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06439B1 - Device searching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 Google Patents

Device searching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6439B1
KR101806439B1 KR1020160097165A KR20160097165A KR101806439B1 KR 101806439 B1 KR101806439 B1 KR 101806439B1 KR 1020160097165 A KR1020160097165 A KR 1020160097165A KR 20160097165 A KR20160097165 A KR 20160097165A KR 101806439 B1 KR101806439 B1 KR 101806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er
target terminal
source terminal
local
termi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716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홍순곤
김웅재
장영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슈니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슈니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슈니드
Priority to KR1020160097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643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6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6439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W4/001
    • H04W4/00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더링을 이용한 이 기종간 데이터 전송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동일한 와이파이 통신망으로 형성되는 핫스팟 영역내에서 엑세스 포인트로 동작하는 단말과 테더링에 의해 접속하여 사용자 데이터(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문자 메시지, 동영상, 음악파일, 통화목록, 앱 등)를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thereof using tethering.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a terminal operating as an access point in a hotspot area formed by the same Wi-Fi communication network by tethering and transmitting user data (e.g., a phone book, a text message, a video file, ) To be transmitted securely.

Description

테더링을 이용한 이 기종간 데이터 전송방법 및 그 시스템{DEVICE SEARCHING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using the tethering,

본 발명은 테더링을 이용한 이 기종간 데이터 전송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thereof using tethering.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동일한 와이파이 통신망으로 형성되는 핫스팟 영역내에서 엑세스 포인트로 동작하는 단말과 테더링에 의해 접속하여 사용자 데이터(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문자 메시지, 동영상, 음악파일, 통화목록, 앱 등)를 안전하게 전송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a terminal operating as an access point in a hotspot area formed by the same Wi-Fi communication network by tethering and transmitting user data (e.g., telephone directory, text message, , Apps, etc.).

종래 사용하던 스마트 기기 교체시, 저장되어 있던 데이터를 계속 보관하고자 할 경우 여러 가지 방법으로 새로운 스마트 기기에 전송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 When replacing a smart device used in the past, if the stored data is to be stored continuously, it is transmitted to a new smart device in various ways.

이러한 데이터 전송은, 기존에 사용하던 스마트 기기를 케이블을 통해 PC 또는 서버에 연결하여 PC 또는 서버로 전송한 후, 이를 다시 새로운 스마트 기기로 전송하는 방법이 있다.Such data transmission may be performed by connecting a previously used smart device to a PC or a server via a cable and transmitting the data to a PC or a server, and then transmitting the data to a new smart device.

그런데 PC를 이용하는 경우, PC의 프로그램이 구동되어야 하므로 프로그램상에 데이터가 반드시 존재해야 하고, 서버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서버에 데이터가 반드시 존재해야만 하므로 데이터 손실, 외부 누출은 물론, 데이터 전송 과정에서의 해킹도 충분히 예상할 수 있다. However, if a PC is used, data must be present in the program because the PC program must be run. In the case of using the server, data must be present in the server. Therefore, data loss and external leakage, Can be expected.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고자 요즘에는 스마트 기기에 기본적으로 테더링 기능이 내장되어 출시되고 있으며, 와이파이 무선 테더링 기능을 이용하면 케이블이 필요없이 서로 직접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거나 통신망을 공유할 수 있기 때문에 큰 이점으로 작용한다.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smart devices have built-in tethering function and Wi-Fi wireless tethering function allows users to directly connect and share data with each other without using cables, It serves as an advantage.

본 발명의 목적은, PC 또는 서버 등과 같은 중간 전송로를 이용하지 않고, 와이파이 통신망의 핫스팟 영역에 테더링에 의해 접속한 후, 새로운 스마트 기기에 직접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 테더링을 이용한 이 기종간 데이터 전송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mart device which can transmit data directly to a new smart device after tethering to a hot spot area of a Wi-Fi communication network without using an intermediate transmission path such as a PC or a server, And a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between models.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에 따라 유추 가능할 것이다.
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테더링을 이용한 이 기종간 데이터 전송방법은, 로컬 영역의 로컬 서버의 IP 주소, 아이디, 비밀번호를 외부 영역의 DB 서버에 저장하는 제1단계; 로컬 영역의 타켓 단말과 소스 단말이 외부 영역의 웹 서버로부터 앱을 다운로드 받는 제2단계; 로컬 영역의 타켓 단말과 소스 단말이 로컬 서버의 IP 주소를 외부 영역의 DB 서버로부터 가져오는 제3단계; 로컬 서버의 IP 주소에 접속하여 타켓 단말과 소스 단말의 정보를 로컬 서버에 전송하는 제4단계; 타켓 단말이 로컬 서버에 대해 소스 단말의 데이터를 요청하면, 로컬 서버가 타켓 단말과 소스 단말에 대하여 핫스팟 설정 및 테더링 모드 전환을 명령하는 제5단계; 타켓 단말이 소스 단말의 핫스팟에 접속하는 제6단계; 및 소스 단말이 타켓 단말에 대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7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transmitting data between a plurality of devices using tethering, 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storing an IP address, an ID, and a password of a local server in a local area in a DB server of an external area; A second step in which the target terminal of the local area and the source terminal download the app from the web server of the external area; A third step in which the target terminal of the local area and the source terminal fetch the IP address of the local server from the DB server of the external domain; A fourth step of accessing an IP address of a local server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of a target terminal and a source terminal to a local server; A fifth step in which, when the target terminal requests data of the source terminal to the local server, the local server instructs the target terminal and the source terminal to set the hot spot and to switch the tethering mode; A sixth step of the target terminal connecting to the hotspot of the source terminal; And a seventh step in which the source terminal transmits data to the target terminal.

