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0941B1 - Scooter with steering means - Google Patents
Scooter with steering mean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00941B1 KR101800941B1 KR1020150172006A KR20150172006A KR101800941B1 KR 101800941 B1 KR101800941 B1 KR 101800941B1 KR 1020150172006 A KR1020150172006 A KR 1020150172006A KR 20150172006 A KR20150172006 A KR 20150172006A KR 101800941 B1 KR101800941 B1 KR 1018009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eering
- shaft
- front wheel
- wheel
- hole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7/00—Cy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62K5/05—Tricycles characterised by a single rear whee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8—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with steering devices acting on two or more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틸팅(tilting, 기울임)에 의하여 방향전환(steering, 조향)을 달성하는 킥스쿠터와 관련한다. 이러한 킥스쿠터는 보통 전륜부, 보드부 및 후륜부로 구성되며, 킥보드라고도 불리운다.
사용자는 상기 전륜부의 상단에 구비된 조향 핸들을 파지해서 방향조정 및 균형을 유지하고, 한 쪽 발을 상기 보드부에 얹고 다른 쪽 발로 지면을 박치고 구르면서 진행한다.
상기 킥스쿠터는 아동들에게 이동수단은 물론, 운동 및 놀이기구로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ick scooter that achieves steering by tilting. These kick scooters usually consist of a front wheel, a board and a rear wheel, also called a kickboard.
The user grasps the steering wheel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front wheel part to maintain the direction adjustment and balance, and puts one foot on the board part, and paces the ground with the other foot and rolls.
The kick scooter is used not only as a means of movement but also as a sport and a playground for children.
Description
본 발명은 킥보드 즉, 킥스쿠터(Kickscooter)와 관련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킥스쿠터는 전륜부, 보드부 및 후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kickboard, that is, a kick scooter (Kickscooter). Generally, the kick scooter includes a front wheel, a board, and a rear wheel.
사용자는 상기 전륜부의 상단에 구비된 조향 핸들을 손으로 파지한 채로 방향조정 및 균형을 유지하고, 한 쪽 발을 상기 보드부에 얹고 다른 쪽 발로 지면을 구르면서 앞으로 나아가는 추진력을 얻는다.The user holds the steering wheel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front wheel part with his / her hands and adjusts and balances the steering wheel. The driving force is obtained by putting one foot on the board and rolling the ground with the other foot.
상기 킥스쿠터는 아동들에게 운동 및 놀이기구로 이용되고 있으며, 근거리를 이동하는 수단으로도 활용되고 있다.The kick scooter is used as a movement and a playground for children, and is also used as a means of moving near.
일반적으로 킥스쿠터는, 전륜부; 보드부; 및 후륜부;로 이루어져 제공되고 있다.Generally, a kick scooter includes a front wheel part; Board part; And a rear wheel portion.
그런데 중심유지의 용이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후륜부에 있어서, 후륜이 2개의 복륜으로 구비되어 각각 상기 보드부의 좌,우측에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병렬 배치되는 구성이 제공되고 있다. 이는, 사용자가 어린 아동이거나 초보자들인 경우에 유용한 구조이다.In order to increase the easiness of centering, a configuration is provided in which the rear wheels of the rear wheel are provided with two rear wheels and are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with a distance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oard. This is a useful structure when the user is a young child or a beginner.
하지만, 복수로 배치된 좌우 후륜이 상당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있어서, 추진력을 얻기 위해 발로 지면을 박차기 위한 동작을 수행시에, 상기 후륜 등에 발이 걸려 안전사고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However, since the left and right rear wheels arranged in plural are spaced apart by a considerable distance,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 safety accident may be caused when the foot is tilted to get a thrust to the rear wheel.
또한, 상기 종래 킥스쿠터의 구조는 킥스쿠터를 좌우로 기울이는 동작 즉, 틸팅 동작을 수행하기에 용이하지 않다.Further, the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kick scooter is not easy to tilt the kick scooter to the left or right, i.e., to perform the tilting operation.
한편,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도 1 내지 도 4에 예시된 조향수단을 구비하는 킥스쿠터가 또한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kick scooter having the steering means illustrated in FIGS. 1 to 4 is also provided.
본 발명의 킥스쿠터는,In the kick scooter of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가 킥스쿠터의 추진력을 얻기 위하여 발로 지면을 박차는 동작시에 발이 후륜과 접촉할 가능성을 없애고,Thereby eliminating the possibility that the use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rear wheel during the operation of spurping the floor to kick the kick scooter to obtain the driving force,
중심 유지가 용이하도록 전륜을 좌,우 복륜 구조로 채택하면서도 좌우로 킥스쿠터를 기울이는 틸팅 동작이 가능하도록 하여서 코너를 회전하여 주행할 때 발생하는 원심력을 이겨낼 수 있도록 하고,The front wheel is used as a left and right double wheel structure so that the center can be maintained easily, and a tilting operation in which the kick scooter is tilted to the left and right can be performed, so that the centrifugal force generated when the corner is rotated,
동시에, 좌,우로 방향을 전환하는 조향 동작시에, 틸팅으로 조향 작용을 유도하여 틸팅과 방향전환 사이에 유기적인 함수관계를 만들고,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균형감각을 고도로 향상시키고자 한다.At the same time, at the time of steering operation to change the direction to left and right, steering function is induced by tilting to make an organic functional relation between tilting and direction change, and to enhance the balance sense of the user by using this.
