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9528B1 - Coffee holder for mocaport - Google Patents
Coffee holder for mocapor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19528B1 KR101719528B1 KR1020150065457A KR20150065457A KR101719528B1 KR 101719528 B1 KR101719528 B1 KR 101719528B1 KR 1020150065457 A KR1020150065457 A KR 1020150065457A KR 20150065457 A KR20150065457 A KR 20150065457A KR 101719528 B1 KR101719528 B1 KR 10171952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ffee
- basket
- lower container
- guide
- compaction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4—Coffee-making apparatus with rising pip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07—Lids, covers or kno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카포트의 바스켓에 커피가루를 담을 때 커피가루가 주변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주방이나 사무실 등을 청결하게 하는데 사용하는 모카포트용 커피홀더에 관한 것이고,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본 발명에 의한 모카포트용 커피홀더는 상단컨테이너와 하단컨네이너 및 하단컨테이너의 상단에 설치되는 바스켓으로 구성된 모카포트의 하단컨테이너의 상단에 설치되고 바스켓에 커피가루를 담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하단에는 하단컨테이너의 상단 외경을 덮도록 내부로 오목하게 하단컨테이너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하단의 하단컨테이너 결합홀과 연통되고 하단컨테이너 상단에 결합되는 바스켓의 외경과 일치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가이드로 실현 가능하며, 모카포트를 이용해 에스프레소커피를 만드는 과정에서 커피가루가 주변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주변을 청결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ffee holder for a mocha pot which is used to clean a kitchen or an office by preventing coffee powder from falling to the surrounding area when the coffee powder is contained in a basket of a mocha port. The coffee holder for a mocha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a lower container of a mocha port composed of an upper container, a lower container, and a basket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lower container, and is used for containing coffee powder in a basket. A lower stage container coupling hole is formed so as to cover the upper outer diameter of the lower container, and a guide having a guide hole formed at the upper end thereof and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container coupling hole at the lower end and coinciding with the outer diameter of the basket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container It is possible to make espresso coffee using mocha pot. In serve to prevent the coffee powder from falling around. Therefore, the surrounding can be cleaned.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서 사용하는 간이 에스프레소머신인 모카포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모카포트의 바스켓에 커피가루를 담을 때 커피가루가 주변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주방이나 사무실 등을 청결하게 하는데 사용하는 모카포트용 커피홀더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ccaport, which is a simple espresso machine used in a home or office, and more particularly, to prevent a coffee powder from falling to the surrounding area when the coffee powder is contained in a basket of a mocha port, To a coffee holder for a mocha pot to be used.
주로 열대지방에서 재배되는 커피는 특유의 향과 맛을 가지고 있어 다양한 국가에서 많은 애호가들이 음용하는 차로 소비되고 있다. 더욱이 커피는 다양한 문화와 접목되어 여러 종류의 차로 개발되었고, 소비자들의 경제력에 따라서 저가의 인스턴트식품으로 판매되는 경우도 많으나, 특유의 향과 맛을 찾는 소비자들에게는 특별히 소량만이 제배되는 커피가 고가로 판매되기도 한다.Mainly cultivated in the tropics, coffee has a unique flavor and flavor and is consumed as a drink by many enthusiasts in various countries. Furthermore, coffee has been developed into various kinds of tea by combining various cultures. In many cases, it is sold as low-priced instant food according to the economic power of consumers. However, for consumers who peculiar flavor and taste, .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2000년 이전에는 인스턴트커피가 시장의 주를 이루었으나, 2000년 이후부터는 점차 카페문화의 발달로 인해 원두커피로 그 수요가 이전되고 있고, 최근에는 가정에서도 원두커피를 즐길 수 있게 하는 다양한 캡슐커피머신등의 보급이 급증하고 있는 실정이다.In Korea, even before 2000, instant coffee became the mainstay of the market, but since 2000, the demand for coffee has been shifted due to the development of cafe culture. Recently, And the spread of various capsule coffee machines is rapidly increasing.
