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57615B1 - Suction Bottle - Google Patents

Suction Bott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7615B1
KR101857615B1 KR1020167008967A KR20167008967A KR101857615B1 KR 101857615 B1 KR101857615 B1 KR 101857615B1 KR 1020167008967 A KR1020167008967 A KR 1020167008967A KR 20167008967 A KR20167008967 A KR 20167008967A KR 101857615 B1 KR101857615 B1 KR 101857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tube
suction tube
lid
container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89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53975A (en
Inventor
쥰 마스다
요시하루 타카쿠라
카즈야 타나카
아야 하나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센트럴유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센트럴유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센트럴유니
Publication of KR20160053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39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7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7615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60Containers for suction drainage, adapted to be used with an external suction source
    • A61M1/604Bag or liner in a rigid container, with suction applied to both
    • A61M1/0001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019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69Drainage containers not being adapted for subjection to vacuum, e.g. ba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8Draining devices having means for processing the drained fluid, e.g. an absorb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2/00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 A61M2202/0014Special media to be introduced, removed or treated removed from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보관 장소를 작게 할 수 있고, 리유저블형과 디스포저블형의 교환 작업을 생력화할 수 있는 흡인보틀을 제공한다. 용기본체와, 용기본체에 탈착 가능한 뚜껑체와, 뚜껑체에 관통 형성되어 용기본체 내부의 에어를 흡인하는 에어흡인튜브가 접속되는 에어흡인구를 구비하고, 뚜껑체로서, 폐기물 흡인튜브를 접속하는 폐기물 흡인구, 및 에어흡인구가 관통 형성된 액상 폐기물을 용기본체 내에 직접 수용할 때에 사용되는 리유저블형의 뚜껑체와,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가 설치된 기밀한 봉투형상의 폐기물 수용백이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가 삽입 통과하는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 삽입통과부가 형성되고, 또한 에어흡인구가 관통 형성된 액상 폐기물을 폐기물 수용백 내에 수용할 때에 사용되는 디스포저블형의 뚜껑체와의 교환이 가능한 2종의 뚜껑체를 구비하며, 각 뚜껑체는, 용기본체에 고정이 가능한 공통의 고정구조를 구비하였다.A storage space can be reduced, and a suction bottle capable of replacing a reusable type and a disposable type can be provided. An air suction port is connected to a container body, a lid removably attached to the container body, and an air suction tube penetrating the lid body and sucking air inside the container body. The lid body is connected to a waste suction tube A waste suction port, and a reusable-type lid used when the liquid waste formed through the air suction port is directly received in the container main body; and an airtight envelope-shaped waste receiving bag provided with a waste suction tube connecting end is detachably formed And a waste suction tube connection end insertion portion through which the waste suction tube connection end is inserted is formed and a disposable lid for use in receiving the liquid waste through which the air suction port penetrates is accommodated in the waste reception bag The lid body is provided with a common fixing member which can be fixed to the container body It was provided with a tank.

Description

흡인보틀{Suction Bottle}Suction Bottle

본 발명은 의료용 흡인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되는 흡인된 가래 등의 액상 폐기물을 포획하여 저장하기 위한 흡인보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piration bottle for capturing and storing liquid waste such as aspirated sputum used in a medical suction system.

의료 현장에 있어서는, 환자의 가래가 쌓인 경우 등에 그것을 흡인 제거하기 위한 흡인 시스템이 구비되어져 있다. 흡인 시스템에 있어서는, 진공펌프 등에 의하여 부압으로 유지된 부압관의 말단에 레귤레이터가 구비되어져 있고, 레귤레이터는, 병상의 머리맡 부근의 벽에 배치된다. 그리고, 이 레귤레이터(흡인 압력 조정기)에 흡인튜브를 접속하여, 흡인튜브의 선단으로부터 가래 등의 액상 폐기물을 흡인한다. 흡인튜브의 도중에는, 흡인보틀이 배치되어, 흡인튜브에 흡인된 액상 폐기물은 이 흡인보틀로 포획되어 저장된다.In a medical field, a suction system for sucking and removing the patient's sputum is provided. In the suction system, a regulator is provided at the end of a negative pressure tube maintained at a negative pressure by a vacuum pump or the like, and the regulator is disposed on the wall near the bedside of the bed. Then, a suction tube is connected to the regulator (suction pressure regulator), and liquid waste such as sputum is sucked from the tip of the suction tube. In the middle of the suction tube, a suction bottle is disposed, and the liquid waste sucked into the suction tube is captured and stored by the suction bottle.

종래의 흡인보틀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8, 비특허문헌 1~4에 기재된 것이 공지이다. 이들 종래의 흡인보틀은, 크게 나누면, 흡인보틀의 원통 형상 용기 내에 직접 액상 폐기물을 저장하는 리유저블형(특허문헌 1~4, 비특허문헌 1~2)과, 흡인보틀의 원통 형상 용기 내에 1회용 백(이하, '폐기물 수용백')을 수용하고, 폐기물 수용백 내에 액상 폐기물을 저장하는 디스포저블형(특허문헌 5~8, 비특허문헌 3~4)으로 분류된다.As the conventional suction bottle, for example, those described in Patent Documents 1 to 8 and Non-Patent Documents 1 to 4 are known. These prior art suction bottles are roughly divided into a reusable type (Patent Documents 1 to 4, Non-Patent Documents 1 and 2) for storing liquid waste directly in the cylindrical container of the suction bottle, Disposable types (Patent Documents 5 to 8, Non-Patent Documents 3 to 4) that accommodate recycling bags (hereinafter referred to as 'waste receiving bags') and store the liquid waste in the waste receiving bags are classified.

리유저블형(특허문헌 1~4, 비특허문헌 1~2)은, 하단이 막혀 있는 원통형의 저장용기의 상부개구단에, 에어흡기포트 및 폐기물 흡인포트를 구비한 뚜껑체가 기밀하게 끼워져 있고, 에어흡인포트는 레귤레이터에 에어튜브로 접속되며, 폐기물 흡인포트에는 폐기물 흡인튜브가 접속된다. 폐기물 흡인포트의 저장용기 내측출구에는, 플로트 밸브가 구비되어져 있고, 저장용기 내에 일정량의 액상 폐기물이 쌓이면, 그 이상 흡인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저장용기 내에 액상 폐기물이 쌓이면, 뚜껑체를 떼어내서 저장용기 내의 액상 폐기물을 버리고 내부를 세정한 후, 다시 뚜껑체를 부착하여 재사용한다.Patent Literatures 1 to 4 and Non-Patent Literatures 1 and 2) discloses a recuperable type (Patent Documents 1 to 4 and Non-Patent Documents 1 and 2) in which a lid having an air intake port and a waste suction port is airtightly fitted in an upper opening end of a cylindrical storage container, The air suction port is connected to the regulator with an air tube, and a waste suction tube is connected to the waste suction port. A float valve is provided at the inner side outlet of the storage container of the waste suction port so that when a certain amount of liquid waste is accumulated in the storage container, it can not be sucked any more. When the liquid waste is accumulated in the storage container, the cover is removed, the liquid waste in the storage container is discarded, the inside is washed, and then the cover is reused by reusing it.

한편, 디스포저블형(특허문헌 5~8, 비특허문헌 3~4)은, 바닥이 있는 통형상의 진공용기 내에, 폐기물 흡인포트와 에어배출밸브를 구비한 폐기물 수용백을 수용하고, 폐기물 흡인포트 선단의 관이음매(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 부분이 진공용기 밖으로 나오도록 하여, 진공용기의 상부개구단에, 에어흡인포트를 구비한 뚜껑체가 기밀하게 끼워진다. 이때, 폐기물 수용백의 에어배출밸브는, 진공용기 내에 연통하도록 설치된다. 에어흡인포트는 레귤레이터에 에어튜브로 접속되며, 폐기물 흡인포트에는 폐기물 흡인튜브가 접속된다. 에어튜브로부터 진공용기 내의 공기를 진공흡인하면, 진공용기 내가 부압이 되어, 에어배출밸브를 통하여 폐기물 용기백 내의 공기가 배출된다. 이에 따라, 폐기물 흡인튜브의 선단으로부터 액상 폐기물이 흡인되어 폐기물 수용백 내에 저장된다. 폐기물 수용백 내가 액상 폐기물로 가득차면, 폐기물 수용백을 새로운 것으로 교환하고, 사용이 끝난 폐기물 수용백은 그대로 폐기한다.Disposable types (Patent Documents 5 to 8 and Non-Patent Documents 3 to 4), on the other hand, accommodate a waste receiving bag having a waste suction port and an air discharge valve in a bottomed cylindrical vacuum container, The lid having the air suction port is airtightly fitted in the upper opening end of the vacuum container so that the pipe joint at the tip of the port (waste suction tube connecting end) portion is out of the vacuum container. At this time, the air discharge valve of the waste receiving bag is installed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vacuum container. The air suction port is connected to the regulator with an air tube, and a waste suction tube is connected to the waste suction port. When the air in the vacuum container is evacuated from the air tube, the vacuum container becomes negative pressure, and air in the waste container bag is discharged through the air discharge valve. Thus, the liquid waste is sucked from the tip of the waste suction tube and stored in the waste receiving bag. When the waste acceptance bag is filled with liquid waste, replace the waste acceptance bag with a new one, and dispose of the used waste acceptance bag as it is.

특허문헌 1: 일본공개특허공보 소57-86357호Patent Document 1: JP-A-57-86357 특허문헌 2: 일본공개특허공보 소58-1458호Patent Document 2: JP-A-58-1458 특허문헌 3: 일본공개특허공보 2011-147477호Patent Document 3: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1-147477 특허문헌 4: 일본실용신안등록공보 제3067905호 명세서Patent Document 4: Japanese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3067905 Specification 특허문헌 5: 국제공개공보 WO2004/110522호 팸플릿Patent Document 5: International Publication No. WO2004 / 110522 pamphlet 특허문헌 6: 일본공개특허공보 평8-112344호Patent Document 6: JP-A-8-112344 특허문헌 7: 일본공개특허공보 소58-109061호Patent Document 7: JP-A-58-109061 특허문헌 8: 일본의장등록공보 제1212706호Patent Document 8: Japanese Patent Registration No. 1212706

비특허문헌 1: '벽걸이식 흡인기 FA형'(JMDM코드: 36778000), [online], 2009년 8월 1일, 독립행정법인 의약품 의료기기 종합기구, 의약품 의료기기 정보제공 HP, [2014년 5월 1일 검색], 인터넷, <URL:http://www.info.pmda.go.jp/ygo/pack/40B2X00001000010_A_01_06/>Non-patent document 1: 'Wall type aspirator FA type' (JMDM code: 36778000), [online], August 1, 2009, Month 1], Internet, <URL: http: //www.info.pmda.go.jp/ygo/pack/40B2X00001000010_A_01_06/> 비특허문헌 2: 주식회사 AMC, '감압기 부착 흡인기(AV-5)', [online], [2014년 3월 10일 검색], 인터넷, <URL:http://www.amc-svc.jp/product/product23.html>Non-Patent Document 2: AMC Co., Ltd., 'AV-5 with Decompressor', [online], [Search March 10, 2014], Internet, <URL: http://www.amc-svc.jp /product/product23.html> 비특허문헌 3: 에어·워터 방재 주식회사, '디스포저블 벽걸이식 흡인기'(일본의료기기 신고번호: 27B1X00056014002), [online], [2014년 3월 10일 검색], 인터넷, <URL:http://www.awb.co.jp/medical/machine/index.html>Non-Patent Document 3: Air Water Disaster Corporation, Disposable Wall-Type Aspirator (Japan Medical Device Report Number: 27B1X00056014002), [online], [Search March 10, 2014] //www.awb.co.jp/medical/machine/index.html> 비특허문헌 4: 다이켄이키 주식회사, '쿠데크큐인폿'(JMDN코드: 36778000)[online], 2011년 12월 19일, 독립행정법인 의약품 의료기기 종합기구, 의약품 의료기기 정보제공 HP, [2014년 5월 1일 검색], 인터넷, <URL:http://www.daiken-iki.co.jp/iryo/trs/20130306_KYUIN.pdf>Non-Patent Document 4: Daiken Kiku Co., Ltd., "Kudecq Inpot" (JMDN Code: 36778000) [online], December 19, 2011, [May 1, 2014 search], Internet, <URL: http://www.daiken-iki.co.jp/iryo/trs/20130306_KYUIN.pdf>

상기 종래의 흡인보틀은, 리유저블형과 디스포저블형이 각각의 제품으로서 제조되어 제공되어 왔다. 그 때문에, 의료 현장에 있어서, 환자에 따라서 리유저블형과 디스포저블형을 구분해서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리유저블형과 디스포저블형의 양쪽의 흡인보틀을, 필요하게 될 가능성이 있는 수만큼 구입하여 비축해 둘 필요가 있어, 보관에 필요한 장소가 커져 불편하였다.The conventional suction bottle has been manufactured as a product of both a removable type and a disposable type. Therefore, in a medical field, when it is necessary to separately use the removable and the disposable type depending on the patient, it is necessary to use both the resorbable type and the disposable type suction bottle as many as may be necessary It is necessary to purchase and store it, and it is inconvenient that the place necessary for storage becomes large.

또한, 리유저블형에서 디스포저블형으로 전환하는 경우, 또는 그 반대의 경우에는, 흡인보틀 전체를 교환할 필요가 있으므로, 교환작업에 수고가 들어 불편하였다.Further, when switching from the reusable type to the disposable type, or vice versa, it is necessary to replace the entire suction bottle, which is troublesome for replacement work.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보다 보관에 필요한 장소를 작게 할 수 있고, 또한 종래와 비교하여 리유저블형에서 디스포저블형으로의 교환 및 그 반대의 교환에 필요한 작업과 비용을 삭감할 수 있는 흡인보틀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which can reduce the number of places required for storage and can reduce the work and cost required for replacement from a removable type to a disposable type and vice versa, And to provide an aspiration bottle.

본 발명에 따른 흡인보틀의 제1 구성은, 상단부가 개구된 바닥이 있는 통형상으로 형성된 액상 폐기물을 수용하는 용기본체와,The first structure of the suction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ntainer body for accommodating a liquid waste formed in a bottomed cylindrical shape having an opened upper end,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부 개구를 밀폐하는 것이 가능한 뚜껑체와,A lid detachably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and capable of sealing the upper end opening of the container body;

상기 뚜껑체에 관통 형성되어 있고, 용기본체 내부의 에어를 흡인하는 에어흡인튜브가 접속되는 에어흡인구를 구비한 액상 폐기물을 흡인하여 수용하기 위한 의료용 흡인보틀로서,A suction port for sucking and storing liquid waste having an air suction port connected to an air suction tube for sucking air inside the container body,

상기 뚜껑체로서,As the cover,

폐기물 흡인튜브를 접속하는 폐기물 흡인구, 및 상기 에어흡인구가 관통 형성된 액상 폐기물을 상기 용기본체 내에 직접 수용할 때에 사용되는 리유저블형 뚜껑체와,A waste suction port for connecting the waste suction tube to the waste suction port, and a removable lid used when the liquid waste formed through the air suction port is directly received in the container main body,

폐기물 흡인구를 가지는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가 설치된 기밀한 봉투형상의 폐기물 수용백이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가 삽입 통과하는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 삽입통과부가 형성되며, 또한 상기 에어흡인구가 관통 형성된 액상 폐기물을 상기 페기물 수용백 내에 수용할 때에 사용되는 디스포저블형 뚜껑체와의 교환이 가능한 2종의 뚜껑체를 구비하고,An airtight envelope-shaped waste receptacle having a waste suction tube connection end having a waste suction port is detachably formed, a waste suction tube connection end insertion portion through which the waste suction tube connection end is inserted is formed, And two types of lids that can be exchanged with a disposable lid used when the liquid waste discharged from the air suction port is received in the waste receiving bag,

상기 각 뚜껑체는, 상기 용기본체에 고정이 가능한 공통의 고정구조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each of the lids has a common fixing structure which can be fixed to the container body.

