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2421B1 - Connecto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onic parts - Google Patents
Connecto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onic part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12421B1 KR101812421B1 KR1020160108471A KR20160108471A KR101812421B1 KR 101812421 B1 KR101812421 B1 KR 101812421B1 KR 1020160108471 A KR1020160108471 A KR 1020160108471A KR 20160108471 A KR20160108471 A KR 20160108471A KR 101812421 B1 KR101812421 B1 KR 10181242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de wall
- contact terminal
- elastic contact
- base
- termin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자부품 접속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기기에서 한쪽은 기판에 실장되어 전자기기 내의 하나의 전자부품에 접속되고, 다른 쪽은 기판에 접속된 부분에서 일체로 돌출되게 연장된 컨택트편이 전자기기의 다른 전자부품의 단자와 탄성적으로 접촉하여 2개의 전자부품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for connecting an electronic compon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nector for connecting an electronic component, in which one of the contact pieces is mounted on a board and connected to one electronic component in the electronic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which elastically contacts a terminal of another electronic component of the electronic device to electrically connect the two electronic components to each other.
최근 모바일 기기와 같은 전자기기들이 소형화 및 박형화되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전자기기에 내장되는 전자부품들도 소형화 및 박형화될 것이 요구된다. 일예로, 전자기기의 기판에 실장된 전자부품(예: 디스플레이 모듈)과 다른 전자부품(예: 배터리)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커넥터가 아래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알려져 있다. Recently, electronic devices such as mobile devices are becoming smaller and thinner. Accordingly, it is required that the electronic parts built in the electronic equipment are also downsized and thinned. For example, a connecto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onic components (e.g., a display module) and other electronic components (e.g., batteries) mounted on a substrate of an electronic device to each other i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below.
아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종래의 커넥터는 전자부품과 탄성적으로 접촉하는 가동부(컨택트 부재)가 1개뿐이므로 전자부품과 안정적인 접촉을 얻기 어렵다. 뿐만아니라 가동부가 얇은 금속 박판으로 구부림성형하여 만들어지므로 가동부의 탄성 복원력이 약해서 전자부품과 가동부가 탄성적으로 접촉한 상태에서 예측치 못한 외력이 가해지거나 허용치보다 더 큰 외력이 가해지면 접촉부분이 분리되거나 소성변형되면서 커넥터로서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In the conventional connector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below, since there is only one movable portion (contact member) elastically contacting the electronic component, it is difficult to obtain stable contact with the electronic component. In addition, since the movable part is formed by bending-molding with a thin metal thin plate, when an unexpected external force is applied in a state where the resilient restoring force of the movable part is weak and the electronic part and the movable part are in elastic contact or an external force larger than the allowable value is applied, And it can not exhibit its function as a connector due to plastic deformation.
또한, 종래의 커넥터는 가동부의 주위(좌우측)이 개방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외부에서 먼지 이물질이 침입하기 쉽고, 이에 따라 접촉불량의 고장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connector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periphery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vable portion is opened, dust foreign matter tends to invade from the outside, thereby causing failure of contact failure.
