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8192B1 - Welding supply line coupling device of integrated arc-weling torch - Google Patents
Welding supply line coupling device of integrated arc-weling torch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98192B1 KR101698192B1 KR1020150122570A KR20150122570A KR101698192B1 KR 101698192 B1 KR101698192 B1 KR 101698192B1 KR 1020150122570 A KR1020150122570 A KR 1020150122570A KR 20150122570 A KR20150122570 A KR 20150122570A KR 101698192 B1 KR101698192 B1 KR 10169819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llet chuck
- welding
- coupling
- electrode
- engaging por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24—Features related to electrodes
- B23K9/26—Accessories for electrodes, e.g. ignition ti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6—Arc welding or cutting making use of shielding gas
- B23K9/167—Arc welding or cutting making use of shielding gas and of a non-consumable electrod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24—Features related to electrodes
- B23K9/28—Supporting devices for electrod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24—Features related to electrodes
- B23K9/28—Supporting devices for electrodes
- B23K9/287—Supporting devices for electrode hold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24—Features related to electrodes
- B23K9/28—Supporting devices for electrodes
- B23K9/29—Supporting devices adapted for making use of shielding means
- B23K9/291—Supporting devices adapted for making use of shielding means the shielding means being a gas
- B23K9/296—Supporting devices adapted for making use of shielding means the shielding means being a gas using non-consumable electr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토치와 분리되어 용접관로를 교체가능하도록 하는 용접관로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극부를 일측에서 결합하도록 결합부분을 갖는 결합부; 와 상기 결합부를 내부에 삽입하여 고정가능하며 양측이 개방되어 일측에는 상기 결합부를 삽입하고 타측에는 둘레를 따라 한개소 이상의 조임슬릿을 구비하고 상기 조임슬릿과 이격된 위치에 한개소 이상의 홈을 구비한 제 1 콜릿척; 과 상기 제 1 콜릿척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한개소 이상의 돌기부를 가지며 상기 돌기부와 이격되어진 한개소 이상의 슬릿을 구비한 제 2 콜릿척; 및 상기 제 1 콜릿척과 상기 제 2 콜릿척이 결합하여 삽입되며 상기 제 1 콜릿척과 상기 제 2 콜릿척의 결합을 공고히 하는 콜릿척 본체를 포함하여, 용접관로의 전선외부 고무까지 압착할 수 있다. 또한, 용접관로에 문제가 발생시에는 전체를 교체를 하지 않고도 교체를 하고자 하는 위치를 용이하게 교체가능하도록 하며 이로 인해 유지 비용이 감소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lded pipe connecting apparatus for separating a welding torch from a welding torch so that the welding pipe can be replaced, the welding pipe connecting apparatus comprising: a coupling portion having a coupling portion for coupling the electrode portion at one side; And at least one tightening slit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ther side, and at least one groove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tightening slit is provided. A first collet chuck; A second collet chuck inserted and fixed in the first collet chuck and having at least one protrus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roove and at least one slit spaced apart from the protrusion; And a collet chuck body inserted into the first collet chuck and the second collet chuck in a combined manner and solidifying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llet chuck and the second collet chuck to press the outer rubber of the wire of the welded pipe. In addition, when a problem occurs in the welded pipe, it is possible to easily change the position to be replaced without replacing the entire pipe, thereby reducing the maintenance cost.
Description
본 발명은 용접토치와 용접관로를 결합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용접토치와 분리되어 용접관로를 교체가능하도록 하는 용접관로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joining a welding torch and a welded pipe, and more particularly to a welding pipe joining apparatus for separating a welding torch from a welding torch so as to be replaceable.
일반적으로 아크용접은 전기회로에 2개의 금속 또는 탄소단자를 서로 접촉시키로 이것을 당겨 간격이 생기게 하면 아크를 발생하면서 고열이 생긴다. 이 열을 이용한 용접이 아크용접법이다. 이때 고열로 인하여 단자의 일부가 기화되고 전기 통로가 되어 전류는 계속 흐르게 된다. 이때 발생하는 열로써 금속을 용융시킬 수 있다. 가장 온도가 높은 부분은 타소 아크에서 4000℃ 금속 아크에서는 3000℃ 에 달한다. 모재와 금속적극과의 사이에 아크를 발생시켜 그 용접열로서 전극과 모재를 용융하며 용점 급속을 형성하는 것을 금속 아크 용접의 방법, 이방식의 용접을 용극식 용접법이라고 한다. 종류에는 피복 아크 용접법, 서브머어지드 아크 용접법, 불활성 가스 금속 아크 용접법, 탄산가스 시일드 아크 용접법 등이 이에 속한다.
