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52863B1 - 전선용 단자 클램핑장치 - Google Patents

전선용 단자 클램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2863B1
KR101752863B1 KR1020160104504A KR20160104504A KR101752863B1 KR 101752863 B1 KR101752863 B1 KR 101752863B1 KR 1020160104504 A KR1020160104504 A KR 1020160104504A KR 20160104504 A KR20160104504 A KR 20160104504A KR 101752863 B1 KR101752863 B1 KR 101752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pressing
wire
cutter
barr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4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근
Original Assignee
이창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근 filed Critical 이창근
Priority to KR1020160104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28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2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286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forming connections by deformation, e.g. crimping tool
    • H01R43/048Crimping apparatus or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용 단자 클램핑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상하 이동하는 단자가압부의 램 전면에 고정 설치되어 단자가압부가 수직방향으로 상하 이동하는 것에 의해 단자의 심선바렐과 피복바렐을 동시에 가압하면서 탈피된 전선과 단자를 상호 결합시키면서 엔빌어셈블리의 커터를 가압시키기 위해 한 쌍의 지그와 펀치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펀치어셈블리의 펀치를 배제시키면서 엔빌어셈블리의 커터 형상을 변형시켜 펀치어셈블리에 포함된 한 쌍의 지그 중 어느 하나가 변형된 커터를 순간적으로 가압시키는 것에 대응되게 단자의 연결편을 절단시킬 수 있도록 전선용 단자 클램핑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전선용 단자 클램핑 작업시 작업자가 시야를 확보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고, 커터의 형상을 변경함에 따른 전선의 압착면을 넓게 확보할 수 있어 불량률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전선용 단자 클램핑장치{Terminal clamping device wires}
본 발명은 전선용 단자 클램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우징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상하 이동하는 단자가압부의 램 전면에 고정 설치되어 단자가압부가 수직방향으로 상하 이동하는 것에 의해 단자의 심선바렐과 피복바렐을 동시에 가압하면서 탈피된 전선과 단자를 상호 결합시키면서 엔빌어셈블리의 커터를 가압시키기 위해 한 쌍의 지그와 펀치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펀치어셈블리의 펀치를 배제시키면서 엔빌어셈블리의 커터 형상을 변형시켜 펀치어셈블리에 포함된 한 쌍의 지그 중 어느 하나가 변형된 커터를 순간적으로 가압시키는 것에 대응되게 단자의 연결편을 절단시킬 수 있도록 전선용 단자 클램핑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전선용 단자 클램핑 작업시 작업자가 시야를 확보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고, 커터의 형상을 변경함에 따른 전선의 압착면을 넓게 확보할 수 있어 불량률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도록 한 전선용 단자 클램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레스성형에 의해 피복전선의 끝머리에 압착단자를 부착하는 전원단자 압착기는 압착단자가 길이 방향으로 서로 연결된 것에 사용되는 엔드타입과 압착단자의 연결부가 측면으로 위치하는 사이드타입으로 크게 구분되고 있다.
이러한 전원단자 압착기는 필요한 길이로 절단된 피복전선 끝머리의 피복을 임의의 일정한 길이만 벗겨내고, 일정한 형상 및 치수의 압착단자의 와이어배럴을 전선끝머리의 피복이 벗겨진 도체부(심선부)에 압착하고, 압착단자의 절연배럴을 전선끝머리의 절연수지 피복부에 압착하고 있다.
한편, 상기한 와이어는 각각의 전기적 연결을 용도별, 전기적 특성별로 분류하여 와이어(전선) 및 커넥터, 단자 등을 세트(set)화해서 한 번에 연결시켜 작업성, 안정성, 시인성을 향상한 배선 뭉치가 와이어 하네스(wire harness)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전기배선에 사용되는 와이어 하네스는 대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직경이 큰 대전류용 와이어가 많이 사용되며, 또 다른 와이어나 컨넥터 등의 요소 등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와이어 끝단의 피복을 탈피한 후, 탈피된 도선(심선)에 단자를 압착하여 결착시키게 된다.
