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4350B1 - Dehydrating apparatus of sludge - Google Patents
Dehydrating apparatus of slud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04350B1 KR101804350B1 KR1020160019965A KR20160019965A KR101804350B1 KR 101804350 B1 KR101804350 B1 KR 101804350B1 KR 1020160019965 A KR1020160019965 A KR 1020160019965A KR 20160019965 A KR20160019965 A KR 20160019965A KR 101804350 B1 KR101804350 B1 KR 1018043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ter
- cleaning liquid
- sludge
- filter plates
- pass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10802 sludg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6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8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3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9000000706 fil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18044 dehyd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HEMHJVSKTPXQMS-UHFFFAOYSA-M Sod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Na+] HEMHJVSKTPXQM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QDZOEBFLNHCSSF-PFFBOGFISA-N (2S)-2-[[(2R)-2-[[(2S)-1-[(2S)-6-amino-2-[[(2S)-1-[(2R)-2-amino-5-carbamimidamidopentanoyl]pyrrolidine-2-carbonyl]amino]hexanoyl]pyrrolidine-2-carbonyl]amino]-3-(1H-indol-3-yl)propanoyl]amino]-N-[(2R)-1-[[(2S)-1-[[(2R)-1-[[(2S)-1-[[(2S)-1-amino-4-methyl-1-oxopentan-2-yl]amino]-4-methyl-1-oxopentan-2-yl]amino]-3-(1H-indol-3-yl)-1-oxopropan-2-yl]amino]-1-oxo-3-phenylpropan-2-yl]amino]-3-(1H-indol-3-yl)-1-oxopropan-2-yl]pentanediamide Chemical compound C([C@@H](C(=O)N[C@H](CC=1C2=CC=CC=C2NC=1)C(=O)N[C@@H](CC(C)C)C(=O)N[C@@H](CC(C)C)C(N)=O)NC(=O)[C@@H](CC=1C2=CC=CC=C2NC=1)NC(=O)[C@H](CCC(N)=O)NC(=O)[C@@H](CC=1C2=CC=CC=C2NC=1)NC(=O)[C@H]1N(CCC1)C(=O)[C@H](CCCCN)NC(=O)[C@H]1N(CCC1)C(=O)[C@H](N)CCCNC(N)=N)C1=CC=CC=C1 QDZOEBFLNHCSSF-PFFBOGFI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2100024304 Protachykinin-1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1800003906 Substance P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21 sodium hydrox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using filter pres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12—Filter presses, i.e. of the plate or plate and frame type
-
- B01D25/122—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28—Leaching or washing filter cakes in the filter handling the filter cake for purposes other than regener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5/00—Filters formed by clamping together several filtering elements or parts of such elements
- B01D25/32—Removal of the filter cak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6—Sludge reduction, e.g. by lysi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10/00—Liquid purification or separation
- Y10S210/06—Dehydra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 플레이트와 여과포에 달라붙어 있는 이물질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폐기슬러지의 탈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폐기슬러지 탈수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폐기슬러지 탈수장치는, 복수의 필터 플레이트와, 복수의 필터 플레이트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가이더를 갖는 장치 본체와, 장치 본체에 설치되어 필터 플레이트들을 수평 이동시키는 필터 플레이트 구동유닛과, 복수의 여과포와, 세척액 공급유닛을 포함한다. 복수의 필터 플레이트는 적어도 일면에 마련되는 슬러지 수용홈과,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통로와, 슬러지 수용홈과 통로를 연결하는 연결유로를 구비하고, 서로 접근 및 이격될 수 있게 배열된다. 복수의 여과포는 복수의 필터 플레이트 사이로 투입되는 폐기슬러지를 케이크화되도록 탈수시키기 위해 슬러지 수용홈과 마주하도록 복수의 필터 플레이트 각각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된다. 세척액 공급유닛은 복수의 필터 플레이트 각각의 통로 및 연결유로를 통해 슬러지 수용홈에 세척액을 공급하기 위해 복수의 필터 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통로와 연결되도록 설치된다.Disclosed is a disposal sludge dewatering apparatus capable of rapidly and effectively removing impurities sticking to a filter plate and a filter fabric, thereby increasing the dewatering efficiency of the disposal sludge. The waste sludge dewat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evice body having a plurality of filter plates, a guider for slidably supporting the plurality of filter plates, a filter plate drive unit installed on the device body for horizontally moving the filter plates, A plurality of filter cloths, and a cleaning liquid supply unit. The plurality of filter plates have sludge receiving grooves provided on at least one surface thereof, passages formed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connection passages connecting the sludge receiving grooves and the passages, and are arranged so as to be accessible and spaced from each other. A plurality of filter cloths are dispos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lter plates so as to face sludge receiving grooves for dewatering the waste sludge to be caked into a plurality of filter plates. The washing liquid supply unit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ilter plates to supply the washing liquid to the sludge receiving grooves through the passage and the connecting passag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lter plates.
Description
본 발명은 폐기슬러지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여과포를 이용하여 폐기슬러지를 탈수하여 케이크화하는 폐기슬러지 탈수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te sludge dewater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waste sludge dewatering apparatus for dewatering waste sludge using a filter cloth to form a cake.
