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02799B1 - Open Set Intercom Headset - Google Patents

Open Set Intercom Headse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2799B1
KR101802799B1 KR1020160183531A KR20160183531A KR101802799B1 KR 101802799 B1 KR101802799 B1 KR 101802799B1 KR 1020160183531 A KR1020160183531 A KR 1020160183531A KR 20160183531 A KR20160183531 A KR 20160183531A KR 101802799 B1 KR101802799 B1 KR 101802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bone conduction
additional
wire frame
soun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35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준호
이재준
홍민기
홍영균
Original Assignee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835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279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2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2799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58Manufacture or assembly
    • H04R1/1066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interconnection between earpiece and earpiece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10Earpieces; Attachments therefor ; Earphones; Monophonic headphones
    • H04R1/1025Accumulators or arrangements for char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상 청력기관을 이용한 대화를 유지하면서 근무자의 상태에 따라 소음이 발생하는 곳에서 대화를 하는 경우 주변 소음을 인지하면서 어음변별력을 최대한 높이기 위한 골전도 이어폰과 마이크로폰을 이용한 개방형 양방향 음성전달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착용자의 후두부를 감싸는 와이어 프레임과, 와이어 프레임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각 현장에 필요한 추가적인 디바이스를 착탈식으로 부가할 수 있는 디바이스 부가 유닛과, 와이어 프레임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각 현장에서 필요한 주파수 영역대의 음역을 증폭시키는 인터페이스 제어시스템을 갖춘 양방향 통신 유닛과, 디바이스 부가 유닛과 양방향 통신 유닛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소리를 직접 듣는 한 쌍의 골전도 이어폰 유닛과, 디바이스 부가 유닛 측 또는 양방향 통신 유닛 측에서 연장 설치되어 목에 있는 성대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인식하여 음으로 변환하여 주는 골전도 마이크로폰 유닛과, 와이어 프레임의 중간에 구비되어 후두부에 밀착하는 후두부 밀착 패드를 포함하며, 후두부 밀착 패드에는 제1리코일부에 의해 일정 장력을 유지하며 후두부를 보조적으로 지지하는 후두부 보조 지지 유닛이 설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헤드셋이 흘러내리지 않게 하여 착용 편의성을 높이고, 각각의 현장에서 필요한 다양한 장비를 장착할 수 있으며, 인터콤(양방향 통신)을 이용한 통신시에 추가적인 조작이 없이 골전도 마이크로폰의 위치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장비의 착탈시에도 추가적인 고정 조작을 하지 않고 쉽게 착탈할 수 있다. 즉, 추가 업그레이드 및 착용자가 필요로 하는 기능 추가시에 추가 유닛 장비를 손쉽게 장착할 수 있다. 또한, 각각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음의 변환을 인터콤에서 출력음이 나오기 전에 조절함으로써, 정상적인 고막을 통한 음의 인식이 소음으로 방해를 받을 때에 정상 어음 변별력을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pen type bidirectional voice transmission headset using a bone conduction earphone and a microphone for maximizing speech discrimination power while perceiving ambient noise when conversing at a place where noises occur according to the state of a worker while maintaining conversation using a normal hearing organ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 feeding device that includes a wire frame surrounding a wearer's head, a device attachment unit provided at one end of the wire frame to attach and detachably attach additional devices necessary for each field, A bi-directional communication unit having an interface control system for amplifying a frequency range band, a pair of bone conduction earphone units respectively installed at the ends of the device attachment unit and th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unit for directly listening to sound, A bone conduction microphone unit extending from the unit side for recognizing the vibration generated in the vocal cords in the neck and converting the vibrations into sound, and a back-occlusion contact pad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wire frame to closely contact the occiput, A certain tension by the first Ricoh part And an occipital auxiliary support unit for supporting the occipital area is instal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nhance the wearing convenience by preventing the headset from flowing down, to mount various necessary equipments in each field, to facilitate the position of the bone conduction microphone without any additional operation in the communication using the intercom And it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without additional fixing operation even when attaching / detaching additional equipment. This means that additional units can easily be equipped with additional upgrades and additional functions required by the weare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discriminative power of the normal speech when the recognition of the sound through the normal eardrum is disturbed by the noise by adjusting the sound conversion required in the industrial field before the output sound is output from the intercom.

Description

개방형 양방향 음성전달 헤드셋{Open Set Intercom Headset}Open-ended Intercom Headset {Open Set Intercom Headset}

본 발명은 개방향 양방향 음성전달 헤드셋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상 청력기관을 이용한 대화를 유지하면서 근무자의 상태에 따라 소음이 발생하는 곳에서 대화를 하는 경우 주변 소음을 인지하면서 어음변별력을 최대한 높이기 위한 골전도 이어폰과 마이크로폰을 이용한 개방형 양방향 음성전달 헤드셋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mni-directional two-way voice communication headset,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mnidirectional two-way voice communication headset capable of maintaining a dialogue using a normal hearing organ,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pen two-way voice communication headset using a bone conduction earphone and a microphone.

일반적인 유무선 통신 분야에서 양방향 통신(음성전달)을 수행하기 위해, 음성신호가 수신되는 수화기와 음성신호가 입력되는 송화기가 각각 구비되는 송수화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수화기로는 스피커 또는 이어폰 등이 있고, 송화기로는 마이크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이러한 송화기와 수화기는 헤드셋(headset)에 통합되어 이용됨으로써, 사용자가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In order to perform bidirectional communication (voice transmission) in general wired and wireless communication fields, a handset in which a handset for receiving a voice signal and a handset for inputting a voice signal are respectively widely used. Such a receiver may be a speaker or an earphone, and a microphone may be a transmitter. In particular, such a tuner and a telephone receiver are integrated into a headset, so that a user can freely use his or her hands.

그러나 이러한 헤드셋의 문제점은 송화기가 사용자 주위의 주변 소음(ambient noise)도 함께 상대방에게 송신하는 문제가 있고, 또한 송화기와 수화기가 분리됨으로 인하여 헤드셋의 무게 및 부피가 커져서 휴대 및 이용이 불편한 점도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However, the problem of such a headset is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transmitter also transmits ambient noise around the user to the other party, and the weight and volume of the headset are increased due to separation of the transmitter and receiver, It is pointed out.