특히, 자동차의 경우, 최근에는 다수의 전자부품과 센서에 의해 전장화되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고전압을 사용하는 전기 차량, 연료전지 차량 및 두 가지 이상의 동력원을 활용한 하이브리드 차량의 경우 고전압 배터리 및 모터 등 기존 가솔린이나 디젤 차량의 운전 전압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전압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와이어 하네스의 사용 비중이 급증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 들어서는 자동차의 전기배선에 사용되는 와이어 하네스의 생산이 대량 생산방식에서 소량 다품종 생산방식으로 옮겨가고 있는 추세이며, 따라서, 각종 규격(전선직경, 단선 또는 복선, 연선(燃線) 또는 비연선, 피복색)이나 단자길이가 다른 많은 종류의 전선을 코킹(caulking)하고 압착하여 결착하는 일련의 처리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전선용 단자 결착기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특허출원번호 10-2013-0071446호에 전선용 단자결착기가 출원된 바 있다.
살펴보면 종래의 일반적인 전선용 단자결착기는, 피복된 전선의 심선에 단자를 가압하여 결착시키는 전선용 단자결착기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이동가이드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이동가이드 내에서 상하이동하며 전선의 심선에 단자를 가압하여 결착시키는 단자가압부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단자가압부의 상하이동시 연동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단자를 상기 단자가압부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는 단자이송부 및 상기 단자이송부의 하부측에 배치되며 상기 단자이송부에 의한 상기 단자의 이송을 가이드해주는 동시에 상기 단자를 단자가압부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단자공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이동가이드 내에서 상하 이동되는 상기 단자가압부와 하우징과의 마찰을 저감시키기 위한 마찰저감부재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한 단자가압부는 하우징의 이동가이드 내에서 상하 이동되는 램과, 램의 하단에 결합되는 홀드, 펀치, 스토퍼, 지그를 포함하는 펀치어셈블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램에 의해 지지되어 단자를 가압하는 펀치어셈블리는, 상부 또는 하부로 절곡되지 않도록 하는 홀드와, 전선의 심선 및 피복을 압착하기 위한 심선바렐 및 피복바렐이 단자띠와 상호 연결된 형태를 갖는 단자에서 단자를 절단하기 위한 펀치와, 전선을 가압할 때 전선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토퍼와, 전선의 심선과 피복을 가압하는 한 쌍의 지그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펀치어셈블리의 하부에는 단자공급부에서 공급된 단자가 안착되는 엔빌어셈블리가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한 엔빌어셈블리는 엔빌홀더와, 와이어엔빌과, 인슐레이션엔빌과, 커터 및 커터홀더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엔빌어셀블리는 단자결착기를 지지하는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면부 또 다른 일측에는 단자공급부 및 하우징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이루어진 종래의 일반적인 전선용 단자결착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전선의 심선 및 피복이 심선바렐 및 피복바렐에 압착된 상태에서 엔빌어셈블리의 커터 일측을 순간적으로 가압시키는 것에 의해 단자를 절단하기 위해 단자가압부의 램 전면에 고정 설치되는 펀치어셈블리의 펀치가 전방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므로 인해 작업자가 와이어의 끝단에 단자를 결착시키기 위해 와이어를 커터 상면에 올려놓을 경우 시야를 확보할 수 없어 작업이 능률이 떨어질 수 밖에 없고, 아울러 불량률이 높아질 수 밖에 없을 뿐만 아니라, 시야 미확보로 인해 자칫 손가락이 다칠 수 있는 안전사고에 항상 노출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특허출원번호 10-2013-0071446호, 출원일 2013년06월21일 발명의 명칭; 전선용 단자결착기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하우징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상하 이동하는 단자가압부의 램 전면에 고정 설치되어 단자가압부가 수직방향으로 상하 이동하는 것에 의해 단자의 심선바렐과 피복바렐을 동시에 가압하면서 탈피된 전선과 단자를 상호 결합시키면서 엔빌어셈블리의 커터를 가압시키기 위해 한 쌍의 지그와 펀치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펀치어셈블리의 펀치를 배제시키면서 엔빌어셈블리의 커터 형상을 변형시켜 펀치어셈블리에 포함된 한 쌍의 지그 중 어느 하나가 변형된 커터를 순간적으로 가압시키는 것에 대응되게 단자의 연결편을 절단시킬 수 있도록 전선용 단자 클램핑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전선용 단자 클램핑 작업시 작업자가 시야를 확보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고, 커터의 형상을 변경함에 따른 전선의 압착면을 넓게 확보할 수 있어 불량률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도록 한 전선용 단자 클램핑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기술이 진행되면서 명확해질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이동가이드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이동가이드 내에서 가압력공급부의 구동에 의해 상,하이동가능하게 가압이동부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단자가압부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단자가압부의 