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1138B1 - nature lighting apparatus using pillar and beam, nature lighting method - Google Patents
nature lighting apparatus using pillar and beam, nature lighting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91138B1 KR101691138B1 KR1020150064675A KR20150064675A KR101691138B1 KR 101691138 B1 KR101691138 B1 KR 101691138B1 KR 1020150064675 A KR1020150064675 A KR 1020150064675A KR 20150064675 A KR20150064675 A KR 20150064675A KR 101691138 B1 KR101691138 B1 KR 1016911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 column
- optical
- translucent member
- transfer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1/00—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daylight
- F21S11/007—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daylight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transmitting light into the interior of a build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11/00—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daylight
- F21S11/002—Non-electric 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daylight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collecting or concentrating the sunlight, e.g. parabolic reflectors or Fresnel lens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Architectur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둥과 보를 이용한 자연채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연채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기둥과 보를 태양광의 전달경로로 이용함으로써 외부의 빛을 건물의 실내 곳곳으로 전달할 수 있는 자연채광장치와 이를 이용한 자연채광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둥과 보를 이용한 자연채광장치는 건물의 외부로 노출된 광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태양광을 실내의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전달하기 위해 기둥에 설치되는 광수직전달부와, 광수직전달부를 상기 기둥에 고정시키는 제 1고정수단과, 기둥과 연결되는 보에 설치되어 상기 광수직전달부를 통해 전달되는 태양광을 실내의 수평방향으로 전달시키는 광수평전달부와, 광수평전달부를 상기 보에 고정시키는 제 2고정수단을 구비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tural daylighting apparatus using a column and a beam and a natural daylight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aylighting system capable of transmitting outside light to various places in a building by using pillars and beams of a building as propagation paths of sunlight And a method of natural light using the same.
A natural daylighting apparatus using pillars and bea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vertical transfer unit installed on a column for transmitting sunlight introduced through a light inflow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a building from an upper portion to a lower portion of the room, And an optical horizontal transmission unit installed in the beam connected to the column for transmitting the sun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optical vertical transmission uni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room, And the second fixing means.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둥과 보를 이용한 자연채광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연채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기둥과 보를 태양광의 전달경로로 이용함으로써 외부의 빛을 건물의 실내 곳곳으로 전달할 수 있는 자연채광장치와 이를 이용한 자연채광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atural daylighting apparatus using a column and a beam and a natural daylight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aylighting system capable of transmitting outside light to various places in a building by using pillars and beams of a building as propagation paths of sunlight And a method of natural light using the same.
종래의 전통적인 한옥과 같이 남향으로 개방된 건물 형태에서는 태양광이 건물 내부로 충분히 유입되므로 낮에는 건물 실내를 밝혀 주기 위한 별도의 조명 장치가 거의 필요치 않았다.In the form of a building open to the south as in the traditional traditional hanok, sunlight is sufficiently introduced into the building, so there was little need for a separate lighting device to illuminate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during the day.
그러나, 오늘날의 건물은 개방형인 전통 가옥과 달리 방범의 목적상 폐쇄형 주택의 양식을 취함으로써 실내로 유입되는 태양광이 약하여 낮에도 어느 정도의 조명 기구를 사용하여야 하는 단점을 가진다. 기술의 발달과 함께 건물들이 대규모 고층화됨에 따라 건물들 간의 태양광 차단으로 건물 내의 태양광 유입이 더욱 감소된다.However, today 's building has a disadvantage in that it needs to use a certain amount of lighting equipment during the day because of the weak sunlight entering the room by taking the style of the closed house for the purpose of crime prevention, unlike the open traditional house.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s the buildings become larger and larger, the sunlight blocking between the buildings further reduces the solar light input in the building.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국토 면적이 좁고 인구에 비하여 주택과 녹지 공간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기 때문에 경제활동 공간으로서의 지하 공간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고, 향우에도 지하 공간의 개발은 계속될 것이나, 이와 같은 지하 공간은 하루종일 조명 기구가 필요로 되는 만큼 조명을 위한 에너지의 소비가 매우 크다는 문제점이 있다.Especially, in Korea, because the area of land is narrow and the housing and green space are not enough compared with the population, the underground space is actively developed as an economic activity space, and the underground space will continue to be develop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sumption of energy for illumination is very large as the lighting apparatus is required all day.
이와 같이 낮에 소비되는 조명용 전기 에너지의 절약과 지하 공간에서 활동하는 사람들에 대한 일사량 보충의 면에서 태양광을 이용한 자연 채광에 의한 조명이 매우 바람직하다. In this way, lighting by daylight using solar light is highly desirable in terms of saving energy for lighting consumed during the day and supplementing solar radiation for people working in the underground space.
채광 방식으로는 통상적으로 창문을 통해 태양광을 직접 받아들이는 직접 채광 방식과 빛을 전달할 수 있는 장치를 통해 태양광을 간접적으로 받아들이는 간접 채광 방식이 있다. There are direct lighting methods that accept sunlight directly through windows, and indirect lighting that indirectly accepts sunlight through devices that can transmit light.