전술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킥스쿠터는,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a kick scoo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전륜부; 보드부; 후륜부;를 포함하고,A front wheel; Board part; A rear wheel portion,
상기 전륜부는, 구름운동을 하는 전륜; 상기 전륜의 방향을 제어하는 조향수단을 포함하고,Wherein the front wheel portion includes: a front wheel that performs rolling motion; And steer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front wheel,
상기 보드부는, 사용자가 발을 얹는 발판; 상기 발판의 전방에 상기 전륜부가 구성되는 전방지그; 상기 발판의 후방에 상기 후륜부가 구성되는 후방지그를 포함하고,The board unit includes: a footrest on which a user puts his / her foot; A front jig in which the front wheel part is formed in front of the foot plate; And a rear jig that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foot plate,
상기 후륜부는 구름운동을 하는 후륜을 포함하되,The rear wheel portion includes a rear wheel that performs rolling motion,
상기 전륜은, 한 쌍이 상기 보드부의 전방에 좌우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전륜 및 제2 전륜으로 이루어지고,Wherein the front wheels are composed of a first front wheel and a second front wheel arrang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distance in the front of the board portion,
상기 후륜은, 제1 후륜 및 제2 후륜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rear wheel includes a first rear wheel and a second rear wheel.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킥스쿠터를 진행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발로 지면을 박차는 동작시에, 발이 후륜과 접촉할 가능성을 최소화 할 수 있고,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possibility that the foot is in contact with the rear wheel when the user runs the kick scooter and spurs the ground,
전륜을 복륜 구조로 채택하여서 중심 유지가 용이하도록 하면서도, 좌우로 킥스쿠터를 기울이는 틸팅이 자유로워서 코너를 회전할 때의 원심력에 대항할 수 있고 이때, 상기 틸팅을 이용하여 좌,우 방향으로 조향을 취하므로 사용자의 균형감각을 향상시킬 수 있다.It is possible to tilt the kick scooter tilting left and right so as to oppose the centrifugal force when the corner is rotated, and at this tim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steer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by using the tilting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sense of balance of the user.
또한, 발로 밟아 가압하여 제동(braking)을 실시하는 풋브레이크에 있어서, 종래의 것보다 확실한 제동력을 발휘할 수 있어서 위험한 상황에 재빠르게 제동하여 대처할 수 있다.Further, in a foot brake that performs braking by stepping on the foot, a braking force that is more reliable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foot brake can be exhibited, so that the braking force can be quickly braked in a dangerous situation.
도 1은 전체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틸팅 조작으로 전륜의 방향전환을 정면에서 보인 예시도.
도 3은 방향전환을 위한 조향 동작을 부분을 예시하여 평면에서 보인 것으로서, A 조향 전의 예시도; B 조향 동작을 보인 예시도; 이다.
도 4는 A 어느 부분을 측면에서 보인 예시도; B 틸팅 및 조향의 동작을 표현하기 위하여, 선 및 원호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보인 간략도.
이하, 본 발명 킥스쿠터의 실시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분해 사시도.
도 6는 조립된 상기 도 14와 체결되는 구성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조립된 상기 도 15와 체결되는 구성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저면에서 보인 사시도.
도 9의 도 18 A는 평면도; 도 18 B는 저면도;
도 10의 도 19 A는 작동을 저면에서 보인 예시도; 도 19 B는 설명도;
도 11은 스프링을 예시한 것으로서, 도 20 A는 사시도; 도 20 B는 평면도; 도 20 C는 측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ntire structure.
Fig. 2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hange in direction of a front wheel from a front view in a tilting operation; Fig.
Fig. 3 is a view showing a steering operation for redirecting a part in a plane, showing an example before A steering; Fig. B is an example of steering operation; to be.
Figure 4 is an illustration of a portion of A taken from side; B A simplified diagram that is simplified by using lines and arcs to express tilting and steering motion.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a kick scoot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ructure to be assembled with the assembled FIG. 14; FIG.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ructure to be assembled with the assembled Fig. 15; Fig.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from the bottom.
FIG. 18A of FIG. 9 is a plan view; FIG. 18B is a bottom plan view;
FIG. 19A of FIG. 10 is an exemplary view of the operation as viewed from the bottom; FIG. 19B is an explanatory view;
Fig. 11 illustrates a spring. Fig. 20A is a perspective view. Fig. 20B is a plan view; 20C is a side view;
일반적으로 전륜부를 좌우로 틸팅하여 조향하는 킥스쿠터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예시와 같이, 전륜부(100), 보드부(200) 및 후륜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Generally, a kick scooter that tilts and steers the front wheel portion to the left and right comprises a
상기 전륜부(100)는 구름운동을 하는 전륜(wf : wf1, wf2) 및 상기 전륜의 방향을 제어하는 조향수단을 포함하고,The
상기 보드부(200)는 발판(220)을 중심으로 그 전방에 전방지그(210), 그 후방에 후방지그(230)를 포함한다. 상기 발판(220)에 사용자가 발을 얹고, 상기 전방지그(210)에는 상기 전륜부(100)가 구성되며,The
상기 후륜부(300)는 구름운동을 하는 후륜(wr)을 포함하며 상기 후방지그(230)에 구성된다. 이때, 상기 후방지그(230)에는 상기 후륜(wr)을 제동(braking) 시키기 위한 풋브레이크(231)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킥스쿠터의 구성을 그 바탕으로 한다.
