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40603B1 - 적외선 차단 다층 필름 - Google Patents

적외선 차단 다층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0603B1
KR101740603B1 KR1020100135606A KR20100135606A KR101740603B1 KR 101740603 B1 KR101740603 B1 KR 101740603B1 KR 1020100135606 A KR1020100135606 A KR 1020100135606A KR 20100135606 A KR20100135606 A KR 20100135606A KR 101740603 B1 KR101740603 B1 KR 101740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resin layer
film stack
resin
infrared ra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35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73753A (ko
Inventor
은종혁
박형석
신대용
주천용
손병국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35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0603B1/ko
Priority to PCT/KR2011/010109 priority patent/WO2012091387A2/ko
Publication of KR20120073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73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0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060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8Filters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e.g. for separating visible light from infrared and/or ultraviolet radi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포함하는 제1 수지층,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 고분자를 포함하는 제2 수지층이 교대 적층된 반사층의 양면에 보호층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필름 스택을 2개 이상 포함하는 적외선 차단 다층 필름은, 900~1,300nm 파장영역의 평균 반사율이 50% 이상으로, 종래보다 넓은 적외선 영역에서 높은 적외선 차단율을 나타내며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투과율이 높으므로, 건축물 또는 자동차용 외장 유리에 시공되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Description

적외선 차단 다층 필름{INFRARED RAY SHIELDING MULTI-LAYER FILM}
본 발명은 건축물 또는 자동차의 외장 유리 등에 시공할 수 있는 적외선 차단 필름으로서, 기존보다 넓은 적외선 영역에서 높은 차단율을 가지는 다층 필름에 관한 것이다.
최근 태양으로부터 들어오는 열에너지를 막아 실내 온도를 낮추는 여러 필름들이 제안되고 있다.
예컨대, 적외선의 특정 영역의 빛을 흡수하는 물질을 사용하여 필름을 제조하고, 이를 유리면에 부착시켜 열에너지를 차단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방식의 필름의 경우, 적외선의 차단율을 높이면 가시광선 영역의 빛도 같이 차단되어 시안성의 문제가 발생하고, UV에 매우 불안정해질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적외선 영역의 빛이 흡수되기 때문에 필름이나 유리의 온도가 증가하여 열차단 효율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건축물 또는 자동차의 외장 유리에의 사용이 제한적이었다.
또한 금속 물질을 증착하거나 코팅하는 방안도 제시되었는데, 이는 적외선 영역뿐만 아니라 통신 영역까지 차단하기 때문에, 건축물 실내의 전자 기기나 차량의 각종 기기, 예컨대 하이패스 등의 오작동을 유발하고, 가시광 투과율이 극히 낮아져 시안성이 매우 낮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적외선의 넓은 영역에서 차단율이 높으면서 가시광선의 반사율이 낮은 적외선 차단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반사 파장영역이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필름 스택(stack)이 적층된 구성을 가지고, 상기 각각의 필름 스택은 반사층 및 상기 반사층의 양면에 구비된 보호층을 포함하며, 상기 반사층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포함하는 제1 수지층,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공중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co-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또는 이들의 혼합 고분자를 포함하는 제2 수지층이 교대 적층되어 형성되고, 전체 필름의 900~1,300nm 파장영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50% 이상을 나타내는, 적외선 차단 다층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적외선 차단 다층 필름은, 종래보다 넓은 적외선 영역에서 우수한 적외선 차단율을 나타내며, 금속물질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투과율이 높아 색을 거의 띄지 않는다. 따라서, 건축물 또는 자동차의 외장 유리에 적외선 차단 필름으로 시공되어 여름철 에어콘 소비를 감소시키거나 겨울철 난방열의 손실을 막아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적외선 차단 다층 필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다층 필름에 빛을 조사한 스펙트럼 결과이다.
도 3은 비교예 3에서 제조한 다층 필름에 빛을 조사한 스펙트럼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적외선 차단 필름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적외선 차단 다층 필름은 2개 이상의 필름 스택(1, 2)으로 이루어지며, 각각의 필름 스택은 반사층(1a, 2a) 및 상기 반사층의 양면에 적층되는 보호층(1b, 2b)으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반사층(1b, 2b)은 제1 수지층(1-1, 2-1)과 제2 수지층(1-2, 2-2)이 두께방향으로 2층 이상 교대로 적층된 구성을 가진다.
