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9595B1 - Apparatus of sewage treatment of border barracks using oxidation aera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of sewage treatment of border barracks using oxidation aer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69595B1 KR101769595B1 KR1020160072715A KR20160072715A KR101769595B1 KR 101769595 B1 KR101769595 B1 KR 101769595B1 KR 1020160072715 A KR1020160072715 A KR 1020160072715A KR 20160072715 A KR20160072715 A KR 20160072715A KR 101769595 B1 KR101769595 B1 KR 1017695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esh water
- oxidation
- tank
- oxidation tank
- pip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7254 oxidation rea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2
- 230000003647 oxida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7
- 238000005273 aer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0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12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6
- CBENFWSGALASAD-UHFFFAOYSA-N Ozone Chemical compound [O-][O+]=O CBENFWSGALASAD-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9
- 230000001590 oxida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8000010612 desalina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7800 oxidant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4653 Carica parviflor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1000243321 Cnidari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5416 organic mat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911 wate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303 advanced oxidation proces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65 wastewater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BOKGTLAJQHTOKE-UHFFFAOYSA-N 1,5-dihydroxynaphthalene Chemical compound C1=CC=C2C(O)=CC=CC2=C1O BOKGTLAJQHTOK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5 ai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90 disso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60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00 human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42 industrial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06 microbi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0 soi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00 vapor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propellers
-
- B01F3/04099—
-
- B01F7/06—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02F3/205—Moving, e.g. rotary, diffusers; Stationary diffusers with moving, e.g. rotary, distribu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30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 B01F2215/0052—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8—Seawater, e.g. for desalin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78—Details relating to ozone treatment devices
- C02F2201/782—Ozone generato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78—Details relating to ozone treatment devices
- C02F2201/784—Diffusers or nozzles for ozon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화폭기를 이용한 가두리 생활관의 담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산화폭기부 및 담수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담수처리부는 가두리 생활관의 담수가 유입되는 담수유입관; 상기 담수유입관에 연결되고 제1 호기조 및 제2 호기조로 구획되는 호기조; 상기 제1 호기조의 담수를 상기 산화폭기부에 공급하는 제1 담수공급관; 상기 제2 호기조의 담수를 상기 산화폭기부에 공급하는 제2 담수공급관; 상기 산화폭기부에서 배출되는 담수를 상기 제1 호기조로 공급하는 제1 담수배출관; 상기 산화폭기부에서 배출되는 담수를 상기 제2 호기조로 공급하는 제2 담수배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산화폭기부는 산화조; 상기 산화조의 외측에 설치되는 폭기펌프; 상기 폭기펌프와 연결되되 상기 산화조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폭기펌프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는 임펠러; 상기 산화조 외부에 설치되는 오존발생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폭기펌프의 동작에 의해 상기 오존발생기에서 발생된 오존이 상기 산화조로 유입되도록 상기 오존발생기와 상기 제1 담수공급관, 상기 오존발생기와 상기 제2 담수공급관을 각각 연결하는 오존이송관이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esh 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a cage living room using oxidizing aeration, and includes an oxidation-rich portion and a fresh water treatment portion, wherein the fresh water treatment portion includes a fresh water inflow pipe into which fresh water of a cage living room flows; An aerobic tank connected to the fresh water inflow pipe and partitioned into a first aerobic tank and a second aerobic tank; A first fresh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fresh water of the first aquarium to the oxidation-rich portion; A second fresh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fresh water of the second aquarium to the oxidation-rich portion; A first fresh water discharge pipe for supplying fresh water discharged from the oxidizing vapors to the first aquarium; And a second fresh water discharge pipe for supplying fresh water discharged from the oxidation-rich portion to the second aquarium; An aeration pump provided outside the oxidation tank; An impeller connected to the aeration pump and installed in the oxidation tank and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aeration pump; The ozone generator, the ozone generator, the ozone generator, and the ozone generato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operation of the aeration pump so that ozone generated in the ozone generator flows into the oxidation tank, And the ozone transfer pipe connecting the second fresh water supply pipe is form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산화폭기를 이용한 가두리 생활관의 담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담수에 오존을 공급하고 산화폭기에 의해 담수를 처리하는 산화폭기를 이용한 가두리 생활관의 담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esh 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a cage living room using oxidative aeration, and more particularly, to a fresh 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a cage living house using oxidative aeration for supplying ozone to fresh water and treating fresh water by oxidative aeration.
