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8840B1 - 학습 기반 깊이 정보 추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학습 기반 깊이 정보 추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08840B1 KR101808840B1 KR1020150125759A KR20150125759A KR101808840B1 KR 101808840 B1 KR101808840 B1 KR 101808840B1 KR 1020150125759 A KR1020150125759 A KR 1020150125759A KR 20150125759 A KR20150125759 A KR 20150125759A KR 101808840 B1 KR101808840 B1 KR 1018088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pth information
- learning
- model
- depth
- target imag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50—Depth or shape recovery
- G06T7/529—Depth or shape recovery from texture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50—Depth or shape recovery
- G06T7/55—Depth or shape recovery from multiple images
- G06T7/593—Depth or shape recovery from multiple images from stereo image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4—Classification techniques
- G06F18/241—Classification techniques relating to the classification model, e.g. parametric or non-parametric approaches
- G06F18/2413—Classification techniques relating to the classification model, e.g. parametric or non-parametric approaches based on distances to training or reference pattern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64—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using classification, e.g. of video object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82—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using neural network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4—Three-dimensional objects
- G06V20/647—Three-dimensional objects by matching two-dimensional images to three-dimensional objects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16—Video; Image sequence
- G06T2207/10021—Stereoscopic video; Stereoscopic image sequence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24—Color image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81—Training; Learning
-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84—Artificial neural networks [AN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ultimedia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mage Analysi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깊이 정보 모델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깊이 정보 추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깊이 정보 모델 생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깊이 정보 추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깊이 정보 추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Claims (20)
- 다수의 학습 영상 및 상기 다수의 학습 영상에 대응하고, 서로 다른 방식의 깊이 추출 방법 및 서로 다른 환경에 의해 획득되는 다수의 깊이 정보를 대상물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학습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학습 영상과 깊이 정보 간 관계를 나타내는 깊이 정보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깊이 정보 모델을 대상 영상에 적용하여 상기 대상 영상에 대한 깊이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학습 기반 깊이 정보 추출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깊이 정보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학습 영상 및 상기 다수의 학습 영상에 대응하는 상기 다수의 깊이 정보를 이용하여 학습을 수행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깊이 정보 서브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생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깊이 정보 서브 모델들을 이용하여 학습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깊이 정보 모델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학습 기반 깊이 정보 추출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깊이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영상에 대응하는 깊이 정보 모델을 로딩하고, 로딩된 깊이 정보 모델을 상기 대상 영상에 적용하여 상기 대상 영상에 대한 깊이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학습 기반 깊이 정보 추출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깊이 정보는,
서로 다른 깊이 정보 추출 방식을 통하여 획득되는
학습 기반 깊이 정보 추출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깊이 정보는,
스테레오 방식, 다수 카메라 배열 방식, 구조광 방식, TOF(time of flight) 방식, 라이다 방식, 레이저 방식 및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통하여 획득되는
학습 기반 깊이 정보 추출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깊이 정보 모델은,
상기 학습 영상과 상기 다수의 깊이 정보 간의 관계를 표현하는
학습 기반 깊이 정보 추출 방법.
- 다수의 학습 영상 및 상기 다수의 학습 영상에 대응하고, 서로 다른 방식의 깊이 추출 방법 및 서로 다른 환경에 의해 획득되는 다수의 깊이 정보를 대상물에 따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학습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다수의 학습 영상과 깊이 정보 간 관계를 나타내는 깊이 정보 모델을 생성하는 깊이 정보 모델 학습부; 및
상기 깊이 정보 모델을 대상 영상에 적용하여 상기 대상 영상에 대한 깊이 정보를 추출하는 깊이 정보 센싱부
를 포함하는 학습 기반 깊이 정보 추출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깊이 정보 모델 학습부는,
상기 다수의 학습 영상 및 상기 다수의 학습 영상에 대응하는 상기 다수의 깊이 정보를 이용하여 학습을 수행함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깊이 정보 서브 모델을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깊이 정보 서브 모델들을 이용하여 학습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깊이 정보 모델을 생성하는
학습 기반 깊이 정보 추출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깊이 정보 센싱부는,
상기 대상 영상에 대응하는 깊이 정보 모델을 로딩하고, 로딩된 깊이 정보 모델을 상기 대상 영상에 적용하여 상기 대상 영상에 대한 깊이 정보를 추출하는
