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94415B1 - Wiring Cap and Desk Having a the Same - Google Patents

Wiring Cap and Desk Having a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4415B1
KR101794415B1 KR1020150156071A KR20150156071A KR101794415B1 KR 101794415 B1 KR101794415 B1 KR 101794415B1 KR 1020150156071 A KR1020150156071 A KR 1020150156071A KR 20150156071 A KR20150156071 A KR 20150156071A KR 101794415 B1 KR101794415 B1 KR 1017944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pair
hollow
fixing plate
des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607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53485A (en
Inventor
윤성호
박원희
Original Assignee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56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4415B1/en
Publication of KR20170053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348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44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4415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14Detachable serving plat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13/00Details of tables or desks
    • A47B13/08Table tops; Rims therefor
    • A47B13/16Holders for glasses, ashtrays, lamps, candles or the like forming part of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1/00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 A47B21/06Tables or desks for office equipment, e.g. typewriters, keyboards characterised by means for holding, fastening or concealing cables
    • A47B2021/06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2097/003Cable holders; cable organis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8Tables or desks having means for applying electronic or electric device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책상용 전선캡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책상의 상판에 관통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전선 인출공에 구비되어 전선을 배선하는 전선캡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를 갖추어 상기 전선 인출공에 삽입배치되는 중공조립체 ; 상기 중공 조립체의 내부로 진입된 적어도 하나의 전선이 가고정되도록 상기 중공 조립체의 결합부에 구비되는 전선 고정부 ; 를 포함하여 상기 전선 고정부에 가고정된 전선을 상기 중공 조립체로부터 상기 상판의 상부로 인출하거나 하부로 인출한다.
Provide desk wire cap.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cap provided on at least one wire draw-out hole formed in an upper plate of a desk to wire the wire, the wire cap having at least one engaging portion inserted into the wire draw-out hole; An electric wire fixing part provided at an engaging part of the hollow assembly so that at least one electric wire entering into the hollow assembly is temporarily fixed; The electric wire fixed to the electric wire fixing part is drawn out from the hollow assembly to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late or drawn out to the lower part.

Description

책상용 전선캡 및 이를 갖는 책상{Wiring Cap and Desk Having a the Same}{Wiring Cap and Desk Having a Same}

본 발명은 책상에 구비되는 전선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전선을 책상의 하부에서 상부로 인출하는 작업을 전선의 낙하 염려없이 그리고 주변 사람의 도움없이 단독으로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책상용 전선캡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cap provided on a desk, and more particularly, to a wire cap for drawing a wire from a lower portion of a desk to an upper portion of the desk without any fear of dropping the wire, .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일반 사무실에서 사용되는 책상 및 그 주변에는 컴퓨터, 컴퓨터 보조장치, 전화기, 전기스탠드와 같은 전기, 전자기기를 두고 사용하게 된다. In general, a desk or the like used in a home or a general office is used with electric and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computer, a computer auxiliary device, a telephone, and a light stand.

이에 따라 책상 주변에는 기기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기기 상호간의 결선을 위한 다양한 종류의 전선들이 배선되고 있다. Accordingly, various kinds of wires are connected to the desk to supply power to the devices or to connect the devices to each other.

특히 책상의 상부 쪽으로 배선되는 전선들은 책상 상부에 배치되는 각종 기기와 결선될 수 있도록 책상의 상판 일측에 마련된 전선인출공을 통하여 상부로 인출되게 되어 있으며, 이러한 전선 인출공에는 전선들을 정렬 배선하도록 관통시키는 전선캡 또는 전선 안내구와 같은 별도의 구조물이 설치될 수 있다. Particularly, the electric wires that are wired to the upper side of the desk are drawn out to the upper part through the electric wire drawing hole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top plate of the desk so as to be connected to various devices arranged on the desk. Such as a wire cap or wire guide, may be provided.

한편, 책상의 주변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컴퓨터와 같은 기기와 책상에 올려지는 모니터와 같은 다른 기기는 전원케이블, RGB케이블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전선을 매개로 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서 책상의 일측모서리에 관통형성된 상기 전선 인출공이나 이에 구비되는 종래의 전선캡을 통과시키게 된다. On the other hand, other devices such as a computer placed on the floor near the desk and a monitor mounted on the desk are connected to one side edge of the desk to electrically connect through various types of wires such as a power cable and an RGB cable Through the wire draw-out hole or the conventional wire cap provided therein.

그러나 상기 책상에 관통형성되는 전선 인출공의 내경크기는 설계상 제한적인 크기로 형성된다.However, the inner diameter of the wire draw-out hole formed through the desk is limited in design.

