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4909B1 - Mouse mode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having characterized the adjusted polarity of Macrophage - Google Patents
Mouse mode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having characterized the adjusted polarity of Macropha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54909B1 KR101854909B1 KR1020160054258A KR20160054258A KR101854909B1 KR 101854909 B1 KR101854909 B1 KR 101854909B1 KR 1020160054258 A KR1020160054258 A KR 1020160054258A KR 20160054258 A KR20160054258 A KR 20160054258A KR 101854909 B1 KR101854909 B1 KR 1018549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uberculosis
- mouse model
- macrophage
- polarity
- mous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7/00—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or modified breeds of animals
- A01K67/027—New or modified breeds of vertebrat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07/00—Modified animals
- A01K2207/10—Animals modified by protein administration, for non-therapeutic purpos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27/00—Animals characterised by species
- A01K2227/10—Mammal
- A01K2227/105—Murin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267/00—Animals characterised by purpose
- A01K2267/03—Animal model, e.g. for test or disea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식세포의 활성화 또는 극성화된 마우스 모델을 사용하여, 질병 또는 감염 유발시 체내에서 극성화된 대식세포의 기능 및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마우스 모델 제작 방법으로써 제시하고자 한다. 좀 더 상세히는, 마우스 모델의 페포 내 대식세포의 극성을 유도하기 위하여 M1 대식세포 마우스 모델은 Lipopolysaccharide(0.5~5μg/kg)와 IFN감마( 0.5~5μg/kg)로 자극시켜줌으로써, 질병 또는 감염 유발 시 작용하는 대식세포의 기능 및 특성에 대한 연구에 적용 가능한 마우스 모델 제작 방법으로써 제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pose a method of mouse model for studying the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polarized macrophages in the body when diseases or infections are induced using macrophage activation or a polarized mouse model. More specifically, the M1 macrophage mouse model was stimulated with either Lipopolysaccharide (0.5-5 μg / kg) and IFN gamma (0.5-5 μg / kg) to induce the polarity of the papain macrophages in the mouse model, This is presented as a method of making a mouse model that can be applied to studies on the function and characteristics of macrophages acting upon induc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대식세포(macrophage)의 극성(polarization)을 조절한 마우스 모델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use model in which the polarization of macrophages is regulated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대식세포의 극성에 관련된 in vivo.실험시 적용가능한 마우스 모델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ouse model applicable to in vivo experiments related to the polarity of macrophages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또한, 본 발명은 결핵균에 대한 대식세포의 기능 및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마우스 모델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use model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to examine the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macrophages against Mycobacterium tuberculosis.
결핵은 결핵균 및 다른 마이코박테리움(Mycobacterium)종의 감염에 의해 유발되는 만성 감염성 질병이다. 결핵은 매년 약 8백만명의 신규 감염자가 발생되며 3백만명의 목숨을 앗아가는 개발도상국의 주요 질병이며, 또한 선진국에서도 문제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상당한 기간 동안 감염은 무증상일 수 있으나, 결핵은 가장 공통적인 증상으로서 폐의 급성 염증을 나타내며, 그 결과 발열 및 마른 기침(nonproductive cough)을 유발시킨다. 치료하지 않으면, 일반적으로 심각한 합병증 및 사망을 초래한다. Tuberculosis is a chronic infectious disease caused by an infection of Mycobacterium species with Mycobacterium tuberculosis. Tuberculosis is a major disease in developing countries, with nearly 8 million new infections occurring each year, and 3 million deaths, and it is also a problem in developed countries. Infection may be asymptomatic for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but tuberculosis is the most common symptom of acute inflammation of the lungs, resulting in fever and nonproductive cough. Untreated, usually causes serious complications and death.
결핵은 장기간에 걸친 항생제 요법을 이용하여 치료될 수 있으나, 이러한 치료법이 결핵의 확산을 막기에는 역부족이다. 감염된 개체들은 증상을 나타내지는 아니하나, 일정기간 보균상태(contagious)일 수 있다. 게다가 치료 섭생을 엄격하게 따르더라도 환자의 행동을 통제하는 것은 어렵다. 일부 환자들은 치료과정을 끝마치지 못하는데, 이는 효험없는 치료와 약제 내성의 발달을 초래할 수 있다. 치료의 전 과정을 끝마친다 하더라도, 결핵균 감염은 감염된 개체로부터 근절되지 아니하며 여전히 재활성화될 수 있는 잠복성 감염으로 잔존하게 된다. Tuberculosis can be treated with long-term antibiotic therapy, but these therapies are not enough to prevent the spread of tuberculosis. Infected individuals do not exhibit symptoms, but may be contagious for a period of time.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patient's behavior even though the treatment regimen is strictly followed. Some patients are unable to complete the treatment process, which can lead to ineffective treatment and development of drug resistance. Even if you complete the entire course of treatment, TB infection remains a latent infection that can not be eradicated from the infected individual and still be reactivated.