학습 기반 깊이 정보 추출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깊이 정보를 획득하는 깊이 정보 획득부
를 더 포함하는 학습 기반 깊이 정보 추출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깊이 정보는,
서로 다른 깊이 정보 추출 방식을 통하여 획득되는
학습 기반 깊이 정보 추출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깊이 정보는,
스테레오 방식, 다수 카메라 배열 방식, 구조광 방식, TOF(time of flight) 방식, 라이다 방식, 레이저 방식 및 초음파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을 통하여 획득되는
학습 기반 깊이 정보 추출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깊이 정보 모델은,
상기 학습 영상과 상기 다수의 깊이 정보 간의 관계를 표현하는
학습 기반 깊이 정보 추출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2)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25759A KR101808840B1 (ko) | 2015-09-04 | 2015-09-04 | 학습 기반 깊이 정보 추출 방법 및 장치 |
| US15/256,447 US10043285B2 (en) | 2015-09-04 | 2016-09-02 | Depth information extracting method based on machine learning and apparatus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25759A KR101808840B1 (ko) | 2015-09-04 | 2015-09-04 | 학습 기반 깊이 정보 추출 방법 및 장치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028749A KR20170028749A (ko) | 2017-03-14 |
| KR101808840B1 true KR101808840B1 (ko) | 2017-12-13 |
Family
ID=5819049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125759A Active KR101808840B1 (ko) | 2015-09-04 | 2015-09-04 | 학습 기반 깊이 정보 추출 방법 및 장치 |
Country Status (2)
| Country | Link |
|---|---|
| US (1) | US10043285B2 (ko) |
| KR (1) | KR101808840B1 (ko)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19168264A1 (ko) * | 2018-02-27 | 2019-09-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808840B1 (ko) * | 2015-09-04 | 2017-12-13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학습 기반 깊이 정보 추출 방법 및 장치 |
| JP6586532B2 (ja) | 2016-03-03 | 2019-10-02 | グーグル エルエルシー | ロボットの把持のための深層機械学習方法および装置 |
| WO2017151926A1 (en) | 2016-03-03 | 2017-09-08 | Google Inc. | Deep machine learning methods and apparatus for robotic grasping |
| US10943100B2 (en) | 2017-01-19 | 2021-03-09 | Mindmaze Holding Sa | Systems, methods, devices and apparatuses for detecting facial expression |
| EP3571627A2 (en) | 2017-01-19 | 2019-11-27 | Mindmaze Holding S.A. | Systems, methods, apparatuses and devices for detecting facial expression and for tracking movement and location including for at least one of a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system |
| EP3568804A2 (en) * | 2017-02-07 | 2019-11-20 | Mindmaze Holding S.A. |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stereo vision and tracking |
| KR101866135B1 (ko) * | 2017-05-12 | 2018-06-08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2d 영상에 대한 깊이 정보 생성 장치 및 방법과 이에 관한 기록 매체 |
| KR101963042B1 (ko) * | 2017-10-13 | 2019-03-27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3d 영상에서 반투명 및 투명 객체를 복원하는 장치 및 그 방법 |
| KR102285064B1 (ko) | 2017-10-30 | 2021-08-04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은닉 변수를 이용하는 영상 및 신경망 압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
| KR101976290B1 (ko) * | 2017-12-13 | 2019-05-07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깊이 정보 생성을 위한 학습 장치 및 방법과 깊이 정보 생성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에 관한 기록 매체 |
| US11166014B2 (en) | 2017-12-14 | 2021-11-02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Image encoding and decoding method and device using prediction network |
| KR102435595B1 (ko) | 2017-12-15 | 2022-08-25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분산 처리 환경에서의 학습 파라미터의 압축 및 전송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 US11328533B1 (en) | 2018-01-09 | 2022-05-10 | Mindmaze Holding Sa |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facial expression for motion capture |
| US10841577B2 (en) | 2018-02-08 | 2020-11-17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encoding and video decoding based on neural network |
| US11019355B2 (en) | 2018-04-03 | 2021-05-25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Inter-prediction method and apparatus using reference frame generated based on deep learning |
| CN109255843A (zh) * | 2018-09-26 | 2019-01-22 | 联想(北京)有限公司 | 三维重建方法、装置及增强现实ar设备 |
| KR102631741B1 (ko) | 2019-10-15 | 2024-02-01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방송 신호 검출 장치 및 방법 |
| KR102229861B1 (ko) * | 2019-10-24 | 2021-03-18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저채널 라이다와 스테레오 카메라를 이용한 깊이 추정 장치 및 방법 |
| US12112468B2 (en) | 2020-01-30 | 2024-10-08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dimension error |
| CN113947207B (zh) * | 2020-07-15 | 2025-09-26 | 杭州海康威视数字技术股份有限公司 | 应用于模型转换的管理方法、系统、装置及电子设备 |
| KR20220104531A (ko) | 2021-01-18 | 2022-07-26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평균 계층과 손실함수를 이용한 딥러닝 네트워크 기반의 깊이 추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
| US11823402B2 (en) | 2021-05-03 | 2023-11-21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error in depth information estimated from 2D image |