본 발명은 상기 종래 커넥터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단일 접점구조에서 이중 접점구조로 개량하여 단일 접점구조의 종래 커넥터보다 접촉저항 감소 및 허용 전류의 증대시킬 수 있고, 소형 및 박형이면서도 전자부품과 안정적인 접촉을 유지할 수 있으며, 외력에 대한 강성이 높아서 수명이 길며, 외부에서 이물질 침입을 차단하여 외부 이물질 침입에 의한 접촉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부품 접속용 커넥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 of the conventional connecto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mproved from a single contact structure to a double contact structure to reduce the contact resistance and increase the allowable current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connector having a single contact structure, And is capable of preventing contact failure due to intrusion of foreign matter by preventing intrusion of foreign matter from the outside, thereby providing a connector for connecting an electronic par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커넥터는,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얇은 도전성 금속재 박판을 구부림성형하여 일체로 구성되며, A thin conductive metal foil sheet is integrally formed by bending,
전방 선단, 후방 선단, 좌측 선단, 우측 선단을 가지고, 저면이 전자기기의 기판에 접합되어 고정되는 베이스; A base having a front end, a rear end, a left end, and a right end, the bottom of which is fixed to the substrate of the electronic device;
상기 베이스의 전방 선단에서 상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된 제1연결부; A first connection part integrally extending upward from a front end of the base;
상기 제1연결부의 상측 끝단에서 상기 베이스의 후방 선단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일체로 연장되고 자유단이 상기 베이스를 향하게 곡형으로 구부림 성형되어 상단면에 전자부품의 단자부와 접촉하는 제1접촉부를 구비한 제1탄성 접촉단자; And a first contact portion extending integrally up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toward the rear end of the base and having a free end bent in a curved shape toward the base and contacting the terminal portion of the electronic component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1 elastic contact terminal;
상기 베이스의 후방 선단에서 상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된 제2연결부; A second connection part integrally extending upward from a rear end of the base;
상기 제2연결부의 상측 끝단에서 상기 제1탄성 접촉단자와 엇갈리게 상기 베이스의 전방 선단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일체로 연장되고 자유단이 상기 베이스를 향하여 곡형으로 구부림 성형되어 상단면에 상기 전자부품의 단자부와 접촉하는 제2접촉부를 구비한 제2탄성 접촉단자; And a free end extending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toward the front end of the base so as to be offset from the first resilient contact terminal and bent at a free end toward the base, A second elastic contact terminal having a second contact portion to be in contact therewith;
상기 베이스의 좌측 선단에서 상측으로 일체로 연장된 좌측 측벽; A left sidewall extending integrally upward from a left front end of the base;
상기 베이스의 우측 선단에서 상측으로 일체로 연장된 우측 측벽; A right sidewall extending integrally from the right end of the base upward;
상기 좌측 측벽의 길이방향 전방 선단에서 우측 측벽의 길이방향 전방 선단을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된 제1 전방 측벽과, 상기 우측 측벽의 길이방향 전방 선단에서 상기 제1 전방 측벽을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된 제2전방 측벽으로 이루어진 전방 측벽; 및 A first front side wall extending from a longitudinal front end of the left side wall toward a longitudinal front end of the right side wall and a second front side wall extending from the longitudinal front end of the right side wall toward the first front side wall, A front side wall made of a metal; And
상기 좌측 측벽의 길이방향 후방 선단에서 상기 우측 측벽의 길이방향 후방 선단을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된 제1 후방 측벽과, 상기 우측 측벽의 길이방향 후방 선단에서 상기 제1 후방 측벽을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된 제2후방 측벽으로 이루어진 후방 측벽;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된다. A first rear sidewall extending from the longitudinal rearward end of the left side wall toward the longitudinal rearward end of the right sidewall and a second rear sidewall extending from the longitudinal rearward end of the right sidewall toward the first rear sidewall, And a rear side wall formed of side walls.
또, 본 발명의 커넥터는, 상기 좌측 측벽과 우측 측벽이 각각 제1탄성 접촉단자와 제2탄성 접촉단자의 측편 외측을 가려주도록 배치되고, 상기 전방 측벽과 후방 측벽은 각각 제1탄성 접촉단자와 제2탄성 접촉단자의 각 전후방 선단을 가려주도록 배치되어 외부의 이물질이 탄성 접촉단자의 영역안으로 침입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sidewall and the right sidewall are disposed so as to cover the outer sides of the first elastic contact terminal and the second elastic contact terminal, respectively, and the front sidewall and the rear sidewall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irst elastic contact terminal And the second elastic contact terminals are disposed so as to cover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second elastic contact terminals so that foreign substances can be prevented from intruding into the region of the elastic contact terminals.
또, 본 발명의 커넥터는, 상기 제1탄성 접촉단자의 연결부가 상기 전방 측벽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탄성 접촉단자의 연결부는 상기 후방 측벽의 외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first resilient contact terminal is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front side wall, and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second resilient contact terminal is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rear side wall.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의 변형 실시예는, 상기 제1탄성 접촉단자의 연결부가 상기 전방 측벽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탄성 접촉단자의 연결부는 상기 후방 측벽의 내측에 배치된 것에 특징이 있다. In a modified embodiment of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first resilient contact terminal is disposed inside the front side wall, and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second resilient contact terminal is disposed inside the rear side wall have.
