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43370B1 - 내화물 통합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내화물 통합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3370B1
KR101843370B1 KR1020160045413A KR20160045413A KR101843370B1 KR 101843370 B1 KR101843370 B1 KR 101843370B1 KR 1020160045413 A KR1020160045413 A KR 1020160045413A KR 20160045413 A KR20160045413 A KR 20160045413A KR 101843370 B1 KR101843370 B1 KR 101843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ractory
module
cable
current signal
st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5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7688A (ko
Inventor
박성재
Original Assignee
박성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재 filed Critical 박성재
Priority to KR10201600454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3370B1/ko
Priority to JP2018553390A priority patent/JP6965267B2/ja
Priority to CN201680083752.6A priority patent/CN108885062B/zh
Priority to EP16898718.8A priority patent/EP3447424B1/en
Priority to PCT/KR2016/004622 priority patent/WO2017179755A1/ko
Priority to US16/081,924 priority patent/US10962288B2/en
Publication of KR201701176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76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37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 of safety devices
    • F27D21/0021Devices for monitoring linings for w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 of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1/00Shaft or like vertical or substantially vertical furnaces
    • F27B1/1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1/28Arrangements of monitoring devices, of indicators, of alarm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9/00Arrangements of controll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 of safety devices
    • F27D21/02Observation or illumin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 of safety devices
    • F27D21/04Arrangement of indicators or alar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5/00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 G01N25/02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by investigating changes of state or changes of phase; by investigating sintering
    • G01N25/04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by investigating changes of state or changes of phase; by investigating sintering of melting point; of freezing point; of softening point
    • GPHYSICS
    • G06COMPUTING OR CALCULATING;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6Making or repairing linings ;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linings; Breaking away li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1/00Casings; Linings; Walls; Roofs
    • F27D1/16Making or repairing linings ;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linings; Breaking away linings
    • F27D2001/1605Repairing li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 of safety devices
    • F27D2021/005Devices for monitoring thermal expan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1/00Arrangement of monitoring devices; Arrangement of safety devices
    • F27D2021/0057Security or safety devices, e.g. for protection against heat, noise, pollution or too much duress; Ergonomic asp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Biochemistry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Waste-Gas Treatment And Other Accessory Devices For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화물 통합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화물의 상태를 즉각적으로 파악하여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내화물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분 삽입되어 있는 케이블모듈; 상기 내화물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블모듈에 흐르는 전류신호를 측정하는 계측모듈; 상기 계측모듈에서 측정된 전류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내화물의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내화물의 상태를 표시하고, 상기 내화물에 대한 관리정보를 생성하는 통합관리모듈; 그리고 상기 통합관리모듈로부터 관리정보를 전달받는 로컬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모듈은 상기 내화물 내부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은 양단이 상기 계측모듈과 결합된 금속전선과, 상기 금속전선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코팅되어 상기 내화물의 온도상승시 녹으면서 상기 금속전선의 팽창공간을 확보하는 공간확보용 코팅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물 통합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내화물 통합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Refractory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내화물 통합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화물의 상태를 즉각적으로 파악하여 상기 내화물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 공정 등에 이용되는 가열로, 열처리로, 소성로, 고로 등과 같은 각종 공업로의 내부에는 내화 벽돌, 캐스타블과 같은 내화물이 설치될 수 있다.
내화물은 공업로의 공정 진행에 따라 고온의 상황에서 장시간 노출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내화물은 열충격에 의해 손상을 입게 된다.
그러나, 내화물은 공업로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내화물에 손상 여부를 즉각적으로 판단하기에 많은 제약이 따른다.
또한, 이러한 내화물은 열충격에 의한 손상 위치와 손상 정도를 파악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에 따라, 내화물의 적절한 보수와 교체 시기가 지나게 되면, 손상된 내화물은 공업로의 공정 과정에 영향을 주어 제작되는 생산품에 결함을 발생시켜 품질에 악영향을 미치게 된다.
또한, 내화물의 손상은 공업로 내부에 설치된 내화물이 이탈하게 되는 원인이 된다.
