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25724B1 - 안전핀이 구비된 퀵커플러 - Google Patents

안전핀이 구비된 퀵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5724B1
KR101825724B1 KR1020160146017A KR20160146017A KR101825724B1 KR 101825724 B1 KR101825724 B1 KR 101825724B1 KR 1020160146017 A KR1020160146017 A KR 1020160146017A KR 20160146017 A KR20160146017 A KR 20160146017A KR 101825724 B1 KR101825724 B1 KR 101825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hook
support
main body
hinge
quick coupl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6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해선
Original Assignee
이해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선 filed Critical 이해선
Priority to KR1020160146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57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5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5724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18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two separating hook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22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a hook and a locking element acting on a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68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here engagement is effected by a mechanical lever or ha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ov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의 암대에 설치되고 일단에 고정후크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후크;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가동후크를 회전시켜 상기 암대에 어태치먼트를 결합시키는 구동부; 상기 가동후크의 배면을 지지하여 상기 가동후크와 상기 어태치먼트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가 상기 가동후크의 배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상기 지지대가 상기 가동후크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지지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핀이 구비된 퀵커플러 {QUICK COUPLER HAVING SAFETY PIN}
본 발명은 안전핀이 구비된 퀵커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굴삭기의 암대에 설치되어 다양한 작업기구를 신속하게 연결 또는 분리할 수 있으며, 작업 중에 발생되는 오작동에 의해 작업기구를 구속하는 실린더로부터 유압이 유실되어도 퀵커플러로부터 작업기구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핀이 구비된 퀵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굴삭기 등의 건설, 토목용 중장비에서는 브레이커, 버킷, 크러셔 등의 작업기구를 이용하여 땅을 파거나 땅에서 파낸 흙을 처리하거나 암석 등을 파쇄하는 등의 작업을 행하게 되며, 이들 작업기구들은 작업의 내용에 따라 교체하여 사용하게 된다.
종래에 작업기구를 결합하기 위한 장치는, 굴삭기의 암대 선단에 한 쌍의 결합핀으로 커플러가 결합되고, 커플러 일측에는 고정훅이 구비되고 타측에는 가동훅이 회동 가능케 결합되며, 가동훅은 커플러 내에 장착된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회동되도록구성된다.
그리고 고정훅 및 가동훅에는 작업기구의 상측에 형성된 고정핀이 삽입되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따라서 암대의 선단에 결합된 커플러를 작업기구의 상측에 근접시키고 고정훅에는 고정핀을 삽입시키고 타측의 가동훅에는 다른 고정핀을 결합시키게 되는데, 가동훅은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개폐작동되어 내부에 고정핀이 결합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가동훅을 작동시키는 수단으로 유압의 작용에 의해 작동하는 실린더에 의해 이루어짐으로써 운전석에서 작업기구를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는 편리함은 있으나 커플러의 내측에 상기 실린더로 유압을 공급하기 위한 유압 라인이 필요하게 됨으로써 장치가 복잡해지고 코스트가 상승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내재되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굴삭기용 퀵커플러가 개발되었으며, 종래기술에 따른 굴삭기용 퀵커플러의 가동훅은 간격을 두고 설치된 지지판에 결합된 힌지핀에 결합된 힌지부를 포함하고, 가동훅의 배면 측에는 안전핀이 삽입 설치되고, 전면 측에는 가동훅의 전면에 결합된 보스에 로킹판을 관통하여 로킹볼트가 분리 가능하게 체결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118331호(2009년 11월 18일 공개, 발명의 명칭 : 굴삭기용 퀵커플러)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굴삭기용 퀵커플러는, 가동훅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안전핀 및 로킹볼트가 구비되기 때문에 안전핀 및 로킹볼트의 결합구조가 복잡하므로 퀵커플러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굴삭기용 퀵커플러는, 안전핀 및 로킹볼트를 해제한 후에 작업기구의 교체를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기구의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굴삭기의 암대에 설치되어 다양한 작업기구를 신속하게 연결 또는 분리할 수 있으며, 작업 중에 발생되는 오작동에 의해 작업기구를 구속하는 실린더로부터 유압이 유실되어도 퀵커플러로부터 작업기구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핀이 구비된 퀵커플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굴삭기의 암대에 설치되고 일단에 고정후크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후크;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가동후크를 회전시켜 상기 암대에 어태치먼트를 결합시키는 구동부; 상기 가동후크의 배면을 지지하여 상기 가동후크와 상기 