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8200B1 - Barges for impeller replacement of the aeration tank - Google Patents
Barges for impeller replacement of the aeration tan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88200B1 KR101788200B1 KR1020150185182A KR20150185182A KR101788200B1 KR 101788200 B1 KR101788200 B1 KR 101788200B1 KR 1020150185182 A KR1020150185182 A KR 1020150185182A KR 20150185182 A KR20150185182 A KR 20150185182A KR 101788200 B1 KR101788200 B1 KR 10178820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peller
- barge
- ballast water
- aeration tank
- wastewat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 B01F15/00922—
-
- B01F3/04099—
-
- B01F7/16—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1/00—Interior subdivision of hulls
- B63B11/02—Arrangement of bulkheads, e.g. defining cargo spa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28—Barges or lighters
- B63B35/30—Barges or lighters self-discharging
- B63B35/308—Split barges interconnected hingedly or slidabl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63B43/06—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using ballast tan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7/02—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comprising only rigid parts
- B63B7/04—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comprising only rigid parts sectionalised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7/00—Aeration of stretches of water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eration Devices For Treatment Of Activated Polluted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지선을 폭기조 내부에 위치시켜 바지선을 이용함으로써 폭기조 내부에 수용된 폐수를 배출하지 않고 임펠러를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폭기조의 임펠러 교체를 위한 바지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바지선의 내부에 평형수를 수용하기 위한 평형수 수용부를 형성함으로써 평형수의 수용량에 따라 바지선의 부유 높이가 조절되기 때문에 임펠러와 폐수처리장치의 구동부와의 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교체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Since the impeller can be replaced without discharging the wastewater contained in the aeration tank by using the barge line by placing the barge line in the aeration tank, the operation time can be shortened and the impeller of the aeration tank can be replaced To provide a barge for. Since the floating height of the barg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capacity of the ballast water, the connection between the impeller and the driving unit of th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can be facilitated, The work can be easily performed, the working time can be shortened, and the efficiency of the work can be increased.
Description
본 발명은 폭기조의 임펠러 교체를 위한 바지선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바지선을 폭기조 내부에 위치시켜 바지선을 이용함으로써 폭기조 내부에 수용된 폐수를 배출하지 않고 임펠러를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폭기조의 임펠러 교체를 위한 바지선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rge for replacing an impeller of an aeration tank, and more specifically, by using a barge line by placing a barge inside the aeration tank, the impeller can be replaced without discharging the wastewater contained in the aeration tank, And more particularly, to a barge for replacing an impeller of an aeration tank that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operation.
일반적으로, 각종 단위 공장이나 대단위 공업단지 또는 각종 오염물질을 포함하는 하수를 배출하는 인구 밀집지역에서는 배출되는 산업폐수나 생활하수등을 단지 내에서 또는 폐수종말 처리장에서 정화처리하고 있는 바, 이러한 폐수처리 시설에서는 대개 폐수가 다수의 처리조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오염물질의 제거 내지는 정화처리가 이루어 지도록 구성되는 데, 그러한 처리과정중의 하나로서 폭기조로 유입된 폐수는 폭기장치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와의 접촉을 통해서 용존산소량을 높이는 처리과정을 거치게 된다.
Generally, industrial wastewater and domestic sewage discharged from the various dense factories, large industrial complexes, or densely populated areas that discharge sewage containing various pollutants are treated in the complex or the wastewater treatment plant, In the treatment facility, the wastewater is usually configured to carry out the removal or purification treatment of pollutants while sequentially passing through a plurality of treatment tanks. As one of such treatment processes, the wastewater introduced into the aeration tank is supplied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aeration device And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is increased through contact with air.
이때 사용되는 종래의 수중 폭기식 폐수처리장치에서는 폭기조 내부의 폐수중에 잠긴 상태로 설치되는 수중 폭기장치의 본체 내부로 폭기조 외부에 설치된 블로어에서 생성된 공기가 유입되고, 폭기장치로 유입된 공기는 교반 임펠러의 회전작동으로 그 상부의 방사상 베인으로 안내되어 배출되는 과정에서 폭기조 내의 폐수와 기액접촉을 함으로써 공기중의 산소가 폐수중에 녹아들어가도록 하는 시스템을 취하고 있다.
