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24694B1 - 양액 재배용 재배 포트 - Google Patents

양액 재배용 재배 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4694B1
KR101824694B1 KR1020150179237A KR20150179237A KR101824694B1 KR 101824694 B1 KR101824694 B1 KR 101824694B1 KR 1020150179237 A KR1020150179237 A KR 1020150179237A KR 20150179237 A KR20150179237 A KR 20150179237A KR 101824694 B1 KR101824694 B1 KR 101824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ing
plate
tubular fitting
plant
fitting par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9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1664A (ko
Inventor
이창희
황성수
구본흥
나천열
Original Assignee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브이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브이엠테크 filed Critical 한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79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4694B1/ko
Publication of KR20170071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1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4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469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9/00Root feeders; Injecting fertilisers into the ro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01G31/06Hydroponic culture on racks or in stacke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식물의 식재 및 수확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설치, 분해 및 관리가 용이한 양액 재배용 재배 포트가 개시된다. 상기 양액 재배용 재배 포트는, 지면(地面)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위치하는 식재 플레이트(110)의 식재구(140, 植栽口)에 끼워지며, 내부에 식물을 수용하여 고정하는 튜브형 끼움부(310); 및 상기 식재구(140)에 걸리도록 상기 튜브형 끼움부(3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튜브형 끼움부(310)가 식재구(14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부(32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양액 재배용 재배 포트{Plant cultivation pot for nutriculture}
본 발명은 양액 재배용 재배 포트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식물의 식재 및 수확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설치, 분해 및 관리가 용이한 양액 재배용 재배 포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태풍, 병충해 등 자연 재해의 영향을 최소화하면서, 식물을 표준화된 방식으로 대량 생산하기 위하여, 양액 재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양액 재배(養液栽培, nutriculture)란 작물의 생육에 필요한 양분을 수용액으로 만들어 작물에 공급하는 농사 방법으로서, 용액 재배(solution culture)라고도 한다. 양액 재배는 단기간에 많은 양의 작물을 수확할 수 있고, 토양 재배와 비교하여 자연 환경의 지배를 덜 받기 때문에, 농경이 불가능한 환경에서도 실시가 가능하다. 양액 재배에 적합한 작물로는 오이, 토마토, 방울토마토, 고추 등의 과채류, 상추, 미나리, 들깨 등의 엽채류 및 장미, 거베라, 국화, 카네이션 등의 화훼류가 있다.
이러한 양액 재배에 있어서, 재배되는 식물을 지지하는 재배판이 사용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양액 재배용 재배판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양액 재배용 재배판은 다수의 식재구(22)가 형성된 패널(20) 구조를 가지며, 식물(10)이 상기 식재구(22)에 끼워져 재배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식재구(22)에 식물(10)을 안정하게 고정시키기 위하여, 솜 등의 쿠션재(24)가 상기 식재구(22)와 식물(10)의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패널(20)은 통상적으로 발포 폴리스티렌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종래의 재배판은, 곰팡이, 이끼 등으로 오염되기 쉽고, 파손되기 쉬우며, 설치 및 관리가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재배판의 경우, 식재구(22)에 식물(10)을 삽입하고, 재배된 식물(10)을 수확하는 과정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식물(10)의 식재 방향을 균일하게 조절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을 식재하고, 재배된 식물을 수확하는 과정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식물의 식재 방향을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는 양액 재배용 재배 포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세척, 설치, 분해 및 관리가 용이한 양액 재배용 재배 포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면(地面)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위치하는 식재 플레이트(110)의 식재구(140, 植栽口)에 끼워지며, 내부에 식물을 수용하여 고정하는 튜브형 끼움부(310); 및 상기 식재구(140)에 걸리도록 상기 튜브형 끼움부(3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튜브형 끼움부(310)가 식재구(14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부(320)를 포함하는 양액 재배용 재배 포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액 재배용 재배 포트에 의하면, 식물을 식재하고, 재배된 식물을 수확하는 과정이 편리할 뿐만 아니라, 식물의 식재 방향을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액 재배용 재배 포트는, 세척, 설치, 분해 및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양액 재배용 재배판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재배 포트가 사용될 수 있는 양액 재배용 재배판의 사시도 및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재배 포트가 사용될 수 있는 2 실시예에 따른 양액 재배용 재배판의 평면도(A), 저면도(B) 및 측단면도(C).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액 재배용 재배 포토 및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및 3은 본 발명의 재배 포트가 사용될 수 있은 양액 재배용 재배판의 사시도 및 A-A선 단면도이다.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재배 포트가 사용될 수 있는 양액 재배용 재배판(100)은 식재구(140, 植栽口)가 형성되어 있는 식재 플레이트(110) 및 상기 식재구(140)를 둘러싸는 가이드부(120, guide)를 포함한다.