또한, 내화물의 이탈 현상은 내화물이 이탈된 영역을 통해 흘러나오는 쇳물에 의해 발생하는 열손실, 외부 설비 손상 및 현장 작업자의 안전사고 등의 원인이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 10-1235879호(발명의 명칭: 내화물 감시 장치, 공고일: 2013년 02월 12일)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내화물의 상태를 즉각적으로 파악하여 상기 내화물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내화물 통합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화물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분 삽입되어 있는 케이블모듈, 상기 내화물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블모듈에 흐르는 전류신호를 측정하는 계측모듈, 상기 계측모듈에서 측정된 전류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내화물의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내화물의 상태를 표시하며, 상기 내화물에 대한 관리정보를 생성하는 통합관리모듈, 그리고 상기 통합관리모듈로부터 관리정보를 전달받는 로컬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모듈은 상기 내화물 내부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은 양단이 상기 계측모듈과 결합된 금속전선과, 상기 금속전선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코팅되어 상기 내화물의 온도 상승시 녹으면서 상기 금속전선의 팽창공간을 확보하는 공간확보용 코팅층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케이블모듈은 상기 내화물의 깊이에 따라 서로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제 1 케이블 및 제 2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케이블 및 제 2 케이블은 상기 계측모듈과 독립적으로 연결되어 각각 폐루프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금속전선은 스크류 형상의 전선본체와, 상기 전선본체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돌출형성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측모듈은 상기 케이블모듈에 흐르는 전류신호를 측정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에서 측정된 전류신호를 상기 통합관리모듈로 송신하는 데이터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관리모듈은 상기 데이터송신부에서 전달되는 전류신호를 수신하는 데이터수신부, 상기 데이터수신부에서 전달되는 전류신호를 연산하여 상기 내화물의 상태를 판단하는 데이터분석부, 상기 데이터분석부에서 판단된 상기 내화물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도록 표시하는 데이터출력부, 그리고 상기 내화물에 대한 관리정보를 로컬단말로 송신하는 관리지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간확보용 코팅층은 파라핀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금속전선은 복수개로 이루어진 개별전선들이 꽈배기 형상으로 엉켜져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금속전선은 전선본체와, 상기 전선본체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불규칙하게 접착되는 내화물 결속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내화물 통합관리 시스템을 제어함에 있어서, 상기 계측모듈에 의하여 상기 케이블모듈에 흐르는 전류신호가 측정되는 단계, 상기 통합관리모듈에 의하여 상기 계측모듈에서 측정된 전류신호에 따른 상기 내화물의 상태가 판단되는 단계, 상기 통합관리모듈에 의하여 상기 내화물의 상태가 상기 데이터출력부에 표시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통합관리모듈에 의하여 상기 내화물에 대한 관리정보가 상기 로컬단말로 전송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화물의 상태가 정상상태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상기 내화물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알람수단에서 알람정보가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화물 통합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내화물 내부에 케이블 모듈을 설치함으로써 열 및 충격에 의하여 내화물이 균열 및 파손 등의 손상을 입었을 때, 즉각적으로 상기 내화물의 상태를 판단하여 상기 내화물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내화물의 깊이에 따라 케이블 모듈을 서로 독립적으로 배치함으로써 내화물의 손상 위치 및 손상 정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셋째, 내화물 내부에 삽입하는 케이블모듈이 돌출된 돌기를 포함한 스크류 형상 또는 복수개의 개별전선이 엉킨 꽈배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케이블모듈과 내화물의 결합을 견고히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넷째, 금속전선의 외측면에 코팅층을 형성하여, 상기 내화물의 온도상승시 케이블모듈의 금속전선이 팽창할 수 있도록 공간을 갖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내화물 통합관리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내화물 통합관리 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3은 내화물 통합관리 시스템의 내화물, 케이블모듈, 계측모듈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모듈의 제 1 실시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케이블모듈의 횡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내화물 통합관리 제어방법의 개략적인 단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모듈의 제 2 실시 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상술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본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내화물 통합관리 시스템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내화물 통합관리 시스템은 내화물(50), 케이블모듈(100), 계측모듈(20), 통합관리모듈(30), 및 로컬단말(4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블모듈(100)이 내장된 상기 내화물(50)을 제조함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모듈(100)은 상기 내화물(50)의 모양과 크기에 의하여 위치, 높이를 다르게 하여 독립적으로 상기 내화물(50)에 배치된다.
