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2966B1 - Improved Snoring Prevention Device - Google Patents
Improved Snoring Prevention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52966B1 KR101752966B1 KR1020150109334A KR20150109334A KR101752966B1 KR 101752966 B1 KR101752966 B1 KR 101752966B1 KR 1020150109334 A KR1020150109334 A KR 1020150109334A KR 20150109334 A KR20150109334 A KR 20150109334A KR 101752966 B1 KR101752966 B1 KR 1017529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ngue
- snoring
- guard member
- attaching portion
- shap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56—Devices for preventing sn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선된 코골이 방지구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구는일단부가 사용자의 설단부를 음압 방식으로 흡착하도록 내부가 빈 공동부를 구비한 설단 부착부; 및 상기 설단 부착부가 고정 장착되는 가드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가드 부재는 상기 설단부가 상기 설단 부착부의 상기 공동부 내에 흡착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입술 내측면 및 잇몸 외측면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improved snoring zone.
The snor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noring prevention part comprises a tongue-like attachment part having an empty hollow part at one end thereof for sucking the tongue part of the user by sound pressure; And a guard member to which the tongue attaching portion is fixedly mounted, wherein the guard member is positioned betwee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user's lips and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gum while the tongue end portion is adsorbed in the cavity portion of the tongue- do.
Description
본 발명은 개선된 코골이 방지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mproved snoring zone.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설단부와 접촉하는 설단 부착부 내의 공동부에 음압을 형성하여 설단부가 외부로 잡아 당겨지도록 함으로써, 설근이 말려들어가 기도가 좁아지는 것이 방지되고, 입술 사이로 공기의 유입이 가능해져, 수면 도중 호흡 장애가 발생하지 않아 코골이 현상이 완화되거나 방지될 수 있으며, 구성이 간단하고, 제조 비용이 저렴하며, 사용이 간편한 개선된 코골이 방지구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ound pressure is formed in a cavity portion in a tongue-attaching portion contacting with a tongue portion so that the tongue portion is pull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tongue is curled and the airway is prevented from being narrowed, Which is capable of mitigating or preventing the snoring phenomenon due to the occurrence of respiratory disturbance during sleep, simplicity of construction, low manufacturing cost, and ease of use.
일반적으로 코골이는 수면 중 좁아진 기도를 통해 호흡할 때 연구개를 비롯한 구강 및 인두부의 조직들이 진동함에 따라 발생한다. 기도가 좁아지는 이유는 주로 소하악증, 아데노이드나 편도 비대, 연구개의 형태 이상, 비만에 따른 상기도 연조직의 지방 침착, 악관절 이상이나 하악골의 후방 편위 등인데, 수면 중에는 공기가 들어가는 비인두, 구인두, 후두인두 등의 근육들이 이완되기 때문에 공기의 통로인 기도가 부분적으로 더욱 좁아지게 된다. 특히 수면 시 앙와위를 취하게 되면 설근이 후방으로 말려 들어가 상기도가 더욱 더 좁아지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호흡하게 되면 공기가 기도를 통과할 때 구개편도나 인두편도 등 주위 조직들이 진동하여 코골이가 발생하게 된다. 더욱이 기도의 폭이 심하게 좁아지게 되면 흡입되는 공기의 속도가 증가되는데 이때 발생하는 음압에 의해 상기도의 일부가 폐쇄되어 공기의 흐름이 차단되기 때문에 폐쇄성 수면무호흡이 일어나게 된다. 이러한 심한 코골이와 폐쇄성 수면무호흡은 수면의 질을 떨어뜨려 두통이나 피로감의 증가, 심혈관 및 뇌혈관 질환을 악화시켜 전신 건강에 악영향을 주게 될 뿐만 아니라 업무나 운전 중의 졸음으로 인해 안전사고나 교통사고가 발생하는 등 가정이나 사회에서 여러 가지 문제들이 야기될 수 있다.In general, snoring occurs when the tissues of the oral cavity and pharynx, including the study dog, vibrate when breathing through narrowed airway during sleep. The reason for the narrowing of the airway is mainly due to stiff neck, adenoid or tonsillar hypertrophy, hypertrophy of the study dog, fatty deposits of the soft tissues due to obesity, posterior deviation of the temporomandibular joint, The muscles of the laryngeal pharynx are relaxed, so that the airway, the airway, becomes narrower in part. In particular, if you take a supine position during sleeping, the sallow muscles are curled backward and the upper reaches become narrower. When you breathe in this state, when the air passes through the airway, the surrounding tissues such as ankle or pharyngeal one will vibrate and cause snoring . Furthermore, when the width of the airway narrows severely, the speed of the inhaled air is increased. In this case, a part of the upper airway is closed by the generated sound pressure, so that the flow of air is blocked, thereby causing obstructive sleep apnea. These severe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can reduce the quality of sleep, causing headaches or increased fatigue, aggravating cardiovascular and cerebrovascular disease, and adversely affecting the whole body's health, as well as causing drowsiness during work or driving, There are many problems in the home and society.
