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49685B1 - spark plug - Google Patents

spark plu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9685B1
KR101749685B1 KR1020150088688A KR20150088688A KR101749685B1 KR 101749685 B1 KR101749685 B1 KR 101749685B1 KR 1020150088688 A KR1020150088688 A KR 1020150088688A KR 20150088688 A KR20150088688 A KR 20150088688A KR 101749685 B1 KR101749685 B1 KR 1017496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er electrode
electrode
ground electrode
terminal nut
dischar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868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50541A (en
Inventor
안종영
권병욱
김상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라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라테크
Priority to KR1020150088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9685B1/en
Publication of KR20160150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5054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9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9685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3/00Sparking plugs
    • H01T13/20Sparking plug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electrodes or ins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15/00Electric spark ignition having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P1/00 - F02P13/00 and combined with layout of ignition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TSPARK GAPS; OVERVOLTAGE ARRESTERS USING SPARK GAPS; SPARKING PLUGS; CORONA DEVICES; GENERATING IONS TO BE INTRODUCED INTO NON-ENCLOSED GASES
    • H01T13/00Sparking plugs
    • H01T13/20Sparking plug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electrodes or insulation
    • H01T13/32Sparking plug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electrodes or insulation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earthed electr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park Plugs (AREA)

Abstract

점화 코일과 케이블로 연결되어 에너지를 전달 받는 터미널 너트부; 상기 터미널 너트부에 일단이 결합되어 타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방전을 일으키는 타단은 면적 방전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중심 전극; 상기 터미널 너트부에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중심 전극의 일부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절연부; 및 일단이 상기 절연부에 결합되어 상기 중심 전극의 연장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되, 상기 중심 전극을 수용하는 원통형 측면과, 타단 단부에 스파크가 전파될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되는 접지 전극;을 포함하는 점화 플러그를 제공한다.A terminal nut part connected to the ignition coil by a cable to receive energy; A center electrod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terminal nut portion and extending to the other end, and the other end causing discharge to be capable of area discharge; An insulating portion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terminal nut portion and formed to surround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 electrode; And a ground electrod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insulating portion and disposed in paralle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enter electrode and having a cylindrical side surface for receiving the center electrode and an opening through which sparks can propagate at the other end, Provide a spark plug.

Description

점화 플러그{spark plug}Spark plug}

본 발명은 점화 플러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등의 내연 기관 중 실린더 내부에 배치되어 점화 불꽃을 발생시키는 점화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gnition plug, and more particularly, to an ignition plug disposed in a cylinder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such as an automobile to generate an ignition flame.

점화 플러그는 특히, 엔진 중 연소실 내부로 유입되는 연료와 공기가 서로 혼합될 때 점화 불꽃을 발생시켜 연료가 연소할 수 있도록 하는 부품이다. 그리고, 점화 플러그의 절연체는 연소실에 잔재하는 열을 실린더 헤더를 거쳐 냉각수 라인으로 전달하여 외부로 발산하는 일종의 열 교환기 역할을 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spark plug is a part that allows the fuel to burn by generating an ignition flame when the fuel and air introduc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of the engine are mixed with each other. The insulator of the spark plug can serve as a kind of heat exchanger that transfers the heat retained in the combustion chamber to the cooling water line through the cylinder header and emits it to the outside.

이러한, 점화 플러그는 엔진의 실린더 개수에 따라 비례하여 설치되는데 그 중 일부가 고장 등으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 엔진 출력은 낮아지고, 심한 경우 엔진 RPM이 아이들 RPM 이하로 떨어져 시동이 꺼질 수도 있다.The ignition plug is installed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cylinders of the engine. If some of the ignition plugs are not operated due to malfunction, the engine power is lowered. In severe cases, the engine RPM may fall below the idle RPM and the ignition plug may be turned off.

도 1은 종래 침상 전극을 갖는 점화 플러그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점화 플러그는 중심 전극(4)과 접지 전극(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침상 전극이라 함은 중심 전극(4)의 단부가 점(point) 이그니션을 발생시키는 바늘 모양과 같은 형상을 갖기 때문에 붙은 지칭이다.1 is a plan view of an ignition plug having a conventional needle electrode. Referring to FIG. 1, the spark plug is composed of a center electrode 4 and a ground electrode 2. Here, the needle electrode is a designation because the end of the center electrode 4 has a needle-like shape for generating point ignition.

