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6074B1 - vacuum device of sub container for blender - Google Patents
vacuum device of sub container for blend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36074B1 KR101836074B1 KR1020160176712A KR20160176712A KR101836074B1 KR 101836074 B1 KR101836074 B1 KR 101836074B1 KR 1020160176712 A KR1020160176712 A KR 1020160176712A KR 20160176712 A KR20160176712 A KR 20160176712A KR 101836074 B1 KR101836074 B1 KR 10183607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cover
- discharge
- auxiliary container
- li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27—Mixing bowl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16—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lower side
- A47J43/0722—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under vacuum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or in a special atmosphere, e.g. of inert ga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7/00—Pump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5/00
- F04B37/10—Pump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5/00 for special use
- F04B37/14—Pump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5/00 for special use to obtain high vacu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조용기를 블렌더 본체에 안착시 보조용기 내의 공기를 덮개의 배출통로와 배출관 및 공기배출부를 통해 본체 외부로 배출하여 진공시키므로 보조용기에 저장된 내용물과 공기와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내용물의 산패 및 갈변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제품의 호환성을 향상시키는 블렌더용 보조용기의 진공장치에 관한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uxiliary container is placed on the blender main body, air in the auxiliary contain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of the lid, the discharge pipe and the air discharging portion and vacuumed so that the contact between the contents stored in the auxiliary container and the air is minimized, And to a vacuum device for auxiliary containers for blenders which improves product compatibility while preventing brown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블렌더용 보조용기의 진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조용기를 블렌더 본체에 안착시 보조용기 내의 공기를 덮개의 배출통로와 배출관 및 공기배출부를 통해 본체 외부로 배출하여 진공시키므로 보조용기에 저장된 내용물과 공기와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내용물의 산패 및 갈변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제품의 호환성을 향상시키는 블렌더용 보조용기의 진공장치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device for an auxiliary container for a blend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cuum device for an auxiliary container for a blend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cuum device for auxiliary containers for blenders, which minimizes contact between air and contents stored in a container, thereby preventing rancidity and browning of contents and improving compatibility of products.
일반적으로 블렌더(blender)는, 과일, 야채 및 요구르트, 우유 등을 혼합하여 쥬스를 만드는 장치이며, 상기 과일, 야채, 및 요구르트, 우유 등이 투입되는 용기와 상기 용기를 안착하여 용기 내의 분쇄날을 모터로 회전시켜 분쇄하도록 모터를 내장한 본체로 구성된다.Generally, a blender is a device for making juice by mixing fruits, vegetables, yogurt, milk, etc., and a container into which the fruits, vegetables, yogurt, milk, etc. are put, And a main body having a built-in motor for rotating by a motor to be crushed.
상기 모터의 동력으로 분쇄날을 회전시키면서 용기 내의 내용물을 분쇄시키게 되면, 분쇄된 내용물과 용기 내의 공기가 혼합되어 내용물에 갈변이 일어나면서 산패(酸敗)되는 문제점이 있다.If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are crushed by rotating the crushing blade with the power of the motor, the crushed content and the air in the container are mixed with each other, and the contents are browned and rancid.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41093호에 용기의 거품제거장치가 등록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441093 has registered a device for removing foam from a container.
선 등록 특허는, 모터의 동력으로 날부재를 회전시키면서 용기 내의 내용물을 분쇄할 때, 용기 내의 공기를 배출하여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였으나, 용기의 하부에 구동유닛에 의해 구동되는 금속재질의 날부재가 설치되므로 분쇄된 내용물이 날부재에 노출되어 있어 산패의 진행속도가 빨라지며, 분쇄가 완료된 후, 용기가 본체에서 분리되면 용기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면서 진공상태가 해제되므로 용기 내의 내용물과 공기가 접촉하여 쉽게 산화되면서 부패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e prior art, when the blades of the container are crushed while rotating the blade member with the power of the motor, the air in the container is discharg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 However, in the lower part of the container, The crushed contents are exposed to the blade member to accelerate the progress of rancidity. After the crushing is completed, when the container is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air is introduced into the container and the vacuum state is released. There was a problem that it was easily oxidized and corroded.