상술한 코골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치료 방법들은 크게 수술적 요법, 약물 요법, 구강 장치의 사용 등으로 분류된다. 그러나 수술 요법은 수술 시 출혈과 통증 등의 문제점이 있어 환자들이 기피하는 실정이며 약물 요법은 약물에 의한 부작용이 나타나는 문제가 생긴다. 따라서 최근에는 착용하기 쉽고 치료과정이 고통스럽지 않으며 부작용 및 후유증이 적고 비용이 저렴한 구강 장치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Therapeutic methods for solving the snoring problem are classified into surgical therapy, drug therapy, and oral appliance. However, operative therapy is problematic because of problems such as hemorrhage and pain at the time of surgery, and drug therapy causes side effects due to drugs. Recently, there have been a lot of researches on the oral appliance which is easy to wear, the treatment process is not painful, and the side effects and aftereffects are low and the cost is low.
좀 더 구체적으로, 상술한 코골이 방지를 위한 방안으로 대한민국 특허 제10-0931473호(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 제10-1235888호(코골이 방지부재), 제10-1380336호(코골이 방지용 구강장치), 제10-1505773호(코골이 및 수면무호흡 방지장치), 및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10-2015-0014624호(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를 포함한 다수의 마우스피스(mouth-piece) 형태의 구강용 코골이 방지용 장치가 알려져 있다.More specifically, Korean Patent No. 10-0931473 (snoring and anti-irritation apparatus), 10-1235888 (snoring member), 10-1380336 (snoring apparatus) A mouth-piece including a mouth-and-mouth apparatus for prevention), 10-1505773 (snoring and sleep apnea prevention apparatus), and Korean Patent Publication 10-2015-0014624 (snoring and anti- A device for preventing snoring of the mouth is known.
그러나, 상술한 종래 기술의 마우스피스 형태의 구강용 코골이 방지용 장치는 모두 혀 전체를 덮도록 착용되어야 하거나(특허 제10-0931473호의 경우) 또는 치아 상 및/또는 구강 내에 장착 또는 삽입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사용자 입장에서는 수면 중에 이물의 장치의 접촉에 의한 사용 만족도가 낮을 뿐만 아니라, 깊은 수면을 방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는 또 다른 문제가 발생한다.However, all of the oral mouth snoring prevention devices of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mouth type need to be worn so as to cover the entire tongue (in the case of the patent 10-0931473) or used or inserted in the teeth and / or oral cavity For the user, there is another problem that not only the user's satisfaction due to the contact of the foreign object during the sleep is low, but also a factor that hinders the deep sleep.
한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또 다른 종래 기술이 2014년 08월 1일자에 박원영 등에 의해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라는 고안의 명칭으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120-2014-0005801호로 출원되어 2014년 11월 7일자로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5225호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nother conventional technique capable of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was filed by Park, Won Young et al. On Aug. 1, 2014 and filed with Korean Utility Model Application No. 120-2014-0005801 entitled " Snoring & In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75225, filed on Nov. 7, 2005, the content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c는 종래 기술에 따른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의 정면도이고, 도 1d는 종래 기술에 따른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하기 위해 도 1a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며, 도 1e 및 도 1f는 종래 기술에 따른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noring and anti-gau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shown in FIG. 1A, FIG. 1C is a perspective view of a snare and an anti- Fig. 1D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1A to show the state of use of the snoring and anti-pee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s. 1E and 1F are front views of the snoring prevention device, And a use state of the anti-fouling mechanism.