The
한편 전술된 킥스쿠터의 구성은 다음과 같이 더욱 구체화 될 수 있는 바,On the other hand, the configuration of the kick scooter described above can be further specified as follows,
상기 전륜(wf)은, 한 쌍이 상기 보드부(200)의 전방에 좌우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전륜(wf1) 및 제2 전륜(wf2)으로 이루어진다.The front wheels wf are composed of a first front wheel wf1 and a second front wheel wf2 which are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ront of the
상기 전륜(wf)의 방향을 전환하는 수단으로, 스케이트보드의 트럭(truck) 구조와 같이 기울임 틸팅(tilting)이 되는 곳으로 방향이 전환되는 캐스터(caster) 수단 및 자동차의 전륜을 조향(방향전환, steering)하기 위한 4절 링케이지(linkage)의 수단을 조합하여 이용한다.A means for switching the direction of the front wheel wf includes a caster means for switching the direction to a place tilted tilting like a truck structure of a skateboard and a caster means for steering , and a four-ring linkage for steering.
이를 효과적으로 조합하고 조작하기 위하여,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처럼, 보드부(200)의 전방 상부에 핸들스트럿(120)의 하단을 고정하여 핸들스트럿(120)을 입설하고(세워서 설치하고), 상기 핸들스트럿(120)의 상단에 핸들(110)을 부착하여, 도 2의 예시처럼, 사용자가 상기 핸들스트럿(120)을 좌우 어느 한 쪽으로 기울여서 보드부(200)를 옆으로 틸팅(b1)시킬 수 있도록 한다.1 and 2, the lower end of the
전술된 구성을 취하는 킥스쿠터는 상기 틸팅(b1)을 유기적으로 전륜에 전달하여 조향하는 것이며. 전통적인 킥스쿠터나 자전거처럼 핸들(110)을 좌우로 돌려서 핸들스트럿(120)을 회전시켜 조향하는 것이 아닌 것이다. 도 2 내지 도 4의 예시와 함께 그 조향원리를 살펴보면,The kick scooter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is configured to organically transmit the tilting b1 to the front wheels to steer it. It does not steer the
도 4 B의 예시는, 전륜부(100) 각 구성요소간의 상호작용을 나타내기 위하여 구성요소를 간략한 기호화로 표시하여 보인 것이며 특히, 정면에서 도시한 도 2의 예시에 비하여, 조향캐스터경사각(a1)을 나타내기 위하여 살짝 옆으로 비껴서 보인 모습을 표현한 것이다.The example of FIG. 4B shows the components in simplified symbol form in order to show the interaction between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도 2, 도 3 B 및 도 4 B의 예시에서, 사용자가 핸들(110)을 파지하고 핸들스트럿(120)을 옆으로 기울여 킥스쿠터에 틸팅(b1) 동작을 가하면, 조향지지프레임(211a, 211b)이 옆으로 기울고, 이를 따라 상기 조향캐스터경사각(a1)이 주어져 형성된 조향지지축(212)도 함께 기울게 된다. 이때, 전륜(wf)과 지면(ground) 사이의 거리는 불변이므로, 상기 조향지지축(212)에 힌지결합(hinge)된 조향축부(131)가 상기 힌지결합(hinge)을 회전축으로 일정 각도 회전(spin)하게 된다. 상기 회전(spin)에 의하여 좌,우 양 전륜(wf1, wf2)은 방향을 전환하여 조향(b2) 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것은 캐스터 작용의 일종인 것이다.2, 3B, and 4B, when the user grasps the
상기 힌지결합(hinge)의 예시를 도 3 B에 나타내었는 바, 회전축(shaft)을 중심으로 베어링(bearing)을 상기 조향지지축(212)과 상기 조향축부(131) 사이에 개재하여서 수직방향의 하중을 버티고 회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좌,우 전륜(wf1, wf2)은 4곳의 힌지결합(hinge)으로 상호 구속되어 있으므로, 상기 좌우 전륜(wf1, wf2)이 서로 동기화되어 조향동작을 취하는 것이다.An example of the hinge hinge is shown in FIG. 3B. A bearing is interposed between the steering
그리고 상기 조향동작시에, 도 3 B처럼, 조향레버(130)가 옆으로 이동(c2)하는데 이에 따라, 상기 조향축부(131)가 방향 전환(c1)을 하게 되어 프런트휠의 조향동작이 이루어진다.3B, the steering
도 3 및 도 4 A의 예시처럼 상기 조향레버(130) 후방으로는 틸팅복원스프링(spring)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도 4 B 및 도 3 B의 상태가 된 후에, 상기 틸팅복원스프링(spring)이 상기 조향레버(130)에 탄성 복원력을 가하여서 다시, 도 4 A의 상태로 탄성 복귀시킬 수 있는 것이다.
