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72006B1 - Bouncer for infant - Google Patents

Bouncer for infa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2006B1
KR101772006B1 KR1020160087374A KR20160087374A KR101772006B1 KR 101772006 B1 KR101772006 B1 KR 101772006B1 KR 1020160087374 A KR1020160087374 A KR 1020160087374A KR 20160087374 A KR20160087374 A KR 20160087374A KR 101772006 B1 KR101772006 B1 KR 101772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face
seat
head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737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재민
이상민
이영은
이영주
박고은
이종하
Original Assignee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87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200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2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2006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10Rocking-chairs; Indoor Swings ; Baby bouncers
    • A47D13/102Rocking-chairs; Indoor Swings ; Baby bouncers with curved rocking members resting on the groun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47D15/005Restraining devices, e.g. safety belts, contoured cushions or side bump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유아용 바운서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유아용 바운서는 중공으로 형성되는 테두리프레임부와, 테두리프레임부를 지지하는 베이스부 및 테두리프레임부에 장착되고, 유아의 다리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다리홀부와 유아의 얼굴부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얼굴홀부가 구비되는 시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invention relating to a baby bouncer is disclosed. The disclosed child bouncer includes a frame frame portion formed in a hollow shape, a base portion supporting the frame frame portion, and a face hole portion formed in a leg hole portion formed to insert a leg portion of the infant and a face portion of the infant, And a seat portion which is provided.

Description

유아용 바운서{BOUNCER FOR INFANT}Baby Bounters {BOUNCER FOR INFANT}

본 발명은 유아용 바운서(BOUNCER)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아가 엎드리는 자세로 안착되는 유아용 바운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ild bouncer (BOUNC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child bouncer in which a child is seated in a lying position.

일반적으로, 유아를 돌보기 위하여 많은 도구를 사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유모차, 유아 욕조, 유아용 베개, 유아용 쏘서 및 유아용 바운서 등 매우 다양하다.In general, many tools are used to care for infants. For example, baby strollers, infant baths, infant pillows, baby shovels, and baby bouncers vary greatly.

이와 같은 유아용품들은 유아를 안전하게 보호하면서 돌볼 수 있는 도구이거나, 유아에게 안락감을 주면서 유아를 돌보는 보호자의 편의 또한 도모할 수 있는 도구이다. These infant items are tools that can safely protect and safeguard the infant, or it is a tool for the caregiver who cares for the infant while giving comfort to the infant.

유아용 바운서는 유아를 눕힌 시트를 설정된 몇 가지 동작 중 하나로 움직이게 하거나 진동을 발생하여 유아에게 안락감을 주는 방식, 음악 또는 효과음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여 유아에게 안락감을 주는 방식 및 유아를 눕힌 시트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방식 중 1 이상을 채용하는 구조이다.The baby bouncer can be used to move the infant seat to one of several set motions or to provide comfort to the infant by generating vibration, a method of outputting music or sound effect through the speaker to give comfort to the infant and the slope of the infant seat And a method for adjusting the temperature of the liquid.

종래의 유아용 바운서는 유아가 바운서 본체부에 등을 대고 누워 있는 구조로 제작이 되고, 엎드리는 자세를 취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The conventional infant banner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infant is laid down on the back of the bouncer main body and is unable to take a lying position.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improvement.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공개특허공보 제10-1991-0019563호(1991.12.19 공개, 발명의 명칭: 아기용 바운서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Background Art [0002] The 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1991-0019563 (published on Dec. 19, 1991, entitled "Baby Bouncer Devic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체부에 유아가 엎드린 자세를 취할 수 있도록, 얼굴부가 안착되는 얼굴홀부와 유아의 다리부가 삽입되는 다리홀부가 구비되는 시트부에 의하여 유아가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는 유아용 바운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by carriage having a face portion in which a face portion on which a face portion is seated and a leg hole portion in which a leg portion of an infant is inserted,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child restraint system that can take a comfortable posture.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바운서는: 중공으로 형성되는 테두리프레임부; 상기 테두리프레임부를 지지하는 베이스부; 및 상기 테두리프레임부에 장착되고, 유아의 다리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다리홀부와 유아의 얼굴부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얼굴홀부가 구비되는 시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hild bi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im frame part formed in a hollow; A base portion supporting the frame portion; And a seat portion mounted on the frame portion and having a leg hole portion formed to receive a leg portion of a child and a face hole portion configured to receive a face portion of the infant.

