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4387B1 - Glasses clip for correcting visual function - Google Patents
Glasses clip for correcting visual func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34387B1 KR101734387B1 KR1020140065250A KR20140065250A KR101734387B1 KR 101734387 B1 KR101734387 B1 KR 101734387B1 KR 1020140065250 A KR1020140065250 A KR 1020140065250A KR 20140065250 A KR20140065250 A KR 20140065250A KR 101734387 B1 KR101734387 B1 KR 10173438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ns
- vertical
- fixing
- horizontal
- adjustment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3
- 230000004382 visual function Effects 0.000 title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0000000750 progres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4438 eyesigh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01000009310 astigmatism Diseas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4304 visual acuit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08000003464 asthenopia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01491 myopia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297 night vi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975 dy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64 dys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79 myopia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2177 Catarac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9710 Scleroderm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7513 Vision blurred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78 claw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173 dizzi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43 dye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13 gla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552 photo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22 reduc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25 retin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8000018316 severe headach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23 tempo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9/00—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초점의 렌즈 및 안경을 사용함에 있어서, 다초점 렌즈 및 안경의 이동을 통하여 사용 목적과 맞는 렌즈의 광학요소 포인트를 가장 편안한 아이 포인트에 고정시킴으로써, 렌즈 및 안경의 효율성을 높인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yeglass clip for visibility corre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yeglass clip for a vision correcting eye, and more particularly,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lens and the spectacles.
Description
본 발명은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안경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하여, 개인의 시력 교정 굴절력이 포함된 일반 시력교정 도수 안경에 렌즈의 도수를 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였다.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yeglass clip for visibility correc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use eyeglasses efficiently, it is possible to combine the power of lenses with a general eyeglass correcting glasses containing an eyeglass correcting refractive power.
또한, 상기 일반 안경의 도수와 대수합 도수의 굴절력을 이루는 렌즈를 주시거리에 따라 다양한 광학요소 포인트로 이동시킴으로써, 다양한 굴절도를 갖는 대수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In addition, by shifting the lens that forms the dioptric powers of the dioptric powers of the general spectacles to various optical element points according to the viewing distance, it is possible to perform algebraic summing with various refractive indexes.
따라서, 착용자가 원하는 대수합이 가능한 굴절도와 함께, 상기 렌즈의 광학 포인트를 사용자 아이 포인트 위치로 렌즈의 광학요소 포인트를 이동시킴으로써, 렌즈의 광학요소 포인트와 사용자 눈의 아이 포인트를 동일선상에 일치시켜 편안하고 선명한 시야의 시기능이 가능한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에 관한 것이다.
Thus, by moving the optical element point of the lens to the user eye point position, the optical element point of the lens and the eye point of the user eye are collinearized with the refractive power of the wearer's desired algebraic numb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ision-correcting eyeglass clip capable of providing a comfortable and clear visual field.
눈은 가까운 사물 또는 활자를 주시할 경우 눈의 조절을 통하여 명시하기 때문에 눈의 조절력을 필요로 한다.The eye needs the ability to control the eye because it is specified through the control of the eye when looking at a close object or type.
상기와 같은 조절력은 특히 근거리를 주시할 경우 크게 작용한다.The above-mentioned control power is particularly effective when the nearness is observed.
즉, 근거리를 긴 시간 주시할 경우 눈의 안정피로도가 상승하여 시야가 흐려 보이고, 심하면 두통으로 이어진다.In other words, if you look closely at the near distance for a long period of time, your eyes will see a steady fatigue, blurred vision, and a severe headache.
이와 같은 눈의 조절력 저하 문제를 해결하고자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연구의 성과로 최근에는 다중초점 렌즈가 개발되었다.Many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to solve the problem of poor control of the eye. Multifocal lenses have recently been develope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그러나, 다중초점 렌즈는 일반시력 교정도수와 더불어 다중초점 굴절도가 한 렌즈에 혼합되면서 다양한 역기능이 수반되었다.However, the multifocal lens was accompanied by a variety of dysfunctions as the multifocal refractive index was combined with a lens in addition to the normal visual acuity.
상기 역기능은 과다한 근시도와 난시도 및 원시도와 같은 도수와, 다중굴절도를 토대로 광학설계 제작된 렌즈의 비점수차와 왜곡수차, 및 프리즘 작용과 같은 유해 광학수차로 인하여 발생되는 시기능적인 부분에 문제를 내포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에 있어서 다양한 문제를 야기 시키고 있다.The above-mentioned dysfunctions are caused by problems such as astigmatic aberrations such as astigmatism and astigmatism such as astigmatism and astigmatism of a lens optically designed on the basis of multiple degrees of myopia, astigmatism and astigmatism, Thereby causing various problems in the convenience of the user.
상술한 문제점의 최소화를 위하여 최근에는, 안경테의 폭 조절을 통하여 초점을 조절하는 방식이 주목받고 있다.In recent years, in order to minimiz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 method of adjusting the focus through the adjustment of the width of the spectacle frame has attracted attention.
도 9는 종래의 안경테의 폭 조절을 통하여 초점을 조절하는 안경의 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9에 도시된 안경테는 렌즈 수용부(10)를 연결하는 연결부(20)를 통하여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 연결부(20)의, 연결관A(22a) 및 연결관B(22b)는 내부 관통공(24)을 가지고 있으며, 이 관통공(24)에 내부 랙(28)이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내부랙(28)의 높이방향으로 구성되는 고정흠A(30) 및 상기 연결관B(22b)의 높이방향으로 구성되는 고정흠B(26)는, 상기 관통공(24)을 통하여 상기 고정흠A(30) 및 고정흠B(26)의 높이방향 동축상에 위치하며, 고정핀(32)에 의하여 고정결합 되어진다. 상기 고정흠A(30)는 상기 내부 랙(28)의 길이방향으로 다수개 구성되며, 상기 고정흠B(26)과 높이방향 동축상에 위치되는 상기 고정흠A(30)의 선택에 따라서 상기 안경테의 폭방향 길이 조절이 가능한 안경테이다.FIG. 9 shows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eyeglass frame for adjusting the focus through the adjustment of its width. The length of the spectacle frame shown in FIG. 9 can be adjusted through a connecting
상기 안경테는 폭방향 길이 조절을 통하여 안경의 길이방향 초점 조절이 가능하나, 결국 높이 방향의 조절에 어려움을 가지기 때문에 현재 널리 사용되는 다중초점 렌즈의 초점 조절에 있어서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The spectacle frame can be adjus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pectacles through the adjustment of the width of the spectacle frame but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height direction so that it can not be denied that it is not effective in adjusting the focus of the widely used multi- It is tru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하에 설명하는 수단을 제공하였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means.
