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4561B1 - Apparatus for transfer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transf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24561B1 KR101824561B1 KR1020120001335A KR20120001335A KR101824561B1 KR 101824561 B1 KR101824561 B1 KR 101824561B1 KR 1020120001335 A KR1020120001335 A KR 1020120001335A KR 20120001335 A KR20120001335 A KR 20120001335A KR 101824561 B1 KR101824561 B1 KR 10182456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ving block
- slot
- shaft
- conveyance belt
- drive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6—Mechanical details, e.g. roller, bel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F—INORGANIC 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F71/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F71/137—Batch treatment of the devic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ainer, Conveyance, Adherence, Positioning, Of Wa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식성을 향상시켜 불필요한 장비나 부품의 교체를 줄여줌으로써 생산비용 절감 및 생산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송벨트의 장력 및 수평 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송장치에 있어서, 동력발생수단과; 동력발생수단에 연결되어 축회전하는 제 1 샤프트에 장착되어 동작하는 구동수단과; 구동수단과 떨어져 위치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제 2 샤프트에 장착되어 동작하는 피동수단; 및 구동수단과 피동수단을 연결하고, 구동수단의 회전력에 의해 동작되어 피동수단을 동작시키는 이송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샤프트 중 적어도 하나는 열처리와 레이던트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를 제공한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vey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veying device that improves corrosion resistance and reduces unnecessary replacement of equipment and parts, thereby reducing production costs and improving productivity, To a convey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ransfer device comprising: power generation means; Driving means connected to the power generating means and mounted on a first shaft that rotates about its axis; Driven means mounted on one or more second shafts located apart from the drive means; And a conveyance belt connecting the drive means and the driven means and operat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means to operate the driven means,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hafts is subjected to heat treatment and radiant treatment Thereby providing a transfer device.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식성을 향상시켜 불필요한 장비나 부품의 교체를 줄여줌으로써 생산비용 절감 및 생산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송벨트의 장력 및 수평 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veying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veying device that improves corrosion resistance and reduces unnecessary replacement of equipment and parts, thereby reducing production costs and improving productivity, To a conveying device.
화석자원의 고갈과 환경오염에 대처하기 위해 최근 태양력 등의 청정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전지에 대한 연구개발이 활력을 얻고 있다.In recent years, interest in clean energy such as solar power has increased to cope with the depletion of fossil resource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of solar cells that convert solar energy into electric energy has gained vitality.
이러한 태양전지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웨이퍼 등에 전극, 반도체층, 반사 방지막 등을 형성하게 되며, 웨이퍼를 각각의 공정에 투입하거나 반출하도록 이송시켜주기 위해 이송장치, 예를 들어 픽앤플레이스(Pick-and-Place) 타입 이송장치나 벨트타입 이송장치 등을 사용하게 된다.In order to manufacture such a solar cell, an electrode, a semiconductor layer, an antireflection film or the like is formed on a wafer, and a transfer device such as a pick-and-place ) Type conveying device or a belt-type conveying device.
이 중에서 웨이퍼에 충격을 주지 않도록 하기 위해 벨트타입 이송장치, 예를 들어 벨트 컨베이어가 많이 선호되고 있으며, 한국 공개특허 제10-2003-0080368호 "반도체 웨이퍼를 이동시키기 위한 컨베이어 벨트 구동 장비" 등과 같은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Among them, a belt-type transfer device, for example, a belt conveyor is preferred in order to prevent the wafer from being impacted, and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03-0080368 entitled "Conveyor belt drive device for moving semiconductor wafers" Technology is disclosed.
그런데, 웨이퍼에 태양광이 닿는 면적을 최대한 넓히기 위해 인위적으로 줄무늬 형식의 스크래칭 작업을 하게 되는 텍스처(Texture) 공정과, 웨이퍼에 전도성을 띠게 하기 위해 불 인산 등 불순물을 주입하고, 고온처리한 후 불순물 도포과정에서 발생한 얇은 막(규산염 유리질; PSG)을 제거하는 PSG 공정에 사용되는 장비의 경우 각종 유독 가스와(F, Cl, H...) 산성, 염기성 화합물 혹은 화학품이 첨가된 물에 웨이퍼를 일정 시간 담가 두게 된다. However, in order to maximize the area exposed to the sunlight on the wafer, a texture process in which a stripe-type scratching operation is carried out, and a process in which impurities such as phosphorous acid are injected for imparting conductivity to the wafer, In the case of equipment used in the PSG process to remove thin films (silicate vitreous (PSG)) generated during the application process, the wafers are immersed in water containing various toxic gases (F, Cl, H ...), acidic, basic compounds or chemicals I will be immersed for a certain time.
