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9662B1 - Folding Structure for Means of Transportation - Google Patents
Folding Structure for Means of Transport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79662B1 KR101779662B1 KR1020150107685A KR20150107685A KR101779662B1 KR 101779662 B1 KR101779662 B1 KR 101779662B1 KR 1020150107685 A KR1020150107685 A KR 1020150107685A KR 20150107685 A KR20150107685 A KR 20150107685A KR 101779662 B1 KR101779662 B1 KR 1017796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cking
- shaft
- groove
- upper hinge
- hollow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7/00—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공을 갖고, 그 외부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샤프트가 관통되어 연결설치되는 두 개의 제1샤프트홈, 상기 제1샤프트홈과 이웃하도록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록킹부가 관통되어 연결설치되는 두 개의 제1록킹홈이 구비된 상부힌지; 및 길이방향으로 확장되되, 그 일측에 상기 제1샤프트홈을 관통하는 샤프트가 관통되어 연결설치되는 제2샤프트홈, 상기 제2샤프트홈과 이웃하도록 상기 제1록킹홈을 관통하는 록킹부와 관통되어 연결설치되는 제2록킹홈이 구비된 하부힌지를 포함하되; 상기 샤프트는 상부힌지의 제1샤프트홈 및 하부힌지의 제2샤프트홈을 관통하여 연결설치되고, 상기 록킹부는 상부힌지의 제1록킹홈 및 하부힌지의 제2록킹홈을 관통하여 연결설치된 것을 포함하는 폴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폴딩구조는 핸들과 보드가 연결되는 부분에서 유격이 발생하지 않고, 원터치로 핸들을 폴딩하여 휴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aft having two hollow shaft members, two first shaft grooves through which a shaft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connected to an outer side of the shaft member, and a locking member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as to be adjacent to the first shaft groove, An upper hinge having two first locking grooves; A second shaft groov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shaft penetrating through the first shaft groove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shaft groove, a locking portion passing through the first locking groove so as to be adjacent to the second shaft groove, And a lower hinge having a second locking groove connected to the lower hinge; The shaft is connected to the first shaft groove of the upper hinge and the second shaft groove of the lower hinge so that the shaft is connected to the first locking groove of the upper hinge and the second locking groove of the lower hinge, To a folding structure.
The fol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a clearance is not generated at a portion where a handle and a board are connected, and the folding structure can be folded with one touch and carri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수단용 폴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킥보드, 롤러보드, 자전거, 스쿠터 등의 이동수단에 구비된 조향부를 접을 수 있도록 하여 휴대가 용이하도록 한 폴딩구조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ing structure for a moving means, and more particularly, to a folding structure for folding a steering unit provided on a moving means such as a kickboard, a roller board, a bicycle,
일반적으로 킥보드, 롤러보드, 자전거, 스쿠터 등의 이동수단 중 조향부가 수직으로 형성된 것은 전/후 바퀴에 의해 지지되는 몸체, 예를 들면 보드와 주행방향을 조정하는 핸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Generally, of the moving means such as a kickboard, a roller board, a bicycle, a scooter and the like, the steering portion is vertically formed by a body supported by the front and rear wheels, for example, a handle for adjusting the running direction of the board.
특히, 킥보드, 롤러보드, 스쿠터 등은 조향부, 구체적으로 핸들을 조정하여 방향을 잡은 상태에서 보드에 발을 올리고 전/후 바퀴를 구동시켜 속도감을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된다. Particularly, a kickboard, a roller board, a scooter, etc. are configured to be able to enjoy the feeling of speed by raising the foot on the board while steering the steering part, specifically, steering the steering wheel.
그러나 전술한 킥보드 등의 이동수단은 조향부가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직립 형태로 구성되어 휴대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moving means such as a kickboard has a problem that the steering portion is formed in an upright shap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s not easy to carry.
이에 전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킥보드는 접이기구를 설치하여 킥보드를 접이하는바, 중국 특허 문헌 CN2425682에는 앞조종간은 조인트축 등 접이기구를 통하여 발판에 접이하는 방식으로 부피가 상대적으로 작게하여 사용하지 않을 경우 손으로 킥보드를 편리하게 들 수 있다. In order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problem, a general kickboard is provided with a folding mechanism to fold the kickboard. In Chinese patent document CN2425682, the front handle is folded on a footboard through a folding mechanism such as a joint shaft, If not, the kickboard can be handed in by hand.
하지만 이러한 킥보드는 일정한 무게가 있어 장기간 손으로 들 경우 사람을 피로하게 하고 휴대가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uch a kickboard has a certain weight, which causes fatigue and inconvenience to be carried by a person for a long period of time.