일반적으로, 폐기슬러지 탈수장치로서 소위 필터 프레스형 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Generally, a so-called filter press type device is widely used as a waste sludge dewatering device.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필터 프레스형 폐기슬러지 탈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1 and 2 are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filter press type waste sludge dewatering apparatus.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폐기슬러지 탈수장치(30)는, 폴리프로필렌재의 부직포(12, 14) 2장을 중간에 연결포(16)로 결합시킨 여과포(10)와, 이 여과포(10)가 양측에 끼워지는 여과판(20)을 이용한다. 여과포(10)는 각각의 상단이 벨크로 테이프(17, 18)에 의해 상호 착탈 가능하고 양측 하부에는 결속끈(19)에 의해 상호 결합과 분리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과판(20)은 중앙에 슬러지 유입구(22)가 마련되고, 그 측부에는 여과포(10)를 통과한 여과액(물)이 배출되도록 배출관(24)이 구비된 구조를 갖는다.1 and 2, a conventional waste
종래의 필터 프레스형 폐기슬러지 탈수장치(30)는 고정판(32)과 가압부(34)의 사이에 여과포(10)가 씌워진 여과판(20)을 다수 중첩되게 설치하고, 고정판(32)의 일측에서 슬러지를 공급하면서 가압부(34)로 여과판(20)을 프레싱한다. 이때, 슬러지 중에서 물은 인접하는 여과판(20) 사이에 끼워진 여과포(10)를 통과하여 여과판(20) 측부의 배출관(24)으로 배출되어 채널(36)로 낙하된다. 그리고 슬러지는 여과포(10)에서 걸러져 케이크 상태가 되어 소정 시간 동안 압력을 받은 후, 여과판(20)에 대한 압력이 해제되면 여과포(10)로부터 하측으로 낙하되어 수거된다.A conventional filter press type waste
이와 같이, 종래의 폐기슬러지 탈수장치(30)는 고정판(32) 측으로부터 슬러지가 유입되어 가압판(34) 측으로 순차적으로 채워져 고정판(32) 측과 가압판(34)의 압축에 의해 슬러지의 탈수가 이루어지며, 슬러지의 탈수가 끝난 후에는 가압판(34) 측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여과판(20)이 분리되면서 케이크화된 슬러지가 탈리된다. 따라서 슬러지의 탈수 및 탈리 시간이 많이 걸리고, 슬러지 케이크의 분리 후에 여과판(20)에 구비된 여과포(10)의 교체 및 세정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Thus, in the conventional waste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 제2007-0094508호 및 특허출원번호 제2008-0066517호를 통해 수직 엑추에이터(에어실린더)를 구동시켜서 여과포를 이동시킴으로써, 스크레퍼에 의해 여과포의 슬러지 케이크를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는 폐기슬러지 탈수장치를 제시한 바 있다.In view of this point, the applica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proposed a method of automatically moving the filter cloth by moving the vertical actuator (air cylinder) through the patent application No. 2007-0094508 and the patent application No. 2008-0066517, whereby the sludge cake of the filter cloth is automatical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그런데 상기와 같은 본 출원인의 기존 출원발명은 여과포에 대한 세정 기능을 갖추고 있으나, 여과포와 접하도록 설치되는 필터 플레이트에 대한 세척 기능이 없어 필터 플레이트에 슬러지 등의 이물질이 부착되면 폐기슬러지의 탈수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견되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filing invention of the present applicant has a function of cleaning the filter cloth, there is no cleaning function for the filter plate installed in contact with the filter cloth, so that when the foreign substance such as sludge is attached to the filter plate, Problems were found to be degraded.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폐기슬러지의 탈수 공정 후 필터 플레이트 및 여과포에 달라붙어 있는 이물질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제거함으로써 폐기슬러지의 탈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폐기슬러지 탈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isposal sludge dewatering device capable of rapidly and effectively removing foreign matter sticking to a filter plate and a filter cloth after a dewatering process of the disposal sludge, The purpose is to provide.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폐기슬러지 탈수장치는, 적어도 일면에 마련되는 슬러지 수용홈과,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통로와, 상기 슬러지 수용홈과 상기 통로를 연결하는 연결유로를 구비하고, 서로 접근 및 이격될 수 있게 배열되는 복수의 필터 플레이트; 상기 복수의 필터 플레이트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가이더를 갖는 장치 본체;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 플레이트들을 수평 이동시키는 필터 플레이트 구동유닛; 상기 복수의 필터 플레이트 사이로 투입되는 폐기슬러지를 케이크화되도록 탈수시키기 위해 상기 슬러지 수용홈과 마주하도록 상기 복수의 필터 플레이트 각각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여과포; 및 상기 복수의 필터 플레이트 각각의 상기 통로 및 연결유로를 통해 상기 슬러지 수용홈에 세척액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필터 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통로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세척액 공급유닛;을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aste sludge dewatering apparatus including a sludge receiving groove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a sludge receiving groove, a passage formed in a thickness direction of the sludge receiving groove, A plurality of filter plates arranged to be accessible and spaced from each other; An apparatus main body having a guider for slidably supporting the plurality of filter plates; A filter plate driving unit installed on the apparatus body for horizontally moving the filter plates; A plurality of filter cloths dispos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lter plates so as to face the sludge receiving grooves so as to dehydrate the waste sludge introduced into the plurality of filter plates into a cake; And a washing liquid supply unit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ilter plates to supply the washing liquid to the sludge receiving groove through the passage and the connecting passag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lter plates.
상기 복수의 필터 플레이트 각각은, 상기 통로 및 연결유로가 상기 슬러지 수용홈을 사이에 두고 각각 이격되도록 한 쌍씩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통로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세척액 공급유닛에서 공급되는 세척액이 상기 슬러지 수용홈으로 유입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의 통로를 통해 상기 슬러지 수용홈으로 공급된 세척액이 배출될 수 있다.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filter plates is provided with a pair of the passage and the connection passag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the sludge receiving groove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cleaning liquid supplied from the cleaning liquid supply unit through any one of the pair of passages, And the washing liquid supplied to the sludge receiving grooves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other one of the other passages.