산업의 급속한 발달로 인해 더욱 편리한 생활을 영위하게 되었으나, 이와 반대로 환경이 점점 악화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오염은 대기오염, 토양오염, 수질오염 등이 있으며 이중 수질오염은 가정에서 배출되는 생활하수, 공장에서 배출되는 유기성 공업폐수, 가출농가에서 배출되는 축산폐수 등에 의해 이루어진다.The rapid development of the industry has led to a more convenient life, but on the contrary, the environment is getting worse. Such environmental pollution is caused by air pollution, soil pollution, water pollution, etc. Water pollution is caused by domestic sewage discharged from households, organic industrial wastewater discharged from factories, and livestock wastewater discharged from runaway farms.
이러한 수질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종 하수가 배출되는 장소에는 하수처리장치를 의무적으로 설치하여 하수를 정화시킨 후 배출하도록 규제하고 있다. 이때 각종 하수가 배출되는 장소에 따라 그 규제도 다르다. 예를 들어 가두리 생활관의 경우 사람의 배설물이 포함된 오수와 오수를 제외한 물(담수)을 각각 별도로 처리하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water pollution problem, a sewage disposal device is mandatory in places where various sewage are discharged, and sewage is purified and discharged. At this time, the regulations vary depending on the place where various sewage is discharg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cage living room, water (fresh water) excluding sewage and sewage containing human waste is treated separately.
일반적인 하수처리장치는 초기에 하수를 산화처리하여 세균 및 냄새를 제거하는데, 최근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하수처리에 있어 일명 고도산화공정(Advanced Oxidation Process)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고도산화공정이란 보통의 산화공정에서 사용하는 산화제보다 강력한 산화력을 가지는 수산화 라디칼을 중간 생성물질로 생성하여 수중의 오염물질을 산화 분해하는 수처리 기술을 통칭한다. 대표적으로 하수에 산화력이 강한 오존을 공급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Conventional wastewater treatment equipment initially treats sewage water to remove bacteria and odors. As recent technology develops, a so-called Advanced Oxidation Process is widely used in wastewater treatment. The advanced oxidation process refers to a water treatment technology that oxidizes and decomposes contaminants in water by generating hydroxide radicals having stronger oxidizing power than oxidants used in ordinary oxidation processes as intermediate substances. Typically, ozone with strong oxidizing power is supplied to sewage.
그러나 이와 같은 일반적인 하수처리장치 여과 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이를 가두리 생활관의 담수 처리에 바로 적용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특허문헌 1'에는 고효율의 오존 용해 성능을 가지는 반응조를 구비한 고도산화 수처리장치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However, not only the filtration efficiency of the general sewage treatment apparatus is lowered but also it is difficult to apply it directly to the fresh water treatment of the cage living room.
In addition,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n advanced oxidation water treatment apparatus provided with a reaction tank having high-efficiency ozone dissolution performance.
삭제delet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산화조에 효과적으로 오존을 공급하고, 산화조 내에서 오존의 반응 면적이 넓어져 오존의 산화효율이 증가하는 산화폭기를 이용한 가두리 생활관의 담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zone generating apparatus which effectively supplies ozone to an oxidation tank and increases the oxidation area of ozon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salination apparatus.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효과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하기와 같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nd achieve the characterist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the characteristic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화폭기를 이용한 가두리 생활관의 담수처리장치는 산화폭기부 및 담수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산화폭기를 이용한 가두리 생활관의 담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담수처리부는 가두리 생활관의 담수가 유입되는 담수유입관; 상기 담수유입관에 연결되고 제1 호기조 및 제2 호기조로 구획되는 호기조; 상기 제1 호기조의 담수를 상기 산화폭기부에 공급하는 제1 담수공급관; 상기 제2 호기조의 담수를 상기 산화폭기부에 공급하는 제2 담수공급관; 상기 산화폭기부에서 배출되는 담수를 상기 제1 호기조로 공급하는 제1 담수배출관; 상기 산화폭기부에서 배출되는 담수를 상기 제2 호기조로 공급하는 제2 담수배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산화폭기부는 산화조; 상기 산화조의 외측에 설치되는 폭기펌프; 상기 폭기펌프와 연결되되 상기 산화조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폭기펌프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는 임펠러; 상기 산화조 외부에 설치되는 오존발생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폭기펌프의 동작에 의해 상기 오존발생기에서 발생된 오존이 상기 산화조로 유입되도록 상기 오존발생기와 상기 제1 담수공급관, 상기 오존발생기와 상기 제2 담수공급관을 각각 연결하는 오존이송관이 형성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The apparatus for desalination of a cage living room using oxidative aer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xidizing aeration unit and a desalination unit, A fresh water inflow pipe into which fresh water flows; An aerobic tank connected to the fresh water inflow pipe and partitioned into a first aerobic tank and a second aerobic tank; A first fresh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fresh water of the first aquarium to the oxidation-rich portion; A second fresh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fresh water of the second aquarium to the oxidation-rich portion; A first fresh water discharge pipe for supplying fresh water discharged from the oxidizing vapors to the first aquarium; And a second fresh water discharge pipe for supplying fresh water discharged from the oxidation-rich portion to the second aquarium; An aeration pump provided outside the oxidation tank; An impeller connected to the aeration pump and installed in the oxidation tank and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aeration pump; The ozone generator, the ozone generator, the ozone generator, and the ozone generato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operation of the aeration pump so that ozone generated in the ozone generator flows into the oxidation tank, And the ozone transfer pipe connecting the second fresh water supply pipe is formed.