직접 채광 방식은 건물의 면적에 비해 창문이 차지하는 비율이 낮을 경우 유입되는 채광량이 현저히 떨어진다. 반면에 간접 채광 방식은 그 구조가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은 있으나 빛의 양과 유입경로를 인위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the case of direct lighting, when the proportion of windows is smaller than the area of the building, the amount of mined light is significantly reduced. On the other hand, indirect lighting has a problem in that its structure is complex and expensive, but it ha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artificially set the amount of light and the inflow route.
간접채광방식으로 자연광인 태양광을 지하시설물이나 대형건축물 내부까지 전송하기 위해서는 건물의 외부에 설치되어 태양광을 집광하는 집광장치와, 집광장치에서 집광된 태양광을 건물의 내부까지 전달하는 전달장치가 필요하다. In order to transmit sunlight, which is a natural light by indirect lighting, to an underground facility or a large building, a condensing device installed outside the building for condensing sunlight, and a transmission device for transmitting sunlight condensed by the condensing device to the inside of the building .
최근 집광광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에 전달장치의 연구는 상대적으로 저조한 편이다. Recently, studies on condensed light intensity have been actively carried out, but the study of transmission devices is relatively low.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990851호에는 자연채광 조명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Korean Patent No. 10-0990851 discloses a natural light illumination device.
상기 자연채광 조명장치는 실외의 태양광을 집광한 다음 집광된 태양광을 산광부에서 넓게 확산시켜 실내에 제공함으로써 실내조명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산광부가 천장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태양광을 실내 하부까지 전달하기는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자연채광 조명장치는 단층 구조의 건물에는 적용이 가능하겠으나 다층 구조로 이루어진 고층 건물에서는 꼭대기층을 제외하고 나머지 아래층으로 태양광을 전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The natural light illumination device has advantages of condensing sunlight outdoors and then diffusing the condensed sunlight widely in the light scattering part and providing it to the inside of the room so that it can be used as indoor light. However, since the light scattering part is installed in the ceiling,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transmit to the lower part. In addition, although the above-mentioned natural lighting lighting apparatus can be applied to buildings having a single-layer structu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high-rise building having a multi-layer structure can not transmit sunlight to the remaining lower layers except for the top layer.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건물의 바닥에서부터 천장까지 이어지는 기둥을 태양광 전달경로로 활용함으로써 구조가 간단하면서 건물 실내의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 자연채광이 가능한 자연채광장치와 이를 이용한 자연채광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atural daylighting device capable of natural daylighting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of a building by using a simple structure as a solar light transmission path from a floor to a ceiling of a building,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atural lighting method.
또한, 본 발명은 기둥을 통해 태양광을 수직방향으로 전달함과 동시에 기둥과 연결되는 보를 통해 태양광을 수평방향으로도 전달하여 채광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자연채광장치와 이를 이용한 자연채광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natural light device capable of transmitting sunlight in a vertical direction through a column and transmitting solar light in a horizontal direction through a beam connected to the column, The purpose is to do.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둥과 보를 이용한 자연채광장치는 건물의 외부로 노출된 광유입부를 통해 유입되는 태양광을 실내의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전달하기 위해 기둥에 설치되는 광수직전달부와; 상기 광수직전달부를 상기 기둥에 고정시키는 제 1고정수단과; 상기 기둥과 연결되는 보에 설치되어 상기 광수직전달부를 통해 전달되는 태양광을 실내의 수평방향으로 전달시키는 광수평전달부와; 상기 광수평전달부를 상기 보에 고정시키는 제 2고정수단;을 구비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 natural daylighting system using pillars and bea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light vertical transfer unit installed on a column to transmit solar light, which is introduced through a light inflow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a building, Wow; A first fixing unit fixing the optical vertical transfer unit to the column; An optical horizontal transfer unit installed in a beam connected to the column for transmitting sun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optical vertical transfer uni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room; And second fixing means for fixing the optical horizontal transfer unit to the beam.
상기 광수직전달부는 상기 기둥의 외측에 상기 기둥을 따라 상하로 길게 설치되는 제 1투광부재들로 구비된다. The optical vertical transfer unit is provided with first transparent members disposed vertically along the column on the outside of the column.
상기 제 1고정수단은 일측이 상기 기둥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어 상기 광수직전달부를 파지하는 홀더를 구비한다. The first fixing means includes a coupling portion, one side of which is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lumn, and a holder, which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portion and holds the optical vertical transfer portion.
상기 홀더는 상기 결합부에서 상기 기둥의 외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단부에 마련되어 상기 광수직전달부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한다. The holder includes a connection portion formed at an outer side of the column at the connection portion and a support portion provided at an end of the connection portion to support the optical vertical transfer portion.
상기 광수평전달부는 상기 보의 외측에 상기 보를 따라 좌우 또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일측 단부가 상기 제 1투광부재와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제 2투광부재를 구비한다. The optical horizontal transfer unit includes a second translucent member that is installed on the outer side of the beam in the left-right direction or the back-and-forth direction along the beam, and has one end thereof in contact with the first translucent member.
상기 광수직전달부 또는 상기 광수평전달부를 통과하는 광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광증대부를 더 구비한다. And a light source for increasing the amount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optical vertical transfer unit or the optical horizontal transfer unit.
