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7563B1 - Card socket with ejecting puller - Google Patents
Card socket with ejecting pull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27563B1 KR101727563B1 KR1020130114705A KR20130114705A KR101727563B1 KR 101727563 B1 KR101727563 B1 KR 101727563B1 KR 1020130114705 A KR1020130114705 A KR 1020130114705A KR 20130114705 A KR20130114705 A KR 20130114705A KR 101727563 B1 KR101727563 B1 KR 1017275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d
- ejecting
- housing
- puller
- cov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4—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with contacts abutting directly the printed circuit; Button contacts therefore provided on the printed circui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16—Mechanical arrangements for accommodating identification devices, e.g. cards or chips; with connectors for programming identification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56—Details of interchangeable modules or receptacles therefor, e.g. cartridge mechanisms
- H05K5/0286—Receptacles therefor, e.g. card slots, module sockets, card groun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전자기기에 사용되며 푸시(Push)-풀(Pull) 메카니즘에 의해 카드를 취출하는 카드 소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드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탈거 편리성이 향상된 카드 소켓에 관한 것이다. 특히, 카드의 탈거 편리성을 향상시켜주는 이젝팅 풀러(Ejecting Puller)를 구비한 카드 소켓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이젝팅 풀러를 구비한 카드 소켓은, 하우징과, 하우징을 커버링하는 커버를 구비하여 하우징과 커버 사이에 카드를 삽입하고 인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카드 소켓에 있어서, 하우징의 일측에 커버의 삽입 및 인출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며, 카드 인출시 사용자에 의해 인출방향으로 강제 슬라이딩되면서 카드를 인출방향으로 밀어주는 이젝팅 풀러를 더 포함한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d socket for use in an electronic device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aking out a card by a push-pull mechanis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mproved card socket.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rd socket having an ejecting puller for enhancing convenience of removing a card. A card socket having a ejecting pu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and a cover for covering the housing, the card socket being capable of inserting and withdrawing a car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cover, And an ejecting puller slidably mounted in a pull-out direction and slidably forced in a pull-out direction by the user when pulling out the card, thereby pushing the card in the pull-out direc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통신 단말기 등의 전자기기에 사용되며 푸시(Push)-풀(Pull) 메카니즘에 의해 카드를 취출하는 카드 소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카드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도록 탈거 편리성이 향상된 카드 소켓에 관한 것이다. 특히, 카드의 탈거 편리성을 향상시켜주는 이젝팅 풀러(Ejecting Puller)를 구비한 카드 소켓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이동통신 단말기에는 개인정보 및 신용결재에 대하여 인증할 수 있도록 한 인증용 카드와 다양한 콘텐츠의 이용시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카드가 각각 구비된다. 이동통신 단말기의 본체에는 카드를 삽입하기 위한 카드 소켓이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된다.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is provided with an authentication card for authenticating personal information and credit approval, and a memory card for storing data when various contents are used. A card socket for inserting a card is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in the main body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카드 소켓은 카드를 삽입하고 인출하는 형태에 따라 푸시(Push)-풀(Pull) 타입과 푸시(Push)-푸시(Push) 타입으로 구분된다. 푸시-풀 타입의 경우 카드를 인출할 때 사용자가 잡아당기는 형태이며, 푸시-푸시 타입의 경우 카드를 인출할 때 사용자가 카드를 눌러주면 자동으로 록킹이 해제되어 카드가 소켓으로부터 인출되는 형태이다.The card socket is divided into a push-pull type and a push-push type, depending on the type of card insertion and withdrawal. In the push-pull type, the user pulls out the card. In the push-push type, when the user pushes the card, the lock is automatically released and the card is pulled out of the socket.
푸시-푸시 타입에 의해 카드를 인출하는 카드 소켓이 본 출원인에 의해 개발되어 등록특허공보 제10-0513836호(이하, ‘선행문헌’이라 한다) 등에 개시되어 있다.A card socket for withdrawing a card by a push-push type has been developed by the present applicant and is disclosed in Patent Publication No. 10-0513836 (hereinafter referred to as " precedent document ").
선행문헌과 같이 푸시-푸시 타입의 경우 푸시-풀 타입과 비교하여 카드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제작과정이 복잡하고 제작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As in the prior art, the push-push type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card can be easily drawn out compared with the push-pull type, but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complicated and the manufacturing cost is high.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푸시-풀 메커니즘에 의해 카드를 인출할 수 있도록 하되 카드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는 이젝팅 풀러를 구비한 카드 소켓을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ard socket having an ejecting puller capable of pulling out a card by a push-pull mechanism, .
