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25588B1 - 살처분 가축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살처분 가축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5588B1
KR101825588B1 KR1020170156938A KR20170156938A KR101825588B1 KR 101825588 B1 KR101825588 B1 KR 101825588B1 KR 1020170156938 A KR1020170156938 A KR 1020170156938A KR 20170156938 A KR20170156938 A KR 20170156938A KR 101825588 B1 KR101825588 B1 KR 101825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livestock
sterilizing
air
dispos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6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유정
강대흥
김옥
김연
Original Assignee
최유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유정 filed Critical 최유정
Priority to KR1020170156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55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58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7/02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4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microorganisms us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icro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살처분 가축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탱크 내에 미생물 생육에 필요한 에어를 충분히 공급함과 동시에 살균조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에어에 함유된 병원균, 악취 성분 및 발효/분해시 발생하는 기타 바이러스를 여러 단계를 통해 완전 소멸시킴으로써, 살처분 가축 탱크가 밀집된 구역의 작업 환경을 개선하고, 추가적인 방역 작업에 소요되는 노력과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살처분 가축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살처분 가축 처리 장치{disposal processor of livestock landfill}
본 발명은 살처분 가축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탱크 내에 미생물 생육에 필요한 에어를 충분히 공급함과 동시에 살균조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에어에 함유된 병원균, 악취 성분 및 발효/분해시 발생하는 기타 바이러스를 여러 단계를 통해 완전 소멸시킴으로써, 살처분 가축 탱크가 밀집된 구역의 작업 환경을 개선하고, 추가적인 방역 작업에 소요되는 노력과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살처분 가축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제역, 조류 인플루렌자 등과 같은 전염성이 매우 강한 전염병 발생시 도살 또는 폐사된 가축의 사체 처리는 현재까지 주로 매몰 처리 방법에 의존하고 있다.
매몰은 지표면에 일정한 깊이의 구덩이를 판 후 생석회를 살포하고 흙으로 덮는 방법이지만, 적절한 부지의 확보가 어렵고 노동력도 요구되며 악취, 토양과 수질오염에 따른 방역의 어려움과 민원이 발생하기 쉬워 여의치 않다. 특히, 사후 침출수문제 등으로 인하여 악취와 지하수오염으로 인한 처리비용이 천문학적으로 소요되어도 완벽한 처리가 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매몰지의 지속적인 관리가 소홀한 경우 질병의 확산요인으로 우려되고 있다.
소각은 매몰에 따른 각종 환경문제를 제거하고 위생적이고 안전한 처리방법으로 800℃ 이상의 소각로에서 소각하여 부피와 중량을 감소시켜 매립 또는 퇴비로 재활용하는 방법이지만, 소각을 위하여 별도로 소각로를 설치하여야 하는데다 비용부담, 주기적인 검사, 민원 등으로 인해 그 설치를 꺼리고 있고 연료비 때문에 실제 가동률이 극히 저조한 상황이다.
또한, 소각 방법은 대상물의 종류와 그 수분의 함유상태에 따라서 완전 연소가 이루어지지 못하며, 연소과정에서 미연 물질과 분진, 병원균의 전파 및 심한 악취가 대기중으로 배출되어 제2환경 공해의 문제로 제시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동물을 살처분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 및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 20-0438349호에는 동물사체 처리로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동물사체 처리로는 고온의 스팀열을 가하여 동물의 사체를 처리하는 기술이지만, 이 역시 고온의 스팀을 가하는 것만으로 전염병의 원인균을 완벽하게 사멸시키지 못한다는 한계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4429호에서는 미생물 제제를 동물의 사체와 혼합하여 호기 조건에서 상기 사체를 분해하고, 상기 미생물 제제는 50 내지 65℃에서 서식이 가능한 호기성 호열균을 배양시킨 배양액을 미강, 톱밥, 밀기울, 낙엽, 건초, 퇴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담체와 1:10~50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형성하며, 상기 사체의 분해는 a)선정된 매몰지에 구덩이(10)를 파는 단계와, b)상기 구덩이(10)의 내측에 차수막을 설치하는 단계와, c)상기 차수막 위에 미강, 톱밥, 낙엽, 건초, 퇴비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의 통기성부재를 20 내지 50cm의 두께로 깔아 기저층(20)을 형성하는 단계와, d)상기 미생물 제제에 지하수를 뿌려 수분함량을 50 내지 60중량%로 조절한 후 상기 사체와 혼합한 다음 상기 구덩이(10) 내부로 투입하여 상기 기저층(20) 위에 상기 미생물 제제와 상기 사체가 혼합된 사체층(30)을 형성하는 단계와, e)상기 사체층(3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사체층(30) 위에 왕겨를 쌓아 올려 봉분 형태의 덮개층(4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기저층(20) 형성 후 상기 구덩이(10) 내부에 수직으로 통기관(60)을 세워 설치하며, 상기 통기관(60)은 측면에 다수의 