또한 국제특허 문헌 WO99/00290에는 발판과 손잡이는 모두 여러 개 단독적인 부분으로 구성되어 발판과 손잡이의 길이를 감소시키고 상기 단독부분 사이에 설치된 경첩이 각 단독부분을 상대적으로 회전하게 하며 상기 단독부분은 슬라이드 방식으로 신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방식은 킥보드의 치수를 감소시킬 수 있어 손으로 들거나 심지어 가방에 넣을 수도 있다.In addition, in WO99 / 00290, both the footrest and the handle are made up of several independent parts to reduce the length of the footrest and the handle, and the hinge provided between the individual parts causes the respective individual parts to rotate relatively, It can be expanded and contracted by a slide method. This can reduce the size of the kickboard, which can be carried by hand or even in the bag.
전술한 종래의 킥보드들은 발판, 즉 보드와 조향부가 폴딩 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되는 부분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형성되어 무게 중심이 이동되며, 조향부가 보드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경우 폴딩 가능하도록 연결설치되는 부분에 유격이 발생되어 주행 중 킥보드의 조향부가 흔들리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kickboards, a foot plate, that is, a portion to which the board and the steering unit are connected so as to be foldable, is formed in a sliding manner so that the center of gravity is shifted. In the case where the steering unit is vertically installed on the board, And the steering part of the kickboard may be shaken during runnin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핸들과 보드가 연결되는 부분에서 유격이 발생하지 않고, 원터치로 핸들을 폴딩하여 휴대 가능하도록 하는 폴딩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lding structure in which a handle is folded with one touch without causing a gap at a portion where a handle and a board are connected.
본 발명은The present invention
중공을 갖고, 그 외부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샤프트가 관통되어 연결설치되는 두 개의 제1샤프트홈, 상기 제1샤프트홈과 이웃하도록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록킹부가 관통되어 연결설치되는 두 개의 제1록킹홈이 구비된 상부힌지; 및A first shaft groove which is hollow and has a first shaft groove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shaft groove through which a shaft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inserted and which is connected to the outer side of the first shaft groove, An upper hinge having a locking groove; And
길이방향으로 확장되되, 그 일측에 상기 제1샤프트홈을 관통하는 샤프트가 관통되어 연결설치되는 제2샤프트홈, 상기 제2샤프트홈과 이웃하도록 상기 제1록킹홈을 관통하는 록킹부와 관통되어 연결설치되는 제2록킹홈이 구비된 하부힌지를 포함하되;A second shaft groove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shaft penetrating through the first shaft groove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shaft groove, and a locking portion passing through the first locking groove so as to be adjacent to the second shaft groove, And a lower hinge provided with a second locking groove to be connected thereto;
상기 샤프트는 상부힌지의 제1샤프트홈 및 하부힌지의 제2샤프트홈을 관통하여 연결설치되고, 상기 록킹부는 상부힌지의 제1록킹홈 및 하부힌지의 제2록킹홈을 관통하여 연결설치된 것을 포함하는 폴딩구조를 제공한다.
The shaft is connected to the first shaft groove of the upper hinge and the second shaft groove of the lower hinge so that the shaft is connected to the first locking groove of the upper hinge and the second locking groove of the lower hinge, Lt; / RTI >
본 발명에 따른 폴딩구조는 핸들과 보드가 연결되는 부분에서 유격이 발생하지 않고, 원터치로 핸들을 폴딩하여 휴대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The fol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that a clearance is not generated at a portion where a handle and a board are connected, and the folding structure can be folded with one touch and carri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구조가 적용된 이동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폴딩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ving means to which a fol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폴딩구조가 적용된 이동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폴딩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로서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oving means to which a fol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ol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중공을 갖고, 그 외부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샤프트(40)가 관통되어 연결설치되는 두 개의 제1샤프트홈(60), 상기 제1샤프트홈(60)과 이웃하도록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록킹부(30)가 관통되어 연결설치되는 두 개의 제1록킹홈(70)이 구비된 상부힌지(10); 및 길이방향으로 확장되되, 그 일측에 상기 제1샤프트홈(60)을 관통하는 샤프트(40)가 관통되어 연결설치되는 제2샤프트홈(61), 상기 제2샤프트홈(61)과 이웃하도록 상기 제1록킹홈(70)을 관통하는 록킹부(30)와 관통되어 연결설치되는 제2록킹홈(71)이 구비된 하부힌지(11)를 포함하되; 상기 샤프트(40)는 상부힌지(10)의 제1샤프트홈(60) 및 하부힌지(11)의 제2샤프트홈(61)을 관통하여 연결설치되고, 상기 록킹부(30)는 상부힌지(10)의 제1록킹홈(70) 및 하부힌지(11)의 제2록킹홈(70)을 관통하여 연결설치된 것을 포함하는 폴딩구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hich comprises two first shaft grooves (60) having hollows and connected to a shaft (40)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one side of the first shaft grooves (60) An upper hinge (10) having two first locking grooves (70) through which the extended locking portions (30) penetrate; A
본 발명에 따른 폴딩구조는 킥보드, 롤러보드, 자전거, 스쿠터 등의 이동수단에 구비된 조향부를 폴딩(folding) 가능하도록 하여 휴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폴딩구조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The fol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apable of folding a steering unit provided on a moving means such as a kickboard, a roller board, a bicycle, a scooter, or the like so as to facilitate carrying. An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a folding structure.