결핵의 확산을 통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질병에 대한 효과적인 예방접종(vaccination) 및 정확한 초기 진단이 가장 중요하다. 현재까지는 생균(live bacteria)을 이용한 예방접종이 보호 면역을 유도하기 위한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다. 상기 목적을 위해 이용되는 가장 일반적인 마이코박테리움은 바실러스 칼메트-게링(BacillusCalemette-Guerin, BCG)인데, M. bovis의 비병원성 종이다. 그러나 BCG의 안정성 및 효능은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미국과 같은 일부 국가에서는 상기 제제를 사용한 일반 대중의 예방접종을 실시하지 않고 있다. 결핵의 진단은 일반적으로 피부 검정법을 이용하여 수행되는데, 상기 검정법은 투베르쿨린 PPD(proteinpurifed derivative)에 대한 피내 노출을 포함한다. 항원-특이 T 세포 반응은 주입후 48-72시간 까지 주입 부위에서의 측정가능한 정도 경화(induration)를 초래하는데, 이는 마이코박테리움 항원에 대한 노출을 의미한다. 그러나 상기 검정법은 민감도 및 특이성에서 문제가 있으며, BCG로 예방접종된 개체들은 감염된 개체들과 구별할 수 없다. In order to control the spread of tuberculosis, effective vaccination and precise initial diagnosis of the disease are most important. Until now, live vaccine vaccination is the most effective way to induce protective immunity. The most common Mycobacterium used for this purpose is Bacillus Calmette-Guerin (BCG), a non-pathogenic species of M. bovis. However, the safety and efficacy of BCG is controversial, and some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are not vaccinating the public with the above products. Diagnosis of tuberculosis is generally performed using a skin test method, which involves intradermal exposure to tuberculin protein derivative (PPD). The antigen-specific T cell response results in a measurable degree of induration at the site of injection up to 48-72 hours post-injection, which means exposure to the Mycobacterium antigens. However, the above assay is problematic in sensitivity and specificity, and individuals vaccinated with BCG can not be distinguished from infected individuals.
대식세포(macrophage)가 마이코박테리움 면역의 주요 작동자로서 역할하는 것으로 밝혀져 왔으며, 또한 T 세포는 이러한 면역의 유력한 유발자이다. 마이코박테리움 감염에 대한 보호에서의 T 세포의 본질적인 역할은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 감염과 관련된 CD4+T 세포의 고갈로 인한 AIDS 환자에서의 마이코박테리움 감염의 빈번한 발생에 의해 설명된다. 마이코박테리움-감작성 CD4+ T 세포는 γ-인터페론(IFN-γ)의 잠재적인 생산자인 것으로 밝혀져왔으며, 이는 차례로 생쥐에서 큰포식세포에 의한 항-마이코박테리아 영향을 촉발시키는 것으로 입증된 바 있다. 인간에 있어서 IFN-γ의 역할은 덜 명확하지만, 연구는 단독으로 또는 IFN-γ 또는 종양괴사인자-알파와 혼합된, 1,25-디히드록시-비타민 D3가 인간 큰포식세포를 활성화시켜 결핵균 감염을 억제한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더욱이, IFN-γ는 인간 큰포식세포를 자극하여 1,25-디히드록시-비타민 D3를 만들어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사하게, 인터루킨-12(IL-12)는 결핵균 감염에 대한 저항력을 자극하는데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진 바 있다. 결핵균 감염의 면역학에 대한 고찰을 위해, 다음 문헌을 참조하라(Chan & Kaufmann, Tuberculosis: Pathogenesis, Protection and Control(Bloom ed., 1994), Tuberculosis(2nd ed., Rom and Garay, eds.,2003), 및 Harrison '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Chapter 150, pp. 953-966(16th ed., Braunwald,et al, eds., 2005)). 활동성 및 잠복성 감염 둘 모두에서의, 마이코박테리움 튜버큘로시스 감염의 재활성화를 예방하기 위한 효과적인 치료 전략에 대한 요구가 여전히 존재한다. Macrophages have been shown to play a major role in the mycobacterium immunity, and T cells are also potent inducers of this immunity. The essential role of T cells in protection against M. tuberculosis infection is explained by the frequent occurrence of Mycobacterium infections in AIDS patients due to the depletion of CD4 + T cells associated with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HIV) infection . Mycobacterium-sensitizing CD4 + T cells have been shown to be potential producers of γ-interferon (IFN-γ), which in turn has been proven to trigger anti-mycobacterial effects by macrophage cells in mice . Although the role of IFN-y in humans is less clear, the research has shown that 1,25-dihydroxy-vitamin D3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IFN-y or tumor necrosis factor-alpha activates human macrophages, Infection. Furthermore, IFN-y is known to stimulate human macrophages to produce 1,25-dihydroxy-vitamin D3. Similarly, interleukin-12 (IL-12) has been shown to play a role in stimulating resistance to M. tuberculosis infection. (Chan & Kaufmann, Tuberculosis: Pathogenesis, Protection and Control (Bloom ed., 1994), Tuberculosis (2nd ed., Rom and Garay, eds., 2003) for a review of the immunology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infection. , And Harrison's Principles of Internal Medicine, Chapter 150, pp. 953-966 (16th ed., Braunwald, et al, eds., 2005). There is still a need for an effective therapeutic strategy to prevent reactivation of M. tuberculosis infection in both active and latent infections.
현재 많이 이용되고 있는 결핵균 치료제의 경우 40% 이상의 환자에서 치료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또한 효과가 나타나는 환자들의 경우에도 수주에서 수개월간의 시간이 소요된다. 이에 따라서 새로운 결핵균 치료제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효과적인 결핵균 치료제 개발을 위해 동물모델은 필수적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폐질환의 임상적 특성을 포괄적으로 반영하는 모델은 없었다. Currently, more than 40% of patients treated with Mycobacterium tuberculosis treatment have no treatment effect. In addition, patients who show effects also take several weeks to several months. Accordingly, there is a growing need for the development of new therapeutic agents for Mycobacterium tuberculosis. Animal models are essential for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treatment for M. tuberculosis. However, to date, there has been no model that largely reflects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ulmonary disease.