이때, 장비의 가스나 화학품이 첨가된 물이 장비 세팅시 이송장치에 옮겨지거나 가스, 물, 흄 등의 형태로 옮겨지게 되면 이송장치가 부식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At this time, if the water containing the gas or chemical of the equipment is transferred to the transfer device during the setting of the equipment, or if it is transferred in the form of gas, water, or fume, the transfer device will be corroded.
따라서, 장비의 수명이 짧아지고, 정비시간이 늘어나게 되어 태양전지의 생산비용이 상승하게 될 뿐만 아니라 생산성 또한 떨어지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Therefore, the life span of the equipment is shortened and the maintenance time is increased, so that the production cost of the solar cell is increased and the productivity is also lowered.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이송장치에서 기인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The present invention solves and solves the problems caused by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conveying apparatus,
본 발명의 목적은 내식성을 향상시켜 불필요한 장비나 부품의 교체를 줄여줌으로써 생산비용 절감 및 생산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는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ransfer device capable of reducing the production cost and improving the productivity by reducing the replacement of unnecessary equipment or parts by improving the corrosion resistan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송벨트의 장력 및 수평 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veying device capable of easily adjusting the tension and the horizontal degree of the conveyance belt.
전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이송장치에 있어서, 동력발생수단과; 동력발생수단에 연결되어 축회전하는 제 1 샤프트에 장착되어 동작하는 구동수단과; 구동수단과 떨어져 위치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제 2 샤프트에 장착되어 동작하는 피동수단; 및 구동수단과 피동수단을 연결하고, 구동수단의 회전력에 의해 동작되어 피동수단을 동작시키는 이송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샤프트 중 적어도 하나는 열처리와 레이던트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ransfer device comprising: power generation means; Driving means connected to the power generating means and mounted on a first shaft that rotates about its axis; Driven means mounted on one or more second shafts located apart from the drive means; And a conveyance belt connecting the drive means and the driven means and operat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means to operate the driven means,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hafts is subjected to heat treatment and radiant treatment Thereby providing a transfer device.
구동수단 또는 피동수단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은, 철 재질로 이루어져 레이던트 처리되거나,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져 하드-애노다이징 처리된 와셔 또는 스페이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Either or both of the drive means and the driven means may be constructed to include either or both of a hardened-anodized washer or a spacer made of an iron material and made of aluminum or aluminum.
구동수단 또는 피동수단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은, 스테인리스 재질의 베어링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Either or both of the driving means and the driven means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bearing made of stainless steel.
상호 떨어져 배치되고, 마주보도록 장공이 형성되는 한 쌍의 패널; 및 장공을 관통하는 제 3 샤프트에 장착되고, 장공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이송벨트에 접하는 정도를 조절하여 이송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수단; 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A pair of panels disposed apart from each other and having a long hole facing each other; And tension adjusting means mounted on a third shaft passing through the slot and movable along the slot and adjusting the tension of the conveyance belt by adjusting the degree of contact with the conveyance belt; As shown in FIG.
장력조절수단은, 장공과 떨어져 패널에 장착되는 고정블럭과; 장공에 장착되어 장공을 따라 슬라이드 동작되는 이동블럭과; 이동블럭에 결합되는 제 3 샤프트에 장착되고, 이송벨트에 접하여 회전되는 구름부재; 및 고정블럭을 관통하여 이동블럭에 볼트 결합되며, 회전방향에 따라 이동블럭을 고정블럭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연결볼트; 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tension adjusting means comprises: a fixing block mounted on the panel away from the slot; A moving block mounted on the slot and slidably moved along the slot; A rolling member mounted on a third shaft coupled to the moving block and rotated in contact with the conveying belt; A connecting bolt that is bolted to the moving block through the fixed block and slides the moving block toward or away from the fixed block according to the rotating direction; . ≪ / RTI >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에 의하면, 내식성을 향상시켜 불필요한 장비나 부품의 교체를 줄여줌으로써 생산비용 절감 및 생산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transpor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production cost and the productivity by improving the corrosion resistance and reducing unnecessary replacement of equipment and parts.
