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0038B1 - automatic dental preparation system - Google Patents
automatic dental preparation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10038B1 KR101810038B1 KR1020160163304A KR20160163304A KR101810038B1 KR 101810038 B1 KR101810038 B1 KR 101810038B1 KR 1020160163304 A KR1020160163304 A KR 1020160163304A KR 20160163304 A KR20160163304 A KR 20160163304A KR 101810038 B1 KR101810038 B1 KR 1018100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ep
- model
- machining
- image
- virtu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0
- 238000003754 machin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5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4088 sim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10000000214 mouth Anatomy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7781 pre-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055 chew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591 computed tom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217 dele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0 del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38 design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628 ero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497 Amalga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919 ceram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98 dental ename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68 dent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59—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 A61B5/0082—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 A61B5/0088—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using light, e.g. diagnosis by transillumination, diascopy, fluorescence adapted for particular medical purposes for oral or dental tissu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61C9/0053—Optical means or methods, e.g. scanning the teeth by a laser or light bea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보철을 위한 치아 프렙 과정의 신속성 및 정확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대상자의 구강 내부에 기설정된 프렙대상부에 대한 대상치아이미지 및 표준화된 프렙완료상태에 대한 복수의 3차원 외형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프렙모델 라이브러리가 저장되는 데이터저장부; 상기 프렙대상부가 절삭 가공되도록 툴구동부에 결합되어 3차원 이동되는 가공툴과, 상기 가공툴의 절삭단부로부터 상기 프렙대상부까지의 기준거리를 실시간 검출하는 거리검출부와, 상기 프렙대상부에 대한 기준이미지를 촬상하는 스캔부를 포함하는 3차원가공부; 및 상기 디지털 프렙모델 라이브러리로부터 추출된 가상프렙모델을 상기 대상치아이미지에 매칭하여 프렙데이터를 설정하되, 상기 설정된 프렙데이터에 따라 상기 가공툴의 3차원 이동을 제어하는 가공제어부를 포함하는 치아 프렙 자동화 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improve the promptness and accuracy of the tooth preparation process for prosthesi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gital tooth preparation apparatus, which includes a target tooth image for a predetermined preparation target portion in the oral cavity of a subject and a plurality of three- A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prepared model library; A distanc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in real time a reference distance from a cutting end of the processing tool to the prep target part; A three-dimensional grating including a scanning unit for picking up an image; And a machining control unit for setting the prep data by matching the virtual prep model extracted from the digital prep model to the target tooth image and controlling the three-dimensional movement of the machining tool according to the set prep data, Devi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치아 프렙 자동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철을 위한 치아 프렙 과정의 신속성 및 정확성이 개선되는 치아 프렙 자동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ntal prosthetic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ntal prosthetic device for improving the promptness and accuracy of a tooth preparation process for dental prosthesis.
일반적으로, 보철(prosthetics)은 치아의 부분적인 결손 또는 치아 자체의 결손을 보강하여 치아의 기능을 회복시키는 것을 의미하며, 크라운(crown), 브릿지(bridge), 레진(resin), 인레이(inlay) 등의 고정식과, 틀니와 같은 가철성으로 구분된다. Generally, prosthetics refers to restoring the function of teeth by reinforcing a partial defect of a tooth or a defect of a tooth itself, and includes a crown, a bridge, a resin, an inlay, Such as a fixed type, and a movable type such as a denture.
여기서, 크라운은 금이나 세라믹 등을 치아에 씌우는 것을 의미하며, 브릿지는 발치된 치아의 인접 치아를 다리 삼아 중간에 인공 치아를 연결하는 것을 의미하고, 레진, 인레이, 아말감 등은 치아의 제거된 일부분을 채우는 방식이다. Here, the crown means that gold or ceramics are put on the tooth, and the bridge means connecting the artificial tooth to the middle of the tooth extracted from the adjacent tooth, and the resin, inlay, amalgam, .
이때, 크라운 및 브릿지 등의 보철시에는 자연치아 및 보철물 간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치아의 법랑질과 상아질 일부를 삭제하는 일련의 준비 과정을 치아 프렙(prep, preparation)이라 부른다. At this time, a series of preparations for eliminating tooth enamel and dentin so as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natural tooth and prosthesis at the time of prosthesis such as crowns and bridges is called a prep preparation.
그리고, 치아 프랩이 완료되면, 인상 채득(impression) 및 교합 채득(bite taking) 등과 과정을 통해 대상치아를 보호하기 위한 임시 치관을 제작하여 대상치아에 결합한다. When the toothprape is completed, a temporary crown for protecting the target tooth is prepared through impression and bite taking and is bonded to the target tooth.
이와 함께, 인상 및 교합 채득을 통해 획득된 치아 모형이 전문 기공소로 배송되어 최종 보철물이 제조되고, 최종 보철물이 제조되면 임시 치관을 제거한 후 대상치아에 최종 결합된다. At the same time, the tooth model obtained through impression and occlusion is delivered to the specialized laboratories to manufacture the final prosthesis. When the final prosthesis is manufactured, the temporary crown is removed and finally bonded to the target tooth.
이때, 최종보철물이 주변 치아와의 간섭 없이 대상치아의 삭제된 부분에 밀착 결합되되 대상치아의 손상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되기 위해서는 치아 프랩시 대상치아에 대한 삭제량이 최소화되면서도 보철물과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을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 In this case, in order for the final prosthesis to be firmly coupled to the erased portion of the target tooth without interference with the surrounding teeth, and stably supported without damaging the target tooth, the amount of erosion to the target tooth is minimized, It is important to design the shape.
그러나, 종래에는 대상치아에 대한 삭제 상태 및 형태가 시술자의 경험이나 숙련도에 의해 좌우되기 때문에 최종보철물이 결합 후 대상치아로부터 빠져버리거나 최종보철물에 가해진 저작압력에 의해 대상치아가 손상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conventionally, since the state and form of erasure of the target tooth depend on the experience or proficiency of the practition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inal prosthesis is detached from the target tooth after bonding or the target tooth is damaged due to the chewing pressure applied to the final prosthesis there was.