어태치먼트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가 상기 가동후크의 배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상기 지지대가 상기 가동후크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지지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지지대는, 상기 본체에 힌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가동후쿠와 간격을 이루며 회전중심을 제공하는 힌지축; 및 상기 지지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동력제공부는, 상기 회전블록으로부터 상기 지지대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대; 및 상기 연장대가 상기 지지대보다 무거워지도록 상기 연장대에 구비되는 중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대가 상기 본체 외측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회전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역회전방지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지지대와 상기 힌지부 사이의 모서리에 걸림결합되는 안전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구동부에 설치되고 상기 힌지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래킷을 더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은, 상기 구동부를 지지하는 안착홈부와, 상기 힌지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홈부를 구비하는 하부블록; 및 상기 안착홈부에 대향되는 가압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블록과 함께 구동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상부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핀이 구비된 퀵커플러는, 퀵커플러의 가동후크의 배면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지지대에 동력을 제공하여 회전운동을 유발시키는 동력제공부가 구비되므로 가동후크가 어태치먼트의 고정대에 걸림결합된 상태에서 동력제공부의 작동에 의해 지지대가 가동후크의 배면을 지지하게 되므로 구동부에 유압이 급격히 낮아지는 오작동이 발생되어도 가동후크와 고정대와의 걸림결합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여 어태치먼트의 낙하에 의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핀이 구비된 퀵커플러는, 암대가 수평상태이거나 들려진 상태에서 지지대가 가동후크 배면에서 역회전되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회전방지부가 구비되므로 암대의 위치에 따라 동력제공부의 위치가 가변되면서 지지대가 가동후크를 지지하는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핀이 구비된 퀵커플러는, 지지대, 동력제공부 및 역회전방지부가 설치되는 브래킷이 구비되므로 본체 내벽에 지지대, 동력제공부 및 역회전방지부를 설치하지 않고, 브래킷의 장착위치를 다양하게 가변시키면서 다양한 구조의 퀵커플러에 적용하여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핀이 구비된 퀵커플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핀이 구비된 퀵커플러가 도시된 측면 구동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안전핀이 구비된 퀵커플러의 잠금상태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핀이 구비된 퀵커플러의 해제상태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핀이 구비된 퀵커플러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핀이 구비된 퀵커플러의 지지대, 동력제공부 및 브래킷의 연결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핀이 구비된 퀵커플러의 브래킷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핀이 구비된 퀵커플러의 지지대, 동력제공부 및 브래킷의 연결구조가 도시된 단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안전핀이 구비된 퀵커플러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핀이 구비된 퀵커플러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핀이 구비된 퀵커플러가 도시된 측면 구동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안전핀이 구비된 퀵커플러의 잠금상태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핀이 구비된 퀵커플러의 해제상태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핀이 구비된 퀵커플러는, 굴삭기의 암대에 설치되고 일단에 고정후크(12)가 구비되는 본체(10)와, 본체(10)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후크(14)와, 본체(10)에 설치되고 가동후크(14)를 회전시켜 암대에 어태치먼트를 결합시키는 구동부(16)와, 가동후크(14)의 배면을 지지하여 가동후크(14)와 어태치먼트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는 지지대(30)와, 지지대(30)가 가동후크(14)의 배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지지대(30)가 가동후크(14)로부터 이격되도록 지지대(30)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부(50)를 포함한다.
따라서 퀵커플러를 수평으로 위치시키거나 퀵커플러를 암대 상측으로 들어 올리는 상태에서는 중량부재(54)를 구비하는 동력제공부(50)의 작동에 의해 지지대(30)가 상측으로 회전되면서 지지대(30)의 단부가 가동후크(14)의 배면에 미착되며 가동후크(14)가 후방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다.
본 실시예는, 가동후크(14)가 본체(10)의 내부로부터 외측으로 회전되면서 어태치먼트의 고정대와 걸림결합되므로 작업자는 암대의 위치를 조절하면서 본체(10)의 가동후크(14)가 가장 낮게 위치되도록 본체(10)의 외측 단부를 지면에 가깝게 기울이게 되면 지지대(30)보다 무거운 중량부재(54)가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며, 지지대(30)를 가동후크(14)의 내측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동력제공부(50)의 작동에 의해 지지대(30)는 가동후크(14)의 배면, 본체(10)의 내측으로 회전되면서 가동후크(14)와 지지대(30)가 서로 이격되면서 가동후크(14)에 작용되던 구속력이 해제된다.
이후에,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구동부(16)를 이루는 실린더 내부로 로드가 삽입되면 가동후크(14)가 역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퀵커플러로부터 어태치먼트를 착탈시킬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된다.
