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8245B1 - cup - Google Patents
cup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18245B1 KR101718245B1 KR1020150180689A KR20150180689A KR101718245B1 KR 101718245 B1 KR101718245 B1 KR 101718245B1 KR 1020150180689 A KR1020150180689 A KR 1020150180689A KR 20150180689 A KR20150180689 A KR 20150180689A KR 101718245 B1 KR101718245 B1 KR 1017182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case
- stored
- tissue
- li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1/00—Table-ware
- A47G21/18—Drinking straw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A47G23/0216—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for one glass or cup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 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 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 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8—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 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the web being rolled up with or without tearing edg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46—Drinking-through li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3/00—Lids or covers essentially for box-like containers
- B65D2543/00009—Details of 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43/0001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id
- B65D2543/00055—Lids serving as, or incorporating, drinking or measuring 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스 탈부탁이 가능한 테이크아웃 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탈부탁이 가능한 테이크아웃 컵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음료가 저장되는 용기; 용기 상부에 끼움 고정되고, 용기 상부를 밀폐하는 뚜껑; 및 용기 외주면에 끼움 고정되는 용기 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탈부탁이 가능한 테이크아웃 컵은 용기 홀더 내부에 티슈를 보관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자 손에 묻은 이물질 또는 보행 중 용기 뚜껑의 유출공으로 흘러나온 커피 등을 신속하게 닦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ke-out cup capable of removing the case.
A take-out cup capable of removing a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ntainer which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top and in which a beverage is stored; A lid which is fitt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and seals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And a container holder which is fitted and fix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ntainer.
The take-out cup capable of removing th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llowing the user to quickly wipe the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user's hands or the coffee that has flowed out to the outflow hole of the container lid during walking, have.
Description
본 발명은 케이스 탈부탁이 가능한 테이크아웃 컵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ke-out cup capable of removing the case.
일반적으로 패스트푸드 음식점이나 커피 전문점에서 테이크아웃(Take-out) 용으로 판매되는 음료는 종이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된 휴대용 컵에 담긴 상태로 판매되며, 이러한 음료가 담긴 휴대용 컵에는 내부에 담긴 음료에 이물질이 들어가거나 흔들림에 의해 음료가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 상부에 뚜껑이 덮여진다.Drinks usually sold for take-out at fast-food restaurants or coffee shops are sold in portable cups made of paper or plastic. The hand-held cups containing these drinks contain The upper part is covered with a lid to prevent the beverage from splashing out due to foreign matter or shaking.
이와 같이 컵에 덮여지는 뚜껑은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되며, 사용자가 뚜껑을 컵으로부터 제거하지 않아도 컵 내부에 담긴 음료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유출공이 형성되어 있다.The lid thus covered with the cup is generally made of a plastic material and has an outlet hole for allowing the user to drink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cup without removing the lid from the cup.
이러한 유출공은 빨대를 꽂아 음료를 음용하게 하거나 혹은 뚜껑에 입술을 대고 컵의 내부에 담긴 음료를 음용할 수 있게 한다.These spouts allow drinking straws to be poured into the straws, or lids on the lids to drink drinks inside the cups.
즉, 상기 유출공을 통해 빨대와 같은 도구를 이용하지 않더라도, 사용자가 용기 뚜껑을 컵으로부터 제거할 필요 없이 컵 내부에 담긴 음료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행 중이나 운전 중 또는 야외활동 중의 음용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That is, even if the user does not need to remove the container lid from the cup without using a straw or the like through the outflow hole, the user can drink the beverage contained in the cup, .
그러나 종래의 휴대용 컵은 사용자의 부주의로 쏟게 되거나 보행 중 외부 충격에 의해 컵 내부의 내용물이 유출공을 통해 사용자 손에 묻게 되면 신속하게 닦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portable cup has a problem in that it can not be quickly wiped when the contents of the cup are buried in the user's hand through the outflow hole due to an external impact during walking or a user's carelessness.