이 구성에 따르면, 리유저블형과 디스유저블형으로 용기본체는 공통화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본체에 리유저블형 뚜껑체를 장착한 경우에는, 리유저블형 흡인보틀로서 사용할 수 있고, 한편, 용기본체에 디스포저블형 뚜껑체를 장착한 경우에는, 디스포저블형 흡인보틀로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리유저블형과 디스포저블형의 양쪽의 뚜껑체만을 필요해질 가능성이 있는 수만큼 구입·비축하고, 용기본체는 그 절반만큼 구입·비축해 두면 된다. 흡인보틀에 있어서, 용기본체가 가장 부피가 커서 보관 장소의 대부분을 차지하므로, 용기본체의 비축수를 절반으로 할 수 있음으로써, 전체의 보관 장소의 용적을 대폭 삭감할 수 있게 된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since the container main body is made common with the reusable type and the disposable type, when the reusable type lid is attached to the container main body, it can be used as a reusable type suction bottle. On the other hand, When a disposable lid is attached, it can be used as a disposable suction bottle. Therefore, it is only necessary to purchase and store as many lids as possible, which are both reusable and disposable, and to purchase and store as many as half of the container body. In the suction bottle, since the container body is the largest in its volume, it occupies most of the storage place, so that the storage capacity of the container body can be reduced to half, so that the volume of the entire storage place can be greatly reduced.

또한, 리유저블형과 디스포저블형으로 용기본체는 공통화되어 있으므로, 디스포저블형으로의 교환 및 그 반대의 교환을 하는 경우에는, 뚜껑체만 교환하면 되어, 교환에 필요한 작업을 줄일 수 있다.Further, since the container main body is made common with the reusable type and the disposable type, when replacing into the disposable type and vice versa, only the cover can be exchanged, and the work required for replacement can be reduced.

본 발명에 따른 흡인보틀의 제2 구성은, 상기 제1 구성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조는, 상기 뚜껑체가 상기 용기본체에 대하여 특정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만 끼워맞춤 고정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second structure of the suction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first structure, the fixing structure is formed in such a shape that the lid body is fitted and fixed only in a state in which the lid body is oriented in a specific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body do.

이 구성에 의하여, 용기본체에 뚜껑체를 장착할 때에, 잘못해서 반대 방향으로 장착하는 등의 작업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operation error such as mistakenly mounting the lid in the opposite direction when mounting the lid on the container body.

본 발명에 따른 흡인보틀의 제3 구성은, 상기 제1 또는 제2 구성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된 가요성의 페기물 흡인튜브와,The third aspect of the suction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vacuum cleaner according to the first or second aspect, further comprising: a flexible waste collection tu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waste suction tube connection end;

상기 폐기물 흡인튜브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폐기물 흡인튜브를 협지(挾持)하는 굴곡진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 협지 부분이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튜브 클립을 구비하고,And a tube clip detachably attached to the waste suction tube, the tube clip being formed by bonding first and second holding portions made of a curved elastic member for holding the waste suction tube,

리유저블형 뚜껑체는,The reusable-

상기 용기본체에 끼워맞춤 고정되는 관장착부와,A tube mounting portion which is fitted and fixed to the container main body,

상기 천판에 개구된 장착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폐기물 흡인구 및 상기 에어흡인구가 관통 형성된 리유저블 어댑터와,A reusable adapter detachably installed on a mounting portion opened on the top plate and having the waste suction port and the air suction port penetrated;

상기 리유저블 어댑터의 이면에 돌출 설치된 리유저블 어댑터 벽걸이용 후크부재와,A re-usable adapter wall-hanging hook member protruding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re-usable adapter,

상기 리유저블 어댑터의 표면에 돌출 설치된 튜브 감아걸기용 후크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tube-hooking hook member projecting from the surface of the reusable adapter.

이 구성에 따르면, 리유저블형의 흡인보틀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용기본체 내의 액상 폐기물을 버리고 내부를 세정하는 작업을 행할 때, 폐기물 흡인튜브를 리유저블형의 뚜껑체의 폐기물 흡인구로부터 떼어낼 필요가 있는데, 폐기물 흡인구로부터 떼어낸 폐기물 흡인튜브의 단부를 튜브 클립에 의하여 폐기물 흡인튜브의 다른 부분에 고정하고, 느슨하게 감긴 상태로 벽의 후크 등에 걸어 둘 수 있다. 이때, 폐기물 흡인튜브의 끝단이 상향이 되도록 튜브 클립에 의하여 고정해 두면, 폐기물 흡인튜브의 끝단으로부터 액상 폐기물이 바닥에 흘러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waste liquid is used as a suctionable bottle of a reusable type, when the liquid waste in the container body is discarded and the interior is cleaned, the waste suction tube is detached from the waste suction port of the reusable- The end of the waste suction tube removed from the waste suction port can be fixed to another part of the waste suction tube by a tube clip and hooked to a wall hook or the like in a loosely wound state. At this time, if the end of the waste suction tube is fixed by a tube clip so as to be upward, liquid waste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down from the end of the waste suction tube to the floor.

여기에서, '튜브 클립'은, 제1 협지부분 및 제2 협지부분이 개방부를 서로 역방향으로 하여 뒤가 맞닿게 접합된 것, 제1 협지부분 및 제2 협지부분이 개방부를 서로 같은 방향으로 하여 나란히 접합된 것 등을 사용할 수 있다.Here, the 'tube clip' is a tube clip in which the first holding part and the second holding part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with the open part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and the first holding part and the second holding part are arranged side by side with each other in the same direction Bonded or the like may be used.

본 발명에 따른 흡인보틀의 제4 구성은, 상기 제1 또는 제2 구성에 있어서, 상기 디스포저블형의 뚜껑체의 측면에, 상기 페기물 흡인튜브를 수직 방향으로 고정해 두는 튜브 클립을 적어도 2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 fourth configuration of the suction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irst or second configuration, at least two tube clips holding the waste-matter suction tube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disposable- And the like.

이 구성에 따르면, 디스포저블형의 흡인보틀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용기본체 내의 폐기물 수용백을 교환하는 작업을 할 때, 폐기물 흡인튜브를 폐기물 수용백의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로부터 떼어낼 필요가 있는데,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로부터 떼어낸 폐기물 흡인튜브의 단부를 한쪽 튜브 클립에 의하여 디스포저블형의 뚜껑체의 측면에 고정하고, 또 다른 한쪽 폐기물 흡인튜브의 단부를 다른쪽 튜브 클립에 의하여 디스포저블형의 뚜껑체의 측면에 고정하여 작업을 할 수 있다. 이때, 폐기물 흡인튜브의 끝단이 상향이 되도록 튜브 클립에 의하여 고정해 두면, 폐기물 흡인튜브의 끝단으로부터 액상 폐기물이 바닥에 흘러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when the waste suction bag is used as a disposable suction bottle,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waste suction tube from the waste suction tube connecting end of the waste receiving bag when replacing the waste receiving bag in the container body , The end of the waste suction tube detached from the waste suction tube connection end is fixed to the side of the disposable lid body by one tube clip and the end of the other waste suction tube is disposable by the other tube clip So that it can be fix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lid of the lid body. At this time, if the end of the waste suction tube is fixed by a tube clip so as to be upward, liquid waste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down from the end of the waste suction tube to the floor.

본 발명에 따른 흡인보틀의 제5 구성은, 상기 제1 내지 제4 중 어느 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의 배면에 돌출 설치된 용기 벽걸이용 후크부재를 구비하고, The fifth aspect of the suction bott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any one of the first to fourth aspects, the suction bottle is provided with a container wall hook member protruding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container body,

상기 용기본체는, 상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간부에서 하부에 걸쳐서는, 좌우 측면이 평면 형상 및 전후 측면이 원호면 형상의 양쪽 활꼴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ainer body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t its upper portion and has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in a plane shape and front and rear side surfaces in a shape of an arc-shaped both arc-shaped.

이 구성에 따르면, 흡인보틀의 용기본체를 벽에서 떼어내거나 운반하거나 할 때에 잡기 쉬워, 작업 중에 떨어뜨리는 사고를 억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t is easy to hold the container body of the suction bottle when the container body is taken off from the wall or carried, and it is possible to suppress an accident that falls during operation.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리유저블형과 디스포저블형으로 용기본체는 공통화함으로써, 리유저블형과 디스포저블형의 양쪽의 뚜껑체만을 필요해질 가능성이 있는 수만큼 구입·비축하고, 용기본체는 그 절반만큼 구입·비축해 두면 좋다. 흡인보틀에 있어서, 용기본체가 가장 부피가 커서 보관 장소의 대부분을 차지하므로, 용기본체의 비축수를 절반으로 할 수 있음으로써, 전체의 보관 장소의 용적을 대폭 삭감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main body is made common with the reusable type and the disposable type so that only the lid of both the reusable type and the disposable type can be purchased and stored, You can buy and store as much as half of it. In the suction bottle, since the container body is the largest in its volume, it occupies most of the storage place, so that the storage capacity of the container body can be reduced to half, so that the volume of the entire storage place can be greatly reduced.

또한, 뚜껑체를 용기본체에 고정하는 고정구조를, 뚜껑체가 용기본체에 대하여 특정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만 끼워맞춤 고정되는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용기본체에 뚜껑체를 장착할 때에, 잘못해서 반대방향으로 장착하는 등의 작업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Further, the fixing structure for fixing the lid body to the container body is formed in such a shape that the lid body is fitted and fixed only in a state in which the lid body is oriented in a specific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body, It is possible to prevent a work error such as mounting.

그리고, 상술한 튜브 클립을 설치함으로써, 용기본체 내의 폐기물을 버리고 세정하는 작업이나, 폐기물 수용백을 교환하는 작업 시에, 폐기물 흡인튜브의 끝단을 튜브 클립으로 고정하여, 폐기물 흡인튜브의 끝단으로부터 액상 폐기물이 바닥에 흘러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By installing the above-mentioned tube clip, the end of the waste suction tube is fixed with a tube clip in an operation of discarding and cleaning the waste in the container main body or the operation of replacing the waste receiving bag, Waste can be prevented from falling on the floor.

도 1은 디스포저블형의 뚜껑체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흡인보틀의 외관사시도이고, 도 1의 (a)는 배면측, 도 1의 (b)는 정면측의 외관사시도이다.
도 2의 (a)는 도 1의 흡인보틀의 정면도, 도 2의 (b)는 그 배면도이다.
도 3의 (a)는 도 1의 흡인보틀의 좌측면도, 도 3의 (b)는 그 우측면도이다.
도 4의 (a)는 도 1의 흡인보틀의 평면도, 도 4의 (b)는 그 바닥면도이다.
도 5는 리유저블형의 뚜껑체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흡인보틀의 외관사시도이고, 도 5의 (a)는 배면측, 도 5의 (b)는 정면측의 외관사시도이다.
도 6의 (a)는 도 5의 흡인보틀의 정면도, 도 6의 (b)는 그 배면도이다.
도 7의 (a)는 도 5의 흡인보틀의 좌측면도, 도 7의 (b)는 그 우측면도이다.
도 8의 (a)는 도 5의 흡인보틀의 평면도, 도 8의 (b)는 그 바닥면도이다.
도 9는 용기본체(2) 단체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의 (a)는 배면측 사시도, 도 9의 (b)는 정면측 사시도, 도 9의 (c)는 평면도이다.
도 10의 (a)는 도 1의 디스포저블형의 뚜껑체(3a)의 사시도이고, 도 10의 (b)는 그 바닥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디스포저블형의 뚜껑체(3a)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2는 폐기물 수용백(30)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폐기물 수용백(30)의 백포트부(31)를 뚜껑체(3a)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폐기물 수용백(30)을 뚜껑체(3a)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의 (a)는 도 5의 뚜껑체(3b)의 배면측 사시도, 도 15의 (b)는 그 정면측 사시도, 도 15의 (c)는 그 바닥면 사시도이다.
도 16의 (a)는 도 5의 뚜껑체(3b)의 분해사시도, 도 16의 (b)는 리유저블 어댑터(41)의 바닥면 사시도이다.
도 17은 용기본체(2)에 디스포저블형의 뚜껑체(3a)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에어흡인튜브 및 폐기물 흡인튜브를 접속한 상태의 흡인보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의 (a)는 전체도, 도 17의 (b)는 용기본체(2) 부근의 확대도이다.
도 18은 용기본체(2)에 리유저블형의 뚜껑체(3b)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에어흡인튜브 및 폐기물 흡인튜브를 접속한 상태의 흡인보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8의 (a)는 전체도, 도 18의 (b)는 용기본체(2) 부근의 확대도이다.
도 19는 리유저블 어댑터(41)의 튜브 감아걸기용 후크부재(41e) 및 벽걸이용 후크부재(41f)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19의 (a)는 벽면에 설치된 벽측 슬라이드 걸이구(70), 도 19의 (b)는 벽측 슬라이드 걸이구(70)에 용기본체(2)의 슬라이드 걸이구(4)를 끼워맞춘 상태, 도 19의 (c)는 벽측 슬라이드 걸이구(70)에 리유저블 어댑터(41)의 벽걸이용 후크부재(41f)를 끼워맞춘 상태, 도 19의 (d)는 벽면에 고정한 리유저블 어댑터(41)에 폐기물 흡인튜브(61)를 감아 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suction bott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a disposable lid is mounted. Fig. 1 (a) is a back side, Fig. 1 Fig.
Fig. 2 (a) is a front view of the suction bottle of Fig. 1, and Fig. 2 (b) is a rear view thereof.
Fig. 3 (a) is a left side view of the suction bottle of Fig. 1, and Fig. 3 (b) is a right side view thereof.
Fig. 4 (a) is a plan view of the suction bottle of Fig. 1, and Fig. 4 (b) is a bottom view thereof.
Fig. 5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suction bott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a lid of a reusable type is mounted, Fig. 5 (a) Fig.
Fig. 6 (a) is a front view of the suction bottle of Fig. 5, and Fig. 6 (b) is a rear view thereof.
Fig. 7 (a) is a left side view of the suction bottle of Fig. 5, and Fig. 7 (b) is a right side view thereof.
Fig. 8 (a) is a plan view of the suction bottle of Fig. 5, and Fig. 8 (b) is a bottom view of the suction bottle.
9 (a) is a rear perspective view, Fig. 9 (b) is a front perspective view, and Fig. 9 (c) is a plan view.
Fig. 10 (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sposable lid 3a of Fig. 1, and Fig. 10 (b) is a bottom view thereof.
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isposable lid 3a of Fig. 1;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aste receiving bag 30.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ste receptacle bag 30 in a state in which the bag port portion 31 is attached to the lid body 3a.
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ste receiving bag 30 is attached to the lid body 3a.
Fig. 15 (a)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lid 3b of Fig. 5, Fig. 15 (b) is a front perspective view thereof, and Fig. 15 (c)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thereof.
Fig. 16 (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id 3b of Fig. 5, and Fig. 16 (b)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reusable adapter 41. Fig.
17 is a view showing a suction bottle in a state in which an air suction tube and a waste suction tube are connected in a state in which a lid body 3a of a disposable type is mounted on a container body 2. Fig. Fig. 17 (a) is an overall view, and Fig. 17 (b) is an enlarged view of the vicinity of the container main body 2. Fig.
18 is a view showing a suction bottle in a state where an air suction tube and a waste suction tube are connected in a state where a lid 3b of a reusable type is attached to the container main body 2. Fig. 18 (b) is an enlarged view of the vicinity of the container main body 2. Fig.
19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using the hooking member 41e and the wall-hanging hook member 41f of the reusable adapter 41 for tube wrapping. FIG. 19 (a) 19 (b) is a state in which the slide hook 4 of the container body 2 is fitted to the slide hook 70 on the side of the wall, FIG. 19 (c) 19 (d) shows a state in which the waste suction tube 61 is wound around the reusable adapter 41 fixed to the wall surface, and a state Fig.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for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실시예 1)(Example 1)

도 1은 디스포저블형의 뚜껑체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흡인보틀의 외관사시도이다. 도 1의 (a)는 배면측, 도 1의 (b)는 정면측이다. 도 2는 도 1의 흡인보틀의 (a)는 정면도, 도 2의 (b)는 배면도이다. 도 3의 (a)는 도 1의 흡인보틀의 좌측면도, 도 3의 (b)는 우측면도이다. 도 4의 (a)는 도 1의 흡인보틀의 평면도, 도 4의 (b)는 바닥면도이다.1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a suction bott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a lid of a disposable type is mounted. Fig. 1 (a) is a back side, and Fig. 1 (b) is a front side. Fig. 2 is a front view of the suction bottle of Fig. 1, and Fig. 2 (b) is a rear view of the suction bottle of Fig. Fig. 3 (a) is a left side view of the suction bottle of Fig. 1, and Fig. 3 (b) is a right side view. Fig. 4 (a) is a plan view of the suction bottle of Fig. 1, and Fig. 4 (b) is a bottom view.