제1단계에서 DB 서버는, 로컬 서버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공인 IP 정보를 추가하여 저장하고, 공인 IP와 직접 연결된 로컬 서버에 대해서는 서비스를 허용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first step, the DB server adds public IP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local server and stores the public IP information, and does not allow the local server directly connected to the public IP.

제2단계 및 제3단계에서의 타켓 단말과 소스 단말의 외부 영역의 웹 서버와 DB 서버에 대한 접속은, 동일한 와이파이 통신망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target terminal and the source server in the second and third steps is connected to the web server and the DB server in the external area via the same Wi-Fi communication network.

제4단계에서 타켓 단말과 소스 단말은, 네트워크 검색없이 외부 영역의 DB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가상 IP를 통해 로컬 서버에 직접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fourth step, the target terminal and the source terminal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local server through the virtual IP transmitted from the DB server of the outside area without searching the network.

제5단계에서의 핫스팟 설정 및 테더링 모드 전환 명령은, 로컬 서버가 타켓 단말과 소스 단말에 핫스팟 이름과 패스워드를 통지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tspot setting and the tethering mode switching command in the fifth step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al server notifies the target terminal and the source terminal of the hotspot name and the password.

제5단계에서 로컬 서버는, 타켓 단말과 소스 단말에 각각 핫스팟 이름과 패스워드를 전송하고, 외부 영역의 DB 서버에 타켓 단말과 소스 단말의 정보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fifth step, the local server transmits the hot spot name and the password to the target terminal and the source terminal, respectively, and transmits information and data of the target terminal and the source terminal to the DB server of the outside reg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테더링을 이용한 이 기종간 데이터 전송장치는, 각각의 와이파이 통신망으로 네트워크화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컬 영역; 및 상기 로컬 영역과 각각 동일한 와이파이 통신망을 통해 네트워크화되어 로컬 영역의 단말기와 통신하도록 웹 서버와 DB 서버로 구성된 외부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로컬 영역은, 와이파이 공유기; 타켓 단말과 소스 단말의 정보 및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는 로컬 서버; 소스 단말로부터 다른 전송로를 거치지 않고 직접 전송되어 오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타켓 단말; 및 타켓 단말에 다른 전송로를 통하지 않고 직접 데이터를 전송하는 소스 단말로 이루어지고, 외부 영역은, 타켓 단말과 소스 단말에 대해 앱 다운로드를 제공하는 웹 서버; 및 로컬 서버의 IP, ID, 패스워드를 저장하고, 타켓 단말과 소스 단말의 정보 및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는 DB 서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transmitting data between types using tethering, the apparatus comprising: at least one local area networked by a respective Wi-Fi communication network; And an external area configured by a web server and a DB server so as to be networked through a same Wi-Fi communication network with the local area and communicate with a terminal in the local area, the local area including a Wi-Fi router; A local server for storing and managing information and data of a target terminal and a source terminal; A target terminal for receiving data transmitted directly from a source terminal without going through another transmission path; And a source terminal that transmits data directly to the target terminal without passing through another transmission path, and the external region is a web server that provides an application download to the target terminal and the source terminal; And a DB server for storing IP, ID and password of the local server, and storing and managing information and data of the target terminal and the source terminal.

로컬 영역과 외부 영역은, 동일한 와이파이 통신망으로 네트워크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local area and the outside area are networked by the same Wi-Fi communication network.

로컬 서버는, 타켓 단말과 소스 단말의 핫스팟 설정 및 테더링 모드 전환을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local server commands hot spot setting and tethering mode switching between the target terminal and the source terminal.

로컬 서버는, 타켓 단말과 소스 단말에 핫스팟 이름과 패스워드를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cal server notifies the target terminal and the source terminal of the hot-spot name and the password.

로컬 서버는, 타켓 단말과 소스 단말에 각각 핫스팟 이름과 패스워드를 전송하고, 외부 영역의 DB 서버에 타켓 단말과 소스 단말의 정보와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local server transmits the hot spot name and the password to the target terminal and the source terminal respectively and transmits information and data of the target terminal and the source terminal to the DB server of the outside area.