동물모델에서 고려되어야 할 기본적인 요소는 행동의 조작적 증명과 재현성 및 폐질환 치료에 대한 반응성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결핵균 원인 유전자의 이식 및 화학물질 주입방법의 동물 모델 개발은 증상 발현의 균일성과 재현 가능한 결과 확보에 큰 장점이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신약의 효능 평가 및 개발기간의 단축을 유도할 수 있다. 특히 결핵균 원인 유전자 이식을 통해 개발된 마우스를 이용하여 신약 스크리닝 시스템을 구축할 경우 다양한 물질의 효능을 개체 수준에서 단기간에 광범위하게 테스트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basic elements to be considered in animal models are operative proof of behavior and reactivity to reproducibility and treatment of lung disease. Considering this point, the development of an animal model of transplantation and chemical injection methods of the TB germ cell gene has great advantages in ensuring uniformity of symptoms and ensuring reproducible results. In addition, this can lead to a shortening of the evaluation period and development period of the new drug. In particular, when a new drug screening system is constructed using a mouse developed through gene transplantation, which is a cause of tubercle bacillus, it is expected that the efficacy of various substances can be extensively tested at an individual level in a short period of time.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신규한 결핵균 동물 모델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특정 유전자의 과발현이 유도된 동물모델에서 결핵균 증상이 균일하게 발생하여, 결핵균 치료제에 대한 반응성이 탁월한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The present inventors have made intensive efforts to develop a new mycobacterial animal model in order to sol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As a result, the present inventors have found that an overexpression of an overexpressed gene in an animal model results in uniform occurrence of mycobacterial symptoms, And completed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in vivo . 실험 시 대식세포(macrophage)의 활성화(activation) 또는 극성화(polarization)된 마우스 모델을 사용하여, 질병 또는 감염 유발 시 체내에서 극성화된 대식세포의 기능 및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마우스 모델 및 그 제작 방법을 제시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in vivo . A mouse model and its production for studying the function and characteristics of polarized macrophages in the body during disease or infection induction using macrophage activation or polarized mouse model And to provide a method for this.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마우스 모델 제작방법은 사이토카인을 마우스의 비강내로 주입하는 방법에 의하여 마우스의 대식세포(macrophage)를 극성화(polarization) 시키는 단계; 및 상기 극성화시키는 단계로부터 12시간 내지 72시간 후에 대식세포의 극성을 확인하는 단계; 및 결핵균을 마우스의 비강내로 감염시키는 단계; 및 상기 감염시키는 단계 후 사이토카인을 비강내로 주입하는 방법에 의하여 극성화를 유지시켜주는 단계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ouse model comprising: polarizing a macrophage of a mouse by injecting a cytokine into a nasal cavity of a mouse; And confirming the polarity of the macrophage after 12 to 72 hours from the polarizing step; And < RTI ID = 0.0 > M. tuberculosis < / RTI > And maintaining the polarity by injecting the cytokine into the nasal cavity after the infecting step
여기서 상기 병원균은 결핵균 또는 염증성 폐질환과 관련된 병원균 또는 감염성 폐질환과 관련된 병원균을 포함한다. Wherein said pathogen comprises pathogens associated with Mycobacterium tuberculosis or inflammatory lung disease or pathogens associated with infectious pulmonary disease.
상기 대식세포의 극성화는 in vivo 상태에서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Wherein the polarization of the macrophages occurs in an in vivo state.
상기 사이토카인은 결핵균에 감염된 대식세포의 세포자멸사(apoptosis)를 유도함으로써 병원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사이토카인은 지질다당류(Lipopolysaccharide) 및 인터페론 감마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The cytokine is characterized by inhibiting the proliferation of pathogens by inducing apoptosis of macrophages infected with Mycobacterium tuberculosis. The cytokine includes those composed of lipopolysaccharide and interferon gamma.
또한 구체적으로 대식세포의 극성을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는 조성물은 지질다당류(Lipopolysaccharide)의 양은 0.5-5μg/kg 및 인터페론감마의 양은 0.5-5μg/kg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particular, the composition used to activate the polarity of macrophages is characterized by the amount of lipopolysaccharide being 0.5-5 μg / kg and the amount of interferon gamma being 0.5-5 μg / kg.
상기 마우스 모델 제작방법은 결핵균을 감염시키는 단계 후 3,8,14일마다 사이토카인을 주입함으로써 대식세포의 극성을 유지시켜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ouse model production method is characterized by maintaining the polarity of macrophages by injecting cytokine every 3, 8, and 14 days after infecting the Mycobacterium tuberculosis.
상기 결핵은 안결핵, 피부 결핵, 부신 결핵, 신장결핵, 부고환 결핵, 림프선 결핵, 후두 결핵, 중이 결핵, 장결핵, 다약제내성 결핵, 폐결핵, 담결핵, 골결핵, 인후결핵, 임파선 결핵, 폐허증, 유방 결핵 및 척추 결핵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tuberculosis can be diagnosed as tuberculosis, skin tuberculosis, adrenal tuberculosis, renal tuberculosis, epidemic tuberculosis, lymphatic tuberculosis, laryngeal tuberculosis, middle ear tuberculosis, intestinal tuberculosis, multidrug-resistant tuberculosis, pulmonary tuberculosis, , Breast tuberculosis, and spinal tuberculosis.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작된 마우스 모델을 포함한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use model produced by the above metho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신규하게 성립한 마우스 모델은 결핵균 치료제 개발을 위하여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ouse model newly establish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fully used for developing a therapeutic agent for Mycobacterium tuberculosis.