도 1a 내지 도 1d를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는 구강고정부(10)와 통기관(20)으로 구성된다. 구강고정부(10)는 수면 시 구강 내에 끼워지는 것으로서, 치아(101,102)와 입술(103,104) 사이에 끼워져 안착된다(도 1d 참조). 통기관(20)은 관로(21)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 시 윗입술(103)과 아랫입술(104)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강고정부(10)에 끼워져 설치되는 관체이다. 통기관(20)의 길이(L)는 착용시 양 입술(103,104) 및 치아(101,102)로 통기관(20)을 물 수 있는 정도로 설정된다.Referring to FIGS. 1A to 1D, the snoring and nasal decontaminat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is composed of a
상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 기술에 따른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에서는 윗입술(103)이 통기관(20)의 상면(20a)에 접하게 되고, 아랫입술(104)이 통기관의 하면(20b)에 접하게 되므로 입술(103,104) 사이에는 공간이 마련되게 된다. 이로써 수면 시에도 도 1d에 화살표(A)로 표시된 것처럼 외부의 공기가 입술(103,104)을 통해 구강 내부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통기관(20)은 단면 형태가 가로가 세로보다 넓은 장방형으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이는 입을 많이 벌리지 않고도 편안한 호흡이 가능하도록, 즉 단면적을 넓히기 위한 것이다.The
한편, 구강고정부(10)는 입술(103,104)과 치아(101,102) 사이에 위치하는 전면판(11)과 전면판(11)의 하단에 일체로 연결되는 후면판(12,13)을 포함한다. 전면판(11)의 중심에는 전면판(11)에 대하여 대략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관삽입구(11a)가 마련되어 있다. 전면판(11)의 상단 및/또는 하단 중심부에는 신체 부위가 끼워지는 신체 안착부(16)가 홈의 형태로 마련되어 있다. 구강고정부(10)는 어느 방향으로 끼워도 무방하게끔 신체 안착부(16)는 전면판(11)의 상하단에 대칭 형태로 마련되고 있다. 전면판(11)의 폭(W: 도 1c 참조)은 2 ~ 4개의 전치(前齒)를 가릴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는 이물감을 적게 하기 위하여 전면판(11)으로 하여금 최소한의 정도로 치아와 접촉하도록 하기 위한 배려이다.The oral
다시 도 1d를 참조하면, 후면판(12,13)은 단면이 엘(L)자 형태로 되어 있음으로써, 전면판(11)과 함께 치아(101,102)가 끼워질 수 있는 치아 안착 공간(12a,13a)을 형성한다. 치아(101,102)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치아 안착 공간(12a,13a)에 끼워짐으로써 구강고정부(10)가 구강 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치아 안착 공간(12a,13a)이 도 1d에 도시된 것처럼 상하 치아(101,102)가 모두 끼워질 수 있도록 상하부에 모두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사용자에 따라서 사용시 이물감이나 답답함을 느낄 수도 있다. 이에 대하여 도 1f에 도시된 것처럼 하부에 단면이 일(一)자 형태로 된 후면판(13')을 사용함으로써, 상부 치아 안착 공간(12a)만 마련되도록 할 수도 있다.1D, the
한편,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모두에 단면이 일(一)자 형태로 된 후면판(12',13')이 사용될 수도 있다. 도 1e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구강고정부(10)는 입술과 잇몸 사이에 끼워지는 것만으로, 즉 구강고정부(10)가 전면판(11)에 의해서만 구강에 고정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E, the back plates 12 'and 13' having a single-sided cross section on both the upper and lower sides may be use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 1E, the
상술한 구강고정부(10)는 통기관(20)보다 연질 소재로 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구강고정부(10)는 연질 실리콘으로 되어 있을 수 있고, 통기관(20)은 경질 실리콘 또는 쉽게 형태가 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경도를 갖는 각종의 합성수지 재질로 되어 있을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또한, 종래 기술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통기관(20)이 구강고정부(10)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통기관 고정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통기관 고정수단은 통기관(20)의 외벽에 돌출된 돌기(22), 및 상기 돌기(22)가 끼워져 안착되는 곳으로서 구강고정부(10)의 내측벽(14)에 마련되는 돌기 끼움홈(15)을 포함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통기관 고정수단은 통기관(20)과 구강고정부(10)를 인서트 사출 성형하여 일체로 형성하거나,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착시킴으로써 고정하는 방식일 수도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related art, a vent pipe fixing means may be provided to prevent the
또한, 통기관(20)의 단부가 구강 내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구강고정부(10)의 후면판(12',12",13')에는 관삽입구(11a)를 향해 돌출 형성된 저지턱(17)이 형성되어 있다. 그에 따라, 혀와 같은 신체 부위가 직접 통기관(20)에 접촉되지 않게 되고, 통기관(20)이 구강 내부로 빠지는 문제도 없게 한다.In order to prevent the end portion of the
