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7595B1 - Method for distributing fresh product with IOT base and Big Data Algorithm Analysis - Google Patents
Method for distributing fresh product with IOT base and Big Data Algorithm Analysi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17595B1 KR101717595B1 KR1020150130238A KR20150130238A KR101717595B1 KR 101717595 B1 KR101717595 B1 KR 101717595B1 KR 1020150130238 A KR1020150130238 A KR 1020150130238A KR 20150130238 A KR20150130238 A KR 20150130238A KR 101717595 B1 KR101717595 B1 KR 1017175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ta
- temperature
- wireless sensor
- management host
- ta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 G06F17/30318—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선 상품의 유통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방법은 분리형 센서(3)를 무선 센서태그(7)에 결합하여 식품용기에 장착하는 제 1단계(S100)와; 분리형 센서(3)의 단자가 무선 센서태그(7)의 포트에 결합되었을 때 온신호를 관리 호스트에 전송하는 제 2단계(S110)와; 분리형 센서(3)가 포장용기(2) 내의 온도, 습도를 측정하고 현 위치 데이터를 무선 센서태그(7)에 저장하는 제 3단계(S120)와; 무선 센서태그(7)가 측정된 데이터를 리더기(8)로 송신하는 제 4단계(S130)와; 리더기(8)는 데이터를 통신유닛(10)을 통하여 관리 호스트(6)로 전송하는 제 5단계(S140)와; 소비자(C)에게 상품의 온도 데이터를 제시하는 제 6단계(S150)와; 그리고 측정된 온도 데이터를 빅 데이터의 분석알고리즘에 의하여 분석하여 상품별 적정 온도를 산출하는 제 7단계(S160)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irculating a fresh product. Such a method includes a first step (S100) of attaching the detachable sensor (3) to a wireless sensor tag (7) and mounting the detachable sensor (3) to a food container; A second step S110 of transmitting an ON signal to the management host when the terminal of the removable sensor 3 is coupled to the port of the wireless sensor tag 7; A third step (S120) of measur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packaging container (2) and storing the current position data in the wireless sensor tag (7); A fourth step S130 of the wireless sensor tag 7 transmitting the measured data to the reader 8; The reader 8 transmits the data to the management host 6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0 in a fifth step S140; A sixth step (S150) of presenting the temperature data of the goods to the consumer (C); And a seventh step (S160) of analyzing the measured temperature data by an analysis algorithm of the big data and calculating an appropriate temperature for each produ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신선 상품유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선 상품 운송시 온도 등의 제반 환경조건들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으로써 신선 상품의 현 상태를 명확히 파악할 수 있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circulating fresh products, and more particularly, to a technique of clearly grasping a current state of a fresh product by monitoring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such as a temperature during a fresh product transportation in real time.
일반적으로 식품유통과정은 생산자가 식품을 생산하면, 유통자를 통하여 유통된 후 소비자가 필요한 식품을 구매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Generally, the food distribution process consists of a process in which a producer produces food, a consumer distributes the food through a distributor, and then a consumer purchases necessary food.
이러한 식품유통과정에 있어서, 유통되는 식품은 신선하고 안정하게 배송되어야 하는 바, 가공 및 천연 식품의 경우, 소비자가 주문한 물품은 약 15%~25%의 주문량이 반송되어 폐기처분 되고, 폐기 처분되는 비용도 국가 전체적으로 내수 및 수출의 물량을 합하면 한해 많은 예산이 낭비 되고 있다.(한국소비자원 : 가공식품의 폐기물 5% 절감시 연간 2조2천억 예산 절감)In the food distribution process, the foodstuffs to be distributed must be delivered fresh and stable. In the case of processed and natural foodstuffs, orders ordered by the consumer are returned by about 15% to 25% of the order quantity, The cost is also wasted as much as the sum of domestic and export quantities in the whole country (Korea Consumer Agency: saving 2,200 billion won a year in 5% reduction of processed food waste).
아울러 소비자가 주문한 식품의 신선도가 유지되지 못해"생산자~유통/배송자~소비자"간 분쟁이 끊이지 않고 있으며, 식품 폐기물처리의 환경오염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 낭비, 국가 식량경제 안보 등을 고려할 때 신선 식품 유통관리체계의 개선이 필요하다.In addition, since the consumer can not maintain the freshness of the ordered food, the dispute between the producers, the distributors and the consumers has not ceased. In consideration of the waste of social expenses due to the environmental pollution of food waste disposal and the national food economy, Improvement of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is needed.
이러한 식품 유통과정은 여러 단계를 거치게 되므로 유통시간이 길어지고 이 과정에서 식품의 특성상 온도 등의 요인으로 인하여 변질될 수 있다. 따라서, 식품을 신선한 상태로 유통시키고자 하는 기술들이 시도되고 있다.Since the distribution process of food takes several steps, the distribution time is prolonged, and in this process, due to the nature of the food, it may be altered by factors such as temperature. Accordingly, techniques for distributing food in a fresh state are being attempted.
이러한 기술들은 다양한 형태가 시도되고 있는 바, 그 일 예가 특허출원 10-2013-54125호(명칭:컨테이너 내부의 개별 화물 모니터링 방법)에 제시된다.These techniques are being tried in various forms, an example of which is shown in Patent Application No. 10-2013-54125 (titled: Individual Cargo Monitoring Method in a Container).
이 선행기술은 컨테이너에 장착되는 중계장치를 이용하여 적재되는 개별 화물에 대한 태그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고, 관리장치에서 컨테이너가 목적지에 도달할 때까지 컨테이너에 적재되는 개별화물의 보안 및 위치 추적을 관리할 수 있다. 이때, 컨테이너에서 보고되는 정보는 고유 어드레드와, 온도, 습도 등이다.This prior art can be provided with tag information for the individual cargo loaded using the relay device mounted on the container and can be used for security and position tracking of the individual cargo loaded in the container until the container reaches the destination Can be managed. At this time, the information reported in the container is the unique adherence, temperature, and humidity.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선행기술은 컨테이너에 온도센서와 무선 센서태그와 같은 무선태그를 장착하여 해당 정보를 전송하는 방식인 바, 이러한 센서는 컨테이너에 장착됨으로써 컨테이너 내부 전체 공간에 대한 온도 정보를 전송하는 기술이므로, 컨테이너에 적재된 각각의 화물에 대한 개별적인 온도 정보를 파악하는 것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the relat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by attaching a wireless tag such as a temperature sensor and a wireless sensor tag to the container. Such a sensor is mounted on the container to transmit temperature information about the entire space inside the container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individual temperature information for each cargo loaded in the container.
특히, 컨테이너에 적재되는 각 화물은 식품, 공산품 등 다양한 종류이고, 식품에 있어서도 어류, 채소류, 과일류 등 각 종별로 신선도를 위하여 요구되는 온도 기준이 다르다.In particular, each cargo loaded in a container is various kinds such as foods and industrial products, and the temperature standards required for freshness are different for each type of food such as fish, vegetables, and fruits.
따라서, 상기 선행기술과 같이 컨테니어 내부 공간 전체의 온도정보를 감지하여 전송하는 경우, 컨테이너 전체의 내부 온도를 모니터링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각 화물별로 온도를 파악하는 것은 어려워서, 운송 후 식품이 변질 되었을 경우 책임 소재를 파악하는 것에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monitor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whole container when sensing temperature information of the entire inner space of the container as in the prior art, but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temperature of each container, There is a problem in grasping the responsible place.