Generally, arc welding is a method in which two metal or carbon terminals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in an electric circuit. The welding using this heat is an arc welding method. At this time, due to the high temperature, a part of the terminal is vaporized and the electric passage becomes, and the current continues to flow. At this time, the metal can be melted as heat generated. The parts with the highest temperature reach 3000 ° C in the 4000 ° C metal arc in the Tauo arc. An arc is generated between the base metal and the active electrode to melt the electrode and the base material as the welding heat to form a rapid welding point. This method is called a metal arc welding method, and this type of welding is called a drag welding method. Types include covered arc welding, submerged arc welding, inert gas metal arc welding, and carbon dioxide gas arc welding.
아르곤 용접으로 상품화된 티그(TIG, tungsten inert-gas arc welding)용접은 텅스텐봉을 전극으로 사용하여 아르곤 헬륨등의 불활성 가스를 용접부위에 분사며 용가재를 첨가하며, 용접하는 방식으로 가스가 금속 산화물을 발생과 불순물의 혼입을 차단하므로 정밀하고 기하학적인 형태의 작품 제작에 유용하다. 여기서 텅스텐으로 된 용접봉은 전류를 전달할 뿐이지 소모되지 않는다.
In the case of TIG (tungsten inert-arc arc welding) welding using argon welding, an inert gas such as argon helium is injected onto the weld using a tungsten rod as an electrode. It is useful for making precise and geometric works because it prevents the occurrence and mixing of impurities. Here, a tungsten electrode is only consumed by current.
이와 같은 용접장치에 사용 되는 용접토치는 실드가스 또는 와이어가 나오는 부분을 말하고 토치연결되어지는 용접관로은 가스공급과 용접와이어(Wire)공급, 용접 전원공급을 하기 위해 연결되어지며 종래의 용접토치와 용접관로의 연결은 어느 한 부분에 문제가 생기면 문제의 발생부분에 상관 없이 전체를 교체하여야만 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The welding torch used in such a welding apparatus refers to the portion of the shield gas or wire where the torch comes out, and the welding line to which the torch is connected is connected to supply the gas, supply the welding wire and supply the welding power, The connection of the pipeline has a problem in that if a problem occurs in one part, the entire pipeline must be replaced irrespective of the occurrence part of the problem.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용접관로은 용접토치와 연결되어 사용가능하며 용접토치이거나 용접관로에 문제가 발생시에는 전체를 교체를 하지 않고도 교체를 하고자 하는 위치를 용이하게 교체가능하도록 하며 이로 인해 유지 비용이 감소하도록 교체가 손쉬운 새로운 형태의 용접관로 결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nd a welding pipe can be used in connection with a welding torch. When a welding torch or a trouble occurs in a welding pipe,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ew type of welding pipe coupling device which is easy to replace so as to be replaceable and thereby reduce the maintenance cost.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전극과 모재 사이에서 아크를 발생시켜 용접 작업을 수행하는 아크용접 토치에 있어서, 적어도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선을 포함하는 용접관로를 내부에 수용하며 사용자의 파지공간을 제공하는 메인바디; 와 상기 메인바디의 일측에 연결되어 용접 방식에 따른 전극이 장착되는 전극부의 일측에서 결합하도록 결합부분을 갖는 결합부; 와 상기 결합부를 내부에 삽입하여 고정가능하며 양측이 개방되어 일측에는 상기 결합부를 삽입하고 타측에는 둘레를 따라 한개소 이상의 조임슬릿을 구비하고 상기 조임슬릿과 이격된 위치에 한개소 이상의 홈을 구비한 제 1 콜릿척; 과 상기 제 1 콜릿척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한개소 이상의 돌기부를 가지며 상기 돌기부와 이격되어진 한개소 이상의 슬릿을 구비한 제 2 콜릿척; 및 상기 제 1 콜릿척과 상기 제 2 콜릿척이 결합하여 삽입되며 상기 제 1 콜릿척과 상기 제 2 콜릿척의 결합을 공고히 하는 콜릿척 본체; 를 포함하여, 용접관로의 전선외부 고무까지 압착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rc welding torch for generating an arc between an electrode and a base material to perform a welding operation, the arc welding torch including at least a welding line including a power line for power supply, A main body for providing a user's gripping space; And a coupling par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coupling part for coupling at one side of the electrode part to which the electrode according to the welding method is mounted; And at least one tightening slit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ther side, and at least one groove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tightening slit is provided. A first collet chuck; A second collet chuck inserted and fixed in the first collet chuck and having at least one protrus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roove and at least one slit spaced apart from the protrusion; And a collet chuck body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collet chuck and the second collet chuck to fix the first collet chuck and the second collet chuck together; , The rubber outside the wire of the welded pipe can be squeezed.
