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5870B1 - 미생물 연료전지용 양이온 교환막,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미생물 연료전지 - Google Patents
미생물 연료전지용 양이온 교환막,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미생물 연료전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25870B1 KR101725870B1 KR1020140160975A KR20140160975A KR101725870B1 KR 101725870 B1 KR101725870 B1 KR 101725870B1 KR 1020140160975 A KR1020140160975 A KR 1020140160975A KR 20140160975 A KR20140160975 A KR 20140160975A KR 101725870 B1 KR101725870 B1 KR 1017258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anofiber
- membrane
- nanofiber membrane
- porous substrate
- lamina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6—Biochemical fuel cells, i.e. cells in which microorganisms function as catalys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89—Means for holding the electrolyt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양이온 교환막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층 구조를 갖는 나노섬유 멤브레인이 구비된 양이온 교환막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양이온 교환막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양이온 교환막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양이온 교환막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따라 PVC 나노섬유의 표면을 각각 1,000배 및 10,000배 확대하여 나타낸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라 PVDF 나노섬유의 표면을 각각 500배 및 10,000배 확대하여 나타낸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라 PVC/TPU을 50/50 wt.%로 블랜드 전기방사하여 얻은 복합나노섬유의 표면을 나타낸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을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라 PVDF 나노섬유웹과 PET 부직포가 복합화된 나노섬유 복합막의 단면에 대한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을 나타낸다.
30: 양이온 교환막 32: 나노섬유 멤브레인
34: 다공성 기재 32a: 제1나노섬유 멤브레인
32b: 제2나노섬유 멤브레인 32c: 제3나노섬유 멤브레인
Claims (15)
- 섬유 성형성 고분자 물질을 전기방사하여 나노섬유 웹 형태로 형성되고, 직경 1㎛ 미만의 3차원 미세기공을 갖는 나노섬유 멤브레인;
상기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양측면에 적층되어 나노섬유 멤브레인을 지지하는 다공성 기재; 및
상기 나노섬유 멤브레인, 또는 상기 나노섬유 멤브레인과 다공성 기재 모두에 충진되는 이온전도체 물질을 포함하는 미생물 연료전지용 양이온 교환막.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 멤브레인은 섬유 성형성 고분자를 용매에 용해한 방사용액의 전기방사에 의해 집적되어 미세기공을 가지는 나노섬유 웹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연료전지용 양이온 교환막.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나노섬유 함량(평량)은 0.5 ~ 20gsm(gram per square met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연료전지용 양이온 교환막.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 멤브레인은 복수로 적층되는 다층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나노섬유 멤브레인 사이는 열압착 또는 라미네이팅 방법에 의해 나노섬유간 융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연료전지용 양이온 교환막.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전도체 물질은 양이온 교환기를 갖고 있는 고분자 수지로 폴리(퍼플루오로술폰산), 폴리(퍼플루오로카르복실산), 술폰산기를 포함하는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과 플루오로비닐에테르의 공중합체, 탈불소화된 황화 폴리에테르케톤 및 이들의 혼합물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연료전지용 양이온 교환막.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기재는 부직포 또는 직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연료전지용 양이온 교환막.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 멤브레인과 다공성 기재는 라미네이팅, 캘린더링, 열판 캘린더링, 초음파 본딩, 엠보싱 중 어느 한 방법에 의해 나노섬유 멤브레인과 다공성 기재 사이가 열융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연료전지용 양이온 교환막.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표면은 음극부에서의 발생한 수소이온의 교환 속도를 최대화할 수 있도록 친수화 처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연료전지용 양이온 교환막. - 섬유 성형성 고분자 물질과 용매를 혼합하여 방사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방사용액을 전기방사하여 직경 1㎛ 미만인 나노섬유를 형성하고, 상기 나노섬유를 집적하여 미세기공을 갖는 나노섬유 멤브레인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나노섬유 멤브레인을 다공성 기재와 합지하여, 상기 나노섬유 멤브레인의 양측면에 다공성 기재를 적층하는 단계; 및