본 발명의 테더링을 이용한 이 기종간 데이터 전송방법 및 그 시스템에 따르면, 이 기종간에 예를 들어, 전화번호부, 문자 메시지, 동영상, 음악 파일, 통화 목록 등과 같은 데이터를 중간 전송로를 거치지 않고 직접 전송함으로써, 데이터 손실 및 해킹의 우려를 불식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inter-model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using the tethering of the present invention, data such as a telephone directory, a text message, a moving picture, a music file, and a call list can be directly transmitted Thereb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loss of data and the risk of hacking can be elimina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데이터 수신측 타켓 단말과 데이터 송신측 소스 단말이 와이파이 통신망의 핫스팟 영역내에서 직접 연결되므로 장소의 제약을 받지 않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ata receiving side target terminal and the data transmitting side source terminal are directly connected in the hotspot area of the Wi-Fi communication network, they can be conveniently used without being restricted by the pla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 기종간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 기종간 데이터 전송 개념도.
도 3은 로컬 서버의 정보 및 데이터를 외부 서버에 저장하는 구성도.
도 4는 로컬 영역의 타켓 단말과 소스 단말이 외부 영역의 서버로부터 앱을 다운로드하는 구성도.
도 5는 로컬 영역의 타켓 단말과 소스 단말이 외부 영역의 서버로부터 로컬 IP를 전송받는 구성도.
도 6은 로컬 영역의 타켓 단말과 소스 단말이 로컬 서버에 대한 접속을 요청하고 정보를 전송하는 구성도.
도 7은 로컬 영역의 타켓 단말과 소스 단말간 데이터 전송 요청 구성도.
도 8은 로컬 영역의 타켓 단말과 소스 단말간 데이터 전송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 기종간 데이터 전송 동작 흐름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a data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data transfer between mode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for storing information and data of a local server in an external server;
FIG. 4 is a diagram showing a configuration in which a target terminal in a local area and a source terminal download an app from a server in an external area;
FIG.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illustrating a case where a target terminal in a local area and a source terminal receive a local IP from a server in an external area.
6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target terminal and a source terminal in a local area requesting a connection to a local server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7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data transmission request between a target terminal and a source terminal in a local area.
8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data transmission between a target terminal and a source terminal in a local area;
FIG. 9 is a flowchart of the inter-model data transfer ope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While the invention is susceptible to various modifications and alternative forms, specific embodiments thereof are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s and will herein be described in detail.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단0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referent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or "having" and the like are used to specify that there is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 기종간 데이터 전송 시스템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 기종간 데이터 전송 개념도이다.FIG. 1 is an overall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inter-model data transmiss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of inter-model data transmis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서 테더링이란,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여 다른 스마트 기기도 동일한 와이파이 통신망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ethering means that other smart devices can access the Internet through the same Wi-Fi communication network using a smart device capable of accessing the Internet.

또한, 핫스팟(Hotspot)이란, 동일한 와이파이 통신망으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도록 엑세스 포인트(AP)로 변경되는 영역을 말한다.A hotspot is an area that is changed to an access point (AP) so that the Internet can be accessed through the same Wi-Fi communication network.

또한, 정보란 단말 사양 등의 정보를 말하는 것이고, 데이터란 단말이 저장 관리하고 있는 콘텐츠 등의 정보를 말한다.The term " information " refers to information such as terminal specifications and the term " data " refers to information such as contents stored and managed by the terminal.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스템은, 각각의 와이파이 통신망으로 네트워크화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컬 영역(100)(110)(130)과, 이들 로컬 영역(100)(110)(130)과 각각 동일한 와이파이 공유기(101)(111)(131)(와이파이 통신망)를 통해 네트워크화되어 상기 로컬 영역의 단말기와 통신하도록 웹 서버와 DB 서버로 구성된 외부 영역(200)으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S. 1 and 2,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local area 100, 110, and 130 that are networked through respective Wi-Fi communication networks, and local areas 100, 110, And an external area 200 composed of a web server and a DB server for being networked through the same Wi-Fi router 101 (111) 131 (Wi-Fi communication network) and communicating with the local area terminal.

일실시예에서 각 로컬 영역(100)(110)(130)은, 와이파이 공유기(101)(111)(131), 로컬 서버(102)(112)(132), 타겟 단말(103)(113)(133), 소스 단말(104)(114)(134)로 각각 구성된다. In one embodiment, each of the local areas 100, 110 and 130 includes a Wi-Fi router 101 (111) 131, a local server 102 (112) 132, a target terminal 103 (113) 133, and source terminals 104, 114, and 134, respectively.

일실시예에서 로컬 서버(102)(112)(132)는, 로컬 영역(100)(110)(130)에 위치한 서버로서, 타켓 단말(103)(113)(133)과 소스 단말(104)(114)(134)의 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것이다.In one embodiment, the local servers 102, 112 and 132 are servers located in the local areas 100, 110 and 130, and the target terminals 103, 113 and 133 and the source terminal 104, (114) and (134).

