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3760B1 - Toilet Assembly for patients - Google Patents
Toilet Assembly for patient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53760B1 KR101753760B1 KR1020150093646A KR20150093646A KR101753760B1 KR 101753760 B1 KR101753760 B1 KR 101753760B1 KR 1020150093646 A KR1020150093646 A KR 1020150093646A KR 20150093646 A KR20150093646 A KR 20150093646A KR 101753760 B1 KR101753760 B1 KR 1017537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tank
- toilet
- patient
- toilet bowl
- fix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용 변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몸체를 지지하여 배변 자세를 유지하는 동시에 신체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환자용 변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물탱크(100) 및 변기본체(110)를 포함하는 변기 조립체로서, 상기 물탱크(100)에서 전방에 구비된 쿠션 재질의 허리보호쿠션(200); 그 일측이 상기 물탱크(100)의 상방 일측에 고정되고, 그 타측이 상기 물탱크(100)의 상방 일측에서 대각으로 가로질러 고정되는 상체용 벨트(210)를 포함하는 변기 조립체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bowl assembly for a pati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ilet bowl assembly for supporting a body and restraining a body movement while maintaining a defecation posture, and includes a water tank 100 and a toilet bowl body 110 A waist protection cushion (200) of a cushion material provided in front of the water tank (100); And an upper body belt (210) having one side fixed to one side of the water tank (100) and the other side crosswise fixed at one side of the water tank (100).
Description
본 발명은 환자용 변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몸체를 지지하여 배변 자세를 유지하는 동시에 신체의 움직임을 억제하는 환자용 변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ilet bowl assembly for a pati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toilet bowl assembly for supporting a body to maintain a bowel posture while suppressing movement of the body.
인간의 배변활동은, 횡경막을 닫고 복압을 올리는 과정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과정은 장애나 중증 질환이 없는 일반인에게 어려운 과정은 아니지만, 특정 장애 내지 질환이 있는 환자에게는 고통을 수반한다.Human bowel movements are accomplished by closing the diaphragm and increasing the pressure. This process is not a difficult process for the general public who does not have a disability or serious illness, but it involves pain for patients with certain disabilities or diseases.
중증의 비뇨기 환자는 복압을 많이 올려야만 배변활동이 이루어진다. 복압을 올리는 과정에서 대부분의 환자는 복강의 벤딩이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허리에 많은 고통이 수반된다.Severe urinary patients are required to elevate the abdominal pressure to perform a bowel movement. In the course of raising the abdominal pressure, the abdominal cavity is bent in most patients, resulting in a lot of back pain.
또한, 척추 디스크와 같은 척추 질환 환자, 전반적으로 뼈가 약한 골다공증 환자의 경우에도 배변 자세가 좋지 않을 수 있어서 역시 많은 고통이 수반된다.In addition, patients with spinal diseases such as spinal discs and osteoporosis patients with weak bones in general may not have a good bowel position, which is also accompanied by a great deal of pain.
이들 환자의 경우 배변활동의 고통을 저감시키기 위하여 복강 벤딩이 없는 정자세를 강제로 잡아줄 것이 요구된다.For these patients, it is necessary to forcefully hold the spermatic muscle without abdominal bending to reduce the pain of the bowel movement.
한편, 파킨슨 병과 같이 환자가 자신의 신체를 제어하지 못하는 환자의 경우, 배변활동 동안에도 손발에 끊임없는 떨림이나 움직임이 가해질 수 있다. 이 경우 고통의 문제에 추가하여 위생 상의 문제가 발생한다.On the other hand, in patients who can not control their own body, such as Parkinson's disease, constant shaking or movement can be applied to hands and feet during the bowel movement. In this case, in addition to the problem of pain, hygiene problems arise.
그러나 현재의 장애인 화장실의 경우, 변기 양측에 사용자가 손을 잡고 앉거나 일어날 수 있는 손잡이가 구비되고, 휠체어 등을 놓을 수 있는 공간만 확보되어 있을 뿐, 변기 자체는 일반적인 변기를 사용하는데 그치고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urrent disabled toilet, there are handles on both sides of the toilet to hold or hold hands, and only a space for placing a wheelchair or the like is secured, and the toilet itself uses a common toilet.
이에, 중증의 비뇨기 환자, 척추 질환 환자, 골다공증 환자 및 파킨슨 병 환자 등은 장애인용 화장실의 경우에도 일반 화장실과 다름없이 배변활동에 큰 어려움이 있다.Therefore, patients with severe urinary problems, patients with spinal diseases, patients with osteoporosis, and patients with Parkinson's disease have difficulty in defecating activities as well as general restrooms.