본 발명에서 유아용 바운서는, 상기 시트부에 안착되는 유아의 몸통부를 에워싸도록 상기 시트부에 설치되는 몸통벨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hild binder further includes a body belt portion provided on the seat portion so as to surround the body portion of the infant seated on the seat portion.

본 발명에서, 상기 몸통벨트부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belt portion is adjustable in length.

본 발명에서, 상기 몸통벨트부는 유아의 몸통부에 대면되도록 중앙부에 몸통쿠션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ody belt portion is provided with a body cushion portion at a center portion so as to face the body portion of the infant.

본 발명에서, 상기 시트부에는 상기 얼굴홀부를 둘러싸면서 유아의 얼굴부와의 접촉 시 충격을 완충하는 얼굴쿠션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 portion is provided with a face cushion portion that surrounds the face hole portion and buffers an impact upon contact with the face portion of the infant.

본 발명에서, 유아용 바운서는, 상기 시트부에 엎드린 유아의 머리부를 에워싸도록 상기 시트부에 설치되는 머리벨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ant bather further includes a head belt portion provided on the seat portion so as to surround the head portion of the infant lying on the seat portion.

본 발명에서, 상기 머리벨트부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 belt portion is adjustable in length.

본 발명에서, 상기 머리벨트부는 유아의 머리부에 대면되도록 중앙부에 머리쿠션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 belt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head cushion portion is provided at a center portion so as to face the head portion of the infant.

본 발명에서, 상기 다리홀부는 한 쌍의 안착홀부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leg hole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of seat holes ar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본 발명에서, 유아용 바운서는,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고, 상기 테두리프레임부에 진동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바운서.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ant banger further includes a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base unit and providing vibration to the frame frame unit.

본 발명에서, 유아용 바운서는,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고, 상기 얼굴홀부를 통과한 유아의 얼굴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시각적인 영상이 출력되는 영상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fant bather further includes an image output unit connected to the base unit and disposed at a position opposite to a face portion of the infan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ace hole unit, and outputs a visual image do.

본 발명에서, 유아용 바운서는, 상기 베이스부와 연결되고, 음향이 출력되는 음향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hild bouncer may further include an acoustic output unit connected to the base unit and outputting sound.

본 발명에서, 상기 시트부는, 상기 시트부의 하단에 유아의 다리가 걸쳐지도록 다리받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leg-rest portion is formed so that a leg of the infant is spread on the lower end of the seat portion.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바운서는 유아의 얼굴부가 안착되는 얼굴홀부와, 유아의 다리가 삽입되는 다리홀부가 구비되어 유아가 엎드리는 자세를 취할 시 안정감과 편안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The child bi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ace hole portion in which a face portion of an infant is seated and a leg hole portion in which a baby's leg is inserted, thereby providing a sense of stability and comfort when the infant is in a lying position.

또한, 몸통벨트부와 머리벨트부가 시트부에 설치되어 유아가 뒤로 넘어가는 것을 방지한다.Further, the body belt portion and the head belt portion are provided on the seat portion to prevent the infant from falling backward.

또한, 얼굴홀부를 통과한 유아의 얼굴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영상출력부가 배치되도록 하여 시각적인 요소를 통하여 유아의 주의를 끌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image output unit is dispos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face portion of the infan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ace-hole portion, so that the infant can be attracted to the user through a visual element.

