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80425B1 - A smart fishing float with fish length adjustable according to water level - Google Patents

A smart fishing float with fish length adjustable according to water lev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0425B1
KR101780425B1 KR1020150101435A KR20150101435A KR101780425B1 KR 101780425 B1 KR101780425 B1 KR 101780425B1 KR 1020150101435 A KR1020150101435 A KR 1020150101435A KR 20150101435 A KR20150101435 A KR 20150101435A KR 101780425 B1 KR101780425 B1 KR 101780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depth
fishing line
smart
wa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143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09418A (en
Inventor
이우형
Original Assignee
이우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형 filed Critical 이우형
Priority to KR1020150101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0425B1/en
Publication of KR20170009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941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0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0425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01K93/02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with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심에 따라 낚시줄의 길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갖는 스마트 낚시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심측정부 및 상기 수심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수심에 따라 낚싯줄이 자동으로 권취 또는 권출됨으로서 지형에 따라 어류가 서식하는 부분에 낚시바늘이 위치할 수 있도록 낚시줄의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기능을 갖는 스마트 낚시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수심 조절이 가능한 스마트 낚시찌에 의하면 낚시찌가 위치하는 환경이 해저면의 굴곡 상태가 변하거나, 물의 유속의 변화 및 파고가 발생하더라도 자동으로 수심을 측정하고 수심으로부터 어류가 많이 존재하는 깊이에 맞춰서 낚싯줄의 길이가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fishing tackle having a function of adjusting the length of a fishing line according to a depth of wa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fishing tackle capable of automatically winding or pulling fishing line according to a water depth measured by a water depth measuring unit and a water depth measuring unit,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fishing tackle having a function of automatically adjusting the length of a fishing line so that a fishing needle can be positioned on a fish habitat.
According to the smart fishing gogg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measure the depth of water even when the bogies of the sea floor are changed, The length of the fishing line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depth.

Description

수심에 따라 낚시줄의 길이 조절 기능을 갖는 스마트 낚시찌{A SMART FISHING FLOAT WITH FISH LENGTH ADJUSTABLE ACCORDING TO WATER LEVEL}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fishing rod having a fishing line,

본 발명은 수심에 따라 낚시줄의 길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갖는 스마트 낚시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심측정부 및 상기 수심측정부에 의해 측정된 수심에 따라 낚싯줄이 자동으로 권취 또는 권출됨으로서 지형에 따라 어류가 서식하는 부분에 낚시바늘이 위치할 수 있도록 낚시줄의 길이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기능을 갖는 스마트 낚시찌에 관한 것이다.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fishing tackle having a function of adjusting the length of a fishing line according to a depth of wa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fishing tackle capable of automatically winding or pulling fishing line according to a water depth measured by a water depth measuring unit and a water depth measuring unit, And more particularly, to a smart fishing tackle having a function of automatically adjusting the length of a fishing line so that a fishing needle can be positioned on a fish habitat.

낚시를 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의 낚시 도구를 구비해야 하며, 그 중에서 낚시찌는 필수적으로 준비해야 한다. In order to do fishing, you need to have a variety of fishing tackle, among which fishing tackle is essential.

도 1에 일반적인 낚시 채비를 나타내었다. 일반적으로 어류를 포획하기 위한 낚시 채비는 낚시대, 낚시줄(100), 찌(400), 봉돌(300), 바늘(200)의 순서로 연계되어 구성된다. Figure 1 shows typical fishing gear. Generally, the fishing gear for catching fish is composed of a fishing rod, a fishing line 100, a crucible 400, a boll 300, and a needle 200 in this order.

낚시대에는 물고기가 걸렸을 때 휘어지는 기점이 있으며, 그 기점에 따라 휘는 감도가 달라진다. 낚시줄은 원줄과 목줄로 구분되는데, 원줄은 영어로 라인이라 하고, 목줄은 리더라고 한다. 목줄이란 원줄의 끝과 바늘의 윗부분까지의 줄로 채비 안에 바늘과 연결된 줄을 말한다. 목줄은 원줄과는 다르게 다양한 소재를 사용하는데 미끼의 종류나 수중 환경에 따라 달라진다. The fishing rod has a point of bowing when the fish is caught, and the bowing sensitivity changes depending on the starting point. The fishing line is divided into a main line and a neck line. The main line is called a line in English and the neck line is a leader. A collar is a string that is connected to the needle in the needle with the end of the string and the line up to the needle. The neck line uses various materials differently from the raw line, depending on the type of bait and underwater environment.