본 발명은 용기 홀더 내부에 티슈를 보관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자 손에 묻은 이물질 또는 보행 중 용기 뚜껑의 유출공으로 흘러나온 커피 등을 신속하게 닦을 수 있도록 하는 케이스 탈부탁이 가능한 테이크아웃 컵을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ake-out cup capable of quickly removing a foreign matter adhering to a user's hand or a coffee or the like flowing into an outflow hole of a container lid during a walk, by storing a tissue inside the container holder .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탈부탁이 가능한 테이크아웃 컵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음료가 저장되는 용기; 용기 상부에 끼움 고정되고, 용기 상부를 밀폐하는 뚜껑; 및 용기 외주면에 끼움 고정되는 용기 홀더;를 포함하되, 용기는, 하부에 형성되고, 스틱 형태로 포장된 설탕이 보관되는 수납부; 수납부의 입구가 밀폐되도록 접착되고, 수납부의 입구보다 크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시트지; 및 일단이 수납부의 외측면을 통해 용기 바닥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용기의 상부로 수직되게 형성되며, 사용자가 용기 내부에 저장된 음료를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빨대;를 포함하고, 용기 뚜껑은, 테두리에 장공 형태로 형성되고, 용기 내부에 저장된 음료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유출공; 중앙에 설치 고정되고, 상측면에 배출구가 형성된 케이스; 케이스 내부에 저장되는 물티슈; 및 배출구에 끼움 고정되고, 일측에 물티슈의 일부가 고정되며, 타측에는 고리가 형성된 마개;를 포함하며, 용기 홀더는, 용기 외주면에 밀착 고정되고, 내부에는 둘레 방향으로 권취된 마른 티슈가 구비된 권취부; 및 권취부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내부에 저장된 마른 티슈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는 인출부;를 포함하되, 권취부는, 원통형상의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본체; 및 공간부에 위치되고, 본체 내벽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마른 티슈가 권취된 회전체;를 포함하고, 인출부는, 본체의 외벽에 형성된 인출공; 인출공과 이격되게 형성되고, 본체의 외벽에 서로 이격되게 축 고정되어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 및 타원 형상의 외측면에 엠보싱이 형성되고, 일측 및 타측이 롤러 양측에 체결되며, 마른 티슈의 일면과 밀착되어 외력에 의해 마른 티슈를 인출공으로 이동시키는 회전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하측면에 도포된 접착제 및 상기 접착제에 부착된 박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박리지가 제거됨에 따라 접착제에 의해 상기 용기 뚜껑의 상단 중앙에 부착 가능하며, 상기 용기 뚜껑 재활용시, 물티슈를 사용한 상태이면 케이스를 제거한 후, 물티슈가 보관된 새로운 케이스를 상기 용기 뚜껑 상단에 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take-out cup capable of removing a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ntainer which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top and in which a beverage is stored; A lid which is fitt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and seals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And a container holder fitted and fixed to an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ntainer, wherein the container comprises: a receiving part formed at the lower part and storing sugar packaged in a stick form; A sheet which is glued so as to close the mouth of the storage part and which is larger than the mouth of the storage part so that the user can hold it by hand and open it; And a straw which is connected at one en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through the outer surface of the storage portion and the other end is formed vertically to the top of the container so that a user can take a drink stored inside the container, An outlet hole formed in the shape of a slot in the rim and allowing the beverage stored in the container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 case fixedly installed at the center and having an outlet formed on an upper surface thereof; A wet tissue stored inside the case; And a stopper which is fitted and fixed to an outlet, a part of the wet tissue is fixed on one side, and a hook is formed on the other side, and the container holder is tightly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and is provided with a dry tissue wrapp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 winding section; And a pull-out portion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nding portion, the pull-out portion allowing the skin tissue stored therein to be pulled out, wherein the winding portion comprises: a main body having a hollow space formed therein; And a rotating body which is located in the space portion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inner wall of the body and in which the dried tissues are wound, the draw-out portion being formed by an outflow hole formed in the outer wall of the body; A pair of rollers spaced apart from the drawer and rotatably mounted on the outer wall of the body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rotating belt which is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an elliptical shape and which has one side and the other side fixed to both sides of the roller and which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dried tissue to move the dried tissue to an outflow hole by an external force, Wherein the case is attachable to an upper center of the container lid by an adhesive as the peeling sheet is removed, and when the container lid is recycled, a state in which the wet tissue is used And a new case in which the wet tissue is stored can be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lid after the case is removed.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탈부탁이 가능한 테이크아웃 컵은 용기 홀더 내부에 티슈를 보관하여 사용함으로써, 사용자 손에 묻은 이물질 또는 보행 중 용기 뚜껑의 유출공으로 흘러나온 커피 등을 신속하게 닦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take-out cup capable of removing th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allowing the user to quickly wipe the foreign substances adhering to the user's hand or the outflow hole of the lid of the container while the tissue is stored in the container holder have.