도 5는 리유저블형의 뚜껑체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흡인보틀의 외관사시도이다. 도 5의 (a)는 배면측, 도 5의 (b)는 정면측이다. 도 6의 (a)는 도 5의 흡인보틀의 정면도, 도 6의 (b)은 그 배면도이다. 도 7의 (a)는 도 5의 흡인보틀의 좌측면도, 도 7의 (b)는 그 우측면도이다. 도 8의 (a)는 도 5의 흡인보틀의 평면도, 도 8의 (b)는 그 바닥면도이다.Fig. 5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suction bott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state in which a lid of a reusable type is mounted. Fig. 5 (a) is a back side, and Fig. 5 (b) is a front side. Fig. 6 (a) is a front view of the suction bottle of Fig. 5, and Fig. 6 (b) is a rear view thereof. Fig. 7 (a) is a left side view of the suction bottle of Fig. 5, and Fig. 7 (b) is a right side view thereof. Fig. 8 (a) is a plan view of the suction bottle of Fig. 5, and Fig. 8 (b) is a bottom view of the suction bottle.

도 1 내지 도 8에 있어서, 실시예 1의 흡인보틀(1)은, 상단부가 개구된 바닥이 있는 통형상으로 형성된 용기본체(2)와, 용기본체(2)의 상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용기본체(2)의 상단부 개구를 밀폐하는 것이 가능한 뚜껑체(3a, 3b)를 구비하고 있다. 뚜껑체(3a)(도 1 내지 도 4를 참조)가 디스포저블형의 뚜껑체, 뚜껑체(3b)(도 5 내지 도 8을 참조)가 리유저블형의 뚜껑체이고, 양자는 용기본체에 고정이 가능한 공통의 고정구조(후술)를 구비하고 있으며, 용기본체(2)에 대하여 양자를 자유롭게 교환할 수 있다.1 to 8, the suction bottle 1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container body 2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 bottom opened at an upper end thereof, and a container body 2 detachably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2 And lids (3a, 3b) capable of sealing the upper end opening of the container body (2). The lid body 3a (see Figs. 1 to 4) is a disposable lid body, the lid body 3b (see Figs. 5 to 8) is a reusable lid body, (Described later) in which the container body 2 can be freely exchanged.

용기본체(2) 단체를 도 9에 나타낸다. 용기본체(2)는 내부에 저장되는 액상 폐기물의 양을 눈으로 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반투명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되어 있다. 용기본체(2)는 상단부 부근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부 부근은 단면이 평행 활꼴(양쪽 활꼴)의 통형상(양쪽 활꼴 통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중앙 부근에 있어서 단면이 양쪽 활꼴에서 원으로 매끄럽게 변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현재 시판의 흡인보틀은, 의료종사자가 흡인물의 양이나 색깔이나 상태를 확인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용기본체를 투명하게 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하지만, 투명해서는 용기본체 내부의 흡인물이 있는 그대로 보이기 때문에, 환자 본인뿐만 아니라 병문안 온 가족이나 같은 병실의 다른 입원환자에게도 불쾌감을 주는 것이 문제였다. 그래서, 본 실시예의 흡인보틀(1)에서는, 용기본체(2)를 반투명하게 하여 내용물을 보이기 어렵게 하는 동시에, 의료종사자가 흡인물의 양이나 색깔이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Fig. 9 shows a single container body 2. Fig. The container body 2 is formed of a translucent plastic in order to visually observe the amount of liquid waste stored therein. The container body 2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ylinder near the upper end portion, and the vicinity of the lower end portion is formed into a tubular shape (both sides of an arc) having a parallel arc shape (both arc shape) As shown in Fig. On the other hand, currently available suction bottles are mostly made transparent by the medical practitioner so as to make it easy to confirm the amount, color and condition of the aspirated water. However, since the aspiration inside the container body appears as if it is transparent, it was a problem that not only the patient himself but also all the inpatient family members and other hospitalized patients in the same room were discomforted. Thus, in the suction bottle 1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tainer body 2 is made semi-transparent so as to make it difficult for the contents to be seen, and the medical practitioner can check the amount, color and condition of the aspirated water.

용기본체(2)의 상부의 배면측의 외측면에는, 용기본체(2)를 실내의 벽면 등에 고정하기 위한 슬라이드 걸이구(4)(용기 벽걸이용 후크부재)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슬라이드 걸이구(4)는, 용기본체(2)의 상부의 배면측의 외측면으로부터 돌출 설치하는 2개의 평행한 돌출판(4a, 4a)과, 좌우의 돌출판(4a, 4a)의 외측 옆변에 걸쳐져 설치된 수직 평판 형상의 걸이 평면판(4b)을 구비하고 있다. 좌우의 돌출판(4a, 4a)과 걸이 평면판(4b) 사이에는, 좌우 외측을 향하여 개구하는 コ형상의 슬라이드홈(4c)이 수직으로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걸이 평면판(4b)을 벽에 설치되는 벽측 슬라이드 걸이구(70)(도 19를 참조)에 슬라이드 끼워맞춤으로써, 용기본체(2)를 벽면에 걸 수 있다. 또한, 걸이 평면판(4b)의 중앙부보다 약간 상부에, 벽에 설치된 걸이핀에도 걸 수 있도록 걸이 구멍(4d)이 형성되어 있다. A slide hook 4 (a hook for hanging a container wall) for fixing the container body 2 to the wall of the room or the like is protrudingly provided on the outer side surface on the back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er main body 2. The slide hook 4 includes two parallel protrusions 4a and 4a protruding from the outer surface on the back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container main body 2 and two lateral protrusions 4a and 4b protruding from the outer side of the outer sides of the left and right protrusions 4a and 4a And a hanger flat plate 4b in the form of a vertical flat plate provided across the hanger plate 4b. A U-shaped slide groove 4c is formed vertically linearly between right and left protrusions 4a and 4a and a hooking flat plate 4b so as to open toward the left and right outside. The container main body 2 can be hooked on the wall surface by slidingly fitting the hooking flat plate 4b to the wall side slide hook 70 (see Fig. 19) provided on the wall. A hook hole 4d is formed at a slightly upper portion of the center of the hooking flat plate 4b so as to be hooked on the hook pin provided on the wall.

용기본체(2)의 윗가장자리부에는, 뚜껑체(3a, 3b)를 끼워맞춤 고정하기 위한 고정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구조는, 용기본체(2)의 상단부에 형성된 외측면이 단차 형상으로 직경 축소된 축소직경 둘레부(5)와, 축소직경 둘레부(5)의 좌우의 서로를 향한 위치의 외측면에 형성된 후크 고정홈(6a, 6b)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후크 고정홈(6a, 6b)은, 용기본체(2)의 중심축에 대하여 완전히 대칭인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약간 축대칭 위치에서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뚜껑체(3a, 3b)는 한방향(특정한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밖에 이 후크 고정홈(6a, 6b)과 끼워맞출 수 없어, 이에 따라 용기본체(2)에 뚜껑체(3a, 3b)를 설치할 때, 잘못해서 뚜껑체(3a, 3b)를 반대방향으로 설치하는 등의 작업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On the upper edge portion of the container main body 2, a fixing structure for fitting and holding the lids 3a, 3b is formed. This fixed structure has a reduced diameter circumferential portion 5 whose outer surface formed on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container body 2 has a stepped shape and a reduced diameter circumferential portion 5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duced diameter circumferential portion 5 And the hook fixing grooves 6a and 6b formed therein. The hook fixing grooves 6a and 6b are not formed at positions which are completely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center axis of the container body 2 but are formed at positions displaced from a somewhat axisymmetric position. The lids 3a and 3b can not be engaged with the hook fixing grooves 6a and 6b only in one direction (toward a specific direction), so that the lid bodies 3a and 3b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operation error such as erroneously installing the lids 3a, 3b in the opposite direction.

또한, 용기본체(2)의 하부는, 좌우면이 평행한 평판이고 전후면이 원호 판형상의 양쪽 활꼴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단순한 원통형상의 경우에 비하여, 이 양쪽 활꼴 통형상 부분은 감싸 쥐는 것이 쉬워, 흡인보틀(1)의 용기본체(2)를 벽에서 떼어내거나 운반하는 작업 중에, 용기본체(2)를 잘못해서 떨어뜨리는 사고를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좌우의 평판 사이의 간격을 60~80mm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 평균적인 성인 손의 크기인 경우에, 가장 잡기 쉽기 때문이다.The lower portion of the container main body 2 is formed as a flat plate having right and left sides in parallel with each other, and both front and rear surfaces are formed as arc-shaped plate-like arcs. This makes it easier to hold both of the cambered portions in comparison with the case of the simple cylindrical shap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ntainer body 2 from being erroneously inserted or removed during the operation of detaching or transporting the container body 2 of the suction bottle 1 from the wall It is possible to suppress an accident caused by dropping.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the interval between the left and right flat plates is 60 to 80 mm. This is because the average adult hand size is the easiest to grasp.

도 10, 도 11에 디스포저블형의 뚜껑체(3a) 단체를 나타낸다. 도 10은 도 1의 뚜껑체(3a)의 (a)는 사시도 및 (b)는 바닥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뚜껑체(3a)의 분해사시도이다.Fig. 10 and Fig. 11 show a disposable lid 3a alone.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a) and (b) is a bottom view of the cover 3a of Fig. 1;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id body 3a of Fig.

디스포저블형의 뚜껑체(3a)는, 중공 원통형상의 관장착부(10)와, 힌지식으로 요동 가능하게 왕복 운동하여 관장착부(10)의 상단을 개폐하는 힌지 뚜껑부(11)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힌지 뚜껑부(11)에는, 폐기물 수용백(30)의 백포트부(31)가 탈착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도 1, 도 13).The disposable lid body 3a has a hollow cylindrical tube mounting portion 10 and a hinge lid portion 11 which is reciprocably swingable in a hinged manner to open and close the upper end of the tube mounting portion 10 . In addition, the back port portion 31 of the waste receiving bag 30 is detachably fitted in the hinge lid portion 11 (Figs. 1 and 13).

관장착부(10)의 외측면에는, 상반부(10b)가 하반부(10a)에 대하여 단차형상으로 직경 축소된 2단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관장착부(10)의 우측 외측면에는, 힌지 뚜껑부(11)를 피봇하기 위한 힌지베이스(12)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힌지 베이스(12)는 좌우 평행한 2개의 평판형상 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좌우 외향의 측면에는, 짧은 원기둥 형상의 힌지축(12a)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도 11을 참조).On the outer surface of the tube mounting portion 10, the upper half portion 10b is formed into a cylindrical shape with two steps in a stepped shape with respect to the lower half portion 10a. A hinge base 12 for pivoting the hinge lid 11 protrudes from the right outer side surface of the tube mounting portion 10. The hinge base 12 is composed of two flat plate members that are parallel left and right, and a hinge shaft 12a having a short columnar shape is protruded from the right and left outward side surfaces (see Fig. 11).

한편, 힌지 뚜껑부(11)는, 우측 측면에 힌지 받이부(13)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힌지 받이부(13)는 힌지 뚜껑부(11)의 상면 원판(11a)과 단차 없이 외측으로 돌출하여 연장 설치된 직사각형 판형상의 상판부(13a)와, 상판부(13a)의 양측변으로부터 하향 수직으로 연장 설치된 평판형상의 측판부(13b, 13b)(도 10의 (b))와, 상판부(13a)의 외단변으로부터 하향 수직으로 연장 설치된 평판형상의 스토퍼판(13c)(도 10의 (b))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양측의 측판부(13b, 13b)에는, 힌지축(12a, 12a)이 끼워 맞추어지는 축받이 구멍(13d, 13d)이 관통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힌지 뚜껑부(11)는 축받이 구멍(13d, 13d)를 중심으로 회전운동하여 관장착부(10)의 상단을 개폐한다. 또한, 힌지 뚜껑부(11)가 일정한 각도만큼 열리면, 스토퍼판(13c)의 하단변이 관장착부(10)의 측면에 돌출 설치된 스토퍼부분(14)(도 1의 (a), 도 3의 (b)를 참조)에 닿아, 이에 따라 힌지 뚜껑부(11)의 회전운동 범위가 규제된다.On the other hand, the hinge lid portion 11 is formed with a hinge receiving portion 13 protruding from the right side surface. The hinge receiving portion 13 has a rectangular plate-shaped upper plate portion 13a projecting outwardly from the upper surface circular plate 11a of the hinge lid portion 11 so as to protrude outwardly and a lower plate portion 13b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both sides of the upper plate portion 13a 10B) of the flat plate-like side plate portions 13b and 13b and the flat plate-like stopper plate 13c (FIG. 10B) extending vertically downward from the outer short side of the upper plate portion 13a . Bearing holes 13d and 13d through which the hinge shafts 12a and 12a are fitted are provided through the side plate portions 13b and 13b on both sides. Thus, the hinge lid part 11 rotates around the bearing holes 13d and 13d to open and close the upper end of the tube mounting part 10. [ When the hinge lid portion 11 is opened by a certain angle, the lower end of the stopper plate 13c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topper portion 14 (Fig. 1 (a), Fig. 3 ), Thereby limiting the rotational range of the hinge lid portion 11.