이에 따라 전선의 양단 중 어느 일단에 구비되는 부품이 플러그와 같은 이 전선 인출공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되고, 플러그가 책상의 하부에서 기기와 연결되어야 하는 경우, 사용자가 외경이 큰 플러그를 갖는 전선의 일단이 책상의 상부에서 책상의 하부로 전선 인출공을 통해 하부로 인입하여 배선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책상 팀에서 쪼그리고 앉은 상태에서 책상의 하부에서 책상의 상부로 외경이 작은 전선의 타단을 잡고서 전선 인출공을 통하여 인입시켜 인출해야만 하였다. Accordingly, when a part provided at one end of the electric wire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electric wire drawing-out hole such as a plug and the plug is to be connected to the device at the lower part of the desk, It is difficult to draw one end of the wire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desk to the lower portion of the desk through the wire drawing hole so that it is difficult to wire the wir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desk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desk while squatting on the desk team, It had to be pulled in through the drawer and withdrawn.

이때, 상기 전선 인출공을 통하여 상부로 인출되는 전선의 타단은 책상위로 충분히 넘어가지 않을 경우, 전선의 자중에 의해서 바닥으로 낙하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전선을 책상하부에서 상부로 인출하는 작업의 어려움에 의하여 단순작업임에도 불구하고 사용자자의 부하를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At this time, if the other end of the electric wire drawn to the upper portion through the electric wire drawing-out hole does not sufficiently fall on the desk, it can fall down to the floor by the weight of the electric wire, thereby making difficulty in drawing the electric wir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desk to the upper por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load of the user is increased.

또한, 상기 전선 인출공을 통하여 상부로 인출되는 전선의 낙하를 방지하기 위해서 주변의 다른 사람에게 상부로 인출된 전선의 단부를 잡아 당겨달라고 해야만 하는 사용상 불편함의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inconvenient for the user to pull the end of the wire drawn to the upper part to the other person in order to prevent the electric wire drawn to the upper part from falling through the wire drawing hole.

(특허문헌 1) KR1241959 B1 (Patent Document 1) KR1241959 B1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전선을 책상의 하부에서 상부로 인출하는 작업을 전선의 낙하 염려없이 그리고 주변 사람의 도움없이 단독으로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는 책상용 전선캡을 제공하고자 한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esk which can easily carry out the drawing operation of the electric wire from the lower part of the desk to the upper part without fear of dropping the electric wire, We would like to provide a wire cap.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not restrictive of the invention, unless further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possibl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책상의 상판에 관통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전선 인출공에 구비되어 전선을 배선하는 전선캡에 있어서, 전선 인출공에 삽입배치되고, 내부 중공에 전선 고정부가 배치되도록 상기 전선 고정부가 삽입배치되는 조립공이 형성되는 결합부가 구비되는 중공체와, 상기 전선 인출공의 상단에 걸리도록 상기 중공체의 상단 외측테두리에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중공조립체; 상기 중공체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중공체의 형상에 대응되는 만곡형상으로 상기 조립공에 걸림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조립공을 통하여 진입되어 중공체의 내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전선이 끼움고정되는 좌우한쌍의 탄성편을 포함하는 전선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좌우한쌍의 탄성편은 상기 전선이 삽입배치되는 배치홈과, 상기 배치홈의 양단에서 직선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선을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부와, 상기 한 쌍의 안내부 각각의 일단에 원호 형상으로 상기 전선이 유입되는 유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선 고정부에 가고정된 전선을 상기 중공조립체로부터 상기 상판의 상부로 인출하거나 하부로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전선캡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ire cap provided on at least one wire drawing hole formed through an upper plate of a desk to wire the wire, the wire cap being inserted into the wire drawing hole, A hollow body having an engaging portion formed with an assembling member into which the fixing portion is inserted and a hooking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ly from an upper edge of the upper end of the hollow body so as to be caught by the upper end of the wire drawing hole; A fixing plate which is fixed to the assembly hole in a curv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hollow body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body; and a fixing plate extending from the fixing plate to enter through the assembly hole to be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hollow body,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elastic pieces, each of the pair of left and right elastic pieces including: a placement groove in which the electric wire is inserted; and a wire fixing part that extends straightly at both ends of the placement groove, A pair of guide portions and an inlet portion into which the electric wire is introduced in an arc shape at one end of each of the pair of guide portions, the electric wire fixed to the electric wire fixing portion is led out from the hollow assembly to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Or a lower portion of the cab is drawn out.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책상의 상판에 관통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전선 인출공에 구비되어 전선을 배선하는 전선캡에 있어서, 전선 인출공에 삽입배치되고, 내부 중공에 전선 고정부가 배치되도록 상기 전선 고정부가 삽입배치되는 조립공이 형성되는 결합부가 구비되는 중공체와, 상기 전선 인출공의 상단에 걸리도록 상기 중공체의 상단 외측테두리에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중공조립체; 상기 중공체의 형상에 대응되는 만곡형상으로 상기 중공체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조립턱에 끼움결합되는 고정판과, 상기 중공조립체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전선이 끼움고정되는 좌우한쌍의 탄성편을 포함하는 전선 고정부;를 포함하되,상기 중공체는 상기 고정판의 하부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판의 하부단이 접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의 일단에 상기 좌우한쌍의 조립턱이 구비되고 좌우 한쌍의 조립턱 사이에 상기 탄성편이 위치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좌우한쌍의 탄성편은 상기 전선이 삽입배치되는 배치홈과, 상기 배치홈의 양단에서 직선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선을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부와, 상기 한 쌍의 안내부 각각의 일단에 원호 형상으로 상기 전선이 유입되는 유입부를 포함하며,상기 전선 고정부에 가고정된 전선을 상기 중공조립체로부터 상기 상판의 상부로 인출하거나 하부로 인출하는 책상용 전선캡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ire cap provided on at least one wire drawing hole formed in a top plate of a desk to wire the wire, the wire cap being inserted into the wire drawing hole, A hollow body having an engaging portion formed with an assembling member into which the fixing portion is inserted and a hooking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ly from an upper edge of the upper end of the hollow body so as to be caught by the upper end of the wire drawing hole; A fixing plate which is fitted in the assembly jaw in a state of being in a curv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hollow body and in tight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body and a fixing plate extending from the fixing plate so as to be disposed inside the hollow assembly, Wherein the hollow body includes a stopper to which a lower end of the fixing plate abuts to prevent the lower end of the fixing plate from coming off, and a pair of right and left assembling jaws And a pair of right and left elastic pieces disposed between the pair of right and left assembling jaws. The pair of left and right elastic pieces are provided with a positioning groove in which the electric wire is inserted and a pair of elastic grooves extending straightly at both ends of the positioning groove, And an inflow portion into which the electric wire is introduced in an arc shape at one end of each of the pair of guide portions, Is going to the positive wire to the wire fixing section from the hollow cap assembly desk wires are drawn out to the upper or take-off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panel is provided.