관통홀(63)들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제 1유공관(61)과, 상기 제 1유공관(61)의 내부에 설치되며 다수의 관통홀(67)들이 측면에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제 2유공관(65)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유공관(61)과 상기 제 2유공관(65) 사이에 상기 미생물 제제를 충진시켜 상기 통기관(60)으로 공기를 유통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물의 친환경 살처분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0237호에서는 호기성 호열균은 스페로테리우스 나우타우(Speroterius Nautau)를 이용한 동물의 친환경 살처분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54582호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스팀 투입구(21), 미생물 투입구(22) 및 에어투입구(23)가 설치되고, 상부에 입구(12)를 형성한 중공의 내부 공간을 가진 몸체(10)를 가지며, 상기 스팀투입구(21), 미생물투입구(22) 및 에어투입구(23)는 탱크(10)의 내부에서 상호 결합되어 합기로(24)를 이루며, 상기 합기로(24)의 후단으로 투입관(20)이 연결되고, 상기 투입관(20)은 몸체 내부 바닥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주투입관(25)과, 상기 주투입관(25)상에서 탱크의 내부 측면을 따라서 좌측 및 우측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부투입관(26,27)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부투입관(26,27)상에는 다수개의 배출홀(26a,27a)이 천공되고, 상기 탱크 내부에 상기 합기로(24)가 위치하는 공간을 분리 구획하는 격벽(14)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축 살처분용 저장 탱크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등록특허는 기존의 에어 분사하지 않고 단순히 살처분 가축을 보관 내지 수용하는 FRP 탱크에 비해서 분해 성능은 크게 향상되었으나, 탱크 내부의 내압이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에어 밴트를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에어 밴트에서는 유입된 에어만 배출되는 것이 아니고, 병원균, 악취 성분 및 발효/분해시 발생하는 기타 바이러스까지 함께 배출되기 때문에 대량의 살처분 가축 탱크가 밀집된 구역의 작업 환경을 크게 악화시키고, 추가적인 방역 작업에 소요되는 노력과 비용이 가중되며, 2차 고병원성 세균이 퍼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5458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7023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442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85171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8349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탱크 내에 미생물 생육에 필요한 에어를 충분히 공급함과 동시에 살균조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에어에 함유된 병원균, 악취 성분 및 발효/분해시 발생하는 기타 바이러스를 여러 단계를 통해 완전 소멸시킴으로써, 살처분 가축 탱크가 밀집된 구역의 작업 환경을 개선하고, 추가적인 방역 작업에 소요되는 노력과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살처분 가축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살처분 가축 처리 장치는 살처분 가축을 수용하도록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살처분 가축 투입구 및 잔해물 배출구가 형성되는 탱크와; 상기 탱크에 연통되어 미생물 제재를 공급하는 미생물 공급부와; 상기 탱크에 연통되어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탱크는 내부 공간을 살처분 가축을 미생물로 분해 처리하는 분해 처리조와, 살균조로 구획하는 메인 격벽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살처분 가축 처리 장치에 있어서, 살균조는, 상기 분해 처리조로 공급된 에어와 분해 처리시 발생하는 가스에 함유된 악취 성분의 악취를 제거하거나, 또는 고병원성 세균을 살균 처리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서, 살균액을 수용하는 살균액 수조와, 살균조 상단에서부터 상기 살균액 수조 내까지 연장형성되는 제1서브 격벽과, 일단은 상기 메인 격벽에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살균액 수조 내에 삽설되는 에어 분사관과, 상기 살균액 수조 일측에 마련되되 살균조 상단에서부터 연장되고 하단에 에어배출구를 형성하는 제2서브 격벽과, 상기 에어 배출구를 통과한 에어를 2차로 살균하는 살균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살균조는 상기 제1서브 격벽과 제2서브 격벽에 의해 제1서브 공간 내지 제3서브 공간으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살처분 가축 처리 장치에 있어서, 분해 처리조에 살처분 가축을 투입한 다음, 이들을 중화시키거나, 예비 살균을 하거나,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사하는 견운모를 투입한 후, 미생물을 공급하고, 상기 살균액은 이산화염소이며, 상기 살균 수단은 상기 제3서브 공간에 수용된 악취 성분 및 고병원성 세균을 분해, 살균하는 자외선 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살처분 가축 처리 장치에 따르면, 탱크 내에 미생물 생육에 필요한 에어를 충분히 공급함과 동시에 살균조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에어에 함유된 병원균, 악취 성분 및 발효/분해시 발생하는 기타 바이러스를 여러 단계를 통해 완전 소멸시킴으로써, 살처분 가축 탱크가 밀집된 구역의 작업 환경을 개선하고, 추가적인 방역 작업에 소요되는 노력과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살처분 가축 처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 살처분 탱크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살처분 가축 처리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견운모의 탈취 및 항균 성능을 한국원적외선협회에서 시험한 시험성적서이다.
