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8663B1 - Cctv controller, oprat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thereof - Google Patents
Cctv controller, oprat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58663B1 KR101758663B1 KR1020170072304A KR20170072304A KR101758663B1 KR 101758663 B1 KR101758663 B1 KR 101758663B1 KR 1020170072304 A KR1020170072304 A KR 1020170072304A KR 20170072304 A KR20170072304 A KR 20170072304A KR 101758663 B1 KR101758663 B1 KR 1017586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camera
- moving object
- range
- inform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4590 computer program Method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5—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from a mobile camera, e.g. for remote contro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 H04N5/2252—
 
- 
        - H04N5/2256—
 
- 
        - H04N5/23203—
 
- 
        - H04N5/2324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시 카메라 컨트롤러, 그 동작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감시 카메라 컨트롤러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 1 카메라로부터 광역 범위의 제 1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제 2 카메라로부터 지역 범위의 제 2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영상을 설정 프레임 단위로 비교하여 차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차영상으로부터 이동 물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이동 물체의 위치가 상기 지역 범위에 속하거나 속하기 직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영상으로부터 이동 물체의 속도 정보 및 통과 빈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속도 정보 및 통과 빈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물체의 통과 빈도가 높은 방향 및/또는 평균 속력이 높은 방향으로 상기 지역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영상의 일 영역에 상기 제 2 영상이 위치하도록 두 영상을 조합하여 제 3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영상을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제 3 영상이 생성되면 상기 제 3 영상을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지역 범위에 이동 물체가 진입하면 광역 범위의 영상과 지역 범위의 영상이 믹싱된 믹싱 영상이 사용자에게 전송되므로, 사용자가 트래픽과 채널 증설의 부담없이 단일 채널로 서로 다른 범위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rveillance camera controller, an operation method thereof, and a computer program. A method for operating a surveillance camera controller,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first image in a wide range from a first camera; receiving a second image in a local range from a second camera; Determining whether the position of the moving object belongs to or belongs to the area range, determining whether the position of the moving object is immediately before belonging to or belonging to the area, comparing the difference image with the moving image, Obtaining the speed information and the passing frequency information and setting the area rang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assing frequency of the moving object is high and / or a direction in which the average speed is high using the speed information and the passing frequency information; And a third image is generated by combining the two images so that the second image is positioned in one area of the first image, And transmitting the first image to the server when the third image is generated, and transmitting the third image to the server when the third image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moving object enters a local area, a mixed image in which a wide-range image and a local-range image are mixed is transmitted to a user. Therefore, Can be confirmed.
      
Description
본 발명은 감시 카메라 컨트롤러, 그 동작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수신되는 복수 개의 영상을 처리하여 보다 효과적인 감시 영상을 생성하고, 감시 카메라를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감시 카메라 제어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rveillance camera controller, an operation method thereof, and a computer program, and more particularly, to a surveillance camera controller capable of processing a plurality of images received from a plurality of cameras to generate more effective surveillance images, A surveillance camera control device, a method, and a computer program.
최근 CCTV 발전과 통신의 발전으로 테러와 보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능형 감시 시스템이 부각되고 있다. 주요 공공시설, 군부대 경계 그리고 기업 보안은 정부와 기업의 당면 과제로서, 인식률의 성능 향상과 신뢰성 보장에 역점을 두고 있다.In recent years, intelligent surveillance systems are emerging to solve terrorism and security problems with the development of CCTV development and communication. Major public facilities, military frontiers, and corporate security are the challenges facing governments and corporations, and are focused on improving performance and reliability of recognition rates.
그러나, 기존의 보안 감시 시스템은 예방을 위해 별도의 관리자가 시스템을 계속 모니터링 해야 하므로 시스템 구축과 인력의 결합이 필수적이며, 결국 비용 상승이라는 단점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에 반해 최근 등장하는 지능형 감시 기술은 별도의 모니터링 인력 없이도 잠재적인 위협 요인을 자동으로 식별하고, 움직이는 객체를 지속적으로 추적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However, existing security surveillance systems require a separate administrator to monitor the system continuously in order to prevent i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mbine system construction and manpower, which leads to disadvantages of cost increase. On the other hand, recent emerging intelligent surveillance technologies are attracting attention because they can automatically identify potential threats and keep track of moving objects without any additional monitoring personnel.
농촌에서는 수확기에 접어든 과일과 곡식들의 도난이 발생되기도 하고, 이를 감시하기 위하여 방범용 카메라를 설치하였으나, 주로 야간에 이루어지는 절도 행위의 경우 차량의 번호를 명확히 인식하지 못하여 용의자를 특정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In the rural areas, theft of crops and fruit crops occurred during harvest, and a security camera was installed in order to monitor them. However, in the case of theft act performed at night, the problem is that the number of the vehicle is not clearly recognized and the suspect is not identified there was.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LED투광기를 설치하고 카메라의 촬영 범위를 조사하도록 하였으나, LED 투광기를 밤새 켜놓는 경우 전력 손실이 큰 문제가 있었고, 이동하는 물체에 정확히 빛을 조사하여 촬영하기 힘든 문제가 있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LED floodlight was installed and the range of the camera was examined. However, when the LED floodlight was turned on overnight, there was a problem of power loss and it was difficult to shoot a moving object by accurately irradiating light.
따라서, 야간에도 선명한 영상의 획득이 가능하고, 광역 감시와 지역 감시가 가능하며, 또한, 선명한 영상의 획득을 위한 전력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감시 카메라의 개발이 필요로 하게 되었다.Therefore, it has become necessary to develop a surveillance camera capable of acquiring clear images at night, performing wide area surveillance and local surveillance, and minimizing power waste for acquiring clear images.
본 발명은 복수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동시에 광역 범위 및 지역 범위의 감시가 가능하고, 이동 물체의 선명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감시 카메라 컨트롤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rveillance camera controller capable of simultaneously monitoring a wide range and an area range using an image photographed by a plurality of cameras and acquiring a clear image of a moving object.
또한, 본 발명은 지역 범위에 이동 물체가 진입하면 광역 범위의 영상과 지역 범위의 영상이 믹싱된 믹싱 영상을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전송함으로써, 사용자가 트래픽과 채널 증설의 부담없이 단일 채널로 서로 다른 범위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감시 카메라 컨트롤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when a moving object enters a local area,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mixed image in which a wide-area image and a local-area image are mixed and transmits the mixed image to a user, And to provide a surveillance camera controller capable of confirming images of the surveillance camera.
또한, 본 발명은 전력 낭비 없이 야간에도 이동 물체의 선명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며, 신속한 영상의 저장이 가능하고, 영상의 저장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감시 카메라 컨트롤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urveillance camera controller capable of acquiring a clear image of a moving object even at night without wasting power, enabling rapid image storage and saving a storage space of an image.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의 구동을 위한 전력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감시 카메라 컨트롤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urveillance camera controller capable of minimizing waste of electric power for driving a camera.
