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6584B1 -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 Google Patents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06584B1 KR101806584B1 KR1020130106601A KR20130106601A KR101806584B1 KR 101806584 B1 KR101806584 B1 KR 101806584B1 KR 1020130106601 A KR1020130106601 A KR 1020130106601A KR 20130106601 A KR20130106601 A KR 20130106601A KR 101806584 B1 KR101806584 B1 KR 1018065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ck
- lubricant
- bush
- circumferential surface
- rack bus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16—Arrangement of linkage connections
- B62D7/163—Arrangement of linkage connections substantially in axial direction, e.g. between rack bar and tie-ro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20—Connecting steering column to steering gea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62D3/12—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0/00—Purposes or special featur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 B60Y230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Y2300/20—Reducing vibrations in the driveline
- B60Y2300/207—Reducing vibrations in the driveline related to drive shaft torsion, e.g. driveline oscill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ort Of The Bearing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랙부시와 랙바 사이의 습동(stick slip)으로 인한 스틱-슬립 노이즈(stick-slip noise)와 반경 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한 래틀 노이즈(rattle noise)가 동시에 저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ring apparatus for an automobile, and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ick-slip noise due to a stick slip between a rack bush and a rack bar and a displacement in a radial direction The rattle noise caused by the noise can be reduced at the same time.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경이 중앙으로부터 양단부로 갈수록 커지는 랙부시의 내주면에 윤활제 홈이 형성되고, 외주면 양단에 탄성부재가 결합됨으로써, 스틱-슬립 노이즈(stick-slip noise)와 래틀 노이즈(rattle noise)가 동시에 저감될 수 있는 자동차의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ring apparatus for an automobile, more specifically, a lubricant groove i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rack bushing having an inner diameter increasing from the center to both ends, and an elastic member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slip noise and rattle noise can be reduced at the same time.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조향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eering apparatus of a conventional automobile.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자동차의 조향장치에서 조향휠(110)과 조향축(115)의 하측에는 측면에 랙하우징(137)과 연결된 기어박스(125)가 구비된다.As shown in FIG. 1, a
기어박스(125)에는 그 내부 상측에 조향축(115)과 연결되어 조향휠(110)에서 발생된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입력축(120)이 구비된다.The
기어박스(125)의 내부 하측에는 입력축(120)을 통해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며 끝단 외주부에 이가 형성된 피니언(미도시)이 구비되고, 기어박스(125)의 하부 외측에는 기어박스(125)와 일체로 형성되며 양측으로 연장되는 랙하우징(137)이 구비된다.A
랙하우징(137)은 중공관으로서 양측이 개구되어 형성되며, 개구된 입구의 양측에는 랙부시(160) 및 랙스토퍼(165) 등이 설치되고, 그 외주측에는 벨로우즈(150)가 설치된다.The
랙하우징(137)의 내부에는 기어박스(125)에 마련된 피니언과 치결합될 수 있도록 그 중간에 랙이 형성된 랙바(140)가 구비된다.The
랙바(140)는 랙하우징(137)의 내부에서 축방향으로 직선 이동되며, 기어박스(125)의 피니언과 치결합될 수 있도록 그 중간에 랙이 형성되어 있고, 랙바(140)의 좌,우측은 볼하우징(175)에 볼이 삽입되어 결합되는 이너볼조인트(170)를 매개로 타이로드(155)와 연결되어 바퀴를 조향하게 된다.The
한편, 개구되어 형성된 랙하우징(137)의 양측에는 랙바(140)를 지지하면서 랙바(14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랙부시(160)가 삽입되어 고정된다.The
랙부시(160)는 중공으로 마련되는데, 랙부시(160)에는 랙바가 관통되어 결합되며, 랙부시(160)의 내주면은 랙바(140)의 외주면과 밀착되어서 랙바(140)의 슬라이딩을 안내하게 되어 있다.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또한, 랙부시(160)에는 돌출부(161), 대경부(162), 소경부(163)가 형성되는데, 돌출부(161)는 외경이 대경부(162)와 소경부(163)보다 크게 형성된다. 대경부(162)의 외주면은 랙하우징(137)의 내주면과 맞닿을 수 있도록 형성되고, 탄성밴드(167)는 소경부(163)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탄성밴드(167)의 외주면은 랙하우징(137)의 내주면에 밀착되어서 랙부시(160)와 랙하우징(137) 사이의 충격을 완충시키게 된다.The