한편,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관(20')의 단부(23)는 나팔관처럼 확관되어 있을 수 있다. 이는 관의 단면적을 확장시킴으로써 통기관(20')이 구강 내부로 빠지지 않도록 하며 유속을 낮추어 호흡을 편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1F, the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는 사용자로 하여금 수면 시 구강으로 호흡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그에 따라, 비강으로의 호흡이 곤란하여 발생하는 코골이 현상이 치유 내지 완화될 수 있고, 치아(101,102) 사이에 통기관(20) 내지 후면판(12,13)이 개입되어 있어 치아(101,102)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며, 이에 의하여 이갈이 현상이 치유 또는 완화되게 된다는 장점이 달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noring and nasal deconges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induces the user to breathe into the oral cavity at the time of sleep. Accordingly, the snoring phenomenon occurring due to difficulty in breathing to the nasal cavity can be healed or alleviated, and the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는 상술한 종래 기술의 마우스피스 형태의 구강용 코골이 방지용 장치에 비해 치아 상 및/또는 구강 내에 장착 또는 삽입되어 사용되는 정도가 크게 낮아졌지만, 여전히 후면판(12,13)은 전면판(11)과 함께 치아 안착 공간(12a,13a)을 형성하여 치아(101,102)가 안착 공간(12a,13a)에 끼워져 사용되므로, 사용자가 사용 시 이물감이나 답답함을 느낄 수 있다는 문제가 존재한다.However, the snoring and nasal decongestion devices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ve been greatly reduced in the degree to which they are used or inserted into the teeth and / or oral cavity compared with the oral mouth snoring prevention device of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mouthpiece type, Since the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는 설단이 자연 상태에 놓이게 되어 수면 중 설근이 후방으로 말려 들어가 상기도가 좁아지는 문제를 해결하는데 일정한 한계가 있었다.In addition, the snoring and nasal decontaminat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ior art has a certain limit in solving the problem that the suture is placed in a natural state, and the suture is curled backward to narrow the upper limit during sleep.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이 요구된다.Therefore, a new method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s required.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설단부와 접촉하는 설단 부착부 내의 공동부에 음압을 형성하여 설단부가 외부로 잡아 당겨지도록 함으로써, 설근이 말려들어가 기도가 좁아지는 것이 방지되고, 입술 사이로 공기의 유입이 가능해져, 수면 도중 호흡 장애가 발생하지 않아 코골이 현상이 완화되거나 방지될 수 있으며, 구성이 간단하고, 제조 비용이 저렴하며, 사용이 간편한 개선된 코골이 방지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cuum cleaner in which sound pressure is formed in a cavity portion in a tongue- The snoring phenomenon can be mitigated or prevented due to the occurrence of respiratory disturbance during the sleeping due to the inflow of air between the lips, the improved snoring zone which is simple in structure, low in manufacturing cost, and easy to use .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코골이 방지구는 단부가 사용자의 설단부를 음압 방식으로 흡착하도록 내부가 빈 공동부를 구비한 설단 부착부; 및 상기 설단 부착부가 고정 장착되는 가드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가드 부재는 상기 설단부가 상기 설단 부착부의 상기 공동부 내에 흡착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입술 내측면 및 잇몸 외측면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noring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noring prevention part includes a tongue-like attachment part having an inner hollow part so that the end part adsorbs the tongue part of the user by sound pressure; And a guard member to which the tongue attaching portion is fixedly mounted, wherein the guard member is positioned between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user's lips and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gum while the tongue end portion is adsorbed in the cavity portion of the tongue- do.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코막힘 방지 장치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장점이 달성된다.The following advantages are achieved by using the improved nasal congestion preven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설단부와 접촉하는 설단 부착부 내의 공동부에 음압을 형성하여 설단부가 외부로 잡아 당겨지도록 함으로써, 설근이 말려들어가 기도가 좁아지는 것이 방지된다.1. A sound pressure is formed in the hollow portion of the tongue-attaching portion in contact with the tongue portion so that the tongue portion is pulled out to the outside, so that the tongue is curled and the airway is prevented from being narrowed.