한편, 종래 중심 전극은 귀금속을 재료로 한 침상 전극과 니켈 합금을 재료로 한 일반 전극으로 구분되어 있었다. 구체적으로, 침상 전극은 낮은 요구 전압과 높은 전계 강도를 갖기 때문에 착화성이 우수하나 높은 마모를 갖는 특성이 있다. 이에 반해, 일반 전극은 높은 요구 전압과 낮은 전계 강도로 인해 침상 전극 대비 착화성 저하 및 낮은 연속 속도를 갖는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ly, the center electrode is divided into a needle electrode made of a noble metal and a common electrode made of a nickel alloy. Specifically, the needle electrode has excellent characteristics such as excellent ignitability but high wear because it has low required voltage and high electric field strength. On the other hand, the conventional electrode has a problem that it has poor ignitability and low continuous speed compared to the needle electrode due to high required voltage and low electric field intensity.

최근, 내연 기관 등은 플라즈마를 이용하는 고에너지 점화시스템을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고에너지 점화시스템에 침상 전극을 사용하면 고에너지를 인가할 경우 전극의 마모가 급격하게 발생하여 점화 플러그의 수명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BACKGROUND ART In recent years,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nd the like have adopted a high energy ignition system using plasma. However, when a needle electrode is used in a high energy ignition system, there is a problem in that when the high energy is applied, the electrode is abraded abruptly and the life span of the spark plug is lowered.

또한, 침상 전극을 사용하면 고압, 고유속을 갖는 실린더 내부의 열악한 환경으로 실화(misfire) 발생 가능성이 있었다. 그 결과, 연소 불안정으로 엔진의 출력 저하 및 유해한 배기 가스의 증가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Further, when needle electrodes were used, there was a possibility of misfire in a poor environment inside a cylinder having high pressure and high speed. As a result, combustion instability has caused problems such as a decrease in output of the engine and an increase in harmful exhaust gas.

미국 등록특허 6,414,419호 (2002.07.02. 등록)U.S. Patent No. 6,414,419 (registered on July 2, 2002)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방전 면적을 증가시켜 볼륨 이그니션(volume ignition)이 가능한 점화 플러그를 제공하고자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gnition plug capable of volume ignition by increasing a discharge area.

또한, 고에너지 점화시스템에서도 높은 착화성과 빠른 연소가 가능하여 노킹을 효과적으로 제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종래 침상 전극 대비 점화 플러그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안정적인 연소로 유해 가스를 절감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언소 압력을 증가시켜 엔진의 출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Also, it is possible to achieve high ignition and fast combustion even in a high-energy ignition system, thereby effectively controlling knocking. Further,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service life of the spark plug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needle electrode, and to reduce harmful gas by stable combustion.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improve the output of the engine by increasing the squeeze pressur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점화 코일과 케이블로 연결되어 에너지를 전달 받는 터미널 너트부; 상기 터미널 너트부에 일단이 결합되어 타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방전을 일으키는 타단은 면적 방전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중심 전극; 상기 터미널 너트부에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중심 전극의 일부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절연부; 및 일단이 상기 절연부에 결합되어 상기 중심 전극의 연장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되, 상기 중심 전극을 수용하는 원통형 측면과, 타단 단부에 스파크가 전파될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되는 접지 전극;을 포함하는 점화 플러그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uel cell system comprising: a terminal nut part connected to an ignition coil by a cable to receive energy; A center electrod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terminal nut portion and extending to the other end, and the other end causing discharge to be capable of area discharge; An insulating portion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terminal nut portion and formed to surround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 electrode; And a ground electrod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insulating portion and disposed in paralle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enter electrode and having a cylindrical side surface for receiving the center electrode and an opening through which sparks can propagate at the other end, Provide a spark plug.

상기 중심 전극의 타단은 사각형의 판상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other end of the center electrode is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like structure.

상기 접지 전극의 타단 내주면은 상기 판상 구조의 양 측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대향하는 한 쌍의 평탄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other e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ound electrode is formed as a pair of flat surfaces opposite to both sides of the plate-shaped structure at a certain distance.

상기 접지 전극의 타단에는 상기 판상 구조를 갖는 상기 중심 전극의 타단이 전부 노출되게 한 쌍의 U자형 제1 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1 홈은 대향하며 상기 평탄면의 양단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a pair of U-shaped first grooves for exposing the other ends of the center electrode having the plate-like structure ar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ground electrode, and the first grooves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ar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flat surface Do.

