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1388B1 - bollard - Google Patents
bollar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01388B1 KR101701388B1 KR1020150162881A KR20150162881A KR101701388B1 KR 101701388 B1 KR101701388 B1 KR 101701388B1 KR 1020150162881 A KR1020150162881 A KR 1020150162881A KR 20150162881 A KR20150162881 A KR 20150162881A KR 101701388 B1 KR101701388 B1 KR 10170138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te
- bar
- bottom plate
- shut
- fit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13 municipal solid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6 san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7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 E01F9/681—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holding sign posts or the like the sign posts being fastened by removable means, e.g. screws or bo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통행을 차단하는 용도로 사용하다가 필요한 경우에서만 임의로 분리하여 차량통행이 가능하도록 한 앙카고정 이동식 볼라드에 관한 것으로, 지면에 고정되는 설치대에 분리 가능하게 차단봉이 구비되는 이동식 볼라드에 있어서, 상기 설치대는 지면에 설치되는 바닥판과, 바닥판의 상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벽체와, 바닥판과 이격되게 상기 벽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판과, 상기 바닥판과 상부판의 사이가 이격되어 차단봉을 삽입할 수 있게 구비되는 슬라이드홈 및 상기 상부판이 부분 절개되어 차단봉을 수용할 수 있게 형성되는 개구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차단봉은 차량진입을 차단하기 위한 봉체의 하단에 상기 설치대의 슬라이드홈에 삽입되는 끼움판을 형성함으로써 설치대가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차단봉을 측면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간편하게 장착 및 분리 가능하도록 하고, 그 설치대에는 차단봉의 끼움판의 끼움방향으로 이물질 배출구를 형성하여 차단봉을 끼워 조립할 때 이물질이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하여 이동식 볼라드의 사용 및 관리가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chor fixing movable bollard which is used for blocking a vehicle passage and which can be freely separated only when necessary, and which can pass a vehicle. In a movable bollard having a detachable blocking bar on a mounting base fixed to the ground, The mounting base includes a bottom plate installed on the ground, a wall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ttom plate, an upper plat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wall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plate, And an opening groove formed in the upper plate so as to receive the shut-off bar, wherein the shut-off bar is slidably mounted on a lower end of the hook to block entry of the vehicle, By forming the fitting plate to be inserted into the groove, So that foreign matter can be automatically discharged when assembled by inserting a shut-off bar, so that the use and management of the mobile bollard can be facilitated It is.
Description
본 발명은 앙카고정 이동식 볼라드에 관한 것으로, 평상시에 설치된 상태에서 차량통행을 차단하는 용도로 사용하다가 필요한 경우에서만 임의로 분리하여 차량통행이 가능하도록 한 앙카고정 이동식 볼라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chor fixing mobile bollard,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nchor fixing mobile bollard which is used in a state where it is installed in a normal state and is used for shutting off vehicle traffic,
일반적으로 볼라드(bollard)는 인도 끝부분이나 공원입구, 운동장입구 등에 설치하여 차량통행을 차단하고 차량으로부터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차량 진입 금지봉을 말한다.Generally, a bollard is a vehicle entry bar that is installed at the end of India, at the entrance of a park, at the entrance of a playground, etc. to block the vehicle traffic and protect the pedestrian from the vehicle.
종래의 볼라드는 충격에 강한 금속이다 내리석을 기둥 형태로 깎아서 지면에 매립하고 지면위로 돌출되게 고정한 상태에서 이동 불가능한 설치식 볼라드가 주로 사용되었으나, 이러한 설치식 볼라드는 소방차량이나 구급차 등의 긴급차량도 통행이 제한되고, 불가피하게 공간을 활용해야 하는 경우에도 제한을 받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Conventional bollard is a metal that is resistant to impact. Although the bollard is installed in a state where it is buried in the ground and fixed on the ground so as to protrude above the ground, the installable bollard is mainly used. However,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traffic is restricted and inevitably space is utilized.
따라서 최근에는 상부가 개구된 설치대(일명 '바스켓')를 지면에 매립하고 볼라드의 본체를 구성하는 차단봉을 설치대에 끼워 설치한 상태에서 필요한 경우에만 차단봉을 설치대로부터 분리하여 차량이 통행할 수 있도록 한 이동식 볼라드가 제안되었다.Therefore, in recent years, a mounting bar (aka "basket") having an open top is embedded on the floor, and a shut-off bar constituting the main body of the bollard is fitted to the mounting base. A mobile bollard was proposed.