상기 세척액 공급유닛은, 상기 복수의 필터 필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한 쌍의 통로 중 어느 하나의 통로에 세척액 공급을 위해 연결되는 세척액 공급관 및 다른 하나의 통로에 세척액 회수를 위해 연결되는 세척액 회수관과, 세척액을 저장하고, 상기 세척액 공급관 및 상기 세척액 회수관이 각각 연결되는 세척액 저장조와, 상기 세척액 저장조에 저장된 세척액을 상기 세척액 공급관을 통해 상기 세척액 저장조로부터 토출시키고 상기 세척액 회수관을 통해 상기 세척액 저장조로 회수시키도록 펌핑하는 펌프를 구비할 수 있다.Wherein the cleaning liquid supply unit includes a cleaning liquid supply pipe connected to any one of the pair of passages provided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ilter fill rates for supplying the cleaning liquid and a cleaning liquid recovery unit connected to the other passage for cleaning liquid recovery, A cleaning liquid reservoir for storing a cleaning liquid, a pipe for storing the cleaning liquid, a cleaning liquid reservoir for storing the cleaning liquid and connecting the cleaning liquid supply pipe and the cleaning liquid recovery pipe, And a pump for pumping it to the reservoir for recovery.
상기 복수의 필터 플레이트 각각에 구비되는 상기 한 쌍의 통로 중 세척액이 배출되는 통로가 세척액이 공급되는 통로보다 상대적으로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path through which the cleaning liquid is discharged from the pair of passages provi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filter plates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ide relative to the path through which the cleaning liquid is supplied.
상기 복수의 여과포를 통과하여 상기 복수의 필터 플레이트 각각의 슬러지 수용홈 쪽으로 유동하는 여과액이 상기 복수의 필터 플레이트 각각의 상기 연결유로 및 통로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The filtrate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filter cloths and flowing toward the sludge receiving groov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lter plates may be discharged through the connection channel and the passag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lter plates.
본 발명에 따른 폐기슬러지 탈수장치는 폐기슬러지 탈수 공정 후, 세척액 공급유닛으로 필터 플레이트에 세척액을 공급함으로써 필터 플레이트의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반복 사용에도 필터 플레이트에 이물질 부착으로 폐기슬러지의 탈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The waste sludge dewat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apidly and effectively remove foreign matter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filter plate by supplying a washing liquid to the filter plate by the washing liquid supply unit after the waste sludge dewatering process. Therefore, there is no problem that the dehydration efficiency of the waste sludge is lowered due to adhesion of foreign matter to the filter plate even after repeated us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기슬러지 탈수장치는 폐기슬러지 탈수 공정 후, 세척액 공급유닛으로 세척액을 공급함으로써 여과포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ste sludge dewat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quickly and effectively remove foreign matter adhering to the filter fabric by supplying the cleaning liquid to the cleaning liquid supply unit after the waste sludge dewatering proces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폐기슬러지 탈수장치는 기존의 폐기슬러지 탈수장치에 간단한 구조의 세척액 공급유닛을 필터 플레이트에 연결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기존의 폐기슬러지 탈수장치를 이용하여 저비용으로 제작될 수 있다.Also, since the disposal sludge dewat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by connecting the conventional disposal sludge dewatering apparatus to the filter plate in a simple structure, it can be manufactured at low cost by using the existing disposal sludge dewatering apparatus .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필터 프레스형 폐기슬러지 탈수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기슬러지 탈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기슬러지 탈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기슬러지 탈수장치의 필터 플레이트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기슬러지 탈수장치의 필터 플레이트들을 간략화하여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기슬러지 탈수장치의 필터 플레이트 및 여과포에 의한 폐기슬러지 탈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기슬러지 탈수장치의 세척액 공급유닛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1 and 2 are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filter press type waste sludge dewatering apparatus.
