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36917B1 - Soil wall without mould - Google Patents

Soil wall without moul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6917B1
KR101736917B1 KR1020150126355A KR20150126355A KR101736917B1 KR 101736917 B1 KR101736917 B1 KR 101736917B1 KR 1020150126355 A KR1020150126355 A KR 1020150126355A KR 20150126355 A KR20150126355 A KR 20150126355A KR 101736917 B1 KR101736917 B1 KR 101736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ire mesh
frame
earthen
wa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635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29256A (en
Inventor
길인환
Original Assignee
(주)남영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남영산업 filed Critical (주)남영산업
Priority to KR10201501263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6917B1/en
Publication of KR201700292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92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6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6917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거푸집이 필요없는 흙벽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거푸집이 필요없는 흙벽 구조체(1)에 있어서,
일정 위치의 각 선단부에 고리형상의 연결고리부(110)가 형성된 철망(120)이 각 위치에 맞는 일정 크기로 다수개 결합되어 벽 구조체의 골조를 형성하는 철망골조(100);와 상기 철망골조(100)에 결합되는 식생매트 또는 발 형태의 거적물(200);과 상기 철망(120)의 일정 위치의 각 선단부에 형성된 연결고리부(110)가 서로 중첩되어 동일한 축 선상에 위치하였을 때, 동일한 축 방향으로 삽입하여 다수개의 철망(120)을 고정하는 고정구(300); 및 상기 철망골조(100) 내에 형성된 공간 사이에 충진되는 흙반죽(B);이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흙벽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철망골조(100) 내에는 흙벽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하여 다수개의 보조철망(1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건축물의 크기에 따라 철망골조(100)는 사각틀로 결합된 빔(400);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거적물(200)은 식생매트, 갈대, 볏짚, 대나무, 싸리나무, 삼나무와 같은 친환경소재 중 1개 또는 2개 이상으로 혼합되어 구성되고, 흙(B)은 황토흙으로만 구성되거나 흙(B)과 펄라이트, 플라이애쉬, 바텀애쉬 또는 각종 기능성 광물분말이나 맥반석과 같은 경량골재 중 1개 또는 2개 이상 혼합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빔(400)의 상면에는 철망결합부(4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거푸집이 필요없는 흙벽 구조체(1)의 외면에는 흙반죽(B)을 분사하거나 미장하여 마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설치가 용이하며 거푸집이 필요없어 공사 시 거푸집의 설치작업 및 해체작업이 생략되므로 전체적인 경제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thenware structure requiring no formwor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n earthen frame structure 1 in which a form is not required,
A wire mesh frame (100) in which a plurality of wire meshes (120) having annular connecting hooks (110) formed at respective ends of a predetermined position are coupled to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size to form a frame of a wall structure; When the vegetative mat or foot type mattress 200 coupled to the wire netting 100 and the connecting hooks 110 formed at the respective distal end portions of the wire netting 120 overlap each other and are positioned on the same axis line, A fixture 300 for inserting the plurality of wire meshes 120 in the same axial direction; And an earth paste (B) filled between spaces formed in the wire mesh framework (100)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form an earth wall.
In this case, the wire mesh frame 10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auxiliary wire meshes 130 to enhance the durability of the earthen walls. Depending on the size of the building, the mesh framework 100 may be formed by combining a beam 400 ). ≪ / RTI >
In addition, the rough water 200 is composed of one or more eco-friendly materials such as vegetation mat, reed, straw, bamboo, sorghum and cedar, the soil (B) (B) and lightweight aggregates such as pearlite, fly ash, bottom ash or various functional mineral powders or elvan.
The beam 400 is further provided with a wire mesh fitting part 410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the soil paste B is spray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arth wall structure 1 which does not require a mold, do.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install with a simple configuration, and it is advantageous in that the overall economical cost can be reduced because the work of installing and dismounting the formwork is omitted, since the formwork is unnecessary.

Description

거푸집이 필요없는 흙벽 구조체{Soil wall without mould}{Soil wall without mold}

본 발명은 거푸집이 필요없는 흙벽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흙벽 구조체의 골조를 형성하는 철망골조와 식생매트 또는 발 형태의 거적물을 결합하고 상기 철망골조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철망을 결합하는 고정구를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서 철망골조 내에 형성된 공간 사이에 흙반죽을 충진하여 그대로 흙벽을 축조하는 거푸집이 필요없는 흙벽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ccentric wall structure that does not require formwork,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ccentric wall structure that does not require a form,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arthenware structure which does not require a mold to fill an earth wall with earth dough filled between spaces formed in a wire mesh framework by inserting and fixing a fixture.

흙 건축이란 건축물의 벽체를 이루는 주요부를 흙을 사용하여 축조하는 건축 방식을 의미한다.Soil architecture means the construction method of building the main part of the wall of the building using soil.

흙 건축은 자연 그대로의 재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인체에 유익할 뿐만 아니라, 흙이 지니는 성질에 의하여 흙 건축물은 온도 및 습도 조절 능력이 뛰어나며, 외부의 온도에 따라 적절한 단열 효과를 누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Soil architecture is not only beneficial to the human body because it uses natural materials, but also has the advantage of having excellent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ability due to the nature of the soil and having appropriate insulation effect according to the external temperature .