하지만, 이렇게 설치대가 매립된 상태에서 차단봉을 제거하면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매우 높다.However, it is very likely that a safety accident will occur if the installation block is buried and the shutoff bar is removed.
즉, 설치대가 지면에 매립된 상태에서 차단봉을 제거하면 구멍이 노출되므로 보행자의 발이나 신발이 걸려 빠질 염려가 있다.That is, when the mounting bar is buried in the ground, the hole is exposed when the shut-off bar is removed, so that the foot or shoes of the pedestrian may be caught and fall off.
특히, 이러한 설치대는 차량충돌시 충격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도록 견고한 금속으로 제작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 금속은 모서리가 날카롭기 때문에 발이 빠질경우 큰 부상을 입게 될 우려가 있다.In most cases, such a mounting base is often made of a rigid metal to prevent damage due to impact in the event of a vehicle collision. However, since the metal has a sharp edg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serious injury may occur when the foot is dropped.
또한, 볼라드는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서 차단봉의 직경이 작은 것에서부터 큰 것까지 매우 다양하게 이루어지는데, 직경이 클수록 더 쉽게 빠지게 된다.The diameter of the bollard varies from small to large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bollard. The larger the diameter, the more easily the bollard is removed.
또한, 설치대가 개방된 상태에서 차량 및 보행자가 통행을 하게 되면 설치대에 모래나 쓰레기 등의 이물질이 떨어져 담겨지게 되는데, 차단봉을 재설치하는 경우 장착에 곤란함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vehicle and the pedestrian pass through while the installation stand is opened, foreign matter such as sand or waste is contained in the installation stand. However, it is difficult to mount the obstacle when reinstalling the shutoff rod.
따라서 차단봉을 분리하여 보관하는 이동식 볼라드의 경우에는 대부분 설치대 상부에 뚜껑을 구비하여 차단봉을 분리한 후 뚜껑을 덮어서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Accordingly, in the case of a movable bollard which separates and stores the shut-off bar, a lid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mount to separate the shut-off bar and cover the lid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and prevent foreign matter from entering.
그런데 이렇게 별도의 뚜껑을 구비하는 방식은 제작단가가 상승하기 때문에 가격이 비쌀 뿐만 아니라, 제품이 관리자가 뚜껑을 따로 보관하기가 매우 번거롭고, 차단봉을 제거하는 작업도 번거롭다.However, sinc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separate lid is increased, the price is not only high but also it is very troublesome for the manager to store the lid separately, and the operation of removing the shutoff bar is troublesome.
즉, 설치대, 차단봉, 뚜껑을 별도로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제작비가 비례하여 증가하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이동식 볼라드가 설치된 상태에서 차량진입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볼라드를 분리하여 보관장소에 이동한 후, 다시 뚜껑을 덮어서 마무리를 해야 하고, 반대로 차단봉을 재설치하는 경우에는 뚜껑을 먼저 분리한 후 차단봉을 장착해야 하므로 사용이 매우 번거롭다.In other word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roduction cost is increased proportionally because the installation stand, the shut-off bar, and the lid have to be manufactured separately. In order to enable the vehicle to enter the vehicle with the movable bollard installed, the bollard is removed, , And when reinstalling the shut-off bar, it is very troublesome to use the shut-off bar after removing the lid first.