즉, 컨테이너 내부의 온도는 약 20도로서 과일류 등에는 적합한 온도이지만, 생선류에는 이 온도가 적합하지 않을 수도 있는 경우, 운송업자는 20도의 온도 상태를 유지하였음으로 책임이 없다 주장하고, 소비자는 반대의 주장을 하여 책임을 물을 수 있다.In other words, if the temperature inside the container is about 20 degrees and the temperature is suitable for fruits and so on, but the temperature may not be suitable for the fish, the carrier claims that it is not responsible for maintaining the temperature of 20 degrees. You can ask for responsibility by claiming.
또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각 화물의 포장 케이스에 온도센서와 무선태그를 일체로 하여 각각 장착하는 경우에는 센서 및 태그를 회수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Further,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ollect the sensor and the tag when 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wireless tag are integrally mounted on the package case of each cargo.
즉, 회수가 어려운 이유는 온도센서 및 태그가 포장 용기의 내부에 배치되는 바, 일단, 내부에 배치되면 소비자가 포장용기를 개봉해서 센서와 태그를 회수해 주기 전에는 배송자가 임의로 포장 용기를 개봉하기 어렵기 때문이다.That is, the reason for the difficulty in recovering is that 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tag are disposed inside the packaging container. Once the container is opened and the consumer opens the packaging container and collects the sensor and the tag, It is difficult.
대부분 소비자가 부재시에는 경비실 또는 보관함에 전달하고 배송자는 임의로 포장 용기를 훼손할 수 없기 때문이다.Most of the time, when the consumer is absent, it is delivered to the security room or storage box, and the sender can not arbitrarily damage the packaging container.
이와 같이, 화물의 포장용기는 운송 후 다시 회수하기 어려우므로 포장용기에 장착된 센서와 태그는 그대로 폐기되는 경우가 많은 바, 이 경우 센서와 태그의 제조단가로 인하여 물류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In this case, since the packaging container of the cargo is difficult to be recovered again after the transportation, the sensor and the tag attached to the packaging container are often discarded as they are. In this case,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sensor and the tag increases the logistics cost .
또한, 식품 유통 과정에서 소비자들이 받은 상품에 대해 만족/불만족에 대하여 SNS를 통해 명확한 근거없이 유포되는 정보로 인해 생산자, 유통 배송자가 그 피해를 입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producers and distribution distributors are damaged due to information disseminated without clear reason through the SNS regarding satisfaction / dissatisfaction with the products received by the consumers in the food distribution proces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온도센서와 태그를 분리형으로 개선하여 포장용기의 내측에는 온도센서를 배치하고 외측에는 태그를 장착함으로써, 배송자가 소비자에 화물을 인도할 때 외측의 태그만 회수하고 내측의 온도센서는 폐기함으로써 태그의 회수율을 높혀서 물류비용을 줄일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tag in a detachable manner so that a temperature sensor is disposed inside the packaging container, When the cargo is delivered to the cargo container, only the outer tag is collected and the inner temperature sensor is discarded, thereby increasing the collection rate of the tag, thereby reducing the logistics cost.
그리고, 소비자들의 불만사항에 대한 SNS 정보를 빅 데이터 알고리즘분석기법을 개발, 적용하여 생산자/유통자(배송자)의 식품 폐기물로 인한 국가적 식품 안전 비용을 절감함으로써 국가 예산의 낭비를 방지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SNS information on consumers' complaints is developed and applied to the Big Data algorithm analysis technique to prevent the waste of the national budget by reducing the national food safety cost caused by the food waste of the producer / distributor .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신선 상품 유통방법을 제공하는 바,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of distributing a fresh product,
본 방법은 분리형 센서(3)를 무선 센서태그(7)에 결합하여 식품용기에 장착하는 제 1단계(S100)와; The method includes a first step (S100) of attaching the detachable sensor (3) to a wireless sensor tag (7) and mounting the detachable sensor (3) to a food container;
분리형 센서(3)의 단자가 무선 센서태그(7)의 포트에 결합되었을 때 온신호를 관리 호스트에 전송하는 제 2단계(S110)와; A second step S110 of transmitting an ON signal to the management host when the terminal of the
분리형 센서(3)가 포장용기(2) 내의 온도, 습도를 측정하고 현 위치 데이터를 무선 센서태그(7)에 저장하는 제 3단계(S120)와;A third step (S120) of measur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packaging container (2) and storing the current position data in the wireless sensor tag (7);
무선 센서태그(7)가 측정된 데이터를 리더기(8)로 송신하는 제 4단계(S130)와; A fourth step S130 of the
리더기(8)는 데이터를 통신유닛(10)을 통하여 관리 호스트(6)로 전송하는 제 5단계(S140)와; The
소비자(C)에게 상품의 온도 데이터를 제시하는 제 6단계(S150)와; 그리고A sixth step (S150) of presenting the temperature data of the goods to the consumer (C); And
측정된 온도 데이터를 빅 데이터의 분석알고리즘에 의하여 분석하여 상품별 적정 온도를 산출하는 제 7단계(S160)를 포함한다.And a seventh step (S160) of analyzing the measured temperature data by an analysis algorithm of the big data and calculating an appropriate temperature for each produ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선 상품의 유통 방법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The method for circulating a fresh pro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advantages.
첫째, 온도센서와 무선 센서태그를 분리형 구조로 개선함으로써 온도센서는 식품의 포장용기 내측에 배치하고, 무선 센서태그는 외측에 배치할 수 있어서, 배송시 온도센서는 포장용기에 남겨두고 무선 센서태그만을 회수할 수 있음으로 소비자의 부재시에도 무선 센서태그를 회수할 수 있어서 물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First, by improving the temperature sensor and the wireless sensor tag into a separate structure, the temperature sensor can be disposed inside the packaging container of the food, and the wireless sensor tag can be disposed outside, so that the temperature sensor at the time of delivery leaves the wireless sensor tag It is possible to recover the wireless sensor tag even in the absence of the consumer, thereby reducing the logistics cost.
둘째, 온도센서의 단자에 형성된 복수의 핀중 하나의 핀과, 무선 센서태그의 포트에 형성된 복수의 핀홈중 하나의 핀홈이 서로 결합될 때, 온(On)신호가 발생되어 관리 호스트로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관리 호스트에서는 식품의 배송이 시작된 시점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모니터링을 실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Second, an ON signal is generated and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host when one pin among a plurality of pins formed at the terminal of the temperature sensor and one pin groove of the plurality of pin grooves formed at the port of the wireless sensor tag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management host has the advantage of accurately monitoring the start of delivery of the food and monitoring it.
셋째, 식품 유통에 관한 IoT 요소기술과 Big Data 알고리즘분석기법을 통해 소비자의 성향/동향을 분석하여 소비자의 성향과 감성지수 등을 파악하고, 그 결과를 생산자에게 전송함으로써 선진 과학화된 식품 유통관리 체계를 도출할 수 있으며, 이 정보를 통해 생산자/유통자는 식품의 가공 유통,배송 등의 체계를 생산라인 및 유통/배송 라인에 반영함으로써 소비자들의 불만사항을 개선할 수 있다.Third, IOT element technology and Big Data algorithm analysis method of food distribution analyze consumers' tendency / trends to understand consumer tendency and emotion index, and send the result to producers, so that advanced scientific food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And this information enables the producer / distributor to improve the complaints of consumers by reflecting the system of processing, distribution and delivery of food to the production line and distribution / delivery line.