As shown in FIGS. 3 and 4A, since a tilting restoration spring i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다음은 도 5 이하에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 킥스쿠터의 실시례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Next, an embodiment of the kick scoo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ttached to FIG. 5 and the followings.
본 발명 실시례의 킥스쿠터는, 도 5 및 도 9에 도시된 바에서, 구름운동을 하는 좌우 전륜(wf : wfa, wfb)의 방향을 제어하는 조향수단(300) 및 상기 조향수단에 결합하는 전륜부(100)와; 전단에 상기 전륜부(100) 및 상기 조향수단(300)을 결합시키도록 조향수단고정홈(220h)이 형성된 보드부(200)와; 복륜 또는 하나의 외륜으로 구비되는 후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술한 바에서 도시가 생략된 부분은 도 1 이하의 다른 도면의 도시를 참조한다.
5 and 9, the kick scoo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steering means 300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s of left and right front wheels wf: wfa, wfb for rolling motion, A front wheel part (100); A
도 7에서, 상기 조향수단(300)의 상단에는 핸들스트럿고정축(310)이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배치되고, 상기 핸들스트럿고정축(310)은 상기 전륜부(100)의 핸들스트럿(120) 하단에 끼움 고정된다.
A handle
상기 조향수단(300)은 완전하게 독립된 하나의 유니트로 구성되어 제공된다. 이에 따라,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보드부(200)에 단 한번의 끼움 작업으로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현장에서 대량생산에 유리하고, 사용 중에 부품의 수리 교환이 신속하고 능률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The steering means 300 is provided as a completely independent unit. Accordingly, as shown in FIG. 6, the
이를 위하여, 상기 보드부(200)의 전단 가운데에 상기 보드부(200)의 길이방향으로 조향수단고정홈(220h)을 형성한 후, 상기 조향수단(300)의 조향수단고정축(320)을 삽입하여 고정 결합한다. 이때, 상기 조향수단고정홈(220h)의 내주변은 상기 조향수단고정축(320)의 외주변에 대응하도록 형성하여야 할 것이다. 도면의 예시에서 상기 조향수단고정축(320)은 횡단면이 원형인 파이프 또는 봉 형상을 취하고 있다. 상기 끼움 후에는 통상적인 방법의 나사 조임 등으로 고정할 수 있다.
For this purpose, after the steering means fixing
그리고 상기 보드부(200)의 전단 형상은, 상기 조향수단(300)의 분기축(330 : 330a, 330b)의 갈매기 형상에 대응하며, 스프링(360 : 360a, 360b)의 인장, 수축 작용을 방해하지 않도록 전단 좌우측에 모따기가 가하여져서, 평면에서 보아 전체적으로, V 또는 W 형상을 취한다. 상기 형상의 가운데 오목한 곳으로부터 수평으로 상기 조향수단고정홈(220h)을 형성하기 위한 구멍이 뚫리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 보드부(200) 전단의 좌우측 하단에는 좌우 스프링(360 : 360a, 360b)의 각 스프링후단(362)을 걸어서 고정하기 위한 스프링후단걸이축(h3)이 각각 구비된다. 이와 관련하여 도 7 및 도 8을 함께 참조한다.
The shape of the front end of the
상기 조향수단은, 도 5 이하의 예시처럼, 수직으로 세워진 핸들스트럿고정축(310)의 하단에 Y 형태를 취하는 Y 형상 구조물이 수평방향으로 형성, 결합된 형태를 취한다.5, a Y-shaped structure having a Y-shape is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the lower end of a vertically erected steering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핸들스트럿고정축(310) 하단으로부터 전방 좌우측으로 연장되는 갈매기, V 형상 분기축(330 : 330a, 330b)이 배치되고, 상기 핸들스트럿고정축(310)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1 형상으로 연장되는 조향수단고정축(320)이 배치되어서, 상기 분기축(330 : 330a, 330b)과 함께 전체적으로 Y 형상 구조물의 형태를 구성한다.More specifically, a seagull V-shaped branch shaft 330 (330a, 330b)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handle
상기 분기축(330 : 330a, 330b)의 좌우측 전단에는 각각 조향프레임지지축(331 : 331a, 331b)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수직방향이라 함은 설명 편의상 표현된 것이며, 정확히는 조향캐스터경사각(a1)을 주어 앞으로 경사지게 기운 방향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는, 본 발명 전체적인 설명 걸쳐서 동일하게 표현, 의미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전체적인 기재에 있어서, 상기 구성과 관련을 갖는 구성 중에서 수평방향이라 함은, 상기 수직방향에 직각이 되는 의미로서, 상기 조향캐스터경사각(a1)을 반영한 것이다.Steering frame support shafts 331 (331a, 331b) are formed in the right and left front ends of the branch shafts 330 (330a, 330b) in the vertical direction. Here, the vertical direction is expres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it means a direction in which the steering caster tilting angle a1 is inclined forward. It is to be noted that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hroughout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 the entir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rizontal direction in the configuration related to the above configuration reflects the steering caster inclination angle a1 as a meaning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direction.