또한, 용기 뚜껑 재활용시, 물티슈를 사용한 상태이면 케이스를 제거한 후, 물티슈가 보관된 새로운 케이스를 용기 뚜껑 상단에 부착 가능하여, 물티슈의 사용상태에 따라 케이스를 용이하게 탈부착하여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ntainer lid is recycled, the case may be removed in the state where the wet tissue is used, and then a new case storing the wet tissue may be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lid to easily attach and detach the case according to the use state of the wet tissu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탈부탁이 가능한 테이크아웃 컵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탈부탁이 가능한 테이크아웃 컵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탈부탁이 가능한 테이크아웃 컵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탈부탁이 가능한 테이크아웃 컵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ake-out cup capable of removing a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a take-out cup capable of removing th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ectional view of a take-out cup capable of removing th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and 5 are top and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use state of the take-out cup capable of removing th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탈부탁이 가능한 테이크아웃 컵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take-out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탈부탁이 가능한 테이크아웃 컵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탈부탁이 가능한 테이크아웃 컵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탈부탁이 가능한 테이크아웃 컵의 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탈부탁이 가능한 테이크아웃 컵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ake-out cup capable of removing a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take-out cu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lan view of the take-out cup, and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take-out cu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탈부탁이 가능한 테이크아웃 컵은 용기(10), 용기 뚜껑(20) 및 용기 홀더(30)를 포함할 수 있다.1 to 5, a take-out cup capable of removing th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용기(10)는 상부가 개방되고, 하측이 좁고 상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태의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용기(10)는 하부에 형성되고 스틱 형태로 포장된 설탕이 보관되는 수납부(11)와, 수납부(11)의 입구가 밀폐되도록 접착되고 수납부(11)의 입구보다 크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시트지(12) 및 일단이 수납부(11)의 외측면을 통해 용기 바닥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용기(10)의 상부로 수직 되게 형성되며 사용자가 용기(10) 내부에 저장된 음료를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빨대(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용기 뚜껑(20)은 용기(10)의 상부에 끼움 고정되고, 용기(10)의 상부를 밀폐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용기 뚜껑(20)은 테두리에 장공 형태로 형성되고, 용기 내부에 저장된 음료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유출공(21)이 형성될 수 있다. 용기 뚜껑(20)은 케이스(22) 및 마개(24)를 포함할 수 있다.The
케이스(22)는 용기 뚜껑(20)의 상단 중앙에 형성되고, 내부에 물티슈(25)가 보관되며, 상단에는 물티슈(25)가 배출되도록 배출구(23)가 형성될 수 있다.The
마개(24)는 일측에 케이스(22) 내부에 보관된 물티슈(25)의 일부가 끼움 고정된 상태에서 배출구(23)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마개(24)는 타측에 고리(26)가 형성될 수 있다.The
고리(26)는 배출구(23)에 삽입된 마개(24)를 사용자가 용이하게 이탈시키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고리(26)를 잡고 외측방향으로 힘을 주게 되면 마개(24)의 일측에 고정되어 있던 물티슈(25)가 케이스(22) 내부에서 이탈되어 배출구(23)를 통해 외부로 나오게 된다.The
용기 홀더(30)는 용기(10)의 외주면에 끼움 고정되고, 용기(10) 내부에 저장된 뜨거운 음료로 인해 사용자의 손에 화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용기 홀더(30)는 권취부(30a) 및 인출부(3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권취부(30a)는 두루마리 형태로 감겨있는 마른 티슈(330)를 보관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권취부(30a)는 본체(310) 및 회전체(3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winding