3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waste sludge dewat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waste sludge dewat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showing a filter plate of a waste sludge dewat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lter plates of a waste sludge dewate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dewatering waste sludge by a filter plate and a filter fabric of a waste sludge dewat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leaning liquid supply unit of the waste sludge dewat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폐기슬러지 탈수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 waste sludge dewat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기슬러지 탈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기슬러지 탈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기슬러지 탈수장치의 필터 플레이트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기슬러지 탈수장치의 필터 플레이트들을 간략화하여 나타낸 측단면도이다.FIG. 3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waste sludge dewat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waste sludge dewat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filter plates of a disposal sludge dewat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ilter plate of a disposal sludge dewate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폐기슬러지 탈수장치(100)는 장치 본체(110)와, 장치 본체(110)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필터 플레이트(120)와, 복수의 필터 플레이트(120)를 수평 이동시키는 필터 플레이트 구동유닛(140)과, 복수의 필터 플레이트(120) 각각과 마주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여과포(150)와, 복수의 필터 플레이트(120)를 세척액(예컨대, 가성 소다)으로 세척하기 위한 세척액 공급유닛(170)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폐기슬러지 탈수장치(100)는 통상의 폐기슬러지 탈수장치와 같이 폐기슬러지를 탈수하여 폐기슬러지를 케이크화하여 제거할 수 있으며, 폐기슬러지의 탈수 과정에서 오염되는 필터 플레이트들(120)과 여과포들(150)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세척할 수 있다.3 and 4, the waste
장치 본체(110)는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된 한 쌍의 베이스 블록(111)(112)과, 한 쌍의 베이스 블록(111)(112)에 양단이 각각 지지되는 한 쌍의 가이더(113)를 구비한다. 이들 한 쌍의 가이더(113)에 복수의 필터 플레이트(120)가 슬라이딩되도록 지지된다. 장치 본체(110)의 일측에는 폐기슬러지의 투입을 위한 슬러지 투입부(114)가 마련된다. 이 슬러지 투입부(114)를 통해 폐기슬러지가 복수의 필터 플레이트(120)로 투입될 수 있다.The apparatus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복수의 필터 플레이트(120)는 상호 접근 또는 이격될 수 있도록 장치 본체(110)의 한 쌍의 가이더(113)를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된다. 이들 복수의 필터 플레이트(120)는 체인 등의 연결부재(130)로 서로 연결됨으로써 상호 연동하여 움직일 수 있다. 복수의 필터 플레이트(120) 중에서 도면상 가장 좌측에 배치되는 필터 플레이트(120)는 장치 본체(110)의 한쪽 베이스 블록(111)과 마주하도록 설치되고, 가장 우측의 필터 플레이트(120)는 필터 플레이트 구동유닛(140)의 가압판(142)과 연결된다. 이들 필터 플레이트들(120)은 상호 이격 또는 접근하게 이동함으로써 여과포(150)에 의해 탈수되는 폐기슬러지를 케이크화하여 제거하게 된다.3 to 6, the plurality of
필터 플레이트(120)의 양쪽 측부에는 장치 본체(110)의 한 쌍의 가이더(113)에 대응하는 한 쌍의 지지부(121)가 구비된다. 필터 플레이트(120)의 양쪽 면 중앙에는 각각 슬러지 수용홈(122)이 마련된다. 한 쌍의 슬러지 수용홈(122)을 구획하는 필터 플레이트(120) 중앙의 격벽(123)에는 복수의 돌기(124)가 구비된다. 필터 플레이트(120)의 중앙 상측에는 슬러지 투입구(125)가 마련된다. 슬러지 투입구(125)는 장치 본체(110)와 슬러지 투입부(114)와 연결되어 슬러지 투입부(114)로 투입되는 폐기슬러지가 슬러지 투입구(125) 따라 이동할 수 있다.On both sides of the
필터 플레이트(120)의 하측 양쪽 가장자리 및 상측 양쪽 가장자리에는 통로(126)(128)가 각각 구비된다. 이들 통로(126)(128)는 슬러지 수용홈(122)에서 여과포(150)를 통과한 폐기슬러지의 여과액 및 세척액 공급유닛(170)에서 공급되는 세척액이 유동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한다. 필터 플레이트(120)의 하측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통로(126)는 필터 플레이트(120)의 하부 내측에 마련되는 연결유로(127)를 통해 필터 플레이트(120) 양쪽 면의 슬러지 수용홈(122)과 연결된다. 그리고 필터 플레이트(120)의 상측 가장자리에 구비되는 통로(128)는 필터 플레이트(120)의 상부 내측에 마련되는 연결유로(129)를 통해 필터 플레이트(120) 양쪽 면의 슬러지 수용홈(122)과 연결된다. 이들 연결유로(127)(129) 역시 여과포(150)를 통과한 폐기슬러지의 여과액 및 세척액 공급유닛(170)에서 공급되는 세척액이 유동할 수 있는 유로를 형성한다.