더하여, 상기 조향캐스터경사각과 킥스쿠터를 좌우로 기울일 때에 발생하는 조향작용과의 관계는 전술된 설명 및 도 2 내지 도 4의 도면을 참조한다.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eer angle of the steering caster and the steering action that occurs when the kick scooter is tilted to the left and right will refer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the drawings in Figs.
이와 같은 구성의 제작상 잇점에 있어서는, 도 5 이하의 실시에서, 상기 핸들스트럿고정축(310)에 좌우측 분기축(330 : 330a, 330b)의 각 후단 및 조향수단고정축(320)의 전단을 용접하여 간단히 제공할 수 있어서 제작 방법이 단순화 될 수 있다.5, the rear ends of the left and right branch shafts 330 (330a and 330b) and the front ends of the steering means fixing
좌우측의 상기 조향프레임지지축(331 : 331a, 331b)에는 각각 좌우측 조향프레임(340 : 340a, 340b)이 수평방향으로 회전(굴절) 가능하게 힌지결합이 된다.The left and right steering frames 340 (340a, 340b) are hinged to the steering frame support shafts 331 (331a, 331b) on the left and right sides so that they can rotate (refrac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조향프레임(340 : 340a, 340b)은 정면에서 보아 ㄷ 형상을 취하고, 측면에서 보아 장방형상을 취하고, 평면에서 보아 한 변이 짧은 대략 사각형상을 취한다. 상기 조향프레임(340 : 340a, 340b)은 측평면(f1), 상평면(f2) 및 하평면(f3)을 포함하고, 상기 측평면(f1)에는 전륜(wf)이 나란하게 평행으로 배치되고, 상기 전륜(wf)을 축받이 할 전륜축(sh)이 구성된다.The steering frame 340 (340a, 340b) takes a C shape as viewed from the front, takes a rectangular shape as viewed from the side, and takes a roughly rectangular shape with one side shorter in plan view. The steering frame 340 (340a, 340b) includes a side plane f1, an upper plane f2 and a lower plane f3, and the front wheels wf are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in parallel to the side plane f1 , And a front wheel shaft (sh) for bearing the front wheel (wf) is constituted.
상기 상평면(f2) 및 상기 하평면(f3)에는, 동일 수직선상에서, 일시에 수직방향으로 천공된 구멍이 형성된다. 상기 구멍은, 상기 상평면(f3) 및 상기 하평면(f3)에 있어서, 그 전방과 후방에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2개가 형성된다. 상기 구멍을 각각 조향프레임전방축공(341)과 조향프레임후방축공(342)이라고 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전륜축(sh)은 상기 조향프레임전방축공(341)보다 뒷 쪽 후방에 배치된다.Holes perfo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same vertical line are formed on the upper plane f2 and the lower plane f3. The holes are formed on the upper plane f3 and the lower plane f3 with a distance therebetween in front of and behind the upper plane f3 and the lower plane f3. The holes are referred to as a steering frame
상기 조향프레임지지축(331 : 331a, 331b)에는 수직방향으로 천공된 구멍이 뚫리고, 상기 조향프레임지지축(331 : 331a, 331b)의 수직방향 구멍이 상기 조향프레임전방축공(341)에 맞추어 대응되게 하면서, 상기 상평면(f3) 및 상기 하평면(f3) 사이에 상기 조향프레임지지축(331 : 331a, 331b)을 끼워서 배치시킨다. 그리고 전방힌지축(h1)이 상기 조향프레임지지축(331 : 331a, 331b) 수직방향 구멍과 상기 조향프레임전방축공(341)을 일시에 꿰어서 체결하는 방법으로 힌지결합을 구성한다.
Holes perfor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formed in the steering frame support shafts 331a and 331b and vertical holes of the steering frame support shafts 331a and 331b are aligned with the steering frame
상기 분기축(330 : 330a, 330b)의 후방 아래에는 좌우로 평행하게 조향레버(350)가 이격 배치된다. 즉, 상기 조향레버(350)는 상기 핸들스트럿고정축(310)의 아래에 이격되어서 자리하게 되는 것이다.Steering levers 350 are spaced laterally parallel to the rear of the branching shafts 330 (330a, 330b). That is, the steering
그리고 상기 조향레버(350)의 좌우 양 단부에는 각각 수직방향으로 천공된 조향레버축공(351 : 351a, 351b)이 형성되어서, 상기 조향레버축공(351 : 351a, 351b)과 상기 조향프레임후방축공(342)이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힌지결합을 한다. 상기 힌지결합은 후방힌지축(h2)이 상기 조향프레임후방축공(342)과 상기 조향레버축공(351 : 351a, 351b)을 수직방향으로 동시에 꿰어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도 8의 예시와 같이, 상기 조향레버(350)의 좌우 양 단부는 상기 조향프레임(340 : 340a, 340b)의 하평면(f3)의 저부에 위치하는 것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The right and left ends of the
도 10 A 및 도 10 B에는 작동원리가 예시되어 있다. 킥스쿠터를 좌우 어느 한쪽으로 기울여 틸팅을 시키게 되면, 전륜(wf)이 틸팅이 되는 쪽으로 방향을 틀게 되는데 이때, 조향레버(350)는 반대방향으로 위치이동(move)을 한다. 이에 따라, 조향프레임에 체결된 후방힌지축(h2)과 스프링후단걸이축(h3)의 거리가 좌우 어느 한 쪽이 매우 멀어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스프링(360)도 매우 인장(x1 -> x21)된다. 한편, 다른 쪽의 스프링(360)은 압축이 되는 데 그 정도는 매우 조금 압축이 되는 수준이다.