도 6a 내지 도 6e는 견운모를 통해 악취 성분을 제거하는 사례를 보여주는 자료들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설명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살처분 가축 처리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살처분 가축 처리 장치(100)는 미생물 내지 효소 등을 활용하여 살처분 가축을 분해 처리하는 것으로서, 크게 탱크(101)와, 미생물 공급부(130)와, 에어 공급부(13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살처분 가축 처리 장치(100)는 살처분 가축을 수용하도록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살처분 가축 투입구(102) 및 잔해물 배출구(104)가 형성되는 탱크(101)와, 상기 탱크(101)에 연통되어 미생물 제재를 공급하는 미생물 공급부(130)와, 상기 탱크(101)에 연통되어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부(134)를 포함한다.
상기 탱크(101)는 내구성이 우수한 FRP(fiber reinforced plastics)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탱크(101)의 상단에 설치된 살처분 가축 투입구(102)에는 밀폐가능하게 개폐되는 덮개(103)가 설치되며, 하단에 설치되는 잔해물 배출구(104)는 분해 및 살균 처리된 살처분 가축 잔해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되 개폐 밸브(105)가 설치된다. 상기 처리 완료된 잔해물은 상기 개폐 밸브(105)에 연결되는 흡입 호스(106)를 통해 잔해물 전문 수거 차량으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미생물 공급부(130)를 통해 공급되는 미생물은 호열 호기성 미생물로서 사상균, 방선균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미생물 공급부(130)는 상기 탱크(101) 일측에 연통되는 미생물 공급관(131)과, 상기 미생물 공급관(131) 상에 설치되는 체크 밸브(132)와, 미생물 공급조(133)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에어 공급부(134)는 상기 미생물이 생육하기에 양호한 호기성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에어를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탱크(101) 일측에 연통되는 에어 공급관(135)과, 상기 에어 공급관(135) 상에 설치되는 체크 밸브(132)와, 에어 컴프레셔(137) 등의 송풍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탱크(101) 내에 삽입된 상기 미생물 공급관(131)과 에어 공급관(135)의 타단은 다수의 분사 노즐(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탱크(101) 전체에 균일하게 미생물 또는 에어를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미생물 공급 주기, 공급량은 탱크 내의 수용된 살처분 가축의 양과, 처리 정도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에어 공급량과 공급 시간은 미생물 활성 정도와 탱크 내부 압력을 체크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미생물 활성화에 필요한 에어를 공급하되, 악취 성분과 AI와 같은 고병원성 세균 등이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탱크를 분해 처리조와, 살균조로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탱크(101)는 내부 공간을 살처분 가축을 미생물로 분해 처리하는 분해 처리조(110)와, 살균조(120)로 구획하는 메인 격벽(107)이 설치된다.