종래 다중초점 렌즈는 한 장의 렌즈에 있어서 근시, 난시, 원시와 같은 교정 시력도와 함께 근거리와 중간거리 및 원거리의 시력 교정 및 보정을 위하여, 다중초점 기능과 다중 굴절도 기능을 함께 가지게 제작되었다.The conventional multi-focal lens has a multi-focal function and a multi-refraction function for correcting and correcting near vision, intermediate distance, and distance vision, in addition to correcting visual acuity such as myopia, astigmatism and primitive in a single lens.
따라서, 상기에서 서술한 광학 및 시기능학적 문제 해결을 위한 방법으로 고안된 본 발명은, 일반 시력교정 안경과 근거리와 중간거리 등 시력 보정에 필요한 다중초점 굴절도의 도수기능을 분리하여, 사용자의 환경 및 목적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사용 가능한 탈착과 장착이 유연하게 이루어지는 본 발명을 제공하는데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vised as a method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optical and temporal problems, separates the general vision correction glasses and the dioptric function of the multi-focus refracting power required for the vision correction such as the near distance and the intermediate distanc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selectively attaching and detachably attaching the same to an object according to a purpose.
본 발명의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 단수 또는 복수의 렌즈(200); 상기 렌즈(200)의 상단에 폭 방향으로 구성되는 몸체(100); 상기 렌즈(200)의 폭 방향 이동을 위하여 상기 몸체(100)에 구성되는 단수 또는 복수의 수평 조절부(110), 및 상기 렌즈(200)의 높이 방향 이동을 위하여 상기 몸체(100)에 구성되는 단수 또는 복수의 수직 조절부(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spectacle-correcting eyeglass clip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ngle or
또한, 상기 몸체(100)는, 하단에 시력 보정을 위하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안경(300)의 고정을 위한 클립(120)이 상기 렌즈(200)와 소정거리 이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또한, 상기 렌즈(200)는, 상기 안경(300)의 도수와 대수합으로 도수가 변환되어 주시 목적에 있는 사물의 상을 선명하고 안정적으로 보이게 하는 점진적 다중 곡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수평 조절부(110)는, 상기 몸체(100)에 구비되는 연결부재(114)를 통하여 상기 수직 조절부(130)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또한, 상기 수평 조절부(110)는, 한 쌍의 외부 하우징(111)의 서로 마주보는 양면에 고정 결합되는 제1 볼트(112)와, 상기 제1 볼트(112)와 나사 결합되는 너트(113), 및 상기 제1 볼트(112)에 관통되어 상기 너트(113)의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제1 볼트(112)의 길이방향으로 운동하는 상기 연결부재(1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또한, 상기 몸체(100)의 양단에서 중심으로 향하는 방향을 '내측' 그 반대방향을 '외측' 이라고 정의할 때, 상기 수직 조절부(130)는, 내측에 높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고정부A(132)가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A(132)의 높이 조절을 위해 하단에 구성되는 제2 볼트(1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the direction from the both ends of the
또한, 상기 한 쌍의 렌즈(200)는 상기 고정부A(132)와 고정 결합을 위하여 상기 한 쌍의 렌즈(200)의 외측에 고정부B(230)가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A(132)와 고정부B(230)의 결합을 통하여 상기 수평 조절부(110) 및 상기 수직 조절부(130)의 이동력을 상기 한 쌍의 렌즈(200)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air of
또한, 상기 한 쌍의 렌즈(200)는 연결을 위해 내측 또는 상단에 렌즈 결합부(220)가 구성되고, 상기 렌즈 결합부(220)는 슬라이딩 구조를 가지며, 상기 수평조절부(110)의 폭 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렌즈 결합부(220)의 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air of
또한, 상기 몸체(100)는 양단에 수직 방향으로 거치부(140)가 구성되고, 상기 거치부(140)는 하단에 나사 결합되는 거치대(1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또한, 상기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1000)은 상기 몸체(100)의 전면에 상기 렌즈(200)의 폭 방향 위치 안내를 위한 수평 가이드(102)와, 상기 수직 조절부(130)의 표면에 높이방향 위치 안내를 위하여 형성되는 수직 가이드(1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eyeglass-compensating
또한, 시력 보정을 위한 안경(300)에 추가로 결합되는 클립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안경(300)과 결합되어 시기능 보정 대수합 도수를 이루는 렌즈(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clip coupled to the
또한, 상기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은 주시 거리에 맞춰 단수 또는 복수의 상기 클립이 구비되고, 상기 클립은 상기 안경(300)과 결합되어 소정의 주시 거리에 맞는 대수합 도수를 이루는 상기 렌즈(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vision-correcting eyeglass clip includes a single or a plurality of the clips corresponding to the viewing distance, and the clip is coupled with the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은, 렌즈의 상하좌우 방향 이동을 통하여, 가장 편안한 아이 포인트 위치에 렌즈의 광학요소 포인트를 위치시킴으로써, 클립에 고정된 안경의 효율성을 향상 시켰으며, The eyeglass-compensating spectacle clip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mproves the efficiency of the spectacles fixed to the clip by locating the optical element point of the lens at the most comfortable eye point position by moving the lens vertically and laterally,
또한, 기존의 다초점 안경이 가지고 있었던 눈의 피로도 증가 및 어지러움증 유발 이라는 단점을 최소화하였다.In addition, the disadvantages of eye fatigue and dizziness caused by conventional multifocal glasses were minimized.
또한, 상기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은 상기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과 함께 구비되는 렌즈의 교체를 통하여 상황에 맞는 렌즈를 선택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vision-correcting eyeglass clip has an advantage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user by selecting a lens suited to the situation through replacement of the lens provided with the vision-correcting eyeglass clip.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 전체 사시도(렌즈 및 안경 결합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 전체 사시도(렌즈 및 안경 분리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 내 다중곡률 렌즈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 연결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 거치부 및 거치대의 연결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 길이방향 운동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 높이방향 운동도.
도 9는 종래의 안경테를 나타낸 사시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yeglass-compensating eyeglass cl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lens and glasses are attached). Fig.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eyeglass-compensating eyeglass cl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ens and the eyeglasses are detached).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yeglass clip for visual effect corre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front view showing a multi-curvature lens structure in an eyeglass-compensating eyeglass cl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nection portion of the eyeglass clip for visibility adjus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view showing a connection structure of a glasses clip fixing part and a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longitudinal movement view of the eyeglass-compensating eyeglass cl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the movement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eyeglass-compensating eyeglass cli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pectacle frame.
