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72267B1 - Resonator for vehicle - Google Patents

Resonator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2267B1
KR101772267B1 KR1020150055091A KR20150055091A KR101772267B1 KR 101772267 B1 KR101772267 B1 KR 101772267B1 KR 1020150055091 A KR1020150055091 A KR 1020150055091A KR 20150055091 A KR20150055091 A KR 20150055091A KR 101772267 B1 KR101772267 B1 KR 101772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outer pipe
air
resonance chamber
resona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509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16556A (en
Inventor
이정욱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16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655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2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2267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02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reson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1N2210/00Combination of methods of silencing
    • F01N2210/02Resonance and interfer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파수를 튜닝하기 위한 공명실을 구비하고 공기의 유입 통로인 유입구와 공기의 유출 통로인 유출구의 직경이 서로 다르게 구성되는 공명기로서, 상기 유입구가 형성된 제 1 외부 파이프 및 상기 유출구가 형성된 제 2 외부 파이프를 가지는 외부 파이프, 상기 외부 파이프의 내부에 배치되고, 공기의 이동 통로를 제공하는 복수의 슬릿을 구비하는 내부 파이프 및 외주 일부의 직경이 확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외부 파이프와 내부 파이프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공명실을 복수 개로 구분하는 확관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확관 파이프의 일단은, 공기의 이동 통로인 간격이 형성되도록 상기 외부 파이프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하게 배치되는 차량용 공명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onator having a resonance chamber for tuning a frequency and having an inlet port as an air inlet channel and an outlet port as an outflow channel of the air, the first external pipe having the inlet and the outlet An outer pipe having a first outer pipe, an outer pipe having a second outer pipe, an inner pipe disposed inside the outer pipe and having a plurality of slits for providing a moving path of air, And one end of the expanding pipe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outer pipe so as to form an interval which is a movement path of the air. The resonator includes a plurality of resonance chambers, .

Description

차량용 공명기{Resonator for vehicle}Resonato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공명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외부 파이프와 내부 파이프 사이에 복수의 절곡부가 형성되는 확관 파이프가 삽입되어 상기 공명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입구와 유출구의 직경 차이가 크더라도 상기 확관 파이프에 의하여 주파수를 튜닝하는 공명실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므로, 공기의 주파수 튜닝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공명기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onator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sonator having a plurality of bends formed between an outer pipe and an inner pipe inserted therein so that a difference in diameter between an inlet and an outlet of air passing through the resonator is larg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sonator for a vehicle that can improve the degree of freedom in tuning the frequency of air.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흡기 시스템에는 에어 클리너(Air cleaner), 터보 챠저(Turbo-charger), 인터쿨러(Inter-cooler), 에어 덕트(Air duct) 및 엔진 메니폴더(Engine manifolder)가 구비되고, 상기 흡기 시스템에 의하여 내연기관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는 팽창과 압축을 반복하면서 흡기 맥동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흡기 맥동 현상은 공기의 압력 변화에 따라 소음을 유발하고, 특히 차체 또는 차량의 실내 공간에서 공기의 공진 현상에 의해 더욱 큰 소음 유발의 원인이 되었다.Generally, an intake system of an automobile is provided with an air cleaner, a turbocharger, an intercooler, an air duct, and an engine manifolder, The external air introduced into the internal combustion engine by the system repeatedly expands and compresses, causing the intake pulsation. Such a pulsation of the intake air causes noise according to the pressure change of the air, and in particular, caused a resonance phenomenon of the air in the vehicle body or the interior space of the vehicle, resulting in a larger noise.

이러한 흡기 소음을 억제하기 위하여 에어 클리너와 흡기 매니폴드를 연결하는 흡기 호스에는, 흡기계를 특정 주파수로 튜닝(tunning)하기 위한 공명기(resonator)가 설치된다. In order to suppress such intake noise, a resonator is installed in the intake hose connecting the air cleaner and the intake manifold, for tuning the intake system to a specific frequency.

종래 기술에 따른 공명기의 일 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16275호(2006. 11. 15. 공개)에 개시되는 공명기는, 외형을 형성하는 외부 파이프와, 상기 외부 파이프의 내부에 설치되고 공기의 이동 통로를 제공하는 내부 파이프로 구성된다. 상기 외부 파이프와 내부 파이프 사이의 공간에는 공기의 주파수를 튜닝하여 소음을 저감하는 공명실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 파이프에는 상기 공명실로 공기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슬릿이 형성된다. 즉, 상기 내부 파이프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슬릿을 통하여 공명실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공명실로 이동된 공기는 주파수의 튜닝이 수행되어 공기의 소음 저감이 이루어질 수 있다.As an example of a resonato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a resonator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06-0116275 (published on November 15, 2006) includes an outer pipe forming an outer shape, And an internal pipe that is installed and provides a passage for air. A resonance chamber for reducing noise by tuning the frequency of air is formed in the space between the outer pipe and the inner pipe, and a slit for guiding the movement of air to the resonance chamber is formed in the inner pipe. That is, the air flowing into the inner pipe moves to the resonance chamber through the slit, and the frequency of the air moved to the resonance chamber is tuned to reduce the noise of the air.