넷째, 실시간 식품의 온도 등 품질에 관한 정보와 배송/운송 차량의 운행 정보 등 식품 유통의 전 과정을 모니터링, 신선 식품 체계 유지관리와 소비자에게 식품유통 과정의 온습도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안전한 먹거리 문화를 구현하고, 식품 폐기물로 인한 국가 예산 낭비를 방지하여 경제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Fourth, it monitors the whole process of food distribution including information about temperature and quality of real-time food, operation information of delivery / transportation vehicles, maintains fresh food system, and conveys information on temperature and humidity of food distribution process to consumers. And can contribute to economic development by preventing waste of national budget caused by food wast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선 상품의 유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분리형 센서 및 무선 센서태그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무선 센서태그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리더기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신선 상품의 유통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 7단계를 구성하는 제 8 내지 제 10단계를 보여주는 순서도이다.1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distribution system of a fresh produc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relationship between the detachable sensor and the wireless sensor tag shown in FIG. 1. FIG.
FIG. 3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wireless sensor tag shown in FIG. 1. Referring to FIG.
FIG.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reader shown in FIG. 1. FIG.
FIG.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distributing a fresh produc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선 상품 유통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fresh product distribu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은 상품의 온도, 습도 등을 실시간으로 파악함으로써 상품을 신선한 상태로 운송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대상 상품은 식품 뿐만 아니라 온도관리가 필요한 화장품, 백신, 냉장육 및 유가공품도 포함하는 바, 이하 식품에 의하여 설명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and a method for transporting a product in a fresh state by grasping the temperature, humidity, etc. of the product in real time, and the object product includes not only food but also cosmetics, vaccines, , Hereinafter referred to as food.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상품 유통방법은 분리형 센서(3)를 무선 센서태그(7)에 결합하여 식품용기에 장착하는 제 1단계(S100)와; 분리형 센서(3)의 단자가 무선 센서태그(7)의 포트에 결합되었을 때 온신호를 관리 호스트에 전송하는 제 2단계(S110)와; 분리형 센서(3)가 포장용기(2) 내의 온도, 습도를 측정하고 현 위치 데이터를 무선 센서태그(7)에 저장하는 제 3단계(S120)와; 무선 센서태그(7)가 측정된 데이터를 리더기(8)로 송신하는 제 4단계(S130)와; 리더기(8)는 데이터를 통신유닛(10)을 통하여 관리 호스트(6)로 전송하는 제 5단계(S140)와; 소비자(C)에게 상품의 온도 데이터를 제시하는 제 6단계(S150)와; 그리고 측정된 온도 데이터를 빅 데이터의 분석알고리즘에 의하여 분석하여 상품별 적정 온도를 산출하는 제 7단계(S16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to 5, a method of distributing a product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S100 of attaching a
이러한 신선상품 유통방법은 상품유통 시스템에 의하여 진행되는 바, 아래와 같이 상세하게 설명한다.Such a fresh product distribution method is performed by a product distribution system, an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즉, 신선 상품유통 시스템은 차량(1)의 컨테이너에 적재된 식품 포장용기(2)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값을 출력하는 분리형 센서(3)와; 분리형 센서(3)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며, 분리형 센서(3)로부터 입력된 측정데이터가 저장되고 출력되는 무선 센서태그(7)와; 무선 센서태그(7)의 정보를 판독하고 결과를 출력하는 리더기(Reader;8)와; 무선 센서태그(7)의 정보를 판독하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하는 통신유닛(10)과; 그리고 통신유닛(10)으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여 신선 상품의 현재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는 관리 호스트(6)를 포함한다.That is, the fresh product distribution system comprises a
이러한 신선 상품 유통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 센서(3)는 일측에는 온도센서 혹은 습도센서가 장착되고, 타측에는 무선 센서태그(7)에 결합되는 단자(11)가 장착된다.In this fresh product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the
온도센서(9)는 서미스터 등 다양한 방식의 센서를 포함하며, 포장용기(2)의 내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신선 식품이 포장된 용기의 내측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sensor 9 includes various types of sensors such as a thermistor and is disposed inside the
그리고, 단자(11)에는 다수의 핀(12)이 돌출되며, 후술하는 무선 센서태그(7)의 포트(13)에 결합된다. A plurality of
이러한 다수의 핀(12)은 규격에 따라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RS422, RS485, LAN, LIN, CAN, LVDS, 등의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송신(TX) 2핀, 수신(RX) 2핀 등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핀(12) 중 하나의 핀을 할당하여 온도센서(9)의 단자(11)가 무선 센서태그(7)의 포트(13)에 결합될 때 온(On)신호를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관리 호스트(6)에서 배송 시작시 포장용기(2)에 온도센서(9) 및 무선 센서태그(7)를 서로 결합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따라서, 무선 센서태그(7)는 다수의 핀(12)을 통하여 온도센서(9)와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온도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Accordingly, the
그리고, 습도센서는 다공질 세라믹스나 고분자막으로 습기가 흡수됨으로써 일어나는 전기저항이나 정전용량의 변화를 이용하는 방식, 진동자에 설치한 흡수 물질의 중량변화에 의한 진동자의 공진 주파수의 변화를 이용하는 방식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습도센서도 포장용기(2)의 내측에 배치되어 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The humidity sensor includes a method using a change in electric resistance or capacitance caused by the absorption of moisture by porous ceramics or a polymer membrane, a method using a change in the resonance frequency of the vibrator due to a change in the weight of the absorbing material provided on the vibrator . Such a humidity sensor can also be disposed inside the
그리고, 습도센서는 온도센서(9)와 같이 일체로 설치되거나, 별도로 설치될 수 있다. 혹은 온도센서(9)만 포장용기(2)에 장착될 수도 있다.The humidity sensor may be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temperature sensor 9 or may be installed separately. Or only the temperature sensor 9 may be mounted on the
이러한 온도센서(9) 혹은 습도센서는 무선 센서태그(7)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측정된 온도 및 습도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The temperature sensor 9 or the humidity sensor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무선 센서태그(7)는 기판(15)과; 기판(15)의 일측에 배치되며 분리형 센서(3)의 단자(11)가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포트(13)와; 포트(13)를 통하여 입력된 온도 및 습도 데이터를 출력하는 RF트랜시버(21)와; 온도, 습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9)와; 아날로그 블록(Analogue Block;22)과; 디지털 블록(Digital Block;24)과; 전원부(26)를 포함한다.The
이러한 구조를 갖는 무선 센서태그(7)는 무선통신방식을 사용하는 바, 예들 들면 RFID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무선 센서태그(7)는 각 주파수 대역별로 사용되는 장소와 용도가 구분되어 있다. The
예들 들면, UHF방식은 433, 9100MHz, 마이크로파 2.45G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리더와 RFID 태그의 데이터 송수신 거리가 5m 내지 10m 범위 이내이다. 430MHz는 주로 능동형 태그에 사용되며, 910MHz는 수동형 태그에 사용된다. 이 UHF 방식은 데이터 리딩 거리가 길어서 물류 시스템에 주로 적용된다. For example, the UHF system uses frequencies of 433, 9100 MHz, and microwave 2.45 GHz, and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distance between the reader and the RFID tag is within the range of 5 m to 10 m. 430MHz is mainly used for active tags, and 910MHz is used for passive tags. This UHF method is mainly applied to the logistics system due to the long data reading distance.