또한, 콘크리트 제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으므로 친환경적이며, 제조과정이나 폐기 시에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고, 별도의 제조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경제성이 월등하다.In addition, since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generated during the concret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reduced, it is eco-friendly, and it does not pollute the environment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or disposal, and does not require a separate manufacturing process.

흙을 이용한 축조 방법에는 대표적으로 다짐 공법 및 흙 벽돌을 이용하는 공법이 있다.Typical methods of construction using soil include compaction method and soil brick construction method.

다짐 공법은 목재 거푸집을 이용하여 거푸집 안에 흙을 채워넣어 공이 등으로 다져서 벽체를 구축하는 방식이다.The compaction method uses a wooden formwork to fill the formwork with soil and build up the wall by the tilting of the ball.

이러한 다짐 공법에 의해 시공된 벽체는 조밀하게 다져질 수 있다면 상당한 강도 및 내구성을 발휘할 수 있게 된다.If the wall constructed by such compaction method can be densely compacted, it can exhibit considerable strength and durability.

그러나, 다짐 공법을 사용하면 벽면 전체에 대하여 거푸집을 설치하고 흙을 다지는 시공이 완료된 후에는 이를 다시 해체하여야 하므로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에 따라 공사 기간이 늘어나며 인건비 및 자재 비용이 추가로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However, when the compaction method is used, it is necessary to dispose the formwork for the entire wall and to remove the soil after the completion of the construction. Therefore, the construction period is increased due to the installation and disassembly of the formwork, and the labor cost and material cost are further increased have.

한편, 흙 벽돌을 이용한 공법은 다양한 방식으로 제작된 흙 벽돌을 쌓아 벽체를 축조하는 방식으로서, 흙 벽돌에 의한 다양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흙 벽돌을 제작하는 별도의 단계가 소요되므로 벽체 축조에 있어서 다소 비효율적이다.On the other hand, the method using the soil brick is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wall by stacking the soil bricks made in various ways, and in spite of various advantages by the soil bricks, it takes a separate step of producing the soil bricks, to be.

근래에는 벽체가 형성될 부분에 소정의 간격으로 기둥을 설치하고 기둥과 기둥을 목재 판 등의 연결재로 연결하여 형성된 벽체 틀에 흙을 충전하는 방식도 사용되고 있으며, 콘크리트 벽체로 형성된 고정면에 단일의 그물 격자망을 설치하여 그물 격자망에 흙을 도포하여 벽체를 축조하는 방식도 공지되어 있다.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used a method in which a column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a portion where a wall is to be formed, and a soil is filled in a wall frame formed by connecting a column and a column with a connecting member such as a wooden plate. It is also known to provide a net lattice net to construct the wall by applying soil to the net lattice net.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흙 벽체를 축조하는 구성에 의하면, 별도의 거푸집을 설치 및 해체하거나, 별도로 흙 벽돌을 제작하여야 하므로 공사 기간 및 비용 등에 있어서 비효율적인 면이 있으며, 축조된 흙 벽체는 흙 벽체의 면에 작용하는 응력에 취약한 단점이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for constructing such a conventional earth wall, there is an ineffective aspect such as construction period and cost since a separate form is installed and dismantled or soil bricks must be separately manufactured. The built- It is vulnerable to stress acting on the surface.

이에, 거푸집이 필요없는 흙벽 구조체에 관한 선행 기술로서,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54276호의 "흙 건조물의 축조방법"은 망체로 이루어진 골격부재에 가설형틀을 설치하고 상기 가설형틀 내로 기계적 압출장치에 의해 흙반죽을 버텀업(Buttom-up) 방식으로 압밀충진한 다음 바로 상기 가설형틀을 제거하여 건조시키는 과정을 통해 주택이나 옹벽 등과 같은 흙구조물을 신속 용이하게 축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s a prior art relating to an earthen wall structure requiring no formwork, as shown in Fig. 10 (a), a method of constructing a dry soil material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54276 is applied to a skeletal member made of a mesh, And the soil is dewatered by a mechanical extrusion device in the buttom-up manner by the mechanical extrusion device. Then, the drying step is performed to remove the drying mold and immediately dry the soil structure such as a house or a retaining wall So that it can be built.

그러나, 선행 기술인 "흙 건조물의 축조방법" 또한, 가설형틀이라는 거푸집을 필요로 하므로 가설형틀을 설치하고 해체하는 작업이 동반되며 이에 공사 비용 및 공사 시간을 절약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prior art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oil-like structure" also requires a form called a hypothetical form, so that it is accompanied with the work of dismantling and installing a hypothetical form, which can not save construction cost and construction time.