2. 입술 사이로 공기의 유입이 가능해져, 수면 도중 호흡 장애가 발생하지 않아 코골이 현상이 완화되거나 방지될 수 있다.2. Air can be introduced into the lips, and breathing trouble does not occur during sleep, so that the snoring phenomenon can be mitigated or prevented.
3. 코골이 방지구의 구성이 간단하고, 제조 비용이 저렴하며, 사용이 간편하다.3. Snoring The structure of the earth is simple, the manufacturing cost is low, and it is easy to use.
본 발명의 추가적인 장점은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가 동일한 구성요소를 표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히 이해될 수 있다.Further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learly understood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which like or similar reference numerals denote like elements.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c는 종래 기술에 따른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1d는 종래 기술에 따른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하기 위해 도 1a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e 및 도 1f는 종래 기술에 따른 코골이 및 이갈이 방지기구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구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구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c는 도 2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구의 개략적인 사용 상태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d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구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e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구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f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구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g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구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1A is a perspective view of a snoring and anti-gait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1B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noring and anti-gait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shown in FIG. 1A.
1C is a front view of the snoring and anti-gait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 1D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A to show the state of use of the snoring and anti-gau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s. 1E and 1F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state of use of the snoring and anti-gag prevent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ior art.
2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noring regio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snoring zo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A.
FIG. 2c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snoring zon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a.
2d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noring zon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E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noring zon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f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noring zon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G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noring region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and draw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구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구의 개략적인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2c는 도 2a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구의 개략적인 사용 상태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2A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noring zon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snoring zon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And FIG. 2C is a schematic sectional view of the snoring regio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A.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구(30)는 일단부가 사용자의 설단부(90)를 음압 방식으로 흡착하도록 내부가 빈(hollow) 공동부(cavity: 42)를 구비한 설단 부착부(40); 및 상기 설단 부착부(40)가 고정 장착되는 가드 부재(guard member: 50)를 포함하되, 상기 가드 부재(50)는 상기 설단부(90)가 상기 설단 부착부(40)의 상기 공동부(42) 내에 흡착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입술(92) 내측면 및 잇몸(94) 외측면 사이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2A to 2C,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구(3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기술한다.Hereinafter, the detailed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다시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구(30)는 내부가 빈 공동부(42)를 구비한 설단 부착부(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설단 부착부(40)의 일단부(44)(즉, 공동부(42)의 일단부(44))는 사용자의 설단부(90)를 음압 방식으로 흡착하기 위한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구(30)에서는, 상기 설단 부착부(40)의 일단부(44)의 단면이 수평 방향이 긴 직사각형 형상인 것으로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당업자라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Referring again to FIGS. 2A to 2C, the