In the conventional aquatic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used in this case, the air generated in the blower installed outside the aeration tank flows into the main body of the underwater aeration apparatus installed in the wastewater inside the aeration tank, and the air introduced into the aeration apparatus is stirred A system is provided in which the oxygen in the air is dissolved in the wastewater by performing gas-liquid contact with the wastewater in the aeration tank in the process of being guided by the radial vane at the upper portion thereof by the rotary operation of the impeller and being discharged.
도 1은 종래의 폐수처리시스템에서 폭기조 내부에 형성된 임펠러를 보여주는 것으로, 모터(1)의 끝단에 별도의 감속기(81)가 체결되고, 그 축에서 연장되는 회동축(2)을 형성한다. 물론 상기의 회동축(2)을 더우 연장시키기 위해서 별도의 커플링(83)이 필요한 경우에는 이 커플링(83)을 이용하여 또 다른 연장축(82)이 고정되고 이 연장축(82)의 끝단에 임펠러(100)가 체결된다.
FIG. 1 shows an impeller formed inside an aeration tank in a conventional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
이때 상기 임펠러(100)는 그 축이 고정되는 축공을 이루는 원형의 큰 지름을 가진 임펠러윙(10)이 형성되고, 상기 임펠러윙(10)의 하단으로는 일정한 각도를 두고 돌출되게 형성되는 교반윙(20)이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임펠러(100)가 오폐수를 저장하는 폭기조(84)에 투입되어 오폐수(85)를 교반시키는 것이다.
In this case, the
이때 상기 임펠러(100)는 일정한 수준 즉, 오폐수(85)의 수위면에서 약간 들어간 수준으로 임펠러(100)를 잠수시키게 된다. 임펠러(100)의 임펠러윙(10)의 상부가 수위면에서 약간 잠길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회전을 시작하는 것이다. 그러면 상기 임펠러윙(10)이 회전하면서, 상기 임펠러윙(10)에 체결된 다수의 교반윙(20)도 회전을 같이하며, 오폐수(85)를 교반하고 공기와의 접촉면을 크게 한다.
At this time, the
그러나, 상기의 종래 폐수청리시스템에서 폭기조 내부에 형성된 임펠러의 파손 및 교체시에는 폭기조 내부에 수용된 오폐수를 배출하여 폭기조 내부에 오폐수가 배출된 상태에서 임펠러를 교체해야 하는 한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wastewater purification system, when the impeller formed inside the aeration tank is broken or replaced, the wastewater contained in the aeration tank is discharged to replace the impeller while the wastewater is discharged into the aeration tank.
이와 같이 임펠러를 교체시에 폭기조 내부의 오폐수를 배출해야 하기 때문에 오폐수를 배출하는데 따른 시간이 필요하여 임펠러 교체 작업에 따른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그에 따라 오폐수를 정화시키는데 필요한 시간이 추가로 소요되어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Since the wastewater in the aeration tank must be discharged when the impeller is replaced in this way, it takes a long time to discharge the wastewater, and thus it takes a long time to replace the impeller. Therefore, the time required to purify the wastewater is further increas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efficiency of the apparatus is deteriorated.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바지선을 폭기조 내부에 위치시켜 바지선을 이용함으로써 폭기조 내부에 수용된 폐수를 배출하지 않고 임펠러를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폭기조의 임펠러 교체를 위한 바지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possible to replace the impeller without discharging the wastewater contained in the aeration tank by using the barge line by locating the barge inside the aeration tank,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rge for replacing an impeller of a new type aeration tank that can increase the efficiency of operation.