상기 식재 플레이트(110)는 지면(地面)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위치하는 것으로써, 예를 들면, 지면에 대하여, 15 내지 90 도,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0 도 경사지도록 위치한다. 상기 식재 플레이트(110)의 크기는 용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0.3 내지 2 m,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m의 세로 및 가로 길이를 가진다. 상기 식재 플레이트(110)의 크기가 너무 작으면, 식물의 식재 면적이 작고, 다수의 식재 플레이트(110)를 사용하여야 하며, 크기가 너무 크면, 운반, 설치 및 관리가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상기 식재 플레이트(110)는 기능 및 용도에 따라, 사각형뿐만 아니라 원형, 삼각형, 오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식재 플레이트(110)의 높이는, 식재 플레이트(110)의 휘어짐을 방지하는 등 구조를 유지할 수 있으면, 특별히 제한하지 않으며, 예를 들면, 0.5 내지 10 cm,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cm이다. 상기 식재 플레이트(110)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며,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Ethylene Vinyl Acetate),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폴리스티렌(Polystyrene), 이들의 혼합물 등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합성수지는 유리섬유, 탈크 등의 무기 첨가제, UV 경화방지제, 난연제, 안료 등의 첨가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상기 식재 플레이트(110)의 후면에는, 식재 플레이트(110)의 휨 등,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리브(rib) 구조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식재 플레이트(110)에 형성되는 식재구(140)는, 식물이 식재되어 고정되는 구멍(hole)으로서, 예를 들면, 식물 그 자체 또는 식물이 식재된 메디아(media)가 끼워져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식물이 식재된 메디아는, 식재구(140)에 식물이 용이하게 고정되도록, 솜 등의 쿠션재로 식물을 감싼 것을 의미한다. 상기 식재구(140)는 원, 타원, 삼각형, 사각형, 오각형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하 방향으로 길이가 긴 타원형 구조를 가진다. 상기 식재 플레이트(110)가 지면(地面)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위치하고, 상기 식재구(140)가 상하 방향의 길이가 긴 타원형 구조일 경우, 상기 식재 플레이트(110)를 경사지도록 위치시키고, 지면에 평행한 면에서 상기 식재구(140)를 관찰하면, 상기 식재구(140)는 원형의 형태를 가지므로, 상기 식재구(140)에 끼워지는 식물을 보다 안정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식재구(140)는 1 내지 8 cm,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cm의 직경을 가진다. 상기 식재구(140)가 너무 작으면 식물이 끼워지지 못하고, 너무 크면, 식물이 빠져버릴 우려가 있다. 상기 식재 플레이트(110)에 형성되는 식재구(140)는, 행 및 열을 맞추어 다수개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식재구(140)는, 하나의 식재 플레이트(110)에 5 내지 100 개,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개가 형성될 수 있고, 10 내지 20 cm,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8 cm의 가로 간격 및 10 내지 25 cm,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0 cm의 세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식재구(140)의 둘레에는, 식물의 식재 각도를 조절하고, 식물이 식재구(140)에 끼워지도록 유도하는 가이드부(120)가 식재 플레이트(11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120)는 식재구(140)의 둘레로부터 연장되며, 식재 플레이트(110)가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위치하였을 때, 지면에 대하여 수직인 튜브(tube) 형태를 가진다. 상기 튜브 형태의 식재구(140)에 식물 또는 식물이 식재된 메디아가 끼워져, 지면에 대하여 수직으로 생장될 수 있다. 여기서, 지면에 대하여 수직이라 함은, 지면에 대하여 완전히 수직(90 도)인 경우뿐 만 아니라, 식재구(140)에 끼워진 식물이 지면에 대하여 보다 수직인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는 경우를 의미한다. 