이처럼 송화기와 수화기가 분리된 헤드셋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사용자의 음성이 입에서 포착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이도(ear canal) 내의 골전도(bone conduction)를 통하여 포착되는 골전도 마이크 또는 스피커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골전도 장치는 헤드셋에 비해 무게 및 부피가 적어서 이용이 편리하고, 골전도를 통하여 수신된 음성신호가 주변 소음을 어느 정도 억제하는 효과도 있다. As an alternative to the disadvantage of a headset with a separate handset and handset, a user's voice is not picked up from the mouth, but rather a bone conduction microphone or speaker picked up through bone conduction in the user's ear canal Has been developed and used. Such a bone conduction device has a smaller weight and volume than a headset, so that it is convenient to use, and the voice signal received through the bone conduction suppresses the ambient noise to some extent.

한편, 수술실 근무자(clinician in operating room), 교통경찰(traffic police), 군사 매복 작전의 전쟁시 척후병(scout) 등과 같이, 양방향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주변의 불필요한 소음을 걸러내어 선명한 음성만을 상대방에게 송신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주변의 인기척이나 옆 사람의 말소리 등과 같은 가청 주파수 대역의 소리를 들을 수 있게 구성되는 것 또한 중요하다. 즉, 주변의 소음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송화음성신호에 대해서는 주변 소음이 완전히 제거된 상태로 송신하지만, 그러한 주변 소음 중에서도 송신자에게 필요한 소리는 송신자가 청취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이 필요하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bidirectional communication such as a clinician in operating room, a traffic police, and a war scout in a military ambush operation, unnecessary noise is filtered out to the surrounding party, It is also important to be able to transmit, but it is also important to be configured to be able to listen to the audible frequency bands such as the surrounding popularity or the voice of a neighbor. That is, the surrounding noise is not completely removed, but the transmitted voice signal is transmitted in a state in which the ambient noise is completely removed. However, among the surrounding noises, a configuration is required so that the sender can listen to the sound necessary for the sender.

소음환경에서 근무를 시행하는 경우는 여러 산업 분야에서 예를 들 수 있다. 현재까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장치로는 소음으로부터 청각 기능을 보호하는 장치에 중심되어 왔다. 귀마개(ear plug or ear muff)를 통해 소음환경으로 인한 소음성 난청을 예방하는 장치가 주로 사용되며, 이러한 근무환경 소음 문제는, 환경부에서 제시하는 소음 규제 기준과 산업재해 기준을 통해 관리되고 있다. 하지만, 근무환경 및 일상생활에서 소음이 있는 곳에서 외부 소리를 차단하는 장치를 착용하면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특수 조건들이 있다. 외부에서 작은 소리지만 경고음이 발생되었을 때, 경고음을 필수적으로 들어야 하며, 이러한 경고음이 근무 및 생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상기한 바와 같은 수술실, 군대에서의 순찰 (DMZ에서 초병 순찰), 그리고, 교통 순찰/경호 등이다.The practice of working in a noisy environment is an example in many industrial sectors. Until now, devices that address this problem have been centered on devices that protect auditory functions from noise. Devices that prevent noise-induced hearing loss due to noise environment are mainly used through ear plugs or ear muffs. These work environment noise problems are managed through noise regulation standards and industrial disaster standards provid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However, there are special conditions that can cause problems when wearing a device that blocks external sounds in a place where there is noise in the working environment and everyday life. When a small noise is heard from the outside, a warning sound must be heard, and such a warning sound plays a very important role in working and living. For example, patrols in the operating room, army (DMZ patrol) and traffic patrol / guard as described above.

소음환경에서 대화를 할 시에 허용되는 음의 크기에 관한 연구는, Ahn HJ, Bahng J, Lee JH. Measurement of Acceptable Noise Level with Background Music. J Audiol Otol. 2015 Sep;19(2):79-84에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단일 유닛 구조를 이용하여 양방향 통신이 가능하고, 주변의 환경 소음을 차단할 수 있으며, 특히 주변의 환경 중에서도 가청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필터링하여 들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주변 소음이 차단된 음성 통신이 가능하고, 동시에 음성 통신 도중에도 주변에서 발생하는 가청 가능한 소리를 청취할 수 있게 하는 주변 소음 차단이 가능한 양방향 통신장치 및 이를 이용한 근거리 무선 통신 시스템이 한국공개특허 제2011-0034253호로 개시되어 있다.Ahn HJ, Bahng J, Lee JH. A study on the permissible size of sound in conversation in a noisy environment. Measurement of Acceptable Noise Level with Background Music. J Audiol Otol. 2015 Sep; 19 (2): 79-84.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bidirectional communication using a single unit structure, to block environmental noises around the surroundings, and particularly to configure a configuration in which signals of an audible frequency band are filtered out in a surrounding environment, A bidirectional communication device capable of blocking ambient noise that allows audible sounds generated in the surroundings to be heard even during voice communication and a local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the same are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1-0034253.

한국공개특허 제2011-0034253호는 주변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입력받아서 주변 소음신호로 생성하는 소음감지부와, 수화 음성신호를 전송 받아서 고막을 진동시키는 수화음을 출력하고 송화음에 따른 고막의 진동, 수화음 및 주변 소음에 따른 진동신호를 입력받아서 발신신호로 생성하는 음성감지부와, 무선 통신기로부터 수화 음성신호를 수신하여 음성감지부로 전송하고 소음감지부의 주변 소음신호 및 음성감지부의 발신신호를 수신하여 발신신호에서 수화 음성신호와 주변 소음신호를 제거한 송화 음성신호를 생성하여 무선 통신기에 전송하는 신호처리부를 포함하는 주변 소음 차단이 가능한 양방향 통신장치에 관한 것이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1-0034253 discloses an ultrasonic diagnostic apparatus that includes a noise detection unit for receiving noise generated in the surroundings and generating an ambient noise signal, an output unit for receiving a hydration voice signal to output a hydration sound for vibrating the eardrum, A voice recognition unit for receiving a voicing signal according to a harmonized tone and surrounding noise to generate a voiced signal as a calling signal; a receiving unit for receiving a voiced voice signal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ransmitting the voiced voice signal to the voice sensing unit; And a signal processing unit for generating a transmitted voice signal by receiving and removing a sign language voice signal and an ambient noise signal from the origination signal and transmitting the voice signal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2009-0033564호는 다중 채널 헤드셋으로서, 다중 채널 오디어 신호를 입력받는 오디어 신호 인터페이스부와 다중 채널 헤드셋의 사용자의 후두부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제1골전도 스피커 쌍을 포함하는 구성을 개시하고 있고, 일본등록특허 제3532537호는 후두부로 도는 밴드와 밴드의 양단에 형성되는 괘지부와 골전도 스피커의 상방에 연장되고 귀에 걸리는 이괘부로 구성되는 것을 개시하고 있다.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9-0033564 discloses a multi-channel headset including an audio signal interface unit receiving a multi-channel audio signal and a first pair of bone conduction speakers arranged corresponding to a back of the user of the multi-channel headset Japanese Patent Registration No. 3532537 discloses a configuration comprising a band portion formed at both ends of a band and a band which become the back of the head, and a ring portion extending above the bone conduction speaker and hooked to the ear.