이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인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10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vision-correcting
도 1에 도시한 본 발명의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1000)은 몸체(100), 수평 조절부(110), 수직 조절부(130), 거치부(140), 안경(300) 및 렌즈(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eyeglass-compensating
상기 몸체(100)는 본 발명인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1000)을 형성하는 기본 프레임으로서, 상기 렌즈(200)의 고정 및 이동을 위하여 상기 안경(300)의 상단에 폭 방향으로 구성되며, 몸체(100)의 외면에 아이 포인트에 따른 렌즈(200)의 광학요소 포인트 수평 이동 안내를 돕기 위한 수평 가이드(10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또한, 상기 몸체(100)는 상기 렌즈(200)의 폭 방향 이동을 위하여 상단에 단수 또는 복수의 수평 조절부(110)를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상기 수평 조절부(110)는 상기 렌즈(200)와의 결합방법에 따라서 단수 또는 복수개가 구성될 수 있으며, 수평 조절부(110)가 구성되는 위치는 렌즈(200)의 원활한 수평 이동 조절이 가능한 위치이면 충분하다.The
상기 몸체(100)는 하단에 상기 렌즈(200)의 상하방향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수직 조절부(130)를 포함한다. The
상기 수직 조절부(130)는 상기 렌즈(200)의 높이방향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The
본 발명인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1000)에 있어서, 이하 상기 몸체(100)의 양단에서 중심으로 향하는 방향을 '내측', 그 반대방향을 '외측'으로 정의하여 설명한다.In the eyeglass-compensating
도 1에서 수직 조절부(130)와 렌즈(200)의 외측을 통하여 연결된 도면을 도시하였으나, 수직 조절부(130)의 위치는 렌즈(200)와의 결합에 따라, 한 쌍의 렌즈(200)의 내측 및 상단에도 구성이 가능하며, 렌즈(200)의 높이방향 및 수평방향 이동 조절이 가능한 위치이면 충분하다.The position of the
상기 몸체(100)는, 상기 안경(300)의 하중 분산을 위하여 양단에 상기 거치부(140)가 구성된다. In the
상기 거치부(140)는 하단에 상기 안경(300)의 하중 분산을 위해 나사 결합되는 거치대(142)를 포함한다.The
또한, 상기 거치대(142)는 상기 안경(300)의 하단과 접촉을 통하여 안경(300)의 하중을 분산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안경(300)과 상기 렌즈(200)는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Further, the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렌즈(200)는 일반 시력교정에 사용되는 안경(300)의 도수와 결합되어 각 주시목적 거리에 있는 사물의 상을 선명하고 안정적으로 보기 위하여, 기존안경 도수와 대수합으로 도수 변환 목적을 가지는 다중 프로그레시브(progressive) 곡률을 가진다.In detail, the
따라서, 상기 렌즈(200)는 상기 몸체(100)를 통하여 상기 안경(300)과 시기능 보정 대수합 도수를 이루는 방법 외에도, 상기 안경(300)과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시기능 보정 대수합 도수를 이루는 것이 가능하다.Therefore, the
이와 같은, 상기 렌즈(200)는 상기 안경(300)과 결합을 위하여 구성되는 클립에 부착되어 상기 클립을 통하여 상기 안경(300)과 결합 되어질 수 있다.As such, the
이때, 상기 안경(300)과 상기 렌즈(200)의 결합 방법은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렌즈(200)의 탈착과 장착이 용이하면 충분하므로 결합 방법은 제한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method of joining the
또한, 상기 클립을 통하여 상기 안경(300)과 결합되는 상기 렌즈(200)는 사용자 개인의 안구조와, 시기능의 특성 및 주시 거리에 따라 개인별 맞춤 형태로 구성 가능하다.In addition, the
따라서, 상황에 맞는 맞춤된 상기 렌즈(200)를 사용함으로써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다.Therefore, efficient use can be made by using the
또한, 상기 렌즈(200)의 수평 및 수직이동 작용이 없어지므로, 단순한 구조를 통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상승시킨다는 장점을 가진다.
In addition, since the
도 2에는 상기 몸체(100)와 상기 렌즈(200) 및 상기 안경(300)의 결합 방법을 도시하였다.FIG. 2 illustrates a method of coupling the
상기 몸체(100)는 하단에 상기 안경(300)의 고정을 위한 클립(120)이 구성되고, 상기 클립(120)은 서로 맞물리는 집게를 이용하여 상기 안경(300)의 테를 집어 고정 결합한다.A
상기 클립(120)은 상기 안경(300)과의 결합에 있어서 클립(120)을 탄성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안경(300)의 안경테를 고정하는 구조, 또는 두 개의 집게발을 연결하는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안경(300)의 안경테를 고정시키는 구조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며, 안경(300)의 고정이 가능하면 충분하다. The
상기 몸체(100)의 하단에 구성되는 상기 수직 조절부(130)는, 상기 렌즈(200)가 결합되는 내측 방향으로 구성된 요철형상의 고정부A(132)를 포함한다. The
상기 고정부A(132)는 상기 렌즈(200)의 외측에 구비되며 요철형상을 가지는 고정부B(230)와의 결합을 통하여 상기 몸체(100)와 렌즈(200)를 결합시킴으로써,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1000)을 구성하게 된다.The fixing
상기 고정부A(132)와 상기 고정부B(230)는 여러 가지 재질로 구성이 가능하나, 상기 렌즈(200)와의 결합력을 상승시키기 위하여 자석으로 구성되는 것을 권장한다.