또한, 본 발명은 이송벨트의 장력 및 수평 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easily adjusting tension and horizontal accuracy of the conveyance belt.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송장치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가 다수로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를 나타낸 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를 나타낸 도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ransfer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to 4 are diagrams showing the conveying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transfer devic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6 and 7 are views showing a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and 9 are views showing a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서 지칭하는 이송장치는 텍스처나 PSG와 같은 화학적 처리 공정을 거친 태양전지 제조용 웨이퍼를 이송하는 벨트타입 이송장치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However, these drawings are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Here, the conveying apparatus referred to in the present description is an example of a belt type conveying apparatus for conveying a wafer for manufacturing solar cells through a chemical treatment process such as texture or PSG.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이송장치를 나타낸 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가 다수로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이다.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to 4 are views showing the transfer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8 is a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devices are used.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100)는 크게 동력발생수단(10)과 구동수단(20), 피동수단(30) 및 이송벨트(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외에, 제 1 실시예에서는 구동수단(20)과 피동수단(30)이 연결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한 쌍의 패널(50)과 이송벨트(40)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수단(60), 그리고 이송벨트(40)에 의해 이송되는 웨이퍼(도시하지 않음)를 감지하여 동력발생수단(10)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감지센서(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1 to 5, a conveying
동력발생수단(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100)가 구동될 수 있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요소로써 통상의 모터, 예를 들어 서보모터(servomotor)나 스텝 모터(stepper motor), AC모터, DC모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서보모터를 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동력발생수단(10)의 보호, 동력발생수단(10)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감소 등을 위해 커버(12)를 장착하여 사용한다.The power generating means 10 is a component that provides a driving force for driving the
구동수단(20)은 동력발생수단(10)에 연결되어 축회전하는 제 1 샤프트(22)에 장착되어 동작하는 구성요소이며, 하기에 서술하는 이송벨트(40)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구동풀리(drive pulley, 24)가 제 1 샤프트(22)에 삽입되어 장착된다. 동력발생수단(10)의 축과 제 1 샤프트(22) 사이에는 축과 축이나 축과 동력 전달장치를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축이음부재, 즉 커플링(coupling, 14)이 설치된다. 이러한 구동수단(20)은 마찰을 줄여주거나, 간격을 유지하는 등 보다 원활한 동작을 위해 베어링(ball bearing, B), 스페이서(spacer, S), 와셔(washer, W) 등이 제 1 샤프트(22)에 장착되어 사용된다.The driving means 20 is a component which is connected to the power generating means 10 and mounted on the
피동수단(30)은 구동수단(20)과 떨어져 위치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제 2 샤프트(32)에 장착되어 동작하는 구성요소이다. 피동수단(30)은 이송벨트(40)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피동풀리(34)가 제 2 샤프트(32)에 삽입되어 장착되는데,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피동수단(30)이 사용된다. 피동수단(30) 또한 구동수단(20)과 마찬가지로 원활한 동작을 위해 제 2 샤프트(32)에 베어링(B), 스페이서(S), 와셔(W) 등이 장착된다. 이때,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는 구동수단(20)과 한 쌍의 피동수단(30)에 의해 이루어지는 형상이 삼각 형상, 다시 말해서 구동수단(20)과 피동수단(30) 각각의 중심점을 잇는 가상의 선분이 삼각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된다.The driven