수술실에서 사용하는 여러 수술보조장치를 착용하는 헤드셋은 그 기능의 착용성과 편리성을 중심으로 발전되어 왔으며, 다른 산업현장에서도 그 작업환경에 맞추어 헤드셋이 개발되어 왔다. 최근 여러 장비기술의 발달로 인해, 여러 장비들이 각 산업분야에 적용사례가 늘고 있으며, 이에 부합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헤드셋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A headset wearing various surgical aids for use in the operating room has been developed around its wearing convenience and convenience, and headsets have been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working environment in other industrial fields. Recently, due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equipment technologies, various equipments have been applied to various industrial fields, and it is required to develop a new type of headset to meet this demand.

한국공개특허 제2011-0034253호(공개일:2011.04.05.)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1-0034253 (Published on April 05, 2011.)

한국공개특허 제2009-0033564호(공개일:2009.04.06.)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09-0033564 (published on April 4, 2009).

일본등록특허 제3532537호(등록일:2004.03.12.)Japanese Patent No. 3532537 (Registered on March 12, 2004)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새로운 형태의 헤드셋 개발 요구에 따라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양방향 무선통신을 행하면서 외부의 미세한 경고음을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으며 착용하기가 편리하며 여러 산업현장에서 안전성을 높이고 추가적인 디바이스를 손쉽게 부착할 수 있고 안정적인 지지 구조체의 역할을 하는 개방형 양방향 음성전달 헤드셋을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need for developing a new type of headse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eadset which can accurately recognize an external fine sound while performing bidirectional wireless communication, And to provide an open two-way voice transmission headset which can easily attach additional devices and serves as a stable support structur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상 청력기관을 이용한 대화를 유지하면서 근무자의 상태에 따라 소음이 발생하는 곳에서 대화를 하는 경우 주변 소음을 인지하면서 어음변별력을 최대한 높이기 위한 골전도 이어폰과 마이크로폰을 이용한 개방형 양방향 음성전달 헤드셋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one conduction earphone for maximizing speech discrimination ability while perceiving ambient noise when conversing at a place where noise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state of a worker while maintaining conversation using a normal hearing organ, And a voice transmission headse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개방형 양방향 음성전달 헤드셋은 착용자의 후두부를 감싸는 와이어 프레임과, 와이어 프레임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각 현장에 필요한 추가적인 디바이스를 착탈식으로 부가할 수 있는 디바이스 부가 유닛과, 와이어 프레임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각 현장에서 필요한 주파수 영역대의 음역을 증폭시키는 인터페이스 제어시스템을 갖춘 양방향 통신 유닛과, 디바이스 부가 유닛과 양방향 통신 유닛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소리를 직접 듣는 한쌍의 골전도 이어폰 유닛과, 디바이스 부가 유닛 측 또는 양방향 통신 유닛 측에서 연장 설치되어 목에 있는 성대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인식하여 음으로 변환하여 주는 골전도 마이크로폰 유닛과, 와이어 프레임의 중간에 구비되어 후두부에 밀착하는 후두부 밀착 패드를 포함하며, 후두부 밀착 패드에는 제1리코일부에 의해 일정 장력을 유지하며 후두부를 보조적으로 지지하는 후두부 보조 지지 유닛이 설치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open type bidirectional voice transmission headset including a wire frame surrounding a wearer's head, a device attachment unit provided at one end of the wire frame and capable of detachably attaching additional devices necessary for each field, A bidirectional communication unit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wire frame and having an interface control system for amplifying a range of a frequency band required in each field; and a pair of bone conduction units, respectively installed at the ends of the device attachment unit and th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unit, A bone conduction microphone unit extending from the device attachment unit side or th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unit side for recognizing vibrations generated in the vocal cords in the neck and converting the vibrations into sound; Of the occiput pad It includes, and the back of the head contact pads maintain a certain tension by the first part and the occipital Rico auxiliary support unit for supporting the back of the head to the adjuvant is provided.

후두부 밀착 패드에는 보조 밧테리를 설치할 수 있는 보조 밧데리 고정부가 설치된다.The occiput pad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battery fixing part for installing the auxiliary battery.

와이어 프레임의 양단에는 착용자의 두부 크기에 따라 조절되는 제1, 제2크기조절 유닛에 의해 디바이스 부가 유닛과 양방향 통신 유닛이 연결된다. 제1크기 조절 유닛 또는 제2크기조절 유닛에는 추가 디바이스를 고정하는 고정구가 설치될 수 있으며, 고정구는 마그네트로 되어 있을 수가 있다. At both ends of the wire frame, the device adding unit and th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unit are connected by the first and second size adjusting units which are adjusted according to the wearer's head size. The first size adjustment unit or the second size adjustment unit may be provided with a fixture for fixing an additional device, and the fixture may be a magnet.

디바이스 부가 유닛은 추가 디바이스가 삽입 장착되는 간격을 두고 배치된 두 개의 장착판과, 두 개의 장착판 사이 하부에 구비되어 추가 디바이스를 고정하는 마그네트를 포함한다.The device adding unit includes two mounting plates disposed with an interval where the additional device is inserted and mounted, and a magnet provided below the two mounting plates to fix the additional device.

골전도 마이크로폰 유닛은 골전도 마이크로폰을 성대가 위치하는 갑상연골에 정확하게 위치시키기 위한 복수의 관절로 연결된 복수의 아암을 구비한다. 골전도 마이크로폰 유닛은 골전도 마이크로폰이 갑상연골에 위치될 시에 일정장력으로 그 위치를 유지하도록 제2리코일부에 의해 디바이스 부가 유닛 또는 양방향 통신 유닛에 설치된다. 골전도 마이크로 폰 유닛의 각 관절에는 보조 리코일부가 설치될 수 있다. The bone conduction microphone unit has a plurality of arms connected by a plurality of joints for accurately positioning the bone conduction microphone in the thyroid cartilage in which the vocal cords are located. The bone conduction microphone unit is installed in the device attachment unit or th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unit by the second recoil portion so that the bone conduction microphone maintains its position with a certain tension when the bone conduction microphone is placed on the thyroid cartilage. Each joint of the bone conduction microphone unit may have an auxiliary recoil portion.