10A and 10B illustrate the working principle. When the kick scooter is tilted by tilting the kick scooter to either side, the front wheel wf is turned in the direction of tilting. At this time, the steering
도 6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에서, 상기 스프링(360)은 인장력을 발휘할 수 있는 합성수지, 고무, 고무줄, 코일스프링 등이 부재로 제공되며, 다른 요소에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링이나 걸고리 형태를 취하는 스프링전단(361) 및 스프링후단(362)을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전단(361)은 후방힌지축(h2)에 끼워져 체결,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후단(362)은 스프링후단걸이축(h3)에 끼워져 체결, 고정된다.6 to 11, the
금속제의 인장 코일스프링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도 11의 예시와 같은 형태를 취할 수 있다.In the case of being provided in the form of a metal tension coil spring, it can take the form as shown in the example of Fig.
평면에서 보인 도 11 B에서, 상기 스프링전단(361)은 링 형태를 취하고 있고, 상기 스프링후단(362)은 V 형의 후크(걸고리) 형태를 취하고 있는 바, 제작 및 조립 작업시에 먼저, 상기 링 형태의 스프링전단(361)을 조향프레임(340 : 340a, 340b)의 상평면(f3)과 하평면 사이에 배치하고, 후방힌지축(h2)으로 조향프레임후방축공(342)과 상기 스프링전단(361)을 일시에 꿰어서 체결시킨다. 그 후에, 금속제의 코일스프링으로 제공되는 상기 스프링(360)을 조금 잡아당겨 스프링후단(362)을 상기 스프링후단걸이축(h3)에 끼워 체결시킨다. 여기에서, 상기 스프링후단(362)이 V 형태이므로 상기 스프링후단걸이축(h3)의 외주변 원주 크기에 따라 상기 V 형 쐐기형태에 끼워지는 고정위치(m1, m2)를 달리 할 수 있어서 상기 스프링(360)의 초기 텐션을 조절할 수 있다.11B, the spring
그리고 측면에서 보인 도 11 C의 예시처럼, 스프링전단(361)을 바닥으로부터 높임(hi)을 형성하면 조향프레임(340 : 340a, 340b)의 하평면(f3)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스프링(360)이 상기 하평면(f3)에 접촉하여 발생하는 간섭, 마찰의 정도를 줄일 수 있다,And the spring
100 : 전륜부 110 : 핸들 120 : 핸들스트럿 130 : 조향레버
200 : 보드부 210 : 전방지그 220 : 발판 230 : 후방지그
300 : 후륜부 310 : 후방지그100: front wheel 110: handle 120: handle strut 130: steering lever
200: board part 210: front jig 220: foot plate 230: rear jig
300: rear wheel portion 310: rear jig
Claims (2)
전륜부; 보드부; 후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륜부는, 구름운동을 하는 전륜; 상기 전륜의 방향을 제어하는 조향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보드부는, 사용자가 발을 얹는 발판; 상기 발판의 전방에 상기 전륜부가 구성되는 전방지그; 상기 발판의 후방에 상기 후륜부가 구성되는 후방지그를 포함하고,
상기 후륜부는 구름운동을 하는 후륜을 포함하고,
상기 전륜은, 한 쌍이 상기 보드부의 전방에 좌우로 거리를 두고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전륜 및 제2 전륜으로 이루어지되,
독립된 유니트로 제공되어 상기 보드부(200)에 한번의 끼움 작업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조향수단은,
핸들스트럿고정축(310)의 하단으로부터 전방 좌우측으로 연장되는 V 형상 분기축(330 : 330a, 330b)이 조향캐스터경사각(a1)을 반영하여 배치되고, 상기 핸들스트럿고정축(310)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1 형상으로 연장되는 조향수단고정축(320)이 배치되어서, 전체가 Y 형상을 취하고,
상기 분기축(330 : 330a, 330b)의 좌우측 전단에는 각각 조향프레임지지축(331 : 331a, 331b)이 형성되고,
좌우측의 상기 조향프레임지지축(331 : 331a, 331b)에는 각각 좌우측 조향프레임(340 : 340a, 340b)이 수평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결합 되고,
상기 조향프레임(340 : 340a, 340b)은
정면에서 보아 ㄷ 형상을 취하여 측평면(f1), 상평면(f2) 및 하평면(f3)을 포함하고, 상기 측평면(f1)에는 전륜(wf)이 나란하게 평행으로 배치되고 상기 전륜(wf)을 축받이 할 전륜축(sh)이 구성되고,
상기 상평면(f2) 및 상기 하평면(f3)에 수직으로 일시에 구멍이 천공되되, 전방과 후방에 거리를 두고 이격된 2개가 형성되어 각각 조향프레임전방축공(341)과 조향프레임후방축공(342)으로 제공되고, 상기 전륜축(sh)은 상기 조향프레임전방축공(341)보다 뒷 쪽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조향프레임지지축(331 : 331a, 331b)에는 수직방향으로 구멍이 천공되고, 상기 조향프레임지지축(331 : 331a, 331b)의 구멍과 상기 조향프레임전방축공(341)이 대응되도록, 상기 상평면(f3) 및 상기 하평면(f3) 사이에 상기 조향프레임지지축(331 : 331a, 331b)을 끼워 배치시키고,
전방힌지축(h1)이 상기 조향프레임지지축(331 : 331a, 331b)의 구멍과 상기 조향프레임전방축공(341)을 일시에 꿰어서 체결하는 방법으로 힌지결합을 구성하고,
상기 분기축(330 : 330a, 330b)의 후방 아래에는 좌우로 평행하게 조향레버(350)가 이격 배치되어, 상기 조향레버(350)의 좌우 양 단부는 상기 조향프레임(340 : 340a, 340b)의 하평면(f3)의 저부에 위치하고,
상기 조향레버(350)의 좌우 양 단부에는 각각 수직방향으로 천공된 조향레버축공(351 : 351a, 351b)이 형성되어서, 상기 조향레버축공(351 : 351a, 351b)과 상기 조향프레임후방축공(342)이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힌지결합을 하되, 상기 힌지결합은 후방힌지축(h2)이 상기 조향프레임후방축공(342)과 상기 조향레버축공(351 : 351a, 351b)을 수직방향으로 동시에 꿰어서 이루어지고, 좌우 스프링(360 : 360a, 360b)의 각 스프링전단(361)은 상기 후방힌지축(h2)에 끼워져 체결되고,
상기 보드부(200)에 상기 전륜부(100) 및 상기 조향수단(300)이 결합되도록,
상기 보드부(200)의 전단 가운데에 상기 보드부(200)의 길이방향으로 조향수단고정홈(220h)이 형성되되, 상기 조향수단고정홈(220h)의 내주변은 상기 조향수단고정축(320)의 외주변에 대응되게 하여, 상기 조향수단고정홈(220h)에 상기 조향수단고정축(320)을 삽입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보드부(200)의 전단 형상은,
상기 분기축(330 : 330a, 330b)의 V 형상에 대응하며, 좌우 각 스프링(360 : 360a, 360b)의 인장 및 수축 작용을 방해하지 않도록 전단 좌우측에 모따기가 가해져서, 평면에서 보아 W 형상을 취해서, 상기 형상의 가운데 오목한 곳에 상기 조향수단고정홈(220h)을 형성하기 위한 구멍이 뚫리고, 상기 보드부(200) 전단의 좌우측 하단에는 상기 좌우 스프링(360 : 360a, 360b)의 각 스프링후단(362)을 걸어서 고정하기 위한 스프링후단걸이축(h3)이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식 방향전환 킥스쿠터.In a kick scooter,