The fixing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수평 조절부(110) 및 수직 조절부(130)는 상기 몸체(100)의 상단에서 하단 방향으로, 수평 조절부(110)및 수직 조절부(130)의 연결 및 이동을 위하여 몸체(100)의 내부에 구성된 슬라이딩 구조에 포함되는 연결부재(114)를 통하여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3, the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상기 렌즈(200, 도1 및 도2 참조)의 하중을 견디기 용이하고, 상기 몸체(100)의 전면에 형성되는 수평 가이드(102)의 활용을 최적화하기 위하여 권장하는 구성일 뿐이며, 수평 조절부(110) 및 수직 조절부(130)의 연결에 있어서, 몸체(100)의 표면을 통한 연결이 가능하며, 그 연결 방법은 제한되지 않는다.However, this structure is only a configuration that is easy to withstand the load of the lens 200 (see FIGS. 1 and 2) and is recommended for optimizing the use of the
상기 몸체(100)의 양단에는 수평 탄성유격부(103)가 구성되며, 수평탄성유격부(103)의 하단에 상기 거치부(140)가 구성된다.At both ends of the
상기 수평 탄성유격부(103)는 함체 형상의 내부에 상기 몸체(100)와의 결합 방향으로 스프링이 구비되며, 상기 안경(300)의 크기에 따라 생기는 상기 거치부(140)와 안경(300)의 길이방향 간극 조절을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가진다.The horizontal
상기 수평 탄성유격부(103)의 내부에 구비되는 스프링은 상기 본체(100)의 폭 방향 끝단 및 본체(100)의 양단과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수평 탄성유격부(103)의 함체 내측 면과 고정 결합된다.The spring provided inside the horizontal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몸체(100)와 상기 수평 탄성유격부(103)의 결합은 스프링의 고정 결합을 통한 연결방법 이외에도, 함체 형상을 가지는 수평 탄성유격부(103)의 내측에 돌기를 형성하고, 몸체(100)에 돌기에 대응하는 레일형의 홈을 파는 방법으로 결합이 가능하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coupling between the
상기 거치부(140)는 상기 수평 탄성유격부(103)의 하단에 구성되며, 상기 몸체(100)의 길이방향으로 구성되는 수직 탄성유격부(141)를 포함한다.The mounting
상기 수직 탄성유격부(141)는 높이방향 간격 조절을 위하여 함체 형상 내부에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vertical
상기 수직 탄성유격부(141)의 내부에 구비되는 스프링은 수평 탄성유격부(103)의 하측 단 및 하측 단과 일직선상에 위치하는 수직 탄성유격부(141)의 함체 내측 면과 고정 결합된다.The spring provided inside the vertical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수평 탄성유격부(103)와 상기 수직 탄성유격부(141)의 결합은 스프링의 고정 결합을 통한 연결방법 이외에도, 함체 형상을 가지는 수직 탄성유격부(103)의 내측에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수평 탄성유격부(103)의 하단에 돌기에 대응하는 레일형의 홈을 파는 방법이 가능하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horizontal
또한, 상기 수직 탄성유격부(141)는 상기 안경(300)의 크기에 따라 생기는 상기 거치부(140)와 안경(300)의 높이방향 간극 조절을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가진다.The vertical
상기 거치부(140)는 하단에 구비되는 상기 거치대(142)와 나사결합 된다.The mounting
상기 거치대(142)는 끝단에 상기 안경(300)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구성되는 집게팔(144)을 포함하다. The
상기 집게팔(144)의 형상을 v자 형으로 도시하였지만, 집게팔(144)의 형상은 v자형, 톱니형, U자형과 같은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며, 상기 안경(300)의 하중 분산이 용이할 정도면 충분하다.Although the
상기 집게팔(144)의 재질 선택은 상기 안경(300)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고무재질 및 미끄럼 방지를 위한 실리콘재질을 권장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안경(300)의 손상 및 미끄러짐을 방지할 정도면 충분하다.The material of the
상기 수평 조절부(110)는 상기 몸체(100)의 상단에 서로 마주보며 구성되는 한 쌍의 외부 하우징(111)을 포함한다.The
상기 수평 조절부(110)는 상기 한 쌍의 외부 하우징(111) 내측에 형성되는 고정홈을 통하여 고정 결합되는 제1 볼트(112)를 포함한다.The
또한, 상기 수평 조절부(110)는 상기 렌즈(200)의 수평방향 이동을 위하여 수평 조절부(110)에서 발생되는 수평방향 이동력을 상기 수직 조절부(130)로 전달하는 상기 연결부재(114)를 포함한다.The
상기 연결부재(114)는 상부가 U형상을 가지며, 두개의 돌기가 형성된다.The connecting
상기 연결부재(114)의 상단에 형성되는 두개의 돌기는 상기 제1 볼트(112)에 의하여 관통되어진다.Two protrusions formed on the upper end of the connecting
뿐만 아니라, 상기 수평 조절부(110)는 상기 연결부재(114)에 수평 이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연결부재(114)의 한 쌍의 돌기 내측에 구성되는 너트(113)를 포함한다.The
상기 연결부재(114) 및 너트(113)는 상기 제1 볼트(112)에 의하여 관통되어 결합된다.The connecting
상기 너트(113)는 회전운동을 통하여 상기 제1 볼트(112)의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산을 타고 제1 볼트(112)의 길이방향으로 수평 이동한다.The
상기 너트(113)는 회전운동을 통하여 볼트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수평 이동력을 상기 연결부재(114)에 전달한다.The
상기 수직 조절부(130)는 상기 렌즈(200)가 구비되는 내측 방향에 구성되는 고정부A(132)를 포함한다.The
상기 고정부A(132)는 상기 수직 조절부(130)의 내측에 구성되는 레일 구조를 가지는 홈을 통하여 끼움 결합된다.The fixing
상기 수직 조절부(130)는 하단에 높이방향으로 내부홈(134)이 형성된다.The
상기 수직 조절부(130)의 하단에 형성되는 내부홈(134)은 내주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된다.The inner groove (134)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adjusting part (130) has a female screw hole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상기 수직 조절부(130)는 상기 고정부A(132)의 높이방향 조절을 위하여, 상기 내부홈(134)을 통하여 나사 결합되는 제 2볼트(133)를 포함한다.The
상기 수직 조절부(130)는 상기 제 2볼트(133)의 회전 운동을 통하여,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는 상기 고정부A(132)의 높이방향 운동을 조절한다.The
상기 수직 조절부(130)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나사산을 이용한 회전구조는 착용자 안 광학 구조에 따라 상기 렌즈(200)을 세밀하게 조절하기 위하여 권장되는 사항일 뿐이고, 슬라이딩 이동 및 볼트를 이용한 압박 고정 구조와 같은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
In the structure of the vertical adjusting
도 4에서는 상기 렌즈(200)의 주시영역 범위를 나타내었다.FIG. 4 shows the range of the viewing area of the
상기 렌즈(200)는 사용자의 목적 및 주위 환경에 맞춰 다양한 렌즈의 사용이 가능하며, 주시 영역의 선택에 있어서, 사용되는 거리의 디옵터(diopter) 값이 주를 이루는 렌즈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The
상기 렌즈(200)는 40cm 이하 근거리 주시영역(221), 40cm~4m 중거리 주시영역(222), 4m 이상 장거리 주시영역(223)이라고 할 경우, 아래 식(1)에 따라 디옵터(diopter)값이 구성됨에 따라,The
n / f = D 식(1) n / f = D (1)
(n : 매질의 굴절율, f : 초점거리, D : 굴절력)(n: refractive index of the medium, f: focal length, D: refractive power)
근거리 주시영역(221)은 +0.50~+6.00의 디옵터(diopter), 중거리 주시영역(222)은 +0.25~+6.00디옵터(diopter), 장거리 주시영역(223)은 +0.00~+6.00디옵터(diopter)의 시기능 보정 부가 도수로 이루어진 렌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opter of the range of interest is from +0.50 to +6.00, the diopter of the
상기 렌즈(200)는 그 사용 환경 및 목적에 따라 편광렌즈, 입체영상 시청용 렌즈, 청색광 차단렌즈, 야간 시보정 렌즈, 변색렌즈 등이 사용가능하다.The
청색광 차단 렌즈는 눈의 피로를 유발하는 빛의 파장인 가시광선 영역 중, 380nm~500nm의 단파장 영역인 청색 계열의 투과율 조절에 있어서 다중 박막 코팅 및 특수염료 착색을 통하여 단파장 영역을 반사시킴으로써, 색수차를 줄여 선명한 시야를 가지며, 눈의 피로를 줄여준다.The blue light blocking lens reflects the short wavelength region through multilayer coating and special dyeing in controlling the transmittance of the blue light, which is the short wavelength range of 380nm ~ 500nm, which is the wavelength of light that causes the eye fatigue, It has a clear vision and reduces eye fatigue.