그리고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둥과 보를 이용한 자연채광장방법은 건물의 기둥에 설치된 광수직전달부로 태양광을 유입시키는 단계와; 상기 광수직전달부를 통해 태양광을 상기 건물 실내의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 상기 기둥을 따라 전달하는 단계와; 상기 광수직전달부를 통해 전달되는 태양광을 상기 기둥과 연결되는 보에 설치된 광수평전달부로 유입시켜 태양광을 실내의 수평방향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natural quarrying using pillars and bea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ing the steps of: introducing sunlight into a vertical light delivery unit installed on a column of a building; Transmitting the sunlight through the optical vertical transmission unit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building through the column; And transmitting the sun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optical vertical transmission unit to the horizontal horizontal transmission unit installed in the beam connected to the column to transmit the sunligh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room.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연채광장치는 건물의 기둥에 설치되므로 건물의 바닥에서부터 천장까지 이어지는 기둥을 태양광의 전달경로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본 발명은 건물의 구조물을 활용할 수 있어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실내의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 자연채광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natural ligh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pillar of a building, the pillar extending from the floor to the ceiling of the building can be used as a propagation path of sunlight.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utilize 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so that the structure is simple, and the natural light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of the room is possible.
또한, 본 발명은 단층 건물뿐만 아니라 다층 건물 또는 지하층이 있는 건물에도 적용이 가능하므로 지상의 실내공간 및 지하의 실내공간까지 외부의 태양광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Furthe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a single-storeyed building but also to a multi-story building or a building with a basement, external solar light can be effectively transmitted to the ground interior space and the underground indoor space.
또한, 본 발명은 광수직전달부와 함께 보에 설치된 광수평전달부를 구비함으로써 실내에서 광의 수직방향으로의 이동과 함께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구현하여 실내 곳곳에 태양광을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광수직전달부를 통해 건물의 상층부에서 하층부까지 자연채광이 가능하고, 광수평전달부를 통해 동일한 실내 공간이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이 되어 있더라도 각 공간마다 자연채광이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sunlight can be transmitted to various places in the room by implementing horizontal movement of the l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providing an optical horizontal transfer unit installed in the beam together with the optical vertical transfer unit . Natural light can be made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of the building through the optical vertical transfer part and natural light can be provided in each space even if the same indoor space is partitioned into a plurality of spaces through the optical horizontal transfer par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자연채광장치가 설치된 건물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 적용된 자연채광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일부 생략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 적용된 자연채광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연채광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연채광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연채광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연채광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연채광장치를 나타내는 일부 생략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연채광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일부 생략 사시도이다.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building in which a natural day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natural lighting apparatus applied to FIG. 1,
3 is a partially omitted oblique view of FIG. 2,
FIG.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natural lighting apparatus applied to FIG. 1,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natural day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natural day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natural day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natural day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artially omitted oblique view showing a natural daylight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natural day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artially omitted oblique view of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기둥과 보를 이용한 자연채광장치와 이를 이용한 자연채광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Hereinafter, a natural lighting apparatus using a column and a beam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natural lighting method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기둥과 보를 이용한 자연채광장치는 크게 광수직전달부(10)와, 제 1고정수단(20)과, 광수평전달부(80)와, 제 2고정수단(90)을 구비한다. 1 to 4, a natural daylighting apparatus using a column and a bea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ght