한편, 랙부시(160)의 일측에는 랙스토퍼(165)가 랙하우징(137)에 결합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a
즉, 랙하우징(137)의 끝단에는 랙하우징(137)을 밀폐할 수 있도록 중공으로 형성되어 랙부시(160)와 밀착되면서, 랙하우징(137)의 내주면에 밀착 고정되는 랙스토퍼(165)가 설치되어 랙부시(160)를 지지하게 된다.A
그런데 이러한 구조의 종래 자동차의 조향장치에서, 타이로드(155)를 통해 랙바(140)로 역입력 하중이 전달되는 경우, 랙부시(160)와 랙하우징(137) 사이에 래틀 노이즈(rattle noise)가 발생될 수 있는 바, 이러한 래틀 노이즈를 줄이기 위해서는 탄성밴드(167)의 경도 또는 외경을 증가시켜야 하지만, 이처럼 탄성밴드(167)의 경도 또는 외경을 증가시키면 랙부시(160)와 랙바(140) 사이의 밀착력이 과도히 증가하여 스틱-슬립 노이즈(stick-slip noise)가 발생되게 된다.When a reverse input load is transmitted to the
즉, 전술한 래틀 노이즈와 스틱-슬립 노이즈는 서로 반비례 관계여서 이 둘을 동시에 저감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That is, since the rattle noise and the stick-slip noise described above are inversely related to each other, it is difficult to simultaneously reduce the two.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내경이 중앙으로부터 양단부로 갈수록 커지는 랙부시의 내주면에 윤활제 홈이 형성되고, 외주면 양단에 탄성부재가 결합됨으로써, 스틱-슬립 노이즈(stick-slip noise)와 래틀 노이즈(rattle noise)가 동시에 저감될 수 있는 자동차의 조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 lubricant groove is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 rack bushing having an inner diameter increasing from the center toward both ends, and an elastic member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whereby a stick-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eering apparatus for a vehicle in which rattle noise can be reduced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hereto,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may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외주면 양단에 원주 방향으로 삽입홈이 각각 형성되고, 중앙으로부터 삽입홈 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증가하며, 외주면의 축방향의 중앙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부가 형성되고, 중앙으로부터 양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증가하며, 내주면에 윤활제 홈이 함몰 형성된 랙부시; 및 삽입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sertion grooves are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t both ends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 outer diameter increases from the center toward the insertion groove direction, the protrusion is formed radially outward at the center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rack bush having an inner diameter increasing toward the both ends from the center, and a lubricant groove recessed i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And an elastic member inserted and fixed in the insertion groove.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랙부시와 랙바 사이의 습동(stick slip)으로 인한 스틱-슬립 노이즈(stick-slip noise)와 반경 방향으로의 변위에 의한 래틀 노이즈(rattle noise)가 동시에 저감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ick-slip noise due to the stick slip between the rack bush and the rack bar and the rattle noise due to the displacement in the radial direction can be simultaneously reduced There is an effect.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조향장치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랙부시와 탄성부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랙부시와 탄성부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랙부시와 탄성부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조향장치의 일부에 대한 단면도이다.1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eering apparatus of a conventional automobil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ack bush and an elastic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ack bush and an elastic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ack bush and an elastic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 steer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s first, second, A, B, (a), (b), and the like can be used. These terms are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nstituent elements from other constituent elements, and the terms do not limit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nstituent elements.