상기와 같은 선 등록 특허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블렌더에서 분쇄된 내용물들을 별도로 구비된 밀폐용기에 옮겨 담아 보관하는 방법도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내용물이 담겨진 밀폐용기를 블렌더와는 별도의 공간에 보관해야 하므로 공간활용성 및 제품의 호환성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patent, there is a method of transferring the crushed contents of the blender into a separate closed container. However, in this method, the closed container containing the contents must be stored in a separate space from the blend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pace availability and the compatibility of products are remarkably deteriorated.
이에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보조용기를 블렌더 본체에 안착시 보조용기 내의 공기를 덮개의 배출통로와 배출관 및 공기배출부를 통해 본체 외부로 배출하여 진공시키므로 보조용기에 저장된 내용물과 공기와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내용물의 산패 및 갈변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블렌더의 용기 대신 보조용기를 안착시켜 사용하므로 호환성을 향상시키는 블렌더용 보조용기의 진공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ir conditioner for an air conditioner in which air in the auxiliary container is discharged through a discharge passage of a lid,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vacuum device for a blender auxiliary container which improves compatibility by minimizing contact between air and contents stored in the container, preventing the rancidity and browning of the contents and using the auxiliary container in place of the container of the blender.
본 발명 블렌더용 보조용기의 진공장치는, 블렌더의 본체에 형성되어 진공펌프에 연결되는 배출안내관과;A vacuum device for an auxiliary container for a blen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ischarge guide pipe formed in a main body of a blender and connected to a vacuum pump;
상기 본체의 안착공에 안착되어 일측에 손잡이가 형성되는 보조용기와;An auxiliary container which is seat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on which a handle is formed;
상기 보조용기의 상단부에 장착되며 공기배출부와 연통되도록 일측 방향으로 배출통로가 형성되는 덮개와;A cover mounted on an upper end of the auxiliary container and having a discharge passage formed in one direction to communicate with the air discharge portion;
상기 덮개에 장착되어 보조용기 내부를 밀폐시키고 덮개의 분리시 푸시로드를 가압하여 보조용기 내부의 진공을 해제시키는 진공해제부와;A vacuum release unit mounted on the lid to close the inside of the auxiliary container and press the push rod to release the vacuum inside the auxiliary container when the lid is removed;
상기 보조용기의 손잡이에 형성된 설치홈에 턱걸림방식으로 장착되는 커버와;A cover mounted on the mounting groove formed in the handle of the auxiliary container in a stepping manner;
상기 커버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덮개의 배출통로와 연통되는 배출관과;A discharge pipe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over and communicating with a discharge passage of the cover;
상기 커버의 하부에 장착되어 배출관과 연결되며 본체와 보조용기의 분리시 상기 커버에 형성된 배출공을 폐쇄하고 본체와 보조용기의 결합시 배출공을 개방하여 진공펌프의 작동으로 보조용기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진공시키는 공기배출부와;And a discharge port formed in the cover when the main body and the auxiliary contain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discharge port is opened when the main body and the auxiliary container are coupled, An air discharging portion for discharging the air to a vacuum state;
상기 커버의 상부와 배출안내관 상부에 각각 장착되어 본체 및 덮개를 긴밀하게 밀폐시키는 밀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And a hermetically sealed portion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cover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discharge guide pipe to closely seal the body and the lid.
본 발명은 보조용기를 블렌더 본체에 안착시 보조용기 내의 공기를 덮개의 배출통로와 배출관 및 공기배출부를 통해 본체 외부로 배출하여 진공시키므로 보조용기에 저장된 내용물과 공기와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내용물의 산패 및 갈변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블렌더의 용기 대신 보조용기를 안착시켜 사용하므로 호환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auxiliary container is placed on the blender main body, air in the auxiliary containe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of the lid, the discharge pipe and the air discharging portion and vacuumed so that the contact between the contents stored in the auxiliary container and the air is minimized, And the browning phenomenon is prevented, and at the same time, the auxiliary container is placed in place of the container of the blender, thereby improving the compatibility.