이때,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100)는 텍스처나 PSG와 같은 화학적 처리 공정 다음에 배치되어 사용되므로, 쉽게 부식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구동수단(20) 및 피동수단(30)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 즉 제 1 및 제 2 샤프트(22, 32)와 베어링(B), 스페이서(S), 와셔(W) 등은 내식성이 향상된 부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제 1 및 제 2 샤프트(22, 32)의 경우 열 처리와 레이던트(raydent) 처리하여 사용하게 되며, 특히 레이던트 처리에 따라 우수한 방청력 및 내식성을 갖게 된다. 와셔(W)와 스페이서(S) 또한 내식성이 우수한 부품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이에 철 재질로 이루어진 와셔(W)와 스페이서(S)의 경우 레이던트 처리를 하여 사용하고,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진 와셔(W)와 스페이서(S)의 경우 알루미늄 표면을 전기, 화학적 방법을 통해 알루미나 세라믹으로 변화시켜 내마모성 등이 우수해지도록 하드-애노다이징(Hard-Anodizing) 처리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베어링(B)은 스테인리스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쉽게 부식되는 것을 방지한다.At this time, since the
이송벨트(40)는 구동수단(20)과 피동수단(30) 및 장력조절수단(60)을 연결하고, 구동수단(20)의 회전력에 의해 동작되어 피동수단(30) 및 장력조절수단(60)을 동작시키는 구성요소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송벨트(40)가 한 쌍으로 구성되어 패널(50)을 중심으로 하여 상호 떨어져 배치되며, 이러한 이송벨트(40)를 통해 웨이퍼, 예를 들어 태양전지의 생산에 사용되는 웨이퍼를 이송하게 된다. 이때, 웨이퍼의 틀어짐이나 위치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평벨트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The
패널(50)은 일종의 판재로써, 한 쌍이 상호 떨어지게 배치되어 베이스(52)에 장착되는 구성요소이다. 각각의 패널(50)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구멍, 즉 장공(50a)이 이송장치(100)의 이송경로를 따라 마주보게 형성된다.The
장력조절수단(60)은 패널(50)에 형성된 장공(50a)을 관통하는 제 3 샤프트(61)에 장착되고, 장공(50a)을 따라 이동가능하며, 이송벨트(40)에 접하는 정도를 조절하여 이송벨트(40)의 장력을 조절하는 구성요소이며, 본 발명에서는 구동수단(20)과 피동수단(30) 각각의 중심점을 잇는 가상의 선분이 이루는 삼각 형상 내에 위치하도록 구성된다.The tension adjusting means 60 is mounted on the
장력조절수단(60)은 크게 제 3 샤프트(61)와 고정블럭(63), 이동블럭(65), 구름부재(67) 및 연결볼트(6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tension adjusting means 60 mainly comprises a
제 3 샤프트(61)는 이송벨트(40) 각각의 장력조절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제 1 및 제 2 샤프트(22, 32)와는 다르게 각각의 패널(50)에 장착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된다. 고정블럭(63)은 장공(50a)과 떨어져 패널(50)에 장착되는 부분이다. 이동블럭(65)은 패널(50)의 장공(50a)에 장착되어 장공(50a)을 따라 슬라이드 동작되는 부분이다. 구름부재(67)는 이동블럭(65)에 결합되는 제 3 샤프트(61)에 장착되고, 이송벨트(40)에 접하여 회전하게 되는데, 구동수단(20) 및 피동수단(30)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장력조절수단(60)의 원활한 동작을 위해 제 3 샤프트(61)에는 베어링(B), 와셔(W) 등이 장착된다. 연결볼트(69)는 실질적으로 이송벨트(4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는 부분으로, 고정블럭(63)을 관통하여 이동블럭(65)에 볼트 결합되며, 회전방향에 따라 이동블럭(65)을 고정블럭(63)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슬라이드 이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100)의 사용환경 등에 따라 장력조절수단(60)을 구성하는 제 3 샤프트(61)나 연결볼트(69), 베어링(B), 와셔(W) 등을 전술한 구동수단(20)이나 피동수단(30)과 같이 쉽게 부식되지 않도록 처리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The
감지센서(70)는 한 쌍의 패널(50) 사이에 배치되어 이송벨트(40)에 의해 이송되는 웨이퍼를 감지하고, 이를 통해 동력발생수단(10)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The
즉,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100)에서는 작업자가 직접 이송장치를 제어하는 것 외에 자동적으로 이송장치(100)가 제어되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으로, 예를 들어 감지센서(70)를 통한 웨이퍼의 감지여부에 따라 동력발생수단(10)이 동작되도록 하거나, 정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또한 동력발생수단(10)의 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웨이퍼의 이송속도를 조절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감지센서(70)는 센서브라켓(72)과 센서블럭(74)을 이용하여 이송장치에 고정 배치된다.That is, in the transporting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가 다수로 사용되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Meanwhile, FIG. 5 shows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transfer device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즉, 하나의 동력발생수단(10)을 이용하여 다수의 이송장치(100)가 동작될 수 있도록 제 1 샤프트(22)가 커플링(14)에 의해 각각 연결되는 것이다. That is, the