즉, 상기 가이드부(120)는 식물이 식재된 메디아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드부(120)는 식재구(140)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식재구(140)의 외주면 전체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120)의 상부면(160)은 지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가이드부(120)의 상부면(160)은 지면과 평행하고, 하부면은 식재 플레이트(100)와 평행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부(120)의 상부면(160)에 형성되는 상부 구멍(130)은 원형, 삼각형, 사각형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원형 형태를 가진다. 상기 가이드부(120)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구멍(130)으로 식물이 식재된 메디아를 삽입하고, 식물의 뿌리 부분을 상기 식재구(140)를 통해, 상기 식재 플레이트(110)를 통과시키면, 상기 식재 플레이트(110)에 식물을 고정시키고, 재배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구멍(130)의 직경은, 예를 들면, 1 내지 5 cm,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 cm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재배 포트가 사용될 수 있는 양액 재배용 재배판의 평면도(A), 저면도(B) 및 측단면도(C)이다. 도 4에 도시된 재배판은 상하 좌우로 결합되어, 재배판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2에 도시된 재배판과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재배판의 결합 구조에 대하여만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재 플레이트(110)의 상부 또는 하부에는 일단에 걸림턱(212)이 돌출 형성된 삽입부(210)가 하나 이상, 예를 들면, 2 내지 8개, 특히 4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212)은 삽입부(210) 전체에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으나, 좌우 2개의 삽입부(210)에만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식재 플레이트(110)의 하부 또는 상부에는 상기 삽입부(210)와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삽입부(210)가 끼워 맞춤되는 고정홈(220)이 하나 이상, 예를 들면, 2개 또는 4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홈(220)의 일단에는, 상기 삽입부(210)의 걸림턱(212)이 끼워지는, 걸림 구멍(222)가 형성되어 있다.
재배판을 상하로 결합시키는 경우에, 제1 식재 플레이트(110)의 상부에 형성된 삽입부(210)를 제2 식재 플레이트(110)의 하부에 형성된 고정홈(220)에 끼우면, 상기 삽입부(210)가 고정홈(220)에 끼워져 고정되므로, 상기 제1 식재 플레이트(110)와 제2 식재 플레이트(110)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삽입부(210)의 걸림턱(212)이 상기 고정홈(220)에 형성된 걸림 구멍(222)에 끼워져 걸림으로써, 상기 고정홈(220)으로부터 삽입부(21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다수의 식재 플레이트(110)를 상하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상하 결합된 재배판을 분리시키는 경우에, 제2 식재 플레이트(110)의 고정홈(220)에 형성된 걸림 구멍(222)에 걸려있는, 제1 식재 플레이트(110)의 걸림턱(212)을 손으로 밀어, 걸림 구멍(222)으로부터 걸림턱(212)을 이탈시키고, 상기 제1 식재 플레이트(110)와 제2 식재 플레이트(110)를 상하 방향으로 당겨 이격시키면, 상기 고정홈(220)으로부터 삽입부(210)가 이탈하면서, 제1 식재 플레이트(110)와 제2 식재 플레이트(110)가 분리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재 플레이트(110)의 좌측부 및 우측부에는 각각 막대 형태의 하부 받침대(230), 및 상기 하부 받침대(230)에 결합되는 막대 형태의 상부 받침대(240)가 식재 플레이트(110)의 좌측부 및 우측부를 따라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하부 받침대(230) 및 상부 받침대(240)의 두께는 각각 식재 플레이트(110) 두께의 1/2이며, 상기 하부 받침대(230) 및 상부 받침대(240)를 겹쳐 위치시키면, 식재 플레이트(110)와 동일한 두께가 된다. 또한, 상기 하부 받침대(230) 및 상부 받침대(240)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하부 결합홈(232) 및 상부 결합홈(242)이 하나 이상, 예를 들면, 4개 형성되어 있다.