도 1은 본 발명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이 블렌더 본체에 설치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공기배출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요부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보조용기에 내용물을 저장한 후 덮개를 덮은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공기배출부가 배출공을 폐쇄한 상태의 확대단면도
도 6은 내용물이 저장된 보조용기를 블랜더 본체에 안착시킨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배출안내관이 공기배출부의 샤프트를 가압하여 배출공을 개방시킨 상태의 확대단면도
도 8은 진공해제부의 조작으로 보조용기의 진공상태를 해제하는 상대의 단면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blender body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a main portion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contents are stored in the auxiliary contain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ver is covered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air discharging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discharging hole is closed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auxiliary container in which the contents are stored in the main body of the blender
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ate in which the discharge guide pipe presses the shaft of the air discharge portion to open the discharge hole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artner releasing the vacuum state of the auxiliary container by the operation of the vacuum release por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 블렌더용 보조용기의 진공장치(100)는, 블렌더의 본체(10)에 형성되어 진공펌프(110')에 연결되는 배출안내관(110)이 구성되고, 상기 본체(10)의 안착공(11)에 안착되어 일측에 손잡이(121)가 형성되는 보조용기(120)가 구성되며, 상기 보조용기(120)의 상단부에 장착되며 공기배출부(170)와 연통되도록 일측 방향으로 배출통로(131)가 형성되는 덮개(130)가 구성되고, 상기 덮개(130)에 장착되어 보조용기(120) 내부를 밀폐시키고 덮개(130)의 분리시 푸시로드(142)를 가압하여 보조용기(120) 내부의 진공을 해제시키는 진공해제부(140)가 구성되며, 상기 보조용기(120)의 손잡이(121)에 형성된 설치홈(121a)에 턱걸림방식으로 장착되는 커버(150)가 구성되고, 상기 커버(150)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덮개(130)의 배출통로(131)와 연통되는 배출관(160)이 구성되며, 상기 커버(150)의 하부에 장착되어 배출관(160)과 연결되며 본체(10)와 보조용기(120)의 분리시 상기 커버(150)에 형성된 배출공(153)을 폐쇄하고 본체(10)와 보조용기(120)의 결합시 배출공(153)을 개방하여 진공펌프(110')의 작동으로 보조용기(120)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진공시키는 공기배출부(170)가 구성되고, 상기 커버(150)의 상부와 배출안내관(110) 상부에 각각 장착되어 본체(10) 및 덮개(130)를 긴밀하게 밀폐시키는 밀폐부(18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상기 진공해제부(140)는, 상기 덮개(130)에 관통형성되는 공기유입홀(141)이 구비되고, 상기 공기유입홀(141)에 장착되며 외주면에 공기가이드(142a)가 형성되는 푸시로드(142)가 구비되며, 상기 공기유입홀(141)에 장착되는 스프링(143)이 구비되고, 상기 덮개(130)의 하부에서 푸시로드(142)에 장착되는 패킹(144)을 포함하여 구비된다.The
상기 커버(150)는, 상단부 내측에 돌출형성되어 덮개(130)의 배출통로(131)와 연통되는 리브(151)가 구비되고, 하단부 상면에 요입되어 공기배출부(170)가 결합되는 결합홈(152)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홈(152)의 중앙에 관통되어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공(153)을 포함하여 구비된다.The
상기 공기배출부(170)는, 상기 커버(150)에 결합되어 배출관(160)과 연결되도록 통공(171a)이 형성되는 공기배출부재(171)가 구비되고, 상기 공기배출부재(171)의 내부에 장착되는 탄성부재(172)가 구비되며, 상기 공기배출부재(171) 내부에 장착되어 탄성부재(172)의 탄력으로 작동하는 샤프트(173)가 구비되고, 상기 샤프트(173)에 장착되어 커버(150)의 배출공(153)을 개폐시키는 패킹(174)을 포함하여 구비된다.The
