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7595B1 - Rain Water Storage Cell Of Improved Capacity And Coupling Structure Thereof - Google Patents
Rain Water Storage Cell Of Improved Capacity And Coupling Structure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57595B1 KR101857595B1 KR1020150127618A KR20150127618A KR101857595B1 KR 101857595 B1 KR101857595 B1 KR 101857595B1 KR 1020150127618 A KR1020150127618 A KR 1020150127618A KR 20150127618 A KR20150127618 A KR 20150127618A KR 101857595 B1 KR101857595 B1 KR 1018575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
- storage
- storage cell
- rainwater
- storage spa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2—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 E03F1/005—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with disposal into the ground, e.g. via dry wells via box-shaped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벽과 내벽으로 구성되어 내측저류공간과 외측저류공간을 구획하되 외벽은 단면이 4각형으로 각각의 측면에 반원형의 개구가 형성되며 내벽은 일단이 원형의 단면을 형성하면서 타단방향으로 곡면이 형성되도록 하여 외벽과 내벽에 의해 하방향으로 직경이 좁아들면서 중공이 형성된 4개의 기둥이 형성되는 한쌍의 유닛의 조립에 의해 원형단면의 유로가 3방향에서 직교하는 저류용량을 향상시킨 저류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n outer wall and an inner wall to divide an inner storage space and an outer storage space, the outer wall having a quadrangular cross section and a semicircular opening formed on each side thereof, the inner wall having a circular cross- Which is formed by the outer wall and the inner wall so as to have a smaller diameter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which has four hollows formed therein, .
Description
본 발명은 자중을 감소시켜 보관, 이동 및 시공이 용이하고 특히 저류용량을 향상시키면서도 구조적 건전성이 도모되는 저류셀 및 이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orage cell and its connection structure which are easy to store, move, and construct by reducing its own weight, and in particular, to improve structural capacity while improving storage capacity.
일반적으로 건물의 증가나 지표의 포장율의 상승에 따라 호우시에 빗물이 지하로 침수함이 없이 하수도나 하천으로 일시에 유입되고 있으며, 유입허용량을 초과하는 결과 홍수가 발생할 수 있다. In general, due to the increase of buildings or the increase of the packing rate of the surface, rainwater is flown into the sewer or river at a time without flooding to the underground at the time of heavy rainfall, and flooding may occur as a result of exceeding the inflow limit.
다른 한편으로는 하천의 유입량이 적으면 수질이 악화되고 지하수도 고갈되어 문제가 발생한다. 이 때문에 빗물을 일단 현장타설의 콘크리트나 합성수지제로 구성된 빗물저장시설에 저장하고 하천으로의 유출량을 조절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On the other hand, if the inflow of the river is small, the water quality deteriorates and the groundwater becomes depleted. For this reason, rainwater was once stored in a rainwater storage facility composed of concrete or synthetic resin placed on the spot, and a technique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to the stream was developed.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기술중 하나로서, 일본국 특허 공개 평6-27299호에 개시되어 있다.One of the techniques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Laid-Open No. 6-27299.
상기 발명은 블록 단체의 경량화를 위하여 저면 저면판부의 네 모서리 기둥의 상단부분에 수평 들보가 설치되고, 전후좌우의 각 수평 들보 사이에 상면 개구부를 형성한 본체부용 블록과, 측면판부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에 상면판부와 저면판의 단부 부분을 연결하는 슬리브 벽부를 설치한 ㄷ자 형상의 주변부용블록과, 측면판부의 하단 부분에 저면판부를 연결 설치하여 상단 부분에 상면판부를 연결설치하여 모퉁이 벽부용 블록으로 구성되고, 본체부용 블록군의 측면 개구부가 주변부용 블록으로 폐쇄되며, 수평 들보에 탑재된 뚜껑판으로 본체부 용 블록의 상면 개구부가 폐쇄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block for a block body is provided with a horizontal beam at the upper end portion of four corner pillars of the bottom face plate portion and an upper face opening is formed between front and rear horizontal pillars and left and right horizontal pillars, Shaped peripheral block portion provided with a sleeve wall portion connecting the upper plate portion and the end portion of the bottom plate and a bottom plate portion connected to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side plate portion and connecting the upper plate portion to the upper portion, The side opening of the block group for the main body is closed by the peripheral block, and the top opening of the block for the main body is closed by the cover plate mounted on the horizontal beam.
그러나, 이러한 빗물 저류조는 각각의 블록의 중량을 경량화하여 운반이나 취급이 용이한 이점은 있으나, 각각의 부분이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각 부분을 조립하여 설치하는데 많은 노동력과 조립시간이 요구되어 시공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However, such a rainwater storage tank is advantageous in that the weight of each block is lightened, so that it can be easily transported and handled. However, since each part is separated, a lot of labor and assembly time are required for assembling each part, Is increased.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485742호는, 상면판과 저면판의 전후좌우의 네 모퉁이에 기둥들이 각각 직각으로 직립되며, 상기 기둥들에 의해 네개의 면에 개구부들이 형성되고, 상기 기둥들의 상부 및 하부에 다수의 너트 안치홈이 내측에 형성되는 관통공들이 각각 형성되는 한편, 커플 가이드 핀이 각각 삽입되는 다수의 홈들이 외부면에 형성되는 본체부용 블록과, 4개의 면들 중에 하나 이상의 면이 폐쇄된 형태를 위하는 것 외에는 상기 본체부용 블록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주변부용 블록과, 조립되었을 때 외측으로 향하는 상기 주변부용 블록의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주변부용 블록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나사 부재에 의해 상기 주변부용 블록에 결합되는 슬래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485742 discloses a structure in which pillars are erected at right angles at four corners of the top plate and the bottom plate at right angles, openings are formed at four sides by the pillars, And a plurality of grooves into which a plurality of nut insertion grooves are formed on the inner side and a plurality of grooves into which the couple guide pins are respectively inserted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And a screw member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peripheral portion block to close the opening portion of the peripheral portion block facing outward when assembled, the peripheral portion block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s that of the main body portion block, And a slab coupled to the block.