다만, 이러한 공명기는, 공명실의 개수가 제한되므로 외부 공기의 주파수 튜닝 작업이 넓은 대역에 걸쳐서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상기 공명기는 제한된 공명실의 개수를 가지므로 주파수의 튜닝 자유도가 낮아서 외부 공기의 소음 저감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However, such a resonator has a problem that the frequency tuning of the outside air can not be performed over a wide band because the number of resonance chambers is limited. That is, since the resonator has a limited number of resonance chambers, the tuning freedom of the frequency is low, so that noise reduction of the outside air can not be smoothly performed.

종래 기술에 따른 공명기의 다른 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7460호(2011. 01. 24. 공개)에는, 공기의 입구와 출구의 직경이 서로 다르게 구성되는 공명기가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공기의 출구인 유출구의 직경이 서로 다르게 구성된다면, 상기 외부 파이프와 결합하는 내부 파이프는 일정 각도로 경사지는 부분이 형성되도록 제조될 필요가 있다.As another example of a resonator according to the prior art,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1-0007460 (published on Jan. 24, 2011) discloses a resonator in which the diameters of the inlet and outlet of the air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Generally, if the diameter of the air inlet and the diameter of the outlet of the air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inner pipe coupled with the outer pipe needs to be manufactured so as to form an inclined portion at an angle.

다만, 공기의 이동 통로인 입구와 출구의 직경이 1.4 내지 1.5배 이상의 차이가 발생하게 되면, 상기 내부 파이프의 확관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제조상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기 내부 파이프의 경사진 부분은 제한된 공간에서 형성되므로, 상기 경사진 부분에 주파수의 튜닝을 위한 슬릿을 제조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However, there is a manufacturing problem that if the diameter of the inlet and the outlet, which are air passages, differ by 1.4 to 1.5 times or more, the internal pipe can not be easily expanded. In addition, since the inclined portion of the inner pipe is formed in a limited space, it is difficult to manufacture a slit for tuning the frequency at the inclined portion.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116275호(2006. 11. 15. 공개) 참조.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6-0116275 (published on November 15, 2006).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7460호(2011. 01. 24. 공개) 참조.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07460 (disclosed on Jan. 24, 2011).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한계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공기의 입구와 출구의 직경 차이가 크게 형성되는 공명기의 내부 공간에 확관 파이프가 삽입되고, 상기 확관 파이프는 외부 파이프 또는 내부 파이프와 결합하는 결합부와 공명실을 형성하는 복수의 절곡부가 형성되므로, 공기의 주파수 튜닝 자유도를 높일 수 있고 상기 공명기의 제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차량용 공명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sonator having a large diameter difference between an inlet and an outlet of air,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bject of providing a resonator for a vehicle which can increase the degree of freedom in tuning the frequency of air and facilitate the manufacture of the resonator since a plurality of bending portions forming a resonance chamber are formed.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주파수를 튜닝하기 위한 공명실을 구비하고 공기의 유입 통로인 유입구와 공기의 유출 통로인 유출구의 직경이 서로 다르게 구성되는 공명기로서, 상기 유입구가 형성된 제 1 외부 파이프 및 상기 유출구가 형성된 제 2 외부 파이프를 가지는 외부 파이프, 상기 외부 파이프의 내부에 배치되고, 공기의 이동 통로를 제공하는 복수의 슬릿을 구비하는 내부 파이프 및 외주 일부의 직경이 확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외부 파이프와 내부 파이프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공명실을 복수 개로 구분하는 확관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확관 파이프의 일단은, 공기의 이동 통로인 간격이 형성되도록 상기 외부 파이프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하게 배치되는 차량용 공명기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resonator having a resonance chamber for tuning a frequency, the resonance chamber having an inlet port, which is an inlet port for air, and an outlet port, which is an outlet port for air, An outer pipe having an outer pipe and a second outer pipe with the outlet formed therein, an inner pipe disposed inside the outer pipe and having a plurality of slits for providing a path for air movement, And an expansion pipe inserted between the outer pipe and the inner pipe and dividing the resonance chamber into a plurality of pipes, wherein one end of the expansion pipe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pip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by providing an on-vehicle resonator.

제안되는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 파이프와 내부 파이프 사이에 확관 파이프가 삽입되고, 상기 확관 파이프와 외부 파이프 사이에 공기의 이동 통로인 간격이 형성되므로 공명실의 개수가 증가하여 주파수의 튜닝 자유도가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n expansion pipe is inserted between an outer pipe and an inner pipe, and a gap, which is a passage of air, is formed between the expansion pipe and the outer pipe, the number of resonance chambers increases, There are advantages.

또한, 상기 간격이 형성되는 공명실은 높은 주파수를 가지는 공기를 흡수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resonance chamber in which the gap is formed has an advantage that air having a high frequency can be absorbed.

또한, 상기 공명기의 입구와 출구의 직경 차이가 크더라도 상기 확관 파이프의 일단이 상기 외부 파이프와 결합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공명기의 내부에 공명실을 제조하는 것이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diameter difference between the inlet and the outlet of the resonator is large, it is not necessary that one end of the pipe is coupled to the outer pipe, so that it is easy to manufacture the resonance chamber in the resonator.