환자를 위한 종래의 변기는 한국등록실용신안 제177633호의 환자 이송용 탑승장치와 같이 제시되어 왔다.A conventional toilet for a patient has been proposed as a boarding device for patient transportation in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177633.
종래 기술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177633호의 경우 일반 변기에 설치되는 것이 아닌 분리형 변기를 별도로 설치하는 것이며, 특히 전후방이동바퀴가 마련되기 때문에 브레이크페달로 정지시킨다 하더라도 앞서 언급한 중증의 환자가 움직임에 따라 움직일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원활한 배변이 수행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In the case of the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177633 of the prior art, a separate type toilet is not installed in a general toilet but is installed separately. In particular, since the front and rear moving wheels are provided, even when the brake pedal stops,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perform smooth defecation.
또한, 한국등록실용신안 제177633호의 경우 팔걸이 지지대가 마련되고는 있으나 환자의 몸체를 고정하는 벨트가 팔걸이 지지대의 단부에 마련되기 때문에 실제로 환자의 복부를 고정하는 것에 그치게 되고 결국 환자의 몸통이 전방으로 굽혀지는 것을 억제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177633 has an armrest support, the belt for fixing the patient's body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armrest support, so that it is difficult to actually fix the abdomen of the patient, There is a limit that can not inhibit bending.
더욱이 종래기술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177633호는 환자의 발 부위의 움직임은 전혀 억제할 수 없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앞서 언급된 중증의 환자에는 적합하지 못하다.Furthermore, the conventional Korean Utility Model No. 177633 does not suffice for the above-mentioned serious patient becaus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ovement of the foot portion of the patient can not be suppressed at all.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846,819호의 전면 좌식 가능한 양변기가 있다.Another prior art is Korean Patent No. 846,819, which has a fully-openable toilet bowl.
종래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846,819호의 양변기 역시 중증 환자의 신체 움직임을 억제하는 수단이 마땅히 없는 문제가 있다.Korean Patent No. 846,819, which is a prior art, also has a problem in that the means for suppressing body movement of a serious patient is not sufficient.
한국등록특허 제846,819호의 등받이는 환자의 허리부를 편안하게 지지하지 못하는 구조적 한계를 갖는 문제도 있다.Korean Patent No. 846,819 has a problem that the backrest has a structural limitation that it can not comfortably support the waist of a patie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구체적으로, 중증의 비뇨기 환자, 척추 질환 환자, 골다공증 환자 및 파킨슨 병 환자가 최대한 고통을 덜어가면서 배변활동을 할 수 있는 환자용 변기를 제공하고자 한다.Specifically, it is intended to provide a toilet bowl for a patient who has severe urinary problems, spinal disease patients, osteoporosis patients, and Parkinson's patients to take the pain as much as possible and to perform a bowel movement.
또한, 배변활동 중 움직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여, 위생적인 배변활동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환자용 변기를 제공하고자 한다.It also aims to provide a patient toilet that can help minimize hygiene during the activity of the bowel movement, thus contributing to hygienic bowel movement.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물탱크(100) 및 변기본체(110)를 포함하는 변기 조립체로서, 상기 물탱크(100)에서 전방에 구비된 쿠션 재질의 허리보호쿠션(200); 그 일측이 상기 물탱크(100)의 상방 일측에 고정되고, 그 타측이 상기 물탱크(100)의 상방 일측에서 대각으로 가로질러 고정되는 상체용 벨트(210)를 포함하는 변기 조립체를 제공한다.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oilet assembly including a water tank (100) and a toilet bowl body (110), comprising: a waist protection cushion (200) of a cushion material provided in the water tank (100); And an upper body belt (210) having one side fixed to one side of the water tank (100) and the other side crosswise fixed at one side of the water tank (100).