상기와 같은 빗물 저류조는 나사부재를 통해 각 블록들 및 슬래브를 결합하기 때문에 종래보다 시공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본체부용 및 주변부용 블록이 각각 기둥을 포함하고 있고, 이들을 배열할 때 블록들의 기둥이 겹쳐서 불필요하게 두꺼운 기둥구조를 제공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The rainwater storage tank is advantageous in that the construction cost can be reduced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art because the rainwater storage tank joins the blocks and the slab through the screw member. However, the blocks for the main body part and the peripheral part each include the columns,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the columns of blocks are overlapped to provide an unnecessarily thick columnar structure.
또한, 상기 빗물 저류조는 통상 상부와 하부를 하나의 와이어를 매개로 상호 연결하기 때문에 지반이 불균형하게 되어 있는 경우에는 시공이 상당히 불편할 뿐만 아니라, 시공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ainwater storage tank generally interconnects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via one wire, when the ground is unbalanced, the construction is considerably inconvenient and the construction time is long.
또한, 상기 빗물 저류조에 사용되는 블록은 통상 시공현장에 맞게 별물로 제작되기 때문에 규격화된 블록의 제작이 곤란하고, 제작된 블록보다 작거나 큰 블록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별도로 주문하여 시공해야하기 때문에 범용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locks used in the rainwater storage tank are usually manufactured as a separate product to meet the construction site, it is difficult to produce standardized blocks, and in order to use blocks smaller or larger than the manufactured blocks, There is a problem that falls significantly.
또한, 상기 빗물 저류조는 지진하중 등 횡방향 하중에 대한 보강 및 상재하중 등 종방향 하중에 대한 보강이 없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불안정한 문제가 있다. In addition, the rainwater storage tank is structurally unstable because there is no reinforcement for lateral loads such as seismic loads and lateral loads such as overhead loads.
또한, 상기 빗물 저류조는 콘크리트의 재질에 직접 빗물이 저류됨에 따라 콘크리트 열화의 문제가 있다.In addition, the rainwater storage tank has a problem of concrete deterioration due to the accumulation of rainwater directly on the material of the concret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빗물저류조의 시공현장 크기 및 범위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 가능하여 공기를 줄일 수 있어 시공경제를 도모할 수 있는 저류셀 및 이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orage cell and a connection structure thereof that can be flexibly applied according to the size and range of a construction site of a rainwater storage tank, I have a purpos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중량을 경량화하여 운반 및 조립을 용이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횡방향 및 종방향 하중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켜 구조적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게 하고 특히 빗물저류용량을 크게 하여 장소적 경제성이 도모되는 저류셀 및 이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It is 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making a vehicle lightweight and easy to carry and assemble while improving the resistance to lateral and longitudinal loads to achieve structural stability, And to provide a storage cell and a connection structure of the storage cell in which location economical efficiency is achieved.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저류용량을 향상시킨 저류셀은 외벽과 내벽으로 구성되어 내측저류공간과 외측저류공간을 구획하되 외벽은 단면이 4각형으로 각각의 측면에 반원형의 개구가 형성되며 내벽은 일단이 원형의 단면을 형성하면서 타단방향으로 곡면이 형성되도록 하여 외벽과 내벽에 의해 하방향으로 직경이 좁아들면서 중공이 형성된 4개의 기둥이 형성되는 한쌍의 유닛의 조립에 의해 원형단면의 유로가 3방향에서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orage cell having improved storage capac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cell includes an outer wall and an inner wall. The inner storage space and the outer storage space are divided into a quadrilateral shape and a semicircular shape The inner wall is formed by assembling a pair of units, one end of which forms a circular cross section, and a curved surface is formed in the other unidirection, and the four pillars are formed by the outer wall and the inner wall, And the flow path of the circular cross section is orthogonal in three directions.
하나의 예로 유닛의 기둥에는 중공이 형성된 삽입돌기와 타 유닛의 기둥에 형성된 삽입돌기가 삽입, 체결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one example, the pillar of the unit is formed with a receiving groove in which a hollow is formed and an insertion protrusion formed in a column of the other unit is inserted and fastened.
한편 본 발명의 저류용량을 향상시킨 저류셀 연결구조는, 상기 저류셀에 있어서,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인접하는 저류셀을 연결하는 연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storage cell connection structure having improved storage capac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rage cell includes a connection plate connecting the storage cells adjac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하나의 예로 상기 연결판에는, 상기 유로 중 상기 기둥과 평행한 방향의 유로에는 외벽의 4각 단면이 양방향에서 삽입되는 외벽삽입테두리와 내벽의 원형 단면이 양방향에서 삽입되는 내벽삽입테두리가 복수의 지지대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는 종방향연결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one example, the connecting plate is provided with an outer wall insertion rim in which the square cross section of the outer wall is inserted in both directions and an inner wall insertion rim in which the circular cross-section of the inner wall is inserted in both directions, And a longitudinal connecting plate for connecting the connecting plate with the connecting plate.