따라서 구동부(16)를 이루는 실린더 내부로 로드가 삽입되면 가동후크(14)가 본체(10) 내측으로 회전되면서 어태치먼트의 고정대와 가동후크(14)의 걸림결합이 해제되어 어태치먼트의 교체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지지대(30)는, 상기 본체(10)에 힌지부(3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힌지부(32)는, 가동후쿠와 간격을 이루며 회전중심을 제공하는 힌지축(32a)과, 지지대(30)에 일체로 형성되고 힌지축(32a)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블록(32b)을 포함한다.
본체(10)의 내벽에는 측 방향으로 힌지축(32a)이 돌출되고, 지지대(30)의 내측 단부에 링 모양으로 형성되는 회전블록(32b)이 힌지축(32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본체(10) 내벽에 지지대(3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동력제공부(50)는, 회전블록(32b)으로부터 지지대(30)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대(52)와, 연장대(52)가 지지대(30)보다 무거워지도록 연장대(52)에 구비되는 중량부재(54)를 포함한다.
연장대(52)는 회전블록(32b)으로부터 약90도의 각도를 이루며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이루어지고, 연장대(52)의 단부에는 원판 모양의 중량부재(54)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중량부재(54)에 의해 연장대(52)가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면 회전블록(32b)이 힌지축(32a)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지지대(30)를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면서 가동후크(14)의 배면을 지지하는 방향으로 배치된다.
반대로, 암대의 위치를 조절하여 가동후크(14)가 지면을 향하도록 본체(10)의 외측 단부를 지면 측으로 기울이면, 중량부재(54)에 의해 연장대(52)가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지지대(30)는 본체(10) 내측으로 삽입되어 가동후크(14)의 배면과 이격된 상태로 변경되면서 가동후크(14)의 구속이 해제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지지대(30)가 본체(10) 외측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회전방지부(70)를 더 포함한다.
가동후크(14)가 하늘을 향해 높게 들려지는 경우에 중량부재(54)에 의해 연장대(52)가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면 지지대(30)가 본체(10) 외측으로 회전되면서 가동후크(14)의 구속상태가 해제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는, 역회전방지부(70)의 작용에 의해 지지대(30)가 본체(10) 외측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가동후크(14)의 구속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역회전방지부(70)는, 본체(10)로부터 돌출되고 지지대(30)와 힌지부(32) 사이의 모서리에 걸림결합되는 안전핀(72)을 포함하므로 가동후크(14)가 가장 높게 위치되도록 퀵커플러가 상측으로 경사지게 상승될 때에 지지대(30)가 안전핀(72)에 의해 걸림결합되어 본체(10)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연장대(52) 및 중량부재(54)가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지 않고 본체(10)와 함께 상측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지지대(30)와 가동후크(14)의 결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암대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작동이 반복되어도 지지대(30)가 가동후크(14)의 배면을 고정대 방향으로 가압하는 결합상태가 유지되므로 구동부(16)로부터 유압이 유실되는 오작동이 발생되어도 가동후크(14)와 고정대의 걸림결합이 해제되면서 어태치먼트가 암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전핀이 구비된 퀵커플러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퀵커플러에 어태치먼트를 결합시킬 때에는 가동후크(14)가 지면을 향하도록 본체(10)를 경사지게 배치시키면, 중량부재(54) 및 연장대(52)가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지지대(30)가 본체(10) 내측으로 삽입되어 가동후크(14)와 지지대(30) 사이의 결합상태가 해제된다.
이후에,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실린더 내부로 로드가 삽입되면 가동후크(14)가 본체(10) 내측으로 회전되면서 해제상태를 이루게 되고, 고정후크(12)를 어태치먼트의 인접하게 배치시켜 실린더로부터 로드를 돌출시키면 가동후크(14)와 고정대가 걸림결합되면서 어태치먼트와 퀵커플러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후에, 퀵커플러를 수평방향으로 상승시키면 중량부재(54)가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면서 지지대(30)가 가동후크(14)의 배면에 밀착되어 가동후크(14)가 고정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핀이 구비된 퀵커플러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핀이 구비된 퀵커플러의 지지대, 동력제공부 및 브래킷의 연결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핀이 구비된 퀵커플러의 브래킷이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핀이 구비된 퀵커플러의 지지대, 동력제공부 및 브래킷의 연결구조가 도시된 단면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전핀이 구비된 퀵커플러는, 구동부(16)에 설치되고 힌지부(3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래킷(80)을 더 포함하므로 지지대(30), 힌지부(32) 및 연장대(52)를 브래킷(8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지지대(30), 힌지부(32) 및 연장대(52)를 본체(10)가 아닌 구동부(16)에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체(10) 내부의 공간이 협소하거나 복잡하여 지지대(30)의 설치가 어려운 퀵커플러에 본 실시예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지지대(30), 힌지부(32) 및 연장대(52)가 설치되는 브래킷(80)을 구동부(16)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브래킷(80)은, 구동부(16)를 지지하는 안착홈부(82a) 및 힌지부(3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홈부(82b)를 구비하는 하부블록(82)과, 안착홈부(82a)에 대향되는 가압홈부(84a)를 구비하고 하부블록(82)과 함께 구동부(16)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상부블록(84)을 포함한다.