이러한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이송벨트(40)를 이용하여 웨이퍼의 이송을 수행하다가 웨이퍼의 크기나 무게, 생산량 조절 등에 의해 이송벨트(40)의 장력을 조절, 즉 이송벨트(40)를 좀 더 팽팽한 상태로 조절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The use of the conveying
이러한 경우 작업자가 고정블럭(63)을 관통하여 이동블럭(65)에 볼트 결합되어 있는 연결볼트(69)를 드라이버(도시하지 않음) 등과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죄어주게 된다. In this case, the operator passes through the fixed
이때, 이송벨트(40)는 한 쌍으로 구성되므로 작업자가 이송벨트(40)의 장력을 각각 조절한다. 이와 같이 이송벨트(40)가 한 쌍으로 구성된다는 것은, 이송벨트(40)가 시간에 지남에 따라 재질이나 사용환경 등에 의해 연결볼트(69)를 동일한 회전수로 회전시키더라도 각각의 이송벨트(40)가 서로 다른 이송속도를 나타낼 경우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각각의 이송벨트(40) 중 어느 하나를 다른 하나보다 빠르거나 느리게 제어하여 한 쌍의 이송벨트(40)가 동일한 속도로 동작되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러한 구성에 따라 이송벨트(40)의 장력 조절뿐만 아니라 이송벨트(40)의 수평 정도 또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다음, 도 7의 (b)와 같이 이동블럭(65)이 장공(50a)을 따라 고정블럭(63)측을 향해 이동하게 되면, 결국 이송벨트(40)가 당겨지면서 이송벨트가 팽팽해지게 되는 것이다.7B, when the
이와는 반대로, 이송벨트(40)가 좀 더 풀어지도록 하고자 할 경우 작업자가 연결볼트(69)를 풀어줌으로써 이동블럭(65)이 고정블럭(63)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게 되고, 결국 이송벨트(40)가 점차 풀어지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를 나타낸 도이다.6 and 7 are views showing a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100)는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유사하게 구성되나, 제 1 실시예의 경우 동력발생수단(10)과 구동수단(20)이 제 1 샤프트(22)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에 비해 제 2 실시예에서는 동력발생수단(10)과 구동수단(20)이 구동벨트(16)에 의해 연결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6, the
즉, 동력발생수단(10)과 제 1 샤프트(22)는 구동벨트(16)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동력발생수단(10)으로부터 발생하는 동력이 구동벨트(16)를 통해 제 1 샤프트(22)에 전달되어 구동수단(20)이 구동되는 것이다.That is, the power generating means 10 and the
이러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100)는 도 7에서 나타나는 것과 같이 다수의 이송장치(100)를 하나의 구동수단(20)을 이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도 5에서 설명한 것과 유사하므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As shown in FIG. 7, the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를 나타낸 도이다.8 and 9 are views showing a transfer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및 도 9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이송장치(100) 또한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유사하게 구성된다.Referring to Figs. 8 and 9, the
다만, 제 3 실시예에서는 구동수단(20)과 피동수단(30) 각각의 중심점을 잇는 가상의 선분이 이루는 삼각 형상 내에 피동수단(30)이 하나 더 배치되어 있고, 장력조절수단(60)이 도면상 상하 방향으로 동작되어 이송벨트(40)의 장력을 조절하게 된다는 점에서 구분된다.In the third embodiment, however, one driven means 30 is disposed in a triangular shape formed by imaginary line segments connecting the center points of the driving means 20 and the driven means 30, and the tension adjusting means 60 So that the tension of the
이러한 구성에 따라, 제 1 및 제 2 실시예에서는 장력조절수단(60)의 구름부재(67)가 구동수단(20)의 구동풀리(24)나 피동수단(30)의 피동풀리(34)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나, 제 3 실시예에서는 장력조절수단(60)의 구름부재(67) 뿐만 아니라 구동수단(20)과 피동수단(30) 각각의 중심점을 잇는 가상의 선분이 이루는 삼각 형상 내에 배치되는 피동수단(30)의 피동풀리(34) 또한 장력조절수단(60)의 구름부재(67)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the rolling
여기서, 본 발명에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구동수단(20)의 구동풀리(24), 피동수단(30)의 피동풀리(34), 장력조절수단(60)의 구름부재(67)는 이송벨트(40)가 쉽게 벗겨지지 않고 용이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크라운 롤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although not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riving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u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tailed description, It is intended that all changes and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equivalent concept be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동력발생수단 12: 커버