하나의 예로 상기 종방향연결판에는, 상기 내벽삽입테두리 내부에 메쉬가 형성된 제 1여과판이 구성된 여과종방향연결판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mbodiment, the longitudinal connecting plate includes a filtering longitudinal connecting plate having a first filter plate having a mesh formed inside the inner wall inserting frame.
하나의 예로 상기 종방향연결판은 복수의 세트로 구성되어 종방향으로 인접하는 저류셀 및 횡방향으로 인접하는 저류셀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one example, the longitudinal connecting plate is constituted by a plurality of sets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nnects longitudinally adjacent storage cells and laterally adjacent storage cells.
하나의 예로 상기 연결판에는, 상기 유로 중 기둥과 직교하는 방향의 유로에는 원형의 유로에 삽입되는 삽입테두리가 양방향으로 형성되는 횡방향연결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one example, the connecting plate includes a transverse connecting plate in which an inserting frame inserted in a circular flow path is formed in both directions in a flow path orthogonal to the column of the flow path.
하나의 예로 상기 횡방향연결판에는, 상기 삽입테두리 내부에 메쉬가 형성된 제 2여과판이 구성된 여과횡방향연결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one example, the transverse connecting plate includes a filtering transverse connecting plate having a second filtering plate formed with a mesh inside the inserting frame.
하나의 예로 상기 유로 중 기둥과 직교하는 방향의 유로에는 유로의 형상과 대향하는 원통형의 필터가 삽입되며 외측저류공간에는 여재가 충진되어 여재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ne example, a cylindrical filter opposing the shape of the flow path is inserted into the flow path orthogonal to the column of the flow path, and the filter medium is filled in the outer storage space to form the filter material layer.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저류용량을 향상시킨 저류셀 및 이의 연결구조는 한쌍의 유닛에 의해 저류셀이 형성되고, 이러한 저류셀 간 연결판에 의해 적층, 조립됨으로써 시공현장의 크기 및 범위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 가능하고 범용성이 뛰어나 현장시공성과 경제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torage cell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improved storage capacity and the connection structure thereof are constructed such that storage cells are formed by a pair of units, and the storage cells are stacked and assembled by the storage cells between the storage cells. And it is excellent in general workability and economical efficiency.
또한, 각 저류셀에 내측저류공간과 외측저류공간이 형성되어 저류용량을 배가시키면서도 구조적 건전성이 도모되도록 하고, 중량이 경량화되어 운반 및 조립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n inner storage space and an outer storage space are formed in each storage cell, so that structural integrity is improved while the storage capacity is doubled, and weight is lightened, which facilitates transportation and assembly.
또한 저류셀 간 연결에 있어 연결판에 의해 선택적으로 여과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저류는 물론 초기우수 등의 비점오염원을 제거토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lso, in the connection between the storage cells, filtration is selectively performed by the connection plate, thereby being able to remove the nonpoint source such as the initial storm as well as the storag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저류셀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류셀에서 각 연결판이 장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종방향 연결판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저류셀과 연결판의 적용으로 저류셀의 내측저류공간이 여과모듈로 작용되는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저류셀이 여과모듈로 작용되는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storage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ssemble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where each connection plate is mounted in a storage ce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e embodiment of the longitudinal connecting plat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n inner storage space of a storage cell acts as a filtration module by application of a storage cell and a connection plat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in which the storage cell acts as a filtration