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n element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랙부시와 탄성부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랙부시와 탄성부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랙부시와 탄성부재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조향장치의 일부에 대한 단면도이다.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ack bush and an elastic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ack bush and an elastic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ack bush and an elastic memb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 steering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들 도면들과 도 1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조향장치는, 외주면 양단에 원주 방향으로 삽입홈(224)이 각각 형성되고, 중앙으로부터 삽입홈(224) 방향으로 갈수록 외경이 증가하며, 외주면의 중앙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부(222)가 형성되고, 중앙으로부터 양단부 방향으로 갈수록 내경이 증가하며, 내주면에 윤활제 홈(226)이 함몰 형성된 랙부시(220); 및 삽입홈(224)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탄성부재(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1, an automotive steer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랙바(540)는 랙하우징(537)의 내측에 구비되어 직선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랙바(540)의 양단에는 이너볼조인트(170)를 매개로 타이로드(155)가 결합되며, 타이로드(155)는 차량에 장착시 또는 바퀴의 선회시 랙바(540)에 대해 소정 각도 꺾인 상태가 된다. 따라서 랙바(540)에는 반경 방향으로의 변위가 발생하여, 랙바(540)와 랙하우징(537) 사이에서 래틀 노이즈가 발생될 수 있다.The
랙부시(220)에는 랙바(540)가 관통될 수 있도록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데, 랙부시(220)는 랙하우징(537) 양단 내주면에 결합되어, 랙바(540)의 직선 운동을 지지하며, 랙바(540)의 진동을 흡수한다. The
랙부시(220)는 랙바(540) 및 랙하우징(537)과 밀착되어 습동(stick-slip)이 발생되므로, 내마모성과 저마찰성 뿐만 아니라 소정의 휨과 강성을 구비하며 열에 의한 신축성이 적은 재질로 형성되며, 그 예들로, 폴리아세탈(POM), 폴리아미드(PA),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이미드(PI),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등과 같은 엔지니어링 플라스틱계열이나, 천연고무재 또는 폴리에스테르일래스토머(PE)와 같은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Since the
랙부시(220)의 내경은, 중앙에서 양단부로 갈수록 증가하도록 형성되는데, 이와 같이 랙부시(220)의 내경이 중앙으로부터 양단부로 갈수록 증가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랙부시(220)의 내주면과 랙바(540)의 외주면 사이의 접촉면적이 줄어들어 마찰(friction)이 저감되는 효과가 있다.The inner diameter of the
또한, 도 5에 도시된 단면도를 참조하면, 이러한 구조로 인해 랙바(540)와 랙부시(220)의 양단부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550)이 형성되는데, 후술할 윤활제 홈(226)에 저장된 윤활제가 그 공간(550)에 채워지고, 윤활제가 랙바(540)의 축방향으로의 직선 운동시 랙바(540)와 랙부시(220)의 접촉면에 도포됨으로써, 스틱-슬립 노이즈(stick-slip noise)가 저감될 수 있다.5, a
그리고 랙부시(220)의 내경이 중앙에서 양단부로 갈수록 증가되는 형상은, 랙바(540)에 반경 방향의 변위가 발생될 경우, 이러한 변위가 랙부시(220)의 라운드진 형상의 내주면으로 인해 효과적으로 흡수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후술할 탄성부재(230)의 탄성 재질로 인하여 반경 방향의 변위가 흡수되는 것과 마찬가지로, 래틀 노이즈(rattle noise)가 저감될 수 있다.The shape in which the inner diameter of the
한편, 랙부시(220)의 외주면 중앙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부(222)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돌출부(222)는 랙하우징(537)의 내주면에 함몰 형성된 홈(560)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이로써 랙부시(220)가 랙하우징(537)의 내주면에 견고히 고정되게 된다. 돌출부(222)는 외주면의 축방향의 중앙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돌출부(222)의 형상은 도면들에 도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A
이러한 돌출부(222)는 랙부시(220)의 외주면 중앙에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고, 원주방향으로 동일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면들에서는 3개의 돌출부(222)가 원주방향으로 동일 간격을 이루며 형성되어 있는 예를 도시하였다.The
한편, 랙부시(220)의 외주면 양단에는 원주 방향으로 삽입홈(224)이 형성되는데, 삽입홈(224)에는 후술할 탄성부재(230)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At both ends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랙부시(220)에는 일측이 개구되며 축방향으로 절개된 슬릿(228)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슬릿(228)은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고, 도면들에서는 원주방향으로 6개의 슬릿(228)이 형성되어 있는 예를 도시하였다. The