또 다른 선행 기술로서는,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4806호의 "무거푸집 양단열 항토패널벽체"는 금속와이어에 의해 입체래티스 구조체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제 1단열보드가 내측으로 편심되어 일체로 구비되는 내측와이어패널과 금속와이어에 의해 입체래티스 구조체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제 2단열보드가 외측으로 편심되어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내측와이어패널에 대칭되게 접합되는 외측와이어패널과 상기 제 1단열보드와 상기 제 2단열보드 사이에 타설되는 벽체충전재와 상기 내측와이어패널의 제 1단열보드에 타설되는 내부마감재와 상기 외측와이어패널의 제 2단열보드에 타설되는 외부마감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나, 오히려 내부에 접합되는 단열보드로 인해 단열보드 사이에 있는 벽체충전재의 효과가 차단되어 흙벽으로서의 장점을 부각시키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As another prior art, as shown in Fig. 10 (b),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74806 entitled "Non-shaped insulating adhered panel panel wall" is formed by a metal wire as a three dimensional lattice structure, The heat insulating board is formed as a three dimensional lattice structure by an inner wire panel and a metal wire integrally formed by being eccentrically inwardly inward, and a second heat insulating board is integrally formed eccentrically outwardly in the inside, and an outer side which is symmetrically joined to the inner side wire panel A wall filler disposed between the wire panel and the first heat insulating board and the second heat insulating board, an inner finishing material disposed on the first heat insulating board of the inner wire panel, and an outer covering material disposed on the second heat insulating board of the outer wire panel But rather the effect of the wall filler between the heat-insulating boards due to the heat-insulating board bonded to the inside Is blocked, there is a limit does not highlight the benefits as earthen.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54276호 (2014.10.17)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454276 (Oct. 17, 201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74806호 (2014.03.10)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374806 (Apr. 31, 201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에 따르면 거푸집이 필요없는 흙벽 구조체는 흙벽을 축조하는데에 있어 작업 시 거푸집이 필요없는 흙벽 구조체를 제공하는데에 목적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arthen wall structure which does not require a form in construction in order to construct an earthen wall.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성이 간단하여 설치가 용이하며, 거푸집 대용으로 친환경소재로 이루어진 식생매트 또는 발 형태의 거적물을 사용함으로서 작업비용 절감 및 작업시간을 단축하여 공사 시 경제적인 비용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거적물의 소재를 달리할 수 있어 단열효과 및 외관의 미려함을 제고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reducing the cost of operation and shortening the working time by using a vegetable mat or a foot-shaped water, which is made of an environmentally friendly material, And it is also intended to improve the adiabatic effect and the appearance of the exterior because the material of the water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여 안출된 것으로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거푸집이 필요없는 흙벽 구조체에 있어서,In an earthenware structure requiring no formwork,

일정 위치의 각 선단부에 고리형상의 연결고리부가 형성된 철망이 각 위치에 맞는 일정 크기로 다수개 결합되어 흙벽 구조체의 골조를 형성하는 철망골조;A plurality of wire nettings each having an annular connecting ring portion at each end of a predetermined position are coupled to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size corresponding to each position to form a framework of an earthen frame structure;

상기 철망골조에 결합되는 식생매트 또는 발 형태의 거적물;A vegetation mat or foot-shaped fence joined to the wire mesh frame;

상기 철망의 일정 위치의 각 선단부에 형성된 연결고리부가 서로 중첩되어 동일한 축 선상에 위치하였을 때, 동일한 축 방향으로 삽입하여 다수개의 철망을 고정하는 고정구; 및A fixture for inserting a plurality of wire meshes in the same axial direction when the connection hooks formed at the respective distal end portions of the wire mesh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nd positioned on the same axial line; And

상기 철망골조 내에 형성된 공간 사이에 충진되는 흙반죽(B);이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흙벽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n earth paste (B) filled between spaces formed in the wire net framework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form an earth wall.

이때, 철망골조 내에는 흙벽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하여 다수개의 보조철망;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건축물의 크기에 따라 철망골조는 사각틀로 결합된 빔;과 결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wire mesh frame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auxiliary wire meshes to enhance the durability of the earthen wall, and the wire mesh frame may be combined with the beam coupled with the square fram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uilding.

또한, 거적물은 식생매트, 갈대, 볏짚, 대나무, 싸리나무, 삼나무와 같은 친환경소재 중 1개 또는 2개 이상으로 혼합되어 구성되고, 흙반죽은 황토흙으로만 구성되거나 흙반죽과 펄라이트, 플라이애쉬, 바텀애쉬 또는 각종 기능성 광물분말이나 맥반석과 같은 경량골재 중 1개 또는 2개 이상 혼합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marsh water is composed of one or more of eco-friendly materials such as vegetation mat, reed, rice straw, bamboo, sorghum and cedar, and the soil dough is composed of only yellow soil or soil dough and pearlite, Ash, bottom ash, or lightweight aggregate such as various functional mineral powders or elvan.

그리고, 빔의 상면에는 철망결합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거푸집이 필요없는 흙벽 구조체의 외면에는 흙반죽을 분사하거나 미장하여 마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am further includes a wire mesh fitting portion,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wall structure, which does not require a mold, is sprayed with a dough or finely finished.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its broadest possible terms,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거푸집이 필요없는 흙벽 구조체는 흙벽을 축조하는데에 있어 별도의 거푸집이 필요없어 거푸집의 설치작업 및 해체작업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흙벽을 축조하는데에 소요되는 작업시간 및 작업비용 절감으로 공사 시의 전체적인 경제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다.Since the earthen wall structure that does not require a form does not require a separate form in constructing the earthen wall, it is possible to omit the installation work and disassembly work of the formwork, thereby reducing the work time and work cost required for constructing the earthen wall, Thereby reducing costs.