도 1A는 자극 후 1,3,6,10일째 M1/M2 마우스 모델의 폐 조직에서 M1/M2 대식세포 극성 마커인 STAT 발현을 보여주는 Western blotting에 의한 단백질 발현 전기영동사진.
도 1B는 결핵균 감염 연구 진행 시의 M1/M2 마우스 모델 제작방법을 간단히 나타낸 모식도.
도 1C는 결핵균을 감염시킨 M1/M2 마우스 모델의 폐 조직에서 M1/M2 대식세포 극성이 유지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Weatern blotting 방법을 이용하여 M1/M2 마커인 STAT발현을 확인한 사진..
도 2A는 결핵균 감염 20일 후의 M1/M2 마우스 모델의 혈청에서 Enzime-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사이토카인 분비량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2B는 결핵균 감염 20일 후의 M1/M2 마우스 모델의 폐 조직의 형태를 나타낸 사진.
도 2C는 결핵균 감염 20일후 M1/M2 마우스 모델의 폐조직을 Hematoxylin& Erosin(H&E) 염색을 통한 병리학적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
도 2d는 결핵균 감염 20일후 마우스 모델의 폐 조직에서 세포자멸(apoptosis)시 유도되는 CHOP와 Caspase-3 단백질 발현을 보여주는 Western blotting에 의한 단백질 발현 전기영동사진.
도 2e는 결핵균 감염 3, 7, 20 일후 M1/M2 마우스 모델의 폐 조직 내에서 생존한 결핵균의 수를 측정한 사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내용과 범위를 쉽게 설명하기 위한 예시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러한 예시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는 당연할 것이다. FIG. 1A is a photograph of protein expression by Western blot showing STAT expression, M1 / M2 macrophage polar marker, in the lung tissue of M1 / M2 mouse model on
FIG. 1B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a mouse model of M1 / M2 at the time of studying M. tuberculosis infection.
FIG. 1C is a photograph showing the expression of STAT / M1 marker M2 using the Weatern blotting method to confirm that the M1 / M2 macrophage polarity is maintained in the lung tissue of the M1 / M2 mouse model infected with Mycobacterium tuberculosis.
FIG. 2A is a graph showing the amount of cytokine secreted by the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assay in the serum of an M1 / M2
2B is a photograph showing the morphology of the lung tissue of the M1 / M2 mouse model after 20 days of TB infection.
FIG. 2C is a photograph showing the pathological results of Hematoxylin & Erosin (H & E) staining of the lung tissue of the M1 / M2 mouse model after 20 days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infection.
FIG. 2d is a photograph of protein expression by Western blotting showing expression of CHOP and Caspase-3 protein induced by apoptosis in the lung tissue of a
FIG. 2E is a photograph showing the number of tubercle bacilli surviving in the lung tissue of the M1 / M2 mouse model after 3, 7, and 20 days after the tuberculosis infection.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appended drawings illustrate only the contents and scope of technology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se examples.
본 발명은 마우스 모델 및 그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질병 또는 감염 유발시 체내에서 극성화된 대식세포의 기능 및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마우스 모델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use model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mouse mode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producing a mouse model for studying the functions and characteristics of polarized macrophages in the body upon inducing disease or infec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마우스 모델 및 그 제작방법을 실시예와 도면을 참조하여 각 단계별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a mouse model and a method of producing the mouse mod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and drawings.
본 발명의 일실시에 따른 마우스 모델 제작방법은 사이토카인을 마우스의 비강내로 주입하는 방법에 의하여 마우스의 대식세포(macrophage)를 극성화(polarization) 시키는 단계; 및 상기 극성화시키는 단계로부터 12시간 내지 72시간 후에 대식세포의 극성을 확인하는 단계 ; 및 결핵균을 마우스의 비강내로 감염시키는 단계; 및 상기 감염시키는 단계 후 사이토카인을 비강내로 주입하는 방법에 의하여 극성화를 유지시켜주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 method of producing a mouse mod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polarizing a mouse macrophage by injecting cytokine into the nasal cavity of a mouse; And confirming the polarity of the macrophage after 12 to 72 hours from the polarizing step; And < RTI ID = 0.0 > M. tuberculosis < / RTI > And maintaining the polarity by injecting the cytokine into the nasal cavity after the infecting step.
먼저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우스 모델의 폐포 내 대식세포의 극성을 유도하기 위하여 M1 대식세포 마우스 모델은 Lipopolysaccharide(0.5-5μg/kg와 IFNγ(0.5-5μg/kg)를, M2 대식세포 마우스 모델은 IL-4(0.5-5μg/kg)와 IL-13(0.5-5μg/kg)을 비강 내로 자극시켜 주었다In order to induce the polarity of the macrophages in the alveoli of the mouse mode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1 macrophage mouse model was prepared by mixing Lipopolysaccharide (0.5-5 μg / kg and IFNγ (0.5-5 μg / kg) The model stimulated intranasally with IL-4 (0.5-5 μg / kg) and IL-13 (0.5-5 μg / kg)
상기 대식세포의 극성화는 in vivo 상태에서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사이토카인은 결핵균에 감염된 대식세포의 세포자멸사(apoptosis)를 유도함으로써 병원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monocy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acrophage is polarized in vivo, and the cytokine inhibits proliferation of pathogens by inducing apoptosis of macrophages infected with Mycobacterium tuberculosis.