그리고, HF방식은 13.56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고, 리더와 RFID 태그의 데이터 송수신 거리가 1cm 내지 3cm 범위 이내이다. 이러한 HF방식은 보안과 안전상의 이유로 현재 교통카드, 신용카드용에 주로 사용된다.The HF method uses a frequency of 13.56 Mhz, and the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distance between the reader and the RFID tag is within a range of 1 cm to 3 cm. These HF methods are mainly used for traffic cards and credit cards for security and safety reasons.
듀얼 태그방식(Dual Tag)은 상기 UHF방식의 태그와 HF방식의 태그를 동시에 적용하는 방식이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UHF방식과 HF방식이 용도와 성능에 있어서 차이가 있음으로, 이 2가지 방식의 태그를 병렬로 배치하여 사용하는 방식이다. 예를 들면, UHF방식은 물류용으로 사용하고, HF방식은 제품별 정보 인식용으로 사용한다.The dual tag method is a method of simultaneously applying the UHF tag and the HF tag. That is, since the UHF scheme and the HF scheme are different in use and performance as described above, the tags of the two schemes are arranged in parallel and used. For example, the UHF method is used for logistics and the HF method is used for product-specific information recognition.
LF방식(Low Frequency)은 123㎑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한다.The LF method (Low Frequency) uses a frequency of 123 kHz.
그리고 포트(13)는 다수의 핀홈(14)이 형성되며, 이 핀홈(14)에는 상기한 단자(11)에 돌출된 다수의 핀(12)이 결합됨으로써 온도, 습도센서로부터 데이터가 송수신될 수 있다.A plurality of
이때, 포트(13)는 상기한 단자(11)의 경우와 같이 규격에 따라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RS422, RS485, LAN, LIN, CAN, LVDS, 등의 프로토콜을 사용하며, 송신(TX) 2핀홈, 수신(RX) 2핀홈 등으로 배열될 수 있다. The
이때, 다수의 핀홈(14) 중 하나의 핀홈을 할당하여 온도센서(9)의 단자(11)가 결합될 때 온(On)신호를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관리 호스트(6)에서 배송 시작시 포장용기(2)에 온도센서(9) 및 무선 센서태그(7)를 서로 결합하였음을 인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by assigning one of the plurality of
상기 아날로그 블록(A)은 안테나로부터 인가되는 무선 주파수 신호에 의해 무선 센서태그(7)의 구동전원을 생성하는 전압 멀티플라이어와, 전압의 크기를 제한하여 클릭 발생부에 출력하는 전압 리미터와, 디지털 블록으로부터 인가되는 응답신호를 모듈레이팅 하여 안테나에 전송하는 모듈레이터(Modulator)와, 안테나로부터 인가되는 주파수 신호중 동작 명령신호를 검출하여 명령신호를 디지털 블록에 출력하는 디모듈레이터(Demodulator)를 포함한다.The analog block A includes a voltage multiplier for generating driving power of the
그리고, 상기 디지털 블록(D)은 아날로그 블록(A)으로부터 전원전압, 리셋신호, 클럭 및 명령신호를 인가받아 신호를 해석하고 제어신호 및 처리신호들을 생성하여 아날로그 블록에 응답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어드레스(Addres), 온도 및 습도 데이터의 입력 및 출력, 제어신호를 메모리(19)에 출력한다.The digital block D receives a power supply voltage, a reset signal, a clock, and a command signal from the analog block A, analyzes the signal, generates a control signal and a processing signal, and outputs a response signal to the analog block. Further, it outputs the address (Addres), the input and output of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data, and the control signal to the
이러한 디지털 블록(D)은 메모리(19)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인출한다.This digital block D stores or retrieves data in the
상기 메모리(19)는 온도센서(9) 혹은 습도센서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가 자동 저장된다. 이러한 메모리(19)는 다양한 방식의 메모리(19)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사용자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USER 메모리, 태그의 제조정보가 저장되는 TID 메모리, 태그의 정보가 저장되는 EPC 메모리, 암호가 저장되는 Reserved 메모리 등으로 구성된다.The
한편, 상기 리더기(8)는 무선 센서태그(7)에 저장된 온도, 습도 등의 데이터를 판독한 후, 통신 유닛(10)을 통하여 관리 호스트(6)로 송신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이러한 리더기(8)는 상품 운송용 차량(1)에 장착되며, 필요시 차량(1)으로부터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상기 리더기(8)는 통상적으로 3가지 모드를 지원하는 바, Single reader mode, Multi reader mode, Dense reader mode를 지원한다.The
그리고, 리더기(8)는 통상적인 구조, 즉, 입력부(23)와, 프로세서 코어 및 컨트롤러(Process Core;27), 메모리(29), 출력부(25), 시스템 버스(System Bus), 데이터를 페이퍼로 출력하는 프린터(Printer;31) 등으로 구성되며, 다양한 주파수 대역을 적용하여 무선 센서태그(7)에 저장된 데이터를 판독하게 된다.The
리더기(8)는 안테나를 통해 인식범위 내에 위치하는 무선 센서태그(7)의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판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판독된 데이터는 관리 호스트(6)로 전송된다. 혹은, 상기 데이터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크래들(Cradle)에도 전송될 수 있다.The
한편, 물류센터(T)에서도 식품을 배송할 수 있는 바, 물류센터(T)의 출입구에는 게이트(G)가 배치됨으로써 식품운송용 차량(1)의 입출입을 감지한다. On the other hand, the food can also be delivered to the distribution center T, and the gate G is disposed at the entrance of the distribution center T to detect the entry / exit of the food transportation vehicle 1.
이러한 게이트(G)는 물류센터(T) 등의 도크에 설치되며 포털형 혹은 터널형 등 다양한 형태의 게이트(G)가 있다. 그리고, 게이트(G)는 안테나, 체크 리더기, 컨트롤러가 장착된다.Such a gate G is installed in a dock of a distribution center T or the like and has various types of gates G such as a portal type or a tunnel type. The gate G is equipped with an antenna, a check reader, and a controller.
따라서, 게이트(G)는 신선 상품운반차량(1)이 게이트(G)를 진입하면, 게이트(G)의 체크 리더기가 차량(1)을 인식한다. 이때, 인식된 정보는 차량(1)의 종류, 차량의 출입일시 등을 포함한다.Therefore, when the fresh merchandise transport vehicle 1 enters the gate G, the gate G recognizes the vehicle 1 by the check reader of the gate G. [ At this time, the recognized information includes the type of the vehicle 1, the date and time of entering and leaving the vehicle, and the like.
입력된 상기 정보들은 체크 리더기를 통하여 관리 호스트(6)에 전송됨으로써 관리 호스트(6)는 해당 차량(1)이 물류센터(T)에 도착 혹은 출발하였음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The inpu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한편, 상기 관리 호스트(6)는 인터넷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하여 상기 통신유닛(10) 및 게이트(G)에 연결된다. 이때, 네트워크는 유, 무선 네트워크를 포함하며, 시리얼 인터페이스(Serial Interface)와, 이더넷 인터페이스 (Ethernet Interface)등을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따라서, 리더기(8)로부터 전송되는 신선 식품의 온도, 습도, 현위치 등의 정보가 관리 호스트(6)에 입력될 수 있다.Therefore, information such as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current position of the fresh food transferred from the
이러한 관리 호스트(6)는 바람직하게는 데이터 베이스(Data Base)와, 웹서버(Wep server)와, APP호스트와, 로컬 컴퓨터(Local Computer)를 포함한다.The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는 신선 식품의 온도 및 습도 등의 정보가 저장된다.The database stores information such as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of the fresh food.