또한, 구성이 간단하여 설치가 용이하며,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철망의 형상 특성 상 흙벽을 구성하는데에 있어 철망 결합작업을 해야 하는 결합면적이 감소됨으로서 작업효율을 증가시킨다.In addition, the construction is simple and easy to install, and in the construction of the earthen wall due to the shape characteristics of the wire net among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nding area required to perform the wire netting operation is reduced, thereby increasing the working efficiency.

더하여서, 친환경소재로 이루어진 식생매트 또는 발 형태의 거적물을 사용함으로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거적물의 소재를 달리할 수 있어 단열효과와 외관의 미려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화재 시 인체에 해로운 유독가스의 발생이 없으므로 매우 효과적인 발명이라 하겠다.In addition, by using vegetable mats made of eco-friendly materials or float-shaped water, it is possible to maximize the adiabatic effect and appearance of the water by changing the material of the water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and the poisonous gas harmful to the human body It is a very effectiv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인 거푸집이 필요없는 흙벽 구조체의 상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거푸집이 필요없는 흙벽 구조체의 분리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거푸집이 필요없는 흙벽 구조체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거푸집이 필요없는 흙벽 구조체와 빔과의 결합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거푸집이 필요없는 흙벽 구조체와 빔과의 결합 실시 예의 분리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거푸집이 필요없는 흙벽 구조체와 빔과의 결합 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인 거푸집이 필요없는 흙벽 구조체와 빔의 구성요소인 철망결합부와의 결합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인 거푸집이 필요없는 흙벽 구조체의 마감작업 후의 단면도를 실시 예로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인 거푸집이 필요없는 흙벽 구조체를 이용하여 완성된 건축물의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인 거푸집이 필요없는 흙벽 구조체에 대한 선행 기술의 대표도를 나타낸 것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an earthenware structure which does not require a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arthenware structure that does not require a form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arthenware structure that does not require di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combining the beam and the dirt structure without the for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formwork-free dirt structure and the beam are combined.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cret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does not require an earthen wall structure and a beam.
FIG. 7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connection between the dirt-free wal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wire mesh joining part which is a component of the beam.
FIG. 8 show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sectional view after finishing work of a dirt-free wall structure.
FIG. 9 shows an embodiment of a building completed using a dirt-free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representative view of a prior art for a dirt-free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거푸집이 필요없는 흙벽 구조체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a concrete wall-free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인 거푸집이 필요없는 흙벽 구조체의 상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의 분리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a dirt-free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거푸집이 필요없는 흙벽 구조체(1)에 있어서,In an earthen frame structure 1 in which a form is not required,

일정 위치의 각 선단부에 고리형상의 연결고리부(110)가 형성된 철망(120)이 각 위치에 맞는 일정 크기로 다수개 결합되어 흙벽 구조체의 골조를 형성하는 철망골조(100);와A wire net framework 100 in which a plurality of wire nettings 120 having ring-shaped connecting hooks 110 formed at respective ends of a predetermined position are coupled to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size to form a framework of an earthen frame structure;

상기 철망골조(100)에 결합되는 식생매트 또는 발 형태의 거적물(200);과A vegetation mat or foot-shaped fence 200 coupled to the wire net framework 100;

상기 철망(120)의 일정 위치의 각 선단부에 형성된 연결고리부(110)가 서로 중첩되어 동일한 축 선상에 위치하였을 때, 동일한 축 방향으로 삽입하여 다수개의 철망(120)을 고정하는 고정구(300); 및 상기 철망골조(100) 내에 형성된 공간 사이에 충진되는 흙반죽(B);이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흙벽을 구성한다.A fastener 300 for fastening a plurality of wire meshes 120 inserted in the same axial direction when the connection hooks 110 formed at the respective ends of the wire mesh 120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nd positioned on the same axial line, ; And an earth paste (B) filled between spaces formed in the wire net framework 100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constitute an earth wall.

상기 철망골조(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축물의 크기에 따라 사각틀로 결합된 빔(400);과 결합할 수 있는데, 이때, 빔(400)의 상면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망결합부(41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the wire net framework 100 may be coupled to a beam 400 coupled with a square fram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uilding. At this tim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eam 400, And a wire mesh coupling part 410. [

이는 건축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크기에 따라 빔(400)의 전, 후면에 결합되는 철망(120)의 일정 위치의 각 선단부에 형성된 각각의 다수개의 연결고리부(110)가 서로 중첩되어 동일한 축 선상에 위치하게 하고, 이를 상기 고정구(300)에 의해 고정할 때, 상기 빔(400)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는 철망결합부(410)가 관통되어 함께 고정구(300)가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서 빔(400)과 철망(120)의 고정력을 더욱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plurality of connection hooks 110 formed at the respective ends of the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wire net 120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beam 400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to form the same axial line The wire mesh fitting part 410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eam 400 penetrates through and fixes the fixture 300 together and fixes the beam 400 to the beam 400. [ And the fixing force of the wire net 120 can be further increased.

철망골조(100)와 빔(400)과의 결합 실시 예에 대한 분리 사시도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다.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mbined embodiment of the wire net framework 100 and the beam 400. As shown in FIG.