또한, 상기 공명기의 입구와 출구가 서로 다른 직경으로 형성되더라도 내부 파이프에 경사진 부분을 제조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공명기의 내부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Further, even if the inlet and the outlet of the resonator are formed to have diameters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re is no need to manufacture an inclined portion in the inner pipe, so that the inner space of the resonator can be efficiently used.

또한, 상기 외부 파이프, 내부 파이프 및 확관 파이프는 서로 용접을 통해 기밀하게 결합되므로 외부 공기의 누설이 방지되어 흡기 소음 저감의 효율이 극대화 되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outer pipe, the inner pipe, and the expanding pipe are herme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welding, leakage of outside air is prevented, thereby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reducing intake nois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명기의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상기 공명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의 Ⅰ-Ⅰ'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Ⅱ-Ⅱ'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명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이동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제 1 공명실을 구성하는 복수의 파이프의 크기와, 상기 제 1 공명실로 공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간격의 크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상기 제 1 공명실로 이동되는 공기의 주파수에 따른 소음 저감량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son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A and 2B are exploded views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resonator.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5 is a view showing a flow of air passing through a reson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ize of a plurality of pipes constituting the first resonance chamber and the size of the interval for guiding the movement of air to the first resonance chamber.
FIG. 7 is a graph showing a noise reduction amount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air moving to the first resonance chamber.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essential structure and operation are not limited thereb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명기의 사시도이고, 도 2a는 상기 공명기를 구성하는 세부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분해도이며, 도 2b는 상기 공명기의 일 구성요소인 확관 파이프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공명기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 1의 Ⅰ-Ⅰ' 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Ⅱ-Ⅱ' 부분의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son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a)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detailed components of the resonator, and FIG. 2 (b)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panding pipe, which is a component of the resonator.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of FIG. 1 to show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resonator, and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II' of FIG.

본 발명에 따른 공명기(1)는, 외형 일부를 구성하는 제 1 외부 파이프(10) 및 외형의 다른 일부를 구성하는 제 2 외부 파이프(2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외부 파이프(10)의 단부 직경(A)과 상기 제 2 외부 파이프(20)의 단부 직경(B)은 서로 다른 값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외부 파이프의 단부 직경(A)은 상기 제 2 외부 파이프의 단부 직경(B) 보다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외부 파이프(10)는 단부는 공기의 유입 통로인 유입구(15)이고, 상기 제 2 외부 파이프(20)의 단부는 공기의 유출 통로인 유출구(45)일 수 있다. The resona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outer pipe 10 constituting a part of the outer shape and a second outer pipe 20 constituting another part of the outer shape. The end diameter A of the first outer pipe 10 and the end diameter B of the second outer pipe 20 may have different values. For example, the end diameter A of the first outer pipe may be greater than the end diameter B of the second outer pipe. The end of the first outer pipe 10 may be an inlet port 15 and the end of the second outer pipe 20 may be an outlet port 45 which is an outlet port of the air.

상기 제 1 외부 파이프(10)와 상기 제 2 외부 파이프(20)의 내부 공간에는 내부 파이프(40)가 삽입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외부 파이프의 단부 직경(A)이 상기 제 2 외부 파이프의 단부 직경(B) 보다 1.4배 내지 1.5배 이상의 크기를 가진다면, 상기 내부 파이프(40)의 일단이 상기 외부 파이프(10, 20) 중 어느 하나에 결합하는 것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없다.An inner pipe (40) can be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first outer pipe (10) and the second outer pipe (20). At this time, if the end diameter (A) of the first outer pipe is 1.4 times to 1.5 times the end diameter (B) of the second outer pipe, one end of the inner pipe (40) (10, 20).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외부 파이프(10, 20)와 내부 파이프(40) 사이에 확관 파이프(30)가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외부 파이프(10, 20)의 내부 공간에는 확관 파이프(30)가 삽입되고, 상기 확관 파이프(30)의 내부 공간에는 내부 파이프(40)가 삽입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an expansion pipe 30 may be inserted between the outer pipe 10, 20 and the inner pipe 40. Specifically, an inner pipe 4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outer pipe 10, 20, and an inner pipe 4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pipe 30.

상기 확관 파이프(30)는, 공기가 통과하기 위한 중공(31a)이 형성되는 제 1 절곡부(31), 상기 내부 파이프(40)와 결합하는 내부 결합부(32) 및 상기 외부 파이프(10, 20)와 결합하는 챔버 형성부(33)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절곡부(31)의 일단은 상기 내부 결합부(32)와 연결되고, 상기 제 1 절곡부(31)의 타단은 구부러질 수 있다. The expansion pipe 30 includes a first bent portion 31 formed with a hollow 31a for passing air therethrough, an inner coupling portion 32 engaged with the inner pipe 40, And a chamber forming part (33) for coupling with the chamber forming part (20). One end of the first bent portion 31 is connected to the inner coupling portion 32,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bent portion 31 can be bent.