그 다음 상기 단계 후 12시간 ~ 72시간내에 대식세포의 극성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면에서 1A는 자극 후 1, 3, 6, 10일 째 M1/M2 마우스 모델의 폐 조직에서 M1 대식세포 극성을 나타내는 마커인 phospho-STAT1(p-STAT1)과, M2 대식세포 극성을 나타내는 마커인 phospho-STAT3(p-STAT3), phospho-STAT6(p-STAT6)의 단백질 발현 정도를 웨스턴 블로팅(Western blotting) 방법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자극 후 12시간부터 72시간이내에 대식세포의 M1/M2 극성이 유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자극 후 6일 이후부터는 M1/M2 마커의 경향이 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에서 STAT1, STAT3, STAT6는 내부콘트롤, 이하 동일) And then confirming the polarity of the macrophage within 12 to 72 hours after the step. 1A, phospho-STAT1 (p-STAT1), which is a marker for M1-phagocyte polarity in the lung tissue of the M1 / M2 mouse model on
그 다음 마우스에 결핵균을 마우스의 비강내로 감염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And then infecting the mouse into the nasal cavity of the mouse with M. tuberculosis.
상기 결핵은 안결핵, 피부 결핵, 부신 결핵, 신장결핵, 부고환 결핵, 림프선 결핵, 후두 결핵, 중이 결핵, 장결핵, 다약제내성 결핵, 폐결핵, 담결핵, 골결핵, 인후결핵, 임파선 결핵, 폐허증, 유방 결핵 및 척추 결핵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tuberculosis can be diagnosed as tuberculosis, skin tuberculosis, adrenal tuberculosis, renal tuberculosis, epidemic tuberculosis, lymphatic tuberculosis, laryngeal tuberculosis, middle ear tuberculosis, intestinal tuberculosis, multidrug-resistant tuberculosis, pulmonary tuberculosis, , Breast tuberculosis, and spinal tuberculosis.
마지막으로 상기 결핵균을 감염시키는 단계 후 3,8,14일마다 사이토카인을 주입함으로써 대식세포의 극성을 유지시켜주는 단계를 포함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M1/M2 대식세포 극성을 유지시키기 위해 감염 후 3, 8, 14일 마다 M1 대식세포 마우스 모델은 IFNγ(0.5-5μg/kg)를, M2 대식세포 마우스 모델은 IL-4(0.5-5μg/kg)를 비강 내로 자극시켜 주었다. Finally, the step of infecting the Mycobacterium tuberculosis with a cytokine is injected every 3, 8, and 14 days to maintain the polarity of the macrophage. More specifically, to maintain M1 / M2 macrophage polarity, the M1 macrophage mouse model is IFN gamma (0.5-5 mu g / kg) and the M2 macrophage mouse model is IL-4 (0.5 -5 [mu] g / kg) into the nasal cavity.
또한 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작된 마우스 모델을 포함한다. In yet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ouse model produced by the method.
그 밖에 본원 발명의 배경개념으로 인터페론 감마는 항원을 만나기 전의 대식세포보다 강력한 항원제시 능력을 갖게 하고 보체매개 탐식능도 키우며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을 생성하게 만든다는 사실과 이것을 소위 전형적인 활성화된 대식세포(M1)이라 부른다는 사실이다.In addition, as a background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interferon gamma has a stronger antigen presenting ability than the macrophage before the antigen, enhances complement-mediated cytotoxicity, and produces an proinflammatory cytokine and this is called a typical activated macrophage (M1) .
또한 보조 T림프구는 분비하는 사이토카인에 따라 크게 두가지 다른 형태로 분류하는데 Th1과 Th2 세포로 분류할 수 있다. 이중 IL-4와 같은 Th2 세포에 의해 주로 분비되는 사이토카인은 대식세포를 인터페론 감마에 의해 유도되는 활성화와 대조적인 상태, 예를 들면 주조직적합성항원 class Ⅱ의 발현을 증가시킨다. 이런 상태의 대식세포를 일컬어 대체 활성화 대식세포(M2)라고 한다. Secondary T lymphocytes are classified into two different types depending on the cytokine secreted, and can be classified into Th1 and Th2 cells. The cytokines mainly secreted by Th2 cells, such as IL-4, increase macrophage expression in contrast to activation induced by interferon gamma, for example, the main histocompatibility antigen class II. The macrophage of this state is also called an alternative activated macrophage (M2).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대식세포의 극성(Macrophage polarization)을 이용한 세포 내 결핵균의 생존 및 증식 억제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method for inhibiting the survival and proliferation of intracellular Mycobacterium tuberculosis using macrophage polarization of the macropha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Rather,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It is provided to inform.