광수직전달부(10)는 건물(1)의 기둥(2)에 설치되어 태양광을 건물(1) 실내의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 기둥을 따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광수평전달부(80)는 건물의 보(70)에 설치되어 태양광을 건물 실내의 수평방향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The optical
본 발명은 건물에 설치된 수직 구조재인 기둥(2)과 수평 구조재인 보(70)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광수직전달부(10)는 기둥(2)의 외측면에 설치되고, 광수평전달부(80)는 보(70)의 외측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둥(2)과 보(70)의 외측면에 설치하는 경우 기존 건물의 기둥(2)과 보(70)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시공이 간편하고 구조를 간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The vertical
건물(1)의 실내에 다수의 기둥(2)이 설치된 경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둥에 광수직전달부(10)가 설치될 수 있다. In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단층 구조의 건물일 경우 광수직전달부(10)는 건물(1)의 실내 상부에서부터 실내 바닥까지 기둥(2)을 따라 길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층 이상의 다층 구조의 건물일 경우 광수직전달부(10)는 건물의 최상층에서부터 일층까지 기둥을 따라 길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지하가 마련된 건물일 경우 건물 최상층에서부터 지하층 바닥까지 기둥을 따라 길게 설치될 수 있다. In the case of a single-storey building, the optical
도시된 예에서는 다층 구조 건물(1)에 본 발명이 적용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건물의 기둥(2)은 건물(1)의 최상층에서부터 일층 바닥까지 상하로 길게 형성된다. 그리고 각 층은 슬라브(4)에 의해 구획된다. 그리고 슬라브(4)의 하부에는 보(70)가 설치되어 슬라브(4)를 지지한다.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the
광수직전달부(10)는 기둥(2)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다. 광수직전달부(10)는 빛을 통과시키는 다수의 제 1투광부재들(11)로 이루어진다. 제 1투광부재들(11)은 기둥(2)을 따라 상하로 길게 설치된다. The optical
도시된 예에서 광수직전달부(10)는 하나의 기둥(2)을 4개의 제 1투광부재들(11)이 둘러싸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달리 2개 또는 3개 또는 5개 이상의 제 1투광부재들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optical
제 1투광부재(11)의 모양은 기둥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기둥은 사각형, 원형 등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기둥이 금속소재로 이루어진 경우 H빔과 같은 형상의 철골을 이용할 수 있다. The shape of the first
도시된 예에서 제 1투광부재(11)는 사각형 기둥(2)의 각 모서리 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직각으로 절곡된 형태를 갖는다.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first
각 제 1투광부재(11)는 건물(1)의 옥상(3)에서부터 바닥까지 하나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와 달리 여러 개를 적층시켜 상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Each of the first light-
제 1투광부재(11)는 기둥(2)과 보(70)가 연결되는 부위에서 폭이 좁은 접촉부(13)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투광부재(11)의 접촉부(13)에는 후술할 제 2투광부재(81)의 단부가 접촉된다. The first
제 1투광부재(11)는 빛을 투과시킬 수 있는 소재로 만들어진다. 가령, 통상적인 도광판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투광부재(11)는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 외에도 아크릴, 유리,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The first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 1투광부재(11)의 일면은 빛을 산란시키기 위한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기둥(2)과 접촉하는 제 1투광부재(11)의 접촉면에 요철이 형성된다. 또한, 제 1투광부재(11)와 기둥(2) 사이에 얇은 반사판이 설치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a surface of the first
제 1투광부재(11)의 상단은 건물(1)의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각 제 1투광부재(11)는 건물의 옥상(3)을 관통한다. 건물(1)의 외부로 노출된 제 1투광부재(11)의 상단에는 광유입부(5)가 마련된다. 광유입부(5)는 제 1투광부재(11)의 상단으로 태양광을 모아서 유입시키는 역할을 한다. 광유입부(5)로 광학 렌즈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달리 제 1투광부재(11)의 상단이 외부로 직접 노출되는 경우 제 1투광부재(11)의 상단면 자체가 광유입부가 될 수 있다. The upper end of the first
광유입부(5)를 통해 건물(1) 외부의 태양광이 각 제 1투광부재(11)로 유입된다. 광유입부(5)로 유입되는 광량을 증대시키기 위해 광유입부로 태양광을 집속시켜주는 채광장치가 건물의 옥상(3)에 설치될 수 있다. 채광장치는 통상적인 구조를 적용한다. Sunlight outside the
제 1고정수단(20)은 제 1투광부재(11)를 기둥(2)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first fixing means (20) serves to fix the first translucent member (11) to the column (2).
제 1고정수단(20)은 일측이 기둥(2)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결합부(21)와, 결합부(21)와 연결되어 제 1투광부재들(11)을 파지하는 홀더(23)를 구비한다. 이러한 제 1고정수단은 기둥(2)을 따라 상하로 길게 설치된다. 이와 달리 일정 간격으로 불연속적으로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다층 건물의 경우 각 층을 구획하는 슬라브(4)에 의해 제 1고정수단(20)은 각 층마다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The first fixing means 20 includes an engaging
결합부(21)는 사각 기둥(2)의 네 측면에 하나씩 결합된다. 결합부(21)는 각 측면의 중앙에 위치한다. The engaging
결합부(21)는 기둥(2)의 소재에 따라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나사결합방식 또는 용접방식 등에 의해 기둥에 결합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달리 결합부는 도 6과 같이 기둥(2)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engaging
홀더(23)는 결합부(21)에서 기둥(2)의 외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연결부(25)와, 연결부(25)의 단부에 마련되어 제 1투광부재(11)를 지지하는 지지부(27)를 구비한다. 지지부(27)는 연결부(25)와 직각으로 형성된다. 지지부(27)와 기둥(2) 사이의 빈 공간으로 각 제 1투광부재(11)의 양측 가장자리가 삽입된다. The
상술한 광수직전달부(10)는 건물(1)의 기둥(2)에 설치되므로 건물(1)의 옥상에서부터 바닥까지 이어지는 기둥(2)을 태양광의 전달경로로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광수직전달부에는 태양광을 수렴 또는 발산시키기 위한 렌즈가 설치될 수 있다. 가령, 제 1투광부재가 상하로 일정 거리 이격되고, 이격된 사이에 오목렌즈 또는 볼록렌즈가 설치될 수 있다. Since the optical
한편, 기둥의 형상에 따라 달리 적용될 수 있는 광수직전달부를 도 5에 도시하고 있다. FIG. 5 shows a photo-vertical transfer unit that can be applied to different shapes of the column.
