KR102424597B1 (en) |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 US8736156B2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 |
| EP2866261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
| US10026922B2 (en) | Display device | |
| KR101430173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 |
| US9543368B2 (en) | OLED array substrate having black matrix, manufactur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thereof | |
| US8766299B2 (en) |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comprising electro-optical device having color filter and sealing film | |
| US9825109B2 (en) | Display device | |
| KR101697611B1 (en) | Organic electro luminescent device | |
| CN110112183A (en) | Double face display panel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 KR20140127633A (en) | Thin film semiconductor devic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 |
| US7872255B2 (en) |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 |
| KR102572407B1 (en) | Thin Film Transistor Array Substrat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 JP2005293946A (en) | Organic EL display device | |
| JP2002299044A (en) |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 |
| KR20150125207A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 JP2012209215A (en) | Manufacturing method of organic e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 |
| US20240179993A1 (en) | Transparent display device | |
| KR101874863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 |
| KR101274699B1 (en) | The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 |
| KR20160046979A (en) | Display device | |
| KR101694408B1 (en) |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 KR100761076B1 (en) | Flat Panel Display | |
| KR20190081061A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27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8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8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14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1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