봉돌(300)의 명칭은 납봉, 봉, 뽕, 몽깃돌, 연철, 납추, 추 등의 여러가지로 지방에 따라 다르게 불린다. 봉돌은 줄에 매단 납덩이나 돌덩이에 불과하지만 찌의 부력에 상응하는 침강력으로 무중량 상태를 유지하면서 고기의 입질을 정확하고 빠르게 찌에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미끼를 원하는 포인트까지 운반하고, 미끼를 바닥에 가라앉힐 때는 무게 구실을 하며, 물속에 가라앉아 미끼가 움직이지 않게 닻의 역할을 한다. The name of Bendol (300) is call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rovince, such as Bongbong, Bong, Mongpol, Montpellier, Wrought Iron, Bongdol is just a staple or a stump, but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livering the quality of the meat accurately and quickly to the crucible while maintaining its weightlessness by the sedimentation force corresponding to the buoyancy of the crucible. It also carries the bait to the desired point, serves as a weight when the bait sinks on the floor, and serves as an anchor to sink into the water and keep the bait from moving.

찌는 일정한 부력을 유지하면서 봉돌과 미끼를 바닥에 가라앉히고 줄을 타고 전해지는 고기의 입질을 보일 수 있도록 전달하는 것으로 지형이나 물고기의 먹이를 먹는 특성에 따라 위로 올라가기도 하고 물속으로 들어가기도 한다. 수심을 잴 때는 자의 구실도 하는데 봉돌이 바닥에 닿았는지 수초나 장애물에 걸렸는지의 여부도 판별하게 한다. It keeps constant buoyancy and sinks the baengdol and bait on the floor and sends it to show the nibbling of the meat which is carried on the line. It goes up and goes into the water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eating the terrain or the food of the fish. When measuring the depth of water, it also serves as a pretext for discriminating whether or not the beneath the floor is touched by a few seconds or obstacles.

낚시찌는 수면에 부력을 전달하기 위한 찌몸통, 상기 찌몸통의 상단에 결합되어 수면위로 노출되는 찌톱, 상기 찌몸통의 하단에 결합되는 찌다리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찌다리의 하단부는 낚싯줄에 끼워져 연결된 고무링과 결합되어 낚싯줄에 연결된다. The fishing tackle is composed of a crucible body for transmitting buoyancy to the water surface, a chisso which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crucible body and exposed on the water surface, and a ladder which is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ladle body, and the lower end of the ladle is connected to a rubber It is combined with the ring and connected to the fishing line.

이와 같은 낚시 채비를 바닷물에 투입하면 봉돌(300)에 의해 낚시줄(100)과 함께 바늘(200)이 물속의 일정한 깊이까지 이동하게 된다. 이때 낚시를 하고자 하는 수심층을 면사 매듭(일명 찌매듭)으로 위치를 조절한다. 상기 낚시줄(100)이 봉돌(300)의 무게에 의해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낚시줄(100)에 부착된 면사매듭(406)을 조절하여 낚시 바늘의 위치를 조절한다. 낚시찌는 수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찌톱의 상하 움직임에 의하여 물고기가 입질하는 순간을 포착하여 챔질에 의하여 물고기를 낚을 수 있다. When such fishing preparation is put into the seawater, the needle 200 is moved to a certain depth in the water together with the fishing line 100 by the barb 300. At this time, adjust the position of the water depth layer to be used for fishing with a cotton knot (aka bamboo). When the fishing line 100 moves downward due to the weight of the barb 300, the position of the fishing needle is adjusted by adjusting the yarn loop knot 406 attached to the fishing line 100. The fish catch is set up vertically in the water, and the fish catches by th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fish catch and captures the moment when the fish catches the fish.

찌는 바닥에 따라 수심이 다양한 곳에서 낚시질을 할 경우 낚시를 하는 사람이 낚시 포인트의 깊이에 따라 낚시줄 및 면사 매듭을 이용하여 미끼가 꿰어진 낚시 바늘을 최적 위치에 위치하도록 일일이 조절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f you are fishing in a different depth of water depending on the steaming floor, the person who tries to adjust the fishing needle to be in the optimal position by using the fishing line and the cotton knot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fishing point there was.

이때 찌매듭을 손으로 직접 묶어야 하는데, 찌매듭을 묶는 방법이 복잡하고 낚시줄이 미끄러워초보자는 물론 숙련자에게도 용이하지 않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At this time, it is necessary to tie the knots directly by hand, but the method of tying the knots is complicated and the fishing line is slippery, which is not easy for beginners as well as for the skilled person.

또한, 수심을 확인할 수 없는 곳에서는 낚시 포인트에 맞게 낚시 바늘의 위치를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fishing needle in accordance with the fishing point in a place where the water depth can not be confirmed.

