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9903B1 - Appliance forming socket for extracting broken dental roots - Google Patents
Appliance forming socket for extracting broken dental root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19903B1 KR101719903B1 KR1020150071591A KR20150071591A KR101719903B1 KR 101719903 B1 KR101719903 B1 KR 101719903B1 KR 1020150071591 A KR1020150071591 A KR 1020150071591A KR 20150071591 A KR20150071591 A KR 20150071591A KR 101719903 B1 KR101719903 B1 KR 1017199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ot
- socket
- edge block
- alveolar bone
- ed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2—Tooth drilling or cutting instruments; Instruments acting like a sandblast machin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16—Instruments for performing osteoclasi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6—Tooth grinding or polishing discs; Holder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소켓 내에 잔류하는 치근 발치기구의 진입을 용이하게 하고 치근 상면까지 안정적으로 소켓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한 치근 발치를 위한 소켓 확장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 확장기구(40)는 상부보다 하부 직경이 작은 절두(切頭) 원추형으로써 측면부에 치조골 표면을 절삭하는 복수의 측면날(41a)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하면부에 하면날(41b)이 형성된 에지블럭(41)과, 에지블럭(41)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에 회전모터가 연결되는 회전봉(42)으로 이루어지되, 에지블럭(41)의 하면부 중심에는 날이 형성되지 않은 평면부(41c)가 형성된다.To a socket expanding mechanism for facilitating entry of a root extraction mechanism remaining in a socket and for extending a socket stably to the upper surface of a root of a root.
The enlarging mechanism 40 is a truncated cone having a lower diameter than that of the upper part, and a plurality of side blades 41a cutting the alveolar bone surface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nd a lower surface blade 41b is formed at the lower side And a rotation bar 42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edge block 41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a rotation motor. The edge block 41 has a planar portion 41c are formed.
Description
본 발명은 파절된 치근 발치를 위한 소켓 확장기구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소켓 내에 잔류하는 파절된 치근을 발치하기 위한 기구의 진입을 용이하게 하는 파절된 치근 발치를 위한 소켓 확장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cket extension mechanism for fractured root extra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socket extension mechanism for a fractured root extraction that facilitates entry of a device for extracting a fractured root remaining in the socket.
외과적 발치(tooth extraction)라 함은 치과에서 일반적으로 시행되는 시술 중의 하나로서, 치조골의 흡수가 현저하여 치아의 동요가 심한 경우, 치근단부에 만성염증이 존재하여 보존적 치료가 불가능한 경우, 충치가 고도로 진행되어 치근만 남은 상태에서 보존적 치료나 보철치료가 불가능한 경우, 외상으로 치근이 파괴된 경우, 위치의 이상으로 장애를 야기하는 경우, 치열교정상 필요에 의한 경우에 특정 치아를 제거하는 시술을 의미한다.Surgical tooth extraction is one of the procedures commonly practiced in dentistry. It is a procedure that is commonly performed in the dentistry. When the alveolar bone is absorbed remarkably, the teeth are agitated, the chronic inflammation is present in the apex, Of the teeth are removed and the root is left alone, the conservative treatment or prosthetic treatment is not possible, the root fracture is caused by trauma, the disorder is caused by the position abnormality, It means surgery.
일반적으로 외과적 발치는 발치 겸자(extraction forcep)나 엘리베이터(elevator) 혹은 둘을 동시에 사용하는데, 한 개의 치관(crown)에서 뻗은 싱글 루트(single root)라 해도 끝이 가늘거나 휘어진 경우 혹은 시작은 싱글 루트로 시작해서 치근 첨(root apex)으로 진행하면서 두 개로 나뉘는 경우에는 탈구 과정에서 파절되기 쉬운 경향이 있다. In general, surgical extraction uses an extraction forcep or an elevator or both at the same time, even if it is a single root that extends from one crown, It is prone to fracture in the dislocation process if it is divided into two, beginning with root and proceeding with root apex.
멀티 루트(multi-root)의 경우는 싱글 루트보다 각각의 치근이 가늘고 치근 사이를 중격(septum)이 채우고 있어 파절 위험이 높은 경향이 있다. In the case of multi-root, the root of each root is thinner than that of single root, and the septum is filled between the roots, so that the risk of fracture tends to be high.