상기 공기배출부재(171)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결합홈(152)에 형성되는 가이드리브(152a)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는 결합돌기(175)가 구비되고, 상기 공기배출부재(171)의 외주면에 결합돌기(175)와 직교되게 형성되어 커버(150)의 상면에 안착되는 안착돌기(176)를 더 포함하여 구비된다.And an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결합 및 작동과정을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덮개(130)에 형성된 공기유입홀(141) 상부에 스프링소재의 탄성부재(143)를 장착한 후, 상기 탄성부재(143) 내측에 푸시로드(142)를 결합한다.1 to 3, a spring-shaped
상기 푸시로드(142)에는 공기가 통할 수 있도록 방사상으로 공기가이드(142a)가 형성되어 있다.The
상기 푸시로드(142)를 상부에서 일정한 힘으로 가압한 후, 상기 덮개(130)의 하단부에서 푸시로드(142)의 하부에 패킹(144)을 장착하여 푸시로드(142)가 공기유입홀(141)에서 이탈되지 않게 하여 진공해제부(140)를 조립한다.The
또한, 커버(150)의 하단부에 형성된 배출공(153)에 샤프트(173)를 결합시키되, 상기 샤프트(173)에 패킹(174)을 먼저 결합시키고, 상기 샤프트(173)의 상부에 탄성부재(172)를 결합시킨 후, 커버(150)의 결합홈(152)에 공기배출부재(171)를 결합시킨다.The
상기 결합홈(152)에 공기배출부재(171)를 결합시, 공기배출부재(171)의 외주면에 형성된 결합돌기(175)를 결합홈(152)에 형성된 가이드리브(152a) 사이에 위치시킨 후 억지끼움으로 결합시킨다. 이때, 안착돌기(176)는 커버(150)의 하단부 상면에 안착되어 공기배출부재(171)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유동을 방지하게 된다.The
상기와 같이 공기배출부(170)를 결합하게 되면, 배출관(160)의 하단부를 공기배출부재(171)에 결합하여 연결시키고, 상기 배출관(160)의 상단부는 커버(150)의 상부 내측에 형성된 리브(151)에 결합하여 연결시킨다.The lower end of the
또한, 상기 커버(150)에 배출관(160)과 공기배출부(170)가 결합되면, 상기 커버(150)를 보조용기(120)의 손잡이(121)에 결합시킨다.When the
상기 커버(150)는 손잡이(121)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설치홈(121a)에 턱걸림방식으로 결합시킨다.The
상기 커버(150)의 상단부와 본체(10)에 형성된 배출안내관(110) 상단부의 홈부에 각각 밀폐부(180)를 장착한다.The sealing
상기 배출안내관(110)의 하단부 즉, 본체(10) 내부에는 진공펌프(110')를 연결시켜 보조용기(12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하면 진공장치(100)의 조립이 완료된다.When the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용기(120)의 내부에 블렌더에 의해 분쇄된 내용물을 담아 저장한 상태에서, 상기 보조용기(120)의 상부에 덮개(130)를 덮어 보조용기(120)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4 to 5, the
이때, 커버(150)의 하단부에 형성된 배출공(153)은, 공기배출부(170)의 탄성부재(172)의 탄성에 의해 샤프트(173)를 하부로 가압하여 패킹(174)이 배출공(153)을 폐쇄한 상태가 된다.The
따라서, 상기 덮개(130)를 보조용기(120)에 용이하게 덮기 위해서는 공기유입홀(141)을 개방시켜야 한다.Therefore, in order to easily cover the
진공해제부(140)의 푸시로드(142)를 가압하게 되면, 푸시로드(142)는 스프링(143)을 가압함과 동시에 푸시로드(142)의 하단부에 장착된 패킹(144)이 공기유입홀(141)을 개방하게 되어 보조용기(12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덮개(130)가 보조용기(120)의 상부에 장착된다.The
상기 덮개(130)가 보조용기(120)에 장착되면, 상기 덮개(130)의 일측 하단부는 커버(150)의 상부에 형성된 밀폐부(180)을 가압하여 밀폐됨과 동시에 상기 덮개(130)의 일측에 형성된 배출통로(131)가 커버(150)에 장착된 배출관(160)과 연통되는 것이다.When the
상기와 같이 덮개(130)가 보조용기(12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용기(120)를 블렌더 본체(10)에 안착시키게 되면,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50)의 하단부가 본체(10)에 장착된 밀폐부(180)를 가압하여 밀폐시킴과 동시에 상기 커버(150)에 설치된 공기배출부(170)의 샤프트(173)가 블렌더 본체(10)에 형성된 배출안내관(110)의 상부를 가압하게 된다.6 to 7, when the
이때, 상기 샤프트(173)는 보조용기(120)가 본체(10)에 안착되는 힘에 의해 공기배출부재(171)의 상부로 상승하여 탄성부재(172)를 압축시킴과 동시에 샤프트(173)에 장착된 패킹(174)이 상승하면서 배출공(153)을 개방하여 보조용기(120) 내부와 상호 연통된다.At this time, the
이 상태에서, 블렌더 본체(10)의 제어부를 조작하게 되면 진공펌프(110')가 일정시간동안 작동하여 보조용기(12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In this state, when the control unit of the