도 5를 참조하면, 광수직전달부(30)는 다수의 제 1투광부재(31)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각 제 1투광부재(31)는 원형 기둥(32)의 외측면과 대응되도록 곡면으로 굽어지게 형성된다. 도시된 예에서 4개의 제 1투광부재(31)가 기둥(32)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와 달리 2개 또는 3개 또는 5개 이상의 제 1투광부재가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Referring to FIG. 5, the optical
제 1투광부재(31)를 기둥(32)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 1고정수단은 결합부(35)와 홀더(37)로 이루어지고, 홀더(37)는 연결부(38)와 지지부(39)로 이루어진다. 도 5에서 결합부(35)와 지지부(39)는 기둥(32)과 제 1투광부재(31)의 형상에 따라 곡면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도 2의 실시 예와 차이가 있다. The first fixing means for fixing the first
도 6은 기둥(42)이 H빔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H빔 기둥(42)의 경우 기둥 자체에 광수직전달부(40)가 설치될 수 있는 빈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광수직전달부(40)는 2개의 제 1투광부재(41)로 이루어진다. 각 제 1투광부재(41)는 H빔 기둥(42)의 빈 공간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 1투광부재(41)는 단면이 사각인 막대 형태로 이루어진다. 6 shows a case where the
그리고 도시되지 않았지만 H빔 기둥(42)에 설치된 제 1투광부재(41)가 기둥(4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막기 위해 제 1고정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제 1고정수단으로 ㄴ자 형태로 굽어진 고정브라켓트를 이용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a first fixing means may be provided to prevent the first
또한, 도 7에 제 1고정수단의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Fig. 7 shows another example of the first fixing means.
도 7을 참조하면, 광수직전달부(50)를 사각의 기둥(2)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으로 기둥(2)에 결합되는 결합부(55)와, 결합부(55)와 연결되어 제 1투광부재들(51)을 파지하는 홀더(56)를 구비한다. 7, a
결합부(55)는 도 2와 달리 기둥(2)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된다. 이 경우 결합부(2)의 외측면에는 빛을 반시킬 수 있는 반사시트나 반사층이 형성될 수 있다. 홀더(56)는 결합부(55)에서 기둥(2)의 외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연결부(57)와, 연결부(57)의 단부에 마련되어 제 1투광부재(51)를 지지하는 지지부(59)를 구비한다. 연결부(57)는 결합부(55)의 네 측면에 하나씩 설치된다. The engaging
도 1 내지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광수평전달부(80)는 기둥(2)과 연결되는 보(70)에 설치되어 광수직전달부(10)를 통해 전달되는 태양광을 실내의 수평방향으로 전달시킨다. 1 to 4, the optical
보(70)는 기둥(2)을 중심으로 기둥(2)의 좌우 또는 전후 양측에 각각 결합된다. 보(70)는 기둥(2)에 연결되어 하중을 지탱하는 건물의 수평 구조재이다. 이러한 수평 구조재인 보(70)를 태양광의 전달경로로 활용함으로써 실내의 전후 또는 좌우 방향으로 태양광의 전달이 가능하다. 즉, 광수직전달부(10)를 통해 상하방향으로 전달되는 태양광 중 일부가 광수평전달부(80)로 유입되고, 광수평전달부(80)로 유입된 광은 보를 따라 좌우 방향으로 전달된다. 도시된 예에서 보(70)는 기둥(2)을 중심으로 좌우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와 달리 광수평전달부는 기둥을 중심으로 전후 방향으로 설치된 보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광수평전달부(80)는 보(70)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다. 광수평전달부(80)는 빛을 통과시키는 다수의 제 2투광부재들(81)로 이루어진다. 제 2투광부재들(81)은 보(70)를 따라 좌우로 길게 설치된다. The optical
도시된 예에서 광수평전달부(80)는 슬라브와 결합되는 보(70)의 상면을 제외한 나머지 세면을 2개의 제 2투광부재들(81)이 둘러싸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달리 제 2투광부재는 1개 또는 3개 이상의 다수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optical
제 2투광부재(81)의 모양은 보(70)의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제 2투광부재(81)는 사각형 보(70)의 각 모서리 부분을 감쌀 수 있도록 직각으로 절곡된 형태를 갖는다. The shape of the second
제 2투광부재(81)는 빛을 투과시킬 수 있는 소재로 만들어진다. 가령, 제 1투광부재(11)와 동일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 2투광부재(81)의 일면은 빛을 산란시키기 위한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보(70)와 접촉하는 제 2투광부재(81)의 접촉면에 요철이 형성된다. 또한, 제 2투광부재(81)와 보(70) 사이에 얇은 반사판이 설치될 수 있다. The second
제 1투광부재(11)를 통과하는 태양광의 일부가 제 2투광부재(81)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제 2투광부재(81)의 일측 단부는 제 1투광부재(11)와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제 2투광부재(81)의 일측 단부는 제 1투광부재(11)의 접촉부(13)에 접촉된다. 제 1투광부재(11)를 따라 기둥(2)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전달되는 태양광 중 일부는 접촉부(13)에서 제 2투광부재(81)로 유입되어 보(70)를 따라 실내의 좌우 방향으로 전달된다. 태양광이 제 1투광부재(11)에서 제 2투광부재(81)로 잘 전달될 수 있도록 접촉부(13)에는 태양광의 경로를 제 2투광부재(81) 방향으로 바꾸는 반사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second
광수평전달부(80)는 제 2고정수단(90)에 의해 보에 고정된다. And the optical horizontal transmitting
제 2고정수단(90)은 상술한 제 1고정수단(20)과 위치만 다를 뿐 구조는 동일하다. 즉 제 2고정수단(90)은 보(70)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결합부(91)와, 결합부(91)와 연결되어 제 2투광부재들(81)을 파지하는 홀더(93)를 구비한다. 제 2고정수단(90)은 보(70)를 따라 좌우로 길게 설치된다. 이와 달리 일정 간격으로 불연속적으로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structure of the second fixing means 90 is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fixing means 20 except for the position. That is, the second fixing means 90 includes a
도시된 예에서 결합부(81)는 보(70)의 하면에 결합된다. 결합부(81)는 보(70)의 소재에 따라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나사결합방식 또는 용접방식 등에 의해 기둥에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달리 결합부는 도 7에 적용된 제 1고정수단의 결합부(55)와 같이 보(70)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engaging