본 발명은 감시 카메라 컨트롤러의 동작 방법에 있어서, 제 1 카메라로부터 광역 범위의 제 1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제 2 카메라로부터 지역 범위의 제 2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영상을 설정 프레임 단위로 비교하여 차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차영상으로부터 이동 물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이동 물체의 위치가 상기 지역 범위에 속하거나 속하기 직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영상으로부터 이동 물체의 속도 정보 및 통과 빈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속도 정보 및 통과 빈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물체의 통과 빈도가 높은 방향 및/또는 평균 속력이 높은 방향으로 상기 지역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영상의 일 영역에 상기 제 2 영상이 위치하도록 두 영상을 조합하여 제 3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영상을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제 3 영상이 생성되면 상기 제 3 영상을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A method for operating a surveillance camera controller, the method comprising: receiving a first image in a wide range from a first camera; receiving a second image in a local range from a second camera; Determining whether the position of the moving object belongs to or belongs to the area range, determining whether the position of the moving object is immediately before belonging to or belonging to the area, comparing the difference image with the moving image, Obtaining the speed information and the passing frequency information and setting the area rang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assing frequency of the moving object is high and / or a direction in which the average speed is high using the speed information and the passing frequency information; And a third image is generated by combining the two images so that the second image is positioned in one area of the first image, And transmitting the first image to the server when the third image is generated, and transmitting the third image to the server when the third image is generated.
또한, 본 발명은 감시 카메라 컨트롤러에 있어서, 제 1 카메라로부터 광역 범위의 제 1 영상을 수신하고, 제 2 카메라로부터 지역 범위의 제 2 영상을 수신하며, 상기 제 1 영상을 서버에 전송하고, 제 3 영상이 생성되면 상기 제 3 영상을 서버에 전송하는 통신부, 상기 제 1 영상을 설정 프레임 단위로 비교하여 차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차영상으로부터 이동 물체를 감지하고, 상기 이동 물체의 위치가 상기 지역 범위에 속하거나 속하기 직전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차영상으로부터 이동 물체의 속도 정보 및 통과 빈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속도 정보 및 통과 빈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물체의 통과 빈도가 높은 방향 및/또는 평균 속력이 높은 방향으로 상기 지역 범위를 설정하는 제어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영상의 일 영역에 상기 제 2 영상이 위치하도록 두 영상을 조합하여 상기 제 3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일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rveillance camera controller, which receives a first image in a wide range from a first camera, receives a second image in a local range from a second camera, transmits the first image to a server,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third image to the server when the third image is generated; a communication unit for comparing the first image by a set frame to obtain a difference image, detecting a moving object from the difference image, Acquiring velocity information and pass frequency information of a moving object from the difference image, and calculating velocity information and pass frequency information of the moving object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assing frequency of the moving object is high And a controller for setting the region rang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average speed is high and / And an image combining unit for combining the two images to generate the third image so that the second image is positioned.
본 발명에 의하면, 지역 범위에 이동 물체가 진입하면 광역 범위의 영상과 지역 범위의 영상이 믹싱된 믹싱 영상이 사용자에게 전송되므로, 사용자가 트래픽과 채널 증설의 부담없이 단일 채널로 서로 다른 범위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moving object enters a local area, a mixed image in which a wide-range image and a local-range image are mixed is transmitted to a user. Therefore, Can be confirm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광역 범위의 영상으로부터 이동 물체를 감지하여, 이동 물체가 근접하였을 때 지역 범위를 촬영할 수 있으므로, 이동 물체의 선명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moving object is detected from a wide-range image and the moving object is close to the moving object, the area can be photographed, so that a clear image of the moving object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물체가 근접하였을 때 투광기를 동작시킬 수 있으므로, 전력 낭비 없이 야간에도 이동 물체의 선명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loodlight can be operated when a moving object is in close proximity, a clear image of the moving object can be obtained even at night without waste of electric power.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광역 범위의 영상과 지역 범위의 영상을 선택하여 저장함으로써 신속한 영상의 저장이 가능하고, 영상의 저장 공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wide-range image and a local-range image are selected and stored, thereby enabling quick image storage and saving image storage space.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물체의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제 2 카메라의 촬영 범위 및 회전력을 가변할 수 있으므로, 제 2 카메라의 구동을 위한 전력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photographing range an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econd camera can be varied by using the speed information of the moving object, there is an effect that waste of electric power for driving the second camera can be minimiz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동 물체의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제 2 카메라의 초기 위치를 가변할 수 있으므로, 제 2 카메라의 구동을 위한 전력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itial position of the second camera can be changed by using the speed information of the moving object, there is an effect that waste of electric power for driving the second camera can be minimized.