편광 렌즈는 180축 주변의 편광된 빛을 렌즈로부터 차단하여 눈부심을 제거하고 사물을 선명하게 보이게 한다.The polarizing lens blocks the polarized light around the 180 axis from the lens to eliminate glare and make the object look sharp.
입체영상 시청용 렌즈는 한 쌍의 렌즈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편광처리 함으로써, 3D입체 안경으로 사용이 가능하다.The stereoscopic image viewing lens can be used as 3D stereoscopic glasses by polarizing a pair of lenses in different directions.
주간 및 야간 시보정 렌즈는 특수 염료 및 형광물질을 통하여 유해 광선인 자외선 및 청광을 차단하고, 색상의 감도를 더욱 선명하고 아름답게 하며, 망막의 노화방지 및 백내장, 설맹증의 예방 및 진행을 억제하는 시력교정의 효과를 가진다.The daytime and night time warning lenses are designed to block ultraviolet rays and blue light which are harmful rays through special dyes and fluorescent materials, to make the sensitivity of color more clear and beautiful, to prevent aging of the retina and to prevent and control cataract and scleroderma It has the effect of vision correction.
뿐만 아니라, 야간 렌즈는 밝은 빛의 예민한 감도를 증대시켜 시야를 맑고 깨끗하게 하여 야간 시력을 향상시키고, 기본 색상에 따라 강한 직사광선에서 눈의 피로를 경감하시키며, 망사코팅을 통한 핀홀 효과를 생성하여 산란 반응을 줄여준다.In addition, the night vision lens enhances the sensitivity of the bright light to improve the night vision by making the field clear and clear, reduces the fatigue of the eye in strong direct sunlight according to the basic color, and produces the pinhole effect through the mesh coating, Reduce the reaction.
변색 렌즈는 자외선에 맞춰 렌즈의 색깔을 변화시켜 빛의 차단을 조절하며, 자외선 또는 청색광과 광화학적 반응을 하여 미립자 상태의 은이 산화 및 환원 되어 변색반응을 가지는 렌즈 및, 렌즈의 코팅 또는 렌즈 사이에 감광성 염료가 사용되어 자외선에 따라 착색되는 렌즈가 사용 가능하다. The color-changing lens adjusts the color of the lens by changing the color of the lens according to the ultraviolet ray, and a lens having a photochemical reaction with ultraviolet or blue light to cause oxidation of silver in the particulate state and a reduction reaction, A lens which is colored with ultraviolet rays using a photosensitive dye is usable.
렌즈의 구조 및 재질은 계획되어진 목적 및 주위 환경에 맞춰 제작이 가능하며 그 영역은 한정짓지 않는다.
The structure and material of the lens can be manufactured in accordance with the intended purpose and the environment, and the scope of the lens is not limited.
도 5에서는 렌즈 결합부(220)의 구조를 도시하였다. 상기 렌즈 결합부(220)는 한 쌍의 상기 렌즈(20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하여 구성되며, 그 구조에 있어서 슬라이딩 또는 나사결합 구조와 같은 길이 조절이 가능한 다양한 구조가 가능하다.FIG. 5 shows the structure of the
도 5에는 그 중 한 형태인 슬라이딩 구조를 도시하였다. Fig. 5 shows a sliding structure which is one of them.
상기 렌즈 결합부(220)는 각각의 렌즈와 연결되어지는 한 쌍의 연장관(223)을 포함한다. The
상기 렌즈 결합부(220)는 한 쌍의 상기 연장관(223)의 연결을 위한 하우징(221)을 포함한다. The
상기 렌즈 결합부(220)의 길이 조절을 위하여 구성되는 상기 하우징(221)은 한 쌍의 상기 연장관(223)을 수용하기 위하여 길이방향으로 통로가 형성된다.The
상기 렌즈 결합부(220)는 상기 하우징(221)의 내측에 구성되는 통로를 통하여, 한 쌍의 상기 연장관(223)을 연결한다.The
상기 렌즈 결합부(220)는 상기 연장관(223)의 이동에 따라서, 한 쌍의 상기 렌즈(200)의 간격을 조절한다.The
상기 렌즈 결합부(220)는 상기 연장관(223)이 상기 하우징(221)에서 빠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하우징(221)의 내측에 구성되는 통로의 양 끝단에 형성되는 걸림턱(221A)을 포함한다.The
도면상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한 쌍의 상기 렌즈(200)는 렌즈(200)의 테두리에 안경테가 구성되어 안경테를 통하여 연결되는 구조 및, 각각의 렌즈가 연결 없이 사용 하는 구조가 가능하며, 하나의 렌즈로도 구성이 가능하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pair of the
또한, 도 5에서는 상기 렌즈 결합부(220)가 한쌍의 상기 렌즈(200)의 내측 중앙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렌즈 결합부(220)의 위치는 상기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1000)의 사용에 지장을 주지 않는 위치면 충분하므로 렌즈 결합부(220)가 구성되는 위치는 제한하지 않는다.