해부학적으로 이러한 특징이 두드러진 상악 소구치(premolar)에서 치근이 파절되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치근 주위로 탈구기(luxator)의 날을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기가 소켓(socket) 내에서 치근 첨에 가깝게 파절돼 남겨진 치근일수록 술자의 시야(operation field) 확보가 어렵고 기구의 접근(approach)이 까다로워 시술시 애를 먹는 경우가 많다.Anatomically, root fractures are often seen in premolar premolars with these features. The formation of a space for the use of a luxator blade around the root can be seen in the root of the socket It is often difficult to obtain the operation field of the surgeon and the approach of the instrument is difficult because of the close root fracture.
이런 이유로 치과의사들은 갑작스런 사고에 당황하게 되고 장시간의 고된 시술과 의료사고의 위험에 노출돼왔다.For this reason, the dentists have been baffled by sudden accidents and have been exposed to prolonged periods of severe procedures and medical accidents.
일반적으로 부러진 치근을 제거하기 위해 자주 사용되는 기구로는 끝이 가늘고 뾰족한 루트 팁 픽커(root tip picker)가 있는데, 이것은 치근과 인접 치조골(alveolar bone)과의 좁은 틈(fissure)을 비집고 들어가 치근을 탈구(luxation)시키는 용도로 쓰인다. Commonly used instruments to remove broken roots include a thin, pointed root tip picker that fits a narrow fissure between the root and the adjacent alveolar bone, It is used for the purpose of luxation.
이때 픽커의 날이 치근과 치조골 사이를 파고 들어가 좁은 틈을 만들어 지렛대(lever) 역할을 할 수 있는 든든한 열구를 형성함과 동시에 치근을 탈구시켜야 하는데, 임상에서 시야(operation field) 확보의 어려움, 접근 방향의 불리 등의 이유로 이런 작업이 용이하지가 않았다. At this time, the blade of the picker digs between the root and the alveolar bone to form a narrow gap to form a strong fissure which can serve as a lever, and at the same time, the root must be dislocated. In clinical practice, This was not easy because of the disadvantage of the direction.
루트 팁 픽커(root tip picker)는 그 끝이 날카로워 잘못된 방향으로 무리한 힘을 주게 되면 얇은 골판(bone plate)을 뚫을 수도 있고, 치근 첨과 상악동이 근접한 경우 치근 첨을 향해 힘을 줄 때 치근과 함께 상악동(sinus)을 천공(perforation)하면서 치근과 함께 안으로 밀려들어가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The root tip picker may puncture a thin bone plate if its tip is sharp and gives excessive force in the wrong direction. When the root apex and the maxillary sinus are close together, It may happen that the sinus is pushed together with the root while perforating the sinus.
또 사용 중 치조골이 아닌 치근 부위에 끝을 대고 힘을 주면 그 끝이 무뎌져 재사용 시 본래의 기능을 상실하는 단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tip is applied to the root portion of the root instead of the alveolar bone during use, the end of the tooth is scarred and the original function is lost when reused.
그 밖에도 나사(thread) 형태를 가진 스크류(screw)나 파일(file)을 치수관(pulp canal)내에 삽입하여 치근과 일체화시킨 후 발치 겸자(forcep)를 사용해 뽑아내는 시도가 있어왔다. In addition, there has been an attempt to insert a screw or a file having a thread form into a pulp canal to integrate it with the root and use a forceps.