복수의 필터 플레이트(120)가 상호 접근하여 밀착될 때, 각 필터 플레이트(120)에 구비되는 슬러지 수용홈(122)은 이웃하는 다른 필터 플레이트(120)의 슬러지 수용홈(122)과 마주하여 폐기슬러지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이때, 각 필터 플레이트(120)에 구비되는 슬러지 투입구(125)는 이웃하는 다른 필터 플레이트(120)의 슬러지 투입구(125)와 유체의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되고, 각 필터 플레이트(120)에 구비되는 복수의 통로(126)(128)는 이웃하는 다른 필터 플레이트(120)의 통로(126)(128)와 각각 유체 유동이 가능하게 연결된다.When the plurality of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필터 플레이트 구동유닛(140)은 복수의 필터 플레이트(120)를 이동시키기 위해 장치 본체(110)에 설치된다. 필터 플레이트 구동유닛(140)은 장치 본체(110)의 일측 베이스 블록(112)에 설치되는 실린더(141)와, 실린더(141)에 의해 진퇴하는 가압판(142)을 포함한다. 가압판(142)은 복수의 필터 플레이트(120) 중 최외측에 배치되는 필터 플레이트(120)와 연결된다. 실린더(141)가 가압판(142)을 밀고 당기는 동작에 의해 복수의 필터 플레이트(120) 사이가 순차적으로 개폐된다. 즉, 실린더(141)가 가압판(142)을 당기면 복수의 필터 플레이트(120)는 각각에 연결된 연결부재(130)에 의해 순차적으로 당겨져 상호 벌어지면서 이들 사이가 열리게 된다. 반면, 실린더(141)가 가압판(142)을 밀면, 열린 순서의 역순으로 필터 플레이트들(120)이 서로 접근하면서 이들 사이가 순차적으로 폐쇄된다. 필터 플레이트 구동유닛(140)은 도시된 구조 이외에, 복수의 필터 플레이트(120)를 차례로 수평 이동시킬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filter
여과포(150)는 필터 플레이트(120)의 양쪽 면에 마련된 한 쌍의 슬러지 수용홈(122)과 각각 마주하도록 설치된다. 여과포(150)는 필터 플레이트(120)의 상측에 설치되는 상부 지지봉(155) 및 필터 플레이트(120)의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봉(156)에 의해 지지된다. 여과포(150)는 필터 플레이트(120)의 상측에 설치되는 여과포 구동유닛(160)에 의해 필터 플레이트(120)에 대해 움직일 수 있다.The
여과포 구동유닛(160)은 하부 지지봉(156)과 연결되는 와이어(161)와, 와이어(161)를 감거나 풀어서 하부 지지봉(156)을 승강시키는 승강 구동기(162)를 구비한다. 여과포 구동유닛(160)의 작용으로 여과포(150)가 이동하면서 여과포(150)가 필터 플레이트(120)의 하측에 설치되는 스크레퍼(165)에 접하게 된다. 이때, 여과포(150)에 달라붙어 있는 슬러지 케이크가 여과포(150)로부터 원활하게 제거될 수 있다. 여과포 구동유닛(160)은 도시된 구조 이외에, 여과포(150)를 움직일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The filter
이러한 여과포 구동유닛(160)의 보다 구체적인 구조와 작용은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되어 등록된 등록특허공보 제1059895호(2011.08.29.)를 통해 공개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A more detailed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is
세척액 공급유닛(170)은 폐기슬러지 탈수 공정 후, 복수의 필터 플레이트(120) 및 복수의 여과포(150)에 달라붙는 슬러지 등의 이물질(P)을 제거할 수 있도록 복수의 필터 플레이트(120) 및 복수의 여과포(150)에 세척액을 공급한다. 세척액 공급유닛(170)은 세척액을 저장하는 세척액 저장조(171)와, 세척액 저장조(171)에 각각 연결되는 세척액 공급관(172) 및 세척액 회수관(173)과, 세척액 저장조(171)에 저장된 세척액을 펌핑하는 펌프(174)를 포함한다. 세척액 회수관(173)의 중간에는 밸브(175)가 설치되어 세척액 회수관(173) 내부의 유로를 개폐한다. 밸브(175)는 세척액 회수관(173)을 통해 세척액이 역류하거나, 필터 플레이트(120)에서 배출되는 여과액이 세척액 회수관(173)을 통해 세척액 저장조(171)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준다.The cleaning
세척액 공급관(172) 및 세척액 회수관(173)은 복수의 필터 플레이트(120) 중에서 최외측에 배치되는 하나의 필터 플레이트(120)에 각각 연결된다.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세척액 공급관(172)은 필터 플레이트(120)에 구비되는 복수의 통로(126)(128) 중에서 필터 플레이트(120)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나의 통로(126)에 연결된다. 세척액 회수관(173)은 필터 플레이트(120)에 구비되는 복수의 통로(126)(128) 중에서 필터 플레이트(120)의 상측에 배치되는 하나의 통로(128)에 연결된다.The cleaning
펌프(174)는 세척액 저장조(171)에 저장된 세척액을 펌핑하여 세척액 공급관(172)을 통해 필터 플레이트(120)에 공급한다. 이때, 세척액 공급관(172)으로 공급되는 세척액은 필터 플레이트(120)의 하측 통로(126) 및 이와 연결된 연결유로(127)를 통해 필터 플레이트(120)의 양쪽 슬러지 수용홈(122)으로 유동하면서 필터 플레이트(120)의 격벽(123)이나 돌기들(124), 또는 여과포(150)에 부착된 이물질(P)을 세척한다. 그리고 필터 플레이트(120)의 양쪽 슬러지 수용홈(122)을 통과한 세척액은 필터 플레이트(120)의 상측 연결유로(129) 및 통로(128)를 차례로 통과하여 세척액 회수관(173)을 따라 세척액 저장조(171)로 회수된다. 이와 같이, 세척액 공급유닛(170)은 세척액 저장조(171)에 저장된 세척액을 세척액 공급관(172) 및 세척액 회수관(173)을 따라 순환시키면서 복수의 필터 플레이트(120)와 여과포들(150)을 신속하게 세척할 수 있다.The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폐기슬러지 탈수장치(100)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waste
먼저, 폐기슬러지 탈수장치(100)의 폐기슬러지 탈수 공정시, 필터 플레이트 구동유닛(140)의 실린더(141)가 가압판(142)을 밀어서 복수의 필터 플레이트(120)를 장치 본체(110)의 일측 베이스 블록(111) 쪽으로 밀착시킨다. 이때, 복수의 필터 플레이트(120)는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각각의 사이에 여과포(150)가 개재된 상태로 서로 밀착된다. 이때, 이웃하는 두 필터 플레이트(120) 각각의 슬러지 수용홈(122)이 마주하면서 필터 플레이트(120)와 필터 플레이트(120) 사이에는 슬러지 케이크를 만들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두 필터 플레이트(120) 각각의 슬러지 수용홈(122)과 통로(126)(128)가 상호 연결된다. 또한 복수의 필터 플레이트(120) 중에서 최외측에 배치되는 필터 플레이트(120)의 슬러지 투입구(125)가 장치 본체(110)의 슬러지 투입부(114)와 연결된다.The