5, the
도 6에서는 상기 거치부(140)와 상기 거치부(140)의 하단에 구성되는 상기 거치대(142)의 결합을 도시하였다.FIG. 6 shows the connection between the mounting
상기 거치부(140) 및 거치대(142)는 나사 결합을 통하여 연결된다.The mounting
상기 거치부(140)는 상기 거치대(142)와의 나사 결합 방법에 있어서, 거치부(140)의 하측에 형성되는 홈 및 거치대(142)의 상측에 형성되는 홈이 동일 축 상에 위치되며, 상기 동일 축 상에 위치되는 홈을 관통하는 제3 볼트(14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the method of screwing the mounting
또한, 상기 거치부(140)는 상기 제3 볼트(147)의 일측에 제3 볼트(147)의 고정을 위한 고정너트(145)를 포함하고, 제3 볼트(147)의 타측에 제3 볼트(147)의 조임을 용이하게 하기위한 'ㄷ'의 형상을 가지는 조임너트(146)를 포함한다.The mounting
도 6에는 나사 결합을 통한 결합 구조를 도시하였지만, 상기 거치부(140)는 도 6에 도시된 나사결합 외에도 힌지결합과 같은 구성이 가능하며, 힌지결합 내부에 상기 거치대(142)의 운동 방향으로 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거치대(142)가 운동 방향으로 조이는 힘을 가지는 방법도 가능하다.
6, in addition to the screw coupling shown in FIG. 6, the mounting
[실시예 1] 렌즈의 수평이동 방법[Embodiment 1] Horizontal movement method of lens
도 7에는 상기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1000)의 수평 이동을 도시하고 있다. 도3 내지 도7에 있어서 상기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1000)은, 상기 렌즈(200)를 연결하는 상기 렌즈 결합부(220)를 이용하여 서로의 길이를 조정하고, 한 쌍의 렌즈(200)의 외측에 구성되는 고정부B(230)를 상기 수직 조절부(130)의 내측에 구성되는 상기 고정부A(132)와 결합시킴으로써 고정된다. Fig. 7 shows horizontal movement of the spectacle function correcting
고정된 상기 렌즈(200)는 착용자의 주시 거리에 따라 수평방향 조절을 위하여 상기 수평 조절부(110)에 포함되는 상기 너트(113)를 회전시켜, 수평 조절부(110)와 수직 조절부(13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114)를 이동시킴으로써, 렌즈(200)의 수평방향 이동을 조절한다. 렌즈(200)의 조절에 있어서, 렌즈(200)의 수평방향 위치 조절을 돕기 위하여 상기 몸체(100)의 표면에 형성되는 상기 수평 가이드(102)를 참조한다.
The fixed
[실시예 2] 렌즈의 수직이동 방법[Embodiment 2] Vertical movement method of lens
도 8에는 상기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1000)의 수직 이동을 도시하고 있다. Fig. 8 shows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spectacle function correcting
도 8을 참조하면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1000)은, 상기 렌즈(200)를 연결하는 상기 렌즈 결합부(220)를 이용하여 서로의 길이를 조정하고, 한 쌍의 렌즈(200)의 외측에 구성되는 고정부B(230)를 상기 수직 조절부(130)의 내측에 구성되는 상기 고정부A(132)와 결합시킴으로써 고정된다. 8, the eyeglass-compensating
고정된 상기 렌즈(200)는 착용자의 수직방향 조절을 위하여 상기 수직 조절부(130)의 하단에 구성되는 제2 볼트(133)의 회전을 통하여 일어나는 상기 고정부A(132)의 수직방향 운동에 따라서 높이가 조절된다. The fixed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수직 조절부(130)의 내측에 구성되는 고정부A(132)는 상기 제2 볼트(133)를 하측 방향으로 조절함에 따라 상기 렌즈(200)의 하중에 의해 하단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며, 상기 제2 볼트(133)를 상측 방향으로 조절함에 따라 상기 고정부A(132)를 상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렌즈(200)를 상단으로 이동시킨다. More specifically, the fixing
상기 렌즈(200)의 수직방향 조절은 상기 수직 조절부(130)의 표면에 형성되는 상기 수직 가이드(131)를 참조한다.
The vertical adjustment of the
[실시예 3] 실내생활 렌즈의 선택[Embodiment 3] Selection of indoor living lens
도 1내지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1000)은 상기 몸체(100)의 하단에 구성되는 상기 클립(120)에 상기 안경(300)을 고정시키고, 상기 거치부(140)를 통하여 상기 안경(300)의 하중을 분산시키며, 상기 렌즈(200)를 연결하는 상기 렌즈 결합부(220)를 이용하여 렌즈간의 거리를 조정하고, 렌즈(200)의 양단에 구성되는 상기 고정부B(230)를 상기 수직 조절부(130)의 내측에 구성되는 상기 고정부A(132)와 결합시킴으로써 완성된다. 1 to 8, the visibility
이때, 상기 렌즈(200)는 사용자의 목적 및 주위 환경에 맞춰 다양한 렌즈의 사용이 가능하며, 주시 영역의 선택에 있어서, 실내 생활에 사용되는 거리의 디옵터(diopter) 값이 주를 이루는 렌즈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상기 렌즈(200)는 40cm 이하 근거리, 40cm ~ 4m 중거리, 4m 이상을 장거리라고 할 경우, 실내 생활에 있어서 근거리 및 중거리에서 주시 영역이 형성되므로, 상기 식(1)에 따라 디옵터(diopter)값이 구성됨에 따라,When the
+0.50~+6.00의 디옵터(diopter) 및 +0.25~+6.00디옵터(diopter)의 시기능 보정 부가 도수로 이루어진 렌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t is preferable to use a lens having a diopter of +0.50 to +6.00 and a diopter of +0.25 to +6.00 diopters.