관장착부(10)의 정면측에는, 폐기물 수용백(30)의 백포트부(31)를 사이에 끼우기 위한 포트 끼워맞춤부(15)가 형성되어 있다. 포트 끼워맞춤부(15)는 관장착부(10)의 상단 가장자리에 형성된 반원형상의 오목부(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 삽입통과부)와, 그 오목부 주위의 관장착부(10) 측면에, 백포트부(31)와 끼워맞춤 가능한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소켓부(15b)로 구성되어 있다.A port fitting portion 15 for fitting the back port portion 31 of the waste receiving bag 30 therebetween is formed on the front side of the tube mounting portion 10. The port fitting portion 15 has a semicylindrical concave portion (waste suction tube connection end insertion portion) formed on the upper edge of the tube mounting portion 10 and a side surface of the tube mounting portion 10 around the concave portion. And a socket portion 15b protruding in a shape fittable with the base portion 31. [

포트 끼워맞춤부(15)의 소켓부(15b) 하측의 관장착부(10)의 하반부(10a)의 외측면에는, 뚜껑체(3a)의 용기본체(2)로의 설치 방향을 나타내는 마커(16)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마커(16)는 관장착부(10) 외측면을 따라서 수직 방향으로 반원기둥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9에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는데, 용기본체(2)의 외측면에는, 용기본체(2) 내의 내용물의 양쪽 기준이 되는 눈금과, 마커(16)의 위치 맞춤을 위한 마크(도 17의 (b), 도 18의 (b)에 있어서의 눈금의 윗쪽(용기본체(2)의 상부 가장자리 부근)에 인쇄된 검정색점)이 인쇄되어 있다(도 17, 도 18을 참조). A marker 16 indicating the mounting direction of the lid body 3a to the container body 2 i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half portion 10a of the tube mounting portion 10 below the socket portion 15b of the port fitting portion 15, As shown in Fig. The markers 16 are protruded in a semicircular shape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tube mounting portion 10. 1 to 9,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tainer main body 2, a scale serving as a reference of both contents of the contents in the container body 2 and a mark for aligning the markers 16 ( (Black dot pri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container body 2) on the scale in Figs. 17 (b) and 18 (b) is printed (see Figs. 17 and 18).

관장착부(10)의 중심축에 대하여 마커(16)로부터 약 45도 떨어진 위치의 마커(16)의 좌우측에는, 폐기물 흡인튜브를 수직 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한 튜브 클립(17a, 17b)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튜브 클립(17a, 17b)은, U자 형상으로 구부러진 홈판형상 부재를 구비하고, 이 홈판형상 부재는 홈축이 수직 방향이 되도록, 관장착부(10)의 하반부(10a) 외측면에 장착되어 있다. Tube clips 17a and 17b for fixing the waste suction tube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protruded from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rker 16 at a position about 45 degrees from the marker 16 with respect to the center axis of the tube mounting portion 10 have. The tube clips 17a and 17b are each provided with a U-shaped bent plate member which is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half portion 10a of the tube mounting portion 10 such that the groove axis is vertical.

관장착부(10)의 배면측에는, 용기본체(2)의 내부의 에어를 흡인하는 에어흡인튜브를 접속하기 위한 에어흡인구(18)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 에어흡인구(18)는 관장착부(10)의 상반부(10b)의 옆판을 관통하고, 더욱이 관장착부(10)의 상반부(10b)의 외측면에서 원통형상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에어흡인구(18)에는 바깥단으로부터 에어흡인튜브 접속 이음매(19)가 삽입 장착되어 있다. 에어흡인튜브 접속 이음매(19)는 에어흡인튜브와 에어흡인구(18)를 접속하기 위한 관이음매이다. 에어흡인튜브 접속 이음매(19)는 수직으로 굴곡진 꺾인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도 1의 (b), 도 3, 도 11), 에어흡인튜브에 삽입하는 측의 끝단의 에어흡인튜브 접속단부(19a)는, 끝이 가는 관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외측면에 에어흡인튜브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바브(barb)로서 기능하는 우산형상의 돌기가 3단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에어흡인구(18)에 삽입하는 측의 끝단의 끼워넣음부(19b)에는, 에어누출방지를 위하여, 외측면에 2개의 O링(20a, 20b)이 고리 장착되고(도 11), 끼워넣음부(19b)의 기단에는, 에어흡인구(18)로의 삽입 깊이를 규제하기 위한 플랜지(19c)가 형성되어 있다.An air suction port 18 for connecting an air suction tube for sucking air inside the container body 2 is formed on the back side of the tube mounting portion 10. The air suction port 18 penetrates a side plate of the upper half portion 10b of the tube mounting portion 10 and is further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protruding from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upper half portion 10b of the tube mounting portion 10. [ An air suction tube connection joint 19 is inserted into the air suction port 18 from the outer end thereof. The air suction tube connection joint 19 is a pipe joint for connecting the air suction tube and the air suction port 18. The air suction tube connecting joint 19 is formed into a vertically curved bent pipe shape (Fig. 1 (b), Fig. 3, Fig. 11), and the air suction tube connecting end Shaped projecting portion 19a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with a small end, and an umbrella-shaped projection functioning as a barb is formed in three stages so as to prevent the air suction tube from being easily detached from the outer surface. Two O-rings 20a and 20b are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tting portion 19b at the end of the air inlet 18 to prevent air leakage (FIG. 11) At the base end of the fitting portion 19b, a flange 19c for regulating the insertion depth into the air suction port 18 is formed.

관장착부(10)의 좌측면의 상반부(10b) 외측면에는, 힌지 뚜껑부(11)의 계류 고리부(22)를 걸기위한 고정부분(21)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도 11).A fixing portion 21 for hooking the mooring claw portion 22 of the hinge lid portion 11 is protrudingly formed on the outer side surface of the upper half portion 10b of the left side surface of the tube mounting portion 10 (Fig. 11).

또한, 힌지 뚜껑부(11)의 좌측면에는, 상기 고정부분(21)에 계합하는 계류 고리부(22)가 배치되어 있다(도 10), 계류 고리부(22)는 스프링에 의하여 부세된 후크이고(도 11을 참조), 중앙부 부근이 힌지 뚜껑부(11)의 좌측면에 축 장착되어, 상부가 스프링(22a)에 의하여 힌지 뚜껑부(11) 좌측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따라서, 계류 고리부(22)는 중앙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하단측이 힌지 뚜껑부(11)의 내측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계류 고리부(22)의 하단측이 고정부분(21)과 계합하여, 힌지 뚜껑부(11)의 좌단을 관장착부(10)의 왼쪽 상단에 고정한다.On the left side surface of the hinge lid portion 11 is arranged a mooring claw portion 22 which is engaged with the fixing portion 21 (Fig. 10). The mooring claw portion 22 is provided with a hook (See Fig. 11), the vicinity of the central portion is mounted on the left side surface of the hinge lid portion 11, and the upper portion is bias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left side surface of the hinge lid portion 11 by the spring 22a. Therefore, the lower end of the mooring claw 22 is biased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hinge lid portion 11 with the center rotation shaft as the center. The lower end side of the mooring annular portion 22 is engaged with the fixing portion 21 so that the left end of the hinge lid portion 11 is fixed to the left upper end of the tube mounting portion 10. [

관장착부(10)의 내측면은, 중앙부에 단차 형상으로 직경 축소한 단차부(23)가 형성되어 있다(도 11). 이 단차부(23)의 하향 바닥면에는, 원환형상의 패킹홈(23a)(도 14를 참조)이 형성되어 있고, 이 패킹홈에 패킹(24)이 끼워 장착되어 있다(도 10의 (b), 도 11). 용기본체(2)의 상단개구부에 뚜껑체(3a)를 끼워넣을 때, 용기본체(2)의 상단 가장자리가 이 패킹(24)에 밀착하여, 이에 따라 기밀성이 유지된다. 패킹(24)의 하단 내주면에는, 3곳에 역부착 방지용 돌기(24a, 24b, 24c)(도 10의 (b)를 참조)가 돌출 형성되어 있고, 패킹홈(23a)의 이들 역부착 방지용 돌기(24a, 24b, 24c)에 대응하는 위치에 노치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역부착 방지용 돌기(24a, 24b, 24c)를 설치함으로써, 패킹(24)을 잘못해서 상하 반대방향으로 설치하여 기밀성이 저하하는 등의 제조상의 실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tube mounting portion 10 is formed with a step portion 23 whose diameter is reduced in a step shape at the center portion (FIG. 11). A ring-shaped packing groove 23a (see FIG. 14) is formed on the downwardly facing bottom surface of the step portion 23, and a packing 24 is fitted in the packing groove ), Fig. 11). The upper edge of the container body 2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packing 24 when the lid body 3a is fitted into the opening of the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2 so that the airtightness is maintained. (See FIG. 10 (b)) are protruded from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packing 24 at three positions, and the protrusions 24a, 24b and 24c 24a, 24b, and 24c. By providing the projections 24a, 24b, and 24c for preventing backward adhes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manufacturing mistakes in which the packing 24 is erroneously installed upside down so as to reduce airtightness.

또한, 힌지 뚜껑부(11)의 상면원판(11a)의 이면에도 같은 패킹홈(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되어 있고, 이 패킹홈에 패킹(26)(도 11을 참조)이 끼워맞춤 장착되어 있다. 힌지 뚜껑부(11)로 관장착부(10) 상단개구를 밀폐하였을 때, 패킹(26)이 힌지 뚜껑부(11)의 상단 가장자리에 밀착하여, 이에 따라 기밀성이 유지된다. 또한, 높은 기밀성을 얻기 위하여, 관장착부(10)의 상단 가장자리에는, 원주 중앙선을 따라서 단면 삼각형상의 돌조(10c)(도 11을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힌지 뚜껑부(11)로 관장착부(10) 상단개구를 밀폐하였을 때, 이 돌조(10c)가 패킹(26)에 삽입되어 기밀성이 높아진다.A packing groove (not shown) is also formed on the back face of the upper face plate 11a of the hinge lid portion 11 and a packing 26 (see Fig. 11) is fitted in the packing groove . When the opening of the upper end of the tube mounting part 10 is closed by the hinge lid part 11, the packing 26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edge of the hinge lid part 11, thereby maintaining airtightness. In order to obtain high airtightness, a ridge 10c (see Fig. 11) having a triangular cross section is provided along the center line of the circumference at the upper edge of the tube mounting portion 10. [ When the opening of the upper end of the tube mounting part 10 is hermetically sealed by the hinge lid part 11, the protrusion 10c is inserted into the packing 26 to increase the airtightness.

관장착부(10)의 내측면의 하단에는, 상술한 용기본체(2) 상부 가장자리의 후크 고정홈(6a, 6b)에 끼워맞추는 후크 돌기부분(25a, 25b)(도 10의 (b)를 참조)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2개의 후크 돌기부분(25a, 25b)은, 뚜껑체(3a)의 원통 중심축에 대하여 축대칭 위치로부터 어긋난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상술한 후크 고정홈(6a, 6b)에 대응하는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뚜껑체(3a)는 특정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만 후크 고정홈(6a, 6b)과 끼워맞출 수 있고, 이에 따라 용기본체(2)에 뚜껑체(3a)를 설치할 때, 잘못하여 뚜껑체(3a)를 전후 반대방향으로 설치하는 등의 작업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The hook projection portions 25a and 25b (refer to FIG. 10 (b)) fitted to the hook fixing grooves 6a and 6b of the upper edge of the container body 2 described above ar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inner surface of the tube mounting portion 10 Is protruded. The two hook projection portions 25a and 25b are located at positions displaced from the axial symmetric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cylinder central axis of the lid body 3a and are locat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hook fixing grooves 6a and 6b As shown in Fig. The lid body 3a can be engaged with the hook fixing grooves 6a and 6b only in a specific direction and thus when the lid body 3a is provided on the container body 2,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operation error such as disposing the front portion 3a in the opposite direction.

도 12는 폐기물 수용백(30)의 사시도이다. 폐기물 수용백(30)은, 백포트부(31)와 봉투체부(32)로 이루어진다. 폐기물 수용백(30)은 경질수지제이고, 봉투체부(32)는 휘어질 수 있는 반투명의 연질수지제이다. 반투명으로 한 것은, 봉투체부(32) 내에 어느 정도 액상 폐기물이 쌓였는지를 외부로부터 쉽게 시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waste receiving bag 30. Fig. The waste receiving bag 30 is composed of a bag port portion 31 and an envelope body portion 32. The waste receiving bag 30 is made of a hard resin, and the envelope body 32 is a flexible resin material which can be bent. The reason why the liquid waste is piled up in the envelope body 32 is that it can be visually recognized from outside easily to some extent.

백포트부(31)는, 봉투체부(32)의 상단에 설치되어 있고, 백포트부(31)를 통하여 봉투체부(32)로 액상 폐기물이 유입된다. 봉투체부(32)는 백포트부(31) 이외에 있어서는 외부와 연통하지 않는다.The back port portion 31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envelope body portion 32 and liquid waste flows into the envelope body portion 32 through the back port portion 31. The envelope body portion 32 does not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except for the back port portion 31. [

백포트부(31)는 베이스부(33), 손잡이부(34), 폐기물 흡인관부(35), 및 캡부(36)를 구비하고 있다.The back port portion 31 is provided with a base portion 33, a handle portion 34, a waste suction pipe portion 35, and a cap portion 36.

베이스부(33)는 상부에 수평천판(33a)을 가지고, 수평천판(33a)의 중앙부에 에어배출구멍(33b)이 관통 설치되어 있다. 수평천판(33a)은, 평면에서 볼 때 좌우로 가늘고 긴 눈형상(마름모꼴의 상하 정점을 원호 형상으로 모따기한 형상)을 이루고, 그 장축방향의 일단에 띠형상 판이 연장 설치되며, 그 띠형상 판의 단부가 수직상방으로 기립하여 굴곡져, 기립한 띠형상 판의 상단부가 반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띠형상 판의 기립한 부분이 내플랜지(33c)로 되어 있다. 또한, 수평천판(33a)의 중앙부 하면에는, 눈형상의 짧은 기둥형상의 접착부(33d)(도 13을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봉투체부(32)의 상단은, 이 접착부(33d)에 기밀하게 접착되어 있다. 에어배출구멍(33b)은 접착부(33d) 중앙을 수직으로 관통하여 봉투체부(The base portion 33 has a horizontal top plate 33a at the top and an air vent 33b at the center of the horizontal top plate 33a. The horizontal top plate 33a has a shape elongated to the left and right as viewed in plan view (a shap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vertices of a rhombic shape are chamfered in an arc shape), and a band-shaped plate is extended at one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upper end of the upright strip-shaped plate is formed in a semicircular arc shape. The standing portion of the band-shaped plate serves as an inner flange 33c.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horizontal top plate 33a, an eye-shaped short column-shaped bonding portion 33d (see Fig. 13) is formed. The upper end of the envelope body portion 32 is airtightly bonded to the adhesive portion 33d. The air vent hole 33b vertically penetrates the center of the adhering portion 33d to form the envelope body portion

32)의 봉투 내에 연통하고 있고, 에어배출구멍(33b)의 봉투체부(32)의 봉투 내측 출구에는, 공기만을 통과시키고 액상 폐기물을 통과시키지 않는 필터(33e)(도 13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32), and a filter 33e (see FIG. 13) is provided at the inner side of the envelope of the envelope body portion 32 of the air vent hole 33b so as to pass only the air and not to pass the liquid waste .