본 발명에 의한 개방형 양방향 음성전달 헤드셋에 의하면, 헤드셋이 흘러내리지 않게 하여 착용 편의성을 높이고, 각각의 현장에서 필요한 다양한 장비를 장착할 수 있으며, 인터콤(양방향 통신)을 이용한 통신시에 추가적인 조작이 없이 골전도 마이크로폰의 위치를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장비의 착탈시에도 추가적인 고정 조작을 하지 않고 쉽게 착탈할 수 있다. 즉, 추가 업그레이드 및 착용자가 필요로 하는 기능 추가시에 추가 유닛 장비를 손쉽게 장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open bidirectional voice transmission heads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headset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down, thereby enhancing the wearing comfort and mounting various kinds of equipments required in each field. Further, in the communication using the intercom (bidirectional communication) The position of the bone conduction microphone can be easily fixed, and it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without additional fixing operation even when attaching / detaching the additional equipment. This means that additional units can easily be equipped with additional upgrades and additional functions required by the wearer.

또한, 각각 산업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음의 변환을 인터콤에서 출력음이 나오기 전에 조절함으로써, 정상적인 고막을 통한 음의 인식이 소음으로 방해를 받을 때에 정상 어음 변별력을 유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the discriminative power of the normal speech when the recognition of the sound through the normal eardrum is disturbed by the noise by adjusting the sound conversion required in the industrial field before the output sound is output from the interco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개방형 양방향 음성전달 헤드셋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반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디바이스 부가 유닛을 위주로 나타낸 상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양방향 통신 유닛을 위주로 나타낸 상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 골전도 마이크로폰 유닛을 위주로 나타낸 상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에서 후두부 밀착 패드 및 후두부 보조지지 유닛을 위주로 나타낸 상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후두부 밀착 패드 및 후두부 보조지지 유닛을 위주로 후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개방형 양방향 음성전달 헤드셋의 샘플 및 수술 시술자가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type bidirectional voice transmission head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een from the opposite side of Fig. 1; Fig.
Fig. 3 is a detail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device attachment unit in Fig. 1. Fig.
4 is a detail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two-way communication unit in Fig. 1.
FIG. 5 is a detail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bone conduction microphone unit in FIG. 1. FIG.
FIG. 6 is a detail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cciput contact pad and the occipital auxiliary support unit in FIG. 1; FIG.
FIG. 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ccipital side contact pad and the occipital auxiliary support unit of FIG. 6, viewed from the rear side.
8 is a photograph showing a sample of an open type bidirectional voice transmission head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tate worn by a surge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Note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compon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symbols as possible. Further, the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that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For the same reason, some of the components in the drawings are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개방형 양방향 음성전달 헤드셋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을 반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개방향 개방향 양방향 음성전달 헤드셋(100)은 와이어 프레임(110)과, 디바이스 부가 유닛(120)과, 양방향 통신 유닛(130)과, 골절도 이어폰 유닛(140)과, 골전도 마이크로폰 유닛(150)과, 후두부 밀착 패드(160)와, 후두부 보조지지 유닛(170)과, 제1, 제2크기 조절유닛(180)(180')을 포함한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pen type bidirectional voice transmission headse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from the opposite side of FIG. 1. As shown, the bi-directional bi-directional voice communication headset 100 includes a wire frame 110, a device adding unit 120, a two-way communication unit 130, a fracture earphone unit 140, A microphone unit 150, a occipital contact pad 160, a occipital auxiliary support unit 170 and first and second size adjustment units 180 and 180 '.

와이어 프레임(110)은 착용자의 후두부를 감싸는 원호상의 2개의 철제 와이어로서, 디바이스 부가 유닛(120)과 양방향 통신 유닛(130)을 연결한다. 와이어 프레임(110)의 일단부는 제1크기 조절 유닛(180)을 매개로 디바이스 부가 유닛(120)에 연결되며, 와이어 프레임(110)의 타단부는 제2크기 조절 유닛(180')을 매개로 양방향 통신 유닛(130)에 연결된다. The wire frame 110 connects the device adding unit 120 and the two-way communication unit 130 with two iron wires on an arc surrounding the back of the wearer. One end of the wire frame 110 is connected to the device adding unit 120 through the first size adjusting unit 180 and the other end of the wire frame 110 is connected to the second size adjusting unit 180 ' And is connected to the two-way communication unit 130.

디바이스 부가 유닛(120)은 제1크기 조절 유닛(180)을 매개로 와이어 프레임(110)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각 현장에 필요한 추가적인 다바이스를 착탈식으로 부가할 수 있는 유닛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바이스 부가 유닛(120)은 추가 디바이스가 삽입 장착되는 간격을 두고 배치된 두개의 장착판(121, 121')과, 두개의 장착판(121, 121') 사이 하부에 구비되어 추가 디바이스를 고정하는 마그네트(122)와, 장착판(121)와 제1크기 조절 유닛(180)을 이어주며 일측 두부에 밀착하는 일측 베이스판(123)을 구비한다. 장착판(121, 121')과 일측 베이스판(123)은 알루미늄 판재로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개의 장착판(121, 121') 사이에는 헤드 라이트나 캠 코더 등의 추가 디바이스가 설치되며, 추가 디바이스는 마그네트(122)에 의해 장착 및 착탈이 용이하고 안정적인 접착력을 유지하게 된다. The device adding unit 120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wire frame 110 via the first size adjusting unit 180, and is a unit that can add and remove additional devices necessary for each field. As shown in FIG. 3, the device adding unit 120 includes two mounting plates 121 and 121 'disposed at intervals in which additional devices are inserted and mounted, and a lower mounting plate 121 and 121' And a base plate 123 which connects the mounting plate 121 and the first size adjusting unit 180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one side of the head. The mounting plates 121 and 121 'and the one base plate 123 are preferably made of aluminum. An additional device such as a headlight or a camcorder is installed between the two mounting plates 121 and 121 ', and the additional device can be easily attached and detached by the magnet 122, and a stable adhesive force can be maintained.

양방향 통신 유닛(130)은 제2크기 조절 유닛(180')을 매개로 와이어 프레임(110)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각 현장에서 필요한 주파수 영역대의 음역을 증폭시키는 인터페이스 제어시스템을 갖춘 인터콤(intercom) 유닛이다. 양방향 통신 유닛(130)은 제2크기 조절 유닛(180)에 이어진 타측 베이스판(133)을 구비한다. 양방향 통신 유닛(130)은 각각의 산업현장이나 수술실, 교통경찰, 척후병 등에 필요로 하는 음의 변환을 출력음이 나오기 전에 조절함으로써, 정상적인 고막을 통한 음의 인식이 소음으로 방해를 받을 때, 정상 어음변별력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Th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unit 130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wire frame 110 via the second size adjustment unit 180 'so that an intercom ) Unit. Th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unit 130 includes a second base plate 133 connected to the second size adjustment unit 180. Th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unit 130 adjusts the sound conversion needed for each industrial site, operating room, traffic police, chief pilot, and the like before the output sound is output, so that when the recognition of the sound through the normal eardrum is disturbed by the noise, To be able to maintain the distinguishing power of speech.