재배판을 좌우로 결합시키는 경우에, 제1 식재 플레이트(110)의 좌측부에 형성된 하부 받침대(230)에 제2 식재 플레이트(110)의 우측부에 형성된 상부 받침대(240)를 겹쳐 위치시키면, 상기 하부 받침대(230)와 상부 받침대(240)가 겹쳐져 맞물리므로, 양액 분사 시, 양액이 제1 및 제2 식재 플레이트(110) 사이를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 받침대(230)의 하부 결합홈(232)과 상부 받침대(240)의 상부 결합홈(242)을 케이블타이, 나사 등의 결합 수단을 이용하여 결합시켜면, 제1 및 제2 식재 플레이트(110)의 좌우 측면을 고정 결합시킬 수 있다. 좌우 결합된 재배판을 분리시키는 경우에, 상기 하부 결합홈(232)과 상부 결합홈(242)을 결합시킨 결합 수단을 제거하고, 상기 제1 및 제2 식재 플레이트(110) 좌우 또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시키면, 제1 및 제2 식재 플레이트(110)를 분리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양액 재배용 재배 포트 및 그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로서, 식재 플레이트(110)에 형성된 가이드부(120)에 재배 포트(300, pot)가 끼워지는 상태를 보여준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배 포트(300)는 식재구(140)에 끼워지며 내부에 식물을 수용하여 고정하는 튜브형 끼움부(310) 및 상기 식재구(140)의 상부면에 걸리도록 상기 튜브형 끼움부(3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튜브형 끼움부(310)가 식재구(14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식재구(140)에 가이드부(120)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걸림턱부(320)는 가이드부(120)의 상부면(160)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상기 재배 포트(300)는 식재구(140) 및 가이드부(120)에 끼워져, 식물의 식재 각도를 조절하고, 식물이 식재구(140)에 끼워지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걸림턱부(320)는 튜브형 끼움부(310) 보다 큰 직경의 도우넛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식재 플레이트(110)에 접하는 부분에 직선상 절단부(322)를 형성함으로써, 걸림턱부(320)를 식재 플레이트(110)에 안정하게 접촉시킬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튜브형 끼움부(310)의 상부 일단에는 회전 방지 돌출부(312)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120)의 측면에는 회전 방지 끼움부(122)가 형성되어, 상기 재배 포트(300)의 회전 방지 돌출부(312)가 상기 가이드부(120)에 형성된 회전 방지 끼움부(122)에 끼워져, 상기 재배 포트(300)를 가이드부(120)에 안정하게 고정시키고, 상기 재배 포트(30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튜브형 끼움부(310)의 하부는 아래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taper) 구조를 가짐으로써, 재배 포트(300)에 끼워진 식물이 재배 포트(30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튜브형 끼움부(310)의 하부는 식재 플레이트(110)를 관통하여 식재 플레이트(110) 후면으로 노출되고, 노출된 튜브형 끼움부(310)의 하부에는 하나 이상의 관통부(314)가 형성되어, 양액 분사 시, 식물의 뿌리에 양액이 원활히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배 포트(300)는 식재 플레이트(110)와 마찬가지로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식재 플레이트(110)와 동일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재배 포트는 합성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합성수지를 성형온도에 따라 가열하여 용융시킨다. 예를 들면, 폴리염화비닐의 성형온도는 150 내지 185 ℃이고, 폴리에틸렌의 성형온도는 190 내지 280 ℃이며, 폴리스티렌의 성형온도는 180 내지 240 ℃이다. 상기 용융된 합성수지를 원하는 형상의 금형에 압력을 가해 투입한 다음, 냉각하여, 재배 포트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사출 성형의 제조 방법은 자동생산에 의한 대량 생산이 가능하고, 치수가 정확하고 안정된 품질의 성형품을 제조할 수 있으며, 성형과 동시에 착색이 가능하고 표면 가공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Claims (3)

  1. 지면(地面)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위치하는 식재 플레이트(110)의 식재구(140, 植栽口)를 둘러싸는 가이드부(120)에 끼워지며, 내부에 식물을 수용하여 고정하는 튜브형 끼움부(310); 및
    상기 식재구(140)를 둘러싸는 가이드부(120)에 걸리도록 상기 튜브형 끼움부(310)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튜브형 끼움부(310)가 식재구(14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부(320)를 포함하며,
    상기 걸림턱부(320)는 튜브형 끼움부(310) 보다 큰 직경의 도우넛 형상을 가지며, 상기 식재 플레이트(110)에 접하는 부분에 직선상 절단부(322)가 형성되어, 걸림턱부(320)의 직선상 절단부(322)가 식재 플레이트(110)에 접촉되고,
    상기 튜브형 끼움부(310)의 하부는 아래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하는 테이퍼(taper) 구조를 가짐으로써, 재배 포트(300)에 끼워진 식물이 재배 포트(30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튜브형 끼움부(310)의 하부는 식재 플레이트(110)를 관통하여 식재 플레이트(110) 후면으로 노출되고, 노출된 튜브형 끼움부(310)의 하부에는 하나 이상의 관통부(314)가 형성되어, 양액 분사 시, 식물의 뿌리에 양액이 공급될 수 있는 것인, 양액 재배용 재배 포트.