본 발명에 따른 산화폭기를 이용한 가두리 생활관의 담수처리장치는 오존발생기에서 발생되는 오존이 폭기펌프의 펌핑 동작에 의해 효과적으로 산화조에 공급되고, 폭기펌프에 연결된 임펠러의 동작에 의해 산화조 내에서 오존의 반응 면적이 넓어져 오존의 산화 반응이 더욱 잘 일어난다.The apparatus for treating fresh water in a cage living room using oxidative a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ozone generated in the ozone generator is supplied to the oxidation tank effectively by the pumping operation of the aeration pump and the operation of the ozone The reaction area is widened and the oxidation reaction of ozone occurs more easil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화폭기를 이용한 가두리 생활관의 담수처리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화폭기를 이용한 가두리 생활관의 담수처리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산화폭기를 이용한 가두리 생활관의 담수처리장치의 물의 흐름이 나타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산화폭기부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산화폭기부의 물의 흐름이 나타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산화조의 일부가 투시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산화조에서 물의 흐름이 나타난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산화폭기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도
도 9 및 10은 도 8에 따른 산화폭기부의 동작 상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esh water treatment apparatus of a cage living room using oxidizing a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a desalination apparatus for a cage living room using oxidizing a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tate diagram showing a flow of water in a desalination apparatus of a cage living room using oxidizing a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constitution of the oxidizing width base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low of water in the oxidizin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rt of the second oxidation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flow of water in the second oxidation vess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chematic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oxidizing width b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9 and 10 are diagrams showing the operation state of the oxida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또한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featur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one embodiment. Furthermore, the posi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therefore,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the full scope of equivalents to which such claims are entitled, if properly explained.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또한 일반적인 담수는 해수의 염분을 제거하여 얻은 물을 담수라하는데, 본 발명에서 담수는 가두리 생활관에서 배출되는 하수 중 배설물 등이 포함되지 않은 물을 의미한다.Generally, fresh water is obtained by removing saline from seawater and is called fresh water. In the present invention, fresh water refers to water not containing excrement from sewage discharged from a cage living room.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산화폭기를 이용한 가두리 생활관의 담수처리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산화폭기를 이용한 가두리 생활관의 담수처리장치의 평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산화폭기를 이용한 가두리 생활관의 담수처리장치는 산화폭기부(100) 및 담수처리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esh 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a cage living room using oxidizing a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lan view of a fresh water treatment apparatus for a cage living room using oxidizing a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esh water treatment apparatus of the living room comprises an oxidation venturi section (100) and a fresh water treatment section (200).