더욱이, 대상치아의 프렙 가공 이후 최종보철물이 제조되므로 최종보철물이 제조되는 수일 내지 수 주일 동안에 사용되는 임시 치관으로 인해 대상자가 심미적, 기능적인 불편함을 감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Further, since the final prosthesis is manufactured after preprocessing of the target tooth,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ubject must be aesthetically and functionally inconvenient due to the temporary crown used for several days to several weeks of manufacturing the final prosthesis.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보철을 위한 치아 프렙 과정의 신속성 및 정확성이 개선되는 치아 프렙 자동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ntal prosthetic device that improves promptness and accuracy of a tooth preparation process for prosthesis.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대상자의 구강 내부에 기설정된 프렙대상부에 대한 대상치아이미지 및 표준화된 프렙완료상태에 대한 복수의 3차원 외형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프렙모델 라이브러리가 저장되는 데이터저장부; 상기 프렙대상부가 절삭 가공되도록 툴구동부에 결합되어 3차원 이동되는 가공툴과, 상기 가공툴의 절삭단부로부터 상기 프렙대상부까지의 기준거리를 실시간 검출하는 거리검출부와, 상기 프렙대상부에 대한 기준이미지를 촬상하는 스캔부를 포함하는 3차원가공부; 및 상기 디지털 프렙모델 라이브러리로부터 추출된 가상프렙모델을 상기 대상치아이미지에 매칭하여 프렙데이터를 설정하되, 상기 설정된 프렙데이터에 따라 상기 가공툴의 3차원 이동을 제어하는 가공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디지털 프렙모델 라이브러리는 기준치수조건을 선택항목으로 갖도록 표준화된 프렙완료상태의 3차원 외형정보로 구비된 복수의 표준프렙모델을 포함하며, 상기 가공제어부는 프렙기준면에 의해 분할된 상기 대상치아이미지 상부측 표준가공영역의 기준수치조건을 산출하여 상기 표준프렙모델로부터 상기 가상프렙모델을 추출하고, 상기 거리검출부 및 상기 스캔부를 통해 상기 가공툴의 실질공간좌표를 산출하되 상기 가상프렙모델의 외면좌표에 따라 상기 실질공간좌표의 이동한계영역을 설정하여 상기 가공툴의 3차원 이동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프렙 자동화 장치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digital prep model library including a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outer shape information on a target tooth image and a standardized prep completion state in a mouth of a subject, A data storage unit; A distance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in real time a reference distance from a cutting end of the processing tool to the prep target part; A three-dimensional grating including a scanning unit for picking up an image; And a machining control unit for setting the prep data by matching the virtual prep model extracted from the digital prep model to the target tooth image and controlling the three-dimensional movement of the machining tool according to the set prep data, The preparation model library includes a plurality of standard preparation models provided with three-dimensional outline information of a preparation completed state standardized so as to have a reference dimension condition as a selection item, Calculating a reference numerical condition of a standard machining area to extract the virtual prep model from the standard prep model, calculating actual space coordinates of the machining tool through the distance detector and the scan unit, Setting a movement limit area of the substantial space coordinates so that the three-dimensional And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tooth.
그리고, 상기 가공제어부는 상기 기준이미지 및 상기 대상치아이미지의 정합시 상기 기준거리에 따라 상기 실질공간좌표를 산출하되, 상기 기준거리를 기설정된 가공거리와 실시간 비교하여, 상기 가공거리를 초과하는 기준거리의 검출시 상기 실질공간좌표를 재산출함이 바람직하다. The machining control unit calculates the substantial space coordinates according to the reference distance when matching the reference image and the target tooth image, compares the reference distance with a preset machining distance in real time, It is preferable to recalculate the substantial space coordinates upon detection of the distance.
삭제delete
이때, 상기 디지털 프렙모델 라이브러리는 상기 각 표준프렙모델에 종속되되 상기 종속된 표준프렙모델로부터 구분되는 3차원 외형정보를 갖도록 세분화된 복수의 종속프렙모델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공제어부는 상기 기준치수조건에 따라 표준프렙모델과 종속프렙모델을 1차 추출하고, 1차 추출된 복수 중 상기 표준가공영역에 대한 부피점유율이 최대인 하나를 상기 가상프렙모델로 추출함이 바람직하다. The digital prep model library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dependent prep models subdivided to have three-dimensional outline information that is dependent on each standard prep model and distinguished from the dependent standard prep models, It is preferable that the standard prep model and the dependent preprepene model are firstly extract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and one of the plurality of the first extracted plurality of standard processing areas having the largest volume occupancy rate is extracted as the virtual prep model.
한편, 상기 기준이미지를 실시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공제어부는 상기 가공툴에 대응되는 가상가공툴을 상기 대상치아이미지에 가상 배치하여 프렙시뮬레이션이미지를 생성하되, 상기 프렙시뮬레이션이미지 및 상기 기준이미지가 비교 출력되도록 상기 실질공간좌표에 따라 상기 가상가공툴의 3차원 이동을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The processing control unit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the reference image in real time, wherein the machining control unit generates a pre-simulation image by virtually arranging a virtual machining tool corresponding to the machining tool in the image of the target tooth, It is preferable to control the three-dimensional movement of the virtual machining tool in accordance with the substantial space coordinates so that the reference image is outputted in comparison.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Through the above solu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복잡한 설계과정 없이 대상치아이미지의 기준수치조건을 기준으로 디지털 프렙모델 라이브러리로부터 표준화된 3차원 외형정보가 추출되어 대상치아의 목표삭제형상이 설정되므로 신속하면서도 시술자의 숙련도와 무관한 고정확성의 치아 프렙이 이루어질 수 있다. First, standardized three-dimensional outer shape information is extracted from the digital prep model library based on the reference numerical condition of the target tooth image without complicated design process, and the target deletion shape of the target tooth is set. Therefore, A tooth preparation can be made.
둘째, 상기 거리검출부 및 상기 스캔부를 통해 가공툴의 실질공간좌표가 검출되되, 가상프렙모델를 기반으로 설정된 프렙데이터 및 실질공간좌표의 매칭에 따라 상기 가공툴의 3차원 이동이 제어되어 대상치아가 자동 절삭 가공되므로 프렙 공정의 편의성 및 정확성이 개선될 수 있다. Second, the real space coordinates of the machining tool are detected through the distance detecting unit and the scan unit, and the three-dimensional movement of the machining tool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matching of the preprep data and the real space coordinates set based on the virtual prep model, Since the cutting process is performed, the convenience and accuracy of the preprocess can be improved.