| KR102827059B1 (ko) * | 2022-12-22 | 2025-06-30 | 한국전자기술연구원 | 깊이 영상 기반의 음함수 학습을 통한 단안 영상 기반의 3차원 휴먼 객체 복원 장치 및 방법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2008657A (ja) * | 2010-06-22 | 2012-01-12 | Toshiba Corp | 物体形状生成装置及び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120287249A1 (en) | 2011-05-12 | 2012-11-15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Method for obtaining depth information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
| KR20120127323A (ko) | 2011-05-12 | 2012-11-21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깊이 정보 획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장치 |
| KR20130030117A (ko) * | 2011-09-16 | 2013-03-26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실시간 캐릭터 애니메이션에서의 발 미끄러짐 제거를 위한 캐릭터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
| KR101605224B1 (ko) | 2011-10-05 | 2016-03-22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패턴 광을 이용한 깊이 정보 획득 장치 및 방법 |
| US9142025B2 (en) | 2011-10-05 | 2015-09-22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Method and apparatus for obtaining depth information using optical pattern |
| EP2808760B1 (en) * | 2013-05-29 | 2023-08-16 | Dassault Systèmes | Body posture tracking |
| US9025863B2 (en) * | 2013-06-27 | 2015-05-05 | Intel Corporation | Depth camera system with machine learning for recognition of patches within a structured light pattern |
| KR102106135B1 (ko) | 2013-10-01 | 2020-05-04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행동 인식 기반의 응용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
| US10452992B2 (en) * | 2014-06-30 | 2019-10-22 | Amazon Technologies, Inc. | Interactive interfaces for machine learning model evaluations |
| US10339465B2 (en) * | 2014-06-30 | 2019-07-02 | Amazon Technologies, Inc. | Optimized decision tree based models |
| KR101808840B1 (ko) * | 2015-09-04 | 2017-12-13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학습 기반 깊이 정보 추출 방법 및 장치 |
| KR101876419B1 (ko) * | 2016-01-07 | 2018-07-10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프로젝션 기반 증강현실 제공장치 및 그 방법 |
| US10169922B2 (en) * | 2016-02-16 | 2019-01-01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Reality mixer for mixed reality |
-
2015
- 2015-09-04 KR KR1020150125759A patent/KR101808840B1/ko active Active
-
2016
- 2016-09-02 US US15/256,447 patent/US10043285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2012008657A (ja) * | 2010-06-22 | 2012-01-12 | Toshiba Corp | 物体形状生成装置及び方法 |
Non-Patent Citations (1)
| Title |
|---|
| 논문:한국정보과학회*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19168264A1 (ko) * | 2018-02-27 | 2019-09-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US11657520B2 (en) | 2018-02-27 | 2023-05-2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US20170069094A1 (en) | 2017-03-09 |
| KR20170028749A (ko) | 2017-03-14 |
| US10043285B2 (en) | 2018-08-07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808840B1 (ko) | 학습 기반 깊이 정보 추출 방법 및 장치 | |
| KR102126724B1 (ko) |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를 복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
| CN111060101B (zh) | 视觉辅助的距离slam方法及装置、机器人 | |
| KR102459853B1 (ko) | 디스패리티 추정 장치 및 방법 | |
| KR20220042313A (ko) |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 라벨링 방법, 장치, 전자 기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 |
| CN108764187A (zh) | 提取车道线的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以及采集实体 | |
| KR102476016B1 (ko) | 안구 위치 정보 확정 방법 및 장치 | |
| KR20130066438A (ko) | 영상 처리 장치 및 영상 처리 방법 | |
| KR20210056149A (ko) | 깊이 영상 생성 방법 및 깊이 영상 생성 장치 | |
| KR20130101942A (ko) | 자세 인식 방법 및 장치 | |
| JP7133971B2 (ja) | 3次元モデル生成装置及び3次元モデル生成方法 | |
| KR20180097915A (ko) | 개인 맞춤형 3차원 얼굴 모델 생성 방법 및 그 장치 | |
| US11580784B2 (en) | Model learning device, model learn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 |
| CN117312992B (zh) | 多视角人脸特征与音频特征融合的情绪识别方法及系统 | |
| US11182951B2 (en) | 3D object modeling using scale parameters and estimated distance | |
| KR20220082260A (ko) | 3차원 콘텐츠를 렌더링하기 위한 단말 및 그 동작 방법 | |
| KR102641108B1 (ko) | 깊이맵 완성 장치 및 방법 | |
| KR102068489B1 (ko) | 3차원 객체 생성 장치 | |
| KR102660084B1 (ko) | 3d 객체 탐지 장치 및 방법 | |
| JP2009301242A (ja) | 頭部候補抽出方法、頭部候補抽出装置、頭部候補抽出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 |
| KR102067423B1 (ko) | 지피유 가속 컴퓨팅을 이용한 3차원 복원 클라우드 포인트 생성 방법 | |
| US20250095285A1 (en) | Generation of a dense point cloud of a physical object | |
| KR100917755B1 (ko) | 가상 객체의 물리적 특성 변경 장치 및 방법 | |
| KR102325121B1 (ko) | 맵 정보과 영상 매칭을 통한 실시간 로봇 위치 예측 방법 및 로봇 | |
| JP2023107676A (ja)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04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8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509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7083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0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206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2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12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1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