일실시예에서 타켓 단말(103)(113)(133)은, 소스 단말(104)(114)(134)로부터 다른 전송로(PC 또는 서버)를 거치지 않고 직접 전송되어 오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이다.In one embodiment, the target terminals 103, 113, and 133 receive data directly transmitted from the source terminals 104, 114, and 134 without going through another transmission path (PC or server).

일실시예에서 소스 단말(104)(114)(134)은, 타켓 단말(103)(113)(133)에 다른 전송로(PC 또는 서버)를 통하지 않고 직접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다. In one embodiment, the source terminals 104, 114 and 134 transmit data directly to the target terminals 103, 113 and 133 without passing through another transmission path (PC or server).

일실시예에서 외부(서버) 영역(200)은, 웹 서버(210), DB 서버(220)로 구성된다.In one embodiment, the external (server) area 200 comprises a Web server 210 and a DB server 220.

일실시예에서 웹 서버(210)는, 타겟 단말(103)(113)(133)과 소스 단말(104)(114)(134)에 대해 앱 다운로드를 제공하는 서버이다.In one embodiment, the web server 210 is a server that provides application downloads to the target terminals 103, 113, 133 and the source terminals 104, 114,

일실시예에서 DB 서버(220)는, 로컬 서버(102)(112)(132)의 IP, ID, 패스워드를 저장하고, 타켓 단말(103)(113)(133)과 소스 단말(104)(114)(134)의 정보 및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는 것이다.In one embodiment, the DB server 220 stores the IPs, IDs, and passwords of the local servers 102, 112 and 132, and stores the IP, ID and password of the target servers 103, 113, 114) 134, and stores and manages the information and data.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이 기종간 데이터 전송은, 타켓 단말(103)(113)(133)과 소스 단말(104)(114)(134)이 동일한 와이파이 통신망으로 서로 네트워크화되는 핫스팟 영역이 생성된다. 즉 핫스팟 영역에 의해 동일한 와이파이 통신망으로 네트워크화한 타겟 단말(103)(113)(133)과 소스 단말(104)(114)(134)이 직접 데이터를 주고받는 것이다.
In this type of inter-model data transfer, a hot-spot area is created in which the target terminals 103, 113, 133 and the source terminals 104, 114, 134 are networked together via the same Wi-Fi communication network. That is, the target terminals 103, 113, 133 and the source terminals 104, 114, and 134, which are networked through the same Wi-Fi communication network by hotspot areas, directly exchange data.

다음에, 본 발명의 이 기종간 데이터 전송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data transfer method between the model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복수 개의 로컬 영역 중 하나의 로컬 영역(100)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직접 연결되어 데이터를 주고받는 타켓 단말과 소스 단말을 타켓 단말기와 소스 단말기로도 혼용하기로 한다.
The local area 100 of one of the plurality of local areas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In addition, the target terminal and the source terminal directly connected and exchanging data are also mixed with the target terminal and the source terminal.

1. 로컬 영역의 로컬 서버의 IP, ID, 패스워드를 외부 영역의 서버에 등록(도 3, 도 9의 스텝 S100)1. Register the IP, ID, and password of the local server in the local area to the server in the external area (step S100 in Fig. 3 and Fig. 9)

로컬 영역(100)의 로컬 서버(102)는, 가상 IP, ID, 패스워드를 외부 영역(200)의 웹 서버(210)로 전송하여 DB 서버(220)에 등록한다.The local server 102 of the local area 100 transfers the virtual IP, ID and password to the web server 210 of the external area 200 and registers the virtual IP, ID and password in the DB server 220.

DB 서버(220)는, 상기 로컬 서버(102)로부터 전송되어 온 등록되어야 할 정보에 공인 IP 정보를 추가하여 저장한다.The DB server 220 adds public IP information to the information to be registered transmitted from the local server 102 and stores the public IP information.

이때, 상기 공인 IP 하나에 복수 개의 로컬 서버가 등록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와이파이 공유기(101)에 의해 동일한 로컬 영역(100)으로 네트워크화한 범위내에서만 데이터 전송 등의 서비스가 이루어지므로, 공인 IP와 직접 연결된 로컬 서버(102)에 대해서는 이러한 서비스를 허용하지 않는다. At this time, a plurality of local servers can be registered in the public IP. In the present invention, services such as data transmission are performed only within a range that is networked to the same local area 100 by the Wi-Fi router 101, And does not allow such a service for the local server 102 directly connected to the local server 102. [

상기 DB 서버(220)에 저장되는 정보로는, 추가적으로 TEST ID가 있을 수 있다.
The information stored in the DB server 220 may further include a test ID.