산화폭기부(100)는 담수처리부(200)의 담수를 끌어 올려 산화 및 폭기 작용을 일으켜 처리하는 구성요소로서, 처리를 마친 담수를 다시 담수처리부(200)로 돌려보낸다. The oxidizing and ventilating
담수처리부(200)는 가두리 생활관의 담수가 유입되는 담수유입관(210); 담수유입관(210)에 연결되고 제1 호기조(221) 및 제2 호기조(222)로 구획되는 호기조(220); 제1 호기조(221)의 담수를 산화폭기부(100)에 공급하는 제1 담수공급관(230); 제2 호기조의 담수를 산화폭기부(100)에 공급하는 제2 담수공급관(240); 산화폭기부(100)에서 배출되는 담수를 제1 호기조(221)로 공급하는 제1 담수배출관(250); 산화폭기부(100)에서 배출되는 담수를 제2 호기조(222)로 공급하는 제2 담수배출관(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미생물학적 여과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1 호기조(221)에 다공판(224)이 형성되고, 다공판(224) 상에 산호사가 구비될 수 있다.The fresh water treatment unit 200 includes a fresh
가두리 생활관의 경우 배설물 등이 포함되지 않은 담수가 별도로 배출되는데, 이러한 담수는 간헐적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담수를 바로 처리하여 배출하는 것이 아니라 담수가 일정량 모여야 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호기조(220)는 구획판(223)에 의해 제1 호기조(221) 및 제2 호기조(222)로 구획되고 제1 호기조(221)에 물이 구획판(223)의 높이보다 높게 물이 차오르면 자연스럽게 제2 호기조(222)로 물이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cage living room, fresh water not containing feces is discharged separately. Since the fresh water is discharged intermittently, it is preferable to discharge the fresh water only by collecting a certain amount of water instead of treating it immediately. For example, th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산화폭기를 이용한 가두리 생활관의 담수처리장치의 물의 흐름이 나타난 상태도로서, 담수유입관(210)을 통해 가두리 생활관의 담수가 제1 호기조(221)로 유입되고, 제1 호기조(221)에 담수가 계속 유입되면 자연스럽게 구획판(223)을 넘어 제2 호기조(222)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 호기조(221)의 담수 중 일부는 제1 담수공급관(230)을 통해 산화폭기부(100)로 이동하고, 산화폭기부(100)에서 산화 및 폭기를 마친 담수는 다시 제1 호기조(221)로 유입된다. 제2 호기조(222)의 담수는 제2 담수공급관(240)을 통해 산화폭기부(100)로 이동하고, 산화폭기부(100)에서 산화 및 폭기를 마친 담수는 다시 제2 호기조(222)로 유입된다. 제2 호기조(222)에 담수가 계속 차오르면 제2 호기조(222)의 상부에 담수방류관(270)을 통해 담수가 배출되기 시작한다.FIG. 3 is a view showing a flow of water in a desalination apparatus using oxidative a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esh water in a cage living room is introduced into a
이때 산화폭기부(10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산화폭기부(100)로 구성되어 제1 담수공급관(230) 및 제2 담수공급관(240)이 각각 연결될 수 있고, 산화폭기부(100)가 하나로 형성되어 제1 담수공급관(230) 및 제2 담수공급관(240)이 하나의 산화폭기부(100)에 모두 연결될 수 있다.1 and 3, the oxidation-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산화폭기를 이용한 가두리 생활관의 담수처리장치는 담수처리부(200)에 산화폭기부(100)가 설치되고, 담수처리부(200)에 있는 담수 중 일부를 산화폭기부(100)를 통해 순환 여과하여 여과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apparatus for treating fresh water in a cage living house using oxidative aer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xidizing an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산화폭기부의 구성도로서, 산화폭기부(100)는 산화조(110); 산화조(110)의 외측에 설치되는 폭기펌프(120); 일단이 폭기펌프(120); 폭기펌프(120)와 연결되되 산화조(110) 내부에 설치되는 임펠러(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FIG. 4 is a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the oxidizing vapo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oxidizing
산화조(110)는 오존발생기(150)에서 발생되어 공급되는 오존과 제1 담수공급관(230) 및 제2 담수공급관(240)을 통해 유입되는 물이 산화 반응하는 공간으로, 제1 산화조(111)와 제2 산화조(112)로 분리되어 구성될 수 있다.The
폭기펌프(120)는 산화조(110)의 외측에 설치되어 담수를 산화조(110)로 유입시키기 위해 펌핑 동작을 하는 구성요소로서, 펌핑 동작과 동시에 산화조(110)로 유입된 담수에 폭기 작용을 일으킨다. 이러한 폭기펌프(120)의 동작에 의해 산화조(110) 내부에서 반응하는 오존과 담수의 마찰 면적이 늘어나게 되고, 이로 인해 산화 반응의 효율이 상승하게 된다.The
임펠러(140)는 폭기펌프(120)와 연결되여 폭기펌프(120)의 동작에 따라 회전하는 구성요소로서, 산화조(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산화조(110)로 유입되는 담수가 잘 섞이도록 한다. 아울러 오존에 의해 발생되는 공기방울과 마찰되어 공기방울을 더욱 잘게 쪼개는 역할도 수행한다. 이러한 임펠러(140)의 회전 동작에 의해 산화조(110) 내부에서 반응하는 오존과 담수의 마찰 면적이 늘어나게 되고, 이로 인해 산화 반응의 효율이 상승하게 된다.The