손잡이부(34)는 베이스부(33)의 수평천판(33a)의 상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부(34)는 수직으로 세워진 판형상 부재로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 손잡이부가 되는 개구부가 관통 형성되어 있다.The grip portion 34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top plate 33a of the base portion 33 so as to protrude therefrom. The handle portion 34 is formed of a vertically erected plate-shaped member, and an opening portion through which the handle portion is formed is formed at the center.

폐기물 흡인관부(35)는 L자 형상으로 굴곡진 관형상 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단측은 수평천판(33a)의 상면에 수직으로 연결되고, L자 형상으로 수평으로 휘어진 선단측 관은 내플랜지(33c)를 연결 관통하며, 더욱이 그 선단측은 끝이 가늘게 형성되어 있다. 이 선단측의 끝이 가는 부분이, 폐기물 흡인튜브를 접속하는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35a)로 되어 있다.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35a)의 선단에는 폐기물 흡인구가 개구하고 있다. 또한, 내플랜지(33c)보다 선단측이고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35a)의 기단측에는, 수직 판형상의 외플랜지(35b)가 형성되어 있다. 외플랜지(35b)와 내플랜지(33c)의 간극의 간격은, 관장착부(10)의 상반부(10b)의 벽두께와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간극 부분에 실리콘 고무제의 패킹(37)이 관장착되어 있다. 폐기물 수용백(30)을 뚜껑체(3a)에 삽입 장착할 때, 이 외플랜지(35b)를 포트 끼워맞춤부(15)(도 10을 참조)에 끼워넣고, 외플랜지(35b)와 내플랜지(33c)에서 관장착부(10)의 상부 가장자리벽을 사이에 끼움으로써, 폐기물 수용백(30)이 뚜껑체(3a)에 위치결정되어 고정된다. 또한, 패킹(37)에 의하여 기밀성이 유지된다. 그리고, 폐기물 흡인관부(35)의 기단측은, 수평천판(33a) 및 그 하부의 접착부(33d)를 관통하여 봉투체부(32)의 봉투 내로 연통하고 있다.The waste suction pipe portion 35 is formed of an L-shaped tubular member, the base end of which is vert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top plate 33a, and the L- 33c, and the distal end side thereof is formed to have a narrow end. The tip end portion of the tip end portion serves as a waste suction tube connecting end portion 35a for connecting the waste suction tube. At the tip of the waste suction tube connecting end 35a, a waste suction port is opened. An outer flange 35b in the form of a vertical plate is formed on the proximal end side of the waste suction tube connecting end 35a on the distal end side of the inner flange 33c. The gap between the outer flange 35b and the inner flange 33c is substantially equal to the wall thickness of the upper half portion 10b of the tube mounting portion 10. [ A packing 37 made of silicone rubber is attached to the gap portion. When the waste receptacle bag 30 is inserted into the lid body 3a, the outer flange 35b is fitted into the port fitting portion 15 (see Fig. 10), and the outer flange 35b and the inner flange 35b The waste receiving bag 30 is positioned and fixed to the lid body 3a by sandwiching the upper edge wall of the pipe mounting portion 10 in the lid body 33c. In addition, the airtightness is maintained by the packing 37. The base end side of the waste suction tube portion 35 communicates with the envelope of the envelope body portion 32 through the horizontal top plate 33a and the adhesive portion 33d below the horizontal top plate 33a.

한편, 사용자가 에어흡인튜브 접속 이음매(19)와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35a)를 잘못하여 튜브를 접속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35a)의 색은, 에어흡인튜브 접속 이음매(19)와는 다른 색으로 되어 있다. 또한, 디스포저블형과 리유저블형(후술)에서,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의 색은 통일되어 있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prevent the user from mistakenly connecting the tube with the air suction tube connection joint 19 and the waste suction tube connection end 35a, the color of the waste suction tube connection end 35a is determined by the air suction tube connection seam (19). Further, in the disposable type and the reusable type (described later), the color of the waste suction tube connection end is unified.

폐기물 흡인관부(35)의 기단은, 수평천판(33a)의 바닥면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되어 개구하고 있다. 그 기단개구부에는, 역류방지밸브(35c)가 설치되어 있어, 봉투체부(32) 내에 흡인된 액상 폐기물이 폐기물 흡인관부(35)로 역류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The base end of the waste suction pipe portion 35 protrudes down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horizontal top plate 33a. A backflow prevention valve 35c is provided in the base end opening portion so that the liquid waste sucked in the envelope body portion 32 is prevented from flowing back to the waste suction pipe portion 35. [

캡부(36)는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35a)에 끼워맞춤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된 캡이다. 캡부(36)는 굴곡 가능한 캡암(36a)에 의하여, 외플랜지(35b)의 상단에 연결되어 있다. 미사용시나 운반시에는 이 캡부(36)를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35a)에 끼워둠으로써, 백 내의 내용물이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35a)로부터 튀는 것이 방지된다.The cap portion 36 is a cap formed in a shape fittable to the waste suction tube connection end portion 35a. The cap portion 36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outer flange 35b by a bendable cap arm 36a. By inserting the cap portion 36 into the waste suction tube connecting end portion 35a at the time of unused or transporting, the contents in the bag are prevented from splashing from the waste suction tube connecting end portion 35a.

도 13은 폐기물 수용백(30)의 백포트부(31)를 뚜껑체(3a)에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의 단면도, 도 14는 폐기물 수용백(30)을 뚜껑체(3a)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한편, 도 13은 뚜껑체(3a)의 힌지 뚜껑부(11)를 밀폐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14는 힌지 뚜껑부(11)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 및 도 14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12의 각 부분에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waste receptacle bag 30 in a state where the bag port portion 31 is attached to the lid body 3a. Fig. 14 shows a state in which the waste receptacle bag 30 is attached to the lid body 3a Fig. 13 shows a state in which the hinge lid portion 11 of the lid body 3a is hermetically sealed. Fig. 14 shows a state in which the hinge lid portion 11 is opened. In Figs. 13 and 14, the parts corresponding to the parts in Figs. 1 to 12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폐기물 수용백(30)을 탈착할 때에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뚜껑체(3a)의 계류 고리부(22)를 떼어 힌지 뚜껑부(11)를 개방한다. 장착시에는, 폐기물 수용백(30)의 외플랜지(35b)를 포트 끼워맞춤부(15)에 끼워넣고, 그 후, 힌지 뚜껑부(11)를 폐쇄하여, 계류 고리부(22)를 관장착부(10)의 고정부분(21)에 계합시킨다. 이에 따라, 용기본체(2) 내는 밀폐된 상태가 된다. 그후, 에어흡인튜브 접속 이음매(19)를 에어흡인튜브(60)(도 17을 참조)에 의하여, 실내에 구비된 아웃렛(62)이나 진공펌프와 접속한다. 또한,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35a)에 폐기물 흡인튜브(61)(도 17을 참조)를 접속한다. 에어흡인튜브로부터 용기본체(2) 내의 에어를 흡인하면, 용기본체(2) 내는 부압이 된다. 용기본체(2) 내와 폐기물 수용백(30) 내는, 에어배출구멍(33b) 및 필터(33e)를 통하여 연통하고 있으므로, 폐기물 수용백(30) 내도 부압이 되어, 이에 따라 에어흡인튜브(60)로부터 액상 폐기물을 흡인할 수 있다.When detaching the waste receptacle bag 30, the mooring claw 22 of the lid body 3a is pulled off and the hinge lid part 11 is opened as shown in Fig. The outer flange 35b of the waste receptacle bag 30 is fitted into the port fitting portion 15 and then the hinge lid portion 11 is closed so that the mooring claw portion 22 is inserted into the pipe fitting portion 15, (21) of the body (10). As a result,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2 is in a sealed state. Thereafter, the air suction tube connection joint 19 is connected to the outlet 62 or the vacuum pump provided in the room by the air suction tube 60 (see Fig. 17). Further, the waste suction tube 61 (see Fig. 17) is connected to the waste suction tube connecting end 35a. When the air in the container body 2 is sucked from the air suction tube,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2 becomes negative pressure.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2 and the waste receiving bag 30 are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through the air discharge hole 33b and the filter 33e so that a negative pressure is also generated in the waste receiving bag 30, 60 can suck the liquid waste.

도 15, 도 16에 리유저블형의 뚜껑체(3b) 단체를 나타낸다. 도 15의 (a)는 도 5의 뚜껑체(3b)의 배면측 사시도, 도 15의 (b)는 그 정면측 사시도, 및 도 15의 (c)는 그 바닥면 사시도이다. 도 16의 (a)는 도 5의 뚜껑체(3b)의 분해사시도, 도 16의 (b)는 리유저블 어탭터(41)의 바닥면 사시도이다.Fig. 15 and Fig. 16 show a single lid 3b of the reusable type. Fig. 15 (a)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lid 3b of Fig. 5, Fig. 15 (b) is a front perspective view thereof, and Fig. 15 (c)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thereof. Fig. 16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lid 3b of Fig. 5, and Fig. 16B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re-usable adapter 41. Fig.

뚜껑체(3b)는 관장착부(40), 리유저블 어탭터(41),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 이음매(42), 패킹부착 폐기물 배출구부(43), 및 플로트 밸브부(44)를 구비하고 있다.The lid body 3b is provided with a tube mounting portion 40, a reusable adapter 41, a waste suction tube connection joint 42, a packing-equipped waste outlet portion 43, and a float valve portion 44. [

관장착부(40)는 뚜껑본체가 되는 부품이며, 상단부가 천판으로 폐쇄된 짧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원통부의 직경은, 용기본체(2)의 상단 개구부에 외측으로부터 끼워맞춤 가능한 직경으로 형성되어 있다. 관장착부(40)의 천판의 중심에는, 원형의 에어흡인포트 장착구멍(40a)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도 16의 (a)). 또한, 관장착부(40)의 천판의 중심보다 정면측으로 치우친 위치에는, 원형의 폐기물 흡인포트 장착구멍(40b)이 관통 형성되어 있다(도 16의 (a)). 에어흡인포트 장착구멍(40a) 및 폐기물 흡인포트 장착구멍(40b)에 의하여, 리유저블 어댑터(41)의 장착부가 구성되어 있다.The tube mounting part 40 is a part serving as a lid body and is formed into a short cylindrical shape with an upper end closed by a top plate and the diameter of the cylindrical part is formed into a diameter that is fittable from the outside to the upper end opening of the container body 2 have. A circular air suction port mounting hole 40a is formed through the center of the top plate of the tube mounting portion 40 (Fig. 16 (a)). In addition, a circular waste suction port mounting hole 40b is formed in a position shifted toward the front side from the center of the top plate of the tube mounting portion 40 (Fig. 16 (a)). The air suction port mounting hole 40a and the waste suction port mounting hole 40b constitute a mounting portion of the reusable adapter 41. [

관장착부(40)의 천판은, 중앙부에 원형의 쟁반 형상의 오목부(쟁반오목부(40c))가 형성되어 있고, 에어흡인포트 장착구멍(40a) 주위로부터 폐기물 흡인포트 장착구멍(40b) 주위에 걸친 부분에 대지 형상으로 융기한 대좌부(40d)가 형성되어 있다. 대좌부(40d)의 상면은 수평으로 되고, 관장착부(40)의 천판 주위의 높이보다 리유저블 어댑터(41)의 베이스 기판(41a)(후술)의 두께 정도만큼 낮은 높이로 되어 있다.The top plate of the tube mounting portion 40 is formed with a circular tray-like concave portion (tray recess 40c) at its center portion and is arranged around the air intake port mounting hole 40a and around the waste suction port mounting hole 40b And a pedestal portion 40d protruding in a planar shape is formed at a portion extending from the base portion 40c. The upper surface of the pedestal portion 40d is horizontal and has a height lower than the height of the periphery of the top plate of the tube mounting portion 40 by about the thickness of the base substrate 41a of the reusable adapter 41 (described later).

관장착부(40)의 외측면에는, 뚜껑체(3b)의 용기본체(2)로의 설치방향을 나타내는 마커(45)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도 15의 (b)). 마커(45)는 관장착부(40) 외측면을 따라서 수직 방향의 반원주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A marker 45 indicative of a mounting direction of the lid 3b to the container body 2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ube mounting portion 40 (FIG. 15 (b)). The marker 45 protrudes in a semicircular shape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tube mounting portion 40.

또한, 관장착부(40)의 내측면의 하단에는, 뚜껑체(3a)의 후크 돌기부분(25a, 25b)과 같은 후크 돌기부분(46a, 46b)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도 15의 (c)). 2개의 후크 돌기부분(46a, 46b)은, 뚜껑체(3b)의 원통 중심축에 대하여 축대칭 위치로부터 어긋난 곳에 위치하고 있어, 상술한 후크 고정홈(6a, 6b)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뚜껑체(3b)는 특정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만 후크 고정홈(6a, 6b)과 계합할 수 있어, 이에 따라 용기본체(2)에 뚜껑체(3b)를 설치할 때, 잘못하여 뚜껑체(3b)를 반대 방향으로 설치하는 등의 작업실수를 방지할 수 있다.Hook projecting portions 46a and 46b like the hook projection portions 25a and 25b of the lid body 3a protrude from the lower end of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tube mounting portion 40 (Fig. 15 (c) ). The two hook projection portions 46a and 46b are located at positions shifted from the axial symmetrical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cylinder central axis of the lid 3b and ar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hook fixing grooves 6a and 6b described above . The lid body 3b can be engaged with the hook fixing grooves 6a and 6b only in a specific direction so that when the lid body 3b is provided on the container body 2, It is possible to prevent a work error such as disposing the first arm 3b in the opposite direction.

또한, 관장착부(40)의 천판 바닥면에는, 그 주변을 따라서, 패킹 부착 폐기물 배출구부(43)를 끼워맞추는 패킹홈이 원환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패킹 부착 폐기물 배출구부(43)는 이 패킹홈에 끼워맞춤으로써 천판 바닥면에 장착 고정된다(도 15의 (c)).In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plate of the tube mounting portion 40, a packing groove for fitting the packing-equipped waste outlet portion 43 is formed in a toric shape along the periphery thereof. The packing-equipped waste outlet portion 43, And fitted and fixed to the top surface of the top plate by fitting into the groove (Fig. 15 (c)).

리유저블 어댑터(41)는, 에어흡인포트 및 폐기물 흡인포트를 구성하는 부품으로, 관장착부(40)의 천판 상에 장착된다. 리유저블 어댑터(41)는 세로로 긴 평판형상의 베이스 기판(14a)을 구비하고, 이 베이스 기판(41a)의 중앙부에 에어흡인포트부(41b)가 기판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The reusable adapter 41 is a component constituting the air suction port and the waste suction port, and is mounted on the top plate of the tube mounting portion 40. The reusable adapter 41 has a vertically elongated base plate 14a in the form of a vertically elongated plate and an air suction port portion 41b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base plate 41a to penetrate the substrate.