14: 커플링 16: 구동벨트
20: 구동수단 22: 제 1 샤프트
24: 구동풀리 30: 피동수단
32: 제 2 샤프트 34: 피동풀리
40: 이송벨트 50: 패널
52: 베이스 50a: 장공
60: 장력조절수단 61: 제 3 샤프트
63: 고정블럭 65: 이동블럭
67: 구름부재 69: 연결볼트
70: 감지센서 72: 센서브라켓
74: 센서블럭 100: 이송장치
B: 베어링 S: 스페이서
W: 와셔10: Power generating means 12: Cover
14: coupling 16: drive belt
20: drive means 22: first shaft
24: drive pulley 30: driven means
32: second shaft 34: driven pulley
40: conveying belt 50: panel
52:
60: tension adjusting means 61: third shaft
63: fixed block 65: movable block
67: rolling member 69: connecting bolt
70: detection sensor 72: sensor bracket
74: Sensor block 100: Feeding device
B: Bearing S: Spacer
W: Washer
Claims (7)
상기 동력발생수단에 연결되어 축회전하는 제 1 샤프트에 장착되어 동작하는 구동수단;
상기 구동수단과 떨어져 위치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제 2 샤프트에 장착되어 동작하는 피동수단;
상기 구동수단과 상기 피동수단을 연결하고 상기 구동수단의 회전력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피동수단을 동작시키는 이송벨트;
상호 떨어져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장공을 갖는 한 쌍의 패널;
상기 한 쌍의 패널에 마련된 상기 장공을 관통하는 제 3 샤프트; 및
상기 장공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제 3 샤프트에 장착되고 상기 이송벨트에 접하는 정도를 조절하여 상기 이송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샤프트 중 적어도 하나는 열처리와 레이던트(raydent) 처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Power generating means;
Driving means connected to the power generating means and mounted on a first shaft that rotates about an axis;
Driven means mounted on one or more second shafts spaced apart from the driving means;
A conveyance belt that connects the drive means and the driven means and is operat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means to operate the driven means;
A pair of panel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acing each other and having slots;
A third shaft penetrating the long hole provided in the pair of panels; And
And tension adjusting means mounted on the third shaft so as to be movable along the slot and adjusting a tension of the conveyance belt by adjusting the degree of contact with the conveyance belt,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hafts is subjected to a heat treatment and a raydent treatment.
상기 구동수단 또는 상기 피동수단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은,
철 재질로 이루어져 레이던트 처리되거나,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져 하드-애노다이징 처리된 와셔 또는 스페이서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ne or both of said driving means and said driven means,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fer device further comprises one or both of a hardened-anodized washer or a spacer made of an iron material and made of radium or aluminum.
상기 구동수단 또는 상기 피동수단 중 어느 하나 또는 둘은,
스테인리스 재질의 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One or both of said driving means and said driven means,
Further comprising a bearing made of stainless steel.
상기 장력조절수단은,
상기 장공과 떨어져 상기 패널에 장착되는 고정블럭;
상기 장공에 장착되어 상기 장공을 따라 슬라이드 동작되는 이동블럭;
상기 이동블럭에 결합되는 상기 제 3 샤프트에 장착되고, 상기 이송벨트에 접하여 회전되는 구름부재; 및
상기 고정블럭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블럭에 볼트 결합되며,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이동블럭을 상기 고정블럭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연결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nsion adjusting means comprises:
A fixing block mounted on the panel away from the slot;
A moving block mounted on the slot and slidably moved along the slot;
A rolling member mounted on the third shaft coupled to the moving block and rotated in contact with the conveyance belt; And
And a connecting bolt that is bolted to the moving block through the fixing block and slides the moving block toward or away from the fixed block according to the rotating direction.