오존발생기(150)는 산화폭기부(100)로 유입되는 담수에 오존을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도 4의 경우 오존발생기(150)에서 발생된 오존은 오존이송관(151)을 통해 산화조(110)로 유입된다. 산화조(110)로 유입된 오존은 기체형태를 갖기 때문에 산화조(110)에서 담수와 섞일 때 공기방울 형태를 띠게 된다.Th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산화폭기부에서 물의 흐름이 나타난 상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산화폭기부(100)는 산화조(110)가 제1 산화조(111) 및 제2 산화조(112)로 구획되고, 폭기펌프(120)가 제1 산화조(111)의 외측에 설치되며, 임펠러(140)가 제1 산화조(111)의 내부에 설치되고, 제1 산화조(111) 및 제2 산화조(112)를 연결하는 연결관(113)이 형성되며, 제2 산화조(112) 내부에 담수반사판(160)이 형성되고, 연결관(113)의 출구가 담수반사판(160)의 상부를 향하도록 형성된다.FIG. 5 is a view showing a flow of water in the oxidizing core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the oxidizing
이때 제1 산화조(111)의 내부에서 오존이송관(151)이 제1 담수공급관(230) 및 제2 담수공급관(240)에 각각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오존이송관(151)이 제1 담수공급관(230) 및 제2 담수공급관(240)의 연결부위는 임펠러(140) 쪽에 가깝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폭기펌프(120)의 펌핑 동작에 의해 오존이송관(151)으로 연결된 오존발생기(150)와 폭기펌프(120)의 관계에서 오존발생기(150)에서 폭기펌프(120) 쪽 방향으로 압력(힘)이 발생한다. 이러한 압력에 의해 오존발생기(150)에서 발생된 오존은 별도의 이송장치 또는 이송하기 위해 힘을 가하기 위한 장치가 없이도 오존이송관(151)을 통해 제1 산화조(111)로 자연스럽게 이송된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ozone transfer pipe 151 is connected to the first fresh
즉, 오존이송관(151)이 제1 담수공급관(230) 및 제2 담수공급관(240)에 연결됨으로써 폭기펌프(120) 하나로 담수와 오존을 동시에 제1 산화조(111)로 효과적으로 끌어 들일 수 있다.That is, since the ozone transfer pipe 151 is connected to the first fresh
또한 산화조(110)가 제1 산화조(111)와 제2 산화조(112)를 분리시켜 제1 산화조(111)에서 일차적으로 담수와 오존을 동시에 흡입하고, 임펠러(140)를 통해 담수와 오존이 잘 섞이도록 한 다음 제2 산화조(112)에서 담수와 오존의 산화반응이 더욱 잘 일어나게 한 다음 산화된 유기물을 걸러낸다.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산화폭기부(100)는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산화조(112)의 상부에 공기배출구(11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산화조(111)에서 발생된 기체들은 연결관(113)을 통해 담수와 함께 제2 산화조(112)로 이송된다. 이렇게 이송된 기체들은 제2 산화조(112)로 이송된 다음에는 일부가 담수배출구(115)를 통해 담수와 함께 배출되지만 대부분은 제2 산화조(112)의 상부로 모이게 된다. 4 and 5, the
이때 제2 산화조(112)의 상부에 공기배출구가 형성되면 제2 산화조(112)의 상부로 모인 기체들은 자연스럽게 공기배출구(114)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러한 기체의 이동은 압력 차이에 의한 것으로, 기체의 이동에 의해 제2 산화조(112)에서 발생한 거품형태의 산화 유기물이 함께 공기배출구(114)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air outlet is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또한 공기배출구(114)를 통해 산화 유기물이 더욱 잘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스키머(170)가 더 설치될 수도 있다.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 스키머(170)가 설치되고 슬러지이송관(171)에 의해 제2 산화조(112)와 스키머(170)가 연결될 수 있다. 스키머(170)는 일반적으로 수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부유물을 처리하는 장치를 일컫는데, 본 발명에 따른 스키머(170)는 제1 산화조(111) 및 제2 산화조(112)에서 발생한 슬러지(담수와 오존이 반응하여 생성된 산화 유기물 및 담수에 포함되어 있던 부유물 등)를 흡입하여 별도로 처리한다.Further, a
본 발명에 따른 산화폭기부(100)는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산화조(112) 내부에 담수반사판(160)이 형성될 수 있다. 담수반사판(160)은 연결관(113)을 통해 이송되는 담수를 마찰시켜 튕겨내는 구성요소로서, 도 4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 형태로 형성되어 담수에 포함된 공기방울이 더욱 잘게 쪼개지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담수반사판(160)이 계단형태로 형성되면 연결관(113)을 통해 배출된 담수가 계단의 바닥면에 1차적으로 마찰되어 튕겨지고, 이렇게 튕겨진 담수는 계단의 측면에 2차적으로 계단의 측면에 마찰되어 튕겨진다. 이처럼 담수반사판(160)이 연결관(113)을 통해 이송되는 담수의 마찰을 최대화하여 담수에 포함된 공기방울이 더욱 잘게 쪼개지도록 할 수 있고, 이로써 담수와 오존의 산화 반응 면적을 최대화하여 산화 처리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4 and 5, a