또한, 상기 철망(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하는 곳(전면, 후면)에 따라 상, 하부가 일정 길이 절곡되고, 일정 길이 절곡된 하부는 서로 용접, 호그링 및 결속선 결합 등의 다양한 결합으로 바닥면을 형성하고 상부와 좌, 우면을 형성하는 철망(120)은 서로의 연결고리부(110)가 중첩될 수 있도록 위치시켜 중첩된 각각의 연결고리부(110)와 동일한 축 방향으로 고정구(300)를 삽입하여 철망골조(100)를 형성한다.2,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wire net 120 are bent by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positions (front and rear) as shown in FIG. 2, and the lower portions bent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re welded, hoggling, And the wire net 120 forming the top, left, and right sides are positioned so that the connecting hooks 110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The fixture 300 is inserted in the direction of the wire mesh frame 100 to form the wire mesh framework 100. [

이때, 철망골조(100) 내에는 흙벽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하여 다수개의 보조철망(130);을 등 간격으로 결합하여 격벽을 형성하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n order to enhance the durability of the earth wall, a plurality of auxiliary wire meshes (130) are preferably equally spacedly coupled to form a partition wall in the wire mesh framework (10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철망(130)은 철망골조(100) 내에 결합되는데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2[개]의 보조철망(130)을 도시하였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보조철망(130)의 수를 증가시켜 더욱 촘촘한 격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auxiliary wire net 130 is coupled to the wire net framework 10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wo [auxiliary] wire nettings 130 are illustrated. However, The number of the barrier ribs can be increased.

그리고, 철망(120)이 위치하는 곳(전면, 후면)에 따라 상, 하부가 일정 길이 절곡되는 또 다른 이유는 철망(120)와 빔(400)과의 고정 시, 상부는 서로 중첩될 수 있도록 하고, 하부는 절곡으로 인해 빔(400)과의 결합면적을 증가시켜 고정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Another reason th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bent by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positions where the wire mesh 120 is positioned (front and rear) is that when the wire mesh 120 and the beam 400 are fixed, And the lower portion is increased in the coupling area with the beam 400 due to the bending, so that the fixing force can be further improved.

철망(120)의 특성은 본 출원인이 가지고 있는 권리로서 등록된 선행 기술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90404호의 "월패널 및 아트펜스용 개비온 및 그 제조방법"에 공시되어 있는 구성 및 방법과 일정부분 동일하나, 철망(120)의 절곡된 상부와 좌, 우면의 끝단에만 연결고리부(110)가 적용된다.The characteristics of the wire net 120 are disclosed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90404 entitled " Garbons for Wall Panels and Art Fences and Manufacturing Method ", which is a registered trademark right, The connecting hook 110 is applied only to the bent top and left and right ends of the wire net 120.

이는, 흙벽을 구성하는데에 있어 흙벽의 바닥면이 지면과 접촉하여 수직으로 세워질 때, 접촉면을 확보하여 흙벽으로서의 안정감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This is to improve the stability of the earth wall by securing the contact surface when the bottom wall of the earth wall is in contact with the ground and is vertically erected in constructing the earth wall.

거적물(200)은 식생매트, 갈대, 볏짚, 대나무, 싸리나무, 삼나무와 같은 친환경소재 중 1개 또는 2개 이상으로 혼합되어 구성되는데, 종래 기술에 반드시 필요했던 거푸집을 사용하지 않아도 거푸집 대용으로 흙벽을 구성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The mugwort water 200 is composed of one or more eco-friendly materials such as vegetation mat, reed, rice straw, bamboo, sorghum and cedar, and is used as a mold substitute It plays a role in constructing an earthen wall.

거적물(200)은 도 3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망(120)을 기준으로 철망(120)의 안쪽면에 고정되어 철망골조(100) 내의 공간 사이에 충진된 흙반죽(B)이 철망골조(100) 밖으로 흘러내리지 않고 형상 그대로의 벽체로 구성될 수 있도록 도와준다.As shown in FIGS. 3 and 6, the ground water 200 is fix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ire net 120 with respect to the wire net 120 so that the soil paste B filled in spaces between the wire net frameworks 100 And it can be configured as a wall in a shape without flowing out of the wire mesh frame (100).

즉, 친환경소재로 구성된 거적물(200)은 흙벽을 구성할 때 흙반죽(B)과 일체가 되어 별도의 해체작업이 필요없이 본 발명인 거푸집이 필요없는 흙벽 구조체(1)의 구성이 되며, 친환경소재이므로 상술한 흙벽의 장점을 더욱 부각시켜주는 역할을 한다.In other words, the mugwort 200 made of an eco-friendly material is integrated with the dough B to form an earthen wall B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dismantling work, Because it is the material, it plays a role to highlight the advantages of the above-mentioned earthen wall.

또한, 거적물(200)은 철망(120)을 기준으로 철망(120) 바깥쪽에 위치할 수도 있는데 이때는 좀 더 흙벽으로서의 질감을 표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필요와 선택에 따라 대응하여 제작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giant water 200 may be located outside the wire net 120 on the basis of the wire net 120. In this case, since the texture as the earthen wall can be expressed more, the giant water 200 can be manufactured correspondingly to the needs and choices of the user.