이와 같은 용접관로 결합장치에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전극부를 결합하는 제 1 결합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결합부분과 이격되며 상기 제 1 콜릿척을 결합하여 고정하기 위한 제 2 결합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In such a welded pipe coupling device, the coupling portion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portion for coupling the electrode portion,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for spacing apart from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coupling and fixing the first collet chuck .
이와 같은 용접관로 결합장치에서 상기 제 1 콜릿척은 상기 제 2 결합부분에 결합되어지며 양끝단이 개방되어 일단은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며 타단은 상기 조임슬릿과 상기 홈이 구비되며 상기 타단의 둘레는 테파부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조임슬릿와 이격되는 일측에 상기 콜릿척 본체를 결합하는 본체결합부를 가질 수 있다.
In the welding pipe coupling apparatus, the first collet chuck is coupled to the second engaging portion, both ends thereof are opened, one end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the tightening slit and the groove, A collet chuck body formed on a side of the collet chuck body which is spaced from the tightening slit.
이와 같은 용접관로 결합장치에서 상기 제 2 콜릿척은 상기 타단으로 삽입되어져 상기 홈에 상기 돌기부가 결합하여 고정되어지고 상기 돌기부와 상기 홈의 결합에 의해 상기 용접관로를 고정할 수 있다.
In the welding pipe coupling apparatus, the second collet chuck is inserted into the other end, and the protrusion is engaged with the groove, and the welding channel can be fixed by the engagement of the protrusion and the groove.
이와 같은 용접관로 결합장치에서 상기 제 1 콜릿척과 상기 제 2 콜릿척이 결합되어지면 상기 콜릿척 본체를 상기 본체결합부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테파부를 향해 밀면서 결합하게되어 상기 용접관로를 공고히 압착하여 고정할 수 있다.
When the first collet chuck and the second collet chuck are coupled to each other in such a welded pipe coupling device, the collet chuck body is fixed to the main body engaging portion by being pushed toward the wedge portion, can do.
이와 같은 용접관로 결합장치에 따르면, 전극부를 일측에서 결합하도록 결합부분을 갖는 결합부; 와 상기 결합부를 내부에 삽입하여 고정가능하며 양측이 개방되어 일측에는 상기 결합부를 삽입하고 타측에는 둘레를 따라 한개소 이상의 조임슬릿을 구비하고 상기 조임슬릿과 이격된 위치에 한개소 이상의 홈을 구비한 제 1 콜릿척; 과 상기 제 1 콜릿척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한개소 이상의 돌기부를 가지며 상기 돌기부와 이격되어진 한개소 이상의 슬릿을 구비한 제 2 콜릿척; 및 상기 제 1 콜릿척과 상기 제 2 콜릿척이 결합하여 삽입되며 상기 제 1 콜릿척과 상기 제 2 콜릿척의 결합을 공고히 하는 콜릿척 본체를 포함하여, 용접관로의 전선외부 고무까지 압착할 수 있다. 또한, 용접관로에 문제가 발생시에는 전체를 교체를 하지 않고도 교체를 하고자 하는 위치를 용이하게 교체가능하도록 하며 이로 인해 유지 비용이 감소할 수 있다.
According to such a welding pipe connecting apparatus, a coupling portion having a coupling portion for coupling the electrode portion at one side; And at least one tightening slit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ther side, and at least one groove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tightening slit is provided. A first collet chuck; A second collet chuck inserted and fixed in the first collet chuck and having at least one protrus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roove and at least one slit spaced apart from the protrusion; And a collet chuck body inserted into the first collet chuck and the second collet chuck in a combined manner and solidifying the coupling between the first collet chuck and the second collet chuck to press the outer rubber of the wire of the welded pipe. In addition, when a problem occurs in the welded pipe, it is possible to easily change the position to be replaced without replacing the entire pipe, thereby reducing the maintenance cost.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수동 아크용접 토치에서 제1전극이 장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A-A'부 단면도;
도 3 은 도 1에 도시된 제1전극의 상세 구조를 보인 도면;
도 4 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전극부에 제1전극이 연결된 구조를 보이기 위한 부분 절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 아크용접 토치에서 제 2 전극이 장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6 은 도 5의 B-B'부 단면도;
도 7 및 도 8 은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전극부에 제2전극이 연결된 구조를 보이기 위한 부분 절개도 및 부분 투영도;
도 9 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제2전극의 상세 구조를 보인 도면;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접관로 결합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first electrode is mounted in a manual arc welding tor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1;
FIG. 3 is a view showing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first electrode shown in FIG. 1; FIG.