상기 진공펌프(110')의 작동으로 보조용기(120) 내의 공기는, 덮개(130)에 형성된 배출통로(131)를 통해 배출관(160)과 공기배출부(170)를 경유하여 배출공(153)으로 배출되며, 배출된 공기는 진공펌프(1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용기(120) 내부는 진공상태가 되는 것이다.The air in the
상기의 과정으로 보조용기(120) 내부가 진공상태가 되면, 보조용기(120) 내부의 내용물은 공기와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산패(酸敗) 및 갈변(褐變)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When the inside of the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130)를 보조용기(120)로부터 분리시키려면, 진공해제부(140)의 푸시로드(142)를 일정한 힘으로 가압하게 되면, 상기 푸시로드(142)는 스프링(143)을 압축시킴과 동시에 푸시로드(142) 하단부에 장착된 패킹(144)은 공기유입홀(141)을 개방시키게 되어 보조용기(120) 내부로 공기를 유입시켜 진공상태를 해제하게 되므로 보조용기(120)로부터 덮개(130)를 손쉽게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8, in order to separate the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and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hraseology and terminology used herein are for the purpose of description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ust be interpreted in terms of meaning and concept.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발명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no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100: 진공장치 110: 배출안내관
120: 보조용기 121: 손잡이
130: 덮개 131: 배출통로
140: 진공해제부 141: 공기유입홀
142: 푸시로드 143: 스프링
144: 패킹 150: 커버
151: 리브 152: 결합홈
153: 배출공 160: 배출관
170: 공기배출부 171: 공기배출부재
172: 탄성부재 173: 샤프트
174: 패킹 175: 결합돌기
176: 안착돌기 180: 밀폐부100: Vacuum device 110: Discharge guide tube
120: auxiliary container 121: handle
130: lid 131: exhaust passage
140: vacuum release part 141: air inflow hole
142: push rod 143: spring
144: packing 150: cover
151: rib 152: engaging groove
153: Exhaust hole 160: Exhaust pipe
170: air discharge portion 171: air discharge member
172: elastic member 173: shaft
174: packing 175: engaging projection
176: Mounting projection 180:
Claims (5)
상기 본체의 안착공에 안착되어 일측에 손잡이가 형성되는 보조용기와;
상기 보조용기의 상단부에 장착되며 공기배출부와 연통되도록 일측 방향으로 배출통로가 형성되는 덮개와;
상기 덮개에 장착되어 보조용기 내부를 밀폐시키고 덮개의 분리시 푸시로드를 가압하여 보조용기 내부의 진공을 해제시키는 진공해제부와;
상기 보조용기의 손잡이에 형성된 설치홈에 턱걸림방식으로 장착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의 상부에 연결되어 상기 덮개의 배출통로와 연통되는 배출관과;
상기 커버의 하부에 장착되어 배출관과 연결되며 본체와 보조용기의 분리시 상기 커버에 형성된 배출공을 폐쇄하고 본체와 보조용기의 결합시 배출공을 개방하여 진공펌프의 작동으로 보조용기 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진공시키는 공기배출부와;
상기 커버의 상단부와 배출안내관 상단부의 홈부에 각각 장착되어 본체 및 덮개를 긴밀하게 밀폐시키는 밀폐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공기배출부는,
상기 커버에 결합되어 배출관과 연결되도록 통공이 형성되는 공기배출부재와;
상기 공기배출부재의 내부에 장착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공기배출부재 내부에 장착되어 탄성부재의 탄력으로 작동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장착되어 커버의 배출공을 개폐시키는 패킹과;
상기 공기배출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결합홈에 형성되는 가이드리브 사이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는 결합돌기와;
상기 공기배출부재의 외주면에 결합돌기와 직교되게 형성되며 커버의 상면에 안착되어 공기배출부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유동을 방지하는 안착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용 보조용기의 진공장치.