셋째, 가상프렙모델을 통해 대상치아의 삭제 형상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최종보철물의 설계정보가 동시에 획득될 수 있으므로 프렙 공정 후 별도의 인상을 채득하는 번거로운 과정이 제거될 수 있으며 프렙 공정과 동시에 기제조된 최종보철물을 즉시 식립할 수 있는 기반 기술이 제공될 수 있다. Third, since the design information of the final prosthesis can be obtained at the same time 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erasure shape of the target tooth through the virtual prep model, the cumbersome process of preparing a separate impression after the preprocessing process can be eliminated, An underlying technique may be provided to immediately place the resulting final prosthesis.
넷째,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일측 및 타측에 기준이미지 및 프렙시뮬레이션이미지가 비교 출력되되, 상기 가상가공툴이 상기 가공툴에 대응되도록 3차원 이동되므로 프렙대상부에 수행되는 실질적인 프렙 공정과 계획된 프렙 공정이 용이하게 비교 검증 및 확인될 수 있다.Fourthly, the reference image and the prep simulation image are compared and outputt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display unit, and the virtual machining tool is moved in three dimensions corresponding to the machining tool, so that the actual preprocessing and the planned preprocessing Can be verified and verifi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프렙 자동화 장치를 나타낸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프렙 자동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프렙 자동화 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프렙 자동화 장치의 제어방법에서 디지털 프렙모델 라이브러리를 나타낸 예시도.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프렙 자동화 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예시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tooth preparation autom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tooth preparation autom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tooth preparation autom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gital prep model library in a method of controlling a tooth preparation autom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5A, 5B, and 5C are diagrams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tooth preparation autom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아 프렙 자동화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tooth preparation autom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프렙 자동화 장치를 나타낸 개요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프렙 자동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프렙 자동화 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프렙 자동화 장치의 제어방법에서 디지털 프렙모델 라이브러리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a, 도 5b 및 도 5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 프렙 자동화 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tooth preparation autom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block diagram of a tooth preparation autom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iagram illustrating a digital prep model library in a method of controlling a tooth preparation autom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5A, 5B, and 5C are diagrams 5c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control method of the tooth preparation autom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5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치아 프렙 자동화 장치(100)는 데이터저장부(10), 3차원가공부(40), 그리고 가공제어부(20)를 포함한다. 1 to 5C, the tooth
여기서, 상기 치아 프렙 자동화 장치(100)는 가공툴(41)의 3차원 이동을 통해 기설정된 프렙대상부를 크라운 등의 최종보철물의 결합에 적합한 형상으로 절삭 가공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Here, the tooth
이때, 상기 프렙대상부는 대상자의 구강 내부에서 최종보철물을 통해 저작 기능의 보완 내지는 복원이 요구되는 부분으로, 실질적인 절삭 가공 대상인 대상치아와 그를 둘러싼 잇몸부 등의 인접부를 포괄하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preparation target portion is a portion required to complement or restore the chewing function through the final prosthesis in the oral cavity of the subject, and it is understood that it is meant to encompass adjacent portions such as a target tooth as a target of actual cutting and a surrounding gingival portion .
한편,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데이터저장부(10)에는 상기 프렙대상부에 대한 대상치아이미지(2) 및 표준화된 프렙완료상태에 대한 복수의 3차원 외형정보를 포함하는 디지털 프렙모델 라이브러리(11)가 저장된다. 1 and 2, the data storage unit 10 is provided with a
상세히, 상기 대상치아이미지(2)는 CT 촬영장치 및 오랄스캐너 등의 촬상장치(1)를 통해 획득된 3차원 이미지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 3차원 이미지는 CT 촬영을 통한 CT 촬영이미지, 오랄스캔을 통한 오랄스캔이미지, CT 촬영 및 오랄스캔 이미지의 정합을 통한 통합이미지 중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In detail, the
여기서, 상기 데이터저장부(10)에는 상기 프렙대상부가 직접 촬상되어 획득된 대상치아이미지(2)가 직접 저장될 수 있으며, 구강 내부 전체 또는 프렙대상부를 포함하는 구강 내부 일부분이 촬상된 3차원 이미지가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다. Here, the data storage unit 10 may directly store the
이때, 상기 데이터저장부(10)에 구강 내부 전체 또는 일부분이 촬상된 3차원 이미지가 저장된 경우에는 상기 가공제어부(20)를 통해 프렙대상부에 대응되는 대상치아이미지(2)가 추출되어 상기 데이터저장부(10)에 저장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a three-dimensional image in which the whole or part of the oral cavity is imaged is stored in the data storage unit 10, the
또한, 상기 디지털 프렙모델 라이브러리(11)는 복수의 표준프렙모델(11a)과, 상기 각 표준프렙모델(11a)에 종속된 복수의 종속프렙모델(11b)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The digital
여기서, 상기 디지털 프렙모델 라이브러리(11)는 일련의 통계과정을 통해 기설정되어 상기 데이터저장부(10)에 저장될 수 있다. Here, the digital
상세히, 상기 표준프렙모델(11a)은 기준치수조건을 선택항목으로 갖도록 표준화된 프렙완료상태의 3차원 외형정보로 구비될 수 있다. In detail, the
이때, 프렙완료상태는 최종보철물의 결합을 위해 대상치아의 표면에 대한 절삭 가공이 완료된 상태를 의미하며, 프렙완료상태의 대상치아는 최종보철물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상단부 및 하단부의 면적이 동일한 기둥형태나 하단부에 비해 상단부의 면적이 좁은 뿔형상으로 구비된다. In this case, the preparation completed state means that the cutting process is completed on the surface of the target tooth for bonding of the final prosthesis, and the target tooth in the preparation completed state has the same area of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final prosthesis And is formed in a columnar shape or a conical shape with a smaller area of the upper end than the lower end.
예를 들어, 다양한 프렙완료상태에 대한 3차원 외형정보의 표본이 수집되면, 수집된 표본이 성별, 나이, 체격 등으로 분류되고, 각 분류별로 대표 표본이 추출되는 과정을 통해 프렙완료상태가 표준화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a sample of three-dimensional external information about various preparation completions is collected, the collected sample is classified into sex, age, physique, etc., and a representative sample is extracted for each classification, .