상기 분해 처리조(110)에는 교반 수단(111)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교반 수단(111)은 살처분 가축을 상기 메인 격벽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메인 격벽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며 교반하도록 양방향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살균조(120)는 상기 분해 처리조(110)로 공급된 에어와 분해 처리시 발생하는 가스에 함유된 악취 성분의 악취를 제거하거나, 또는 고병원성 세균을 살균 처리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살균조(120)는 살균액을 수용하는 살균액 수조(124)와, 살균조(120) 상단에서부터 상기 살균액 수조(124) 내까지 연장형성되는 제1서브 격벽(121a)과, 일단은 상기 메인 격벽(107)에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살균액 수조(124) 내에 삽설되는 에어 분사관(125)과, 상기 살균액 수조(124) 일측에 마련되되 살균조(120) 상단에서부터 연장되고 하단에 에어배출구(126)가 형성되도록 하는 제2서브 격벽(121b)과, 상기 에어 배출구(126)를 통과한 에어를 2차로 살균하는 살균 수단(127)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살균조(120)는 상기 제1서브 격벽(121a)과 제2서브 격벽(121b)에 의해 제1서브 공간 내지 제3서브 공간((23a, 123b, 123c)으로 구획된다.
상기 살균액은 이산화염소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이산화염소는 강 산화제로 물에 잘 녹고, 휘발성이 강하며 열에 의해 폭발적으로 분해하며 강력한 산화 작용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고농도의 농축이 어려워 약 8~10% 농도로 희석시켜 사용한다. 특히 악취의 원인 물질인 암모니아, 유화수소, 머캡탄, 페놀 등을 산화시키거나 구조를 파괴하여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또한 염소계의 화합물로 살균하는 경우 유기물질과 반응하여 트라이할로메테인과 같은 발암물질을 생성하나 이산화염소는 이와 같은 발암물질을 전혀 생성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상기 살균액 수조(124)의 이산화염소가 휘발성이 크기 때문에 일정 수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탱크(101) 상면에는 살균액의 수위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살균액을 공급하는 살균액 공급부(129)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살균액 공급부(129)에서는 분해 처리조(110)로 미생물 투입하기 전에 살균액을 미리 분사할 수도 있다.
상기 제1서브 격벽(121a)의 하단은 상기 살균액 내에 함침되어 제1서브 공간(123a)과 제2서브 공간(123b)으로 구획한다.
상기 제2서브 격벽(121b)은 상단은 살균조(120) 천정을 밀폐하나 하단이 살균조 바닥과 이격되면서 에어배출구(126)를 형성한다.
상기 에어 분사관(125)의 일단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송풍기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에어 분사관(125)을 통해 공급된 에어는 살균액 내에서 포기되면서 접촉하기 때문에 살균 및 악취가 1차적으로 제거된 다음, 상기 살균 수단을 통해 2차로 살균된 다음, 외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탱크 내부에 잔존한 AI 등의 고병원성 세균이 외부로 배출되어 2차 감염이 되는 것을 철저히 예방할 수 있고, 아울러 악취 및 유해 물질 배출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살균 수단(127)은 상기 제3서브 공간에 수용된 악취 성분 및 고병원성 세균을 분해, 살균하는 자외선 램프인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램프(127)에서 방사되는 자외선은 세균, 바이러스 및 악취 성분은 물론, 휘발되는 이산화염소도 함께 분해하게 된다. 이와 같이 세균 등과 함께 이산화염소를 분해하게 되면, 고농도로 휘산하여 배출되는 이산화염소에 의한 눈, 코 자극 등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제3서브 공간(123c)의 상부에는 헤파 필터 등의 필터(128)를 설치하여 3차적인 필터링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필터 위에는 흡착된 유해물질을 분해하는 자외선 램프가 추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필터를 통과한 에어는 에어 배출관을 통해 최종적으로 외부로 배출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살처분 가축 처리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살처분 가축 처리 장치는 살처분 가축을 수용하는 FRP 탱크(101)와, FRP 탱크(101)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덮개(103)과, FRP 탱크(101)의 내부에 수용되는 여과망(101a)과, 상기 여과망(101a)의 하단에 힌지로 결합하는 여과망 바닥부(101b)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103)에는 내부 처리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보조뚜껑(109)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의 살처분 가축 처리를 살펴보면, 먼저 FRP 탱크(101)의 덮개(103)를 개방한 상태에서 살처분 가축과, 살처분 가축을 분해하는 견운모를 투입한다.
그리고, 살처분 가축과 견운모를 포크레인 삽을 FRP 탱크(101)에 삽입하여 교반하고, FRP 탱크(101)를 덮개(103)로 밀폐한다.