또, 본 발명의 커넥터는 상기 좌측 측벽이, 상단면 일부분이 우측 측벽의 상단을 향하여 수평으로 연장되게 구부림변형된 제1받침편을 구비하고, 상기 우측 측벽은 상단면 일부분이 상기 제1받침편과 같은 높이로 제1받침편을 향하여 수평으로 연장되게 구부림변형된 제2받침편을 구비하여, 전자부품이 상기 제1탄성 접촉단자와 제2탄성 접촉단자를 눌러줄 때, 전자부품의 저면에 맞닿아 전자부품의 최대 가압 양을 제한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n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left side wall has a first support piece bent and deformed such that a part of the upper end surface extends horizontally toward the upper end of the right side wall, And a second support piece bent and deformed to extend horizontally toward the first support piece with a height equal to that of the first support piece. When the electronic component presses the first resilient contact terminal and the second resilient contact terminal, And the maximum pressing amount of the electronic parts is limited.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는 상기 제1탄성 접촉단자가, 자유단이 제1탄성 접촉단자의 내측면을 향하여 곡형으로 구부림성형되어 구비된 제1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탄성 접촉단자는, 자유단이 제2탄성 접촉단자의 내측면을 향하여 곡형으로 구부림성형되어 구비된 제2지지부를 구비하여, 제1탄성 접촉단자와 제2탄성 접촉단자들이 전자부품에 의해 가압될 때, 상기 제1지지부 및 제2지지부가 상기 베이스에 맞닿아 제1탄성 접촉단자와 제2탄성 접촉단자의 최대 구부림 변형량을 제한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in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esilient contact terminal has a first support portion having a free end bent and curved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first resilient contact terminal, And a second support portion having a free end bent and curved toward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elastic contact terminal, wherein when the first elastic contact terminal and the second elastic contact terminals are pressed by the electronic component, The support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come in contact with the base to limit the maximum amount of bending deformation of the first resilient contact terminal and the second resilient contact terminal.
상기한 본 발명의 커넥터에 의하면, 전자부품의 단자와 접촉하는 탄성 접촉단자를 1쌍으로 구비하여, 단일 접점구조를 이중 접점구조로 개량함으로써 단일 접점구조의 종래 커넥터보다 접촉저항이 감소하여 허용 전류가 증대되고, 전자 부품과의 접촉을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since the pair of resilient contact terminals that come into contact with the terminals of the electronic component are provided, and the single contact structure is improved to the double contact structure, the contact resistance is lowered than the conventional connector of the single contact structure, And the contact with the electronic component can be more stably maintained.
또한, 본 발명의 커넥터는 전방, 후방, 좌측 및 우측 측벽이 1쌍의 탄성 접촉단자의 사방 외측을 둘러싸서 가려주므로, 외부의 이물질이 탄성 접촉단자의 영역안으로 침입하는 것을 차단하여, 외부 이물질 침입에 따른 접속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Further, since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side walls of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cover the four sides of the pair of elastic contact terminals so as to block intrusion of foreign matter into the region of the elastic contact terminal, It is possible to prevent a connection fail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또, 본 발명의 커넥터는 1쌍의 탄성 접촉단자의 자유단이 내측으로 구부려진 곡형으로 이루어져 탄성 접촉단자가 전자부품에 의해 가압될 때, 베이스에 맞닿아 지지되고, 아울러 좌, 우 측벽의 상단면에 전자부품이 탄성 접촉단자를 최대로 눌러주는 양을 제한하므로, 탄성 접촉단자가 소성한계를 초과하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conn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ree ends of the pair of elastic contact terminals are curved inwardly to be in contact with the base when the elastic contact terminals are pressed by the electronic component and the upper ends of the left and right side wall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lastic contact terminal from being deformed beyond the firing limit because the electronic component limits the amount of pressing of the elastic contact terminal to the maximum.