상술한 설단 부착부(40)는 가드 부재(50)에 고정 장착된다. 이 경우, 설단 부착부(40)의 타단부는 가드 부재(50)에 일체형 고정 장착 방식으로 장착되거나(도 2a 내지 도 2c 참조) 또는 착탈 가능형 고정 장착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미도시). 이러한 가드 부재(50)는 사용자의 입술(92) 내측면과 잇몸(94) 외측면 사이에 장착되어 사용되어, 코골이 방지구(30)가 사용 도중 사용자의 구강 내부로 진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 결과, 설단부(90)는 사용자의 구강 내부에 위치되도록 설단 부착부(40)의 일단부(44)에서 흡착된다.The above-described tongue-attaching
또한,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가드 부재(50)의 외관 형상은 가로 방향이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당업자라면 가드 부재(50)의 외관 형상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중 가로 방향이 길며 양 측면은 직선이고 상부 및 하부는 각각 외측 방향으로 휘어진 곡선을 갖는 형상, 가로 방향이 세로방향보다 길며 양 측면과 상부 및 하부가 모두 각각 외측 방향으로 휘어진 곡선을 갖는 형상, 가로 방향이 세로 방향보다 긴 타원형, 사각 모서리 부분이 라운드 형상을 갖는 가로 방향이 긴 직사각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구비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The outer shape of the
한편, 설단 부착부(40)는 유연성 재질로 구현되어, 설단 부착부(40)를 누르면 공동부(42) 내에 음압이 형성된다. 그에 따라, 설단 부착부(40)의 타단부(가드 부재(50)에 가까운 부분)를 누른 상태로 설단부(90)를 설단 부착부(40)의 공동부(42) 내로 삽입한 후 설단 부착부(40)의 타단부의 누름 상태를 해제하면, 공동부(42) 내에 형성된 음압에 의해 설단부(90)가 설단 부착부(40)의 공동부(42) 내에 고정 장착된다. 이 상태에서, 가드 부재(50)를 사용자의 입술(92) 내측면과 잇몸(94) 외측면 사이에 위치시키면,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코골이 방지구(30)는 설단부(90)를 설단 부착부(40)의 공동부(42) 내에 고정 장착된 상태로 유지시켜, 설단부(90)가 외부로 잡아 당겨지므로, 설근이 말려들어가 기도가 좁아지는 것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입술 사이로 공기의 유입이 가능해져, 수면 도중 호흡 장애가 발생하지 않아 코골이 현상이 완화되거나 방지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tongue-attaching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구(30)의 설단 부착부(40) 및 가드 부재(50)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설단 부착부(40) 및 가드 부재(50)가 일체형으로 제공되는 코골이 방지구(30)는, 예를 들어, 성형 몰드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The
도 2d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구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2d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noring zon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구(30)에서는, 설단 부착부(40)의 일단부의 단면이 가로 방향이 길며 양 측면은 직선이고 상부 및 하부는 각각 외측 방향으로 휘어진 곡선을 갖는 형상을 구비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구(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구(30)의 구성 및 동작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2D, in the
도 2e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구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2E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noring zon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e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구(30)에서는, 설단 부착부(40)의 일단부의 단면이 가로 방향이 긴 라운드 형상 또는 타원 형상을 구비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구(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구(30)의 구성 및 동작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2E, in the
도 2f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구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2f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noring zone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f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구(30)에서는, 상기 설단 부착부(40)의 일단부(44)와 상기 가드 부재(50) 사이의 외부 형상이 상기 일단부(44)에서 상기 가드 부재(50)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나팔 형상을 구비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설단 부착부(40)의 일단부(44)와 상기 가드 부재(50) 사이의 외부 형상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현되는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구(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당업자라면 도 2f에 도시된 설단 부착부(40)의 외부 형상이 상기 설단 부착부(40)의 일단부(44)에서 상기 가드 부재(50)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일정하게 좁아지는 절두체(frustum)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구(30)의 구성 및 동작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2F, the outer shape between the one
도 2g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구의 개략적인 사시도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2G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snoring region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g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구(30)에서는, 상기 가드 부재(50)가 상기 설단 부착부(40)의 방향으로 휘어진 곡면 형상을 구비하는 도 2a 내지 도 2f에 도시된 실시예와는 달리 직사각형 평면 형상을 구비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구(30)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코골이 방지구(30)의 구성 및 동작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코골이 방지구(30)를 구성하는 설단 부착부(40)는 유연성 재질(예를 들어, 연질 실리콘 재질, 우레탄 재질, 변형 가능한 플라스틱 재질, 또는 고무 재질과 같이 인체에 무해하며, 부드럽고 변형 가능한 재질)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the