이처럼 랙부시(220)에 슬릿(228)이 형성됨으로써, 슬릿(228)이 자체적으로 수축 또는 이완되는 탄성변형을 하거나, 후술할 탄성부재(230)가 랙부시(220)에 결합되었을 때, 탄성부재(230)의 탄성력에 의해 랙부시(220)의 내경이 원활히 축소되면서 랙부시(220)의 내주면과 랙바(540)의 외주면이 밀착될 수 있게 되어, 랙바(540)와의 유격에 의한 래틀 노이즈가 저감될 수 있다.The
그리고 랙부시(220)의 내주면에는 윤활제 홈(226)이 함몰 형성되는데, 이러한 윤활제 홈(226)은 양단부가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원주방향으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A
한편, 윤활제 홈(326)은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는데, 도 3에서는 윤활제 홈(326)이 축방향으로 3개 형성된 예를 도시하였다.On the other hand, the
또한, 윤활제 홈(426)은 원주방향으로 복수개로 형성되는 장홈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데, 도 4에서는 윤활제 홈(426)이 양단부가 개구되지 않은 장홈이 원주방향으로 6개 형성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In addition, the
이러한 윤활제 홈(226, 326, 426)의 개수 또는 위치는, 전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The number or position of the
윤활제 홈(226,326,426)은 그리스와 같은 윤활제가 저장되는 역할을 하여, 랙바(540)의 좌우 습동시 윤활제 홈(226,326,426)에 저장된 윤활제가 랙바(540)의 외주면에 도포됨으로써 랙바(540)와 랙부시(220) 사이의 마찰(friction)이 저감되어, 스틱-슬립 노이즈(stick-slip noise)가 방지될 수 있다. The lubricant grooves 226,326 and 426 serve to store a lubricant such as grease and lubricant stored in the lubricant grooves 226,326 and 426 of the left and right wetness of the
즉, 종래 기술에 의한 랙부시(160)의 경우, 윤활제가 구비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윤활제의 양이 감소되거나 소실되어, 스틱-슬립 노이즈(stick-slip noise)가 발생되고, 랙부시(160)를 교체하거나 윤활제를 추가적으로 공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That is, in the case of the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중앙으로부터 양단부로 갈수록 랙부시(220)의 내경이 증가함에 따라 랙부시(220)의 내주면 양단부와 랙바(540)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550)에 일차적으로 윤활제가 저장될 수 있고, 이차적으로 윤활제 홈(226,326,426)에 더 많은 양의 윤활제가 구비됨으로써, 장시간에 걸쳐 윤활제 홈(226,326,426)으로부터 윤활제가 공급되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 의한 랙부시(160)에 비해 장시간에 걸쳐 스틱-슬립 노이즈(stick-slip noise)의 발생이 방지될 수 있고, 윤활제가 감소되거나 소실되는 시간주기를 증가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Howe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inner diameter of the
한편, 전술한 윤활제 홈(226,326,426)과 슬릿(228)은 원주방향으로 교번으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탄성부재(230)는 환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랙부시(220)의 삽입홈(224)에 삽입된다. 탄성부재(230)가 탄성변형되면서, 랙부시(220)의 내경이 축소되어 랙부시(220)와 랙바(540)가 안정적으로 결합된다.The
탄성부재(230)는 우레탄이나 천연고무재 또는 폴리에스테르일래스토머(PE) 등과 같이, 랙바(540)의 지지 및 진동 흡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The
전술한 바와 같이 랙바(540)의 양단에 이너볼조인트(170)를 매개로 결합되는 타이로드(155)는 랙바(540)에 대해 소정 각도 꺾인 상태가 되므로, 바퀴를 통해 역입력 하중이 랙바(540)로 전달될 때, 랙바(540)에 반경 방향의 유동이 발생되는데, 이 유동이 탄성부재(230)에 의해 완충될 수 있으므로, 래틀 노이즈(rattle noise)가 저감될 수 있다.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most practical and preferred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one or more of them. 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220: 랙부시 222: 돌출부
224: 삽입홈 226: 윤활제 홈
228: 슬릿 230: 탄성부재
326: 윤활제 홈 426: 윤활제 홈
537: 랙하우징 540: 랙바
550: 공간 560: 홈220: rack bushing 222:
224: insertion groove 226: lubricant groove
228: Slit 230: Elastic member
326: Lubricant groove 426: Lubricant groove
537: rack housing 540: rack bar
550: Space 560: Home
Claims (5)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랙부시의 양단부와 랙바와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The outer diameter increases from the center toward the insertion groove direction, the radial outward protrusion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outer circumference, the inner diameter increases from the center toward both ends, A rack bush having a lubricant groove recessed in an inn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And
And an elastic member inserted and fixed in the insertion groove,
And a space is formed between both ends of the rack bush and the rack bar.