그리고, 웹서버는 웹 페이지(HTML 파일)를 제공해 주는 서버이며, 웹 페이지를 제공할 수 있는 웹 서버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관리 호스트(6)에 접속한 생산자(P) 등의 이용자들은 홈페이지를 통하여 필요한 정보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The web server is a server for providing a web page (HTML file), and a web server program capable of providing a web page is installed. Therefore, users of the producer P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또한, 상기 APP호스트(Application Server)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축하는 서버이다. 즉, 신선 식품의 시간별 온도 및 습도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응용 프로그램이 저장된 서버다.Also, the APP host (Application Server) is a server for building an application program. That is, the server stores the application program for process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data of the fresh food over time.
따라서, 관리자는 로컬 컴퓨터를 통하여 관리 호스트(6)에 접속함으로써, 신선 식품의 온도 혹은 습도에 대한 이력관리, 시스템 관리, 데이터 송수신 등의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manager can access the
특히, 무선 센서태그(7)로부터 전송된 신선 식품의 시간별 온도 혹은 습도값과 기준 값을 비교함으로써 현재 신선 식품의 상태가 정상인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grasp in real time whether the current state of the fresh food is normal by comparing the temperature or humidity value of the fresh food sent from the
이러한 관리 호스트(6)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신선 식품 운반용 차량(1)과, 이용자의 컴퓨터 시스템과, 물류센터(T)의 관리 시스템에 연결된다.The
따라서, 상기 신선 식품 운반용 차량(1)의 리더기(8) 및 통신유닛(10)에 의하여 전송된 신선 식품의 온도 혹은 습도 정보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관리 호스트(6)와 이용자가 공유될 수 있다.Therefore, the temperature or humidity information of the fresh food sent by the
즉, 신선 식품 유통업체는 이 관리 호스트(6)를 통하여 신선 식품 운반차량(1)의 현재 위치, 물류센터(T) 출발 및 도착 여부, 컨테이너에 적재된 각 신선 식품의 온도 혹은 습도 등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That is, the fresh food distributor can determine the current position of the fresh food conveying vehicle 1, the departure and arrival of the distribution center T, the temperature or humidity of each fresh food stored in the container, .
그리고, 관리 호스트(6)는 AP(access point)를 통하여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도 온도 혹은 습도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The
아울러, 개인 이용자도 개인용 컴퓨터에 의하여 네트워크를 통하여 관리 호스트(6) 접속할 수 있다. 따라서, 주문한 신선 식품의 현재 위치, 온도, 습도 정보를 홈페이지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an individual user can access th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선 식품의 유통관리 방법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managing distribution of fresh fo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신선 상품의 유통관리 방법은, 분리형 센서(3)를 무선 센서태그(7)에 결합하여 식품용기에 장착하는 제 1단계(S100)와; 분리형 센서(3)의 단자가 무선 센서태그(7)의 포트에 결합되었을 때 온신호를 관리 호스트에 전송하는 제 2단계(S110)와; 분리형 센서(3)가 포장용기(2) 내의 온도, 습도를 측정하고 현 위치 데이터를 무선 센서태그(7)에 저장하는 제 3단계(S120)와; 무선 센서태그(7)가 측정된 데이터를 리더기(8)로 송신하는 제 4단계(S130)와; 리더기(8)는 데이터를 통신유닛(10)을 통하여 관리 호스트(6)로 전송하는 제 5단계(S140)와; 소비자(C)에게 상품의 온도 데이터를 제시하는 제 6단계(S150)와; 그리고 측정된 온도 데이터를 빅 데이터의 분석알고리즘에 의하여 분석하여 상품별 적정 온도를 산출하는 제 7단계(S160)를 포함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method for managing the distribution of fresh products prop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step (S100) of attaching the detachable sensor (3) to a wireless sensor tag (7) A second step S110 of transmitting an ON signal to the management host when the terminal of the
이러한 신선 식품의 유통관리 방법에 있어서, 제 1단계(S100)에서는 신선 식품을 포장한 용기에 분리형 센서(3) 및 무선 센서태그(7)를 장착한다. 즉, 온도센서(9)의 일단에 장착된 단자(11)를 무선 센서태그(7)의 포트(13)에 결합하고 온도센서(9)를 포장용기(2)의 내측에 배치한다.In the method for managing the distribution of fresh foods, in the first step (S100), the detachable sensor (3) and the wireless sensor tag (7) are attached to a container packed with fresh food. That is, the terminal 11 attached to one end of the temperature sensor 9 is connected to the
따라서, 온도센서(9)는 포장용기(2)의 내부 온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온도는 무선 센서태그(7)에 전송된다.Thus, the temperature sensor 9 measures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이때, 온도센서(9)와 무선 센서태그(7) 모두 포장용기(2)의 내부에 장착될 수도 있고, 혹은 온도센서(9)만 포장용기(2)의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At this time, both the temperature sensor 9 and the
제 2단계(S110)에서는, 분리형 센서(3)의 단자(11)에 돌출된 다수의 핀(12)이 무선 센서태그(7)의 포트(13)에 형성된 다수의 핀홈(14)에 결합될 때, 온(On)신호를 전송하도록 설정된 핀(12)과 핀홈(14)의 결합에 의하여 신호가 관리 호스트(6)에 전송된다. 따라서, 관리 호스트(6)에서는 포장용기(2) 내측의 온도센서(9)가 포장용기(2) 외측의 무선 센서태그(7)에 접속되었음을 인식할 수 있고, 이 시점부터 온도, 습도 데이터를 관리한다.A plurality of
제 3단계(S120)에서는, 온도센서(9)로부터 전송된 온도 데이터는 무선 센서태그(7)의 메모리(19)에 저장된다. 이때, 메모리(19)에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가 저장되는 바, 예를 들면 신선 상품의 종류, 주문날짜, 주문자, 발송날짜, 신선 상품 생산지, 적정 온도, 포장용기(2)의 내부 온도 등 다양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In the third step S120, the temperature data transmitted from the temperature sensor 9 is stored in the
그리고, 제 4단계(S130)에서는, 무선 센서태그(7)에 저장된 데이터가 리더기(8)로 전송된다. 즉, 무선 센서태그(7)의 메모리(19)에 저장된 데이터는 트랜시버(21) 및 안테나를 통하여 리더기(8)로 전송된다. Then, in the fourth step S130, the data stored in the
이때, 무선 센서태그(7)에서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리더기(8)로 전송할 수도 있지만, 리더기(8)에서 무선 센서태그(7)에 신호를 전송하여 저장된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도 있다. 즉, 양방향으로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제 5단계(S140)에서는, 리더기(8)에 수신된 온도 데이터를 운반차량(1)에 장착된 통신유닛(10)을 통하여 관리 호스트(6)로 전송하게 된다.In the fifth step S140, the temperature data received by the
즉, 신선 식품운송차량(1)에는 라우터 등의 중계기가 장착되며, 이 중계기는 리더기(8)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관리 호스트(6)로 출력한다.That is, the fresh food transportation vehicle 1 is equipped with a repeater such as a router, and the repeater outputs the data transmitted from the
관리 호스트(6)에서는 수신된 온도, 습도, 현재 위치 데이터를 빅 데이터 분석 알고리즘 기법을 통하여 분석함으로써 해당 신선 식품의 시간별, 장소별 온도나 습도 이력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The
그리고, 분석된 데이터는 리더기(8)로 전송됨으로써 신선 식품 운송자는 이 데이터를 소비자(C)에 제시할 수 있다.Then, the analyzed data is transmitted to the
제 6단계(S150)에서는 신선 식품을 소비자(C)에게 전달하고 해당 신선 식품에 대한 온도 등의 데이터를 제시함으로써 해당 신선 식품이 적절한 상태에서 운송되었음을 입증할 수 있다.In the sixth step S150, the fresh food is delivered to the consumer C, and data such as the temperature of the fresh food is presented to prove that the fresh food is transported in an appropriate state.