tongue-attach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코골이 방지구(30)를 구성하는 가드 부재(50)는 경질 재질(예를 들어, 경질 실리콘 또는 쉽게 형태가 변형되지 않을 정도의 경도를 갖는 각종 합성수지 재질 등) 또는 설단 부착부(40)의 재질과 같은 유연성 재질(예를 들어, 연질 실리콘 재질, 우레탄 재질, 변형 가능한 플라스틱 재질, 또는 고무 재질과 같이 인체에 무해하며, 부드럽고 변형 가능한 재질)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골이 방지구(30)를 사용하면, 1) 설단부와 접촉하는 설단 부착부 내의 공동부에 음압을 형성하여 설단부가 외부로 잡아 당겨지도록 함으로써, 설근이 말려들어가 기도가 좁아지는 것이 방지되고, 2) 입술 사이로 공기의 유입이 가능해져, 수면 도중 호흡 장애가 발생하지 않아 코골이 현상이 완화되거나 방지될 수 있으며, 3) 코골이 방지구의 구성이 간단하고, 제조 비용이 저렴하며, 사용이 간편하다는 장점이 달성된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다양한 변형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본 명세서에 기술되고 예시된 구성 및 방법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상세한 설명에 포함되거나 첨부 도면에 도시된 모든 사항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의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따라서만 정해져야 한다.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is not.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xemplary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only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 구강고정부 11: 전면판 11a: 관삽입구
12,12',12",13,13': 후면판 12a,13a: 치아 안착 공간
14: 내측벽 15: 끼움홈 16: 신체 안착부 17: 저지턱
20,20': 통기관 20a: 상면 20b: 하면 21: 관로 22: 돌기
101,102: 치아 90,103,104: 입술 30: 코골이 방지구
40: 설단 부착부 42: 공동부 44: 일단부 50: 가드 부재
90: 설단부 92: 입술 94: 잇몸10: mouth fixing part 11:
12, 12 ', 12 ", 13, 13':
14: inner side wall 15: fitting groove 16: body seat 17:
20, 20 ': a
101, 102:
40: tongue attaching portion 42: cavity portion 44: one end portion 50: guard member
90: an open end 92: a lip 94: a gum
Claims (7)
일단부가 사용자의 설단부를 음압 방식으로 흡착하도록 내부가 빈 공동부를 구비한 설단 부착부; 및
상기 설단 부착부가 고정 장착되는 가드 부재
를 포함하되,
상기 가드 부재는 상기 설단부가 상기 설단 부착부의 상기 공동부 내에 흡착된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의 입술 내측면 및 잇몸 외측면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설단 부착부는 적어도 상부면 및 하부면을 구비하되, 상기 상부면 및 상기 하부면은 각각 상기 설단부의 삽입 방향에 대해 상기 가드 부재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연장되며,
상기 가드 부재는 상기 설단 부착부의 타단부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방향으로 직접 접촉한 상태로 고정 장착되는
코골이 방지구.In the snoring zone,
A tongue attaching portion having an empty hollow portion at one end so as to adsorb the tongue portion of the user in a sound pressure manner; And
And a guard member
, ≪ / RTI &
Wherein the guard member is positioned between the inner lip side of the user and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gum in a state in which the tongue portion is adsorbed in the cavity of the tongue attachment portion,
Wherein the tongue-attaching portion has at least an upper surface and a lower surface,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each extending substantially the same distance from the guard member with respect to the insertion direction of the tongue portion,
And the guard member is fixedly mounted in a state of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other end portion of the tread attaching portion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hereto
Snoring room earth.
상기 설단 부착부 및 상기 가드 부재는 일체형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착탈 가능하도록 구현되는 코골이 방지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ongue attaching portion and the guard member are integrally formed or detachably mounted.
상기 가드 부재는 상기 설단 부착부의 방향으로 휘어진 곡면 형상을 구비하거나 또는 평면 형상을 구비하는 코골이 방지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uard member has a curved shape bent in the direction of the tongue attaching portion or has a planar shape.
상기 설단 부착부는 유연성 재질로 구현되고,
상기 가드 부재는 경질 재질 또는 상기 유연성 재질로 구현되는
코골이 방지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ongue attaching portion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he guard member is made of a hard material or the flexible material
Snoring room earth.
상기 유연성 재질은 연질 실리콘 재질, 우레탄 재질, 변형 가능한 플라스틱 재질, 또는 고무 재질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경질 재질은 경질 실리콘 또는 합성수지 재질인
코골이 방지구.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flexible material is one of a soft silicone material, a urethane material, a deformable plastic material, or a rubber material,
The hard material may be hard silicone or synthetic resin
Snoring room earth.
상기 설단 부착부의 일단부의 단면이 수평 방향이 긴 직사각형 형상, 수평 방향이 긴 라운드 형상 또는 타원 형상, 사각 모서리가 라운드 형상을 구비한 수평 방향이 긴 직사각형 형상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되는 코골이 방지구.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a cross section of one end of the tongue-attaching portion is implemented as any one of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long horizontal direction, a round or oval shape having a long horizontal direction, and a rectangular shape having a long rectangular shape having a rectangular corner.