상,하이동시 연동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단자를 상기 단자가압부측으로 연속적되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단자이송부 및 상기 단자이송부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단자이송부에 의한 상기 단자의 이송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상기 단자를 단자가압부측으로 연속적되게 공급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단자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전선용 단자결착기의 전선용 단자 클램핑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자가압부의 가압이동부 전면에 서로 포개어지면서 고정되되, 각각의 하단부에는 상기 단자가압부의 가압이동부가 하향 이동하는 하는 것에 의해 단자의 단자대에 연결편을 매개로 연결되어 단일체로 형성된 심선바렐과 피복바렐을 동시에 가압함에 따른 탈피된 전선의 심선과 피복부에 클램핑가능하도록 심선바렐가압홈과 피복바렐가압홈이 각각 형성되어 구비되는 심선바렐가압부재 및 피복바렐가압부재와, 상기 단자가압부의 가압이동부 하부에 위치되게 베이스부재의 상면 일측에 고정된 홀더에 일단이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에 의해 홀더에 삽입된 복원용부재에 의해 항상 복원된 상태를 유지가능하게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되, 타단 상면은 심선이 노출된 전선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안착면이 형성되고, 배면 상부에는 단자를 관통시킬 수 있도록 상기 단자가 공급되는 방향으로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 하부 일측에는 단자가압부의 가압이동부가 하향 이동하는 것에 의해 피복바렐가압부재의 하단부와 접촉되는 것에 의해 순간적으로 가압됨에 따른 단자의 연결편과 단자대를 절단가능하도록 커터용걸림돌기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커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터부재의 커터용걸림돌기 상면과 접촉하여 가압하는 피복바렐가압부재의 하단부 일측은 접촉면적을 넓게 하여 안정되게 접촉하면서 가압가능하도록 절단된 평면형상의 접촉가압면이 더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선용 단자 클램핑장치에 따르면, 전선용 단자 클램핑 작업시 작업자가 시야를 확보할 수 있어 안전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고, 커터의 형상을 변경함에 따른 전선의 압착면을 넓게 확보할 수 있어 불량률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용 단자 클램핑장치가 전선용 단자결착기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용 단자 클램핑장치를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선용 단자 클램핑장치의 커터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전선용 단자 클램핑장치의 일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이동가이드(도면부호 생략)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의 이동가이드 내에서 가압력공급부(미도시함)의 구동에 의해 상,하이동가능하게 가압이동부(12)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단자가압부(13)와, 상기 하우징(11)의 일측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단자가압부의 상,하이동시 연동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단자를 상기 단자가압부측으로 연속적되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단자이송부(미도시함) 및 상기 단자이송부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단자이송부에 의한 상기 단자의 이송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상기 단자를 단자가압부측으로 연속적되게 공급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단자공급부(미도시함)를 포함하여 구성된 전선용 단자결착기의 전선용 단자 클램핑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단자가압부(13)의 가압이동부(12) 전면에 서로 포개어지면서 고정되되, 각각의 하단부에는 상기 단자가압부의 가압이동부가 하향 이동하는 하는 것에 의해 단자의 단자대에 연결편을 매개로 연결되어 단일체로 형성된 심선바렐과 피복바렐을 동시에 가압함에 따른 탈피된 전선의 심선과 피복부에 클램핑가능하도록 심선바렐가압홈(111)과 피복바렐가압홈(미도시함)이 각각 형성되어 구비되는 심선바렐가압부재(110) 및 피복바렐가압부재(120)와, 상기 단자가압부(13)의 가압이동부(12) 하부에 위치되게 베이스부재(14)의 상면 일측에 고정된 홀더(15)에 일단이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에 의해 홀더(15)에 삽입된 복원용부재(미도시함)에 의해 항상 복원된 상태를 유지가능하게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되, 타단 상면은 심선이 노출된 전선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안착면(131)이 형성되고, 배면 상부에는 단자를 관통시킬 수 있도록 상기 단자가 공급되는 방향으로 절개부(132)가 형성되며, 상기 절개ㅂ부(132) 하부 일측에는 단자가압부(13)의 가압이동부(12)가 하향 이동하는 것에 의해 피복바렐가압부재(120)의 하단부와 접촉되는 것에 의해 순간적으로 가압됨에 따른 단자의 연결편과 단자대를 절단가능하도록 커터용걸림돌기(133)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커터부재(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한 커터부재(130)의 커터용걸림돌기(133) 상면과 접촉하여 가압하는 피복바렐가압부재(120)의 하단부 일측은 접촉면적을 넓게 하여 안정되게 접촉하면서 가압가능하도록 절단된 평면형상의 접촉가압면(121)이 더 형성되어 구비된다.