그리고, 상기 표준프렙모델(11a)은 예시된 과정을 통해 표준화된 프렙대상부의 3차원 외형정보를 의미하며, 두께(m), 너비(k), 높이(h) 등의 기준치수조건을 선택항목으로 구분될 수 있다. The
또한, 상기 종속프렙모델(11b)은 상기 각 표준프렙모델(11a)에 종속되되 상기 종속된 표준프렙모델(11a)로부터 구분되는 3차원 외형정보를 갖도록 세분화된 3차원 외형정보를 의미한다. The
예를 들어, 하나의 표준프렙모델(11a)에는 측면 경사율, 단면 형태, 상면부 형태 등이 상이한 복수의 종속프렙모델(11b)이 종속된다. 즉, 상기 디지털 프렙모델 라이브러리(11)는 복수의 표준프렙모델(11a) 및 복수의 종속프렙모델(11b)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For example, one
한편, 상기 3차원가공부(40)는 가공툴(41), 거리검출부(43), 스캔부(44), 그리고 툴구동부(42)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The three-
상세히, 상기 툴구동부(42)는 상기 대상자의 구강 내부에 대응되는 기설정된 제1범위로 정밀 제어되는 다축가공장치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툴구동부(42)는 일단부에 장착된 가공툴(41)을 50㎛ 이상의 이송정밀도로 정밀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가공툴(41)을 상기 구강 내부에 대응되는 소규모 영역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소형 다축가공장치로 구비될 수 있다. In detail, the
그리고, 상기 툴구동부(42)는 상기 제1범위를 초과하는 제2범위로 확장 이동되도록 베이스지지유닛(30)에 구비된 확장지그암(31)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The
여기서, 상기 베이스지지유닛(30)은 상기 3차원가공부(40)의 이동 및 고정을 위해 사용되는 지지구조체를 의미하며, 상기 확장지그암(31)은 하단부 및 상단부가 수동 조작되어 회동되되 외력 해제시 회동각도가 유지되도록 다단 관절부에 의해 연결된 지지수단을 의미한다. Here, the
상세히, 상기 확장지그암(31)은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지지유닛(30)에 고정되되 상단부에 상기 툴구동부(42)가 결합된다. 이때, 다단 관절부의 회동에 따라 상기 툴구동부(42)가 제2범위로 3차원 이동될 수 있다. In detail, the
즉, 상기 확장지그암(31)을 통해 상기 툴구동부(42)가 넓은 범위로 3차원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툴구동부(42)가 대상자의 구강 내부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면, 상기 툴구동부(42)에 의해 상기 가공툴(41)이 3차원 정밀 이동될 수 있다. That is, the
이에 따라, 상기 가공툴(41)의 3차원 이동범위가 대상자의 구강 내부로 축소 한정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툴구동부(42)의 컴팩트화를 통해 제품의 경제성이 향상될 수 있다. Accordingly, since the three-dimensional movement range of the
그리고, 상기 가공툴(41)은 드릴날 등의 절삭단부를 갖는 치과용 핸드피스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거리검출부(43) 및 상기 스캔부(44)는 상기 가공툴(41)의 일측에 상호 인접 배치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The
이때, 상기 툴구동부(42)는 상기 가공제어부(20)에 의해 설정된 프렙데이터(13)를 통해 제어되며, 상기 프렙데이터(13)의 영역좌표에 따라 상기 가공툴(41)의 3차원 이동을 제어하여 상기 프렙대상부, 즉 대상치아를 절삭 가공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거리검출부(43)는 레이저거리센서 등으로 구비되어 가공툴(41)의 절삭단부로부터 프렙대상부까지의 기준거리를 검출할 수 있으며, 상기 스캔부(44)는 마이크로카메라 등으로 구비되어 상기 가공툴(41)의 현재위치에서 상기 프렙대상부의 3차원 외형정보를 기준이미지로 촬상할 수 있다. The
이때, 상기 베이스지지유닛(30)에는 상기 스캔부(44)의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32)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32)를 통해 상기 가공툴(41)의 3차원 이동에 따른 프렙 공정 영상이 실시간으로 출력될 수 있다. The
한편,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가공제어부(20)는 상기 디지털 프렙모델 라이브러리(11)의 표준프렙모델(11a)과 종속프렙모델(11b)로부터 상기 대상치아이미지(2)에 대응되는 가상프렙모델(12)을 추출한다. 3 to 4, the
그리고, 상기 가공제어부(20)는 상기 추출된 가상프렙모델(12)을 상기 대상치아이미지(2)에 대응되도록 매칭하여 프렙데이터(13)를 설정하고, 상기 설정된 프렙데이터(13)에 따라 상기 가공툴(41)의 3차원 이동이 제어될 수 있다. The
상세히, 상기 치아 프렙 자동화 장치(100)는 대상치아이미지(2) 획득(s10), 가상프렙모델(12) 추출 및 가상 배치(s20), 프렙데이터(13) 설정(s30), 가공툴(41)의 3차원 이동 제어(s40)와 같은 과정으로 제어될 수 있다. In detail, the tooth
이때, 상기 가공제어부(20)를 통해 상기 가상프렙모델(12)의 추출 및 가상 배치(s20) 과정, 프렙데이터(13)의 설정(s30)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At this time, extraction and virtual placement (s20) of the
여기서, 도 5a 내지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가공제어부(20)는 상기 대상치아이미지(2)에 프렙기준면(p)을 설정하되, 상기 프렙기준면(p)의 상부측 표준가공영역(2a)에 대응되도록 상기 가상프렙모델(12)을 추출한다. 5A and 5B, the
이때, 상기 프렙기준면(p)은 상기 대상치아이미지(2)에 표시된 잇몸부 경계라인(3)으로부터 기설정된 안전거리로 이격되도록 설정되며, 상기 안전거리는 상기 가공툴(41)을 통한 절삭 가공시 잇몸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거리를 의미한다. At this time, the preparation reference surface p is set to be spaced from the
물론, 상기 잇몸부 경계라인(3)은 색상 및 음영 차 등을 이용한 이미지알고리즘에 의해 자동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수동으로 입력되어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Of course, the
그리고, 상기 설정된 프렙기준면(p)에 의해 대상치아이미지(2)가 상부측 표준가공영역(2a)과 하부측 편차기저영역(2b)으로 분할될 수 있다. 상세히, 표준가공영역(2a)은 실질적인 절삭 가공이 수행되는 영역을 의미하며, 편차기저영역(2b)은 절삭 가공이 수행되지 않는 잇몸부와 인접한 영역을 의미한다. The
여기서, 상기 편차기저영역(2b)은 대상자별로 다양한 편차가 존재하는 부분으로 표준화가 어려우므로, 인공적으로 절삭 가공되는 표준가공영역(2a)에 대한 3차원 외형정보가 표준화되어 디지털 프렙모델 라이브러리(11)로 구비될 수 있다. Since the
그리고, 상기 가공제어부(20)는 표준가공영역(2a)을 기준으로 기준치수조건(m,k,h)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프렙기준면(p)으로부터 상기 대상치아이미지(2)의 저작면 최저점까지의 높이, 상기 프렙기준면(p)에 대응되는 상기 대상치아이미지(2)의 단면(2c) 폭(k), 두께(m) 등이 기준치수조건으로 추출될 수 있다. Then, the