상기 제 1 절곡부(31), 내부 결합부(32) 및 챔버 형성부(33)는 서로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즉, 상기 확관 파이프(30)는 부품의 생산 단계에서 금형을 통해 확관이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The first bent portion 31, the inner engaging portion 32, and the chamber forming portion 33 may be integrally combined with each other. That is, the pipe 30 can be manufactured in such a manner that the pipe is expanded through the mold at the production stage of the part.

상기 제 1 절곡부(31)의 타단은, 상기 제 1 외부 파이프(10)의 연장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절곡부(31)는 상기 제 1 외부 파이프(1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절곡부(31)는, 상기 제 1 외부 파이프(10)에 대해 공기의 이동 통로인 간격(L)을 두고 이격하게 배치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 1 절곡부(31)와 제 1 외부 파이프(10) 사이에는 공기의 이동 통로를 제공하는 간격(L)이 형성되고, 상기 간격(L)을 통해 공명실(100)로 유입된 공기는 주파수의 튜닝 작업이 이루어짐에 따라 소음이 저감될 수 있다.The other end of the first bent portion 31 may be bent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outer pipe 10. Therefore, the first bent portion 31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outer pipe 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at is, the first bent portion 31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outer pipe 10 with a space L, which is a passage for air movement. In other words, an interval L for providing a moving path of air is formed between the first bent portion 31 and the first outer pipe 10, and the air is introduced into the resonance chamber 100 through the gap L The noise can be reduced as the tuning operation of the frequency is performed.

상기 챔버 형성부(33)는 공기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내부 결합부(32)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 2 절곡부(331), 상기 제 2 절곡부(331)와 직교 방향으로 연결되고 상기 외부 파이프(10, 20)와 결합하는 외부 결합부(333) 및 상기 외부 결합부(333)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제 3 절곡부(332)를 포함한다. 상기 제 3 절곡부(332)의 말단부는 내부 파이프(40)와의 결합이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제조의 편의상 구부러질 수 있다.The chamber forming part 33 includes a second bending part 331 bent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internal coupling part 32 with reference to a moving direction of air, a second bending part 331 bending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bending part 331 And an outer engaging portion 333 connected to the outer pipe 10 and 20 and a third bending portion 332 bent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outer engaging portion 333. The distal end of the third bent portion 332 may be bent for the convenience of manufacturing so that the end portion of the third bent portion 332 can be easily coupled with the inner pipe 40.

상기 제 2 절곡부(331)와 제 3 절곡부(332)의 높이(M)는 상기 제 1 절곡부(31)의 높이(N) 보다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 상기 제 1 절곡부(31)와 제 1 외부 파이프(10) 사이에 공기의 이동 통로인 간격(L)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The height M of the second bent portion 331 and the third bent portion 332 may be relatively larger than the height N of the first bent portion 31. Therefore, a gap L, which is a passage for air, can be formed between the first bent portion 31 and the first outer pipe 10.

종래에는,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의 직경이 다른 경우, 상기 내부 파이프가 외부 파이프에 직접 결합되기 위하여 경사진 부분이 형성되어야 하였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확관 파이프(30)에 의해 경사진 부분 없이도 상기 내부 파이프(40)와 외부 파이프(10, 20)의 결합이 가능하므로 상기 공명기(1)의 제조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 내부 파이프의 경사진 부분에 공기의 이동 통로인 슬릿이 형성되어야 하였지만, 상기 슬릿을 제조하기 위한 공간이 부족하여 상기 슬릿의 제조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슬릿 대신에 상기 외부 파이프(10, 20)와 확관 파이프(30) 사이에 간격(L)을 형성하여 공기의 이동 통로를 제공할 수 있으므로 상기 공명기(1)의 내부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Conventionally, when the diameters of the inlet and the outlet are different, a sloping portion has to be formed in order for the inner pipe to be directly coupled to the outer pip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ner pipe 40 and the outer pipes 10 and 20 can be coupled with each other without inclined portions by the pipe 30, it is possible to easily manufacture the resonator 1 . In addition, although a slit, which is a passage of air, has been formed in the inclined portion of the inner pipe in the related ar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easy to manufacture the slit due to insufficient space for manufacturing the slit. In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the slit, a space L may be formed between the outer pipes 10 and 20 and the pipe 30 to provide a passage for air, so that the inner space of the resonator 1 Can be used more efficiently.

상기 내부 파이프(40)에는, 상기 간격(L)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복수의 슬릿(41)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복수의 슬릿(41)은 공기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유입구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 1 슬릿(411) 및 상기 제 1 슬릿(411)과 소정 거리 이격하게 배치되는 제 2 슬릿(412)을 포함한다.The inner pipe 40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slits 41 having the same function as the gap L. [ Specifically, the plurality of slits 41 may include a first slit 411 disposed adjacent to the inlet, a second slit 411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slit 411, 412).