또한, 음향출력부에서 나오는 음악 등으로 인하여 유아가 바운서에 있는 동안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music output from the sound output unit allows the infant to feel a sense of security while being in the boun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바운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바운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바운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바운서에 유아가 엎드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바운서에 유아가 누운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hild bi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hild bi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of a child bi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fant lying on a child bounc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fant lying on a child bi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아용 바운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hild ben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process, the thicknesses of the lines and the sizes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the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바운서(1)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바운서(1)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바운서(1)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바운서(1)에 유아가 엎드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바운서(1)에 유아가 누운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ild bind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hild bind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showing a child bounc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aby is lying on a child bounc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fant lying on the infant's bounc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바운서(1)는 테두리프레임부(100), 시트부(200), 베이스부(300), 몸통벨트부(400a), 몸통쿠션부(400b), 머리벨트부(500a), 머리쿠션부(500b), 구동부(600), 영상출력부(700), 음향출력부(800)를 포함한다.1 to 5, a child bounce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frame part 100, a seat part 200, a base part 300, a body belt part 400a, A cushion unit 400b, a head belt unit 500a, a head cushion unit 500b, a driving unit 600, an image output unit 700, and an audio output unit 800. [

테두리프레임부(100)는 중공으로 형성되고, 베이스부(300)와 결합된다. 테두리프레임부(100)는 타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The frame frame part 100 is hollow and is coupled to the base part 300. The frame part 100 may be formed in an elliptical shape and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shapes.

시트부(200)는 다리홀부, 얼굴홀부(220), 얼굴쿠션부(230), 다리받침부(240)를 포함한다. 시트부(200)는 테두리프레임부(100)에 장착되도록 형성된다. 시트부(200)는 테두리프레임부(100)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테두리프레임부(100)를 둘러싸며 시트부(200)와 지퍼형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테두리프레임부(100)에 고리부(도면 미도시)가 돌출되고 시트부(200)에 걸이부(도면 미도시)가 설치되어 결착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The seat portion 200 includes a leg hole portion, a face hole portion 220, a face cushion portion 230, and a leg support portion 240. The seat portion 200 is formed to be mounted on the frame portion 100. The seat portion 200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frame portion 100 and may surround the frame portion 100 and may be coupled to the seat portion 200 in a zippered manner. A ring portion (not shown) may protrude from the frame portion 100 and a hanger portion (not shown) may be provided on the seat portion 200 and may be coupled in a binding manner.

다리홀부는 유아가 시트부(200)를 바라보며 엎드릴 시 다리가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다리홀부는 한 쌍의 안착홀부(215)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유아가 한 개의 홀부에 두 다리를 모두 삽입하는 경우에 비하여 유아가 다리홀부로 빠지거나 부상을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leg hole portion is formed such that the leg is inserted when the infant looks up at the seat portion 200 and looks up. The leg hole portion is formed such that a pair of seat hole portions 215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is can prevent the infant from falling into the leg hole portion or being injured as compared with the case where the infant inserts both legs into one hole portion.

얼굴홀부(220)는 유아가 시트부(200)를 바라보며 엎드릴 시 유아의 얼굴부가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유아가 엎드리는 경우, 안면이 개방되도록 하여 안락하고 편안함이 제공되는 효과가 있다. The face hole portion 220 is formed so that the face portion of the infant is seated when the infant looks up and looks at the seat portion 200. When the infant falls down, the face is opened to provide comfort and comfort.

얼굴쿠션부(230)는 얼굴홀부(220)를 둘러싸면서 유아의 얼굴부와의 접촉 시 충격을 완충하는 것으로 이마보호쿠션부(231), 볼보호쿠션부(233), 목보호쿠션부(23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아의 얼굴부가 얼굴홀부(220)에 접촉하는 경우에 이마, 볼, 목 등이 시트부(200)와의 접촉하는 경우에 자극을 덜 받도록 한다. 이마보호쿠션부(231), 볼보호쿠션부(233), 목보호쿠션부(235)는 시트부(200)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고, 탈부착 형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face cushion part 230 surrounds the face hole part 220 and cushions an impact upon contact with the face part of the infant so as to cover the forehead protection cushion part 231, the ball protection cushion part 233, the neck protection cushion part 235 ). In addition, when the face of the infan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ace hole portion 220, the forehead, the ball, the neck, and the like are less likely to receive stimulation when they contact the seat portion 200. The forehead protecting cushion 231, the ball protecting cushion 233 and the neck protecting cushion 235 may be integrally coupled to the seat 200 and may be detachably coupled.