그중 모카포트라는 커피머신은 부피가 작고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가정용 커피머신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한잔 내지 서너잔 정도의 커피를 손쉽게 추출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것이고, 유럽에서 1900년대 초반에 개발된 이후 꾸준히 사용해 오고 있는 오랜 역사를 가진 주방기구에 속한다.Among them, the MochaPort coffee machine is a small, easy-to-use home coffee machine. It is designed for easy extraction of one to three or four cups of coffee. It was developed in Europe in the early 1900s and has been used continuously It belongs to a kitchen utensil with a long history.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모카포트(1)는 하단컨테이너(10)와 상단컨테이너(20) 및 바스켓(30)으로 구성된다.1 and 2, the mocha port 1 is composed of a
하단컨테이너(10)는 물이 담기고 끓여지는 일종의 포트이고, 상단컨테이너(20)는 추출된 에스프레소커피가 담기는 곳이며, 바스켓(30)은 상단컨테이너(20)와 하단컨테이너(10) 사이에 설치되고 에스프레소커피를 만드는데 사용되는 커피가루가 담기는 곳이다.The
모카포트(1)의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하단컨테이너(10)에 물을 담은 후 하단컨테이너(10)의 입구에 바스켓(30)을 설치한다. 바스켓(30)이 설치된 후 바스켓(30)에는 커피가루가 담겨지고, 커피가루는 바스켓(30) 상부로 돌출되게 볼록하게 담겨지게 한 뒤 다짐기(40)로 가볍게 다져넣어 바스켓(30) 상부로 커피가루가 돌출되지 않게 한다.The method of using the mocha pot (1) is as follows. First, water is stored in the
이후, 바스켓(30) 상부로 상단컨테이너(20)를 올려놓은 후 상단컨테이너(20)와 하단컨테이너(10)를 결합시킨다. 상단컨테이너(20)와 하단컨테이너(10)가 결합되면 하단컨테이너(10)의 내부는 외부와 완전히 차단된 밀폐된 공간이 된다.Thereafter, the
이와같이 모카포트(1)의 준비가 완료되면 모카포트(1)는 버너에 올려져 가열된다. 버너에 직접 올려지는 부분은 하단컨테이너(10)이고, 버너의 열에 의해 하단컨테이너(10) 내부의 물이 가열되면서 증기압이 상승하게 된다.When the preparation of the mocha port 1 is completed, the moat port 1 is heated on the burner. The portion directly raised to the burner is the
하단컨테이너(10) 내부의 증기압이 상승하게 되면, 이들 증기압은 하단컨테이너(10) 내부의 물을 바스켓(30) 하부의 수관(3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려 하고, 고온고압의 물이 먼저 수관(31)을 통해 바스켓(30)을 경유한 후 상단컨테이너(20)의 배출관(21)을 통해 상단컨테이너(20) 상부로 이동한 뒤 배출관 상부의 배출구(22)를 통해 상단컨테이너(20) 내부로 배출된다.When the vapor pressure in the
이 과정에서 고온고압의 물은 바스켓(30)의 커피가루에서 진한 커피액을 추출하게 되어, 상단컨테이너(20)로 이동한 물은 진한 에스프레소커피로 만들어진다.In this process, the high-temperature, high-pressure water extracts the thick coffee liquid from the coffee powder of the
이처럼 모카포트(1)는 구조가 간단한 것은 물론 사용도 간판한 장점이 있고, 이러한 장점과 함께 개인의 취향에 맞는 원두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 등으로 인해 사용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As described above, the mocha pot (1) is not only simple in structure, but also has advantages in that it can be used. In addition to these advantages, users are steadily increasing due to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use a bean suited to individual taste.
그러나 커피가루를 바스켓(30)에 담는 과정에서 커피가루가 바스켓(30) 주변으로 떨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는 바스켓(30)에 커피가루를 담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로, 바스켓(30)의 커피가루는 에스프레소커피를 추출하는 대상물이기도 하나, 모카포트(1)의 추출압을 조절하는 압력의 조절수단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However,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coffee powder can fall around the
즉, 커피가루를 흘리지 않게 담는 것도 중요하지만, 일정압으로 다져지는 것도 하단컨테이너(10)의 증기압을 유지하는데 기여를 하기 때문에 바스켓(30)의 상부로 돌출되게 커피가루를 쌓은 후 이를 다져넣어 평탄하게 만드는 작업은 반드시 거쳐야만 한다.That is, it is also important to prevent the coffee powder from flowing. However, since the coffee powder is formed at a constant pressure to contribute to maintaining the vapor pressure of the
즉, 커피가루를 바스켓(30)에 수북이 담는 과정과 이를 다져넣는 과정에서는 필연적으로 커피가루가 주변으로 떨어질 수 밖에 없는 것이다. 따라서 모카포트(1)를 사용한 후에는 주변이 커피가루로 지저분해지는 문제가 있고, 사용자들은 대부분 모카포트(1)를 사용할 때 바닥에 손수건이나 타올 등을 깔아놓고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That is, in the process of putting the coffee flour into the
그러나 이 역시 불편함을 느끼는 경우가 많고, 바쁜 생활속에서 간단히 차 한잔의 여유를 누리고자 하는 여성들의 경우에는 자신의 취향에 맞는 커피를 손쉽게 제작할 수 있는 모카포트(1)의 사용을 희망하면서도 사용 시 발생하는 커피가루 날림과 청소를 매우 귀찮은 일로 생각하여 이를 개선할 것을 요구하는 경우도 많은 것이 현실이다.