한국등록특허 제10-0458805호(2004.11.18)Korean Patent No. 10-0458805 (Nov. 18, 200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수심에 따른 낚시줄의 길이 조절을 위해 면사매듭을 사용해야 하는 번거러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낚시 바늘이 위치하는 곳의 수심을 측정하고, 측정된 수심에 따라 낚싯줄이 자동으로 권취 또는 권출되어, 해저의 굴곡 또는 해류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낚시줄의 길이 및 낚시 바늘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스마트 낚시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using a cotton yarn knot in order to adjust the length of a fishing line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water depth, the present invention measures the water depth at the place where the fishing needle is located, And is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of the fishing line and the position of the fishing needle in spite of the influence of the sea floor curvature or the current flow.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하우징;housing;

상기 하우징에 안착되는 권취롤;A winding roll seated on the housing;

상기 권취롤을 구동시키는 구동부;A driving unit for driving the winding roll;

상기 권취롤에 감겨 있고, 권취롤의 회전에 따라 귄취 또는 권출되는 낚싯줄;A fishing line wound on the winding roll and wound or unwound along with the rotation of the winding roll;

수심측정부; 및 A water depth measuring unit; And

상기 수심측정부와 구동부를 연결시키는 제어부; A controller for connecting the depth measuring unit and the driving unit;

를 포함하는 수심에 따라 낚시줄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스마트 낚시찌를 제공한다.To provide a smart fishing rod that can be adjusted in length depending on the depth of the fishing line.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심측정부는 In one embodiment, the depth measuring unit comprises:

음향신호를 발생시키는 음원발생기; 및 A sound source generator for generating a sound signal; And

상기 음원발생기로부터 발생된 음향신호가 해저에서 반사되어 오는 반사음을 감지하는 반사음 수신부; 를 포함하는 것인 수심에 따라 낚시줄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스마트 낚시찌를 제공한다.A reflected sound receiving unit for sensing a reflected sound reflected from the sea floor by the acoustic signal generated from the sound source generator; To provide a smart fishing rod that can adjust the length of the fishing line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wate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사음 수신부가 수신한 반사음에 의하여 해저 깊이를 산정하고, 상기 모터에 구동 신호를 발송하는 것인 수심에 따라 낚시줄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스마트 낚시찌를 제공한다.In one embodiment, the control unit estimates the depth of the seabed by the reflection sound received by the reflection sound receiving unit, and sends the driving signal to the motor. The control unit can adjust the length of the fishing line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wate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 및 권취롤은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수신된 신호에 따라 기설정된 찌의 높이를 유지하도록 구동하는 것인 수심에 따라 낚시줄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스마트 낚시찌를 제공한다.In one embodiment, the driving unit and the winding roll are driven so as to maintain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crucible according to a signal received by the control unit. The length of the fishing line is adjustable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wate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사용자의 이동 통신 수단에 의해 동작하고, 상기 구동부 및 권취롤을 조절하는 블루투스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인 수심에 따라 낚시줄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스마트 낚시찌를 제공한다.In on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provides a smart fishing tackle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of a fishing line according to a depth of water, which is operated by a user's mobile communication means and controls the driving unit and the winding roll.

일 실시예에 있어서, 발광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수심에 따라 낚시줄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스마트 낚시찌를 제공한다.In one embodiment, the smart fishing tackle further includes a light emitting display portion, and the length of the fishing line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water.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술한 자동 수심 조절이 가능한 스마트 낚시찌를 포함하는 낚시 채비를 제공한다.
In one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ishing gear comprising a smart fishing tackle capable of automatic depth control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수심 조절이 가능한 스마트 낚시찌에 의하면 낚시찌가 위치하는 환경이 해저면의 굴곡 상태가 변하거나, 물의 유속의 변화 및 파고가 발생하더라도 자동으로 수심을 측정하고 수심으로부터 어류가 많이 존재하는 깊이에 맞춰서 낚싯줄의 길이가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mart fishing goggl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measure the depth of water even when the bogies of the sea floor are changed, The length of the fishing line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in accordance with the depth.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수심 조절이 가능한 스마트 낚시찌에 의하면 종래 낚시찌가 위치하는 수심에 따라 매듭 고정구 및 면사매듭을 이용하여 깊이를 조절하는 과정 및 수심에 따라 면사매듭을 묶고 푸는 번거로움을 제거할 수 있다.Accordingly, according to the smart fishing tackle capable of adjusting the automatic depth of wa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depth by using a knot fastener and a cotton knot in accordance with the depth at which the fishing tackle is located, and to eliminate the troubles of tying and loosening the cotton knot according to the water depth .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수심 조절이 가능한 스마트 낚시찌에 의하면 이동 단말기로 간단하게 낚싯줄의 길이를 제어하거나 발광 표시부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mart fishing goggl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of the fishing line can be easily controlled by the mobile terminal or the power of the light emitting display portion can be controlled.