대식세포의 극성에 관련된 in vivo 실험시 적용가능한 마우스 모델 제작방법How to make a mouse model that can be applied to in vivo experiments related to the polarity of macrophages
1. 대식세포를 M1/M2를 극성화시키는 마우스 모델 제작단계1. Mouse model development to polarize macrophages to M1 / M2
마우스 모델의 폐포 내 대식세포의 극성을 유도하기 위하여 M1 대식세포 마우스 모델은 Lipopolysaccharide(0.5-5μg/kg와 IFNγ(0.5-5μg/kg)를, M2 대식세포 마우스 모델은 IL-4(0.5-5μg/kg)와 IL-13(0.5-5μg/kg)을 비강 내로 자극시켜 주었다In order to induce the polarity of the macrophage in the alveolar macrophage of the mouse model, the M1 macrophage mouse model was treated with Lipopolysaccharide (0.5-5 μg / kg and IFNγ 0.5-5 μg / kg), M2 macrophage mouse model IL- / kg) and IL-13 (0.5-5 [mu] g / kg) were intranasally stimulated
2. 상기 단계 1일 후 대식세포의 극성을 확인하는 단계 2. Identification of the polarity of the macrophage after 1 day of the step
도면에서 1A는 자극 후 1, 3, 6, 10일 째 M1/M2 마우스 모델의 폐 조직에서 M1 대식세포 극성을 나타내는 마커인 phospho-STAT1(p-STAT1)과, M2 대식세포 극성을 나타내는 마커인 phospho-STAT3(p-STAT3), phospho-STAT6(p-STAT6)의 단백질 발현 정도를 웨스턴 블로팅(Western blotting) 방법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자극 후 1일부터 대식세포의 M1/M2 극성이 유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자극 후 6일 이후부터는 M1/M2 마커의 경향이 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에서 STAT1, STAT3, STAT6는 내부콘트롤, 이하 동일) 1A, phospho-STAT1 (p-STAT1), which is a marker for M1-phagocyte polarity in the lung tissue of the M1 / M2 mouse model on
3. 마우스에 결핵균을 감염시키는 단계3. Step of infecting the mouse with Mycobacterium tuberculosis
도 1B는 결핵균 감염 연구 진행 시의 M1/M2 마우스 모델 제작방법을 간단히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1A에서 얻은 결과를 토대로 하여 대식세포 극성 마우스 모델을 제작하고, 자극 후 1일에 결핵균(5X106)을 비강 내로 감염시켰다.1B is a schematic diagram briefly illustrating a method for producing an M1 / M2 mouse model in the course of studying M. tuberculosis infection.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in FIG. 1A, a macrophage polar mouse model was prepared and infected into the nasal cavity with a Mycobacterium tuberculosis (5X10 6 ) on the first day after stimulation.
4. 상기 감연시키는 단계 후 3,8,14일후 인터페론 감마등을 비강내로 주입하는 방법에 의하여 극성을 유지시키는 단계 및 유지되었는지 확인하는 단계. 4. The step of maintaining the polarity by injecting interferon gamma into the nasal cavity after 3, 8, and 14 days after the step of inserting and confirming whether it is maintained.
감염 후 마우스 모델의 폐 내에서 M1/M2 대식세포 극성을 유지시키기 위해 감염 후 3, 8, 14일 마다 M1 대식세포 마우스 모델은 IFNγ(0.5-5μg/kg)를, M2 대식세포 마우스 모델은 IL-4(0.5-5μg/kg)를 비강 내로 자극시켜 주었다. To maintain the M1 / M2 macrophage polarity in the lung model of the post-infection mouse model, the M1 macrophage mouse model is IFN gamma (0.5-5 mu g / kg) every 3, 8, and 14 days after infection and the M2 macrophage mouse model is IL -4 (0.5-5 μg / kg) was stimulated intranasally.
도 1C는 결핵균을 감염시킨 M1/M2 마우스 모델의 폐 조직에서 M1/M2 대식세포 극성이 유지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Western blotting 방법을 이용하여 M1/M2 마커인 STAT 발현을 확인한 결과이다. M1/M2 극성 마우스 모델에 결핵균 감염 3일후, 마우스 모델의 폐 조직에서 M1 대식세포 극성을 나타내는 마커인 phospho-STAT1과, M2 대식세포 극성을 나타내는 마커인 phospho-STAT3, phospho-STAT6의 단백질 발현 정도를 Western blotting 방법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감염 후에도 마우스 모델의 폐 내 대식세포에서 M1/M2 극성이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 1C shows the expression of the M1 / M2 marker STAT in the lung tissue of the M1 / M2 mouse model infected with Mycobacterium tuberculosis using Western blotting to confirm that M1 / M2 macrophage polarity is maintained. Protein expression of phospho-STAT1, a marker showing M1 macrophage polarity, and phospho-STAT3 and phospho-STAT6, a marker showing M2 macrophage polarity, in lung tissue of
상기 실시예에서는 마우스의 폐포 내 극성화된 대식세포 즉, 마우스 폐의 대식세포 극성을 조절하여 M1 대식세포 또는 M2 대식세포 마우스 모델을 제작하고 이를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의한 대식세포 극성 조절 마우스 모델은 다양한 병원균 감염 및 여러 질병에 관련한 대식세포 극성 조절 연구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above example, M1 macrophages or M2 macrophage mouse models were prepared by confirming macrophage polarity of polarized macrophages, that is, mouse lungs in the alveoli of mice, and confirmed them. The macrophage polarity-regulated mouse mod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lso be applied to macrophage polarity control studies related to various pathogenic infections and diseases.
제조된 마우스 모델을 통하여 대식세포의 극성화가 결핵균 억제에 효능이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 The method of confirming whether the polarization of macrophages is effective for the inhibition of mycobacteria by the prepared mouse model.