However, this is also often uncomfortable, and in the case of women who want to enjoy a cup of tea in a busy life, they are hoping to use a mocha pot (1) that can easily make coffee that suits their taste. There are many cases whe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coffee dusting and cleaning, which is very troublesome, and to improve it.
본 발명은 모카포트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카포트를 사용할 때 커피가루가 주변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데 사용되는 커피홀더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occurring in the process of using the mocha po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ffee holder used for preventing the coffee powder from falling to the surroundings when using the mocha port.
더불어, 기존에는 사용자가 느낌으로만 커피가루의 양을 정하던 것을 보다 정확하게 계량할 수 있도록 하여 일정한 맛의 에스프로소커피를 추출할 수 있도록 하는 커피홀더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ffee holder capable of extracting espresso coffee having a certain taste by allowing a user to accurately measure the amount of coffee powder only by the feeling.
더불어,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커피홀더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In addition,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coffee holder which can be used hygienically.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된 본 발명에 의한 모카포트용 커피홀더는 상단컨테이너와 하단컨네이너 및 하단컨테이너의 상단에 설치되는 바스켓으로 구성된 모카포트의 하단컨테이너의 상단에 설치되고 바스켓에 커피가루를 담는데 사용되는 것으로서, 하단에는 하단컨테이너의 상단 외경을 덮도록 내부로 오목하게 하단컨테이너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하단의 하단컨테이너 결합홀과 연통되고 하단컨테이너 상단에 결합되는 바스켓의 외경과 일치하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가이드로 실현 가능하다.The coffee holder for a mocha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a lower container of a mocha port composed of an upper container, a lower container and a basket installed at the upper end of the lower container, A bottom container connecting hole is formed concavely inwardly to cover the upper outer diameter of the lower container at the lower end, an outer diameter of the basket communicated with the lower container connecting hole at the lower end and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container, It can be realized by a guide formed with matching guide holes.
더불어, 가이드홀의 측면에는 커피가루의 양을 계량할 수 있는 계량눈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weighing scale capable of measuring the amount of coffee powder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guide hole.
더불어, 가이드홀의 하단부는 바스켓의 상단 내부로 0.5 내지 1 밀리미터 삽입되는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guide hole is formed with a projection inserted into the upper end of the basket by 0.5 to 1 millimeter.
더불어, 가이드에는 가이드홀의 커피가루를 바스켓 내부로 다져넣는 다짐기가 결합되고, 다짐기는 커피가루를 바스켓에 다져넣는 다짐부와 손으로 잡는 손잡이로 구성되고, 다짐부는 바스켓 및 가이드홀의 외경과 동일하게 제작되며, 손잡이는 가이드의 결합홀의 내경과 동일하게 제작되고, 보관 시에는 가이드와 다짐기가 사용 시의 역방향으로 결합되어 보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guide has a compaction unit for putting coffee powder in the guide hole into the basket. The compaction unit is composed of a compaction unit for putting the coffee powder into the basket and a handle for holding the coffee powder. The compaction unit is made the same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basket and the guide hole And the handle is formed to have the same inner diameter as the coupling hole of the guide, and the guide and the compaction unit are combined and stored in the reverse direction when used.
더불어, 다짐기의 다짐부 내부에는 자석이 설치되고, 가이드와 다짐기를 보관할 때 다짐기의 다짐부에는 자석과 결합되는 덮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 magnet is installed inside the compaction unit of the compaction apparatus, and a cover which is coupled with the magnet is installed in the compaction unit of the compaction apparatus when storing the guide and the compaction apparatus.