거적물(200)은 철망골조(100)로만 흙벽의 구조체를 구성하는가, 철망골조(100)와 빔(400)과의 결합으로 흙벽의 구조체를 구성하는가에 따라 사용되는 수량이 달라질 수 있다.The amount of the water 200 to be used may vary depending on whether it constitutes an earth wall structure only with the wire net framework 100 or a structure of an earthen wall due to the combination of the wire net framework 100 and the beam 400.

예를 들어, 흙벽이 도 2와 같이 철망(120)으로만 구성될 시에는 거적물(200)은 전, 후, 좌, 우, 바닥면으로 총 5[개]가 필요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망(120)과 빔(400)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흙벽에는 전, 후면으로 총 2[개]가 필요하게 된다.For example, when the earth wall is constituted only by the wire net 120 as shown in FIG. 2, a total of 5 [pieces] are required in the front, back, left, right, A total of 2 [pieces] are required for the obturator walls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wire net 120 and the beam 400, as shown in FIG.

흙반죽(B)은 황토흙으로만 구성되거나 흙반죽(B)과 펄라이트, 플라이애쉬, 바텀애쉬 또는 각종 기능성 광물분말이나 맥반석과 같은 경량골재 중 1개 또는 2개 이상 혼합하여 구성된다.The soil dough (B) consists of only yellow soil or a mixture of soil dough (B) and lightweight aggregates such as pearlite, fly ash, bottom ash or various functional mineral powders or elvan.

이는, 건축물의 특성에 따라, 흙벽이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 황토흙 또는 맥반석 및 각종 기능성 광물분말을 첨가하는 것으로만 구성될 수 있으며 흙벽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술한 펄라이트, 플라이애쉬, 바텀애쉬와 같은 경량골재를 혼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ilding, it may be constituted only by adding yellow clay or quartz and various functional mineral powders depending on the place where the clay wall is installed. In order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clay wall, the pearlite, fly ash, And the same lightweight aggregate may be mixed together.

또한, 흙반죽(B)은 황토흙과 잘게 썰은 볏집, 소금, 기타 황토의 강도증진과 경량화를 강화하기 위한 보조재와 혼합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며 흙반죽(B)의 점도를 높이기 위하여 해초의 끓인 물을 사용하기도 한다.In addition, the soil dough (B) may be mixed with auxiliary materials for enhancing the strength and lightness of the yellow soil and the finely chopped rice straw, salt and other yellow clay. In order to increase the viscosity of the soil dough (B) .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흙벽이 구성된 후에는, 최종적으로 흙벽의 외면에 흙반죽을 분사하거나 미장하여 외관을 더욱 미려하게 마무리한다.After the earth wall is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the earth dough is finally spray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arth wall or finely finished to finish the appearance more beautifully.

즉, 본 발명은 각 구성요소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철망골조(100) 내에 형성된 공간 사이에 흙반죽(B)을 충진하여 흙벽을 이루는 것이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constituent element is organically coupled to each other to fill the soil paste B between the spaces formed in the wire net framework 100 to form an earth wall.

따라서, 본 발명인 거푸집이 필요없는 흙벽 구조체(1)는 철망(120) 또는 철망(120)과 빔(400)을 일일이 결합하지 않아 작업시간이 단축될 뿐만 아니라 거푸집 대용으로 식생매트 및 발 형태의 거적물(200)을 사용함으로서 종래 거푸집의 설치작업 및 흙벽이 완성된 후의 거푸집 해체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이로 인한 작업비용 절감 및 거푸집의 설치/해체작업에 필요했던 작업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dirt-free structure 1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does not require dies, not only shortens the working time by not connecting the wire net 120 or the wire net 120 with the beam 400, but also works as a vegetable mat and foot- The use of the water 200 makes it unnecessary to install the conventional formwork and the workpiece disassembly work after the earthen wall is completed, which can save the work cost and the work time required for the installation / disassembly work of the formwork.

더하여서, 도면에 도시는 되지 않았지만, 실시 예로서 철망(120)에 열선장치를 결합하여 동절기에는 보온이 되는 흙벽 구조체를 구성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n embodiment of the wall structure 120 may be constructed by combining a wire harness 120 with a hot-wire apparatus to keep warm in winter.

일반적인 건축물에 설치되는 내, 외장재 및 단열재 등은 화학적인 물질로 이루어진 석면, 스티로폼, 암면, 유리솜 따위로 구성되는 이러한 화학적인 물질은 환경호르몬이 방출되어 새집 증후군 등을 유발한다.These chemical substances, which consist of asbestos, styrofoam, rock wool, glass wool, etc. made of chemical materials such as inner, outer and insulation materials installed in general buildings, release environmental hormones and cause sick house syndrome.

또한, 이들은 화재 발생 시 자가연소가 이루어져 유독가스를 발생시켜 인체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며, 대부분 재활용이 불가능하다.In addition, they are self-ignited when a fire occurs, producing a toxic gas, which has a fatal effect on the human body, and most of them are not recyclable.

이에 따라, 폐기 시 소각이나 매립을 하게 되는데, 매립 시 이들은 신속히 분해되지 않고, 소각 시에는 유독가스 등의 유해물질이 생성되므로 화학적인 물질로 만들어진 건축물의 내, 외장재 및 단열재 등은 인체, 재산, 환경 등에 커다란 피해를 준다.Accordingly, incineration or landfilling is carried out at the time of disposal. When they are incinerated, they are not decomposed promptly and harmful substances such as poisonous gases are generated at the time of incineration. Therefore, inside, exterior and insulation materials of buildings made of chemical materials, It causes great damage to the environment.