2. 로컬 영역의 타켓 단말과 소스 단말이 외부 영역의 서버의 앱 다운로드(도 4, 도 9의 스텝 S110)2. The target terminal of the local area and the source terminal download the application of the server in the external area (step S110 in Fig. 4 and Fig. 9)

로컬 영역(100)의 타켓 단말(103)과 소스 단말(104)은, 외부 영역(200)의 웹 서버(210)로부터 앱을 다운로드 받는다. 이때, 외부 영역(200)의 웹 서버(210)는, 로컬 서버(102), 타켓 단말(103), 소스 단말(104)을 동일한 로컬 영역(100)으로 네트워크화한 와이파이 공유기(101)를 통해 접속되어야 한다.
The target terminal 103 and the source terminal 104 of the local area 100 receive the application from the web server 210 of the external area 200. At this time, the web server 210 of the external area 200 connects the local server 102, the target terminal 103, and the source terminal 104 via the Wi-Fi router 101, .

3. 외부 영역의 서버에서 로컬 서버의 IP 가져오기(도 5, 도 9의 스텝 S120)      3. Importing the IP of the local server from the server in the external area (step S120 in Fig. 5 and Fig. 9)

로컬 영역(100)의 타켓 단말(103)과 소스 단말(104)은, 외부 영역(200)의 DB 서버(220)에 대하여 로컬 서버(102)의 IP, ID, 패스워드를 요청하여 수신한다. 이때 외부 영역(200)의 DB 서버(220)는, 로컬 서버(102), 타켓 단말(103), 소스 단말(104)을 동일한 로컬 영역(100)으로 네트워크화한 와이파이 공유기(101)를 통해 접속되어야 한다. 만일 타켓 단말(103)과 소스 단말(104)이 다른 와이파이 공유기(통신망)를 통해 DB 서버(220)에 대하여 로컬 서버(102)의 IP, ID, 패스워드를 요청할 경우, 이러한 요청은 거절된다.The target terminal 103 and the source terminal 104 of the local area 100 request and receive the IP, ID and password of the local server 102 from the DB server 220 of the external area 200. The DB server 220 of the external area 200 must be connected through the Wi-Fi router 101 that networked the local server 102, the target terminal 103, and the source terminal 104 to the same local area 100 do. If the target terminal 103 and the source terminal 104 request the IP address, ID and password of the local server 102 from the DB server 220 via another Wi-Fi router (communication network), such a request is rejected.

외부 영역(200)의 웹 서버(210)는, 와이파이 공유기(101)를 통한 동일한 네트워크 영역내에서는 공인 IP가 모두 동일하므로, 타켓 단말(103)과 소스 단말(104)의 공인 IP와 동일한 로컬 서버(102)의 공인 IP를 찾아서 가상 IP를 타켓 단말(103)과 소스 단말(104)에 전송한다.
The web server 210 of the external area 200 has the same public IP within the same network area through the Wi-Fi router 101, Finds the public IP of the target terminal 102 and transmits the virtual IP to the target terminal 103 and the source terminal 104.

4. 로컬 서버에 대한 접속 요청 및 로컬 서버의 접속 수락(도 6, 도 9의 스텝 S130) 4. Connection request to the local server and connection acceptance of the local server (step S130 in Fig. 6 and Fig. 9)

로컬 영역(100)의 타켓 단말(103)과 소스 단말(104)은, 로컬 서버(102)에 대하여 접속을 요청하되, 외부 영역(200)의 DB 서버(220)로부터 전송받은 가상 IP를 통해 요청한다. 로컬 서버(102)는, 와이파이 공유기(101)를 통해 동일한 로컬 영역(100)에 네트워크화되어 있으므로 네트워크 검색이 없이도 가상 IP로 접속이 가능하며, 타켓 단말(103)과 소스 단말(104)에 각각 접속 승인 메시지를 전송한다.The target terminal 103 and the source terminal 104 of the local area 100 request the connection to the local server 102 and request the connection through the virtual IP address received from the DB server 220 of the external area 200 do. Since the local server 102 is networked in the same local area 100 through the Wi-Fi router 101, the local server 102 can be connected to the target IP 103 and the source terminal 104 Send an acknowledgment message.

이러한 상태에서 로컬 서버(102)는, 타켓 단말(103)과 소스 단말(104)에 대하여 정보를 요청한다. 따라서 타켓 단말(103)과 소스 단말(104)은 각각, 모델 이름, 제조사, 플랫폼 OS, 버젼 등의 단말 정보와, 콘텐츠 종류 및 개수 등의 데이터를 로컬 서버(102)에 전송한다.
In this state, the local server 102 requests the target terminal 103 and the source terminal 104 for information. Therefore, the target terminal 103 and the source terminal 104 respectively transmit terminal information such as a model name, a manufacturer, a platform OS, a version, and data such as the content type and the number to the local server 102.