다리받침부(240)는 시트부(200)의 하단에 유아의 다리가 걸쳐지도록 형성된다. 다리받침부(240)는 유아의 다리부를 받치도록 받침쿠션부(도면부호 미설정)가 형성될 수 있다. 유아용 바운서(1)는 유아가 엎드리는 것뿐만 아니라 시트부(200)에 유아의 등을 대면하는 방식으로 유아가 누울 수 있다. 이로 인해 유아부의 다리가 시트부(200) 외부로 나와도 다리받침부(240)가 유아의 다리를 받쳐줌으로써 안정감을 느끼도록 한다. The footrest portion 240 is formed so that the foot of the infant is spread on the lower end of the seat portion 200. The leg rest 240 may be formed with a cushion portion (not shown) so as to support the leg portion of the infant. The infant can lie down in such a manner that the infant turns on the seat portion 200 as well as the baby falls on the infant seat. Accordingly, even when the leg of the infant part is brought out of the seat part 200, the leg rest part 240 supports the leg of the infant so that a sense of security is felt.

베이스부(300)는 테두리프레임부(100)를 지지하는 것으로, 테두리프레임부(100)가 중심을 잃지 않도록 받쳐주도록 형성된다. The base part 300 supports the frame part 100 and is formed to support the frame part 100 so as not to lose its center.

몸통벨트부(400a)는 시트부(200)에 안착되는 유아의 몸통부를 에워싸도록 시트부(200)에 설치된다. 몸통벨트부(400a)는 시트부(200)와 버튼식 또는 부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몸통벨트부(400a)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유아의 체형에 맞게 유아의 몸통부를 에워쌀 수 있다. The body belt portion 400a is installed on the seat portion 200 so as to surround the body portion of the infant which is seated on the seat portion 200. [ The body belt portion 400a may be coupled with the seat portion 200 in a button or attachable manner. The body belt portion 400a is adjustable in length. As a result, the body of the infant can be folded to fit the infant's body shape.

몸통쿠션부(400b)는 유아의 몸통부에 대면되도록 몸통벨트부(400a)의 중앙부에 설치된다. 몸통쿠션부(400b)는 부착 또는 버튼방식으로 몸통벨트부(400a)와 결합될 수 있다. 몸통쿠션부(400b)는 유아의 엉덩이를 받쳐주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body cushion part 400b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body belt part 400a so as to face the body part of the infant. The body cushion part 400b can be engaged with the body belt part 400a in an attaching or button manner. The body cushion part 400b may be formed in a shape to support the hip of the infant.

머리벨트부(500a)는 시트부(200)에 안착되는 유아의 머리부를 에워싸도록 시트부(200)에 설치된다. 머리벨트부(500a)는 시트부(200)와 버튼식 또는 부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머리벨트부(500a)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이로 인해 유아의 체형에 맞게 유아의 머리부를 에워쌀 수 있다.The head belt portion 500a is installed on the seat portion 200 so as to surround the head portion of the infant seated on the seat portion 200. [ The head belt portion 500a may be coupled with the seat portion 200 in a button or an attachment manner. The length of the head belt portion 500a is adjustable so that the head portion of the infant can be folded to fit the infant's body shape.

머리쿠션부(500b)는 유아의 머리부에 대면되도록 머리벨트부(500a)의 중앙부에 설치된다. 머리쿠션부(500b)는 부착 또는 버튼방식으로 머리벨트부(500a)와 결합될 수 있다. 머리쿠션부(500b)는 유아의 머리를 에워싸는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head cushion part 500b is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head belt part 500a so as to face the head part of the infant. The head cushion part 500b can be engaged with the head belt part 500a in an attaching or button manner. The head cushion part 500b is formed in a shape to surround the head of the infant.