홀더(93)는 결합부(91)에서 보(70)의 외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연결부(95)와, 연결부(95)의 단부에 마련되어 제 2투광부재(81)를 지지하는 지지부(97)를 구비한다. 지지부(97)는 연결부(95)와 직각으로 형성된다. 지지부(97)와 보(70) 사이의 빈 공간으로 각 제 2투광부재(80)의 양측 가장자리가 삽입된다.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자연채광장치는 건물의 기둥(2)과 보(70)를 태양광의 전달경로로 활용함으로써 광의 수직방향으로의 이동과 함께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을 구현하여 실내 곳곳에 태양광을 전달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광수직전달부를 통해 실내의 천장에서부터 바닥까지 수직으로 전달이 가능하며, 광수평전달부를 통해 실내의 중앙에서 가장자리까지 또는 실내의 가장자리에서 중앙으로 수평으로 전달이 가능하다. 이러한 광수평전달부를 통해 동일한 실내 공간이 벽이나 문에 의해 다수의 공간으로 구획이 되어 있더라도 각 공간마다 자연채광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the natural ligh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utilizes the
도 8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연채광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FIG. 8 illustrates a natural day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자연채광장치는 광수직전달부(50)를 통과하는 광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광증대부를 더 구비한다. 광수직전달부(50)와 고정수단(53)은 상술한 도 7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Referring to FIG. 8, the natural dayligh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photoreceptor for increasing the amount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optical
광증대부(60)는 광수직전달부(50)를 통과하는 광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기술수단이다. 광증대부(50)는 일 예로 제 1투광부재(51)에 형성된 장착홈(52)에 삽입될 수 있는 몸체부(61)와, 몸체부(61)의 일측에 결합되는 광조사부(63)를 구비한다.The
몸체부(61)는 빛을 투광시킬 수 있도록 제 1투광부재(51)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광조사부(63)가 결합되는 몸체부(61)의 측면에는 후술할 발광다이오드(69)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62)이 마련된다. The
광조사부(63)는 프레임(65)과, 프레임(65)에 설치되어 몸체부(61)로 광을 조사하는 LED모듈(66)로 이루어진다. LED모듈(66)은 프레임(65)에 지지되는 기판(67)과, 기판(65)에 다수가 배열된 발광다이오드(69)를 구비한다. The
전원으로 프레임에 설치된 배터리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용전원을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A battery installed in the frame can be used as the power source. In addition, a commercial power source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ubstrate to supply power.
상술한 광증대부(60)는 제 1투광부재(53)를 통해 전달되는 태양광이 약해지는 저층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광증대부(60)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다수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도 9는 광수평전달부(80)에 설치되는 광증대부를 도시하고 있다. 광증대부(150)는 광수평전달부(80)를 통과하는 광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기술수단이다. 제 2투광부재(81)의 단부에는 후술할 발광다이오드(155)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홈(82)이 마련된다. 9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ptical
광증대부(63)는 제 2투광부재(81)의 단부에 결합되는 프레임(153)과, 프레임(153)에 설치되어 제 2투광부재(81)로 광을 조사하는 LED모듈로 이루어진다. LED모듈은 프레임(153)에 지지되는 기판과, 기판에 다수가 배열된 발광다이오드(155)를 구비한다. The
상술한 광증대부(150)는 제 2투광부재(81)로 인공광원을 조사하여 제 2투광부재(81)의 광량을 증대시킨다. The above-mention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자연채광장치를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하고 있다. 10 and 11 show a natural ligh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자연채광장치는 광수평전달부가 좌우광전달부(80)와 전후광전달부(110)로 이루어진다. 좌우광전달부(80)는 기둥(2)의 좌우측면에 결합되어 실내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보(70)에 설치되고, 전후광전달부(110)는 기둥(2)의 전후측면에 결합되어 실내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100)에 설치된다. Referring to FIGS. 10 and 11, the natural ligh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eft and right
전후광전달부(110)는 좌우광전달부(80)와 위치만 다를 뿐 좌우광전달부(80)와 구조는 동일하다. 도시된 좌우광전달부는 도 2의 광수평전달부와 동일하다. The front and rear
전후광전달부(110)는 빛을 통과시키는 다수의 제 3투광부재들(111)로 이루어진다. 제 3투광부재들(111)은 보(100)를 따라 전후로 길게 설치된다. 도시된 예에서 전후광전달부(110)는 슬라브와 결합되는 보(100)의 상면을 제외한 나머지 세면을 2개의 제 3투광부재들(111)이 둘러싸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제 3투광부재(111)는 빛을 투과시킬 수 있는 소재로 만들어진다. 가령, 제 1 또는 제 2투광부재와 동일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The front-back
광수직전달부의 제 1투광부재(11)를 통과하는 태양광의 일부가 제 3투광부재(111)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제 3투광부재(111)의 일측 단부는 제 1투광부재(11)의 접촉부(14)와 접촉하도록 설치된다. 제 1투광부재(11)는 기둥과 보가 연결되는 부위에서 폭이 좁은 접촉부(14)가 형성된다. 접촉부(14)는 좌우방향의 보(70)와 전후방향의 보(100) 사이를 통과하도록 형성된다. 제 1투광부재(11)의 접촉부(14)의 측면에는 제 2투광부재(81)의 단부가 접촉되고, 접촉부(14)의 전면에는 제 3투광부재(111)의 단부가 접촉된다. One end of the third
제 1투광부재(11)를 따라 기둥(2)의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전달되는 태양광 중 일부는 접촉부(14)에서 제 2 및 제 3투광부재(81)(111)로 각각 유입되어 보를 따라 실내의 좌우 및 전후 방향으로 전달된다. A part of the solar light transmitted down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전후광전달부(110)는 제 3고정수단에 의해 보에 고정된다. The front
제 3고정수단은 상술한 제 2고정수단과 위치만 다를 뿐 구조는 동일하다. 즉 제 3고정수단은 보(100)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결합부(121)와, 결합부(121)와 연결되어 제 3투광부재들(111)을 파지하는 홀더(123)를 구비한다. The third fixing means is different in position from the second fixing means described above, but has the same structure. That is, the third fixing means includes a