상기 폴딩구조는 조향부, 즉 핸들에 연결된 중공을 갖는 상부힌지(10)와 바퀴 등의 구동부가 연결된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하부힌지(11)가 서로 연결되어 상기 하부힌지(11) 및 하부힌지(11)의 연결부 일측을 축으로 하여 상부힌지(10)가 상/하로 움직이며 폴딩된다. The folding structure includes a
본 발명에 따른 상부힌지(10)는 그 일측이 이동수단의 조향부, 즉 핸들의 일측에 연결설치된다.One side of the
상기 상부힌지(10)는 중공을 갖고, 그 외부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샤프트(40)가 관통되어 연결설치되는 두 개의 제1샤프트홈(60), 상기 제1샤프트홈(60)과 이웃하도록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록킹부(30)가 관통되어 연결설치되는 두 개의 제1록킹홈(70)을 포함한다.The
이때, 상기 두 개의 제1샤프트홈(60) 및 두 개의 제1록킹홈(70)은 서로 대향되는 위치, 즉 서로 대향되는 상부힌지(10)의 벽면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the two first shaft grooves 60 and the two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상부힌지(10)는 하부힌지(11)의 일측이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의 일측 벽면에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측면홈(42)이 구비될 수 있다.The
상기 측면홈(42)의 상부힌지(10)가 폴딩될 경우 하부힌지(11)의 일부가 삽입되는 공간을 제공하여 상기 상부힌지(10)가 용이하게 폴딩되도록 한다.When the
본 발명에 따른 하부힌지(11)는 이동수단의 몸체의 일부 및 상부힌지(10)의 일측이 연결설치되어 이동수단의 몸체에 조향부가 서로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하부힌지(11)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The
바람직한 하부힌지(11)는 길이방향으로 확장되되, 그 일측에 상기 제1샤프트홈(60)을 관통하는 샤프트(40)가 관통되어 연결설치되는 제2샤프트홈(61), 상기 제2샤프트홈(61)과 이웃하도록 상기 제1록킹홈(70)을 관통하는 록킹부(30)와 관통되어 연결설치되는 제2록킹홈(71)을 포함한다.The
바람직한 제2샤프트홈(61) 및 제2록킹홈(71)의 위치는 상기 제2록킹홈(71)이 제2샤프트홈(61)의 하단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It is preferable that the
특정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하부힌지(11)는 그 외주면을 따라 상부힌지(10)의 내주면의 크기에 맞도록 홈이 형성된 오링홈(51) 및 상기 오링홈(51)에 연결설치되는 오링(50)을 포함한다.The
여기서, 상기 오링(50)은 상부힌지(10)가 하부힌지(11)에 대하여 접히지 않고, 수직으로 서있을 경우, 상부힌지(10)의 중공 내부에 위치하는 하부힌지(11)와 상부힌지(10의) 내벽면 사이의 유격을 제거하여 상부힌지(10)가 하부힌지(11)로부터 움직이는 것을 방지한다.When the
본 발명에 따른 샤프트(40)는 상기 상부힌지(10)의 제1샤프트홈(60) 및 하부힌지(11)의 제2샤프트홈(61)을 관통하여 연결설치된다.The
이때, 상기 샤프트(40)는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형태를 갖고, 두 개의 제1샤프트홈(60) 중 하나의 제1샤프트홈(60), 제2샤프트홈(61) 및 나머지 다른 하나의 제1샤프트홈(60)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상부힌지(10)가 상기 샤프트(40)를 축으로 하여 절첩 가능하도록 한다.At this time, the
본 발명에 따른 록킹부(30)는 상기 샤프트(40)를 축으로 폴딩되는 상부힌지(10)의 폴딩여부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갖는 록킹부(30)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The
바람직한 록킹부(30)는 중공을 갖는 상부힌지(10)에 구비되는 두 개의 제1록킹홈(70) 중 하나의 제1록킹홈(70)에 관통되어 연결설치되는 중공의 록킹허브(13);The
상기 록킹허브(13)가 연결설치되는 제1록킹홈(70)의 타측 제1록킹홈(70)에 연결설치되는 중공(72)을 갖는 록킹 고정수단(14);Locking means (14) having a hollow (72) connected to the other first locking groove (70) of the first locking groove (70) to which the locking hub (13) is connected;