상기 내화물(50)의 건조 후, 상기 케이블모듈(100)은 상기 내화물(50) 외부에 설치된 상기 계측모듈(20)과 연결된다.
이후 상기 계측모듈(20)이 설치 된 상기 내화물(50)은 공업로 등의 설비에 설치된다.
상기 케이블모듈(100)에는 전류가 흐르며, 상기 계측모듈(20)에서 측정되는 전류신호는 상기 내화물(50)의 탈락, 용융, 균열, 파손 및 침식 등에 의한 상기 내화물(50)의 상태에 따라 변화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모듈(100)은 상기 내화물(50) 내부에 적어도 일부분 삽입되어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케이블모듈(100)은 상기 내화물(50)의 깊이에 따라 서로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제 1 케이블(110), 제 2 케이블(120) 및 제 3 케이블(13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케이블(110), 제 2 케이블(120) 및 제 3 케이블(130)의 양단부는 상기 내화물(50)의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내화물(50) 외부에 배치된 상기 계측모듈(20)과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 1 케이블(110), 제 2 케이블(120) 및 제 3 케이블(130)은 상기 계측모듈(20)과 독립적으로 연결되어 각각 폐루프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계측모듈(20)에서는 상기 제 1 케이블(110), 제 2 케이블(120) 및 제 3 케이블(130)의 전류신호를 각각 측정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류신호를 통해 현장작업자는 상기 내화물(50)의 손상 위치와 손상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현장작업자 및 담당자는 보다 즉각적이고 정확하게 상기 내화물(50)의 손상 위치와 손상 상태를 파악할 수 있으므로, 상기 내화물(50)의 빠른 보수 및 교체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성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 제 1 케이블(110), 제 2 케이블(120) 및 제 3 케이블(130)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상기 제 1 케이블(110)에 한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 1 케이블(110)은 금속전선과 공간확보용 코팅층(1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금속전선은 스크류 형상의 전선본체(111), 상기 전선본체(111)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돌출형성된 돌기(111a), 그리고 상기 계측모듈(20)과 연결되도록 양단부에 구성된 모듈연결단자(115)를 포함한다.
상기 금속전선은 상기 전선본체(111)가 스크류 형상으로 표면 자체가 굴곡을 가지면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전선본체(111)의 표면적은 원형단면을 갖는 일반적인 금속전선보다 단위길이당 넓은 표면적을 가지게 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돌기가 상기전선본체(111)의 표면적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금속전선이 내화물과 접촉하는 표면적이 넓어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스크류 형상의 상기 전선본체(111)와 톱니 형상의 돌기가 내화물을 잡아줄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내화물(50)과 상게 케이블모듈(100)의 결합 구조가 강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전선과 상기 내화물(50)이 접촉하는 표면적을 넓히기 위하여, 상기 전선본체(111)의 외측면이 부분적으로 불규칙하게 침강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금속전선은 전선본체(111)와, 상기 전선본체(111)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불규칙하게 접착되는 내화물 결속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내화물 결속부재는 핫화이바 등과 같은 금속재질섬유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전선본체(111)의 외측면에 부착되어 상기 내화물(50) 내부에 투입되고 상기 내화물(50)을 구성하는 재료들과 잘 엉겨붙게 된다.
따라서, 상기 내화물(50)과 상기 금속전선의 결합 구조가 강화되므로 상기 내화물(50)이 탈락되는 현상이 줄어들게 된다.
상기 금속전선은 상기 내화물(50)이 전달하는 열에 의해 쉽게 녹거나 팽창하지 않도록 내열성이 우수한 SUS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금속전선에 사용되는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내열성이 우수하며 전류가 잘 통하는 금속으로 대체 가능하다.
