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24260B1 - 재난안전 통합 상황관리를 위한 위치기반 실시간 시나리오 설정방법 - Google Patents

재난안전 통합 상황관리를 위한 위치기반 실시간 시나리오 설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4260B1
KR101724260B1 KR1020150117811A KR20150117811A KR101724260B1 KR 101724260 B1 KR101724260 B1 KR 101724260B1 KR 1020150117811 A KR1020150117811 A KR 1020150117811A KR 20150117811 A KR20150117811 A KR 20150117811A KR 101724260 B1 KR101724260 B1 KR 101724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disaster
contents
scenario
sma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7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2608A (ko
Inventor
심재현
여운광
이종국
박영진
김진영
이준우
최창원
정인규
임정탁
박소영
서지원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50117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4260B1/ko
Publication of KR20170022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2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4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426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1Social networking
    • G06Q50/30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05Specific application combined with child monitoring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0202Child monitoring systems using a transmitter-receiver system carried by the parent and the child
    • G08B21/0269System arrangements wherein the object is to detect the exact location of child or item using a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g. GP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16Personal emergency signalling and security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222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5/223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5/224Paging receivers with visible signalling details
    • G08B5/225Display details
    • G08B5/226Display details with alphanumeric or graphic display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시간 기상 관측 정보 및 트윗 정보를 기반으로 실시간 데이터 처리 및 GIS 표출 기술에 관한 것으로,본 발명은 2차원 또는 3차원 지도 기반의 공간정보 데이터를 기반으로 재난안전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재난 정보 수집 앱이 설치되어 사진, 동영상과 같은 재난정보를 수집,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모바일 기기(1)와; 상기 스마트 모바일 기기(1)로부터 전송된 재난정보가 저장되어지는 스마트 빅보드 서버(2)와; 상기 스마트 빅보드 서버(2)에 저장된 재난정보가 시간 및 위치정보와 함께 지도에 표시되어지는 스마트 빅보드 화면(3)으로 구성되는 재난 안전 통합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빅보드 화면(3)은 지리정보장치(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가 제공되므로 2차원 또는 3차원 지도(31) 기반의 공간정보 데이터 위에, 상기 스마트 모바일 기기(1)로부터 전송된 재난정보, 즉 사진, 현장 스트리밍 영상과, 실시간 기상정보, CCTV 영상과, SNS 등의 빅데이터 등으로 이루어진 콘텐츠들이 동시에 레이어로 표출 및 실행되어지되,
먼저 사용자가 상기 재난정보 및 콘텐츠들중에서 지도(31) 상에 표출하고자하는 콘텐츠들을 선택하고, 상기 콘텐츠들에 대한 세부 조건을 정해줌으로써 재난안전 시나리오를 설정 및 저장해주고,
상기 시나리오의 실행조건 조건에 도달한 경우에는 재난안전 시나리오가 자동실행됨으로써, 선택된 콘텐츠들은 지도(31)상에 동시에 레이어로 표출 및 실행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안전 통합 상황관리를 위한 위치기반 실시간 시나리오 설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재난안전 통합 상황관리를 위한 위치기반 실시간 시나리오 설정방법 {Location-based scenario setting method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disaster safety}
본 발명은 실시간 기상 관측 정보 및 트윗 정보를 기반으로 실시간 데이터 처리 및 GIS 표출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재난안전 상황을 미리 예측하여 설정한 시나리오에 따라 실시간 기상정보,CCTV, 현장 스트리밍 영상, SNS(트윗 등)정보, 사용자가 생성한 공간정보, 재난담당자 지령메시지 발송 등 시나리오에 따른 재난안전 관련 정보를 2차원 또는 3차원 공간정보 지도 위에 레이어로 표출,실행시킴으로써 재난 안전 담당자 및 의사결정권자로 하여금 직관적인 상황 인지 및 신속한 판단을 할 수 있는 재난안전통합상황관리를 위한 시나리오 설정 및 GIS 레이어 표출 기술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빅보드 서비스는 실시간으로 관측되는 기상정보, CCTV, 트윗,실시간 모바일 스트리밍 영상 등의 정보를 지도 위에 레이어로 표출함으로써 새로운 정보를 탄생시키는 플랫폼이다. 이러한 플랫폼에 실시간 데이터를 통해 시나리오를 설정하는 기능은 긴급 상황 발생 시 알람 발생, 상황 전파 및 지령 메시지 전송,상황판의 상황 모드 변경 등의 기능을 통해 통합 상황 관리자의 의사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므로, 이러한 실시간 시나리오 설정 및 GIS 레이어 표출 관리 기술은 재난안전 분야의 통합 상황관리 지원체계에 대한 효율성을 극대화 하는 역할을 하게될 것이다.
태풍, 호우, 폭염, 가뭄, 강풍, 폭설 등과 같은 자연재난을 비롯하여, 화재, 산불, 교통사고, 폭발, 위험물질 유출 등 다양한 인적재난은 인적 피해와 함께 많은 재산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다. 특히, 이러한 재난은 예측뿐만 아니라 재난 발생시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현재 재난 현장조사를 위해 개발된 시스템들은 재난이 종료된 후 피해액을 산정하기 위해 개발된 시스템들이며, 재난 발생 과정에서 현장의 상황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한 시스템은 개발되어 있지 않다.