도 1은 종래 낚시찌의 형태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심에 따라 낚시줄의 길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갖는 스마트 낚시찌의 사시도 및 분리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심에 따라 낚시줄의 길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갖는 스마트 낚시찌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심에 따라 낚시줄의 길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갖는 스마트 낚시찌의 분리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심에 따라 낚시줄의 길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갖는 스마트 낚시찌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심에 따라 낚시줄의 길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갖는 스마트 낚시찌의 분리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심에 따라 낚시줄의 길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갖는 스마트 낚시찌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심에 따라 낚시줄의 길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갖는 스마트 낚시찌의 분리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심에 따라 낚시줄의 길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갖는 스마트 낚시찌를 포함하는 낚시 채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심에 따라 낚시줄의 길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갖는 스마트 낚시찌를 포함하는 낚시 채비를 나타낸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심에 따라 낚시줄의 길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갖는 스마트 낚시찌에 의해 낚싯줄이 자동으로 제어되는 형태를 나타낸 것이다.
Fig. 1 shows the shape of a conventional fishing ro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and a separated perspective view of a smart fishing rod having a function of adjusting the length of a fishing l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 fishing rod having a function of adjusting the length of a fishing line according to a water dept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mart fishing rod having a function of adjusting the length of a fishing line according to a water dept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 fishing fishing boat having a function of adjusting the length of a fishing line according to a water dept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mart fishing tackle having a function of adjusting the length of a fishing line according to a water dept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 fishing tackle having a function of adjusting the length of a fishing line according to a water dept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mart fishing rod having a function of adjusting the length of a fishing line according to a water dept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view illustrating a fishing gear including a smart fishing rod having a function of adjusting the length of a fishing line according to a water dep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view showing a fishing gear including a smart fishing rod having a function of adjusting the length of a fishing line according to a water depth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view illustrating a fishing line being automatically controlled by a smart fishing rod having a function of adjusting the length of a fishing line according to a water dep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종래 낚시찌는 수심의 높낮이를 맞추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찌를 채비해야 하고 수심에 따라 면사매듭을 조절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는 바, 본 발명의 발명자는 선상의 이동에 따라 해저면의 굴곡 상태가 변하거나, 물의 유속의 변화 및 파고가 발생하더라도 낚싯줄의 길이가 사용자가 원하는 수심에 일치하도록 자동으로 제어되는 낚시찌를 발명하기에 이르렀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onventional fishing tackle, various kinds of crucibles have to be prepared in order to adjust the height of the water depth and it is troublesome to adjust the cotton knot according to the water depth. The inven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shing line is automatically controlled so that the length of the fishing line is matched to the desired depth by the user even if the bending state changes or the flow rate of the water changes and peaks occu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수심 조절이 가능한 스마트 낚시찌의 사시도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수심 조절이 가능한 스마트 낚시찌의 분리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 fishing tackle capable of adjusting an automatic water dep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mart fishing tackle capable of adjusting an automatic water depth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중공부가 형성된 하우징(100); 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중공부에 안착되는 귄취롤(260); 상기 귄취롤(260)에 회전력을 가할 수 있도록 내측 끝단이 상기 하우징(100)에 고정되고 외측 끝단이 상기 귄취롤(260)에 고정되는 모터(241); 해저로 음향신호를 발생시키는 음원발생기(230); 상기 음향신호를 감지하는 해저 반사음 수신부(231); 및 일단이 상기 귄취롤(260)의 테두리 외주연에 연결되어 상기 권취부의 회전에 따라 귄취 또는 권출되며, 타단이 상기 하우징(100)의 외부로 관통하여 돌출되는 낚싯줄(1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 수심 조절이 가능한 스마트 낚시찌를 제공할 수 있다.1 and 2,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00 having a hollow portion; A kneading roll 260 formed in a circular shape and seated in the hollow portion; A motor 241 having an inner end fixed to the housing 100 and an outer end fixed to the swing roll 260 so as to apply a rotational force to the swing roll 260; A sound source generator 230 for generating a sound signal from the seabed; A submarine reflected sound receiving unit 231 for sensing the acoustic signal; And a fishing line 110 connected at one end to the outer periphery of the rim of the nipple 260 and wound or unwound along with the rotation of the winding unit and having the other end protruding through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0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mart fishing tackle capable of adjusting the automatic depth control.