적외선 차단 필름이 산업상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여러 물성값을 만족시켜야 하는데, 특히 요구되는 물성은 IR 영역에서의 차단율과 빛의 특성상 발생하는 고차 반사 또는 n차 반사이다. 특히, 적외선 차단율의 경우, 적외선 영역(800~2500nm) 중 실질적으로 열이 존재하는 영역인 900~1300nm 범위에 대한 평균 반사율이 50% 이상일 필요가 있다. 또한, 고차 반사 또는 n차 반사가 발생하는 경우, 필름이 특정 범위의 색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투명도가 저하되므로, 고차반사 영역에서의 가시광선 반사율이 40%를 넘지 않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필름은 900~1,300nm의 적외선 파장영역에서 평균 반사율이 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파장 범위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70%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80% 이상이다.
예를 들어, 적외선 차단 다층 필름이 제1 필름 스택 및 제2 필름 스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필름 스택의 900~1,000nm의 파장범위에 대한 평균 반사율이 50% 이상이고, 상기 제2 필름 스택의 1,000~1,300nm의 파장범위에 대한 평균 반사율이 50% 이상인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필름은 가시광선(400~780nm)의 평균 반사율이 바람직하게는 40% 미만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미만의 물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필름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을 구성하는 제1 수지층은 PET를 포함하고, 제2 수지층은 PMMA, co-PET, PEN 또는 이들의 혼합 고분자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PET는 결정화도가 0% 내지 80%인 것이 바람직하며, 10% 내지 7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60%인 것이 좋다. 또한, 상기 co-PET는 글리콜 성분으로서 에틸렌글리콜(EG)과 네오펜틸글리콜(NPG)이 공중합된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글리콜 성분 중의 NPG의 함량이 5~80mol%로 공중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30mol%인 것이 좋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15~25mol%로 공중합된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보호층은 PET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반사층에 있어서, 제1 수지층 및 제2 수지층의 중량비는 1.5 : 1 내지 1 : 1.5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층 필름에서, 반사층을 구성하는 개별 수지층(제1수지층 또는 제2수지층)의 평균 두께는 50nm 내지 800nm인 것이 바람직하며, 60nm 내지 200nm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1 수지층과 제2 수지층의 두께는 상이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교대로 적층되는 제1 수지층과 제2 수지층의 두께의 비율이 1 : 0.3 내지 1 : 2일 수 있다. 또한, 제1 수지층의 평균 두께가 50nm 내지 200nm이고, 제2 수지층의 평균 두께가 60nm 내지 300nm인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반사층 내에 교대로 적층된 제1 수지층과 제2 수지층의 두께는 각각 일정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또는 점진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일정한 두께로 적층할 경우 적외선 영역에서 반사율을 높힐 수 있고, 두께를 변화시키면서 적층할 경우 적외선의 반사 영역(nm)을 넓힐 수 있다.