FIG. 4 is a partial cutaway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first electrode is connected to an electrode part which is a main constitu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second electrode is mounted in a manual arc welding tor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5;
FIGS. 7 and 8 are a partial cutaway view and partial plan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second electrode is connected to an electrode part, which is a substantial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view showing a detailed structure of a second electrode which is a main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to 12 are views showing a welding pipe coupl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 아크용접 토치에서 제1전극이 장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 에는 도 1 의 A-A'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 에는 도 1에 도시된 제1전극의 상세 구조를 보인 도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4 에는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전극부에 제1전극이 연결된 구조를 보이기 위한 부분 절개도가 도시되어 있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first electrode is mounted in a manual arc welding tor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 FIG. 4 is a partial cut-away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in which a first electrode is connected to an electrode unit, which is a main component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도 5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수동 아크용접 토치에서 제 2 전극이 장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 에는 도 5의 B-B'부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 및 도 8 은 본 발명의 요부구성인 전극부에 제2전극이 연결된 구조를 보이기 위한 부분 절개도 및 부분 투영도가 도시되어 있다.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electrode is mounted in the manual arc welding torch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5, 8 is a partial cutaway view and a partial plan view showing a structure in which a second electrode is connected to an electrode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수동 아크용접 토치(1)는 전극과 모재 사이에서 아크를 발생시켜 용접 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적어도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선을 포함하는 용접관로(10)를 내부에 수용하며 사용자의 파지공간을 제공하는 메인바디(400)와, 상기 메인바디(400)의 일측에 연결되어 용접 방식에 따른 전극이 장착되고, 상기 메인바디(400)와 연결 상태를 유지하면서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전극을 교체 장착할 수 있는 전극부(1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these drawings, a manual
상세히, 상기 전극부(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전극부 케이스(110)와, 상기 전극부 케이스(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서로 다른 위치에서 전극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분기관로(도면부호 부여되지 않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In more detail, the
상기 전극부 케이스(110)에는 용접 방식에 따라 구분되는 전극이 적어도 2방향 이상 다른 형태로 장착될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위치에 다수의 전극홀(도면부호 부여도지 않음)이 형성된다.
In the
그리고, 상기 분기관로는 상기 전극홀 중 일부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용접 관로(1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제1전극(300)이 연결되는 제1관로(120)와, 상기 제1관로(120)와 연통되면서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용접관로(10)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 제2전극(500)이 연결되는 제2관로(140)를 포함한다.
The branch pipe includes a first pipe (120) to which a first electrode (300) supplied with power through the welding line (10) is connect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part of the electrode holes, and a second pipe And a second pipe (140) form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first pipe (120) and connected to a second electrode (500) supplied with power through the weld pipe (10).
본 실시 예에서는 도 1을 기준으로 상기 전극부 케이스(110)의 전측(Front)에 상기 제1전극(300)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나의 전극홀이 형성되고, 상기 전극홀에 대응되어 상기 전극부 케이스(110) 내부에 상기 제1관로(120)의 일단이 위치된다.
1, one electrode hole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그리고, 상기 전극부 케이스(110)의 상측(Top) 및 하측(Bottom)에는 상기 제2전극(500)이 연결될 수 있도록 2개의 전극홀이 동심축선상에 형성되어 상기 2개의 전극홀에 상기 제2관로(140)의 양단부가 위치된다.
Two electrode holes are formed concentrically on the top and bottom of the
즉, 상기 분기관로는 4방향으로 연통되는 크로스 타입 배관으로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어 용접 관로(10)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관로(120)는 모재와 전극의 용접 위치를 고려하여 전측이 일부분 하향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That is, the branch pipe is a cross-type pipe communicating in four directions and is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connected to the welded
그리고, 상기 제2관로(140)는 상기 경사진 제1관로(120) 부분에 교차되도록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용접위치 조절부(200)에 의해 전극부(100) 또는 메인바디(400)를 회전시켜 장착된 제2전극(500)이 전측으로 하향경사를 가지도록 위치시킬 수 있다.
The
한편, 상기 전극부 케이스(110)에는 상기 제1전극(300) 또는 제2전극(500)의 연결 시 상기 제1관로(120) 또는 제2관로(140)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차폐수단이 더 구비된다.
The
상기 차폐수단은 상기 전극부 케이스(110)에 형성된 전극홀을 차폐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제1전극(300)이 체결되는 전극홀은 상기 제2전극(500)에 의한 아크용접이 수행될 경우 차폐수단의 일구성인 제1캡(112)에 의해 차폐된다.
The shielding means is for shielding the electrode holes formed in the
상기 제1캡(112)은 단부가 탄성 고무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1전극(300)이 체결되는 제1관로(120)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보다 견고한 체결력을 위하여 상기 전극부 케이스(110)와 나선 방식으로 체결되는 구조가 부가될 수 있다.
The
그리고, 상기 제2전극(500)이 체결되는 전극홀은 상기 제1전극(300)에 의한 아크용접이 수행될 경우 차폐수단의 다른 구성인 제2캡(114) 및 제3캡(116)에 의해 차폐된다.