이때, 상기 기준치수조건(m,k,h)에 따라 상기 디지털 프렙모델 라이브러리(11)로부터 하나의 표준프렙모델(11a)이 선택되어 상기 대상치아이미지(2)의 표준가공영역(2a)에 대응되는 가상프렙모델(12)로 추출될 수 있다.At this time, one
이처럼, 상기 기준치수조건(m,k,h)이 상기 표준가공영역(2a)에서 최하단측 최소단면부인 프렙기준면(p)을 기준으로 추출되므로 상기 기준치수조건(m,k,h)에 의해 추출된 가상프렙모델(12)이 최종보철물의 삽입을 위한 상협하광의 기본조건을 만족할 수 있으며, 상기 가상프렙모델(12)에 따른 절삭 가공시 대상치아에 대한 삭제율이 최소화될 수 있다. Since the reference dimension conditions (m, k, h) are extracted based on the reference surface p, which is the lowermost end face of the
또한, 디지털 프렙모델 라이브러리(11)를 통해 표준화된 프렙완료상태에 대한 3차원 외형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어 구비되므로 대상치아이미지(2)로부터 수치화된 몇가지 선택항목을 추출하는 단순한 과정을 통해 가상프렙모델(12)이 추출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three-dimensional outer shape information of the preprepared state standardized through the digital
즉, 기준수치조건에 따라 표준화된 3차원 외형정보 중 하나로 대상치아의 목표삭제형상이 설정되므로 복잡한 설계과정이 생략되어 신속하면서도 시술자의 숙련도와 무관한 높은 정확도로 최종보철물의 결합에 적합하되 삭제율이 최소화된 치아 프렙이 가능하다. That is, since the target erasure shape of the target tooth is set as one of the standardized three-dimensional outer shap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ference numerical condition, the complicated design process is omitted, and it is suitable for the combination of the final prosthesis with high accuracy irrespective of the proficiency of the operator, This minimized tooth preparation is possible.
이때, 상기 추출된 가상프렙모델(12)이 상기 표준가공영역(2a)의 최하단인 프렙기준면(p)의 상면부를 따라 가상 배치되어, 상기 대상치아이미지(2)에 매칭된다. At this time, the extracted
여기서, 상기 가상프렙모델(12)이 상기 대상치아이미지(2)에 매칭된다는 말은 상기 가상프렙모델(12)의 영역좌표가 상기 표준가공영역(2a)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표준가공영역(2a) 내에 가상 배치된다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fact that the
이때, 매칭 과정의 신속성 및 정확성 개선을 위해, 상기 대상치아이미지(2) 단면(2c)에는 면적중심점과 같은 프렙기준점(n)이 설정되되 상기 가상프렙모델(12)의 하면부에는 상기 프렙기준점(n)과 정렬을 위한 배치기준점(s)이 기설정됨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n order to improve the promptness and accuracy of the matching process, a preparation reference point n such as an area center point is set on the
물론, 상기 가상프렙모델(12)은 기준치수조건만으로 추출되는 것도 가능하나, 기준치수조건에 따른 1차 필터링과 함께 부피점유율을 이용한 2차 필터링 과정을 추가하여 추출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Of course, although the
상세히, 상기 가공제어부(20)는 기준치수조건에 따른 상기 표준프렙모델(11a)과 함께 그에 종속된 종속프렙모델(11b)을 예비프렙모델로 추출할 수 있다. In detail, the
즉, 상기 디지털 프렙모델 라이브러리(11)에 포함된 다수의 3차원 외형정보가 기준치수조건에 따라 1차 필터링되어 예비프렙모델로 추출된다. That is, a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outer shap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igital
그리고, 상기 추출된 예비프렙모델이 상기 대상치아이미지(2)의 표준가공영역(2a)에 순차적으로 가상 배치되어, 상기 표준가공영역(2a)에 대한 부피점유율이 산출된다. Then, the extracted preliminary preparation model is sequentially arranged in the
이때, 상기 예비프렙모델은 프렙기준면(p)과 프렙기준점(n)을 통해 상기 표준가공영역(2a)에 가상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부피점유율은 상기 표준가공영역(2a) 내에서 상기 예비프렙모델이 차지하는 부피의 비율을 의미한다. At this time, the preliminary prep model can be virtually arranged in the
그리고, 상기 추출된 예비프렙모델 중 상기 대상치아이미지(2)의 표준가공영역(2a)에 내포되되, 상기 부피점유율이 최대인 하나가 상기 가상프렙모델(12)로 선택될 수 있다. One of the extracted preprepene models, which is contained in the
여기서, 상기 예비프렙모델이 상기 표준가공영역(2a)에 내포된다는 의미는 상기 가상 배치된 예비프렙모델의 영역좌표와 상기 표준가공영역(2a)의 외면좌표 간에 교점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The meaning that the preliminary prep model is contained in the
즉, 상기 예비프렙모델이 상기 대상치아이미지(2)에 가상 배치되면, 상기 가공제어부(20)는 상기 예비프렙모델의 영역좌표와 상기 표준가공영역(2a)의 외면좌표가 상호 비교되는 단계와, 상기 표준가공영역(2a)의 외면좌표와 교점을 갖는 예비프렙모델이 필터링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preliminary prep model is virtually arranged in the
이에 따라, 상기 대상치아의 절삭가공을 통해 형성 가능한 외형을 가지면서도 상기 대상치아에 대한 삭제율이 더욱 감소되는 고정밀도의 가상프렙모델이 추출될 수 있다. Accordingly, a high-precision virtual prep model having an outer shape that can be formed through the cutting process of the target tooth and further reducing the erosion rate with respect to the target tooth can be extracted.
또한, 디지털 프렙모델 라이브러리에 포함된 다수의 3차원 외형정보 중 기준치수조건을 통해 1차 필터링되어 추출된 예비프렙모델에 대해서만 세부적인 조건 비교가 수행되므로 연산처리량의 절감을 통해 가상프렙모델의 추출속도가 개선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detailed condition comparison is performed only for the preliminary prep model extracted from the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outer shape information included in the digital prep model library through the first dimension filtering, the extraction of the virtual prep model The speed can be improved.