본 발명 이젝팅 풀러를 구비한 카드 소켓은, 하우징과, 하우징을 커버링하는 커버를 구비하여 하우징과 커버 사이에 카드를 삽입하고 인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카드 소켓에 있어서, 하우징의 일측에 커버의 삽입 및 인출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며, 카드 인출시 사용자에 의해 인출방향으로 강제 슬라이딩되면서 카드를 인출방향으로 밀어주는 이젝팅 풀러를 더 포함한다.A card socket having a ejecting pu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and a cover for covering the housing, the card socket being capable of inserting and withdrawing a card between the housing and the cover, And an ejecting puller slidably mounted in a pull-out direction and slidably forced in a pull-out direction by the user when pulling out the card, thereby pushing the card in the pull-out direction.
하우징의 일측에는 이젝팅 풀러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딩홈이 형성된다.On one side of the housing, a sliding groove into which the ejecting puller is slidably inserted is formed.
이젝팅 풀러는, 슬라이딩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딩부; 슬라이딩부의 상측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카드 삽입시 카드에 의해 밀리도록 이루어지며, 카드 인출시 카드를 인출방향으로 밀어주는 인출부; 및 슬라이딩부의 상측에 형성되어 카드 인출시 사용자가 접촉하여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된 접촉부;를 포함한다.The ejecting puller includes a sliding portion slidably inserted into the sliding groove; A withdrawing portion extending laterally from the upper side of the sliding portion and pushed by the card when the card is inserted and pushing the card in the withdrawing direction when the card is withdrawn; And a contact portion formed on an upper side of the sliding portion and adapted to be pushed or pulled by a user when the card is drawn out.
인출부는 카드의 선단부 경사면에 대응되게 경사면이 형성된다.The lead portion is formed with an inclin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surface of the leading end of the card.
인출부는 카드가 삽입될 때 하우징에 형성된 역삽방지부와 겹친다.The lead-out portion overlaps with the anti-tip portion formed in the housing when the card is inserted.
접촉부의 접촉면에는 손가락, 손톱 또는 도구를 이용해 밀거나 당길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요홈이 이격 형성된다.The contact surface of the contact portion is formed with a groove so as not to slip when pushed or pulled with a finger, a nail, or a tool.
이젝팅 풀러는 커버에 의해 이탈이 방지된다.The ejecting puller is prevented from being released by the cover.
커버에는 접촉부를 외부로 노출시켜 사용자가 손가락, 손톱 또는 도구를 접촉부와 접촉할 수 있도록 개방부가 형성된다.The cover is provided with an opening for exposing the contact portion to the outside so that the user can contact the contact portion with a finger, a nail or a tool.
본 발명 이젝팅 풀러를 구비한 카드 소켓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들이 있다.The card socket having the ejecting pu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푸시-풀 메커니즘을 갖는 카드 소켓에 있어서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진 이젝팅 풀러를 이용해 카드를 강제 인출할 수 있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종래 푸시-푸시 메카니즘을 갖는 카드 소켓과 비교하여 간단한 구조로 카드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고 카드 인출이 용이한 카드 소켓을 작은 비용으로도 제작할 수 있다. 카드 소켓의 제작단가가 줄어들면 소켓이 채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제작단가를 줄일 수 있다.First, since a card socket having a push-pull mechanism is capable of forcibly pulling out a card by using an ejecting puller having a simple structure, a card can be easily made with a simple structure in comparison with a card socket having a conventional push-push mechanism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a card socket which can be drawn out and in which a card can be drawn easily at a small cost. If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card socket is reduced, the manufacturing cost of th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mploying the socket can be reduced.
둘째, 카드가 완전 삽입될 때 이젝팅 풀러의 인출부가 하우징의 역삽방지부와 겹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카드 소켓의 전체적인 부피를 대폭 줄일 수 있고, 카드가 삽입되는 공간을 대폭 줄일 수 있다.Second, when the card is completely inserted, the ejecting portion of the ejecting puller is overlapped with the reversing preventing portion of the housing, so that the overall volume of the card socket can be greatly reduced, and the space in which the card is inserted can be greatly reduced.