또한, 상기 외부 파이프(10, 20)와 내부 파이프(40) 사이에는 외부 공기의 주파수를 조절하는 공명실(100)이 구비된다. 상기 공명실(100)은 상기 외부 파이프(10, 20)와 내부 파이프(40) 사이에 삽입되는 확관 파이프(30)에 의하여 복수 개의 공간으로 구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명실(100)은 공기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제 1 절곡부(31)와 제 2 절곡부(331) 사이에 형성되는 제 1 공명실(110), 상기 제 2 절곡부(331)와 제 3 절곡부(332) 사이에 형성되는 제 2 공명실(120) 및 제 3 절곡부(332), 제 2 외부 파이프(20) 및 내부 파이프(40) 사이에 형성되는 제 3 공명실(130)을 포함한다.A resonance chamber 100 for adjusting the frequency of external air is provided between the external pipes 10 and 20 and the internal pipe 40. The resonance chamber 10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spaces by an expansion pipe 30 inserted between the outer pipes 10 and 20 and the inner pipe 40. Specifically, the resonance chamber 100 includes a first resonance chamber 110 formed between the first bent portion 31 and the second bent portion 331, and a second resonance chamber 110 formed between the first bent portion 31 and the second bent portion 331, Which is formed between the second resonance chamber 120 and the third bend section 332 formed between the third bend section 331 and the third bend section 332 and the second outer pipe 20 and the inner pipe 40, And a resonance chamber 130.

상기 제 1 공명실(110)은 상기 간격(L)과 연통되고, 상기 제 2 공명실(120)은 상기 제 1 슬릿(411)과 연통된다. 또한 상기 제 3 공명실(130)은 상기 제 2 슬릿(412)과 연통되어 공기의 주파수 튜닝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first resonance chamber 110 is communicated with the gap L and the second resonance chamber 120 is communicated with the first slit 411. Also, the third resonance chamber 130 may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second slit 412 to perform frequency tuning of the air.

이하에서는 상기 공명기(1)를 통과하는 외부 공기의 이동 경로 및 상기 공명기(1)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파이프가 서로 결합되는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movement path of the external air passing through the resonator 1 and the manner in which a plurality of pipes forming the resonator 1 are coupled together will be described.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명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이동 흐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flow of air passing through a reson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공명기(1)는 복수 개의 파이프가 서로 용접된 상태로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확관 파이프(30)와 제 1 외부 파이프(10) 및 제 2 외부 파이프(20)의 결합(a), 상기 확관 파이프(30)와 내부 파이프(40)의 결합(b) 및 상기 제 2 외부 파이프(20)와 내부 파이프(40)의 결합(c)은 원주 방향을 따라 모두 용접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용접 방식을 통해 상기 복수 개의 파이프가 서로 기밀하게 결합되므로 외부 공기의 누설이 방지되어 흡기 소음 저감의 효율이 극대화 되는 효과가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resona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such that a plurality of pipes are welded to each other. Specifically, the connection (a) between the pipe 30 and the first outer pipe 10 and the second outer pipe 20, the connection (b) between the pipe 30 and the inner pipe 40, 2 The coupling (c) of the outer pipe (20) and the inner pipe (40) is performed by welding all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Since the plurality of pipes are herme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the welding method, leakage of outside air is prevented, thereby maximizing efficiency of intake noise reduction.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복수 개의 파이프가 서로 용접 방식에 의해 결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결합 방식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복수 개의 파이프가 서로 기밀하게 결합되는 방식이라면 용접 방식이 아닌 다른 결합 방식이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위에서 설명한 방식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파이프가 서로 기밀하게 결합되어 소음을 저감하는 공명기(1)가 조립체로서 완성된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lurality of pipes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the welding method. However, the coupling method is not limited thereto. In the case where the plurality of pipes are airtightly coupled to each other, It is also possibl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the resonator 1 in which the plurality of pipes are hermetically coupled to each other to reduce noise is completed as an assembly.

한편, 종래 기술에 따른 공명기는 제조상의 문제점 때문에 공명실의 개수가 제한되어 있었다. 이에 비해 본 실시 예에 따른 공명기는, 종래의 공명기 구조와 달리 용이하게 주파수를 튜닝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On the other hand, the resonator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has a limited number of resonance chambers due to manufacturing problems. In contrast, the reson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tructure capable of easily tuning the frequency, unlike the conventional resonator structure.

다만, 높은 주파수를 가지는 공기가 상기 제 1 공명실(110)에 유입되기 위해 상기 복수의 파이프(10, 20, 30, 40)의 크기는 일정 수치 비율로 제한될 수 있다. However, the size of the plurality of pipes 10, 20, 30, and 40 may be limited to a certain numerical value in order for air having a high frequency to flow into the first resonance chamber 110.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공명실(110)은 제 1 외부 파이프(10)의 일부와, 상기 제 1 외부 파이프(1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하게 배치되는 제 1 절곡부(31)와, 상기 제 1 절곡부(31)의 연장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절곡부(331)와, 일단이 상기 제 1 절곡부(31)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절곡부(331)에 연결되는 내부 결합부(32)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으로 형성된다.6, the first resonance chamber 110 includes a portion of the first outer pipe 10, a first bent portion 31 dispos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outer pipe 10, A second bent portion 331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bent portion 31 and a second bent portion 331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bent portion 31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econd bent portion 331, And an inner engaging portion 32 connected to the inner engaging portion 32.

상기 제 1 공명실(110)이 높은 주파수를 가지는 공기를 흡수하기 위한 설계 조건은 다음과 같다.The design conditions for absorbing air having a high frequency in the first resonance chamber 110 are as follows.