다만,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48528호(등록일: 2007. 08. 06)에는 '무선통신과 웹-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재해 피해조사 실시간 자동 업데이트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이하, 선행기술이라 함)이 제안된 바 있다.
상기한 선행기술에서는 피해원인 정보, 피해 화상 및 동영상, 음성정보를 포집하여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각종 장비로 구성된 현장장비단을 구축하고, 상기 현장장비단을 통해 획득된 피해 조사정보를 각 서버단으로 전송하여 정해진 유형에 맞는 정보의 형태로 실시간으로 자동 가공하고 홈페이지의 메인페이지와 게시판에 게시함은 물론 표준화된 재해 대장 형태로 가공하여 웹페이지를 생성하고, 발생 지점 좌표 등을 통해 Web-GIS 상에 피해 발생 지점 등록 및 그 속성을 표출하며, 이러한 홈페이지, 재해대장, Web-GIS 등을 연계하여 신속하게 각종 정보를 검색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속한 피해복구 대책 수립과 방재 정책 수립의 진행을 지원할 수 있고, 일반 인터넷상에 재해조사의 각종 정보를 게시함으로써 방재 및 재해복구 대책의 투명성을 확보하여 대민 정책 신뢰도를 제고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기술은 디지털카메라, GPS, 음성녹음기 및 무선 초고속 통신장비 등과 같이 다양한 조사장비들을 포함하는 현장장비단을 구성해야 하기 때문에 현장장비단을 꾸리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휴대가 용이하지 않다. 그리고, 각종 장비들로부터 독립적으로 수집된 피해조사정보들을 통합하여 결과를 도출해야 하기 때문에 그 과정이 복잡하고 많은 시간이 요구된다. 특히, 상기한 선행 기술은 재난 발생 과정이 아닌 재난 발생종료 후 피해상황을 조사함으로써 피해액을 산출하는 시스템으로써, 재난 발생과정 중에는 아무런 역할을 수행할 수 없다.
한편,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13-0043422호에서는,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지도기반의 실시간 재난정보서비스 운용방법이라는 명칭으로, "(a) 모바일기기의 애플리케이션이 서버에 모든 유형의 재난위치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b) 상기 서버가 상기 모바일기기의 맵 상에 재난 유형별로 재난위치정보를 별개의 아이콘으로 표시하는 단계; (c) 상기 모바일기기의 콤보박스에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전체(All), 침수, 해일, 산사태, 풍해, 대설, 화재를 포함한 재난유형 중 어느 하나의 재난위치정보를 상기 서버에 요청하는 단계; 및 (d) 상기 서버가 상기 모바일기기의 맵 상에 상기 (c)단계에서 요청된 재난유형의 재난위치정보를 해당 아이콘으로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지도기반의 실시간 재난정보서비스 운용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 기술의 방법은 단지 발생된 재난의 위치와 그 형태를 모바일 기기 이용자에게 실시간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개시하는 것에 지나지 않으며, 단지 정보를 실시간 제공하기만할 뿐 작업자가 원하는 수준으로 필터링하거나 재배열할 수 없었으므로, 상황대응이 미흡하고 신속하고 정확한 의사 결정이 불가능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재해발생을 필터링하여 경고하는 수단이 마련되어있지 않았으므로, 작업자는 재난안전 통합 상황화면을 상시 띄워놓고 관찰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으며, 혹시라도 작업자가 간과할 경우에는 재난 범위가 크게 확산되어 위기상황에 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48528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13-0043422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 수준 및 이들 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감안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주목적은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기반의 재난안전 통합관리시스템에서, 실시간 기상정보, CCTV 영상, 현장 스트리밍 영상, SNS정보, 사용자가 생성한 공간정보 등의 각종 콘텐츠들에 대한 실행조건과 함께 시나리오를 미리 설정해둔 다음, 상기 실행조건에 도달하게되면 스마트 빅보드 화면이 실행됨과 동시에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들이 지도 위에 시나리오대로 나타나게됨으로써, 재난 안전 담당자 및 의사결정권자로 하여금 신속하고 정확한 의사 결정 및 상황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시나리오가 시행될 경우에는 알람기능에 의해 작업자가 즉시 인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가 재난안전 통합 상황화면을 계속 주시하지않더라도 재난상황을 간과함없이 신속하게 대비할 수 있도록 하는데에 두번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재난 안전의 통합관리 시스템은;
재난 정보 수집 앱이 설치되어 사진, 동영상과 같은 재난정보를 수집,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모바일 기기와; 상기 스마트 모바일 기기로부터 전송된 재난정보가 저장되어지는 스마트 빅보드 서버와; 상기 스마트 빅보드 서버에 저장된 재난정보가 시간 및 위치정보와 함께 지도에 표시되어지는 스마트 빅보드 화면으로 구성되는 재난 안전 통합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빅보드 화면은 지리정보장치(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가 제공되므로 2차원 또는 3차원 지도 기반의 공간정보 데이터 위에, 상기 스마트 모바일 기기로부터 전송된 재난정보, 즉 사진, 현장 스트리밍 영상과, 실시간 기상정보, CCTV 영상과, SNS 등의 빅데이터 등으로 이루어진 콘텐츠들이 동시에 레이어로 표출 및 실행되어지되,
먼저 사용자가 상기 재난정보 및 콘텐츠들중에서 지도 상에 표출하고자하는 콘텐츠들을 선택하고, 상기 콘텐츠들에 대한 세부 조건을 정해줌으로써 재난안전 시나리오를 설정 및 저장해주고,
상기 시나리오의 실행조건 조건에 도달한 경우에는 재난안전 시나리오가 자동실행됨으로써, 선택된 콘텐츠들은 지도 상에 동시에 레이어로 표출 및 실행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지도(31) 상에 표출하기 위한 콘텐츠들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먼저 콘텐츠 상위메뉴를 열어 "기상정보", "CCTV", "빅데이터", "현장조사" 등의 다수 콘텐츠들로부터 1개 이상을 선택하고, 이때 콘텐츠 세부메뉴가 열리면 상기 선택된 메뉴의 세부 항목에 대한 범위를 설정해줌으로서, 재난안전 시나리오를 설정 및 저장할 수 있게되는데,
상기 콘텐츠 상위메뉴에서는 1차적으로 "기상정보", "CCTV", "빅데이터", "현장조사" 등과 같은 콘텐츠 항목으로 분류되고, 2차적으로는 "기상정보, 레이더 영상, 위성영상", "CCTV", "실시간 트위터, 급상승 키워드, 트윗빈도 분포표"등과 같은 세부조건으로 분류되어진다.