본 발명인 모카포트용 커피홀더는 모카포트를 이용해 에스프레소커피를 만드는 과정에서 커피가루가 주변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주변을 청결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coffee holder for the mocha pot of the present invention serves to prevent the coffee powder from falling to the surroundings in the process of making the espresso coffee using the mocha pot. Therefore, the surrounding can be cleaned.
더불어, 가이드를 이용해 정확한 양의 커피가루를 계량하면서 바스켓에 담을 수 있는 효과가 있어, 일정한 맛의 에스프레소커피를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guide can be used to weigh exactly the amount of coffee powder and put it in the basket, which can be used to make espresso coffee with a certain taste.
또한, 자석과 금속재질의 덮개를 이용해 작은 크기로 보관이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고, 물로 세척이 가능하여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을 것이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tore in a small size using a cover made of a magnet and a metal material, and it is also possible to use it for a long time because it can be washed with water.
도 1은 종래 모카포트에 커피가루를 담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2는 에스프레소커피를 만들기 위한 모카포트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카포트용 커피홀더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모카포트용 커피홀더 중 가이드를 상세히 도시한 요부 확대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모카포트용 커피홀더를 이용해 커피가루를 바스켓에 담는 것을 도시한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카포트용 커피홀더를 보관하기 위해 결합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카포트용 커피홀더를 보관하는 것을 도시한 설명도이다.1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how coffee powder is contained in a conventional mocha pot,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ocha pot for making espresso coffe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ffee holder for a mocha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s of the coffee holder for mocha pot of Fig. 3 in detail,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using a coffee holder for a mocha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for storing a coffee holder for a mocha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planatory view showing storage of a coffee holder for a mocha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카포트용 커피홀더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a coffee holder for a mocha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카포트용 커피홀더(2: 이하, 커피홀더라 함)는 가이드(100)로 구성되고, 커피가루를 바스켓(30)에 담고 평탄하게 다져넣는데 사용하는 다짐기(200)도 함께 구성될 수 있다.3 to 5, a coffee hold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ffee holder) 2 for a mocha p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ituted by a
가이드(100)는 모카포트(1)를 구성하는 하단컨테이너(10)의 상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하단컨테이너(10)의 상단 개구부에 커피가루가 담기기 전 바스켓(30)이 설치된 후 바스켓(30)과 하단컨테이너(10)의 상단에 설치된다.The
이를 위해 가이드(100)는 하단에 하단컨테이너(10)의 상단 외경과 일치하는 하단컨테이너 결합홀(110)이 내부로 오목하게 파인 형상으로 형성된다. 가이드(100)의 상단에는 하단의 하단컨테이너 결합홀(110)과 연통되고, 하단컨테이너(10) 상단에 결합된 바스켓(30)의 외경과 일치하는 가이드홀(120)이 형성된다.To this end, the
즉, 가이드(100)의 내부에는 상하 연통되게 가이드홀(120)과 하단컨테이너 결합홀(110)이 형성되고, 이들 가이드홀(120)과 하단컨테이너 결합홀(110)의 사이에는 단턱이 형성된다.In other words, a
더불어, 가이드홀(120)의 측면에는 커피가루의 양을 계량할 수 있는 계량눈금(121)이 형성될 수도 있다. 계량눈금(121)은 커피가루의 양을 정확히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전과 같이 바스켓(30)에 커피가루를 담을 때 호를 이루 듯 완만하게 커피가루를 쌓던 방식과 달리,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100)에 의해 바스켓(30) 상부로도 커피가루를 평탄하게 넣을 수 있기 때문에 커피가루의 정확한 양을 측정할 수 있게 한 것이다.In addition, a