먼저, 상기 제 1 외부 파이프(10)의 직경(D1)은, 상기 내부 결합부(32)의 직경(D2)의 1.4 내지 1.6배의 값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내부 결합부(32)의 높이(W)는, 상기 내부 결합부(32)의 직경(D2)의 0.3배의 값을 가진다. 또한, 상기 간격의 폭(L)은, 상기 내부 결합부(32)의 직경(D2)의 0.04 내지 0.12배의 값을 가진다.The diameter D1 of the first outer pipe 10 has a value 1.4 to 1.6 times the diameter D2 of the inner engaging portion 32. [ The height W of the inner engaging portion 32 is 0.3 times the diameter D2 of the inner engaging portion 32. The width L of the gap has a value of 0.04 to 0.12 times the diameter D2 of the inner joint portion 32. [

아래의 표 1은 위의 설계 조건에 부합하는 예시적인 비율에 따라 제작된 공명기(1)를 보여주는 표로서, 상기 제 1 공명실(110)로 흡수되는 공기의 최대 주파수를 실험 예로서 보여준다.
Table 1 below shows a resonator 1 manufactured according to an exemplary ratio conforming to the above design conditions, and shows a maximum frequency of air absorbed in the first resonance chamber 110 as an experiment example.

W/D2W / D2 D1/D2D1 / D2 L/D2L / D2 제 1 공명실로 흡수되는
공기의 최대 주파수(Hz)
Absorbed into the first resonance chamber
Maximum frequency of air (Hz)

0.3

0.3
1.41.4 0.080.08 36003600
1.51.5 0.080.08 40004000 1.61.6 0.080.08 43004300

위의 표에서 알 수 있듯이, 위의 설계 조건에 따라 제작된 본 발명에 따른 공명기(1)는 3600Hz ~ 4300Hz의 고 주파수를 가지는 공기를 흡수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 1 공명실(110)을 구성하는 위의 설계 조건이 변경된다면, 높은 주파수를 가지는 공기를 흡수할 수 없다. 일 예로 아래의 표와 같이 W/D2의 비율이 0.2로 변경된다면, 상기 제 1 공명실(110)로 흡수되는 공기의 최대 주파수가 다음과 같이 감소하게 된다.
As can be seen from the above table, the resonator 1 manufactured according to the above design conditions can absorb air having a high frequency of 3600 Hz to 4300 Hz. If the above design conditions constituting the first resonance chamber 110 are changed, air having a high frequency can not be absorbed. For example, if the ratio of W / D2 is changed to 0.2 as shown in the following table, the maximum frequency of the air absorbed into the first resonance chamber 110 decreases as follows.

W/D2W / D2 D1/D2D1 / D2 L/D2L / D2 제 1 공명실로 흡수되는
공기의 최대 주파수(Hz)
Absorbed into the first resonance chamber
Maximum frequency of air (Hz)

0.2

0.2
1.41.4 0.080.08 28002800
1.51.5 0.080.08 30003000 1.61.6 0.080.08 32003200

만약, W/D2가 0.2의 값을 가진 상태로 D1/D2 및 L/D2의 값이 위의 표 2와 같이 증가하더라도, 공명기(1)의 전체적인 구조 변경 또는 제조상의 문제점이 수반되므로 상기 제 1 공명실(110)로 흡수되는 공기의 최대 주파수가 3600Hz ~ 4300Hz의 값을 가질 수는 없다. 즉, 표 1에서 보여주는 상기 W/D2, D1/D2 및 L/D2 각각의 수치가 상기 제 1 공명실(110)로 고 주파수의 공기를 흡수하기 위한 최적의 설계 조건이라 할 수 있다.Even if the values of D1 / D2 and L / D2 increase as shown in Table 2 with W / D2 of 0.2,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resonator 1 or a manufacturing problem is accompanied, The maximum frequency of the air absorbed into the resonance chamber 110 can not have a value of 3600 Hz to 4300 Hz. That is, the numerical values of W / D2, D1 / D2, and L / D2 shown in Table 1 are optimal design conditions for absorbing high frequency air to the first resonance chamber 110.

도 7에서는, 위의 설계 조건에 부합하도록 W/D2가 0.3이고, D1/D2가 1.5이고, L/D2가 0.08인 설계 조건에서 상기 제 1 공명실(110)에 흡수되는 공기의 주파수에 따른 소음 저감량을 그래프로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공명기(1)에는 3600Hz ~ 4300Hz의 최대 주파수를 가지는 공기를 흡수하기 위한 공명실이 형성되므로, 상기 고 주파수를 가지는 공기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L/D2 값의 변화에 의해 저주파 영역의 주파수 튜닝이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FIG. 7, in accordance with the frequency of the air absorbed in the first resonance chamber 110 under the design conditions of W / D2 of 0.3, D1 / D2 of 1.5, and L / D2 of 0.08, And the noise reduction amount is shown in a graph. As shown in the figure, the resona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resonance chamber for absorbing air having a maximum frequency of 3600 Hz to 4300 Hz, so that the noise generated by the air having the high frequency can be reduced It is effective. Furth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frequency tuning in the low frequency region can be performed by the change of the L / D2 value.