골전도 이어폰 유닛(140, 140')은 디바이스 부가 유닛(120)과 양방향 통신 유닛(130)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소리를 직접 듣는 유닛으로서, 일측 베이스판(123) 및 타측 베이스판((133)에서 하측으로 각각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3에서는 골전도 이어폰은 표시되어 있지 않으며, 골전도 이어폰이 끼워지는 공간부가 형성된 사각 고리형태의 지지부재만 도시되어 있다. 골전도 이어폰은 도 8에서 수술 시술자가 착용한 상태의 사진으로 나타나 있다. 골전도 이어폰은 두개골 내에 소리를 인식하는 와우기관이 있는 측두골에 소리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인식하여 음으로 변환하여 주는 기능을 하며, 이개의 앞쪽에 있는 협골궁(zygomatic arch)에 위치되게 착용된다.The bone conduction earphone units 140 and 140 'are units which are respectively installed at the ends of the device adding unit 120 and th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unit 130 to directly listen to sound and are provided with one side base plate 123 and the other side base plate 133 1 to 3 show only the support member in the form of a square ring in which the earphone of bone conduction is not shown and in which the space where the earphone for bone conduction is inserted is shown. The bone conduction earphone recognizes the vibration that occurs in the sound in the temporal bone with the wah organs that recognize the sound in the skull and converts it into sound, It is worn to be placed in the zygomatic arch.

골전도 마이크로폰 유닛(150)은 양방향 통신 유닛 측에서 하측으로 연장설치되어 목에 있는 성대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인식하여 음으로 변환하여 주는 유닛이다. 골전도 마이크로폰 유닛(150)은 다바이스 부가 유닛 측에서 하측으로 연장 설치될 수도 있다. 골전도 마이크로폰 유닛(15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골전도 마이크로폰(151)을 성대가 위치하는 갑상연골에 정확하게 위치시키기 위한 복수의 관절로 연결된 복수의 아암을 구비한다. 이때, 골전도 마이크로폰 유닛(150)은 골전도 마이크로폰(151)이 갑상연골에 위치될 시에 일정장력으로 그 위치를 유지하도록 제2리코일부(152)에 의해 양방향 통신 유닛(130)의 하측에 설치된다. The bone conduction microphone unit 150 is a unit that extends downward from th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unit side to recognize vibrations generated in the vocal cords in the neck and converts them into sounds. The bone conduction microphone unit 150 may be extended downward from the side of the device unit. The bone conduction microphone unit 150 has a plurality of arms connected by a plurality of joints for accurately positioning the bone conduction microphone 151 on the thyroid cartilage in which the vocal cords are located, as shown in Figs. At this time, the bone conduction microphone unit 150 is placed on the lower side of th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unit 130 by the second recovers part 152 so as to maintain its position at a certain tension when the bone conduction microphone 151 is positioned on the thyroid cartilage Respectively.

골전도 마이크로폰 유닛(150)의 지지 구조(아암)는 타타늄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후두부의 크기 및 형태에 따른 정확한 접착면의 위치선정은 제1, 제2크기 조절유닛(180, 180') 및 전체적으로 굴곡된 후두부 보조지지 유닛(170)으로 조절하게 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supporting structure (arm) of the bone conduction microphone unit 150 is made of a titanium material, and the position of the accurate bonding surface according to the size and shape of the occiput is determined by the first and second size adjusting units 180 and 180 'And the generally flexed occipital auxiliary support unit 170.

제2리코일부(152)는 코일 스프링으로 되어 있으며, 제2크기 조절 유닛(180')을 고정하는 고정판(153)과 이 고정판(153)과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이어진 경사판(154) 사이에 설치된다. 경사판(154)에는 골전도 마이크로폰(151)의 적절한 위치고정을 위해 링 형태의 조절식 힌지(155)가 설치되어 제1아암(156a)에 이어진다. 제1아암(156a)은 제1관절(힌지)(157a)에 의해 제2아암(156b)에 연결된다. 제1아암(156a)과 제2아암(156b)은 2개의 로드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열된 아암으로 되어 있다. 제1관절(157a)에는 착용자 각각 두, 경부의 크기 및 위치에 모두 적용할 수 있도록 보조 리코일부에 의한 리코일링 시스템(도시안됨)이 구비된다. The second recovers part 152 is a coil spring and is installed between a fixing plate 153 for fixing the second size adjusting unit 180 'and a swash plate 154 which is inclined at an angle with the fixing plate 153 . The swash plate 154 is provided with a ring-shaped adjustable hinge 155 for properly fixing the position of the bone conduction microphone 151 to the first arm 156a. The first arm 156a is connected to the second arm 156b by a first joint (hinge) 157a. The first arm 156a and the second arm 156b are arms in which two rods are arranged in parallel at regular intervals. The first joint 157a is provided with a recoiling system (not shown) by an auxiliary recoil portion so that it can be applied to both the size and the position of the neck portion and the neck portion of the wearer.

제2아암(156b)은 복수의 관절(157b, 157c, 157d, 157e)에 의한 위치조절장치를 거쳐 골전도 마이크로폰(151)에 이어진다. 위치조절장치는 유니버셜 조인트나 핀 및 힌지 등에 의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관절(157b, 157c, 157d, 157e)에는 보조 리코일부가 설치될 수 있다. 위치조절장치는 정확한 갑상연골면에 일정장력을 유지하면서 부착될 수 있게 하며, 이는 여러 각도의 고개 움직임이 있을 시에도 보조 리코일부에 의한 리코일링 시스템에 의해 지속적으로 갑상연골면에 접촉을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소리전달이 유지되게 한다. The second arm 156b is connected to the bone conduction microphone 151 via a position adjusting device by a plurality of joints 157b, 157c, 157d and 157e. The position adjusting device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by a universal joint, a pin, a hinge, and the like. A plurality of joints 157b, 157c, 157d, and 157e may be provided with auxiliary recovers. The positioning device allows to attach to the correct thyroid cartilage surface while maintaining a constant tension, which can maintain contact with the thyroid cartilage surface continuously by the recoiling system by the auxiliary recoil part So that sound transmission is maintained.