상기 록킹 고정수단(14)의 중공(72)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록킹바(20);A longitudinally extending
상기 록킹바(20)의 일측에 연결설치되어 록킹바(20)가 록킹 고정수단(14)으로 이동하는 힘을 제공하는 탄성체(21); 및An
상기 록킹허브(13)의 중공을 관통하여 록킹바(20)에 연결설치되어 록킹바(20)를 록킹 고정수단(14)의 중공으로부터 탈락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록킹버튼(23)을 포함한다.A
여기서, 상기 탄성체(21)는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Here, it is recommended that the
또한, 상기 록킹버튼(23)은 상기 탄성체(21)로 사용되는 스프링의 중공을 통과하여 록킹허브(13)에 연결설치되는 것이 좋고, 이러한 경우, 상기 록킹버튼(23)을 당겨 상기 록킹버튼(23)에 연결설치된 록킹허브(13)가 록킹 고정수단(14)의 중공으로부터 탈락되도록 한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폴딩구조는 킥보드, 전기보드, 모터보드, 전동 스쿠터, 자전거 등 등 소형 이동수단 또는 이동기구에 적용하여 몸체와 연결되는 조향부가 흔들림없이 단단히 고정되며, 원터치로 이동수단의 조향부를 접을 수 있도록 하여 휴대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fold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structure is applied to a small moving means or a moving mechanism such as a kickboard, an electric board, a motor board, an electric scooter, a bicycle and the like so that the steering portion connected to the body is firmly fixed without shaking, The steering portion of the means can be folded to facilitate carrying.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두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all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 : 상부힌지 11 : 하부힌지
13 : 록킹허브 14 : 록킹고정수단
15 : 록킹체결홈
20 : 록킹바 21 : 탄성체
23 : 록킹버튼 30 : 록킹부
40 : 샤프 42 : 측면홈
50 : 오링 51 : 오링홈
60 : 제1샤프트홈 61 : 제2샤프트홈
70 : 제1록킹홈 71 : 제2록킹홈10: upper hinge 11: lower hinge
13: Locking hub 14: Locking means
15: Locking fastening groove
20: Locking bar 21: Elastic body
23: Locking button 30:
40: Sharp 42: Side groove
50: O-ring 51: O-ring groove
60: first shaft groove 61: second shaft groove
70: first locking groove 71: second locking groove
Claims (5)
길이방향으로 확장되되, 그 일측에 상기 제1샤프트홈을 관통하는 샤프트가 관통되어 연결설치되는 제2샤프트홈, 상기 제2샤프트홈과 이웃하도록 상기 제1록킹홈을 관통하는 록킹부와 관통되어 연결설치되는 제2록킹홈이 구비된 하부힌지를 포함하되;
상기 샤프트는 상부힌지의 제1샤프트홈 및 하부힌지의 제2샤프트홈을 관통하여 연결설치되고, 상기 록킹부는
중공을 갖는 상부힌지에 구비되는 두 개의 제1록킹홈 중 하나의 제1록킹홈에 관통되어 연결설치되는 중공의 록킹허브;
상기 록킹허브가 연결설치되는 제1록킹홈의 타측 제1록킹홈에 연결설치되는 중공을 갖는 록킹 고정수단;
상기 록킹 고정수단의 중공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록킹바;
상기 록킹바의 일측에 연결설치되어 록킹바가 록킹 고정수단으로 이동하는 힘을 제공하는 탄성체; 및
상기 록킹허브의 중공을 관통하여 록킹바에 연결설치되어 록킹바를 록킹 고정수단의 중공으로부터 탈락시킬 수 있도록 하는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록킹버튼으로 구성되어 상부힌지의 제1록킹홈 및 하부힌지의 제2록킹홈을 관통하여 연결설치된 것을 포함하는 폴딩구조.