상기 반사층의 총 두께는 1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며, 10㎛ 내지 8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보호층의 두께는 1㎛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3.5㎛ 내지 15.0㎛인 것이 좋다. 보호층의 두께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반사층의 층간 균일성을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외선 차단 다층 필름은, 적어도 2개의 필름 스택(예: 제1 필름 스택 및 제2 필름 스택)을 포함하며, 이들의 총 두께는 서로 상이한 것이 좋은데, 바람직하게는 제1 필름 스택과 제2 필름 스택의 두께 비율이 1 : 1.1 내지 1 : 3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1.1 내지 1 : 2이며, 특히 1 : 1.1 내지 1 : 1.5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필름 스택의 두께를 점진적으로 변화시키면서 여러 개의 필름 스택을 적층할 경우 적외선의 반사영역을 더욱 넓힐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외선 차단 다층 필름의 일례로서, 제1 필름 스택 및 제2 필름 스택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필름 스택 내의 제1 수지층의 평균 두께가 70~120nm이고 제2 수지층의 평균 두께가 110~130nm이며, 상기 제2 필름 스택 내의 제1 수지층의 평균 두께가 110~160nm이고 제2 수지층의 평균 두께가 150~190nm인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수의 필름 스택이 적층되어 형성된 본 발명의 적외선 차단 필름의 총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 내지 100㎛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내지 8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수지층과 제2 수지층은 굴절률의 차이가 0.05 이상이 되도록, 굴절률이 상이한 서로 다른 고분자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필름은 이축 연신하여 수지층 간의 굴절률 차이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는데, 이 때 종방향 및 횡방향의 연신비가 각각 2.0배 내지 5.0배인 것이 바람직하며, 3.0배 내지 4.5배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필름을 구성하는 필름 스택은 다층을 구성하는 피드 블록 하단에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 필름에 있어서, 각각의 반사층은 50층 내지 400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70층 내지 250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반사층을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반사율을 최소화하여 색을 띄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으며, 적외선 영역 중 900~1,300nm 파장에서 높은 반사율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적외선 차단 다층 필름은, 종래보다 넓은 적외선 영역에서 높은 적외선 차단율을 나타내며, 금속물질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가시광선 영역에서의 투과율이 높아 색을 거의 띄지 않으므로, 건축물 또는 자동차의 외장 유리에 적외선 차단 필름으로 시공되어 여름철 에어콘 소비를 감소시키거나 겨울철 난방열의 손실을 막아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만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수지는 다음과 같다:
PET - 제조사: SKC
PMMA - 제조사: LG chem사, Normal Grade
co-PET - 제조사: SKC, 공중합 성분: EG/NPG, 공중합 비율: NPG 10~30mol%
PBT - 제조사: LGChem, 제품명: Keflex BT
PEN - 제조사: SKC
실시예 1
단계 1) 필름 스택의 제조
제1 수지로서 결정화도가 75% 이상인 PET 수지(40~60%)를 120℃에서 2시간 이상 진공 공조하고 180℃에서 3시간 이상 진공 공조한 뒤, 약 200~300℃로 용융 및 압출하여 제1 수지층을 제조하였다. 아울러, 제2 수지로서 PMMA 수지를 약 200~260℃의 온도에서 용융하고 압출시켜 제2 수지층을 제조하였다.
다층 피드 블럭을 이용하여 제1 수지층 및 제2 수지층을 교대로 적층시키되, 제1 수지층 및 제2 수지층의 중량비가 1 : 1.1이 유지되도록 압출량을 조절하고 양 최외곽층이 제2 수지층이 되게 하여, 총 93층으로 구성된 반사층을 형성하였다. 이후 제조된 반사층 양면에 PET 수지를 도포하여 보호층을 형성함으로써, 필름 스택을 완성하였다.
단계 2) 스택 분배
스택 분배기를 이용하여 상기 제조된 필름 스택을 길이방향으로 나누어 제1 필름 스택과 제2 필름 스택을 만들고, 출구의 두께비율이 1 : 1.5 비율로 이루어진 장치를 이용하여 제1 필름 스택의 두께를 변화시킨 뒤, 이를 제2 필름 스택에 적층시켜, 총 190층의 다층 필름을 다이를 통해 완성하였다.
단계 3) 연신 공정
수득한 다층 필름을 종방향으로 3.5배 연신하고 횡방향으로 4.5배 연신하였다.
최종 제조된 다층 필름의 총 두께는 45㎛이었으며, 제1 필름 스택과 제2 필름 스택의 두께는 각각 18㎛ 및 27㎛이었다. 또한, 제1 필름 스택의 반사층을 구성하는 제1 수지층의 평균 두께는 약 110nm이었고 제2 수지층의 평균 두께는 약 120nm이었으며, 제2 필름 스택의 반사층을 구성하는 제1 수지층의 평균 두께는 약 150nm이었고 제2 수지층의 평균 두께는 약 160nm이었다.
실시예 2
반사층에 PET 수지와 PMMA 수지의 중량비를 1 : 1.5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3)의 절차대로 제조하였다.