구동부(600)는 베이스부(300)에 연결되며, 테두리프레임부(100)와 연결되어 테두리프레임부(100)에 미세하게 진동을 제공한다. 구동부(600)가 미세하게 진동을 제공함으로 인하여, 유아가 엄마의 품에 안겨 가볍게 흔들어지는 효과를 주고, 이로 인해 유아에게 편안함과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구동부(600)는 모터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부(600)에 의해 테두리프레임부(100)는 360도 회전할 수 있다.The driving unit 600 is connected to the base unit 300 and is connected to the frame unit 100 to provide minute vibration to the frame unit 100. Since the driving unit 600 finely provides the vibration, the infant can be lightly shaken in the mother's bosom, thereby providing comfort and security to the infant. The driving unit 600 may be a motor or the like. The frame part 100 can be rotated 360 degrees by the driving part 600. [

영상출력부(700)는 베이스부(300)에 연결되고, 얼굴홀부(220)를 통과한 유아의 얼굴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영상출력부(700)를 통해 유아에게 시각적 안정감을 주는 영상을 보여줌으로써 유아의 시선을 집중시키고 안정감을 주는 효과가 있다.The video output unit 700 is connected to the base unit 300 and is dispos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face portion of the infant which has passed through the face hole unit 220. The image output unit 700 displays an image giving a visual stability to the infant, thereby concentrating the gaze of the infant and providing a sense of stability.

음향출력부(800)는 베이스부(300)와 연결되고, 음향출력부(800)를 통해 음악이나, 백색소음이 발생된다. 이로 인해 유아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효과가 있다.The sound output unit 800 is connected to the base unit 300, and music or white noise is generated through the sound output unit 800. This has the effect of giving psychological stability to the infant.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바운서(1)의 작동원리 및 효과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principle and effects of the child bounce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테두리프레임부(100)는 중공으로 형성되고 베이스부(300)와 연결된다. 시트부(200)는 유아가 안착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테두리프레임부(100)에 장착된다. 시트부(200)와 테두리프레임부(100)는 버튼식 혹은 부착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The frame part 100 is hollow and connected to the base part 300. The seat portion 200 is formed so that the infant can be seated, and is mounted on the frame portion 100. The seat portion 200 and the frame portion 100 may be coupled by a button or an attaching method.

시트부(200)에는 유아의 다리부가 삽입되도록 다리홀부가 형성되고유아의 얼굴부가 안착되도록 얼굴홀부(220)가 형성된다. 이로 인해 시트부(200)에 유아가 엎드려 안착될 시 안정감과 편안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The seat portion 200 is formed with a leg hole portion for inserting a leg portion of an infant and a face hole portion 220 for seating a face portion of the infant. Accordingly, when the infant is laid down on the seat portion 200, the seat 200 is provided with a sense of stability and comfort.

유아가 안착되면, 시트부(200)에 설치되는 몸통벨트부(400a)는 유아의 몸통부를 에워싸고, 반대편 시트부(200)에 결합부(도면부호 미설정)와 버튼식 혹은 부착식으로 결합된다. 몸통벨트부(400a)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유아의 체형에 맞게 다양하게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When the infant is seated, the body belt portion 400a provided on the seat portion 200 surrounds the body portion of the infant and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ortion (not shown) on the opposite seat portion 200 in a button- do. Since the body belt portion 400a can be adjusted in length,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suit the body shape of the infant.

또한, 몸통벨트부(400a)의 중앙부에는 몸통쿠션부(400b)가 설치되고, 유아의 몸통부와 대면하여 몸통벨트부(400a)가 유아와 접촉하여 발생되는 자극을 최소화하고, 유아의 몸통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며, 유아가 갑작스럽게 뒤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 body cushion portion 400b is provid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body belt portion 400a, and a stimulus generated when the body belt portion 400a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fant is minimized while facing the body portion of the infant, And it ha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infant from suddenly turning backward.

