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5466B1 - Sound source display device and sound source display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ound source display device and sound source display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05466B1 KR101705466B1 KR1020150149568A KR20150149568A KR101705466B1 KR 101705466 B1 KR101705466 B1 KR 101705466B1 KR 1020150149568 A KR1020150149568 A KR 1020150149568A KR 20150149568 A KR20150149568 A KR 20150149568A KR 101705466 B1 KR101705466 B1 KR 1017054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ecific
- sound
- note
- output
- output reques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5/00—Teaching music
- G09B15/02—Boards or like means for providing an indication of notes
- G09B15/04—Boards or like means for providing an indication of notes with sound emitter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원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원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상에 복수의 특정음의 음이름을 일직선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특정음 출력부; 특정음 출력부가 복수의 특정음의 음이름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복수의 특정음 중에서 어느 하나의 특정음에 대한 출력 요청을 입력받는 출력요청 입력부; 출력요청 입력부가 어느 하나의 특정음에 대한 출력 요청을 입력받을 때, 어느 하나의 특정음의 음이름의 위치에 어느 하나의 특정음에 대한 출력신호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복수의 특정음 중에서 설정된 기준음의 음이름의 위치로부터 어느 하나의 특정음의 음이름의 위치까지 어느 하나의 특정음에 대한 출력신호를 웨이브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출력요청 디스플레이부; 및 출력요청 입력부가 어느 하나의 특정음에 대한 출력 요청을 입력받을 때, 어느 하나의 특정음에 해당하는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를 포함하고, 웨이브 형태는 설정된 기준음의 음이름의 위치로부터 어느 하나의 특정음의 음이름의 위치까지 진폭이 점점 커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 source display device. A sound sourc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pecific sound output unit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sound names of a specific sound in a straight line on a screen; An output request input unit for receiving an output request for one specific sound among a plurality of specific sounds in a state in which a specific sound output unit displays a plurality of specific sound names; When the output request input unit receives an output request for a specific note, the output request input unit displays an output signal for a certain note at a position of a specific note name of a specific note, An output request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output signal for a specific note from a position of a note name to a position of a note name of a specific note in a wave form; And a sou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sound corresponding to a specific sound when the output request input unit receives an output request for a specific sound, The amplitude increases gradually to the position of the note name of one specific note.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원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원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원을 디스플레이하고 음원이 출력될 때 출력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음원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원 디스플레이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und source display device and a sound source display method using the sam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ound source display device for displaying a sound source and displaying an output signal when the sound source is outputted, and a sound source display method using the same.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The matters described in the background section are intended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and may include matters not previousl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절대음감이란 어떠한 음(일반적으로 악음)을 듣고 들은 음의 고유의 음높이를 즉석에서 판별할 수 있는 청각능력을 의미한다. 일반인들은 이러한 절대음감을 갖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며, 음악과 관련된 일을 하는 사람들에게는 이러한 절대음감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Absolute pitch refers to the hearing ability that can instantly distinguish the original pitch of a sound heard and heard by a certain sound (usually a sound). Most people do not have such an absolute pitch, and those who work with music need absolutely this absolute pitch.
이러한 음의 높이를 알기 위해서는, 기본진동수를 갖는 기음과 기본진동수보다 많은 진동수를 갖는 배음이 혼합된 혼합음으로 되어 있는 음에서 기음을 정확히 구별하여 인식할 수 있어야 하며, 청자가 어느 높이에서 초점(Focus)이 맞추어지는지를 인식해야 한다. 이를 통해, 각 음이 가지는 고유의 음높이를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음에 대한 초점이 잡히는 곳은 정해져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이름 A를 중심으로 위로는 음이름 A#에서 음이름 D#까지 아래로는 음이름 G#에서 음이름 E까지 초점이 잡히는 위치가 나뉘어져 있다. 옥타브가 다르더라도 음이름이 동일하다면, 동일한 높이에서 초점이 잡힌다. 이와 같이, 진동수에 따라 음에 대한 초점이 잡히는 곳은 일정한 규칙을 가지며, 초점을 맞춘다는 것은 그 주파수 영역대의 소리가 크고 선명하게 들린다는 것을 의미한다.In order to know the height of such a sound,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accurately distinguish the aspiration from a sound having a mixed sound composed of aspiration having a fundamental frequency and harmonics having a frequency greater than the fundamental frequency, Focus) should be met.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distinguish the inherent pitch of each note. As shown in FIG. 2, the focus is focused on the note name A from the note name A # to the note name D # and downward from the note name G # to the note name E The location is divided. If the octave is different but the note name is the same, it is focused at the same height. Thus, the place where the sound is focus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has a certain rule, and focusing means that the sound of the frequency band is sounded big and clear.