특히, 볼라드의 수량이 많아질수록 그 작업에 어려움이 있으며, 이렇게 분리되는 뚜껑은 도난이나 분실 우려가 있다.Especially, as the quantity of the bollard increases, the operation becomes difficult, and the lid thus separated may be stolen or los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식 볼라드가 앙카방식으로 지면에 설치되도록 하면서도 그 이동식 볼라드의 차단봉을 쉽게 분리하거나 재장착할 수 있도록 하고, 차단봉이 분리된 상태에서도 안전사고의 우려가 없는 이동식 볼라드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vable bollard which can be easily separated or reinstalled while allowing the movable bollard to be mounted on the ground in an anchor manne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또한, 외부 충격에 의한 변형을 최소화하여 안정성을 확보하고, 차단봉이 장착되는 장착부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고 유입된 이물질도 쉽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차단봉을 재장착함에 있어 번거로움이 없도록 함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deformation caused by the external impact is minimized, the stability is ensured, foreign substances are prevented from flowing into the mounting portion on which the shut-off bar is mounted, and the foreign matter can be easily discharged, There is another purpose of.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지면에 고정되는 설치대에 분리 가능하게 차단봉이 구비되는 이동식 볼라드에 있어서, 상기 설치대는 지면에 설치되는 바닥판과, 바닥판의 상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벽체와, 바닥판과 이격되게 상기 벽체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판과, 상기 바닥판과 상부판의 사이가 이격되어 차단봉을 삽입할 수 있게 구비되는 슬라이드홈 및 상기 상부판이 부분 절개되어 차단봉을 수용할 수 있게 형성되는 개구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차단봉은 차량진입을 차단하기 위한 봉체의 하단에 상기 설치대의 슬라이드홈에 삽입되는 끼움판을 형성하여 설치대가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차단봉을 측면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간편하게 장착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vable bollard having a removable shut-off bar on a mounting base fixed to the ground, the mounting base including a bottom plate installed on the ground, A top plate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wall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plate; a slide groove provided between the bottom plate and the top plate so as to be capable of inserting a shut-off bar; Wherein the stopper bar is formed with a fitting plate to be inserted into the slide groove of the mounting base at the lower end of the rod for blocking entry of the vehicle, So that it can be easily mounted and separated in a slide manner.
또한, 상기 설치대에는 차단봉의 끼움판의 끼움방향으로 이물질 배출구를 형성하여 차단봉을 끼워 조립할 때 이물질이 배출되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a foreign matter discharge port is formed in the mounting base in the fitting direction of the fitting plate of the shutoff bar, so that the foreign matter is discharged when the shutoff bar is assembled.
본 발명의 앙카고정 이동식 볼라드에 의하면, 차단봉이 분리 가능하게 이동식으로 구비됨에도 불구하고 볼라드를 지면에 설치할 때 땅을 팔 필요가 없이 설치대가 앙카방식으로 지면에 고정되기 때문에 설치가 매우 간편하고, 설치시간을 현저히 단축할 수 있으므로 적은 인력으로도 단시간에 많은 양의 볼라드를 설치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anchor fixing movable bollard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ounting base is fixed to the ground in an anchor manner without the need to move the ground when the bollard is installed on the ground, Since the time can be shortened considerably, a large amount of bollard can be installed in a short period of time with less manpower.
또한, 차량통행이 가능하도록 이동식 볼라드의 차단봉을 분리하는 경우에도 별도의 뚜껑이 필요치 않으므로 제작비용을 절감하고 저렴한 비용으로 제품을 공급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이며, 차단봉을 분리한 상태에서도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전혀 없다.In addition, even when the movable bollard is separated from the bollard so that the vehicle can pass, a separate lid is not necessary. Therefore,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and the product can be supplied at low cost, which is very economical. There is no.
또한, 이동식 볼라드의 차단봉이 설치대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간편하게 체결되는 구조이므로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다.In addition, since the movable bollard bar is fastened to the mounting base in a sliding manner, it is easy to install and detach.
또한, 외부충격에 의하여 볼라드가 찌그러지거나 파손되는 등 외관이 손상되는 경우에 설치대를 제거하고 간편하게 볼라드를 교체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가 용이하다.In addition, when the bollard is damaged or damaged due to an external impact, the bollard can be easily replaced and the maintenance is easy.
또한, 차단봉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위가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차량통행 등의 수직하중에 대한 내구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며, 해당 조립부분에 일정한 크기 이상의 이물질이 유입될 우려가 전혀 없고, 해당 조립부분에 미세한 이물질이 유입되더라도 차단봉을 슬라이드로 끼워 조립하는 과정에서 자동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이물질을 제거할 필요가 없이 간편하게 재설치가 가능하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ensure the durability against vertical load such as vehicle passing, despite the structure in which the mounting portion for mounting the shut-off bar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re is no fear that a foreign substance exceeding a predetermined size flows into the assembling portion, Even if minute foreign matter flows into the assembly part, it can be easily reinstalled because it is discharged automatically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shut-off bar with the slide.