선택된 콘텐츠들이 상기 시나리오의 실행조건 조건에 도달한 경우, 재난 정보 수집 앱이 설치된 스마트 모바일 기기에는 상기 스마트 빅보드 서버(2)로부터 재난정보 및 각종 콘텐츠에 대한 알람이 실시간으로 전달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알람 조건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상기 콘텐츠 상위메뉴 및 콘텐츠 세부메뉴의 내용을 모두 입력한 후에, 알람 설정메뉴를 열어 알람 발생 여부 및 세부 조건들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재난정보와 콘텐츠들은 시간정보와 위치정보와 함께 제공되므로, 스마트 빅보드 화면의 지도에서는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곳에 콘텐츠 표시부가 표시되어지고, 상기 콘텐츠 표시부를 선택하면 별도의 정보창들이 활성화되어서 상기 재난정보와 콘텐츠들이 동시에 레이어로 표출 및 실행되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재난안전 통합 상황관리를 위한 관심지역 분석방법에서는,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기반의 재난안전 통합관리시스템에서, 실시간 기상정보, CCTV 영상, 현장 스트리밍 영상, SNS정보, 사용자가 생성한 공간정보 등의 각종 콘텐츠들에 대한 실행조건과 함께 시나리오를 미리 설정해둔 다음, 상기 실행조건에 도달하게되면 스마트 빅보드 화면이 실행됨과 동시에 상기 콘텐츠에 대한 정보들이 지도 위에 시나리오대로 나타나게됨으로써, 재난 안전 담당자 및 의사결정권자로 하여금 신속하고 정확하게 재난 상황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시나리오가 시행될 경우에는 알람기능에 의해 작업자가 즉시 인지할 수 있게됨으로써, 작업자가 재난안전 통합 상황화면을 계속 주시하지않더라도 재난상황을 간과함없이 신속하게 대비할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를 위해 기본적으로 마련되어야하는 재난안전 통합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도 1의 재난안전 통합관리 시스템에서의 실시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도 1의 재난안전 통합관리 시스템의 스마트 빅보드 화면을 표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실시간 시나리오 설정방법의 예시도로서, 지도 기반 화면에서 시나리오를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실시간 시나리오 설정방법의 예시도로서, 설정된 시나리오에 따라 선택된 콘텐츠의 상세정보들이 지도에 표시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재난안전 통합 상황관리를 위해 위치기반 실시간 시나리오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형태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은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명세서 전체에서, "재난 정보수집용 스마트 모바일 기기"라 함은 재난 현장 조사자가 소지하는 기기로서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이동 통신 단말기를 말한다. 여기서, 이동통신단말기는, 예를 들면, 휴대가 용이한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일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스마트 모바일 OS(Android, iOS 등)가 탑재된 지능형 단말기인 스마트 폰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재난 정보 수집용 스마트 모바일 기기는 유무선 통신부, A/V(Audio/Video) 입력부, 사용자 입력부, 센싱부, 출력부, 메모리, 인터페이스부, 제어부 및 전원 공급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요소들은 모두 필수적인 것은 아니며, 특성에 따라 가감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모바일 기기에는 재난지역 피해조사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하, 재난정보수집 앱이라 함)이 설치된다. 상기 재난정보수집 앱은 조사자가 재난현장에서 재난정보, 예를 들어 피해개요, 피해상황, 진행상황, 사진, 동영상, 위치 등을 수집하여 모바일 서버에 접속하여 수집된 정보를 전송 및 등록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상기 스마트 모바일 기기는 이동중 인터넷 통신, 전송 등이 가능하며, 개인정보 관리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d), Wibro/Wimax, WiFi, 3G(또는 4G) 등과 같은 통신망 등 일상 생활에서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인터넷 통신망을 이용하여 인터넷에 직접 접속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브라우징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모바일 기기는 위치기반서비스를 이용한 위치정보를 활용하기 위하여 위성항법장치(GPS) 기반, 이동통신망 기반, WiFi 무선랜/센서네트워크 기반 위치인식기술, 또는 위성항법장치와 WiFi 무선랜을 결합한 위치인식기술을 이용할 수 있도록 구축된다.