한편, 자연계에서 들리는 대부분의 소리(음)이 기본진동수를 갖는 기음과 기본진동수보다 많은 진동수를 갖는 배음이 혼합된 혼합음으로 되어 있다는 특성을 갖는다. 일반인들이 기음과 배음이 혼합된 혼합음에서 음의 고유의 음높이를 판별하는데 필요한 기음에 초점(Focus)을 맞추지 못하기 때문에, 절대음감을 갖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most of the sounds (sounds) heard in the natural world are mixed sounds in which aspiration with a fundamental frequency and harmonics with a frequency greater than the fundamental frequency are mixed. In general, people can not focus on the aspiration required to discriminate the intrinsic pitch of a sound in a mixture sound in which aspiration and harmonic mixture are mixed.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악과 관련된 일을 하는 사람 등의 절대음감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절대음감을 학습시켜 절대음감을 갖도록 하는 음원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원 디스플레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ound source display device And a sound source display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디스플레이 장치는, 화면상에 복수의 특정음의 음이름을 일직선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특정음 출력부; 특정음 출력부가 복수의 특정음의 음이름을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복수의 특정음 중에서 어느 하나의 특정음에 대한 출력 요청을 입력받는 출력요청 입력부; 출력요청 입력부가 상기 어느 하나의 특정음에 대한 출력 요청을 입력받을 때, 상기 어느 하나의 특정음의 음이름의 위치에 상기 어느 하나의 특정음에 대한 출력신호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복수의 특정음 중에서 설정된 기준음의 음이름의 위치로부터 상기 어느 하나의 특정음의 음이름의 위치까지 상기 어느 하나의 특정음에 대한 출력신호를 웨이브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출력요청 디스플레이부; 및 출력요청 입력부가 상기 어느 하나의 특정음에 대한 출력 요청을 입력받을 때, 어느 하나의 특정음에 해당하는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를 포함하고, 웨이브 형태는 설정된 기준음의 음이름의 위치로부터 어느 하나의 특정음의 음이름의 위치까지 진폭이 점점 커진다.A sound sourc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pecific sound output unit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sound notes in a straight line on a screen; An output request input unit for receiving an output request for one specific sound among a plurality of specific sounds while a specific sound output unit displays a plurality of specific sound names; When an output request input unit receives an output request for any one specific note, an output signal for the specific note is displayed at a position of a note name of the specific note, An output request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output signal for a specific note from a position of a note name of a reference note to a position of a note name of the specific note in a wave form; And a sound output unit for outputting sound corresponding to one specific sound when the output request input unit receives an output request for the specific sound, wherein the wave form includes at least one of a position The amplitude increases gradually to the position of the sound name of a specific sound.
여기서, 복수의 특정음의 음이름의 위치에는 한 옥타브 내에서 음간 간격이 동일한 음들의 음이름이 화면상에 동일한 간격으로 디스플레이된다.Here, note names of notes having the same pitch interval within one octave are displayed at the same intervals on the screen at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specific note names.
또한, 복수의 특정음의 음이름의 위치에는 화면상의 복수의 특정음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특정음의 음이름이 디스플레이된다.In addition, at a position of a plurality of specific note names, a specific note name of a specific note set by the user is displayed among a plurality of specific notes on the screen.
삭제delete
또한, 음향 출력부는 어느 하나의 특정음을 설정된 크기와 재생속도의 레벨로 출력한다.Also, the sound output unit outputs any one of the specific sounds at a set level and a playback speed level.
또한, 음향 출력부는 어느 하나의 특정음을 복수의 옥타브 중에서 설정된 어느 하나의 옥타브로 출력한다.In addition, the sound output unit outputs any one particular note to any one octave set among a plurality of octaves.
또한, 음향 출력부는 어느 하나의 특정음이 설정된 순음 개수를 갖도록 출력한다.In addition, the sound output unit outputs one of the specific sounds having a set number of pure sounds.
또한, 음향 출력부는 복수의 특정음 중에서 설정된 특정 악기의 음을 출력한다.Further, the sound output unit outputs sounds of the specific musical instrument set from among a plurality of specific sounds.
또한, 음향 출력부는 복수의 특정음 중에서 어느 하나의 특정음을 랜덤하게 선택하여 출력한다.Further, the sound output unit randomly selects and outputs any one of a plurality of specific sounds.