이때 계단 형태의 담수반사판(160)의 바닥면이 제1 산화조(111)를 향하도록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바닥면이 제1 산화조(111)를 향하도록 기울어지면 더욱 많은 담수 및 공기방울이 계단 형태의 담수반사판(160)의 측면에 마찰될 수 있어 산화 처리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bottom surface of the step-shaped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산화조의 일부가 투시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산화조에서 물의 흐름이 나타난 상태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산화폭기펌프는 담수반사판(160)의 일측이 제2 산화조(112)의 내부면에 연결 형성되고, 담수반사판(160)의 타측이 제2 산화조(112)의 내부면에 연결되지 않도록 형성되며, 제2 산화조(112)에 담수배출구(115)가 형성되되 담수반사판(160)의 아래쪽에 위치할 수 있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art of the second oxidation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 state showing a flow of water in the second oxidation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the oxidizing and aeration pum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one side of the
이러한 구성에서 연결관(113)을 통해 제2 산화조(112)로 유입된 담수는 담수반사판(160)에서 튕긴 다음 최종적으로 제2 산화조(112)의 내부면과 담수반사판(160)이 연결되지 않은 공간(도 6 및 7에서 좌측 공간)을 통해 담수반사판(160)의 하부로 낙하한다. 이렇게 낙하된 담수는 최종적으로 담수배출구(115)를 통해 배출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제2 산화조(112)로 유입된 담수는 그 이송경로가 담수반사판(160)에 의해 길어지고, 이로 인해 제2 산화조(112)에서 담수와 오존이 산화 반응할 수 있는 시간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The fresh water flowing into the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산화폭기부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도, 도 9 및 10은 도 8에 따른 산화폭기부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산화폭기부(100)는 수위조절부(1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FIG. 8 is a configuration diagr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oxidizing width bas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9 and 10 are operational state diagrams of the oxidizing width base unit according to FIG. Referring to FIG. 8, the
수위조절부(180)는 제2 산화조(112)에 설치되는 담수배출파이프(181); 및 담수배출파이프(181)에 상하"?향으??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위조절파이프(18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water
담수배출파이프(181)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ㄴ'자 형성되고 제2 산화조 (112)의 외벽에 설치됨으로써, 제2 산화조(112)에 있는 담수가 담수배출파이프(181)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8, the fresh water discharged from the
수위조절파이프(18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자 형태로 담수배출파이프(181)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데, 수위조절파이프(182)가 담수배출파이프(181)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산화조(112)에 있는 담수는 수위조절파이프(182)으로 유입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수위조절파이프(182)의 높이에 따라 제2 산화조(112)의 수위가 조절된다. 도 9에 수위조절파이프(182)가 하방향으로 이동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 수위조절파이프(182)이 상방향으로 이동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8, the water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위조절파이프(182)이 상방향으로 이동하면 제2 산화조(112)의 수위가 상승하고, 제2 산화조(112)의 수위가 상승하면 공기배출구(114)와 가까워진다. 제2 산화조(112)의 수면부분에는 제1 산화조(111) 및 제2 산화조(112)에서 발생한 거품형태의 산화 유기물이 공기배출구(114)를 통해 배출되는데, 제2 산화조(112)의 수위가 상승하면 공기배출구(114)와의 거리가 가까워져 더욱 효과적으로 거품형태의 산화 유기물이 공기배출구(114)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10, when the water
이때 제2 산화조(112) 내부에 칸막이(116)가 형성될 수 있는데, 칸막이(116)에 의해 제2 산화조(112)가 두 부분으로 구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113), 공기배출구(114), 및 담수반사판(160)을 두 부분으로 구획된 제2 산화조(112)의 어느 한 부분에 위치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칸막이(116)가 형성되는 위치의 조절을 통해 거품형태의 유기물이 발생하고 배출되는 공간의 크기(너비)를 조절할 수 있다.At this time, a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dditions and substitu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and spirit of the invention as disclosed in the accompanying claims.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Therefore,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all of the equivalents or equivalents of the claims, as well as the following claims, I will say.