유아가 안착되면, 시트부(200)에 설치되는 머리벨트부(500a)는 유아의 머리부를 에워싸고 반대편 시트부(200)에 결합부(도면부호 미설정)와 버튼 혹은 부차식으로 결합된다. 머리벨트부(500a)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유아의 체형에 맞게 다양하게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When the infant is seated, the head belt portion 500a provided on the seat portion 200 surrounds the head portion of the infant and is coupled to the opposite seat portion 200 in a button or sub-combination with a coupling portion (not shown). Since the length of the head belt portion 500a can be adjuste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suit the body shape of the infant.

또한, 머리벨트부(500a)의 중앙부에는 머리쿠션부(500b)가 설치되고, 유아의 머리부와 대면하여 머리벨트부(500a)가 유아와 접촉하여 발생되는 자극을 최소화하고, 유아의 머리부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키며, 유아의 고개가 갑작스럽게 뒤로 젖혀져서 발생할 수 있는 부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a head cushion part 500b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head belt part 500a. The head cushion part 500b faces the head part of the infant so as to minimize the irritation generated when the head belt part 500a contacts the infant, And has an effect of preventing injuries that may occur due to sudden backward tilting of an infant's head.

유아가 엎드려 시트부(200)에 안착되는 경우에 유아의 다리부는 다리홀부에 삽입되며, 다리홀부는 한 쌍의 안착홀부(215)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유아의 두 다리가 하나의 홀부에 동시에 삽입되는 것보다 한 쌍의 안착홀부(215)에 삽입되는 것이 유아가 하나의 홀부 아래로 통과하여 발생할 수 있는 부상을 방지하고 유아에게 안착 시 안정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When the infant is seated on the seat portion 200, the leg portion of the infant is inserted into the leg hole portion, and the leg hole portion is formed such that the pair of seat hole portions 215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s a result, the two legs of the infant are inserted into the pair of seat holes 215 rather than being simultaneously inserted into one hole, thereby preventing an injury that may occur due to the infant passing under one of the holes. There is an effect to provide.

유아가 엎드려 시트부(200)에 안착되는 경우에 유아의 얼굴부는 얼굴홀부(220)와 접촉하게 되며, 얼굴홀부(220)의 둘레를 따라 얼굴쿠션부(230)가 배치된다. 얼굴쿠션부(230)는 얼굴홀부(220)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고,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When the infant is seated on the seat part 200, the face part of the infan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ace hole part 220, and the face cushion part 230 is dispos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face hole part 220. The face cushion 230 may be integrally coupled to the face hole 220 and may be detachably attached.

얼굴쿠션부(230)는 유아의 얼굴부와 접촉하는 부위에 따라 이마보호쿠션부(231), 볼보호쿠션부(233), 목보호쿠션부(235)를 포함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유아의 얼굴부가 받는 충격을 완화하고, 유아의 피부가 얼굴홀부(220)와 접촉할 시 발생하는 자극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된다.The face cushion 230 may include a forehead protection cushion 231, a ball protection cushion 233 and a neck protection cushion 235 depending on the area of contact with the face of the infant, And is formed of a material that can mitigate the impact of the facial portion and minimize the irritation that occurs when the skin of the infan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acial hall portion 220.

다리받침부(240)는 시트부(200)의 하단에 형성되고, 유아가 엎드려 안착되는 경우 외에도 시트부(200)에 유아의 등을 대면하여 눕는 경우에 다리를 받치도록 하여 유아에게 편안함과 안정감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The leg support portion 240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seat portion 200. In addition to the case where the infant is seated on the seat portion 200, the leg support portion 240 supports the leg when the infant is lying on the seat portion 200, .

베이스부(300)는 테두리프레임부(100)를 지지한다. 이로 인해 테두리프레임부(100)에 장착된 시트부(200)에 유아가 안착되더라도 특정방향으로 쏠려 넘어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The base portion 300 supports the frame portion 100. Therefore, even if the infant is seated on the seat part 200 mounted on the frame part 100, it is not stuck in a specific direction and is stably supported.