또한, 음향 출력부는 어느 하나의 특정음을 반복하여 출력한다.Further, the sound output section repeatedly outputs any one specific soun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디스플레이 방법은, 화면상에 복수의 특정음의 음이름을 일직선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특정음 출력단계; 복수의 특정음의 음이름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복수의 특정음 중에서 어느 하나의 특정음에 대한 출력 요청을 입력받는 출력요청 입력단계; 어느 하나의 특정음에 대한 출력 요청을 입력받을 때, 상기 어느 하나의 특정음의 음이름의 위치에 상기 어느 하나의 특정음에 대한 출력신호를 디스플레이하거나 복수의 특정음 중에서 설정된 기준음의 음이름의 위치로부터 상기 어느 하나의 특정음의 음이름의 위치까지 상기 어느 하나의 특정음에 대한 출력신호를 웨이브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출력요청 디스플레이 단계; 및 어느 하나의 특정음에 대한 출력 요청을 입력받을 때, 어느 하나의 특정음에 해당하는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단계를 포함하고, 웨이브 형태는 설정된 기준음의 음이름의 위치로부터 어느 하나의 특정음의 음이름의 위치까지 진폭이 점점 커진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displaying a sound source, the method comprising: a specific sound output step of displaying a plurality of sound names of a specific sound in a straight line on a screen; An output request input step of receiving an output request for one specific sound among a plurality of specific sounds in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specific sound names are displayed; When an output request for a specific note is received, an output signal for the specific note is displayed at a position of a note name of the specific note, or a note name of a reference note among a plurality of specific notes An output request display step of outputting, in a wave form, an output signal for a specific note from a position of a specific note to a position of a note name of the specific note; And a sound output step of outputting sound corresponding to a certain specific sound when receiving an output request for a specific sound, The amplitude increases gradually to the position of the negative note name.
본 발명에 따르면, 음악을 전공하거나 음악과 관련된 일을 하거나 음악성을 배양하고자 하는 등의 절대음감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절대음감을 학습시켜 절대음감을 갖게 해줄 수 있다. 나아가, 대부분의 사람들이 조기교육을 통해 절대음감을 가질 수 있게 함으로써 언어 발달과 소리와 관련된 산업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bsolute pitch can be learned by those who need an absolute pitch sense such as majoring in music, work related to music, or cultivating musical ability, thereby providing an absolute pitch. Furthermore, most people will be able to have an absolute tone through early education, thereby affecting the language development and sound industrie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특정음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특정음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형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제1 실시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형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제2 실시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형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제3 실시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음원 디스플레이 방법의 흐름도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 sound sourc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reen on which a plurality of specific sounds are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reen displaying a specific note set by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screen on which a graphic object is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econd embodiment of a screen on which a graphic object is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third embodiment of a screen on which a graphic object is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 sound source using a sound sourc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how to accomplish them, will become apparent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nly as the invention may make thedetails of the invention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nl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음원 디스플레이 장치는 특정음 출력부(100), 출력요청 입력부 (200), 출력요청 디스플레이부(300) 및 음향 출력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1 is a block diagram of a sound sourc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sound source display apparatus may include a specific
특정음 출력부(100)는 화면상에 복수의 특정음의 음이름을 디스플레이한다. 복수의 특정음은 한 옥타브 내에서 음간 간격이 동일한 음들이 화면상에 동일한 간격으로 디스플레이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특정음은 음이름 D#, D, C#, C, B, A#, A, G#, G, F#, F, E일 수 있다.The specific
복수의 특정음의 명칭은 고유 진동수가 정해져 있는 음이름(Pitch Name)으로 디스플레이 되어야 하지만, 통상적으로 계이름인 레#, 레, 도#, 도, 시, 라#, 라, 솔#, 솔, 파#, 파, 미가 많이 사용되므로 계이름으로 표시될 수 있으며, 각 국가마다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음이름이나 계이름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특정음은 악기 이미지로도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특정음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이름과 이미지를 달리하여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The names of a plurality of specific sounds should be displayed as a pitch name in which the natural frequency is fixed. However, in general, #, Par, and mi are often used, so they can be displayed as a guideline, and each country can display a commonly used note name or phrase. In addition, a plurality of specific sounds can also be displayed as musical instrument images.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specific sounds are not limited to these, and may be variously set by different names and images.