또한, 상기한 커터부재(130)의 안착면(131)은 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평면형상으로 형성되어 구비된다.
한편, 상기한 커터부재(130)의 안착면(131)은 평면형상으로 형성되어 구비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접선이 삽입될 수 있도록 안착면의 중앙부분만 단자 이송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 요홈을 더 형성하여 구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전선용 단자 클램핑장치를 전선용 단자결착기에 장착하여 심선이 노출된 전선에 단자를 클램핑시키고자 할 경우,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작업자는 심선이 노출된 전선을 홀더에 일단이 삽입된 커터부재(130)의 안착면(131)에 올려 놓는다.
이때, 전선의 심선은 단자의 심선바렐에 위치되고 전선의 피복부는 피복바렐에 위치된다.
이후, 작업자에 의해 작동스위치를 누름시키는 것에 의해 가압력공급부로부터 공급된 가압력에 의해 하우징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설치된 가압이동부(12)를 포함하여 구성된 단자가압부(13)가 베이스부재(14)의 상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단자가압부(13)가 베이스부재(14)의 상면측으로 이동함에 따른 단자의 심선바렐과 피복바렐은 심선바렐가압부재(110)의 심선바렐가압홈(111)과 피복바렐가압부재(120)의 피복바렐가압홈에 삽입되고 그로 인해 전선의 심선과 피복부를 각각 클램핑하게 된다.
이후, 피복바렐가압부재(120)의 접촉가압면(121)이 커터부재(130)의 커터용걸림돌기(133)을 순간적으로 가압시키는 것에 의해 커터부재(130)가 홀더(15)내측으로 삽입된다.
그로 인해, 커터부재(130)의 절개부(132)를 관통하여 구비된 단자의 연결편과 단자대가 절단되면서 단자의 클램핑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심선바렐가압부재(110)와 피복바렐가압부재(120)가 가압이동부(12)에 고정 설치되더라도 커터부재(130)의 상면을 가리지 않게 되어 작업자는 작업 시야를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어서 안전하게 작업을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야가 확보되고 전선을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면이 넓으므로 인해 작업속도를 높일 수 있고 나아가 불량률도 낮출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 ; 하우징 12 ; 가압이동부
13 ; 단자가압부 14 ; 베이스부재
15 ; 홀더 100 ; 전선용 단자 클램핑장치
110 ; 심선바렐가압부재 120 ; 피복바렐가압부재
130 ; 커터부재

Claims (3)

  1.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이동가이드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하우징(11)과, 상기 하우징(11)의 이동가이드 내에서 가압력공급부의 구동에 의해 상,하이동가능하게 가압이동부(12)를 포함하여 구비되는 단자가압부(13)와, 상기 하우징(11)의 일측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단자가압부의 상,하이동시 연동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단자를 상기 단자가압부측으로 연속적되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단자이송부 및 상기 단자이송부의 하부측에 배치되어 상기 단자이송부에 의한 상기 단자의 이송을 가이드함과 동시에 상기 단자를 단자가압부측으로 연속적되게 공급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단자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전선용 단자결착기의 전선용 단자 클램핑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자가압부(13)의 가압이동부(12) 전면에 서로 포개어지면서 고정되되, 각각의 하단부에는 상기 단자가압부의 가압이동부가 하향 이동하는 하는 것에 의해 단자의 단자대에 연결편을 매개로 연결되어 단일체로 형성된 심선바렐과 피복바렐을 동시에 가압함에 따른 탈피된 전선의 심선과 피복부에 클램핑가능하도록 심선바렐가압홈(111)과 피복바렐가압홈이 각각 형성되어 구비되는 심선바렐가압부재(110) 및 피복바렐가압부재(120)와;
    상기 단자가압부(13)의 가압이동부(12) 하부에 위치되게 베이스부재(14)의 상면 일측에 고정된 홀더(15)에 일단이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것에 의해 홀더(15)에 삽입된 복원용부재에 의해 항상 복원된 상태를 유지가능하게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되, 타단 상면은 심선이 노출된 전선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안착면(131)이 형성되고, 배면 상부에는 단자를 관통시킬 수 있도록 상기 단자가 공급되는 방향으로 절개부(132)가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132) 하부 일측에는 단자가압부(13)의 가압이동부(12)가 하향 이동하는 것에 의해 피복바렐가압부재(120)의 하단부와 접촉되는 것에 의해 순간적으로 가압됨에 따른 단자의 연결편과 단자대를 절단가능하도록 커터용걸림돌기(133)가 형성되어 구비되는 커터부재(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용 단자 클램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부재(130)의 커터용걸림돌기(133) 상면과 접촉하여 가압하는 피복바렐가압부재(120)의 하단부 일측은 접촉면적을 넓게 하여 안정되게 접촉하면서 가압가능하도록 절단된 평면형상의 접촉가압면(121)이 더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용 단자 클램핑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부재(130)의 안착면(131)은 작업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평면형상으로 형성되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용 단자 클램핑장치.