상기 중심 전극의 타단은 돌출 형성되는 봉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other end of the center electrode is formed in a protruding shape.

상기 접지 전극의 타단에는 상기 봉 형상을 갖는 상기 중심 전극의 타단이 전부 노출되게 한 쌍의 U자형 제2 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2 홈은 대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a pair of U-shaped second grooves for exposing the other end of the center electrode having the bar shape ar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ground electrode, and the second grooves are formed to be opposed to each other.

상기 중심 전극의 타단은 상기 접지 전극의 개구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other end of the center electrode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pening of the ground electrode.

상기 접지 전극은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ground electrode may further include a thread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effects including the following can be expec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cessarily achieve the following effects.

중심 및 접지 전극 사이의 면적 방전을 통해 볼륨 이그니션(volume ignition)이 가능하다. 그 결과, 고에너지 점화시스템에서도 높은 착화성과 빠른 연소가 가능하여 노킹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Volume ignition is possible through an area discharge between the center and ground electrodes. As a result, even in a high-energy ignition system, high ignition and fast combustion are possible, and knocking can be effectively controlled.

또한, 침상 전극 대비 점화 플러그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안정적인 연소로 유해 가스를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언소 압력을 증가시켜 엔진의 출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Further, the life of the ignition plug can be prolonged relative to the needle electrode, and harmful gas can be saved by stable combustion. In addition, the power of the engine can be increased by increasing the squeeze pressure.

도 1은 종래 침상 전극을 갖는 점화 플러그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점화 플러그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도 2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점화 플러그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측면도.
도 7은 도 5의 평면도.
1 is a plan view of an ignition plug having a conventional needle electrod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gnition plu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side view of Figure 2;
Fig. 4 is a plan view of Fig. 2;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gnition plu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view of Fig.
7 is a plan view of Fig.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점화 플러그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점화 플러그는 터미널 너트부(10), 중심 전극(20a), 절연부(30) 및 접지 전극(40a)을 포함한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gnition plug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view of FIG. 2, and FIG. 4 is a plan view of FIG. 2 to 4, the spark plu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terminal nut portion 10, a center electrode 20a, an insulating portion 30, and a ground electrode 40a.

터미널 너트부(10)는 점화 코일과 케이블로 연결되어 에너지를 전달 받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블 단부에 하이텐션 코드가 형성되어 이 부분이 터미널 너트부(10)의 일단과 연결된다. 이 때, 터미널 너트부(10)는 전달 받은 에너지를 중심 전극(20a)으로 전달하게 된다.The terminal nut portion 10 is connected to the ignition coil by a cable so as to receive energy. Specifically, a high tension cord is formed at the end of the cable, and this portion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terminal nut portion 10. At this time, the terminal nut portion 10 transfers the transferred energy to the center electrode 20a.

한편, 제1 실시예에 따른 점화 플러그가 고에너지 점화시스템에 사용되는 경우, 터미널 너트부(10)는 플라즈마 발생 장치와도 더 연결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spark plu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used in the high energy ignition system, the terminal nut portion 10 can be further connected to the plasma generator.

중심 전극(20a)은 터미널 너트부(10)에 일단이 결합되어 타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타단은 면적 방전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중심 전극(20a)은 일반적으로 양극 전극을 의미한다. 이 때, 방전을 일으키는 타단은 소정 면적을 갖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볼륨 이그니션이 가능하다. 한편, 중심 전극(20a)은 내열성, 내구성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심 전극(20a)은 몇몇 금속을 조합한 특수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One end of the center electrode 20a is coupled to the terminal nut portion 10 to extend to the other side, and the other end can be formed to be capable of area discharge. The center electrode 20a generally means an anode electrode. At this time, the other end causing the discharge has a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volume ignition is possible. Meanwhile, the center electrode 20a is preferably formed of a metal material capable of improving heat resistance, durability,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enter electrode 20a may be formed of a special alloy of several metals.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타단은 후술할 접지 전극(40a)의 내주면을 마주보며 배치되는 사각형의 판상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양 측면의 판을 통해 방전이 가능하여 종래 침상으로 형성되어 에너지가 집중되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중심 전극(20a)의 수명은 더 연장될 수 있다.The other end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plate-like structure arranged to face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ground electrode 40a to be described later. As a result, discharging is possible through the plates on both sides, so tha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nergy concentration from being formed as a conventional needle-shaped. As a result, the lifetime of the center electrode 20a can be further extended.