도 1은 본 발명의 앙카고정 이동식 볼라드 구조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대와 차단봉의 장착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설치대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차단봉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3의 설치대의 이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설치대와 차단봉의 장착구조를 나타낸 평면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nchor fixing movable bollard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unting structure of a mounting base and a shut-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mounting table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shut-
Fig. 5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installation stand of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a mounting structure of a mounting base and a shut-
이하 본 발명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면에 고정되는 설치대(100)에 분리 가능하게 차단봉(200)이 구비되는 이동식 볼라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설치대(100)는 지면에 설치되는 바닥판(110)의 상측에 벽체(120)와 상부판(130)에 의하여 차단봉을 끼울 수 있도록 슬라이드홈(140)과 개구홈(150)이 형성되고, 상기 차단봉(200)은 그 슬라이드홈(140)과 개구홈(150)에 삽입되도록 봉체(210)의 하단에 끼움판(240)이 형성될 수 있다.1 and 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vable bollard having a removable shut-off
따라서 설치대(100)가 지면에 설치된 상태에서 차단봉(200)을 측면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끼워 조립하거나 분리할 수 있으므로 간편하게 장착 및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된다.Therefore, the
이때, 상기 차단봉(200)에는 차단봉을 설치대에 끼워 조립하거나 설치대로부터 분리할 때 이동을 위한 손잡이(220)가 상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그 손잡이(220)는 상부로 돌출되게 인출되거나 삽입가능한 구조의 '∩'형 손잡이가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그리고 봉체(210)의 표면에는 반사띠 등을 붙여서 야간에도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표시부(230)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는 반사띠를 1단 또는 다단으로 구성할 수 있다.Further, the
상기 설치대(100)의 구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밀착하여 설치하기 위하여 판상 구조로 이루어지는 바닥판(110)이 구비되며, 이 바닥판(110)에는 복수의 설치구멍(111)이 형성되어 볼트나 앙카 등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지면에 고정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a
상기 바닥판(110)의 상부에는 상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되게 벽체(120)가 형성되며, 벽체(120)의 상부에는 상부판(130)이 장착되어 바닥판(110)과 상부판(130)이 이격되면서 그 사이에 차단봉(200)의 끼움판(24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슬라이드홈(140)이 구비된다.A
여기서 상기 벽체(120)는 끼움판(240)이 삽입되는 방향을 제외한 끼움판의 둘레를 따라 위치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끼움판(240)을 사각형상에 가깝게 형성하여 끼움판이 일방향으로만 삽입되도록 하고, 벽체(120)는 끼움판이 삽입되는 방향을 제외한 나머지 둘레를 따라서 'ㄷ'자 형상으로 벽체(120)가 막히도록 구비할 수 있으며, 이렇게 막힌 상태의 벽체 중 일부를 개구하여 후술하는 이물질 배출구(170)가 구비될 수 있다.The
벽체(120)의 높이는 끼움판(240)이 삽입되거나 인출될 때 걸림되지 않도록 끼움판의 두께보다 미세하게 높이를 높게 형성하여 끼움판이 수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height of the
상기 벽체(120)와 슬라이드홈(140)의 상부를 차단하는 상부판(130)은 차단봉의 끼움판(240)이 슬라이드홈(140)에 삽입된 상태에서 측면으로 기울어지거나 유동되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으로, 차단봉(200)의 봉체(2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개구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The
이 개구부(150)는 봉체(210)의 둘레 형상과 대응되게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가장 바람직하게는 봉체를 원기둥의 형태로 형성하고 그 개구부(150)의 내주면이 반원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봉체(210)가 개구부(150)에 끼워진 상태에서 완전히 밀착되어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The opening 150 is preferably formed to correspond to the circumferential shape of the
한편, 상기 설치대(100)와 차단봉(200)은 자물쇠(300)로 고정하여 차단봉(200)이 임의로 분리되거나 분실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The
이를 위하여 상기 설치대(100)와 차단봉(200)에는 자물쇠(300)를 채워 고정할 수 있도록 서로 대응되게 체결요소(160,260)가 구비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이때, 상기 체결요소는 설치대에 절첩판(162)이 형성되고 차단봉에는 체결고리(262)가 대응되게 형성되어 절첩판(162)을 체결고리(262)에 걸어서 자물쇠(300)를 채울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astening element is formed with a