본체(310)는 가운데 중공부 형태의 상부가 넓고 하부로 갈수록 좁아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310)는 용기(1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내벽(311)과, 공간부(313)가 형성되도록 내벽(311)과 이격되게 형성된 외벽(312)을 포함할 수 있다.The
회전체(32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본체(310)의 공간부(313)에 위치되며, 본체(310)의 내벽(311)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될 수 있다. 회전체(320)는 본체(310)를 중심으로 회전되고, 외주면에는 마른 티슈(330)가 두루마리 형태로 권취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rotating
인출부(30b)는 회전체(320)에 권취된 마른 티슈(330)가 외부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인출부(30b)는 인출공(340), 롤러(350) 및 회전벨트(360)를 포함할 수 있다.The lead-out
인출공(340)은 본체(310)의 외벽(312) 일부를 절개하여 형성되고, 회전체(320)에 권취된 마른 티슈(330)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롤러(350)는 본체(310)의 외벽에 인출공(340)과 이격되게 형성되고, 한 쌍으로 형성되어 서로 이격되게 축 고정될 수 있다. 한 쌍으로 구비된 롤러(350)의 양측에는 회전벨트(360)가 체결되어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경유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롤러(350)는 외주면에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벨트(360)의 내측면에 형성된 홈과 맞물리도록 할 수 있다.The
회전벨트(360)는 일정길이를 갖는 타원 형상의 외측면에 엠보싱이 형성되고, 일측 및 타측이 롤러(350) 양측에 체결되며, 마른 티슈(330)의 일면과 밀착되어 외력에 의해 마른 티슈(330)를 인출공(340)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회전벨트(360)는 고무밴드 형태로 형성되고, 엠보싱은 사용자가 회전벨트(360)를 회전시킬 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The
한편,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인출부(30b)의 작동 설명을 상세하게 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먼저, 사용자가 용기 홀더(30)를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를 이용하여 회전벨트(360)의 외측면을 인출공(340)이 형성된 반대측 방향으로 밀어주게 되면 회전벨트(360)는 롤러(350)에 의해 회전되고, 회전벨트(360)와 밀착된 마른 티슈(330)는 회전벨트(360)에 의해 이동되면서 인출공(340) 외부로 이동하게 된다.First, when the user grips the
다음, 인출공(340) 외부로 마른 티슈(330)의 일단부가 배출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마른 티슈(330)의 일단부를 잡아당기면 회전체(320)가 회전되면서 회전체(320)에 권취된 마른 티슈(330)가 인출되도록 한다. 이때, 마른 티슈(330)는 일정간격 이격되게 절취선이 형성되어 그 절취선을 따라 절취하여 사용될 수 있다.Next, when one end of the dried
한편, 마른 티슈(330)는, 제1티슈와, 제2티슈 및 향기티슈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dried
제1티슈는, 외부로부터 향수가 투입되도록 통공이 형성된다.In the first tissue, a through hole is formed so that perfume is injected from the outside.
제2티슈는, 제1티슈의 하측면에 구비되어 결합된다.The second tissue is attach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rst tissue.
향기티슈는, 제1티슈와 제2티슈 사이에 구비되고, 통공으로 투입된 향수가 스며들어 저장되고 저장된 향수를 발향한다.The perfume tissue is provided between the first tissue and the second tissue, and the perfume poured into the through-holes permeates and stores and emits the stored perfume.
이때, 물티슈(25)는, 마른 티슈(330)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또한, 향기티슈는, 내부로 향수가 스며들게 하는 미세홀과, 메세홀들과 내통되어 미세홀들을 통해 스며든 향수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포함한다.The perfume tissue further includes a fine hole for impregnating the perfume into the inside thereof and a storing portion for storing the perfume permeated through the fine holes through the meshed holes.
이에 따라, 사용자는, 마른 티슈(330) 또는 물티슈(25)를 사용함으로써, 청결을 유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발향되는 향수에 의해 상쾌한 느낌을 갖을 수 있다.Accordingly, by using the dried
한편, 케이스는, 하측면에 도포된 접착제 및 상기 접착제에 부착된 박리지를 포함한다.On the other hand, the case includes an adhesive coated on the lower side and a release paper adhered to the adhesive.
이러한 케이스는, 박리지가 제거됨에 따라 접착제에 의해 상기 용기 뚜껑의 상단 중앙에 부착 가능한다.Such a case is attachable to the upper center of the container lid by an adhesive as the peeling paper is removed.
즉, 용기 뚜껑 재활용시, 물티슈를 사용한 상태이면 케이스를 제거한 후, 물티슈가 보관된 새로운 케이스를 상기 용기 뚜껑 상단에 부착 가능하다.That is, when the container lid is recycled, a new case in which the wet tissue is stored can be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lid after removing the case when the wet tissue is used.