module;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to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basis that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a term in order to best explain hi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본 발명에 따른 저류용량을 향상시킨 저류셀(이하 “저류셀”이라함)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벽(23)과 내벽(24)으로 구성되어 내측저류공간(21)과 외측저류공간(22)을 구획하되 외벽(23)은 단면이 4각형으로 각각의 측면에 반원형의 개구(25)가 형성되며 내벽(24)은 일단이 원형의 단면을 형성하면서 타단방향으로 곡면이 형성되도록 하여 외벽(23)과 내벽(24)에 의해 하방향으로 직경이 좁아들면서 중공이 형성된 4개의 기둥(26)이 형성되는 한쌍의 유닛(2)의 조립에 의해 원형단면의 유로(27, 28, 29)가 3방향에서 직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s shown in FIG. 1, a storage cell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storage cell") having improved storage capacit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즉 본 발명의 저류셀(1)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2개의 유닛(2)이 각각 기둥(26)이 대향하도록 조립되어 형성되며 외벽(23)과 내벽(24)에 의해 내측저류공간(21)과 외측저류공간(22)이 구획되어 저류셀(1) 전체에 걸쳐 저류가 되도록 함으로써 저류용량을 크게 가져갈 수 있으며 내측저류공간(21)과 외측저류공간(22)에 동시에 저류가 됨으로써 내벽(24)을 기준으로 양측의 횡방향 수압이 상쇄되어 외측저류공간(22)에 의해 내벽(24)의 변형 등이 방지되는 것이다. That is, the
또한 상기 4개의 기둥(26)은 각각 상,하방향 곡면을 형성하는 개구(25)에 의해 연결이 되는데, 이렇게 4개의 기둥(26)이 직경이 좁아들도록 구성되되, 곡면을 형성하면서 상호 연결이 되도록 직경이 좁아들게 형성되어 상재하중에 대해 각각의 기둥(26)이 하중을 완화시켜 전달시키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게 되어 구조적으로 안정된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four
상기 저류셀(1)을 형성하는 한쌍의 유닛(2)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면 외벽(23)과 내벽(24)으로 구성되어 내측저류공간(21)과 외측저류공간(22)을 구획하되 외벽(23)은 단면이 4각형으로 각각의 측면에 반원형의 개구(25)가 형성되며 내벽(24)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단(상부에 위치하는 유닛(2)을 기준으로 설명)이 원형의 단면을 형성하면서 타단방향으로 곡면이 형성되도록 하되 4개의 개구(25)와 연결되도록 하여 외벽(23) 모서리부분과 내벽(24)이 인접하는 개구(25)와 연결되는 부분이 하단부에서 연결되면서 기둥(26)이 형성되는 것이다. The structure of the pair of
이러한 구조에 의해 내측저류공간(21)은 상단에서 원형단면의 내부로 시작하여 하방향으로 넓어지면서 개구(25)을 통해 외부(인접하는 개구)와 연통되도록 하는 것이며 외측저류공간(22)은 상단에서 4각 단면의 외벽(23)과 원형 단면의 내벽(24) 사이에서 시작하여 하방향으로 각각 기둥(26) 내부의 공간을 통해 하단 유닛(2)의 기둥(26)과 연통하도록 하는 것이다. With this structure, the
이러한 구조에 의해 저류셀(1)은 내측저류공간(21)이 3방향의 유로(27, 28, 29)가 되어 저류는 물론 종방향, 횡방향에서 조립된 인접하는 저류셀(1)과 각각 유로(27,28,29)로 연통하여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이에 더하여 외측저류공간(22)에도 저류가 됨은 물론 상,하방향에서 조립된 인접하는 저류셀(1)과 외측저류공간(22)이 연통하도록 하여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With this structure, the
결과적으로 이러한 구조의 저류셀(1)에 의해 자중을 줄여 보관, 운반,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며 수압의 상쇄와 하중을 완화시키는 구조에 의해 구조적 건전성을 도모하고 특히 저류용량을 크게 가져감으로써 이러한 저류셀(1)의 조립에 의해 형성되는 빗물저류조 등의 사이즈를 작게 가져갈 수 있어 공간경제에 있어서도 유리하게 되는 것이다.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by the storage cell (1) of this structure, to facilitate storage, transportation and assembly, to reduce the pressure and to reduce the load, and to improve the structural integrity, The size of the rainwater storage tank or the like formed by assembling the
1 저류셀(1)을 조립하기 위한 한쌍의 유닛(2) 간 결합을 위해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유닛(2)의 기둥(26)에는 중공이 형성된 삽입돌기(261)와 타 유닛(2)의 기둥(26)에 형성된 삽입돌기(261)가 삽입, 체결되는 수용홈(262)이 형성되도록 하여 유닛(2) 간 기둥(26)이 대향하도록 하여 강제끼움방식으로 체결이 되도록 한다. 이때 삽입돌기(261)는 중공이 형성되어 수용홈(262)에 체결시도 상,하 기둥(26) 간에는 연통되는 구조가 유지되어 외측저류공간(22)이 기둥(26)을 매개로 연통하도록 하여야 한다. 1, the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저류셀(1) 간을 연결하면서 용도에 따라 폐면, 개면, 여과면이 형성되도록 하는 각종 연결판으로 구성된 연결구조에 대해서도 제시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2, a connection structure composed of various connection plates for connecting the
우선 도 2에서 상기 유로 중 상기 기둥(26)과 평행한 방향의 유로(27)에는 외벽(23)의 4각 단면이 양방향에서 삽입되는 외벽삽입테두리(31)와 내벽(24)의 원형단면이 양방향에서 삽입되는 내벽삽입테두리(32)가 복수의 지지대(33)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는 종방향연결판(3)이 제시된다. 2, a circular cross section between the outer
이러한 종방향연결판(3)의 구성에 의해 상,하로 인접하는 저류셀(1) 간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내측저류공간(21) 및 외측저류공간(22)의 동시저류에 의해 내벽(24)의 원형단면을 형성하는 상단부(도면상 상부에 위치하는 유닛(2) 기준)를 수압의 상쇄에 의해 잡아주도록 함과 동시에 외벽삽입테두리(31)에 고정된 내벽삽입테두리(32)에 삽입되도록 하여 더욱 견고한 조립구조체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By the configuration of the