한편, 도 3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가공제어부(20)는 상기 추출된 가상프렙모델(12)이 가상 배치되면(s20), 상기 가상 배치된 가상프렙모델(12)의 외면으로부터 상기 대상치아이미지(2)의 외면까지의 영역좌표를 프렙데이터(13)로 설정할 수 있다(s30). 3 to 5C, when the extracted
즉, 상기 매칭된 가상프렙모델(12) 및 상기 대상치아이미지(2) 간의 중복영역좌표가 상기 표준가공영역(2a)으로부터 제거되면, 상기 중복영역좌표가 제거된 상기 표준가공영역(2a)의 영역좌표가 상기 프렙데이터(13)로 설정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overlapped area coordinates between the matched
이때, 상기 가상프렙모델(12)이 가상 배치되면, 상기 가공제어부(20)는 프렙데이터(13)의 설정과 함께 크라운 등의 최종보철물에 대한 설계정보를 설정함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상기 가상 배치된 가상프렙모델(12)의 외면에 대응되는 내면부를 갖도록 상기 최종보철물의 설계정보가 설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이때, 상기 최종보철물의 외면부는 상기 표준가공영역(2a)의 외면에 대응되도록 설정되는 것도 가능하나, 상기 프렙대상부에 인접한 주변 치아, 상기 프렙대상부의 치아 종류, 상기 프렙대상부와 대향되는 대합치아의 저작면 높이 등을 고려하여 설계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outer surface portion of the final prosthesis may be set to correspon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이처럼, 최종보철물의 설치를 위해 대상치아의 삭제 형상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최종보철물의 설계정보가 동시에 획득될 수 있으므로 프렙 공정 후 별도의 인상을 채득하는 번거로운 과정이 제거될 수 있으며 프렙 공정과 동시에 기제조된 최종보철물을 즉시 식립할 수 있는 기반 기술이 제공될 수 있다. Since the design information of the final prosthesis can be obtained at the same time 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the shape of the target tooth for the installation of the final prosthesis, the cumbersome process of preparing a separate impression after the preprocessing process can be eliminated, An underlying technique capable of immediately placing the manufactured final prosthesis can be provided.
한편, 상기 가공제어부(20)는 상기 설정된 프렙데이터(13)를 통해 상기 가공툴(41)의 3차원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s40). Meanwhile, the
이때, 상기 가공제어부(20)가 상기 가공툴(41)의 3차원 이동을 제어한다는 말은 상기 가공제어부(40)가 상기 설정된 프렙데이터(13)를 상기 툴가공부(42)의 제어신호로 전송한다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The
이에 따라, 상기 3차원가공부(40)가 구동되어 상기 프렙대상부가 상기 가상프렙모델(12)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자동 절삭 가공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three-
이처럼, 디지털 프렙모델 라이브러리(11) 및 대상치아이미지(2)의 기준치수조건을 통해 대상치아의 목표삭제형상인 프렙데이터(13)가 신속하면서도 정확하게 설정되되, 설정된 프렙데이터(13)에 따라 3차원가공부(40)가 제어되어 대상치아가 자동 절삭 가공되므로 프렙 공정의 편의성 및 정확성이 개선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한편, 상기 가공제어부(20)는 상기 거리검출부(43) 및 상기 스캔부(44)를 통해 상기 가공툴(41)의 실질가공좌표를 산출하되, 상기 가상프렙모델(12)의 외면좌표에 따라 상기 실질공간좌표의 이동한계영역을 설정하여 상기 가공툴(41)의 3차원 이동을 제어함이 바람직하다. The
즉, 상기 가공제어부(20)는 상기 가공툴(41)의 실질공간좌표 및 상기 가상프렙모델의 외면좌표가 상호 미중첩되도록 상기 가공툴(41)의 3차원 이동을 제어한다. That is, the
상세히, 상기 가공툴(41)의 현재 위치에서 상기 스캔부(44)를 통해 기준이미지가 획득되면, 상기 기준이미지 및 상기 대상치아이미지(2)의 정합을 통해 상기 프렙대상부를 기준으로 한 가공툴(41)의 방향이 산출될 수 있다. In detail, when the reference image is acquired through the
여기서, 상기 기준이미지 및 상기 대상치아이미지(2) 간의 정합은 상기 프렙기준면(p) 및 상기 대상치아이미지(2) 간의 교집합 좌표영역을 기준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Here, the matching between the reference image and the target tooth image (2) is preferably based on an intersection coordinate area between the preparation surface (p) and the target tooth image (2).
이때, 상기 프렙기준면(p) 및 상기 대상치아이미지(2) 간의 교집합 좌표영역은 상기 편차기저영역(2b)의 상단 테두리를 의미한다. In this case, the intersection coordinate area between the prep reference plane (p) and the target tooth image (2) means the upper edge of the deviation base area (2b).