또한, 가이드홀(120)의 하단부에는 바스켓(30)의 상단 내부로 삽입되는 돌기(122)가 더 형성될 수도 있다. 돌기(122)의 기능은 가이드(100)를 하단컨테이너(10)로부터 분리할 때 가이드(100)와 하단컨테이너(10)의 결합면 사이로 커피가루가 들어간 뒤 외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고, 바스켓(30) 상단 내부로 0.5 내지 1 밀리미터 삽입되게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즉, 돌기(122)는 애초부터 커피가루가 하단컨테이너(10)의 상단면과 가이드(100)의 하단면 사이의 틈으로 들어가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시키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In other words, the
도 6과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 추가로 구성되는 다짐기(200)는 가이드(100)와 결합되어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한 것으로서, 다짐부(210)와 손잡이(220)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S. 6 and 7, the
다짐부(210)는 커피가루를 바스켓(30)에 다져넣는 것으로서, 외경이 가이드홀(120) 및 바스켓(30)의 외경과 동일하게 제작된다. 이때 동일하다는 의미는 수치상 1밀리미터 이하의 범위에서 동일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기계가공상의 공차로는 헐거운 끼워맞춤 정도에 해당한다. 따라서 외견상으로는 일치하나 실제 사용 시에는 다짐부(210)가 가이드홀(120)을 통해 이동하는데 제한이 없고, 바스켓(30)의 상부로 충분히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The
다짐기(200)의 손잡이(220)는 가이드(100)의 하단컨테이너 결합홀(110) 내경과 동일하게 제작되고, 보관 시에는 가이드(100)와 다짐기(200)가 사용 시의 역방향으로 결합되어 보관된다.The
즉, 사용 시에는 가이드(100)는 하단컨테이너 결합홀(110)이 하단컨테이너(10) 및 바스켓(30)의 상단에 결합되고 다짐기(200)의 다짐부(210)가 가이드홀(120)로 삽입되어 커피를 다지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사용을 하지 않고 보관할 시에는 다짐기(200)의 손잡이(220)가 가이드(100)의 하단컨테이너 결합홀(110)로 삽입되고, 다짐부(210)는 가이드홀(120)에 삽입되게 결합되어 부피가 최소가 되게 한 후 보관된다.In use, the
또한, 다짐기(200)의 다짐부(210) 내부에는 자석(211)이 설치될 수 있다. 자석(211)은 통상의 것이 사용되는 것이나, 단부가 다짐부(210)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다짐부(210)에 설치되는 자석(211)은 다짐부(210) 및 가이드홀(120)의 내측면 등으로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다짐부(210)의 표면에는 가이드(100)의 가이드홀(120) 외부에 부착되는 금속재질의 덮개(230)가 설치된다.The
이처럼 자석(211)과 금속재질의 덮개(230)를 이용해 다짐부(210)를 보호하는 것은 유기물인 커피가루가 직접 닿는 가이드(100)와 다짐기(200)의 위생을 고려한 것으로서, 사용 후 물로 세척한 가이드(100)와 다짐기(200)에 이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이다.Protecting the
즉, 이물질이 부착되기 유리한 나사나 클램프가 일체 없도록 하여 커피홀더(2)의 세척과 보관을 위생적이며 안전하게 한 것이고, 자석(211)에 덮개(230)를 부착 및 분리시키는 것이 신속하여 사용에도 매우 편리한 이점이 있다.
That is, it is hygienic and safe to clean and store the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커피홀더(2)의 사용을 다시 한번 명확하게 설명하면, 사용자는 모카포트(1)의 하단컨테이너(10) 내부에 물을 넣은 후 하단컨테이너(10)의 상단 개구부에 바스켓(30)을 설치한다.The use of the
이후, 하단컨테이너(10) 및 바스켓(30)의 상단에 가이드(100)를 올려 놓는다. 가이드(100)는 하단컨테이너 결합홀(110)이 하단컨테이너(10)의 상단에 결합되게 하고, 가이드(100)의 가이드홀(120) 내부로 일정량의 커피가루를 담는다.Thereafter, the
이때, 가이드홀(120)의 측벽에 계량눈금(121)이 있는 경우에는 계량눈금(121)을 보고 커피가루의 양을 더욱 정밀하게 담을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weighing
커피가루가 바스켓(30)과 가이드홀(120) 사이에 충분히 담겨지면, 사용자는 다짐기(200)를 이용해 커피가루를 바스켓(30) 내부로 다져넣는다. 이때, 가이드홀(120)의 하단으로 돌기(122)가 형성되어 있다면, 돌기(122)에 의해 커피가루가 가이드(100)와 하단컨테이너(10) 사이로 침투되는 것이 방지되어 주변이 더렵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When coffee powder is sufficiently contained between the
이처럼 다짐기(200)를 이용해 커피가루를 다지는 작업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하단컨테이너(10)로부터 가이드(100)와 다짐기(200)를 분리시킨다. 이후 하단컨테이너(10)의 상부에는 상단컨테이너(20)가 결합되어 에스프레소커피의 추출준비가 완료된다.After completing the coffee powder using the
이후 모카포트(1)는 버너에 올려져 가열되고, 하단컨테이너(10) 내부의 물이 가열되면서 증기압이 상승하면, 이 증기압에 의해 하단컨테이너(10) 내부의 물은 바스켓(30)의 수관(31)을 통해 상단으로 이동하면서 바스켓(30) 내부의 커피로부터 진한 에스프레소커피를 추출하게 된다.The water in the
추출된 에스프레소커피는 상단컨테이너(20)의 추출관(21)과 추출구(2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상단컨테이너(20)에 담겨진다. The extracted espresso coffe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이처럼 일련의 과정을 통해 에스프레소커피가 추출되면, 에스프레소커피는 원액으로 마실 수도 있으나, 물을 섞어 아메리카노로 만들거나 설탕이나 우유 등을 첨가하여 라떼 등으로 만들어 마시기도 한다. When espresso coffee is extracted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espresso coffee can be consumed as a raw solution, but it can be made into americano mixed with water, or added with sugar or milk to make latte.