A discharge guide tube formed in the main body of the blender and connected to the vacuum pump;
An auxiliary container which is seat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on which a handle is formed;
A cover mounted on an upper end of the auxiliary container and having a discharge passage formed in one direction to communicate with the air discharge portion;
A vacuum release unit mounted on the lid to close the inside of the auxiliary container and press the push rod to release the vacuum inside the auxiliary container when the lid is removed;
A cover mounted on the mounting groove formed in the handle of the auxiliary container in a stepping manner;
A discharge pipe connect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cover and communicating with a discharge passage of the cover;
And a discharge port formed in the cover when the main body and the auxiliary container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he discharge port is opened when the main body and the auxiliary container are coupled, An air discharging portion for discharging the air to a vacuum state;
And a hermetically sealed part mounted on the upper end of the cover and the groove part of the upper end of the discharge guide pipe to closely seal the body and the lid,
The air-
An air discharging member coupled to the cover and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to b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ipe;
An elastic member mounted inside the air discharging member;
A shaft mounted within the air discharging member and operated by elasticity of the elastic member;
A packing mounted on the shaft to open and close the discharge hole of the cover;
An engaging protrusion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ir discharging member and coupled to the guide rib formed in the engaging groove by interference fit;
And a mounting protrusion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air discharging member so as to be orthogonal to the coupling protrusion and sea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over to prevent the air discharging member from stably supporting the air discharging member.
상기 덮개에 관통형성되는 공기유입홀과;
상기 공기유입홀에 장착되며 외주면에 공기가이드가 형성되는 푸시로드와;
상기 공기유입홀에 장착되는 스프링과;
상기 덮개의 하부에서 푸시로드에 장착되는 패킹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용 보조용기의 진공장치.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claim 1,
An air inflow hole formed through the cover;
A push rod mounted on the air inlet hole and having an air guide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spring mounted on the air inlet hole;
And a packing mounted on the push rod at a lower portion of the lid.