상기 스마트 모바일 기기는 통신사에서 제공하는 이동통신망을 기반으로 위치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이동통신망 기반의 위치정보제공시스템은 기지국, 위치인식서버,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동통신망이 가용지역에 해당한다.
상기 스마트 모바일 기기는 위성항법장치(GPS)의 단점인 실내와 건물밀집 지역에서의 수신율 저하를 해결하기 위하여 위성항법장치와 연계한 WiFi 무선랜/센서 네트워크 기반을 이용하여 위치정보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이러한 WiFi 무선랜/센서 네트워크 기반을 이용한 위치정보제공시스템은 근거리 무선통신망과 전자태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모바일 기기는 위치기반서비스를 통해 얻어진 위치정보와 함께 지리정보장치(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IS)와 결합 연계되어 지도상에 위치정보가 표시되도록 한다. 지리정보장치는 건물, 도로, 하천, 등고선, 행정구역경계 등과 같이 지형, 지리적으로 관련된 데이터를 수집, 저장, 출력, 분석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지리정보를 구축, 유지관리, 편집, 분석 및 프로세싱, 디스플레이 및 출력 등의 과정을 통하여 공간정보를 얻는 동시에 공간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는 시스템이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른 재난 안전을 통합적으로 관리하기위한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로서,
기본적으로 재난 정보 수집 앱이 설치되어 사진, 동영상과 같은 재난정보를 수집,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모바일 기기(1)와; 상기 스마트 모바일 기기(1)로부터 전송된 재난정보가 저장되어지는 스마트 빅보드 서버(2)와; 상기 스마트 빅보드 서버(2)에 저장된 재난정보가 시간 및 위치정보와 함께 지도에 표시되어지는 스마트 빅보드 화면(3)으로 구성되는데,
현장 조사요원은 미리 스마트 모바일 기기(1)에 재난 정보 수집 앱을 설치해두어야 하며, 정보수집 앱은 자동으로 스마트 모바일 기기가 제공하는 위치정보와 시간정보를 함께 전달하게되므로 어느 지역에서 메시지를 전달했는지와 시간정보를 추가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된다.
한편, 현장에서 촬영된 사진 및 동영상은 위치정보와 함께 스마트 빅보드 서버(2)에 실시간 전송되어야 하므로, 반드시 상기 정보 수집 앱을 사용하여 현장에서 즉시 전송되어야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스마트 빅보드(Smart Big Board)는 전반적인 재난을 관리하기 위해 재난을 감지하고 대처하는 상황판이라 할 수 있으며, 재난정보 등을 수집 저장하기 위한 스마트 빅보드 서버(2)와, 재난정보 등이 GIS 기반에서 표시되어지는 스마트 빅보드 화면(3)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마트 빅보드 서버(2)에는 스마트 모바일 기기(1)로부터 전송된 재난정보 외에도, 기상청 자동기상 관측소 AWS(Automatic Weather System)나 일반 기상 관측소들로 부터 수집되는 기상정보와, 재난위험지역의 현장 CCTV에서 전송되는 영상정보와, 일반 대중의 관심분야가 수록된 SNS 등의 빅데이터가 함께 전송 및 저장되어지며,
상기 스마트 빅보드 화면(3)에서는 지리정보장치(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가 제공되므로 2차원 또는 3차원 지도(31) 기반의 공간정보 데이터 위에, 상기 스마트 모바일 기기(1)로부터 전송된 재난정보, 즉 사진, 현장 스트리밍 영상과, 실시간 기상정보, CCTV 영상과, SNS 등의 빅데이터 등으로 이루어진 콘텐츠들이 동시에 레이어로 표출 및 실행될 수 있다.
기상정보는 강우, 바람, 기온과 관련된 것으로서 강우 레이더 영상, 위성 사진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는데, 위치정보와 함께 제공되므로 GIS기반에서 해당지역에 매칭되는 정보를 선별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되며,
빅데이터(Big Data)는 기존 데이터베이스 관리도구로 데이터를 수집, 저장, 관리, 분석할 수 있는 역량을 넘어서는 대량의 정형 또는 비정형 데이터 집합 및 이러한 데이터로부터 가치를 추출하고 결과를 분석하는 기술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일반 대중의 관심분야가 수록된 SNS 등에 올려진 글 중에서 GIS 기반 해당지역에 매칭되는 것을 선별하여 제공하게된다.
도 2는 본 발명 시스템에서의 실시과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재난안전 통합 관리시스템에서는 먼저 스마트 빅보드, 즉 스마트 빅보드의 서버(2)와 스마트 빅보드 화면(3)를 실행하게되며, 다음에는 현장에 파견된 조사원의 스마트 모바일 기기(1)로부터 실시간 재난현장 동영상, 재난현장 VOD, 재난현장 이미지들이 상기 스마트 빅보드 서버(2)에 전달되어지며, 기상청 자동기상 관측소 AWS(Automatic Weather System)나 일반 기상 관측소들로 부터는 기상정보(기온, 강우량, 바람)와 기상영상정보(레이더영상, 위성영상)가, 그리고 재난위험지역의 현장 CCTV로 부터는 영상정보가, 일반 대중의 관심분야가 수록된 SNS 등의 빅데이터들과 함께 상기 스마트 빅보드 서버(2)에 전달되어진다.