이와 같이, 복수의 필터 플레이트(120)가 상호 밀착된 상태에서 장치 본체(110)의 슬러지 투입부(114)를 통해 폐기슬러지를 투입하면 폐기슬러지가 필터 플레이트(120) 각각의 슬러지 투입구(125)를 통과하여 유동한다. 이때, 필터 플레이트(120) 각각의 슬러지 투입구(125)를 통과하는 폐기슬러지는 필터 플레이트(120)와 필터 플레이트(120) 사이에 마련되는 슬러지 유입구(미도시)를 통해 필터 플레이트(120)와 필터 플레이트(120) 사이에 개재된 두 개의 여과포(150) 사이로 유입된다. 이렇게 필터 플레이트(120)와 필터 플레이트(120) 사이의 공간으로 폐기슬러지가 유입되면, 폐기슬러지에 함유된 여과액이 여과포(150)를 투과하면서 폐기슬러지에 대한 탈수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두 개의 필터 플레이트(120) 사이에 개재된 여과포(150)와 여과포(150) 사이에는 여과액이 탈수된 슬러지 케이크가 만들어진다. 그리고 여과포(150)를 투과한 여과액은 필터 플레이트(120)의 격벽(123)에 구비된 복수의 돌기(124) 사이를 통과하여 필터 플레이트(120) 하측의 연결유로(127)와 통로(126) 및 필터 플레이트(120) 상측의 연결유로(129) 및 통로(128)를 통과하여 필터 플레이트(120) 외측의 배출로(미도시)로 배출된다. 이러한 폐기슬러지의 탈수 공정 중에, 필터 플레이트(120)의 슬러지 수용홈(122)에 공기나 물을 공급하여 여과포(150)를 압축시킴으로써 폐기슬러지의 탈수를 촉진할 수 있다.When the waste sludge is introduced through the
폐기슬러지의 탈수 완료 후, 필터 플레이트 구동유닛(140)의 실린더(141)로 가압판(142)을 원래 위치로 움직이면 가압판(142)에 연동하여 복수의 필터 플레이트(120)가 순차적으로 당겨진다. 이때, 복수의 필터 플레이트(120) 사이가 개방되면서 필터 플레이트(120) 사이에 개재되었던 여과포(150)가 벌어지고, 여과포(150) 사이에서 탈수 과정을 거쳐 형성된 슬러지 케이크가 중력에 의해 여과포(150)의 하측으로 떨어져 제거된다. 이웃하는 두 필터 플레이트(120)가 이들 사이에서 형성된 슬러지 케이크가 떨어지도록 벌어진 상태에서 여과포 구동유닛(160)을 작동시켜 여과포(150)를 움직이면, 여과포(150)에 부착된 슬러지 케이크를 더욱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여과포(150)에 에어나 물을 분사함으로써 슬러지 케이크를 여과포(150)로부터 더욱 원활하게 제거할 수 있다.After the dewatering of the waste sludge is completed, when the
한편, 폐기슬러지의 탈수 공정 중에 필터 플레이트(120)의 격벽(123)이나 복수의 돌기(124), 또는 여과포(150)에는 슬러지 등의 이물질(P)이 부착될 수 있다. 필터 플레이트(120)에 부착된 이물질(P)은 폐기슬러지의 탈수 공정 중에 슬러지 수용홈(122)에서 연결유로(127)(129) 쪽으로 유동하는 여과액의 흐름을 방해하여 폐기슬러지의 탈수 효율을 떨어트리게 된다. 또한 여과포(150)에 부착되는 슬러지 등의 이물질은 여과포(150)의 탈수 기능을 저하시킨다. Meanwhile, foreign matter such as sludge may be adhered to the
필터 플레이트(120)의 격벽(123)이나, 복수의 돌기(124), 또는 여과포(150)에 부착되는 이물질(P)은 세척액 공급유닛(170)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세척액 공급유닛(170)에 의한 세척 공정 또한 복수의 필터 플레이트(120)가 상호 밀착된 상태에서 진행된다.The foreign matter P adhering to the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세척액 공급유닛(170)의 펌프(174)가 작동하면 세척액 저장조(171)에 저장된 세척액이 복수의 필터 플레이트(120) 중에서 세척액 공급관(172)이 연결된 최외측의 필터 플레이트(120)에 구비된 하측 통로(126)로 공급된다. 이렇게 세척액 공급관(172)을 통해 공급되는 세척액은 복수의 필터 플레이트(120) 각각의 통로(126)를 따라 유동하면서 각 필터 플레이트(120)의 연결유로(127)를 통해 슬러지 수용홈(122)으로 유입된다.8, when the
슬러지 수용홈(122)으로 유입되는 세척액은 필터 플레이트(120)의 격벽(123)과 여과포(150) 사이의 공간을 통해 필터 플레이트(120)의 상측 연결유로(129) 쪽으로 유동한다. 이때, 세척액이 복수의 돌기(124) 사이를 따라 유동하면서 필터 플레이트(120)의 격벽(123) 또는 돌기들(124)에 부착된 이물질(P)을 씻어낸다. 또한 슬러지 수용홈(122)으로 유입되는 세척액 중 일부는 여과포(150)에 달라붙은 슬러지를 제거한다. 즉, 세척액이 탈수 공정시 여과포(150)를 투과하는 여과액의 유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여과포(150)를 투과함으로써 여과포(150)에 달라붙은 슬러지 등의 이물질을 여과포(150)에서 씻어낼 수 있다.The washing liquid flowing into the
필터 플레이트(120) 및 여과포(150)에서 이물질(P)을 씻어낸 세척액은 필터 플레이트(120) 상측의 연결유로(129) 및 통로(128)를 차례로 통과하여 세척액 공급유닛(170)의 세척액 회수관(173)을 통해 세척액 저장조(171)로 회수된다. 세척액 저장조(171)로 회수되는 세척액은 펌프(174)에 의해 지속적으로 순환하면서 복수의 필터 플레이트(120)를 세척하게 된다.The cleaning liquid which has washed the foreign substance P from the
세척액 저장조(171)에 저장된 세척액의 오염도가 커지면 세척액 저장조(171)의 세척액을 새로운 세척액으로 교체 후 세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세척액 공급유닛(170)에 의한 세척 공정이 완료되면, 세척액 회수관(173)의 밸브(175)를 잠그고,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은 폐기슬러지 탈수 공정을 재수행할 수 있다.When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washing liquid stored in the
상술한 것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폐기슬러지 탈수장치(100)는 폐기슬러지 탈수 공정 후, 세척액 공급유닛(170)을 이용하여 필터 플레이트(120) 및 여과포(150)에 부착되는 이물질(P)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종래의 폐기슬러지 탈수장치는 폐기슬러지 탈수 후 여과포만 세척할 수 있었고, 필터 플레이트에 부착되는 이물질은 제거할 수 없어서 반복 사용 후 폐기슬러지의 탈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반해, 본 실시예에 따른 폐기슬러지 탈수장치(100)는 여과액의 배출 유로로서 필터 플레이트(120)에 구비되는 통로(126)(128) 및 연결유로(127)(129)를 통해 세척액을 공급함으로써 여과포(150)뿐만 아니라 필터 플레이트(120)에 부착된 이물질(P)을 원활하게 제거함으로써, 반복 사용에도 폐기슬러지의 탈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As described above, the waste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ose described and illustrated above.