관리자는 보조뚜껑(109)을 통해 살처분 가축의 분해 상태를 확인하면서 필요한 경우 견운모 등 살포제를 추가 투입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매몰 기간이 경과하면, FRP 탱크(101)의 하단에 마련된 배출구를 통해 분해 처리된 침출수를 배출한 다음, 덮개(103)를 개방하고 크레인(150)으로 여과망(101a)을 FRP 탱크(101)에서 인출한다.
이때 상기 여과망(101a)에는 분해되지 않은 뼈만 잔류하게 되고, 여과망(101a) 하단에 마련된 바닥부(101b)를 개방하여 잔류한 뼈를 반출하게 된다.
한편, 살처분 가축 분해에 사용되는 견운모는 다량의 원적외선을 방사하고, 토양개량의 역할을 수행하며, 작물을 재배할 때 토양이 산성화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토양에 무기질 미량원소를 공급하고, 다공질 입자구조로 인해 흡착력이 우수하다. 그리고 다공질 구조는 유해가스를 흡착하기도 하고 통기성을 우수하게 하여 토양내 미생물 활성에 도움을 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견운모의 탈취 및 항균 성능을 한국원적외선협회에서 시험한 시험성적서이고, 도 6a 내지 도 6e는 견운모를 통해 악취 성분을 제거하는 사례를 보여주는 자료들이다.
도 5 내지 도 6e를 참조하면, 견운모는 분뇨처리장, 가축 사육시설, 액비 및 퇴비 제조 공장, 각종 폐기물 처리시설 및 악취 발생장소에 살포하게 되면 잔존독소제거, 토양오염예방, 병균, 해충 회피 및 예방, 중금속 분해, 녹농균, 대장균 등 일반세균 제거 성능과, 미량원소를 제공하고 유익 미생물 번식가능하도록 해주는 작용을 한다.
이와 같은 효과를 가지는 견운모를 살처분 가축과 함께 투입하게 되면 악취 성분 제거는 물론, 유익 미생물 번식을 통해 분해를 돕고, 유해 세균을 제거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살처분 가축 처리 장치 101 : 탱크
101a : 여과망 101b : 여과망 바닥부
101c : 힌지 102 : 살처분 가축 투입구
103 : 덮개 104 : 잔해물 배출구
105 : 개폐 밸브 106 : 흡입 호스
107 : 메인 격벽 109 : 보조뚜껑
110 : 분해 처리조 111 : 교반 수단
112 : 교반축 113 : 교반날개
120 : 살균조 121a : 제1서브 격벽
121b : 제2서브 격벽 123a : 제1서브 공간
123b : 제2서브 공간 123c : 제3서브 공간
124 : 살균액 수조 125 : 에어 분사관
126 : 에어배출구 127 : 살균 수단, 자외선 램프
128 : 필터 130 : 미생물 공급부
131 : 미생물 공급관 132 : 체크 밸브
133 : 미생물 공급조 134 : 에어 공급부
135 : 에어 공급관 136 : 체크 밸브
137 : 에어 컴프레셔 150 : 크레인

Claims (4)

  1. 살처분 가축 처리 장치에 있어서,
    살처분 가축을 수용하도록 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살처분 가축 투입구 및 잔해물 배출구가 형성되는 탱크와;
    상기 탱크에 연통되어 미생물 제재를 공급하는 미생물 공급부와;
    상기 탱크에 연통되어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부;를 포함하되,
    상기 탱크는 내부 공간을 살처분 가축을 미생물로 분해 처리하는 분해 처리조와, 살균조로 구획하는 메인 격벽이 설치되며,
    상기 살균조는,
    상기 분해 처리조로 공급된 에어와 분해 처리시 발생하는 가스에 함유된 악취 성분의 악취를 제거하거나, 또는 고병원성 세균을 살균 처리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서, 살균액을 수용하는 살균액 수조와, 살균조 상단에서부터 상기 살균액 수조 내까지 연장형성되는 제1서브 격벽과, 일단은 상기 메인 격벽에 연통되고 타단은 상기 살균액 수조 내에 삽설되는 에어 분사관과, 상기 살균액 수조 일측에 마련되되 살균조 상단에서부터 연장되고 하단에 에어배출구를 형성하는 제2서브 격벽과, 상기 에어 배출구를 통과한 에어를 2차로 살균하는 살균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살균조는 상기 제1서브 격벽과 제2서브 격벽에 의해 제1서브 공간 내지 제3서브 공간으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처분 가축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해 처리조에 살처분 가축을 투입한 다음, 이들을 중화시키거나, 예비 살균을 하거나, 원적외선 및 음이온을 방사하는 견운모를 투입한 후, 미생물을 공급하고,
    상기 살균액은 이산화염소이며,
    상기 살균 수단은 상기 제3서브 공간에 수용된 악취 성분 및 고병원성 세균을 분해, 살균하는 자외선 램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처분 가축 처리 장치.