즉, 상기 편차기저영역(2b)은 상기 가공툴(41)을 통한 절삭 가공시 실질적인 절삭 가공이 수행되지 않는 부분으로 프렙 공정의 시작부터 완료시까지 동일한 외형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편차기저영역(2b)의 상단 테두리가 상기 가공툴(41)의 실질공간좌표 산출을 위한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That is, the
그리고, 상기 산출된 가공툴(41)의 방향에 상기 거리검출부(43)를 통해 검출된 기준거리가 적용되면 상기 프렙대상부를 기준으로 한 상기 가공툴(41)의 실질공간좌표가 산출될 수 있다. When the reference distance detected through the
이때, 상기 가공제어부(20)는 상기 가공툴(41)의 실질공간좌표에 상기 프렙데이터(13)를 좌표 매칭한다. 즉, 상기 프렙데이터(13)의 영역좌표가 상기 가공툴(41)의 실질공간좌표계에 대응되도록 변환되어 상기 툴구동부(42)로 전송된다. At this time, the
이처럼, 상기 거리검출부(43) 및 스캔부(44)를 통해 가공툴(41)의 실질공간좌표가 검출되되, 프렙데이터(13) 및 실질공간좌표의 매칭에 따라 상기 가공툴(41)의 3차원 이동이 제어되어 대상치아가 자동 절삭 가공되므로 프렙 공정의 편의성 및 정확성이 개선될 수 있다. The actual space coordinates of the
그리고, 상기 프렙데이터(13)가 좌표 매칭되면, 상기 가상프렙모델(12)의 외면좌표에 따라 상기 실질공간좌표의 이동한계영역이 설정되어 상기 가공툴(41)의 3차원 이동이 제어된다. When the
즉, 상기 가공툴(41)의 실질공간좌표가 상기 가상프렙모델의 외면좌표와 미중첩되도록 상기 가공툴(41)의 3차원 이동이 제어된다. That is, the three-dimensional movement of the
이에 따라, 상기 가공툴(41)의 절삭단부가 상기 가공프렙모델(12)의 내부영역으로 침범되지 않도록 상기 3차원가공부(40)의 가공궤적이 제어될 수 있으며, 상기 가공툴(41)의 3차원 이동에 따라 절삭된 프렙대상부와 상기 가상프렙모델(12)의 외형이 일치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machining locus of the three-
이때, 상기 가공툴(41)의 3차원 이동을 통해 상기 프렙대상부에 대한 프렙 공정이 수행되면, 상기 기준거리가 실시간으로 검출되되, 상기 가공제어부(20)는 상기 기준거리를 상기 가공거리와 비교한다. When the preprocessing process is performed on the preprocessing unit through the three-dimensional movement of the
여기서, 상기 가공거리는 상기 가공툴(41)의 절삭단부를 상기 프렙대상부의 대상치아가 절삭 가공될 수 있는 거리를 의미한다. 즉, 상기 가공거리는 상기 가공툴(41)의 절삭단부 및 상기 프렙대상부가 밀착된 상태인 0으로부터 가공툴(41)의 가공진동을 고려한 미세한 간격으로 설정될 수 있다. Here, the machining distance is a distance at which the cutting edge of the
그리고, 상기 기준거리가 기설정된 가공거리를 초과하면, 상기 실질공간좌표가 재산출되고, 상기 재산출된 실질공간좌표에 따라 상기 프렙데이터(13)의 좌표 매칭 및 후속 과정이 반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대상자의 구강 내부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프렙 공정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If the reference distance exceeds the predetermined machining distance, the actual space coordinates are re-calculated, and the coordinate matching and subsequent processes of the
한편, 상기 가공제어부(20)는 상기 가공툴(41)에 대응되는 가상가공툴을 상기 실질공간좌표에 따라 상기 대상치아이미지(2)에 가상 배치하여 프렙시뮬레이션이미지를 생성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여기서, 상기 가상가공툴은 상기 가공툴(41)에 대응되는 형상의 3차원 외형정보를 의미하며, 상기 프렙시뮬레이션이미지는 상기 가상가공툴이 가상 배치된 대상치아이미지를 의미한다. Here, the virtual machining tool means three-dimensional outline information of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이때, 상기 프렙시뮬레이션이미지가 생성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42)의 일측 및 타측에 상기 기준이미지 및 상기 프렙시뮬레이션이미지가 비교 출력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prep simulation image is generated, the reference image and the prep simulation image may be output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그리고, 상기 가공제어부(20)는 상기 가상가공툴의 3차원 이동을 상기 실질공간좌표에 대응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프렙대상부에 수행되는 실질적인 프렙 공정과 계획된 프렙 공정이 용이하게 비교 검증 및 확인될 수 있다. Then, th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치아 프렙 자동화 장치 10: 데이터저장부
20: 가공제어부 30: 베이스지지유닛
40: 3차원가공부100: Automatic tooth cleaning apparatus 10: Data storage unit
20: machining control unit 30: base support unit
40: Three Dimensional Study
Claims (5)
상기 프렙대상부가 절삭 가공되도록 툴구동부에 결합되어 3차원 이동되는 가공툴과, 상기 가공툴의 절삭단부로부터 상기 프렙대상부까지의 기준거리를 실시간 검출하는 거리검출부와, 상기 프렙대상부에 대한 기준이미지를 촬상하는 스캔부를 포함하는 3차원가공부; 및
상기 디지털 프렙모델 라이브러리로부터 추출된 가상프렙모델을 상기 대상치아이미지에 매칭하여 프렙데이터를 설정하되, 상기 설정된 프렙데이터에 따라 상기 가공툴의 3차원 이동을 제어하는 가공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디지털 프렙모델 라이브러리는 기준치수조건을 선택항목으로 갖도록 표준화된 프렙완료상태의 3차원 외형정보로 구비된 복수의 표준프렙모델을 포함하되,
상기 가공제어부는 프렙기준면에 의해 분할된 상기 대상치아이미지 상부측 표준가공영역의 기준수치조건을 산출하여 상기 표준프렙모델로부터 상기 가상프렙모델을 추출하고, 상기 거리검출부 및 상기 스캔부를 통해 상기 가공툴의 실질공간좌표를 산출하되 상기 가상프렙모델의 외면좌표에 따라 상기 실질공간좌표의 이동한계영역을 설정하여 상기 가공툴의 3차원 이동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프렙 자동화 장치. A data storage unit for storing a digital prep model library including a plurality of three-dimensional outer shape information on a target tooth image for a predetermined preparation target portion in a mouth of a subject and a standardized preparation completion state;
A distance detection unit that detects a reference distance from a cutting end of the machining tool to the target portion in real time; a distance detection unit that detects a reference distance to the target portion A three-dimensional grating including a scanning unit for picking up an image; And
And a machining control unit for setting the prep data by matching the virtual prep model extracted from the digital prep model to the target tooth image and controlling the three-dimensional movement of the machining tool according to the set prep data,
Wherein the digital prep model library includes a plurality of standard prep models, which are provided as three-dimensional outline information of a prep finished state standardized to have a standard dimension condition as a selection item,
Wherein the machining control unit calculates a reference numerical condition of a standard machining area on the upper side of the target tooth image divided by the workpiece reference plane to extract the virtual preparation model from the standard preparation model, Wherein the three-dimensional movement of the processing tool is controlled by calculating a substantial space coordinate of the virtual space model and setting a movement limit region of the substantial space coordinate according to the outer coordinate of the virtual prep model.
상기 가공제어부는 상기 기준이미지 및 상기 대상치아이미지의 정합시 상기 기준거리에 따라 상기 실질공간좌표를 산출하되,
상기 기준거리를 기설정된 가공거리와 실시간 비교하여, 상기 가공거리를 초과하는 기준거리의 검출시 상기 실질공간좌표를 재산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프렙 자동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chining control unit calculates the substantial space coordinates according to the reference distance when matching the reference image and the target tooth image,
Wherein the reference distance is compared with a predetermined machining distance in real time, and the actual space coordinate is re-calculated when a reference distance exceeding the machining distance is detected.