재난 분석 지휘부에서는 스마트 빅보드 화면(3)에서 지도에 표출할 컨텐츠를 선택하게되는데, 예를 들어 “CCTV 영상정보"와, “재난현장 동영상”과. “SNS 빅데이터”를 선택한 경우에는 도 3에서와 같이 지도(31) 위에는 각종 재난정보와 콘텐츠들이 함께 표시되어지는데,
상기 재난정보와 콘텐츠들은 시간정보와 위치정보와 함께 제공되므로, 스마트 빅보드 화면(3)의 지도(31)에서는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곳에 콘텐츠 표시부(32)가 표시되어지고, 상기 콘텐츠 표시부(32)를 선택하면 별도의 정보창(33)들이 활성화되어서 상기 재난정보와 콘텐츠들이 동시에 레이어로 표출 및 실행될 수 있게된다.
상기 콘텐츠 표시부(32)는 현장 스트리밍 영상과, CCTV 영상과, SNS 등의 빅데이터 등의 콘텐츠들이 서로 구별될 수 있도록 상이하게 표시되어질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도 3에서와 같이 “SNS 빅데이터”에 대한 콘텐츠 표시부(32a')는 새 모양과 같이 표시하고, “CCTV 영상정보"에 대한 콘텐츠 표시부(32b')는 카메라 모양과 같이 표시하고, “현장 스트리밍 영상”에 대한 콘텐츠 표시부(미도시함)는 기타 다른 형태로 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스마트 빅보드 화면(3)에서 상기 콘텐츠 표시부(32)를 선택하면 별도의 정보창(33)들이 활성화되어지는데, 활성화 상태의 콘텐츠에 대한 위치정보가 쉽게 확인될 수 있도록, 상기 정보창(33a)(33b)(33c)에 대응되는 콘텐츠 표시부(32a')(32b')(32c')에서는 비활성화때와는 다른 형태로 표시될 수있다. (도 3에서는 “SNS 빅데이터”에 대한 콘텐츠 표시부가 비활성화상태에서는 하늘색으로 작게 표시되었으나 활성화상태에서는 빨간색으로 크게 표시되며,“CCTV 영상정보"에 대한 콘텐츠 표시부는 비활성화상태에서 보라색으로 작게 표시되었으나 활성화상태에서는 보라색으로 크게 표시되었다.)
한편, 상기 정보창(33)들은 선택된 콘텐츠에 대응되도록 각각 레이어로 표출 및 실행되어지되 시간정보와 함께 제공되므로, 재난정보 및 콘텐츠들이 제공된 시간을 함께 확인할 수 있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난안전 통합 관리시스템에서는, 재난안전 상황의 정확하고 신속한 파악을 위해 실시간 기상정보, CCTV 영상, 현장 스트리밍 영상, SNS정보, 사용자가 생성한 공간정보, 재난담당자 지령발송 등의 정보가 지도 위에 동시에 레이어로 표출, 실행시킴으로써, 재난 안전 담당자 및 의사결정권자로 하여금 직관적인 상황 인지 및 신속한 판단을 할 수 있게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정보창(33)을 통해 기상정보(기온, 강우량, 바람) 및 기상영상정보(레이더영상, 위성영상)와, 일반 대중의 관심분야가 수록된 SNS 등의 빅데이터들을 해당지역에 대해서 실시간 제공하게되므로, 재난 안전 담당자 및 의사결정권자의 입장에서는 기후와 일반대중의 관심을 포함하여 재해상황에 대한 종합적인 판단이 가능하게 되므로, 재난정보를 취합하거나 정리할 필요가 없이 재난상황을 실시간으로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상은 본 발명 실시를 위해 기본적으로 마련되어야하는 재난안전 통합관리 시스템에 대한 설명이며, 본 발명에서는 아래와 같은 구성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실시간 시나리오 설정방법의 예시도로서, 지도 기반 화면에서 시나리오를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실시간 시나리오 설정방법의 예시도로서, 설정된 시나리오에 따라 선택된 콘텐츠의 상세정보들이 지도에 표시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재난안전 통합 상황관리를 위해 위치기반 실시간 시나리오를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로서,
상기 스마트 빅보드 화면(3)은 지리정보장치(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가 제공되므로 2차원 또는 3차원 지도(31) 기반의 공간정보 데이터 위에, 상기 스마트 모바일 기기(1)로부터 전송된 재난정보, 즉 사진, 현장 스트리밍 영상과, 실시간 기상정보, CCTV 영상과, SNS 등의 빅데이터 등으로 이루어진 콘텐츠들이 동시에 레이어로 표출 및 실행되어지되,
먼저 사용자가 상기 재난정보 및 콘텐츠들중에서 지도(31) 상에 표출하고자하는 콘텐츠들을 선택하고, 상기 콘텐츠들에 대한 세부 조건을 정해줌으로써 재난안전 시나리오를 설정 및 저장해주고,
상기 시나리오의 실행조건 조건에 도달한 경우에는 재난안전 시나리오가 자동실행됨으로써, 선택된 콘텐츠들은 지도(31)상에 동시에 레이어로 표출 및 실행되도록 구성된다.