특히, 바지선의 내부에 평형수를 수용하기 위한 평형수 수용부를 형성함으로써 평형수의 수용량에 따라 바지선의 부유 높이가 조절되기 때문에 임펠러와 폐수처리장치의 구동부와의 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교체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태의 폭기조의 임펠러 교체를 위한 바지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Particularly, since the floating height of the barge lin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capacity of the ballast water by forming the ballast water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ballast water in the barge, the connection between the impeller and the driving portion of the wastewater treatment device can be facilitated, And to provide a barge for replacing an impeller of a new type of aeration tank which can shorten the working time and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work.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상면(22), 측면(24) 및 바닥면(26)을 갖고, 내부에 평형수가 수용되는 평형수 수용부(30)가 형성된 몸체(20)와; 상기 몸체(20)의 상면(22) 중심측에서 하측으로 함몰되어 임펠러(100)가 안치되는 안치부(40)와; 상기 몸체(20)의 상면(22) 일측에 형성되어 평형수 수용부(30)로 평형수가 유입 및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평형수 유출입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re is provided a body (20) having a top surface (22), a side surface (24) and a bottom surface (26) )Wow; (40) which is depressed downward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22) of the body (20) and in which the impeller (100) is placed; And a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폭기조의 임펠러 교체를 위한 바지선에서 상기 몸체(20)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제1분할몸체(20a)와 제2분할몸체(20b)로 이루어져 결합플랜지(21)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제1분할몸체(20a)와 제2분할몸체(20b)는 상기 결합플랜지(21)를 중심으로 대칭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barge for replacing an impeller of an aeration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폭기조의 임펠러 교체를 위한 바지선에서 상기 제1분할몸체(20a)는 상면(22)에서 하측으로 형성되는 절개부(28)를 갖고, 상기 절개부(28)에 의해 측면(24)과 안치부(40)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barge for replacing the impeller of the aeration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divided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폭기조의 임펠러 교체를 위한 바지선에서 상기 몸체(20)의 평형수 수용부(30)는 격벽(32)에 의해 구획되어 다수개의 셀(3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barge for replacing the impeller of the aeration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llast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폭기조의 임펠러 교체를 위한 바지선에 의하면, 바지선을 폭기조 내부에 위치시켜 바지선을 이용함으로써 폭기조 내부에 수용된 폐수를 배출하지 않고 임펠러를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barge line for replacing the impeller of the aeration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mpeller can be replaced without discharging the wastewater contained in the aeration tank by using the barge line by locating the barge line inside the aeration tank, So that the efficiency of the work can be increased.
특히, 바지선의 내부에 평형수를 수용하기 위한 평형수 수용부를 형성함으로써 평형수의 수용량에 따라 바지선의 부유 높이가 조절되기 때문에 임펠러와 폐수처리장치의 구동부와의 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교체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Particularly, since the floating height of the barge lin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capacity of the ballast water by forming the ballast water receiving portion for receiving the ballast water in the barge, the connection between the impeller and the driving portion of th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can be facilitated, So that the working time can be shortened and the efficiency of the work can be increased.
도 1은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폭기조의 임펠러 교체를 위한 바지선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폭기조의 임펠러 교체를 위한 바지선에서 평형수 수용부를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폭기조의 임펠러 교체를 위한 바지선에서 평형수의 유입 및 배출에 따른 바지선의 부유 높이를 도시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폭기조의 임펠러 교체를 위한 바지선에서 임펠러 교체후 제1분할몸체의 절개부를 통해 바지선이 복귀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폭기조의 임펠러 교체를 위한 바지선을 이용한 임펠러 교체방법의 블럭도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technique,
FIG. 2 and FIG. 3 are perspective views of a barge for replacing an impeller of an aeration tan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 ballast water receiving portion in a barge line for replacing an impeller of an aeration tan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a floating height of a barge due to inflow and outflow of ballast water in a barge line for replacing an impeller of an aeration tan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and 7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barge is returned through a cutout of a first divided body after an impeller is replaced in a barge line for replacing an impeller of an aeration tan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of a method for replacing an impeller using a barge for replacing an impeller of an aeration tan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2 내지 도 8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FIGS. 2 to 8,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components performing the same functions. In the drawing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detailed description of specific elements and functions of element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폭기조의 임펠러 교체를 위한 바지선(10)은 상면(22), 측면(24) 및 바닥면(26)을 갖고, 내부에 평형수가 수용되는 평형수 수용부(30)가 형성된 몸체(20)와, 몸체(20)의 상면(22) 중심측에서 하측으로 함몰되어 임펠러(100)가 안치되는 안치부(40)와, 몸체(20)의 상면(22) 일측에 형성되어 평형수 수용부(30)로 평형수가 유입 및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평형수 유출입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평형수 유출입구(50)를 통해 평형수가 유입 및 배출되어 몸체(20)는 폐수 위에서 평형수의 양에 따라 부유 높이가 조절되도록 한다.