그러나 치아가 부러지기 전 치근이 충분히 탈구가 이루어진 상태가 아니라면 발거가 어렵고, 또 부러진 작은 치근의 한 가운데의 근관(pulp canal)을 찾는 작업은 시야가 확보되지 않으면 매우 어려우며, 또한 치근을 잡고 뽑아낼 때 마땅한 지렛대(lever)를 찾기가 용이하지 않다.However, if the root is not fully dislocated before the tooth breaks, it is difficult to retrieve it, and finding the pulp canal in the middle of the broken small root is very difficult unless the field of view is secured, It is not easy to find the right lever.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시야 확보가 어렵고 발치 기구의 접근이 어려운 좁고 깊은 소켓 내에서 쉽고 빠르면서도 치조골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파절된 치근 발치를 위한 소켓 확장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ocket extension for a fractured root extraction that is easy and quick in a narrow and deep socket that minimizes visibility,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echanism.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치조골의 소켓 내에 잔류하는 치근 발치를 위한 소켓 확장기구에 있어서,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ocket extending mechanism for extracting a tooth root remaining in a socket of an alveolar bone,
상부보다 하부 직경이 작은 절두(切頭) 원추형으로써 측면부에 상기 치조골 표면을 절삭하는 복수의 측면날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하면부에 하면날이 형성된 에지블럭과,A plurality of side blades for cutting the surface of the alveolar bone on a side surface of the truncated cone having a lower diameter than an upper portion of the truncated cone,
상기 에지블럭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에 회전모터가 연결되는 회전봉으로 이루어지되,And a rotation ba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edge block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a rotation motor,
상기 에지블럭의 하면부 직경은 발치된 치아의 파단면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에지블럭의 하면부 중심부에는 날이 형성되지 않은 평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a bottom diameter of the edge block is formed to be larger than a diameter of a fractured surface of the extracted tooth, and a flat portion having no edge is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a bottom portion of the edge block.
또한, 본 발명 확장기구는 상기 측면날들 사이에 치조골 절삭시 발생하는 출혈 피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홈이 형성되고, 상기 배출홈으로부터 상기 에지블럭의 상면을 관통하는 배출공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discharge groove is formed between the side edges for discharging bleeding occurring when the alveolar bone is cut, and a discharge hole penetra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edge block from the discharge groove is further formed.
또한, 본 발명 확장기구는 상기 에지블럭의 하면부 가장자리에 환형으로 돌출된 환형날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n annular blade projecting in an annular shape is further formed on a bottom edge of the edge block.
본 발명 실시예의 소켓(31) 확장기구(40)는 에지블럭(41) 하면부의 날이 형성되지 아니한 평면부(41c)가 치근(100)의 상면부에 접하면서 더 이상의 절삭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경험이 풍부하지 아니한 치과의사도 안정적으로 확장기구(40)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The
또한, 에지블럭(41)이 하강함에 따라서 평면부(41c)가 뾰족하게 파절된 치근(100)의 상단 첨부(A)부분을 무디게 하여 치근(100)의 상단부분이 두께를 갖도록 함으로써, 향후 발치기구에 의한 발치시 충분한 지레 힘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여 치근(100)의 발치를 용이하게 한다.In addition, as the
또한, 본 발명 실시예의 소켓(31) 확장기구(40)는 측면부와 하면부에 날이 형성된 에지블럭(41)을 소켓(31)에 회전시키면서 진입시켜서 치조골(30)의 벽면이 절삭되면서 확장되게 하는 것으로써, 치근(100)과 치조골(31) 사이에 환형홈(33)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고 발생되는 출혈 피가 배출홈(41d)을 통하여 원할하게 배출되게 하여 치조골(30) 표면의 절삭 정밀도를 높일 수 있게 한다.The
또한, 배출홈(41d)으로부터 에지블럭(41)의 상면을 관통하는 배출공(41e)이 형성됨으로써, 출혈피의 배출을 보다 원할히 할 수 있게 한다.Further, since the
또한, 에지블럭(41)의 하면부 가장자리에 환형으로 돌출된 환형날(41f)이 형성됨으로써, 소켓(31)을 확장시킴과 동시에 치근(100)과 치조골(31) 사이에 환형홈(33)을 형성하여서, 환형홈 형성기구(50)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게 한다.An
도 1a 내지 도 1g는 본 발명 실시예의 확장기구를 사용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개략도,
도 2는 도 1c의 본 발명 실시예의 확장기구 하면부를 나타낸 개략도,
도 3은 도 1e의 환형홈 형성기구를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4는 발치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개략 단면도,