예를 들어, 도면에는 세척액 공급유닛(170)의 세척액 공급관(172)이 필터 플레이트(120)의 하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통로(126) 중에서 하나의 통로(126)에 연결되고 세척액 회수관(173)이 필터 플레이트(120)의 상측에 배치되는 두 통로(128) 중에서 하나의 통로(128)에 연결됨으로써, 필터 플레이트(120)에 공급되는 세척액이 하측에서 상측으로 유동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세척액 공급관(172)과 세척액 회수관(173)의 설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figure, the cleaning
또한 도면에는 세척액 공급유닛(170)이 세척액 회수관(173)을 통해 필터 플레이트(120)를 세척한 세척액을 회수하여 재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세척액 공급유닛은 세척액을 재사용하지 않는 구조 등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In the drawings, the cleaning
또한 도면에는 세척액 공급유닛(170)이 여과액의 배출 유로로서 필터 플레이트(120)에 구비되는 통로(126)(128) 및 연결유로(127)(129)를 통해 세척액을 필터 플레이트(120)에 공급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필터 플레이트에는 세척액의 공급을 위한 별도의 유로가 마련될 수도 있다.The cleaning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numer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 폐기슬러지 탈수장치 110 : 장치 본체
112, 113 : 베이스 블록 113 : 가이더
114 : 슬러지 투입부 120 : 필터 플레이트
121 : 지지부 122 : 슬러지 수용홈
123 : 격벽 124 : 돌기
125 : 슬러지 투입구 126, 128 : 통로
127, 129 : 연결유로 130 : 연결부재
140 : 필터 플레이트 구동유닛 141 : 실린더
142 : 가압판 150 : 여과포
155 : 상부 지지봉 156 : 하부 지지봉
160 : 여과포 구동유닛 161 : 와이어
162 : 승강 구동기 165 : 스크레퍼
170 : 세척액 공급유닛 171 : 세척액 저장조
172 : 세척액 공급관 173 : 세척액 회수관
174 : 펌프 175 : 밸브100: waste sludge dewatering device 110:
112, 113: base block 113: guider
114: sludge charging section 120: filter plate
121: Support part 122: Sludge receiving groove
123: partition wall 124: projection
125:
127, 129: connecting channel 130: connecting member
140: filter plate driving unit 141: cylinder
142: pressure plate 150: filter cloth
155: upper support rod 156: lower support rod
160: filter cloth driving unit 161: wire
162: lifting actuator 165: scraper
170: cleaning liquid supply unit 171: cleaning liquid storage tank
172: cleaning liquid supply pipe 173: cleaning liquid recovery pipe
174: Pump 175: Valve
Claims (5)
상기 복수의 필터 플레이트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가이더를 갖는 장치 본체;
상기 장치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 플레이트들을 수평 이동시키는 필터 플레이트 구동유닛;
상기 복수의 필터 플레이트 사이로 투입되는 폐기슬러지를 케이크화되도록 탈수시키기 위해 상기 슬러지 수용홈과 마주하도록 상기 복수의 필터 플레이트 각각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여과포; 및
상기 복수의 필터 플레이트 각각의 상기 통로 및 연결유로를 통해 상기 슬러지 수용홈에 세척액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필터 플레이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통로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세척액 공급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필터 플레이트 각각은, 상기 통로 및 연결유로가 상기 슬러지 수용홈을 사이에 두고 각각 이격되도록 한 쌍씩 마련되며, 상기 한 쌍의 통로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상기 세척액 공급유닛에서 공급되는 세척액이 상기 슬러지 수용홈으로 유입되어 상기 슬러지 수용홈에 놓이는 여과포를 통과하고, 나머지 다른 하나의 통로를 통해 상기 슬러지 수용홈으로 공급된 세척액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슬러지 탈수장치.A plurality of filter plates having a sludge receiving groove provided at least on one surface thereof, a passage formed in a thickness direction thereof, and a connection channel connecting the sludge receiving groove and the passage,
An apparatus main body having a guider for slidably supporting the plurality of filter plates;
A filter plate driving unit installed on the apparatus body for horizontally moving the filter plates;
A plurality of filter cloths dispos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lter plates so as to face the sludge receiving grooves so as to dehydrate the waste sludge introduced into the plurality of filter plates into a cake; And
And a cleaning liquid supply unit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ilter plates to supply a cleaning liquid to the sludge receiving groove through the passage and the connection passag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lter plates,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filter plates is provided with a pair of the passage and the connection passage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ith the sludge receiving groove interposed therebetween and the cleaning liquid supplied from the cleaning liquid supply unit through any one of the pair of passages, Wherein the sludge is introduced into the sludge receiving groove and passes through a filter cloth placed in the sludge receiving groove, and the washing liquid supplied to the sludge receiving groove is discharged through the other one of the passages.