에어흡인포트부(41b)는, 상단이 폐쇄되고 하단이 개구되는 수직 원통형상의 수직관부가 베이스 기판(41a)의 상하로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베이스 기판(41a)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수직관부의 배면측의 측면에, 비스듬하게 상방을 향하여 돌출하여 에어흡인튜브 접속단부(41c)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 에어흡인튜브 접속단부(41c)는, 에어흡인튜브를 접속하기 위한 호스·튜브접속단부(관이음매)이고, 선단에 에어흡인구가 개구되어 있다. 에어흡인튜브 접속단부(41c)는 끝이 가는 중공관 형상으로, 수직관부의 관 내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에어흡인튜브 접속단부(41c)는, 끝이 가는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외측면에는 에어흡인튜브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바브로서 기능하는 우산 형상의 돌조가 3단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에어흡인포트부(41b)의 수직관부의 하반부는, 베이스 기판(41a)의 하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그 하단 부근의 외측면에 고리형상의 O링홈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O링홈에 O링(47)이 끼워져 장착되어 있다(도 16의 (b)). 이 수직관부의 하반부는, 베이스 기판(41a) 중앙의 에어흡인포트 장착구멍(40a)에 삽입되어, 에어흡인튜브 접속단부(41c)와 용기본체(2) 내부가 연통된다.The air suction port portion 41b is formed such that a vertically cylindrical vertical tube portion whose upper end is closed and the lower end is opened protrudes above and below the base substrate 41a and is provid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vertical tube portion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41a And an air suction tube connecting end portion 41c protruding upward from the side surface of the air suction tube. The air suction tube connecting end portion 41c is a hose / tube connecting end (pipe joint) for connecting the air suction tube, and an air suction port is opened at the tip end. The air suction tube connecting end portion 41c is in the form of a hollow tube having an end, and communicates with the tube in the vertical tube portion. In addition, the air suction tube connecting end portion 41c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with an end, and the outer side surface is formed with three steps of an umbrella-shaped protrusion functioning as a bar to prevent the air suction tube from being easily released . The lower half of the vertical tube portion of the air suction port portion 41b protrude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41a and has an annular O-ring groov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near the lower end thereof. O And a ring 47 is fitted and mounted (Fig. 16 (b)). The lower half of the vertical tube portion is inserted into the air suction port mounting hole 40a at the center of the base substrate 41a so that the air suction tube connecting end portion 41c and the inside of the container body 2 communicate with each other.

베이스 기판(41a)의 중앙부로부터 정면측으로 치우친 위치에는, 폐기물 흡인관 소켓(41d)이 기판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폐기물 흡인관 소켓(41d)은, 상하로 관통한 수직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선단에 폐기물 흡인구가 개구되어 있다. 폐기물 흡인관 소켓(41d)의 상부는 베이스 기판(41a)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폐기물 흡인관 소켓(41d)의 하부는 베이스 기판(41a)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 폐기물 흡인관 소켓(41d)의 하부의 하단부 부근의 외측면에는, 고리형상의 O링홈이 설치되고, 그 O링홈에 O링(46)이 끼워져 장착되어 있다(도 16의 (b)). 이 폐기물 흡인관 소켓(41d)의 하부는, 베이스 기판(41a)의 폐기물 흡인포트 장착구멍(40b)에 삽입된다.At a position shifted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base substrate 41a toward the front side, a waste suction pipe socket 41d is provided through the substrate. The waste aspirator tube socket 41d is formed in a vertically cylindrical shape passing vertically, and a waste suction port is opened at the tip end. The upper portion of the waste suction pipe socket 41d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41a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waste suction pipe socket 41d protrudes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41a. An annular O-ring groove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near the lower end of the lower portion of the waste suction pipe socket 41d, and an O-ring 46 is fitted in the O-ring groove (FIG. 16B). The lower portion of the waste suction pipe socket 41d is inserted into the waste suction port mounting hole 40b of the base substrate 41a.

베이스 기판(41a) 상면의 에어흡인포트부(41b)와 폐기물 흡인관 소켓(41d) 사이에는, 튜브 감아걸기용 후크부재(41e)가 설치되어 있다. 튜브 감아걸기용 후크부재(41e)는, 에어흡인포트부(41b)의 중심축과 폐기물 흡인관 소켓(41d)의 중심축을 연결하는 평면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배치된 판형상 부재로 구성되며, 베이스 기판(41a) 상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세워 설치되어 있다. 튜브 감아걸기용 후크부재(41e)의 상단부는, 중앙을 향하여 45도 정도 굴곡져 있어, 원호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Between the air suction port portion 41b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41a and the waste suction pipe socket 41d, a hook member 41e for tube wrapping is provided. The tube hooking hook member 41e is constituted by a plate member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a plane connecting the central axis of the air suction port portion 41b and the central axis of the waste suction pipe socket 41d, And is vertically erect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41a.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tube-hooking hook member 41e is bent at about 45 degrees toward the center, and is formed into an arc plate shape.

베이스 기판(41a) 하면의 배후측으로 치우친 위치에는, L자판 형상의 벽걸이용 후크부재(41f)(리유저블 어댑터 벽걸이용 후크부재)가 하방을 향하여 돌출 설치되어 있다(도 16의 (a)). 벽걸이용 후크부재(41f)는, 관장착부(40) 천판의 쟁반오목부(40c)에 끼워져 있다. 이 벽걸이용 후크부재(41f)에 의하여, 베이스 기판(41a)에 대한 리유저블 어댑터(41)의 위치를 결정하기 쉬워진다.An L-shaped wall-hanging hook member 41f (a re-usable adapter wall-hanging hook member) protrudes downward at a position offset to the rear sid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substrate 41a (Fig. 16A) . The wall-hanging hook member 41f is fitted in the tray concave portion 40c of the top plate of the tube mounting portion 40. With this wall-mounting hook member 41f, the position of the re-usable adapter 41 with respect to the base board 41a can be easily determined.

한편, 실제로 흡인보틀(1)을 사용할 때, 용기본체(2) 내에 액상 폐기물이 쌓이면, 용기본체(2)의 내용물을 버리고 용기본체(2)나 뚜껑체(3b)를 세정할 필요가 발생한다. 튜브 감아걸기용 후크부재(41e) 및 벽걸이용 후크부재(41f)는, 그때 리유저블 어댑터(41)를 뚜껑체(3b)의 본체(관장착부(40))로부터 떼어내서, 리유저블 어댑터(41)를 벽에 걸고, 다시 폐기물 흡인구에 접속된 폐기물 흡인튜브(61)를 감아 걸어 두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인 튜브 감아걸기용 후크부재(41e) 및 벽걸이용 후크부재(41f)의 사용방법에 대하여는 후술한다.On the other hand, when liquid waste is accumulated in the container body 2 when the suction bottle 1 is actually used, it is necessary to discard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body 2 and clean the container body 2 and the lid body 3b . The tubular hooking member 41e and the wall-hanging hook member 41f are detached from the main body (tube mounting portion 40) of the lid body 3b at that time, (41) is placed on the wall, and the waste suction tube (61) connected to the waste suction port is wound around the waste suction pipe (61). A concrete method of using the hook member 41e for hanging the tubing and the hook member 41f for wall hanging will be described later.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 이음매(42)는, 폐기물 흡인튜브를 접속하기 위한 관이음매이다.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 이음매(42)는, 상단부가 막혀있고, 하단부가 개구하는 수직관부(42a)와, 수직관부(42a)의 상단 부근의 측면에 수평으로 돌출 형성된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42b)를 구비하고 있다. 수직관부(42a)는 리유저블 어댑터(41)의 폐기물 흡인관 소켓(41d)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수직관부(42a)의 중앙부에는, 삽입 깊이를 규제하는 플랜지(42c)가 형성되어 있고, 이 플랜지(42c)보다 아래쪽의 수직관부(42a)의 외측면에는, 2개의 O링홈이 형성되며, 각 O링홈에 O링(49, 50)이 고리 장착되어 있다(도 16의 (a)). 이에 따라, 수직관부(42a)를 폐기물 흡인관 소켓(41d)에 삽입하였을 때에 기밀성이 유지된다.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42b)는, 폐기물 흡인튜브(61)가 접속되는 부분이다(도 18을 참조).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42b)는, 끝이 가는 중공관 형상이고, 수직관부(42a)의 관 내에 연통하고 있다. 또한,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42b)는, 끝이 가는 통형상으로 형성되는 있는 동시에, 외측면에는 폐기물 흡인튜브(61)가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바브로서 기능하는 우산 형상의 돌조가 3단으로 형성되어 있다.The waste suction tube connection joint 42 is a pipe joint for connecting the waste suction tube. The waste suction tube connection joint 42 includes a vertical tube portion 42a having an upper end closed and an open lower end and a waste suction tube connection end portion 42b formed horizontally protruding from the side near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tube portion 42a Respectively. The vertical pipe portion 42a is a portion to be inserted into the waste suction pipe socket 41d of the reusable adapter 41. [ A flange 42c for regulating the insertion depth i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vertical tube portion 42a. Two O-ring grooves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tube portion 42a below the flange 42c, O-rings 49 and 50 are looped on the O-ring groove (Fig. 16 (a)). Accordingly, the airtightness is maintained when the vertical tube portion 42a is inserted into the waste suction tube socket 41d. The waste suction tube connecting end 42b is a portion to which the waste suction tube 61 is connected (see Fig. 18). The waste suction tube connecting end 42b is in the form of a hollow tube having an end and communicates with the pipe of the vertical pipe portion 42a. The waste suction tube connecting end portion 42b is formed in a tubular shape with an end and the outer side surface has an umbrella-shaped stone body functioning as a bar to prevent the waste suction tube 61 from being easily released, Respectively.

패킹 부착 폐기물 배출구부(43)는, 전체가 고무에 의하여 일체 성형되어 있고, 원환형상의 패킹부(43a)와, 패킹부(43a)의 관 내에 연통 설치된 바닥이 있는 짧은 원통형상의 캡부(43b)와, 캡부(43b)의 바닥면에 연통 설치된 엘보관 형상의 배출튜브부(43c)로 구성되어 있다(도 16의 (a), 도 15의 (c)). 패킹부(43a)는, 상술한 바와 같이, 관장착부(40)의 천판 바닥면의 패킹홈에 끼워맞춤 고정되고, 관장착부(40)를 용기본체(2)의 상단 개구에 끼워 장착하였을 때, 패킹부(43a)가 용기본체(2)의 상단 가장자리에 밀착하여, 이에 따라 기밀성이 유지된다. 캡부(43b)는, 정확히 관장착부(40)의 천판 하면의 폐기물 흡인포트 장착구멍(40b)의 바로 밑에 위치한다. 이 캡부(43b)는 폐기물 흡인포트 장착구멍(40b)의 하측 출구에 기밀하게 끼워져,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 이음매(42)로부터 유입되는 액상 폐기물을 배출튜브부(43c)로 누출없이 안내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 배출튜브부(43c)는 90도 정도로 엘보 형상으로 굴곡진 관이고, 상단이 캡부(43b)의 통 내로 연통하고 하단이 가로방향을 향하여 개구하고 있다. 뚜껑체(3b)를 용기본체(2)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배출튜브부(43c)의 하단출구는, 용기본체(2)의 내벽을 향한 상태가 된다. 이것은, 흡입되는 액상 폐기물이 직접 플로트 밸브부(44)(후술)에 닿아, 에어흡인튜브로 액상 폐기물이 흡인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The packing-equipped waste discharge port portion 43 is entirely formed by rubber and has an annular packing portion 43a and a bottomed short cylindrical cap portion 43b communicating with the pipe of the packing portion 43a. And a discharge tube portion 43c of an elec- tric storage shape communicating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cap portion 43b (Fig. 16 (a) and Fig. 15 (c)). The packing portion 43a is fitted and fixed to the packing groove of the top plate bottom surface of the tube mounting portion 40. When the tube mounting portion 40 is fitted in the top opening of the container body 2, The packing portion 43a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end edge of the container main body 2, whereby airtightness is maintained. The cap portion 43b is located directly below the waste suction port mounting hole 40b on the top surface of the tube mounting portion 40 exactly. The cap portion 43b is hermetically fitted to the lower outlet of the waste suction port mounting hole 40b and is installed to guide the liquid waste flowing from the waste suction tube connection joint 42 to the discharge tube portion 43c without leakage have. The discharge tube portion 43c is a tube curved in an elbow shape at about 90 degrees and has an upper end communicating with the cylinder of the cap portion 43b and a lower end opening toward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lower end of the outlet tube portion 43c is in the state of being directed toward the inner wall of the container body 2 in a state where the lid body 3b is attached to the container body 2. [ This is provided to prevent the liquid waste to be sucked directly from the float valve portion 44 (described later) and to prevent the liquid waste from being sucked into the air suction tube.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패킹부(43a)와 캡부(43b) 및 배출튜브부(43c)가 일체 성형되어 있다. 실제로 흡인보틀(1)을 사용하는 경우, 이들 부분을 관장착부(40)로부터 떼어내 세정할 필요가 발생하는데, 그때, 이들 부분이 일체 성형되어 있으면 탈착이나 세정작업이 간단해진다. 또한, 패킹부(43a)와 캡부(43b) 및 배출튜브부(43c)가 개별로 성형되어 있었던 경우에는, 탈착시에 어떤 한 부품(특히, 캡부(43b) 및 배출튜브부(43c))을 분실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일체 성형함으로써 분실 방지의 효과도 기대된다.On the other hand, in this embodiment, the packing portion 43a, the cap portion 43b, and the discharge tube portion 43c are integrally formed. When the suction bottle 1 is actually used, it is necessary to detach these parts from the tube mounting part 40 and clean them. If these parts are integrally molded at this time, the removal and cleaning work can be simplified. When the packing 43a, the cap portion 43b and the discharge tube portion 43c are separately formed, any one of the components (particularly, the cap portion 43b and the discharge tube portion 43c) It is often lost, and the effect of preventing loss can be expected by integrally molding.

플로트 밸브부(44)는 장착 소켓(51), 플로트 커버(52), 플로트(53), 및 플로트 받이(54)로 구성되어 있다(도 16의 (a)를 참조). 장착 소켓(51)은, 관장착부(40)의 천판 하면의 에어흡인포트 장착구멍(40a) 내에 인서트 성형되어 있다(한편, 도 16의 (a)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장착 소켓(51)을 에어흡인포트 장착구멍(40a) 내로부터 분리하여 표시하고 있음). 장착 소켓(51)은 플로트 커버(52)를 관장착부(40)의 천판 하면에 장착하는 소켓이다. 또한, 장착 소켓(51)의 관 내에는, 상기 에어흡인포트부(41b)가 삽입되고, O링(47)에 의하여 기밀성이 유지된다. 플로트 커버(52)는 장착 소켓(51)의 하단에 장착된다. 장착 소켓(51)은 바닥이 있는 통형상으로 형성되고, 통 측면의 중심축에 대하여 3회 대칭인 위치에, 세로로 긴 대직원(帶直圓, 직사각형의 양끝에 반원이 붙은 도형) 형상의 개구부가 형성되며, 통 바닥면에도 대직원 형상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개구부를 통하여, 용기본체(2) 내의 공기가 에어흡인튜브로 흡인된다. 플로트(53)는 플로트 커버(52)의 통 내에 표유(漂遊) 가능하게 설치된 중공 부유체이다. 플로트(53)의 외각은 회전 대직원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직경은 플로트 커버(52)의 통 내경보다 작게 되어 있다. 플로트 받이(54)는, 장착 소켓(51)의 하단출구에 기밀하게 끼워진 고무제의 부재이다. 플로트 받이(54)는 중앙에 상하로 관통하는 개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로트 받이(54)의 하단측은, 하향 굴곡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플로트(53)가 이 굴곡면에 끼워지면 중앙의 개구가 폐쇄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용기본체(2) 내에 액상 폐기물이 가득 쌓이면, 부력에 의하여 플로트(53)가 부상하여 플로트 받이(54)의 하단의 굴곡면에 끼워져 중앙의 개구가 폐쇄된다. 이에 따라, 흡인이 정지되고, 액상 폐기물이 에어흡인튜브에 흡인되는 것이 방지된다.The float valve portion 44 is composed of a mounting socket 51, a float cover 52, a float 53, and a float receiver 54 (see Fig. 16 (a)). The mounting socket 51 is insert molded in the air suction port mounting hole 40a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plate of the tube mounting portion 40 (in FIG. 16 (a), the mounting socket 51 is air- And is displayed separately from within the port mounting hole 40a). The mounting socket 51 is a socket for mounting the float cover 52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op plate of the tube mounting portion 40. Further, the air suction port portion 41b is inserted into the tube of the mounting socket 51, and the airtightness is maintained by the O-ring 47. The float cover 52 is mounted on the lower end of the mounting socket 51. The mounting socket 51 is formed in a bottomed cylindrical shape and has a shape in which a vertically long staff member (a circle having both ends of a rectangular shape and a semicircle at the ends of the rectangular shape) is provided at a position symmetrical three times with respect to the center axis of the cylinder side An opening is formed, and an opening having a large staff shape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cylinder. Through these openings, the air in the container body 2 is sucked into the air suction tube. The float 53 is a hollow fluid installed stably in the cylinder of the float cover 52. The outer surface of the float 53 is formed in the shape of a rotating shaft and has a diameter small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tub cover 52. The float receiver 54 is a member made of rubber that is airtightly fitted to the outlet of the lower end of the mounting socket 51. The float receiver 54 is formed with an opening vertically passing through the center thereof. The lower end of the float receiver 54 is formed in a downwardly curved shape, and when the float 53 is fitted to the curved surface, the central opening is closed. When the liquid waste is filled in the container body 2, the float 53 floats due to buoyancy and is fitted to the curved surface of the lower end of the float receiver 54 to close the center opening. As a result, the suction is stopped and the liquid waste is prevented from being sucked into the air suction tube.