또한, 상기 변기본체(110)의 상측에 시트부(120)가 위치하고, 상기 시트부(120)의 상측에 상기 시트부(120)를 덮을 수 있는 커버(130)가 위치하며 상기 커버(130)는 횡으로 회동하여 개폐되는 환자용 변기 조립체일 수 있다.A
또한, 상기 물탱크(100)에서 전방을 향하여 ㄱ자 형상인 한 쌍의 지지대(300)가 상기 변기본체(110)의 양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지지대(300)의 가로대 상에는 쿠션 재질의 팔꿈치 지지부(310)가 각각 구비되는 환자용 변기 조립체일 수 있다.The
또한, 상기 한 쌍의 지지대(300)의 가로대 말단에는 손이 삽입될 수 있는 손 고정부(320)가 각각 구비되는 환자용 변기 조립체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변기본체(300)의 전방에는 발이 고정될 수 있는 발 고정부(400)가 위치하는 환자용 변기 조립체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손 고정부(320)와 상기 발 고정부(400) 내측에 쿠션 재질의 안감이 위치하는 환자용 변기 조립체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toilet seat assembly may be a patient toilet seat in which a lining of a cushion material is located inside the
또한, 상기 한 쌍의 지지대(300)의 세로대 상의 일 부분에는 이들을 횡으로 연결하는 발목 지지부(410)가 위치하는 환자용 변기 조립체일 수 있다.In addition, a portion of the legs of the pair of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상체용 벨트(210)가 마련되기 때문에 변기에 착석한 자는 넘어지지 않고 착석된 자세를 유지하여 배변 활동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강점이 있다.First, since the
둘째, 커버(130)가 시트부(120) 상측에서 시트부(120)를 횡으로 회동하여 개폐할 수 있기 때문에 환자로 하여금 적은 노력으로도 손쉽게 커버(130)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Secondly, since the
셋째, 한 쌍의 지지대(300)의 가로대 상에는 쿠션 재질의 팔꿈치 지지부(310)가 각각 구비되므로 환자가 보다 안락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이점이 있다.Third, since the
넷째, 한 쌍의 지지대(300)의 가로대 말단에는 손이 삽입될 수 있는 손 고정부(320)가 각각 구비되므로 환자의 움직임이 억제되어 배변활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강점이 있다.Fourth, since the
다섯째, 변기본체(300)의 전방에는 발이 고정될 수 있는 발 고정부(400)가 위치하므로 환자의 발 부위의 움직임이 억제되어 배변활동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Fifth, since the
여섯째, 손 고정부(320)와 상기 발 고정부(400) 내측에 쿠션 재질의 안감이 위치하고, 발목 지지부(410)의 외면에는 쿠션 재질의 안감이 덧대어져 발목과 접촉되는 부위를 보다 편안하게 감쌀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xth, the lining of the cushion material is located inside th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변기 조립체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for explaining a toilet bowl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described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변기 조립체는 물탱크(100)와 변기본체(110)을 포함한다.The toilet assembly includes a water tank (100) and a toilet bowl body (110).
변기본체(110)는 바닥에서 지지된 채로 물탱크(100)의 측면에 연결되어 물탱크(100) 내부의 물이 제공된다.The
물탱크(100)는 바닥에서 수직 상방향으로 뻗어 연장된 형상을 하고 있다.The
변기본체(110)의 상면은 물탱크(100)의 일측면 중간지점 근처의 위치인 제1위치 만큼의 높이를 갖는다.The upper surface of the
허리보호쿠션(200)은 물탱크(100)에서 전방에 쿠션 재질로 구비된다.The
보다 상세하게는 허리보호쿠션(200)은 일단이 물탱크(100)의 상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물탱크(100)의 측면에 고정된다.More specifically, the
허리보호쿠션(200)의 일단은 물탱크(100)의 상면에 고정된 채로 물탱크(100)의 모서리부에 접촉하고, 물탱크(100)의 측면부에 접촉되는 타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감소되는 형상을 하는 것 또한 바람직하다.One end of the
이 때, 허리보호쿠션(200)이 물탱크(100)의 모서리부에 접촉한 부위의 두께가 가장 두껍게 형성됨으로써 변기본체(110)에 착석한 자의 허리 곡선을 따라 유연하게 접촉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thickness of the portion where the
다시 말해서, 허리보호쿠션(200)의 곡선은 변기본체(110)의 착석자의 허리 곡선에 대응되는 형상을 하는 것도 바람직한 일이다.In other words,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curve of the
허리보호쿠션(200)의 폭은 물탱크(100)의 상단 폭 보다 작게 형성되고 있다.The width of the
상체용 벨트(210)는 일측이 물탱크(100)의 상방 일측에 고정되고, 타측이 물탱크(100)의 상방 일측에서 대각으로 가로질러 고정된다.One side of the