상기 나노섬유 멤브레인, 또는 나노섬유 멤브레인과 다공성 기재 모두에 이온전도체 물질을 충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생물 연료전지용 양이온 교환막 제조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 멤브레인을 복수로 적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나노섬유 멤브레인을 복수로 적층하는 단계는 열압착 또는 라미네이팅 방법에 의해 나노섬유간 융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연료전지용 양이온 교환막 제조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 멤브레인을 다공성 기재와 합지하는 단계는 라미네이팅, 캘린더링, 열판 캘린더링, 초음파 본딩, 엠보싱 중 어느 한 방법에 의해 나노섬유 멤브레인과 다공성 기재 사이를 열융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연료전지용 양이온 교환막 제조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전도체 물질을 충진하는 단계는 담지 공정, 라미네이팅, 스프레이, 전기분사(electrospray), 스크린 프린팅, 닥터 블레이드 공정 중 어느 한 방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 연료전지용 양이온 교환막 제조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섬유 멤브레인 표면을 플라즈마나 코로나 처리하여 친수화 기능을 부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미생물 연료전지용 양이온 교환막 제조방법. - 음극부;
상기 음극부와 대향되게 배치되는 양극부; 및
상기 음극부와 양극부 사이에 위치하고, 청구항 1에 따른 양이온 교환막을 포함하는 미생물 연료전지.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160975A KR101725870B1 (ko) | 2014-11-18 | 2014-11-18 | 미생물 연료전지용 양이온 교환막,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미생물 연료전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160975A KR101725870B1 (ko) | 2014-11-18 | 2014-11-18 | 미생물 연료전지용 양이온 교환막,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미생물 연료전지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60059285A KR20160059285A (ko) | 2016-05-26 |
| KR101725870B1 true KR101725870B1 (ko) | 2017-04-11 |
Family
ID=5610468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40160975A Active KR101725870B1 (ko) | 2014-11-18 | 2014-11-18 | 미생물 연료전지용 양이온 교환막,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미생물 연료전지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725870B1 (ko)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10098092A (ko) | 2020-01-31 | 2021-08-10 | 최성원 | 미생물 연료전지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900772B1 (ko) | 2017-04-27 | 2018-09-20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이온 교환막,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장치 |
| KR102097507B1 (ko) * | 2017-09-05 | 2020-05-27 | 한국과학기술원 |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용 수소이온 전도성 고분자 섬유 매트릭스 내장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 |
| KR102095999B1 (ko) * | 2017-11-10 | 2020-04-01 |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 전력관리가 가능한 미생물연료전지 시스템 |
| WO2019107996A1 (ko) * | 2017-11-30 | 2019-06-06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고분자 전해질 막,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막 전극 어셈블리 |
| KR102293177B1 (ko) * | 2017-11-30 | 2021-08-26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고분자 전해질 막,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막 전극 어셈블리 |
| KR102255170B1 (ko) * | 2019-06-04 | 2021-05-25 | 경상국립대학교산학협력단 | 이온교환 복합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
| WO2021011590A1 (en) * | 2019-07-15 | 2021-01-21 | The Secant Group, Llc | Polyvinylidene fluoride membrane support |
| CN110649270B (zh) * | 2019-09-09 | 2021-04-06 | 北京科技大学 | 一种微生物燃料电池用纳米纤维/产电菌薄膜制备方法 |
| KR102160961B1 (ko) * | 2019-12-16 | 2020-09-29 | (주) 시온텍 | 복합 탈염 전극 제조 장치 및 방법 |
| KR102770724B1 (ko) * | 2021-12-14 | 2025-02-24 |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 미생물 연료전지용 양이온 교환막,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미생물 연료전지 |
| CN115411325A (zh) * | 2022-09-27 | 2022-11-29 | 沈阳建筑大学 | 富集甲烷厌氧氧化产电互养共生微生物的导电中空纤维膜电化学装置及其方法 |
| CN119433969A (zh) * | 2024-10-17 | 2025-02-14 | 东华大学 | 一种基于频率可控交变电场的核壳结构功能纤维复合材料及其制备方法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1216269A (ja) * | 2010-03-31 | 2011-10-27 | Japan Vilene Co Ltd | 高分子電解質膜 |