또한, 상기 금속전선의 구조는 전류가 잘 통할 수 있도록 구리선이 중심에 위치하고, 상기 내화물(50)의 열에 의해 상기 구리선이 쉽게 용융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구리선의 외측을 SUS선으로 감싸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간확보용 코팅층(113)은 상기 금속전선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코팅되어 상기 내화물(50)의 온도 상승시 녹으면서 상기 금속전선의 팽창공간을 확보한다.
상기 내화물(50)의 온도상승에 따라서 상기 금속전선이 팽창하게 되면, 상기 금속전선은 상기 공간확보용 코팅층(113)에 의해 형성된 팽창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을 채우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공간확보용 코팅층(113)은 상기 내화물(50)이 전달하는 열에 의해 녹게되며, 따라서 코팅액의 형태로 상기 내화물(50)의 외부로 배출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내화물(50) 외부에는 배출된 상기 코팅액을 수용하며, 보관할 수 있는 저장탱크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저장탱크는 상기 코팅액을 수용하여 보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코팅액이 상기 내화물(50) 내부에 다시 삽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공간확보용 코팅층(113)은 파라핀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간확보용 코팅층(113)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금속전선보다 용융점이 낮고, 코팅의 과정이 간단하며, 전류가 통하지 않는 재질은 상기 공간확보용 코팅층(113)을 구성하는 재질로 대체 가능하다.
상기 계측모듈(20)은 상기 내화물(50)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블모듈(100)에 흐르는 전류신호를 측정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계측모듈(20)은 센싱부(21)와 데이터송신부(23)를 포함한다.
상기 센싱부(21)는 상기 케이블모듈(100)에 흐르는 전류신호를 측정한다.
상기 데이터송신부(23)는 상기 센싱부(21)에서 측정된 전류신호를 상기 통합관리모듈(30)로 송신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계측모듈(20)은 알람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알람수단은 상기 내화물(50)의 상태가 정상상태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현장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알람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알람정보 및 알람수단의 제어신호는 상기 통합관리모듈에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알람수단은 상기 내화물(50)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경보음 및 지시등으로 상기 내화물(50)의 상태를 표시한다.
상기 경보음의 소리 및 지시등의 색은 상기 내화물(50)의 손상 상태에 따라 변경되며, 이에 따라 현장 작업자가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상기 내화물(50)의 보수 및 교체가 즉각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통합관리모듈(30)은 상기 계측모듈(20)에서 측정된 전류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내화물(50)의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내화물의 상태를 표시하며, 상기 내화물(50)에 대한 관리 정보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합관리모듈(30)은 데이터수신부(31), 데이터분석부(33), 데이터저장부(35), 데이터출력부(37), 관리지시부(39)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수신부(31)는 상기 데이터송신부(23)에서 전달되는 전류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분석부(33)로 전류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데이터분석부는(33)는 상기 데이터수신부(31)에서 전달되는 전류신호를 연산하여 상기 내화물(50)의 상태를 판단하며, 상기 내화물의 상태에 대한 관련정보는 데이터저장부에(35) 저장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데이터분석부(33)는 상기 데이터저장부(35)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변환기준을 바탕으로 상기 계측모듈(20)에서 측정된 상기 전류신호를 분석한다. 상기 데이터 변환기준에서는 해당 전류신호에 따라 상기 내화물의 상태가 정의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데이터분석부(33)에 의한 상기 전류신호의 분석결과에 따라 상기 내화물(50)의 손상 상태 및 위치가 파악된다.
상기 전류신호의 분석은 상기 내화물(50)의 균열 및 파손에 의한 단절 뿐만 아니라, 상기 내화물(50)의 균열된 공간에 침투한 쇳물에 의해 발생하는 노이즈와 상기 내화물(50)의 열에 의해 변화하는 전류신호 등을 포함한다.