이 때, 상기 고정판과 좌우한쌍의 탄성편사이에는 상기 조립공의 내측테두리와 대응하여 접하도록 함몰형성되는 고정홈을 구비할 수 있다. At this time, a fixing groove may be formed between the fixing plate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elastic pieces to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edge of the assembly hole.

이 때, 상기 고정판과 좌우한쌍의 탄성편사이에는 상기 좌우한쌍의 조립턱과 대응하여 접하도록 함몰형성되는 고정홈을 구비할 수 있다.At this time, a fixing groove may be formed between the fixing plate and a pair of right and left elastic pieces, which are form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pair of right and left assembling jaws.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책상용 전선캡이 구비되는 전선 인출공을 상판에 적어도 하나 관통형성하는 책상이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esk having at least one through-hole formed in the upper plate, the through-hole having the desk wire cap.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정리대상물인 전선을 상판에 관통형성된 전선 인출공에 조립되는 중공 조립체을 통과시키면서 중공 조립체와 결합되는 전선 고정부에 임시로 가고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전선 고정부에 임시로 가고정된 전선을 책상의 상판 하부에서 상판의 상부로 인출하는 작업을 자중에 의하여 전선이 낙하될 염려없이 수행하고, 주변 사람의 도움없이 단독으로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전선캡을 이용한 배선정리 작업시 사용자의 작업부하를 경감시키고, 전선캡의 사용상 편리성을 높일 수 있는 한편, 전선캡의 가격 경쟁력을 높일 수 있다. The electric wire as the object to be cleaned is temporally moved to the electric wire fixing part coupled with the hollow assembly while passing through the hollow assembly assembled to the electric wire drawing hole formed in the upper plate so that the user temporarily fixes the fixed electric wire to the electric wire fixing part, It is possible to carry out the operation of pulling out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of the top board without worrying that the electric wire falls due to its own weight and to perform it alone without the help of the people nearby, ,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usability of the wire cap and increase the price competitiveness of the wire cap.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책상용 전선캡의 설치 상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책상용 전선캡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책상용 전선캡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 와 도 4b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책상용 전선캡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책상용 전선캡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책상용 전선캡에 전선이 임시로 가고정된 상태의 외관도이다.
1 is a view illustrat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 wire cap for a des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overall perspective view of a desk wire ca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esk wire ca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A and 4B are block diagram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wire cap for a des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use of a wire cap for a des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ter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wire is temporarily fixed to a wire cap for a des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구조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portions having similar functions and functions throughout the drawings.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In addition, in the entir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to another part, it may be referred to as 'indirectly connected' not only with 'directly connected' . Also, to include an element does not exclude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but may also include other element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책상용 전선캡(10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바닥면에 배치되는 기기와 책상의 상판에 배치되는 다른 기기와의 사이를 연결하는 전원케이블과 같은 전선(C)을 책상(1)의 상판(2)에 관통형성된 전선 인출공(3)을 통하여 인출하여 배선하는 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중공 조립체(110) 및 전선 고정부(120)를 포함한다. As shown in FIGS. 1 to 3, a wire cap 100 for a desk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wer source for connecting a device, which is placed on a floor surface, to another device disposed on a top plate of a desk, In order to more easily carry out the operation of drawing the electric wire C such as a cable through the electric wire draw-out hole 3 formed in the upper plate 2 of the desk 1, the hollow assembly 110 and the wire fixing portion 120).