보다 상세하게는, 상체용 벨트(210)는 물탱크(100)에서 변기본체(110)가 설치된 측면에서 양단이 고정될 수 있는 구조인 것이며, 도 1과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를 경우 일단은 물탱크(100)의 측면의 우측 상단에서 고정될 수 있고, 타단은 물탱크(100)의 좌측 하단 측면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한편, 물탱크(100)의 우측 상단 측벽에는 상체용 벨트(210)가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upper body side belt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upper right side wall of the
다시 말해서, 물탱크(100)의 우측 상단 측벽에는 고정홈(미도시)이 마련되고 상체용 벨트(210)가 고정홈(미도시)에 걸려서 고정되거나, 고정홈(미도시)로부터 이탈되면서 해제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In other words, a fixing groove (not shown) is provided on the right upper side wall of the
상체용 벨트(21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The
즉, 상체용 벨트(210)는 일단이 물탱크(100)의 측면부 일지점에 고정되는 고정단부를 갖고, 타단이 물탱크(100)의 측면부 일지점으로부터 이탈되거나 고정될 수 있는 자유단부를 갖는 것이다.That is, the
이 때, 상체용 벨트(210)의 자유단부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회전롤러(미도시)가 마련되어 상체용 벨트(210)이 물탱크(100)으로부터 이탈될 때 상체용 벨트(210)의 밴드부분이 회전롤러(미도시)에 감겨 수납될 수 있으며, 반대로 변기본체(110)에 착석한 자의 몸체에 맞게 길이조절이 가능하도록 회전롤러(미도시)로부터 풀려질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a free end portion of the
한편, 변기본체(110)에 착석한 자의 몸체에 맞게 길이조절된 상태에서 상체용 벨트(210)의 자유단부가 변기본체(110)에 고정된 경우, 착석한 자의 급격한 앞으로 쏠림 등 움직임이 있는 경우 상체용 벨트(210)의 자유단부에 감겨진 밸트는 풀리지 않고 고정될 수 있기 때문에 착석한 자는 넘어지지 않고 착석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When the free end of the
이는 일반적인 차량의 안전벨트의 원리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작동원리는 생략하기로 한다.This is similar to the principle of a seatbelt in a general vehicle, so the detailed operation principle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체용 벨트(210)는 탄성력을 갖는 탄성밴드로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The
한편, 상체용 벨트(210)의 자유단부가 물탱크(100)의 측면에 고정되는 고정홈(미도시)에는 물탱크(100)의 측면에서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A sliding portion (not shown) is included in the fixing groove (not shown) where the free end of the
시트부(120)은 변기본체(110)의 상측에 위치하고, 커버(130)는 시트부(120)의 상측에서 시트부(120)를 덮도록 마련된다.The
이 때, 커버(130)는 횡으로 회동하여 변기본체(110)의 상부 개구부를 개폐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왜냐하면, 커버(130)가 횡으로 이동하여야 상체용 벨트(210)을 착용 가능하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커버(130)는 시트부(120)의 후단부에 마련된 회동부(140)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More specifically, the
결국, 커버(130)는 시트부(120) 상면에서 횡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시트부(120)에 형성된 개구부를 개폐 가능한 것이다.As a result, the
또한, 시트부(120)의 일단은 회동부(140)에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시트부(120)가 허리보호쿠션(200)을 향해 젖혀질 수 있다.One end of the
지지대(300)는 물탱크(100)에서 전방을 향하여 “ㄱ” 자 형상으로 변기본체(110)의 양 측면에 한 쌍이 마련될 수 있다.The
팔꿈치 지지부(310)는 한 쌍의 지지대(300)의 가로대 상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The
즉, 착석자의 팔꿈지가 닿는 부위에 팔꿈치 지지부(310)이 마련되기 때문에 보다 안락한 착석이 가능하게 된다.That is, since the
팔꿈치 지지부(310)는 지지대(300)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한 일이다.It is also possible that the
이는 착석자의 신체 구조에 맞게 팔꿈치 지지부(310)의 위치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This allows the position of the
한편, 손 고정부(320)는 한 쌍의 지지대(300)의 가로대 말단에서 착석자의 손이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Meanwhile, the
이는 파킨슨 병과 같이 자신의 신체를 제어하지 못하는 환자가 착석한 경우, 배변활동 동안에도 손발에 끊임없는 떨림이나 움직임이 가해질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prevent such a situation because, when a patient who is unable to control his / her body such as Parkinson's disease is seated, constant shaking or movement may be applied to his / her hands and hands during the bowel movement.