사용이 끝난 모카포트(1)와 커피홀더(2)는 분리하여 물로 세척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커피홀더(2)의 경우에는 물기를 제거한 후 별도로 보관한다. 이때, 커피홀더(2)는 분리된 상태로 보관되는 것도 바람직하나, 휴대하거나 보관 시 부피를 줄일 필요가 있을 때에는 사용 시와 반대로 가이드(100)와 다짐기(200)를 결합하여 보관하면 된다.The used mocha port 1 and the
또한, 다짐기(200)의 다짐부(210)에 자석(211)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라면, 다짐부(210) 표면에 가이드(100)의 접촉면까지를 모두 덮을 수 있는 금속재질의 덮개(230)를 설치하여 보관할 수도 있다.When the
지금까지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첨부된 도면과 본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할 것이고, 그러한 모든 변경 및 수정에 대한 균등물들은 모두 본 특허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만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by way of preferred embodiment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 appended claims. All equivalents to the modifications should be regard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patent.
1: 모카포트 2: 모카포트용 커피홀더
10: 하단컨테이너 20: 상단컨테이너
21: 추출관 22: 추출구
30: 바스켓 31: 수관
100: 가이드 110: 하단컨테이너 결합홀
120: 가이드홀 121: 계량눈금
122: 돌기 200: 다짐기
210: 다짐부 211: 자석
220: 손잡이 230: 덮개1: mocha pot 2: coffee holder for mocha pot
10: Lower container 20: Upper container
21: Extraction tube 22: Extraction tube
30: basket 31: water tube
100: Guide 110: Lower container coupling hole
120: guide hole 121: weighing scale
122: Projection 200: Compaction
210: Compaction unit 211: Magnet
220: handle 230: cover
Claims (5)
가이드(100)에는 가이드홀(120)의 커피가루를 바스켓(30) 내부로 다져넣는 다짐기(200)가 결합되며,
다짐기(200)의 다짐부(210)는 바스켓(30)의 내경 및 가이드홀(120)의 외경과 동일하게 제작되고, 다짐기(200)의 손잡이(220)는 가이드(100)의 하단컨테이너 결합홀(110)의 내경과 동일하게 제작되며, 보관 시에는 가이드(100)와 다짐기(200)가 사용 시의 역방향으로 결합되어 보관되고,
다짐기(200)의 다짐부(210) 내부에는 자석(211)이 설치되고, 가이드(100)와 다짐기(200)를 보관할 때 다짐기(200)의 다짐부(210)에는 자석(211)과 결합되는 금속재질의 덮개(23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카포트용 커피홀더.