도 6은 발치기구의 끝단부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의 확장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Figures 1a-1g are schematic diagrams that illustrate the process of using an expansion mechanism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n enlarged mechanism bottom part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Fig. 3 is a 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showing the annular groove forming mechanism of Fig. 1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traction mechanism,
Figure 5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4,
6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 end portion of the extraction mechanism,
7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expansion mechanism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치근(齒根;100)은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에 충치가 너무 심하거나 사고로 부러진 경우 또는 발치중 치아(110)가 파절된 경우에 발생하게 되는데, 본 발명 실시예의 소켓(socket) 확장기구는 치근 발치를 위한 발치기구가 치근에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소켓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첨예하게 파절된 치근의 상단부분에 두께를 갖도록 하여 발치기구에 의한 발치시 치근의 상단부분이 부러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발치기구가 충분한 지렛대 힘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FIG. 1A and FIG. 1B, the
특히, 본 발명 실시예의 확장기구는 도 1e의 환형홈 형성기구(50)가 용이하게 소켓(31)내에 진입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본 출원인이 본 발명과 동일자로 출원한 "치근 발치를 위한 치근용 발치기구"(도 4)가 치근과 치조골 사이에 용이하게 진입될 수 있도록 소켓을 확장하기 위한 것이다.In particular, the expansion mechanism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annular
통상적으로 소켓(31)의 형상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30)에 깊이 들어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면서 한쪽으로 굽어지는 형상으로 되어 있고, 부러진 치근(100)은 굽어진 소켓(31)의 끝단부에 위치되어서 발치기구의 진입을 어렵게 한다.1B, the
본 발명 실시예의 확장기구(40)는 발치기구의 진입이 수월하도록 굽어진 소켓(31)을 치근(100)의 상면부까지 안정적으로 곧게 형성한다.The expanding
본 발명 실시예의 소켓 확장기구(40)는 도 1c 및 도 2를 참조하면, 이는 상부보다 하부 직경이 작은 절두(切頭) 원추형으로써 측면부에 상기 치조골(30) 표면을 절삭하는 복수의 측면날(41a)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하면부에 하면날(41b)이 형성된 에지블럭(41)과, 상기 에지블럭(41)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에 회전모터(미도시)가 연결되는 회전봉(42)으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S. 1C and 2, the
상기 에지블럭(41)의 하면부 중심에는 날이 형성되지 않은 평면부(41c)가 형성된다.A
또한, 상기 측면날(41a)들 사이에는 치조골(30) 절삭시 발생하는 출혈 피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홈(41d)이 형성되어 있다.Between the
한편, 상기 에지블럭(41)의 하면부 직경은 발치된 치아(110)의 파단면 직경(A)보다 약 1mm 정도 크도록 한다. 이는 후술하는 환형홈 형성기구(50)가 소켓(31)에 진입되어서 치근(100) 주위에 환형홈(33)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bottom portion diameter of the
도 1a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아(110)의 발치시 파단으로 인하여 치근(100)이 잔류된 상태에서, 상기 확장기구(40)의 에지블럭(41)을 소켓(31)에 회전시키면서 진입시키면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조골(30)의 벽면이 절삭되면서 확장되게 된다.As shown in FIGS. 1A and 1C, in a state where the
이때 발생되는 출혈 피는 배출홈(41d)을 통하여 원할하게 배출되게 되며, 에지블럭(41) 하면부의 날이 형성되지 아니한 평면부(41c)가 치근(100)의 상면부에 접하면서 더 이상의 절삭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소켓(31)의 단부를 향한 에지블럭(41)의 진입이 정지된다.The hemispherical blood generated at this time is smoothly discharged through the
즉, 에지블럭(41)이 소켓(31)의 깊이방향으로 하강되면서 치조골(30)의 표면을 절삭하여 소켓(31)을 확장시키다가 평면부(41c)가 치근(100)의 상면부에 접하면서 절삭이 중단됨으로써, 경험이 풍부하지 아니한 치과의사도 안정적으로 확장기구(40)의 사용을 가능하게 한다.The
한편,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치아(110)가 파절된 경우 통상적으로 치근(100)에는 경사면(100a)이 형성되어서 첨부(A)가 발생되게 되는데, 이러한 첨부(A)는 발치기구에 의한 발치시 부러지기 쉬워서 치근(100)의 발치후에 부러진 첨부(A)가 소켓(31)내에 잔류하게 된다.1A and 1B, when a
따라서 소켓(31)으로부터 치근(100)을 발치후에 소켓(31)내에 잔류하는 첨부(A)를 다시 제거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Therefore, it is troublesome to remove the attachment (A) remaining in the socket (31) after extracting the root (100) from the socket (31).