상기 내화물(50)의 열에 의한 전류신호 변화는 상기 내화물(50)의 균열 정도와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내화물(50)의 균열 시작 시기와 균열 진행 속도 및 정도를 분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데이터분석부(33)는 상기 데이터저장부(35)에 저장 되어있는 상기 내화물(50)의 수량 및 이력을 바탕으로 상기 내화물(50)의 관리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데이터분석부(33)는 공업로의 구역별로 배치된 상기 내화물(50) 중 손상을 입은 내화물의 재고 물량과, 상기 내화물(50)의 제품명, 제조사, 제조 및 입고일, Lot No 등을 포함하는 제품 이력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저장부(35)에서 저장된 상기 내화물의 상태는 상기 내화물(50)의 교체 주기 및 시기를 파악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데이터저장부(35)에 저장된 내화물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내화물(50)의 불량율, 파손율, 사용율 등을 파악할 수 있도록 분석되어, 상기 통합관리모듈(30)에서 상기 내화물의 손상 및 파손 이력을 관리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출력부(37)는 상기 내화물(50)의 상태, 내화물의 재고 물량 및 제품 이력, 그리고 상기 내화물(50)의 손상 및 파손 이력을 표시하게 된다.
상기 관리지시부(39)는 상기 내화물(50)에 대한 관리정보를 로컬단말(40)로 송신하여 현장 관리자 및 담당자가 실시간으로 상기 내화물(5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현장 관리자 및 담당자는 상기 내화물(50)을 즉각적으로 수리 및 교체할 수 있다.
상기 로컬단말(40)은 상기 통합관리모듈(30)로부터 상기 내화물(50)의 관리정보를 전달받는다.
상기 로컬단말(40)은 현장관리자 및 담당자의 노트북 및 휴대폰이 될 수 있다.
상기 로컬단말(40)로 전달되는 관리지시명령은 상기 내화물(50)의 상태에 따라 다르게 전달되며, 이에 따라 현장관리자 및 담당자는 상기 내화물(50)의 상태에 맞추어 관리를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모듈(100), 상기 계측모듈(20), 상기 통합관리모듈(30) 및 로컬단말(40)을 포함하는 내화물 통합관리 시스템은 상기 내화물(50)의 통합관리를 가능하게 하고 상기 내화물(50)의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여, 최소의 현장 관리 인원으로 상기 내화물(50)을 관리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내화물 통합관리 제어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내화물 통합관리 제어방법은 내화물 통합관리 시스템을 제어함에 있어서, 전류신호 측정 단계(S10), 내화물 상태 판단 단계(S20), 알람정보 표시 단계(S30), 내화물 상태 디스플레이 단계(S40), 로컬단말 명령전달 단계(S50)을 포함한다.
상기 전류신호 측정 단계(S10)에서는 상기 계측모듈(20)에 의하여 상기 케이블모듈(100)에 흐르는 전류신호를 측정한다.
상기 내화물 상태 판단 단계(S20)에서는 상기 통합관리모듈(30)에 의하여 상기 계측모듈(20)에서 측정된 전류신호를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내화물(50)의 손상 정도와 위치를 판단한다.
상기 알람정보 표시 단계(S30)에서는 상기 내화물(50)의 상태가 정상상태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상기 내화물(50)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상기 알람수단에서 알람정보가 표시된다.
상기 내화물 상태 디스플레이 단계(S40)에서는 상기 통합관리모듈(30)에 의하여 상기 내화물(50)의 상태가 상기 데이터출력부(37)에 표시된다.