  3. 살처분 가축을 수용하는 탱크(101)와;
    탱크(101)의 상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하는 덮개(103)와;
    탱크(101)의 내부에 수용되는 여과망(101a)과;
    상기 여과망(101a)의 하단에 힌지로 결합하는 여과망 바닥부(101b)를 포함하며,
    상기 덮개(103)에는 내부 처리 상태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보조뚜껑(109)이 마련되고,
    탱크(101)의 하단에 마련된 배출구를 통해 분해 처리된 침출수를 배출하고, 여과망(101a)을 FRP 탱크(101)에서 인출하여 분해되지 않은 잔류물을 외부로 반출하여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처분 가축 처리 장치.
  4. 삭제
KR1020170156938A 2017-11-23 2017-11-23 살처분 가축 처리 장치 Active KR101825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938A KR101825588B1 (ko) 2017-11-23 2017-11-23 살처분 가축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938A KR101825588B1 (ko) 2017-11-23 2017-11-23 살처분 가축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5588B1 true KR101825588B1 (ko) 2018-02-05

Family

ID=61224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6938A Active KR101825588B1 (ko) 2017-11-23 2017-11-23 살처분 가축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558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942B1 (ko) * 2018-07-04 2019-10-16 조현우 냉각수단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 설비
KR102055519B1 (ko) * 2019-02-22 2019-12-13 경상북도 경주시 살처분 매몰탱크 또는 폐공간 사체의 저비용 분해 및 처리방법
KR20220000239A (ko) 2020-06-25 2022-01-03 박관재 미생물 가축소멸기의 악취제거장치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9589A (ja) * 2000-03-17 2001-09-25 Hitachi Ltd 有機性廃棄物処理システム及び処理方法
JP2003159577A (ja) * 2001-11-27 2003-06-03 Iseki & Co Ltd 生ごみ処理機の運転制御装置
KR100675570B1 (ko) * 2006-05-24 2007-01-30 (주)미르테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468971Y1 (ko) * 2013-01-23 2013-09-10 제주특별자치도(보건환경연구원장) 복합형 가축분뇨 악취가스 제거장치
KR101413088B1 (ko) * 2014-03-31 2014-07-01 김성 지하에 매설되는 이중벽 구조의 폐사축 처리 탱크
KR20140005381U (ko) * 2013-04-09 2014-10-17 곽영식 실외용 건조기
KR20150015880A (ko) * 2013-08-02 2015-02-11 아트먼 주식회사 공기정화기의 악취 제거 방법 및 그 장치
KR20150108740A (ko) * 2015-02-02 2015-09-30 (주) 하나환경 전염성 병원균에 감염된 가축의 살처분용 매몰 탱크
KR101694481B1 (ko) * 2014-07-24 2017-01-10 주식회사 태성바이오 가축 폐사체의 처리장치
KR101697944B1 (ko) * 2014-11-04 2017-01-19 제이나인바이오 영농조합법인 악취물질을 분해시킬 수 있는 Citrobacter gillenii J9 및 이를 이용한 악취가스 제거장치
KR101754582B1 (ko) * 2016-10-25 2017-07-10 (주) 창조 가축 살처분용 저장 탱크
KR101764853B1 (ko) * 2016-12-08 2017-08-07 주식회사 다산컨설턴트 가축 사체 생분해 처리제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59589A (ja) * 2000-03-17 2001-09-25 Hitachi Ltd 有機性廃棄物処理システム及び処理方法
JP2003159577A (ja) * 2001-11-27 2003-06-03 Iseki & Co Ltd 生ごみ処理機の運転制御装置
KR100675570B1 (ko) * 2006-05-24 2007-01-30 (주)미르테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468971Y1 (ko) * 2013-01-23 2013-09-10 제주특별자치도(보건환경연구원장) 복합형 가축분뇨 악취가스 제거장치