상기 설단 부착부의 일단부와 상기 가드 부재 사이의 외부 형상이 직육면체 형상, 상기 일단부에서 상기 가드 부재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나팔 형상, 또는 상기 일단부에서 상기 가드 부재로 갈수록 폭이 일정하게 좁아지는 절두체(frustum) 형상 중 어느 하나인 코골이 방지구.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Wherein the outer shape between the one end of the tongue-attaching portion and the guard member is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 trumpet shape in which the width becomes narrower from the one end toward the guard member, or narrower in width from the one end to the guard member The snoring zone, which is one of the frustum shapes of the nos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09334A KR101752966B1 (en) | 2015-08-03 | 2015-08-03 | Improved Snoring Prevention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09334A KR101752966B1 (en) | 2015-08-03 | 2015-08-03 | Improved Snoring Prevention Devic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016057A KR20170016057A (en) | 2017-02-13 |
| KR101752966B1 true KR101752966B1 (en) | 2017-07-03 |
Family
ID=5815623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109334A Expired - Fee Related KR101752966B1 (en) | 2015-08-03 | 2015-08-03 | Improved Snoring Prevention Devic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752966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065298B1 (en) * | 2019-04-04 | 2020-01-10 | 최용수 | Device for Preventing Snoring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D939763S1 (en) | 2020-06-18 | 2021-12-28 | Jovanka Vojvodic | Lip protector device |
| KR102551228B1 (en) * | 2021-06-14 | 2023-07-03 | 윤덕영 | Sleep apnea and snoring prevention device using negative pressure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931473B1 (en) * | 2008-02-22 | 2009-12-11 | 이부일 | Snoring and Bruxism Prevention Mechanisms |
| JP2010264090A (en) | 2009-05-15 | 2010-11-25 | Takumi Fujita | Mouthpiece for improving snore or apnea syndrome |
| KR200475225Y1 (en) | 2014-08-01 | 2014-11-13 | 박원영 | Apparatus For Preventing Or Improving Snoring And Bruxism |
Family Cites Familie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380336B1 (en) | 2012-05-02 | 2014-04-02 | 구현웅 | Oral instrument for preventing snoring |
| KR101235888B1 (en) | 2012-07-24 | 2013-02-21 | 김희윤 | Device for snoring prevention |
| KR101542349B1 (en) | 2013-07-30 | 2015-08-06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Appliance for preventing snoring and bruxism by using tongue position raising |
| KR101505773B1 (en) | 2014-03-13 | 2015-03-26 | 김해바다 | Device for Preventing Snoring and Sleep Apnea Syndrome |
-
2015
- 2015-08-03 KR KR1020150109334A patent/KR10175296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931473B1 (en) * | 2008-02-22 | 2009-12-11 | 이부일 | Snoring and Bruxism Prevention Mechanisms |
| JP2010264090A (en) | 2009-05-15 | 2010-11-25 | Takumi Fujita | Mouthpiece for improving snore or apnea syndrome |
| KR200475225Y1 (en) | 2014-08-01 | 2014-11-13 | 박원영 | Apparatus For Preventing Or Improving Snoring And Bruxism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065298B1 (en) * | 2019-04-04 | 2020-01-10 | 최용수 | Device for Preventing Snoring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016057A (en) | 2017-02-13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8127769B2 (en) | Integrated oral appliance for sleep-disordered breathing | |
| CN101227946B (en) | Apparatus for maintaining a surgical airway and method of the same | |
| US8091554B2 (en) | Methods and devices for relieving upper airway obstructions | |
| US6494209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ment of snoring, hypopnea and apnea | |
| JP6599879B2 (en) | Mandibular anterior fixation device and methods and kits for making the device | |
| US6976491B2 (en) | Gag-less airway for snoring prevention | |
| KR101133537B1 (en) | Snoring preventing apparatus | |
| KR101235888B1 (en) | Device for snoring prevention | |
| US20140216469A1 (en) | Mandibular appliance with oxygen | |
| CN112437653B (en) | Oral appliances | |
| KR102053985B1 (en) | Snoring and sleep apnea prevention devices | |
| RU2499578C2 (en) | Apparatus for snoring treatment | |
| US20090188510A1 (en) | Treatment of obstructive sleep disorders | |
| US20100224197A1 (en) | Sleep appliance | |
| JP2014133016A (en) | Mouthpiece type snore or sleep apnea prevention implement | |
| US20230149653A1 (en) | Nasal Interface Apparatus | |
| JP2010142497A (en) | Mouthpiece for assisting and improving respiration at the time of sleeping and for suppressing snoring | |
| KR101752966B1 (en) | Improved Snoring Prevention Device | |
| JP2017029654A (en) | Mouthpiece for preventing snore or the like | |
| KR200475225Y1 (en) | Apparatus For Preventing Or Improving Snoring And Bruxism | |
| KR200439343Y1 (en) | Snoring Mechanism | |
| TWM585604U (en) | Intraoral anti-snoring device | |
| KR101684247B1 (en) | Improved Snoring Prevention Device | |
| US20120031410A1 (en) | Dental device for preventing a sleep disorder | |
| KR200428746Y1 (en) | Snoring Protecto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1062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1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