최종 제조된 다층 필름의 총 두께는 45㎛이었으며, 제1 필름 스택과 제2 필름 스택의 두께는 각각 18㎛ 및 27㎛이었다. 또한, 제1 필름 스택의 반사층을 구성하는 제1 수지층의 평균 두께는 약 100nm이었고 제2 수지층의 평균 두께는 약 130nm이었으며, 제2 필름 스택의 반사층을 구성하는 제1 수지층의 평균 두께는 약 130nm이었고 제2 수지층의 평균 두께는 약 180nm이었다.
실시예 3
반사층에 PET 수지와 PMMA 수지의 중량비를 1.5 : 1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3)과 동일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최종 제조된 다층 필름의 총 두께는 45㎛이었으며, 제1 필름 스택과 제2 필름 스택의 두께는 각각 18㎛ 및 27㎛이었다. 또한, 제1 필름 스택의 반사층을 구성하는 제1 수지층의 평균 두께는 약 130nm이었고 제2 수지층의 평균 두께는 약 100nm이었으며, 제2 필름 스택의 반사층을 구성하는 제1 수지층의 평균 두께는 약 180nm이었고 제2 수지층의 평균 두께는 약 130nm이었다.
실시예 4
반사층에 PMMA 수지 대신 co-PET 수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3)과 동일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반사층에 PMMA 수지 대신 PEN 수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3)과 동일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반사층에 PET 수지와 PMMA 수지의 중량비를 1 : 2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3)과 동일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최종 제조된 다층 필름의 총 두께는 45㎛이었으며, 제1 필름 스택과 제2 필름 스택의 두께는 각각 18㎛ 및 27㎛이었다. 또한, 제1 필름 스택의 반사층을 구성하는 제1 수지층의 평균 두께는 약 90nm이었고 제2 수지층의 평균 두께는 약 140nm이었으며, 제2 필름 스택의 반사층을 구성하는 제1 수지층의 평균 두께는 약 120nm이었고 제2 수지층의 평균 두께는 약 200nm이었다.
비교예 2
반사층에 PET 수지와 PMMA 수지의 중량비를 2 : 1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3)과 동일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최종 제조된 다층 필름의 총 두께는 45㎛이었으며, 제1 필름 스택과 제2 필름 스택의 두께는 각각 18㎛ 및 27㎛이었다. 또한, 제1 필름 스택의 반사층을 구성하는 제1 수지층의 평균 두께는 약 140nm이었고 제2 수지층의 평균 두께는 약 90nm이었으며, 제2 필름 스택의 반사층을 구성하는 제1 수지층의 평균 두께는 약 200nm이었고 제2 수지층의 평균 두께는 약 120nm이었다.
비교예 3
상기 단계 2)의 스택 분배를 실시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3)과 동일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반사층에 PMMA 수지 대신 co-PET 수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반사층에 PMMA 수지 대신 PBT 수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비교예 6
반사층에 PMMA 수지 대신 PBT 수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의 단계 1)~3)과 동일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비교예 7
반사층에 PMMA 수지 대신 PEN 수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비교예 1과 동일한 절차에 따라 제조하였다
이상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다층 필름의 구성을 하기 표 1에 정리하였다.
구분 제2수지
종류
1)수지
중량비
스택
개수
2)스택
두께비
총두께
(㎛)
총층수
(층)
실시예 1 PMMA 1 : 1.1 2 1 : 1.5 45 190
실시예 2 PMMA 1 : 1.5 2 1 : 1.5 45 190
실시예 3 PMMA 1.5 : 1 2 1 : 1.5 45 190
실시예 4 co-PET 1 : 1.1 2 1 : 1.5 45 190
실시예 5 PEN 1 : 1.1 2 1 : 1.5 45 190
비교예 1 PMMA 1 : 2 2 1 : 1.5 45 190
비교예 2 PMMA 2 : 1 2 1 : 1.5 45 190
비교예 3 PMMA 1 : 1.1 1 - 27 95
비교예 4 co-PET 1 : 1.1 1 - 27 95
비교예 5 PBT 1 : 1.1 1 - 27 95
비교예 6 PBT 1 : 1.1 2 1 : 1.5 45 190
비교예 7 PEN 1 : 1.1 1 - 27 95
1) 수지 중량비 - 제1 수지층과 제2 수지층의 중량비
2) 스택 두께비 - 제1 필름 스택과 제2 필름 스택의 두께비
시험예: 적외선 차단 다층 필름 성능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다층 필름을 이하의 시험방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1) 적외선 차단율
다층 필름을 폭 10cm x 길이 10cm 크기로 절단한 후, 필름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고, 스펙트로미터(Hunterlab사, UltrascanTM Pro)에 넣어 반사모드로 측정하여, 900~1,000nm 영역 및 900~1,300nm 영역에서의 적외선 반사율(%)의 평균값을 각각 측정하였다.