2 to 7, a
몸체(20)는 폭기조의 폐수의 수면에 부유되는 부유체로써 상면(22), 측면(24) 및 바닥면(26)을 갖는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평형수가 수용되는 평형수 수용부(30)가 형성되어 진다.
The
몸체(20)는 대응되는 형상의 제1분할몸체(20a)와 제2분할몸체(20b)로 이루어져 결합플랜지(21)에 의해 결합되어 진다. 즉, 제1분할몸체(20a)와 제2분할몸체(20b)는 결합플랜지(21)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어 결합되어 진다.
The
한편, 몸체(20)의 제1분할몸체(20a)는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면(22)에서 하측으로 형성되는 절개부(28)가 형성되어 지는데, 이 절개부(28)에 의해 측면(24)과 안치부(40)가 서로 연통되어 진다. 이때, 절개부(28)의 하단부는 측면(24) 높이의 1/2 이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the first divided
절개부(28)는 상면(22)으로부터 하향 경사지도록 경사면(282)을 갖고, 경사면(282)으로부터 연장되어 상부가 개방된 ''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홈(284)을 갖는다.
The
이와 같은 절개부(28)는 임펠러(100)가 구동부가 결합 완료후, 구동부와 결합된 임펠러(100)로부터 바지선(10)이 분리되도록 바지선(10)이 이동될 시 임펠러(100)의 하단부가 절개부(28)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바지선(10)의 하강을 최소화 시킬 수 있도록 한다.
When the
또한, 몸체(20)의 제1분할몸체(20a)에 형성되는 절개부(28)는 임펠러(100)를 교체후 바지선(10)이 복귀될 때 바지선(10)의 부유 높이를 조정해야 하는데, 이때 평형수를 배출시 절개부(28)의 높이와 대응하는 양을 배출하지 않아도 바지선(10)이 복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몸체(20)의 부유높이가 높아도 절개부(28)에 의해 임펠러(100)와 몸체(20)의 상면(22)이 간섭 및 부딪히지 않고 바지선(10)을 복귀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e sloping
몸체(20)의 내부에 형성되는 평형수 수용부(30)는 격벽(32)에 의해 구획되어 다수개의 셀(34)로 이루어진다. 이때, 격벽(32)에는 홀이 형성되어 이 홀을 통해 평형수가 유동되어 각각의 셀(34)에 수용되는 평형수의 양은 동일하게 된다.
The ballast
이와 같이 평형수 수용부(30)를 다수개의 셀(34)로 구성하고, 이 다수개의 셀(34)에는 동일한 양의 평형수가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몸체(20)는 일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전체적으로 안정적으로 균형이 잡히게 되어 상면(22)에 위치되는 작업자가 넘어져 다치거나 폐수에 빠지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is way, the ballast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폭기조의 임펠러 교체를 위한 바지선(10)은 몸체(20)의 상면(22)에 작업자가 폐수에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면(22)의 가장자리를 따라 작업자 안전망이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안전망은 몸체(20)의 상면(22) 모서리에 봉이 설치되어 각각의 봉이 망으로 연결되어 질수 있고, 상면(22)의 가장자리를 따라 다수개의 봉이 설치되고, 이 봉의 상, 중, 하 부분에 끈이 서로 연결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작업자가 몸체(20)의 상면(22)에서 넘어지거나 이탈되어 폐수에 빠지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The
안치부(40)는 몸체(20)의 상면(22) 중심측에서 함몰되어 형성되어 임펠러(100)가 안치되도록 한다. 즉, 몸체(20)의 상면(22)에서 하측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임펠러(100)가 안치되는 임펠러 안전 안착면(42)이 형성되어 진다.
The
한편, 안치부(40)는 상면과 하면이 관통되는 구조이다.
On the other hand,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이와 같이 안치부(40)를 함몰되게 형성하여 임펠러 안전 안착면(42)을 형성하는 것은 임펠러(100)가 날개와 회전축(110)으로 구성되므로 날개는 임펠러 안전 안착면(42)에 맞닿게 되고, 회전축(110)은 하측으로 더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축(110)에 의해 임펠러(100)가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회전축(110)이 수직으로 위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임펠러(100)를 구동부에 접속시키기 위해 회전축(110)을 수직으로 위치되도록 하여 안정적이고 용이하게 접속시키기 위한 것이다.