하부블록(82)은 중앙부에 하측 방향으로 오목하게 안착홈부(82a)가 형성되어 구동부(16)를 이루는 실린더의 둘레면이 안착홈부(82a)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안착홈부(82a)의 양측부에는 저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오목하게 한 쌍의 설치홈부(82b)가 형성된다.
한 쌍의 설치홈부(82b) 중 어느 하나의 설치홈부(82b) 내벽에는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힌진축이 형성되고, 힌지축(32a)에는 지지대(30) 및 연장대(52)가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블록(32b)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는, 한 쌍의 설치홈부(82b) 중 어느 하나의 설치홈부(82b)에 회전블록(32b)이 설치되므로 퀵커플러의 구조적 특징에 따라 적합한 설치홈부(82b)에 회전블록(32b)을 설치할 수 있어 설계의 자유도가 향상되는 효과가 나타나게 된다.
상부블록(84)은 안착홈부(82a)를 덮는 플레이트 모양으로 형성되고, 중앙부에 하측 방향으로 돌추되고 중앙부가 상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가압홈부(84a)가 형성되므로 하부블록(82)의 상면에 상부블록(84)을 안착시키면 가압홈부(84a)가 실린더의 둘레면을 감싸면서 고정시키게 된다.
상부블록(84)의 양단부에는 관통홀부(84c)가 형성되고, 하부블록(82)의 양단부에는 관통홀부(84c)에 대향되는 체결홀부(82c)가 형성되므로 체결홀부(82c)로 삽입하는 체결부재를 관통홀부(84c)를 통해 본체(10)에 체결하면 브래킷(80)과 본체(10)를 연결하여 지지대(30), 회전블록(32b) 및 연장대(52)의 설치를 이룰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는 하부블록(82)의 설치홈부(82b) 내벽에 안전핀(72)이 형성되므로 지지대(30)가 설치홈부(82b) 외측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지지대(30)와 가동후크(14)의 결합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로써, 굴삭기의 암대에 설치되어 다양한 작업기구를 신속하게 연결 또는 분리할 수 있으며, 작업 중에 발생되는 오작동에 의해 작업기구를 구속하는 실린더로부터 유압이 유실되어도 퀵커플러로부터 작업기구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핀이 구비된 퀵커플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안전핀이 구비된 퀵커플러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안전핀이 구비된 퀵커플러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퀵커플러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본체 12 : 고정후크
14 : 가동후크 16 : 구동부
30 : 지지대 32 : 힌지부
32a : 힌지축 32b : 회전블록
50 : 동력제공부 52 : 연장대
54 : 중량부재 70 : 역회전방지부
72 : 안전핀 80 : 브래킷
82 : 하부블록 82a : 안착홈부
82b : 설치홈부 82c : 체결홀부
84 : 상부블록 84a : 가압홈부
84c : 관통홀부

Claims (5)

  1. 굴삭기의 암대에 설치되고 일단에 고정후크가 구비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후크;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가동후크를 회전시켜 상기 암대에 어태치먼트를 결합시키는 구동부;
    상기 가동후크의 배면을 지지하여 상기 가동후크와 상기 어태치먼트의 결합상태를 유지시키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가 상기 가동후크의 배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거나 상기 지지대가 상기 가동후크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지지대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동력제공부; 및
    상기 지지대가 상기 본체 외측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회전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역회전방지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지지대와 힌지부 사이의 모서리에 걸림결합되는 안전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핀이 구비된 퀵커플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상기 본체에 힌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힌지부는,
    상기 가동후쿠와 간격을 이루며 회전중심을 제공하는 힌지축; 및
    상기 지지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핀이 구비된 퀵커플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제공부는,
    상기 회전블록으로부터 상기 지지대와 이격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대; 및
    상기 연장대가 상기 지지대보다 무거워지도록 상기 연장대에 구비되는 중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핀이 구비된 퀵커플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에 설치되고 상기 힌지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래킷을 더 포함하고,
    상기 브래킷은,
    상기 구동부를 지지하는 안착홈부와, 상기 힌지부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홈부를 구비하는 하부블록; 및
    상기 안착홈부에 대향되는 가압홈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블록과 함께 구동부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상부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핀이 구비된 퀵커플러.