상기 중공 조립체(110)는 상기 상판(2)의 테두리에 일정크기의 내경을 갖도록 관통형성되는 전선 인출공(3)에 삽입배치되고, 상기 전선 고정부와 결합되는 결합부가 구비되는 중공체(111)와, 상기 전선 인출공(3)의 상단테두리에 걸리도록 상기 중공체(111)의 상단 외측테두리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걸림턱(113)을 포함한다. The hollow assembly 110 is inserted into a wire draw-out hole 3 formed at an edge of the upper plate 2 so as to have an inner diameter of a predetermined size and has a hollow body 111 And a hooking protrusion 113 protruding outward from an outer edge of an upper end of the hollow body 111 so as to be caught by the upper edge of the wire drawing hole 3. [

상기 중공체(111)는 상기 전선 인출공(3)의 내경과 대략 동일한 외경크기를 갖추어 상기 전선 인출공(3)에 삽입배치되는 중공구조물이며, 수지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hollow body 111 is a hollow structure having an outer diameter substantially equal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wire drawing hole 3 and inserted into the wire drawing hole 3, and may be made of a resin material.

여기서, 상기 중공체(111)는 대략 원형공 형태로 관통형성되는 전선 인출공(3)의 횡단면과 동일한 원형단면상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타원 또는 다각단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Here, the hollow body 111 is shown to be formed in the same circular cross-section as the cross-section of the wire draw-out hole 3 formed in a substantially circular hole shape, but the hollow body 111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an elliptical or polygonal cross- .

상기 걸림턱(113)은 상기 전선 인출공(H)에 삽입배치된 중공체(111)가 자중에 의해서 하부로 낙하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중공체(111)의 상단 외측테두리에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환고리형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hooking protrusion 113 i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y of the hollow body 111 so as to protrude outward at the outer edge of the upper end of the hollow body 111 so that the hollow body 111 inserted into the wire drawing- And may be formed of an annular member.

그리고 상기 중공체(111)에는 상기 전선 고정부(120)를 조립하여 고정 배치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결합부(115)를 구비하며, 이러한 결합부(115)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공(115a)의 형태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전선 고정부(120)를 중공체(111)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조립하여 배치하는 방식에 따라 도 4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립턱(115b)의 형태로 구비되거나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접착면(115d)으로 구비될 수 있다. The hollow body 111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engaging portion 115 for assembling and fixing the electric wire fixing portion 120. The engaging portion 115 may be formed in a shape as shown in FI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However, according to a method of assembling and disposing the electric wire fixing part 120 on the hollow body 111 so as to be attachable and detachable, As shown in the figure, it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n assembly step 115b or may be provided as an adhesive surface 115d so as to be fixed in an adhesive manner as shown in FIG. 4B.

상기 전선 고정부(120)는 상기 중공 조립체(110)의 결합부(115)와 결합되어 배선대상물인 전선(C)이 통과하는 중공체(111) 내부에 노출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중공 조립체(110)의 중공체(111) 내부로 진입된 적어도 하나의 전선(C)을 책상의 상부 또는 하부로 통과시켜 완전히 인출하기 전에 임시로 전선을 가고정하는 구조물이다. The wire fixing part 120 is provided to be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hollow body 111 through which the electric wire C as the object to be wired is coupled with the engaging part 115 of the hollow assembly 110, At least one electric wire (C) entering the hollow body (111) of the hollow body (111) passes through the top or bottom of the desk and temporarily fixes the electric wire before completely pulling it out.

이러한 전선고정부(120)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공체(111)에 관통형성된 조립공(115a)과 같은 결합부(115)에 걸림고정되는 고정판(121)과, 상기 조립공(115a)을 통하여 진입되어 중공체(111)의 내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고정판(121)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고, 가고정 대상물인 전선(C)이 끼움고정되는 좌우한쌍의 탄성편(123)을 포함한다.2 and 3, the electric wire fixing part 120 includes a fixing plate 121 which is engaged with a coupling part 115 such as an assembly hole 115a formed through the hollow body 111, A pair of left and right elastic pieces 123 extending through the assembly hole 115a and extending to the outside of the fixing plate 121 by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be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hollow body 111, ).