그리고 상기 절첩판(162)의 절첩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상기 차단봉(200)이 설치대(100)에 조립된 상태에서 봉체가 측면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수직으로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끼움판이 바닥판에 밀착되는 면적이 넓게 확보되어야 하는데, 끼움판(240)의 면적을 최대한 넓게 형성하면서 그 절첩판의 절첩 작동 범위 내에 끼움판(240)에는 절개부(242)를 형성하여 절첩판의 절첩작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order to enable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치대(100)의 바닥판(110)에도 절개부(112)를 형성하여 절첩판을 바닥판에 장착한 상태에서 그 연결부위가 바닥판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으면서도 절첩 가능하게 구비함으로써 끼움판(240)을 슬라이드홈(140)에 끼우거나 끼움판을 슬라이드홈으로부터 분리할 때 끼움판이 걸리는 부분이 없이 원활하게 수평을 끼워 조립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cut-out
또한, 상기 차단봉(200)의 끼움판(240)에는 설치대(100)의 슬라이드홈(140)에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고 바닥판과의 밀착면적을 확보하기 위한 광폭면(244)이 형성될 수 있다.A
상기 광폭면(244)에는 걸림부(246)가 형성되어 끼움판(240)이 슬라이드홈(140)에 삽입될 때 걸림부(246)가 바닥판의 벽체에 걸려 끼움판이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게 되며, 그 걸림부(246)가 벽체(120)의 단부와 밀착된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끼움판과 슬라이드홈이 온전히 끼워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육안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The
또한, 상기 설치대(100)는 차단봉(200)의 끼움판(24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벽체(120)가 일부 개구되어 이루어지는 이물질 배출구(170)가 형성될 수 있다.The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드홈(140)의 상,하 이격된 폭이 비교적 좁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돌이나 쓰레기 등이 유입될 우려가 전혀 없지만, 차단봉(200)이 분리된 상태에서 장시간 방지되면 흙이나 모래가 유입될 우려가 있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설치대(100)에 이물질 배출구(170)를 끼움판(240)이 끼워 조립되는 방향으로 개구되게 형성함으로써 끼움판(240)을 슬라이드홈(140)에 삽입할 때 슬라이드홈(140)에 유입된 이물질을 밀어서 이물질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width of the
따라서 차단봉(200)을 분리한 상태에서 재조립할 경우에도 해당 조립부위를 별도로 청소하거나 점검할 필요가 없이 차단봉의 끼움판을 삽입하는 것만으로도 간편하게 조립이 완료된다.Therefore, even when the shut-off
그리고 상기 이물질 배출구(170)에는 수직하중에 대하여 보강이 이루어지도록 바닥판(100)과 상부판(130)의 이격된 상태를 지지하기 위한 컬럼(178)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차단봉(200)의 끼움판(240)에는 상기 컬럼(178)에 맞물려 끼워질 수 있도록 안착홈(248)이 형성될 수 있다.The
상기 컬럼(178)은 이물질 배출구(170)의 중앙에 장착하여 차량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차단봉을 장착하기 위한 장착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더라도 쉽게 배출되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상기 컬럼과 안착홈에는 서로 맞닿는 면의 양측으로 경사지거나 만곡된 형상의 대응면을 형성하여 컬럼과 안착홈 사이에도 이물질이 끼지 않고 끼움판(240)을 삽입할 때 이물질 배출구(170)를 통하여 이물질이 자연 배출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100: 설치대
110: 바닥판 120: 벽체
130: 상부판 140: 슬라이드홈
150: 개구홈 160: 체결요소
170: 이물질 배출구
200: 차단봉
210: 봉체 220: 손잡이
230: 표시부 240: 끼움판
260: 체결요소
300: 자물쇠100: Mounting table
110: bottom plate 120: wall
130: top plate 140: slide groove
150: opening groove 160: fastening element
170:
200: Barrier
210: Loop 220: Handle
230: display portion 240:
260: fastening element
300: Locks
Claims (5)
상기 차단봉(200)의 끼움판(240)에는 설치대(100)의 슬라이드홈(140)에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고 바닥판과의 밀착면적을 확보하기 위한 광폭면(244)이 형성되고,
상기 광폭면(244)에는 걸림부(246)가 형성되어 끼움판(240)이 슬라이드홈(140)에 삽입될 때 걸림부(246)가 바닥판의 벽체에 걸려 끼움판이 삽입되는 깊이를 제한하게 되면서 상기 걸림부(246)가 벽체(120)의 단부와 밀착된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끼움판과 슬라이드홈이 온전히 끼워 결합되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설치대(100)와 차단봉(200)에는 자물쇠(300)로 고정가능하게 서로 대응되게 구비되는 체결요소(160,260)는 설치대에 절첩판(162)이 형성되고 차단봉에는 체결고리(262)가 대응되게 형성되어 절첩판(162)을 체결고리(262)에 걸어서 자물쇠(300)를 채울 수 있도록 구비되며,
상기 절첩판(162)의 절첩 작동이 가능하도록 하면서도 상기 차단봉(200)이 설치대(100)에 조립된 상태에서 봉체가 측면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수직으로 직립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끼움판이 바닥판에 밀착되는 면적이 넓게 확보되게 끼움판(240)의 면적을 최대한 넓게 형성하면서 그 절첩판의 절첩 작동 범위 내에 끼움판(240)에는 절개부(242)를 형성하여 절첩판의 절첩작동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설치대(100)의 바닥판(110)에도 절개부(112)를 형성하여 절첩판을 바닥판에 장착한 상태에서 그 연결부위가 바닥판의 상부로 돌출되지 않으면서도 절첩 가능하게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앙카고정 이동식 볼라드.