상기 윤활제 홈은 양단부가 개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ubricant groove is formed so that both ends thereof are open.
상기 랙부시에 일측이 개구되며 축방향으로 절개된 슬릿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slit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rack bush and is cut in an axial direction.
상기 윤활제 홈과 상기 슬릿은 각각 복수개로 형성되되, 원주방향으로 교번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lubricant grooves and the slits are formed in plural numbers, and are formed alternately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상기 윤활제 홈은 축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조향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lubricant groov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axial direction.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106601A KR101806584B1 (en) | 2013-09-05 | 2013-09-05 |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30106601A KR101806584B1 (en) | 2013-09-05 | 2013-09-05 |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50028023A KR20150028023A (en) | 2015-03-13 |
| KR101806584B1 true KR101806584B1 (en) | 2017-12-07 |
Family
ID=5302311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30106601A Active KR101806584B1 (en) | 2013-09-05 | 2013-09-05 |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806584B1 (en)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40173884A (en) | 2023-06-07 | 2024-12-16 |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 A rack bush assembly for a vehicle's steering apparatus |
| KR20250029381A (en) | 2023-08-23 | 2025-03-05 |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 A rack bush for a vehicle's steering apparatus |
| KR20250029382A (en) | 2023-08-23 | 2025-03-05 |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 A rack bush for a vehicle's steering apparatu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6184341B (en) * | 2016-07-27 | 2019-12-03 |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 A kind of steering gear rack support bushing structure |
| KR102745870B1 (en) * | 2023-01-17 | 2024-12-23 |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 Rear wheel stee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2013
- 2013-09-05 KR KR1020130106601A patent/KR101806584B1/en active Active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40173884A (en) | 2023-06-07 | 2024-12-16 |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 A rack bush assembly for a vehicle's steering apparatus |
| KR20250029381A (en) | 2023-08-23 | 2025-03-05 |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 A rack bush for a vehicle's steering apparatus |
| KR20250029382A (en) | 2023-08-23 | 2025-03-05 |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 A rack bush for a vehicle's steering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50028023A (en) | 2015-03-13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806584B1 (en) |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 |
| KR101277928B1 (en) | Rack Bush, and Rack and Pinion Type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having The Same | |
| KR101767614B1 (en) | Synthetic resin-made sliding bearing | |
| CN110998110A (en) | Supports and Steering Mechanisms | |
| WO2014033992A1 (en) | Bush bearing, and rack-and-pinion steering device adapted for use in automobile and using same | |
| KR101345435B1 (en) | Rack bush, and rack and pinion type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having the same | |
| US11148712B2 (en) | Reducer of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 |
| KR101838817B1 (en) | Rack Bar Supporting Device of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 |
| KR20170107571A (en) | Sliding bearing | |
| JP5910863B2 (en) | Sliding bush | |
| KR20140014764A (en) | Rack bush | |
| KR101793819B1 (en) | Rack Bush of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 |
| KR101827589B1 (en) | Rack Bar Supporting Device of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 |
| KR102738563B1 (en) |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 |
| KR102181865B1 (en) |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 |
| KR102728284B1 (en) |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 |
| KR101661559B1 (en) | Rack Assist Type Electric Power Steering Apparatus | |
| KR101307633B1 (en) | Rack Bush, and Rack and Pinion Type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having The Same | |
| KR20130143275A (en) | Rack bar supporting device of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 |
| KR101277882B1 (en) | Rack Bush, and Rack and Pinion Type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having The Same | |
| KR20170139886A (en) |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 |
| KR102728280B1 (en) | Steering Apparatus of Vehicle | |
| KR101809776B1 (en) |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 |
| KR20140104301A (en) | Rack bush and rack-pinion type Steering apparatus for vehicle having it | |
| JP2015137657A (en) | Bearing and rack and pinion type steering gear uni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R17-X000 |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