여기서, 상기 고정판(121)은 상기 조립공(115a)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상기 조립공의 내경크기보다 상대적으로 큰 외경크기를 갖는 판체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고정판과 대응하는 중공체(111)의 외면에는 고정판(121)이 배치되는 배치홈을 형성할 수 있다. The fixing plate 121 is formed of a plate having an outer diameter relatively larger than an inner diameter of the assembly hole 115a so as not to pass through the assembly hole 115a.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llow body 111 corresponding to the fixing plate, 121 can be formed.

그리고 상기 고정판(121)과 좌우한쌍의 탄성편(123)사이에는 상기 조립공(115a)의 내측테두리와 대응하여 접하도록 함몰형성되는 고정홈(121a)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d a fixing groove 121a formed between the fixing plate 121 and the pair of right and left elastic pieces 123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edge of the mounting hole 115a.

또한, 상기 전선고정부(120)는 도 4a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공체(111)의 내부면에 형성된 좌우한쌍의 조립턱(115b)과 같은 결합부(115)에 양단이 끼움 조립되어 고정되는 고정판(121)과, 상기 중공체(111)의 내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고정판(121)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고, 가고정 대상물인 전선(C)이 끼움고정되는 좌우한쌍의 탄성편(123)을 포함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좌우 한쌍의 조립턱(115b) 사이에는 탄성편(123)이 위치될 수 있는 홈이 도시된다. 이 때, 홈은 탄성편(123)이 끼워질 수 있도록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탄성편(123)은 조립턱(115b) 사이에 형성되는 홈에 지지되도록 끼워지고, 또한, 탄성편에 연결된 고정판(121)은 스토퍼(115c)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4A, the electric wire fixing part 120 is assembled by inserting both ends into a coupling part 115 such as a pair of right and left assembling steps 115b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llow body 111 A pair of right and left resilient pieces extending in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fixing plate 121 to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be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hollow body 111, 123).
Referring to FIG. 4A, a groove is shown in which the elastic piece 123 can be positioned between a pair of left and right assembling steps 115b. At this time, the grooves may be formed in corresponding sizes so that the elastic pieces 123 can be fitted. The elastic piece 123 is fitted so as to be supported in the groove formed between the assembling steps 115b and the fixing plate 121 connected to the elastic piece can be supported by the stopper 115c.

이때 상기 좌우한쌍의 조립턱(115b)에는 상기 고정판의 하부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판의 하부단이 접하는 스토퍼(115c)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pair of left and right assembling jaws 115b may be provided with a stopper 115c contacting the lower end of the fixing plate so as to prevent the lowering of the fixing plate.

그리고 상기 고정판(121)과 좌우한쌍의 탄성편(123)사이에는 상기 조립턱(115b)과 대응하여 접하도록 함몰형성되는 고정홈(121a)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nd a fixing groove 121a formed between the fixing plate 121 and the pair of right and left elastic pieces 123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assembly step 115b.

이에 따라, 상기 중공체(111)의 내측으로 노출되는 좌우한쌍의 탄성편(123)은 대략 반원단면상으로 형성되는 고정홈(121a)에 의해서 상기 전선의 끼움고정시 외측으로 벌어질 때 상기 탄성편(123)과 고정판(121)간의 경계영역에서의 응력집중을 분산시킬 수 있음과 동시에 상기 전선 고정부(120)와 결합된 중공 조립체(110)가 상기 전선 인출공(3)에 조립되기 전에 상기 전선 고정부(120)가 외력에 의해서 중공 조립체(110)로부터 불필요하게 분리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pair of left and right elastic pieces 123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hollow body 111 are fixed by the fixing grooves 121a formed in a substantially semicircular cross section so that when the electric wires are fanned out, It is possible to distribute the concentration of stress in the boundary region between the wire fixing part 123 and the fixing plate 121 and to prevent the stress from concentrating in the boundary between the wire fixing part 120 and the fixing part 121 before the hollow assembly 110 is assembled to the wire drawing part 3.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ire fixing portion 120 from being unnecessarily separated and separated from the hollow assembly 110 due to an external force.