후두부 밀착 패드(160)는 와이어 프레임(110)의 중간에 구비되어 후두부에 밀착하는 알루미늄재의 패드이며, 고정판(162)에 연결된다. 후두부 밀착 패드(160)에는 와이어 프레임(110)이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하여 설치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두부 밀착 패드(160)에는 제1리코일부(171, 171')에 의해 일정 장력을 유지하며 후두부를 보조적으로 지지하는 후두부 보조 지지 유닛(170)이 설치된다. 후두부 밀착 패드(160)가 연결된 고정판(162)에는 보조 밧테리를 설치할 수 있는 보조 밧테리 고정부(163)가 설치된다. 보조 밧테리는 고정판(162)과 보조 밧테리 고정부(163) 사이에 탄성력에 의해 끼워져 설치되며, 헤드셋 작업시 착용시간을 늘리게 한다. The laryngeal adhesion pad 160 is an aluminum pad which is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wire frame 110 an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cciput, and is connected to the fixing plate 162. A wire frame 110 is installed in the occiput contact pad 160 so as to penetrat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6 and 7, the occipital contact pad 160 is provided with the occipital auxiliary support unit 170 which maintains a predetermined tension by the first recovers 171 and 171 'and supports the occipital region . The fixing plate 162 to which the occipital tight contact pad 160 is connected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battery securing portion 163 for attaching the auxiliary battery. The auxiliary battery is installed between the fixing plate 162 and the auxiliary battery fixing part 163 by an elastic force to increase the wearing time in the operation of the headset.

후두부 보조 지지 유닛(170)은 후두부 밀착 패드(160)가 연결된 고정판(162)에서 양측으로 지지부재(173, 173')가 돌출하여 연장되고, 상기 마운팅부(173, 173')에 코일스프링으로 된 제1리코일부(171, 171')가 설치되어 후두부를 지지하는 지지판(174)이 설치된 구조이다. 지지판(174)의 중간은 트여 있으며, 지지판(174)에는 후두부에 밀착성을 높이도록 마찰력이 높은 부재가 코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찰력이 높은 부재는 후두부 밀착 패드(160)에도 코팅될 수 있다. 후두부 보조지지 유닛(170)은 헤드셋이 착용자의 머리에 고정되지 않고 흘러 내려가는 경우가 없게 한다.The occipital auxiliary support unit 170 includes support members 173 and 173 'protruding from both sides of the fixed plate 162 to which the occipital contact pad 160 is connected and extending to the mounting portions 173 and 173' The first recovers 171 and 171 'are installed to support the rear head portion. The middle portion of the support plate 174 is in the middle, and the support plate 174 is coated with a member having a high frictional force to enhance adhesion to the occipital region. The highly frictional member can also be coated on the occipital contact pad 160. The occipital auxiliary support unit 170 prevents the headset from falling down without being fixed to the head of the wearer.

제1, 제2크기조절 유닛(180, 180')는 와이어 프레임(110)의 2개의 와이어를 연결하는 커넥터(181, 181')에 구비된 슬라이더가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부(구멍: 182a, 182a')가 형성된 레일판(182, 182')이 디바이스 부가 유닛(120)의 일측 베이스판(123) 및 양방향 통신 유닛(130)의 타측 베이스판(133)에 각각 고정된 구조이며, 다양한 형태로 와이어 프레임의 착용 크기를 조절하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제1크기 조절 유닛(180) 또는 제2크기조절 유닛(180')에는 추가 디바이스를 고정하는 고정구(183)가 설치된다. 고정구(183)는 마그네트로 되어 있을 수가 있다. The first and second size adjustment units 180 and 180 'are provided with sliding portions (holes 182a and 182a') through which the slider of the connectors 181 and 181 'connecting the two wires of the wire frame 110 slide, Are respectively fixed to the one base plate 123 of the device adding unit 120 and the other base plate 133 of th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unit 130. The rail plates 182 and 182 ' It is possible to fabricate a structure for adjusting the wearing size of the frame. The first sizing unit 180 or the second sizing unit 180 'is provided with a fixture 183 for fixing the additional device. The fixture 183 may be a magnet.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개방형 양방향 음성전달 헤드셋(100)은 수술실 환경, 군대 환경, 교통 순찰 환경 및 경호 환경 등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될 수 있다. The open type bidirectional voice transmission headset 100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can be used in various environments such as an operating room environment, an army environment, a traffic patrol environment, and a security environment.

현재 수술실에서는 최신 장비를 사용하는 게 급격히 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장비에서 발생되는 소음 및 공조기에서 나오는 소리는 평균 62 데시벨이며(자체측정값), 수술실에서 사용되어야 하는 마스크와 귀를 덮는 두건은 대화시 꼭 필요한 어음변별력을 감소시킨다. 이러한 환경에서 어음 변별력을 높이는데 중요한 고음역대 주파수를 양방향 통신 유닛에 추가로 장착되는 유닛을 통해 증폭하여, 소음 환경에서 정확한 의사 전달을 시행하게 한다. 이는 수술 및 응급 상황이 발생되는 중환자실 및 응급실에서도 활용될 수 있다. Currently, the use of the latest equipment is increasing rapidly in the operating room. However, the noise generated from these devices and the sound from the air conditioner is an average of 62 decibels (self-measured value), and the masks and ears that need to be used in the operating room reduce the discriminatory power of speech that is essential for conversation. In this environment, the high frequency band, which is important for enhancing speech discrimination power, is amplified through a unit mounted in th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unit, thereby enabling accurate communication in a noisy environment. This can also be used in ICUs and emergency rooms where surgery and emergencies occur.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개방형 양방향 음성전달 헤드셋(100)의 샘플 및 수술 시술자가 착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나타난 바와 같이 기존의 제품과는 차별적으로 이마(H)에 장착면이 없어 불편감을 없앨 수 있다. 수술시 이마에 밴드 형태로 장착된 다른 기존 제품들에서는 일정시간이 지나게 되면 땀이 발생되어 수술 부위를 오염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의 개방형 양방향 음성전달 헤드셋(100)은 현미경적 작업이나 로봇수술과 같이 장비에 안면부를 밀착하여 작업을 시행할 경우에도 바람직하다.8 is a photograph showing a sample of an open type bidirectional voice transmission headse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state worn by a surgeon. As shown, there is no discomfort because there is no mounting surface on the forehead (H) differently from existing products. In other conventional products that are mounted on the forehead band in the forehead during surgery, sweating may occur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which may contaminate the surgical site. The open bidirectional voice transmission headse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lso preferable for performing operations such as microscopic operation or robotic surgery, in which the face is closely contacted to the equipment.