5. 로컬 영역의 단말 정보 및 데이터를 외부 영역의 서버에 전송(도 9의 스텝 S140)5. Transferring the terminal information and data of the local area to the server in the external area (step S140 in Fig. 9)

로컬 서버(102)는, 타켓 단말(103) 및 소스 단말(104)로부터 전송받은 상기 정보 및 데이터를 외부 영역(200)의 DB 서버(220)에 전송한다. The local server 102 transmits the information and data received from the target terminal 103 and the source terminal 104 to the DB server 220 of the external area 200. [

DB 서버(220)는, 로컬 서버(102)로부터 전송받은 타켓 단말(103) 및 소스 단말(104)의 상기 정보 및 데이터를 저장한 후, 로컬 서버(102)에 저장완료 메시지를 전송한다.
The DB server 220 stores the information and data of the target terminal 103 and the source terminal 104 transmitted from the local server 102 and then transmits a storage completion message to the local server 102.

6. 로컬 서버에 대한 정보 전송 요청(도 7, 도 9의 스텝 S150 ~ 스텝 S170)6. Information transmission request to the local server (steps S150 to S170 in Fig. 7 and Fig. 9)

타켓 단말(103)은, 로컬 서버(102)에 대하여 소스 단말(104)로부터 전송받을 데이터를 요청한다. 로컬 서버(102)는, 타켓 단말(103)의 데이터 전송 요청에 대응하여 소스 단말(104)에 핫스팟 이름과 패스워드를 전송하고, 핫스팟 모드로의 전환을 요청한다. 동시에 타겟 단말(103)에도 동일한 핫스팟 이름과 패스워드를 전송하고, 소스 단말(104)의 핫스팟에 접속할 것을 요청한다. The target terminal 103 requests data to be transmitted from the source terminal 104 to the local server 102. The local server 102 transmits the hotspot name and password to the source terminal 104 in response to the data transfer request of the target terminal 103 and requests switching to the hotspot mode. At the same time, the same hot spot name and password are transmitted to the target terminal 103, and a request is made to connect to the hot spot of the source terminal 104.

이후, 로컬 서버(102)는, 타켓 단말(103) 및 소스 단말(104)과의 통신을 중지한다.Thereafter, the local server 102 stops communication with the target terminal 103 and the source terminal 104. [

7. 로컬 서버의 DB 서버에 대한 정보 전송7. Sending information about the DB server on the local server

로컬 서버(102)는, 타켓 단말(103) 및 소스 단말(104)과 통신한 상기 정보 및 데이터를 외부 영역(200)의 DB 서버(220)에 전송한다. 통신한 정보 및 데이터로는 타켓 단말(103)과 소스 단말(104)의 단말 정보와 콘텐츠 종류 및 개수 등이다.
The local server 102 transmits the information and data communicated to the target terminal 103 and the source terminal 104 to the DB server 220 of the external area 200. [ The information and data communicated are the terminal information of the target terminal 103 and the source terminal 104, the type and number of contents, and the like.

8. 타켓 단말과 소스 단말간 데이터 전송(도 8, 도 9의 스텝 S180)8. Data transfer between the target terminal and the source terminal (step S180 in Fig. 8 and Fig. 9)

타켓 단말(103)과 소스 단말(104)이 핫스팟 영역 내에서 일대일로 연결되면, 소스 단말(104)은 콘텐츠(데이터)를 암호화하여 타켓 단말(103)로 전송을 개시한다. 타켓 단말(103)은 소스 단말(104)로부터 콘텐츠를 모두 전송받으면, 암호를 해제하고 이들 데이터를 내부 메모리에 저장한다.
When the target terminal 103 and the source terminal 104 are connected one-to-one in the hotspot area, the source terminal 104 encrypts the content (data) and starts transmission to the target terminal 103. When all the contents are received from the source terminal 104, the target terminal 103 releases the encryption and stores these data in the internal memory.

9. DB 서버에 데이터 정보 전송 완료 통보 및 종료(도 9의 스텝 S190)9. Notification of completion of data information transmission to the DB server and termination (step S190 in Fig. 9)

로컬 서버(102)는 타켓 단말(103)과 소스 단말(104)간 콘텐츠 전송이 완료되었음을 DB 서버(220)에 통보하고 동작을 종료한다.
The local server 102 informs the DB server 220 that the content transmission between the target terminal 103 and the source terminal 104 has been completed and ends the operation.