When arc welding is performed by the
상기 제2캡(114) 및 제3캡(116)의 경우에도 제1캡(112)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제2관로(140)의 상부유로 및 하부유로에 각각 억지 끼움 방식으로 체결되고, 끼움 장착되면서 나선 방식으로 전극부 케이스(110)에 회전체결 될 수 있다.
The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1관로(120)에 연결되는 제1전극(300)으로 CO2 전극이 연결되고, 상기 제2관로(140)에는 제2전극(500)으로 텅스텐전극이 연결된다.
In this embodiment, a CO 2 electrode is connected to the
상기 CO2 전극은 용접 와이어 배출구(342)가 형성된 CO2 팁(340)에서 와이어 송급장치로부터 소모성 와이어를 일정속도로 공급받아 용접 관로(10)를 통해 전달되는 전원으로 와이어와 모재 사이에서 아크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CO2 전극을 이용하는 용접 작업 시에는 용접 관로(10)를 통해 CO2 가스를 공급하여 아크나 용융금속이 공기중의 산소나 질소 등에 의해 악영향을 받지 않도록 한다.
The CO 2 electrode is supplied with a consumable wire at a constant speed from a wire feeding device at a CO 2 tip 340 where a
이를 위해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CO2 전극의 구성으로 상기 제1관로(120)를 통해 공급되는 전원과 와이어 송급장치를 통해 공급되는 와이어로 아크를 발생시키기 위한 CO2 팁(340)과, 상기 CO2 팁(340)을 내부에 수용하며, 용접 모재를 향해 CO2 가스를 분사하기 위한 CO2 노즐(320)이 포함된다.
To this end, in this embodiment, a CO 2 tip 340 for generating an arc from a power supplied through the
그리고, 상기 CO2 노즐(320)의 후측에는 상기 CO2 노즐(320)로 공급되는 가스를 확산시키기 위한 CO2 가스 디퓨져(380)가 구비되며, 상기 CO2 가스 디퓨져(380)와 상기 CO2 팁(340) 사이에는 확산되는 가스를 안내하여 상기 CO2 노즐(320) 내부에서 가스의 와류를 저감시키고, 상기 CO2 노즐(320)으로 용접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가스 가이드 절연구(360)가 더 구비된다.
A CO 2 gas diffuser 380 for diffusing a gas supplied to the CO 2 nozzle 320 is provided at a rear side of the CO 2 nozzle 320. The CO 2 gas diffuser 380 and the CO 2 tip 340 has a gas guide section research for preventing the reduction of the vortex of the gas and, welding power is supplied to the CO 2 nozzle 320 from the inside to guide the gas to spread the CO 2 nozzle 320 between ( 360 are further provided.
상세히, 상기 가스 가이드 절연구(360)는 상기 CO2 가스 디퓨져(380)에 형성된 CO2 가스 배출홀(382)을 감싸도록 상기 CO2 가스 디퓨져(380)와 상기 CO2 노즐(320) 사이를 연결한다.
In detail, between said gas
이를 위해 상기 가스 가이드 절연구(360)에는 절연구 몸체(361)의 전측으로 상기 노즐(320)의 후단이 회전 체결되는 나선 형태의 노즐 체결부(366)가 형성되고, 후측에는 상기 CO2 가스 디퓨져(380)의 CO2 가스 배출홀(382) 부분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가 형성된다.
To this end, a spiral-shaped
따라서, 상기 절연구 몸체(361)의 내부에서는 상기 CO2 가스 디퓨져(380)의 측방으로 배출되어 상기 CO2 노즐(320) 내부에 부딪히던 CO2 가스를 전측에 형성된 다수의 가이드 홀(362)로 안내하여 와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Therefore, in the interior of the
한편, 상기 제1관로(120)의 후단에는 전극부(100)의 냉각을 위한 냉각부(160)가 더 구비된다.
A
상세히, 상기 냉각부(160)는 상기 제1관로(120)와 동일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메인바디(400)의 내측으로 수용되는 워터 라인(30, Water Line)과 연결되어 냉각수를 공급받아 저장한다.
In detail, the
이를 위해 상기 냉각부(160)는 원형 또는 다각형 통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관로(120)의 직경과 대응되는 직경을 가지도록 홀이 천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냉각부(160)는 상기 홀을 상기 제1관로(120)에 대응시켜 끼워 넣은 이후 브레이징 방식으로 접합된다.