[실시예 4] 실외생활 렌즈의 선택[Example 4] Selection of outdoor living lens
도 1내지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1000)은 상기 몸체(100)의 하단에 구성되는 상기 클립(120)에 상기 안경(300)을 고정시키고, 상기 거치부(140)을 통하여 상기 안경(300)의 하중을 분산시키며, 상기 렌즈(200)를 연결하는 상기 렌즈 결합부(220)를 이용하여 렌즈간의 거리를 조정하고, 렌즈(200)의 양단에 구성되는 상기 고정부B(230)를 상기 수직 조절부(130)의 내측에 구성되는 상기 고정부A(132)와 결합시킴으로써 완성된다. 1 to 8, the visibility
이때, 상기 렌즈(200)는 사용자의 목적 및 주위 환경에 맞춰 다양한 렌즈의 사용이 가능하며, 주시 영역의 선택에 있어서, 실내 생활에 사용되는 거리의 디옵터(diopter) 값이 주를 이루는 렌즈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상기 렌즈(200)는 40cm 이하 근거리, 40cm ~ 4m 중거리, 4m 이상을 장거리라고 할 경우, 실외 생활에 있어서 근거리, 중거리 및 장거리 전 영역에서 주시 영역이 형성되므로, 상기 식(1)에 따라 디옵터(diopter)값이 구성됨에 따라,When the
+0.50~+6.00의 디옵터(diopter), +0.25~+6.00디옵터(diopter), 및 +0.00~+6.00디옵터(diopter)의 시기능 보정 부가 도수로 이루어진 렌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o use a lens having a diopter of +0.50 to +6.00, a diopter of +0.25 to +6.00, and a diopter of +0.00 to +6.00 diopters.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The technical idea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being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withi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long as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1000 :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
100 : 몸체 102 : 수평 가이드
103 : 수평 탄성유격부
110 : 수평 조절부 111 : 외부 하우징
112 : 제1 볼트 113 : 너트
114 : 연결부재 120 : 클립
130 : 수직 조절부 131 : 수직 가이드
132 : 고정부A 133 : 제2 볼트
140 : 거치부 141 : 수직 탄성유격부
142 : 거치대
144 : 집게팔 145 : 고정너트
146 : 조임너트 147 : 제3 볼트
200 : 렌즈 201 : 근거리 주시영역
202 : 중거리 주시영역 203 : 장거리 주시영역
220 : 렌즈 결합부
221 : 하우징 221A : 걸림턱
223 : 연장관
230 : 고정부B
300 : 안경1000: Eyeglass clip
100: body 102: horizontal guide
103: horizontal elastic clearance
110: horizontal adjuster 111: outer housing
112: first bolt 113: nut
114: connecting member 120: clip
130: Vertical adjuster 131: Vertical guide
132: Fixing portion A 133: Second bolt
140: mounting part 141: vertical elastic clearance part
142: Cradle
144: fork arm 145: fixed nut
146: tightening nut 147: third bolt
200: lens 201: close-up viewing area
202: Medium-distance viewing area 203: Long-distance viewing area
220:
221:
223: extension tube
230: Fixed B
300: glasses
Claims (12)
상기 렌즈(200)의 상단에 폭 방향으로 구성되는 몸체(100);
상기 렌즈(200)의 폭 방향 이동을 위하여 상기 몸체(100)에 구성되는 수평 조절부(110), 및
상기 렌즈(200)의 높이 방향 이동을 위하여 상기 몸체(100)에 구성되는 수직 조절부(130)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100)는 양단에 수직 방향으로 거치부(140)가 구성되고, 상기 거치부(140)는 하단에 나사 결합되는 거치대(142)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100)의 하단에 안경(300)의 고정을 위한 클립(120)이 상기 렌즈(200)와 소정거리 이격 형성되어, 상기 수직 조절부(130)와 상기 수평 조절부(110)에 의해 변화되는 상기 안경(300)에 대한 상기 렌즈(200)의 상대적 변위에 따라, 상기 안경(300)과 상기 렌즈(200)의 대수합 도수가 변화되어, 주시 목적에 있는 사물의 상을 선명하고 안정적으로 보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100).
A pair of lenses (200) having a plurality of optical refractivities;
A body 100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lens 200 in the width direction;
A horizontal adjustment unit 110 configured to move the lens 200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body 100,
And a vertical adjustment unit 130 configured to move the lens 200 in a height direction of the body 100,
The body 100 includes a mounting portion 140 in a vertical direction at both ends thereof and the mounting portion 140 includes a mounting portion 142 screwed to a lower end thereof,
A clip 120 for fixing the spectacles 300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body 100 and is separated from the lens 2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so that the vertical adjustment unit 130 and the horizontal adjustment unit 110 The degree of summing of the glasses 300 and the lens 200 is changed according to the relative displacement of the lens 200 with respect to the glasses 300 to be changed so that the image of the object of interest can be clearly and stably (100). ≪ / RTI >
상기 렌즈(200)는, 점진적 다중 곡률로 이루어지는,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ens (200) is made of progressive multiple curvature.
상기 수평 조절부(110)는, 상기 몸체(100)에 구비되는 연결부재(114)를 통하여 상기 수직 조절부(130)와 연결되는,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horizontal adjustment unit 110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adjustment unit 130 through a connection member 114 provided on the body 100.
상기 수평 조절부(110)는, 한 쌍의 외부 하우징(111)의 서로 마주보는 양면에 고정 결합되는 제1 볼트(112)와,
상기 제1 볼트(112)와 나사 결합되는 너트(113), 및
상기 제1 볼트(112)에 관통되어 상기 너트(113)의 회전 운동에 따라 상기 제1 볼트(112)의 길이방향으로 운동하는 상기 연결부재(114)를 포함하는,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
5. The method of claim 4,
The horizontal adjuster 110 includes a first bolt 112 fixedly coupled to opposite surfaces of a pair of outer housings 111,
A nut 113 screwed to the first bolt 112,
And the connecting member (114) passing through the first bolt (112) and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olt (112)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nut (113).
상기 몸체(100)의 양단에서 중심으로 향하는 방향을 '내측' 그 반대방향을 '외측' 이라고 정의할 때,
상기 수직 조절부(130)는, 내측에 높이 방향으로 슬라이딩 결합되는 고정부A(132)가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A(132)의 높이 조절을 위해 하단에 구성되는 제2 볼트(133)를 포함하는,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direction from the both ends of the body 100 to the center is defined as 'inside' and the opposite direction is defined as 'outside'
The vertical adjusting part 130 includes a fixing part A 132 which is slidably coupled to the inside in a height direction,
And a second bolt (133) at the lower end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fixing portion (132).
상기 한 쌍의 렌즈(200)는 상기 고정부A(132)와 고정 결합을 위하여 상기 한 쌍의 렌즈(200)의 외측에 고정부B(230)가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A(132)와 고정부B(230)의 결합을 통하여 상기 수평 조절부(110) 및 상기 수직 조절부(130)의 이동력을 상기 한 쌍의 렌즈(200)에 전달하는,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pair of lenses 200 includes a fixed portion B 230 on the outer side of the pair of lenses 200 for fixing the fixed portion A to the fixed portion A 132,
The lens unit 200 is configured to transmit the movement force of the horizontal adjustment unit 110 and the vertical adjustment unit 130 to the pair of lenses 200 through the engagement of the fixing unit A 132 and the fixing unit B 230, Adjustable eyeglass clip.