100, 110, 130 : 로컬 영역 101, 111, 131 : 와이파이 공유기
102, 112, 132 : 로컬 서버 103, 113, 133 : 타겟 단말
104, 114, 134 : 소스 단말 200 : 외부 영역
210 : 웹 서버 220 : DB 서버
100, 110, 130: Local area 101, 111, 131: Wi-
102, 112, 132: local server 103, 113, 133: target terminal
104, 114, 134: source terminal 200: outer area
210: Web server 220: DB server

Claims (11)

와이파이 공유기에 의해 동일한 로컬 영역으로 네트워크화한 범위내에서만 데이터 전송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공인 IP와 직접 연결된 로컬 서버에 대해서는 데이터 전송 서비스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상기 로컬 서버로부터 전송되어 온 정보에 공인 IP 정보를 추가하여 저장하고, 로컬 영역의 로컬 서버의 IP 주소, 아이디, 비밀번호를 외부 영역의 DB 서버에 저장하는 제1단계;
로컬 영역의 타켓 단말과 소스 단말이 동일한 와이파이 통신망으로 네트워크화되는 외부 영역의 웹 서버로부터 앱을 다운로드 받는 제2단계;
상기 로컬 영역의 타켓 단말과 소스 단말이 로컬 서버의 IP 주소를 동일한 와이파이 통신망으로 네트워크화되는 외부 영역의 DB 서버로부터 가져오는 제3단계;
상기 로컬 서버의 IP 주소에 접속하여 타켓 단말과 소스 단말의 정보를 로컬 서버에 전송하는 제4단계;
상기 타켓 단말이 로컬 서버에 대해 소스 단말의 데이터를 요청하면, 로컬 서버가 타켓 단말과 소스 단말에 대하여 핫스팟 설정 및 테더링 모드 전환을 명령하는 제5단계;
상기 타켓 단말이 소스 단말의 핫스팟에 접속하는 제6단계; 및
소스 단말이 상기 타켓 단말에 대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7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링을 이용한 이 기종간 데이터 전송방법.
A data transmission service is performed only within a range where the same local area is networked by the Wi-Fi router, and public IP information is added to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local server so that a data transmission service is not performed for a local server directly connected to the public IP A first step of storing the IP address, ID and password of the local server in the local area in the DB server of the external area;
A second step of downloading an application from a web server in an external area where a target terminal in a local area and a source terminal are networked through a same Wi-Fi communication network;
A third step of bringing the IP address of the local server and the target terminal of the local area from the DB server of the external area networked by the same Wi-Fi communication network;
A fourth step of accessing an IP address of the local server and transmitting information of a target terminal and a source terminal to a local server;
A fifth step in which, when the target terminal requests data of the source terminal to the local server, the local server instructs the target terminal and the source terminal to switch the hot spot setting and the tethering mode;
A sixth step of the target terminal accessing a hot spot of a source terminal; And
And a seventh step in which the source terminal transmits data to the target terminal.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에서 타켓 단말과 소스 단말은, 네트워크 검색없이 외부 영역의 DB 서버로부터 전송받은 가상 IP를 통해 로컬 서버에 직접 접속되어 단말 정보 및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링을 이용한 이 기종간 데이터 전송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n the fourth step, the target terminal and the source terminal are directly connected to the local server through the virtual IP transmitted from the DB server of the external area without network search, Data transmission method between these models using tether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에서의 핫스팟 설정 및 테더링 모드 전환 명령은, 로컬 서버가 타켓 단말과 소스 단말에 핫스팟 이름과 패스워드를 통지하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링을 이용한 이 기종간 데이터 전송방법.
2.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otspot setting and the tethering mode switching command in the fifth step are performed by the local server notifying the target terminal and the source terminal of a hotspot name and a password. Way data transmission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에서 로컬 서버는, 타켓 단말과 소스 단말에 각각 핫스팟 이름과 패스워드를 전송하고, 외부 영역의 DB 서버에 타켓 단말과 소스 단말의 정보 및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링을 이용한 이 기종간 데이터 전송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n the fifth step, the local server transmits hot spot names and passwords to the target terminal and the source terminal, respectively, and transmits information and data of the target terminal and the source terminal to the DB server of the outer region The data transmission method using the tethering. 각각의 와이파이 통신망으로 네트워크화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로컬 영역; 및 상기 로컬 영역과 각각 동일한 와이파이 통신망을 통해 네트워크화되어 로컬 영역의 단말기와 통신하도록 웹 서버와 DB 서버로 구성된 외부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로컬 영역은,
와이파이 공유기;
타켓 단말과 소스 단말의 정보 및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는 로컬 서버;
소스 단말로부터 다른 전송로를 거치지 않고 직접 전송되어 오는 데이터를 수신하는 타켓 단말; 및
상기 타켓 단말에 다른 전송로를 통하지 않고 직접 데이터를 전송하는 소스 단말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부 영역은,
상기 타켓 단말과 소스 단말에 대해 앱 다운로드를 제공하는 웹 서버; 및
와이파이 공유기에 의해 동일한 로컬 영역으로 네트워크화한 범위내에서만 데이터 전송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공인 IP와 직접 연결된 로컬 서버에 대해서는 데이터 전송 서비스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상기 로컬 서버로부터 전송되어 온 정보에 공인 IP 정보를 추가하여 저장하고, 상기 로컬 서버의 IP, ID, 패스워드를 저장하고, 타켓 단말과 소스 단말의 정보 및 데이터를 저장 관리하는 DB 서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링을 이용한 이 기종간 데이터 전송장치.
At least one local area networked by each Wi-Fi network; And an external area configured by a web server and a DB server so as to be networked through the same Wi-Fi communication network as the local area and communicate with terminals in the local area,
Wherein the local area comprises:
WiFi router;
A local server for storing and managing information and data of a target terminal and a source terminal;
A target terminal for receiving data transmitted directly from a source terminal without going through another transmission path; And
And a source terminal for directly transmitting data to the target terminal without passing through another transmission path,
Wherein the outer region comprises:
A web server for providing an application download to the target terminal and the source terminal; And
A data transmission service is performed only within a range where the same local area is networked by the Wi-Fi router, and public IP information is added to the information transmitted from the local server so that a data transmission service is not performed for a local server directly connected to the public IP And storing the IP, ID, and password of the local server, and storing and managing information and data of the target terminal and the source terminal.
삭제delet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서버는, 타켓 단말과 소스 단말의 핫스팟 설정 및 테더링 모드 전환을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링을 이용한 이 기종간 데이터 전송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7, wherein the local server instructs a target terminal and a source terminal to set a hot spot and to switch a tethering mod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서버는, 타켓 단말과 소스 단말에 핫스팟 이름과 패스워드를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링을 이용한 이 기종간 데이터 전송장치.
The apparatus of claim 9, wherein the local server notifies a target terminal and a source terminal of a hot spot name and a passwor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로컬 서버는, 타켓 단말과 소스 단말에 각각 핫스팟 이름과 패스워드를 전송하고, 통신을 중지한 후 외부 영역의 DB 서버에 타켓 단말과 소스 단말의 정보 및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더링을 이용한 이 기종간 데이터 전송장치.
The method as claimed in claim 7, wherein the local server transmits a hot spot name and a password to the target terminal and the source terminal respectively, and transmits information and data of the target terminal and the source terminal to the DB server of the external area after stopping communication This inter-model data transmission device uses tethering.
KR1020160097165A 2016-07-29 2016-07-29 Device searching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Expired - Fee Related KR10180643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165A KR101806439B1 (en) 2016-07-29 2016-07-29 Device searching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7165A KR101806439B1 (en) 2016-07-29 2016-07-29 Device searching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6439B1 true KR101806439B1 (en) 2017-12-08