사용자가 지도(31) 상에 표출하기 위한 콘텐츠들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먼저 콘텐츠 상위메뉴(4)를 열어 "기상정보", "CCTV", "빅데이터", "현장조사" 등의 다수 콘텐츠들로부터 1개 이상을 선택하고, 이때 콘텐츠 세부메뉴(5)가 열리면 상기 선택된 메뉴의 세부 항목에 대한 범위를 설정해줌으로서, 재난안전 시나리오를 설정 및 저장할 수 있게되는데,
상기 콘텐츠 상위메뉴(4)에서는 1차적으로 "기상정보", "CCTV", "빅데이터", "현장조사" 등과 같은 콘텐츠 항목(41)으로 분류되고, 2차적으로는 "기상정보, 레이더 영상, 위성영상", "CCTV", "실시간 트위터, 급상승 키워드, 트윗빈도 분포표"등과 같은 세부조건(42)으로 분류되어진다.
도 4에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작업자가 콘텐츠 상위메뉴(4)에서 기상정보를 선택하고, 콘텐츠 세부메뉴(5)에서는 영하 12도 이하 지역의 티센망을 표출하도록 하되 지도 위에 파란색으로 표시되도록 설정하였으므로,
도 5에 예시된 실시예에서는, 지도(31) 위에 영하 12도 이하 지역의 티센망에 대해 파란색의 콘텐츠 표시부(32d)로 표시되어있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상기 재난정보와 콘텐츠들은 시간정보와 위치정보와 함께 제공되므로, 스마트 빅보드 화면(3)의 지도(31)에는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곳에 각종 콘텐츠 표시부(32)들이(32a는 SNS 빅데이터의 콘텐츠 표시부이고, 32b는 CCTV의 콘텐츠 표시부임) 표시되어지고, 상기 콘텐츠 표시부(32)를 선택하면 별도의 정보창(33)(33a는 SNS 빅데이터의 정보창이고, 33b는 CCTV의 정보창임)들이 활성화되어서 상기 재난정보와 콘텐츠들이 동시에 레이어로 표출 및 실행되어진다.
또한, 도 4에서 콘텐츠 상위메뉴(4)와 콘텐츠 세부메뉴(5)를 임의로 설정함에 따라, 급상승 챠트(33d)와 기후챠트(33e)도 함께 표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지도를 기반으로 기상관측소 위치 및 관측정보 표출, CCTV 위치 및 영상 표출, 트윗 발생 위치 및 내용 표출, 현장 조사원이 촬영하는 모바일 실시간 영상 위치 및 영상 표출, 지령메시지 발송 등 시나리오를 구성하는 컨텐츠를 선택 및 저장할 수 있는데, 최초에 시나리오가 실행되는 조건(플로우 차트의 시나리오 실행조건 발생에 해당됨)은 기상조건(기온, 풍속, 강우량)과 트윗(실행 키워드 설정) 조건이 일치될 경우 설정한 시나리오가 순차적으로 실행되므로,
위에서 설정한 조건(예를 들어, 기온이 영하 12도 이하 또는 트윗에서 “추위”, “한파” 등의 키워드로 트윗이 올라올 경우)에 일치 할 경우 미리 설정한 시나리오가 실행되도록 구현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에 대한 푸쉬알람 기능을 제공하고 있는데,
선택된 콘텐츠들이 상기 시나리오의 실행조건 조건에 도달한 경우, 재난 정보 수집 앱이 설치된 스마트 모바일 기기(1)에는 상기 스마트 빅보드 서버(2)로부터 재난정보 및 각종 콘텐츠에 대한 알람이 실시간 전달되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사용자는 재난상황을 즉각적으로 인지하게되어 보다 신속한 대처가 가능하게되는 것이다.
스마트 빅보드 서비스는 실시간으로 관측되는 기상정보, CCTV, 트윗, 실시간 모바일 스트리밍 영상 등의 정보를 지도 위에 레이어로 표출함으로써 새로운 정보를 탄생시키는 플랫폼으로서,
이러한 플랫폼에 실시간 데이터를 통해 시나리오를 설정하는 기능은 긴급 상황 발생 시 알람 발생, 상황 전파 및 지령 메시지 전송, 상황판의 상황 모드 변경 등의 기능을 통해, 통합 상황 관리자로 하여금 신속하고 정확한 의사 결정 및 상황 대응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기반 실시간 시나리오를 설정하는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로서, 여기에서는 먼저 스마트 빅보드, 즉 스마트 빅보드의 서버(2)와 스마트 빅보드 화면(3)를 실행한 다음, 사용자가 기상정보(기온, 강웅량, 바람), 기상 영상정보(레이더영상, 위성영상), CCTV, SNS(트위터), 실시간 재난현장 동영상, 재난현장 VOD, 재난현장 이미지 중에서 지도(31) 상에 표출하고자하는 콘텐츠들을 선택하고, 상기 콘텐츠들에 대한 세부 조건을 정해줌으로써 재난안전 시나리오를 설정 및 저장해주는데,
이후에 상기 시나리오의 실행조건 조건에 도달한 경우에는 재난안전 시나리오가 자동실행됨으로써, 선택된 콘텐츠들은 지도(31)상에 동시에 레이어로 표출 및 실행되어진다.