상기 로컨단말 명령전달 단계(S50)에서는 상기 통합관리모듈(30)에 의하여 상기 내화물(50)에 대한 관리정보가 상기 로컬단말(40)로 전송된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내화물 통합관리 시스템에 구비된 케이블의 제 2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내화물 통합관리 시스템에 구비된 케이블이 상기 내화물(50)과 상기 계측모듈(20)에 결합되는 구조는 상술한 제 1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실시 예에 따른 내화물 통합관리 시스템에 구비된 케이블은 상술한 제 1 실시 예와 달리, 복수개로 이루어진 개별전선(210)들이 꽈배기 형상으로 엉켜져 형성된 금속전선과, 상기 금속전선의 외측면에 적어도 일부분에 코팅되어 있는 공간확보용 코팅층(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금속전선은 내화물과 접촉하는 표면적이 넓어지게 하며 상기 내화물을 꽈배기 형상 사이로 잡아주어, 상기 내화물(50)과 상기 케이블모듈(100)의 결합구조를 강화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의 실시가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케이블모듈 110: 제 1 케이블
120: 제 2 케이블 130: 제 3 케이블
111: 전선본체 111a: 돌기
113, 220: 공간 확보용 코팅층 115: 모듈연결단자
210: 개별전선 20: 계측모듈
21: 센싱부 23: 데이터송신부
30: 통합관리모듈 31: 데이터수신부
33: 데이터분석부 35: 데이터저장부
37: 데이터출력부 39: 관리지시부
40: 로컬단말 50: 내화물

Claims (8)

  1. 내화물의 내부에 적어도 일부분 삽입되어 있는 케이블모듈;
    상기 내화물의 외부에 배치되며, 상기 케이블모듈에 흐르는 전류신호를 측정하는 계측모듈;
    상기 계측모듈에서 측정된 전류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내화물의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내화물의 상태를 표시하며, 상기 내화물에 대한 관리정보를 생성하는 통합관리모듈; 그리고
    상기 통합관리모듈로부터 관리정보를 전달받는 로컬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모듈은 상기 내화물 내부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케이블을 포함하며, 상기 케이블은 양단이 상기 계측모듈과 결합된 금속전선과, 상기 금속전선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코팅되어 상기 내화물의 온도상승시 녹으면서 상기 금속전선의 팽창공간을 확보하는 공간확보용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전선은 스크류 형상의 전선본체와, 상기 전선본체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돌출형성된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물 통합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모듈은 상기 내화물의 깊이에 따라 서로 독립적으로 배치되는 제 1 케이블 및 제 2 케이블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케이블 및 제 2 케이블은 상기 계측모듈과 독립적으로 연결되어 각각 폐루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물 통합관리 시스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계측모듈은 상기 케이블모듈에 흐르는 전류신호를 측정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에서 측정된 전류신호를 상기 통합관리모듈로 송신하는 데이터송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합관리모듈은 상기 데이터송신부에서 전달되는 전류신호를 수신하는 데이터수신부, 상기 데이터수신부에서 전달되는 전류신호를 연산하여 상기 내화물의 상태를 판단하는 데이터분석부, 상기 데이터분석부에서 판단된 상기 내화물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도록 표시하는 데이터출력부, 그리고 상기 내화물에 대한 관리정보를 로컬단말로 송신하는 관리지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물 통합관리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확보용 코팅층은 파라핀 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금속전선은 복수개로 이루어진 개별전선들이 꽈배기 형상으로 엉켜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물 통합관리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전선은 전선본체와, 상기 전선본체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불규칙하게 접착되는 내화물 결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물 통합관리 시스템.
  7. 제 1항, 제 2항 및 제 4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내화물 통합관리 시스템을 제어함에 있어서,
    상기 계측모듈에 의하여 상기 케이블모듈에 흐르는 전류신호가 측정되는 단계;
    상기 통합관리모듈에 의하여 상기 계측모듈에서 측정된 전류신호에 따른 상기 내화물의 상태가 판단되는 단계;
    상기 내화물의 상태가 상기 통합관리모듈 상에 표시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통합관리모듈에 의하여 상기 내화물에 대한 관리정보가 상기 로컬단말로 전송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내화물 통합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물의 상태가 정상상태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 상기 내화물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알람수단에서 알람정보가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화물 통합관리 시스템의 제어방법.