A front wheel; Board part; A rear wheel portion,
Wherein the front wheel portion includes: a front wheel that performs rolling motion; And steering mean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front wheel,
The board unit includes: a footrest on which a user puts his / her foot; A front jig in which the front wheel part is formed in front of the foot plate; And a rear jig that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foot plate,
Wherein the rear wheel portion includes a rear wheel for rolling motion,
Wherein the front wheels are composed of a first front wheel and a second front wheel, the pair of front wheels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distance in the front of the board portion,
The steering unit is provided as an independent unit and is coupled to the board unit 200 by a single fitting operation,
The V-shaped branching shafts 330a and 330b extending from the lower end of the handle strut fixing shaft 310 to the front left and right sides are arranged to reflect the steering caster inclination angle a1, A steering means fixing shaft 320 extending in one shape toward the rear is disposed, and the whole takes a Y shape,
Steering frame support shafts 331a and 331b are formed at the front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ranch shafts 330a and 330b,
Left and right steering frames 340 (340a, 340b) are hinged to the steering frame support shafts 331 (331a, 331b) on the left and right sides so as to be rotatabl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steering frame 340 (340a, 340b)
And a lower planar surface (f1), wherein the front surface (wf) is arranged in parallel to the front surface (wf) and the front surface (wf , A front wheel shaft (sh) to be supported is constituted,
Two holes spaced apart forward and rearward are formed at a time in the vertical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hase plane f2 and the lower plane f3 so as to form the steering frame forward shaft hole 341 and the steering frame rear shaft hole 342, the front wheel sh is disposed rearwardly of the steering frame front shaft hole 341 rearward,
Holes are formed in the steering frame support shafts 331a and 331b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holes of the steering frame support shafts 331a and 331b and the steering frame front shaft holes 341 correspond to each other, The steering frame support shafts 331 (331a, 331b) are interposed between the plane (f3) and the lower plane (f3)
The hinge coupling is configured by a method in which the front hinge axis h1 is engaged with the hole of the steering frame support shaft 331 (331a, 331b) and the steering frame front shaft hole 341 at a time,
The left and right ends of the steering lever 350 are spaced apart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teering shaft 340 (340a, 340b) Is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lower plane f3,
Steering lever shaft holes 351 a and 351 b formed in the right and left ends of the steering lever 350 are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steering lever shaft holes 351 a and 351 b and the steering frame rear shaft holes 342 b Wherein the hinge connection is performed such that the rear hinge shaft h2 is engaged with the steering shaft rear shaft hole 342 and the steering lever shaft holes 351 and 351a and 351b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same time The spring forward ends 361 of the left and right springs 360 (360a, 360b) are fitted and fastened to the rear hinge axis (h2)
So that the front wheel part 100 and the steering unit 300 are coupled to the board part 200,
A steering member fixing groove 220h is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oard unit 200 at the front end of the board unit 200. An inner periphery of the steering member fixing groove 220h is connected to the steering member fixing shaft 320 The steering member fixing shaft 320 is inserted into the steering member fixing groove 220h so as to be fixed to the steering member fixing groove 220h,
The shape of the front end of the board unit (200)