상단부 내측에 돌출형성되어 덮개의 배출통로와 연통되는 리브와;
하단부 상면에 요입되어 공기배출부가 결합되는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의 중앙에 관통되어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공을 포함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렌더용 보조용기의 진공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rib protruding from the inside of the upper end portion and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passage of the lid;
An engaging groov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end portion and coupled with the air discharging portion;
And a discharge hole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the coupling groove and discharging air.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176712A KR101836074B1 (en) | 2016-12-22 | 2016-12-22 | vacuum device of sub container for blend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176712A KR101836074B1 (en) | 2016-12-22 | 2016-12-22 | vacuum device of sub container for blender |
Public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101836074B1 true KR101836074B1 (en) | 2018-03-09 |
Family
ID=61727793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60176712A Expired - Fee Related KR101836074B1 (en) | 2016-12-22 | 2016-12-22 | vacuum device of sub container for blender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836074B1 (en) |
Cited By (5)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275784B1 (en) * | 2020-03-12 | 2021-07-12 | (주)포에스텍 | Vacuum mixer |
| KR102396544B1 (en) * | 2021-04-12 | 2022-05-12 |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 Vacuum Blender |
| WO2022220395A1 (en) * | 2021-04-12 | 2022-10-20 |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 Vacuum blender |
| KR102488655B1 (en) * | 2022-02-18 | 2023-01-13 | 주식회사 피엔풍년 | A vacuum blender with a chamber mounted on the handle |
| KR20230152519A (en) * | 2022-04-27 | 2023-11-03 | 주식회사 피엔풍년 | A vacuum blender with a lid that improves vacuum dfficiency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2631153A (en) * | 2012-03-28 | 2012-08-15 | 王晓东 | Food processing machine with electric sucking pump and method for vacuumizing to produce foodstuff liquid |
-
2016
- 2016-12-22 KR KR1020160176712A patent/KR10183607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02631153A (en) * | 2012-03-28 | 2012-08-15 | 王晓东 | Food processing machine with electric sucking pump and method for vacuumizing to produce foodstuff liquid |
Cited By (7)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KR102275784B1 (en) * | 2020-03-12 | 2021-07-12 | (주)포에스텍 | Vacuum mixer |
| KR102396544B1 (en) * | 2021-04-12 | 2022-05-12 |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 Vacuum Blender |
| WO2022220395A1 (en) * | 2021-04-12 | 2022-10-20 | 주식회사 엔유씨전자 | Vacuum blender |
| EP4324365A4 (en) * | 2021-04-12 | 2025-01-29 | NUC Electronics Co., Ltd. | VACUUM MIXER |
| KR102488655B1 (en) * | 2022-02-18 | 2023-01-13 | 주식회사 피엔풍년 | A vacuum blender with a chamber mounted on the handle |
| KR20230152519A (en) * | 2022-04-27 | 2023-11-03 | 주식회사 피엔풍년 | A vacuum blender with a lid that improves vacuum dfficiency |
| KR102826862B1 (en) * | 2022-04-27 | 2025-06-30 | 주식회사 피엔풍년 | A vacuum blender with a lid that improves vacuum dfficiency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KR101836074B1 (en) | vacuum device of sub container for blender | |
| CN113329673B (en) | Vacuum food processing system | |
| KR101821786B1 (en) | vacuum type mixer | |
| CN213030535U (en) | Food processing system and accessories and attachment assemblies for use therewith | |
| US7048136B2 (en) | Canister lid with improved evacuation and vent assembly | |
| US8146765B2 (en) | Sealing cover for containers | |
| US6789690B2 (en) | Hose direct canister lid | |
| CN107713697B (en) | Vacuumizing cover opening device with air release function and wall breaking food processor | |
| KR101742611B1 (en) | checkvalve for vacuum receptacle | |
| KR200482022Y1 (en) | Supporting container for vaccum blender | |
| CN210043842U (en) | Air exhaust and pressure relief assembly, vacuum head assembly, cup cover assembly and food processor | |
| KR102275784B1 (en) | Vacuum mixer | |
| KR20150115129A (en) | vacuum type mixing container of mixer | |
| KR20180038158A (en) | vacuum tumbler | |
| CN111839276B (en) | Air exhaust and pressure relief assembly, vacuum head assembly, cup cover assembly and food processor | |
| KR102287287B1 (en) | Food processor | |
| KR101496102B1 (en) | A Cap for Liquid Vessel | |
| CN112638217B (en) | Stirrer system with vibration-proof seal | |
| JP3215425U (en) | Decompression vessel | |
| CN108497904B (en) | Vacuum food processor | |
| KR20210004670A (en) | Container for vacuum food processor | |
| KR20230003956A (en) | Sealing Device for Forming Vacuum of Container | |
| JP3038410U (en) | Closed container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4-asn-PN2301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16-X000 | Ip right document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6-nap-X000 |
|
| Q16-X000 | A copy of ip right certificate issu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6-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30303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303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