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B-B'선 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of a connecto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 '전', '후', '좌', '우', '상', '하'와 같이 방향을 지칭하는 용어는 오직 본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정한 것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the terms referring to directions such as 'before', 'after', 'left', 'right', 'upper', and 'lower' are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only, The scope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본 발명의 커넥터(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제1실시예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제2실시예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얇은 도전성 금속재 박판을 구부림성형하여 일체로 구성되고, 전자기기의 기판에 실장되어 전자부품들을 서로 접속시키는 전자부품 접속용 커넥터이다. As shown in the first embodiment shown in Figs. 1 to 3 and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s. 4 to 6, the
이러한 본 발명의 커넥터(100)의 제1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The first embodiment of the
전방 선단, 후방 선단, 좌측 선단, 우측 선단을 가지고, 저면이 전자기기의 기판에 접합되어 기판의 배선을 통하여 제1전자부품과 통전되는 베이스(10); A base (10) having a front end, a rear end, a left end, and a right end, the bottom of which is joined to the substrate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nic component through the wiring of the substrate;
상기 베이스(10)의 전방 선단에서 상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된 제1연결부(21A)와, 상기 제1연결부(21A)의 상측 끝단에서 상기 베이스(10)의 후방 선단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일체로 연장되고 자유단이 상기 베이스(10)를 향하게 곡형으로 구부림 성형되어 상단면에 돌출되어 전자부품의 단자부와 접촉하는 제1접촉부(23A)와, 자유단이 내측으로 구부림성형되어 이루어진 제1지지부(24A)를 구비한 제1탄성 접촉단자(20A); A
상기 베이스(10)의 후방 선단에서 상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된 제2연결부(21B)와, 상기 제2연결부(21B)의 상측 끝단에서 상기 제1탄성 접촉단자(20A)와 엇갈리게 상기 베이스(10)의 전방 선단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일체로 연장되고, 자유단이 상기 베이스(10)를 향하여 곡형으로 구부림 성형되어 상단면에 상기 전자부품의 단자부와 접촉하는 제2접촉부와, 자유단이 내측으로 완만하게 구부림성형되어 형성된 제2지지부(24B)를 구비한 제2탄성 접촉단자(20B); 상기 베이스(10)의 좌측 선단에서 상측으로 일체로 연장된 좌측 측벽(31); 상기 베이스(10)의 우측 선단에서 상측으로 일체로 연장된 우측 측벽(32); A second connecting
상기 좌측 측벽(31)의 길이방향 전방 선단에서 우측 측벽(32)의 길이방향 전방 선단을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된 제1 전방 측벽(33a)과, 상기 우측 측벽(32)의 길이방향 전방 선단에서 상기 제1 전방 측벽(33a)을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된 제2 전방 측벽(33b)으로 이루어진 전방 측벽(33); 및 A first
상기 좌측 측벽(31)의 길이방향 후방 선단에서 상기 우측 측벽(32)의 길이방향 후방 선단을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된 제1 후방 측벽(34a)과, 상기 우측 측벽(32)의 길이방향 후방 선단에서 상기 제1 후방 측벽(34a)을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된 제2 후방 측벽(34b)으로 이루어진 후방 측벽(34);을 가진다. A first
여기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좌측 측벽(31)과 우측 측벽(32)이 각각 제1탄성 접촉단자(20A)와 제2탄성 접촉단자(20B)의 측편 외측을 가려주도록 배치되고, 상기 전방 측벽(33)과 후방 측벽(34)도 각각 제1탄성 접촉단자(20A)와 제2탄성 접촉단자(20B)의 각 전후방 선단을 가려주도록 배치되어 외부의 이물질이 탄성 접촉단자(20A,20B)의 영역 안으로 침입하는 것을 간단한 구조로써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1 to 3, the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00)는 상기 좌측 측벽(31)의 상단면 일부분이 우측 측벽(32)의 상단을 향하여 수평으로 연장되게 구부림변형되어 제1받침편(31a)을 형성하고, 마찬가지로 상기 우측 측벽(32)은 상단면 일부분이 상기 제1받침편(31a)과 같은 높이로 제1받침편(31a)을 향하여 수평으로 연장되게 구부림변형된 제2받침편(32a)을 구비한다. 이에 따라, 전자부품이 상기 제1탄성 접촉단자(20A)와 제2탄성 접촉단자(20B)를 눌러줄 때, 전자부품의 저면이 상기 제1받침판과 제2받침편(32a)에 맞닿아 전자부품의 최대 가압 양이 일정 량 이상 초과하지 않도록 제한한다. In the
그리고, 본 발명의 커넥터(100)에서, 상기 제1탄성 접촉단자(20A)는, 자유단이 제1탄성 접촉단자(20A)의 내측면을 향하여 곡형으로 구부림성형되어 구비된 제1지지부(24A)를 구비하고, 상기 제2탄성 접촉단자(20B)는, 자유단이 제2탄성 접촉단자(20B)의 내측면을 향하여 곡형으로 구부림성형되어 구비된 제2지지부(24B)를 구비하여, 제1탄성 접촉단자(20A)와 제2탄성 접촉단자(20B)들이 전자부품에 의해 가압될 때, 상기 제1지지부(24A) 및 제2지지부(24B)가 상기 베이스(10)에 맞닿아 지지함으로써 제1탄성 접촉단자(20A)와 제2탄성 접촉단자(20B)의 최대 구부림 변형량을 제한하게 되어 있다. In the
또한, 제1탄성 접촉단자(20A)의 제1접촉부(23A)와 제2탄성 접촉단자(20B)의 제2접촉부는 상단면에서 일정한 높이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전자부품과 확실하게 접촉하게 된다. Since the