Family Cites Familie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190397B1 (ko) | 2010-08-05 | 2012-10-11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탄화수소계 물질을 포함하는 강화 양이온 교환막을 이용한 미생물 연료전지,미생물 연료전지용 막?전극 접합체 및 미생물 연료전지용 전극 |
| KR20120134236A (ko) * | 2011-06-01 | 2012-12-12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연료전지용 전해질막 및 그 제조방법 |
| KR101551358B1 (ko) * | 2014-09-26 | 2015-09-09 |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 셧다운 기능을 갖는 복합 다공성 분리막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
-
2014
- 2014-11-18 KR KR1020140160975A patent/KR101725870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1216269A (ja) * | 2010-03-31 | 2011-10-27 | Japan Vilene Co Ltd | 高分子電解質膜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10098092A (ko) | 2020-01-31 | 2021-08-10 | 최성원 | 미생물 연료전지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60059285A (ko) | 2016-05-26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725870B1 (ko) | 미생물 연료전지용 양이온 교환막, 그 제조방법 및 이를 구비한 미생물 연료전지 | |
| US10854904B2 (en) |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nd a membrane-electrode assembly including the same | |
| US8617751B2 (en) | Water control sheet, gas diffusion sheet, membrane-electrode assembly and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 |
| Park et al. | Nafion/PVDF nanofiber composite membranes for regenerative hydrogen/bromine fuel cells | |
| KR101376362B1 (ko) |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및 그 제조방법 | |
| US10381672B2 (en) | Reinforced composite membrane for fuel cell and membrane-electrode assembly for fuel cell comprising the same | |
| KR101178644B1 (ko) | 이온전도성 복합막, 막-전극 접합체 및 연료전지 | |
| CN112335083B (zh) | 聚合物电解质膜、其制造方法及包括其的膜电极组件 | |
| KR101082810B1 (ko) | 가스 확산 전극, 막-전극 접합체, 고체 고분자형 연료 전지및 이들의 제조 방법 | |
| US20120231355A1 (en) |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a fuel cell,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 |
| KR101754122B1 (ko) | 수전해용 강화 복합막 및 이를 포함하는 수전해용 막전극 접합체 | |
| KR20110006122A (ko) |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및 그 제조방법 | |
| KR102140121B1 (ko) | 다공성 기재를 포함하는 강화-복합 전해질막 및 이의 제조방법 | |
| KR20190001557A (ko) | 탄소 나노 섬유 방사층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기체확산층 | |
| Oroujzadeh et al. | Proton exchange membranes with microphase separated structure from dual electrospun poly (ether ketone) mats: producing ionic paths in a hydrophobic matrix | |
| JP2011028849A (ja) | 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用ガス拡散電極及びその製造方法 | |
| JP2024095738A (ja) | 高分子電解質膜、それを含む膜-電極アセンブリ及び燃料電池 | |
| US20170365864A1 (en) | Porous support having excellent filling characteristics of ion conductor,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reinforced membrane including the same | |
| CN110383553B (zh) | 增强隔膜的制造方法、使用该制造方法制造的增强隔膜和氧化还原液流电池 | |
| KR20180076949A (ko) |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및 그 제조방법 | |
| KR20120134236A (ko) | 연료전지용 전해질막 및 그 제조방법 | |
| KR20070019868A (ko) |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이를 포함하는 막-전극어셈블리,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및 이의제조방법 | |
| KR20170003479A (ko) | 고분자 강화막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분자 강화막 | |
| KR20110129113A (ko) | 고분자 전해질 나노섬유 웹 | |
| KR20090044315A (ko) | 연료전지용 고분자 복합 전해질막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포함하는 막전극 접합체 및 연료전지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18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316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4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4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1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1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