이때, 운송자는 리더기(8)의 화면을 통하여 해당 데이터를 보여주거나, 프린터를 통하여 출력하여 페이퍼 형태로 보여줄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carrier can display the corresponding data through the screen of the
소비자(C)는 이러한 데이터를 확인함으로써 해당 신선 식품이 적절한 온도, 습도 조건하에서 운송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Consumer (C) confirms this data to confirm that the fresh food has been transported under appropriate temperature and humidity conditions.
물론, 소비자(C)는 해당 신선 식품이 도착하기 전에 해당 홈 페이지에 접속하여 배송중인 해당 신선 상품의 현재 상태를 확인할 수도 있다.Of course, the consumer C may access the corresponding home page and check the current status of the fresh product being delivered before the fresh food arrives.
제 7단계(S160)에서는 측정된 온도 데이터를 축적하고, 이 축적된 데이터를 빅 데이터의 분석알고리즘에 의하여 분석하여 신선 식품별 적정 온도를 산출하고, 또한 인터넷상에서 소통하는 메시지를 피드백하여 하여 불편사항을 해결함으로써 유통시스템을 개선할 수 있다.In the seventh step S160, the measured temperature data is accumulated, the accumulated data is analyzed by an analysis algorithm of the big data to calculate an appropriate temperature for each fresh food, and a message communicating on the Internet is fed back,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distribution system.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이 분석과정은 신선 상품 운송시마다 얻어진 온도, 습도 등의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 8단계(S170)와; 배송된 신선 상품의 실제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 9단계(S180)와; 제 8단계(S170) 및 제 9단계(S180)에서 추출된 데이터들을 서로 결합하고, 온라인상의 메시지를 검색하여 추출함으로써 신선 상품별로 가장 적합한 운송패턴을 산출하는 제 10단계(S190)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analysis process includes an eighth step (S170) of extracting data such as temperature and humidity obtained each time fresh goods are transported; A ninth step (S180) of extracting data on the actual state of the delivered fresh product; (S190) of combining the data extracted in the eighth step (S170) and the ninth step (S180) and searching for and extracting a message on-line to calculate the most suitable transportation pattern for each fresh product.
제 8단계(S170)에 있어서는, 소비자(C)가 신선 식품을 주문할 때 입력된 데이터, 즉 신선 식품의 품종, 수량, 배송지 등의 데이터를 분석을 위하여 DB로부터 추출한다. 예를 들면, 신선 식품이 채소류인지, 생선류인지, 육류인지 여부, 주문 중량, 배송지가 원거리, 근거리인지 여부에 따라 DB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한다.In the eighth step (S170), the data inputted when the consumer C orders the fresh food, that is, the data such as the variety, quantity and destination of the fresh food, is extracted from the DB for analysis. For example, data is extracted from the DB depending on whether the fresh food is vegetable, whether it is fish, whether it is meat, order weight, distance to destination, and distance.
제 9단계(S180)에서는 배송된 신선 식품에 대한 온도, 습도, 주행경로, 컨테이너에서 적재된 위치, 이상발생 여부 등을 DB로부터 데이터를 추출한다.In the ninth step (S180), data on the delivered fresh food is extracted from the database, such as temperature, humidity, travel route, position of the container, and occurrence of abnormality.
예를 들면, 신선 식품 운송시 해당 신선 식품의 포장용기(2)의 내부 온도, 습도가 몇도 인지, 주행경로는 고속도로, 국도, 시내주행, 해안도로, 산악도로 여부를 추출한다. 그리고 해당 신선 식품이 컨테이너의 상측에 적재되었는지, 중측, 하측, 그리고 내측인지 외측 인지에 적재되었는지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한다.For example, when the fresh food is transported, the inside temperature and the humidity of the packaging container (2) of the fresh food are ascertained, and the travel route is extracted as a highway, a national road, a city road, a coast road or a mountain road. And extracts data on whether the fresh food is loa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 middle side, lower side, inner side or outer side.
또한, 신선 식품 운송과정에 있어서 이상이 발생하였는지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바, 특히 동일한 품종, 주행경로, 온도, 습도임에도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한다.In addition, data on whether or not an abnormality has occurred in the fresh food transportation process is extracted, and in particular, data on the occurrence of an abnormality in the same kind, traveling route, temperature, and humidity are extracted.
제 10단계(S190)에서는 상기한 데이터들을 서로 결합하여 연산함으로써 신선 식품 운송시 가장 적합한 패턴을 산출하게 된다.In a tenth step (S190), the most suitable pattern is calculated at the time of fresh food transportation by combining the data with each other.
이때, 적합한 패턴을 산출하는 방식에 있어서 우선 안정적으로 배송이 완료된 경우의 조건 데이터를 기준으로 한다.At this time, in the method of calculating an appropriate pattern, the condition data in the case where the delivery is completed stably is taken as a reference.
예를 들면, 채소류를 운송하는 경우, 온도, 습도는 몇 도이고, 컨테이너 내부에 적재된 위치와, 어떤 주행경로로 하였을 때 안정적으로 배송이 완료되었는지를 기준 데이터로 산출한다. 즉, 채소를 25도 상태에서 컨테이너의 상측에 적재한 후 고속도로를 통하여 배송하였을 때 가장 신선한 상태로 배송된 경우의 데이터를 기준 데이터로 산출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ransporting vegetables,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are several degrees, and the reference data is used to calculate the position in the container and whether the delivery is completed stably when the traveling route is used. That is, when the vegetables are load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 at a temperature of 25 degrees and then delivered through the highway, the data of the case of being delivered in the freshest condition is calculated as reference data.
그리고, 이 기준 데이터에 배송시 이상이 발생한 경우의 데이터를 결합함으로써 이상이 발생할 수 있는 조건은 기준 데이터에서 배제한다.A condition in which an abnormality can occur by combining data in the case where abnormality occurs in the reference data with the reference data is excluded from the reference data.
예를 들면, 상기한 기준 데이터인 채소를 25도 상태에서 고속도로를 통하여 배송하였으나, 컨테이너의 하측에 적재하였을 경우에는 신선 식품에 이상이 발생하였다면, 신선 식품 패턴 산출시 해당 신선 식품과 동일한 품종은 컨테이너의 하측에는 적재하지 않도록 연산한다. For example, if the above-mentioned reference data was delivered through the expressway at a temperature of 25 ° C, but if the product was load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ntainer, if the fresh food had an abnormality, So as not to be mounted on the lower side.