A lower container coupling hole 110 is formed so as to be concave so as to cover an upper outer diameter of the lower container 10 and a basket which is connected to the lower container coupling hole 110 at the lower end and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container 10, (100) having a guide hole (120) coinciding with the outer diameter of the guide (30)
The guide 100 is provided with a compaction unit 200 for putting coffee powder in the guide hole 120 into the basket 30,
The compaction unit 210 of the compaction unit 200 i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as the inner diameter of the basket 30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guide hole 120 and the grip 220 of the compaction unit 200 is inserted into the lower container- The guide 100 and the compaction unit 200 are combined and stored in a reverse direction in use,
A magnet 211 is installed inside the compaction unit 210 of the compaction unit 200 and the compaction unit 210 of the compaction unit 200 is coupled to the magnet 211 when the compaction unit 200 is stored. And a lid (230) made of a metal material is installed.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065457A KR101719528B1 (en) | 2015-05-11 | 2015-05-11 | Coffee holder for mocapor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065457A KR101719528B1 (en) | 2015-05-11 | 2015-05-11 | Coffee holder for mocaport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60132648A KR20160132648A (en) | 2016-11-21 |
| KR101719528B1 true KR101719528B1 (en) | 2017-04-12 |
Family
ID=5753782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065457A Expired - Fee Related KR101719528B1 (en) | 2015-05-11 | 2015-05-11 | Coffee holder for mocaport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719528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00002263U (en) | 2019-04-05 | 2020-10-15 | 주식회사 휴롬 | Beverage extracto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865831B1 (en) | 2016-12-28 | 2018-06-11 | 주식회사 교원 | A coffee extraction apparatus |
| KR101882752B1 (en) | 2017-05-30 | 2018-07-27 | 최중일 | Coffee extractor |
| KR101952789B1 (en) * | 2017-09-20 | 2019-02-27 | 김해욱 | Coffee making apparatus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03056986A1 (en) | 2002-01-14 | 2003-07-17 | Bruno Bardazzi | Device for making coffee-cream for espresso coffee-machines |
| KR101455150B1 (en) | 2013-06-05 | 2014-10-28 | 주식회사지티빈스 | the dutch combined storage cupboards and coffee powder evenly squeezed tamper holder for coffee brewing |
-
2015
- 2015-05-11 KR KR1020150065457A patent/KR101719528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03056986A1 (en) | 2002-01-14 | 2003-07-17 | Bruno Bardazzi | Device for making coffee-cream for espresso coffee-machines |
| KR101455150B1 (en) | 2013-06-05 | 2014-10-28 | 주식회사지티빈스 | the dutch combined storage cupboards and coffee powder evenly squeezed tamper holder for coffee brewing |
Non-Patent Citations (1)
| Title |
|---|
| 웹게시물2*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00002263U (en) | 2019-04-05 | 2020-10-15 | 주식회사 휴롬 | Beverage extracto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60132648A (en) | 2016-11-21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7858133B2 (en) | Cold brew coffee maker | |
| KR101719528B1 (en) | Coffee holder for mocaport | |
| US20150359377A1 (en) | Single Cup Beverage Maker and Method of Using Same | |
| EP1563774A1 (en) | Spoon brewing apparatus | |
| US20060266225A1 (en) | Single serve beverage maker with adjustable sealed showerhead | |
| JP5554249B2 (en) | A set of parts suitable for use in the beverage making process | |
| US6301961B1 (en) | Insulated beverage carafe with volume indicator | |
| US11849879B2 (en) | Systems for measuring usage of consumables in kitchen appliances | |
| CN113453597B (en) | Coffee machine | |
| BRPI0710680A2 (en) | plastic or aluminum basket system for single use with built-in ground and compressed coffee to be placed in an espresso filter holder | |
| KR101651519B1 (en) | Portable drip coffee extracting device | |
| WO2019144193A1 (en) | Multi-use flask | |
| KR101720015B1 (en) | Dropping bottle drip coffee for coffee production | |
| CN204394022U (en) | Suspensible tea maker | |
| CN107048913A (en) | A kind of three-in-one multiduty teacup for kung-fu tea | |
| KR102700852B1 (en) | Drip coffee maker | |
| TWI884846B (en) | Suspended-support pour-over apparatus and brewing mechanical | |
| TWI860961B (en) | Suspended-support pour-over apparatus and brewing mechanical | |
| AU2014100337A4 (en) | Liquid heater with a movable base assembly | |
| TWM468272U (en) | Coffee maker device | |
| CN215838258U (en) | Electromagnetic suction type elegant cup | |
| US20240382034A1 (en) | Coffee machine drip tray with integrated storage | |
| TR202014063U5 (en) | Turkish coffee preparation machine with milk / non-dairy hot drink | |
| CN104981182B (en) | Full-automatic standby tea device with Dynamic matrix control | |
| NL2000736C2 (en) | Coffee e.g. espresso, preparing apparatus, has water preparation device for preparing hot water, and coffee-making device preparing coffee by closed container for ground coffee extraction through use of hot wate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3040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3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