상기 디지털 프렙모델 라이브러리는 상기 각 표준프렙모델에 종속되되 상기 종속된 표준프렙모델로부터 구분되는 3차원 외형정보를 갖도록 세분화된 복수의 종속프렙모델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공제어부는 상기 기준치수조건에 따라 표준프렙모델과 종속프렙모델을 1차 추출하고, 1차 추출된 복수 중 상기 표준가공영역에 대한 부피점유율이 최대인 하나를 상기 가상프렙모델로 추출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프렙 자동화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digital prep model library further comprises a plurality of dependent prep models subdivided to have three-dimensional outline information dependent on each standard prep model and distinguished from the dependent standard prep models,
The machining control unit firstly extracts the standard preparation model and the dependent preparation model according to the reference dimension condition and extracts one of the plurality of extracted primary extraction regions having the largest volume occupancy rate for the standard processing region as the virtual preparation model A feature of a tooth preparation automation device.
상기 기준이미지를 실시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공제어부는 상기 가공툴에 대응되는 가상가공툴을 상기 대상치아이미지에 가상 배치하여 프렙시뮬레이션이미지를 생성하되,
상기 프렙시뮬레이션이미지 및 상기 기준이미지가 비교 출력되도록 상기 실질공간좌표에 따라 상기 가상가공툴의 3차원 이동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 프렙 자동화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And a display unit for outputting the reference image in real time,
Wherein the machining control unit creates a prep simulation image by virtually arranging a virtual machining tool corresponding to the machining tool in the image of the target tooth,
Wherein the three-dimensional movement of the virtual processing tool is controlled according to the substantial space coordinates so that the pre-simulation image and the reference image are compared and output.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163304A KR101810038B1 (en) | 2016-12-02 | 2016-12-02 | automatic dental preparation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163304A KR101810038B1 (en) | 2016-12-02 | 2016-12-02 | automatic dental preparation system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810038B1 true KR101810038B1 (en) | 2017-12-26 |
Family
ID=60936827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60163304A Active KR101810038B1 (en) | 2016-12-02 | 2016-12-02 | automatic dental preparation system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810038B1 (en)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0368130A (en) * | 2019-07-31 | 2019-10-25 | 上海正雅齿科科技股份有限公司 | Mouth sweeps equipment, mouth sweeps method and diagnosis and therapy system |
| KR102057207B1 (en) | 2018-04-30 | 2019-12-18 | 주식회사 디디에스 | Method for analizing 3d oral model and method for designing virtual prosthetics having the same |
| KR102138921B1 (en) | 2019-04-25 | 2020-07-28 |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 Method for generating margin line of prep model in prosthesis design and prosthetic CAD apparatus therefor |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3720221B2 (en) | 1999-08-10 | 2005-11-24 |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 Dental practice method using a reconstructed image, dental practice system,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realizing the method, dental display system using a reconstructed image,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realizing the system |
| WO2011030906A1 (en) | 2009-09-14 | 2011-03-17 | 国立大学法人東北大学 | Tooth-cutting device and method |
| KR101067989B1 (en) * | 2009-06-30 | 2011-09-26 | 이한나 | Dental Molding Method and System with Minimal Tooth Deletion and Recording Media therefor |
| KR101542867B1 (en) * | 2014-02-28 | 2015-08-07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dental restorations and system including the apparatus |
| KR101653494B1 (en) | 2015-04-30 | 2016-09-01 | 김양수 | The method and system for fine operation of tooth |
-
2016
- 2016-12-02 KR KR1020160163304A patent/KR101810038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3720221B2 (en) | 1999-08-10 | 2005-11-24 | 株式会社モリタ製作所 | Dental practice method using a reconstructed image, dental practice system,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realizing the method, dental display system using a reconstructed image,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a program realizing the system |
| KR101067989B1 (en) * | 2009-06-30 | 2011-09-26 | 이한나 | Dental Molding Method and System with Minimal Tooth Deletion and Recording Media therefor |
| WO2011030906A1 (en) | 2009-09-14 | 2011-03-17 | 国立大学法人東北大学 | Tooth-cutting device and method |
| KR101542867B1 (en) * | 2014-02-28 | 2015-08-07 |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dental restorations and system including the apparatus |
| KR101653494B1 (en) | 2015-04-30 | 2016-09-01 | 김양수 | The method and system for fine operation of tooth |
Cited By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057207B1 (en) | 2018-04-30 | 2019-12-18 | 주식회사 디디에스 | Method for analizing 3d oral model and method for designing virtual prosthetics having the same |
| KR102138921B1 (en) | 2019-04-25 | 2020-07-28 |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 Method for generating margin line of prep model in prosthesis design and prosthetic CAD apparatus therefor |
| CN110368130A (en) * | 2019-07-31 | 2019-10-25 | 上海正雅齿科科技股份有限公司 | Mouth sweeps equipment, mouth sweeps method and diagnosis and therapy system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810040B1 (en) | control method for automatic dental preparation system | |
| US12048512B2 (en) | Systems for using rescan data for dental procedures | |
| KR102057207B1 (en) | Method for analizing 3d oral model and method for designing virtual prosthetics having the same | |
| US7695281B2 (en) | Method and system for designing a dental replacement | |
| EP1869403B1 (en) | System and method for scanning an intraoral cavity | |
| US7865261B2 (en) | Method and device for producing dental prosthesis elements | |
| US7899221B2 (en) | Devices and methods for producing denture parts | |
| Kim et al. | Trueness of milled prostheses according to number of ball-end mill burs | |
| JP4726413B2 (en) | Methods for three-dimensional measurement and digitization of gypsum molds or positive models | |
| US7454843B2 (en) | Measured object mounting tool and production method of three-dimensional shape data of dental prosthesis using that tool | |
| JPWO2009035142A1 (en) | Dental prosthesis measurement processing system | |
| JP2010533008A (en) | Synchronous view of video data and 3D model data | |
| KR101810038B1 (en) | automatic dental preparation system | |
| US12350126B2 (en) | Method generation of a sub-gingival surface of a tooth | |
| US8857058B2 (en) | Method and system for making dental restorations | |
| KR20020016465A (en) | 3-dimensional Shape Scanner and 3-dimensional Shape Scanning Method | |
| KR20250008695A (en) | Method,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commands for processing scanned image of intraoral scanner | |
| Rekow et al. | A Review of Developments in Computer-Based Systems to Image Teeth and Produce Dental Restorations | |
| HK1147413A (en) | Dental inlay graft measuring/machining system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1202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8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29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2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12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1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1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1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