여기서 종방향연결판(3)은 도 2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4개 종류가 제시된다. Here, four kinds of longitudinal connecting
우선 도 2에서 하부에 위치하는 유닛(2)의 하면에 체결되는 종방향연결판(3-1)은 상기 내벽삽입테두리(32)의 내부를 개구시키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이러한 종방향연결판(3-1)은 상,하 간 저류셀(1)을 연결시키면서 상,하로 연통되는 구조에 의해 물의 유동이 자유롭게 유동토록 하는 것으로 주로 복수의 저류셀(1)을 이용하여 빗물저류조를 구성하는 경우 내부에 위치하는 저류셀(1) 간의 연결에 사용된다. First, the longitudinal connecting plate 3-1 fasten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그 다음으로 도 2에서 상부에 위치하는 유닛(2)의 상면에 체결되는 종방향연결판(3-2)은 상기 내벽삽입테두리(32) 내부에 메쉬(341)가 형성된 제 1여과판(34)이 구성됨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상기 내벽삽입테두리(32) 내부에 메쉬(341)가 형성된 제 1여과판(34)이 구성된 종방향연결판을 여과종방향연결판(3-2)이라고 정의한다. 2, a longitudinal connection plate 3-2 fasten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도 2에 도시된 여과종방향연결판(3-2)은 복수의 저류셀(1)을 이용하여 빗물저류조를 구성시 최상단의 유닛(2)에 장착이 되도록 하는 것으로 외부로부터 입자가 큰 이물질을 걸러내어 하부로 빗물을 유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The filtration longitudinal direction connecting plate 3-2 shown in FIG. 2 is configured such that when the rainwater storage tank is constructed by using a plurality of
그 다음으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종방향연결판(3-1)이 복수의 세트(3-4)로 구성되어 종방향으로 인접하는 저류셀(1) 및 횡방향으로 인접하는 저류셀(1)을 연결시키도록 하는 예가 제시된다. Next, as shown in FIG. 3, the longitudinal connecting plate 3-1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sets 3-4 so as to vertically adjoin the
도면상 2개의 종방향연결판(3-1)이 연결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3에서는 도 2에 도시된 종방향연결판(3-1)이 2개가 일체로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여과종방향연결판(3-2) 및 이하에서 설명할 여과종방향연결판(3-3)이 일체로 형성된 세트가 될 수 있다. Although two longitudinal connecting plates 3-1 are shown in the figu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In FIG. 3, two longitudinal connecting plates 3-1 shown in FIG. 2 are integrally form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ltration longitudinal connection plate 3-2 and the filtration longitudinal connection plate 3-3 to be described below may be integrally formed.
그 다음으로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내벽삽입테두리(32) 내부에 메쉬(341)가 형성된 제 1여과판(34)이 형성된 여과종방향연결판(3-4)으로 도 2에 도시된 여과종방향연결판(3-2)과 대비 지지대(33) 간 간극이 더 크게 구성되는 점이 다르다. As shown in FIG. 4, the filtration longitudinal connecting plate 3-4 having the
또한 본 발명에서는 횡방향으로 인접하는 저류셀(1) 간의 연결구조로 횡방향연결판(4)이 제시되는 바, 횡방향연결판(4)의 경우도 2가지의 예가 제시된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verse connecting
상기 횡방향연결판(4)은 상기 유로 중 기둥(26)과 직교하는 방향의 유로(28,29)에 체결되는 것으로 원형의 유로(28,29)에 삽입되는 삽입테두리(41)가 양방향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The transverse connecting
첫 번째 횡방향연결판(4-1)은 상기 삽입테두리(41)의 내부가 개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상기 횡방향연결판(4-1)은 횡방향으로 저류셀(1)을 연결시키면서 횡방향으로 연통되는 구조에 의해 물의 유동이 자유롭게 유동토록 하는 것으로 주로 복수의 저류셀(1)을 이용하여 빗물저류조를 구성하는 경우 내부에 위치하는 저류셀(1) 간의 연결에 사용된다.The first transverse connecting plate 4-1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side of the inserting
두 번째가 상기 삽입테두리(41) 내부에 메쉬(421)가 형성된 제 2여과판(42)이 구성된 여과횡방향연결판(4-2)이다. 이러한 여과횡방향연결판(4-2)은 횡방향의 저류셀(1) 간을 연결하면서 입자가 큰 물질이 상기 제 2여과판(42)에 의해 여과가 되면서 저류된 빗물이 유동토록 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And a
상기에서 언급한 종방향연결판(3) 및 횡방향연결판(4)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최외곽에 위치하는 저류셀(1)에 장착되는 구성으로 완전히 폐면을 형성토록 하여 저류된 빗물이 외부로의 유출을 제어토록 하는 예도 제시될 수 있다. The longitudinal connecting
한편 도 4에서는 어느 하나의 저류셀(1)을 여과모듈로 구성하여 저류된 빗물에서 오염물질이 선택된 저류셀(1)에서 여과가 되도록 하여 타 저류셀(1)로 비점이 처리된 상태의 빗물이 저류되도록 하여 빗물저류조 자체에서 비점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예를 제시한다. On the other hand, in FIG. 4, one of the