  2. 삭제
  3. 삭제
KR1020150179237A 2015-12-15 2015-12-15 양액 재배용 재배 포트 Active KR101824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237A KR101824694B1 (ko) 2015-12-15 2015-12-15 양액 재배용 재배 포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237A KR101824694B1 (ko) 2015-12-15 2015-12-15 양액 재배용 재배 포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1664A KR20170071664A (ko) 2017-06-26
KR101824694B1 true KR101824694B1 (ko) 2018-02-02

Family

ID=59282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9237A Active KR101824694B1 (ko) 2015-12-15 2015-12-15 양액 재배용 재배 포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469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02129B2 (ja) * 2009-07-29 2013-10-02 株式会社竹中工務店 植栽パネル及び壁面緑化構造
KR101500183B1 (ko) 2013-10-31 2015-03-09 이훈재 다목적 기능성 식물 재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02129B2 (ja) * 2009-07-29 2013-10-02 株式会社竹中工務店 植栽パネル及び壁面緑化構造
KR101500183B1 (ko) 2013-10-31 2015-03-09 이훈재 다목적 기능성 식물 재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1664A (ko) 2017-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58470B1 (en) Multi-piece hydroponic tower with hinged tower face
KR100943394B1 (ko) 다층구조 기구를 이용한 딸기 및 소형 엽채류의 재배장치
US20190059240A1 (en) Modular plant growth tray and support fencing assembly and method for supporting plant extremities during growth
EP3261431B1 (en) Soilless plant cultivating container
CN107257622B (zh) 水耕栽培器
KR20160027725A (ko) 수경재배용 조립어댑터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화분
CN103782865A (zh) 温室葡萄枝蔓更新方法
US20210092909A1 (en) Plant care tubes and method for using plant care tubes
KR101824693B1 (ko) 양액 재배용 재배판 및 재배 시스템
KR101824694B1 (ko) 양액 재배용 재배 포트
CN105724229A (zh) 营养液栽培用栽培板及栽培系统
KR102373636B1 (ko) 심지를 이용한 수경재배장치
WO2018181848A1 (ja) 水耕栽培ユニット、及びこの水耕栽培ユニットを含む水耕栽培システム
JP7111285B2 (ja) 自然薯栽培器及び自然薯栽培システム
KR200477741Y1 (ko) 적층식 작물재배기
KR102257724B1 (ko) 재배용 포트
KR101548900B1 (ko) 딸기모종용 포트
KR101536534B1 (ko) 메인화분과 수조화분을 갖는 비료팩 교체용 식물재배관리기
JP7507781B2 (ja) 土壌なしで植物生産物を栽培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JP2019187321A (ja) 栽培ポット
JP2017209106A (ja) 自然薯栽培器及び自然薯栽培システム
KR102014539B1 (ko) 식물재배용 배지판
KR101682763B1 (ko) 메인화분과 수조화분을 갖는 비료팩 교체용 식물재배관리기
KR20210001845U (ko) 다육식물을 위한 수경재배용 베드
KR102169932B1 (ko) 작물 재배 또는 육묘용 포트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20127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K11-X000 Ip right revival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1-oth-X000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20127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6-4-K10-K13-oth-PR0401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