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듀얼 감시 카메라의 개념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감시 카메라의 광역 감시 운용 예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감시 카메라의 지역 감시 운용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제 2 카메라의 초기 위치 설정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 컨트롤러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1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dual surveillance camera including a surveillance camera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rveillance camera,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local surveillance operation of a surveillance camera controlled by a surveillance camera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n initial position setting of a second camera controlled by a surveillance camera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method of a surveillance camera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 도시된 듀얼 감시 카메라(100)는 광역 범위의 제 1 영상을 획득하는 제 1 카메라(110), 지역 범위의 제 2 영상을 획득하는 제 2 카메라(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카메라(110)와 제 2 카메라(120)를 제외하고 카메라에서 수신된 영상을 실질적으로 처리하는 구성요소 즉, 카메라 컨트롤러(130), 영상 조합부(140), 영상 전환부(150), 영상 저장부(160), 통신부(17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감시 카메라 컨트롤러로 명명하기로 한다. The dual surveillance camera 100 shown in FIG. 1 includes a 
         카메라에서 수신한 영상을 처리하고 카메라를 제어하는 상기 구성 요소 (130, 140, 150, 160, 170)들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카메라(110), 제 2 카메라(120)와 하나의 하우징(101) 내에 포함되어 사용될 수도 있으나,  물리적으로 분리되어(별도의 하우징 내에 구비되어) 사용될 수 있는 바,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 카메라 영상 처리 및 제어 구성 요소(130, 140, 150, 160, 170)를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컨트롤러에 대한 일 실시 예를 설명한다. Th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 컨트롤러는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 컨트롤러(130), 영상 조합부(140), 영상 전환부(150), 통신부(17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영상 저장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명세서 및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모든 조합은 임의의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으므로, 후술하는 설명은 하나의 실시 예로 이해될 수 있다. The surveillance camera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감시 카메라 컨트롤러는 광역 범위의 제 1 영상을 획득하는 제 1 카메라(110) 및 지역 범위의 제 2 영상을 획득하는 제 2 카메라(120)로부터 제 1 영상과 제 2 영상을 수신하고, 이를 카메라 컨트롤러(130)에 전달할 수 있다. The surveillance camera controller receives a first image and a second image from a 
          카메라 컨트롤러(130)는 상기 제 1 영상을 설정 프레임 단위로 비교하여 차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차영상으로부터 이동 물체를 감지하고, 상기 이동 물체의 위치가 상기 지역 범위에 속하거나 속하기 직전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차영상으로부터 이동 물체의 속도 정보 및 통과 빈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속도 정보 및 통과 빈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물체의 통과 빈도가 높은 방향 및/또는 평균 속력이 높은 방향으로 상기 지역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The 
         영상 조합부(140)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이동 물체의 위치가 상기 지역 범위에 속하거나 속하기 직전인 경우, 상기 제 1 영상의 일 영역에 상기 제 2 영상이 위치하도록 두 영상을 조합하여 제 3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The 
         영상 전환부(150)는 카메라 컨트롤러(130)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제 1 카메라(110)의 영상과 제 2 카메라(120)의 영상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을 선택할 수 있으며, 영상 저장부(160)는 영상 전환부(15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The 
         도 1 은 하나의 하우징(101) 내에 복수 개의 감시 카메라 및 감시 카메라 컨트롤러가 구비되는 경우의 일 실시 예로서, 하우징(101)은 중공된 내부를 갖도록 형성되어 제 1 카메라(110) 및 제 2 카메라(120)가 내부에 구비되되, 제 1 카메라(110) 및 제 2 카메라(120)의 렌즈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제 1 카메라(110) 및 제 2 카메라(120)의 촬영 가능 부분이 투명 케이스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FIG. 1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a plurality of surveillance cameras and a surveillance camera controller are provided in a 
         이러한 하우징(101) 내부에는 카메라(110, 120) 이외에 투광기(125)의 드라이브 회로가 구비될 수 있고, 후술할 감시 카메라 컨트롤러 즉, 카메라 컨트롤러(130), 영상 조합부(140), 영상 전환부(150) 및 영상 저장부(1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제 1 카메라(110)는, 광역 범위를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 1 카메라(110)는 광역 범위의 이동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영상을 획득하는 것으로서, 주변 조도에 따라 1s/20 또는 1s/10000의 셔터 스피드를 갖도록 자동으로 설정되는 것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 1 카메라(110)는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조도 센서에서 측정된 조도값은 제 1 카메라(110) 자체적으로 셔터 스피드를 조정할 수 있도록 활용되거나 또는 카메라 컨트롤러(130)로 전송되어 카메라 컨트롤러(130)로 하여금 제 1 카메라(110)의 셔터 스피드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The 
         제 1 카메라(110)는 광역 범위, 즉, 제 2 카메라(120)보다 넓은 범위를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을 카메라 컨트롤러(130)로 전송한다. 제 1 카메라(110)가 촬영하는 범위는 인도를 포함하는 왕복 2차로의 경우 마주오는 차로 및 인도, 왕복 4차로의 경우 마주오는 편도 2차로 및 인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듀얼 감시 카메라에 스피드돔(미도시)이 포함되는 경우, 제 1 카메라(110)가 촬영하는 범위는 사거리 중심부, 삼거리 중심부 등 물체의 이동 상황을 전반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광역 범위일 수 있다. The 
         제 1 카메라(110)로부터 촬영된 광역 범위의 영상은 영상 조합부(140)로 전송될 수 있으며, 믹싱되는 영상에 디폴트로 포함될 수 있다. An image of a wide range photographed from the 
         다른 실시 예로, 광역 범위의 영상은 카메라 컨트롤러(130)에서 판별한 결과 이동 물체가 감지되지 않거나 또는 이동 물체가 제 2 카메라(120)의 촬영 영역에 진입하지 않거나 또는 이동 물체가 제 2 카메라(120)의 촬영 영역에 진입 직전인 경우가 아닌 경우 선택적으로 영상 저장부(16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경우에 따라 이동 물체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의 영상은 저장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으며, 이동 물체가 감지되었으나 제 2 카메라(120)의 촬영 영역에 진입 또는 진입 직전이 아닌 경우에만 저장 대상으로 선택될 수도 있다. Alternatively, if the moving object is not detected by the 
         제 1 카메라(110)는 한편 스피드돔 형태, 즉, 회전 가능한 턴테이블상에 구비되어 촬영 범위가 가변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카메라(110)의 촬영 범위는 최초 설치시 고정적으로 설정될 수 있고, 사용 중 관제 서버(200)에서 원격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카메라 컨트롤러(130)에 의해 판별된 이동 물체의 출현 빈도가 높은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다.The 
         제 2 카메라(120)는, 지역 범위를 촬영하여 영상을 획득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 2 카메라(120)는 카메라 컨트롤러(130)에 의해 지역 범위의 영상을 획득하며, 고정된 셔터 스피드, 예를 들어, 1s/700의 셔터 스피드를 갖도록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The 
         제 2 카메라(120)는 지역 범위, 즉, 제 1 카메라(110)보다 좁은 범위를 촬영하여 촬영된 영상을 카메라 컨트롤러(130)로 전송한다. 제 2 카메라(120)가 촬영하는 범위는 인도를 포함한 왕복 2차로의 경우 마주오는 차로 또는 인도, 왕복 4차로의 경우 마주오는 편도 2차로 중 어느 한 차로 또는 인도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제 2 카메라(120)는 제 1 카메라(110)에 비해 보다 지근거리를 촬영할 수 있도록 제 1 카메라(110)보다 더 지면을 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카메라가 설치된 위치까지 근접한 이동 물체를 제 1 카메라(110)보다 상세히 촬영하는 것이다.The 