구동부(600)는 베이스부(300)와 결합되고, 테두리프레임부(100)에 진동을 제공한다. 구동부(600)로 인해 테두리프레임부(100)가 전 방향으로 진동이 가능하며, 360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로 인해 시트부(200)에 안착되는 유아에게 심리적 안정감과 편안함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The driving unit 600 is coupled to the base unit 300 and provides vibration to the frame unit 100. [ The frame part 100 can be vibrated in all directions by the driving part 600 and rotated 360 degrees. Accordingly, there is an effect that psychological stability and comfort are provided to the infant who is seated on the seat portion 200.

영상출력부(700)는 베이스부(300)에 연결되고, 얼굴홀부를 통과한 유아의 얼굴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이로 인해 유아에게 시각적 영상을 출력하여 보여줌으로써, 시각을 통한 심리적 안정감 혹은 주의를 끌 수 있도록 한다.The video output unit 700 is connected to the base unit 300 and is disposed at a position opposite to the face portion of the infan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ace hole unit. Thus, a visual image is output to the infant so as to display psychological stability Or to attract attention.

음향출력부(800)는 베이스부(300)에 연결되며, 유아가 시트부(200)에 안착되고, 백색소음 혹은 음악 등을 출력한다. The audio output unit 800 is connected to the base unit 300, and the infant is seated on the seat unit 200 and outputs white noise or music.

백색소음은 넓은 주파수 범위에서 거의 일정한 주파수 스펙트럼을 가지는 신호로 특정한 청각패턴을 갖지 않고 단지 전체적인 소음레벨로서 받아들이는 소음을 말한다. 백색소음은 귀에 쉽게 익숙해지기 때문에 오히려 주변 소음을 덮어주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백색소음으로 인해 유아는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한다.White noise refers to noise that has a frequency spectrum that is almost constant over a wide frequency range and that does not have a specific auditory pattern but is accepted only as an overall noise level. Because white noise is easily accustomed to the ear, it has the effect of covering the surrounding noise. This white noise makes the infant feel psychologically stabl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 will understand. Accordingly,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1: 유아용 바운서
100: 테두리프레임부
200: 시트부
215: 안착홀부
220: 얼굴홀부
230: 얼굴쿠션부
231: 이마보호쿠션부
233: 볼보호쿠션부
235: 목보호쿠션부
240: 다리받침부
300: 베이스부
400a: 몸통벨트부
400b: 몸통쿠션부
500a: 머리벨트부
500b: 머리쿠션부
600: 구동부
700: 영상출력부
800: 음향출력부
1: Baby Bouncer
100:
200: seat portion
215:
220:
230: face cushion part
231: Forehead protection cushion part
233: Ball protection cushion part
235: Neck protection cushion
240: leg support portion
300: base portion
400a: body belt section
400b: body cushion part
500a: head belt portion
500b: head cushion part
600:
700: Video output unit
800: Acoustic output unit

Claims (13)