또한, 특정음 출력부(100)는 복수의 특정음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특정음을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음 출력부(100)가 음이름들 중에서 D#, C#, C, A#, A, G#, F#, F에 대한 특정음의 출력을 요청받을 때, 특정음 출력부(100)는 D#, C#, C, A#, A, G#, F#, F에 대한 특정음을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In addition, the specific
출력요청 입력부(200)는 특정음 출력부(100)가 복수의 특정음의 음이름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복수의 특정음 중에서 어느 하나의 특정음에 대한 출력 요청을 입력받는다. 예를 들면, 출력요청 입력부(200)는 D#, D, C#, C, B, A#, A, G#, G, F#, F, E 중에서 F#에 대한 출력 요청을 입력받는다.The output
출력요청 디스플레이부(300)는 출력요청 입력부(200)가 어느 하나의 특정음에 대한 출력 요청을 입력받을 때, 어느 하나의 특정음의 음이름의 위치에 어느 하나의 특정음에 대한 출력신호를 도형으로 디스플레이하거나 복수의 특정음 중에서 설정된 기준음의 음이름의 위치로부터 어느 하나의 특정음의 음이름의 위치까지 어느 하나의 특정음에 대한 출력신호를 도형으로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웨이브가 화면에 디스플레이되고 진폭이 커지도록 구현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도형이 화면에 디스플레이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When the output
음향 출력부(400)는 출력요청 입력부(200)가 어느 하나의 특정음에 대한 출력 요청을 입력받을 때, 어느 하나의 특정음에 해당하는 음향을 출력한다. 예를 들면, 출력요청 입력부(200)가 F#에 대한 출력 요청을 입력받을 때, 음향 출력부(400)는 F#에 해당하는 음향을 출력한다. 여기서, 음향 출력부(400)는 어느 하나의 특정음을 설정된 크기와 재생속도의 레벨(level)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설정된 크기는 1단계, 2단계, 3단계, 4단계, 5단계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레벨을 달리하여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부(400)는 어느 하나의 특정음을 복수의 옥타브(octave) 중에서 설정된 어느 하나의 옥타브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옥타브는 5옥타브, 6옥타브, 7옥타브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개수를 달리하여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부(400)는 어느 하나의 특정음이 설정된 순음(상음이 섞여 있지 않은 단일 진동수의 음, pure tone) 개수를 갖도록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순음은 1개, 2개, 3개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개수를 달리하여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부(400)는 복수의 특정음 중에서 어느 하나의 악기음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부(400)는 복수의 특정음 중에서 어느 하나의 특정음을 랜덤하게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음은 C, B, D#, A, B#의 순서로 출력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고 그 순서를 달리하여 다양하게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부(400)는 어느 하나의 특정음을 반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출력요청 입력부(200)가 C#에 대한 출력 요청을 입력받을 때, 음향 출력부(400)는 C#을 반복하여 출력한다. 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특정음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특정음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형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제1 실시예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특정음은 음이름 D#, D, C#, C, B, A#, A, G#, G, F#, F, E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그 위치는 화면상에서 음이름 A를 중심으로 D#, D, C#, C, B, A#, A, G#, G, F#, F, E의 위치이다. 화면 좌측에는 트레이닝 모드, 레벨, 옥타브, 순음, 악기가 디스플레이되어 있고, 화면 우측에는 초점모드, A모드, 랜덤, 반복, 음이름 선택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FIG. 2 is a screen displaying a plurality of specific sound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creen displaying a specific sound set by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A first embodiment of a screen on which a graphic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is displayed. Referring to FIG. 2, a plurality of specific sounds may be sound names D #, D, C #, C, B, A #, A, G #, G, F # Referring to FIG. 4, the position is the position of D #, D, C #, C, B, A #, A, G #, G, F #, F, On the left side of the screen, the training mode, level, octave, pure tone and musical instrument are displayed. On the right side of the screen, the focus mode, A mode, random, repeat and note name selection are displayed.
트레이닝 모드를 클릭하면, 레벨, 옥타브, 순음의 수에 따라 초점을 잡는 훈련과 기준음(예를 들어, 음이름 A)을 미리 들려주어 상대음감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며 훈련을 할 수 있다. 레벨을 클릭하면, 음이 설정된 크기와 재생속도의 레벨(level)로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는 원하는 음의 레벨을 선택하여 음을 들을 수 있다. 옥타브를 클릭하면, 설정된 옥타브가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는 원하는 음의 옥타브를 선택하여 음을 들을 수 있다. 순음을 클릭하면, 설정된 순음의 개수가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는 원하는 순음의 개수를 선택하여 음을 들을 수 있다. 악기를 클릭하면, 설정된 악기가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는 원하는 악기를 선택하여 음을 들을 수 있다.If you click on the training mode, you can train to focus on the number of levels, octaves, and tones, and train the reference tone (for example, note name A) to prevent relative pitching. When you click a level, the note is displayed at the set level and playback speed level. The user can select a desired level of the sound and listen to the sound. If you click the octave, the set octave is displayed. The user can select the desired octave to hear the note. If you click on a tune, the number of tones set is displayed. The user can select the desired number of pure tones and listen to the tones. When you click on the instrument, the set instrument is displayed. The user can select a desired instrument and listen to the sound.