또한, 타단은 접지 전극(40a)의 개구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중심 전극(20a)은 접지 전극(40a) 내에 수용될 수 있게 타단이 접지 전극(40a)의 개구면 아래에 배치된다. 또는, 중심 전극(20a)의 타단이 접지 전극(40a)의 개구면과 맞닿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양 전극 사이에서 효과적으로 방전을 일으키기 위함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other end is formed so as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pening of the ground electrode 40a. That is, the center electrode 20a is disposed below the opening surface of the ground electrode 40a so that the center electrode 20a can be received in the ground electrode 40a. Alternatively, the other end of the center electrode 20a may be formed to abut the opening surface of the ground electrode 40a. This is to cause an effective discharge between both electrodes.

한편, 절연부(30)는 터미널 너트부(10)에 일단이 결합되며 중심 전극(20a)의 일부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절연부(30)는 비금속 재질 예를 들어, 세라믹 등의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Meanwhile, the insulating portion 30 may be formed at one end of the terminal nut portion 10 so as to surround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 electrode 20a. At this time, the insulating portion 30 can be formed using a material such as a non-metallic material, for example, ceramic.

절연부(30)는 중심 전극(20a)과 접지 전극(40a) 사이의 절연을 위한 기능을 갖는다. 이를 위해, 절연부(30)의 외주면에 주름을 형성하여 절연 거리를 더 길게 할 수 있다. 또한, 절연부(30)는 연소실에서 전달된 열을 외부로 발산하는 기능을 갖는다.The insulating portion 30 has a function for insulating between the center electrode 20a and the ground electrode 40a. For thi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insulating portion 30 may be wrinkled to increase the insulation distance. Further, the insulating portion 30 has a function of dissipating the heat transferred from the combustion chamber to the outside.

접지 전극(40a)은 일단이 절연부(30)에 결합되어 중심 전극(20a)의 연장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된다. 여기서, 접지 전극(40a)은 중심 전극(20a)에 대응되는 음극 전극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접지 전극(40a)의 전위는 0으로 유지된다. 이 때, 접지 전극(40a)의 측면은 중심 전극(20a)을 수용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고)에너지를 갖는 중심 전극(20a)과 접지 전극(40a) 사이에는 방전에 따른 스파크가 발생할 수 있다.One end of the ground electrode 40a is coupled to the insulating portion 30 and is disposed in paralle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enter electrode 20a. Here, the ground electrode 40a means a cathode electrode corresponding to the center electrode 20a. Specifically, the potential of the ground electrode 40a is maintained at zero. At this time, the side surface of the ground electrode 40a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o receive the center electrode 20a. As a result, a spark due to discharge may occur between the center electrode 20a having high energy and the ground electrode 40a.

그리고, 접지 전극(40a)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실린더 헤더에 점화 플러그 일부를 삽입하여 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국제 표준화에 따라 일정한 규격으로 형성된다. 다만, 나사산은 접지 전극(40a)의 외주면에 전체적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다. 접지 전극(40a)의 타단 중 중심 전극(20a)이 노출되는 부분은 양 전극 사이에서 발생한 스파크가 점화 플러그 외부로 용이하게 전파될 수 있도록 연소실 내측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a thread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ound electrode 40a. This is for inserting a part of the spark plug into the cylinder header and fastening it to a certain standard according to international standardization. However, it is not necessary that the thread is formed entirely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ound electrode 40a. It is preferable that a portion of the other end of the ground electrode 40a exposed to the center electrode 20a protrudes inwardly of the combustion chamber so that sparks generated between the electrodes can easily propagate to the outside of the spark plug.