도 2A는 결핵균 감염 20일 후의 M1/M2 마우스 모델의 혈청에서 Enzime-linked immunosorbent assay(ELISA)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사이토카인 분비량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결핵균 감염 20일 후 M1/M2 마우스 모델의 혈액에서 혈청을 분리한 후,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염증성 사이토카인 IL-12p40, IL-6, tumor necrosis factor (TNF), monocyte chemotactic protein-1 (MCP-1) 과, 항염증성 사이토카인 IL-10의 분비량을 확인하였다. 결핵균 감염 후 마우스 모델의 폐 내 대식세포의 M1/M2 극성에 따라 사이토카인의 발현 경향이 다르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 2A is a graph showing the amount of cytokine secreted by the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analysis in the serum of the M1 /
도 2B는 결핵균 감염 20일 후 M1/M2 마우스 모델의 폐 조직의 형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M1 마우스 모델보다 M2 마우스 모델의 폐 조직에서 염증성 병변의 수가 현저히 증가되어 있는 것을 관찰하였다. 2B is a photograph showing the morphology of the lung tissue of the M1 / M2 mouse model after 20 days of TB infection. We observed that the number of inflammatory lesion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lung tissue of the M2 mouse model than the M1 mouse model.
도 2C는 결핵균 감염 20일 후 M1/M2 마우스 모델의 폐 조직을 H&E 염색시키고 현미경으로 관찰한 병리학적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M1 마우스 모델보다 M2 마우스 모델의 폐 조직에서 염증에 의한 면역세포의 밀집이 유도되고 육아종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 2C is a photograph showing pathological results of H & E staining and microscopic observation of the lung tissue of the M1 / M2 mouse model after 20 days of TB infection. It was confirmed that granulocytes were formed in the lung tissue of the M2 mouse model than the M1 mouse model because of the concentration of immune cells due to inflammation.
도 2D는 결핵균 감염 20일 후 M1/M2 마우스 모델의 폐 조직에서 세포자사멸(Apoptosis) 시 유도되는 CHOP과 Caspase-3 단백질 발현 정도를 Western blotting 방법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M2 마우스 모델보다 M1 마우스 모델의 폐조직에서 CHOP과 Caspase-3의 활성이 현저히 높은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FIG. 2D shows the results of Western blotting of CHOP and Caspase-3 protein expression induced by apoptosis in lung tissue of M1 /
도 2E는 결핵균 감염 3, 7, 20일 후 M1/M2 마우스 모델의 폐 조직 내에서 생존한 결핵균의 수를 측정하였다. M1 마우스 모델보다 M2 마우스 모델의 폐 내에서 결핵균의 생존이 유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 2E shows the number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bacteria survived in the lung tissue of the M1 / M2 mouse model after 3, 7, and 20 days after the tuberculosis infec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survival of M. tuberculosis was favorable in the lung of the M2 mouse model than that of the M1 mouse model.
Claims (8)
(a) 사이토카인을 마우스의 비강내로 주입하는 방법에 의하여 마우스의 대식세포(macrophage)를 극성화(polarization) 시키는 단계;
(b) 상기 극성화시키는 단계로부터 12시간 내지 72시간후에 대식세포의 극성을 확인하는 단계;
(c) 결핵균을 마우스의 비강내로 감염시키는 단계; 및
(d) 상기 감염시키는 단계 후 사이토카인을 비강내로 주입하는 방법에 의하여 극성화를 유지시켜주는 단계.A method of making a mouse model comprising the steps of:
(a) polarizing the macrophage of a mouse by injecting cytokine into the nasal cavity of a mouse;
(b) confirming the polarity of the macrophage after 12 to 72 hours from the polarizing step;
(c) infecting the nasal cavity of a mouse with Mycobacterium tuberculosis; And
(d) maintaining the polarity by injecting the cytokine into the nasal cavity after the infecting step.
상기 대식세포(macrophage)의 극성화는 in vivo 상태에서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모델 제작방법.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Wherein the polarization of the macrophage occurs in an in vivo state.
상기 사이토카인은 결핵균에 감염된 대식세포의 세포자멸사(apoptosis)를 유도함으로써 결핵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마우스 모델 제작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ytokine induces apoptosis of macrophages infected with Mycobacterium tuberculosis, thereby inhibiting proliferation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상기 사이토카인은 지질다당류(Lipopolysaccharide) 및 인터페론 감마를 포함하는 마우스 모델 제작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ytokine comprises a lipopolysaccharide and interferon gamma.
지질다당류(Lipopolysaccharide)의 양은 0.5~5μg/kg 및 인터페론감마의 양은 0.5~5μg/k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모델 제작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amount of lipopolysaccharide is 0.5 to 5 μg / kg and the amount of interferon gamma is 0.5 to 5 μg / kg.
결핵균을 감염시키는 단계 후 3,8,14일마다 사이토카인을 주입함으로써 대식세포의 극성을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모델 제작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olarity of the macrophage is maintained by injecting cytokine every 3, 8, and 14 days after the step of infecting the Mycobacterium tuberculosis.
상기 결핵은 안결핵, 피부 결핵, 부신 결핵, 신장결핵, 부고환 결핵, 림프선 결핵, 후두 결핵, 중이 결핵, 장결핵, 다약제내성 결핵, 폐결핵, 담결핵, 골결핵, 인후결핵, 임파선 결핵, 폐허증, 유방 결핵 또는 척추 결핵인 마우스 모델 제작방법.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bove-mentioned tuberculosis can be diagnosed as tuberculosis, skin tuberculosis, adrenal tuberculosis, renal tuberculosis, epidemic tuberculosis, lymphatic tuberculosis, laryngeal tuberculosis, middle ear tuberculosis, intestinal tuberculosis, multidrug-resistant tuberculosis, pulmonary tuberculosis, , Breast tuberculosis or spinal tuberculosis.