초점모드를 클릭하면, 원음에서 기음을 제거한 소리를 먼저 들려준 후, 원음을 들려주어 사용자가 기음을 잘 듣도록 할 수 있다. A모드를 클릭하면, 원음을 듣기 전에 A음을 먼저 들려주고 원하는 음을 연속해서 들을 때 상대 음감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며 음의 높이를 익힐 수 있다. 랜덤을 클릭하면 랜덤하게 음을 선택하여 들을 수 있고, 반복을 클릭하면 음을 반복하여 들을 수 있다. 음이름 선택을 클릭하면 원하는 음만을 선택할 수 있다.If you click on the focus mode, you can hear the original sound with the aspiration removed first, and then let the user listen to the original sound. If you click A mode, you can hear A tone first before listening to the original sound, prevent relative sound when listening to the desired sound continuously, and learn the height of the sound. If you click Random, you can select and listen to the sound randomly. If you click repeat, you can hear the sound repeatedly. If you click Select note name, you can only select the note you want.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형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제1 실시예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형이 디스플레이된 화면의 제2 실시예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형이 디플레이된 화면의 제3 실시예이다.FIG. 4 is a first embodiment of a screen on which a graphic object is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second embodiment of a screen on which graphic objects are display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third embodiment of a screen in which a graphic obje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layed.
도 4를 참조하면, 음이름 A에 대한 출력 요청을 입력받을 때, 음이름 A가 기준음이기 때문에 화면에는 가로 방향으로 일직선 형태의 웨이브가 음이름 A에 디스플레이됨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when receiving the output request for the sound name A, it can be seen that the sound name A is a reference sound, and therefore, a linear wav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is displayed in the sound name A on the screen.
도 5를 참조하면, 음이름 C#에 대한 출력 요청을 입력받을 때, 화면에는 음이름 A의 위치부터 음이름 C#의 위치까지 웨이브가 디스플레이됨을 알 수 있다. 음이름 A의 위치로부터 음이름 C#의 위치까지 진폭이 점점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upon receiving an output request for a note name C #, a wave is displayed on the screen from the position of the note name A to the note name C #. It can be seen that the amplitude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position of the note name A to the position of the note name C #.
도 6을 참조하면, 음이름 F에 대한 출력 요청을 입력받을 때, 화면에는 음이름 A의 위치부터 음이름 F의 위치까지 웨이브가 디스플레이됨을 알 수 있다. 음이름 A의 위치로부터 음이름 F의 위치까지 진폭이 점점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when an output request for the note name F is received, the wave is displayed on the screen from the position of the note name A to the position of the note name F. It can be seen that the amplitude gradually increases from the position of the note name A to the position of the note name F.
도 4, 도 5 및 도 6의 경우, 웨이브가 디스플레이됨과 함께 음향이 출력된다.In the case of Figs. 4, 5 and 6, a wave is displayed and sound is output.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음원 디스플레이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음원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한 음원 디스플레이 방법은 S100 내지 S300을 포함할 수 있다.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isplaying a sound source using a sound source display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7, the sound source display method using the sound source display device may include S100 to S300.
먼저, 특정음 출력부(100)가 화면상에 복수의 특정음의 음이름을 디스플레이한다(특정음 출력단계, S100).First, the specific
S100 이후, 복수의 특정음의 음이름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출력요청 입력부(200)가 복수의 특정음 중에서 어느 하나의 특정음에 대한 출력 요청을 입력받는다(출력요청 입력단계, S200).In step S100, the output
S200 이후, 어느 하나의 특정음에 대한 출력 요청을 입력받을 때, 출력요청 디스플레이부(300)가 복수의 특정음 중에서 설정된 기준음의 음이름의 위치로부터 어느 하나의 특정음의 음이름의 위치까지 어느 하나의 특정음에 대한 출력신호를 도형으로 디스플레이하고(출력요청 디스플레이 단계), 음향 출력부(400)가 어느 하나의 특정음에 해당하는 음향을 출력한다(음향 출력단계)(S300). 출력요청 디스플레이 단계에서 출력요청 디스플레이부(300)가 복수의 특정음 중에서 설정된 기준음의 음이름의 위치로부터 어느 하나의 특정음의 음이름의 위치까지 어느 하나의 특정음에 대한 출력신호를 도형으로 디스플레이하는 대신, 어느 하나의 특정음의 위치에 어느 하나의 특정음에 대한 출력신호를 도형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출력요청 디스플레이 단계와 음향 출력단계는 어느 하나의 특정음에 대한 출력 요청을 입력받을 때 동시에 수행된다.In S200, when the output request for one particular note is received, the outpu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디스플레이 장치는 스마트폰, 테블릿 PC, 스마트워치, 스마트 TV, PC 또는 전자악기 디바이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 사용과 관련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The sound sourc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as a smart phone, a tablet PC, a smart watch, a smart TV, a PC, or a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device.