한편, 선택된 콘텐츠들이 상기 시나리오의 실행조건 조건에 도달한 경우, 재난 정보 수집 앱이 설치된 스마트 모바일 기기(1)에는 상기 스마트 빅보드 서버(2)로부터 재난정보 및 각종 콘텐츠에 대한 알람이 실시간으로 전달되므로, 재난 상황 담당자는 재난 상황판을 계속 주시하지않더라도 재난을 즉각 인지하여 신속히 대응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형태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 : 스마트 모바일 기기
2 : 스마트 빅보드 서버
3 : 스마트 빅보드 화면
4 : 콘텐츠 상위메뉴
5 : 콘텐츠 세부메뉴
6 : 알람 설정메뉴
31 : 지도
32 : 콘텐츠 표시부
33 : 정보창
41 : 콘텐츠 항목
42 : 세부조건

Claims (6)

  1. 재난 정보 수집 앱이 설치되어 사진, 동영상과 같은 재난정보를 수집,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모바일 기기(1)와; 상기 스마트 모바일 기기(1)로부터 전송된 재난정보가 저장되어지는 스마트 빅보드 서버(2)와; 상기 스마트 빅보드 서버(2)에 저장된 재난정보가 시간 및 위치정보와 함께 지도에 표시되어지는 스마트 빅보드 화면(3)으로 구성되는 재난안전 통합 관리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재난 안전 통합 상황관리를 위한 위치기반 실시간 시나리오 설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빅보드 화면(3)은 지리정보장치(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가 제공되므로 2차원 또는 3차원 지도(31) 기반의 공간정보 데이터 위에, 상기 스마트 모바일 기기(1)로부터 전송된 재난정보, 즉 사진, 현장 스트리밍 영상과, 실시간 기상정보, CCTV 영상과, SNS 에 의한 빅데이터로 이루어진 콘텐츠들이 동시에 레이어로 표출 및 실행되어지되,
    먼저 사용자가 상기 재난정보 및 콘텐츠들중에서 지도(31) 상에 표출하고자하는 콘텐츠들을 선택하고, 상기 콘텐츠들에 대한 세부 조건을 정해줌으로써 재난안전 시나리오를 설정 및 저장하고,
    상기 시나리오의 실행조건 조건에 도달한 경우에는 재난안전 시나리오가 자동실행됨으로써, 선택된 콘텐츠들은 지도(31)상에 동시에 레이어로 표출 및 실행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안전 통합 상황관리를 위한 위치기반 실시간 시나리오 설정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지도(31) 상에 표출하기 위한 콘텐츠들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먼저 콘텐츠 상위메뉴(4)를 열어 "기상정보", "CCTV", "빅데이터", "현장조사" 의 다수 콘텐츠들로부터 1개 이상을 선택하고, 이때 콘텐츠 세부메뉴(5)가 열리면 상기 선택된 콘텐츠의 세부 항목에 대한 범위를 설정해줌으로서, 재난안전 시나리오를 설정 및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안전 통합 상황관리를 위한 위치기반 실시간 시나리오 설정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 상위메뉴(4)에서는 1차적으로 "기상정보", "CCTV", "빅데이터", "현장조사" 와 같은 콘텐츠 항목(41)으로 분류되고, 2차적으로는 "기상정보, 레이더 영상, 위성영상", "CCTV", "실시간 트위터, 급상승 키워드, 트윗빈도 분포표"와 같은 세부조건(42)으로 분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안전 통합 상황관리를 위한 위치기반 실시간 시나리오 설정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선택된 콘텐츠들이 상기 시나리오의 실행조건 조건에 도달한 경우, 재난 정보 수집 앱이 설치된 스마트 모바일 기기(1)에는 상기 스마트 빅보드 서버(2)로부터 재난정보 및 각종 콘텐츠에 대한 알람이 실시간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안전 통합 상황관리를 위한 위치기반 실시간 시나리오 설정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알람 조건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상기 콘텐츠 상위메뉴(4) 및 콘텐츠 세부메뉴(5)의 내용을 모두 입력한 후에, 알람 설정메뉴(6)를 열어 알람 발생 여부 및 세부 조건들을 설정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안전 통합 상황관리를 위한 위치기반 실시간 시나리오 설정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정보와 콘텐츠들은 시간정보와 위치정보와 함께 제공되므로, 스마트 빅보드 화면(3)의 지도(31)에서는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되는 곳에 콘텐츠 표시부(32)가 표시되어지고, 상기 콘텐츠 표시부(32)를 선택하면 별도의 정보창(33)들이 활성화되어서 상기 재난정보와 콘텐츠들이 동시에 레이어로 표출 및 실행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안전 통합 상황관리를 위한 위치기반 실시간 시나리오 설정방법.