또한, 접지 전극(40a)의 타단 내주면은 판상 구조의 양 측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대향하는 한 쌍의 평탄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판상 구조를 갖는 중심 전극(20a)과 일정 거리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이 때, 평탄면은 판상 구조의 각 측면이 평탄면에 투사되면 그 투사면이 평탄면 내에 모두 배치되도록 하는 모양을 갖는다. 따라서, 평탄면의 면적은 이와 대향하는 중심 전극(20a)의 측면의 면적을 초과한다. 이로 인해, 중심 전극(20a)과 각 평탄면 사이에서 발생하는 방전 면적은 극대화될 수 있다. 그 결과, 바람직한 제1 실시예는 볼륨 이그니션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접지 전극(40a)의 타단 단부에는 스파크가 외부로 전파될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된다. 이를 통해, 양 전극 사이에서 발생하는 스파크를 연소실 내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접지 전극(40a)의 타단에는 판상 구조를 갖는 중심 전극(20a)의 타단이 전부 노출되게 한 쌍의 U자형 제1 홈(51)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홈(51)은 대향하며 형성되고, 평탄면의 양단에 배치된다.
The other end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ound electrode 40a may be formed as a pair of flat surfaces spaced apart from both side surfaces of the plate-like structure by a certain distance. This is to mainta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center electrode 20a having a plate-like structure.
At this time, the flat surface has such a shape that when the respective side surfaces of the plate-like structure are projected on the flat surface, the projection surface is all disposed in the flat surface. Therefore, the area of the flat surface exceeds the area of the side surface of the center electrode 20a facing the flat surface. As a result, the discharge area generated between the center electrode 20a and each flat surface can be maximized. As a result,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can more effectively implement the volume ignition.
On the other hand, at the other end of the ground electrode 40a,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spark can propagate to the outside is formed. As a result, sparks occurring between both electrodes can be provided into the combustion chamber. A pair of U-shaped first grooves 51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ground electrode 40a to expose the other end of the center electrode 20a having a plate-like structure. Specifically, the first grooves 51 are formed opposite to each other and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flat surface.

삭제delete

그 결과, 스파크는 제1 홈(51)을 통해서도 연소실 내로 전파될 수 있다. 특히, 한 쌍의 제1 홈(51)은 평탄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과 연결되어 있다. 즉, 제1 홈(51)은 방전에 의한 스파크를 점화 플러그 외부로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spark can also propagate into the combustion chamber through the first groove 51. Particularly, the pair of first grooves 51 are connected to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flat surfaces. That is, the first groove 51 can serve as a path for effectively providing a spark due to discharge to the outside of the spark plug.

따라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점화 플러그는 볼륨 이그니션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그로 인해, 중심 전극(20a)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또한, 높은 착화성으로 인해 안정적인 점화를 할 수 있다. 그 결과, 엔진은 보다 높을 출력을 낼 수 있다.Therefore, the spark plug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can more effectively implement the volume ignition. Therefore, the life of the center electrode 20a can be prolonged. In addition, stable ignition can be performed because of high ignitability. As a result, the engine can produce higher output.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점화 플러그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측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평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점화 플러그는 터미널 너트부(10), 중심 전극(20b), 절연부(30) 및 접지 전극(40b)을 포함한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gnition plug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ide view of Fig. 5, and Fig. 7 is a plan view of Fig. 5 to 7, the spark plug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ncludes a terminal nut portion 10, a center electrode 20b, an insulating portion 30, and a ground electrode 40b.

즉, 제2 실시예는 전술한 제1 실시예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를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되, 이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중심 전극(20b) 및 접지 전극(40b)의 구조에서 기술적 차이가 발생하는 바, 이하 이 부분을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That is, the second embodiment has basically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s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refor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owever, a technical difference arises in the structure of the center electrode 20b and the ground electrode 40b.

중심 전극(20b)의 타단은 돌출 형성되는 봉 형상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봉 형상의 횡단면의 직경은 면적 방전이 가능한 크기 이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대응하여, 접지 전극(40b)은 봉 형상에서 일정 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는 내주면을 갖는다.
이 때, 접지 전극(40b)의 내주면은 상호 방전을 일으키는 중심 전극의 노출된 외주면을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접지 전극(40b)과 중심 전극(20b) 사이에서 발생하는 방전 면적은 극대화될 수 있다. 그 결과, 양 전극 사이에서 면적 방전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접지 전극(40b)의 타단에는 봉 형상을 갖는 중심 전극(20b)의 타단이 전부 노출되게 한 쌍의 U자형 제2 홈(5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홈(52)은 대향하게 형성된다. 이 때, 제2 홈(52) 전술한 제1 홈(51)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다만, 판상 구조와 달리 제2 홈(52)의 크기는 제1 홈(51) 보다 더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And the other end of the center electrode 20b is protruded. Therefore, the diameter of the bar-shaped cross section is formed to be larger than a size capable of area discharge. Corresponding to this, the ground electrode 40b has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formed at a distance from the rod.
At this time,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ound electrode 40b is formed in such a shape as to surround the expose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 electrode causing mutual discharge. As a result, the discharge area generated between the ground electrode 40b and the center electrode 20b can be maximized. As a result, an area discharge may occur between both electrodes.
A pair of U-shaped second grooves 52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ground electrode 40b to expose the other end of the center electrode 20b having a rod shape. The second grooves 52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At this time, the second groove 52 has the same function as the first groove 51 described above. However, unlike the plate-shaped structure, the size of the second groove 52 may be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groove 51.