현재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비슷한 형태의 다른 헤드셋은 일정 무게감을 가지는 여러 유닛들을 장착하는데, 제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개방형 양방향 음성전달 헤드셋(100)은 정확하게 우측 갑상 연골면에 장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러 유닛들은 최소한의 전선(H)을 이용하여 헤드셋의 외부로 노출되게 장착한다. 양방향 통신 유닛(130)의 위치는 헤드셋(100)의 우측 위쪽 부위에 장착된다. 수술실을 예로 들었을 경우, 수술 두건(T)이 귀를 가렸을 때에도 편안하게 헤드셋이 위치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목(N)이 두꺼운 경우에도 불편하지 않게 장착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는 두건 및 마스크를 착용하여 대화시 일정 음향적 저항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추가적으로 양방향 통신 유닛(130)을 통해, 일정 주파수를 증폭시킨 변형된 음을 골전도를 통해 추가적으로 들려주게 함으로써, 정확한 어음변별을 유지하게 한다.Other headsets of similar shape, now made of plastic, are equipped with several units with a certain weight, which is a limitation.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open bidirectional voice transmission headset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rrectly mounted on the right thigh cartilage surface. Several units are mounted externally to the headset using a minimum of wires (H). The position of the two-way communication unit 130 is mounted on the upper right portion of the headset 100. When operating room is taken as an example, it can be seen that the headset is placed comfortably even when the operation hood (T) covers the ears. It can be confirmed that even if the neck N is thick, it is mounted without inconvenience. This configuration allows a modified sound amplified by a certain frequency to be additionally played through the bone conduction through the two-way communication unit 130 even when a certain acoustic resistance is generated during conversation by wearing a hood and a mask, Keep speech discrimination.

군대 환경에서 기존의 세계 특전사들이 사용하는 통신유닛은 한쪽 귀 및 양측 귀를 귀마개(muff) 형태로 가린 상태에서 통신을 시행하며, 북 마이크를 사용하게 되며, 성대 마이크인 경우에도 경부를 감싸는 형태로 장착하게 된다. 수색대와 같이 초병역할을 할 때 40 데시벨 이하의 미세한 소리에도 집중을 하여야 하기에 자연적인 고막을 통한 음의 인식이 중요한데, 기존 장비에서는 일측, 양측에 제한점을 가지게 된다. 북 마이크 이용시에는 통신을 정확하게 하기 위해서는 일정 데시벨 이상의 발성을 하여야 하는데, 이는 첨예한 수색시 대치 상황에서는 치명적일 수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는 것이 성대마이크이다. 하지만 성대 마이크도 통신음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발성시에 성대 마이크를 손가락으로 일정 압력을 가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는 두 손을 사용하여, 개인화기를 지속적으로 장착해야 하는 대치상황에서는 치명적이다. 본 발명의 헤드셋은 이러한 상황을 모두 해결한다.In the military environment, the communication units used by the existing world pundits communicate with one ear and two ears shielded in the form of a muff, and they use a north microphone. In the case of a voice microphone, Respectively.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e sound through the natural eardrum because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minute sound of 40 decibel or less when it plays a role of the first searcher. When using a north microphone, it is necessary to utter a decibel above a certain decibel in order to accurately communicate, which can be fatal in the case of a sharp search. It is the voice microphone that complements these disadvantages. However, in order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communication sound, the vocal microphone also has a drawback in that it is necessary to apply a constant pressure to the vocal microphone with the finger. This is fatal in a confrontation situation where two hands are used and the personalization machine must be continuously mounted. The headset of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all of these situations.

교통 순찰 환경 및 경호 환경에서, 도로 안에서 통제를 하는 경우, 자동차의 경고음 및 자동차의 움직이는 방향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자연적인 고막 청력과 양측 귀를 사용한다. 경호원인 경우에도 미세한 경고 신호를 인식하기 위해서 양측 귀의 사용이 절대적이다. 본 발명의 헤드셋은 이러한 환경에서 정확한 통신을 하게 된다.In the traffic patrol environment and in the security environment, when controlling in the road, use natural eardrum hearing and both ears to recognize the beeping sound of the car and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ar. Even in the case of guardians, the use of both ears is imperative to recognize a fine alert signal. The headset of the present invention makes accurate communication in this environment.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only illustr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facilitat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0 : 개방형 양방향 음성전달 헤드셋
110 : 와이어 프레임 120 : 디바이스 부가 유닛
121, 121' : 장착판 122 : 마그네트
123 : 일측 베이스판 130 : 양방향 통신 유닛
140 : 골전도 이어폰 유닛 150 : 골전도 마이크로폰 유닛
151 : 골전도 마이크로폰 152 : 제2리코일부
153 : 고정판 154 : 경사판
155 : 조절식 힌지 156a : 제1아암
156b : 제2아암 157a : 제1관절
160 : 후두부 밀착 패드 162 : 고정판
163 : 보조 밧테리 고정부 170 : 후두부 보조지지 유닛
171, 171' : 제1리코일부 173, 173' : 마운팅부
174 : 지지판 180, 180' : 제1, 제2크기조절 유닛
100: open two-way voice delivery headset
110: wire frame 120: device attachment unit
121, 121 ': mounting plate 122: magnet
123: one side base plate 130: two-way communication unit
140: Bone conduction earphone unit 150: Bone conduction microphone unit
151: Bone conduction microphone 152: Second Ricoh part
153: Fixing plate 154: Swash plate
155: Adjustable hinge 156a:
156b: second arm 157a: first joint
160: occiput adhesion pad 162: fixed plate
163: auxiliary battery fixing unit 170: occiput auxiliary support unit
171, 171 ': first recoil part 173, 173': mounting part
174: Support plate 180, 180 ': First and second size adjustment units

Claims (8)