The movable bollard having a detachable shut-off bar 200 on a mounting base 100 fixed to the floo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base 100 includes a bottom plate 110 installed on the ground and a wall 120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ttom plate An upper plate 130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wall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plate, a slide groove 140 provided between the bottom plate and the upper plate so as to be able to insert a shut-off bar, The fitting plate 240 is inserted into the slide groove of the mounting base at the lower end of the shut-off bar 200 in the opening groove 150 formed so as to be able to receive the cut-off bar,
The fitting plate 240 of the shut-off bar 200 is formed with a wide surface 244 for limiting the depth of insertion into the slide groove 140 of the mounting table 100 and ensuring a close contact area with the bottom plate,
The wider portion 244 is formed on the wide surface 244 so that when the fitting plate 240 is inserted into the slide groove 140, the engaging portion 246 is caught by the wall of the bottom plate, It is possible to visually confirm whether or not the fitting plate and the slide groove are completely engaged with each other by visually confirming the state in which the engaging portion 246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end portion of the wall body 120,
The clamping members 160 and 260 are fixed to the mounting base 100 and the blocking bar 200 so as to be fixed to each other by a lock 300. The clamping plate 162 is formed on the mounting base, So that the folding plate 162 can be hooked on the fastening ring 262 to fill the lock 300,
In order to allow the folding operation of the folding plate 162 to be performed, while maintaining the state that the bar is stably vertically upright without being inclined to the side while the barb 200 is assembled to the mounting platform 100, The cut-out portion 242 is formed in the fitting plate 240 within the folding operation range of the folding plate so that the area of the fitting plate 240 is maximized so that the area of the fitting plate 240 closely contacting the folding plate 240 is wide. and,
The incision part 112 is formed on the bottom plate 110 of the mounting table 100 so that the connection part can be folded without being protruded to the upper part of the bottom plate in a state where the folding plate is mounted on the bottom plate Anchor fixing movable bollard.
상기 설치대(100)는 차단봉(200)의 끼움판(24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벽체(120)가 일부 개구되어 이물질 배출구(170)가 형성되어 끼움판(240)이 슬라이드홈(140)에 삽입될 때 이물질을 밀어 외부로 배출할 수 있게 되면서
상기 설치대(100)는 수직하중에 대하여 보강이 이루어지도록 이물질 배출구(170)에 바닥판(100)과 상부판(130)의 이격된 상태를 지지하기 위한 컬럼(178)이 장착되고,
상기 차단봉(200)의 끼움판(240)에는 상기 컬럼(178)에 맞물려 끼워질 수 있도록 안착홈(24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앙카고정 이동식 볼라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ounting base 100 is formed such that the wall 120 is partially open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tting plate 240 of the blocking rod 200 is inserted so that the foreign substance discharging port 170 is formed and the fitting plate 240 is inserted into the slide groove 140 It is possible to push the foreign object out to the outside
The mounting table 100 is equipped with a column 178 for supporting the separated state of the bottom plate 100 and the top plate 130 in the foreign matter outlet 170 so as to be reinforced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load,
Wherein a seating groove (248) is formed in the fitting plate (240) of the shut-off bar (200) so as to be engaged with the column (178).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62881A KR101701388B1 (en) | 2015-11-19 | 2015-11-19 | bollar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62881A KR101701388B1 (en) | 2015-11-19 | 2015-11-19 | bollard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701388B1 true KR101701388B1 (en) | 2017-02-13 |
Family