삭제delete

이는, 봉 형상의 크기가 제1 실시예의 판상 구조 보다 비교적 더 크고, 접지 전극(40b)의 내측면은 제1 실시예의 평탄면과 달리 원통형의 내주면으로 형성되기 때문이다. 그 결과, 제2 실시예에 따른 점화 플러그는 제1 실시예와 유사한 수준의 볼륨 이그니션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그에 따른 효과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This is because the size of the bar shape is relatively larger than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ground electrode 40b is formed as a cylindrical inner peripheral surface unlike the flat surface of the first embodiment. As a result, the spark plug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can implement a level of volume ignition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The effect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 터미널 너트부 20a, 20b: 중심 전극
30: 절연부 40a, 40b: 접지 전극
51: 제1 홈 52: 제2 홈
10: terminal nut portions 20a, 20b: center electrode
30: Insulating portion 40a, 40b: Ground electrode
51: first groove 52: second groove

Claims (8)

점화 코일과 케이블로 연결되어 에너지를 전달 받는 터미널 너트부;
상기 터미널 너트부에 일단이 결합되어 타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방전을 일으키는 타단은 면적 방전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중심 전극;
상기 터미널 너트부에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중심 전극의 일부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절연부; 및
일단이 상기 절연부에 결합되어 상기 중심 전극의 연장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되, 상기 중심 전극을 수용하는 원통형 측면과, 타단 단부에 스파크가 전파될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되는 접지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중심 전극의 타단은 사각형의 판상 구조이고,
상기 접지 전극의 타단 내주면은 상기 판상 구조의 양 측면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대향하는 한 쌍의 평탄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접지 전극의 타단에는 상기 판상 구조를 갖는 상기 중심 전극의 타단이 전부 노출되게 한 쌍의 U자형 제1 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1 홈은 대향하며 상기 평탄면의 양단에 배치되고,
상기 평탄면은 상기 판상 구조의 각 측면이 상기 평탄면에 투사되면 그 투사면이 상기 평탄면 내에 모두 배치되도록 상기 평탄면의 면적이 상기 중심 전극의 측면의 면적을 초과하는 점화 플러그.
A terminal nut part connected to the ignition coil by a cable to receive energy;
A center electrod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terminal nut portion and extending to the other end, and the other end causing discharge to be capable of area discharge;
An insulating portion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terminal nut portion and formed to surround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 electrode; And
And a ground electrode which is coupled to the insulating portion and is disposed in paralle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enter electrode, the ground electrode having a cylindrical side surface for receiving the center electrode and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spark can propagate at the other end,
The other end of the center electrode is a rectangular plate-
And the other end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ground electrode is formed of a pair of flat surfaces facing each other with a certain distance from both side surfaces of the plate-
And a pair of U-shaped first grooves for exposing the other ends of the center electrode having the plate-like structure ar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ground electrode. The first grooves are opposed to each other and are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flat surface,
Wherein the flat surface has an area of the flat surface exceeding an area of a side surface of the center electrode so that the projection surface is all located within the flat surface when each side surface of the plate-like structure is projected on the flat surfac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점화 코일과 케이블로 연결되어 에너지를 전달 받는 터미널 너트부;
상기 터미널 너트부에 일단이 결합되어 타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방전을 일으키는 타단은 면적 방전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중심 전극;
상기 터미널 너트부에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중심 전극의 일부 외주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절연부; 및
일단이 상기 절연부에 결합되어 상기 중심 전극의 연장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되되, 상기 중심 전극을 수용하는 원통형 측면과, 타단 단부에 스파크가 전파될 수 있는 개구가 형성되는 접지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중심 전극의 타단은 돌출 형성되는 봉 형상이고,
상기 접지 전극의 타단에는 상기 봉 형상을 갖는 상기 중심 전극의 타단이 전부 노출되게 한 쌍의 U자형 제2 홈;이 형성되되, 상기 제2 홈은 대향하게 형성되며,
상기 접지 전극의 내주면은 상호 방전을 일으키는 상기 중심 전극의 노출된 외주면을 길이 방향으로 전부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점화 플러그.
A terminal nut part connected to the ignition coil by a cable to receive energy;
A center electrod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terminal nut portion and extending to the other end, and the other end causing discharge to be capable of area discharge;
An insulating portion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terminal nut portion and formed to surround a part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 electrode; And
And a ground electrode which is coupled to the insulating portion and is disposed in paralle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center electrode, the ground electrode having a cylindrical side surface for receiving the center electrode and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spark can propagate at the other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center electrode is a protruding rod,
And a pair of U-shaped second grooves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ground electrode so that the other ends of the center electrode having the rod shape are entirely exposed. The second grooves are formed to face each other,
Where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ound electrode is formed in a shape that entirely covers an exposed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enter electrode causing mutual discharg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삭제delete 제 1항 또는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 전극의 타단은 상기 접지 전극의 개구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점화 플러그.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nd the other end of the center electrode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pening of the ground electrode.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 전극은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을 더 포함하는 점화 플러그.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ground electrode further comprises a threa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KR1020150088688A 2015-06-22 2015-06-22 spark plug Active KR1017496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688A KR101749685B1 (en) 2015-06-22 2015-06-22 spark plu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688A KR101749685B1 (en) 2015-06-22 2015-06-22 spark plu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50541A KR20160150541A (en) 2016-12-30
KR101749685B1 true KR101749685B1 (en) 2017-06-21