이상과 같이, 뚜껑체(3a)의 후크 돌기부분(25a, 25b)과, 뚜껑체(3b)의 후크 돌기부분(46a, 46b)은 모두 용기본체(2)의 후크 고정홈(6a, 6b)에 계합하는 것이 가능하여, 공통의 용기본체(2)에 대하여 디스포저블형의 뚜껑체(3a)와 리유저블형의 뚜껑체(3b)를 자유롭게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hook projection portions 25a, 25b of the lid body 3a and the hook projection portions 46a, 46b of the lid body 3b are both fixed to the hook fixing grooves 6a, 6b of the container body 2, So that the disposable lid 3a and the reusable lid 3b can be freely exchanged with the common container body 2 and used.

다음으로, 뚜껑체(3a, 3b)에 에어흡인튜브 및 폐기물 흡인튜브를 접속한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 state in which the air suction tube and the waste suction tube are connected to the lids 3a, 3b will be described.

도 17은 용기본체(2)에 디스포저블형의 뚜껑체(3a)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에어흡인튜브 및 폐기물 흡인튜브를 접속한 상태의 흡인보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의 (a)는 전체도, 도 17의 (b)는 용기본체(2) 부근의 확대도이다.17 is a view showing a suction bottle in a state in which an air suction tube and a waste suction tube are connected in a state in which a lid body 3a of a disposable type is mounted on a container body 2. Fig. Fig. 17 (a) is an overall view, and Fig. 17 (b) is an enlarged view of the vicinity of the container main body 2. Fig.

용기본체(2)는 슬라이드 걸이구(4)에 의하여 벽면에 설치한 벽측 슬라이드 걸이구(70)(도 19의 (b)를 참조)에 걸려 있다. 뚜껑체(3a)의 배면의 에어흡인튜브 접속 이음매(19)에는 에어흡인튜브(60)의 선단을 접속하고, 에어흡인튜브(60)의 기단은 흡인압력 조정기(63)(레귤레이터)를 통하여 벽면에 설치된 아웃렛(62)(배관말단 접속구)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흡인압력 조정기(63)는 아웃렛(62)으로부터의 흡인압을 적절히 조절하기 위하여 설치되어 있다.The container main body 2 is hooked on the wall side slide hook 70 (see FIG. 19 (b)) provided on the wall surface by the slide hook 4. The air suction tube connecting seam 19 on the back surface of the lid body 3a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air suction tube 60 and the base end of the air suction tube 60 is connected to the wall surface through a suction pressure regulator 63 And is connected to an outlet 62 (pipe end connection port) On the other hand, the suction pressure regulator 63 is provided for appropriately regulating the suction pressure from the outlet 62.

뚜껑체(3a)에 장착된 폐기물 수용백(30)의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35a)에는, 폐기물 흡인튜브(61)의 기단을 접속한다. 그리고, 폐기물 흡인튜브(61)의 선단은, 미사용 상태에서는 튜브 클립(17a, 17b)의 어느 한쪽에 고정해 둔다. 이때,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기물 흡인튜브(61)의 선단부가 상향이 되도록 고정한다. 이에 따라, 폐기물 흡인튜브(61) 내에 잔류하고 있는 액상 폐기물이 바닥면에 흘러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waste suction tube connecting end 35a of the waste receiving bag 30 mounted on the lid body 3a is connected to the base end of the waste suction tube 61. [ The tip of the waste suction tube 61 is fixed to one of the tube clips 17a and 17b in an unused state.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7, the distal end of the waste suction tube 61 is fixed upward. As a result, the liquid waste remaining in the waste suction tube 61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on the bottom surface.

폐기물 수용백(30)을 교환할 때에는, 폐기물 흡인튜브(61)의 기단을 폐기물 수용백(30)의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35a)로부터 떼어낼 필요가 있는데, 그때에는 떼어낸 폐기물 흡인튜브(61)의 기단을 튜브 클립(17a, 17b)의 비어 있는 쪽에 고정해 둔다. 이때, 선단과 마찬가지로, 폐기물 흡인튜브(61)의 기단부가 상향이 되도록 고정한다. 이에 따라, 폐기물 흡인튜브(61) 내에 잔류하고 있는 액상 폐기물이 바닥면에 흘러 떠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폐기물 수용백(30)의 uj교환작업이 쉬워진다.When replacing the waste receiving bag 30, it is necessary to remove the base end of the waste suction tube 61 from the waste suction tube connecting end 35a of the waste receiving bag 30. At that time, the removed waste suction tube 61 are fixed to the empty side of the tube clips 17a, 17b. At this time, similarly to the tip end, the base end of the waste suction tube 61 is fixed so as to be upward. As a result, the liquid waste remaining in the waste suction tube 61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on the bottom surface, and the uj exchange operation of the waste receiving bag 30 is facilitated.

도 18은 용기본체(2)에 리유저블형의 뚜껑체(3b)를 장착한 상태에 있어서 에어흡인튜브 및 폐기물 흡인튜브를 접속한 상태의 흡인보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의 (a)는 전체도, 도 18의 (b)는 용기본체(2) 부근의 확대도이다.18 is a view showing a suction bottle in a state where an air suction tube and a waste suction tube are connected in a state where a lid 3b of a reusable type is mounted on the container main body 2. Fig. 18 (a) is an overall view, and Fig. 18 (b) is an enlarged view of the vicinity of the container main body 2. Fig.

용기본체(2)는 슬라이드 걸이구(4)에 의하여 벽면에 설치한 벽측 슬라이드 걸이구(70)(도 19의 (b)를 참조)에 걸려 있다. 뚜껑체(3b)의 상면 중앙부의 에어흡인튜브 접속단부(41c)에는 에어흡인튜브(60)의 선단을 접속하고, 에어흡인튜브(60)의 기단은 흡인압력 조정기(63)를 통하여 벽면에 설치된 아웃렛(62)에 접속되어 있다.The container main body 2 is hooked on the wall side slide hook 70 (see FIG. 19 (b)) provided on the wall surface by the slide hook 4. The tip of the air suction tube 60 is connected to the air suction tube connecting end portion 41c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cover 3b and the base end of the air suction tube 60 is connected to the wall surface through the suction pressure regulator 63 And is connected to the outlet 62.

뚜껑체(3b)의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42b)에, 폐기물 흡인튜브(61)의 기단을 접속한다. 그리고, 폐기물 흡인튜브(61)의 선단은, 미사용 상태에 있어서는,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기물 흡인튜브(61)를 느슨하게 2번 감은 상태로 하고, 튜브 클립(64)에 의하여 폐기물 흡인튜브(61)의 선단 부근을 폐기물 흡인튜브(61)의 중앙 부근에 고정하며, 이 감은 폐기물 흡인튜브(61)를 흡인보틀(1)에 걸어 둔다. 이때,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기물 흡인튜브(61)의 선단부가 상향이 되도록 고정한다. 이에 따라, 폐기물 흡인튜브(61) 내에 잔류하고 있는 액상 폐기물이 바닥면에 흘러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base end of the waste suction tube 61 is connected to the waste suction tube connecting end 42b of the lid 3b. 18, the waste suction tube 61 is loosely wrapped around the waste tube 61 twice, and the tube suction tube 61 is closed by the tube clip 64 (see FIG. 18) 61 is fixed near the center of the waste suction tube 61, and the waste suction tube 61 is hooked to the suction bottle 1.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8, the tip of the waste suction tube 61 is fixed so as to be upward. As a result, the liquid waste remaining in the waste suction tube 61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on the bottom surface.

한편, 튜브 클립(64)은, 폐기물 흡인튜브(61)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폐기물 흡인튜브(16)를 사이에 끼우는 굴곡진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 협지부분이 등을 맞대고 접합되는 구성을 가진다.On the other hand, the tube clip 64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waste suction tube 61, and the first and second holding portions, which are made of a curved elastic member sandwiching the waste suction tube 16, .

마지막으로, 상술한 리유저블 어댑터(41)의 튜브 감아걸기용 후크부재(41e) 및 벽걸이용 후크부재(41f)의 사용방법과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9는 리유저블 어댑터(41)의 사용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9의 (a)는 벽면에 설치된 벽측 슬라이드 걸이구(70)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의 (b)는 벽측 슬라이드 걸이구(70)에 용기본체(2)의 슬라이드 걸이구(4)를 끼워맞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의 (c)는 벽측 슬라이드 걸이구(70)에 리유저블 어댑터(41)의 벽걸이용 후크부재(41f)를 끼워맞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9의 (d)는 벽면에 고정한 리유저블 어댑터(41)에 폐기물 흡인튜브(61)를 감아 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nally, the use method and function of the hooking member 41e for hanging the tubing of the reusable adapter 41 and the wall-hanging hook member 41f will be described. 19 is a view for explaining a method of using the re-usable adapter 41. Fig. 19 (a) is a view showing a wall-side slide hooking tool 70 provided on a wall surface, FIG. 19 (b)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lide hooking hole 4 of the container body 2 is inserted into the slide- 19 (c)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ll-hanging hook member 41f of the reusable adapter 41 is fitted in the wall-side slide hook 70, and FIG. 19 (d)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waste suction tube 61 is wound around the reusable adapter 41 fixed to the wall surface.

벽측 슬라이드 고리구(70)는, 도 19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내의 벽면에 나사 등에 의하여 고정 설치되어 있다. 흡인보틀(1)을 사용할 때에는, 도 19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용기본체(2)의 배면에 설치된 슬라이드 걸이구(4)를 벽면에 설치된 벽측 슬라이드 걸이구(70)에 끼워맞춤으로써, 흡인보틀(1)을 벽면에 고정한다.As shown in Fig. 19 (a), the wall side slide ring 70 is fixed to the wall surface of the room by screws or the like. When the suction bottle 1 is used, as shown in Fig. 19 (b), the slide hook 4 provided on the back face of the container body 2 is fitted to the wall side slide hook 70 provided on the wall surface , The suction bottle 1 is fixed to the wall surface.

용기본체(2)에 리유저블형의 뚜껑체(3b)를 설치하여 흡인보틀(1)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용기본체(2) 내에 액상 폐기물을 쌓이면, 용기본체(2)의 내용물을 버리고 용기본체(2)나 뚜껑체(3b)를 세정할 필요가 발생한다.In the case of using the suction bottle 1 by providing the lid body 3b of the reusable type in the container body 2, when the liquid waste is accumulated in the container body 2, the contents of the container body 2 are discarded, It is necessary to clean the main body 2 or the lid 3b.

이러한 경우, 우선 리유저블 어댑터(41)를 뚜껑체(3b)의 본체(관장착부(40))로부터 빼내어 떼어낸다. 리유저블 어댑터(41)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에어흡인포트부(41b)의 하단부(O링(47)이 끼워져 장착된 부분)가 뚜껑체(3b)의 본체(관장착부(40))의 에어흡인포트 장착구멍(40a)에 기밀하게 끼워져 있고, 리유저블 어댑터(41)를 상방으로 빼내어 떼어낼 수 있다.In such a case, first, the reusable adapter 41 is pulled out from the main body (the tube mounting portion 40) of the lid body 3b and removed. 16,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air suction port portion 41b (the portion where the O-ring 47 is fitted) is inserted into the main body (the tube attachment portion 40) of the lid body 3b ), Air suction port mounting hole 40a of air suction port 40a, and removable adapter 41 can be pulled out and removed.

다음으로, 용기본체(2)를 벽측 슬라이드 걸이구(70)로부터 떼어낸 후, 먼저 떼어낸 리유저블 어댑터(41)를, 도 19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벽걸이용 후크부재(41f)를 벽측 슬라이드 걸이구(70)에 끼워맞춤으로써, 벽면에 고정한다. 이때, 튜브 감아걸기용 후크부재(41e)는, 기부의 평판형상 부분이 수평이고, 선단의 굴곡진 원호판 형상의 부분이 상방을 향하여 경사진 상태가 된다.19 (c), the wall-hanging hook member 41f (FIG. 19 (c)) is removed from the container main body 2 after the container main body 2 is detached from the wall- Is fitted to the wall-side slide hooking tool 70, thereby fixing it to the wall surface. At this time, the plate-shaped portion of the base portion is horizontal and the bent circular arc plate-shaped portion of the tip end of the tube-hooking hook member 41e is inclined upward.

그리고, 도 19의 (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벽면에 고정한 리유저블 어댑터(41)의 튜브 감아걸기용 후크부재(41e)에, 폐기물 흡인튜브(61)를 감아걸고, 폐기물 흡인튜브(61)의 선단은, 튜브 클립(64)에 의하여 폐기물 흡인튜브(61)의 중앙 부근의 어느 위치에 고정한다. 이때, 도 19의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기물 흡인튜브(61)의 선단부가 상향이 되도록 고정한다. 이에 따라, 폐기물 흡인튜브(61) 내에 잔류하고 있는 액상 폐기물이 바닥면에 흘러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19 (d), the waste suction tube 61 is wound around the hook member 41e for hooking the tubing of the reusable adapter 41 fixed to the wall surface, and the waste suction tube 61 Is fixed at a position near the center of the waste suction tube 61 by the tube clip 64. At this time, as shown in Fig. 19 (d), the distal end of the waste suction tube 61 is fixed upward. As a result, the liquid waste remaining in the waste suction tube 61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on the bottom surface.