또한, 치근(100)의 첨부(A)가 부러지게 되면, 향후 발치기구에 의한 발치시 발치기구의 날이 충분한 지레힘을 발취하기 어렵게 한다.Further, when the attachment (A) of the
본 발명 실시예의 확장기구(40)는 하면날(41b)에 의해서 첨부(A)를 절삭하여서 경사면(100a)의 상부측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치근(100)의 발치시 부러짐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지레 함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한다.The
또한, 상기 배출홈(41d)으로부터 상기 에지블럭(41)의 상면을 관통하는 배출공(41e)이 형성됨으로써, 출혈피의 배출을 보다 더 원할히 한다.Further, since the
상기에 있어서, 에지블럭(41)의 측면부에 측면날(41a)과 배출홈(41d)이 교번적으로 형성됨으로써 발생되는 출혈 피가 배출홈(41d)을 통하여 원할하게 배출되게 하여 치조골(30) 표면의 절삭 정밀도를 높일 수 있게 한다.The bleeding blood generated by alternately forming the
즉, 에지블럭(41)에 의한 치조골(30)의 절삭시 발생되는 출혈피가 에지블럭(41)과 치조골(30) 사이에 잔류하게 되는 경우 출혈피의 압력에 의해서 에지블럭(41)의 헛돌음이 발생하므로 절삭 정밀도가 낮아지게 된다.That is, when the bleeding blood generated at the time of cutting the
한편, 상기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의 확장기구(40)에 의해서 소켓(31)이 확장되어 도 1d에서와 같이 확장홈(32)이 형성된 후에는, 도 1e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환형홈 형성기구(50)에 의해서 치근(100)의 주변에 환형홈(33)(도 1f 참조)을 형성하고, 도 1g,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발치기구(60)의 끝단부(61e)를 환형홈(33)에 진입시켜서 에어흡입력에 의해서 치근(100)을 발치한다.As described above, after the
상기 환형홈 형성기구(50)는 도 1e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부 가장자리에 환형의 톱니날(51a)이 형성되고 중심부에 스토퍼돌기(51b)가 형성된 회전블럭(51)과, 하단부가 회전블럭(51)에 고정되고 상단부에 회전모터(미도시)가 연결되는 회전자루(52)를 구비한다.1E and 3, the annular
상기와 같은 환형홈 형성기구(50)는 도 1d 내지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장홈(32)에 진입되고 회전되어서 치근(100)의 주변에 약 2~3mm 깊이의 환형홈(33)을 형성하게 되는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돌기(51b)가 치근(100)의 상면에 접함으로써 환형홈(33)의 형성 깊이가 제한되게 된다.1D to 1F, the annular
또한, 상기 발치기구(60)는 도 1g,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치근(100)과 치조골(30) 사이에 진입하며 흡착공(61d)이 형성된 끝단부(61e)를 일단에 가지는 중공관(61)과, 상기 중공관(61)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중공관(61)을 회전시키는 손잡이(62)와, 상기 흡착공(61d)에 공기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수단을 구비한다.1G and 4 to 6, the
상기 손잡이(62)의 외주면에는 미끄럼방지 돌기(62a)가 형성되어서, 치과의사가 손잡이를 파지하고 회전시킬때 미끄럼이 방지되도록 한다.A
상기 흡입수단은 상기 손잡이(62)에 상기 흡착공(61d)과 연통되는 확장공(62a)이 형성되며, 상기 확장공(62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흡착공(61d)과 연결되며 상기 손잡이(62)의 외부로 돌출되는 노즐관(63a)이 형성된 노즐몸체(63)와, 상기 손잡이(62)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노즐몸체(63)의 이탈을 방지시키는 결합판(64)과, 상기 노즐관(63a)에 연결되는 에어펌프(미도시)를 구비한다.The suction means is formed with an
상기 끝단부(61e)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치근(100)의 곡률보다 작은 곡률을 갖는 원호형으로 형성된다.The
이 경우 중공관(61)을 좌우로 회전시킬때 끝단부(61e)의 양단(B)(C)이 교번적으로 치근(100)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치조골(30)의 손상을 최소로 하면서 간편하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다.In this case, when the