착용자의 후두부를 감싸는 와이어 프레임(110)과,
상기 와이어 프레임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각 현장에 필요한 추가적인 디바이스를 착탈식으로 부가할 수 있는 디바이스 부가 유닛(120)과,
상기 와이어 프레임의 타단부에 구비되어 각 현장에서 필요한 주파수 영역대의 음역을 증폭시키는 인터페이스 제어시스템을 갖춘 양방향 통신 유닛(130)과,
상기 디바이스 부가 유닛과 상기 양방향 통신 유닛의 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소리를 직접 듣는 한쌍의 골전도 이어폰 유닛(140, 140')과,
상기 디바이스 부가 유닛 측 또는 상기 양방향 통신 유닛 측에서 연장설치되어 목에 있는 성대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인식하여 음으로 변환하여 주는 골전도 마이크로폰 유닛(150)과,
상기 와이어 프레임의 중간에 구비되어 후두부에 밀착하는 후두부 밀착 패드(160)를 포함하며,
상기 후두부 밀착 패드(160)에는 제1리코일부에 의해 일정 장력을 유지하며 후두부를 보조적으로 지지하는 후두부 보조 지지 유닛(17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양방향 음성전달 헤드셋.
A wire frame 110 surrounding the back of the wearer,
A device attaching unit 120 provided at one end of the wire frame and capable of detachably attaching additional devices necessary for each field,
A bidirectional communication unit (130) provided at the other end of the wire frame and having an interface control system for amplifying a range of frequency band required in each field,
A pair of bone conduction earphone units (140, 140 ') respectively installed at the ends of the device attachment unit and th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unit to hear sound directly,
A bone conduction microphone unit 150 extending from the device attachment unit side or th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unit side for recognizing vibrations generated in the vocal cords in the neck and converting the vibrations into sounds,
And a rear head adhesion pad (160)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wire frame and closely contacting the back head,
Characterized in that the occipital contact pad (160) is provided with a occipital auxiliary support unit (170) which maintains a predetermined tension by the first recovers part and auxiliaryly supports the occipital are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두부 밀착 패드에는 보조 밧테리를 설치할 수 있는 보조 밧데리 고정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양방향 음성전달 헤드셋.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ack-occlusive contact pad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battery fixing part for attaching an auxiliary batter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프레임의 양단에는 착용자의 두부 크기에 따라 조절되는 제1, 제2크기 조절 유닛에 의해 상기 디바이스 부가 유닛과 상기 양방향 통신 유닛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양방향 음성전달 헤드셋.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evice attachment unit and th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unit are connected at both ends of the wire frame by first and second size adjustment units that are adjusted in accordance with the size of the wearer's head.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크기 조절 유닛 또는 상기 제2크기 조절 유닛에는 추가 디바이스를 고정하는 고정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양방향 음성전달 헤드셋.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first size adjustment unit or the second size adjustment unit is provided with a fixture for fixing an additional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 부가 유닛은
추가 디바이스가 삽입 장착되는 간격을 두고 배치된 두개의 장착판과,
상기 두개의 장착판 사이 하부에 구비되어 추가 디바이스를 고정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양방향 음성전달 헤드셋.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evice adding unit
Two mounting plates arranged with an interval at which additional devices are inserted and mounted,
And a magnet provided below the two mounting plates to fix the additional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골전도 마이크로폰 유닛은 골전도 마이크로폰을 성대가 위치하는 갑상연골에 정확하게 위치시키기 위한 복수의 관절로 연결된 복수의 아암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양방향 음성전달 헤드셋.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ne conduction microphone unit comprises a plurality of arms connected by a plurality of joints for accurately positioning the bone conduction microphone on the thyroid cartilage in which the vocal cord is locat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골전도 마이크로폰 유닛은 골전도 마이크로폰이 갑상연골에 위치될 시에 일정장력으로 그 위치를 유지하도록 제2리코일부에 의해 상기 디바이스 부가 유닛 또는 상기 양방향 통신 유닛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양방향 음성전달 헤드셋.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bone conduction microphone unit is installed in the device adding unit or the bidirectional communication unit by a second recoil part so as to maintain its position with a certain tension when the bone conduction microphone is placed on the thyroid cartilage. Forwarding headset.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골전도 마이크로 폰 유닛의 각 관절에는 보조 리코일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방형 양방향 음성전달 헤드셋.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each joint of the bone conduction microphone unit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recoil portion.
KR1020160183531A 2016-12-30 2016-12-30 Open Set Intercom Headset Expired - Fee Related KR1018027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531A KR101802799B1 (en) 2016-12-30 2016-12-30 Open Set Intercom Headse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531A KR101802799B1 (en) 2016-12-30 2016-12-30 Open Set Intercom Headse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2799B1 true KR101802799B1 (en) 2017-11-30

Family

ID=60812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3531A Expired - Fee Related KR101802799B1 (en) 2016-12-30 2016-12-30 Open Set Intercom Headse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279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33883A (en) * 2022-03-12 2022-04-12 广州思正电子股份有限公司 Head-wearing intelligent voice recognition device
CN115844339A (en) * 2022-11-11 2023-03-28 中国人民解放军空军军医大学 Diagnosis and treat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bone voicepri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2580A (en) 1998-07-09 2000-01-28 Victor Co Of Japan Ltd headset
JP2002204489A (en) 2000-12-28 2002-07-19 Nec Saitama Ltd Earphone microphone
JP3897227B2 (en) 2001-04-16 2007-03-22 ソニー株式会社 Sound output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2580A (en) 1998-07-09 2000-01-28 Victor Co Of Japan Ltd headset
JP2002204489A (en) 2000-12-28 2002-07-19 Nec Saitama Ltd Earphone microphone
JP3897227B2 (en) 2001-04-16 2007-03-22 ソニー株式会社 Sound output devic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33883A (en) * 2022-03-12 2022-04-12 广州思正电子股份有限公司 Head-wearing intelligent voice recognition device
CN114333883B (en) * 2022-03-12 2022-05-31 广州思正电子股份有限公司 Head-wearing intelligent voice recognition device
CN115844339A (en) * 2022-11-11 2023-03-28 中国人民解放军空军军医大学 Diagnosis and treatment system and method based on bone voicepri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8679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ooth bone conduction microphone
US72692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ooth bone conduction microphone
US10231048B2 (en) Ergonomic earpiece with attachment mount
US8325963B2 (en) Bone-conduction microphone built-in headset
CN102177730B (en) System for picking-up a user's voice
US20050141730A1 (en) Vibration-based talk-through method and apparatus
US20100223706A1 (en) Welding helmet audio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with bone conduction transducers
US11212610B2 (en) Hearing device
US11146884B2 (en) Transducer apparatus for high speech intelligibility in noisy environments
CN108156567B (en) wireless hearing device
JP2018082324A (en) Hearing device using bone conduction
US8811644B2 (en) Member for transmitting the sound of a loud-speaker to the ear and equipment fitted with such member
KR101802799B1 (en) Open Set Intercom Headset
EP0825797A2 (en) Headset for hearing protectors
US20210084399A1 (en) Hearing device using bone conduction
CN114830680B (en) Hearing protection device for protecting in different hearing situations, controller for such device, and method for switching such device
KR101765718B1 (en) Communication system using underwater bone conduction headset
JPH11215581A (en) Bone-conducting headset
WO2023007840A1 (en) Telephone conversation apparatus
US20170264993A1 (en) Head set and head set apparatus
KR20180136167A (en) Bone Conduction Speaker Glass
KR200317070Y1 (en) Safety helmet with the bone-conduction receiver
KR20040080880A (en) Safety helmet with the bone-conduction receiver
KR20100119470A (en) Wireless head set apparatus equipped with mic combined with earphone and monitoring function
WO2003013300A1 (en) Helm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41124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4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