이하에서는, 상기 공명기(1)를 통과하는 외부 공기의 이동 경로와, 흡기 소음이 저감되는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traveling path of the outside air passing through the resonator 1 and the manner in which the intake noise is reduced will be described.

먼저, 유입구(15)로 유입된 공기의 일부는 간격(L)을 통과하여 제 1 공명실(110)로 이동되고, 상기 유입구(15)로 유입된 공기의 다른 일부는 내부 파이프(40)가 형성하는 공명기(1)의 내부 공간으로 이동된다. 상기 제 1 공명실(110)로 유입되는 공기는 일 예로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높은 주파수를 가지는 공기일 수 있다. 즉, 상기 제 1 공명실(110)은 높은 주파수를 가지는 공기를 튜닝하여 소음을 저감시키는 공명실일 수 있다.A part of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let 15 is moved to the first resonance chamber 110 through the gap L and the other part of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let 15 flows through the inner pipe 40 And is moved to the inner space of the resonator 1 to be formed. The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resonance chamber 110 may be air having a high frequency, 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That is, the first resonance chamber 110 may be a resonance chamber for reducing noise by tuning air having a high frequency.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내부 파이프(40)를 따라 이동되는 공기의 일부는 제 1 슬릿(411), 다른 일부는 제 2 슬릿(412)을 통과하여 각각 제 2 공명실(120)과 제 3 공명실(130)로 이동된다. 상기 제 2 공명실(120)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제 1 공명실(110)로 유입된 공기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를 가지는 공기일 수 있다. 동일한 원리로, 제 3 공명실(130)로 유입되는 공기는 상기 제 2 공명실(120)로 유입된 공기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주파수를 가지는 공기일 수 있다. 따라서, 유입구(15)로 유입된 공기는 각각의 주파수에 따라 상기 제 1 내지 제 3 공명실(110, 120, 130)로 이동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 3 공명실(110, 120, 130)에서 주파수의 튜닝이 수행되므로 흡입 공기는 소음이 저감된 상태로 유출구(45)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Likewise, a part of the air moving along the inner pipe 40 passes through the first slit 411 and the other part passes through the second slit 412 to pass through the second resonance chamber 120 and the third resonance chamber 130). The air introduced into the second resonance chamber 120 may be air having a relatively lower frequency than air introduced into the first resonance chamber 110. In the same principle, air introduced into the third resonance chamber 130 may be air having a relatively lower frequency than air introduced into the second resonance chamber 120. Accordingly, the air introduced into the inlet 15 is moved to the first to third resonance chambers 110, 120, and 130 according to respective frequencies, and the first to third resonance chambers 110, 120, The intake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45 in a state in which the noise is reduced.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유입구(15)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유출구(45)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됨에 따라, 공기의 주파수 영역이 감소하는 방향, 즉, 고 주파수 영역에서 저 주파수 영역으로 공기의 주파수를 튜닝하여 소음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예로서, 상기 공명기(1)의 치수 변화를 통해 공기의 주파수 영역이 증가하는 방향, 즉, 저 주파수 영역에서 고 주파수 영역으로 공기의 주파수를 튜닝하여 소음을 저감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embodiment, as the air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15 passes through the outlet 45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e air flow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requency range of the air decreases,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noise by tuning the frequency. As another example, it is also possible to reduce the noise by tuning the frequency of the air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requency range of the air increases through the dimensional change of the resonator 1, that is, in the high frequency range from the low frequency rang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고,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공명기
10: 제 1 외부 파이프
20: 제 2 외부 파이프
30: 확관 파이프
40: 내부 파이프
41: 슬릿
100: 공명실
1: Resonator
10: First outer pipe
20: second outer pipe
30: Extension pipe
40: Internal pipe
41: slit
100: Resonance room

Claims (8)