따라서, 동일 품종의 신선 식품 운송시 컨테이너의 상측 혹은 중간에 적재하도록 패터닝하고, 만약 추후에 동일한 조건하에서 컨테이너의 중간에 적재하였을 때 이상이 발생하였다면 신선 식품 운송패턴에서 중간 적재를 삭제하는 방식이다.Accordingly, when fresh food of the same kind is transported, it is patterned so as to be loaded on the upper side or the middle of the container, and if the abnormality occurs when it is loaded in the middle of the container under the same conditions in the future, the intermediate load is deleted from the fresh food transportation pattern.
그리고, 온라인상에서 검색된 불편사항을 신선 식품 운송패턴에 적용함으로서 기준 데이터에서 이 불편사항을 적용하여 개선한다.Also, by applying the discomfort items retrieved online on the fresh food transportation pattern, this inconvenience is applied in the reference data to improve.
이와 같이 1차적으로 기준 데이터를 설정하고, 2차적으로 이상 데이터를 적용하여 순차적으로 제거하고, 3차적으로는 불편사항을 피드백함으로써 최적의 신선 식품운송패턴을 산출하는 방식이다.In this way, the reference data is set in a primary way, the abnormal data is applied in a second order, and the third order is feedback of inconveniences to calculate the optimal fresh food transportation pattern.
1: 식품 운반차량
2: 포장용기
3: 분리형 센서
7: 무선 센서태그
8: 리더기1: Food transport vehicle
2: Packaging container
3: Detachable sensor
7: Wireless sensor tag
8: Reader
Claims (6)
분리형 센서(3)의 단자가 무선 센서태그(7)의 포트에 결합되었을 때 무선 센서태그(7)가 온신호를 관리 호스트에 전송하는 제 2단계(S110)와;
분리형 센서(3)가 포장용기(2) 내의 온도, 습도를 측정하고 현 위치 데이터를 무선 센서태그(7)에 저장하는 제 3단계(S120)와;
무선 센서태그(7)가 측정된 데이터를 리더기(8)로 송신하는 제 4단계(S130)와;
리더기(8)는 데이터를 통신유닛(10)을 통하여 관리 호스트(6)로 전송하는 제 5단계(S140)와;
리더기(8)의 화면에 상품의 온도 데이터가 표시되어 소비자(C)가 확인하는 제 6단계(S150)와; 그리고
관리 호스트(6)는 측정된 온도 데이터를 빅 데이터의 분석알고리즘에 의하여 분석하여 상품별 온도를 산출하는 제 7단계(S160)를 포함하며,
제 7단계(S160)에서, 관리 호스트(6)는 신선 상품 운송시마다 얻어진 운송조건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 8단계(S170)와;
관리 호스트(6)는 배송된 신선 상품의 실제 결과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 9단계(S180)와;
관리 호스트(6)는 제 8단계(S170) 및 제 9단계(S180)에서 추출된 데이터들을 서로 결합하고, 온라인상의 메시지를 검색하여 추출함으로써 신선 상품별로 운송패턴을 산출하는 제 10단계(S190)를 포함하고,
제 2단계(S110)에 있어서, 상기 분리형 센서(3)의 다수의 핀(12)중 하나의 핀과, 무선 센서태그(7)의 포트(13)에 형성된 다수의 핀홈(14)중 하나의 핀홈은, 핀(12)이 핀홈(14)에 결합되는 경우, 무선 센서태그(7)가 온(On) 신호를 관리 호스트(6)에 전송함으로써 분리형 센서(3)가 무선 센서태그(7)에 결합되었음을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 상품유통 관리 방법.A separate sensor 3 is connected to the packaging container, the temperature sensor 9 being connected to the temperature sensor 9 and the other end to which a plurality of pins 12 protrude. A terminal 11 mounted on the outside of the packaging container and coupled to the wireless sensor tag 7 and mounted on the packaging container;
A second step (S110) in which the wireless sensor tag 7 transmits an ON signal to the management host when the terminal of the removable sensor 3 is coupled to the port of the wireless sensor tag 7;
A third step (S120) of measuring the temperature and humidity in the packaging container (2) and storing the current position data in the wireless sensor tag (7);
A fourth step S130 of the wireless sensor tag 7 transmitting the measured data to the reader 8;
The reader 8 transmits the data to the management host 6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10 in a fifth step S140;
A sixth step (S150) of displaying the temperature data of the goods on the screen of the reader (8) and confirming by the consumer (C); And
The management host 6 includes a seventh step S160 of analyzing the measured temperature data by the analysis algorithm of the big data and calculating the temperature for each product,
In the seventh step S160, the management host 6 includes an eighth step (S170) of extracting the transportation condition data obtained each time fresh goods are transported;
The management host 6 may include a ninth step S180 of extracting data on the actual result status of the delivered fresh merchandise;
The management host 6 combines the data extracted in the eighth step S170 and the step S180 and searches for and extracts a message on-line to calculate a transportation pattern for each fresh product, Lt; / RTI >
One of the plurality of pins 12 of the detachable sensor 3 and one of the plurality of pin grooves 14 formed in the port 13 of the wireless sensor tag 7 in the second step S110 The pin groove allows the detachable sensor 3 to be detached from the wireless sensor tag 7 by transmitting the On signal to the management host 6 when the pin 12 is coupled to the pin groove 14, To the customer. ≪ RTI ID = 0.0 > 15. < / RTI >
제 10단계(S190)에서, 관리 호스트(6)는 1차적으로 상품운송에 대한 기준 데이터를 설정하고, 2차적으로 이상 데이터를 적용하여 순차적으로 제거하고, 3차적으로는 불편사항을 피드백함으로써 신선 상품운송패턴을 산출하는 순서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 상품유통 관리 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tenth step S190, the management host 6 firstly sets reference data for the goods transportation, sequentially removes the abnormal data by applying the abnormal data, and feedbacks the inconvenience to the third, And calculating a product transportation pattern based on the calculated product distribution pattern.