셋째, 손가락이나 손톱, 도구를 이용하여 이젝팅 풀러를 밀고 당길 수 있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카드 인출이 용이하다. 또한, 손가락이나 손톱, 도구가 접촉되는 접촉부에 요홈을 형성함으로써, 손가락이나 손톱, 도구가 접촉될 때 미끄러지지 않기 때문에 이젝팅 풀러의 슬라이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ird, the ejecting puller can be pushed and pulled by using a finger, a nail, or a tool, so that the card can be easily drawn out. Further, by forming the groove in the contact portion where the finger, the nail, and the tool are in contact, the sliding of the ejecting puller can be stably performed because the finger, the nail and the tool do not slide when they are contact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젝팅 풀러를 구비한 카드 소켓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하우징의 평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하우징의 측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이젝팅 풀러의 사시도.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1 커버의 평면도.
도 7은 카드를 삽입할 때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카드가 완전히 삽입된 상태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카드를 인출할 때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rd socket having an ejecting pul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3 is a plan view of the housing shown in Fig.
Figure 4 is a side view of the housing shown in Figure 2;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jecting puller shown in Figure 2;
Fig. 6 is a plan view of the first cover shown in Fig. 2;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n the card is inserted.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rd is completely inserted.
9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n the card is taken out;
이하에서는 본 발명 이젝팅 풀러를 구비한 카드 소켓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card socket having a ejecting pu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젝팅 풀러를 구비한 카드 소켓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rd socket having an ejecting puller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본 발명에 따른 이젝팅 풀러를 구비한 카드 소켓은 두 개의 카드가 상하로 적층 삽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하우징(10), 제1,2 커버(20)(30), 이젝팅 풀러(40)를 포함한다.The card socket having the ejecting pu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such that two cards can be stacked and inserted in the upper and lower sides and the
하우징(10)은 절연체로서 상부에 카드가 삽입되는 카드 삽입공간이 형성되며, 이 카드 삽입공간은 제1 커버(20)에 의해 커버링된다. 하우징(10)에는 두 개의 카드와 각각 접속되는 제1,2 접속단자(50)(60)들이 구비된다. 제1 접속단자(50)들은 하우징(10)에서 앞쪽에 위치되고, 제2 접속단자(60)들은 하우징(10)에서 뒤쪽에 위치된다.The
제1 커버(20)는 하우징(10)의 앞쪽에 결합되어 카드 삽입공간과 제1 접속단자(50)들을 커버링한다. 제1 커버(20)의 상면 양쪽에는 제1 커버(20)의 상면으로 카드를 슬라이딩시키기 위한 가이드편(21)이 각각 절곡 형성된다.The
제2 커버(30)는 하우징(10)의 뒤쪽에 결합되어 하우징(10) 후단부와의 사이에 카드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을 형성한다. 제2 커버(30)는 설치시 상면이 제1 커버(20)의 상면보다 높게 위치됨으로써, 제1 커버(20)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카드는 하우징(10)과 제2 커버(30) 사이로 삽입된다.The
이젝팅 풀러(40)는 하우징(10)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하로 적층 삽입되는 두 개의 카드 중 하부로 삽입되는 카드의 인출을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이젝팅 풀러(40)는 카드의 삽입 및 인출방향으로 슬라이딩되게 구비되어, 카드 인출시 사용자가 인출방향으로 이젝팅 풀러(40)를 강제 슬라이딩시키면 이젝팅 풀러(40)가 카드를 인출방향으로 밀어 강제 인출시키게 된다.
The ejecting puller (4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housing (10) and facilitates the withdrawal of a card inserted in a lower portion of two cards stacked vertically. The ejecting puller 40 slides in the direction of insertion and withdrawal of the card. When the user forces the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하우징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하우징의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이젝팅 풀러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제1 커버의 평면도이다.Fig. 3 is a plan view of the housing shown in Fig. 2, Fig. 4 is a side view of the housing shown in Fig. 2,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jecting puller shown in Fig. 1 cover.