(2) 색 발생률
다층 필름을 폭 21.0cm x 길이 29.7cm 크기로 절단한 후, 필름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고, 광 투과율 측정기(Nippon Densho kukogy사, NHD 5000W)에 넣어 400~780nm 영역에서의 가시광선 반사율(%)의 평균값을 측정하였다 [ASTM D 1003 MODE].
(3) 반사 스펙트럼
다층 필름을 폭 10cm x 길이 10cm 크기로 절단한 후, 필름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고, 스펙트로미터(Hunterlab사, UltrascanTM Pro)에 넣어 투과모드로 측정하여 시뮬레이션한 결과를 도 2 및 3에 나타내었다.
이상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다층 필름의 시험결과를 종합하여 하기 표 2에 정리하였다.
구 분 적외선 반사율(%) 색 발생률(%)
900~1000nm 900~1300nm
실시예 1 85 80 15
실시예 2 82 78 25
실시예 3 82 78 25
실시예 4 60 55 12
실시예 5 85 85 25
비교예 1 82 78 45
비교예 2 82 78 45
비교예 3 84 45 15
비교예 4 60 33 12
비교예 5 50 20 12
비교예 6 50 40 20
비교예 7 80 50 25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적외선 차단 다층 필름은 900~1,000nm 영역에서 뿐만 아니라 900~1,300nm 영역에서의 적외선 차단율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반면 비교예에 따른 종래의 적외선 차단 필름은 900~1,300nm 영역에서 적외선 차단율이 저조하거나, 가시광 반사율이 높아 색이 발생함을 알 수 있다.

Claims (12)

  1. 반사 파장영역이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필름 스택(stack)이 적층된 구성을 가지고, 상기 각각의 필름 스택이 반사층 및 상기 반사층의 양면에 구비된 보호층을 포함하며, 상기 반사층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포함하는 제1 수지층, 및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를 포함하는 제2 수지층이 교대 적층되어 형성된 적외선 차단 다층 필름으로서,
    전체 필름의 900 ~ 1,300 nm 파장영역에서의 평균 반사율이 70 % 이상을 나타내며,
    상기 필름 스택이 제1 필름 스택 및 제2 필름 스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필름 스택이 900 ~ 1,000 nm의 파장범위에 대한 평균 반사율이 50 % 이상이며,
    상기 제2 필름 스택이 1,000 ~ 1,300 nm의 파장범위에 대한 평균 반사율이 50 % 이상이고,
    상기 제1 수지층 및 제2 수지층 간의 굴절률 차가 0.05 이상이며,
    상기 제1 수지층 및 제2 수지층의 평균 두께가 각각 50 내지 800 nm이고,
    상기 제1 수지층 및 제2 수지층의 중량비가 1.5 : 1 내지 1 : 1.5이며,
    상기 제1 필름 스택과 제2 필름 스택의 두께 비율이 1 : 1.1 내지 3이고,
    상기 적외선 차단 다층 필름이,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3.0 내지 4.5 배 연신된 것인, 적외선 차단 다층 필름.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층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차단 다층 필름.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이 50층 내지 400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차단 다층 필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차단 다층 필름은, 건축물 또는 자동차의 외장 유리에 시공되는 적외선 차단 필름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외선 차단 다층 필름.