트레이닝 모드(training mode)에서는 레벨, 옥타브, 순음의 수에 따라 초점을 잡는 훈련과 기준음(예를 들어, A음)을 미리 들려주어 상대음감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며 훈련을 할 수 있다. 음에 대한 초점을 잡는다는 것은 음의 크기를 가장 크게 들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사용자 자신의 목소리로 발성할 수 있는 음 높이를 다른 임의의 장치에서 연주한 후 그 음의 높이에 맞추어 발성할 때, 두 소리가 공명을 일으켜 음이 증폭되어 들린다면 음에 초점을 잘 잡은 것이다.In the training mode, training to focus on the number of levels, octaves, and tones, and a reference tone (for example, a note) can be pre-played to prevent relative pitches from occurring. To focus on a note is to be able to hear it the greatest. When you play the sound height that can be uttered by your own voice in any other device and then vocalize to the pitch of the sound, you can focus on the sound if the two sounds resonate to amplify the sound.
테스트 모드(test mode)에서는 트레이닝 모드에서 훈련한 내용을 바탕으로 출력되는 음의 높이를 음이름으로 알아맞히는 연습을 할 수 있다. 상대음감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테스트하는 음들 사이에 모든 음이름의 음을 한꺼번에 들려준다.In the test mode, you can practice to guess the pitch of the sound based on the training in the training mode. In order to prevent the relative pitch from occurring, the notes of all note names are played at the same time between the notes to be tested.
음의 출력을 위한 레벨은 초점모드와 A모드에서 훈련하도록 단계적으로 설정되고, 출력되는 음의 설정된 옥타브와 순음의 개수도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음은 랜덤하게 선택되어 출력될 수 있는데, 레벨, 옥타브, 순음 개수에 맞추어 랜덤하게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출력되는 음이 정지되거나, 반복해서 출력되거나, 한 번만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훈련을 원하는 특정한 음이 있는 경우에는 원하는 음이름을 선택할 수 있다.The level for the negative output can be set step by step to train in the focus mode and the A mode, and the number of the set octaves and the pure tones of the outputted tones can also be set. Also, the sound can be randomly selected and output, and it can be output randomly according to the level, octave, and number of pure sound. In addition, the output sound can be stopped, repeatedly output, or output only once. If you have a specific note you want to train, you can select the note name you want.
초점모드에서는 원음에서 기음을 제거한 소리를 먼저 들려준 후, 원음을 들려주어 사용자가 기음을 잘 듣도록 할 수 있다. 기음은 물체가 진동하여 소리를 낼 때, 진동수가 가장 적고 에너지가 큰 소리이다. 초점모드가 해제된 상태에서는 원음만을 들려준다.In the focus mode, you can hear the original sound with the aspiration removed first, and then let the user listen to the original sound so that the user can listen to the sound as well. Aspiration is the least vibrational and energetic sound when an object vibrates and makes sound. When the focus mode is off, only the original sound is heard.
A모드에서는 원음을 듣기 전에 A음을 먼저 들려주고 원하는 음을 연속해서 들을 때 상대 음감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며 음의 높이를 익힐 수 있다. A음은 음이름 중에서 높지도 낮지도 않은 정 가운데에서 초점이 잡히는 기준이 되는 소리인 기준음이다. A모드가 해제된 상태에서는 원음만을 들려준다.In the A mode, you can hear the A notes before listening to the original sound, and prevent the relative sound from being heard when you listen to the desired notes continuously. The A note is the reference sound, which is the reference point to be focused in the middle of high and low notes. When A mode is released, only the original sound is hear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원 디스플레이 장치를 이용하여 훈련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A method of training using a sound sourc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초점모드는 절대음감을 가진 사람이 어떻게 듣는지 체험하는 모드이다. 초점모드에서 음을 들을 때와 초점모드가 해제된 상태에서 음을 들을 때가 같아질 때까지 훈련한다. 출력되는 음을 들을 때, 화면에 표시되는 웨이브와 같이 A음을 기준으로 각각의 높이에 초점이 맞추어진다는 것을 인지하며 훈련한다. 음을 듣는 방법이 익숙하지 않다면 다른 높이의 연속된 음을 들을 때 상대음감이 생길 가능성이 높다. 이때, A모드에서 초점을 잡으며 음을 듣는다면 상대음감이 생기는 것을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다. 출력되는 음을 듣는 방법을 익혔다면 초점모드와 A모드를 모두 해제한 상태에서 훈련한다.The focus mode is a mode for experiencing how a person with an absolute sound experience hearing. You will train until you hear a note in focus mode and the same time you hear a note while focus mode is off. When listening to the output sound, it is recognized that it is focused on each height based on the A sound like the wave displayed on the screen. If you are unfamiliar with the way you listen to notes, you are more likely to have a relative pitch when you listen to consecutive notes of different heights.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lative pitch from being generated by focusing on the A mode and listening to the sound. If you have learned how to listen to the output sound, you should train with both focus mode and A mode turned off.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understandable.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특정음 출력부