상기 한 쌍의 렌즈(200)는 연결을 위해 내측 또는 상단에 렌즈 결합부(220)가 구성되고,
상기 렌즈 결합부(220)는 슬라이딩 구조를 가지며,
상기 수평조절부(110)의 폭 방향 이동에 따라 상기 렌즈 결합부(220)의 길이가 조절되는,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pair of lenses 200 may have a lens coupling portion 220 formed on an inner side or an upper side thereof for connection,
The lens coupling portion 220 has a sliding structure,
Wherein the length of the lens coupling part (220) is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horizontal adjustment part (110) in the width direction.
상기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1000)은 상기 몸체(100)의 전면에 상기 렌즈(200)의 폭 방향 위치 안내를 위한 수평 가이드(102)와,
상기 수직 조절부(130)의 표면에 높이방향 위치 안내를 위하여 형성되는 수직 가이드(131)를 포함하는, 시기능 보정용 안경클립.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vision-correcting eyeglass clip 1000 includes a horizontal guide 102 for guiding the position of the lens 200 in the width direction on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100,
And a vertical guide (131)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vertical adjuster (130) for height positional guidance.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065250A KR101734387B1 (en) | 2014-05-29 | 2014-05-29 | Glasses clip for correcting visual function |
| PCT/KR2015/005400 WO2015183032A1 (en) | 2014-05-29 | 2015-05-29 | Eyeglass clip for correcting visual func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40065250A KR101734387B1 (en) | 2014-05-29 | 2014-05-29 | Glasses clip for correcting visual function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50137418A KR20150137418A (en) | 2015-12-09 |
| KR101734387B1 true KR101734387B1 (en) | 2017-05-12 |
Family
ID=5469929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40065250A Active KR101734387B1 (en) | 2014-05-29 | 2014-05-29 | Glasses clip for correcting visual function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734387B1 (en) |
| WO (1) | WO2015183032A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EP3751333A4 (en) * | 2018-02-07 | 2021-11-24 | Mitsui Chemicals, Inc. | Eyewear system |
| CN108294923B (en) * | 2018-04-10 | 2023-09-22 | 中国人民解放军陆军军医大学第一附属医院 | Table-type visual function training device |
| KR102127663B1 (en) * | 2019-02-28 | 2020-06-29 | 신성대학교 산학협력단 | Apparatus for measuring major reference point of glasses |
| KR20220102425A (en) | 2021-01-13 | 2022-07-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Sterilizer for a toilet stool |
| WO2022210772A1 (en) * | 2021-04-02 | 2022-10-06 | ViXion株式会社 | Eyeglasses, optical frame, and position adjustment mechanism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4000657A (en) * | 2000-03-30 | 2004-01-08 | Topcon Corp | Eyeglass frame and optometry system using the same |
| JP2010506236A (en) | 2006-10-10 | 2010-02-25 | レーン リサーチ エルエルシー | Variable focus lens |
| JP2011521283A (en) | 2008-05-15 | 2011-07-21 | アーセーウーペー フランス | Apparatus for calculating orientation of ophthalmic lens belonging to frame and method for calculating orientation of ophthalmic lens |
| KR101284579B1 (en) * | 2013-02-18 | 2013-07-17 | 주식회사 티에이치엠코리아 | Eye exercising device for curing myopia, hyperopia, astignatism, and presbyopia |
Family Cites Familie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172708Y1 (en) * | 1998-02-24 | 2000-04-01 | 강정근 | Auxiliary glasses |
| KR20090122320A (en) * | 2008-05-24 | 2009-11-27 | 김응호 | Eyesight Glasses Using Two Lenses |
-
2014
- 2014-05-29 KR KR1020140065250A patent/KR101734387B1/en active Active
-
2015
- 2015-05-29 WO PCT/KR2015/005400 patent/WO2015183032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4000657A (en) * | 2000-03-30 | 2004-01-08 | Topcon Corp | Eyeglass frame and optometry system using the same |
| JP2010506236A (en) | 2006-10-10 | 2010-02-25 | レーン リサーチ エルエルシー | Variable focus lens |
| JP2011521283A (en) | 2008-05-15 | 2011-07-21 | アーセーウーペー フランス | Apparatus for calculating orientation of ophthalmic lens belonging to frame and method for calculating orientation of ophthalmic lens |
| KR101284579B1 (en) * | 2013-02-18 | 2013-07-17 | 주식회사 티에이치엠코리아 | Eye exercising device for curing myopia, hyperopia, astignatism, and presbyopia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WO2015183032A1 (en) | 2015-12-03 |
| KR20150137418A (en) | 2015-12-09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734387B1 (en) | Glasses clip for correcting visual function | |
| US9726908B2 (en) | Optical device for restoring eyesight | |
| US20120147317A1 (en) | Translating multifocal eyeglass lenses | |
| CN201222128Y (en) | Multifunctional eyeglasses for defense and control of myopia | |
| EP1385038A4 (en) | Eyeglass lens desigining method and eyeglass lens | |
| KR20070100902A (en) | Multifocal ophthalmic lens with prism base | |
| KR101420157B1 (en) | A Device of Varying Focus of Lens, and Glasses Having the Same | |
| US20070132943A1 (en) | Multipart Sunglasses | |
| KR101942089B1 (en) | Wide Use Auxiliary Glasses | |
| US11927833B2 (en) | Spectacles and use of spectacles having a spectacle frame and an additional frame | |
| CN207817341U (en) | A kind of novel and multifunctional adjustable focal length reading glasses | |
| KR200479812Y1 (en) | Attachable eyeglass | |
| KR100953949B1 (en) | Eyeglass assembly | |
| KR101656430B1 (en) | Telescopes device mounted on eyeglass frames | |
| CN211878346U (en) | Sunglasses | |
| US20140247331A1 (en) | Eyewear to alleviate effects of macular degeneration | |
| US20240077748A1 (en) | Spectacles and use of spectacles having a spectacle frame and an additional frame | |
| KR20170004651A (en) | Multi function and multi focal glasses | |
| CN206975331U (en) | The glasses of adjustable eyeglass racks height | |
| US2322993A (en) | Vertically adjustable bifocal spectacles | |
| KR101819068B1 (en) | Variable focus eyeglasses | |
| CN205139497U (en) | adjustable glasses | |
| KR101488791B1 (en) | Clip eyeglasses | |
| CN211554515U (en) | Glasses lens capable of preventing, controlling and correcting myopia | |
| CN211506078U (en) | Progressive multi-focus presbyopic len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6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2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6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02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5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5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