KR1020160045413A 2016-04-14 2016-04-14 내화물 통합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Active KR101843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413A KR101843370B1 (ko) 2016-04-14 2016-04-14 내화물 통합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JP2018553390A JP6965267B2 (ja) 2016-04-14 2016-05-02 耐火物統合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CN201680083752.6A CN108885062B (zh) 2016-04-14 2016-05-02 综合耐火材料管理系统及其控制方法
EP16898718.8A EP3447424B1 (en) 2016-04-14 2016-05-02 Integrated refractory manage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PCT/KR2016/004622 WO2017179755A1 (ko) 2016-04-14 2016-05-02 내화물 통합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US16/081,924 US10962288B2 (en) 2016-04-14 2016-05-02 Integrated refractory manage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413A KR101843370B1 (ko) 2016-04-14 2016-04-14 내화물 통합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7688A KR20170117688A (ko) 2017-10-24
KR101843370B1 true KR101843370B1 (ko) 2018-03-29

Family

ID=60041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5413A Active KR101843370B1 (ko) 2016-04-14 2016-04-14 내화물 통합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962288B2 (ko)
EP (1) EP3447424B1 (ko)
JP (1) JP6965267B2 (ko)
KR (1) KR101843370B1 (ko)
CN (1) CN108885062B (ko)
WO (1) WO201717975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2814A (ko) * 2020-03-06 2021-09-15 엑셀로 주식회사 배터리모듈 격납용 내화챔버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저장장치의 관리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53442B1 (en) * 2017-02-01 2022-07-20 Excello Co., Ltd. An integrated heated memb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2207218B1 (ko) * 2019-01-03 2021-01-25 조선내화 주식회사 개선된 rfid를 이용한 내화물의 재고 및 사용 관리 시스템
CN113866341B (zh) * 2021-09-02 2024-07-05 陕西省产品质量监督检验研究院 一种电线电缆阻燃耐火实验装置
CN116242959B (zh) * 2023-05-12 2023-08-18 广东胜宇电缆实业有限公司 一种防火电线电缆生产用耐火测试装置
CN116660453B (zh) * 2023-07-28 2023-10-03 保定市五星电气有限公司 一种电线电缆耐火性能检测装置及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948B1 (ko) * 2006-12-18 2008-05-16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로의 연와파손 감지센서 장치
KR101321610B1 (ko) 2013-05-27 2013-10-23 강호철 파손감지 기능을 구비한 전기로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32797A (en) * 1967-08-07 1970-10-06 Hermann K Lunig Apparatus for monitoring thickness of wall lining of electric arc furnace
FR2033308A1 (en) * 1969-02-07 1970-12-04 Italsider Spa Fire-proof constructional element control- - ling wear in fire-proof masonry
US3954507A (en) * 1973-06-13 1976-05-04 Dennis Ephraim Carter Thermocouples used for measuring temperatures
JPS54115603A (en) * 1978-02-28 1979-09-08 Sumitomo Metal Ind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loss of repairing material for blast furnace inner wall
JPS5747678Y2 (ko) * 1979-05-08 1982-10-19
US4274284A (en) * 1980-04-14 1981-06-23 Leeds & Northrup Company Expandable phase change detector device
JPS57148181A (en) * 1981-03-06 1982-09-13 Kobe Steel Ltd Errosion level detector for refractory wall
JPS5930399Y2 (ja) * 1981-03-02 1984-08-30 株式会社神戸製鋼所 耐火物壁侵食検知センサ−
JPS6044591B2 (ja) * 1981-07-29 1985-10-04 東京窯業株式会社 耐火構造体
US4832742A (en) * 1988-05-12 1989-05-23 Metal Research Corporation Flexible refining-agent clad wire for refining molten iron group metal
US5158366A (en) * 1989-05-31 1992-10-27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Refractory monitoring temperature sensor and refractory erosion location measuring device
JPH0327600U (ko) * 1989-07-25 1991-03-19