A first shaft groove which is hollow and has a first shaft groove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shaft groove through which a shaft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inserted and which is connected to the outer side of the first shaft groove, An upper hinge having a locking groove; And
A second shaft groove extending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nd having a shaft penetrating through the first shaft groove to be connected to the first shaft groove, and a locking portion passing through the first locking groove so as to be adjacent to the second shaft groove, And a lower hinge provided with a second locking groove to be connected thereto;
The shaft is connected to the first shaft groove of the upper hinge and the second shaft groove of the lower hinge so as to be connected,
A hollow locking hub connected to and connected to one of the two first locking grooves provided in the upper hinge having the hollow;
A locking fixing means having a hollow connected to the other first locking groove of the first locking groove to which the locking hub is connected;
A longitudinally extending locking bar inserted and fixed in the hollow of the locking and fixing means;
An elastic body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ocking bar to provide a force to move the locking bar to the locking and fixing means; And
And a locking button extending through the hollow of the locking hub and connected to the locking bar to allow the locking bar to be removed from the cavity of the locking and securing means. The first locking groove of the upper hinge and the second locking of the lower hinge A folding structure comprising a connection through a groove.
상기 상부힌지는 하부힌지의 일측이 삽입될 수 있도록 중공의 일측 벽면에 길이방향으로 확장된 측면홈이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폴딩구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hinge includes side grooves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ide wall of the hollow so that one side of the lower hinge can be inserted.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07685A KR101779662B1 (en) | 2015-07-30 | 2015-07-30 | Folding Structure for Means of Transport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07685A KR101779662B1 (en) | 2015-07-30 | 2015-07-30 | Folding Structure for Means of Transportation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014383A KR20170014383A (en) | 2017-02-08 |
| KR101779662B1 true KR101779662B1 (en) | 2017-09-18 |
Family
ID=58155322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107685A Active KR101779662B1 (en) | 2015-07-30 | 2015-07-30 | Folding Structure for Means of Transportation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779662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00040412A (en) * | 2018-10-10 | 2020-04-20 | 이창규 | Folding Structure for Means of Transportation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22183Y1 (en) | 2000-10-19 | 2001-05-02 | 박상근 | A folding device of a quick-board |
| US20020063411A1 (en) * | 2000-11-29 | 2002-05-30 | Pin-Chieh Feng | Foldable tricycle |
| KR100928688B1 (en) | 2009-06-26 | 2009-11-27 | 주식회사 엠스키 | Tricycle kickboard folding |
-
2015
- 2015-07-30 KR KR1020150107685A patent/KR101779662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22183Y1 (en) | 2000-10-19 | 2001-05-02 | 박상근 | A folding device of a quick-board |
| US20020063411A1 (en) * | 2000-11-29 | 2002-05-30 | Pin-Chieh Feng | Foldable tricycle |
| KR100928688B1 (en) | 2009-06-26 | 2009-11-27 | 주식회사 엠스키 | Tricycle kickboard folding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00040412A (en) * | 2018-10-10 | 2020-04-20 | 이창규 | Folding Structure for Means of Transportation |
| KR102123161B1 (en) | 2018-10-10 | 2020-06-15 | 이창규 | Folding Structure for Means of Transportation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014383A (en) | 2017-02-08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9045190B2 (en) | Two-wheeled self-balancing motorized personal vehicle with tilting wheels | |
| US8936033B2 (en) | Walking apparatus | |
| CN107531304B (en) | Deformable folding electric scooter | |
| US9580131B1 (en) | Foldable child's tricycle and folding method thereof | |
| KR20180053308A (en) | Foldable stroller | |
| KR20180030532A (en) | Folding wagon | |
| TWI551502B (en) | Multi-function scooter | |
| KR20150115767A (en) | Multi-passenger tricycle | |
| CN207875891U (en) | A kind of retractable supports part of scooter | |
| US9474665B1 (en) | Detachable electric wheelchair | |
| TWI757899B (en) | Stroller | |
| KR20120030621A (en) | Stroller | |
| WO2019101238A3 (en) | Stroller | |
| KR101779662B1 (en) | Folding Structure for Means of Transportation | |
| US8720936B1 (en) | Twin baby carriage | |
| GB2483873A (en) | A stair climbing attachment unit for a pram | |
| KR101477459B1 (en) | Folding type apparatus for walking assistance | |
| KR100928688B1 (en) | Tricycle kickboard folding | |
| US9517785B2 (en) | Apparatus for conveying goods and/or a person | |
| KR20180019461A (en) | Folding Structure for Means of Transportation | |
| US20130149032A1 (en) | Fixing member for vehicle frame joint of scooter | |
| KR102123161B1 (en) | Folding Structure for Means of Transportation | |
| EP3395609B1 (en) | Child car seat | |
| KR101477458B1 (en) | Folding type apparatus for walking assistance | |
| KR200196568Y1 (en) | Structure of scooter handl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30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9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3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083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09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09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6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6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1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