한편, 손 고정부(320)는 지지대(300)에 힌지 결합되어 위치 이동은 제한되지만 회전운동은 가능케 할 수도 있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이는 착석자의 손목 부상 등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볼 수 있다.This can be seen as to reduce the wrist injury of the seated person.
또한, 손 고정부(320)의 내측에는 쿠션 재질의 안감이 형성될 수 있는 것도 바람직하다.It is also preferable that a lining of a cushion material can be formed on the inner side of the hand-
발 고정부(400)는 지지대(300)의 전방에서 착석자의 발을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쌍이 마련될 수 있다.The
발 고정부(400)의 내측에는 쿠션 재질의 안감이 마련되어 착석자의 발이 접촉될 때 보다 안락한 지지를 가능케 하는 것이다.A lining of a cushion material is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발목 지지부(410)는 한 쌍의 지지대(300)의 세로대 상의 일 부분에서 이들을 횡으로 연결한다.The
다시 말해서, 변기본체(110)에 착석한 자가 발 고정부(400)에 발을 고정한 상태에서 발목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보다 안락한 착석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more stably support the ankle in a state where the foot is fixed to the
발목 지지부(410)의 외면에는 쿠션 재질의 안감이 덧대어져 발목과 접촉되는 부위를 보다 편안하게 감쌀 수 있다.A lining of a cushion material is pad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한편, 앞서 언급된 한 쌍의 지지대(300)의 세로대는 높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어 지지대(300)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는 것도 얼마든지 가능한 일이다.Meanwhile, since the height of the vertical stand of the pair of
한편, 지지대(300)에는 용변을 위해 필요한 사항들을 제어하는 제어부(500)가 마련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예컨데, 변기본체(110)에 착석한 자는 제어부(500)를 조작함으로써 변좌의 온도, 비데의 사용과 관련된 수온, 수압 등의 조절, 물탱크(100)의 물내림 등을 자동으로 제어할 수도 있을 것이다.For example, a person sitting on the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hanged.
100: 물탱크
110: 변기본체
120: 시트부
130: 커버
140: 회동부
200: 허리보호쿠션
210: 상체용 벨트
300: 지지대
310: 팔꿈치 지지부
320: 손 고정부
400: 발 고정부
410: 발목 지지부
500: 제어부100: Water tank
110: toilet bowl body
120: seat portion
130: cover
140:
200: Waist protection cushion
210: upper body belt
300: Support
310: elbow support
320: Hand grips
400:
410: ankle support
500:
Claims (7)
상기 물탱크(100)에서 전방에 구비된 쿠션 재질의 허리보호쿠션(200);
그 일측이 상기 물탱크(100)의 상방 일측에 고정되고, 그 타측이 상기 물탱크(100)의 상방 일측에서 대각으로 가로질러 고정되는 상체용 벨트(210);
상기 변기본체(110)의 양 측면에 구비되며, 상기 물탱크(100)에서 전방을 향하여 ㄱ자 형상이고, 가로대 말단에 손이 삽입될 수 있는 손 고정부(320)가 각각 구비된, 한 쌍의 지지대(300); 및
상기 변기본체(110)의 전방에 위치하며 발이 고정될 수 있는 발 고정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변기본체(110)의 상측에 시트부(120)가 위치하고,
상기 시트부(120)의 상측에 상기 시트부(120)를 덮을 수 있는 커버(130)가 위치하며,
상기 커버(130)는 횡으로 회동하여 개폐되는,
환자용 변기 조립체.
A toilet bowl assembly comprising a water tank (100) and a toilet bowl body (110)
A waist protection cushion 200 of a cushion material provided in front of the water tank 100;
An upper body belt 210 having one side fixed to one side of the water tank 100 and the other side transversely fixed at a side of the water tank 100 above the water tank 100;
And a pair of hand holding parts 32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toilet body 110 and capable of inserting a hand into the end of the cross bar in a forward direction in the water tank 100, A support base 300; And
And a foot fixing part (400) which is located in front of the toilet body (110) and in which a foot can be fixed,
A seat portion 120 is positioned above the toilet body 110,
A cover 130, which covers the seat 120, is positioned above the seat 120,
The cover (130) is pivotally opened and closed laterally,
A toilet seat assembly for a patient.
상기 한 쌍의 지지대(300)의 가로대 상에는 쿠션 재질의 팔꿈치 지지부(310)가 각각 구비되는,
환자용 변기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air of support rods 300 are provided on the crossbars, respectively, with elbow support portions 310 of a cushion material.