The
평형수 유출입구(50)는 몸체(20)의 상면(22) 일측에 형성되어 몸체(20)의 평형수 수용부(30)에 평형수가 유입 또는 배출되는 통로로써, 별도의 평형수 저장탱크(52) 또는 펌프(54)와 연결되어 진다. 평형수를 유입시킬 경우에는 도 5의 (a)와 같이 평형수 저장탱크(52)와 연결되어 평형수 저장탱크(52)에서 평형수가 유입되어 격벽(32)의 홀을 통해 각각의 셀(34)로 평형수가 유동되어 수용되고, 몸체(20)의 부유 높이는 좁아지게 되고, 평형수를 배출하는 경우에는 도 5의 (b)와 같이 펌프(54)와 연결되어 펌프(54)에 의해 평형수 수용부(30)에 수용된 평형수가 배출되어 몸체(20)의 부유 높이는 수면으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The ballas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폭기조의 임펠러 교체를 위한 바지선(10)에 의하면, 바지선(10)의 내부에 평형수를 수용하기 위한 평형수 수용부(30)를 형성함으로써 평형수의 수용량에 따라 바지선(10)의 부유 높이가 조절되기 때문에 임펠러(100)와 폐수처리장치의 구동부와의 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어 교체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폭기조의 임펠러 교체를 위한 바지선을 이용한 임펠러 교체방법의 블럭도이다.
8 is a block diagram of a method for replacing an impeller using a barge for replacing an impeller of an aeration tan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폭기조의 임펠러 교체를 위한 바지선을 이용한 임펠러 교체방법은 바지선(10)을 이동시켜 구동부와 접속된 임펠러(100)의 회전축(110)을 분리시켜 회수하는 회수단계(S100)와, 바지선(10)의 중심측에 형성된 안치부(40)에 임펠러(100)를 안치시켜 구동부의 하측으로 위치시키는 위치조정단계(S200)와, 바지선(10)의 내부에 평형수를 유입 또는 배출시켜 구동부의 하측에 임펠러(100)의 회전축(110)을 접속시키는 접속단계(S300)와, 바지선(10)의 내부에 평형수를 유입시켜 바지선(10)의 부유 높이를 낮추어 구동부와 접속된 임펠러(100)를 바지선(10)의 안치부(40)로부터 임펠러(100)를 이격시키는 이격단계(S400)와, 바지선(10)을 정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단계(S5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8, in a method of replacing an impeller using a barge for replacing an impeller of an aeration tan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여기서, 바지선(10)은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면(22), 측면(24) 및 바닥면(26)을 갖고, 내부에 평형수가 수용되는 평형수 수용부(30)가 형성된 몸체(20)와, 몸체(20)의 상면(22) 중심측에서 하측으로 함몰되어 임펠러(100)가 안치되는 안치부(40)와, 몸체(20)의 상면(22) 일측에 형성되어 평형수 수용부(30)로 평형수가 유입 및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평형수 유출입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Here, the
회수단계(S100)는 폐수처리장치의 구동부와 접속되어 사용중이던 임펠러(100)를 회수하는 단계로써, 임펠러(100)가 파손 등의 이유로 교체를 요함에 따라 이루어진다. 바지선(10)을 폐수처리장치의 구동부와 접속된 임펠러(100)의 하측에 위치시키고, 임펠러(100)를 구동부와 분리시켜 회수한다.
The recovery step S100 is a step of recovering the
위치조정단계(S200)는 교체할 임펠러(100)를 바지선(10)의 안치부(40)에 안치시킨 후 폐수처리장치의 구동부 하측으로 이동시켜 구동부와의 접속부분과 대응되도록 위치시키는 단계이다.