이렇게 하여서, 리유저블 어댑터(41)를 벽측 슬라이드 걸이구(70)에 걸고, 폐기물 흡인튜브(61)를 리유저블 어댑터(41)에 감아 걸어 둠으로써, 떼어낸 리유저블 어댑터(41)나 폐기물 흡인 튜브(61)를 둘 곳에 대한 어려움이 없고, 떼어낸 용기본체(2)를 빠르게 운반하여, 내용물의 폐기, 용기의 세정 등의 작업을 할 수 있게 된다.In this way, the reusable adapter 41 is hooked on the wall-side slide hook 70 and the waste suction tube 61 is wound around the reusable adapter 41 to hang the reusable adapter 41, Or the waste suction tube 61, and can quickly carry the detachable container body 2 to perform operations such as disposal of the contents and cleaning of the container.

1: 흡인보틀
2: 용기본체
3a, 3b: 뚜껑체
4: 슬라이드 걸이구(용기 벽걸이용 후크부재)
4a: 돌출판
4b: 걸이 평면판
4c: 슬라이드 홈
4d: 걸이 구멍
5: 축소직경 둘레부
6a, 6b: 후크 고정홈
10: 관장착부
10a: 하반부
10b: 상반부
10c: 돌조
11: 힌지 뚜껑부
11a: 상면원판
12: 힌지 베이스
12a: 힌지축
13: 힌지 받이부
13a: 상판부
13c: 스토퍼판
14: 스토퍼부분
15: 포트 끼워맞춤부
15a: 오목부(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 삽입통과부)
15b: 소켓부
16: 마커
17a, 17b: 튜브 클립
18: 에어흡인구
19: 에어흡인튜브 접속 이음매
19a: 에어흡인튜브 접속단부
19b: 끼워넣음부
19c: 플랜지
20a, 20b: O링
21: 고정부분
22: 계류 고리부
22a: 스프링
22b: 피벗핀
22c: 비스
22d: 내부 블록
22e: 외각 블록
23: 단차부
23a: 패킹홈
24: 패킹
24a, 24b, 24c: 역부착 방지용 돌기
25a, 25b: 후크 돌기부분
26: 패킹
30: 폐기물 수용백
31: 백포트부
32: 봉투체부
33: 베이스부
33a: 수평천판
33b: 에어배출구멍
33c: 내플랜지
33d: 접착부
33e: 필터
34: 손잡이부
35: 폐기물 흡인관부
35a: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
35b: 외플랜지
35c: 역류방지밸브
36: 캡부
36a: 캡암
37: 패킹
40: 관장착부
40a: 에어흡인포트 장착구멍
40b: 폐기물 흡인포트 장착구멍
40c: 쟁반오목부
40d: 대좌부
41: 리유저블 어댑터
41a: 베이스 기판
41b: 에어흡인포트부
41c: 에어흡인튜브 접속단부
41d: 폐기물 흡인관 소켓
41e: 튜브 감아걸기용 후크부재
41f: 벽걸이용 후크부재
42: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 이음매
42a: 수직관부
42b: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
42c: 플랜지
43: 패킹 부착 폐기물 배출구부
43a: 패킹부
43b: 캡부
43c: 배출튜브부
44: 플로트 밸브부
45: 마커
46a, 46b: 후크 돌기부분
47, 48, 49, 50: O링
51: 장착소켓
52: 플로트 커버
53: 플로트
54: 플로트 받이
60: 에어흡인튜브
61: 폐기물 흡인튜브
62: 아웃렛(배관말단 접속구)
63: 흡인압력 조정기(레귤레이터)
64: 튜브 클립
70: 슬라이드 걸이구
1: Suction bottle
2:
3a and 3b:
4: Slide hanger (Hook member for container wall)
4a: Stone Publishing
4b: hook plate
4c: Slide groove
4d: Hook hole
5: diameter of the reduced diameter portion
6a, 6b: hook fixing grooves
10:
10a: Lower half
10b: upper half
10c: Bump
11: Hinge lid part
11a:
12: Hinge base
12a: Hinge shaft
13:
13a:
13c: Stopper plate
14: Stopper portion
15: Port fitting portion
15a: concave portion (waste suction tube connection end insertion portion)
15b:
16: Marker
17a, 17b: tube clip
18: Air intake
19: Air suction tube connection joint
19a: Air suction tube connection end
19b:
19c: Flange
20a, 20b: O-ring
21: Fixed portion
22:
22a: spring
22b: Pivot pin
22c: bis
22d: inner block
22e: Outer block
23:
23a: Packing groove
24: Packing
24a, 24b, and 24c:
25a, 25b: hook projection portion
26: Packing
30: waste receptacle bag
31: Back port part
32: envelope body
33: Base portion
33a: Horizontal top plate
33b: Air discharge hole
33c: My flange
33d:
33e: filter
34: Handle portion
35: Waste suction pipe
35a: waste suction tube connection end
35b: outer flange
35c: Backflow prevention valve
36:
36a:
37: Packing
40:
40a: Air suction port mounting hole
40b: Waste suction port mounting hole
40c: tray recess
40d:
41: Reusable adapter
41a: base substrate
41b: air suction port portion
41c: Air suction tube connection end
41d: Waste aspirator tube socket
41e: a hook member for hooking the tube
41f: wall-hanging hook member
42: waste suction tube connection joint
42a: Vertical tube portion
42b: Waste suction tube connecting end
42c: Flange
43: waste outlet with packing
43a:
43b:
43c:
44: Float valve section
45: Marker
46a, 46b: a hook projection portion
47, 48, 49, 50: O-ring
51: mounting socket
52: Float cover
53: Float
54: Float receiver
60: Air suction tube
61: Waste suction tube
62: Outlet (pipe end connection)
63: Suction pressure regulator (regulator)
64: tube clip
70: Slide hanger

Claims (5)

상단부가 개구된 바닥이 있는 통형상으로 형성된, 액상 폐기물을 수용하는 용기본체와,
상기 용기본체의 배면에 돌출 설치되고, 벽에 고정 설치되는 벽측 슬라이드 걸이구와 끼워맞춤 가능한 용기 벽걸이용 후크부재와,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용기본체의 상단부 개구를 밀폐하는 것이 가능한 뚜껑체와,
상기 뚜껑체에 관통 형성되어 있고, 용기본체 내부의 에어를 흡인하는 에어흡인튜브가 접속되는 에어흡인구를 구비한, 액상 폐기물을 흡인하여 수용하기 위한 의료용 흡인보틀로서,
가요성의 폐기물 흡인튜브와,
상기 폐기물 흡인튜브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폐기물 흡인튜브를 사이에 끼우는 굴곡진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 협지부분이 접합되어 이루어지는 튜브 클립을 구비하고,
상기 뚜껑체로서,
상기 폐기물 흡인튜브가 접속되는 폐기물 흡인구, 및 상기 에어흡인구가 관통 형성된, 액상 폐기물을 상기 용기본체 내에 직접 수용할 때에 사용되는 리유저블형 뚜껑체와,
상기 폐기물 흡인튜브가 접속되는 폐기물 흡인구를 가지는,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가 설치된 기밀한 봉투형상의 폐기물 수용백이 탈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가 삽입 통과하는 폐기물 흡인튜브 접속단부 삽입통과부가 형성되며, 또한 상기 에어흡인구가 관통 형성된, 액상 폐기물을 상기 폐기물 수용백 내에 수용할 때에 사용되는 디스포저블형 뚜껑체와의 교환이 가능한 2종의 뚜껑체를 구비하고,
상기 각 뚜껑체는, 상기 용기본체에 고정이 가능한 공통의 고정 구조를 구비하고 있으며,
리유저블형의 상기 뚜껑체는,
상기 용기본체에 끼워맞춤 고정되는 관장착부와,
상기 관장착부의 천판에 개구된 장착부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폐기물 흡인구 및 상기 에어흡인구가 관통 형성된 리유저블 어댑터와,
상기 리유저블 어댑터의 이면에 돌출 설치되고, 상기 벽측 슬라이드 걸이구와 끼워맞춤 가능한 리유저블 어댑터 벽걸이용 후크부재와,
상기 리유저블 어댑터의 표면에 돌출 설치된 튜브 감아걸기용 후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튜브 감아걸기용 후크부재는, 상기 리유저블 어댑터 벽걸이용 후크부재를 상기 벽측 슬라이드 걸이구에 끼워 맞췄을 때에, 상기 폐기물 흡인튜브를 감아걸기 가능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흡인보틀.
A container body for accommodating the liquid wast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 bottom opened at an upper end thereof,
A container wall hook member protruding from a back surface of the container main body and being fittable with a wall side slide hook member fixedly mounted on a wall,
A lid detachably installed at an upper end of the container body and capable of sealing the upper end opening of the container body;
And an air suction port which is formed in the cover and is connected to an air suction tube for sucking air inside the container body, the medical suction bottle for sucking and containing liquid waste,
A flexible waste suction tube,
And a tube clip detachably attached to the waste suction tube and having first and second holding portions formed by bending elastic members sandwiching the waste suction tube,
As the cover,
A waste suction port to which the waste suction tube is connected, and a removable lid that is used to directly accommodate liquid waste formed through the air suction port in the container main body,
A waste suction tube connected to the waste suction tube and having a waste suction port to which the waste suction tube is connected; and a waste suction tube connected to the waste suction tube connection end, And two types of lids capable of exchanging with a disposable lid used when the liquid waste is accommodated in the waste receiving bag, in which the air suction port is formed,
Wherein each of the lids has a common fixing structure that can be fixed to the container body,
The lid of the reusable bell-
A tube mounting portion which is fitted and fixed to the container main body,
A reusable adapter detachably installed on a mounting portion opened on a top plate of the tube mounting portion and having the waste suction port and the air suction port penetrated;
A re-usable adapter wall-hanging hook member protruding from the back surface of the re-usable adapter and fitted to the wall-side slide hook hole,
And a tube-hooking hook member protruding from the surface of the reusable adapter,
Wherein the tube hoisting hook member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waste suction tube can be rolled when the hook member for hanging the reusable adapter is fitted in the slider for hooking the wall side.
제 1 항에 있어서,
디스포저블형의 상기 뚜껑체의 측면에, 상기 폐기물 흡인튜브를 수직 방향으로 고정하는 튜브 클립을, 적어도 2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흡인보틀.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two tube clips for fixing the waste suction tube in the vertical direction ar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disposable lid body.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조는, 상기 뚜껑체가 상기 용기본체에 대하여 특정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만 끼워맞춤 고정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흡인보틀.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fixing structure is formed in such a shape that the lid is fitted and fixed only in a state in which the lid is oriented in a specific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container body.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본체는, 상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중간부에서 하부에 걸쳐서는, 좌우 측면이 평면 형상 및 전후 측면이 원호면 형상의 양쪽 활꼴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흡인보틀.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ontainer body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in an upper portion and has left and right side surfaces in a plane shape and front and rear side surfaces in an arc shape in both sides in an arc shape from an intermediate portion to a lower portion.
삭제delete
KR1020167008967A 2014-05-15 2014-10-15 Suction Bottle Active KR10185761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01003 2014-05-15
JP2014101003A JP5800440B1 (en) 2014-05-15 2014-05-15 Suction bottle
PCT/JP2014/077414 WO2015173980A1 (en) 2014-05-15 2014-10-15 Suction bott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3975A KR20160053975A (en) 2016-05-13
KR101857615B1 true KR101857615B1 (en) 2018-05-14

Family

ID=54477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8967A Active KR101857615B1 (en) 2014-05-15 2014-10-15 Suction Bottle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800440B1 (en)
KR (1) KR101857615B1 (en)
WO (1) WO2015173980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551U (en) * 2018-09-03 2020-03-11 정인화 Medical suction po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87544A1 (en) * 2016-04-27 2017-11-02 悠一 佐紺 Molded-body filter using ptfe film, and disposable bag or container for medical aspirator using said molded-body filter
FI130032B (en) 2016-07-06 2022-12-30 Serres Oy An apparatus for collecting liquid from a patient and a manifold
FR3087342B1 (en) * 2018-10-17 2020-11-13 Stemcis JAR AND DEVICE FOR RECOVERING AND PREPARING ADIPOUS TISSUES
JP2020083785A (en) * 2018-11-19 2020-06-04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Organ preservation device and organ preservation method
KR102075304B1 (en) * 2019-07-26 2020-02-07 재단법인 한국환경수도연구원 Portable filter for taking measured water
JP7269851B2 (en) * 2019-09-20 2023-05-09 大研医器株式会社 Waste liquid storage container, waste liquid reservoir provided with the same, and waste liquid suction system
JP7421197B2 (en) * 2020-07-27 2024-01-24 丹平製薬株式会社 nasal secretion aspirator
CN116867526B (en) * 2021-08-16 2024-08-02 株式会社三幸制作所 Medical wall-mounted suction device and tank body used for the wall-mounted suction device
CN120078973B (en) * 2025-05-06 2025-07-22 西南石油大学 A gastrointestinal decompression device for a digestive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7905U (en) 1999-10-04 2000-04-21 株式会社セントラルユニ Medical aspirator
US20090247968A1 (en) * 2008-03-28 2009-10-01 Deroyal Industries, Inc. Medical Suc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6711A (en) * 1981-01-16 1982-08-31 Sherwood Medical Industries Inc. Body fluid collection device with disposable liner
US4435170A (en) * 1981-06-15 1984-03-06 Solco Basel Ag Assembly for receiving and discharging a collection of blood
US5124127A (en) * 1989-01-26 1992-06-23 Shiley, Incorporated Hollow fiber blood oxygenato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7905U (en) 1999-10-04 2000-04-21 株式会社セントラルユニ Medical aspirator
US20090247968A1 (en) * 2008-03-28 2009-10-01 Deroyal Industries, Inc. Medical Suction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551U (en) * 2018-09-03 2020-03-11 정인화 Medical suction pot
KR200493159Y1 (en) * 2018-09-03 2021-02-05 정인화 Medical suction po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3975A (en) 2016-05-13
WO2015173980A1 (en) 2015-11-19
JP2015216994A (en) 2015-12-07
JP5800440B1 (en) 2015-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7615B1 (en) Suction Bottle
US813732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forming a delivery container into a waste disposal system
JP5174054B2 (en) Feeding and storage system
US8715255B2 (en) Fastening device for a drainage container
KR102411978B1 (en) Fluid Collection Systems and Methods of Use
AU2006277515B2 (en) Milking device
CA2341593C (en) Device for emptying containers filled with liquids
TW201634066A (en) Adapter with media separating diaphragm for a breast shield
US11583622B2 (en) Suction canister and corresponding systems and methods
CN103781706B (en) Disposable feeding bottle kit
US20080169290A1 (en) In-Wall Waste Receptacles For Hospital and Laboratory Environments
JP2013233954A (en) Bag storage container
JP6378623B2 (en) Waste liquid collector
CN102843936B (en) Percolating filter device
JP2004226314A (en) Reagent vessel
CN212607357U (en) Dry powder barrel clamping and fixing device
CN209530913U (en) A kind of liquid tubular container storage pendant
CN107920878A (en) Process water supply unit for supplying medical unit, dental unit and method of operation
CN113631072A (en) Cloth dispenser and packaging unit thereof
US20200237203A1 (en) Lumened device flushing assembly and method of use
JP6580386B2 (en) Drinking water dispenser and bottle positioning member used therefor
CN214427443U (en) Sample adding slot replacing sleeve and medical consumable
CN210557935U (en) Vacuum suction device
CN210171482U (en) Mirror oil drop tube device
KR20150091688A (en) Sampl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0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08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2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5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805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