즉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저류셀(1)에 도면상 상면에는 상기 종방향연결판(3-1)이 장착되도록 하고 하면에는 상기 여과종방향연결판(3-3)이 장착되도록 하면서 측면의 유로(28,29)에는 여과횡방향연결판(4-2)이 장착되도록 하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 4, the longitudinal connection plate 3-1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즉 상기 종방향연결판(3-1)을 통해 내측저류공간(21)으로 유입된 빗물이 저류되면서 종방향으로는 상기 여과종방향연결판(3-3)에 의해 비점이 여과된 빗물이 하방향으로 인접하는 저류셀(1)의 내측저류공간(21)으로 유입되도록 하고 횡방향으로는 상기 여과횡방향연결판(4-2)에 의해 전방향에서 비점이 여과된 빗물이 인접하는 저류셀(1)의 내측저류공간(21, 유로(28,29))으로 유입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선택된 저류셀(1)을 여과모듈로 구성하여 선택된 저류셀(1)을 통과하여 비점이 처리된 빗물이 타 저류셀(1)로 유동 및 저류토록 하여 본 발명의 저류셀(1)을 이용한 빗물저류조 자체가 비점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That is, the rainwater flowing into the
이와 같이 여과모듈로 선택된 저류셀(1)은 주로 최상단에 위치하여 빗물저류조로 빗물이 유입되는 초입에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실시 예는 내측저류공간(21)으로 저류된 빗물만이 비점이 처리되도록 하는 것인데 이는 전체를 여과시키는 경우 유체의 원활한 유동을 제한하여 빗물이 역류 등이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더 많은 양의 빗물이 유동 및 저류되는 내측저류공간(21)만이 여과가 수행되도록 하며 외측저류공간(22)에서는 여과없이 빗물이 유동 및 저류가 되도록 한 것이다. The
또한 도 5에서는 어느 하나의 저류셀(1)을 여과모듈로 구성하여 저류된 빗물에서 오염물질이 선택된 저류셀(1)에서 여과가 되도록 하여 타 저류셀(1)로 비점이 처리된 상태의 빗물이 저류되도록 하여 빗물저류조 자체에서 비점처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다른 예를 제시한다. In FIG. 5, any one
도 5에서 제시하는 실시 예는 상기 유로(27,28,29) 중 기둥과 직교하는 방향의 유로(27)에는 유로의 형상과 대향하는 원통형의 필터(5)가 삽입되며 외측저류공간(22)에는 여재가 충진되어 여재층(6)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5, a cylindrical filter 5 opposed to the shape of the flow path is inserted into a
즉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유로(27)를 관통하도록 필터(5)를 삽입시키며 저류셀(1) 중 상부에 위치하는 유닛(2)에 있어 외측저류공간(22)에는 여재를 충진하여 여재층(6)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That is, as shown in FIG. 5, the filter 5 is inserted so as to pass through the
이 경우 연결구조는 저류셀(1)에 도면상 상면 및 하면에는 상기 종방향연결판(3-1)이 장착되도록 하고 도면상 측면에는 각각 횡방향연결판(4-1)이 장착되도록 하여 본 실시 예에서는 연결구조가 아닌 필터(5)와 여재층(6)에 의해 유입된 빗물이 여과된 후에 필터(5)로부터 여과된 빗물은 타 저류셀(1)의 내측저류공간(21)으로 퍼져나가도록 하고 여재층(6)으로부터 여과된 빗물은 하부의 유닛(2)의 외측저류공간(22)을 통해 타 저류셀(1)의 외측저류공간(22)을 통해 하부로 유동토록 하는 것이다. In this case, the connection structure is such that the longitudinal connecting plate 3-1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longitudinal connecting plate 3-1 on the lower surface of the
본 실시 예의 경우는 도 4의 실시 예와 달리 선택된 저류셀(1)에서 내측저류공간(21) 및 외측저류공간(22) 모두에서 여과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필터(5) 및 여재층(6)이 형성하는 간극은 각각 유체유동저항을 최소화 하는 범위에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In this embodiment, filtration is performed in both the
한편,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저류셀(1)들을 조립하여 형성되는 빗물저류조의 외부에 마감재를 더 처리할 수 있는데, 상기 마감재는 빗물저류조의 외부를 감싸며 빗물저류조에 저장된 빗물이 외부로 침출될 수 있도록 하는 투수형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투수형시트는 부직포 등의 재질을 사용하는데, 폐색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지반분류에 따라 부직포의 입경을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finishing material can be further processed on the outside of the rainwater storage tank formed by assembling the
여기서 폐색현상이란 흙입자가 흙모체로부터 이탈한 후 부직포의 간극내 유체의 흐름에 의해 이동이 이루어지다가 부직포의 간극을 메우게 되는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 이로 인해 부직포의 통수능을 감소시켜 빗물저류조에 저장된 빗물이 지반으로 침출될 수 없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반분류에 따라 부직포의 입경을 조절하여 사용함이 타당하다. Here, the occlusion phenomenon refers to a phenomenon in which the soil particles are separated from the soil matrix and then moved by the flow of the fluid in the gap of the nonwoven fabric, thereby filling up the gap of the nonwoven fabric. This reduces the watertightness of the nonwoven fabric, It is proper to use the nonwoven fabric by controlling the particle size of the nonwoven fabric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the ground in order to prevent it from being leached into the ground.
상기 부직포 등으로 이루어진 투수형시트는 빗물저류조에 저장된 빗물이 지반으로 침출되도록 하는 기능에 더하여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빗물저류조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도 수행하는 것이다.The permeable sheet made of the nonwoven fabric or the like functions not only to allow the rainwater stored in the rainwater storage tank to be leached into the ground but also to prevent the foreign matter from flowing into the rainwater storage vessel from the outside.