상기 하우징(100)은, 내측에 상기 귄취롤(260), 모터(240), 음원발생기(230), 및 반사음 수신부(231)가 수용될 수 있도록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기 귄취롤(260)의 회전을 안내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00)의 중공부는 롤러 형상의 상기 귄취롤(260)이 수용되어 회전 안내될 수 있도록 원형 홈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부 또는 하부 등 일측이 외측으로 더욱 확장된 구조도 가능하며, 상기 귄취롤(260)이 회전시 유동되지 않는 구조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The housing 100 is formed with a hollow portion for receiving the whip roll 260, the motor 240, the sound generator 230, and the reflection sound receiving portion 231 inside thereof. The hollow portion of the whip roll 260 It can serve to guide the rotation. The hollow portion of the housing 100 may be formed in a circular groove shape so that the roller-shaped whirling roll 260 may be received and rotated. However, the upper portion or the lower portion may be further extended outwardly And the structure in which the whirling roll 260 does not flow during rota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상기 하우징(100)의 중공부 중 상기 귄취롤(260)이 안착되는 중심부에는 제1회전축(241)에 의해 상기 모터(240)와 상기 귄취롤(260)이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축(241) 내측 말단이 모터(240)에 고정되고 외측 말단이 상기 권취롤(260)에 결합함으로써 상기 귄취롤(260)에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귄취롤(260)이 상기 중공부로부터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이격될 수 있도록 상기 모터(240)가 안착되지 않은 하우징(100)에 상기 귄취롤(260)에 결합하는 제2회전축(242)이 안착될 수 있다.The motor 240 and the turntable 260 can be coupl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hollow portion of the housing 100 where the turntable 260 is seated by the first rotation shaft 241. The inner end of the first rotation shaft 241 is fixed to the motor 240 and the outer end of the first rotation shaft 241 is coupled to the winding roll 260, A second rotation shaft 242 (not shown) is coupled to the housing 100, to which the motor 240 is not seated, so that the whip roll 260 can be spaced apart from the hollow portion at a predetermined interval, Can be seated.

종래에는 수심의 높낮이를 맞추기 위해 낚시줄에 면사매듭을 고정하고, 찌의 통공을 지나쳐 통과하지 않도록 하는 매듭 고정구를 낚시줄에 고정해야 했으며, 수면의 높이에 따라 면사매듭을 묶고 푸는 과정을 반복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 권취롤(260)에 의해 상기 낚싯줄(110)이 권취 또는 권출되면서 수심의 높낮이를 맞출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결하였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adjust the height of the water depth, a cotton knot is fixed on the fishing line, and a knot fixture which does not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of the crucible has to be fixed to the fishing line and the process of loosening and loosening the cotton knot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water There was a hassle. However,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solved this problem by allowing the fishing line 110 to be wound or unwound by the winding roll 260 so that the height of the water depth can be adjusted.

한편, 상기 권취롤(260)은 상기 모터(240)에 의해 권취 또는 권출되어 상기 낚싯줄(110)이 얕은 수심으로 또는 깊은 수심으로 이동할 수 있고, 도 9 및 도 10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봉돌(910)에 의해 바늘(930)과 미끼가 가라앉도록 함으로써 상기 모터(240)가 상기 권취롤(260)을 권출시키는 작동을 하지 않을 수 있다.The fishing line 110 can be moved to a shallow water depth or a deep water depth by the motor 240 so that the fishing line 110 can be moved to a deep water depth. As shown in Figs. 9 and 10, It is possible that the motor 240 does not operate to pull the winding roll 260 by causing the needle 930 and the bait to sink.

상기 하우징(100)의 중공부 중 상기 모터(240)가 안착되는 부분의 상단에 상기 음원발생기(230) 및 상기 해저 반사음 수신부(231)가 더 안착될 수 있다.The sound source generator 230 and the submarine reflected sound receiving unit 231 may be further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llow portion of the housing 100 where the motor 240 is seated.

일반적으로 수중의 음향신호를 감지하여 음향원의 정확한 위치 등을 탐지하기 위한 음향탐지기에 있어서, 수중의 음파를 감지하는 방식은 음향에너지를 방사하여 상기 음향에너지가 물체로부터 반사되는 것을 수신하는 능동 소나(sonar) 방식 및 다른 음원으로부터 방사하는 음향에너지만을 수신하는 수동 소나방식이 있으며, 상기 해저 반사음 수신부(231)는 상기 음원발생기(230)로부터 발생하는 음향에너지만을 수신하는 수동 소나방식인 것이 바람직하다.In general, an acoustic detector for detecting an acoustic signal in water to detect an accurate position of an acoustic source, and a method for sensing a sound wave in the water includes an active sonar for receiving the reflection of the acoustic energy from an object, and a passive sonar system for receiving only acoustic energy emitted from other sound sources. The submarine reflected sound receiving unit 231 is preferably a passive sonar system for receiving only acoustic energy generated from the sound generator 230 .