KR0142240B1 (ko) 1995-10-31 1998-07-01 남일 실리콘 레진으로 코팅된 스틸코드
US5939136A (en) * 1996-04-12 1999-08-1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Process for preparation of optical fiber devices using optical fibers with thermally removable coatings
KR20000057513A (ko) * 1996-12-10 2000-09-15 로드니 머리슨 화이트 아크로
US6309442B1 (en) * 2000-02-25 2001-10-30 John D. Usher Refractory material sensor for determining level of molten metal and slag and method of using
KR102063563B1 (ko) * 2011-03-30 2020-02-11 엠바츄어 인크. 극히 낮은 저항 물질로 형성된 전기, 기계, 컴퓨팅, 및/또는 다른 디바이스
KR20130010392A (ko) * 2011-07-18 2013-01-28 주식회사 포스코 용강 처리 장치
KR20130035084A (ko) 2011-09-29 2013-04-08 주식회사 포스코 내화물 온도 측정이 가능한 전기로
BR112015007811A2 (pt) * 2012-10-25 2017-07-04 Adc Telecommunications Inc sistema e método para aplicar um cabo revestido adesivo a uma superfície
JP6297914B2 (ja) * 2014-05-01 2018-03-20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感温素子および温度センサ
CN203894146U (zh) * 2014-06-16 2014-10-22 西安电炉研究所有限公司 一种矿热电炉炉体耐火材料侵蚀曲线的检测系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9948B1 (ko) * 2006-12-18 2008-05-16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로의 연와파손 감지센서 장치
KR101321610B1 (ko) 2013-05-27 2013-10-23 강호철 파손감지 기능을 구비한 전기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2814A (ko) * 2020-03-06 2021-09-15 엑셀로 주식회사 배터리모듈 격납용 내화챔버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저장장치의 관리시스템
KR102342898B1 (ko) * 2020-03-06 2021-12-24 엑셀로 주식회사 배터리모듈 격납용 내화챔버 및 이를 포함하는 에너지저장장치의 관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885062A (zh) 2018-11-23
US10962288B2 (en) 2021-03-30
JP6965267B2 (ja) 2021-11-10
CN108885062B (zh) 2020-06-09
US20190120555A1 (en) 2019-04-25
EP3447424A1 (en) 2019-02-27
WO2017179755A1 (ko) 2017-10-19
EP3447424B1 (en) 2021-01-13
JP2019513968A (ja) 2019-05-30
KR20170117688A (ko) 2017-10-24
EP3447424A4 (en) 2019-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3370B1 (ko) 내화물 통합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방법
EP1868273A2 (en) Automatic trip device, network system using it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2472671A (zh) 热电偶套管振动频率诊断
US20050063449A1 (en) Method of and equipment for checking support means
CN101667318A (zh) 线型感温火灾探测器及其提高不动作温度等级的方法
CN110715748A (zh) 热镀锌间接式锌锅温度测量装置及其测量方法
JP2000220084A (ja) 合成繊維ケーブル
US11940218B2 (en) Integrated heated member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20220024525A (ko) 금속의 연속 주조용 잉곳 주형, 온도 측정 시스템 및 금속의 연속 주조 설비에서의 브레이크아웃 감지 방법 및 시스템
JP6779739B2 (ja) 溶鋼浴の温度を測定するための消費光ファイバ
KR101920421B1 (ko) 내화물 어셈블리, 이를 이용한 내화물 통합관리 시스템 및 내화물 어셈블리 관리방법
KR102384027B1 (ko) 용융된 금속의 온도를 광학적으로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릴링 장치
CN111154935B (zh) 一种基于电缆熔断特性检测铁水沟侵蚀程度的装置和系统
CN111100963B (zh) 一种基于电缆熔断特性检测铁水沟侵蚀程度的方法
CN116403361A (zh) 一种输电线路覆冰的预警装置
CN211445794U (zh) 一种基于电缆熔断特性检测铁水沟侵蚀程度的装置
CN114459733A (zh) 一种用于动态检测玻璃纤维生产过程故障的装置
JP2022549293A (ja) 高温溶融液体ディスペンシングシステムの直接的なヒータ診断の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
CN108801600A (zh) 一种光纤漏光检测装置
JP6512358B1 (ja) 温度測定装置および温度測定装置の製造方法
CN113736939A (zh) 高炉出铁沟防漏铁监测方法、监测装置及出铁沟
CN205927422U (zh) 一种锡炉液面检测器
WO2018143491A1 (ko) 피가열부재 통합관리 시스템과 이의 제어방법
JP2019215094A (ja) 耐火物ライニング構造体、および温度センサ
CN118310405A (zh) 一种判断炉墙侵蚀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2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3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3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3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