한편, 본 발명의 커넥터(100)의 제2실시예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탄성 접촉단자(20A)의 연결부는 상기 전방 측벽(33)의 외측에 배치되고, 또한 상기 제2탄성 접촉단자(20B)의 연결부도 상기 후방 측벽(34)의 외측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2실시예의 경우, 좌측 측벽(31), 우측 측벽(32), 제1탄성 접촉단자(20A)의 연결부, 제2탄성 접촉단자(20B)의 연결부들이 전체적으로 탄성 접촉단자의 외측을 감싸도록 둘러싸고 있으므로, 탄성 접촉단자의 영역안으로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3 to 6,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first
본 발명의 커넥터(100)의 제2실시예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전방 측벽(33)과 후방 측벽(34)에 대한 탄성 접촉단자의 연결부의 상대 위치에 있어서만 제1실시예와 다를 뿐 나머지 구성에 있어서는 제1실시예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한다.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100: 본 발명의 커넥터 10: 베이스
20A: 제1탄성 접촉단자 21A: 제1연결부
22A: 상단면 23A: 제1접촉부
24A: 제1지지부 20B: 제2탄성 접촉단자
21B: 제2연결부 22B: 상단면
23B: 제2접촉부 24B: 제2지지부
31: 좌측 측벽 31a: 제1받침편
32: 후방 측벽 32a: 제2받침편
33: 전방 측벽 33a: 제1전방 측벽
33b: 제2전방 측벽 34: 후방 측벽
34a: 제1후방 측벽 34b: 제2후방 측벽100:
20A: first
22A:
24A:
21B: second connecting
23B:
31:
32:
33:
33b: second front side wall 34: rear side wall
34a: first
Claims (6)
상기 커넥터는,
전방 선단, 후방 선단, 좌측 선단, 우측 선단을 가지고, 저면이 전자기기의 기판에 접합되어 고정되는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의 전방 선단에서 상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된 제1연결부(21A); 상기 제1연결부(21A)의 상측 끝단에서 상기 베이스(10)의 후방 선단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일체로 연장되고 자유단이 상기 베이스(10)를 향하게 곡형으로 구부림 성형되어 상단면(22B)에 전자부품의 단자부와 접촉하는 제1접촉부(23A)를 구비한 제1탄성 접촉단자(20A); 상기 베이스(10)의 후방 선단에서 상방향으로 일체로 연장된 제2연결부(21B); 상기 제2연결부(21B)의 상측 끝단에서 상기 제1탄성 접촉단자(20A)와 엇갈리게 상기 베이스(10)의 전방 선단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일체로 연장되고 자유단이 상기 베이스(10)를 향하여 곡형으로 구부림 성형되어 상단면(22B)에 상기 전자부품의 단자부와 접촉하는 제2접촉부(23B)를 구비한 제2탄성 접촉단자(20B); 상기 베이스(10)의 좌측 선단에서 상측으로 일체로 연장된 좌측 측벽(31); 상기 베이스(10)의 우측 선단에서 상측으로 일체로 연장된 우측 측벽(32); 상기 좌측 측벽(31)의 길이방향 전방 선단에서 우측 측벽(32)의 길이방향 전방 선단을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된 제1 전방 측벽(33a)과, 상기 우측 측벽(32)의 길이방향 전방 선단에서 상기 제1 전방 측벽(33a)을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된 제2 전방 측벽(33b)으로 이루어진 전방 측벽(33); 및 상기 좌측 측벽(31)의 길이방향 후방 선단에서 상기 우측 측벽(32)의 길이방향 후방 선단을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된 제1 후방 측벽(34a)과, 상기 우측 측벽(32)의 길이방향 후방 선단에서 상기 제1 후방 측벽(34a)을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된 제2 후방 측벽(34b)으로 이루어진 후방 측벽(34);을 포함하는 전자부품 접속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좌측 측벽(31)과 우측 측벽(32)은 각각 제1탄성 접촉단자(20A)와 제2탄성 접촉단자(20B)의 측편 외측을 가려주도록 배치되고, 상기 전방 측벽(33)과 후방 측벽(34)은 각각 제1탄성 접촉단자(20A)와 제2탄성 접촉단자(20B)의 각 전후방 선단을 가려주도록 배치되어 외부의 이물질이 탄성 접촉단자의 영역안으로 침입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상기 좌측 측벽(31)은 상단면 일부분이 우측 측벽(32)의 상단을 향하여 수평으로 연장되게 구부림변형된 제1받침편(31a)을 구비하고, 상기 우측 측벽(32)은 상단면 일부분이 상기 제1받침편(31a)과 같은 높이로 제1받침편(31a)을 향하여 수평으로 연장되게 구부림변형된 제2받침편(32a)을 구비하여, 전자부품이 상기 제1탄성 접촉단자(20A)와 제2탄성 접촉단자(20B)를 눌러줄 때, 전자부품의 저면에 맞닿아 전자부품의 최대 가압 양을 제한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1탄성 접촉단자(20A)는, 자유단이 제1탄성 접촉단자(20A)의 내측면을 향하여 곡형으로 구부림성형되어 구비된 제1지지부(24A)를 구비하고, 상기 제2탄성 접촉단자(20B)는, 자유단이 제2탄성 접촉단자(20B)의 내측면을 향하여 곡형으로 구부림성형되어 구비된 제2지지부(24B)를 구비하여, 제1탄성 접촉단자(20A)와 제2탄성 접촉단자(20B)들이 전자부품에 의해 가압될 때, 상기 제1지지부(24A) 및 제2지지부(24B)가 상기 베이스(10)에 맞닿아 제1탄성 접촉단자(20A)와 제2탄성 접촉단자(20B)의 최대 구부림 변형량을 제한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접속용 커넥터. 1. A connector for connecting an electronic part, which is integrally formed by bending a thin conductive metal foil and which is mounted on a substrate of an electronic device to connect the electronic parts to each other,
Wherein the connector comprises:
A base (10) having a front end, a rear end, a left end, and a right end, the bottom of which is fixedly joined to the substrate of the electronic device; A first connection part 21A integrally extended upward from a front end of the base 10; The first connection part 21A extends integrally upward from the upper end of the base 10 toward the rear end of the base 10 and has a free end bent to be curved toward the base 10, A first elastic contact terminal 20A having a first contact portion 23A to be in contact with a terminal portion of the first elastic contact terminal 20A; A second connection part 21B integrally extended up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base 10; Extending upwardly from the upper end of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21B toward the front end of the base 10 so as to be offset from the first elastic contact terminal 20A and having a free end curved toward the base 10 A second elastic contact terminal (20B) having a second contact portion (23B) which is bent and brought into contact with a terminal portion of the electronic component on an upper face (22B); A left sidewall 31 integrally extending upward from the left end of the base 10; A right sidewall 32 integrally extending upward from the right end of the base 10; A first front side wall 33a extending from the longitudinal front end of the left side wall 31 toward the front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ight side wall 32 and a second front side wall 33b extending from the longitudinal front end of the right side wall 32, A front side wall 33 comprising a second front side wall 33b extending toward the front side wall 33a; A first rear side wall 34a extending from the longitudinal rearward end of the left side wall 31 toward the longitudinal rear end of the right side wall 32 and a second rear side wall 34b extending from the longitudinal rear end of the right side wall 32 And a rear side wall (34) composed of a second rear side wall (34b) extending toward the first rear side wall (34a)
The left sidewall 31 and the right sidewall 32 are disposed so as to obscure the outer sides of the side portions of the first resilient contact terminal 20A and the second resilient contact terminal 20B respectively and the front side wall 33 and the rear side wall 34 are arranged so as to cover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first elastic contact terminal 20A and the second elastic contact terminal 20B, respectively, so that foreign substances can be prevented from entering the region of the elastic contact terminal,
The left side wall 31 has a first support piece 31a which is bent and deformed so that a part of the upper end surface extends horizontally toward the upper end of the right side wall 32. The right side wall 32 has a portion And the second support piece 32a is bent and deformed so as to extend horizontally toward the first support piece 31a at the same height as that of the first support piece 31a so that the electronic component is held in contact with the first resilient contact terminal 20A, And the second elastic contact terminal 20B is pressed against the bottom surface of the electronic component so as to limit the maximum pressing amount of the electronic component,
The first elastic contact terminal 20A includes a first support portion 24A having a free end bent and curved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first elastic contact terminal 20A, The first elastic contact terminal 20A and the second elastic contact terminal 20B have a second support portion 24B having a free end bent and curved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elastic contact terminal 20B, When the contact terminals 20B are pressed by the electronic component, the first support portion 24A and the second support portion 24B come in contact with the base 10 and the first elastic contact terminal 20A and the second elastic contact And the maximum bending deformation amount of the terminal (20B) is limited.