KR1020150117811A 2015-08-21 2015-08-21 재난안전 통합 상황관리를 위한 위치기반 실시간 시나리오 설정방법 Active KR101724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811A KR101724260B1 (ko) 2015-08-21 2015-08-21 재난안전 통합 상황관리를 위한 위치기반 실시간 시나리오 설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811A KR101724260B1 (ko) 2015-08-21 2015-08-21 재난안전 통합 상황관리를 위한 위치기반 실시간 시나리오 설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608A KR20170022608A (ko) 2017-03-02
KR101724260B1 true KR101724260B1 (ko) 2017-04-07

Family

ID=58427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7811A Active KR101724260B1 (ko) 2015-08-21 2015-08-21 재난안전 통합 상황관리를 위한 위치기반 실시간 시나리오 설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426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308B1 (ko) * 2020-10-07 2021-07-06 대한민국 매핑콘텐츠 결과물을 제공하기 위한 재난상황 관리시스템
KR102329558B1 (ko) 2021-06-10 2021-11-22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맞춤형 도시재생사업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KR20230037353A (ko) 2021-09-09 2023-03-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업무 프로세스 기반 재난 상황관리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4616B1 (ko) * 2017-05-26 2019-01-31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성 영상을 이용한 재해 및 재난 경보 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재해 및 재난 경보 서버
KR102018151B1 (ko) * 2018-12-12 2019-09-06 대한민국 영상기준 재난상황 관리시스템
KR102357579B1 (ko) * 2020-03-09 2022-02-03 (주)투비시스템 IoT 방식의 유해 화합물 모니터링 시스템
JP6993485B1 (ja) * 2020-09-23 2022-01-13 株式会社Jx通信社 情報分析装置、情報分析方法および情報分析プロブラム
KR102458256B1 (ko) * 2021-01-29 2022-10-24 (주)로딕스 스마트 방사능 방재 지휘 통제시스템
KR102504562B1 (ko) * 2022-10-06 2023-02-28 대한민국 Ai에 의한 재난안전지식 통합관리시스템
KR102707759B1 (ko) 2024-01-22 2024-09-20 주식회사 크라우드어브어스 개인용 핸드폰을 이용한 실시간 재난 영상 수집 및 제공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0399A (ja) 2007-12-10 2009-06-25 Nec Access Technica Ltd 災害情報表示装置および災害情報表示方法
JP2015072612A (ja) 2013-10-03 2015-04-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早期状況把握方法、およ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528B1 (ko) 2007-02-27 2007-08-10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무선통신과 웹-지아이에스를 이용한 재해피해조사 실시간자동화 업데이트 시스템 및 그 운영방법
KR101368535B1 (ko) 2011-10-20 2014-03-06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모바일기기를 이용한 지도기반의 실시간 재난정보서비스 운용방법
KR20150045771A (ko) * 2013-10-21 2015-04-29 대한민국(국민안전처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통합적인 재난관리를 위한 스마트 재난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40399A (ja) 2007-12-10 2009-06-25 Nec Access Technica Ltd 災害情報表示装置および災害情報表示方法
JP2015072612A (ja) 2013-10-03 2015-04-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早期状況把握方法、および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308B1 (ko) * 2020-10-07 2021-07-06 대한민국 매핑콘텐츠 결과물을 제공하기 위한 재난상황 관리시스템
KR102329558B1 (ko) 2021-06-10 2021-11-22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맞춤형 도시재생사업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 및 방법
KR20230037353A (ko) 2021-09-09 2023-03-1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업무 프로세스 기반 재난 상황관리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608A (ko) 201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4259B1 (ko) 재난 안전 통합관리 시스템에 의한 관심지역 분석방법
KR101724260B1 (ko) 재난안전 통합 상황관리를 위한 위치기반 실시간 시나리오 설정방법
KR101737815B1 (ko) 재난안전 통합 상황관리를 위한 관심지역 분석방법
US11676258B1 (en) Method and system for assessing damage to infrastructure
US1070854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video analysis rules based on map data
US10134092B1 (en) Method and system for assessing damage to insured properties in a neighborhood
EP3234901B1 (en) Bi-directional community information brokerage
US20150130840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porting events
US20180025458A1 (en) Self-customizing, multi-tenanted mobile system and method for digitally gathering and disseminating real-time visual intelligence on utility asset damage enabling automated priority analysis and enhanced utility outage response
KR101173846B1 (ko) 하천과 지하수의 수질 및 생태 모니터링 시스템
KR20160099931A (ko) 재난 위험 및 관심 지역에 대한 재난 예방 및 관리방법
KR20140032205A (ko) 모바일 기반 재난피해 조사시스템 및 방법
CN107220749A (zh) 一种应急资源快速调度的方法及系统
Psaroudakis et al. Development of an early warning and incident response system for the protection of visitors from natural hazards in important outdoor sites in Greece
Kirpalani Technology‐driven approaches to enhance disaster response and recovery
Moszynski et al. Innovative web-bas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for municipal areas and coastal zone security and threat monitoring using EO satellite data
CN102938712A (zh) 作业现场数字化管控系统
Wang et al. Challenges of the sensor web for disaster management
JPWO2018179436A1 (ja) 探索支援プログラム、探索支援方法および探索支援装置
Aditya et al. Crowdsourced hotspot validation and data visualisation for location-based haze mitigation
Joo et al. Protecting cultural heritage tourism sites with the ubiquitous sensor network
Moßgraber et al. The sensor to decision chain in crisis management.
JP2023036526A (ja) プログラム、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Giribabu et al. Coordination with the help of geographical coordinates: g-governance in India
JPWO2013051300A1 (ja) 被災状況把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7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2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f 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R07021E01D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of National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403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403

End annual number: 20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