주파수를 튜닝하기 위한 공명실을 구비하고 공기의 유입 통로인 유입구와 공기의 유출 통로인 유출구의 직경이 서로 다르게 구성되는 공명기로서,
상기 유입구가 형성된 제 1 외부 파이프 및 상기 유출구가 형성된 제 2 외부 파이프를 가지는 외부 파이프;
상기 외부 파이프의 내부에 배치되고, 공기의 이동 통로를 제공하는 복수의 슬릿을 구비하는 내부 파이프; 및
외주 일부의 직경이 확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외부 파이프와 내부 파이프 사이에 삽입되며, 상기 공명실을 복수 개로 구분하는 확관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확관 파이프의 일단은,
공기의 이동 통로인 간격이 형성되도록 상기 외부 파이프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하게 배치되고,
상기 확관 파이프는, 상기 내부 파이프와 결합하는 내부 결합부와, 상기 외부 파이프와 결합하는 외부 결합부와, 상기 내부 파이프 및 상기 외부 파이프와 직교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절곡부는, 상기 유입구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내부 결합부와 직교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 1 절곡부와, 일단이 상기 내부 결합부와 직교 방향으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외부 결합부와 직교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 2 절곡부와, 상기 유출구와 인접하게 배치되고 일단이 상기 외부 결합부와 직교 방향으로 연결되는 제 3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절곡부와 상기 제 3 절곡부의 높이는, 상기 제 1 절곡부의 높이보다 큰 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명기.
A resonator having resonance chambers for tuning frequencies and having different diameters of an inlet, which is an inflow passage of air, and an outlet, which is an outflow passage of air,
An outer pipe having a first outer pipe formed with the inlet and a second outer pipe formed with the outlet;
An inner pipe disposed inside the outer pipe and having a plurality of slits providing a path for air movement; And
And an expansion pipe which is formed to expand a diameter of a part of the outer periphery and is inserted between the outer pipe and the inner pipe and divides the resonance chamber into a plurality of pipes,
One end of the expansion pipe
And a distance which is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outer pipe so as to form a gap,
Wherein the expanding pipe includes an inner engaging portion engaged with the inner pipe, an outer engaging portion engaging with the outer pipe, and a plurality of bending portions extending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inner pipe and the outer pipe,
The plurality of bending portions may include a first bending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inlet 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internal coupling portion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first bending portion, one end connected to the internal coupling portion in an orthogonal direction, And a third bending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outlet and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external coupling portion in an orthogonal direction,
And the height of the second bent portion and the third bent portion is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first bent por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절곡부의 말단 부분은, 상기 제 1 외부 파이프와 상기 제 1 절곡부가 소정 거리 이격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제 1 외부 파이프의 연장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구부러지고,
상기 제 3 절곡부의 말단 부분은, 상기 내부 파이프와의 결합을 위해 상기 내부 파이프의 연장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명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distal end portion of the first bent portion is bent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outer pipe so that the first outer pipe and the first bent portion ar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the distal end portion of the third bent portion is bent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extending direction of the inner pipe for engagement with the inner pi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슬릿은, 상기 유입구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 1 슬릿 및 공기의 이동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슬릿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하게 배치되는 제 2 슬릿을 포함하고,
상기 공명실은, 상기 간격과 연통하는 제 1 공명실, 상기 제 1 슬릿과 연통하는 제 2 공명실 및 상기 제 2 슬릿과 연통하는 제 3 공명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명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slits include a first slit disposed adjacent to the inlet and a second slit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first slit with respect to a moving direction of the air,
Wherein the resonance chamber includes a first resonance chamber communicating with the gap, a second resonance chamber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slit, and a third resonance chamber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slit.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명실의 일면을 구성하는 외부 파이프의 직경은, 상기 내부 결합부의 직경의 1.4 내지 1.6배의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명기.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diameter of the outer pipe constituting one surface of the first resonance chamber has a value of 1.4 to 1.6 times the diameter of the inner coupling por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결합부의 높이는, 상기 내부 결합부의 직경의 0.3배의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명기.
6. The method of claim 5,
And the height of the inner coupling portion is 0.3 times the diameter of the inner coupling por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의 폭은, 상기 내부 결합부의 직경의 0.04 내지 0.12배의 값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공명기.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width of the gap has a value of 0.04 to 0.12 times the diameter of the internal coupling portion.
KR1020150055091A 2014-08-05 2015-04-20 Resonator for vehicle Expired - Fee Related KR10177226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00471 2014-08-05
KR1020140100471 2014-08-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6556A KR20160016556A (en) 2016-02-15
KR101772267B1 true KR101772267B1 (en) 2017-08-28

Family

ID=55357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5091A Expired - Fee Related KR101772267B1 (en) 2014-08-05 2015-04-20 Resonator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2267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4728B1 (en) * 2017-06-16 2019-03-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Silence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01754A (en) 1996-03-20 1999-05-11 Witzenmann Gmbh Metallschlauch-Fabrik Pforzheim Flexible fluid conduit element with a metal bellow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01754A (en) 1996-03-20 1999-05-11 Witzenmann Gmbh Metallschlauch-Fabrik Pforzheim Flexible fluid conduit element with a metal bellow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6556A (en) 2016-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07997B1 (en) Resonator for vehicle
KR101598681B1 (en) Resonator for vehicle
EP3438443B1 (en) Noise reduction device for vehicle
KR102415846B1 (en) Resonator for vehicle
EP1195545B1 (en) Spiral bellows structure
KR20150088329A (en) Sound absorber for a pipe-shaped, cavity-forming body
EP3346118B1 (en) Vehicular resonator
EP3204936B1 (en) Concentric resonators for machines
CN105518283A (en) Resonator
KR20150095435A (en) Resonator for vehicle
CN113396073A (en) Air duct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334311B1 (en) Side branch type resornator
EP3647582B1 (en) Cylindrical resonator
KR101772267B1 (en) Resonator for vehicle
KR20140003256A (en) Intake system for high frequency noise of automobile
CN110651114A (en) Muffler for reducing gas noise in the intake system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 muffler
CN209855995U (en) Compressor amortization structure and have its compressor
KR102594140B1 (en) Resonator for vehicle
CN207420668U (en) Silencer and with its vehicle
KR100835709B1 (en) Silencer for Engine Exhaust
KR20170025530A (en) Resonator for vehicle
KR101692579B1 (en) Muffler for Vehicle with Multi Path
WO2024261938A1 (en) Air intake duct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
KR101289312B1 (en) Silencer
CN105971689A (en) Automobile exhaust muff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2082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20823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