100: 산화폭기부 110: 산화조
111: 제1 산화조 112: 제2 산화조
113: 연결관 114: 공기배출구
115: 담수배출구 116: 칸막이
120: 폭기펌프 130: 오존이송관
140: 임펠러 150: 오존발생기
151: 오존이송관 160: 담수반사판
170: 스키머 171: 슬러지이송관
180: 수위조절부 181: 담수배출파이프
182: 수위조절파이프 200: 담수처리부
210: 담수유입관 220: 호기조
221: 제1 호기조 222: 제2 호기조
223: 구획판 224: 다공판
230: 제1 담수공급관 240: 제2 담수공급관
250: 제1 담수배출관 260: 제2 담수배출관
270: 담수방류관100: oxidation base portion 110: oxidizing tank
111: first oxidation tank 112: second oxidation tank
113: connector 114: air outlet
115: Fresh water outlet 116: Partition
120: aeration pump 130: ozone transfer pipe
140: impeller 150: ozone generator
151: ozone transfer pipe 160: fresh water reflector
170: Skimmer 171: Sludge conveyor
180: water level control unit 181: fresh water discharge pipe
182: water level control pipe 200: fresh water treatment unit
210: fresh water inflow pipe 220:
221: First arid group 222: Second ary group
223: partition plate 224: perforated plate
230: first fresh water supply pipe 240: second fresh water supply pipe
250: First fresh water discharge pipe 260: Second fresh water discharge pipe
270: Freshwater discharge pipe
Claims (7)
상기 담수처리부는
가두리 생활관의 담수가 유입되는 담수유입관;
상기 담수유입관에 연결되고 제1 호기조 및 제2 호기조로 구획되는 호기조;
상기 제1 호기조의 담수를 상기 산화폭기부에 공급하는 제1 담수공급관;
상기 제2 호기조의 담수를 상기 산화폭기부에 공급하는 제2 담수공급관;
상기 산화폭기부에서 배출되는 담수를 상기 제1 호기조로 공급하는 제1 담수배출관;
상기 산화폭기부에서 배출되는 담수를 상기 제2 호기조로 공급하는 제2 담수배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산화폭기부는
산화조;
상기 산화조의 외측에 설치되는 폭기펌프;
상기 폭기펌프와 연결되되 상기 산화조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폭기펌프의 동작에 의해 회전하는 임펠러;
상기 산화조가 제1 산화조 및 제2 산화조로 구획되고,
상기 폭기펌프가 상기 제1 산화조의 외측에 설치되며,
상기 임펠러가 상기 제1 산화조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산화조 및 제2 산화조를 연결하는 연결관이 형성되며,
상기 제2 산화조 내부에 하부에 담수반사판이 형성되되 상기 연결관의 출구 쪽에 위치하고,
상기 담수반사판은 계단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담수반사판의 일측이 상기 제2 산화조의 내부면에 연결 형성되고, 상기 담수반사판의 타측이 상기 제2 산화조의 내부면에 연결되지 않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2 산화조에 담수배출구가 형성되되 담수반사판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산화조 외부에 설치되는 오존발생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폭기펌프의 동작에 의해 상기 오존발생기에서 발생된 오존이 상기 산화조로 유입되도록 상기 오존발생기와 상기 제1 담수공급관, 상기 오존발생기와 상기 제2 담수공급관을 각각 연결하는 오존이송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폭기를 이용한 가두리 생활관의 담수처리장치.
An apparatus for desalination treatment in a cage living room using an oxidizing aeration comprising an oxidizing vapors part and a fresh water treatment part,
The fresh water treatment section
A fresh water inflow pipe into which the fresh water of the cage living room is introduced;
An aerobic tank connected to the fresh water inflow pipe and partitioned into a first aerobic tank and a second aerobic tank;
A first fresh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fresh water of the first aquarium to the oxidation-rich portion;
A second fresh water supply pipe for supplying fresh water of the second aquarium to the oxidation-rich portion;
A first fresh water discharge pipe for supplying fresh water discharged from the oxidizing vapors to the first aquarium;
And a second fresh water discharge pipe for supplying fresh water discharged from the oxidation-rich portion to the second oxic tank,
The oxidizing /
Oxidation tank;
An aeration pump provided outside the oxidation tank;
An impeller connected to the aeration pump and installed in the oxidation tank and rotated by the operation of the aeration pump;
The oxidation tank is divided into a first oxidation tank and a second oxidation tank,
The aeration pump is installed outside the first oxidation tank,
The impeller is installed inside the first oxidation tank,
A connection pipe connecting the first oxidation tank and the second oxidation tank is formed,
A fresh water reflection plate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oxidation vessel,
The fresh water reflector is formed in a stepped shape,
Wherein a first side of the fresh water reflector is connect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oxidation tank and the other side of the fresh water reflector is not connect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oxidation tank, and a fresh water outlet is formed in the second oxidation tank, Lt; RTI ID = 0.0 >
And an ozone generator provided outside the oxidation vessel,
And an ozone transfer pipe for connecting the ozone generator, the first fresh water supply pipe, the ozone generator and the second fresh water supply pipe to each other so that the ozone generated in the ozone generator flows into the oxidizer by the operation of the aeration pump A device for desalination treatment of cage living room using oxidizing aeration.
상기 제1 호기조에 다공판이 형성되고,
상기 다공판 상에 산호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폭기를 이용한 가두리 생활관의 담수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perforated plate is formed in the first aquarium,
And a coral yarn is provided on the perforated plate.
상기 제2 산화조의 상부에 공기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폭기를 이용한 가두리 생활관의 담수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n air outlet is formed in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oxidation tank.