10; 용기 11; 수납부
12; 시트지 13; 빨대
20; 용기 뚜껑 21; 유출공
22; 케이스 23; 배출구
24; 마개 25; 물티슈
26; 고리 30; 용기 홀더
30a; 권취부 30b; 인출부
310; 본체 311; 내벽
312; 외벽 313; 공간부
320; 회전체 330; 마른 티슈
340; 인출공 350; 롤러
360; 회전벨트 10;
12;
20;
22;
24;
26;
30a;
310; A
312; An
320;
340;
360; Rotating belt
Claims (1)
용기 상부에 끼움 고정되고, 용기 상부를 밀폐하는 뚜껑; 및
용기 외주면에 끼움 고정되는 용기 홀더;를 포함하되,
용기는,
하부에 형성되고, 스틱 형태로 포장된 설탕이 보관되는 수납부와,
수납부의 입구가 밀폐되도록 접착되고, 수납부의 입구보다 크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 개방할 수 있도록 하는 시트지 및
일단이 수납부의 외측면을 통해 용기 바닥면에 연결되고, 타단은 용기의 상부로 수직되게 형성되며, 사용자가 용기 내부에 저장된 음료를 섭취할 수 있도록 하는 빨대를 포함하고,
용기 뚜껑은,
테두리에 장공 형태로 형성되고, 용기 내부에 저장된 음료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유출공과
중앙에 설치 고정되고, 상측면에 배출구가 형성된 케이스와
케이스 내부에 저장되는 물티슈 및
배출구에 끼움 고정되고, 일측에 물티슈의 일부가 고정되며, 타측에는 고리가 형성된 마개를 포함하며,
용기 홀더는,
용기 외주면에 밀착 고정되고, 내부에는 둘레 방향으로 권취된 마른 티슈가 구비된 권취부 및
권취부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내부에 저장된 마른 티슈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하는 인출부를 포함하되,
권취부는,
원통형상의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본체 및
공간부에 위치되고, 본체 내벽에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되며, 마른 티슈가 권취된 회전체를 포함하고,
인출부는,
본체의 외벽에 형성된 인출공과,
인출공과 이격되게 형성되고, 본체의 외벽에 서로 이격되게 축 고정되어 회전하는 한 쌍의 롤러 및
타원 형상의 외측면에 엠보싱이 형성되고, 일측 및 타측이 롤러 양측에 체결되며, 마른 티슈의 일면과 밀착되어 외력에 의해 마른 티슈를 인출공으로 이동시키는 회전벨트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하측면에 도포된 접착제 및 상기 접착제에 부착된 박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상기 박리지가 제거됨에 따라 접착제에 의해 상기 용기 뚜껑의 상단 중앙에 부착 가능하며,
상기 용기 뚜껑 재활용시, 물티슈를 사용한 상태이면 케이스를 제거한 후, 물티슈가 보관된 새로운 케이스를 상기 용기 뚜껑 상단에 부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 탈부착이 가능한 테이크아웃 컵.A container which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its top opened and in which a beverage is stored;
A lid which is fitt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and seals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And
And a container holder fitted and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The container,
A storage portion formed at a lower portion for storing sugar packed in a stick form,
A sheet which is glued so as to close the inlet of the storage part and formed so as to be larger than the inlet of the storage part so that the user can hold it by hand,
A straw which is connect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ontainer through an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at one end and formed vertically to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so that a user can take a drink stored in the container,
The container lid,
An outflow hole formed in the form of a long hole in the rim and allowing the beverage stored in the container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 case fixedly installed at the center and having an outlet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Wipes stored inside the case and
And a stopper which is fitted and fixed to the discharge port and has a part of the wet tissue fixed on one side and a ring formed on the other side,
The container holder,
A winding part fixed tightly to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and provided with a dried tissue wrapped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a draw-out portion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winding portion, the drawn-out portion being configured to draw out the dried tissue stored therein,
The wind-
A body formed with a space portion inside a cylindrical shape, and
A rotating body which is located in a space portion and is rotatably coupled to an inner wall of the main body and in which a dried tissue is wound,
The draw-
A draw-out hole formed in an outer wall of the main body,
A pair of rollers which are spaced apart from the drawer and are rotatably mounted on the outer wall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 rotating belt which is formed by embossing on an outer surface of an elliptical shap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which are fastened to both sides of the roller, and which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one surface of the dried tissue to move the dried tissue to the drawing-