         제 2 카메라(120)는 제 1 카메라(110)로부터 촬영되는 광역 범위의 영상을 섹션 단위로 구획했을 때 생성되는 다수의 섹션 중 어느 하나를 확대하여 촬영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카메라(110)의 촬영 범위에 대응되는 광역 범위를 기 설정된 개수-예를 들어 9개의 섹션-으로 분할하고, 하나의 섹션에 대응되는 범위를 제 2 카메라(120)의 촬영 범위로 설정 가능하다. The 
         이는, 카메라 컨트롤러(130)가 차영상으로부터 이동 물체의 속도 정보를 획득하고,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물체의 통과 빈도가 높은 방향 및/또는 평균 속력이 높은 방향으로 지역 범위를 설정할 때, 즉 제 2 카메라(120)의 촬영 범위를 변경할 때, 별도의 스피드돔과 같은 회전 장치가 없이도 특정 방향의 섹션을 확대하는 방식으로 촬영 범위의 변경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This is because when the 
         다른 실시 예에서 제 2 카메라(120)로부터 촬영된 영상은 선택적으로 영상 저장부(160)로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전송되는 영상은 카메라 컨트롤러(130)의 제어 신호에 의해 결정되거나 또는 카메라 컨트롤러(130)에 의해 제 2 카메라(120)가 구동되어 영상을 촬영하고, 이에 따라 제 2 카메라(120)로부터 영상 전환부(150)에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자동으로 제 2 카메라(120)의 영상이 영상 저장부(160)로 전송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image photographed from the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제 2 카메라(120)는 스피드돔 형태, 즉, 회전 가능한 턴테이블 상에 구비되어 촬영 범위가 가변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카메라(120)의 촬영 범위는 최초 설치 시 고정적으로 설정될 수도 있고, 사용 중 관제 서버(200)에서 원격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카메라 컨트롤러(130)에 의해 판별된 이동 물체의 출현 빈도가 높은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제 2 카메라(120)는 고속으로 이동하는 차량을 촬영하는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차량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할수 있다. 따라서 제 2 카메라(120)는 차량의 번호판을 촬영 영역의 중심에 두고 촬영을 실시할 수 있도록 카메라 컨트롤러(130) 또는 관제 서버(200)의 제어 신호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The 
         이러한 제 2 카메라(120)는 야간 및 조도가 낮은 환경에서도 선명한 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촬영 영역에 빛을 조사하는 투광기(125)를 더 구비할 수 있다.The 
         투광기(125)는 제 2 카메라(120)의 촬영 영역에 빛을 조사하는 역할을 하며, 하우징(101) 내부 또는 하우징(101) 외측면에 구비되되, 제 2 카메라(120)의 일측에 부착되어 구비되거나 또는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투광기(125)는 LED 투광기(125)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The 
         투광기(125)는 카메라 컨트롤러(130)에 의해 구동되며, 카메라 컨트롤러(130)이 제 2 카메라(120)에 전송하는 카메라 구동 신호를 활용할 수 있고, 또는 제 2 카메라(120)의 구동 신호와 동기화된 별도의 투광기(125) 구동 신호가 카메라 컨트롤러(130) 또는 관제 서버(200)로부터 생성되어 전송될 수 있다.The 
         한편, 투광기(125)는 스피드돔 형태, 즉, 회전 가능한 턴테이블상에 구비되어 조사 범위가 가변될 수 있다. 이러한 투광기(125)의 조사 범위는 최초 설치시 고정적으로 설정할 수 있고, 사용중 관제 서버(200)에서 원격으로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카메라 컨트롤러(130)에 의해 판별된 이동 물체의 출현 빈도가 높은 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카메라 컨트롤러(130)는, 제 1 카메라(110) 및 제 2 카메라(120)에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하여 제 1 카메라(110) 또는 제 2 카메라(120)와 일체로 구성되거나 또는 제 1 카메라(110) 또는 제 2 카메라(120)와 별도의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다. The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 컨트롤러는 카메라 컨트롤러(130)가 제 1 카메라(110) 또는 제 2 카메라(120)와 별도의 구성으로 구비된 경우의 일 실시 예인 것이 바람직하다. The surveillance camera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embodiment in which the 
         카메라 컨트롤러(130)는 제 1 카메라(110)의 영상을 획득하여, 획득된 영상을 설정된 프레임마다 비교하여 차영상을 획득한다. 이때, 비교를 위한 프레임은 30fps의 영상인 경우 6프레임, 15fps의 영상인 경우 3프레임마다, 즉, 0.2초 간격의 프레임을 추출하여 비교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차영상을 이용한 영상 내 물체의 이동 감지 기술은 공지의 기술로서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활용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카메라 컨트롤러(130)는 차영상으로부터 상기 이동 물체의 속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물체의 통과 빈도가 높은 방향 및/또는 평균 속력이 높은 방향으로 상기 지역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카메라 컨트롤러(130)는 이동 물체의 속력에 대응되는 가중치를 해당 방향에 부여하고, 누적된 가중치가 높은 방향으로 상기 지역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의 방향은 기 설정된 섹션 또는 카메라의 촬영 범위를 특정할 수 있는 각도 및/또는 좌표 정보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The 
         예를 들어, 이동 물체의 속력을 구간 별로 나누고, 각 구간에 가중치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이동 물체의 속력이 0~50km/h 이면 제 1 가중치, 50~80km/h 이면 제 2 가중치, 80km/h 이상이면 제 3 가중치를 부여하도록 설정할 수 있으며, 광역 범위의 영상을 9개의 섹션으로 구획했을 때, 이동 물체 A가 섹션 1을 70km/h의 속도로 지나가면, 섹션 1에 제 2 가중치를 부여하고, 이동 물체 B가 섹션 2를 90km/h의 속도로 지나가면, 섹션 2에 제 3 가중치를 부여하는 식으로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peed of a moving object can be divided by intervals, and a weight value can be set for each interval. That is, it is possible to set the first weight when the speed of the moving object is 0 to 50 km / h, the second weight when the speed is 50 to 80 km / h, and the third weight when the speed of the moving object is 80 km / h, , When a moving object A passes section 1 at a speed of 70 km / h, a second weight is assigned to section 1, and when moving object 
         만약 기 설정된 시간 또는 횟수 동안 각 섹션에 부여된 가중치를 합산한 결과, 섹션 1에 부여된 가중치가 가장 높은 경우(이동 물체의 통과 빈도가 높고 속력이 높은 경우), 카메라 컨트롤러(130)는 제 2 카메라(120)가 섹션 1을 촬영 범위로 설정하도록 제 2 카메라(120)를 제어할 수 있다. If the weight given to the section 1 is the highest (the frequency of passing of the moving object is high and the speed is high) as a result of summing the weights given to each section for the predetermined time or number, the 
         카메라 컨트롤러(130)는 이동 물체의 특정 구역(섹션)의 통과 빈도 수만을 고려할 수도 있고, 이동 물체가 특정 구역(섹션)을 통과할 때의 통과 속도만을 고려하여 제 2 카메라(120)의 촬영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The 
         만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 에 따른 카메라 컨트롤러로 영상을 전송하는 제 1 카메라(110) 또는 제 2 카메라(120)가 각 감시 카메라를 회전 가능하게 하는 스피드돔(미도시)을 더 포함하는 경우, 감시 카메라 컨트롤러는 통과 빈도 및/또는 통과 속도를 고려하여 스피드돔(미도시)의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조작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If the 
빠르게 진행하는 이동 물체의 지역 범위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서는 카메라를 빨리 회전시키거나 빠르게 특정 구역(섹션)을 확대하는 조작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평균적인 통과 속도가 빠르고 이동 물체의 통과가 빈번한 지역을 촬영하도록 촬영 범위를 고정 또는 디폴트 값으로 설정하면, 불필요한 구동 및 추가 조작으로 인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 In order to acquire an image of a local range of a moving object moving at a fast speed, it is necessary to rotate the camera quickly or enlarge a specific region (section) quickly. In order to shoot an area having a high average passing speed and frequent passage of moving objects By setting the shooting range to a fixed or default value, power consumption due to unnecessary driving and additional operations can be reduced.