In the position adjustment step S200, the
접속단계(S300)는 바지선(10)의 내부에 평형수를 유입 또는 배출시켜 구동부와 임펠러(100)를 접속시키는 단계로써, 임펠러(100)의 회전축(110)이 구동부와의 접속부분에 비해 높은 위치에 있을 경우 바지선(10)의 내부에 평형수를 유입시켜 바지선(10)의 부유 높이를 낮추어 구동부의 접속부분과 임펠러(100)의 회전축(110)이 동일한 높이이 위치되도록 하여 구동부와 임펠러(100)의 회전축(110)을 접속시키고, 임펠러(100)의 회전축(110)이 구동부와의 접속부분에 비해 낮은 위치에 있을 경우 바지선(10)의 내부에 수용된 평형수를 배출시켜 바지선(10)의 부유 높이를 높여 구동부의 접속부분과 임펠러(100)의 회전축(110)이 동일한 높이이 위치되도록 하여 구동부와 임펠러(100)의 회전축(110)을 접속시킨다.
The connecting step S300 is a step of connecting the driving part and the
여기서, 바지선(10)의 부유 높이라 함은 폭기조의 폐수의 수면과 바지선(10)의 상면(22)과의 거리를 일컫는 것으로, 임펠러(100)가 안치된 바지선(10)을 구동부의 하측에 위치시켰을 때 임펠러(100)의 회전축(110)이 구동부의 접속부분에 비해 높은 위치에 있으면 평형수를 바지선(10) 내부로 유입시켜 바지선(10)의 상면(22)과 폐수의 수면과의 거리를 좁혀 임펠러(100)의 회전축(110)과 구동부의 접속부분이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도록 하고, 임펠러(100)의 회전축(110)이 구동부의 접속부분에 비해 낮은 위치에 있으면 평형수를 바지선(10) 내부로부터 배출시켜 바지선(10)의 상면(22)과 폐수의 수면과의 거리를 늘려 임펠러(100)의 회전축(110)과 구동부의 접속부분이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도록 하여 구동부와 임펠러(100)의 접속을 용이하게 하도록 한다.
The floating height of the
이격단계(S400)는 구동부와 접속된 임펠러(100)를 바지선(10)의 안치부(40)로부터 이격시키는 단계로써 바지선(10)의 내부에 평형수를 유입시켜 바지선(10)의 부유 높이를 낮추도록 한다.
The separation step S400 is a step of separating the
이후, 바지선(10)을 보관장소 및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게 된다.
Thereafter,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폭기조의 임펠러 교체를 위한 바지선을 이용한 임펠러 교체방법에 의하면, 바지선(10)을 폭기조 내부에 위치시켜 바지선(10)을 이용함으로써 폭기조 내부에 수용된 폐수를 배출하지 않고 임펠러(100)를 교체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ethod of replacing the impeller using the barge for replacing the impeller of the aeration tan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폭기조의 임펠러 교체를 위한 바지선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barge for replacing the impeller of the aeration tank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merely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10 : 폭기조의 임펠러 교체를 위한 바지선
20 : 몸체 20a : 제1분할몸체
20b : 제2분할몸체 21 : 결합플랜지
22 : 상면 24 : 측면
26 : 바닥면 28 : 절개부
30 : 평형수 수용부 32 : 격벽
34 : 셀 40 : 안치부
50 : 평형수 유출입구10: Barge for replacing impeller's impeller
20:
20b: second split body 21: engagement flange
22: top surface 24: side surface
26: bottom surface 28:
30: ballast water receiving portion 32: partition wall
34: Cell 40:
50: Ballast water outlet
Claims (6)
상기 몸체(20)의 상면(22) 중심측에서 하측으로 함몰되어 임펠러(100)가 안치되는 안치부(40)와;
상기 몸체(20)의 상면(22) 일측에 형성되어 평형수 수용부(30)로 평형수가 유입 및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평형수 유출입구(50)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20)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제1분할몸체(20a)와 제2분할몸체(20b)로 이루어져 결합플랜지(21)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제1분할몸체(20a)와 제2분할몸체(20b)는 상기 결합플랜지(21)를 중심으로 대칭되고,
상기 제1분할몸체(20a)는 상면(22)에서 하측으로 형성되는 절개부(28)를 갖고, 상기 절개부(28)에 의해 측면(24)과 안치부(40)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기조의 임펠러 교체를 위한 바지선.