상기 중공관(61)은 상기 손잡이(62)가 결합되는 대경부(61a)와, 상기 끝단부(61e)가 형성되는 소경부(61b) 및 상기 대경부(61a)와 소경부(61b)를 연결하는 축소부(61c)로 형성된다.The
상기 대경부(61a)는 손잡이(62)의 회전시 비틀림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소경부(61b)는 치조골(30) 사이의 협소한 공간에 원할하게 진입될 수 있도록 한다.The
상기 소경부(61b)는 자유단부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는 테이퍼형으로 형성하여서, 작은 치근(100)을 가압하기 용이하게 하였다.Th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 실시예의 치근용 탈구기구(60)의 이용은 도 1g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부(61e)를 치근(100)과 치조골(30) 사이에 진입시켜서 엄지와 검지 두 손가락을 이용하여 손잡이(62)를 좌우로 회전시킨다.The use of the
이때 끝단부(61e)의 양단(B)(C)이 교번적으로 치근(100)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치조골(30)의 손상을 최소로 하면서 치근(100)을 치조골(30)로부터 이격시킨다.At this time, both ends B and C of the
이어서 에어펌프를 가동하여서 흡착공(61d)을 통하여 에어 흡입력이 작용하도록 하여 발생된 출혈 피를 흡착공(61d)을 통하여 배출되게 하고, 흡착공(61d)을 치근(100)의 측면부에 밀착하여서 에어흡입력에 의해서 치근(100)이 끝단부(61e)에 흡착되도록 한 후 탈구기구(60)를 빼내면 치근(100)이 발치되게 된다.Subsequently, the air pump is operated to cause the air suction force to act through the suction holes 61d to cause bleeding blood to be discharged through the
한편, 도 7은 본 발명 확장기구(4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써, 이는 상기 에지블럭(41)의 하면부 가장자리에 환형으로 돌출된 환형날(41f)이 더 형성된 것으로써, 소켓(31)을 확장시킴과 동시에 치근(100)과 치조골(31) 사이에 환형홈(33)을 형성하여서 상기 환형홈 형성기구(50)의 사용을 배제할 수 있게 한다.7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30...치조골 40...확장기구
41...에지블럭 41a...측면날
41b...하면날 41c...평면부
41d...배출홈 41e...배출공
42...회전봉30 ...
41 ...
41b ...
41d ...
42 ... rotatable bar
Claims (3)
상부보다 하부 직경이 작은 절두(切頭) 원추형으로써 측면부에 상기 치조골 표면을 절삭하는 복수의 측면날(41a)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되고 하면부에 하면날(41b)이 형성된 에지블럭(41)과,
상기 에지블럭(41)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에 회전모터가 연결되는 회전봉(42)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에지블럭(41)의 하면부 직경은 발치된 치아(110)의 파단면 직경(A)보다 크고, 상기 에지블럭(41)의 하면부 중심부에는 날이 형성되지 않은 평면부(41c)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근을 발치하기 위한 소켓 확장기구.A socket expansion mechanism for entering an extraction mechanism for extracting a root root remaining in a socket of an alveolar bone,
A plurality of side blades 41a for cutting the surface of the alveolar bone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on the side surface of the truncated cone having a smaller diameter than the upper portion and the edge block 41 having the lower surface blades 41b formed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
And a rotation bar (42)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edge block (41) and a rotation motor connected to the other end,
The bottom surface diameter of the edge block 41 is larger than the fracture surface diameter A of the extracted tooth 110 and a flat surface portion 41c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edge block 41, And a socket extension mechanism for extracting the root.