하우징(10) 중 제1 커버(20)에 의해 커버링되는 부분의 일측에는 이젝팅 풀러(40)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는 슬라이딩홈(11)이 전후로 길게 형성된다. 하우징(10)의 상부 중 제1 카드가 삽입되는 카드 삽입공간의 후단부 일측에는 카드의 선단에 형성된 경사면과 대응되게 경사면을 구비하여 카드가 역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삽방지부(12)가 형성된다. 역삽방지부(12)는 위에서 보았을 때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하우징(10)의 일측 중심부에는 손가락이나 도구를 이용해 이젝팅 풀러(40)를 잡고 슬라이딩홈(11)에 삽입하거나 탈거시킬 때 손가락이나 도구로 이젝팅 풀러(40)를 안정적으로 집을 수 있도록 절개된 형태의 설치홈(13)이 형성된다.A
이젝팅 풀러(40)는, 슬라이딩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판 형태의 슬라이딩부(41)와, 슬라이딩부(41)의 후단부 상측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카드 삽입시 카드에 의해 밀리도록 이루어지며 카드 인출시 카드를 인출방향으로 밀어주는 인출부(42), 및 슬라이딩부의 전단부 상측으로부터 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카드 인출시 사용자가 접촉하여 밀거나 당길 수 있도록 된 접촉부(43)를 포함한다.The ejecting
인출부(42)는 설치시 하우징(10)의 상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슬라이딩시 하우징(10)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슬라이딩된다. 이러한 인출부(42)는 역삽방지부(12)와 동일한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카드 삽입시 카드의 선단에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 밀리며 카드가 완전 삽입되면 역삽방지부(12)와 겹친다. 인출부(42)에는 역삽방지부(12)와 마찬가지로 카드의 경사면과 접촉되는 경사면이 형성된다.The
접촉부(43)는 카드를 인출할 때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손톱, 도구로 접촉하여 밀고 당길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상면에 손가락이나 손톱, 도구가 접촉할 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 개의 요홈(43a)이 이격 형성된다.The
이젝팅 풀러(40)는 제1 커버(20)에 의해 커버링되어 이탈이 방지된다.The ejecting puller (40) is covered by the first cover (20) to prevent its escape.
제1 커버(20)의 일측에는 이젝팅 풀러(40)의 접촉부(43)를 외부로 노출시켜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손톱으로 접촉부(43)와 접촉할 수 있도록 개방부(22)가 형성된다.
An
도 7은 카드를 삽입할 때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카드가 완전히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카드를 인출할 때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ard is inserted, Fig. 8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ard is fully inserted, and Fig. 9 is a view showing a state when the card is taken out.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하우징(10)의 카드 삽입공간에 카드(1)를 삽입하면 카드(1)의 선단에 의해 이젝팅 풀러(40)의 인출부(42)가 밀리면서 이젝팅 풀러(40) 전체가 후방으로 슬라이딩된다. 도 8에 도시된 것처럼, 카드(1)가 완전 삽입되어 카드(1)의 경사면이 역삽방지부(12)의 경사면에 접촉되면 이젝팅 풀러(40)는 역삽방지부(12)에 겹친다. 역삽방지부(12)로 인해 카드(1)의 역삽입이 방지된다.7, when the
카드(1)의 삽입이 완료될 때 모양이 같은 인출부(42)와 역삽방지부(12)가 서로 겹치기 때문에 카드 소켓 전체의 부피를 줄일 수 있고, 카드 삽입공간을 줄일 수 있다.When the insertion of the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카드(1)를 인출하기 위해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손톱, 도구를 이용해 이젝팅 풀러(40)의 접촉부(43)를 전방으로 당기면, 이젝팅 풀러(40)의 인출부(42)가 카드(1)의 선단부 경사면과 접촉되면서 카드(1)를 전방으로 강제 슬라이딩시킴으로써 카드(1)가 강제 인출된다.