한편 상기 마감재는 빗물저류조에 저장된 빗물이 외부로 침출될 수 없도록 하는 차수형시트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차수형시트는 EDPM 재질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빗물저류조에 저장된 빗물의 지반 유출 및 외부이물질이 빗물저류조의 내부로의 유입도 차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차수형시트를 마감재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빗물저류조에 저장된 빗물의 외부유출을 위해 별도의 배수관 등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finishing material may be a car shape sheet which prevents the rainwater stored in the rainwater storage tank from leaking out. The car shape sheet may be made of EDPM material or the like and functions to prevent the infiltration of groundwater of the rainwater stored in the rainwater storage tank and the inflow of foreign matter into the rainwater storage tank. In case of using the car water- It is desirable to provide a separate drain pipe or the like for the external leakage of the rainwater stored in the rainwater storage tank.
상기와 같이 마감재에 따라 투수형시트를 빗물저류조의 외부에 설치하여 빗물이 지반으로 침출될 수 있도록 구성(이하, 침투형이라함.)할 수 있으며, 빗물의 지반으로의 침출을 차단하고, 상기 저장된 빗물을 타 용도로 사용하기 위해서 빗물저류조의 외부를 차수형시트로 감싸서 빗물을 상기 빗물저류조에 저장할 수 있도록 구성(이하, 차수형이라함.)할 수 있는데, 상기 차수형시트는 저장된 빗물이 외부로 유출됨이 없으므로 빗물의 압력 등에 의해 차수형시트가 손상을 입을 수 있으므로 상기 차수형시트의 내, 외부로 보호용으로 투수용시트를 더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침투형과 상기 차수형을 병용하여 구성(이하, 병용형이라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ermeable sheet is installed outside the rainwater storage tank according to the finishing material so that the rainwater can be leached into the ground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infiltration type), and the leaching of the rainwater into the ground is blocked, In order to use the stored rainwater for other purposes, the outside of the rainwater storage tank may be wrapped with a car shape sheet so that rainwater can be stored in the rainwater storage tank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ar shape) It is preferable to further provide a water permeable sheet for protection to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ar shape sheet because the car shape sheet may be damaged by the pressure of rainwater because there is no leakage to the outside. Further, the infiltration type and the differential type can be used togethe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mbination type).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 : 저류셀 2 : 유닛
3 : 종방향연결판 4 : 횡방향연결판1: storage cell 2: unit
3: longitudinal connecting plate 4: transverse connecting plate
Claims (9)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인접하는 저류셀 간을 상호 연결하는 연결판;을 포함하되,
복수의 저류셀이 상하 및 좌우로 결합됨에 있어, 선택된 저류셀의 내측저류공간과 외측저류공간이 모두 여과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선택된 저류셀의 유로 중 상기 기둥과 직교하는 방향의 유로에는 유로의 형상과 대향하는 원통형의 필터가 삽입되며, 선택된 저류셀의 외측저류공간에는 여재가 충진된 여재층을 형성하여 선택된 저류셀에 의해 빗물에 대한 비점처리를 수행한 후 인접한 타 저류셀의 내측저류공간과 외측저류공간으로 각각 여과된 빗물이 전달되도록 하며,
상기 유로 중 기둥과 직교하는 방향의 유로에 삽입되는 삽입테두리가 양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테두리의 내부가 개구되도록 구성되는 횡방향연결판이 상기 선택된 저류셀의 측면에 체결되어 선택된 저류셀의 횡방향으로 타 저류셀을 연결시키면서 횡방향으로 연통되도록 하고,
상기 유로 중 기둥과 평행한 방향의 유로에 외벽의 4각 단면이 양방향에서 삽입되는 외벽삽입테두리와 내벽의 원형단면이 양방향에서 삽입되는 내벽삽입테두리가 복수의 지지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내벽삽입테두리의 내부가 개구되도록 구성되는 종방향연결판 상기 선택된 저류셀의 상,하면에 체결되어 선택된 저류셀의 종방향으로 타 저류셀을 연결시키면서 종방향으로 연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용량을 향상시킨 저류셀의 연결구조.
The outer wall is divided into an inner storage space and an outer storage space. The outer wall has a quadrangular cross-section and a semicircular opening is formed on each side of the outer wall. The inner wall forms a circular cross-section and forms a curved surface in the other unidirectional A storage cell in which a flow path of a circular cross section is orthogonal in three directions by assembling a pair of units in which four pillars having hollows are formed with the outer wall and the inner wall being narrowed in the downward direction; And
And a connecting plate interconnecting longitudinal and transversely adjacent storage cells,
In order to allow both the inner storage space and the outer storage space of the selected storage cell to perform the filtering function when the plurality of storage cells are coupled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Shaped filter is inserted in the outer storage space of the selected storage cell to form a filter material layer filled with the filter material and the non-point treatment is performed on the rainwater by the selected storage cell, and then the inner storage The filtered rainwater is delivered to the space and the outer storage space, respectively,
Wherein a transverse connection plate formed in both directions for insertion into a flow path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column of the flow path and configured to open the inside of the insertion frame is coupled to a side surface of the selected storage cell, The other storage cell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An outer wall insertion rim in which a quadrangular cross section of an outer wall is inserted in both directions and a inner rim insertion rim in which a circular cross section of an inner wall is inserted in both directions are connected by a plurality of supports to a flow path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pillar of the flow path, And a vertical connection plate configured to open the inside of the storage cell. The storage cell is connected to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selected storage cell to connect the other storage cel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lected storage cell, Cell connection structure.