         카메라 컨트롤러(130)는 이동 물체의 위치가 제 2 카메라(120)의 촬영범위에 속하는지 또는 속하기 직전인지 여부를 판단하여, 영상 조합부(140) 또는 영상 전환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The 
         예를 들어, 카메라 컨트롤러(130)는 제 1 카메라(110)의 영상을 비교한 차영상으로부터 영상 내 물체의 이동이 감지되고, 이동 물체가 제 2 카메라(120)의 촬영 범위에 속하거나 속하기 직전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 2 카메라(120)에 구동 신호를 전송하며 영상 전환부(150)에 제 2 카메라(120)의 영상을 선택하도록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이때 제 2 카메라(120)의 영상이 영상 전환부(150)에 의해 선택되는 방법은 여러 가지 방법 중 하나가 선택될 수 있다. 제 1 방법은, 제 2 카메라(120)가 계속적으로 영상을 촬영하고 있고, 카메라 컨트롤러(130)에서 제 1 카메라(110)의 영상으로부터 이동 물체의 추적 결과 이동 물체가 제 2 카메라(120)의 촬영 범위에 속하는 경우 또는 제 2 카메라(120)의 촬영 범위에 속하기 직전 영상 전환부(150)에 제 2 카메라(120)의 영상을 선택하도록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이 있다. At this time, the method of selecting the image of the 
         제 2 방법은, 카메라 컨트롤러(130)에서 제 1 카메라(110)의 영상으로부터 이동 물체의 추적 결과 이동 물체가 제 2 카메라(120)의 촬영 범위에 속하는 경우 또는 제 2 카메라(120)의 촬영 범위에 속하기 직전 제 2 카메라(120)에 구동 신호를 전송하고, 영상 전환부(150)에 제 2 카메라(120)의 영상을 선택하도록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이 있다. The second method is a method in which the moving object of the moving object as a result of tracking of the moving object from the image of the 
         마지막으로 카메라 컨트롤러(130)에서 제 1 카메라(110)의 영상으로부터 이동 물체의 추적 결과 이동 물체가 제 2 카메라(120)의 촬영 범위에 속하는 경우 또는 제 2 카메라(120)의 촬영 범위에 속하기 직전 제 2 카메라(120)에 구동 신호를 전송하고, 영상 전환부(150)에서는 제 2 카메라(120)로부터 영상 신호가 입력되면 자동으로 제 2 카메라(120)의 영상이 선택되도록 설정하는 방법이 있다. Finally, when the moving object of the tracking result of the moving object from the image of the 
         상술한 모든 경우에서 제 2 카메라(120)의 촬영 범위에 이동 물체가 속하거나 또는 제 2 카메라(120)의 촬영 범위에 속하기 직전에만 영상 전환부(150)에 의해 제 2 카메라(120)의 영상이 영상 저장부(160)에 전송되어 저장되므로, 제 1 카메라(110)의 영상과 제 2 카메라(120)의 영상을 한꺼번에 저장하지 않아도 된다. 그 결과 영상 저장부(160)의 저장 공간을 절약할 수 있고, 영상 저장에 필요한 처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In all the cases described above, only when the moving object belongs to the photographing range of the 
         또한, 카메라 컨트롤러(130)는 이동 물체의 위치 판단 결과 제 2 카메라(120)의 촬영 범위에 이동 물체가 속하거나 또는 제 2 카메라(120)의 촬영 범위에 속하기 직전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 2 카메라(120)의 영상을 영상 조합부(140)에 전송하고, 영상 조합부(140)가 제 1 카메라(110)의 영상과 제 2 카메라(120)의 영상을 믹싱(또는 합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조합부(140)는 제 1 카메라(110)의 광역 영상의 일 영역(일측 모서리 등)에 제 2 카메라(120)의 영상이 위치하도록 두 영상을 믹싱할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moving object belongs to the photographing range of the 
         또한, 카메라 컨트롤러(130)는 차영상으로부터 이동 물체의 속도 정보를 획득하고,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물체의 지역 범위로의 진입 예정 시각 및/또는 지역 범위로부터의 퇴출 예정 시각을 연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제 3 영상의 생성 시간을 설정하거나 지역 범위에 빛을 조사하는 투광기(125)의 구동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또한, 카메라 컨트롤러(130)는 차영상으로부터 획득된 이동 물체의 위치가 제 2 카메라(120)의 촬영 범위에 속하는 경우 또는 이동 물체의 위치가 제 2 카메라(120)의 촬영 범위에 속하기 직전 투광기(125)를 구동시키는 구동 신호를 투광기(125)에 전송한다. 이로서, 제 2 카메라(120)가 이동 물체의 영상을 획득할 때 주변 조도에 관계 없이 선명한 영상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position of the moving object obtained from the car image belongs to the photographing range of the 
         카메라 컨트롤러(130)는 획득된 차영상으로부터 이동 물체의 속도 정보를 획득한다. 이러한 속도 정보에는 이동 물체의 속력 정보와 이동 물체의 진행 방향 정보가 포함된다. 이러한 이동 물체의 속도 정보에 포함된 속력 정보를 통해 이동 물체가 제 2 카메라(120)의 촬영 영역에 도달되는 시간을 예측할 수 있고, 이러한 예측 시간으로부터 제 2 카메라(120)의 촬영 시작 시점 또는 투광기(125)의 조사 시점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제 2 카메라(120)를 이동 물체의 이동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예측 시간으로부터 제 2 카메라(12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The 
         카메라 컨트롤러(130)는 이동 물체의 속도 정보에 포함된 진행 방향 정보를 통해 이동 물체가 제 2 카메라(120)의 촬영 가능 거리에 도달되는 시점에서의 이동 물체의 위치를 예측한다. 이러한 예측 위치로부터 제 2 카메라(120)의 촬영 범위가 이동 물체의 예측 위치를 포함하도록 제 2 카메라(120)를 회전시킨다. 또한, 제 2 카메라(120)가 회전될 때 제 2 카메라(120)와 함께 투광기(125)를 회전시켜, 제 2 카메라(120)의 촬영 범위에 투광기(125)의 빛이 조사될 수 있도록 한다.The 
         한편, 카메라 컨트롤러(130)는 이동 물체의 속도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되는 속도 정보는 속력 정보와 방향 정보가 포함된 정보이며, 본 발명의 감시 카메라 컨트롤러에 포함된 카메라 컨트롤러(130)는 이동 물체의 방향 정보를 토대로 이동 물체가 통과한 빈도가 높은 방향으로 제 2 카메라(120)의 초기 위치를 세팅한다. 예를 들어, 제 1 카메라(110)의 차영상으로부터 획득한 이동 물체의 이동 방향이 제 1 카메라(110)의 좌측 하단을 주로 통과하는 경우 제 2 카메라(120)의 촬영 영역이 제 1 카메라(110)의 좌측 하단에 위치되도록 제 2 카메라(120)의 초기 위치를 세팅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제 2 카메라가 편도 2차로중 2차로를 중앙에 두도록 촬영하고 있다가, 제 1 카메라(110)로부터 이동 물체가 1차로 방향으로 자주 지나가는 것으로 촬영되는 경우, 제 2 카메라(120)의 위치를 1차로를 중앙에 두도록 촬영하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초기 위치를 세팅하는 것이다.Meanwhile, the 
         이러한 제 2 카메라(120)의 초기 위치는 시간대별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간에는 이동 물체가 제 1 카메라(110)의 좌측 하단 영역, 예를 들어 1차로를 지나는 것으로 감지되고, 야간에는 이동 물체가 우측 하단 영역, 예를 들어 2차로 또는 인도를 지나는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주간에는 제 2 카메라(120)의 초기 위치가 제 1 카메라(110)의 좌측 하단(1차로)을 촬영하도록 설정되고, 야간에는 제 2 카메라(120)의 초기 위치가 제 1 카메라(110)의 우측 하단(2차로 또는 인도)을 촬영하도록 설정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설정은 평일, 공휴일 등으로 더욱 세분화하여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동 물체의 이동 방향의 빈도수에 따라 제 2 카메라(120)의 초기 위치를 설정함으로써 제 2 카메라(120)를 이동 물체의 이동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소비 전력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The initial position of the 