ID=5815594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162881A Active KR101701388B1 (en) | 2015-11-19 | 2015-11-19 | bollard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701388B1 (en)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917836B1 (en) * | 2018-03-23 | 2018-11-13 | 주식회사 해광 | Fixed anchor fixing movable bollard to improve productivity and to prevent deformation due to impact by simplified parts |
| KR101997230B1 (en) | 2018-12-05 | 2019-10-01 | 김미덕 | Pivotable bollard |
| KR20190134023A (en) | 2018-05-24 | 2019-12-04 | 주식회사 지은디자인산업 | Bollard for preventing vehicle entry |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970050393A (en) * | 1995-12-30 | 1997-07-29 | 배순훈 | Sliding assembly structure of assembly jig for optical pickup actuator |
| KR200399102Y1 (en) * | 2005-07-29 | 2005-10-20 | (주) 경화엔지니어링 | Structure for bollard in road |
| KR200434710Y1 (en) * | 2006-09-29 | 2006-12-28 | 박경아 | Lane Regulation |
| KR101251850B1 (en) * | 2011-12-16 | 2013-04-10 | 한국도로공사 | Road mark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20150003982U (en) | 2014-04-22 | 2015-10-30 | 박영철 | Detachable type bollard |
-
2015
- 2015-11-19 KR KR1020150162881A patent/KR10170138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970050393A (en) * | 1995-12-30 | 1997-07-29 | 배순훈 | Sliding assembly structure of assembly jig for optical pickup actuator |
| KR200399102Y1 (en) * | 2005-07-29 | 2005-10-20 | (주) 경화엔지니어링 | Structure for bollard in road |
| KR200434710Y1 (en) * | 2006-09-29 | 2006-12-28 | 박경아 | Lane Regulation |
| KR101251850B1 (en) * | 2011-12-16 | 2013-04-10 | 한국도로공사 | Road mark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20150003982U (en) | 2014-04-22 | 2015-10-30 | 박영철 | Detachable type bollard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917836B1 (en) * | 2018-03-23 | 2018-11-13 | 주식회사 해광 | Fixed anchor fixing movable bollard to improve productivity and to prevent deformation due to impact by simplified parts |
| KR20190134023A (en) | 2018-05-24 | 2019-12-04 | 주식회사 지은디자인산업 | Bollard for preventing vehicle entry |
| KR101997230B1 (en) | 2018-12-05 | 2019-10-01 | 김미덕 | Pivotable bollard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701388B1 (en) | bollard | |
| KR101339457B1 (en) | A detachable traffic lane guidance post | |
| EP3574148B1 (en) | Concrete access-denial block | |
| KR102102118B1 (en) | Separate type lane separator | |
| KR101353515B1 (en) | Manhole frame having fall prevention | |
| KR20120040042A (en) | Fenc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fence | |
| KR20080038555A (en) | Bolt-Lock Water Supply, Sewerage, Electricity, Communication Manhole Cover | |
| US11078638B2 (en) | Twist and lock removable bollard | |
| FR3029220A1 (en) | MODULAR METAL RETENTION DEVICE FOR ROADWAYS, MODULE AND METHOD OF INSTALLATION | |
| KR102163410B1 (en) | Column installation structure for road safety facilities | |
| KR20130015595A (en) | Safety cone | |
| KR101062085B1 (en) | Retractable Bollard | |
| JP2008069558A (en) | Storable bumping post fence | |
| GB2482558A (en) | Mounting assembly for a safety or guard barrier rail | |
| KR100955790B1 (en) | A guard fenc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 |
| JP4649396B2 (en) | Car stop | |
| KR101062369B1 (en) | Road fence | |
| KR101074226B1 (en) | Bollard | |
| JP2021055327A (en) | Bumper post | |
| KR100945261B1 (en) | Detachable bollard | |
| KR200448566Y1 (en) | Ground-type outdoor fire hydrant fixture | |
| KR101162863B1 (en) | Bollard | |
| WO2016189310A1 (en) | Slot drain | |
| KR101111029B1 (en) | The Disassembly and Assembly type Median strip | |
| EP1396583B1 (en) | Barrier pos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1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11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11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121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1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2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118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1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1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2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