KR20140005381U (ko) * 2013-04-09 2014-10-17 곽영식 실외용 건조기
KR20150015880A (ko) * 2013-08-02 2015-02-11 아트먼 주식회사 공기정화기의 악취 제거 방법 및 그 장치
KR101413088B1 (ko) * 2014-03-31 2014-07-01 김성 지하에 매설되는 이중벽 구조의 폐사축 처리 탱크
KR101694481B1 (ko) * 2014-07-24 2017-01-10 주식회사 태성바이오 가축 폐사체의 처리장치
KR101697944B1 (ko) * 2014-11-04 2017-01-19 제이나인바이오 영농조합법인 악취물질을 분해시킬 수 있는 Citrobacter gillenii J9 및 이를 이용한 악취가스 제거장치
KR20150108740A (ko) * 2015-02-02 2015-09-30 (주) 하나환경 전염성 병원균에 감염된 가축의 살처분용 매몰 탱크
KR101754582B1 (ko) * 2016-10-25 2017-07-10 (주) 창조 가축 살처분용 저장 탱크
KR101764853B1 (ko) * 2016-12-08 2017-08-07 주식회사 다산컨설턴트 가축 사체 생분해 처리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942B1 (ko) * 2018-07-04 2019-10-16 조현우 냉각수단을 구비한 음식물 쓰레기 분리 수거 설비
KR102055519B1 (ko) * 2019-02-22 2019-12-13 경상북도 경주시 살처분 매몰탱크 또는 폐공간 사체의 저비용 분해 및 처리방법
KR20220000239A (ko) 2020-06-25 2022-01-03 박관재 미생물 가축소멸기의 악취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6277B1 (ko) 살처분 매몰지의 환원 방법, 이를 이용한 유기 비료 제조방법
DE69909601T2 (de) Verfahren zur biologischen raffinierung von organischen abfällen zur gewinnung von denaturierten und sterilen nährstoffen
KR101825588B1 (ko) 살처분 가축 처리 장치
KR101737414B1 (ko) 고온 호기발효가 촉진되는 매몰형 사축 소멸장치
KR20180031211A (ko) 악취물질을 먹이로 한 호기성 유용 미생물군을 이용한 악취제거 돈사와 그 시스템
KR20100134393A (ko) 분뇨악취제거장치
CN112517599B (zh) 一种医疗废物处理装置及其处理方法
KR20170099303A (ko) 악취가 제거된 분뇨를 이용한 유기질비료 생산장치
KR20140068537A (ko) 터널형으로 이루어진 탈취 및 공기정화장치
KR101919594B1 (ko) 질병에 감염되어 도살 또는 폐사된 동물의 사체에 대한 무공해 처리방법
JP3657841B2 (ja) 有機廃棄物処理装置における脱臭装置
CN103768909A (zh) 一种畜禽养殖场恶臭综合控制系统及方法
KR102772862B1 (ko) 가축 및 반려동물 사체 처리 차량
KR101133925B1 (ko) 공기공급 시스템이 구비된 유기성폐기물 처리장치
KR102010284B1 (ko) 담체를 이용한 동물사체의 친환경 퇴비화방법
KR102091168B1 (ko) 미생물을 활용한 살처분 폐사가축 통합처리장치
KR100585960B1 (ko) 전리 오존수/전리 과산화수소수를 이용한 축산 방역 및축산 폐수 악취 제거 방법
KR101947448B1 (ko) 구제역 및 ai의 사체 처리 및 매몰지 토양 복원 플랜트 장치
KR102010285B1 (ko) 동물사체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물사체의 친환경 퇴비화방법
KR102150919B1 (ko) 전염병으로 인해 살처분된 동물사체의 비매몰 방식 처리를 실현하기 위한 고속퇴비화 장치
KR20040076105A (ko)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하는 각종 유기성 쓰레기와 오폐수의정화처리방법
KR20220016545A (ko) 축사의 공기 관리 시스템
KR102145610B1 (ko) 폐사가축의 발효, 탈취 및 살바이러스 차단 방법
KR20220016546A (ko) 계사의 공기 관리 시스템
TWM607097U (zh) 除臭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7112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130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1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1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1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