The case includes an adhesive applied on a lower side and a release paper adhered to the adhesive,
Wherein the case is attachable to an upper center of the container lid by an adhesive as the peeling paper is removed,
Wherein the case is detachable when the container lid is recycled, and a new case in which the wet tissue is stored can be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lid after the case is removed.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80689A KR101718245B1 (en) | 2015-12-17 | 2015-12-17 | cup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80689A KR101718245B1 (en) | 2015-12-17 | 2015-12-17 | cup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718245B1 true KR101718245B1 (en) | 2017-04-04 |
Family
ID=58588269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180689A Expired - Fee Related KR101718245B1 (en) | 2015-12-17 | 2015-12-17 | cup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718245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489970Y1 (en) | 2019-04-01 | 2019-09-03 | 김명룡 | Drink cup for take out |
Citations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6749082B1 (en) * | 2002-12-18 | 2004-06-15 | Nickel Drumworks Usa, Inc | Cup holder and napkin |
| KR100863770B1 (en) * | 2007-02-05 | 2008-10-16 | 김지혜 | Takeaway Cup Holder |
| KR200451321Y1 (en) | 2010-02-24 | 2010-12-10 | 박정미 | Portable cup |
| KR20130095217A (en) | 2012-02-17 | 2013-08-27 | 주식회사 케이앤랩 | Lid of cup and portable case for carrying thereof |
| KR20130113860A (en) * | 2012-04-08 | 2013-10-16 | 이인순 | Cup holder with tissue case |
| KR101583489B1 (en) * | 2014-12-31 | 2016-01-12 | 이경록 | cup |
-
2015
- 2015-12-17 KR KR1020150180689A patent/KR10171824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6)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6749082B1 (en) * | 2002-12-18 | 2004-06-15 | Nickel Drumworks Usa, Inc | Cup holder and napkin |
| KR100863770B1 (en) * | 2007-02-05 | 2008-10-16 | 김지혜 | Takeaway Cup Holder |
| KR200451321Y1 (en) | 2010-02-24 | 2010-12-10 | 박정미 | Portable cup |
| KR20130095217A (en) | 2012-02-17 | 2013-08-27 | 주식회사 케이앤랩 | Lid of cup and portable case for carrying thereof |
| KR20130113860A (en) * | 2012-04-08 | 2013-10-16 | 이인순 | Cup holder with tissue case |
| KR101583489B1 (en) * | 2014-12-31 | 2016-01-12 | 이경록 | cup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489970Y1 (en) | 2019-04-01 | 2019-09-03 | 김명룡 | Drink cup for take out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583489B1 (en) | cup | |
| US6536707B2 (en) | Moistened tissue dispenser with ejection mechanism and paper roll package for use therein | |
| US20060101564A1 (en) | Portable multiple liner cuspidor | |
| US20090200328A1 (en) | Wipes Canister | |
| KR100757255B1 (en) | Tea strainer | |
| KR101718248B1 (en) | cup | |
| KR101794511B1 (en) | lower turning ejection bottle | |
| KR101718245B1 (en) | cup | |
| KR101596602B1 (en) | cup | |
| US10076198B2 (en) | Portable food or beverage and condiment kit | |
| KR101583488B1 (en) | cup | |
| KR101742949B1 (en) | cup | |
| KR101718246B1 (en) | cup | |
| KR101718247B1 (en) | cup | |
| RU2594858C2 (en) | Batching device | |
| US20170164768A1 (en) | Beverage container with closure and integrated straw | |
| KR101832086B1 (en) | Cup cleaning means | |
| KR101523522B1 (en) | Portable scrubber container | |
| KR102212090B1 (en) | Tumbler with straw | |
| JP2007528323A (en) | Infusion container for tea etc., consisting of cover and infusion bag | |
| KR200315091Y1 (en) | Single-use drinking cup | |
| KR101891303B1 (en) | Receipt case for spatula | |
| KR101779373B1 (en) | Lipgloss case | |
| KR200482869Y1 (en) | cap of wet wipes case | |
| KR20130012796A (en) | Beverage can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1031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10315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