상기 공기배출구를 통해 상기 제2 산화조에서 발생된 슬러지를 유입하는 스키머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폭기를 이용한 가두리 생활관의 담수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4,
And a skimmer for introducing the sludge generated in the second oxidation tank through the air outlet is formed.
상기 산화폭기부는 수위조절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위조절부는
상기 제2 산화조에 설치되는 담수배출파이프;
상기 담수배출파이프에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위조절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화폭기를 이용한 가두리 생활관의 담수처리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xidizing and aeration section further comprises a water level adjusting section,
The level-
A fresh water discharge pipe installed in the second oxidation tank;
And a water level control pipe installed on the fresh water discharge pipe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072715A KR101769595B1 (en) | 2016-06-10 | 2016-06-10 | Apparatus of sewage treatment of border barracks using oxidation aer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072715A KR101769595B1 (en) | 2016-06-10 | 2016-06-10 | Apparatus of sewage treatment of border barracks using oxidation aeration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769595B1 true KR101769595B1 (en) | 2017-08-18 |
Family
ID=59753348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60072715A Active KR101769595B1 (en) | 2016-06-10 | 2016-06-10 | Apparatus of sewage treatment of border barracks using oxidation aeration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769595B1 (en) |
Cited B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038836B1 (en) | 2019-04-11 | 2019-11-26 | 양동환 | Cage culture water treatment equipment |
| KR102120910B1 (en) * | 2019-02-14 | 2020-06-17 | 주식회사 지앤에이 | Eco-friendly Economic Seawater Purifier |
| KR20200126608A (en) | 2019-04-30 | 2020-11-09 | 장동혁 | A method of preparing a water purification agent by selecting minerals from rocksite sludge and mixing feldspar with limestone |
| KR20200126614A (en) | 2019-04-30 | 2020-11-09 | 장동혁 | A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a water purification agent by selecting minerals from fossil sludge and mixing feldspar |
-
2016
- 2016-06-10 KR KR1020160072715A patent/KR101769595B1/en active Active
Cited By (4)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120910B1 (en) * | 2019-02-14 | 2020-06-17 | 주식회사 지앤에이 | Eco-friendly Economic Seawater Purifier |
| KR102038836B1 (en) | 2019-04-11 | 2019-11-26 | 양동환 | Cage culture water treatment equipment |
| KR20200126608A (en) | 2019-04-30 | 2020-11-09 | 장동혁 | A method of preparing a water purification agent by selecting minerals from rocksite sludge and mixing feldspar with limestone |
| KR20200126614A (en) | 2019-04-30 | 2020-11-09 | 장동혁 | A method for the preparation of a water purification agent by selecting minerals from fossil sludge and mixing feldspar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769595B1 (en) | Apparatus of sewage treatment of border barracks using oxidation aeration | |
| JP2007509734A (en) |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 |
| RU2422380C1 (en) | Method of individual treatment of effluents and compact device to this end | |
| KR101868046B1 (en) | Hybrid odor removal having function of aeration | |
| JP2009233551A (en) | 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 |
| KR101729314B1 (en) | Oxidation aerator adjustable water level | |
| US20170129793A1 (en) | Ozone purification system for liquid effluent and wastewater systems | |
| KR101671199B1 (en) | Apparatus for on-site treating night soil in vessels | |
| JP4908875B2 (en) | Water quality improvement device | |
| JP2009090222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kitchen effluent treatment | |
| CN204097281U (en) | Ammonia nitrogen removing all-in-one | |
| JP3250175B2 (en) | Wastewater reuse equipment for detached houses | |
| KR101729316B1 (en) | Oxidation aerator | |
| KR20210097438A (en) | Organic matter and nitrogen treatment system using advanced UV treatment and low power consumption stirrer | |
| JP2003251317A (en) | Garbage treatment system | |
| KR101076329B1 (en) | Hydroxyl radical generator for fat and oil digestion | |
| KR102109711B1 (en) | Seawater and freshwater filtration | |
| CN205635034U (en) | Self -circulation ozone contact reactor | |
| CN206014624U (en) | A kind of multi-layer stacking formula sewage disposal purifier | |
| KR101308073B1 (en) | Lipolysis with ozone and hydroxyl radical removal device | |
| KR20130096408A (en) |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venturi tube | |
| CN207713443U (en) | A kind of domestic sewage treatment device | |
| JP5590926B2 (en) | Water transfer pump, water treatment device | |
| KR101602617B1 (en) | Sewage treatment plant | |
| KR102839896B1 (en) | Water recycling circulation system using eco-friendly water supply unit for household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610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6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2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7032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508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8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8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G170 |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 ||
| PG1701 | Publication of correction |
Patent event code: PG17011E01I Patent event date: 20201216 Comment text: Request for Publication of Correction Publication date: 2020122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1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2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