9, when the user pulls the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본 발명 이젝팅 풀러를 구비한 카드 소켓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분야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ard socket having the ejecting pull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on the basis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10 : 하우징 11 : 슬라이딩홈
12 : 역삽방지부 13 : 설치홈
20 : 제1 커버 21 : 가이드편
22 : 개방부 30 : 제2 커버
40 : 이젝팅 풀러 41 : 슬라이딩부
42 : 인출부 43 : 접촉부
50 : 제1 접속단자 60 : 제2 접속단자10: housing 11: sliding groove
12: anti-sip prevention part 13: installation groove
20: first cover 21: guide piece
22: opening portion 30: second cover
40: ejecting puller 41: sliding part
42: lead portion 43: contact portion
50: first connection terminal 60: second connection terminal
Claims (8)
카드가 삽입 및 인출되는 방향으로 상기 이젝팅 풀러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슬라이딩홈과, 카드의 선단부에 형성된 경사면과 대응하는 역삽방지부를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슬라이딩홈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길이와 상기 하우징의 두께 방향을 따르는 폭을 가지면서 상기 슬라이딩홈에 삽입되는 수직 판 형태의 슬라이딩부와, 상기 역삽방지부의 경사면과 동일한 경사면을 갖도록 상기 슬라이딩부의 후단부 상측에서 상기 하우징 내측 공간으로 절곡되는 인출부와, 상기 슬라이딩부의 상측에서 상기 하우징의 내측 공간으로 절곡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이젝팅 풀러; 및
상기 이젝팅 풀러의 접촉부가 노출되는 개방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젝팅 풀러의 이탈이 방지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드 소켓.A card socket comprising a housing, an ejecting fuller accommodated in the housing, and a cover covering the housing, the card socket being inserted and withdrawn between the housing and the cover,
A housing including a sliding groove into which the ejecting puller is slidably insert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card is inserted and withdrawn, and a reversing prevention portion corresponding to an inclined surface formed on the leading end of the card;
A sliding portion having a leng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liding groove and a width along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housing and inserted into the sliding groove; and a rear portion of the rear portion of the sliding portion having the same inclined surface as the inclined surface of the reverse- An ejecting part which is bent from the upper side to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and an abutting part which is bent from the upper side of the sliding part to the inner space of the housing; And
And a cover coupled to the housing such that an opening portion through which the contact portion of the ejecting puller is exposed is formed and the ejecting puller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cover.
상기 접촉부의 접촉면에는 손가락, 손톱 또는 도구를 이용해 밀거나 당길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요홈이 이격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젝팅 풀러를 구비한 카드 소켓.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act surface of the contact portion is formed with a groove so as not to be slid when pushed or pulled by using a finger, a nail, or a tool.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114705A KR101727563B1 (en) | 2013-09-26 | 2013-09-26 | Card socket with ejecting pull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114705A KR101727563B1 (en) | 2013-09-26 | 2013-09-26 | Card socket with ejecting puller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60150181A Division KR20160132358A (en) | 2016-11-11 | 2016-11-11 | Card socket with ejecting puller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50034516A KR20150034516A (en) | 2015-04-03 |
| KR101727563B1 true KR101727563B1 (en) | 2017-04-17 |
Family
ID=5303131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30114705A Expired - Fee Related KR101727563B1 (en) | 2013-09-26 | 2013-09-26 | Card socket with ejecting pulle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727563B1 (en)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203085808U (en) * | 2013-02-20 | 2013-07-24 | 莫列斯公司 | Electric connector |
-
2013
- 2013-09-26 KR KR1020130114705A patent/KR101727563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203085808U (en) * | 2013-02-20 | 2013-07-24 | 莫列斯公司 | Electric connecto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50034516A (en) | 2015-04-03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9590356B2 (en) | Puller type card socket | |
| CN102916297A (en) | Card connector | |
| CN103855528A (en) | Electronic card connector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 |
| CN103188906A (en) | Automatic ejection device | |
| CN102832507A (en) | Card connector and combination thereof | |
| US7614891B2 (en) | Card connector | |
| KR101574726B1 (en) | Socket for dual memory card | |
| KR101727563B1 (en) | Card socket with ejecting puller | |
| KR20160132358A (en) | Card socket with ejecting puller | |
| CN102832483A (en) | Electronic-card connector | |
| JP2012113984A (en) | Card connector | |
| CN205070035U (en) | Improved structure of card connector with connection port function | |
| CN207303515U (en) | Card connector | |
| CN201797077U (en) | card connector | |
| CN200990428Y (en) | Card connector | |
| US7648398B1 (en) | Memory card connector | |
| CN107221804B (en) | Self-locking two-in-one card seat | |
| US7275944B1 (en) | Card connector capable of detecting insertion of card | |
| KR20160053135A (en) | Socket connector for Nano-SIM and Micro-SD Combo lever type | |
| KR101602729B1 (en) | Connector System with Easy Drawing Out of Tray | |
| CN202076592U (en) | Connector of electronic card | |
| US20180174002A1 (en) | Memory card reader interface with improved thumb scoop | |
| CN102738655A (en) | Electronic card connector | |
| CN207183670U (en) | card connector | |
| CN207265315U (en) | Connecto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6-div-PA0107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8-div-PA0107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4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Not in force date: 2021041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10412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