         본 발명의 감시 카메라 컨트롤러에 포함된 카메라 컨트롤러(130)는  이동 물체의 속력 정보를 토대로 제 2 카메라(120)의 초기 위치를 보정한다. 예를 들어, 자동차가 진행하는 경우 제 2 카메라(120)를 빠르게 회전시켜야 하고, 사람이 보행하는 경우에는 비교적 느리게 제 2 카메라(120)를 회전시켜도 되는데, 모터를 강하게 회전시키는 경우 전력 효율이 떨어지고 또한 제 2 카메라(120)를 강하게 회전시키는 동안 제 2 카메라(120)가 설정된 위치를 벗어나 더욱 회전되면 다시 역으로 회전시켜야 하는 등의 추가조작에 필요한 전력이 소모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보다 빠르게 이동하는 이동 물체의 방향으로 제 2 카메라(120)의 위치를 치우치게 하여 제 2 카메라(120)의 전력 효율이 상승되도록 제 2 카메라(120)의 초기 위치를 세팅한다. 이를 위하여 카메라 컨트롤러(130)는 이동 물체의 방향 정보에 의한 빈도수에 속력 정보를 통한 가중치를 부여하여 제 2 카메라(120)의 초기 위치를 설정한다. 이때 부여되는 가중치는 속력 정보를 곱한 값이 될 수 있고, 속력 정보 대비 설정된 가중치를 곱한 값이 될 수 있다. 또는 설정된 속력 구간별로 지정된 가중치가 부여될 수도 있으며, 부여되는 가중치의 비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The 
         제 2 카메라(120)의 초기 위치 설정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카메라 컨트롤러(130)는 투광기(125)의 초기 위치를 설정하며, 한편, 이동 물체의 속력 정보를 토대로 투광기(125)의 조사 시점과 조사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빠르게 이동하는 자동차의 경우 미리 투광기(125)를 구동시킬 수 있고, 느리게 걷는 보행자의 경우 자동차의 경우보다 느리게 투광기(125)를 구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동 물체의 속력이 느린 경우, 즉, 이동 물체가 보행자로 판별되는 경우 투광기(125)를 미리 구동시켜 범죄 예방 등의 효과를 도모할 수도 있다.The 
         카메라 컨트롤러(130)는 영상 전환부(150)에 제 1 카메라(110)의 영상과 제 2 카메라(120)의 영상 선택에 대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카메라(110)의 영상으로부터 이동 물체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제 1 카메라(110)의 영상을 포함하여 제 2 카메라(120)의 영상까지 영상 저장부(160)에 전송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고, 이 경우 제 1 카메라(110)의 영상에 이동 물체가 감지된 경우에만 제 1 카메라(110)의 영상이 영상 저장부(160)에 전송되도록 제어한다.The 
         한편, 카메라 컨트롤러(130)는 제 2 카메라(120)에 구동 신호를 전송함과 동시에 영상 전환부(150)에 제 2 카메라(120)의 영상을 선택하도록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Meanwhile, the 
         영상 조합부(140)는, 상기 지역 범위에 상기 이동 물체가 속하거나 속하기 직전에 제 1 카메라(110)의 제 1 영상의 일 영역에 제 2 카메라(120)의 제 2 영상이 위치하도록 두 영상을 조합하여 제 3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생성된 제 3 영상은 통신부(170)를 통해 단일 채널로 관제 서버(200) 또는 별도의 사용자 단말(300)로 전송될 수 있다. The 
         영상 전환부(150)는 카메라 컨트롤러(130)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제 1 카메라(110)의 영상과 제 2 카메라(120)의 영상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을 선택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영상 전환부(150)은 선택된 영상에 대하여 카메라 컨트롤러(130)의 제어 신호에 따라 영상 저장부(160)로 영상을 전송한다. 이때 영상 저장부(160)에 전송되는 영상은 제 2 카메라(120)의 영상은 모두 포함되고, 제 1 카메라(110)의 영상 중 이동 물체가 감지되지 않은 영상과 이동 물체가 감지된 영상 중 설정에 따라 제 1 카메라(110)의 영상이 포함된다.The 
         영상 전환부(150)은 제 1 카메라(110)의 영상으로부터 제 2 카메라(120)의 영상으로 선택을 전환할 때, 카메라 컨트롤러(130)로부터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선택할 수 있고, 또는 제 2 카메라(120)로부터 영상 신호가 입력되면 자동으로 제 2 카메라(120)의 영상을 선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The 
         통신부(170)는 제 1 카메라(110)의 제 1 영상을 서버에 전송하고, 영상 조합부(140)에서 믹싱된 제 3 영상이 생성되면, 제 3 영상을 단일 채널로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 그 결과, 통신부(170)는 단일 채널을 이용하여 하나의 영상을 서버(200) 또는 단말(300)에 전송하지만, 실제로는 복수개의 영상을 전송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를 통해 통신부(170)는 트래픽 및 전송 용량을 현저히 줄일 수 있으며, 저장 용량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The 
예를 들어 2M/s의 광역 범위의 영상과 2M/s의 지역 범위의 영상이 촬영되는 경우, 종래 기술에 의하면, 4M/s의 영상을 전송해야 하므로 통신 환경에 따라 전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거나, 지속적으로 많은 양의 영상 데이터를 전송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For example, when a wide-area image of 2M / s and a local image of 2M / s are photographed,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since an image of 4M / s is required to be transmitted, , There has been a problem that a large amount of image data must be continuously transmitted.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하면, 서버(200) 또는 단말(300)은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광역 범위의 영상을 수신하다가, 특정 구역에서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만 지역 범위의 영상이 팝업 형태로 광역 범위의 영상에 믹싱된 영상을 수신한다. 즉, 서버(200) 또는 단말(300)이 수신하는 영상은 광역 범위의 영상과 동일한 크기를 갖는 단일 영상이지만, 이벤트 발생 시에는 다양한 범위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추가적인 데이터 소모 없이도 복수 개의 정보를 획득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통신부(170)도 단일 채널 만으로 복수 개의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는 점에서 효율적이다. Howev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영상 저장부(160)는 영상 전환부(150)로부터 전송되는 제 1 카메라(110)의 영상 또는 제 2 카메라(120)의 영상을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영상 저장부(160)은 카메라 컨트롤러(130) 또는 영상 전환부(150)과 동일한 하우징(101) 내에 구비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네트워크상의 원격지에 구비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일정 용량의 영상을 저장할 수 있도록 저장 용량이 확보된 영상 저장부(160)가 카메라 컨트롤러(130) 또는 영상 전환부(150)과 동일한 하우징(101) 내에 일체로 구비되고, 설정 기간 또는 설정 용량의 영상이 저장된 경우마다 원격지의 저장소 또는 관제 서버(200)에 네트워크를 통해 영상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The 
         한편, 관제 서버(200) 또는 단말(300)은 원격지에 위치되어 네트워크를 통해 제 1 카메라(110), 제 2 카메라(120), 감시 카메라 컨트롤러 즉, 카메라 컨트롤러(130), 영상 전환부(150) 또는 영상 저장부(160)과 연결되며, 영상 저장부(160)로부터 저장된 영상을 전송받거나, 제 1 카메라(110), 제 2 카메라(120), 카메라 컨트롤러(130) 또는 영상 전환부(150)에 제어 신호 또는 설정 신호를 전송한다.The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감시 카메라 컨트롤러의 동작 방법을 살펴본다. Hereinafter, an operation method of the surveillance camera control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감시 카메라 컨트롤러는 제 1 카메라로부터 광역 범위의 제 1 영상을 획득하고(S100), 제 2 카메라로부터 지역 범위의 제 2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S100). 다음으로 감시 카메라 컨트롤러는 제 1 영상을 설정 프레임 단위로 비교하여 차영상을 획득하고, 차영상으로부터 이동 물체를 감지하고(S300), 이동 물체의 위치가 지역 범위, 즉 제 2 카메라의 촬영 범위에 속하거나 속하기 직전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400), 이동 물체의 위치가 지역 범위에 속하거나 속하기 직전에 제 1 영상의 일 영역에 제 2 영상이 위치하도록 두 영상을 조합하여 제 3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S500). 