상기 배출홈(41d)으로부터 상기 에지블럭(41)의 상면을 관통하는 배출공(41e)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근을 발치하기 위한 소켓 확장기구.[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discharge groove (41d) is formed between the side edges (41a) for discharging bleeding occurring during cutting of the alveolar bone (30)
And a discharge hole (41e) passing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edge block (41) from the discharge groove (41d) is formed.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071591A KR101719903B1 (en) | 2015-05-22 | 2015-05-22 | Appliance forming socket for extracting broken dental root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071591A KR101719903B1 (en) | 2015-05-22 | 2015-05-22 | Appliance forming socket for extracting broken dental roots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60137057A KR20160137057A (en) | 2016-11-30 |
| KR101719903B1 true KR101719903B1 (en) | 2017-03-24 |
Family
ID=5770748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071591A Expired - Fee Related KR101719903B1 (en) | 2015-05-22 | 2015-05-22 | Appliance forming socket for extracting broken dental root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719903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838480B1 (en) | 2017-09-28 | 2018-03-14 | (주) 코웰메디 | Root Extraction Kit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5366374A (en) | 1993-05-18 | 1994-11-22 | Vlassis James M | Dental implant |
| KR100962166B1 (en) * | 2009-05-04 | 2010-06-10 | 주식회사 이노바이오써지 | Alveolar-ridge cut and expansion tool for dental implant |
| CN201870746U (en) | 2010-10-18 | 2011-06-22 | 深圳市龙岗中心医院 | Bone taking drill for tooth implantation surgery and bone chip collector |
| JP2013519416A (en) * | 2010-02-11 | 2013-05-30 | サイブロン・カナダ・エルピー | Bars and how to make bars |
Family Cites Familie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110013780A (en) | 2009-08-03 | 2011-02-10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Tooth extraction drill |
| KR101298248B1 (en) | 2011-12-30 | 2013-08-22 |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 Drill for dental implant |
-
2015
- 2015-05-22 KR KR1020150071591A patent/KR10171990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5366374A (en) | 1993-05-18 | 1994-11-22 | Vlassis James M | Dental implant |
| KR100962166B1 (en) * | 2009-05-04 | 2010-06-10 | 주식회사 이노바이오써지 | Alveolar-ridge cut and expansion tool for dental implant |
| JP2013519416A (en) * | 2010-02-11 | 2013-05-30 | サイブロン・カナダ・エルピー | Bars and how to make bars |
| CN201870746U (en) | 2010-10-18 | 2011-06-22 | 深圳市龙岗中心医院 | Bone taking drill for tooth implantation surgery and bone chip collector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838480B1 (en) | 2017-09-28 | 2018-03-14 | (주) 코웰메디 | Root Extraction Kit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60137057A (en) | 2016-11-30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ES2539932T3 (en) | Bone Milling Surgical Instrument | |
| JP5162663B2 (en) | Maxillary sinus elevation drill | |
| KR100946269B1 (en) | Drills for implants | |
| KR100981717B1 (en) | Maxillary sinus drill drill tool | |
| EP3777750B1 (en) | Drill bit | |
| TWI437977B (en) | Apparatus for maxillary sinus operation | |
| TR201815665T4 (en) | SURGICAL DRILL FOR IMPLANT SURGERY. | |
| KR20110039880A (en) | Implant Drills | |
| US20130274751A1 (en) | Medical Instrument For Cutting Off Tissue And Cartilage From A Human Or Animal Body | |
| TW201804963A (en) | System, apparatus, and method for follicular unit extraction | |
| KR100981718B1 (en) | Implant Drills | |
| CN208598472U (en) | Osteotome is promoted in maxillary sinus | |
| KR101643351B1 (en) | Abutment screw removal drill and abutment screw removal instrument | |
| EP3361984B1 (en) | Surgical contra-angle drilling device for cutting bone preventing injuries to soft tissues | |
| TWI444166B (en) | Drill tool for lifting sinus | |
| KR101741071B1 (en) | Luxation appliance for broken root in socket | |
| KR101719903B1 (en) | Appliance forming socket for extracting broken dental roots | |
| KR20190003043A (en) | apparatus for bone flattening drill | |
| KR20140086443A (en) | Dental rotary file having distinguishable mark | |
| JP2021513439A (en) | Oral surgery methods and equipment | |
| KR101181923B1 (en) | Drill for lateral sinus graft surgical operation | |
| KR102264307B1 (en) | Novel Type Scalpel | |
| US20050244785A1 (en) | Rotary dental file having a safe breakage point | |
| US2056417A (en) | Dental instrument | |
| KR20110066315A (en) | Drilling depth limiting unit and implant treatment drill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T12-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not gran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2-ot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16-X000 | Ip right document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
|
| Q16-X000 |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0032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K11-X000 | Ip right revival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1-oth-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00321 |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3-oth-PR04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3032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303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