For this, the
따라서, 상기 냉각부(160)로 유입되는 냉각수는 상기 제1관로(120)의 외면을 경유하면서 제1관로(120)를 냉각시키며, 냉각부(160)로 유입된 냉각수는 회수라인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cooling water flowing into the
그리고, 상기 제1관로(120)의 후단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관로연결구(800, 도 7 참조)와 함께 상기 제1관로(120)를 용접관로(10)와 연결시키기 위한 제1관로 연결관이자 용접관로 결합장치인 결합부(17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결합부(170)에는 상기 제1관로(120)와 회전 체결될 수 있도록 제1관로 체결부인 제 1 결합부분(172, 도 10참조)이 더 형성된다.
A first duct connecting pipe for connecting the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전극부(100)의 제2관로(140)에는 제2전극(500)으로 텅스텐전극이 장착될 수 있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tungsten electrode may be mounted on th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0 내지 도 12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각 부재를 성형하기 위한 관련 기술, 용접관로과 용접토치의 제어적인 연결 관련 기술, 용접관로가 제공하는 가스공급, 용접 와이어공급, 용접전원공급 관련 기술 등 통상 본 발명에 적용되는 분야의 종사자들 및 그들이 관련분야의 종사자들 및 그들이 관련분야의 종사자들을 통해 통상적으로 알 수 있는 부분들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도시 및 설명 하였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2. FIG. On the other hand, the related arts for forming the respective members, the techniques related to the control connection of the welding pipe and the welding torch, the gas supply provided by the welding pipe, the welding wire supply, And their illustrations and portions thereof, which are ordinaril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y pertai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a focus on the relevant por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접관로 결합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10 to 12 are views showing a welding pipe coupl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접관로 결합장치에 따르면, 결합부(170), 제 1 콜릿척(820), 제 2 콜릿척(840), 콜릿척 본체(860)로 구성된다.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elding pipe coupling device is composed of the
적어도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선을 포함하는 용접관로를 내부에 수용하며 사용자의 파지공간을 제공하는 메인바디(400)와, 메인바디(400)의 일측에 연결되어 용접 방식에 따른 전극(500)을 일측에서 결합하도록 결합부분을 갖는 결합부(170)를 구비한다.
A
결합부(170)를 내부에 삽입하여 고정가능하며 양측이 개방되어 일측에는 결합부(170)를 삽입하고 타측에는 둘레를 따라 한개소 이상의 조임슬릿(823)을 구비하고 조임슬릿(823)과 이격된 위치에 한개소 이상의 홈(826)을 구비한 제 1 콜릿척(820)을 구비한다. 제 1 콜릿척(820)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홈(826)에 대응하는 위치에 한개소 이상의 돌기부(846)를 가지며 이와 같은 돌기부(846)와 이격되어진 한개소 이상의 슬릿(843)을 구비한 제 2 콜릿척(840)을 구비하며 제 1 콜릿척(820)과 제 2 콜릿척(840)이 결합하여 삽입되며, 제 1 콜릿척(820)과 제 2 콜릿척(840)의 결합을 공고히 하는 콜릿척 본체(860)를 구비함으로써 용접관로(10)의 전선외부 고무까지 압착하여 고정하도록 한다.
The fastening slit 823 can be fixed by inserting the fastening slit 823, and the fastening slit 823 can be fixed to the fastening slit 823 by inserting the fastening slit 823, And a
결합부(170)는 통합 아크용접 토치(1)의 전극부를 결합하는 제 1 결합부분(172)을 구비한다. 또한, 제 1 결합부분(172)과 이격되며 제 1 콜릿척(820)을 결합하여 고정하기 위한 제 2 결합부분(174)을 구비한다. 제 1 결합부분(172) 및 제 2 결합부분(174)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나사산으로 결합하는 구조로 적용하고 있다.
The
제 1 콜릿척(820)은 결합부(170)의 제 2 결합부분(174)에 결합되어지며 양끝단이 개방되어 일단의 방향으로 결합부(170)가 삽입된다. 타단은 조임슬릿(823)과 홈(826)이 구비된다. 타단의 둘레는 테파부(824)로 형성되어지고 조임슬릿(823)와 이격되는 일측에 콜릿척 본체(860)를 결합하는 본체결합부(821a)를 가지도록 한다.
The
원통형상을 가지는 제 1 콜릿척(820)은 조임슬릿(823)이 원통의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어져 있으며 타단의 끝 둘레가 테파부(824)를 가짐으로써 제 2 콜릿척(840)과 용이하게 결합이되며 콜릿척 본체(860)에 의해 밀리며 오무려짐이 가능하다.
The
제 2 콜릿척(840)은 제 1 콜릿척(820)의 타단으로 삽입되어져 홈(826)에 돌기부(846)가 삽입되어져 관통함으로써 결합하여 고정되어지고 돌기부(846)와 홈(826)의 결합에 의해 조여짐으로 용접관로(10)이 고정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용접관로(10)의 가스공급, 용접와이어공급, 용전정원공급을 포함하는 용접관로(10)를 의미한다.