A chamfer is applied to the right and left ends of the front end in correspondence with the V shape of the branch shaft 330 (330a, 330b) so as to prevent the tensile and contracting action of the right and left angular springs 360 (360a, 360b) A hole for forming the steering means fixing groove 220h is formed in a concave portion of the shape and a rear end of each spring of the left and right springs 360 (360a, 360b) is formed at the lower left and right ends of the front end of the board portion 200 And a spring rear hanger shaft (h3) for fixing the spring (362)
Which is characterized by a tilting-type turning kick scooter.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72006A KR101800941B1 (en) | 2015-12-04 | 2015-12-04 | Scooter with steering mean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72006A KR101800941B1 (en) | 2015-12-04 | 2015-12-04 | Scooter with steering means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065798A KR20170065798A (en) | 2017-06-14 |
| KR101800941B1 true KR101800941B1 (en) | 2017-11-23 |
Family
ID=59218044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172006A Active KR101800941B1 (en) | 2015-12-04 | 2015-12-04 | Scooter with steering mean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800941B1 (en)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943309B1 (en) * | 2017-12-31 | 2019-01-29 | (주)다이나필 | Tilting Vehicle Adopting Balancing Mechanism |
| KR102230849B1 (en) * | 2020-11-02 | 2021-03-24 | (주)제이앤제이글로벌 | kickboard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GB2590370B (en) * | 2019-12-10 | 2024-03-20 | D Fly Group Ltd | Motorised scooter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22768Y1 (en) | 2000-11-13 | 2001-05-15 | 임철왕 | Scooter for a children |
| KR200282316Y1 (en) | 2002-04-12 | 2002-07-19 | 편성환 | Handle direction of kick board |
-
2015
- 2015-12-04 KR KR1020150172006A patent/KR10180094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0222768Y1 (en) | 2000-11-13 | 2001-05-15 | 임철왕 | Scooter for a children |
| KR200282316Y1 (en) | 2002-04-12 | 2002-07-19 | 편성환 | Handle direction of kick board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1943309B1 (en) * | 2017-12-31 | 2019-01-29 | (주)다이나필 | Tilting Vehicle Adopting Balancing Mechanism |
| KR102230849B1 (en) * | 2020-11-02 | 2021-03-24 | (주)제이앤제이글로벌 | kickboard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065798A (en) | 2017-06-14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12337929B2 (en) | Kit of scooter and scooter | |
| US8505935B2 (en) | Tricycle kick board | |
| JP5449538B2 (en) | Skateboard with great freedom of movement of front dolly assembly | |
| KR101800941B1 (en) | Scooter with steering means | |
| US9527546B2 (en) | Vehicle having positional control function | |
| JP6912525B2 (en) | Shock absorber | |
| US11059538B1 (en) | Electric kick scooter | |
| US20150239292A1 (en) | Recreational vehicle | |
| US20140117641A1 (en) | Kick scooter | |
| WO2009078634A2 (en) | Kicktricycle | |
| US20150274237A1 (en) | Steering device of scooter and a scooter | |
| TWI503249B (en) | Bicycle kickstand | |
| US20160304149A1 (en) | Tricycle with two riding modes | |
| US20150232144A1 (en) | Folding bicycle | |
| WO2025075688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 skateboard truck | |
| KR20160103472A (en) | Scooter with steering means | |
| KR200493488Y1 (en) | Front shock absorber for traveling board | |
| KR20150124568A (en) | Tri-Circle Kick Scooters | |
| CN114644074B (en) | Scooter steering structure and scooter | |
| KR20120013809A (en) | Inline Board Roll Key | |
| KR20190140201A (en) | Standing up type movable means | |
| KR200380850Y1 (en) | tricycle | |
| US20160236066A1 (en) | Foot-deck-based vehicle with increased potential energy for ollie-type manoeuvres | |
| KR100687537B1 (en) | Wheel Installation Structure of Steering System | |
| KR20110010650U (en) | Handleless bik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4111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K11-X000 | Ip right revival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1-oth-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41118 |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3-oth-PR0401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