KR1020160104504A 2016-08-17 2016-08-17 전선용 단자 클램핑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7528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504A KR101752863B1 (ko) 2016-08-17 2016-08-17 전선용 단자 클램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4504A KR101752863B1 (ko) 2016-08-17 2016-08-17 전선용 단자 클램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2863B1 true KR101752863B1 (ko) 2017-06-30

Family

ID=59279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4504A Expired - Fee Related KR101752863B1 (ko) 2016-08-17 2016-08-17 전선용 단자 클램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286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4706A (ko) * 2017-11-14 2019-05-22 정일주 전선단자압착기용 짧은 전선 홀딩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047B1 (ko) 2011-02-18 2011-09-02 이지봉 단자 절곡기능을 가지는 단자압착기
KR101620747B1 (ko) 2014-12-09 2016-05-13 주식회사 포스코 클램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연속 압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2047B1 (ko) 2011-02-18 2011-09-02 이지봉 단자 절곡기능을 가지는 단자압착기
KR101620747B1 (ko) 2014-12-09 2016-05-13 주식회사 포스코 클램핑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연연속 압연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4706A (ko) * 2017-11-14 2019-05-22 정일주 전선단자압착기용 짧은 전선 홀딩장치
KR101997685B1 (ko) * 2017-11-14 2019-07-08 정일주 전선단자압착기용 짧은 전선 홀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58019B1 (ko) 접속기
JPH09320347A (ja) 自動車用ワイヤーハーネス及びその製造
WO2019159730A1 (ja) 端子
JP6100138B2 (ja) 端子送り装置、端子圧着機用アプリケータ、端子圧着機及び端子圧着電線の製造方法
CN110626865B (zh) 一种线束自动送线装置
WO2021010148A1 (ja) 端子、および端子付き電線
KR101752863B1 (ko) 전선용 단자 클램핑장치
CN110024234B (zh) 绞合电线固定用夹具及端子压接装置
WO2008152000A1 (en) Process and device for compaction-welding
KR101338396B1 (ko) 전선용 단자결착기
US9800009B2 (en) Crimping device with seal depressor
TW557615B (en) Cutting/caulking device for laterally jointed terminal
CN109565121A (zh) 刺破式端子工具和刺破式端子
CN117254328B (zh) 连接器自动组装设备
CN114008868A (zh) 端子及带端子的电线
WO2020209179A1 (ja) 端子、および端子付き電線
CN212849260U (zh) 用于汽车线束端子的自动压接装置
US20230101509A1 (en) Terminal crimping apparatus and terminal crimping method
US7448128B2 (en) Terminal connecting apparatus
US3763555A (en) Method of crimping electrical connectors to wires
KR101575625B1 (ko) 단자결착기의 단자이송장치
CN212875309U (zh) 一种具有导向夹持结构的电动汽车电机控制器线束
CN223259859U (zh) 一种车辆线束电连通性能检测仪
KR102678355B1 (ko) 어플리케이터용 스토퍼 어셈블리 및 어플리케이터
JP4142659B2 (ja) 電線圧接装置及び電線圧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7-exm-PA0302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6-exm-PA0302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4062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4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