The
제 2 콜릿척(840)은 제 1 콜릿척(820)에 삽입되는 크기로 구비되어지고 결합된 제 1 콜릿척(820)에 의해 더욱더 결합되어진 용접관로(10)를 압착하게 된다.
The
콜릿척 본체(860)는 제 1 콜릿척(820)과 제 2 콜릿척(840)이 결합되어지면 콜릿척 본체(860)를 제 1 콜릿척(820)의 본체결합부(821a)에 고정함으로써 테파부(824)를 향해 밀면서 결합하게되어 용접관로(10)를 공고히 압착하여 고정하도록 한다.
The collet chuck
조임슬릿(823)과 슬릿(843)을 가짐으로써 용접관로(10)과 제 1 콜릿척(820) 및 제 2 콜릿척(840)을 결합하기 용이하게 되며 콜릿척 본체(860)를 본체결합부(821a)에 나사산결합으로 결합해 가며 테파부(824)를 향해 이동하여 용접관로(10)의 전선외부 고무까지 확실하게 압착이 가능하다.
The tightening slit 823 and the
이와 같은 용접관로 결합장치는 전극부를 일측에서 결합하도록 결합부분을 갖는 결합부(170)를 구비한다. 결합부(170)를 내부에 삽입하여 고정가능하며 양측이 개방되어 일측에는 결합부(170)를 삽입하고 타측에는 둘레를 따라 한개소 이상의 조임슬릿(823)을 구비하고 조임슬릿(823)과 이격된 위치에 한개소 이상의 홈(826)을 구비한 제 1 콜릿척(820)을 구비한다. 제 1 콜릿척(820)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홈(826)에 대응하는 위치에 한개소 이상의 돌기부(846)를 가지며 이와 같은 돌기부(846)와 이격되어진 한개소 이상의 슬릿(843)을 구비한 제 2 콜릿척(840)을 구비하며 제 1 콜릿척(820)과 제 2 콜릿척(840)이 결합하여 삽입되며, 제 1 콜릿척(820)과 제 2 콜릿척(840)의 결합을 공고히 하는 콜릿척 본체(860)를 구비함으로써 용접관로(10)의 전선외부 고무까지 압착할 수 있도록 하며 용접관로(10)에 문제가 발생시에는 전체를 교체를 하지 않고도 교체를 하고자 하는 위치를 용이하게 교체가능하도록 하며 이로 인해 유지 비용이 감소하도록 교체가 쉽다.
Such a welding pipe connecting apparatus has a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통합 아크용접 토치의 용접관로 결합장치를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 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0........ 전극부 200........ 용접위치 조절부
300........ 제1전극 400........ 메인바디
500........ 제2전극 100: Electrode part 200: Welding position adjusting part
300
500 ........ Second electrode
Claims (5)
적어도 전원 공급을 위한 전원선을 포함하는 용접관로를 내부에 수용하며 사용자의 파지공간을 제공하는 메인바디; 와
상기 메인바디의 일측에 연결되어 용접 방식에 따른 전극이 장착되는 전극부의 일측에서 결합하도록 결합부분을 갖는 결합부; 와
상기 결합부를 내부에 삽입하여 고정가능하며 양측이 개방되어 일측에는 상기 결합부를 삽입하고 타측에는 둘레를 따라 한개소 이상의 조임슬릿을 구비하고 상기 조임슬릿과 이격된 위치에 한개소 이상의 홈을 구비한 제 1 콜릿척; 과
상기 제 1 콜릿척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홈에 대응하는 위치에 한개소 이상의 돌기부를 가지며 상기 돌기부와 이격되어진 한개소 이상의 슬릿을 구비한 제 2 콜릿척; 및
상기 제 1 콜릿척과 상기 제 2 콜릿척이 결합하여 삽입되며 상기 제 1 콜릿척과 상기 제 2 콜릿척의 결합을 공고히 하는 콜릿척 본체; 를 포함하여, 용접관로의 전선외부 고무까지 압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아크용접 토치의 용접관로 결합장치.
An arc welding torch for generating an arc between an electrode and a base material to perform a welding operation,
A main body accommodating therein a welding line including at least a power line for power supply and providing a user's gripping space; Wow
A coupling par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coupling part for coupling at one side of the electrode part to which the electrode according to the welding method is mounted; Wow
Wherein the engag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portion, the engaging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portion, the engaging portion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engaging portion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ortion. 1 collet chuck; and
A second collet chuck inserted and fixed in the first collet chuck and having one or more protrusion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grooves and having at least one slit spaced apart from the protrusions; And
A collet chuck body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collet chuck and the second collet chuck to fix the first collet chuck and the second collet chuck together; Wherein the welded pipe is pressed against the rubber outer surface of the welded pipe.