200 : 출력요청 입력부
300 : 출력요청 디스플레이부
400 : 음향 출력부100: Specific sound output section
200: output request input unit
300: output request display unit
400: sound output section
Claims (11)
상기 특정음 출력부가 상기 복수의 특정음의 음이름을 디스플레이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특정음 중에서 어느 하나의 특정음에 대한 출력 요청을 입력받는 출력요청 입력부;
상기 출력요청 입력부가 상기 어느 하나의 특정음에 대한 출력 요청을 입력받을 때, 상기 어느 하나의 특정음의 음이름의 위치에 상기 어느 하나의 특정음에 대한 출력신호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복수의 특정음 중에서 설정된 기준음의 음이름의 위치로부터 상기 어느 하나의 특정음의 음이름의 위치까지 상기 어느 하나의 특정음에 대한 출력신호를 웨이브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출력요청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출력요청 입력부가 상기 어느 하나의 특정음에 대한 출력 요청을 입력받을 때, 상기 어느 하나의 특정음에 해당하는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부
를 포함하고, 웨이브 형태는 상기 설정된 기준음의 음이름의 위치로부터 상기 어느 하나의 특정음의 음이름의 위치까지 진폭이 점점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디스플레이 장치.A specific sound output unit for displaying a plurality of sound names of a specific sound in a straight line on the screen;
An output request input unit receiving an output request for one specific sound among the plurality of specific sounds while the specific sound output unit displays the sound names of the plurality of specific sounds;
Wherein when the output request input unit receives an output request for one specific note, an output signal for the one specific note is displayed at a position of a note name of the specific note, An output request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n output signal for a specific note from a position of a note name of a reference note set to a position of a note name of the specific note in a wave form; And
When the output request input unit receives an output request for the specific sound, the sound output unit outputs the sound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sound,
Wherein the wave form gradually increases in amplitude from a position of a note name of the set reference note to a position of a note name of the specific note.
상기 복수의 특정음의 음이름의 위치에는 한 옥타브 내에서 음간 간격이 동일한 음들의 음이름이 화면상에 동일한 간격으로 디스플레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디스플레이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sound names of tones having the same pitch interval within one octave are displayed at the same intervals on the screen at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specific tones.
상기 복수의 특정음의 음이름의 위치에는 화면상의 복수의 특정음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하여 설정된 특정음의 음이름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디스플레이 장치.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sound name of a specific sound set by a user selected from among a plurality of specific sounds on the screen is displayed at a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specific sound names.
상기 음향 출력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특정음을 설정된 크기와 재생속도의 레벨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디스플레이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und output unit outputs any one of the specific sounds at a predetermined size and at a playback speed level.
상기 음향 출력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특정음을 복수의 옥타브 중에서 설정된 어느 하나의 옥타브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디스플레이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und output unit outputs any one of the specific sounds to any one octave set among the plurality of octaves.
상기 음향 출력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특정음이 설정된 순음 개수를 갖도록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디스플레이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und output unit outputs the specific sound so that the specific sound has a set number of pure sounds.
상기 음향 출력부는 상기 복수의 특정음 중에서 설정된 특정 악기의 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디스플레이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und output unit outputs sound of a specific musical instrument set from among the plurality of specific sounds.
상기 음향 출력부는 상기 복수의 특정음 중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특정음을 랜덤하게 선택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디스플레이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und output unit randomly selects and outputs any one of the plurality of specific sounds.
상기 음향 출력부는 어느 하나의 특정음을 반복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디스플레이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und output unit repeatedly outputs any one specific sound.