결합부(121)는 보(100)의 하면에 결합된다. 결합부(121)는 보(100)의 소재에 따라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나사결합방식 또는 용접방식 등에 의해 기둥에 결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달리 결합부는 도 7에 적용된 제 1고정수단의 결합부(55)와 같이 보(100)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The engaging
홀더(123)는 결합부(121)에서 보(100)의 외측 방향으로 형성되는 연결부(125)와, 연결부(125)의 단부에 마련되어 제 2투광부재(111)를 지지하는 지지부(127)를 구비한다. 지지부(127)는 연결부(125)와 직각으로 형성된다. 지지부(127)와 보(100) 사이의 빈 공간으로 각 제 3투광부재(111)의 양측 가장자리가 삽입된다. The
이하,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자연채광장치를 이용한 자연채광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 natural lighting method using the natural lighting apparatus shown in FIGS. 1 to 4 will be described.
먼저, 건물(1)의 기둥(2)의 외주면에 설치된 광수직전달부(10)로 태양광을 유입시킨다. First, solar light is introduced into the vertical
다음으로, 광수직전달부(10)를 통해 태양광을 기둥(2)을 따라 건물 실내의 상부에서부터 하부까지 전달한다. Next, sunlight is transmitted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of the building along the
그리고 광수직전달부(10)를 통해 전달되는 태양광을 기둥(2)과 연결되는 보(70)에 설치된 광수평전달부(80)로 유입시켜 태양광을 실내의 수평방향으로 전달시킨다. The sun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optical
이상에서 본 발명은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1: 건물 2: 기둥
3: 옥상 5: 광유입부
10: 광수직전달부 11: 제 1투광부재
20: 제 1고정수단 21: 결합부
23: 홀더 25: 연결부
27: 지지부 70: 보
80: 광수평전달부 81: 제 2투광부재
90: 제 2고정수단 1: Building 2: Column
3: rooftop 5: light inflow part
10: vertical light transmitting portion 11: first transparent member
20: first fixing means 21:
23: holder 25:
27: support part 70:
80: optical horizontal transmission unit 81: second translucent member
90: second fixing means
Claims (7)
상기 광수직전달부를 상기 기둥에 고정시키는 제 1고정수단과;
상기 기둥과 연결되는 보에 설치되어 상기 광수직전달부를 통해 전달되는 태양광을 실내의 수평방향으로 전달시키는 광수평전달부와;
상기 광수평전달부를 상기 보에 고정시키는 제 2고정수단과;
상기 광수직전달부 또는 상기 광수평전달부를 통과하는 광량을 증대시키기 위한 광증대부;를 구비하며,
상기 광수직전달부는 상기 기둥의 외측에 상기 기둥을 따라 상하로 길게 설치되는 제 1투광부재들로 구비되고,
상기 제 1투광부재는 도광판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기둥과 접촉하는 상기 제 1투광부재의 접촉면에는 빛을 산란시키기 위한 요철이 형성되며,
상기 제 1투광부재는 상기 기둥과 상기 보가 연결되는 부위에서 폭이 좁은 접촉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고정수단은 상기 기둥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와 연결되어 상기 광수직전달부를 파지하는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광수평전달부는 상기 보의 외측에 상기 보를 따라 좌우 또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일측 단부가 상기 제 1투광부재의 상기 접촉부와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제 2투광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제 2투광부재는 도광판 소재로 형성되며, 상기 보와 접촉하는 상기 제 2투광부재의 접촉면에는 빛을 산란시키기 위한 요철이 형성되고,
상기 광증대부는 상기 제 1투광부재에 형성된 장착홈에 삽입되며 상기 제 1투광부재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결합되는 광조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광조사부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부로 광을 조사하며 상기 몸체부의 측면에 형성된 삽입홈에 삽입되는 발광다이오드를 구비하는 LED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둥과 보를 이용한 자연채광장치. An optical vertical transfer unit install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column to transmit sunlight introduced through the light inflow portion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building from the upper portion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oom;
A first fixing unit fixing the optical vertical transfer unit to the column;
An optical horizontal transfer unit installed in a beam connected to the column for transmitting sun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optical vertical transfer uni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room;
Second fixing means for fixing the optical horizontal transfer unit to the beam;
And a light source for increasing an amount of light passing through the optical vertical transfer unit or the optical horizontal transfer unit,
Wherein the optical vertical transfer unit is provided with first transparent members disposed vertically along the column on the outside of the column,
Wherein the first translucent member is formed of a material of a light guide plate, irregularities for scattering light are formed on a contact surface of the first translucent member in contact with the column,
Wherein the first translucent member has a narrow contact portion at a portion where the column and the beam are connected,
Wherein the first fixing means includes a coupling portion coupled to an outer surface of the column and a holder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to hold the optical vertical transfer portion,
Wherein the optical horizontal transmission portion includes a second translucent member which is provided so as to extend in the left-right direction or the back-and-forth direction along the beam on the outer side of the beam and whose one end is in contact with the contact portion of the first translucent member,