A toilet seat assembly for a patient.
상기 손 고정부(320)와 상기 발 고정부(400) 내측에 쿠션 재질의 안감이 위치하는,
환자용 변기 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lining of a cushion material is located inside the hand fixing part 320 and the foot fixing part 400,
A toilet seat assembly for a patient.
상기 한 쌍의 지지대(300)의 세로대 상의 일 부분에는 이들을 횡으로 연결하는 발목 지지부(410)가 위치하는,
환자용 변기 조립체.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air of support rods (300) is provided at one portion thereof with a leg support member (410)
A toilet seat assembly for a patient.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093646A KR101753760B1 (en) | 2015-06-30 | 2015-06-30 | Toilet Assembly for patient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093646A KR101753760B1 (en) | 2015-06-30 | 2015-06-30 | Toilet Assembly for patients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003243A KR20170003243A (en) | 2017-01-09 |
| KR101753760B1 true KR101753760B1 (en) | 2017-07-19 |
Family
ID=5781085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093646A Expired - Fee Related KR101753760B1 (en) | 2015-06-30 | 2015-06-30 | Toilet Assembly for patient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75376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953467B1 (en) * | 2017-07-04 | 2019-02-28 |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 Toilet assembly for correction posture fixtaion |
| KR102400153B1 (en) * | 2021-07-02 | 2022-05-20 | (주)코아이엔지 | Comfortable toilet seat for appropriate defecation |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02204765A (en) * | 2001-01-10 | 2002-07-23 | Inax Corp | Portable toilet bowl |
| JP3785233B2 (en) * | 1996-10-11 | 2006-06-14 | 株式会社三栄水栓製作所 | Simple flip-up armrest |
| JP2006291684A (en) * | 2005-04-12 | 2006-10-26 | Hideaki Ikeda | Semi-western style toilet friendly to male |
| KR100888719B1 (en) * | 2007-09-12 | 2009-03-17 | 김종범 | Toilet seat support |
Family Cites Familie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0177633B1 (en) | 1993-05-21 | 1999-05-15 | 윤양중 | Tread rubber composition of tire with improved cutting and chipping resistance |
-
2015
- 2015-06-30 KR KR1020150093646A patent/KR10175376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3785233B2 (en) * | 1996-10-11 | 2006-06-14 | 株式会社三栄水栓製作所 | Simple flip-up armrest |
| JP2002204765A (en) * | 2001-01-10 | 2002-07-23 | Inax Corp | Portable toilet bowl |
| JP2006291684A (en) * | 2005-04-12 | 2006-10-26 | Hideaki Ikeda | Semi-western style toilet friendly to male |
| KR100888719B1 (en) * | 2007-09-12 | 2009-03-17 | 김종범 | Toilet seat support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003243A (en) | 2017-01-09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3788695A (en) | Sitting/standing table/walker combination | |
| JP7235250B2 (en) | Flexible leg support membrane, leg support frame, and ambulatory patient erection aid | |
| US7896442B2 (en) | Method and apparatus to ingress and egress of chair | |
| US20110187067A1 (en) | Shower chair/walker combination | |
| CN104013502A (en) | Multifunctional wheelchair | |
| US20220313033A1 (en) | Swivel Commode Chair | |
| KR20160125037A (en) | Bath chair for an immovable person | |
| US6220620B1 (en) | Wheeled height-adjustable rehabilitation chair | |
| WO2008016930A1 (en) | Kneeling device | |
| KR101753760B1 (en) | Toilet Assembly for patients | |
| US9226864B2 (en) | Orthopedic rehab toilet seat | |
| JP2003180754A (en) | Wheelchair | |
| KR101419672B1 (en) | Multiple purpose chair | |
| KR101953467B1 (en) | Toilet assembly for correction posture fixtaion | |
| KR101822751B1 (en) | Medical bed | |
| KR101939344B1 (en) | Wheelchair for patient | |
| JP7040789B2 (en) | Toilet assistance for the physically handicapped | |
| JP4392648B2 (en) | Shower wheelchair | |
| JP2003175084A (en) | Care bed | |
| JP2006043374A (en) | Chair for suppressing stand-up | |
| JP3164159U (en) | Walking aid | |
| US9233035B2 (en) | Support chair for body cast patients | |
| JP2017086795A (en) | Chair | |
| CN101530267B (en) | A waist holding health care cushion | |
| KR102505407B1 (en) | Folding chair for toilet and bath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4062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406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