화면상에 복수의 특정음의 음이름을 일직선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특정음 출력단계;
상기 복수의 특정음의 음이름이 디스플레이된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특정음 중에서 어느 하나의 특정음에 대한 출력 요청을 입력받는 출력요청 입력단계;
상기 어느 하나의 특정음에 대한 출력 요청을 입력받을 때, 상기 어느 하나의 특정음의 음이름의 위치에 상기 어느 하나의 특정음에 대한 출력신호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상기 복수의 특정음 중에서 설정된 기준음의 음이름의 위치로부터 상기 어느 하나의 특정음의 음이름의 위치까지 상기 어느 하나의 특정음에 대한 출력신호를 웨이브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출력요청 디스플레이 단계; 및
상기 어느 하나의 특정음에 대한 출력 요청을 입력받을 때, 상기 어느 하나의 특정음에 해당하는 음향을 출력시키는 음향 출력단계
를 포함하고, 웨이브 형태는 상기 설정된 기준음의 음이름의 위치로부터 상기 어느 하나의 특정음의 음이름의 위치까지 진폭이 점점 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원 디스플레이 방법.A method of displaying a sound source using a sound source display device,
A specific sound output step of displaying a plurality of specific sound names on a screen in a straight line form;
An output request input step of receiving an output request for one specific sound among the plurality of specific sounds in a state in which the plurality of specific sound names are displayed;
Wherein when an output request for one specific note is input, an output signal for the one specific note is displayed at a position of a note name of the specific note, An output request display step of displaying, in a wave form, an output signal for a specific note from a position of a note name to a position of a note name of the specific note; And
An audio output step of outputting a sound corresponding to one of the specific sounds when receiving an output request for the specific sound;
Wherein the wave shape gradually increases in amplitude from a position of a note name of the set reference note to a position of a note name of the specific not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49568A KR101705466B1 (en) | 2015-10-27 | 2015-10-27 | Sound source display device and sound source display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49568A KR101705466B1 (en) | 2015-10-27 | 2015-10-27 | Sound source display device and sound source display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705466B1 true KR101705466B1 (en) | 2017-02-09 |
Family
ID=5815455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149568A Active KR101705466B1 (en) | 2015-10-27 | 2015-10-27 | Sound source display device and sound source display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705466B1 (en)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0504539A (en) * | 2006-07-12 | 2010-02-12 | マスター・キー・エルエルシー | Apparatus and method for visualizing music and other sounds |
| KR20110046085A (en) * | 2009-10-28 | 2011-05-04 | 정영일 | Absolute pitch learning method / device,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and sound processing device |
-
2015
- 2015-10-27 KR KR1020150149568A patent/KR10170546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0504539A (en) * | 2006-07-12 | 2010-02-12 | マスター・キー・エルエルシー | Apparatus and method for visualizing music and other sounds |
| KR20110046085A (en) * | 2009-10-28 | 2011-05-04 | 정영일 | Absolute pitch learning method / device,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and sound processing device |
| KR101074766B1 (en) | 2009-10-28 | 2011-10-19 | 정영일 | Method and apparatus for learning absolute pitch, electronic musical instrunment and sound processing apparatus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Hartmann | Principles of musical acoustics | |
| US20120304847A1 (en) | System and Method for Musical Game Playing and Training | |
| US10878788B2 (en) | Enhanced system, method, and devices for capturing inaudible tones associated with music | |
| US20080270904A1 (en) | System and method for audio equalization | |
| KR101705466B1 (en) | Sound source display device and sound source display method thereof | |
| US20170032030A1 (en) |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selecting an audio track | |
| KR101907276B1 (en) | System for practicing musical instrument and method for supporting the practice | |
| CN110874171B (en) | Audio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device | |
| KR102481261B1 (en) | Apparatus, method and program for music education for the hearing impaired supporting fuction of learning the recommended music | |
| Grierson | Making music with images: interactive audiovisual performance systems for the deaf | |
| US20140088741A1 (en) | Generating audio impressions of data | |
| Wittje | Concepts and Significance of Noise in Acoustics: Before and After the Great War | |
| Marui et al. | Timbre of nonlinear distortion effects: Perceptual attributes beyond sharpness | |
| US20130312587A1 (en) | Enhancement to the Private Study of Musical Performance | |
| WO2023030536A1 (en) | Harmony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device, and medium | |
| US5831190A (en) | Apparatus for identifying the note of an audio signal | |
| de Winter | Physics and birdsong:“listening” with Graphs | |
| JP6691684B2 (en) | Karaoke device and karaoke control program | |
| KR102272957B1 (en) | A music education method and a music education application stored in a recording medium implementing the same | |
| WO2019176029A1 (en) | Sound detection device | |
| Di Bona | Some considerations on pitch | |
| KR101694365B1 (en) | Method of helping piano performance and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 |
| JP2018156040A (en) | Deviation display machine | |
| Alunno | A&I, a Suite for piano, Android Device and vibration Speaker | |
| Hirst | Violin tuto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27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11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27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3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7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03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2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23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1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1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