다음으로 감시 카메라 컨트롤러는 제 3 영상을 서버에 전송할 수 있다(S600). 이때 제 3 영상은 단일 채널을 통해 서버에 전송될 수 있다. 만약 이동 물체의 위치가 지역 범위에 속하지 않으면, 감시 카메라 컨트롤러는 광역 범위의 영상을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S63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urveillance camera controller may acquire a first image of a wide range from the first camera (S100) and acquire a second image of a range from the second camera (S100). Next, the surveillance camera controller compares the first image with a preset frame unit to acquire a difference image, and detects a moving object from the difference image (S300). If the position of the moving object is within the range of the region, (S400). When the moving object is included in the area range or immediately before the moving object belongs, the second image is positioned in one area of the first image to compose the third image (S500). Next, the surveillance camera controller can transmit the third image to the server (S600). At this time, the third image can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through a single channel. If the position of the moving object does not belong to the area range, the surveillance camera controller can transmit the wide-range image to the server (S630).
또 다른 실시 예에서, 단계 400의 판단 결과 상기 이동 물체의 위치가 상기 제 2 카메라의 촬영 범위에 속하거나 속하기 직전인 경우, 감시 카메라 컨트롤러는 광역 범위의 영상과 지역 범위의 영상 중 하나를 선택함에 있어서, 지역 범위의 제 2 영상을 선택할 수 있으며(S550), 선택된 제 2 영상을 서버로 전송하거나(S650) 저장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if the position of the moving object is within the shooting range of the second camera or is just before the dealing, the surveillance camera controller may select one of a wide range image and a local range image , The second image in the area range can be selected (S550), and the selected second image can be transmitted to the server (S650).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감시 카메라 컨트롤러는 단계 300에서 획득한 차영상으로부터 이동 물체의 속도 정보를 획득하고,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물체의 통과 빈도가 높은 방향 또는 평균 속력이 높은 방향으로 지역 범위 즉, 제 2 카메라의 촬영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surveillance camera controller obtains velocity information of the moving object from the difference image acquired in 
         또한 감시 카메라 컨트롤러는 단계 300에서 획득한 차영상으로부터 이동 물체의 속도 정보를 획득하고,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물체의 지역 범위로의 진입 예정 시각 또는 지역 범위로부터의 퇴출 예정 시각을 연산하고, 진입 예정 시각 또는 퇴출 예정 시각을 이용하여 제 3 영상의 생성 시간을 설정하거나 지역 범위에 빛을 조사하는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urveillance camera controller acquires velocity information of the moving object from the difference image acquired in 
본 명세서에서 생략된 일부 실시 예는 그 실시 주체가 동일한 경우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Some embodiments omitted in this specification are equally applicable if their implementation subject is the sam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be exemplary and explanatory only and are not restrictive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rawings.
         100 : 듀얼 감시 카메라
101 : 하우징
110 : 제 1 카메라
120 : 제 2 카메라
125 : 투광기
130 : 카메라 컨트롤러
140 : 영상 조합부
150 : 영상 전환부
160 : 영상 저장부
170 : 통신부
200 : 관제 서버
300 : 단말100: Dual security camera 
 101: Housing 
 110: First camera 
 120: Second camera 
 125: Floodlight 
 130: camera controller 
 140: 
 150: 
 160: Image storage unit 
 170: 
 200: control server 
 300: terminal
      
Claims (8)
제 2 카메라로부터 지역 범위의 제 2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영상을 설정 프레임 단위로 비교하여 차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차영상으로부터 이동 물체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이동 물체의 위치가 상기 지역 범위에 속하거나 속하기 직전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영상으로부터 이동 물체의 속도 정보 및 통과 빈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속도 정보 및 통과 빈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물체의 통과 빈도가 높은 방향 및/또는 평균 속력이 높은 방향으로 상기 지역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영상의 일 영역에 상기 제 2 영상이 위치하도록 두 영상을 조합하여 제 3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영상을 서버에 전송하고, 상기 제 3 영상이 생성되면 상기 제 3 영상을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지역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속도 정보 및 통과 빈도 정보의 획득 시간을 이용하여 시간대 별로 상기 지역 범위를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카메라 컨트롤러의 동작 방법.
Receiving a first image in a wide range from a first camera;
Receiving a second image of a local range from a second camera;
Comparing the first image with a set frame to obtain a difference image;
Sensing a moving object from the difference image;
Determining whether the position of the moving object belongs to or belongs to the area range;
Acquiring speed information and pass frequency information of the moving object from the difference image, and setting the area rang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assing frequency of the moving object is high and / or a direction in which the average speed is high using the speed information and the passing frequency information ;
Generating a third image by combining two images so that the second image is positioned in one region of the first imag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Transmitting the first image to the server and transmitting the third image to the server when the third image is generated,
The step of setting the area range includes:
Wherein the area range is set differently for each of the time zones by using the acquisition time of the speed information and the passing frequency information.