상기 음원발생기(230)로부터 발생한 음향이 해수 입자의 기계적인 소밀작용에 의해 주변으로 전파되고 해저에 반사된 후 상기 해저 반사음 수신부(231)에 도달되어 수심의 측정이 가능하게 되고, 사용자가 입력한 낚시바늘이 해저로부터 이격된 높이와 일치하도록 모터 제어선(250)을 따라 전기적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모터(240)를 구동시켜 상기 낚싯줄(110)이 상기 귄취롤(260)에 의해 권취 또는 권출되도록 자동으로 제어될 수 있다.The sound generated from the sound source generator 230 is propagated to the surroundings due to the mechanical tightness of the seawater particles and is reflected on the seabed and then reaches the submarine reflection sound receiving unit 231 to enable measurement of the depth of water, The motor 240 is driven by transmitting an electrical signal along the motor control line 250 so that the fishing line is coincident with the height spaced from the seabed so that the fishing line 110 is wound or unwound by the catching roll 260 Can be automatically controlled.

본 발명의 자동 수심 조절이 가능한 스마트 낚시찌의 형태는 수면 위에 뜰 수 있는 형태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상하면이 뒤집히지 않고 유지될 수 있도록 무게 중심이 하부에 있는 구조로 도 1 및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밤톨형상(역삼각형)일 수 있고, 도 3 및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타원체일 수 있다.The shape of the smart fishing tackle capable of adjusting the automatic water depth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be floated on the water surface. However, the structure is such that the center of gravity is at the bottom so that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can be held without being inverted. Like shape (inverted triangle), and may be an ellipsoid as shown in Figs. 3 and 4.

또한, 본 발명의 자동 수심 조절이 가능한 스마트 낚시찌는 수면 위에 뜰 수 있도록 부력재를 포함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자동 수심 조절이 가능한 스마트 낚시찌 표면에 방수코팅이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mart fishing tackle capable of adjusting the automatic water depth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uoyant material to float on the water surface, and the waterproof coating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mart fishing tackle capable of adjusting the automatic water depth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수심 조절이 가능한 스마트 낚시찌의 사시도를,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수심 조절이 가능한 스마트 낚시찌의 분리 사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mart fishing tackle capable of adjusting an automatic depth contr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mart tackle capable of controlling an automatic depth contro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스마트 낚시찌는 상기 하우징(100) 표면에 발광 표시부(57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야간에 낚시를 하는 경우 상기 발광 표시부(570)에 의해 낚시찌가 수면에서 노출되는 정도의 변화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5 and 6, the smart fishing goggl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light emitting display unit 570 on the surface of the housing 100. When the user is fishing at night, the smart fishing goggle may be illuminated by the light emitting display unit 570 The change in degree of exposure of the fishing rod to the water surface can be easily confirmed.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이동 단말기에 의한 전기적 신호 제어가 가능한 블루투스(Bluetooth) 모듈이 안착될 수 있다.A Bluetooth module capable of controlling an electrical signal by a mobile terminal may be installed in the housing 100.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이동 단말기”는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베이스 스테이션에 접속되어 데이터를 교환하거나 정보를 수신하는 이동장치를 지칭할 수 있고,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노트북 또는 휴대폰을 지칭할 수 있다.The term " mobile terminal " as used herein can refer to a mobile device that is connected to a base station using Bluetooth to exchange data or receive information, and may refer to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have.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블루투스”는 케이블을 대체하여 휴대형 또는 고정형 전자장치를 접속하기 위한 단거리 무선링크(short-range radio link)를 지칭할 수 있고, PDA,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여러 장치에서 구현 될 수 있으며, 케이블 대체 기술로서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게 하는 무선네트워크를 생성하기 위한 용도로도 사용되는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The term " Bluetooth " as used herein may refer to a short-range radio link for connecting a portable or stationary electronic device in place of a cable and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evices such as PDAs, notebooks, And may also refer to devices that are used not only as cable replacement technologies, but also for creating wireless networks that allow users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블루투스 모듈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하우징(100) 내부에 안착된 상기 모터(240)를 구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상기 낚싯줄(110)의 권취 또는 권출을 간단하게 제어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Bluetooth module receives an electrical signal from the mobile terminal and drives the motor 240 mounted in the housing 100. Therefore, the user can easily control the winding or unwinding of the fishing line 110 by using the mobile terminal.

또한, 상기 블루투스 모듈은 상기 발광 표시부(570)의 전원을 제어할 수 있는 기능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사용자는 휴식을 취할 때 상기 발광 표시부(570)의 전원을 차단시킴으로써 전력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The Bluetooth module may further include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power of the light emitting display unit 570. Thus, when the user takes a rest, the power of the light emitting display unit 570 is turned off, can do.