도 8의 (a), (b)는 각각 도 1과 도 4로 구성된 흙벽의 마감작업 후의 단면도를 실시 예로 나타낸 것으로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형적인 흙벽으로 구성된 건축물의 외관과 동일하게 마감할 수 있으며(철망골조(100)를 보이지 않게 마감작업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인 거푸집이 필요없는 흙벽 구조체(1)는 건축물의 구조에 맞게 다양한 형상으로 제작되어 인체와 환경에 이로운 건축물을 완성할 수 있다.8 (a) and 8 (b) illustrate cross-sectional views of an earthen wall constructed as shown in Figs. 1 and 4, respectively, in the same manner as the exterior of a typical earthen building, as shown in Fig. 9 (The finishing work is performed so as not to show the wire netting frame 100), the earthen wall structure 1 which does not require the form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shapes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building, thereby completing a building advantageous to the human body and the environment .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Therefor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in a limiting sense, as they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오늘날 건축자재로 널리 쓰이는 콘크리트와 같은 가공재는 제조과정에서 부터 자연을 파괴하고 많은 에너지를 소비하므로 공해물질인 이산화탄소의 배출량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해체 시에 발생하는 콘크리트 폐기물은 토양을 오염시키므로 자연 생태계를 훼손하는 문제가 있다.Concrete such as concrete, which is widely used today as construction material, destroys nature and consumes a lot of energy from the manufacturing process. In addition to increasing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emissions, the concrete waste generated during dismantling pollutes the soil. There is a problem to damage.

반면, 흙은 건축물의 수명을 다하여 해체되더라도 자연상태 그대로 고스란히 환원되므로 자연생태계를 오염시키거나 훼손할 우려가 전혀 없다는 점에서 단연 친환경적인 재료의 전형이라 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oil is a kind of eco - friendly material in that it does not cause pollution or destruction of a natural ecosystem because it is restored to its natural condition even if it is dismantled through the lifetime of the building.

따라서, 본 발명인 거푸집이 필요없는 흙벽 구조체는 흙벽을 제조하는 제조업 및 건축업 등 다양한 산업분야 증진에 기여하는데에 적용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dirt-free wal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does not require a dice, can be applied to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various industrial fields such as manufacturing industry and construction industry.

1 : 거푸집이 필요없는 흙벽 구조체
100 : 철망골조 110 : 연결고리부
120 : 철망 130 : 보조철망
200 : 거적물 300 : 고정구
400 : 빔 410 : 철망결합부
B : 흙반죽
1: Ellipse structure without mold
100: wire net framework 110:
120: Wire mesh 130: Secondary wire mesh
200: Big water 300: Fixture
400: beam 410: wire mesh coupling part
B: soilbath

Claims (7)