A body 20 having a top surface 22, a side surface 24, and a bottom surface 26 and having a ballast water receiving portion 30 in which a ballast water is received;
(40) which is depressed downward from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22) of the body (20) and in which the impeller (100) is placed;
And a ballast water outlet (50) formed at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22) of the body (20) to allow the ballast water to enter and discharge into the ballast water receiving portion (30)
The body 20 is composed of a first divided body 20a and a second divided body 20b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coupled by a coupling flange 21,
The first divided body 20a and the second divided body 20b are symmetrical about the coupling flange 21,
The first divided body 20a has a cutout 28 formed downward from the upper face 22 so that the cutout 28 communicates with the side face 24 and the face 40. Barge for replacement of the aeration tank impeller.
상기 몸체(20)의 평형수 수용부(30)는 격벽(32)에 의해 구획되어 다수개의 셀(34)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기조의 임펠러 교체를 위한 바지선.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llast water receiving portion (30) of the body (20) is divided by a partition wall (32) and is made up of a plurality of cells (34).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85182A KR101788200B1 (en) | 2015-12-23 | 2015-12-23 | Barges for impeller replacement of the aeration tan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85182A KR101788200B1 (en) | 2015-12-23 | 2015-12-23 | Barges for impeller replacement of the aeration tank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60007453A KR20160007453A (en) | 2016-01-20 |
| KR101788200B1 true KR101788200B1 (en) | 2017-10-19 |
Family
ID=5530806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185182A Expired - Fee Related KR101788200B1 (en) | 2015-12-23 | 2015-12-23 | Barges for impeller replacement of the aeration tank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788200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24080148A (en) | 2022-12-01 | 2024-06-13 | サンデン・リテールシステム株式会社 | Coffee drink provision device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907246B1 (en) | 2009-02-22 | 2009-07-10 | 덕 용 김 | Detachable Impeller |
| KR100921011B1 (en) | 2009-03-02 | 2009-10-09 | 프리마에이텍(주) | Deep Stirrer |
-
2015
- 2015-12-23 KR KR1020150185182A patent/KR10178820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907246B1 (en) | 2009-02-22 | 2009-07-10 | 덕 용 김 | Detachable Impeller |
| KR100921011B1 (en) | 2009-03-02 | 2009-10-09 | 프리마에이텍(주) | Deep Stirre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60007453A (en) | 2016-01-20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EP3018101B1 (en) | Dissolved air floatation device | |
| JP5264001B1 (en) | Floating oil separation and recovery device | |
| SE504615C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ixing and scrubbing water in a treatment pool | |
| EP0634519A1 (en) | Reactor for removing impurities from a liquid | |
| WO1992017260A1 (en) | Material treatment apparatus | |
| KR100512089B1 (en) | High speed and high efficiency aerator | |
| EP4114555B1 (en) | Liquid and slurry mixers | |
| KR101788200B1 (en) | Barges for impeller replacement of the aeration tank | |
| US8173017B2 (en) | Single-cell mechanical flotation system | |
| KR20190126951A (en) | Solid-liquid seperator typed of dispersed or cavitational air floatation | |
| CN209957549U (en) | Oil field sewage filter equipment | |
| JP2017094234A (en) | Method and system for purification of contaminated soil | |
| KR101783292B1 (en) | A sewage treatment apparatus | |
| JP4238297B2 (en) | Scum pressurized levitation concentrator | |
| KR101991810B1 (en) | Wastewater treatment system having improved removing efficiency of floating matter and scum | |
| KR101991812B1 (en) | Wastewater treatment system having multi-holes plate capable of controlling of emitting size of treated water | |
| KR102086902B1 (en) | Wastewater treatment system with improved mixing efficiency comprising rotatable oxygen supplying plate having improved removing efficiency of floating matter and scum | |
| CN209778368U (en) | Air floatation equipment | |
| CN220012171U (en) | Ground large-scale groundwater treatment water tank and groundwater treatment system | |
| KR200283138Y1 (en) | Apparatus for seperating and removing scum | |
| JP2003236529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contaminated waste water | |
| CN221319463U (en) | A flotation separation device for sewage treatment | |
| CN211004657U (en) | Automatic slag-discharging air flotation machine | |
| KR101991808B1 (en) |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multi-holes plate with improved treating efficiency | |
| CN213679921U (en) | High-efficient sediment air supporting integration equipmen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G15R |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0101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01014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