KR1020160146017A 2016-11-03 2016-11-03 안전핀이 구비된 퀵커플러 Expired - Fee Related KR101825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017A KR101825724B1 (ko) 2016-11-03 2016-11-03 안전핀이 구비된 퀵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6017A KR101825724B1 (ko) 2016-11-03 2016-11-03 안전핀이 구비된 퀵커플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5724B1 true KR101825724B1 (ko) 2018-03-22

Family

ID=61901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6017A Expired - Fee Related KR101825724B1 (ko) 2016-11-03 2016-11-03 안전핀이 구비된 퀵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572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5676B1 (ko) * 2018-10-26 2019-03-07 유한회사 대한중공업 직선 운동하는 가동후크가 구비된 퀵 커플러
KR102037474B1 (ko) 2018-07-23 2019-10-28 이해선 보조 안전장치를 갖춘 퀵 커플러
KR20210030757A (ko) 2019-09-10 2021-03-18 이해선 보조 안전장치를 갖춘 퀵 커플러
KR20210069486A (ko) 2019-12-03 2021-06-11 이해선 안전장치를 갖춘 퀵 커플러
KR20240098330A (ko) * 2022-12-21 2024-06-28 주식회사 주현 특장차 부품 연결용 링커 유닛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31590A2 (en) * 2006-09-13 2008-03-20 Ian Hill Coupler for excavators
KR101737019B1 (ko) * 2015-12-03 2017-05-30 (주)태성공업 백호 버킷용 퀵 히치 커플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31590A2 (en) * 2006-09-13 2008-03-20 Ian Hill Coupler for excavators
KR101737019B1 (ko) * 2015-12-03 2017-05-30 (주)태성공업 백호 버킷용 퀵 히치 커플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7474B1 (ko) 2018-07-23 2019-10-28 이해선 보조 안전장치를 갖춘 퀵 커플러
KR101955676B1 (ko) * 2018-10-26 2019-03-07 유한회사 대한중공업 직선 운동하는 가동후크가 구비된 퀵 커플러
KR20210030757A (ko) 2019-09-10 2021-03-18 이해선 보조 안전장치를 갖춘 퀵 커플러
KR20210069486A (ko) 2019-12-03 2021-06-11 이해선 안전장치를 갖춘 퀵 커플러
KR20240098330A (ko) * 2022-12-21 2024-06-28 주식회사 주현 특장차 부품 연결용 링커 유닛
KR102815061B1 (ko) * 2022-12-21 2025-06-02 유한회사 주현코리아 특장차 부품 연결용 링커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5724B1 (ko) 안전핀이 구비된 퀵커플러
KR100631182B1 (ko) 틸트 플로어를 구비한 작업 차량
US6499934B1 (en) Implement attachment bracket for skid steer loader mounting plate
EP2644784B1 (en) Construction machine with a rear-view camera
JP4544121B2 (ja) 建設機械
KR20170122765A (ko) 카운터웨이트용 이동 디바이스
KR20200075679A (ko) 굴착기용 회전형 퀵 커플러
US7396070B2 (en) Relocatable position operator seat station for loader
EP2378007B1 (en) Working machine with equipment room
KR102037474B1 (ko) 보조 안전장치를 갖춘 퀵 커플러
JP5053212B2 (ja) ローダ作業機のエンジン設置構造
KR20210030757A (ko) 보조 안전장치를 갖춘 퀵 커플러
JP7054307B2 (ja) 作業用車両の肘掛装置
JP2015086516A (ja) フック付バケットリンク装置
JP7374030B2 (ja) 建設機械
EP2644783A1 (en) Construction machine
JPH0119610Y2 (ko)
JP2019173478A (ja) 建設機械
JP2010216157A (ja) 作業機械
JP4545075B2 (ja) 整地カバー
KR101979842B1 (ko) 신축암
JP4291212B2 (ja) 旋回式建設機械
JP3960262B2 (ja) 建設機械
JP4317069B2 (ja) 建設機械
JP2022142591A (ja) 建設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E13-X000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20131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2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