그리고, 상기 좌우한쌍의 탄성편(123)에는 상기 전선의 끼움고정시 집중되는 응력을 분산하면서 상기 전선이 삽입 배치되도록 호형 단면상의 배치홈(123a)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을 참조하면, 좌우 한쌍의 탄성편(123)은 중공체(11)의 내주면 상에 중공체(11)의 중심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고, 또한, 좌우 한쌍의 탄성편(123) 사이에 배치홈(123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좌우 한쌍의 탄성편(123)은 상기 전선이 삽입배치되는 배치홈(123a)과, 상기 배치홈(123a)의 양단에서 직선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선을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부와, 상기 한 쌍의 안내부 각각의 일단에 원호 형상으로 상기 전선이 유입되는 유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안내부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배치홈(123a)으로부터 중공체(111)의 중심 방향으로 연장되는 된다. 유입부는 안내부의 단부에 원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한쌍의 탄성편(123) 사이의 간격은 안내부보다 유입부에서 더 크게 형성되고, 배치홈에서 가장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홈(123a)은 상기 좌우한쌍의 탄성편(123)사이의 틈새가 시작되는 고정판(121)의 외부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마주하는 좌우한쌍의 탄성편의 내측면에 함몰형성될 수도 있다.
The left and right elastic pieces 123 are preferably provided with arc-shaped sectional grooves 123a so that the electric wires are inserted and arranged while dispersing stress concentrated when the electric wires are fitted and fixed.
1, a pair of right and left elastic pieces 123 protrude in the center direction of the hollow body 11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body 11 and are disposed between a pair of left and right elastic pieces 123 A groove 123a may be formed.
The pair of left and right elastic pieces 123 are provided with a positioning groove 123a into which the electric wire is inserted, a pair of guide portions extending linearly at both ends of the positioning groove 123a and guiding the electric wire, And an inflow portion into which the electric wire is introduced in an arc shape at one end of each of the pair of guide portions.
At this time, the guide portions are formed as a pair and extend from the arrangement groove 123a in the direction of the center of the hollow body 111. The inflow portion may be formed in an arc shape at an end portion of the guide portion. As shown in Fig. 1, the gap between the pair of right and left elastic pieces 123 may be larger at the inlet than at the guide, and may be largest in the arrangement groove.
The placement groove 123a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xing plate 121 where the gap between the pair of left and right elastic pieces 123 starts. However, the placement groove 123a is not limited to this, It may be recessed on the inner side.

삭제delete

한편, 상기 전선 고정부(120)는 도 4b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중공체(111)의 내부면에 구비된 접착면(115d)과 같은 결합부(115)에 일측면이 접착되어 고정되는 고정판(121)과, 상기 중공체(111)의 내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고정판(121)으로부터 일정길이 연장되고, 가고정 대상물인 상기 전선(C)이 끼움고정되는 좌우한쌍의 탄성편(123)을 포함한다. 4B, one side of the wire fixing part 120 is adhered and fixed to a coupling part 115 such as an adhesive surface 115d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llow body 111 A pair of left and right elastic pieces 123 which are extended from the fixing plate 121 by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be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hollow body 111 and in which the electric wire C as a fixing object is fitted and fixed, .

여기서, 상기 접착면(115d)은 상기 고정판(121)의 일측면과 접하여 접착고정력을 발생시키는 양면테이프 또는 접착제로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adhesive surface 115d may be a double-sided tape or an adhesive which contacts the side surface of the fixing plate 121 and generates an adhesive force.

상기한 구성을 갖는 전선캡(100)을 이용하여 전선을 배선하는 작업은 도 5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와 같이 전선 인출공(3)의 내경크기보다 외경크기가 큰 부품(4)을 일단에 구비하고, USB와 같이 전선 인출공(3)의 내경크기보다 외경크기가 작은 부품(5)을 타단에 구비하는 전선(C)을 배선하는 경우, 사용자가 상판(2)이 하부에서 상기 작은 부품(5)을 갖는 전선(C)의 타단을 상단으로 하여 상기 중공 조립체의 중공체(111)를 통하여 하부에서 상부로 인입시켜 인출한다. As shown in Fig. 5 and Fig. 6, in the operation of wiring the electric wire using the wire cap 100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part 4 (the outer diameter of which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wire drawing- And a wire 5 having the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wire lead-out hole 3 such as USB is wired to the other end, , The other end of the electric wire (C) having the small component (5) is taken as an upper end through the hollow body (111) of the hollow assembly and drawn out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전선(C)을 상기 중공체(111)의 내부에 고정설치된 전선 고정부(120)와 대응시킨 상태에서, 상기 좌우한쌍의 탄성편(123)사이의 틈새로 끼우게 되면, 좌우양측으로 벌어지는 탄성편(123)의 탄성복원력에 의해서 상기 전선(C)은 자중에 의하여 하부로 낙하되거나 주변 사람의 도움없이도 전선 고정부에 간편하게 임시로 가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When the electric wire C is inserted into a gap between the pair of elastic pieces 123 in a state where the electric wire C is associated with the wire fixing part 120 fixed inside the hollow body 111, The elasticity of the resilient piece 123 extending to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allows the electric wire C to fall down to its lower side due to its own weight or to be temporarily temporarily fixed to the electric wire fixing portion without the help of a person nearby.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중공 조립체(110)를 통해 상판(2)의 상부로 노출되는 전선(C)의 타단을 잡고서 상부로 외력에 의해서 끌어당기거나 상기 전선 고정부(120)로부터 해제된 전선의 타단을 잡고서 상부로 외력에 의해서 끌어당긴 다음 상판의 상부면에 배치된 기기와 연결할 수 있는 것이다. In this state, the user grasps the other end of the wire C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upper plate 2 through the hollow assembly 110 and pulls the upper end of the wire C by an external force, The other end can be pulled by the external force to the upper part and then connected to the device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또한, 사용자가 배선대상물인 전선(C)을 책상의 상판 하부에서 중공 조립체의 중공체(111)를 통하여 책상의 상판 상부로 인출하는 과정에서 전선이 전선 고정부(120)의 탄성편에 임시로 가고정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와 반대로 전선을 책상의 상판 상부에서 책상의 상판 하부로 인출하는 작업에도 동일하게 적용하고,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When the user draws the electric wire C to be wir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desk to the upper part of the desk through the hollow body 111 of the hollow assembly, the electric wire is temporarily fixed to the elastic part of the wire fixing part 12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ame effect can be obtained by applying the electric wire to the lower part of the upper plate of the desk from the upper part of the desk.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1 : 책상
2 : 상판
3 : 전선 인출공
110 : 중공 조립체
111 : 중공체
113 : 걸림턱
115 : 결합부
115a : 조립공
115b : 조립턱
115c : 스토퍼
115d : 접착면
120 : 전선고정부
121 : 고정판
121a : 고정홈
123 : 탄성편
123a : 배치홈
C : 전선
1: Desk
2: Top plate
3: Wire drawer
110: Hollow assembly
111: Hollow body
113: hanging jaw
115:
115a: Assembly
115b: assembly jaw
115c: stopper
115d: Adhesive surface
120:
121: Fixing plate
121a: Fixing groove
123: elastic piece
123a: Batch Home
C: Wires