상기 지역 범위 설정 단계는
상기 이동 물체의 속력에 대응되는 가중치를 해당 방향에 부여하고, 누적된 가중치가 높은 방향으로 상기 지역 범위를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컨트롤러의 동작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rea range setting step
Assigning a weight corresponding to a speed of the moving object in a corresponding direction and setting the area range in a direction in which accumulated weights are high.
상기 속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물체의 상기 지역 범위로의 진입 예정 시각 및/또는 상기 지역 범위로부터의 퇴출 예정 시각을 연산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제 3 영상의 생성 시간을 설정하거나 상기 지역 범위에 빛을 조사하는 투광기의 구동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컨트롤러의 동작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alculates a time at which the moving object is expected to enter the area range and / or a time at which the moving object is expected to be removed from the area range, sets the generation time of the third image using the speed information, And setting a driving time of the light emitter for illuminating the light.
상기 제 2 카메라가 회전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촬영 범위의 가변이 가능한 경우,
상기 속도 정보로부터 상기 이동 물체의 방향 정보를 취득하여, 상기 이동 물체가 상기 제 2 카메라의 촬영 범위에 속하도록 상기 제 2 카메라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컨트롤러의 동작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second camera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so that the photographing range can be varied,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obtaining direction information of the moving object from the speed information and rotating the second camera such that the moving object is within the shooting range of the second camera.
상기 이동 물체의 위치가 상기 제 2 카메라의 촬영 범위에 속하는 경우 투광기가 상기 제 2 카메라의 촬영 범위에 빛을 조사하도록 상기 투광기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컨트롤러의 동작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controlling the emitter to emit light in a shooting range of the second camera when the position of the moving object belongs to the shooting range of the second camera.
상기 투광기가 회전 가능한 형태로 구성되어 투광 범위의 가변이 가능하면,
상기 투광기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물체가 투광 범위에 속하도록 상기 투광기를 회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컨트롤러의 동작 방법.
6. The method of claim 5,
If the light emitter is configured to be rotatable so that the light transmissive range can be varied,
The step of controlling the light emitter
And rotating the light emitter such that the moving object is within a light transmitting range.
A surveillance camera controller application stored on a computer readable medium for carrying out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6.
상기 제 1 영상을 설정 프레임 단위로 비교하여 차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차영상으로부터 이동 물체를 감지하고, 상기 이동 물체의 위치가 상기 지역 범위에 속하거나 속하기 직전인지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차영상으로부터 이동 물체의 속도 정보 및 통과 빈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속도 정보 및 통과 빈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 물체의 통과 빈도가 높은 방향 및/또는 평균 속력이 높은 방향으로 상기 지역 범위를 설정하는 카메라 컨트롤러;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제 1 영상의 일 영역에 상기 제 2 영상이 위치하도록 두 영상을 조합하여 상기 제 3 영상을 생성하는 영상 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컨트롤러는 상기 속도 정보 및 통과 빈도 정보의 획득 시간을 이용하여 시간대 별로 상기 지역 범위를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 카메라 컨트롤러.
The first image is received from the first camera, the second image is received from the second camera, the first image is transmitted to the server, and when the third image is generated, To the communication unit;
A moving object is detected from the difference image, and it is determined whether or not the position of the moving object belongs to or belongs to the area range, A camera which obtains velocity information and pass frequency information of a moving object from the image and sets the region rang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passing frequency of the moving object is high and / or a direction in which the average speed is high using the velocity information and the passing frequency information, controller;
And an image combining unit for combining the two images so that the second image is positioned in one region of the first image according to the determination result to generate the third image,
The camera controller is monitoring camera controller and characterized in that by using the speed information and the acquisition time of the pass frequency information different settings for the area range over tim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072304A KR101758663B1 (en) | 2017-06-09 | 2017-06-09 | Cctv controller, oprat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70072304A KR101758663B1 (en) | 2017-06-09 | 2017-06-09 | Cctv controller, oprat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thereof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70034043A Division KR101751810B1 (en) | 2016-05-11 | 2017-03-17 | Dual cctv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758663B1 true KR101758663B1 (en) | 2017-07-17 | 
Family
ID=59443136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70072304A Active KR101758663B1 (en) | 2017-06-09 | 2017-06-09 | Cctv controller, oprat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thereof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758663B1 (en)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530255B1 (en) | 2014-09-04 | 2015-06-24 | 주식회사 다이나맥스 | Cctv system having auto tracking function of moving target | 
- 
        2017
        - 2017-06-09 KR KR1020170072304A patent/KR10175866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530255B1 (en) | 2014-09-04 | 2015-06-24 | 주식회사 다이나맥스 | Cctv system having auto tracking function of moving target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111770266B (en) | Intelligent visual perception system | |
| CN108615321B (en) | Security pre-warn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radar detecting and video image behavioural analysis | |
| JP7009987B2 (en) | Automatic driving system and automatic driving method | |
| KR100918837B1 (en) | System for hybrid detection vehicles and method thereof | |
| US8390686B2 (en) | Surveillance camera apparatus and surveillance camera system | |
| KR101204080B1 (en) | Surveillance camera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
| US20060238617A1 (en) | Systems and methods for night time surveillance | |
| KR101543542B1 (en) | Intelligent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using the same | |
| CN107483889A (en) | The tunnel monitoring system of wisdom building site control platform | |
| WO2023028714A1 (en) | Vehicle occupancy detection system | |
| US20190008019A1 (en) | Method of controlling a light intensity of a light source in a light network | |
| KR20150071504A (en) | Auto changing system for camera tracking control authority and auto changing method for camera tracking control authority thereof | |
| CN112804454A (en) | Wide area warning system and warning method thereof | |
| US11682219B2 (en) | Asymmetrical license plate reading (ALPR) camera system | |
| KR20230020184A (en) | Video analysis device using fixed camera and moving camera | |
| KR101806324B1 (en) | Multifunction security camera | |
| KR101479178B1 (en) | Intelligent camera device for street light replacement | |
| KR20150019230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acking object using multiple camera | |
| CN204906574U (en) | Monitoring device and system thereof | |
| KR20180099098A (en) | Fusion Type Image Monitoring System Camera with Movement Tracking Function of Shooting Target | |
| KR101758663B1 (en) | Cctv controller, oprat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thereof | |
| KR20190050119A (en) | Multi cctv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KR20160121958A (en) | Pan-tilt integrated surveillance camera system with a position tracking function of the object | |
| KR101751810B1 (en) | Dual cctv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 KR20160054183A (en) | System and method for road-side automatic number plate recognition of multi-lan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70609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70317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70034043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703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7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7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