상기 장력조절수단은,
상기 장공과 떨어져 상기 패널에 장착되는 고정블럭;
상기 장공에 장착되어 상기 장공을 따라 슬라이드 동작되는 이동블럭;
상기 이동블럭에 결합되는 상기 제 3 샤프트에 장착되고, 상기 이송벨트에 접하여 회전되는 구름부재; 및
상기 고정블럭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블럭에 볼트 결합되며,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이동블럭을 상기 고정블럭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연결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장치.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tension adjusting means comprises:
A fixing block mounted on the panel away from the slot;
A moving block mounted on the slot and slidably moved along the slot;
A rolling member mounted on the third shaft coupled to the moving block and rotated in contact with the conveyance belt; And
And a connecting bolt that is bolted to the moving block through the fixing block and slides the moving block toward or away from the fixed block according to the rotating direction.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001335A KR101824561B1 (en) | 2012-01-05 | 2012-01-05 | Apparatus for transf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20001335A KR101824561B1 (en) | 2012-01-05 | 2012-01-05 | Apparatus for transfer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30080510A KR20130080510A (en) | 2013-07-15 |
| KR101824561B1 true KR101824561B1 (en) | 2018-02-01 |
Family
ID=4899258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20001335A Active KR101824561B1 (en) | 2012-01-05 | 2012-01-05 | Apparatus for transfe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824561B1 (en) |
Cited B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00082280A (en) * | 2018-12-28 | 2020-07-08 |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 Sub-Discharging Unit of Box Feeding Apparatus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601328B1 (en) * | 1997-10-17 | 2006-10-24 | 가부시키가이샤 나카시마 | Glass thermal spraying method for metallic roll and device therefor |
| JP2008081250A (en) * | 2006-09-27 | 2008-04-10 | Seibu Electric & Mach Co Ltd | Toothed belt conveyor |
-
2012
- 2012-01-05 KR KR1020120001335A patent/KR10182456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0601328B1 (en) * | 1997-10-17 | 2006-10-24 | 가부시키가이샤 나카시마 | Glass thermal spraying method for metallic roll and device therefor |
| JP2008081250A (en) * | 2006-09-27 | 2008-04-10 | Seibu Electric & Mach Co Ltd | Toothed belt conveyor |
Cited B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20200082280A (en) * | 2018-12-28 | 2020-07-08 |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 Sub-Discharging Unit of Box Feeding Apparatus |
| KR102174171B1 (en) * | 2018-12-28 | 2020-11-04 |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 Sub-Discharging Unit of Box Feeding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30080510A (en) | 2013-07-15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US20120037475A1 (en) | Substrate inverting system | |
| US9190307B2 (en) |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solar wafer or solar cell during its fabrication | |
| CN1611429A (en) | System and method for conveying flat panel display | |
| US7943018B2 (en) | Apparatus for treating flat brittle substrates | |
| CN200998841Y (en) | Steel wire derusting apparatus | |
| CN101224946A (en) | TFT-LCD Glass Substrate Automatic Processing Line | |
| CN106449497B (en) | Automatic unloading mechanism for battery strings | |
| KR101353587B1 (en) | Apparatus for Conveying Wafer | |
| CN105051882A (en) | Substrate position aligner | |
| KR20190091090A (en) | Solar panel module cleaning robot | |
| KR20110089593A (en) | Turnover device for photovoltaic module production equipment | |
| KR101824561B1 (en) | Apparatus for transfer | |
| KR20190091088A (en) | Cleaning Robot for Solar Panel | |
| CN204384239U (en) | A kind of high-precision flat glass sheet inclination transport sector of lustration type | |
| JP2015044254A (en) | Shot blast apparatus | |
| CN206505902U (en) | A kind of maskable upset conveying arrangement | |
| JP2004281617A (en) | Substrate transport device and substrate processing equipment provided therewith | |
| CN104176466B (en) | Workpiece transmitting device with cleaning function | |
| JP2010212268A (en) | Substrate conveying apparatus | |
| CN214030709U (en) | A single-layer flat carding device for sheet parts | |
| CN203760444U (en) | Device for aligning with substrate and solar energy battery production device | |
| KR20120137662A (en) | Traveling vacuum robot | |
| CN201605034U (en) | Thin plate conveying device | |
| CN207209154U (en) | Steel plate vertical conveying device | |
| KR101522538B1 (en) | Solar wafer cassette transfer robo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105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41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1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6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22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1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2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