상기 세척액 공급유닛은,
상기 복수의 필터 필레이트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한 쌍의 통로 중 어느 하나의 통로에 세척액 공급을 위해 연결되는 세척액 공급관 및 다른 하나의 통로에 세척액 회수를 위해 연결되는 세척액 회수관과,
세척액을 저장하고, 상기 세척액 공급관 및 상기 세척액 회수관이 각각 연결되는 세척액 저장조와,
상기 세척액 저장조에 저장된 세척액을 상기 세척액 공급관을 통해 상기 세척액 저장조로부터 토출시키고 상기 세척액 회수관을 통해 상기 세척액 저장조로 회수시키도록 펌핑하는 펌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슬러지 탈수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leaning liquid supply unit includes:
A cleaning liquid supply pipe connected to one of the pair of passages provided in any one of the plurality of filter fill rates for supplying the cleaning liquid and a cleaning liquid recovery pipe connected to the other passage for recovery of the cleaning liquid,
A cleaning liquid storage tank for storing the cleaning liquid and connected to the cleaning liquid supply pipe and the cleaning liquid recovery pipe,
And a pump for discharging the washing liquid stored in the washing liquid storing tank from the washing liquid storing tank through the washing liquid supplying pipe and pumping the collected washing liquid to the washing liquid storing tank through the washing liquid collecting pipe.
상기 복수의 필터 플레이트 각각에 구비되는 상기 한 쌍의 통로 중 세척액이 배출되는 통로가 세척액이 공급되는 통로보다 상대적으로 상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슬러지 탈수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ath through which the cleaning liquid is discharged from the pair of passages provid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filter plates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relative to a path through which the cleaning liquid is supplied.
상기 복수의 여과포를 통과하여 상기 복수의 필터 플레이트 각각의 슬러지 수용홈 쪽으로 유동하는 여과액이 상기 복수의 필터 플레이트 각각의 상기 연결유로 및 통로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슬러지 탈수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lter fluid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filter cloths and flowing toward the sludge receiving groov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lter plates is discharged through the connection passage and the passag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filter plates.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019965A KR101804350B1 (en) | 2016-02-19 | 2016-02-19 | Dehydrating apparatus of slud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019965A KR101804350B1 (en) | 2016-02-19 | 2016-02-19 | Dehydrating apparatus of sludg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098063A KR20170098063A (en) | 2017-08-29 |
| KR101804350B1 true KR101804350B1 (en) | 2017-12-05 |
Family
ID=5976009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60019965A Active KR101804350B1 (en) | 2016-02-19 | 2016-02-19 | Dehydrating apparatus of sludg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804350B1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086418B1 (en) | 2019-11-01 | 2020-04-24 | (주)유천엔지니어링 | Camera module for anti-pollution and disposal sludge dehydration system containing this |
| CN112551727A (en) * | 2021-02-23 | 2021-03-26 | 山东菲纳科技发展有限公司 | Oil remover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DE102018004909B4 (en) * | 2018-06-19 | 2020-03-26 | Sartorius Stedim Biotech Gmbh | Modular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modular construction of a processing system |
| CN108939729A (en) * | 2018-10-10 | 2018-12-07 | 响水县宝吉纺织有限公司 | A kind of dustproof filter bag |
| CN111704266B (en) * | 2020-06-13 | 2022-09-20 | 深圳市福田区环境技术研究所有限公司 | Recycling device based on sewage treatment and sewage treatment recycling system |
| KR102493583B1 (en) * | 2021-04-28 | 2023-01-31 | 주식회사 대한엔바이로테크 | Sludge dehydrator |
| KR102472873B1 (en) * | 2022-03-29 | 2022-12-01 | (주)태영필트레이션시스템 | Filter press dehydrator with deodorization function using filter cloth as a carrier for microorganisms that decompose odor-causing substances |
-
2016
- 2016-02-19 KR KR1020160019965A patent/KR101804350B1/en active Active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086418B1 (en) | 2019-11-01 | 2020-04-24 | (주)유천엔지니어링 | Camera module for anti-pollution and disposal sludge dehydration system containing this |
| CN112551727A (en) * | 2021-02-23 | 2021-03-26 | 山东菲纳科技发展有限公司 | Oil remover |
| CN112551727B (en) * | 2021-02-23 | 2021-05-11 | 山东菲纳科技发展有限公司 | Oil remover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098063A (en) | 2017-08-29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804350B1 (en) | Dehydrating apparatus of sludge | |
| US6495031B1 (en) | Enclosed belt filter apparatus | |
| KR101533647B1 (en) | Multi-stage type automated filter press having function of ultrasonic cleaning | |
| CN105026322A (en) | Sludge treatment plant with dehydrator | |
| EP4460388A1 (en) | Method and device for filter residue treatment | |
| KR100870708B1 (en) | Filter cloth upside down mobile filter press | |
| KR101894876B1 (en) | Apparatus for cleaning filter cloth and filter plate of filter press at once | |
| FI78843C (en) | FOERFARANDE FOER RENGOERING AV FILTERTYGET I ETT KAMMARFILTER SAMT KAMMARFILTER ENLIGT FOERFARANDET. | |
| KR100362597B1 (en) | Filter with Controlable Porosity and Pore Size | |
| US4584100A (en) | Filter press comprising means for filtering mud | |
| KR101022815B1 (en) | Sludge Dewatering Device | |
| KR100412635B1 (en) | Dehydrating apparatus of sludge | |
| KR101059895B1 (en) | Sludge Dewatering Device | |
| KR101407521B1 (en) | Automatic Filter Press | |
| CN214913698U (en) | A box filter press with its own conveying structure | |
| KR100916338B1 (en) | Waste Sludge Dewatering Equipment | |
| CN208591602U (en) | Belt filter press | |
| CN209952309U (en) | Pressure filter with collection device | |
| KR20120084207A (en) | Pressuer type filter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 KR200264874Y1 (en) | Dehydrating apparatus of sludge | |
| RU2185875C1 (en) | Pressure filter for clarifying filtration | |
| CN108654177A (en) | Belt filter press | |
| KR20140024146A (en) | Filter plate | |
| JP3783091B2 (en) | Cleaning device in filter press | |
| KR101559926B1 (en) | A membrane plate unit of dehydrating apparatus of sludg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1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6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21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1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11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