중공으로 형성되는 테두리프레임부;
상기 테두리프레임부를 지지하는 베이스부; 및
상기 테두리프레임부에 장착되고, 유아의 다리부가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다리홀부와 유아의 얼굴부가 안착되도록 형성되는 얼굴홀부가 구비되는 시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바운서.
A frame frame portion formed in a hollow shape;
A base portion supporting the frame portion; And
And a seat portion mounted on the frame portion and having a leg hole portion formed to receive a leg portion of the infant and a face hole portion formed to receive a face portion of the infa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에 안착되는 유아의 몸통부를 에워싸도록 상기 시트부에 설치되는 몸통벨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바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body belt portion provided on the seat portion so as to surround the body portion of the infant seated on the seat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벨트부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바운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body belt portion is adjustable in length.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벨트부는 유아의 몸통부에 대면되도록 중앙부에 몸통쿠션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바운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body belt portion is provided with a body cushion portion at a central portion so as to face the body portion of the infa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에는 상기 얼굴홀부를 둘러싸면서 유아의 얼굴부와의 접촉 시 충격을 완충하는 얼굴쿠션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바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at portion is provided with a face cushion portion which surrounds the face hole portion and cushions an impact upon contact with the face portion of the infa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에 엎드린 유아의 머리부를 에워싸도록 상기 시트부에 설치되는 머리벨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바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head belt portion provided on the seat portion so as to surround the head portion of the infant lying on the seat por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벨트부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바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head belt portion is adjustable in length.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벨트부는 유아의 머리부에 대면되도록 중앙부에 머리쿠션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바운서.
8.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head belt portion is provided with a head cushion portion at a central portion so as to face the head portion of the infa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홀부는 한 쌍의 안착홀부가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바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g hole portion is formed such that a pair of seat hol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고, 상기 테두리프레임부에 진동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바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base unit and providing vibration to the frame frame unit.
제1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 연결되고, 상기 얼굴홀부를 통과한 유아의 얼굴부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시각적인 영상이 출력되는 영상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바운서.
11.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10,
And an image output unit connected to the base unit and disposed at a position opposite to a face portion of the infan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ace hole unit and outputs a visual image.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와 연결되고, 음향이 출력되는 음향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바운서.
12. The method of claim 11,
And an acoustic output unit connected to the base unit and outputting sou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는,
상기 시트부의 하단에 유아의 다리가 걸쳐지도록 다리받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바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eat portion,
And a footrest portion is formed on the lower end of the seat portion so that the foot of the infant is spread.
KR1020160087374A 2016-07-11 2016-07-11 Bouncer for infant Expired - Fee Related KR10177200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374A KR101772006B1 (en) 2016-07-11 2016-07-11 Bouncer for infa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374A KR101772006B1 (en) 2016-07-11 2016-07-11 Bouncer for infa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2006B1 true KR101772006B1 (en) 2017-08-29

Family

ID=59759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374A Expired - Fee Related KR101772006B1 (en) 2016-07-11 2016-07-11 Bouncer for infa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200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65287B1 (en) * 2024-09-30 2025-02-06 유진희 Baby body pillow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4967Y1 (en) 2014-08-27 2014-10-27 박현식 The multifunctional blanket with holes for baby
EP3028605A1 (en) 2013-03-15 2016-06-08 Thorley Industries LLC Driven infant sea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28605A1 (en) 2013-03-15 2016-06-08 Thorley Industries LLC Driven infant seat
KR200474967Y1 (en) 2014-08-27 2014-10-27 박현식 The multifunctional blanket with holes for baby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65287B1 (en) * 2024-09-30 2025-02-06 유진희 Baby body pillow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47922A (en) Pillow apparatus
CN107205555B (en) Head restraint
US7997465B2 (en) Baby swaddler
KR102377913B1 (en) Multi Function Baby Carrier Package
KR101922307B1 (en) Inner wrapper for baby
KR20200048690A (en) Multifunctional baby equipment using 3D air mesh
KR20120027744A (en) Auxiliary support for wheelchair
KR101772006B1 (en) Bouncer for infant
RU2670055C1 (en) Functional mat for promoting deep sleep of children
KR20140005410U (en) Fillow for baby
KR101382636B1 (en) Child safety seat for dental chair
KR200474275Y1 (en) Multipurpose infants seat
KR100969900B1 (en) Variable belt length mechanism, carrying and holding tool with it
JP3199808U (en) Thigh stabilization holder
KR101640056B1 (en) Feeding and care seat
KR101447831B1 (en) Multipurpose Infants Podaegi
JP2006141680A (en) Baby carrier
JP3725610B2 (en) Baby bag combined with waist bag
JP4879169B2 (en) Infant / infant support
JP7001339B2 (en) Seat mats for childcare equipment
KR200437288Y1 (en) Baby seating equipment
KR200322104Y1 (en) A Pillow and Cushion Set for Lactation
JP2017012324A (en) Thigh stabilizing retainer
JP2004268893A (en) Body holder attachable to chair
KR200281678Y1 (en) Cushion for Lactation and slee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4082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40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