상기 제1탄성 접촉단자(20A)의 제1연결부(21A)는 상기 전방 측벽(33)의 외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탄성 접촉단자(20B)의 제2연결부(21B)는 상기 후방 측벽(34)의 외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접속용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1A of the first elastic contact terminal 20A is disposed on the outer side of the front side wall 33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21B of the second elastic contact terminal 20B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wall 34). ≪ / RTI >
상기 제1탄성 접촉단자(20A)의 제1연결부(21A)는 상기 전방 측벽(33)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탄성 접촉단자(20B)의 제2연결부(21B)는 상기 후방 측벽(34)의 내측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접속용 커넥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
The first connection portion 21A of the first resilient contact terminal 20A is disposed inside the front side wall 33 and the second connection portion 21B of the second resilient contact terminal 20B is disposed on the rear side wall 34). ≪ / RTI >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108471A KR101812421B1 (en) | 2016-08-25 | 2016-08-25 | Connecto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onic part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108471A KR101812421B1 (en) | 2016-08-25 | 2016-08-25 | Connecto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onic parts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812421B1 true KR101812421B1 (en) | 2017-12-27 |
Family
ID=60938815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60108471A Active KR101812421B1 (en) | 2016-08-25 | 2016-08-25 | Connecto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onic parts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812421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0061378A (en) * | 2018-01-19 | 2019-07-26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Crimp connect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201397931Y (en) * | 2008-12-15 | 2010-02-03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Electronic card connector |
| JP2010161010A (en) * | 2009-01-09 | 2010-07-22 | Kitagawa Ind Co Ltd | Contact |
| CN202042633U (en) * | 2011-01-20 | 2011-11-16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Conductive terminal |
-
2016
- 2016-08-25 KR KR1020160108471A patent/KR10181242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201397931Y (en) * | 2008-12-15 | 2010-02-03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Electronic card connector |
| JP2010161010A (en) * | 2009-01-09 | 2010-07-22 | Kitagawa Ind Co Ltd | Contact |
| CN202042633U (en) * | 2011-01-20 | 2011-11-16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Conductive terminal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0061378A (en) * | 2018-01-19 | 2019-07-26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Crimp connecto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361970B1 (en) | Coaxial connector having a switch and assembly method thereof | |
| EP2903092B1 (en) | Connector | |
| US7402082B2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retaining shell | |
| KR101556936B1 (en) | Contact terminal on the board | |
| US7258571B1 (en) | Battery connector with retaining board | |
| JP6978872B2 (en) | Assembly of electrical connector for circuit board and mating connector | |
| JP2020047369A (en) | connector | |
| KR101812421B1 (en) | Connecto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electronic parts | |
| CN111525351B (en) | Electrical connector | |
| JP4766338B2 (en) | Card connector with card detection switch | |
| KR102420029B1 (en) | Connector for Flat Cable | |
| JP2016076360A (en) | Coaxial connector | |
| KR20160101322A (en) | Non-contact pin type Electric connector for connecting a FPC to a FPCB | |
| WO2020012768A1 (en) | Electrical connector | |
| JP6057372B2 (en) | connector | |
| US9210824B2 (en) | Support device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ed thereof | |
| KR102420028B1 (en) | Connector for Flat Cable | |
| KR101149798B1 (en) | Side key module for mobile terminal | |
| KR100827961B1 (en) | Connector | |
| WO2012096407A1 (en) | Shield case of receptacle | |
| JP5573490B2 (en) | Push switch | |
| US7964814B2 (en) | Push-push switch with movable terminal | |
| KR101770753B1 (en) | C clip | |
| KR102039511B1 (en) | Contact having multi-point and multi-direction of contact | |
| US9627786B2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contacts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25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24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712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712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2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