Claims (10)

삭제delete 책상의 상판에 관통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전선 인출공에 구비되어 전선을 배선하는 전선캡에 있어서,
전선 인출공에 삽입배치되고, 내부 중공에 전선 고정부가 배치되도록 상기 전선 고정부가 삽입배치되는 조립공이 형성되는 결합부가 구비되는 중공체와, 상기 전선 인출공의 상단에 걸리도록 상기 중공체의 상단 외측테두리에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중공조립체;
상기 중공체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중공체의 형상에 대응되는 만곡형상으로 상기 조립공에 걸림고정되는 고정판과, 상기 조립공을 통하여 진입되어 중공체의 내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전선이 끼움고정되는 좌우한쌍의 탄성편을 포함하는 전선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좌우한쌍의 탄성편은 상기 전선이 삽입배치되는 배치홈과, 상기 배치홈의 양단에서 직선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선을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부와, 상기 한 쌍의 안내부 각각의 일단에 원호 형상으로 상기 전선이 유입되는 유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선 고정부에 가고정된 전선을 상기 중공조립체로부터 상기 상판의 상부로 인출하거나 하부로 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전선캡.
A wire cap provided on at least one wire drawing hole formed through an upper plate of a desk to wire the wire,
A hollow body inserted into the wire draw-out hole and having an engaging portion formed with an assembling hole into which the wire securing portion is inserted so that the wire securing portion is disposed in the hollow of the hollow portion; A hollow assembly including an engagement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ly from a rim;
A fixing plate that is engaged with the assembly hole in a curv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hollow body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body; and a fixing plate extending from the fixing plate so as to enter through the assembly hole to be exposed to the inside of the hollow body, And an electric wire fixing part including a pair of left and right elastic pieces to be fixed,
Wherein the pair of right and left elastic pieces includes a pair of guide grooves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at both ends of the arrangement groove and guiding the electric wires, And an inflow portion into which the electric wire is introduced,
Wherein the electric wire fixed to the electric wire fixing part is drawn out from the hollow assembly to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late or drawn out to the lower part.
책상의 상판에 관통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전선 인출공에 구비되어 전선을 배선하는 전선캡에 있어서,
전선 인출공에 삽입배치되고, 내부 중공에 전선 고정부가 배치되도록 상기 전선 고정부가 삽입배치되는 조립공이 형성되는 결합부가 구비되는 중공체와, 상기 전선 인출공의 상단에 걸리도록 상기 중공체의 상단 외측테두리에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걸림턱을 포함하는 중공조립체;
상기 중공체의 형상에 대응되는 만곡형상으로 상기 중공체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조립턱에 끼움결합되는 고정판과, 상기 중공조립체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고정판으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전선이 끼움고정되는 좌우한쌍의 탄성편을 포함하는 전선 고정부;를 포함하되,
상기 중공체는 상기 고정판의 하부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고정판의 하부단이 접하는 스토퍼와, 상기 스토퍼의 일단에 좌우한쌍의 조립턱이 구비되고 좌우 한쌍의 조립턱 사이에 상기 탄성편이 위치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좌우한쌍의 탄성편은 상기 전선이 삽입배치되는 배치홈과, 상기 배치홈의 양단에서 직선으로 연장되어 상기 전선을 안내하는 한 쌍의 안내부와, 상기 한 쌍의 안내부 각각의 일단에 원호 형상으로 상기 전선이 유입되는 유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선 고정부에 가고정된 전선을 상기 중공조립체로부터 상기 상판의 상부로 인출하거나 하부로 인출하는 책상용 전선캡.
A wire cap provided on at least one wire drawing hole formed through an upper plate of a desk to wire the wire,
A hollow body inserted into the wire draw-out hole and having an engaging portion formed with an assembling hole into which the wire securing portion is inserted so that the wire securing portion is disposed in the hollow of the hollow portion; A hollow assembly including an engagement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ly from a rim;
A fixing plate which is fitted in the assembly jaw in a state of being in a curv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hollow body and in tight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low body and a fixing plate extending from the fixing plate so as to be disposed inside the hollow assembly, And an electric wire fixing part including a pair of left and right elastic pieces,
The hollow body includes a stopper having a lower end contacting the lower end of the fixing plate to prevent the lower end of the fixing plate from contacting the lower end of the fixing plate, and a pair of right and left assembling jaws at one end of the stopper, and,
Wherein the pair of right and left elastic pieces includes a pair of guide grooves extending in a straight line at both ends of the arrangement groove and guiding the electric wires, And an inflow portion into which the electric wire is introduced,
And an electric wire fixed to the electric wire fixing part is drawn out from the hollow assembly to the upper part of the upper plate or drawn out to the lower part.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과 좌우한쌍의 탄성편사이에는 상기 조립공의 내측테두리와 대응하여 접하도록 함몰형성되는 고정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전선캡.
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fixing groove formed between the fixing plate and the pair of right and left elastic pieces to be in contact with the inner edge of the assembly hol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과 좌우한쌍의 탄성편사이에는 상기 좌우한쌍의 조립턱과 대응하여 접하도록 함몰형성되는 고정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상용 전선캡.
The method of claim 3,
And a fixing groove formed between the fixing plate and the pair of right and left elastic pieces to be in contact with the pair of right and left assembling jaw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2항, 제3항, 제5항 및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책상용 전선캡이 구비되는 전선 인출공을 상판에 적어도 하나 관통형성한 책상. A desk having at least one wire draw-out hole formed in at least one of the upper, lower, upper, lower,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esk with the wire cap of any one of claims 2, 3, 5,
KR1020150156071A 2015-11-06 2015-11-06 Wiring Cap and Desk Having a the Same Active KR1017944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071A KR101794415B1 (en) 2015-11-06 2015-11-06 Wiring Cap and Desk Having a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6071A KR101794415B1 (en) 2015-11-06 2015-11-06 Wiring Cap and Desk Having a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3485A KR20170053485A (en) 2017-05-16
KR101794415B1 true KR101794415B1 (en) 2017-12-01