상기 종방향연결판에는, 상기 내벽삽입테두리 내부에 메쉬가 형성된 제 1여과판이 구성된 여과종방향연결판이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용량을 향상시킨 저류셀의 연결구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longitudinal connection plate includes a filtration longitudinal connection plate including a first filter plate having a mesh formed inside the inner wall insertion frame.
상기 종방향연결판은 복수의 세트로 구성되어 종방향으로 인접하는 저류셀 및 횡방향으로 인접하는 저류셀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용량을 향상시킨 저류셀의 연결구조.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longitudinal connection plates are formed of a plurality of sets to connect longitudinally adjacent storage cells and laterally adjacent storage cells to each other.
상기 횡방향연결판에는, 상기 삽입테두리 내부에 메쉬가 형성된 제 2여과판이 구성된 여과횡방향연결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류용량을 향상시킨 저류셀의 연결구조.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transverse connecting plate includes a filtering transverse connecting plate having a second filtering plate having a mesh formed inside the inserting frame.
Priorit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27618A KR101857595B1 (en) | 2015-09-09 | 2015-09-09 | Rain Water Storage Cell Of Improved Capacity And Coupling Structure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 KR1020150127618A KR101857595B1 (en) | 2015-09-09 | 2015-09-09 | Rain Water Storage Cell Of Improved Capacity And Coupling Structure Thereof |
Publications (2)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030270A KR20170030270A (en) | 2017-03-17 |
| KR101857595B1 true KR101857595B1 (en) | 2018-05-14 |
Family
ID=58502251
Family Applications (1)
|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 KR1020150127618A Expired - Fee Related KR101857595B1 (en) | 2015-09-09 | 2015-09-09 | Rain Water Storage Cell Of Improved Capacity And Coupling Structure Thereof |
Country Status (1)
| Country | Link |
|---|---|
| KR (1) | KR10185759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23222174A1 (en) * | 2022-05-19 | 2023-11-23 | Urban Water Retention Aps | A unit for a module system for an underground stormwater retention basin, parts for a module system, an underground stormwater retention basin, a method and a use of a plurality of units for building an underground stormwater retention basin |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09140295A1 (en) * | 2008-05-12 | 2009-11-19 | Cudo Stormwater Products, Inc. | Modular underground water management systems |
Family Cites Families (2)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JPH0627299Y2 (en) | 1988-06-24 | 1994-07-27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Positioning jig |
| KR100485742B1 (en) | 2004-09-02 | 2005-04-27 |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 Water-storage tank |
-
2015
- 2015-09-09 KR KR1020150127618A patent/KR10185759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 WO2009140295A1 (en) * | 2008-05-12 | 2009-11-19 | Cudo Stormwater Products, Inc. | Modular underground water management systems |
Also Published As
|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 KR20170030270A (en) | 2017-03-17 |
Similar Documents
|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 CN1969095B (en) | Infiltration block | |
| US8123436B2 (en) | Underground infiltration tank module | |
| US20140105684A1 (en) | Modular Stormwater Storage System | |
| KR101896264B1 (en) | Pretreatment integrated modular rainwater penetration-storage facility | |
| KR100485742B1 (en) | Water-storage tank | |
| US20070227094A1 (en) | Modular raintank | |
| WO2009140295A1 (en) | Modular underground water management systems | |
| KR101997173B1 (en) | Phased filtration type rainwater storaging system | |
| US11933033B2 (en) | Underground water tanks using modular crates | |
| JP2012057441A (en) | Rainwater storage tank and rainwater storage tank filling structure | |
| KR101857595B1 (en) | Rain Water Storage Cell Of Improved Capacity And Coupling Structure Thereof | |
| JP5832658B2 (en) | Breakwater structure with rubble removed | |
| JP3546263B2 (en) | Stacking members used for underground water storage tanks, etc. | |
| KR101020863B1 (en) |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Reservoir for Precipitation | |
| JP3196951U (en) | Rainwater storage tank and rainwater storage tank connector | |
| JP7021385B1 (en) | Stormwater retention board of rainwater storage and infiltration facility and rainwater storage and infiltration facility | |
| KR101525778B1 (en) | A prefabricated rainwater storage tank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 US10214891B2 (en) | Modular stormwater capture system | |
| JP3477001B2 (en) | Underground water tank | |
| KR20220122344A (en) | Structural improvement type rainwater storage facility | |
| JP2005179919A (en) | Facility for storage and percolation of rainwater and the like | |
| JP3556784B2 (en) | Stacking members used for underground water storage tanks, etc. | |
| JP2012052349A (en) | Rainwater storage tank and filling structure of rainwater storage tank | |
| KR101847553B1 (en) | Assembling Water Storage Tank | |
| KR102687552B1 (en) | Self-assembly water tank structure device |
Legal Events
|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 D13-X000 | Search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3-srh-X000 |
|
| D14-X000 | Search report completed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4-srh-X000 |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AMND | Amendment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St.27 status event code: N-2-6-B10-B15-exm-PE0601 |
|
| T11-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
|
| T13-X000 |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granted |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3-oth-X000 |
|
| AMND | Amendment | ||
| E13-X000 | Pre-grant limit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3-lim-X000 |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 PX0901 | Re-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2-3-E10-E12-rex-PX0901 |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3-4-F10-F13-rex-PX0701 |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22-nap-X000 |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10509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1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