한편, 상기 블루투스 모듈은 상기 모터(240)를 구동시켜 상기 낚싯줄(110)의 수중 상하수직운동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낚시줄(110)의 수중 상하수직운동은 수중에서 팽팽해진 낚싯줄을 위아래로 흔들어 미끼가 움직이도록 하는 고패질 효과가 있다.Meanwhile, the Bluetooth module may include a vertical up and down movement function of the fishing line 110 by driving the motor 240. The up-and-down vertical movement of the fishing line 110 in the water has a scooping effect that makes the bait move so that the fishing line, which is tightened in water, is shaken up and down.

도 9 및 도 10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수심 조절이 가능한 스마트 낚시찌를 포함하는 낚시 채비를 나타낸 것이다.FIGS. 9 and 10 illustrate a fishing gear including a smart fishing tackle capable of controlling an automatic depth contr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기술한 자동 수심 조절이 가능한 스마트 낚시찌를 포함하는 낚시 채비를 제공할 수 있고, 수중찌(900), 봉돌(910), 목줄(920), 및 바늘(93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9 and 10, it is possible to provide fishing equipment including the above-described smart fishing tackle capable of adjusting the automatic water depth, and the fishing tackle 900, the bag 910, the collar 920, and the needle 930, . ≪ / RTI >

상기 수중찌(900)는 일정 무게를 가짐으로써, 장거리의 포인트까지 상기 낚시 채비를 날릴 수 있도록 무게를 더해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수중에서 큰 파도나 물결에 휘말려 흔들릴 수 있는 본 발명의 자동 수심 조절이 가능한 스마트 낚시찌를 물밑에서 일정 무게로 잡아주는 역할을 하거나, 조류의 흐름에 구애받지 않고 사용자가 의도한 수심에서 낚시 채비가 머무르도록 하는 닻의 역할을 할 수 있다.The aqueduct 900 has a predetermined weight, and can add weight so that the fish can be dispensed up to a long distanc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 smart fishing rod which can be shaken by a large wave or a wave in water under a certain weight from under the water, or it can serve as a fishing rod at a user's intended depth, Can act as an anchor to stay.

상기 봉돌(910)은 상기 바늘(930)과 미끼가 신속하게 가라앉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boll 910 can act to sink the needle 930 and the bait quickly.

상기 목줄(920)은 상기 낚싯줄(110) 보다 얇은 줄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목줄(920)을 상기 낚싯줄(110) 보다 얇은 줄로서 상기 낚싯줄(110)과 별개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바늘(930)이 장애물에 걸렸을때 상기 낚싯줄(110) 보다 가는 상기 목줄(920)이 먼저 끊어짐으로써, 상기 낚싯줄(110)과 함께 부착된 다른 낚시 채비를 보호할 수 있다.
The neckline 920 may be thinner than the fishing line 110. When the neckline 920 is used as a line thinner than the fishing line 110 and is used separately from the fishing line 110, when the needle 930 is caught by an obstacle, the neckline 920, which is thinner than the fishing line 110, It is possible to protect other fishing equipment attached together with the fishing line 110.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300: 하우징 110: 낚싯줄
120, 320: 통공 230, 430: 음원발생기
231, 431: 해저 반사음 수신부 240, 440: 모터
241, 441: 제1회전축 242, 442: 제2회전축
250, 450: 모터 제어선 260: 권취롤
570, 770: 발광 표시부 900: 수중찌
910: 봉돌 920: 목줄
930: 바늘 940: 선상
100, 300: housing 110: fishing line
120, 320: through hole 230, 430: sound source generator
231, 431: submarine reflection sound receiving unit 240, 440: motor
241, 441: First rotary shaft 242, 442: Second rotary shaft
250, 450: motor control line 260: winding roll
570, 770: Light emitting display part 900:
910: Bongle 920: Neckline
930: Needle 940:

Claims (7)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안착되는 권취롤;
상기 권취롤에 회전력을 가할 수 있도록 내측 끝단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고 외측 끝단이 상기 권취롤에 고정되는 모터를 포함하는 구동부;
상기 권취롤에 감겨 있고, 권취롤의 회전에 따라 귄취 또는 권출되는 낚싯줄;
음향신호를 발생시키는 음원발생기 및 상기 음원발생기로부터 발생된 음향신호가 해저에서 반사되어 오는 반사음을 감지하는 반사음 수신부를 포함하는 수심측정부; 및
상기 수심측정부와 구동부를 연결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반사음 수신부가 수신한 반사음에 의하여 해저 깊이를 산정하고, 상기 모터에 구동 신호를 발송함에 따라, 상기 낚싯줄을 자동으로 권취 또는 권출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심에 따라 낚시줄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스마트 낚시찌.
housing;
A winding roll seated on the housing;
A driving unit including a motor having an inner end fixed to the housing and an outer end fixed to the winding roll so as to apply a rotational force to the winding roll;
A fishing line wound on the winding roll and wound or unwound along with the rotation of the winding roll;
A sound source generator for generating sound signals; and a reflected sound receiving unit for sensing reflected sounds reflected from the sea floor by the sound signals generated from the sound source generator;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necting the depth measuring unit and the driving unit,
Wherein the control unit estimates the depth of the seabed by the reflected sound received by the reflected sound receiving unit and automatically winds or unwinds the fishing line as the driving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motor
Smart fishing tackle with adjustable length of fishing line according to depth.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 및 권취롤은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수신된 신호에 따라 기설정된 찌의 높이를 유지하도록 구동하는 것인 수심에 따라 낚시줄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스마트 낚시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riving part and the winding roll are driven so as to maintain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crucible according to the signal received by the controller, the length of the fishing line being adjustable according to the depth of the water.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이동 통신 수단에 의해 동작하고, 상기 구동부 및 권취롤을 조절하는 블루투스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인 수심에 따라 낚시줄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스마트 낚시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mart fishing tackle capable of adjusting the length of a fishing line according to a depth of water, the device further comprising a Bluetooth module operating by a user's mobile communication means and adjusting the driving unit and the winding roll.
제1항에 있어서,
발광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수심에 따라 낚시줄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스마트 낚시찌.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mart fishing tackle that can adjust the length of the fishing line according to the depth of water, which further includes a light emitting display.
제1항에 의한 수심에 따라 낚시줄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스마트 낚시찌를 포함하는 낚시 채비.
Fishing equipment including a smart fishing rod that can adjust the length of the fishing line according to the depth according to Paragraph 1.
KR1020150101435A 2015-07-17 2015-07-17 A smart fishing float with fish length adjustable according to water level Expired - Fee Related KR1017804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435A KR101780425B1 (en) 2015-07-17 2015-07-17 A smart fishing float with fish length adjustable according to water lev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1435A KR101780425B1 (en) 2015-07-17 2015-07-17 A smart fishing float with fish length adjustable according to water leve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418A KR20170009418A (en) 2017-01-25
KR101780425B1 true KR101780425B1 (en) 2017-09-20

Family

ID=57991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1435A Expired - Fee Related KR101780425B1 (en) 2015-07-17 2015-07-17 A smart fishing float with fish length adjustable according to water lev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042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831386B1 (en) * 2024-04-11 2025-07-07 이진영 Fishing bobb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468B1 (en) * 2011-02-22 2011-06-27 민원식 Fisheye wireless transmission device of fishing bobber
KR200471104Y1 (en) * 2012-04-19 2014-02-05 김유진 Apparatus of controlling fishbowl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8805B1 (en) 2003-01-07 2004-12-03 김영구 Automatic jerk hook weigh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468B1 (en) * 2011-02-22 2011-06-27 민원식 Fisheye wireless transmission device of fishing bobber
KR200471104Y1 (en) * 2012-04-19 2014-02-05 김유진 Apparatus of controlling fishbowl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831386B1 (en) * 2024-04-11 2025-07-07 이진영 Fishing bob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9418A (en) 201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09179B2 (en) Castable sonar devices and operations in a marine environment
EP4005376B1 (en) Sensor positioning system for an aquaculture system
JP2023528123A (en) Camera controller for aquaculture behavior observation
US8181380B2 (en) Electronic fishing device and a related system, method, and use
JP2016129514A (en) Water quality monitoring device for aquaculture tank and aquaculture system using the same
KR20000076555A (en) Remote control unmanned fishing boat and device for remote control thereof
US4324135A (en) Speed indicator for fishing gear
KR101780425B1 (en) A smart fishing float with fish length adjustable according to water level
US20090299501A1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onic fishing device and related software submersible device and carrier medium
JP6545941B2 (en) Fish signal detection device and information output device
US4399695A (en) Underwater sensing mechanism and method
JP2022521071A (en) Underwater observation unit in the aquarium
EP3650889A2 (en) Castable sonar devices and operations in a marine environment
KR20220109827A (en) Smart float and fishing equipment having the same
JP6514870B2 (en) A bait container capable of detecting the amount of bait bait and a bait detector capable of detecting whether or not a fishing hook holds bait
KR100839202B1 (en) Fishing Bobber
CN216694990U (en) River course depth sounding equipment based on unmanned aerial vehicle
KR100731784B1 (en) Simplicity sonic depth finder for fishing
TWI757602B (en) Interactive underwater sensor system for aquatic creatures and method thereof
KR100375294B1 (en) Automic hook machine
JP2002315484A (en) Fishing float
KR200370602Y1 (en) Float for fishing
JP4802695B2 (en) Fish detector
JP3060876U (en) Fish signal device
JP3152175U (en) Fish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1091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K11-X000 Ip right revival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1-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10915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3-oth-PR04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