Family

ID=59035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6071A Active KR101794415B1 (en) 2015-11-06 2015-11-06 Wiring Cap and Desk Having a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441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3857Y1 (en) * 2020-04-02 2021-06-16 티씨티 나노테크 컴퍼니 리미티드 Apparatus for attaching an inclination-monitoring device to a tab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827Y1 (en) * 2006-05-31 2006-08-25 김두철 Wire cap for des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827Y1 (en) * 2006-05-31 2006-08-25 김두철 Wire cap for desk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디자인공보 제30-0581089호(2010.12. 3.공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3485A (en) 2017-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55009B2 (en) Mountable audio system for electronic devices
US11316354B1 (en) Wireless charger with integrated cable reel
CN103959584A (en) Electrical socket apparatus
KR101794415B1 (en) Wiring Cap and Desk Having a the Same
JP2016207265A (en) LED lighting device
CN105762548A (en) Press type junction box
US7897869B2 (en) Retractable electrical cord box
CN104051916A (en) Extension socket with annular winding groove
US20120234988A1 (en) Structure for mounting cables to a device
TWI558036B (en) Electrical power expansion device
KR101787731B1 (en) Apparatus for connecting electricity sources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JP7139844B2 (en) Panel mounting structure
CN105322367A (en) Detachable electric wire
KR200469189Y1 (en) Distribution apparatus for electric wiring
KR20160059311A (en) Outlet for easily combining and seperating cover
CN104976427A (en) Cantilever type TV rack line concentration structure
KR200479686Y1 (en) A cable arranging appratus for attached to the adapter
CN103378484A (en) Connecting sleeve used for installing communication cable connector
KR20150002851U (en) Wiring Clip for Table
KR101610865B1 (en) Lamp base apparatus with non-rotating isolation structure and Lamp using the same
CN205772472U (en) A kind of household electrical appliances power cord winding device
CN206370581U (en) socket stand for table
CN208595405U (en) A kind of fixed device of home electronics
KR102078416B1 (en) Socket-outlet type furniture frame
JP2014056802A (en) Magnet type table ta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1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6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026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0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710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103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1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