KR1020100135606A 2010-12-27 2010-12-27 적외선 차단 다층 필름 Active KR101740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606A KR101740603B1 (ko) 2010-12-27 2010-12-27 적외선 차단 다층 필름
PCT/KR2011/010109 WO2012091387A2 (ko) 2010-12-27 2011-12-26 적외선 차단 다층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35606A KR101740603B1 (ko) 2010-12-27 2010-12-27 적외선 차단 다층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73753A KR20120073753A (ko) 2012-07-05
KR101740603B1 true KR101740603B1 (ko) 2017-05-29

Family

ID=46383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35606A Active KR101740603B1 (ko) 2010-12-27 2010-12-27 적외선 차단 다층 필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740603B1 (ko)
WO (1) WO201209138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8632B1 (ko) * 2014-06-18 2021-04-12 미래나노텍(주) 적외선 반사필름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적외선 반사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08951A (ko) 2015-07-15 2017-01-25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자외선 및 적외선 안정성을 가지는 단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2615941B1 (ko) 2016-07-29 2023-12-20 삼성전자 주식회사 적외선 차단 필터 및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또는 전자 장치
KR102027575B1 (ko) * 2017-08-30 2019-10-01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자외선 차단 기능을 갖는 적외선 차단 다층 필름
KR102001496B1 (ko) 2017-12-13 2019-07-18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적외선 차단 다층 필름
KR102317707B1 (ko) * 2019-01-10 2021-10-26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다층 반사 필름
KR20220164977A (ko) 2021-06-07 2022-12-14 주식회사 펀스케이프 적외선 차단 도료 제조 방법 및 적외선 차단 도료로 도장한 놀이기구
WO2023090717A1 (ko) * 2021-11-19 2023-05-25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복사냉각 다층 필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2985A (ja) 2001-06-21 2003-01-08 Teijin Ltd 近赤外線遮蔽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
JP2005189742A (ja) 2003-12-26 2005-07-14 Toyobo Co Ltd 近赤外線吸収フィルタ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57490A (en) * 1998-01-13 2000-12-0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Optical film with sharpened bandedge
CN1249464C (zh) * 2001-01-15 2006-04-05 3M创新有限公司 在可见光波长区域具有高且平滑透射率的多层红外反射薄膜及由该薄膜制造的层压制品
CN100432713C (zh) * 2003-10-27 2008-11-12 帝人杜邦菲林日本株式会社 近红外线屏蔽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02985A (ja) 2001-06-21 2003-01-08 Teijin Ltd 近赤外線遮蔽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積層体
JP2005189742A (ja) 2003-12-26 2005-07-14 Toyobo Co Ltd 近赤外線吸収フィル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91387A3 (ko) 2012-10-11
WO2012091387A2 (ko) 2012-07-05
KR20120073753A (ko) 2012-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0603B1 (ko) 적외선 차단 다층 필름
EP1686400B1 (en) Near infrared shielding film
CN104185547B (zh) 多层层叠膜
WO2013099564A1 (ja) 赤外遮蔽フィルム、これを用いた熱線反射合わせガラス、および熱線反射合わせガラスの製造方法
DE112019002012B4 (de) Türscheibe für Fahrzeuge
KR102317707B1 (ko) 다층 반사 필름
CN103608173A (zh) 层合膜及使用其的汽车用窗玻璃
KR101127950B1 (ko) 적외선 차단 필름
KR102313775B1 (ko) 광학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2848602B (zh) 一种双波段反射的聚酯膜
KR20170123497A (ko) 적층 윈도우 필름
KR101098836B1 (ko) 공정성이 우수한 친환경성 적외선 차단 필름
US20080032113A1 (en) Glazing and Film Functional Coatings Having a Porous Inorganic Layer and a Polymeric Filler
CN112469680A (zh) 夹层玻璃套件以及夹层玻璃结构体
TWI848151B (zh) 層合玻璃用中間膜及層合玻璃
TWI881989B (zh) 層合玻璃用中間膜及層合玻璃
US10792894B2 (en) Seasonal solar control composite
JP5061477B2 (ja) 反射調光体
KR101091085B1 (ko) 적층공압출 비산방지 필름
JP2011141325A (ja) 積層反射膜
CN120096171A (zh) 一种具有梯度多层结构的光学辐射冷却薄膜及其制备方法
KR20160080677A (ko) 투명 도전성 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20250025552A (ko) 내후성이 우수한 공압출 플라스틱 시트
JP2023072756A (ja) 積層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12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8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12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7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1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7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701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9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1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703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70124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9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5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05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