Wherein the second translucent member is formed of a light guide plate material, irregularities for scattering light are formed on a contact surface of the second translucent member contacting the beam,
And a light irradiating unit coupled to one side of the body, the light irradiating unit including a body part inserted into a mounting groove formed in the first light transmitting member and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light transmitting member,
Wherein the light irradiating unit includes a frame and an LED module having a frame and a light emitting diode which is installed in the frame and is inserted into an insertion groove formed in a side surface of the body portion by irradiating light to the body portion. Devic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064675A KR101691138B1 (en) | 2015-05-08 | 2015-05-08 | nature lighting apparatus using pillar and beam, nature lighting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064675A KR101691138B1 (en) | 2015-05-08 | 2015-05-08 | nature lighting apparatus using pillar and beam, nature lighting method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60131704A KR20160131704A (en) | 2016-11-16 |
| KR101691138B1 true KR101691138B1 (en) | 2016-12-29 |
Family
ID=5754100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064675A Expired - Fee Related KR101691138B1 (en) | 2015-05-08 | 2015-05-08 | nature lighting apparatus using pillar and beam, nature lighting method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691138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2196103B (en) * | 2020-09-27 | 2021-08-20 | 福建省中建检测技术有限公司 | Green building steel structure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0067506A (en) * | 2008-09-11 | 2010-03-25 | Inosho:Kk | Daylighting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9274806A (en) * | 1996-04-02 | 1997-10-21 | Nitsupatsu Hanbai Kk | Auxiliary life preserver device serving also used as luminaire |
| KR101039463B1 (en) * | 2009-09-22 | 2011-06-14 | 주식회사 지유코퍼레이션 | Hybrid type natural light lighting system |
| KR100990851B1 (en) | 2010-06-04 | 2010-10-29 | 박경우 | Interior lighting device using natural light |
-
2015
- 2015-05-08 KR KR1020150064675A patent/KR10169113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0067506A (en) * | 2008-09-11 | 2010-03-25 | Inosho:Kk | Daylighting devic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60131704A (en) | 2016-11-16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6363667B2 (en) | Passive collimating tubular skylight | |
| US7322156B1 (en) | Skylight domes with reflectors | |
| US7070314B2 (en) | Light channelling window panel for shading and illuminating rooms | |
| JPWO2017038847A1 (en) | Daylighting system, daylighting method, and building | |
| KR101691138B1 (en) | nature lighting apparatus using pillar and beam, nature lighting method | |
| US7481549B2 (en) | Luminous glass wall | |
| CN102704738B (en) | High-rise daylighting building | |
| US20140160785A1 (en) | Light guiding system and ceiling structure | |
| KR101691137B1 (en) | nature lighting apparatus using pillar and nature lighting method | |
| JP5380345B2 (en) | 塀 | |
| KR101305436B1 (en) | Natural daylighting systems for deep space illumination | |
| JP5428062B2 (en) | Monitor roof and reflection light path forming method inside monitor roof | |
| JP6684709B2 (en) | Daylighting device | |
| JP2014049260A (en) | Lighting device and lighting system | |
| EP2383400A1 (en) | Illuminated roofing structure and method of construction | |
| JP2014010919A (en) | Luminaire | |
| KR101217515B1 (en) | A door of well lighting and ventilation | |
| KR101625092B1 (en) | Daylighting devices | |
| JP2005076239A (en) | Spontaneous light type delineator | |
| JP4422098B2 (en) | Pillar emitting light | |
| JP2003321931A (en) | Light duct and building material for the same | |
| JP2014044878A (en) | Daylighting structure of building | |
| JP2004186034A (en) | Lighting system | |
| KR20130043029A (en) | Dome type sunlight collectors with prismatic structures and parabolic reflector | |
| RU2057868C1 (en) | Multi-storey social building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12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1122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K11-X000 | Ip right revival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1-oth-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11224 |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3-oth-PR04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