상기 결합부는 상기 전극부를 결합하는 제 1 결합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제 1 결합부분과 이격되며 상기 제 1 콜릿척을 결합하여 고정하기 위한 제 2 결합부분을 구비하는 통합 아크용접 토치의 용접관로 결합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upling portion includes a first coupling portion for coupling the electrode portion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for coupling and fixing the first collet chuck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oupling portion, .
상기 제 1 콜릿척은 상기 제 2 결합부분에 결합되어지며 양끝단이 개방되어 일단은 상기 결합부가 삽입되며 타단은 상기 조임슬릿과 상기 홈이 구비되며 상기 타단의 둘레는 테파부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조임슬릿와 이격되는 일측에 상기 콜릿척 본체를 결합하는 본체결합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아크용접 토치의 용접관로 결합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first collet chuck is coupled to the second engaging portion and has both ends open so that one end thereof is inserted into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other end is provided with the tightening slit and the groove and the periphery of the other end is formed as a teaple portion, And a main body coupling portion for coupling the collet chuck main body to one side that is spaced apart from the tightening slit.
상기 제 2 콜릿척은 상기 타단으로 삽입되어져 상기 홈에 상기 돌기부가 결합하여 고정되어지고 상기 돌기부와 상기 홈의 결합에 의해 상기 용접관로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아크용접 토치의 용접관로 결합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second collet chuck is inserted into the other end to fix the protrusion to the groove and fix the welding line by the engagement of the protrusion and the groove. .
상기 제 1 콜릿척과 상기 제 2 콜릿척이 결합되어지면 상기 콜릿척 본체를 상기 본체결합부에 고정함으로써 상기 테파부를 향해 밀면서 결합하게되어 상기 용접관로를 공고히 압착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 아크용접 토치의 용접관로 결합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when the first collet chuck and the second collet chuck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collet chuck body is coupled to the body coupling part by pushing the collet chuck body toward the wedge part so that the welding pipeline is firmly pressed and fixed. Welding device for welding torch.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22570A KR101698192B1 (en) | 2015-08-31 | 2015-08-31 | Welding supply line coupling device of integrated arc-weling torch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22570A KR101698192B1 (en) | 2015-08-31 | 2015-08-31 | Welding supply line coupling device of integrated arc-weling torch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698192B1 true KR101698192B1 (en) | 2017-01-19 |
Family
ID=5799079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122570A Expired - Fee Related KR101698192B1 (en) | 2015-08-31 | 2015-08-31 | Welding supply line coupling device of integrated arc-weling torch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698192B1 (en)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00002058U (en) * | 2008-08-18 | 2010-02-26 | 대우용접장비산업(주) | Torch for Tig Welder |
-
2015
- 2015-08-31 KR KR1020150122570A patent/KR10169819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00002058U (en) * | 2008-08-18 | 2010-02-26 | 대우용접장비산업(주) | Torch for Tig Welder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8866036B2 (en) | Welding torch and adapter kit | |
| US9669486B2 (en) | Contact tip assembly for a welding torch | |
| KR102443992B1 (en) | TIG welding torch with constriction nozzle for spot welding and nozzle for electrode used therein | |
| US9950386B2 (en) | Method and end assembly for welding device | |
| US20160039036A1 (en) | Welding diffuser insert | |
| JP2004074285A (en) | Nozzle assembly for welding gun | |
| CA2996971A1 (en) | Contact tip and receiving assembly of a welding torch | |
| US5721417A (en) | High deposition weld gun nozzle | |
| US9527155B2 (en) | Welding diffuser with debris removal | |
| KR101780448B1 (en) | Torch for welding | |
| AU2016225447A1 (en) | Wire aiming guide and welding device | |
| KR101698191B1 (en) | tungsten inert gas arc welders having length adjustable tungsten electrode | |
| JP6154549B2 (en) | Welding torch and mounting jig | |
| CN211102075U (en) | a welding gun | |
| KR101698192B1 (en) | Welding supply line coupling device of integrated arc-weling torch | |
| KR101698194B1 (en) | Integrated arc-welding torch | |
| KR101303175B1 (en) | Torch for tungsten inert-gas arc welding | |
| CN110773851B (en) | A welding gun | |
| KR101791145B1 (en) | A total welding torch | |
| KR101685133B1 (en) | Torch for Welding machine | |
| KR101791147B1 (en) | A head assembly for welding torch | |
| KR101791116B1 (en) | A total welding torch | |
| KR101791146B1 (en) | A total welding torch | |
| KR101698195B1 (en) | Manual type arc-welding torch | |
| CN112658438A (en) | Deep type non-consumable electrode inert gas shielded arc welding wire feeding system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0011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0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