제 1단계의 무선 센서태그(7)는 기판(15)과; 기판(15)의 일측에 배치되며 분리형 센서(3)의 단자(11)에 돌출된 다수핀(12)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포트(13)와; 포트(13)를 통하여 입력된 온도 및 습도 데이터를 출력하는 RF트랜시버(21)와; 온도, 습도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9)와; 아날로그 블록(Analogue Block;A)과; 디지털 블록(Digital Block;D)과; 전원부(26)를 포함하는 신선 상품유통 관리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ireless sensor tag 7 in the first step includes a substrate 15; A port 13 disposed at one side of the substrate 15 and detachably coupled with a plurality of pins 12 protruding from the terminal 11 of the detachable sensor 3; An RF transceiver 21 for outputting temperature and humidity data input through the port 13; A memory (19) for storing temperature and humidity data; An analog block (A); A digital block (D); And a power supply unit (26).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30238A KR101717595B1 (en) | 2015-09-15 | 2015-09-15 | Method for distributing fresh product with IOT base and Big Data Algorithm Analysis |
| PCT/KR2015/009768 WO2017047842A1 (en) | 2015-09-15 | 2015-09-17 |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fresh food on basis of iot and through big data algorithm analysis techniqu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30238A KR101717595B1 (en) | 2015-09-15 | 2015-09-15 | Method for distributing fresh product with IOT base and Big Data Algorithm Analysis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717595B1 true KR101717595B1 (en) | 2017-03-17 |
Family
ID=58502150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130238A Expired - Fee Related KR101717595B1 (en) | 2015-09-15 | 2015-09-15 | Method for distributing fresh product with IOT base and Big Data Algorithm Analysi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717595B1 (en) |
Cited By (8)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0705118A (en) * | 2019-10-11 | 2020-01-17 | 合肥工业大学 | Network Experiment Platform of Industrial Control System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20200044163A (en) * | 2018-10-04 | 2020-04-29 | 주식회사 이노베이스 |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emperature of food based on internet of things |
| KR20220069426A (en) * | 2020-11-20 | 2022-05-27 | 주식회사 써모랩코리아 | Fresh products delivery system |
| KR20220069411A (en) * | 2020-11-20 | 2022-05-27 | 주식회사 써모랩코리아 | Fresh products delivery system |
| KR20220069431A (en) * | 2020-11-20 | 2022-05-27 | 주식회사 써모랩코리아 | Fresh products delivery system |
| KR20230070996A (en) * | 2021-11-15 | 2023-05-23 | 주식회사 하벤 | A temperature reader logger which periodically senses, logs, and transmits temperature in a low-power method and can be replaced or managed without opening a fresh logistics box, and a fresh logistics box including the same |
| CN116629480A (en) * | 2023-07-19 | 2023-08-22 | 济南餐农网络科技有限公司 | Food material distribution system and distribution method |
| US12400171B2 (en) | 2020-10-12 | 2025-08-26 | Thermo Lab Korea Co., Ltd. | Returnable packaging and fresh product delivery system using packaging state information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2358591A (en) * | 2001-05-31 | 2002-12-13 |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 Fresh food management system |
| KR20050051577A (en) * | 2003-11-27 | 2005-06-01 | 한국유지관리 주식회사 | Wireless measuring system with modularized sensor for measuring institution |
| KR20130054125A (en) | 2011-11-16 | 2013-05-24 |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 Liquid crystal aligning agent liquid crystal alignment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KR20140024614A (en) * | 2012-08-20 | 2014-03-03 | 주식회사 맥스포 | Cold chain monitoring system |
-
2015
- 2015-09-15 KR KR1020150130238A patent/KR10171759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2358591A (en) * | 2001-05-31 | 2002-12-13 |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 Fresh food management system |
| KR20050051577A (en) * | 2003-11-27 | 2005-06-01 | 한국유지관리 주식회사 | Wireless measuring system with modularized sensor for measuring institution |
| KR20130054125A (en) | 2011-11-16 | 2013-05-24 |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 Liquid crystal aligning agent liquid crystal alignment film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KR20140024614A (en) * | 2012-08-20 | 2014-03-03 | 주식회사 맥스포 | Cold chain monitoring system |
Cited By (1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00044163A (en) * | 2018-10-04 | 2020-04-29 | 주식회사 이노베이스 |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emperature of food based on internet of things |
| KR102138803B1 (en) * | 2018-10-04 | 2020-07-28 | 주식회사 이노베이스 |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temperature of food based on internet of things |
| CN110705118A (en) * | 2019-10-11 | 2020-01-17 | 合肥工业大学 | Network Experiment Platform of Industrial Control System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US12400171B2 (en) | 2020-10-12 | 2025-08-26 | Thermo Lab Korea Co., Ltd. | Returnable packaging and fresh product delivery system using packaging state information |
| KR102590499B1 (en) * | 2020-11-20 | 2023-10-17 | 주식회사 써모랩코리아 | Fresh products delivery system |
| KR20220069426A (en) * | 2020-11-20 | 2022-05-27 | 주식회사 써모랩코리아 | Fresh products delivery system |
| KR20220069411A (en) * | 2020-11-20 | 2022-05-27 | 주식회사 써모랩코리아 | Fresh products delivery system |
| KR20220069431A (en) * | 2020-11-20 | 2022-05-27 | 주식회사 써모랩코리아 | Fresh products delivery system |
| KR102556912B1 (en) * | 2020-11-20 | 2023-07-18 | 주식회사 써모랩코리아 | Fresh products delivery system |
| KR102556915B1 (en) * | 2020-11-20 | 2023-07-19 | 주식회사 써모랩코리아 | Fresh products delivery system |
| KR20230070996A (en) * | 2021-11-15 | 2023-05-23 | 주식회사 하벤 | A temperature reader logger which periodically senses, logs, and transmits temperature in a low-power method and can be replaced or managed without opening a fresh logistics box, and a fresh logistics box including the same |
| KR102665949B1 (en) * | 2021-11-15 | 2024-05-14 | 주식회사 하벤 | A temperature reader logger which periodically senses, logs, and transmits temperature in a low-power method and can be replaced or managed without opening a fresh logistics box, and a fresh logistics box including the same |
| CN116629480B (en) * | 2023-07-19 | 2023-10-27 | 济南餐农网络科技有限公司 | Food material distribution system and distribution method |
| CN116629480A (en) * | 2023-07-19 | 2023-08-22 | 济南餐农网络科技有限公司 | Food material distribution system and distribution method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717595B1 (en) | Method for distributing fresh product with IOT base and Big Data Algorithm Analysis | |
| US11113645B2 (en) | Intelligent routing code for improved product distribution | |
| KR101308620B1 (en) | Product Quality Monitering System | |
| Costa et al. | A review on agri-food supply chain traceability by means of RFID technology | |
| US20170030853A1 (en) |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ed Chemical or Biological to Digital Conversion to Digital Information Using Radio Frequencies | |
| WO2017047842A1 (en) |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fresh food on basis of iot and through big data algorithm analysis technique | |
| EP4020355A1 (en) |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products in open-loop supply or value chain | |
| CN103310381A (en) | Method and system for realizing agricultural product safety traceability | |
| CN104709717A (en) | Food packaging system | |
| CN103049838A (en) | Finite state machine-based parcel transporting state monitoring method | |
| Jedermann et al. | Shelf life prediction by intelligent RFiD–Technical limits of model accuracy | |
| KR101717594B1 (en) | System for distributing fresh product with IOT base and Big Data Algorithm Analysis | |
| KR101440578B1 (en) | Product Quality Monitering System using RFID tag and NFC tag | |
| Hsueh et al. | A model for intelligent transportation of perishable products | |
| CN118215926A (en) | Method for detecting variable weight-price items in a detector-based inventory management and/or shopping system | |
| CN108604328A (en) | Data warehouse for cold chain system | |
| Pang et al. | Scenario-based design of wireless sensor system for food chain visibility and safety | |
| Castro et al. | Analysis of the future internet of things capabilities for continuous temperature monitoring of blood bags in terrestrial logistic systems | |
| CN208781261U (en) | A fruit and vegetable management system | |
| JP2005280909A (en) | Eating time detection method, eating time detection system, eating time detection device, eating time detection program, and storage medium | |
| CN207068017U (en) | The bucket of RFID label tag with dual-band chip | |
| Dose et al. | Implementation of RFID technology in perishable goods transport | |
| WO2018143985A1 (en) |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ed chemical or biological to digital conversion to digital information using radio frequencies | |
| KR102627024B1 (en) | Blockchain-based smart marine logistics cold chain system | |
| JP2025509537A (en) | Method for identifying events of concern regarding items in a supply chain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1031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1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