Family

ID=60920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7165A Expired - Fee Related KR101806439B1 (en) 2016-07-29 2016-07-29 Device searching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643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1348A1 (en) * 2021-03-08 2022-09-15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tethering service and method thereof
US12342398B2 (en) 2021-03-08 2025-06-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tethering service and method thereof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109B1 (en) 2012-10-31 2014-06-02 (주)나무소프트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n acess to an private network
KR101537765B1 (en) * 2014-09-12 2015-07-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Tethering Data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2109B1 (en) 2012-10-31 2014-06-02 (주)나무소프트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an acess to an private network
KR101537765B1 (en) * 2014-09-12 2015-07-2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Tethering Data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1348A1 (en) * 2021-03-08 2022-09-15 삼성전자 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tethering service and method thereof
US12342398B2 (en) 2021-03-08 2025-06-2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providing tethering service and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37204B1 (en) Remotely providing profile in communication system
AU201030747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personal network for providing a CPNS service
TWI589142B (en) Mobile radio communication devices, servers, methods for controlling a mobile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server
US8396220B2 (en) System and method of mobile content sharing and delivery in an integrated network environment
US11989543B2 (en) Method for interoperating between bundle download process and eSIM profile download process by SSP terminal
US10645568B2 (en) Carrier configuration processing method, device and system, and computer storage medium
JP5598471B2 (en) Method for transmitting virtualized data in a cloud computing environment
CN105430711B (en) Transmission method, device and the equipment of information
KR2011004271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rvice using private network
WO2018107593A1 (en) Method and device for sharing file between different terminals
CN104917762A (en) Permission assignment method, first electronic equipment and system
KR101401799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device management service to electrical devices having no broadband communication module
CN104601589A (en) A method for accessing a broadcast television system, a terminal and a network side server
JP6674041B2 (en) Access method, apparatus, device, and system
KR20120098215A (en) Method for providing virtualized information
KR101806439B1 (en) Device searching system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JP2008252890A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operating a mobile terminal
KR101065939B1 (en) Resource sharing between device-to-device and resource sharing between device-to-device
CN102811263A (en)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IPv6 for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CN113455025B (en) Method for SSP terminal to interoperate between bundle download process and ESIM configuration file download process
KR20130078220A (en) User terminal and data sharing method between applications thereof
JP6640949B2 (en) Connection information transmitting device, method and program
CN114640999B (en) Network access method, device, system, storage medium and electronic equipment
US20050209986A1 (en) Transferring service settings from a first device to a second device
CN112235784B (en) vSIM-based code number management method, device and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D13-X000 Search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D14-X000 Search report completed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0120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01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