A mouse model produced by the method of any one of claims 1 to 7.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054258A KR101854909B1 (en) | 2016-05-02 | 2016-05-02 | Mouse mode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having characterized the adjusted polarity of Macropha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60054258A KR101854909B1 (en) | 2016-05-02 | 2016-05-02 | Mouse mode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having characterized the adjusted polarity of Macrophage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124404A KR20170124404A (en) | 2017-11-10 |
| KR101854909B1 true KR101854909B1 (en) | 2018-05-04 |
Family
ID=60386509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60054258A Active KR101854909B1 (en) | 2016-05-02 | 2016-05-02 | Mouse mode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having characterized the adjusted polarity of Macrophage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85490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CN112075388B (en) * | 2020-10-20 | 2022-08-23 | 中国水产科学研究院淡水渔业研究中心 | Method for constructing lipopolysaccharide-induced fish multi-organ injury model |
| CN115838732B (en) * | 2022-10-28 | 2024-08-30 | 四川大学华西医院 | A recombinant BCG strain and its construction method and application |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060257359A1 (en) | 2005-02-28 | 2006-11-16 | Cedric Francois | Modifying macrophage phenotype for treatment of disease |
| US8895536B2 (en) | 2010-10-29 | 2014-11-25 | Infirst Healthcare Ltd. |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chronic inflammation and inflammatory diseases |
-
2016
- 2016-05-02 KR KR1020160054258A patent/KR101854909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US20060257359A1 (en) | 2005-02-28 | 2006-11-16 | Cedric Francois | Modifying macrophage phenotype for treatment of disease |
| US8895536B2 (en) | 2010-10-29 | 2014-11-25 | Infirst Healthcare Ltd. |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chronic inflammation and inflammatory diseases |
Non-Patent Citations (5)
| Title |
|---|
| Huang Z, et al. PLoS One. 2015 Jun 19;10(6) (2015.06.19. 공개) |
| J Infect Dis. vol.1;191(1), pp. 65-74. (Epub 2004.11.29) |
| Journal of Bacteriology and Virology, Vol. 44, No. 3 pp.290 - 295(2014) |
| PLoS ONE 6(12): e28531(2011). |
| Sci. Rep. 6, 37211; doi: 10.1038/srep37211 (2016.11.15).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124404A (en) | 2017-11-10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onti et al. | The British variant of the new coronavirus-19 (Sars-Cov-2) should not create a vaccine problem | |
| Coccia et al. | Cellular and molecular synergy in AS01-adjuvanted vaccines results in an early IFNγ response promoting vaccine immunogenicity | |
| Zhu et al. | Tuberculosis vaccines: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 |
| Navarro et al. | The oral administration of bacterial extracts prevents asthma via the recruitment of regulatory T cells to the airways | |
| de Bree et al. | Bacillus calmette–guérin-induced Trained immunity is not Protective for experimental influenza a/anhui/1/2013 (h7n9) infection in Mice | |
| KR101312308B1 (en) | Mucosal immunogenic substances comprising a polyinosinic acid - polycytidilic acid based adjuvant | |
| Preston et al. | Inhibition of allergic airways disease by immunomodulatory therapy with whole killed Streptococcus pneumoniae | |
| Soudi et al. | Co‐administration of rectal BCG and autoclaved Leishmania major induce protection in susceptible Balb/c mice | |
| US20220031825A1 (en) | Immunological adjuvant and vaccine composition including sting agonist | |
| Joo et al. | Critical role of TSLP-responsive mucosal dendritic cells in the induction of nasal antigen-specific IgA response | |
| US10688168B2 (en) | Methods for inducing an immune response | |
| KR101854909B1 (en) | Mouse mode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having characterized the adjusted polarity of Macrophage | |
| Edwards et al. | Respiratory infection with a bacterial pathogen attenuates CNS autoimmunity through IL-10 induction | |
| KR101833460B1 (en) | The composite to inhibit the survival and proliferation of M. tuberculosis by regulating a polarity control of macrophages | |
| Han et al. | Therapeutic effects of mycobacterial secretory proteins against established asthma in BALB/c mice | |
| Blackstock et al. | Presentation of cryptococcal capsular polysaccharide (GXM) on activated antigen‐presenting cells inhibits the T‐suppressor response and enhances delayed‐type hypersensitivity and survival | |
| Golahdooz et al. | Comparison of immune responses following intradermal and intramuscular rabies vaccination methods | |
| KR102097112B1 (en) | Animal model for the study of granuloma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
| Seyman et al. | Acute Brucellosis Following Accidental Exposure to Brucella melitensis Rev-1 Vaccine | |
| An et al. | Co-adjuvanting Nod2-stimulating bacteria with a TLR7 agonist elicits potent protective immunity against respiratory virus infection | |
| Zhang | Immunopathogenesis of tuberculosis: Implications for vaccine development | |
| US20030138436A1 (en) | Method of using a vaccine | |
| Wulandari et al. | Lymphocyte-t type th1 and th2 activity difference of lung tissue on heligmosomoides polygyrus nematode and mycobacterium tuberculosis sequential co-infection | |
| Rodríguez et al. | Damage on Central Nervous System Cells Elicited by Innate Immune Activation: Lessons to be Learnt from the Intracellular Bacterium Brucella abortus | |
| TR2021004859T (en) | Immunological adjuvant and vaccine composition containing a sting agonist.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14-X000 | Amendment of ip right document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P10-P14-nap-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