Family

ID=57737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8688A Active KR101749685B1 (en) 2015-06-22 2015-06-22 spark plu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968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25784A1 (en) * 2021-04-20 2022-10-27 Transient Plasma Systems, Inc. Plasma assisted spark ignition systems and method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7585A (en) * 2002-02-27 2003-09-12 Ngk Spark Plug Co Ltd Spark plug for gas engin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14419B1 (en) 1999-12-29 2002-07-02 Sei Y. Kim Ignition spark plu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7585A (en) * 2002-02-27 2003-09-12 Ngk Spark Plug Co Ltd Spark plug for gas engi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25784A1 (en) * 2021-04-20 2022-10-27 Transient Plasma Systems, Inc. Plasma assisted spark ignition systems and methods
US11929595B2 (en) 2021-04-20 2024-03-12 Transient Plasma Systems, Inc. Plasma assisted spark ignition systems and metho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50541A (en) 2016-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8677B2 (en) Plasma-jet spark plug and ignition system
US20120242215A1 (en) Copper core combustion cup for pre-chamber spark plug
JP6238895B2 (en) Corona igniter with temperature control function
US9391431B2 (en) Barrier discharge ignition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10145292B1 (en) Spark plug
JPH0218883A (en) Spark plug
JP2008521164A (en) High frequency plasma spark plug
US12401173B2 (en) Pre-chamber spark plug having improved heating management
KR101749685B1 (en) spark plug
JP2009026489A (en) Plasma type ignition device
KR20140084281A (en) Spark plug
US7902733B2 (en) Uniquely design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spark plug that will produce two independent ignition sparks between the spark plug electrodes for each single electrical ignition coil discharge
AU2002367687B2 (en) Engine spark plug grounding structure, grounding wiring apparatus, and grounding wiring method
US20060033411A1 (en) Spark plug
CN2361015Y (en) Three-polar pin spark plug
US8269405B1 (en) Neutral electrode spark plug
JP4099207B1 (en) Electron emission electrode and ion generator
JP7202002B2 (en) spark plug
CN205992661U (en) A kind of multi-electrode spark plug
CN223093306U (en) Spark plug, engine and vehicle
CN108574200B (en) High-efficiency spark plug
JP4099215B1 (en) Electron emission electrode and ion generator
CN209993871U (en) Gasoline engine spark plug
LT5904B (en) Ignition parkling plug
US10495046B2 (en) Ignition device for an extraneously igniting combustion piston eng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26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6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6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3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