거푸집이 필요없는 흙벽 구조체(1)에 있어서,
일정 위치의 각 선단부에 고리형상의 연결고리부(110)가 형성된 철망(120)이 각 위치에 맞는 일정 크기로 다수개 결합되어 흙벽 구조체의 골조를 형성하되, 흙벽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하여 다수개의 보조철망(130)이 구성되고 전, 후면의 철망(120)의 상, 하부가 일정 길이 절곡되어 이루어진 철망골조(100);
상기 철망골조(100)에 결합되며, 철망골조(100) 내의 공간 사이에 충진되는 흙반죽(B)이 철망골조(100) 밖으로 흘러내리지 않고 형상 그대로 벽체로 구성될 수 있도록 철망골조(100)의 내부 또는 외부에 고정되어 결합됨으로서, 흙벽을 축조하는데에 별도의 설치 및 해체작업이 필요한 거푸집을 필요 없게 하는 갈대, 볏짚, 대나무, 싸리나무, 삼나무의 친환경소재 중 1개 또는 2개 이상으로 혼합되어 구성된 식생매트 또는 발 형태의 거적물(200);
상기 철망(120)의 일정 위치의 각 선단부에 형성된 연결고리부(110)가 서로 중첩되어 동일한 축 선상에 위치하였을 때, 동일한 축 방향으로 삽입하여 다수개의 철망(120)을 고정하는 고정구(300);
건축물의 크기에 따라 사각틀로 결합되되, 상면에 철망결합부(410);가 구성되어 철망결합부(410)와 상기 철망골조(100)의 연결고리부(110)가 서로 중첩되어 동일한 축 선상에 위치할 때, 상기 고정구(300)가 관통된 연결고리부(110)와 철망결합부(410)에 삽입됨으로서 철망골조(100)의 고정력을 상승시키는 빔(400); 및
상기 철망골조(100) 내에 형성된 공간 사이에 충진되는 황토흙으로만 구성되거나 황토흙과 잘게 썰은 볏집, 소금, 황토의 강도증진과 경량화를 강화하기 위한 보조재가 혼합된 혼합물에 펄라이트, 플라이애쉬, 바텀애쉬 또는 기능성 광물분말이나 맥반석의 경량골재 중 1개 또는 2개 이상 혼합되어 구성되는 흙반죽(B);이 서로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흙벽을 구성하고, 이와 같이 철망골조(100), 거적물(200), 고정구(300), 빔(400), 흙반죽(B)의 결합으로 이루어진 흙벽의 외면에 최종으로 흙반죽(B)을 분사하거나 미장하여 마감함으로서 친환경적인 흙벽을 완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이 필요없는 흙벽 구조체.
In an earthen frame structure 1 in which a form is not required,
A plurality of wire nettings 120 having ring-shaped connecting hooks 110 formed at respective ends of a predetermined position are coupled to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size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positions to form a frame of an earthen wall structure. In order to increase the durability of the earthen wall, A wire net framework 100 in which a wire net 130 is formed and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wire net 120 on the front and rear sides are bent to a predetermined length;
The structure of the wire mesh frame 100 is such that the soil paste B which is coupled to the wire mesh frame 100 and filled in spaces between the mesh network frames 100 can be composed of walls in a shape without flowing out of the mesh network frame 100 It is mixed with one or more of eco-friendly materials of reed, straw, bamboo, sycamore, and cedar which do not require dies that require separate installation and dismantling work to construct the earthen walls A vegetated mat or footpiece 200 in the form of a foot;
A fastener 300 for fastening a plurality of wire meshes 120 inserted in the same axial direction when the connection hooks 110 formed at the respective ends of the wire mesh 120 are overlapped with each other and positioned on the same axial line, ;
The wire mesh fitting part 410 and the connecting hook part 110 of the wire mesh framework 100 are superimposed on each other on the same axis line, A beam 400 that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on hook 110 and the wire mesh connection part 410 through which the fixture 300 is inserted to raise the fixing force of the wire mesh framework 100; And
A mixture of clay, sand, loess, and auxiliary materials for reinforcing the strength and lightness of the clay, salt, and loess, which are composed only of the clay soil filled between the spaces formed in the wire net framework 100, (B) composed of an ash, a functional mineral powder, or a lightweight aggregate of elvan,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form an earth wall, and thus the wire mesh frame 100, , The earth mud (B) is finally sprayed or finely finish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arth wall formed by the joining of the fixture (300), the fixture (300), the beam (400) and the soil paste (B) This does not require an earthen structur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50126355A 2015-09-07 2015-09-07 Soil wall without mould Active KR1017369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355A KR101736917B1 (en) 2015-09-07 2015-09-07 Soil wall without moul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355A KR101736917B1 (en) 2015-09-07 2015-09-07 Soil wall without moul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9256A KR20170029256A (en) 2017-03-15
KR101736917B1 true KR101736917B1 (en) 2017-05-18

Family

ID=58403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6355A Active KR101736917B1 (en) 2015-09-07 2015-09-07 Soil wall without moul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6917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77281A (en) 2022-11-24 2024-05-31 우진에코텍 주식회사 Double-insulated Wall Panel using Reinforced Wire Mesh Structur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404B1 (en) * 2014-02-19 2015-02-05 (주)남영산업 Gabion for wall panel and art fen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4806B1 (en) 2011-04-11 2014-03-17 박은태 Form-free both insulation wall
KR101454276B1 (en) 2012-01-17 2014-10-23 정문형 method for constructing soil structu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404B1 (en) * 2014-02-19 2015-02-05 (주)남영산업 Gabion for wall panel and art fen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77281A (en) 2022-11-24 2024-05-31 우진에코텍 주식회사 Double-insulated Wall Panel using Reinforced Wire Mesh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9256A (en) 2017-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605945B (en) Dome type structure
KR101454276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soil structure
CN107109846A (en) Load-bearing interlocking structural blocks and modular building systems
KR101003371B1 (en) Soil wall frame module, Soil wall frame and soil frame, and soil wall construction method
KR200483455Y1 (en) Soil wall without mould
KR100994783B1 (en) Unit panel by eco material and eco house thereof
KR101736917B1 (en) Soil wall without mould
KR20170003836U (en) Wall structure using a gabion
US10458116B2 (en) Building element made of a fibrous material and building construction utilizing same
KR20130091478A (en) Constructable wall structure
KR100751234B1 (en) Ocher panel structure
US20060096222A1 (en) Multi-use walls comprising tongue-and-groove tiles and a metal structure which is intended for, for example, floors, walls fences and steps
KR20110105944A (en) Frame for building skeleton and construction method of building using same
KR100647557B1 (en) Field-assembled wall components for eco-friendly materials
CN207277601U (en) A kind of lightweight steel construction assembles the metope modular system of decoration integrated inner wall of building
CN2573586Y (en) Sandwich insulating brick
KR101695634B1 (en) Construction structure and method for retaining wall
KR0115305Y1 (en) Prefabricated bricks
KR100647559B1 (en) Eco-Friendly Material Wall Construction Method
KR102835892B1 (en) Permanently recyclable block structure with key units
KR20200040503A (en) Steel-frame structure producion technique of dome-type red clay sauna and steel-frame structure of dome-type red clay produced by it's producion technique
KR200315800Y1 (en) Clynder Type Wall Prefabrication Block
CN2690481Y (en) Multifunction wall
KR20090004331U (en) Prefabricated uneven block type composite building filled with ocher and charcoal mixture
KR20090126660A (en) Honeycomb plate and construction method of loess mortar u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28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5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5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5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